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872A - 수전 작업기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872A
KR20210136872A KR1020210058642A KR20210058642A KR20210136872A KR 20210136872 A KR20210136872 A KR 20210136872A KR 1020210058642 A KR1020210058642 A KR 1020210058642A KR 20210058642 A KR20210058642 A KR 20210058642A KR 20210136872 A KR20210136872 A KR 20210136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 frame
bolted
flat ba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카즈 오이
시게오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1013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기체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한다.
운전 좌석을 후방부에 지지하여, 전후 방향에 따라서 기체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된 주 프레임(18)이 구비된다.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플랫바 부재(50 내지 54)가 마련되고, 주 프레임(18)에 대하여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된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이 구비된다.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 스텝이, 주 프레임(18)과 사이드 프레임(19)에 적재되어 지지된다.

Description

수전 작업기 {PADDY FIELD WORK MACHINE}
본 발명은, 승용형 이앙기나 승용형 직파기, 승용형 관리기 등의 수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에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 스텝이, 기체에 적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각파이프 프레임이나 환파이프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기체가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77200호 공보
수전 작업기는 연약한 수전을 주행하므로, 기체의 경량화에 대한 요망이 높다.
본 발명은,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기체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전 작업기는, 운전 좌석을 후방부에 지지하여, 전후 방향에 따라서 기체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된 주 프레임과,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플랫바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주 프레임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플랫바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주 프레임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구비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 스텝이, 상기 주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적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 프레임과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기체에 마련되어 있고, 운전부 스텝이 주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에 적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의 복수의 플랫바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플랫바 부재는, 각파이프 프레임이나 환파이프 프레임보다도 소재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소재가 적어진 정도만큼,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운전부 스텝에 탑승하면, 상하 방향의 부하가 운전부 스텝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에 걸린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바 부재에 있어서,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서의 굽힘에 대한 플랫바 부재의 단면 2차 모멘트가 큰 것이 되므로,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부하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플랫바 부재와,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플랫바 부재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마련되고,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플랫바 부재와,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플랫바 부재가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바 부재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바 부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부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는 면에서 유리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고, 상기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주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각종 기기를 주 프레임에 설치한 후에, 사이드 프레임을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이 주 프레임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종 기기를 주 프레임에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의 면에서 유리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방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방부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볼트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기에서는, 제어 밸브나 제어 밸브의 조작계 등의 유압 기기가, 주 프레임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이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압 기기를 주 프레임의 후방부에 설치하는 작업을 행하거나, 사이드 프레임의 후방부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이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된 상태에서, 유압 기기를 주 프레임의 후방부에 설치하는 작업을 행하거나 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다른 작업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생산의 융통성이 향상되고, 생산성의 향상의 면에서 유리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면 앵글상 또는 단면 채널상으로 구부러져 구성된 횡프레임 부재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에 볼트 연결되고, 상기 횡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랫바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의 전방부에 볼트 연결되고, 상기 횡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랫바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의 후방부에 볼트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단면 앵글상 또는 단면 채널상의 횡프레임 부재는,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의 플랫바 부재보다도 중량은 무거워진다고 생각되지만, 플랫바 부재보다도 강도는 높다고 생각된다. 