KR910007750Y1 -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50Y1
KR910007750Y1 KR2019880018216U KR880018216U KR910007750Y1 KR 910007750 Y1 KR910007750 Y1 KR 910007750Y1 KR 2019880018216 U KR2019880018216 U KR 2019880018216U KR 880018216 U KR880018216 U KR 880018216U KR 910007750 Y1 KR910007750 Y1 KR 910007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lock
detent
lock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537U (ko
Inventor
쇼조 기또
쇼이찌 하라다
하지메 이마이
다다오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 덴끼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 덴끼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 덴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0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5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60R25/0214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interlocked with gear box or gear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74Inputs being a function of engine parameters
    • F16H2059/746Engine running state, e.g. on-off of ignition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238Interlo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 주요부의 횡단면도.
제3도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2의 링크 및 로크부재의 개구부 부분의 확대종단면도.
제5도는 수동해제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와 제1의 링크의 일부 확대종단면도.
제6도는 제1도와는 다른 작용상태에 있어서 제1도에 해당하는 도면.
제7도는 제6도의 상태에 있어서 제2도에 해당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디텐트 플레이트 6 : 로크홈부
7 : 디텐트 핀 9 : 브래킷
10 : 안내부 11 : 로크부재
12 : 계합홈 14 : 솔레노이드
17 : 부시 19 : 제어장치
20 : 링크 26 : 제2링크
33 : 수동해제 부재
본 고안은 변속레버가 특정의 비구동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 변속레버를 소정의 조건에 기초를 둔 요동 조작 불능으로 로크하도록 한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가 부착된 자동차에서, 주차시 주차브레이크를 조작함과 동시에 변속레버를「P」위치에 이동해서 자동차를 확실한 제동상태로 하고나서 자동차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P」위치에서 엔진을 시동하여 자동차를 발진시키기 의해 변속레버를「D」위치에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중에서 R위치를 통과하므로,「P」위치로 부터「D」위치에 이동을 완료할때 까지의 사이는 풋트브레이크가 밟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변속레버의 조작과 다른 조작과는 관련하여 행하여 지는 것이지만, 이것이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에 변속레버를「P」위치에 요동조작 불능하게 로크해 둘것이라 생각된다.
예를들면 실공소 62-20343호 공보에는, 풋트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있지 않을때는 변속레버의 요동조작이 저지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것에 있어서는, 전기적 고장이 있는 경우에는 변속레버의 구속이 해제되지 않게된다.
또 실개소 59-176253호에는 변속레버의 이동을 구속하는 솔레노이드에 통전되지 않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변속레버의 로크상태룰 해제하는 수동레버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변속레버를 주차위치로 보지하는 디텐트 핀에,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한 플런저 핀이 직접닿아서 변속레버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 핀의 디텐트 핀과의 접촉부에 상처가 플런저 핀의솔레노이드에 대한 인입이 원활하게 행하여지지 않는 원인으로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한 변속레버를 특정의 비구동 위치로부터 구동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로크하는 장치로써, 내구성이 뛰어나고, 변속레버의 로크상태에서 고장등이 있는 경우에는 그 로크를 강제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는, 차량의 자동변속기 조작용 변속레버를 특정의 조건하에서만 조작가능하게 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로써 이하를 포함한다. (a)변속레버가 자동변속기를 차량의 비구동위치로 하는 비구동위치에서 변속레버 조작위치로 부터 로크위치로 이동하여 변속레버의 (자동변속기를 차량의 구동위치로 한다)구동위치에 대한 이동조작을 저지하는 디텐트 수단, (b)상기의 변속레버의 상기(자동변속기를 차량의)비구동 위치에서, 디텐트 수단과 함께 로크위치와 변속레버 조작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부재,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디텐트 수단을 로크위치로 부터 변속레버 조작위치까지 복귀시키고, 변속레버를 조작 이동가능하게 하는 변속레버 해제수단, 로크부재를 보지하여 디텐트 수단을 변속레버의 차량비구동 위치 에 유지하고 소정의 조건에 기초를 두는 전기신호로 로크부재의 보지를 해제하고 상기의 변속레버 해제수단을 작동가능하게 하는 전기적 작동수단, 상기의 전기적 작동수단에 의해서 변속레버 해제수단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의 로크부재의 보지를 해제하여 변속레버의 조작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동해제수단, 이 수단에 의해 전기적 작동부재의 고장시에도 변속레버의 이동에 의한 차량의 견인등에 의한 수동적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것을 특징을 갖는다.
