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329Y1 -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29Y1
KR920000329Y1 KR2019880015176U KR880015176U KR920000329Y1 KR 920000329 Y1 KR920000329 Y1 KR 920000329Y1 KR 2019880015176 U KR2019880015176 U KR 2019880015176U KR 880015176 U KR880015176 U KR 880015176U KR 920000329 Y1 KR920000329 Y1 KR 920000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lock
stop pin
movabl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708U (ko
Inventor
하지메 이마이
쇼오조 기또
쇼이찌 하라다
요시노부 요코하마
슈우지 나까무라
시게또시 미요시
다다오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리까덴끼세이사꾸쇼
무라세하루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180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032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4064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44682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4064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915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508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9228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리까덴끼세이사꾸쇼, 무라세하루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까이리까덴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06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25Transmission
    • Y10T70/5934Selective-type shift rod, fork or b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제1도는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를 로킹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의 1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개략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와 상응하는 도면이나, 제5도에 도시된 상태와 다른 상태의 동작을 도시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제3실시예의 전기 회로도.
제8도는 솔레노이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도시하는 선도.
제9도는 제5도와 상응하나,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는 도면.
제10도는 제6도와 상응하는 도면.
제11도는 제5도와 상응하나,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2도는 제6도와 상응하나,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기본부분의 정면도.
제14도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상태의 제7실시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201 : 시프트레버 2,102 : 플레이트
3,203 : 축 4,104,204 : 멈춤플레이트
5,205 : 잠금단계 7,107,207 : 멈춤핀
8,106,208 : 로킹리세스 9,108,209 : 푸쉬버튼
10,210 : 이동부재 13,113 : 로크레버
14 : 제어선 110,143 : 로크부재
115 : 솔레노이드 116 : 가동기봉
119 : 코일압축스프링 120 : 점화스위치
121 : p위치검출스위치 122 : 풋트브레이크 스위치
123∼126 : 트랜지스터 127,128 : 커패시터
129∼131 : 다이오우드 132∼141 : 저항
214 : 레버부재 217 : 아암
본 고안은 시프트레버가 어떤 상황 아래에서 중립 또는 주차위치와 같은 비운전위치로 부터 이동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를 로킹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변속기를 갖는 자동차를 주차할때, 주차브레이크를 넣고 자동차를 떠나기 전에 P (주차)위치에 자동변속기 시프트레버를 설정함에 의하여 자동차를 비구동 상태로 두는 것이 통상적이다.
자동차를 재시동할때, 운전자를 레버를 여전히 P 위치에 둔 채로 엔진의 시동을 걸고, 다음에 시프트레버를 R (역전)위치를 지나 D (주행)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P 위치로부터 D 위치로 이동중에 자동차가 역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풋트브레이크(foot brake)를 계속 밟고 있어야 한다.
보통 시프트레버의 이동은 여러가지 다른 작용과 연동되어 있다. 예를들면 연동기구(interlocking mechanism)는 시프트레버를 이동시키면 스티어링로 킹장치와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P 위치 또는 N(중립)위치와 같은 비구동 위치에서 시프트레버를 이동시키는 것은 어떤 상태의 스티어링 로크 아래서는 방지된다.
이러한 연동기구는 운전자가 레버의 노브(nob)상의 버튼을 누르고 해제시킴에 따라 작동위치와 비작동 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멈춤핀(detent pin)에 작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버튼을 작동시키는 것은 멈춤핀에 접속된 연동기구의 존재에 따라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연동기구의 작동은 시프트레버 노브상의 버튼에 가하는 수동의 누름력에 의하여 불편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또한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프트레버 노브상에 운전자가 가하는 수동력에 의하여 연동기구상에 야기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뿐만 아니라, 연동기구의 존재에 따라 시프트레버노브가 작동함으로서 야기되는 좋지못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변속기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비구동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시프트 위치중의 한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이에 설정되는 자동변속기 시프트레버를 로킹하기 위한 시프트레버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장치는, 시프트레버에 설치된 버튼을 누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고 시프트레버상에 제공되는 멈춤핀과 멈춤핀과 상호작동하여 상기 위치중의 한 위치에 시프트레버를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고, 시프트레버를 비구동 위치에 설정한 후에 멈춤핀이 타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될수 있는 로킹리세스를 갖는 멈춤 플레이트와, 적어도 멈춤핀이 로킹리세스와 맞물리고, 멈춤핀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핀과 맞물리는 로크위치와 멈춤핀이 이동할 수 있도록 멈춤핀으로 부터 해제되는 언로크(unlock)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와, 이동부재가 로크위치로 부터 이동할 수 없는 제1위치와 이동부재가 로크위치로 부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시프트레버가 비구동 위치에 있으면서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시킬때 제2위치로 부터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로크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시 미리 정한 조건이 만족되며 이동부재를 로크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로크부재는 제2위치로 부터 제1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황에서, 푸쉬버튼을 누를지라도 멈춤핀을 로킹리세스로 부터 해제시킬 수 없도록 멈춤핀은 이동이 허용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는 비구동 위치에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다.
본 고안의 제1양상에서, 로크부재가 각기 제위치나 제2위치에 있을때, 이동부재와 맞물리거나 이동부재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므로 로크부재가 제2위치에 있을때, 운전자가 푸쉬 버튼상에 가하는 수동의 누름력은 로크부재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그렇지 않으면 야기될 수 있는 버튼 작동시의 열화를 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들을 파악할때,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명백해진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는 플레이트(2)상에 설치된 축(3)에 의해 형성된 지점(fulcrum)주위를 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는 시프트레버(1)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2)에 고정된 멈출플레이트(4)는 맞물림 개구부(6)를 가지고 있고, 그 상단부는 시프트레버(1)의 선회방향으로 형성되어서, P(주차) 위치, R (역전) 위치, N(중립) 위치, D(주행) 위치, 2nd 범위위치와 L(저범위) 위치를 포함하는 다수 시프트 위치중의 한 위치로 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시프트레버가 이동할때 시프트레버(1)의 이동 범위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이후 설명될 멈춤핀(7)과 상호 작동하는 잠금단(5)(latching steps)을 제공한다. 레버(1)가 P 위치에 있을때, 멈춤핀(7)이 위치하는 개구부(6)의 상단부는 로킹리세스(8)가 되도록 톱니형상(notched)을 한다.