횡프레임 부재는, 각파이프 프레임이나 환파이프 프레임보다도 소재가 적은 정도만큼, 각파이프 프레임이나 환파이프 프레임보다도 경량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면 앵글상 또는 단면 채널상으로 구부러져 구성된 횡프레임 부재가, 사이드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사이드 프레임의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플랫바 부재보다도 높은 강도의 횡프레임 부재가, 주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에 볼트 연결되고, 횡프레임 부재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플랫바 부재가, 주 프레임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횡프레임 부재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플랫바 부재가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의 주 프레임에의 연결 강도가 밸런스가 양호한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을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지지된 작업자의 승강용의 발 걸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승강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기에서는, 작업자가 운전부 스텝에 승강하기 위해서, 발을 거는 발 걸기부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 프레임이 주 프레임에 연결되어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을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승강 프레임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발 걸기부가 지지된 구성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이 승강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의 지지 강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된 미션 케이스와, 상기 미션 케이스에 연결되어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엔진 프레임과, 상기 엔진 프레임에 지지된 엔진과, 상기 엔진 프레임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엔진에 대한 가로측의 영역까지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기에서는, 엔진 및 미션 케이스가 마련되는 경우, 미션 케이스가 주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엔진 프레임이 미션 케이스에 연결되어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엔진이 엔진 프레임에 지지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이 엔진에 대한 가로측의 영역까지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엔진 프레임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이 엔진에 대한 가로측의 영역까지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도, 사이드 프레임이 지지 프레임, 엔진 프레임 및 미션 케이스를 통해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므로, 사이드 프레임의 지지 강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부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에 볼트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및 미션 케이스가 지지되었을 경우, 머플러나 배기관 등의 배기계가 엔진의 우 또는 좌의 가로측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이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기계를 엔진의 가로측에 배치하는 작업을 행하거나,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부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이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된 상태에서, 배기계를 엔진의 가로측에 배치하는 작업을 행하거나 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다른 작업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생산의 융통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의 향상의 면에서 유리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대하여 전방측을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에 걸쳐 볼트 연결된 전방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엔진에 대한 가로측의 영역까지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지지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었을 경우, 전방 프레임이 엔진과 간섭하지 않고 엔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에 걸쳐 볼트 연결되어 있어, 사이드 프레임의 지지 강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진 프레임으로부터 기립한 비작업 자세, 및 상기 엔진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작업 자세에 걸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상기 엔진 프레임에 지지된 조작암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암이 상기 전방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기에서는, 엔진 프레임으로부터 기립한 비작업 자세, 및 엔진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작업 자세에 걸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엔진 프레임에 지지된 조작암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수전 작업기가 두렁을 넘어 수전으로부터 나가는 경우나 수전에 들어가는 경우, 기체로부터 내린 작업자가, 기체의 전방측에 서서 작업 자세의 조작암을 쥐고, 기체를 저속으로 전진시키면서, 조작암에 의해 기체의 전방부의 부상을 억제하거나, 기체의 방향을 수정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통상적인 작업의 경우에는, 조작암을 비작업 자세로 설정해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과 같이, 전방 프레임이 엔진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에 걸쳐 볼트 연결되었을 경우, 조작암이 전방 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암이 전방 프레임에 간섭하지 않고 비작업 자세 및 작업 자세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암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우측의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조작암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기에서는, 기체의 후방부에 작업 장치가 지지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체의 전후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기체의 전방부에 밸런스 웨이트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및 미션 케이스가 지지되고, 지지 프레임이 마련되었을 경우, 우측 및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지지 프레임이 사이드 프레임의 지지용과 밸런스 웨이트의 지지용으로 겸용되므로,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측 및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가 조작암의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암이 우측 및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에 간섭하지 않고 비작업 자세 및 작업 자세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을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전륜을 지지하는 우측 및 좌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된 브래킷이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에 볼트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및 미션 케이스가 지지되었을 경우, 우측 및 좌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가 미션 케이스에 연결되고, 사이드 프레임의 하측을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전방 차축 케이스에 전륜이 지지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의 브래킷이 전방 차축 케이스에 볼트 연결되므로, 사이드 프레임의 지지 강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비모 적재대를 지지 가능한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이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외측을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수전 작업기에서는, 예비모 적재대를 지지 가능한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의 브래킷이 전방 차축 케이스에 볼트 연결되었을 경우,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이 사이드 프레임의 브래킷에 연결되고, 사이드 프레임을 전방 차축 케이스에 볼트 연결하는 위한 브래킷이, 예비모 적재대의 지지용으로 겸용되므로,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를 지지 가능한 배터리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지지대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오도록, 상기 배터리 지지대를 설치 가능한 제1 설치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지지대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중복되도록, 상기 배터리 지지대를 설치 가능한 제2 설치부가, 상기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지지대를 구비하는 경우, 배터리 지지대를 제1 설치부에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지지대가 평면에서 보아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오는 상태로 되므로, 배터리 지지대가 운전부 스텝의 영역에 들어가는 경우가 적고, 운전부 스텝의 영역이 좁혀지는 경우가 적다.
수전 작업기를 트랙의 짐받이에 얹어서 운반하는 경우, 배터리 지지대를 제2 설치부에 설치하면 된다.
