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490Y1 -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490Y1
KR920005490Y1 KR2019890000333U KR890000333U KR920005490Y1 KR 920005490 Y1 KR920005490 Y1 KR 920005490Y1 KR 2019890000333 U KR2019890000333 U KR 2019890000333U KR 890000333 U KR890000333 U KR 890000333U KR 920005490 Y1 KR920005490 Y1 KR 920005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detent pin
automatic transmission
movable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0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197U (ko
Inventor
쇼조 기또
쇼이찌 하라다
하지메 이마이
히사또시 오오다
다다오 무라마쓰
마사미쓰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뎅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뎅끼 세이사꾸쇼, 무라세 하루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 리까 뎅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6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60R25/0214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interlocked with gear box or gear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04Shift element interlock
    • Y10T74/2011Shift element interlock with detent, recess, notch, or gro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238Interlo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일부 절단측면도.
제3도는 가동체와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로크 위치를 나타내는 가동체와 디텐트 플레이트(detent plate)의 측면도.
제5도는 로크 해제 위치를 나타내는 가동체와 디텐트 플레이트의 측면도.
제6도는 로크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 스위치의 정면도.
제7도는 로크 해제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 스위치의 정면도.
제8도는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스테어링 로크 장치의 단면도.
제9도는 ACG상태를 나타내는 스테어링 로크 장치의 단면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로크 위치를 나타내는 제4도에 상당하는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작동 상태인 로크 해제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2도는 제3실시예의 제2도에 상당하는 측면도.
재l3도는 제3실시예의 로크 해제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4도는 제3실시예의 검출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5도는 제3실시예의 로크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작동 상태도.
제17도는 제4실시예의 검출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8도는 제5실시예의 제12도에 상당한 측면도.
제19도는 제5실시예의 제12도에 검출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프트 레버 4 : 디텐트 플레이트
5 : 걸어맞춤구멍 6 : 디텐트 핀
7 : 로크 오목부 8 : 누름 버턴
9 : 호울더 16 : 가동체
22 : 제1솔레노이드 27 : 토오션 코일 스프링
29 : 스테어링 로크 장치 32 : 제2솔레노이드
본 고안은 차량의 자동 변속기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용 시프트 레버를 파아킹 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 위치로 이동 조작한 경우에 승차자가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으면 시프트 레버가 이동할 수 없도록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USP-4671085,일본 공개 실 57-42424, 일본 공개 실 59-176253).
이것들은 시프트 레버가 파아킹 위치로 이동하면 시프트 레버에 설치된 디텐트핀의 동작을 로크 수단이 저지하고, 예를 들면 브레이크가 밟아지면 로크 수단이 디텐트 핀의 통로를 해방하여 시프트 조작을 가능케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장치에서는 시프트 레버가 파아킹 이외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도 로크 수단이 디텐트 핀의 파이킹위치에 대한 통로를 막고 있으므로 시프트 레버를 파아킹에 이동할 경우에는 이 로크 수단을 해방하여 디텐트핀의 통로를 확보하는 조작이 필요케 된다. 또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텐트 핀이 파아킹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검출하여 로크 수단을 구동할 필요가 있으며,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또 이들의 장치로는 파아킹 위치내의 디텐트 핀의 동작을 직접 리미트 스위치로 검출하므로 디텐트 핀의 부착 공차 등으로 인체 검출이 불확실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디텐트 핀의 동작을 정확히 검출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디텐트 핀의 이동을 확실히 제한하며, 또한 파아킹 위치에 대한 시프트 레버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변속 조작 장치를 얻는데 있다.
본 고안에서는 시프트 레버가 파아킹 위치 등의 특정 위치에 이동하면 시프트 레버에 부착된 디텐트 핀이 가동체와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 가동체는 디텐트 핀과 함께 특징 위치내에서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한다. 시프트 레버는 디텐트 핀을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복귀시키지 않으면 다른 시프트 위치로 이동할수 없으나 제1위치에 있는 가동체에는 로크 수단이 걸어 맞추어지고 가동체를 통하여 디텐트 핀을 구속한다. 때문에 승차자는 브레이크를 밟는 등의 조작에 의해서 로크 수단을 해제하고 가동체의 이동을 가능케 하지 않으면 안된다. 가동체가 제1위치에 있을 때 검출 수단은 이것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브레이크를 밟으므로써 확실하게 로크 수단의 이동을 가능게 한다.
시프트 레버가 특정 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 위치로 이동한 후에 재차 특정 위치로 복귀될 경우에는 가동체가 디텐트 핀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함이 없이 시프트 레버를 특정을 조작 위치로 시프트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제1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서 시프트 레버(1)는 기틀(2)에 설치된 축(3)을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A 방향 및 반화살표 A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표시하지 않은 변속기의 유압 회로 제어용으로 되어 있다. 기틀(2)로 부터 입설된 디텐트 플레이트(4)에는 시프트 레버(1)의 요동 방향에 따라서 요철 형상의 걸어맞춤구멍(5)이 형성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1)를 주차 상태의「P」, 후퇴 상태의「R」, 변속기가 뉴우트럴의「N」,자동 변속 상태인「D」, 변속기가 세컨드 기어「2」및 변속기가 저기어「L」의 각 위치로 시프트할 우에 디텐트 핀(6)과의 협 작용으로 시프트 레버(1)의 요동 범위를 제하도록 하고 있다.