멈춤핀(7)은 시프트레버(1)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구성은 멈춤핀(7)이 슬롯의 저단부로 이동하는데 적합하므로 시프트레버(1)의 노브상에 형성된 푸쉬버튼(9)을 운전자가 누를때, 잠금단(5)으로 부터 이격될 수 있다. 푸쉬버튼을 해제시킴에 따라 멈춤핀(7)은 시프트레버위치(P, R, D, 2nd, L)중의 한 위치에 대응하는 잠금단의 하나와 맞물리는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는 선택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동부재(10)는 멈춤플레이트(4)에 의하여 활주 가능하도록 지지되어서, 축(3)과 시프트레버의 P위치에 대응하는 로킹세리스(8)를 상호 접속하는 라인을 따라서 활주 가능하게 된다. 이동부재(10)의 상부에는 제1도에 도시된 것 처럼, 맞물림 개구부(6)와 대면하도록 오른쪽의 개방된 맞물림 리세스(11)가 제공된다. 이동부재(10)의 상부에는 제1도에 도시된 것 처럼, 맞물림 개구부(6)와 대면하도록 오른쪽의 개방된 맞물림 리세스(11)가 제공된다. 이동부재(10)에는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그 좌측하부상에 맞물림단(engaging step) (12)이 설치된다. 로킹부재로서 로크레버 (13)는 멈춤플레이트(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동부재(10)가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저위치에 있을때, 로크레버(13)의 상부는 이동부재(10)의 측면과 접하고 있어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이 방지되며, 반면에 이동부재(10)가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로크 위치에 고정될때, 로크레버(13)는 그 상단부가 이동부재(10)의 만물림단(12)과 맞물리게 될때까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제어선(14)의 일단은 로크부재(13)의 하단에 접속되며, 반면에 제어선(14)의 타단은 스티어링 로크장치에 접속된다.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해제될때, 로크레버(13)는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작동된다. 이 실시예의 작동은 이후에 설명한다.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비작동 상태에서, 로크레버(13)는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시프트레버(1)는 N위치에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어떤 실질적 저항없이 시프트레버(1)를 N위치로 부터 D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시프트레버(1)를 좀더 이동시키는 것은 멈춤핀(7)이 D위치에 대응하는 잠금단의 벽과 접촉하기 때문에 방지된다. 이 레버를 2nd위치 또는 L위치로 이동시키려면 멈춤핀(7)이 D위치에 대응하는 잠금단과 맞물리지 않는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운전자가 푸쉬버튼(9)을 누름에 따라 시프트레버(1)를 2nd 위치 및 L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시프트레버를 L위치로 부터 2nd 위치와 D위치를 지나 N 위치로 복귀 이동시키는 것은, 시프트레버(1)를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때 멈춤핀(7)이 잠금단을 따라 활주 가능하기 때문에 푸쉬버튼(9)을 미는 동작이 없이도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멈춤핀(7)을 자유로이 하기 위하여 푸쉬버튼(9)을 눌러서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시프트레버(1)를 N위치로 부터 R 위치로 더나아가서는 P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시프트레버(1)를 R 위치로 부터 N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은 푸쉬버튼(9)을 누르지 않고도 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1)가 P 위치이외의 위치에 있을때, 이동부재(10)는 중력에 의하여 하향으로 이동되어서 로크레버(13)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엔진키이를 “엔진오프”위치로 방향을 바꾸더라도, 엔진키이는 로킹위치로 회전할 수는 없다. 이런 상태에서 엔진키이를 스티어링 로킹장치로 부터 뺄 수 없다. 그러나, 운전자가 푸쉬버튼(9)을 누르면서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시프트레버(1)를 P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멈춤핀(7)은 저위치에 배치되는 이동부재(10)의 맞물림 리세스(11)와 맞물리게 된다. 푸쉬버튼(9)을 이 상태로 부터 해제시킴에 따라, 멈춤핀(7)은 이동부재(10)를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로크위치로 들어올리면서 로킹리세스(8)와 맞물리게 되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엔진키이를 스티어링 로크위치로 회전시킬때, 로크레버(13)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그 단부가 맞물림단(12)과 맞물리게 한다. 이동부재(10)와 멈춤핀(7)은 푸쉬버튼 (9)을 누름에도 불구하고,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멈춤핀(7)은 로킹리세스(8)에 수용되어서 시프트레버 (1)가 P 위치로 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설명된 것처럼 본 고안의 로킹장치의 제1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설정할 수 없고, 동시에 시프트레버(1)가 P 위치에 없는한, 엔진키이를 뺄 수 없다. 이것은 엔진키이가 자동차의 주행중에 스티어링 로크장치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래서 엔진키이는 시프트레버(1)가 미리 P 위치에 있는 것을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로크위치로 회전한 후에만 단지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자동차를 떠나기 전에 자동차를 틀림없이 비구동 상태에 둘 수 있다. 일단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엔진키이의 작동으로 작동하게 되면 시프트레버(1)는 P 위치에 고정되고, 스티어링 로크를 엔진키이에 의하여 풀지 않는한, 다른 위치로 결코 이동될 수 없다. 즉, 엔진키이를 소지하는 운전자만이 시프트레버(1)를 P 위치로 부터 풀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시프트레버(1)는 특정 비구동위치, 즉 P 위치에서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엔진키이에 의하여 작동하게 되는 특정조건하에 고정된다. 시프트레버(1)는 풋트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P 위치에 로크되고 풋트 브레이크를 밟으면 언로크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시프트레버가 비구동 위치인 N 위치에 로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실시예의 로크레버(13)를 대신하여 로크부재로서 제공되는 로크 플레이트(15)는 이동부재(10)의 맞물림단(12)과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플레이트(4) 의하여 활주 가능하게 운반된다. 작동뿐만 아니라 제2실시예의 다른 부분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로킹장치의 제3실시예에는 화살표 C의 방향 및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 축(103)에 의하여 제공된 지점주위를 선회 운동하도록 플레이트(102)상에 설치되는 시프트레버(101)가 있다.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플레이트(102)에 부착된 멈춤플레이트(104)는 맞물림 개구부(105)를 가지고 있으며, 그 상단부는 시프틀버(101)의 선회이동의 경로를 따라서 P, R, N, D, 2nd 및 L 위치중의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시프트레버(101)를 잠그기 위한 맞물림 또는 잠금단을 제공한다. 시프트레버(101)의 P위치에 대응하는 맞물림 개구부(105)의 상단부가 톱니형상을 함에 따라 로킹리세스(106)로 제공된다.