배터리 지지대가 제2 설치부에 설치되면, 배터리 지지대가 평면에서 보아 사이드 프레임과 중복되도록,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지지되고, 배터리 지지대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나가는 상태가 적어지므로, 수전 작업기를 트랙의 짐받이에 얹기 쉬워진다.
이 경우, 제2 설치부가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에 마련되고,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이 제2 설치부의 지지용에 겸용되므로,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엔진 부근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운전 좌석 부근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주 프레임,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미션 케이스, 우측 및 좌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 엔진 프레임 등이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주 프레임,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미션 케이스, 우측 및 좌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 엔진 프레임 등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주 프레임,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등이 분해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주 프레임,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 미션 케이스, 우측 및 좌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 엔진 프레임 등이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운전부 스텝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가 나타나 있고,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F는 전방 방향을 나타내고, B는 후방 방향을 나타내고, U는 상측 방향을 나타내고, D는 하측 방향을 나타내고, R은 우측 방향을 나타내고, L은 좌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 및 후륜(2)에 의해 기체(3)가 지지되어 있고, 승강 링크(4) 및 승강 링크(4)를 승강 조작 가능한 유압 실린더(5)가, 기체(3)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4조 심기 형식의 모 식부 장치(6)(작업 장치에 상당)가 승강 링크(4)에 지지되어 있고, 4조 형식의 시비 장치(7)(작업 장치에 상당)가 모 식부 장치(6)에 지지되어 있다.
(모 식부 장치 및 시비 장치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6)에, 2개의 식부 케이스(8), 식부 케이스(8)의 후방부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케이스(9), 회전 케이스(9)에 지지된 2개의 식부암(10), 모 적재대(11) 및 플로트(12)가 마련되어 있다.
시비 장치(7)에, 호퍼(13), 조출부(14), 작구기(15) 및 호스(16)가 마련되어 있다. 호퍼(13)의 하부에 조출부(14)가 연결되고, 작구기(15)가 플로트(12)에 지지되어 있고, 조출부(14)와 작구기(15)에 걸쳐 호스(16)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기체(3)의 진행에 수반하여, 회전 케이스(9)가 회전 구동되고, 식부암(10)이 모 적재대(11)의 하부로부터 모를 빼내어 논바닥에 식부한다.
호퍼(13)에 저류된 비료가 조출부(14)에 의해 조출되고, 호스(16)를 통해 작구기(15)에 공급되는 것이고, 기체(3)의 진행에 수반하여, 작구기(15)에 의해 논바닥에 홈이 형성되면서, 비료가 작구기(15)로부터 논바닥의 홈에 공급된다.
(기체의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3)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따라서 기체(3)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된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이 마련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의 후방부에 운전 좌석(17)이 지지되어 있다. 주 프레임(18)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이 마련되고, 주 프레임(18)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이 마련되어 있다.
주 프레임(18)의 전방부에, 미션 케이스(20) 및 엔진(21)이 배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 스텝(22)이, 주 프레임(18)과 사이드 프레임(19)에 적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전륜(1)이 미션 케이스(20)에 지지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을 지지하는 후방 차축 케이스(23)가 주 프레임(18)의 후방부에 지지되어 있다.
(주 프레임에 관한 구성)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은, 판재가 단면 채널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고, 채널에 있어서의 개방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전후 방향에 따라서 기체(3)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연결 브래킷(24)이 주 프레임(18)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지지판(25)이 주 프레임(18)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횡프레임(26)이 우측 및 좌측의 연결 브래킷(24)에 걸쳐 연결되고, 횡프레임(27)이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의 전후 중간부에 걸쳐 연결되어 있고, 횡프레임(28)이 우측 및 좌측의 지지판(25)의 상부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
운전 좌석(17)이 지지판(25) 및 횡프레임(28)에 지지되어 있고, 지지판(25) 및 횡프레임(28)을 통해 주 프레임(18)의 후방부에 지지되어 있다(도 4 참조). 플랫바상의 부재가 앵글상으로 구부러져 구성된 우측 및 좌측의 연결부(29)가, 횡프레임(28)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연결되어 있고, 플랫바상의 보강 프레임(30)이 우측 및 좌측의 연결부(29)에 걸쳐 연결되고, 주 프레임(18)의 후방부와 연결부(29)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
전방 및 후방의 지지 브래킷(31)이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의 후방부에 걸쳐 연결되어 있고, 후방 차축 케이스(23)가 전후 방향을 따른 축심 둘레에 롤링 가능하게, 지지 브래킷(31)에 지지되어 있다(도 4 참조).