걸어맞춤구멍(5) 중 차량 구동하는 일이 없는 특정의 비구동 위치인「P」위치에 대응는 부위에는 걸어맞춤구멍(5)이 부분적으로 깊게된 로크 오목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텐트 핀(6)은 시프트 레버(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또함 시프트 레버(1)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노브(1A)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디텐트 핀(6)은 시프트 레버(1)의 노브(1A)에 설치된 누름 버튼(8)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하방으로 이동되어서 걸어맞춤구멍(5)에서의 각 위치의 걸어맞춤편의 걸어맞춤이 풀리고, 누름 버턴(8)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상방으로 이동하여 걸어맞춤구멍(5)에서 1개의 걸어맞춤면에 걸어맞춤으로써 디텐트 플레이트(4)와 협동하여 시프트 레버(1)의 요동 조작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디텐트 플레이트(4)의 측면에는 호울더(9)가 부착고정되어 있다. 이것에는 디텐트 플레이트(4) 측의 측면및 하면에 개구된 수납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이 수납부(10)의 우측 하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있다. 수납부(10)의 내면에는 프린트 기판(12)이 끼워 맞추어 고정되어 있다. 이 프린트 기판(12)에는 상기개구부(11)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절제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프린트 기판(12)의 디텐트 플레이트(4)측의 측면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고정 접점(13A,13B,13C)이 설치되고, 그들에 각각 연결되는 리이드선(14)은 수납부(10)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15)으로 부터 외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가동체(16)가 수납부(10)에 수납되어서 프린트 기판(12) 및 디텐트 플레이트(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서 가동체(16)가 프린트 기판(12)과 디텐트 플레이트(14)와의 사이에서 상기 축(3)과 로크 오목부(7)를 있는 선에 따라서 미끄러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체(16)에는 디텐트 플레이트(4)측의 측면의 상부에 제1도에서 우측이 개구되어 걸어맞춤구멍(5)으로 면하는 걸어맞춤홈(17)이 설치되어 있다(제3도 참조). 이 걸어맞춤홈(17)은 디텐트 핀(6)을 긴밀하게 수용하지만 입구부는 점차로 확대되어 벌어져서 디텐트 삽입시의 안내용으로 되어 있다. 또 가동체(16)는 프린트 기판(12)측의 측면의 하부 우측부에 걸어맞춤 계단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체(16)는 시프트 레버(1)가「P」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어맞춤홈(17)이 디텐트 핀(6)을 받아들여서 디텐트 핀과 함께 제4도에 표시함 상방의 로크 위치(제1위치)와 제5도에 표시한 하방의 로크 해제 위치(체2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 위치에서는 디텐트 핀(6)이 로크 오목부(7)로 들어가서 시프트레버(1)의 시프트 조작을 저지하고, 로크 해제 위치에서는 디텐트 핀(6)이 로크 오목부(7)로 부터 빠져나가 시프트 동작을 가능케한다. 그리하여 이 가동체(16)의 프린트 기판(12)측의 측면에는 이 가동체(16)의 이동에 의거하여 상기 고정 접점(13A,13B,13C)과 접했다 떨어지는 2개의 가동 접점(19A,19B)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 접점(13A,13B,13C)과 가동 접점(19A,19B)에 의해 검출 스위치(20)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검출 스위치(20)는 이그니션키이에 의해서 작동되는 이그니션 온회로의 ON 스위치 SW1 및 이그니션악세사리 회로(ACC 회로)의 ACC 스위치 SW3(제6도)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체(16)가 상방의 로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가동 접점(19A)이 고정 접점(13B,13C)에 접촉하고, 또 가동체(16)가 하방의 로크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타방의 가동 접점(19B)이 고정 접점(13A,13C)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의 상기 호울터(더)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판(21)의 디텐트 플레이트(4)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판(21)에는 제1솔노이드(22)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22)의 액튜에이터(22A)에는 핀(26)을 통하여 링크(2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23)의 중간부에는 통부(24)가 고착되고 핀(25)을 통하여 지지판(2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링크(23)의 타단부(23A)가 호울더(9)의 개구부(11)에 삽통되어서 가동체(16)의 걸어맞춤계단부(18)에 계탈 가능케되어있다. 따라서 이 링크(23)는 가동체(16)를 로크 위치로 유지하는 로크 수단의 주요부를 구성하고 있다. 링크(23)는 통부(24)에 감겨 장치된 토오션 코일 스프링(27)에 의해서 가동체(16)와 걸어맞추는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제1솔레노이드(22)가 오프 상태일때에는 토오션 코일 스프링(27)의 가세력으로 링크(23)는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 가세되고, 제1솔레노이드(22)가 온 상태로 되면 액튜에이터(22A)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흡인되어서 링크(23)가 토오션 코일 스프링(27)의 가세력에 버티면서 반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가동체(16)로 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22)는 일단이 고정 접점(13B)에, 타단이 브레이크 스위치(SW2), 엔진 통전 상태에서 작동되는 ON 스위치(SW1)및 차량 바테리(BT)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ON 스위치(SW1)의 이동 접점(48)은 이그니션 키이의 조작과 연동하고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SW2)는 브레이크 페달(BK)이 밟아지면 ON으로 된다.
고정 접점(13C)은 접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솔레노이드(22)는 제6도의 로크 위치에서 이그니션 ON 스위치(SW1)가 ON이며, 브레이크 페탈(BK)이 밟아지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8도에서 스테어링 로크 장치(29)에 있어서의 하우징(28)내에는 로우터(30)가 축받이 되고, 도시하지 않은 엔진 키이에 의해 회동 조작되는 키이 로우터와 일체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로우터(30)의 외주부에는 볼록부(31)가 돌설되어서 하우징(28)에 부착고정된 제2솔레노이드(32)의 액튜에이터(32A)와 대응하고있다. 액튜에이터(32A)는 압축 코일 스프링(33)에 의해서 볼록부(3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제8도는 로우터(30)가 로크위치에 위치되어서 스테어링 로크 장치(29)가 로크 상태로된 상태가 표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볼록부(31)가 제2솔레노이드(32)의 액튜에이터(32A)와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키이에 의해 로우터(30)가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작동 위치, 예컨대 제9도에 표시되는「ACC」위치로 위치되면 볼록부(31)는 액튜에이터(32A)로 부터 벗어난 위치로 위치된다. 여기서는 제6도의 ACC 스위치(SW3)가 온으로 된다. 또 키이에 의해 로우터(30)가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되면 엔진이 작동상태로 되어 ON 스위치(SW1)가 온으로 된다.
한편, 제2솔레노이드(32)는 오프 상태일때에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액튜에이트(32A)가 압축 코일 스프링(33)의 가세력으로 화살표(D)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볼록부(31)의 회동 궤적 밖으로 위치되고, 반대로 온 상태로 되면 액튜에이터(32A)가 압축 코일 스프링(330에 비키면서 반화살표(D) 방향으로 돌출하여,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31)의 회동 궤적내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이 제2솔레노이드(32)는 일단이 검출 스위치(20)의 고정 접점(13A)에, 타단이 ACC 스위치(SW3) 및 차량 바테리(BT)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7도의 로크 해제 위치에서는 ACC스위치(SW3)가 온으로 되면 제2솔레노이드(32)가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지금 시프트 레버(1)가「P」부위에 위치되고 또한 로우터(30)가 로크위치에서 스테어링 로크 장치(29)가 로크 상태로된 상태에서는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 핀(6)이 디텐트 플레이트(4)의 걸어맞춤구멍(5)에 있어서의 로크 오목부(7)에 걸어 맞추어져 있는 동시에 가동체(16)의 걸어맞춤홈(17)이 그의 디텐트 핀(6)에 걸어맞추어서 이 가동체(16)는 상방의 로크 위치로 위치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이그니션 ACC 회로는 오프 상태에서 스위치(SW1),(SW3)는 모두 오프이며, 제1 및 제2솔레노이드(22) 및 (32)는 각각 오프 상태이다. 이중 제1솔레노이드(22)가 오프 상태임으로써 링크(23)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고, 그 링크(23)의 선단부(23A)가 제4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도록 가동체(16)의 걸어맞춤계단부(18)에 걸어맞추어서 가동체(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다.
또 제2솔레노이드(32)가 오프 상태임으로써 액튜에이터(32A)는 압축 코일 스프링(33)의 가세력에 의해 볼록부(31)의 회동 궤적 밖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로우터(30)의 화살표(E) 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로우터(30)가 로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키이의 뽑고 끼움이 허용되어 있는 동시에 로우터(30)는 로크 위치와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회동이 허용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키이에 의해 로우터(30)를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하여 작동 위치로 위치하면 볼록부(31)가 제2솔레노이드(32)의 액튜에이터(32A)와 대향한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스테어링 로크 장치(29)가 로크해제 상태로 되고, 또 ACC 스위치(SW3)가 온으로 되어 ACC 회로가 작동 상태로 된다. 또 키이가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되어 ON 위치로 되어서 엔진이 시동되어 ON 스위치(SW1)가 온으로 된다. 그리하여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BK)을 밟으면 이 브레이크 페달(BK)에 연동하는 스위치(SW2)가 온으로 되어 검출 스위치(20)에 있어서의 고정 접점(13B,13C) 및 가동 접점(19A)(제6도 참조)를 통하여 제1솔레노이드(22)가 차량바테리(BT)와 접속되어서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2)의 액튜에이트(22A)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흡인된다. 이것에 따라 링크(23)가 반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하여 선단부(23A)가 제4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체(16)의 걸어맞춤계단부(18)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1)에 있어서의 누름 버턴(8)을 누름 조작하면 디텐트 핀(6)이 이것과 걸어맞춘상태의 가동체(16)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동체(16)가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로크 해제 위치로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1)를 화살표(A)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디텐트 핀(6)이 걸어맞춤홈(17)으로부터 뽑아져서 이 시프트레버(1)를「P」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시프트할 수가 있다.