멈춤핀(107)은 시프트레버(101)의 하부에 제공되어서, 잠금단을 제공하는 맞물림 개구부(105)의 상단과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도록 시프트레버(101)의 벽에 형성된 세장형 슬롯을 따라 시프트레버(10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운전자가 시프트레버(101)의 노브(101a)상에 제공된 푸쉬버튼(108)을 누를때, 멈춤핀(107)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맞물림 개구부(105)의 상단부에 의해 제공된 잠금단의 하나로 부터 해제된다. 운전자가 푸쉬버튼(108)을 해제할때, 멈춤핀(107)은 맞물림 개구부의 상단부에 의해 제공된 잠금단의 하나와 맞물리는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멈춤된(107)은 시프트레버(101)의 이동을 제한할때 멈춤플레이트 (104)와 상호작동한다.
참고번호(109)는 멈춤플레이트(104)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고 참고번호(110)는 화살표 D의 방향 및 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 활주이동을 하기 위하여 가이드 부재(109)부재에 의해 운반되는 로크부재(이동부재)를 나타낸다. 로크부재 (110)는 그 상단부가 제6도의 로킹리세스(106)와 대면 하도록 제5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좌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맞물림 리세스(111)로 제공된다. 또한 로크부재(110)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하부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장치에서 로크부재로서 제공되는 로크레버는 핀(114)주위를 선회이동하기 위하여 핀(114)으로 플레이트 (102)에 고정된다.
참고번호(115)는 플레이트(102)의 하부상에 설치되고, 전기 가동장치로 제공되는 솔레노이드를 지칭한다. 솔레노이드(115)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으로 돌출하는 가동기봉(116)(actuator rod)을 가지고 있다. 가동기봉(116)의 단부는 핀 (118)을 통하여 로크레버(113)의 저부에 접속되는 지지구(117)을 운반한다. 코일압축스프링(119)은 지지구(117)와 솔레노이드(115)의 사이에 장입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15)는 다음의 3조건이 모두 만족될때에, 단지 통전되도록 되어있다. 즉, 시프트레버(101)를 P 위치에 설정하고, 점화 스위치를 켜고,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는 조건이다. 솔레노이드(115)가 통전될때, 가동기봉(116)은 코일압축스프링(119)의 힘에 반하여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전자기적으로 흡인되어서, 로크레버 (113)를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 3가지 조건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솔레노이드(115)는 통전되지 않으므로 가동기봉(116)은 화살표 E의 반대방향으로 코일압축스프링(119)의 힘에 의해 밀려나고 이에 따라 로크레버(113)는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제7도를 참조하여 솔레노이드(115)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에 의하면, 이 회로는 점화 스위치(120)와, 시프트레버가 P 위치에 설정됨을 검출하기 위한 P 위치검출스위치(121)와,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았을때 켜지도록 된 풋트브레이크 검출스위치(122)를 포함한다. 이 회로는 트랜지스터(123 내지 132)와, 커패시터(127,128)와, 다이오우드(129 내지 131)와, 저항(132 내지 141)및 제너다이오우드(14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회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솔레노이드 (115)는 점화 스위치(120)와, P 위치검출스위치(121)와 풋트브레이크스위치(122)중의 하나가 오프상태에 있을때는 통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가동기봉(116)은 압축스프링(119)의 힘에 의하여 화살표 E의 반대방향으로 전진한다. 점화스위치 (120)는 운전자가 점화키이를 돌릴때 켜진다. P위치검출스위치(121)는 시프트레버 (101)가 P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면 켜진다. 풋트브레이크스위치 (122)는 운전자가 풋트브레이크를 밟을때 켜진다. 이 3가지 스위치가 모두 켜질때, 즉 전에 언급한 이 3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될때 트랜지스터(123)는 트랜지스터(124)및 트랜지스터(125,126)은 온(on)되도록 턴온(turn on)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15)에 전력이 공급되면, 이에 따라 가동기봉(116)은 압축코일스프링(119)의 힘에 반하여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8도로 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기동시 솔레노이드(116)에 공급된 전력의 전압은 12V이다. 트랜지스터(125)는 트랜지스터(125)의 기부에 접속된 커패시터 (127)가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시간 t 동안 충전될때 오프(off)된다. 그 후에 솔레노이드(115)는 트랜지스터(126)와 저항(132)을 통하여 단지 통전되므로,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115)에 인가된 전압은 약 8V로 저하된다. 점화스위치(120), P위치검출스위치 (121) 및 풋트브레이크스위치(122)중의 하나가 오프될때, 즉 상기 언급된 3가지 조건중의 적어도 하나가 더 이상 지속되지 않을때, 커패시터(127)의 방전중에 전원치가 저항(136)에 발생하여서, 베이스 전류가 트랜지스터(126)을 오프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126)의 베이스를 통하여 흐른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115)가 오프되어 있을때, 가동기봉(116)에 의하여 야기될수도 있는 충격은 유리하게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점화스위치(120)가 온상태에 있고 시프트레버(101)가 P 위치에 있을때, 풋트브레이크페달은 밟고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멈춤핀(107)은 멈춤플레이트(104)의 로킹 리세스(106)에 수용되고, 로크부재(110)의 맞물림 리세스와 맞물리며, 이에 따라 로크부재(110)는 로크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솔레노이드(115)는 오프상태는 지속되어서 솔레노이드(115)의 가동기봉 (116)은 코일스프링(119)의 힘에 의하여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전진한다.