유압 실린더(5)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여 유압 실린더(5)를 작동시키는 제어 밸브(32)(유압 기기에 상당)와, 제어 밸브(32)를 조작하는 위한 조작 레버(33)(유압 기기에 상당)가, 우측의 지지판(25)의 외측부에 지지되어 있다(도 4 및 도 8 참조).
환파이프상의 승강 프레임(34)이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의 전후 중간부에 걸쳐 연결되고, 주 프레임(18)으로부터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승강용의 우측 및 좌측의 발 걸기부(35)가, 승강 프레임(34)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지지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에 있어서, 연결 브래킷(24)과 승강 프레임(34) 사이의 부분에, 판재가 구부러져 형성된 우측 및 좌측의 연결부(39)가 연결되어 있다.
판재가 구부러져 형성된 연결부(36)가 승강 프레임(34)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연결되고, 플랫바상의 우측 및 좌측 보강 부재(37)가 주 프레임(18)과 승강 프레임(34)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 승강 프레임(34)에 있어서의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 사이의 부분에, 브래킷(34a)이 연결되어 있고, 승강 링크(4)의 기부와 승강 프레임(34)의 브래킷(34a)에 걸쳐, 유압 실린더(5)가 접속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 및 엔진에 관한 구성)
도 1,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20)가 연결 브래킷(24)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고, 연결 브래킷(24)을 통해 주 프레임(18)의 전방부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도 3, 5, 6,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재가 구부러져 형성된 엔진 프레임(38)이, 미션 케이스(20)에 볼트 연결되어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엔진(21)이 엔진 프레임(38)에 지지되어 있다.
엔진(21)은 측면에서 보아 후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엔진(21)의 크랭크 케이스가 엔진 프레임(38)에 방진 고무(78)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엔진(21)의 실린더가 미션 케이스(20)에 방진 고무(79)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정유압 형식의 무단 변속 장치(40)가 미션 케이스(20)의 좌측부에 연결되어 있고, 무단 변속 장치(40)는 전진측 및 후진측에 무단 변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21)의 좌측부에 출력 풀리(21a)가 마련되고, 엔진(21)의 출력 풀리(21a)와 무단 변속 장치(40)의 입력 풀리(40a)에 걸쳐, 전동 벨트(4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3,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42)가 미션 케이스(20)의 우측부에 연결되어 우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우측의 전륜(1)이 우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42)에 지지되어 있다. 좌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42)가 미션 케이스(20)의 좌측부에 연결되어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좌측의 전륜(1)이 좌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42)에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엔진(21)의 동력이 전동 벨트(41)를 통해 무단 변속 장치(40)에 전달되고, 무단 변속 장치(40)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20)의 내부 부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전륜 디퍼렌셜 기어 기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방 차축 케이스(42)의 내부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륜(1)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20)의 상부에 지지된 조종 핸들(44)에 의해, 전륜(1)이 조향 조작된다.
부변속 장치와 전륜 디퍼렌셜 기어 기구 사이에서 분기한 동력이, 미션 케이스(20)와 후방 차축 케이스(23)에 걸쳐 접속된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후방 차축 케이스(23)의 내부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후륜(2)에 전달된다.
무단 변속 장치(40)와 부변속 장치 사이에서 분기한 동력이, 미션 케이스(20)의 내부의 주간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동축(80)을 통해 모 식부 장치(6)에 전달되고, 모 식부 장치(6)에 전달된 동력이 시비 장치(7)에 전달된다.
(엔진 부근의 구성)
도 1,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아치상의 조작암(43)이, 엔진 프레임(38)의 전단부의 하부에, 좌우 방향에 따른 축심 P1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암(43)은 엔진 프레임(38)으로부터 기립한 비작업 자세, 및 엔진 프레임(38)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작업 자세에 걸쳐 자세 변경 가능하다.