가동체(16)가 로크 해제 위치로 위치되면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검출 스위치(20)에서의 가동 접점(19B)이 고정 접점(13A,13C)에 접촉한 상태로 됨으로써 제2솔레노이드(32)가 온 상태로 되는 한편, 가동 접점(19A)는 고정 접점(13B)으로 부터 떨어짐으로써 제1솔레노이드(22)는 오프 상태로 된다. 이중 제2솔레노이드(32)가 온 상태로 되면 이것이 액튜에이터(32A)가 압축 코일 스프링(33)에 버티면서 반화살표(D) 방향으로 돌출하여 볼록부(31)의 회동 궤적내로 위치되고, 볼록부(31)의 반화살표 E 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됨으로써 로우터(30)의 로크 위치로의 회동이 저지되어서 스테어링 로크 장치(29)를 로크 상태 할 수가 없게 된다.
한편 제1솔레노이드(22)가 오프 상태로 되면 링크(23)가 토오션 코일 스프링(27)의 가세력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고, 선단부(23A)가 가동체(16)의 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BK)을 밟더라도 또 밟은 것을 해제하더라도 제1솔레노이드(22)는 오프 상태인 채로 링크(23)의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시프트 레버(1)를「P」위치 이외의 위치로 부터 누름 버턴(8)을 누름 조작하면서「P」위치로 시프트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P」위치에서는 가동체(16)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으므로 시프트 레버의 시프트 동작에 의해서 디텐트 핀(6)은 가동체(16)의 걸어맞춤홈(17) 내로 들어간다. 이와같이 시프트 레버(1)가「P」이외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 가동체(16)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으므로, 시프트 레버(1)가「P」위치로 도달하면 디텐트 핀(6)이 즉시 가동체(16)와 결합할 수가 있다. 링크(23)의 선단부(23A)가 로크 오목부(7) 내에서 디텐트 핀(6)과 직접 걸어맞추므로써 디텐트 핀(6)의 동작을 제어한 경우에는, 시프트 레버(1)가「P」이외의 위치에 있으면 링크 선단부(23A)가 로크 오목부(7) 내로 들어가서 디텐트 핀(6)이「P」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므로, 시프트 레버(1)를「P」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솔레노이드(22)를 작동시켜서 링크 선단부(23A)를 로크 오목부(7)로 부터 뽑아내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시프트 레버(1)가「P」위치로 이동한 후에 누름 버턴(8)의 누름을 해제하면 디텐트 핀(6)이 가동체(16)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여 로크 오목부(7)에 걸어맞추어지는 동시에 가동체(16)가 로크 위치로 위치된다. 이와같이 가동체(16)가 로크 위치로 위치되면 화살표 B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링크(23)의 선단부(23A)가 가동체(16)의 걸어맞춤계단부(18)에 걸어맞추어져서 이 가동체(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제4도 참조). 또 검출 스위치(20)에서의 가동 접점(19B)이 고정접점(13A)으로부터 떨어지고(제6도 참조), 이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32)가 오프 상태로 되고, 액튜에이터(32A)가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하여 볼록부(31)의 회동 궤적 밖으로 위치된다. 이 상태로 되면 볼록부 (31)의 반화살표 E 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키이에 의해 로우터(30)를 반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하여 로크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로우터(30)를 로크 위치로 회동하면 볼록부(31)가 제2솔레노이드(32)의 액튜에이터(32A)와 대향한 제8도의 상태로 되고, 또 스테어링 로크 장치(29)가 로크 상태로 되는 동시에 키이의 뽑고 끼움이 허용되고 엔진에 대향 통전이 차단되고, ACC 회로가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시프트 레버(1)의 누름 버턴(8)을 누름 조작하려고 하더라도 가동체(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링크(23)에 의해서 저지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디텐트 핀(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1)를「P」위치로 부터 다른 위치로 시프트할 수는 없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하면 시프트 레버(1)가「P」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디텐트 핀(6)과 걸어맞춤 상태로 되어서 이 디텐트 핀(6)의 이동에 연동하는 가동체(16)의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검출 스위치(20)를 설치하였으므로. 디텐트 핀(6)이 디텐트 플레이트(4)의 로크 오목부(7)에 걸어맞춘 것을 그 검출 스위치(20)에 의해 검출할 수 가 있고, 시프트 레버의 요동 위치를 검출하는 것에 비하여 시프트 레버(1)가 특정의 비구동 위치인「P」위치로 위치된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호울더(35)의 양측부가 디텐트 플레이트(4)에 고착되어 있다. 이 호울더(35)와 디텐트 플레이트(4)와의 사이에 가동체(34)가 배치되어서 로크 위치(제10도)와 로크 해제 위치(제11도)와의 사이에서 미끄러지도록 되어있다. 가동체(34)에는 앞쪽의 측면(디텐트 플레이트(4)와 반대측의 면)의 상부에 볼록부(37)가 설치되어서 부분적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이 볼록부(37)에는 리미트 스위치(38)가 대응하여 호울더(35)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38)로부터 돌출한 조작자(38A)에 대향하여 탄성을 가진 누름 아암(39)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 스위치(38)는 도시하지 않은 리이드선을 통하여 스테어링 로크 장치측의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솔레노이드(32)에 접속되어 있다. 로크 레버(40)가 핀(41)을 통하여 디텐트 플레이(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레버(40)는 가동체(34)의 걸어맞춤 계단부(42)에 계탈하는 걸어맞춤 아암부(43)를 갖고 있다. 이 로크 래버(40)로부터 돌출한 연결 아암부(44)가 와이어(45)를 통하여 솔레노이드(22)의 액튜에이터(22A)에 연결되어있으며, 핀(41)에 감겨 장치된 도시하지 않은 토오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F)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솔레노이드(22)가 통전되면 반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있다.