그러므로, 로크레버는 실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상단이 로크부재(110)내의 톱니(112)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멈춤핀(107)과 맞물리는 로크부재(110)는 로크레버(113)에 의하여 정지되기 때문에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멈춤핀(107)은 시프트레버(101)상의 푸쉬버튼(108)을 누를지라도 하향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시프트레버(101)는 P 위치로 부터 다른 시프트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시프트레버(101)는 운전자가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지 않을때 이동하지 않도록 P위치에 고정된다. 운전자가 풋트브레이크를 밟을때, 솔레노이드 (115)는 턴온되어서, 가동기(116)는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흡인되고, 이로써 로크레버(113)는 2점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로크레버 (113)는 로크부재(110)를 자유로이 하기 위하여 로크부재(110)에서 이격된다. 푸쉬버튼(108)을 이 상태에서 누를때, 멈춤핀(107)은 로크부재(110)와 같이 화살표 D 방향으로 하향으로 이동하여 로크부재(110)는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언로킹 위치에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멈춤핀(107)은 로킹 리세스(106)로 부터 이격되고,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101)는 P위치로 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단 시프트레버(101)가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타 위치, 예를들면 N위치로 이동하면, P 위치검출스위치(121)는 오프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115)는 비통전되고, 이로써 로크레버(113)는 제6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그 단부가 로크부재 (110)의 우측단부와 접속하도록 코일압축스프링(119)의 힘에 의하여 전진한다. 시프트레버 (101)가 P 위치 이외의 어느 한 위치에 설정되는 한,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음에 따라 풋트브레이트스위치(122)가 온된다 할지라도 솔레노이트는 결코 통전되지 않는다. 운전자가 푸쉬버튼(108)을 누르면서 시프트레버(101)를 P위치로 이동하였을때, 멈춤핀 (107)은 로크부재(110)내의 맞물림 리세스(111)와 맞물리게 된다. 다음 푸쉬버튼을 해제하였을때, 로크부재(110)와 같이 멈춤핀(107)은 화살표 D의 반대방향인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로크부재(110)가 로크위치에 설정되면서, 멈춤핀(107)은 로킹리세스(106)와 맞물리게 된다. 이 결과, 로크부재(110)의 우측단부와 접촉하는 로크레버(113)는 로크부재(110)에 형성된 톱니(112)에 물릴 수 있도록 코일압축스프링 (119)의 힘에 의하여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며,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 (101)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P위치에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앞의 설명으로 부터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지 않는한, 시프트레버(101)를 P위치에 설정하면서 점화키이를 턴온시키더라도 솔레노이드(115)는 결코 통전되지 않는다. 즉, 운전자는 시프트레버 (101)를 P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구성은 운전자가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지 않으면서 시프트레버를 P위치에서 D, 2nd 또는 L위치와 같은 구동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한 구성으로서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장점은 다음과 같다. 솔레노이드(115)는 다음의 3가지 조건, 즉 시프트레버(101)를 P위치에 설정하고, 점화스위치(120)를 턴온시키고, 풋트브레이크를 밟는것과 같은 3가지 조건 모두가 동시에 만족될때 단지 통전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115)는 시프트레버(101)가 P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면 풋트브레이크를 밟더라도 결코 통전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로킹 및 언로킹 기구의 내구성은 풋트브레이크를 밟을때마다 로크레버가 회전하도록 풋트브레이크에 기계적으로 접속된 구성과 비교할때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설명한대로 제3실시예는 다음의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즉, 제3실시예에서, 로크레버(113)는 멈춤핀(107)과 솔레노이드(115)의 가동기봉(116)의 사이에서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시프트레버(101)는 P위치로 설정한채로 운전자가 푸쉬버튼(108)에 가한 수동의 압력은 멈춤핀(107)을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며, 가동기봉(116)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동기봉(116)이 손상되고 변형되는 위험은 이 장치가 멈춤핀이 직접 가동기봉(116)상에 직접 작용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피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115)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4실시예는 다음의 특성에 의하여 제3실시예와 구별되고 있다. 즉,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에 구성된 로크레버(113)를 결하고 있어서, 로크부재(110)와 솔레노이드(115)와의 사이에서 작용한다. 게다가 솔레노이드(115)는 로크부재(110)의 우측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가동기봉(116)은 시프트레버(101)가 P위치에 설정된채 솔레노이드(115)가 통전되지 않을때, 압축코일스프링(119)의 힘에 의하여 화살표 E의 반대방향으로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 가동기봉(116)은 로크부재(110)내의 톱니(112)와 직접 맞물리기 때문에 로크부재(110)를 로크위치에 지지하게 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115)가 턴온될때, 가동기봉(116)은 로크부재(110)로 부터 멀리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흡인되고, 이에 따라 로크부재는 자유롭게 된다. 시프트레버(101)가 P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에 있을때, 솔레노이드 (115)는 통전되지 않기 때문에 가동기봉(116)은 로크부재 (110)의 우측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실시예는 로크부재 (143)가 지점(144)(fulcrum)의 주위를 회전하는 제3 및 제4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제11도에 의하면, 솔레노이드(115)는 시프트레버(101)가 P위치에 설정된채로 통전되지 않을때, 가동기봉(116)이 코일압축스프링(119)의 힘에 의해 화살표 E의 반대방향으로 전진하고 이에 따라 로크부재(143)가 화살표 H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크부재(143)내의 톱니(145)와 맞물림을 유지하고, 따라서 로크부재 (143)는 로크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115)가 통전할때, 가동기봉(116)은 로크부재(143)의 톱니(145)와의 맞물림으로 부터 2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E의 방향으로 후퇴한다. 