변속레버가 예를들면「P」위치등의 비구동위치에 이동되면, 디텐트수단이 로크위치로 이동하여 이 변속레버의 조작이동을 저지한다. 이 변속레버의 비구동 위치에로의 이동에 의한, 디텐트수단과 함께 로크부재도 로크위치에 이르고, 전기적 작동수단에 의해서 이 상태가 보지되므로, 디텐트 핀의 로크위치로 부터의 이동이 저지되어, 변속레버는 변속레버 해제수단을 조작해도 다른 위치에 이동할 수 없다. 운전자가 브레이크등을 조작하면 전기적 작동수단이 로크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므로, 운전자는 변속레버 해제수단을 작동시켜서 변속레버를 조작이동할 수 있다. 전기적 작동수단은 저지되어 있는 경우에 변속레버와 변속레버 해제수단에 무리한 힘을 가해도 전기적 작동수단에 손상은 없다.
전기적 작동수단이 고장등의 이유로 로크부재가 보지된 채의 상태가 되면, 운전자는 수동해제 수단을 조작하여 로크부내의 보지를 해제하고, 변속레버 해제수단 및 변속레버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제1도에 있어서, 변속레버(1)는 기틀(2)에 축(3)을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A방향 및 화살표 A반대방향으로 요동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기틀(2)에 고정된 디텐트 플레이트(4)는 변속레버(1)의 요동방향을 따라 이 변속레버(1)를 「P(주차)」위치, 「R(후진)」위치, 「N(중립)」위치, 「D(드라이브)」위치, 「2(단)」위치 및「L(로우)」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계합면을 가진 계합공(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공(5)증 특정의 비구동 위치인「P」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로크홈부(6)가 형성되어 있다. 변속레버(1)의 하부에 있어서 디텐트 플레이트(4)의 계합공(5)에 계합하도록 설치된 디텐트 핀(7)은 변속레버(1)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변속레버(1)의 노브(1a)에 설치된 누름버튼(8)을 밀어누름 조작에 의하여 변속레버 조작위치인 하방으로 이동되어 계합공(5)에 있어서 각 포지션의 계합면에 대한 계합이 떨어진다.
또 누름버튼(8)의 밀어누름을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디텐트 핀(7)은 로크위치인 상방으로 이동하여 계합공(5)에 있어서 하나의 위치의 계합면에 계합하는 것으로 디텐트 플레이트(4)와 협동하여 변속레버(1)의 요동조작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도 나타나듯이 디텐트 플레이트(4)의 측면에 고정된 브래킷(9)의 안내부(10)에 로크부재(11)가 화살표 B방향 및 화살표 B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이 로크부재(11)애는, 제1도에 있어서 상부에 오른쪽을 향하게 개구하여 로크홈부(6)으로 향하는 계합홈(12)이 설치되어져 있다. 또, 하부에는 제3도에 나타나듯이 직사각형상의 개구부(13)가 설치되어져 있음과 함께, 이 개구부(13)의 상부좌각부에 철부(13a)가 설치되어져 있다. 디텐트 플레이트(4)의 안쪽에 위치시켜서 부착부재(5)에 고정된 전기적 작동부재인 솔레노이드(14)의 액츄에이터(16)가 디텐트 플레이트(4)를 관통하여 브래킷(14)의 액츄에이터(16)가 디텐트 플레이트(4)를 관통하여 브래킷(9)내로 향하여 있고, 액츄에이터(16)의 선단부에는 부시(1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14)는, 리드선(18)을 중개하여 제어장치(19)에 접속되어 있고, 변속레버(1)가「P」위치에 위치되고 또 도시하지 않은 풋트 브레이크가 밟아진 때만 제어장치(19)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는 것에 의하여 온(on)되어 액츄에이터(16)가 화살표 C방향으로 흡인되고, 그외의 때는 오프(off)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6)의 선단부에는 약 T자상을 이루는 제1의 링크(20)의 일단부가 핀(2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제1의 링크(20)의 일단부와 솔레노이드(14)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용수철(22)이 배설되어 있어서, 이 압축 코일용수철(22)에 의하여 액츄에이터(16)가 화살표 C반대방향으로 당겨져 있다. 그와 동시에, 제1의 링크(20)는, 브래킷(9)내에 있어서 핀(23)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져 있다. 이 링크(20)는 솔레노이드(14)가 오프상태의 때에는, 액츄에이터(16)가 압축 코일용수철(22)의 탄성력에 의하여 화살표 C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2도에 실선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도에 실선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되어 다른 타방의 선단부(20a)가 상기의 로크부재(11)의 개구부(13)로 하는 상태로 된다. 또 솔레노이드(14)가 작동되면, 액츄에이터(16)가 화살표 C방향으로 흡입되는 것에 의해 화살표 D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의 선단부(20a)가 개구부(13)로부터 후퇴됨과 동시에, 다른 방향의 선단부(20b)가 브래킷(9)에 설치된 개구부(24)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제1의 링크(20)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된 때에 이 제1의 링크(20)의 한쪽 끝이 맞닿아지도록 브래킷(9)에 부착된 스토퍼(25)가 설치되어져 있다.