도 2, 3, 5, 6,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45)이 엔진 프레임(38)의 전단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엔진 프레임(38)으로부터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우측의 밸런스 웨이트(46)가 조작암(43)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45)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46)가 조작암(43)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45)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2, 3,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21)의 크랭크 케이스의 좌측부에 지지 브래킷(47)이 연결되어, 머플러(48)가 지지 브래킷(47)에 지지되어 있다. 엔진(21)의 실린더 상부의 좌측부로부터, 배기관(49)이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머플러(48)의 후방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머플러(48)는 엔진 프레임(38)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도록,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머플러(48)의 전방부의 배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46)의 후방면에 대향하도록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구성)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바 부재(50, 51, 52, 53, 54), 횡프레임 부재(55, 56, 57, 58), 브래킷(59, 60) 등이 마련되어 있다.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후 중간부에 있어서,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바 부재(50)가,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판재가 단면 앵글상으로 구부러져 구성된 횡프레임 부재(55, 57)가, 좌우 방향에 따라서 플랫바 부재(5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판재가 단면 앵글상으로 구부러져 구성된 횡프레임 부재(56)가, 좌우 방향에 따라서 플랫바 부재(50)의 전후 중간부에 연결되고, 플랫바 부재(50)로부터 기체(3)의 좌우 중앙측(주 프레임(18)측)으로 나와 있다.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바상의 연결부(61)가, 플랫바 부재(50)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판재가 구부러져 구성된 브래킷(60)이, 횡프레임 부재(55)에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환파이프상의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62)이 브래킷(60)에 연결되고, 사이드 프레임(19)에 대하여 외측을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62)에 있어서의 사이드 프레임(19)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브래킷(62a)이 연결되어 있고, 예비모 적재대(63)가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62)의 브래킷(62a)에 지지 가능하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에 있어서,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바 부재(51)가,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플랫바 부재(51)의 전방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고, 플랫바 부재(51)의 전방부가 연결부(51a)로 되어 있다.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바 부재(54)가,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플랫바 부재(51)와 플랫바 부재(54)가 연결되어 있다. 판재가 구부러져 구성된 브래킷(59)이, 플랫바 부재(51)의 전방부에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에 있어서,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바 부재(52)가, 상하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바 부재(53)가,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플랫바 부재(52)와 플랫바 부재(53)가 연결되어 있다.
플랫바 부재(53)의 후방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고, 플랫바 부재(53)의 후방부가 연결부(53a)로 되어 있다. 판재가 단면 앵글상으로 구부러져 구성된 횡프레임 부재(58)가, 좌우 방향에 따라서 플랫바 부재(53)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플랫바 부재(50)의 후방부와 플랫바 부재(52)의 하부(전방부)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플랫바 부재(52, 53) 및 횡프레임 부재(58))가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플랫바 부재(50)의 전방부 및 연결부(61)의 전방부와 플랫바 부재(51)의 후방부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플랫바 부재(51, 54) 및 브래킷(59))가,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구성)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은 일부를 제외하고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와 동일한 구성이며,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에 있어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과 상이한 부분을 이하에 설명한다.
플랫바 부재(50)의 전방부가, 연결부(61)가 아니라 플랫바 부재(54)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61)가 플랫바 부재(51)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65)(도 2 참조)를 지지 가능한 배터리 지지대(66)(도 2 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배터리 지지대(66)가 설치 가능한 설치부(64)(제1 설치부에 상당)가 플랫바 부재(51)에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 지지대(66)는 우측의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62)의 하측 브래킷(62a)(제2 설치부에 상당)에도 설치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플랫바 부재(50)의 후방부와 플랫바 부재(52)의 하부(전방부)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플랫바 부재(52, 53) 및 횡프레임 부재(58))가,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과 주 프레임의 연결 상태)
이하의 설명과 같이,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이 우측의 주 프레임(18)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되고, 우측의 주 프레임(18)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된다.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이 좌측의 주 프레임(18)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되고, 좌측의 주 프레임(18)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9)의 횡프레임 부재(56)의 단부가, 주 프레임(18)의 연결부(39)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된다(횡프레임 부재(56)가 주 프레임(18)의 전후 중간부에 볼트 연결되는 상태에 상당).
