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141Y1 -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141Y1
KR920006141Y1 KR2019890008725U KR890008725U KR920006141Y1 KR 920006141 Y1 KR920006141 Y1 KR 920006141Y1 KR 2019890008725 U KR2019890008725 U KR 2019890008725U KR 890008725 U KR890008725 U KR 890008725U KR 920006141 Y1 KR920006141 Y1 KR 920006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movable body
state
lock
igni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571U (ko
Inventor
하지메 이마이
쇼조 기또
쇼이찌 하라다
즈요시 다노우에
시게또시 미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덴끼세이샤꾸쇼
무라세 하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077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441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4941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4420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덴끼세이샤꾸쇼, 무라세 하루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덴끼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900000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60R25/0214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interlocked with gear box or gear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74Inputs being a function of engine parameters
    • F16H2059/746Engine running state, e.g. on-off of ignition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894Plural point
    • Y10T70/5898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25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25Transmission
    • Y10T70/5934Selective-type shift rod, fork or block
    • Y10T70/5938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238Interlock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 장치
제1도는 제3도의 우측면도에 상당하는 제1실시예의 요부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이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중 IV-IV선 단면도.
제5도(a)는 임시 지지부재의 확대 측면도.
제5도(b)는 임시 지지부재의 사시도.
제5도(c)는 제5도 (a)의 VC-VC선 단면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제1도의 작동도.
제9도는 제5도에 상당하는 제2실시예의 임시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제10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1도 내지 제13도는 제10도의 작동도.
제14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5도는 제3실시예의 회전 아암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XVI-XVI선 단면도.
제17도 내지 제19도는 제14도의 작동도.
제20도는 검사라인에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경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디텐트 플레이트 13 : 시프트 레버
14 : 축 16 : 디텐트 핀
17 : 결합공 18 : 로크 요부
20 : 가동체 25 : 결합 홈
27 : 가이드 홈 28 : 회전아암
33 : 결합 핀 35 : 임시 지지부재
45 : 콘트롤 와이어 124 : 스티어링 로크 장치
128 : 이그니션 키 129 : 캠 돌출부
본 고안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시프트 레버를 파킹 위치(parking position)에 로크하도록 한 자동 변속기에 사용되며, 특히 조립 후의 검사라인에서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장치에 관한것 이다.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자동차로서는, 근년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0-135352호와 같이, 시프트 레버의 로크장치와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콘트롤 와이어로 연계시킨 것이 있다. 이 장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키에 의하여 로크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시프트 레버를 파킹 위치로 로크하며, 한편 시프트레버가 파킹 위치 이외의 위치로 시프트되어 있을 때에는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로크상태로 하는 것이 저지되어서 키를 때낼 수 없다.
그런데, 차량의 조립라인 및 검사라인에 있어서는,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 후차륜(1, 2)중각각 일방측(도면에서는 좌측)의 차륜(1, 2)만을 콘베이어(3)상에 위치시키고, 타방측의 차륜(1, 2)은 콘베이어(3)로 부터 벗어난 바닥면을 전동시키도록 하여, 콘베이어(3)에 의해서 자동차를 이동시키면서 조립과 검사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를 파킹 위치로 시프트하면 자동차의 구동륜이 로크되기 때문에 차륜(1, 2)이 콘베이어(3)로부터 이탈되므로, 시프트 레버를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에 위치시키지 않으면 않된다.