결과적으로 로크부재(143)는 화살표 H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시프트레버(101)가 P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에 있을때, 솔레노이드(115)는 통전되지 않아서, 가동기봉 (116)은 제12도에 도시된 것처럼 로크부재(143)의 측단부와 접촉을 유지한다.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다. 제6실시예는 솔레노이드(115)가 그 가동기봉(116)이 멈춤플레이트(104)에 직각으로 신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앞서의 실시예들과는 구별된다. 이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115)가 통전되지 않을때, 가동기봉(116)은 제13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화살표 E의 반대방향으로 코일압축스프링(119)의 힘에 의하여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 가동기봉(116)은 로크부재 (110)의 저단부와 접촉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로크부재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로크부재(110)는 로크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 (115)가 턴온될때, 가동기봉(116)은 로크부재(110)로 부터 멀리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수축되고, 이에 딸 로크부재(110)는 제13도에서 2점 쇄선에 의하여 도시된 것처럼 자유롭게 된다. 설명된대로 제3∼내지 6실시예에서, 로크부재는 로크위치에 유지되어서 솔레노이드(115)가 비통전 되었을때 시프트레버(101)를 로크하고, 솔레노이드(115)가 통전될때 시프트레버(101)를 자유로이 언로크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단지 도식적이다. 즉, 설명된 것처럼 제3∼제6실시예는 솔레노이드(115)가 통전될때 시프트레버 (101)가 로크되고, 솔레노이드(115)가 비통전될때 언로크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가동기는 솔레노이드가 통전될때 어느 한 위치로 이동한 가동기봉이 솔레노이드가 비통전될때 조차 그 위치에 유지되는 타입이다.
제3∼제6실시예에서 전기가동기로서 사용된 솔레노이드(115)는 전동기와 같은 상이한 타입의 전기가동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3∼6실시예는 P위치로 로킹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시프트레버 (101)의 비구동 위치인 N위치에 로크시키기 위하여 수정할 수 있다.
이후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대해서 제14도 및 제15도에서 설명한다.
시프트레버(201)는 화살표 Ⅰ의 바향 및 화살표 Ⅰ의 반대방향으로 기계프레임 (202)에 고정되어 있는 축(203)에 의해 형성된 지점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프레임(202)의 일측에 고정된 멈춤플레이트(204)는 맞물림 개구부(206)를 가지며, 이 상단부는 제14도에 명백하게 도시된 것처럼, 시프트레버(201)의 선회 방향으로 배치된 잠금단(205)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잠금단(205)은 제14도에 도시된 것처럼, P(주차) 위치, R(역전) 위치, N(중립) 위치, D(주행) 위치, 2nd 범위위치와 L(저점위)위치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레버위치의 하나로 선택적으로 시프트레버 (201)를 잠금으로써, 후에 언급한 멈춤핀(207)과 상호 작용하는데 적합하다. 로킹 리세스(208)는 시프트레버(201)의 P위치에 대응하는 맞물림 개구부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멈춤핀(207)은 이 레버(201)의 축방향으로 시프트레버(201)상에 이동가능하다. 시프트레버(201)의 상단에 제공된 푸쉬버튼(209)을 운전자가 수동으로 누를때, 멈춤핀(207)은 맞물림 개구부(206)의 상단에 제공된 잠금단과 맞물리지 않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푸쉬버튼을 해제할때, 멈춤핀(207)은 맞물림 개구부(206)의 상단에 제공된 잠금단의 하나와 맞물리도록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는 멈춤플레이트 (204)와 상호작동하기는 상기 언급한 복수개의 위치중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잠구어진다. 참고번호(210)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부재의 상부가 우측으로 개방된 맞물림리세스(211)로 제공되는 것은 나타낸다. 또한 이동부재(210)의 상부는 로킹 리세스(208)의 가까이에 멈춤플레이트(204)의 일부상에 제공된 핀(213)을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세장형호울 (212)로 제공된다. 맞물림 리세스(211)는 축(203)과 로킹 리세스(208)를 상호 접속하는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레버부재(214)의 우측단은 예를들면 축(215)을 통하여 도시된 것처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반면에 좌측단은 예를들면 축(215)을 통하여 도시된 것처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반면에 좌측단은 도시된 것처럼 축(216)을 통하여 이동부재(210)의 하단에 선회가능하게 접속된다. 레버부재(214)와 일체화된 아암(217)은 제1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부재 (214)의 우측단으로 부터 하향으로 신장한다.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선을 통하여 아암(217)의 단부에 접속된다.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레버부재(214)가 제15도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때 로킹조건에 있게된다.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로킹조건에 있을 때, 레버부재(214)는 화살표 J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아암 (217) 및 레버부재(214)는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언로킹 조건에 있을때 선회 가능하게 된다. 일단 아암(217)이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로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선회하면,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스티어링 장치를 로크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비작동 상태에 있고, 아암(217)이 제14도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선회한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시프트레버(201)을 N 위치로 부터 D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시프트레버를 2nd 위치 또는 L 위치로 더 이동시키는 것은 멈춤핌(207)이 D 위치용 잠금단(205)을 한정하는 리세스의 벽과 접하기 때문에 방지된다. 운전자가 자동변속기의 범위를 2nd 위치 또는 L 위치로 선택하기를 원한다면, 시프트레버(201)의 노브상의 푸쉬버튼(209)을 눌러야 한다.