제10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22)의 작동 회로에 뉴우트럴 스위치(54)가 부가되어서 시프트 레버의 파아킹 위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솔레노이드(22)는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앤드소자(52)의 일단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앤드 소자(52)의 타단의 한쪽 단자(52A)는 브레이크 스위치(SW2) 엔진 통전 상태에서 작동되는 ON 스위치(SW1) 및 차량 바테리(B,T)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앤드 소자(52)의 타단의 타방의 단자(52B)는 상기 뉴우트렬 스위치(54)의「P」접점(54A)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뉴우트럴 스위치(54)에는 이동 접점(56)이 시프트 레버(1)의「P」로부터「L」의 사이의 조작시에, 이에 대응하여「P」접점 (54A),「R」접점 (54B),「N」접점 (54C),「D」접점 (54D),「2」(54E),「L」접점 (54F) 에로 접촉도록 되어 있다. 또 이동 접점(56)은 이그니션 악세사리 회로의 ACC스위치(SW3)에로 접속되고. 엔진 키이조작시에 차량 바테리(BT)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52B)는 시프트 레버(1)가 파아킹 위치에 있는 상태, 즉 엔진 출력이 차량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만 차량 전원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앤드 소자(52)는 이것에 가해져서 브레이크 페달(BK)이 밟아져서 스위치(SW2)가 온으로 되고, 또 엔진이 작동 상태인 스위치(SW1)의 온 상태에서 솔레노이드(22)에 통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엔진에의 통전 회로는 표시되어있지 않다. 또한 뉴우트럴 스위치(54)는 시프트 레버(1)의 조작 위치에 따라, 위치 표시 램프「LP」,「LR」,「LN」.「LD」,「L2」,「LL」을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시프트 레버(1)가「P」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가동체(34)는 하방의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동시에, 로크 레버(40)의 걸어맞춤 아암부(43)의 선단이 가동체(34)의 좌측연에 맞닿아 있다(제11도 참조). 이 상태에서는 가동체(34)의 볼록부(37)가 누름편(39)을 통하여 검출스위치(3B)의 조작자(38A)를 누름으로써 이 검출 스위치(38)가 온 상태로 되어 있고, 이에 의거하여 스테어링 로크 장치측의 솔레노이드(32)가 온 상태로 되고, 스테이어링 로크 장치는 로크 해제 상태로 부터 로크 상태로 되는 것이 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누름 저면(8)을 누른채로 시프트 레버(1)를「P」위치에 시프트하면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디텐트 핀(6)이 가동체(34)의 걸어맞춤홈(17)에 걸어 맞춘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턴(8)의 누름을 해제하면 디텐트 핀(60이 가동체(34)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로크 오목부(7)에 걸어 맞추는 동시에 가동체(34)가 상방의 로크 위치로 위치된다. 그러면 가동체(34)의 볼록부(37)에 의한 누름편(39)의 누름이 해제됨으로써 검출 스위치(38)가 오프 상태로 되고, 이에 의거하여 스테어링 로크장치측의 솔레노이드(32)가 오프 상태로 되어서 스테어링 로크 장치는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하는것이 허용된다. 한편 로크 레버(40)의 걸어맞춤 아암부(43)가 가동체(34)의 걸어맞춤 계단부(42)에 걸어맞추어서 가동체(34)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엔진이 작동되어 있으며(스위치(SW1)가 온), 또한 브레이크 페달(BT)을 밝으면 스위치(SW2)가 온으로 되므로 로크 레버(40)가 반화살표(F) 방향으로 회동되고, 가동체(34)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와같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시프트 레버(1)가「P」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디텐트 핀(6)이 로크 오목부(7)에 걸어맞춘 것을 검출스위치(38)에 의해 검출할 수 있으므로 시프트 레버(1)가「P」위치에 위치된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 스위치로서는 가동체의 이동에 의거하여 작동되는 것이면, 조작자를 가진 일반적인 슬라이드 스위치, 혹은 근접 스위치 등이라도 무방하다. 다음에 제12 내지 제16도에 의해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특히 스위치 부분이 변경되어서 제작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제6도의 로크 위치로부터 제7도의 로크해제 위치로의 스위치 절환 타이밍이, 디텐트 핀(6)이 로크 오목부(7)의 깊이 방향 중앙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절환 타이밍이 로크 오목부(7)의 홈바닥으로 다가서 시프트된 경우를 생각하면 승차자가 승차한 후에 제6도에서 브레이크 페달(BK)을 밟고 솔레노이드(22)가 온으로 되어 가동체가 이동 가능케 되나, 가동체(16)가 약간 내려가면 제7도의 상태로 되고, 솔레노이드(22)가 오프로 된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링크(23)의 선단부(23A)가 토오션코일스프링(27)의 가세력으로 가동체(16) 방향으로 눌려지더라도 걸어맞춤계단부(18)와 걸어 맞추는 상태로되지 않도록 가동체(16)는 충분히 내려가 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가동체(16)의 이동 스트로우크, 즉「P」위치에 있어서의 디텐트 핀(6)의 상하동 스트로우크는 짧으므로, 검출스위치(20)에 있어서의 고정 접점과 이동접점의 제작, 부착 치수, 가동체(16)와 링크(23)의 제작, 부착 치수의 공차를 엄밀하게 하지 않으면 상기 소망의 작동이 정호가히 유지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검출 스위치(20)의 절환 타이밍이 걸어맞춤 홈(17)의 입구로 다가서(제6,7도 하방향) 어긋났을 경우에는 차량을 정지하여 차에서 내리려고 하여, 승차자가 시프트 레버를「P」위치로 이동하고 나서 엔진 키이를 로크 위치로 돌리므로 제7도의 상태로부터 제6도의 상태로 된다. 그러나 가동체(16)가 확실하게 로크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솔레노이드(32)가 오프로 되고, 이그니션 키이가 로크 위치로 회전 가능케 된다. 이 때문에 가동체(16) 및 디텐트 핀(6)이 로크 해제 위치인 채로 된다.
이와같이 검출 스위치(20)의 절환 타이밍, 즉 제6도와 제7도의 절환시기는 디텐트 핀(6)의 짧은 상하 스트로우크의 중간점에서 정확히 행하지 않으면 안되나, 이하의 제3실시예는 이것을 해결하고 있다. 제12,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체(316)는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한쌍의 장공(310)에 디텐트플레이트(4)로 돌출된 핀(311)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실시예에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케 안내되고있다. 이 가동체(316)의 하부 편측에는 절제부(313)가 형성되고 로크용 링크(323)와 대응하고 있다. 이 링크(323)는 중앙부가 핀(325)에 의해서 디텐트 플레이트(4)에 축받이 되고, 일단은 제1솔레노이드(22)의 액튜에이터(22A)에 연결되는 동시에 압축 코일 스프링(327)에 의해 다른 일단이 가동체(316)의 절제부(313)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로크용 링크(323)와 가동체(316)는 접촉시의 마찰을 고려하여 한편을 합성 수지, 다른 한편을 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체(316)의 하부 다른쪽은 아암(314)이 돌출되고,슬라이드 스위치(320)의 슬라이더(320A)와 걸어맞추어서 가동체의 동작을 슬라이더에 전달하도륵 되어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320)의 접점 구조는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통 고정 접점(313C)의 양측에 제1고정접점(313A), 제2공정 접점(313B)이 서로 평행으로, 또한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 제12도의 슬라이더(320A)에 연결된 제1가동 접점(319A), 제2가동 접점(319B)이 각각 공통 고정 접점(313C)과 제1고정접점(313B)의 사이 및 공통 고정 접점(313C)과 제2고정 접점(313A), 제1고정 접점(313B)은 제1실시예(제6도)의 고정 접점(13C,13A,13B)에 대응하여 동일한 배선 구조로 되어있다.