그런데, 검사라인에 있어서 운전석의 메인키와 도어 또는 트렁크의 키 실린더가 합치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키를 운전석의 키 실린더로부터 빼기 위해서는 시프트 레버를 파킹 위치로 시프트 하지 않으면 않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프트 레버를 파킹 위치로 시프트하면 차륜의 회전이 로크되어 버린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프트 레버를 파킹 위치로 시프트하지 않아도 이그니션 키(ignition key)를 키 실린더로부터 빼어낼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시프트 레버의 로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시프트 레버가 차륜의 자유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로 부터 차륜의 자유회전을 저지하는 제2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연동수단이 스티어링 장치에 전하여, 이그니션 키를 로크 위치로 돌려서 키 실린더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연동수단에 관계 없이, 시프트 레버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임시 지지수단이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작동시켜 이그니션 키를 로크 위치로 회전 가능한 유사(類似)로크 상태로 하도록되어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임시 지지 수단에 의해서 유사 로크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차륜의 공전 상태에서 키를 때내어 검사 등을 행할 수 있다. 이 유사 로크 상태는 시프트 레버를 파킹 위치로 복귀시켜 해제되는 구성으로하면 차량 조립후에는 확실하게 시프트 레버와 스티어링 로크 장치가 연동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실시예]
우선,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프레임(11)은 도시하지 않은 차량에 장착되고, 이 프레임(11)에는 디텐트플레이트(detent plate : 12)가 고정되어 있다. 시프트 레버(13)는 디텐트 플레이트(12)에 축(14)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14)을 지점으로 하여 제2도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과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텐트 플레이트(12)는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서 크랭크 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굴곡부분에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5)의 상반 부위에, 디텐트 핀(16)과 협동하여 시프트레버(13)를 파킹 위치 「P」, 후진위치 「R」, 중립위치 「N」, 드라이브 위치 「D」, 세컨드 위치 「2」 및 로우 위치「L」의 각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규제부(17a)를 가지는 결합공(17)이 형성되어 있다. 「P」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로크 유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텐트 핀(16)은 시프트 레버(13)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레버(13)의 노브(13a)에 설치된 버튼(19)을 누름으로써, 디텐트 핀(16)이 한 방향이 되는 하방으로 이동되어서 결합공(17)의 규제부(17a)에 대한 결합이 풀어지고, 버튼(19)의 누름이 해제되면 다른 한 방향인 상방으로 이동하여 결합공(17)의 규제부(17a)와 결합해서 시프트 레버(13)의 요동 조작을 규제한다. 제2도와 제3도에서 시프트 레버(13)는 「N」위치에 있다.
제1도 표시와 같이 상기 개구부(15)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가동체(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체(20)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장공(21)이 디텐트 플레이트(12)에 설치된 핀(22)에 이동 가능상태로 끼워지는 동시에 내면에 형성된 홈(23)이 마찬가지로 디텐트 플레이트(12)에 설치된 핀(24)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있다. 이에 의하여 가동체(20)는 디텐트 플레이트(l2)에 대하여, 로크 요부(18)와 축(14)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가동체(20)는 하방의 로크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가동체(20)에는 제2도와 같이 상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개구하여 결합공(17)을 합하는 결합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25)의 하방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26)이 형성되어 디텐트핀 결합부로 되고 있다. 이 가동체(20)의 하방에는 회전 아암(28)이 배치되고, 중간부의 원통부(29)가 축(30)을 통해서 디텐트플레이트(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 아암(28)의 상부에 형성된 핀(31)이 가동체(20)의 가이드 홈(27)에 삽입되어 있다.
제2도 표시와 같이, 이 가이드 홈(27)은 중간부가 가동체(2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27A)와 상하 단부가 가동체(20)의 이동방향으로 평행한 연장부(27B, 27C)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프트 레버(13)가 파킹 위치에 있고 디텐트 핀(16)이 결합공(17)내에서 상승하면, 핀(31)은 가이드 홈(27)의 경사부(27A)와 결합해서 회전아암(28)이 제1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7도의 상태로 된다. 그리나, 로크 요부(18)가 디텐트 핀(16)의 필요한 상승 스트로크 보다도 더욱 깊게 형성되어 있어 가동체(20)가 더욱 상승한 경우에는 핀(31)이 연장부(27C)내에 삽입되므로 핀(31) 및 회전 아암(28)은 이에 의해서 회전력을 받는 일은 없다.
반대로 디텐트 핀(16)이 로크 요부(18)내에서 하강한 경우에는 가이드 홈(27)이 이것과 함께 하강하므로 핀(31)은 경사부(27A)와 결합해서 제7도의 상태로부터 제1도의 상태로 돌아간다. 디텐트 핀(16)의 하강 스트로크가 필요이상인 경우라도 가이드 홈(27)의 하강에 따라 핀(31)이 연장부(27B)내에 들어가므로 회전 아암(28)이 이 이상 회전되는 일이 없다. 회전 아암(28)의 하부에는 디텐트 플레이트(12)측을 향해서 연결 핀(32)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연결 핀(32)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결합부로서의 결합 핀(3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29) 부분에는 회전 아암(28)을 제2도 중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력을 주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4)이 감겨져 있다.