사이드 프레임(19)의 연결부(61)가 주 프레임(18)의 연결 브래킷(24)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된다(횡프레임 부재(56)에 대하여 전방측에 위치하는 플랫바 부재(51, 54)가, 주 프레임(18)의 전방부에 볼트 연결되는 상태에 상당).
사이드 프레임(19)(플랫바 부재(53))의 연결부(53a)가 주 프레임(18)의 연결부(29)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된다(횡프레임 부재(56)에 대하여 후방측에 위치하는 플랫바 부재(53)가, 주 프레임(18)의 후방부에 볼트 연결되는 상태에 상당).
도 2, 4, 5, 6,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프레임(18)의 승강 프레임(34)이 사이드 프레임(19)에 대하여 하측을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사이드 프레임(19)의 횡프레임 부재(57)가 승강 프레임(34)의 연결부(36)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된다(사이드 프레임(19)이 승강 프레임(34)에 볼트 연결되는 상태에 상당).
도 2, 3, 6,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9)이 엔진(21)에 대한 가로측의 영역까지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19)의 브래킷(59)이 지지 프레임(45)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된다(사이드 프레임(19)이 지지 프레임(45)에 볼트 연결되는 상태에 상당).
사이드 프레임(19)의 브래킷(60)이 전방 차축 케이스(42)의 외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된다(사이드 프레임(19)에 연결된 브래킷(60)이 전방 차축 케이스(42)에 볼트 연결되는 상태에 상당).
플랫바상 전방 프레임(67)이 마련되어 있고, 전방 프레임(67)이,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플랫바 부재(51))의 연결부(51a)와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플랫바 부재(51))의 연결부(51a)에 걸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67)은 엔진(21)의 크랭크 케이스에 대하여 전방측을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고, 비작업 자세의 조작암(43)과 엔진(21)의 크랭크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암(43)이 전방 프레임(67)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제어 밸브 및 조작 레버 등의 관계)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에 있어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플랫바 부재(52, 53) 및 횡프레임 부재(58))가 제어 밸브(32) 및 조작 레버(33)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을 우측의 주 프레임(18)에 볼트 연결하기 전에, 제어 밸브(32) 및 조작 레버(33)를 우측의 주 프레임(18)(지지판(25))에 설치하고, 이 후에, 전술한(사이드 프레임과 주 프레임의 연결 상태)에 기재과 같이,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을 우측의 주 프레임(18)에 볼트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플랫바 부재(52, 53) 및 횡프레임 부재(58))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을, 우측의 주 프레임(18)에 볼트 연결한 후에, 제어 밸브(32) 및 조작 레버(33)를 우측의 주 프레임(18)(지지판(25))에 설치하고, 이 후에,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플랫바 부재(52, 53) 및 횡프레임 부재(58))를 우측의 주 프레임(18)에 볼트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 제어 밸브(32) 및 조작 레버(33)가 설치된 후에 있어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플랫바 부재(52, 53) 및 횡프레임 부재(58))를 우측의 주 프레임(18)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제어 밸브(32) 및 조작 레버(33)나, 이들 부근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머플러 등의 관계)
도 2, 3,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에 있어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플랫바 부재(51, 54) 및 브래킷(59))가, 머플러(48) 및 배기관(49)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을 좌측의 주 프레임(18)에 볼트 연결하기 전에, 머플러(48) 및 배기관(49)을 설치하고, 이 후에, 전술한 (사이드 프레임과 주 프레임의 연결 상태)에 기재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을, 좌측의 주 프레임(18)에 볼트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플랫바 부재(51, 54) 및 브래킷(59))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을, 좌측의 주 프레임(18)에 볼트 연결한 후에, 머플러(48) 및 배기관(49)을 설치하고, 이 후에,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플랫바 부재(51, 54) 및 브래킷(59))를 좌측의 주 프레임(18)에 볼트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 머플러(48) 및 배기관(49)이 설치된 후에 있어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플랫바 부재(51, 54) 및 브래킷(59))를, 좌측의 주 프레임(18)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머플러(48) 및 배기관(49)이나, 이들 부근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운전부 스텝의 구성)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 스텝(22)은 스텝 전방부(68)와 스텝 후방부(69)의 2분할 구조이며, 스텝 전방부(68) 및 스텝 후방부(69)는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텝 전방부(68)에 있어서, 엔진(21) 등(도 3 참조)이 들어가는 개구부(70), 운전 좌석(17)에 착좌하는 작업자가 전륜(1)을 눈으로 보는 위한 개구부(71), 개구부(71)에 비스듬히 배치된 플랫바(72), 스텝 전방부(68)의 후방부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나온 볼록부(73)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플랫바(7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개구부(71)에 배치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로서의 다수의 작은 볼록부(72a)가 플랫바(72)의 상변부에 마련되어 있고, 플랫바(72)의 상변부가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후방부(69)에 있어서, 저부(74)와, 저부(74)보다도 높은 위치의 고부(75)가 마련되어 있다. 저부(74)의 전방부에 오목부(76)가 마련되고, 지지판(25)이 들어가는 개구부(77)가 고부(75)에 마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전방부(68)가,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의 전방부와,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에 적재되어 지지된다.