전에 설명한 것처럼, 푸쉬버튼(209)을 누르면 멈춤핀(207)이 일방향으로, 예를들면 도시된대로 하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멈춤핀(207)은 D 위치용 잠금단을 한정하는 리세스의 상술한 벽을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시프트레버(201)는 2nd 위치로 이동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필요시 L 위치로 이동한다. 푸쉬버튼(209)을 누를 필요없이 단지 시프트레버(201)를 화살표 I의 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서 시프트레버는 L 위치로 부터 2nd 위치 및 D 위치를 지나 N 위치로 다시 복귀하는데 왜냐하면 이 경우에 멈춤핀(207)이 정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잠금단(205)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프트레버(201)는 화살표 I의 반대방향으로 동일하게 선회함에 따라 N위치로 부터 R 및 P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201)를 R위치로 부터 N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푸쉬버튼(209)을 누리지 않고도 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201)가 P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때, 이동부재(210)는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는데, 이에 따라 아암(217)은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로 화살표 J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로킹조건에 있을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엔진정지장치(engine-off position)로 회전된 엔진키이는 스티어링 로크위치로 전환될 수가 없어서 스티어링 로크장치로 부터 빠지지 않는다. 그러나 운전자가 푸쉬버튼(209)을 누르면서 시프트레버(201)를 화살표 I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멈춤핀(207)은 현재 하강된 위치에 있는 이동부재(210)의 맞물림 리세스 (211)와 맞물리게 되고, 시프트레버(201)를 P위치로 이동한 후에 푸쉬버튼 (209)을 해제하면 멈춤핀(207)은 타방향으로, 즉 이동부재(210)를 제 15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승위치로 들어올리면서 로킹 리세스(208)와 맞물리기 위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레버부재(214)는 이동부재(210)가 이동한 결과로서 제15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화살표 J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스티어링 장치를 로크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키이를 스티어링 장치로부터 빼기 위하여 스티어링 로크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작동에 따라 레버부재(214)는 화살표 J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 일방향 즉, 하방으로 멈춤핀을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멈춤핀 (207)은 로킹 리세스(298)로 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 (201)는 P위치로 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이 방지된다.
설명한 것처럼 제7실시예에서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작용시킬 수 없으므로 자동변속기이 시프트레버를 P위치에 설명하지 않는한, 엔진키이는 스티어링 로크장치로 부터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7실시예에는 또한 엔진키이가 자동차의 주행중에 빠지지 못하도록 한다. 자동차가 주차하고 있을때, 이것은 시프트레버(201)를 P위치에 설정시킬 것을 요구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가 작동한 후에만 엔진키이는 빠진다. 그래서 운전자는 주차된 자동차를 떠날때마다, 틀림없이 자동차를 비구동 상태로 로크할 수가 있다.
일단 엔진키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작동시키면 P 위치에 설정된 시프트레버(201)도 또한 이 위치에서 로크되어서 엔진키이를 가지고 다니면 운전자 이외의 어느 누구도 시프트레버(201)를 작동시킬 수가 없다.
설명한 것처럼 제7실시예는 이동부재(210)와 레버부재(214)가 서로 연결되는 축 또는 핀(216)을 이용한 분절 구조에 의하여 응력을 편리하게 분배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사실로 이들 부품들은 덜 비싼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제7실시예에서, 스티어링 장치를 엔진키이로 로크함에 따라 시프트레버(201)는 비구동 위치인 P 위치에 로크되지만 이것은 단지 도식적이며,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지 않으면 시프트레버(201)는 P 위치에 로크되고, 이 페달을 밟으면 시프트레버는 언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레버를 P 위치에 로킹하는 것이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시프트레버(201)를 자동변속기의 비구동 시프트 위치인 N 위치에 로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비구동 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시프트 위치중의 하나에 설정되고, 이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한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를 로킹하기 위한 시프트레버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위에 제공되는 버튼을 누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시프트레버상에 제공되는 멈춤핀과,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비구동 위치에 설정된 상기 멈춤핀이 타방향으로 이동할때 상기 멈춤핀을 수용할 수 있는 로킹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멈춤핀과 상호 작동하여 상기 시프트레버를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는 멈춤플레이트와, 상기 멈춤핀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멈춤핀과 맞물리는 로크위치와 이 멈춤핀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멈춤핀에서 이탈되는 언로크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이 멈춤핀이 상기 로킹 리세스와 맞물릴때 멈춤핀과 맞물릴 수 있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로크위치로 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위치와 이 이동부재가 상기 로크위치로 부터 상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비구동 위치에 설정되면서 미리 예정된 조건을 만족할때 상기 제2위치로 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가능한 로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의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부재와 맞물리며, 상기 제2위치의 상기 로크부재는 이동부재가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부재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를 이동시키는 가동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장치는 시프트레버를 P위치에 설정하고, 점화스취치를 켜고, 풋트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는 조건을 만족할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전기 가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핀이 타방향으로 이동한 다음에 상기 언로크 위치에서 상기 로크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가 상기 비구동 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멈춤핀에 의하여 맞물리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로크위치와 상기 언로크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로크위치와 상기 언로크 위치 사이에서 선회가능한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멈춤핀을 수용하기 위한 맞물림 리세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로크부재중의 하나는 리세스를 제공되며, 반면에 상기 부재중의 다른 하나는 결합돌출물로 제공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로크부재 사이의 맞물림은 결합 리세스와 돌출부 사이의 상호 맞물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레버로킹장치.