제1가동 접점(319A), 제2가동 접점(319B)은 가동체(316)가 로크 위치에 있으면 제14도의 실선 상태로 되어서 제1가동 접점(319A)이 공통 고정 접점(313C)과 제1과정 접점(313B)를 온으로 하고, 가동체(31B)가 로크해제 위치로 되면 제14도의 상상선 상태로 되고 제2가동 접점(319B)이 공통 고정 접점(313C)과 제2고정 접점(313A)을 ON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제12,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체(316) 좌측부의 상하에 형성된 안내홈(310)에 디텐트 플레이트(14)에 설치된 핀(311)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축(3)과 로크오목부(7)를 잇는 선에 따라 이동 가능케 되어 있다. 또 이 가동체(316)는 좌측 하부에 절제부(313)가 형성되고 또 하부에 우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31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 공통 고정 접점(313C) 및 제1고정 접점(313B)과 이것들에 접하고 떨어지는 제1가동 접점(319A)에 의해 제1솔레노이드(22)를 제어하기 위한 제1스위치부(300A)를 구성하고, 또 공통 고정 접점(313C) 및 제2고정 접점(313A)과 이것들에 접하고 떨어지는 제2가동 접점(319B)에 의해 제2솔레노이드(32)를 제어하기 위한 제2스위치부(300B)를 구성하고 있다. 이중 제1스위치부(300A)는 로크 위치에 위치된 가동체(316)가 디텐트 핀(6)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 절제부(313)가 링크(323)의 선단에 맞닿는 위치(제15도 참조)보다도 하방, 즉 가동체(316)가 링크(323)에 의해서 구속되는 일이없는 위치로 절환점(337)이 설정되고, 제1가동 접점(319A)이 이 절환점(357)보다도 상방측의 영역(D)에 위치하였을시에 작동 상태로 되고, 절환점(357)보다도 하방측으로 위치하였을 시에 비작동 상태로 된다. 또 제2스위치부(300B)는 가동체(316)의 절제부(313)가 링크(323)의 선단에 맞닿는 위치보다도 상방, 즉 디텐트 핀(6이 로크 오목부(7)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 가동체(316)가 링크(323)에 의해서 구속될 수 있는 위치로 절환점(358)이 설정되고, 제2가동 접점(391B)이 절환점(358)보다도 하방측의 영역(E)에 위치하였을시에 작동상태로되고, 절환점(358)보다도 상방측에 위치하였을시에 비작동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1스위치부(300A)의 절환점(357)과 제2스위치부(300B)의 절환점 (357)과는 위치가 상하로 어긋나 있고, 또한 제1스위치부(300A)의 작동상태의 영역(D)과 제2스위치부(300B)의 작동 상태의 영역(E)과는 양절호나점(357,358)간의 영역(F)에서 서로 오우버랩 되어 있다.
다음에 제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지금 시프트 레버(1)가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P」위치에 위치되고, 또한 스테어링 로크 장치의 로우터(31)(제8도 참조)가 로크 위치로 된 상태에서는 디텐트 핀(6)이 디텐트플레이트(4)의 걸어맞춤구멍(5)에 있어서의 로크 오목부(7)에 걸어 맞추어져 있는 동시에, 가동체(316)의 걸어맞춤 홈(17)이 그의 디텐트핀(6)에 걸어맞추어서 이 가동체(316)는 상방의 로크 위치로 위치되어 있다. 이상태에서는 이그니션 ACC 회로는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SW1 및 SW3은 모두 오프이며 제1및 제2의 솔레노이드(22) 및 (32)는 각각 오프상태이다. 이중, 제1솔레노이드(22)가 오프 상태임으로써 링크(323)가 화살표(B)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이 링크(323)의 선단이 제12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체(316)의 절제부(313)내로 침입되어 있다. 또 제2솔레노이드(32)가 오프 상태이므로써 이들의 액튜에이터(32A)는 제8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33)의 가세력으로 볼록부(31)의 회동 궤적 밖으로 위치되어 있고, 로우터(30)의 화살표(E) 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시프트 레버(1)의 누름 버른(8)을 누름조작하더라도 가동체(3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링크(323)에 의해서 구속되게 되어 시프트 레버(1)는「P」위치에 로크되어 있고, 한편 로우터(30)가 로크 위치로 위치된 상태에서 키이의 뽑고 끼우는 것이 허용되어 있는 동시에 로우터(30)는 로크 위치와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회동이 허용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키이에 의해 로우터(30)를 제8도의 화살표(E) 방향으로 회동하여 작동 위치로 위치시키면 볼록부(31)가 제2솔레노이드(32)의 액튜에이터(32A)와 대향한 위치로 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스테어링 로크 장치(29)가 로크 해제 상태로 되고, 또 스위치(SW3)가 온으로 되고 ACC 회로가 작동 상태로 되는 동시에 또 키이가 돌려져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고 엔진이 시동되는 동시에 스위치(SW1)가 온으로 된다. 그리하여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BK)을 밟으면 이 브레이크 페달(BK)에 연통하는 스위치(SW2)가 온으로 되고, 제1스위치부(300A)를 통하여 제1솔레노이드(22)가 온 상태로 되고, 이것들의 액튜에이터(22A)가 화살표(C)방향으로 흡인된다. 이에 따라 링크(323)가 반화살표(B)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2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선단이 가동체(316)의 절제부(313)로 부터 퇴각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1)에 있어서의 누름 버턴(8)을 누름 조작하면 디텐트 핀(6)이 이것과 걸어맞춘상태의 가동체(316)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동체(316)가 제13도에 표시한 로크 해제 위치로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1)를 화살표(A)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이 시프트 레버(1)는「P」위치로부터 다른위치로 시프트할 수가 있다. 여기서 가동체(316)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320)에 있어서의 슬라이더(320A)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제1 및 제2의 가동접점(319A,319B)도 제14도의 실선 상태로 부터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하여 제2가동 접점(319B)이 제16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절환점(358)에 이르면 제2스위치부(300B)가 비작동 상태로 부터 작동 상태로 절환되고, 이에 따라 제9도에 표시되는 스테어링로크 장치(29) 측의 제2솔레노이드(32)가 온 상태로 되고, 이것들의 액튜에이터(32A)가 반화살(D)방향으로 돌출하여 볼록부(31)의 반화살표(E) 방향으로의 회동이 액튜에이터(33A)에 의해 저지 되기 때문에 로우터(30)의 로크 위치로의 회동이 저지되어 스테어링 로크 장치(29)를 로크 상태로 할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또 가동체(316)가 하방으로 이동되어서 제1가동 접점(319A) 이 제16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절환점(357)에 이르고, 이 절환점(357)을 하방으로 넘으면 제1솔레노이드(22)가 오프 상태로 된다. 그리면 브레이크페달의 상태에 관계없이 링크(323)가 압축 코일 프링(327)의 가세력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되고,이 링크(323)의 선단이 가동체(316)에 있어서의 절제부(313) 상방의 좌측연에 맞닿은 상태로 되고, 링크(323)는 가동체(316)가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되더라도 이 상태가 유지된다(제13도 참조).