회전 아암(28)의 연결핀(32)에는 콘트롤 와이어(45)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이 와이어(45)의 다른 한 끝은 스티어링 로크장치(124)의 로크레버(125)에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로크 장치(124)는 키 실린더(126)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키 로우터(127)에 이그니션 키(128)가 삽입되어 있다. 이 키 로우터(127)는 「LOCK」 위치로부터 화살표 K 방형으로 「ACC」, 「ON」, 「START」 위치로 각각 회전 가능하며, 「LOCK」 위치에서만 이그니션 키(128)를 꼽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START」는 엔진 시동위치이며 「ON」은 엔진 통전 위치이다.
키 로우터(127)에는 캠 돌출부(129)가 동축으로 연결되어서 일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로크 레버(125)는 와이어(45)에 의해서 구동되는 캠 돌출부(129)의 회전 궤적의 내외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도의 상태에서는 시프트 레버(13)가 파킹위치에 있지 않으므로 로크레버(125)는 캠 돌출부(129)의 이동 궤적내에 존재하며, 키 로우터(127)는 「ACC」로부터 「LOCK」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다. 그러나. 시프트레버(13)가 파킹 위치로 이동하고 디텐트 핀(16)이 로크 요부(18)내에 들어가면, 로크 레버(125)는 제7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캠 돌출부(129)의 이동궤적으로 부터 벗어나서, 키 로우터(127)가 LOCK 위치로 이동된다. 특히 가동체(20)의 가이드 홈에는 연장부(27B, 27C)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디텐트 핀(16)의 필요이상의 스트로크가 흡수되어 와이어(45)가 로크 레버(125)를 불필요하게 크게 이동시키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스티어링 로크 장치(124)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의 강도 저하 방지나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 아암(28)의 움직임을 스위치로 검출하여, 와이어(45)를 통하지 않고, 로크 레버(125)를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디텐트 플레이트(12)에는 임시 지지부재(35)가 그 일단부에서 핀(36)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있다.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 지지부재(35)의 선단부에는 아암부(37) 및 스톱퍼(38)가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아암부(37)의 한쪽 면에는 굴곡한 형상의 안내홈(39)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39)의 양단은 아암부(37)의 양단면(37A, 37B)과 연동하고 있으며, 단면(37B)에 가까운 단부(39a)는 핀(36)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이 단부(39a)의 중간부에 구멍(40)이 형성되고, 회전 아암(28)의 결합핀(33)이 삽입되어 임시 지지부재(35)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단부(39a)의 단면(37B)과 반대측단은 핀(36)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신장하는 관통홈(39B)과 연결되어 있다. 이 관통홈(39B)은 아암부(37)의 안팎을 관통하고 있으며 단부(39a)와의 접속부는 계단부(41)로 되어 있다. 관통홈(39B)은 중간부가 굴곡하여 선단이 계단부(42)를 통해서 경사홈(43)과 연결되어 있다. 이 경사홈(43)은 제5도(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37A)을 향해서 점차로 홈 깊이가 얕아지고 있다.