KR2019880015176U 1987-09-14 1988-09-14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KR9200003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40649U JPS6446825U (ko) 1987-09-14 1987-09-14
JP1987140648U JPH0429155Y2 (ko) 1987-09-14 1987-09-14
JP62-140648 1987-09-14
JP62-140649 1987-09-14
JP1987150888U JPH0519228Y2 (ko) 1987-10-01 1987-10-01
JP62-150888 1987-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08U KR890006708U (ko) 1989-05-15
KR920000329Y1 true KR920000329Y1 (ko) 1992-01-15

Family

ID=2731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176U KR920000329Y1 (ko) 1987-09-14 1988-09-14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003799A (ko)
EP (1) EP0307846B1 (ko)
KR (1) KR920000329Y1 (ko)
AU (1) AU593425B2 (ko)
DE (1) DE3868572D1 (ko)
ES (1) ES202930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7846B1 (en) * 1987-09-14 1992-02-26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Device for locking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JPH0719879Y2 (ja) * 1988-12-27 1995-05-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At車用シフトロック装置
DE3905698C1 (en) * 1989-02-24 1990-06-07 Audi Ag, 8070 Ingolstadt, De Device for locking the gear shift lever of a motor vehicle
US5255570A (en) * 1989-03-31 1993-10-26 Nissan Motor Company, Ltd. Safety shift-lock device for selector of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EP0390210A1 (en) * 1989-03-31 1990-10-03 Nissan Motor Co., Ltd. Safety shift-lock device for selector of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DE3911570C1 (ko) * 1989-04-08 1990-06-07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De
US5207740A (en) * 1990-05-30 1993-05-04 Fujikiko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H0417557U (ko) * 1990-05-31 1992-02-13
US5309744A (en) * 1990-08-10 1994-05-10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Locking apparatus for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5096033A (en) * 1991-01-17 1992-03-17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Lockout mechanism and system for vehicle shifter
US5167308A (en) * 1991-01-17 1992-12-0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Combination brake/park lockout and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US5211271A (en) * 1991-01-17 1993-05-18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Div. Of Jsj Corp. Lockout mechanism and system for vehicle shifter
US5293763A (en) * 1991-03-07 1994-03-15 Fuji Kiko, Ltd/Nissan Motor Co., Ltd. Gear select lever locking arrangement
DE4120380C2 (de) * 1991-06-20 1993-10-28 Porsche Ag Verriegelungsvorrichtung zwischen einem Zündschloß und dem Wählhebel eines automatischen Kraftfahrzeuggetriebes
DE4120382C2 (de) * 1991-06-20 1993-10-28 Porsche Ag Verriegelungsvorrichtung zwischen einem Wählhebel eines Getriebes und einem Zündschloß eines Kraftfahrzeuges
JPH0518459A (ja) * 1991-07-12 1993-01-26 Tokai Rika Co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ロツク装置
US5101680A (en) * 1991-07-19 1992-04-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hibitor for a manual transmission shift control
US5220984A (en) * 1992-04-20 1993-06-2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Div. Of Jsj Corporation) Shift mechanism
DE4217500A1 (de) * 1992-05-27 1993-12-02 Porsche A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Wählhebel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DE4225182A1 (de) * 1992-07-30 1994-02-03 Porsche A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des Zündschlüssels eines Kraftfahrzeuges mit dem Wählhebel eines Automatikgetriebes
US5314049A (en) * 1992-11-24 1994-05-24 Dura Mechanical Components, Inc. Shifter park position brake-transmission interlock
JP3234016B2 (ja) * 1992-12-17 2001-12-04 津田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ロック装置
US5421792A (en) * 1993-02-26 1995-06-06 Fujikiko Kabushiki Kaisha Shift lever apparatus
JP3207674B2 (ja) * 1994-05-31 2001-09-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ロックユニット
US5799517A (en) * 1994-08-30 1998-09-0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Vehicle locking device
JP3103291B2 (ja) * 1995-02-13 2000-10-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ロック装置
US5924540A (en) * 1995-11-22 1999-07-20 Daewoo Motor Co., Ltd. Selector lever lock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in a motor vehicle
US5647464A (en) * 1995-12-18 1997-07-15 Chrysler Corporation Releasable lock mechanism for gear shift lever
IT1286288B1 (it) * 1996-03-29 1998-07-08 Roltra Morse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un cambio automatico
US5662001A (en) * 1996-04-08 1997-09-02 Dura Automotive Services Manual shifter and ignition interlock
US5991674A (en) * 1996-05-02 1999-11-23 Chrysler Corporation Floor shifter linkage for robotic control of vehicle
US5861800A (en) * 1996-06-12 1999-01-19 Chrysler Corporation Ignition interlock and PRNDL indicator powering switch
DE19626013C1 (de) * 1996-06-28 1997-12-11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Vorrichtung mit einem Wählhebel für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DE19641706C1 (de) * 1996-10-10 1998-03-26 Daimler Benz Ag Anordnung zum Sperren einer Wähleinrichtung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Wechselgetriebes sowie ein Verfahren zum Steuern des Stellmotores in dieser Anordnung
US5862899A (en) * 1997-03-10 1999-01-26 Ut Automotive Dearborn, Inc. Brake-shift interlock
SE512909C2 (sv) * 1998-10-01 2000-06-05 Volvo Personvagnar Ab Anordning vid manöverspak för parkeringsbromsar
JP2001063395A (ja) * 1999-08-31 2001-03-13 Tokai Rika Co Ltd 不正使用防止用シフトレバーロック装置
US6899213B1 (en) * 2000-10-20 2005-05-31 Lankfer Diversified Industries, Inc. Brake-transmission interlock device
US20050044979A1 (en) * 2002-06-20 2005-03-03 Fort William H. Park pawl actuator