한편 시프트 레버(1)를「P」이외의 위치로 부터 누름 버터(8)을 누름 조작한 채로「P」위치에 시프트하면, 디텐트 핀(6)이 로크 해제 위치로 위치된 가동체(316)의 걸어맞춤홈(17)에 걸어맞춘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누름 버턴(8)의 누름을 해제하면 디텐트 핀(6)이 가동체(316)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여 로크 오목부(7)에 걸어맞추어지는 동시에 가동체(316)가 로크 위치로 위치된다. 여기서 가동체(316)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1가동 접점(319A)이 절환점(357)에 이르면 제1스위치부(300A)가 작동 상태로 절환된다. 이때 브레이크 페달(BK)이 밟아져 있으면 링크(323)는 화살표(B)방향으로 회동되고. 또 브레이크 페달(BK)이 밟아져 있지 않으면 링크(323)는 화살표(B)방향으로 회동된 채로 가동체(316)가 더욱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이 링크(323)의 선단이 절제부(313)내로 침입한다. 그리고 가동체(316)가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2가동 접점(319B)이 절환점(358)을 넘으면 제2스위치부(300B)가 비작동 상태로 절환되고, 이로 인해 제2솔레노이드(32)가 오프상태로 되고 액튜에이터(32A)가 화상표(D) 방향으로 이동하여 볼록부(31)의 회동 궤적 밖으로 위치된다. 이 상태로되면 볼록부(31)의 반화살표(E) 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키이에 의해 로우터(30)를 반화살표(E)방향으로 회동하여 로크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로우터(30)를 로크 위치로 회동하면 볼록부(31)가 제2솔레노이드(32)의 액튜에이터(32A)와 대향한 제8도의 상태로 되고, 또 스테어링 로크 장치(29)가 로크 상태로 되는 동시에 키이의 뽑고 끼움이 허용되고, 더 나아가서는 ACC 회로가 오프 상태로 되어 SW1 및 SW2는 함께 오프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시프트 레버(1)의 누름 버턴(8)을 누름 조작하더라도 가동체(3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링크(323)에 의해서 구속되어 있으므로, 디텐트 핀(6)을 로크 오목부(7)로부터 탈출시킬 수가 없고, 시프트 레버(1)를「P」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시프트할 수 없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1솔레노이드(22)를 제어하기 위한 제1스위치부(300A)의 절환점(357)과 제2솔레노이드(32)를 제어하기 위한 제2스위치부(300B)의 절환점(358)을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르게 하고, 또한 제1스위치부(300A)가 작동 상태로 되는 영역(D)과 제2스위치부(300B)가 작동상태로 되는 영역(E)을 그의 절환점(357,358) 사이에서 오우버랩 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이들 제1및 제2스위치부(300A,300B)의 부착에 오차가 생기더라도 그 오차를 흡수할 수가 있어 제1 및 제2솔레노이드(22,32)의 제어에 폐단이 생기는 일이없고, 따라서 이들 제1 및 제2스위치부(300A,300B)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제17도에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제6, 제7도에 상당한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이 제17도는 가동 접점(19A) 이 고정 접점(19B)이 고정 접점(13A 및 13C)을 ON으로 하는 영역(J)이 길이(K)에 걸쳐서 오우버랩 되고 있는 상태를 명료하게 표시한 것이며.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제3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1솔레노이드(22)의 액튜에이터(22A)는 제18도중 우측 방향으로 지향되고 있고, 이 액튜에이터(22A)에 로크 레버인 링크(323)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323)는 제1솔레노이드(22)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제18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327)에 의해 화살표(L)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선단이 가동체(316)의 절제부(313) 밖으로 위치하고, 제1솔레노이드(22)가 온 상태로 되면 액튜에이터(22A)가 화살표(M) 방향으로 흡인됨으로써 동도면중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반화살표(L)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선단이 가동체(316)의 절제부(313)내로 침입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동체(316)에 연동하는 스위치(320)의 접점 구성을 나타내는 제19도에서, 제2고정 접점(313A)은 제3실시예(제14도)와 달라서 공통 고정 접점(313C)의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서, 제1고정 접점(313B)과 같은 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2고정 접점(313A)의 길이는 제1고정 접점(313B)의 길이(영역N)보다도 길이가 P만큼 짧게 되고, 그의 작동 역역은 길이 O로 되어 있다.
이 제5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시프트 레버(1)가「P」위치에 위치되고 또한 가동체(316)가 상방의 로크 위치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의 가동 접점(319A,319B)은 제19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위치되어있으며, 이 상태에서 로우터(30)가 ACC 위치로 회동되고 또 ON 위치로 되면 SW1 및 SW3가 온 상태로 되고 또 제1및 제2스위치부(300A,300B)가 온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1솔레노이드(22)에 구동 전류가 흘러서 이것이 온 상태로 되고 액튜에이터(22A)가 화살표(M) 방향으로 흡인되어서 링크(323)가 반화살표(L)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솔레노이드(22)는 온 상태로 되어서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해 유지전류로 절환되고, 링크(323)는 화살표(L)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제1솔레노이드(22)는 오프 상태로 되고 링크(323)가 압축 코일 스프링(327)에 의해 화살표(L)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체(3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1)의 누름버턴(8)을 조작함으로써 시프트 레버(1)의 로크를 해제할 수가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누름 버튼(8)을 누름 조작하였을 경우에는 가동체(316)를 이것의 절제부(313)가 링크(323)의 선단에 맞닿을때까지는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으나, 이 경우 제19도에 1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제2스위치부(300B)가 오프하더라도 제1스위치부(300A)가 온인 체로이며 제1솔레노이드(22)는 온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시프트 레버(1)를 로크 해제하는 일은 없다.
한편 시프트 레버(1)를「P」이외의 다른 위치로부터「P」위치로 시프트할 경우, 누름 버턴(8)의 누름의 해체에 따라 가동체 (316) 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2가동점(319B) 이 제19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절환점(357)에 이르러 제1스위치부(300A)가 온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는 제2스위치부(300B)는 오프 상태인채로 됨으로써 제1솔레노이드(22)는 온 상태인 채로이다. 그리하여 가동체(316)가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2스위치부(300B)가 온 상태로 되면 제1솔레노이드(22)가 온 상태로 되어서 링크(323)가 반화살표(L)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링크(323)의 선단이 가동체(316)의 절제부(313)내로 전입한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제2스위치부(300B)가 온 상태로 되는 위치일때에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져 있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22)는 오프 상태인 채로이며, 브레이크 페달의 밟은 것이 해제됨에 따라 온된다. 또한 이 경우, 스테어링 로크 장치(29)측의 제2솔레노이드(32)는 제2스위치부(300B)에 있어서의 제2가동 접점(319B)이 절환점(358)으로부터 상방으로 위치할 때에는 오프상태에서 스테어링 로크 장치(29)를 로크 상태로 하는 것이 허용되고. 제2가동 접점(319B)이 절환점(358)보다 하방에 위치하였을 시에 온 상태로 되어서 스테어링 로크 장치(29)를 로크 상태로 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5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스위치부(300A)의 절환점(357)과 제2스위치부(300B)의 절환점(358)을 상하로 어긋나게 하고, 제1스위치부(300A)가 작동 상태로 되는 영역(N)과 제2스위치부(300B)가 작동 상태로 되는 영역(0)을 영역(P)에서 오우버랩시키고 있으므로 제1및 제2스위치부(300A,300B)의 부착에 오차가 생기더라도 그 오차를 흡수할 수 있어, 제1솔레노이드(22)의 제어에 폐단이 생기는 일이 없고 스위치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우기 이 경우, 가동체(316)가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상승할시에는 제1스위치부(300A)의 절환점(357) 이 아니고 제2스위치부(300B)의 절환점(358)에서 제1솔레노이드(22)를 온시키도록하고 있으므로 이 제1솔레노이드(22)가 온될때에는 링크(323)가 가동체(316)의 절제부(313) 내로 확실하게 침입하여 이 가동체(316)를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스위치부(300A)의 절환점(357)에 이른 곳에서 제1솔레노이드(22)가 온된다고 하면 링크(323)의 선단이 가동체(316)에서의 절제부(313) 상방의 측면에 맞닿고, 이 상태에서 유지 저류로 절환될 염려가 있고, 이와같이 되면 가동체(316)가 그 후 상방으로 이동하더라도 링크(328)가 반화살표(L)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고 링크(323)에 의한 가동체(316)의 구속이 되지 않게될 염려가 있으나, 상기한 제5실시예에 의하면 이와 같은 염려는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가동체를 구속하는데 링크를 개재시키지 않고 제1솔레노이드(22)에 의해 직접 구속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 솔레노이드에 대신하여 모우터 등이어도 좋다.