제1의 링크(20)와 함께 브래킷(9)내에 핀(23)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약 "Z"형을 이루는 제2의 링크(26)가 지지되어져 있다. 이 링크(26)에 설치된 부착부(27)에 압축코일용수철(28)을 중개하여 돌기(29)가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돌기(29)가 브래킷(9)의 내면에 접촉되어져 있어서, 그 압축 코일용수철(28)의 가세력에 의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밀고 있다.
그리고, 이 제2의 링크(26)의 한쪽끝부(26a)는 제4도에 나타나듯이 사면상으로 형성되어서 철부(13a)에 대항하여 있고, 또, 다른끝부(26b)는 브래킷(9)에 형성된 개구부(30)를 관통하여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부에 콘트롤 와이어(1)의 한끝이 연결되고, 이 콘트롤 와이어(31)의 다른 끝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스티어일 로크장치가 설치되어져 있다.
그와 동시에, 제2의 링크(26)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된 제2도의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로크 가능상태로, 이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로크되면 제2의 링크(26)의 화살표 D반대 방향에로의 회동이 저지되고, 또,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로크해제 상태시는, 제2의 링크(26)의 화살표 D반대 방향에로의 회동이 혀용된다. 더우기, 도면부호(32)는 핀(23)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브래킷(9)내에 삽입된 발출방지 부재이다.
한편, 제1도 및 제3도 있어서, 디텐트 플레이트(4)등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된 카바(34)의 틀체(35)에 밀어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누름버튼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수동해제 부재(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동해제 부재(33)와 부착판(36)과의 사이에 배설된 압축 코일용수철(37)에 의하여 수동해제 부재(33)가 상방으로 가세되고, 하면에 돌설된 철부(38)가 부착판(36)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수동해제 부재(33)의 하방에는, 브래킷(9)에 설치된 부착부(39)에 압축 코일용수철(40)을 중개해서 슬라이딩 부재(41)가 상하 움직이기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이 슬라이딩 부재(41)에는, 상기의 제1의 링크(20)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제5도에 나타나듯이 이 제2의 링크(20)의 다른 끝쪽의 다른 방향의 선단부(20b)에 접촉하는 사면(42)이 설치되어져 있다. 더우기,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도면부호(43)는 슬라이딩 부재(41)의 상방에로의 발출방지를 하기위한 핀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이제,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로크상태에서, 변속레버(1)가「P」위치에 위치되고, 또 풋트 브레이크가 밟아져 있지않은 상태시에는, 제1도에 나타낸 것같이, 디텐트 핀(7)이 디텐트 플레이트(4)의 로크홈부(6)에 계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로크부재(11)의 계합홈(12)이 그 디텐트 핀(7)에 계합해서 로크부재(11)가 상방의 로크위치에 위치되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로크상태이므로, 제2의 링크(26)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되어 일단부(26a)의 선단이 로크부재(11)의 개구부(13)에 놓을 수 있는 철부 (13a)의 하방으로 침입해 있고, 또, 솔레노이드(14)는 오프상태이므로, 이 솔레노이드(14)의 액츄에이터(16)가 압축 코일용수철(22)에 의하여 화살표 D반대 방향으로 누르고 있어 구속위치로 위치되고, 이것에 동반하는 제1의 링크(20)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되어 이 제1의 링크(20)의 선단부(20a)가 로크부재(11)의 개구부(13)에 침입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디텐트 핀(7)에 계합한 로크부재(11)의 화살표 B방향에로의 이동이 제1및 제2의 링크(20)및 (26)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어서, 