핀(36)부분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기능을 겸하는 거칠게 감은 코일 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코일 스프링(44)에 의하여 임시 지지부재(35)를 안내홈(39)이 회전 아암(28)의 결합핀(33)에 결합하는 방향(제4도 중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힘을 가함과 동시에, 임시 지지부재(35)를 핀(36)을 중심으로 제1도와 제2도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임시 지지부재(35)의 안내 홈(39)의 구멍(40)이 회전 아암(28)의 결합 핀(33)과 결합함으로써 가동체(20)와 회전아암(28)이 제1도및 제3도에 표시하는 제1의 상태로 지지되고 있으며, 또 이 상태에서는 임시 지지부재(35)의 아암부(37)와 스톱퍼(38)의 사이에 회전아암(28)의 선단부가 위치하고 있다(제4도 참조).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공(17)의 좌측방에 위치한 브라켓트(47)에 시프트 레버용 스톱퍼(46)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시프트 레버용 스톱퍼(46)는 시프트레버(13)가 「P」위치에 시프트된 때에 선단이 시프트 레버(13)의 측면에 맞닿아져 이 시프트 레버(3)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그 이상의 회동을 규제하므로써 디텐트핀(16)이 이 결합공(17)의 좌축 가장자리에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 디텐트 플레이트(12)의 하부에는 개구(48)가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한 임시 지지부재(35)의 조작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립 라인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13)를 「N」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동체(20), 회전아암(28) 및 임시지지부재(35)등을 부착시킨 다음, 임시 지지부재(35)에서의 안내홈(39)의 구멍(40)을 회전아암(28)의 결합핀(33)에 결합시킨 제1의 상태로 한다(제1도 참조). 이 상태에서는 가동체(20)는 하방의 로크 해제 위치에 위치되고, 또 회전아암(28)은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전아암(28)의 연결핀(32)에 스티어링 로크 장치(124)와 연결된 콘트롤 와이어(45)의 장력을 조정하여 그 콘트롤 와이어(45)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로크장치(124)의 이그니션 키(128)는「ACC」 위치에 있으며, 로크 상태는 아니므로 스티어링 휘일은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임시 지지부재(35)를 코일 스프링(44)의 작용력에 대향해서 제4도 중의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 밀면 결합핀(33)에 대한 구멍(40)의 결합이 풀린다. 이때, 스톱퍼(38)가 회전아암(28)의 선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임시 지지부재(35)의 화살표 C방향으로의 그 이상의 이동이 규제된다. 결합핀(33)과 구멍(40)의 결합을 푼 다음 임시 지지부재(35)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임시 지지부재(35)가 코일 스프링(44)의 작용력으로 핀(36)을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며, 이에 따라서 결합핀(33)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계단부(41)를 넘어서 관통홈(39B)의 단부에 결합한 제2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13)는 「N」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가동체(20)를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방의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면, 회전아암(28)의 핀(31)이 가동체(20)의 가이드 홈(27)에서의 경사부(27A)를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전 아암(28)이 축(30)을 중심으로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임시 지지부재(35)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 아암(28)의 결합핀(33)은 관통홈(39B)을 따라서 이동하고, 제7도에서와 같이 결합핀(33)이 제2의 계단부(42)에 결합한 제3의 상태로된다.
이 제3의 상태에서는, 임시 지지부재(35)에 의해 가동체(20)가 회전 아암(28)을 통해서 로크위치에 임시 지지되고, 가동체(20) 및 회전 아암(28)으로 된 로크 장치의 주체부가 유사 로크 상태로 되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아암(28)이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있어 콘트롤 와이어(45)가 제7도 중의 화살표 B방향으로 눌려 있으므로, 스티어링 로크 장치(124)를 로크 상태로 하여 운전석으로부터 키를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키 로우터(127)로부터 이그니션 키(128)를 뽑은 후, 그 키와 도어 그리고 트렁크의 키 실린더가 합치되고 있는가 여부 등의 검사를 행한다.
그리고, 검사 등이 완료하여 시프트레버(13)를 「P」 위치로 시프트 하여도 지장이 없게 된 때에, 「N」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시프트레버(13)를 버튼(19)을 누르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P」 위치로 시프트한다. 이에 의하여 디텐트 핀(16)이 제7도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20)의 검사면(26)에 맞닿아 그 경사면(26)을 통해서 가동체(20)를 일단 하방으로 눌러 이동시키면서 결합홈(25)에 결합한다.