Claims (16)

  1.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변속 조작시에 승차자에 의해서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프트레버(1)와, 상기 시프트 레버(1)에 시프트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승차자의 누름 버턴을 조작함으로서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한 디텐트 핀(6)과, 시프트 레버(1)가 특정의 시프트 위치에 있을때 디텐트핀(6)이 제1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디텐트 핀(6)과 걸어맞추어져서 시프트 레버(1)가 다른 시프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디텐트 핀(6)이 제2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다른 시프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디텐트 수단(4)과, 시프트 레버(1)가 상기 특정의 시프트 위치에 있을 경우에 디텐트 핀(6)과 걸어맞추어져서 디텐트 핀(6)과 함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시프트 레버(1)가 상기 특정의 위치로부터 다른 시프트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위치에 있고 시프트 레버(1)가 상기 특정 위치로 복귀되면 디텐트 핀(6)과 걸어맞춤되는 가동체(36,34,316)와 상기 가동체(16,34,316)의 동작을 검출하여 디펜트 핀(6)의 제1위치 및 제2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20,38,320)과, 상기 가동체(16,34,316)가 디텐트 핀(6)과 함께 제2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가동체(16,34,316)와 걸어맞추어져서 이들이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승차자에 의해 해제되지 않으면 시프트 레버(1)가 상기 특정 위치이외로 시프트 동작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 수단(23,40,323)을 포함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16,34,316)에는 상기 시프트 레버(1)의 디텐트 핀(6)을 수용하는 걸어맞춤홈(17)이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홈(17)은 시프트 레버(1)가 상기 특정의 시프트 위치에 이르면 디텐트 핀(6)을 수용하여 디텐트 핀(6)과 가동체(16,34,316)의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이동 방향의 상대 이동을 저지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홈(17)의 입구부는 시프트 레버(1)가 다른 시프트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의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디텐트 핀(6)을 걸어맞추는 홈(17)에 수용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점차로 확대된 안내면이 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수단(4)은 디텐트 핀(6)이 걸어맞추어지는 로크 오목부(7)가 형성된 디텐트 플레이트(4)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16,34,316)는 이 디텐트 플레이트(4)의 로크 오목부(7)에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걸어맞춤 홈(17)은 상기 로크 오목부(7)에 면하여 배치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4)에는 상기 가동체(16,34,316)를 수용하는 호울더(9,35)가 고착되어 있으며, 가동체(16,34,316)는 이 호울더(9,35)에 안내되어서 이동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이 호울더(9,35)에는 상기 로크 수단(23,40,323)이 관통하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로크수단(23,40,323)은 이 개구부(11)를 통하여 가동체(16,34,316)와 걸어 맞추어지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23,40,323)이 상기 가동체(16,34,316)의 제1, 제2위치간의 이동 방향과 대략 수직되게 이동하여 가동체(16,34,316)와 걸어맞추어지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수단(23,40,323)은 가동체(16,34,316)에 걸어맞추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승차자의 조작에 의해서 가동체(16,34,316)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23,40,323)을 가동체(16,34,316)로 부터 떨어지게 하는 솔레노이드(22)가 설치되고, 이 솔레노이드(22)는 브레이크 조작 등의 승차자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조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20,38,320)은 고정접접(13A,13B,13C,313A,313B,313C)과 이동 접점(19A,19B,319A,319B)은 가동체(16,34,316)에 부착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접점(19A,19B,319A,319B)은 제1고정 접점(13B,13C,313B,313C)과 접촉 또는 떨어져서 이그니션온 회로를 작동시키고, 제2위치에서 제2고정 접점(13B,13C,313B,313C)과 접촉 또는 떨어져서 이그니션 악세서리 회로를 작동시킴으로써 디텐트 핀(6)의 제1위치 및 제2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12. 제11항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13A,13B,13C,313A,313B,313C)은 가동체(16,34,316)를 안내하는 호울더(9,25)에 설치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접점(19A,19B,319A,319B)은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이그니션온 회로 및 이그니션 악세서리 회로를 함께 작동시키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접점(13B,13C,313B,313C)은 상기 디텐트 핀(6)의 특정 시프트 위치내에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서로 평행되게 1쌍이 설치되고, 이들의 고정 접점(13B,13C,313B,313C)을 제1이동접점(19A,319A) 이 연통함으로써 이그니션은 회로가 작동되고, 제2고정 접점(13A,13C,313A,313C)을 제2이동 접점(19B,319B)이 연통함으로써 이그니션 악세서리 회로가 작동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접점(19A,319A)과 제1고정 접점(13B,13C,313A,313C)은 이그니션 키이가 ON 위치에 있고,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지고 또한 디텐트 핀(6)이 제1위치에 있을 경우에 가동체(16,34,316)를 제2위치로 이동 가능케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 접점(13A,13C,313A,313C)과 제2이동 접점(19B,319B)은 이그니션 키이를 ACC 위치에 있게하고 디텐트 핀(6)이 제2위치에 있을 경우에 이그니션 키이를 ACC 위치로 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 불가능하게 하고자 솔레노이즈(32)를 작동시키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2019890000333U 1988-01-14 1989-01-14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9200054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95288 1988-01-14
JP395188 1988-01-14
US63-3951 1988-01-14
US63-3952 1988-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197U KR890016197U (ko) 1989-08-18
KR920005490Y1 true KR920005490Y1 (ko) 1992-08-13

Family

ID=2633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0333U KR920005490Y1 (ko) 1988-01-14 1989-01-14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80092A (ko)
EP (1) EP0324469B1 (ko)
KR (1) KR920005490Y1 (ko)
AU (1) AU605010B2 (ko)
DE (1) DE68906402T2 (ko)
ES (1) ES204038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19Y2 (ja) * 1988-12-22 1994-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H0719879Y2 (ja) * 1988-12-27 1995-05-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At車用シフトロック装置
US5129494A (en) * 1989-02-23 1992-07-14 Sparton Corporation Service brake and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US5018610A (en) * 1989-02-23 1991-05-28 Sparton Corporation Service brake and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US5251723A (en) * 1989-02-23 1993-10-12 Sparton Corporation Service brake and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US5255570A (en) * 1989-03-31 1993-10-26 Nissan Motor Company, Ltd. Safety shift-lock device for selector of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JPH0356766A (ja) * 1989-07-25 1991-03-12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SE467472B (sv) * 1989-10-02 1992-07-20 Volvo Ab Vaexelreglage foer fordon med automatvaexellaador
US5009295A (en) * 1989-12-08 1991-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er to operator controlled mechanism interlock
US5207740A (en) * 1990-05-30 1993-05-04 Fujikiko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5062509A (en) * 1990-06-04 1991-11-05 Dura Mechanical Components, Inc. Shifter mounted brake-transmission interlock
US5181592A (en) * 1990-06-11 1993-01-26 Sparton Corporation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JP2842951B2 (ja) * 1991-03-29 1999-01-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キー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0518459A (ja) * 1991-07-12 1993-01-26 Tokai Rika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ロツク装置
US5101680A (en) * 1991-07-19 1992-04-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hibitor for a manual transmission shift control
US5220984A (en) * 1992-04-20 1993-06-2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Div. Of Jsj Corporation) Shift mechanism
US5421792A (en) * 1993-02-26 1995-06-06 Fujikiko Kabushiki Kaisha Shift lever apparatus