변속레버(1)의 누름버튼(8)을 밀어 누름조작하여도 디텐트 핀(7)의 하방에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변속레버(1)를「P」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는 이동할 수 없고, 따라서 변속레버(1)는「P」위치로 요동조작불능하게 로크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엔진키를 회전조작하여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로크해제되면, 제2의 링크(26)의 화살표 D반대방향에로의 회전은 허용되지만, 솔레노이드(14)는 오프상태인 채, 제1의 링크(20)는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된 그대로이므로, 로크부재(11)는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된 그대로이므로, 로크부재(11)는 화표 B방향에로의 이동이 구속되어 있고, 결국 변속레버(1)는 「P」위치에 요동조작 불능하게 로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부터 풋트 브레이크를 밟으면, 솔레노이드(14)가 온상태로 되어 액츄에이터(16)가 화살표 C방향으로 흡인되어 해제위치로 위치되고, 이것에 동반하는 제1의 링크(20)가 화살표 D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 제1의 링크(20)의 선단부(20a)가 로크부재(11)의 개구부(13)로부터 후퇴한다.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8)을 밀어누름조작하면, 디텐트 핀(7)이 로크부재(11)와 함께 하방(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 이것에 동반하는 로크부재(11)의 개구부(13)에 놓을 수 있는 철부(13a)가4도에 나타난 것같이 제2의 링크(26)이 일단부(26a)를 밀어눌려서 그 제2의 링크(26)를 화살표 D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로크부재(11)가 제6도에 나타나듯이 로크 해제위치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디텐트 핀(7)은 로크홈부(6)로부터 계합해제되어 있으므로, 누름버튼(8)을 밀어누른 그대로의 상태에서 변속레버(1)를 화살표 A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 변속레버(1)를「P」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변속레버(1)가「P」이외의 위치 예를들면 제6도에 나타나듯이 N위치에 이동된 때에는, 솔레노이드(14)가 오프상태로 되고, 제7도에 보여지듯이 압축 코일용수철(2)의 가세력에 의하여 액츄에이터(16)가 화살표 C반대방향으로 가세되어 제1의 링크(20)의 선단부(20a)가 로크부재(11)에 놓을 수 있는 개구부(13)의 상방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제2의 링크(26)의 일단부(26a)의 선단도 로크부재(11)에 놓을 수 있는 개구부(13)의 상방측면에 접촉하고 있어서 이 제2의 링크(26)가 화살표 D반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로크시킬 수 없고, 엔진키를 뽑아낼 수 없다. 그리고, 변속레버(1)를 「P」이외의 위치로 부터 누름버튼(8)울 밀어누른 채「P」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디텐트 핀(7)이 로크부재(11)의 계합홈(12)에 계합하고,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8)의 밀어누름을 해제하면, 디텐트 핀(7)과 함게 로크부재(11)가 화살표 B반대 방향(상향)으로 이동하고, 디텐트 핀(7)이 로크홈부(6)에 계합함과 동시에 로크부재(11)가 로크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면, 로크부재(11)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던 제1의 링크(20)의 선단부(20a)가 개구부(13)에 향한곳에서 이 제1의 링크(20)가 압축 코일용수철(22)의 가세력에 의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되동되어 그 개구부(13)에 침입함과 동시에 제2의 링크(26)의 일단부(26a)가 개구부(13)에 놓을수 있는 철부(13a)의 하방으로 향한 곳에서 이 제2의 링크(26)가 압축 코일용수철(28)의 가세력에 의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되어 일단부(26a)가 개구부(13)에 침입하고, 그리고 제2도에 보여주듯이 변속레버(1)가「P」위치에 요동조작 불능하게 로크된 상태로 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로크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엔진키를 뽑아낼 수 있다.