스텝 후방부(69)의 저부(74)가, 우측 및 좌측의 주 프레임(18)의 후방부와,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에 적재되어 지지된다. 스텝 후방부(69)의 고부(75)가,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플랫바 부재(53) 및 횡프레임 부재(58))에 적재되어 지지된다.
전술한 상태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전방부(68)의 볼록부(73)가 스텝 후방부(69)(저부(74))의 오목부(76)에 들어가는 상태가 된다. 스텝 후방부(69)의 저부(74)에 있어서, 발 걸기부(35)에 인접하는 부분(74a)이, 기체(3)의 좌우 중앙부를 향하여 조금 들어가 있다.
(배터리 지지대에 관한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65)를 지지 가능한 배터리 지지대(66)가 마련되어 있고, 통상의 작업 상태에서는, 배터리 지지대(66)를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설치부(64)에 볼트 연결해둔다. 이에 의해, 배터리 지지대(66)가 평면에서 보아 및 정면에서 보아,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 및 운전부 스텝(22)(스텝 전방부(68))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오는 상태가 된다.
배터리(65)가 배터리 지지대(66)에 지지되면, 비교적 중량이 있는 배터리(65)가 기체(3)의 좌우 중앙부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기체(3)의 전방부의 좌우 밸런스를 수정하기 위해서,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46)의 중량이 우측의 밸런스 웨이트(46)의 중량보다도 무거운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승용형 이앙기를 트랙의 짐받이에 얹어서 운반하는 경우, 도 2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지지대(66)를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설치부(64)로부터 떼어내고, 우측의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62)의 하측 브래킷(62a)의 내측부에 볼트 연결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지지대(66)가 평면에서 보아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 및 운전부 스텝(22)(스텝 전방부(68))과 중복되도록,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 및 운전부 스텝(22)(스텝 전방부(68))에 대하여 상측에 지지되는 것이고, 배터리 지지대(66)가 우측의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62)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오지 않는 상태가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횡프레임 부재(55, 56, 57, 58)의 모두가 단면 채널상으로 구부러져 구성되어도 된다.
