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063B1 -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063B1
KR960007063B1 KR1019940020548A KR19940020548A KR960007063B1 KR 960007063 B1 KR960007063 B1 KR 960007063B1 KR 1019940020548 A KR1019940020548 A KR 1019940020548A KR 19940020548 A KR19940020548 A KR 19940020548A KR 960007063 B1 KR960007063 B1 KR 96000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or lever
locking device
block
pin
lev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245A (ko
Inventor
박학락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063B1/ko
Publication of KR96000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레버기구에 의한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상태도.
제 2 도는 셀렉터 레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 셀렉터 레버의 정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를 장착한 셀렉터 레버기구의 부분 측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셀렉터 레버기구를 90°회전시킨 부분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의 평면도.
제7a-c도는 각각 본 발명의 록킹장치의 작동설명을 위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셀렉터 레버 4 : 솔레노이드
5 : 핀 12 : 블럭
13 : 내부 공간부 14 : 돌출턱
본 발명은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변속차량에서는 주차시 변속용 셀렉터 레버를 주차위치 "P"에 놓게 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시동을 걸지 않는 한 셀렉터 레버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주차시 어린 아이들의 장난 또는 실수로 셀렉터 레버가 구동위치로 바뀔 수 없게 하여 차량이 움직일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종래의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 볼 수 있듯이 셀렉터 레버(1) 하단에 고착된 핀(10)을 록킹 또는 해제시키도록 큰솔박스(2) 내에 레버기구를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즉, 시동시 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솔레노이드(4)가 통전되어 작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블럭(5)을 밀게되고 그에 연결된 릴리즈 레버(6)가 피보트축(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릴리즈 레버(6)와 스프링(11)에 의해 연결된 폴(pawl : 9) 또한 피보트 축(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폴(9)에 의해 록킹상태로 되어있던 제 2 도의 셀렉터 레버(1)의 하부에 장착된 핀(10)이 해제되어 도면에서 우측으로 셀렉터 레버(1)을 구동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셀렉터 레버(1)를 주차위치로 이동시키고 시동을 끄면 솔레노이드(4)의 로드가 복귀되어 블럭(5)을 당기게 되고 제 1 도와 같이 핀(5)이 폴(9)에 의해 록킹되어 셀렉터 레버(1)를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위와 같이 레버기구에 의한 셀렉터 레버(1)의 록킹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가공 및 조립작업이 많이 소요됨과 함께 부품의 수가 많아 마모등으로 부품교체의 필요성도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레버기구에 의한 복잡한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를 개선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킴과 함께 동작의 확실성을 보장하며,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줄임으로써 결과적을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콘솔박스에 내장되는 솔레노이드의 로드 선단에 결합되고 돌출턱이 형성된 내부 공간부를 지니며 셀렉터 레버 하단의 핀을 파지 수용하도록 된 블럭을 포함하며, 솔레노이드가 통전되어 작동하면 블럭을 당겨서 셀렉터 레버 하단의 핀이 해제되어 셀렉터 레버를 다른 위치로 전환할 수 있는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를 채텍한 셀렉터 레버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 5 도는 제 4 도 장치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로 본 발명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 4 도와 제 5 도는 셀렉터 레버가 주차위치 "P"에 위치한 상태의 셀렉터 레버(1) 하단의 핀(5)이 블럭(12)에 파지 수용된 록킹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블럭(12)은 상기 핀(5)와 대향하여 돌출턱(14)이 형성된 내부 공간부(13)를 지닌다. 