한편, 제1도 및 제2도에 보여주듯이 변속레버(1)가 로크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베터리가 형편없거나 혹은 솔레노이드(14)가 고장난 것같은 경우, 제2의 링크(26)는 엔진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로크 해제상태로 하는 것으로, 이 제2의 링크(26)는 화살표 D반대 방향에로의 회전을 허용할 수 없지만, 제1의 링크(20)는 풋트 브레이크를 밟아도 솔레노이드(14)가 작동되지 않으면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된 채로, 제1의 링크(20)의 선단부(20a)를 개구부(13)로 부터 퇴출시킬 수 없고, 변속레버(1)의 로크를 해제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틀체(35)에 설치된 수동해제 부재(33)를 밀어 누름조작하면, 철부(38)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41)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이 슬라이딩 부재(41)의 사면(42)이 제5도에 있어서 제1의 링크(20)의 선단부(20b)를 화살표 E방향으로 밀어누름하여 제1의 링크(20)가 압축 코일용수철(22)의 가세력에 저항해서 화살표 D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제2도에 2점쇄선으로 보여주듯이 제1의 링크(20)의 선단부(20a)를 개구부(13)로부터 퇴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누름버튼(8)의 밀어누름조작으로 로크부재(11)의 이동이 허용되므로, 변속레버(1)의 로크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에에 의하면, 변속레버(1)가 「P」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로크해제되어도 풋트 브레이크가 밟아지지 않는한 솔레노이드(14)가 작동되지 않고, 변속레버(1)를「P」위치로 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변속레버(1)를 「P」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부터 자동차를 발진시키는 경우에, 풋트 브레이크를 밟는 것을 잊어서 변속레버(1)를 부주의하게 구동위치에 이동해 버리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게다가 변속레버(1)를「P」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한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로크상태로 하여 엔진키를 뽑아낼 수 가 없으므로, 주행중에 엔진키를 스티어링 로크장치로 부터 뽑아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주차시에 변속레버(1)를「P」위치로 이동하고 나서 엔진키를 로크위치로 회전시켜 스티어링 로크장치로 부터 뽑아내는 것이 되기 때문에, 자동차를 확실한 제동상태로 하고나서 자동차로 부터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변속레버(1)가「P」위치로 로크된 상태에서, 고장예를들면 베터리가 형편없거나 혹은 솔레노이드(14)가 작동불량으로 된 것 같은 경우에는, 수동해제 부재(33)를 밀어 누름조작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14)의 액츄에이터(16)를 해제위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로크부재(11)의 구속을 해제하고, 변속레버(1)의 로크를 강제적으로 해제할 수 있으므로, 고장시에 변속레버(1)를「P」위치로 부터 「N」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변속레버(1)가「P」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고장이 발생하며나, 변속레버(1)가 「P」위치의 그대로는 사람손에 의해서 자동차를 밀어서 이동시킬 수도 없게되지만, 수동해제 부재(33)의 조작으로 변속레버(1)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가령「N」위치로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고장시에 자동차를 사람손에 의해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14)가 오프상태시에 로크부재(11)를 로크위치에 구속하여 변속레버(1)를 로크하고, 솔레노이드(14)가 작동상태로 된때에 그 구속을 해제하여 변속레버(1)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솔레노이드(14)가 작동상태시에 변속레버(1)를 로크하고, 솔레노이드(14)가 오프상태시에 변속레버(1)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어회로의 고장등으로 오프신호에도 불구하고 솔레노이드(14)가 통전을 계속하여 로크상태가 계속유지되는 불합리를 수동해제 부재(33)를 밀어누르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차량의 점화키가 시정상태로 되면 통전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베터리의 과잉방전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솔레노이드로써는, 오프되어 액츄에이터가 이동되면 오프된 후도 다음에 작동상태로 될 때까지 액츄에이터가 이동위치로 보지되는 형식의 것(말하자면 2 방향작동 솔레노이드)을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더우기,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작동수단으로써 솔레노이드(14)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령 모우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변속레버(1)를「P」위치에서 로크하도록 했지만, 또 하나의 비구동위치인「N」위치에서 로크하도록 해도 좋다. 또, 수동해제 부재(33)로써는 밀어 누름조작된 누름버튼을 예시했지만, 그것은 예를들면 회동조작되는 레버(leaver)라도 좋다.