가동체(20)의 하방의 이동에 따라서 결합핀(33)이 제2의 계단부(42)를 넘어서 회전 아암(28)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고, 결합 핀(33)이 사면(43)을 따라 이동하여 안내홈(39)으로부터 벗어난다. 이와 같이 하면, 제8도와 같이 임시 지지부재(35)는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여 회전아암(28)과 떨어진 거리에 위치된다. 한편, 가동체(20)는 디텐트 핀(16)과 결합 상태가 되고, 버튼(16)의 누름을 해제함에 따라 디텐트 핀(16)과 가동체(2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디텐트 핀(16)이 로크 요부(18)에 결합함과 동시에 가동체(20)가 상방 로크 위치에 위치되며, 따라서 (20)의 임시 지지상태가 해제된 제4의 상태로 된다. 그 이후 임시 지지부재(35)는 가동체(20) 및 회전 아암(28)과는 무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핀(33)을 계단부(42)에 맞닿게 함으로써 제7도의 유사 로크 상태를 구성하나, 결합핀(33)을 계단부(42)가 아닌 경사 홈(43)의 중도부에 맞닿게하여 마찰력으로 이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로크장치의 통상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3)가 「P」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가동체(20)가 로크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키에 의해 로크 상태로하는 것이 허용되며, 그 키를 뽑아낼 수 있다. 스티어링 로크 장치가 로크 상태로 되면 콘트롤 와이어(45)에의하여 회전 아암(28)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되고, 그 회전 아암(28)을 통해서 가동체(20)가 로크위치로 구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시프트 레버(13)의 버튼(19)을 누름 조작하여도 디텐트 핀(16)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시프트 레버(13)를 「P」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시프트할 수 없다.
키를 꼽고 회동 조작하여 엔진을 시동하면 스티어링 로크 장치가 로크 해제 상태가 되며, 또 콘트롤 와이어(45)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어서 회전 아암(28)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버튼(19)의 누름 조작에 의해 디텐트 핀(16 및 20)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디텐트 핀(16)이 로크 요부(18)로부터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가동체(2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위치되므로, 시프트 레버(13)를 「P」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시프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프트 레버(13)가 「P」 위치 이외 에컨대 「N」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콘트롤 와이어(45)에 의하여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로크 상태로 하는 것이 저지되어 키를 뽑아낼 수 없다. 그리고, 시프트레버(13)를 「P」 이외의 위치로부터 「P」 위치로 시프트하면 콘트롤 와이어(45)에 의한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구속이 해제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로크 상태로 하여 키를 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동체(20)의 상하 동작시에 핀(31)은 가이드 홈(27)의 경사부(27A)와 결합해서 회전 아암(28)의 회전력을 발생하나, 로크 요부(18)의 깊이에 오차가 있어도 연장부(27B, 27C)로 가동부(20)의 여분의 스트로크가 흡수되므로 불필요하게 와이어(45)를 크게 움직이는 일은 없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하면, 시프트 레버(13)의 로크장치와 스티어링로크 장치를 콘트롤 와이어(45)에 의해서 연계시킨 것에 있어서, 조립시에 시프트 레버(13)를 「N」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임시 지지부재(35)에의하여 회전 아암(28)을 통해서 가동체(20)를 로크 위치에 임시 지지하여 로크 장치의 주체부를 유사 로크상태(제7도 참조)로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프트 레버(13)를 「P」 위치로 시프트 함이 없이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로크상태로 하여 키를 뽑아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키 따위의 검사를 지장없이 행할 수가 있다.
제9도 내지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실시예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임시 지지부재(49)에는 이 경우 제1 및 제2의 안내홈(50, 51)이 형성되어 있다. 이중 제1의 안내홈(50)은 양단이 임시 지지부재(49)의 단면(49A, 49B)과 연통하고 있으며 도중부에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제2의 안내홈(51)은 일단이 단면(49A)과 연통하고 있으며 타단은 구멍(53)과 연통함과 동시에 구멍(53)과의 연결부가 계단부(53A)로 되어 있고, 이 계단부(53A)와 개구부(51a)의 사이는 상기 실시예의 경사홈(43)과 동일한 경사면(54)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경우, 조립시에는 제10도 표시와 같이 시프트 레버(13)는 「N」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임시 지지부재(49)에서의 제1의 안내홈(50)의 구멍(52)을 회전아암(28)의 결합핀(33)에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아암(28) 및 가동체(20)를 제1의 상탤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아암(28)의 연결핀(32)에 콘트롤 와이어(45)를 연결한다.
그리고 임시 지지부재(49)를 코일 스프링(44)의 작용력에 대항해서 눌러서 구멍(52)과 결합핀(33)의 결합을 해제하면, 임시 지지부재(49)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결합핀(33)이 제1안내홈(50)의 개구부(50a)로부터 벗어난 제11도의 상태가 된다.