US6913104B2 (en) * 2003-02-26 2005-07-05 Mtd Products Inc Shift interlock mechanism
US20060049915A1 (en) * 2004-09-03 2006-03-09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USB port incorporated into vehicle access components
US9032830B2 (en) * 2010-10-29 2015-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shift selector assembly
KR101349404B1 (ko)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시프트/틸트 록킹 장치 및 방법
KR20130064916A (ko)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시스템
US8997966B2 (en) * 2012-11-07 2015-04-07 Honda Motor Co., Ltd. Sliding parking switch
US11326690B2 (en) * 2019-04-01 2022-05-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rake transmission shift interlock systems and control logic for motor vehicle powertrains
CN116136259B (zh) * 2023-03-29 2024-05-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换挡控制方法、装置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0320A (en) * 1969-04-30 1971-03-16 Chrysler Corp Transmission selector apparatus
JPS5345573B2 (ko) * 1972-03-11 1978-12-07
DE2366100C2 (de) * 1973-01-19 1979-07-19 Adam Opel Ag, 6090 Ruesselsheim Wählhebelanordnung für automatische Getriebe, insbesondere Kraftfahrzeuggetriebe
US3942614A (en) * 1974-06-24 1976-03-09 Thompson Owen L Gear selector safety lock
JPS595459B2 (ja) * 1978-09-13 1984-02-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パ−キング装置
US4235123A (en) * 1979-01-11 1980-11-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transmission manual shift control assembly with a park lock mechanism
US4232571A (en) * 1979-02-12 1980-11-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oor mounted shift control mechanism with drive transmitting cables
US4282769A (en) * 1979-12-07 1981-08-11 Fiat-Allis Construction Machinery, Inc. Transmission shifter neutral lock
US4304112A (en) * 1979-12-14 1981-12-08 Jsj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er with park lock
JPS6012165Y2 (ja) * 1979-12-21 1985-04-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4326432A (en) * 1980-04-17 1982-04-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oor mounted transmission shift console
JPS57148222A (en) * 1981-03-10 1982-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JPH0137934Y2 (ko) * 1981-03-10 1989-11-15
US4474085A (en) * 1982-09-13 1984-10-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floor shifter control with a park/lock mechanism
US4580518A (en) * 1982-12-13 1986-04-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indicator with adjustment mechanism
JPS6020447A (ja) * 1983-07-14 1985-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ランプ
JPS6020448A (ja) * 1983-07-15 1985-02-01 Toshiba Corp 曲形けい光ランプ
US4546665A (en) * 1983-11-09 1985-10-15 Bieber William J H-Pattern shifter for automatic transmissions
JPS60135352A (ja) * 1984-03-27 1985-07-18 Isuzu Motors Ltd 変速レバーと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AU572514B2 (en) * 1984-06-18 1988-05-12 Isuzu Motors Ltd. Ignition and shift lever lock
JPS61143825A (ja) * 1984-12-18 1986-07-01 Isuzu Motors Ltd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ロツク装置
US4724722A (en) * 1987-02-24 1988-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Gearshift and ignition interlock mechanism
EP0307846B1 (en) * 1987-09-14 1992-02-26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Device for locking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JPH0523388Y2 (ko) * 1987-10-27 1993-06-15
JPH071317Y2 (ja) * 1987-11-04 1995-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セレクタレバー装置
JP2543698Y2 (ja) * 1988-02-26 1997-08-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セレクタレバーのロック装置
US4854193A (en) * 1988-03-25 1989-08-08 Babcock Industries Inc. Key interlock system for automatic floor mounted transmission shifter
US4821605A (en) * 1988-05-03 1989-04-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 control assembly
US4967883A (en) * 1988-06-23 1990-11-06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with park and ignition interlock
JPH0719879Y2 (ja) * 1988-12-27 1995-05-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At車用シフト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29308T3 (es) 1992-08-01
US5127245A (en) 1992-07-07
AU593425B2 (en) 1990-02-08
EP0307846B1 (en) 1992-02-26
EP0307846A1 (en) 1989-03-22
KR890006708U (ko) 1989-05-15
DE3868572D1 (de) 1992-04-02
US5003799A (en) 1991-04-02
AU2214188A (en) 198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329Y1 (ko) 자동변속기용 시프트레버의 로킹장치
US5036962A (en) Shift lock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US5489246A (en) Electronic park lock
US5181592A (en) Shift lever interlock system
US7568404B2 (en) Shifter having neutral lock
JPH0137934Y2 (ko)
US4884668A (e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device
US4934496A (en) Control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a motor vehicle
KR910007750Y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KR920005490Y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1394678B1 (ko) 변속 레버 복귀 방식 작동 장치
US5167308A (en) Combination brake/park lockout and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US4905802A (en) Selector lever apparatus for vehicle
EP0347861B1 (e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device
US5695029A (en) Shift lever device
KR910007749Y1 (ko)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MXPA97001603A (en) Electron parking insurance
JPH0211423A (ja) ギヤシフトレバーロック
US5379871A (en) Shift lever apparatus
EP0378244A2 (en) Structure of control device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US5133436A (en) Steering column mounted gear selector mechanism for automatic transmissions having safety lock
JPH0519228Y2 (ko)
JPH0425407Y2 (ko)
KR100210117B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의 시프트 록킹장치
JPH02441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