Claims (11)

  1. 차량의 자동변속기 조작용 변속레버를 특정의 조건하에서만 조작가능한 변속레버용 로크장치로서, (a)변속레버가 자동변속기를 차량의 비구동위치로 위치시키는 비구동 위치에서 변속레버 조작위치로 부터 로크위치로 이동하여, 자동변속기를 차량의 구동위치로 변경시키는 변속레버의 구동위치로의 이동조작을 저지하는 디텐트 수단, (b)상기 변속레버의 비구동위치에서, 디탠트 수단과 함께 로크위치와 변속레버 조작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부재. (c)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의 디텐트 수단을 로크위치로 부터 변속레버 조작위치까지 되돌리고, 변속레버를 조작이동 가능하게 하는 변속레버 해제수단, (d)로크부재를 보지하여 디텐트수단을 변속레버의 차량비구동 위치로 유지하여 키이의 점화 온위치로의 조작및 브레이크의 조작에 기초를 둔 전기 신호로 로크부재의 보지를 해제하고 상기 변속레버 해제수단을 작동가능하게 하는 전기적 작동수단, (e)상기 전기적 작동수단에 의해서 변속레버 해제수단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의 보지를 해제하여 변속레버의 조작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전기적 작동부재의 고장시에도 이동에 의하여 차량의 견인등에 의한 수동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동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작동수단과 로크부재와의 사이에는 링크가 개재되어, 이 링크가 전기적 작동수단에 의해서 로크부재와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로크부재를 로크위치에 보지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수단은 변속레버에 부착된 디텐트 핀이 차체에 설치되는 디텐트 플레이트의 안내부와 대응하고, 이 안내부는 변속레버의 비구동 위치에서 상기 로크위치에 있는 디텐트 핀을 수용하는 로크홈부가 설치되고, 상기 로크부재에는 상기 로크위치에 있는 디텐트 핀을 수용하는 로크홈부가 설치되고, 상기 로크부재에는 변속레버가 비구동위치에 이르면 디텐트 핀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고, 이 홈부는 로크부재의 로크위치에 있어서 디텐트 핀의 상기의 변속레버 조작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여 변속레버 해제수단을 작동못하게 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의 로크홈부는 디텐트 핀의 상기 로크위치와 변속레버 조작위치와의 사이에 이동방향에 관하여 디텐트 핀을 긴밀하게 수용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로크부재로의 계합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작동수단의 구동원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상태에서 작동되어 링크를 로크부재로 부터 이탈시키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작동수단은 솔레노이드인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해제 수단에는 운전자의 조작력으로 링크를 로크부재로 부터 이탈시키는 사면부가 설치된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해제 수단은 변속레버 부근에 차실내로 돌출되는 밀어 누름용 버튼을 갖춘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작동부재는 차량 점화키가 로크상태로부터 차량의 작동상태로 조작된 경우 및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경우에 디텐트 수단을 해제하여 변속레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차량 점화키가 로크상태로 부터 차량의 작동상태로 조작된 경우 및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경우에 디텐트 수단을 해제하여 변속레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KR2019880018216U 1987-11-05 1988-11-04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KR91000775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69320 1987-11-05
JP1987169320U JPH0513626Y2 (ko) 1987-11-05 1987-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37U KR890010537U (ko) 1989-07-11
KR910007750Y1 true KR910007750Y1 (ko) 1991-10-05

Family

ID=1588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216U KR910007750Y1 (ko) 1987-11-05 1988-11-04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47967A (ko)
EP (1) EP0315173B1 (ko)
JP (1) JPH0513626Y2 (ko)
KR (1) KR910007750Y1 (ko)
AU (1) AU599270B2 (ko)
DE (1) DE3874856T2 (ko)
ES (1) ES203410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528B1 (ko) * 2007-12-18 2009-07-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 변속기의 컨트롤 레버 수동 해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05010B2 (en) * 1988-01-14 1991-01-03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Transmission operating apparatus
JPH0429154Y2 (ko) * 1988-03-04 1992-07-15
US5027929A (en) * 1988-06-13 1991-07-02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olenoid system for, for example, a brake/shift interlock for vehicular transmission control
JPH0813611B2 (ja) * 1988-06-21 1996-02-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コントロールデバイス
JPH0719879Y2 (ja) * 1988-12-27 1995-05-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At車用シフトロック装置
FR2647070B1 (fr) * 1989-05-18 1991-08-23 Bristol Babcock Sa Systeme de blocage d'un organe mobile de commande manuelle dans une position predeterminee
IT1230222B (it) * 1989-05-29 1991-10-18 Alfa Lancia Ind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il comando di un cambio automatico di un autoveicolo.