다음에, 시프트 레버(13)는 「N」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동체(20)를 상방의 로크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임시 지지부재(49)에 있어서의 제2의 안내홈(51)의 계단부(53)와 회전아암(28)의 결합핀(33)을 결합시켜서 제12도에 표시하는 제3의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임시 지지부재(49)에 의해서 회전아암(28)을 통해서 가동체(20)가 로크 위치에 임시 지지되고 로크 장치의 주체부가 유사 로크 상태로 되어져 있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로크 상태로 하여 운전석으로 부터 키를 뽑을 수 있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13)를 「P」위치로 시프트 하지 않고 키를 뽑아 검사를 행할 수가 있다.
그후 시프트 레버(13)를 강제적으로 「P」 위치로 시프트 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텐트 핀(16)에 의해서 가동체(20)가 경사면(26)을 통하여 하방으로 눌러져 이동되어 회전아암(28)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결합 핀(33)이 제2의 안내홈(51)의 개구부(51a)로 부터 벗어진다. 그렇게 되면 제13도 표시와같이 가동체(20)가 디텐트 핀(16)과 결합 상태로 로크 위치로 이동되고, 한편 임시 지지부재(49)는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체(20), 회전아암(28)과는 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14도 내지 제19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며 제1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가동체(55)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장공(56)에 디텐트 플레이트(12)의 핀(57)이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부에는 결합 홈(58) 및 경사면(59)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아암(60)은 축(61)을 통해서 디텐트 플레이트(12)에회동하게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축(61)을 중심으로 제14도중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가하여 지고 있다. 이 회전 아암(60)은 핀(62)을 통해서 가동체(55)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에는 콘트롤 와이어(45)가 연결되는 연결 핀(63)이 설치되며, 또 아암부(64)에 제15도 표시와 같이 굴곡한 형상의 안내 홈(65)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65)의 일단부에는 구멍(66)이 형성되고, 도중부에 관통 장공(66A)이 형성됨으로써 제1의 계단부(67) 및 결합부로서의 제2의 계단부(6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의 계단부(68)와 아암부 단면(64A)의 사이는 제1실시예의 경사홈(43)과 동일한 경사면(69)으로 되어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된 임시 지지부재(70)는 디텐트 플레이트(12)에 핀(71)을 통해서 지지되고, 아암부(72)의 선단의 피결합부로서의 선단부(72a)가 화살표 G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장착시에는 선단부(72a)가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아암(60)에서의 안내홈(65)의 구멍(66)에 삽입 결합되고, 다시 그 선단이 디텐트 플레이트(12)에 형성된 구멍(73)에 삽입 결합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제14도에 나타낸 제1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 디텐트 플레이트(12)에는 임시 지지부재(70)의 아암부(72) 중간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3실시예의 경우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3)는 「N」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임시 지지부재(70)에서의 아암부(72)의 선단부(72a)를 회전아암(60)의 구멍(66) 및 디텐트 플레이트(12)의 구멍(73)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아암(60) 및 가동체(55)를 제1의 상태로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회전아암(60)의 연결핀(63)에 콘트롤 와이어(45)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6도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공구(75)로서 디텐트 플레이트(12)의 구멍(74)을 통해서 임시 지지부재(70)의 아암부(72)를 눌러 선단부(72a)를 구멍(73, 66)으로 부터 풀고, 그 선단부(72a)를 안내홈(65)의 홈(65b)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시프트 레버(13)는 「N」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동체(55)를 상방의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회전아암(60)의 화살표 F 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 아암부(72)의 선단부(72a)가 홈(65b)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65b)으로 부터 벗어나서 제1의 계단부(67)에 결합한 상태로된다. 또한 그 선단부(72a)는 자신의 스프링 힘으로 홈(65c)을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8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제2의 계단부(68)에 결합하여 멈춘다. 이 상태에서는, 임시 지지부재(70)에 의하여 회전아암(60)을 통해서 가동체(55)가 로크 위치에 임시 지지되고 로크 장치의 주체부가 유사 로크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역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로크 상태로 하여 운전석으로 부터 키를 뽑아 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도 시프트 레버(13)를 「P」 위치로 시프트하지 않고 키를 뽑아 검사를 행할 수가 있다.