제 4 도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5)이 블럭(12)의 돌출턱(14)과 공간부(13)의 벽 사이에 파지 수용되면 셀렉터 레버(1)를 구동위치로 전환시킬 수 없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의 블럭(12)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7a도, 제7b도 및 제7c도는 셀렉터 레버(1)의 하단에 고착된 핀(5)과 본 발명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의 블럭(12)과의 결합위치에 따른 해제·록킹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7a도는 셀렉터 레버(1)가 주차위치 "P"로 조작된 경우로 핀(5)이 블럭(12)의 내부 공간부(13)에서 돌출턱(14)과 공간부(13)내의 내벽 사이에 파지 수용되며 이때 셀렉터 레버(1)는 록킹되어 다른 위치로 전환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더라도 차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어린이등이 장난하더라도 불측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운전자가 시동을 걸면 솔레노이드(4)가 통전되고 작동하여 제7b도와 같이 로드(15)가 후퇴하여 블럭(12)을 하향 이동시키면 핀(5)이 파지수용상태에서 해제되며 이때 셀렉터 레버(1)를 구동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7c도는 셀렉터 레버(1)를 구동위치에서 주차위치 "P"로 전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셀렉터 레버(1)를 주차위치로 밀어 넣으면 먼저 핀(5)이 블럭(12)에 형성된 돌출턱(14)에 걸리지만, 상기 돌출턱(14)의 외측은 둥글게 라운드져 있고 그 반대측은 수직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셀렉터 레버(1)를 미는 힘에 의해 핀(5)이 돌출턱(14)의 라운드 부분을 밀고 그에 작용하는 수직하향의 분력에 의해 블럭(12)이 하향이동하여 제7a도의 상태로 파지수용되며, 따라서 셀렉터 레버(1)가 록킹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솔레노이드(4)와 결합된 돌출턱(14)이 형성된 내부 공간부(13)를 지닌 블럭(12)의 결합으로 구성된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는 종래의 레버기구에 비하여 극히 간단한 구조로 확실한 셀렉터 레버 록킹기능을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레버기구에 의한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에 비하여 제조 및 보수비용의 절감, 보다 확실한 록킹기능의 보장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솔레노이드(4)의 로드(15) 선단에 블럭(12)이 결합되고, 상기 블럭(12)은 내부 공간부(13)를 지니고 셀렉터 레버(1)의 하단에 고착된 핀(5)에 대응하여 돌출턱(14)이 상기 내부 공간부(13)에 형성되어 블럭(1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셀렉터 레버(1)의 핀(5)을 록킹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14)은 셀렉터 레버(1)의 핀(5)에 대향하는 부분은 라운드져 있고 그 반대쪽은 수직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KR1019940020548A 1994-08-19 1994-08-19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KR96000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548A KR960007063B1 (ko) 1994-08-19 1994-08-19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548A KR960007063B1 (ko) 1994-08-19 1994-08-19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245A KR960007245A (ko) 1996-03-22
KR960007063B1 true KR960007063B1 (ko) 1996-05-27

Family

ID=1939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548A KR960007063B1 (ko) 1994-08-19 1994-08-19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0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245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750Y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JPH0429154Y2 (ko)
US4671085A (en) Vehicle gear shift lever locking apparatus
JP2713971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20040079613A1 (en) Shift lock device for a shift lever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167308A (en) Combination brake/park lockout and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US5255570A (en) Safety shift-lock device for selector of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KR960007063B1 (ko) 자동변속 차량의 셀렉터 레버 록킹장치
JPS6346288Y2 (ko)
JPH09109719A (ja) 自動変速車輌用変速レバーのロック装置
JPH0452133Y2 (ko)
KR970008045B1 (ko) A/t 차량의 레버 시프트 록 및 키이 인터록 장치
KR100440351B1 (ko) 칼럼at용시프트레버장치의시프트록기구
JPH0710652B2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ロック装置
JPH0423214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解除機構の取付構造
JP2846315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制御装置
KR100301288B1 (ko) 자동차용체인지레버의록킹해제장치
JPS6341249Y2 (ko)
KR920004190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록킹장치
JPH04283133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解除装置
KR970004800Y1 (ko) 자동변속기의 긴급해제장치의 로울러지지부
KR970004798Y1 (ko) 자동변속기의 p레인지고장시 긴급해제구조
KR970004801Y1 (ko) 자동변속기의 p레인지고장시 긴급해제장치의 로울러지지구조
JP3132223B2 (ja) 自動変速機の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KR100259649B1 (ko) 자동변속기용변속레버의시프트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