US5187999A (en) * 1989-08-31 1993-02-23 Nissan Motor Co., Ltd Manually operable park lock releasing mechanism fo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device
JPH0389074A (ja) * 1989-08-31 1991-04-15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SE467472B (sv) * 1989-10-02 1992-07-20 Volvo Ab Vaexelreglage foer fordon med automatvaexellaador
US5009295A (en) * 1989-12-08 1991-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er to operator controlled mechanism interlock
US5027931A (en) * 1990-01-18 1991-07-02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Brake/shift interlock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mechanism
US5058462A (en) * 1990-01-22 1991-10-22 Teleflex Incorporated Parklock cable lock box
US5062509A (en) * 1990-06-04 1991-11-05 Dura Mechanical Components, Inc. Shifter mounted brake-transmission interlock
US5181592A (en) * 1990-06-11 1993-01-26 Sparton Corporation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US5197003A (en) * 1990-08-01 1993-03-23 Atari Games Corporation Gearshift for a vehicle simulator having a solenoid for imposing a resistance force
US5309744A (en) * 1990-08-10 1994-05-10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Locking apparatus for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5211271A (en) * 1991-01-17 1993-05-18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Div. Of Jsj Corp. Lockout mechanism and system for vehicle shifter
US5167308A (en) * 1991-01-17 1992-12-0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Combination brake/park lockout and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US5096033A (en) * 1991-01-17 1992-03-17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Lockout mechanism and system for vehicle shifter
US5265018A (en) * 1991-06-03 1993-11-23 Ford New Holland, Inc. Transmission speed matching control
DE4120380C2 (de) * 1991-06-20 1993-10-28 Porsche Ag Verriegelungsvorrichtung zwischen einem Zündschloß und dem Wählhebel eines automatischen Kraftfahrzeuggetriebes
JPH0518459A (ja) * 1991-07-12 1993-01-26 Tokai Rika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ロツク装置
US5220984A (en) * 1992-04-20 1993-06-2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Div. Of Jsj Corporation) Shift mechanism
JP2583376B2 (ja) * 1992-05-29 1997-02-1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のキーインタロック付パークロック装置
US5275065A (en) * 1992-10-02 1994-01-0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Vehicle transmission shifter with park lock controlled by magnetic latch
US5314049A (en) * 1992-11-24 1994-05-24 Dura Mechanical Components, Inc. Shifter park position brake-transmission interlock
US5431266A (en) * 1992-12-02 1995-07-11 Nissan Motor Co., Ltd. Shift lock system
JP3234016B2 (ja) * 1992-12-17 2001-12-04 津田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ロック装置
US5465818A (en) * 1994-01-07 1995-11-1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Park lock mechanism with means to prevent lockout member from accidentially becoming inoperative
US5722292A (en) * 1994-06-02 1998-03-03 Chrysler Corporatio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489246A (en) * 1994-08-29 1996-02-06 Pontiac Coil, Inc. Electronic park lock
FR2729107B1 (fr) * 1995-01-11 1997-04-04 Systemes Blg Selecteur incorporant un mecanisme de verrouillage a electro-aimant
US5767769A (en) * 1995-07-28 1998-06-16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displaying a shift lever position for an electronically-controlled automatic transmission
US5680307A (en) * 1995-06-28 1997-10-21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shifting in a manual mode of an electronically-controlled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US5991674A (en) * 1996-05-02 1999-11-23 Chrysler Corporation Floor shifter linkage for robotic control of vehicle
JP3488071B2 (ja) * 1997-12-25 2004-01-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US5938562A (en) * 1998-02-17 1999-08-17 Pontiac Coil, Inc. Brake shifter interlock with improved park lock switch
US6913104B2 (en) * 2003-02-26 2005-07-05 Mtd Products Inc Shift interlock mechanism
US20040226801A1 (en) * 2003-05-15 2004-11-18 De Jonge Robert A. Vehicle shifter
US7568404B2 (en) * 2004-07-26 2009-08-04 Ghsp,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er having neutral lock
DE102004042417B3 (de) 2004-09-02 2006-0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Notentsperren eines Automatikgetriebes
US9032830B2 (en) * 2010-10-29 2015-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shift selector assembly
KR101375779B1 (ko) * 2013-03-27 2014-03-18 경창산업주식회사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CN104712753B (zh) * 2015-02-04 2018-04-13 十堰耐博汽车科技有限公司 电动车换挡器总成
US10252697B2 (en) * 2016-04-06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orque in a locked vehicle system
KR102465898B1 (ko) * 2017-12-26 2022-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의 시프트락 구조