그후 시프트 레버(13)를 강제적으로 「P」 위치로 시프트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텐트 핀(16)에 의하여 경사면(69)을 통해서 가동체(55)가 하방으로 눌러져 이동되어서 회전아암(60)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임시 지지부재(70)의 아암부(72)의 선단부(72a)가 안내홈(65)의 개구부(65a)로부터 풀린다. 그리하면,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55)가 디텐트 핀(16)과 결합 상태로 로크 위치로 이동하고, 한편임시 지지부재(70)의 아암부(72)는 화살표 G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체(55), 회전아암(60)과는 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9)

  1.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를 스티어링 로크 장치와 연동시켜, 로크 위치에서 이그니션 키를 뽑아내는것이 가능하도록 된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이그니션 키의 빼기 동작을 제어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로서, (a)차륜의 자유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로부터 차륜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위치로 상기 시프트 레버를 선택조작할시, 운전자의 특정한 변속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이 선택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디텐트 수단과, (b)시프트 레버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이그니션 키를 로크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연동 수단 및, (c) 상기 연동수단에 관계 없이, 상기 시프트 레버가 제1위치에있는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작동시켜 이그니션 키를 로크 위치로 회전가능한 유사 로크 상태로 하는 임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차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크 장치로부터 키를 뽑아 낼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시프트 레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지지수단은 상기 연동 수단의 일부의 연동상태를 차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시프트 레버가 제2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콘트롤 와이어가 설치되고, 이 와이어가 이그니션 키를 로크 위치로 회전 가능게 하는 구성이며, 상기 임시 지지수단은 유사 로크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가 제2위치로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와이어를구동 가능하게 하여 이그니션 키를 로크 위치로 회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버에는 상기 운전자의 특정한 변속조작에 의해서 작동되는 디텐트 핀이 설치되어, 운전자가 이 디텐트 핀을 상승위치로 부터 누름 동작함으로써 시프트 레버가 제1위치로 부터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제2위치에서는 이 디텐트 핀이 누름 위치로 부터 상승 위치까지 복귀함으로써, 상기연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체를 하강 위치로 부터 상승위치까지 상승시켜, 이에 의하여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작동시키고 이그니션 키를 로크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여, 유사 로크 상태에서 상기임시 지지 수단은 시프트 레버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가동체를 하강 위치로 부터 상승 위치까지구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지지수단에는 유사 로크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를 하강 위치로 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시에, 이 상승 위치를 유지하는 캠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시프트 레버가 제1위치로 부터 제2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위치로 이동되어 유사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디텐트 핀 결합부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서 그 이후는 시프트레버의 제2위치에 있어서의 디텐트 핀의 상승 위치에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작동시켜 이그니션 키를 로크위치로 회전 가능토록 하고, 디텐트 핀이 하강 위치 및 시프트 레버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그니션 키를 로크 위치로 회동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 수단은 상기 유사 로크 상태로 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가동체를 하강 위치로 유지하는 가동체 지지용 결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로크 상태에서 가동체를 상승위치로 유지하고. 시프트 레버가 제1위치로 부터 제2위치로 이동되는 힘으로 결합이 해제되어서 가동체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디텐트 핀 결합부가 상기 캠 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회전 아암과 연결되고, 이 회전 아암이 스티어링 로크 장치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회전 아암의 회전이 캠 수단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가동체의 상승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레버 장치.
KR2019890008725U 1988-06-23 1989-06-23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 장치 KR9200061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07788U JPH0534419Y2 (ko) 1988-06-23 1988-06-23
JP63-83077 1988-06-23
JP63-84941 1988-06-27
JP8494188U JPH0534420Y2 (ko) 1988-06-27 1988-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571U KR900000571U (ko) 1990-01-17
KR920006141Y1 true KR920006141Y1 (ko) 1992-09-17

Family

ID=2642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725U KR920006141Y1 (ko) 1988-06-23 1989-06-23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67883A (ko)
KR (1) KR920006141Y1 (ko)
CA (1) CA13122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29308T3 (es) * 1987-09-14 1992-08-0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Dispositivo para bloquear la palanca de cambio de una transmision automatica.