US5677658A (en) * 1993-05-18 1997-10-1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 Electrically operated control module for a locking mechanism
US5718312A (en) * 1993-05-18 1998-02-17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Vehicle park/lock mechanism with control module having a locking mechanism and a control switch actuated by the locking mechanism
US5402870A (en) * 1993-05-18 1995-04-0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Vehicle park/lock mechanism
US5494141A (en) * 1993-05-18 1996-02-27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Vehicle park/lock mechanism
US5388476A (en) * 1993-06-15 1995-02-14 Agco Corporation Gearshift mechanism
US5465818A (en) * 1994-01-07 1995-11-1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Park lock mechanism with means to prevent lockout member from accidentially becoming inoperative
DE4406598C2 (de) * 1994-03-01 1996-10-31 Daimler Benz Ag Schalteinrichtung für ein selbsttätig schaltendes Wechselgetriebe mit einer mechanischen Sperre für den Rückwärtsgang in einem Kraftfahrzeug
DE4416864C1 (de) * 1994-05-13 1995-08-03 Ymos Ag Ind Produkte Vorrichtung mit einem Wählhebel für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US5562568A (en) * 1994-08-18 1996-10-08 Dura Mechanical Components, Inc. Brake-transmission-ignition key interlock system
US5759132A (en) * 1994-10-27 1998-06-0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 Vehicle park/lock mechanism with control module having a locking mechanism and a control switch actuated by the locking mechanism
CA2180863A1 (en) * 1995-08-03 1997-02-04 Charles Osborn Vehicle shifter
JPH10502892A (ja) * 1995-11-22 1998-03-17 デェウ モータ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自動車の自動変速機用のセレクタレバーロック装置
US5991674A (en) * 1996-05-02 1999-11-23 Chrysler Corporation Floor shifter linkage for robotic control of vehicle
US6082217A (en) * 1998-08-11 2000-07-04 Teleflex Incorporated Brake transmission shift interlock assembly
JP3582498B2 (ja) * 2001-04-10 2004-10-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装置の制御装置
US6817262B2 (en) * 2002-11-04 2004-11-16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Interlock device with stamped lead frame
US7124874B2 (en) * 2003-01-10 2006-10-24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Shift lever device
US7597022B2 (en) * 2006-05-09 2009-10-06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Easy release mechanism at park position fo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er
JP2015006866A (ja) * 2013-06-26 2015-01-1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5573B2 (ko) * 1972-03-11 1978-12-07
US3942614A (en) * 1974-06-24 1976-03-09 Thompson Owen L Gear selector safety lock
US4232571A (en) * 1979-02-12 1980-11-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oor mounted shift control mechanism with drive transmitting cables
JPS5619451A (en) * 1979-07-27 1981-02-24 Sumitomo Metal Ind Ltd Scanner for ultrasonic flaw detection
US4304112A (en) * 1979-12-14 1981-12-08 Jsj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er with park lock
JPS5742424A (en) * 1980-08-28 1982-03-10 Nec Home Electronics Ltd Transport apparatus for axial lead-out lead parts
EP0055022A3 (en) * 1980-12-22 1982-08-11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JPS57134331A (en) * 1981-02-09 1982-08-19 Nissan Motor Co Ltd Controller for automatic speed change gear
JPH0137934Y2 (ko) * 1981-03-10 1989-11-15
JPS57148222A (en) * 1981-03-10 1982-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US4520640A (en) * 1981-08-28 1985-06-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sition control mechanism for a vehicle ignition lock
US4474085A (en) * 1982-09-13 1984-10-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floor shifter control with a park/lock mechanism
JPS59137234A (ja) * 1983-01-25 1984-08-07 Isuzu Motors Ltd シフトレバーのインタロック装置
DE3310891A1 (de) * 1983-03-25 1984-09-27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 Neue indolinon-(2)-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zwischenprodukte
JPS60135352A (ja) * 1984-03-27 1985-07-18 Isuzu Motors Ltd 変速レバーと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AU572514B2 (en) * 1984-06-18 1988-05-12 Isuzu Motors Ltd. Ignition and shift lever lock
US4610179A (en) * 1984-09-07 1986-09-09 Peter D. Adams Manual shift control lever device and self-contained electronic control for transmissions
JPS61143825A (ja) * 1984-12-18 1986-07-01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ロツク装置
DE3617256A1 (de) * 1986-05-22 1987-11-26 Audi Ag Vor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DE3621247A1 (de) * 1986-06-25 1988-03-10 Audi Ag Vor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US4724722A (en) * 1987-02-24 1988-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Gearshift and ignition interlock mechanism
JPH0513626Y2 (ko) * 1987-11-05 1993-04-12
JPH06220343A (ja) * 1991-03-12 1994-08-09 Takeo Shimizu ポルフィリン誘導体
JPH0554733A (ja) * 1991-08-23 1993-03-05 Idemitsu Kosan Co Ltd 表面導電性透明蒸着膜被覆体の製造方法
JP3132155B2 (ja) * 1992-06-15 2001-02-05 豊田工機株式会社 流量制御装置
JPH0620447A (ja) * 1992-07-02 1994-01-28 Fuj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記憶装置の照合コード記録読取方式
JPH0620448A (ja) * 1992-07-03 1994-01-28 Sony Corp 再生装置
JPH0623427A (ja) * 1992-07-10 1994-02-01 Furukawa Alum Co Ltd ビレットを押出コンテナにチャージする方法
JPH06150812A (ja) * 1992-11-10 1994-05-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基板のパターン形成方法
JPH06227925A (ja) * 1993-01-28 1994-08-16 Kenji Nakamura 抗菌多孔質無機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6402T2 (de) 1993-09-16
AU2840189A (en) 1989-07-20
EP0324469A3 (en) 1990-11-07
KR890016197U (ko) 1989-08-18
EP0324469A2 (en) 1989-07-19
AU605010B2 (en) 1991-01-03
DE68906402D1 (de) 1993-06-17
US4880092A (en) 1989-11-14
EP0324469B1 (en) 1993-05-12
ES2040386T3 (es)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490Y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910007750Y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JPH0137934Y2 (ko)
JP3996380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US4905802A (en) Selector lever apparatus for vehicle
US5003799A (en) Device for locking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5036962A (en) Shift lock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910007749Y1 (ko)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US5167308A (en) Combination brake/park lockout and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JPS6216848B2 (ko)
KR920006141Y1 (ko)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 장치
US5293763A (en) Gear select lever locking arrangement
GB2361104A (en) Vehicle ignition switch
US5379871A (en) Shift lever apparatus
JP2006502036A (ja) 走行段入力ユニット
KR100705638B1 (ko) 변속 레버 장치
JPS6150812B2 (ko)
US6109414A (en) Shift lever device
EP1076193A1 (en) Operating apparatus with a rotary knob for use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542512A (en) Selector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provided with locking means
JP3096418B2 (ja) ゲート式at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H0524858Y2 (ko)
JPH08200480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H0524857Y2 (ko)
JPH04377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