EP3938861A4 (en) * 2019-03-15 2022-12-28 Ghsp, Inc. VEHICLE SHIFT LEVER WITH ROCKER CAM WITH NEUTRAL LOCK
JP2022131692A (ja) * 2021-02-26 2022-09-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11808347B2 (en) * 2021-08-31 2023-11-07 Deere & Company Automatic park lock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759A (en) * 1881-07-05 Refrigerating apparatus by means of ammonia and other substances
JPS5345573B2 (ko) * 1972-03-11 1978-12-07
JPS5514902B2 (ko) * 1973-09-17 1980-04-19
US3942614A (en) * 1974-06-24 1976-03-09 Thompson Owen L Gear selector safety lock
JPS5345573A (en) * 1976-10-06 1978-04-24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Display device
US4187935A (en) * 1978-02-28 1980-02-12 Hern Thomas R O Brake operated shift lock
JPS5619451A (en) * 1979-07-27 1981-02-24 Sumitomo Metal Ind Ltd Scanner for ultrasonic flaw detection
JPS5742424A (en) * 1980-08-28 1982-03-10 Nec Home Electronics Ltd Transport apparatus for axial lead-out lead parts
EP0055022A3 (en) * 1980-12-22 1982-08-11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JPH0137934Y2 (ko) * 1981-03-10 1989-11-15
JPS57148222A (en) * 1981-03-10 1982-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US4520640A (en) * 1981-08-28 1985-06-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sition control mechanism for a vehicle ignition lock
US4474085A (en) * 1982-09-13 1984-10-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floor shifter control with a park/lock mechanism
DE3310891A1 (de) * 1983-03-25 1984-09-27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 Neue indolinon-(2)-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zwischenprodukte
JPS59176253U (ja) * 1983-05-13 1984-11-26 スズ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ロツク装置
US4572340A (en) * 1983-05-20 1986-02-25 Pierce Kenneth E Safety lock vehicle transmission
JPS6020447A (ja) * 1983-07-14 1985-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ランプ
JPS6020448A (ja) * 1983-07-15 1985-02-01 Toshiba Corp 曲形けい光ランプ
JPS6023427A (ja) * 1983-07-18 1985-02-06 Toyo Rubber Chem Ind Co Ltd 弾性発泡体の製造方法
CA1203756A (en) * 1983-08-03 1986-04-29 George B. Murphy Transmission park lock mechanism
JPS60159453A (ja) * 1984-01-31 1985-08-20 Fuji Heavy Ind Ltd 無段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S60135352A (ja) * 1984-03-27 1985-07-18 Isuzu Motors Ltd 変速レバーと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AU572514B2 (en) * 1984-06-18 1988-05-12 Isuzu Motors Ltd. Ignition and shift lever lock
JPS61143825A (ja) * 1984-12-18 1986-07-01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ロツク装置
JPS6220343A (ja) * 1985-07-19 1987-01-28 Hitachi Ltd ウエハ位置決め装置
US4660443A (en) * 1986-01-31 1987-04-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elector lever assembly
DE3621247A1 (de) * 1986-06-25 1988-03-10 Audi Ag Vor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US4724722A (en) * 1987-02-24 1988-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Gearshift and ignition interlock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528B1 (ko) * 2007-12-18 2009-07-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 변속기의 컨트롤 레버 수동 해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34109T3 (es) 1993-04-01
US4947967A (en) 1990-08-14
DE3874856D1 (de) 1992-10-29
AU599270B2 (en) 1990-07-12
DE3874856T2 (de) 1993-05-19
JPH0173417U (ko) 1989-05-17
EP0315173A1 (en) 1989-05-10
JPH0513626Y2 (ko) 1993-04-12
KR890010537U (ko) 1989-07-11
AU2466188A (en) 1989-05-11
EP0315173B1 (en) 199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750Y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KR920005490Y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JPH0137934Y2 (ko)
US5018610A (en) Service brake and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KR910007749Y1 (ko)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US5036962A (en) Shift lock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920000329Y1 (ko)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US4482885A (en) Alarm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H0429154Y2 (ko)
US5129494A (en) Service brake and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US5167308A (en) Combination brake/park lockout and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US4930609A (en) Gearshift lever interlock
US5251723A (en) Service brake and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EP0429193A3 (en) Improved solenoid system for, for example, a brake/shift interlock for vehicular transmission control
JP3103291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US5862899A (en) Brake-shift interlock
US5379871A (en) Shift lever apparatus
JPS6346288Y2 (ko)
JPH0452133Y2 (ko)
JPH0425407Y2 (ko)
KR960007063B1 (ko)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JPH0524858Y2 (ko)
JPH04274931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解除装置
JPH0519228Y2 (ko)
JPH01115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