US5040434A (en) * 1989-12-11 1991-08-20 Chrysler Corporation Ignition key locking device for gearshift park interlock system
US5181592A (en) * 1990-06-11 1993-01-26 Sparton Corporation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US5167308A (en) * 1991-01-17 1992-12-0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Combination brake/park lockout and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US5211271A (en) * 1991-01-17 1993-05-18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Div. Of Jsj Corp. Lockout mechanism and system for vehicle shifter
US5096033A (en) * 1991-01-17 1992-03-17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Lockout mechanism and system for vehicle shifter
US5293763A (en) * 1991-03-07 1994-03-15 Fuji Kiko, Ltd/Nissan Motor Co., Ltd. Gear select lever locking arrangement
JP2842951B2 (ja) * 1991-03-29 1999-01-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キーインターロック装置
DE4120380C2 (de) * 1991-06-20 1993-10-28 Porsche Ag Verriegelungsvorrichtung zwischen einem Zündschloß und dem Wählhebel eines automatischen Kraftfahrzeuggetriebes
JPH0650415A (ja) * 1992-07-28 1994-02-22 Fuji Kiko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DE4225182A1 (de) * 1992-07-30 1994-02-03 Porsche A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des Zündschlüssels eines Kraftfahrzeuges mit dem Wählhebel eines Automatikgetriebes
DE4426533C1 (de) * 1994-07-27 1996-03-07 Porsche A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des Zündschlüssels eines Kraftfahrzeuges mit dem Wählhebel eines Automatikgetriebes
ES2120321B1 (es) * 1995-02-23 1999-05-01 Fico Triad Sa Dispositivo de bloqueo de la palanca del cambio de velocidades automatico de vehiculos automoviles.
US5551266A (en) * 1995-05-22 1996-09-03 Chrysler Corporation Manual transmission shifter to ignition interlock
DE19626013C1 (de) * 1996-06-28 1997-12-11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Vorrichtung mit einem Wählhebel für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DE19811972C2 (de) * 1998-03-19 2000-01-13 Lemfoerder Metallwaren Ag Wählvor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US6176809B1 (en) 1999-04-22 2001-01-23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reverse and ignition key interlock
JP3532118B2 (ja) * 1999-05-31 2004-05-3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DE10255214B4 (de) * 2002-11-27 2006-05-04 Daimlerchrysler Ag Sperreinrichtung für einen Wahlhebel und Verfahren zum Sperren eines Wahlhebels
US9403437B1 (en) 2009-07-16 2016-08-02 Scott D. McDonald Driver reminder systems
KR101113570B1 (ko) * 2009-12-01 201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US9726284B2 (en) 2015-04-30 2017-08-08 Honda Motor Co., Ltd. Neutral-hold mod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0613A (en) * 1969-11-25 1971-07-06 Gen Motors Corp Coincidental vehicle steering column and floor shift lock
US4235123A (en) * 1979-01-11 1980-11-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transmission manual shift control assembly with a park lock mechanism
US4232571A (en) * 1979-02-12 1980-11-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oor mounted shift control mechanism with drive transmitting cables
JPS60135352A (ja) * 1984-03-27 1985-07-18 Isuzu Motors Ltd 変速レバーと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US4854193A (en) * 1988-03-25 1989-08-08 Babcock Industries Inc. Key interlock system for automatic floor mounted transmission shif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571U (ko) 1990-01-17
US4967883A (en) 1990-11-06
CA1312259C (en) 199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141Y1 (ko)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 장치
KR920005490Y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JPH0429154Y2 (ko)
KR910007749Y1 (ko)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JP2713971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5167308A (en) Combination brake/park lockout and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JPH0714916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353135B2 (ko)
GB2362933A (en) Locking arrangement between a vehicle shift lever and an ignition key cylinder
JPH07266908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3938822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650415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US6006887A (en) Shift lock mechanism of colum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JP3488071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452133Y2 (ko)
JP3011650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2926678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3842479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ハンドル機構
JP2846315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制御装置
JP2897935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解除装置
JP3920434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EP0823575B1 (en) Shift lock mechanism for steering colum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JP2970522B2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ロック装置
JPH04357365A (ja) 自動変速装置付き自動車用の駐車ロック機構
JP2908453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