횡프레임 부재(55, 56, 57, 58)의 일부가 단면 채널상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횡프레임 부재(55, 56, 57, 58)가 단면 앵글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주 프레임(18)이 단면 채널상이 아니라, 각파이프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플랫바 부재(52, 53) 및 횡프레임 부재(58))의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는 구성에 더하여,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플랫바 부재(51, 54) 및 브래킷(59))도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에 있어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만이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도 되고,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후방부만이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도 된다.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에 있어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만이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도 되고,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방부만이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
엔진(21)이 운전 좌석(17)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의 전단부가, 평면에서 보아 조종 핸들(44)의 부근 위치가 되도록,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을 짧은 것으로 구성하면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
설치부(64)를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19)에 마련하고, 좌측의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62)의 브래킷(62a)을 제2 설치부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기체(3)의 전방부의 좌우 밸런스를 수정하기 위해서, 우측의 밸런스 웨이트(46)의 중량이,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46)의 중량보다도 무거운 것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승용형 이앙기 뿐만 아니라, 기체(3)의 후방부에 파종 장치(도시하지 않음)(작업 장치에 상당)가 지지된 승용형 직파기나, 기체(3)의 전방부나 후방부에 약제 살포 장치(도시하지 않음)(작업 장치에 상당)가 지지된 승용형 관리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전륜
3 기체
17 운전 좌석
18 주 프레임
19 사이드 프레임
20 미션 케이스
21 엔진
22 운전부 스텝
34 승강 프레임
35 발 걸기부
38 엔진 프레임
42 전방 차축 케이스
43 조작암
45 지지 프레임
46 밸런스 웨이트
50 플랫바 부재
51 플랫바 부재
52 플랫바 부재
53 플랫바 부재
54 플랫바 부재
56 횡프레임 부재
60 브래킷
62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
62a 브래킷(제2 설치부)
63 예비모 적재대
64 설치부(제1 설치부)
65 배터리
66 배터리 지지대
67 전방 프레임

Claims (14)

  1. 운전 좌석을 후방부에 지지하여, 전후 방향에 따라서 기체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된 주 프레임과,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플랫바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주 프레임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과,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이며 판 두께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플랫바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주 프레임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된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구비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 스텝이, 상기 주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적재되어 지지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플랫바 부재와,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플랫바 부재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마련되고,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플랫바 부재와,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플랫바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고, 상기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주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방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방부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볼트 연결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단면 앵글상 또는 단면 채널상으로 구부러져 구성된 횡프레임 부재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에 볼트 연결되고,
    상기 횡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랫바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의 전방부에 볼트 연결되고,
    상기 횡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랫바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의 후방부에 볼트 연결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을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지지된 작업자의 승강용의 발 걸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승강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된 미션 케이스와, 상기 미션 케이스에 연결되어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엔진 프레임과, 상기 엔진 프레임에 지지된 엔진과, 상기 엔진 프레임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이 상기 엔진에 대한 가로측의 영역까지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볼트 연결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부보다도 후방측의 부분에 볼트 연결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대하여 전방측을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에 걸쳐 볼트 연결된 전방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프레임으로부터 기립한 비작업 자세, 및 상기 엔진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작업 자세에 걸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상기 엔진 프레임에 지지된 조작암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암이 상기 전방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암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우측의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조작암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좌측의 밸런스 웨이트가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을 우측 및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전륜을 지지하는 우측 및 좌측의 전방 차축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된 브래킷이 상기 전방 차축 케이스에 볼트 연결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예비모 적재대를 지지 가능한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이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외측을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배터리를 지지 가능한 배터리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지지대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오도록, 상기 배터리 지지대를 설치 가능한 제1 설치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지지대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중복되도록, 상기 배터리 지지대를 설치 가능한 제2 설치부가, 상기 예비모 적재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KR1020210058642A 2020-05-07 2021-05-06 수전 작업기 KR20210136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1871A JP7325374B2 (ja) 2020-05-07 2020-05-07 水田作業機
JPJP-P-2020-081871 2020-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872A true KR20210136872A (ko) 2021-11-17

Family

ID=7840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642A KR20210136872A (ko) 2020-05-07 2021-05-06 수전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325374B2 (ko)
KR (1) KR202101368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7200A (ja) 2014-10-15 2016-05-16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水田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204Y2 (ja) * 1992-02-06 1997-11-17 三菱農機株式会社 水田作業車輌のフレーム構造
JP3354797B2 (ja) * 1996-07-08 2002-12-09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機体構造
JP3499440B2 (ja) 1998-06-24 2004-02-23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車の機体構造
JP4139669B2 (ja) 2002-10-25 2008-08-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の機体フレーム構造
JP2004147556A (ja) 2002-10-30 2004-05-27 Kubota Corp 乗用田植機
JP4935779B2 (ja) 2008-08-27 2012-05-23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5785516B2 (ja) * 2012-04-12 2015-09-30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JP6793455B2 (ja) 2016-02-03 2020-12-02 八鹿鉄工株式会社 乗用田植機の日除け装置
JP7072481B2 (ja) * 2018-10-02 2022-05-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7004640B2 (ja) * 2018-12-27 2022-01-21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7200A (ja) 2014-10-15 2016-05-16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水田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25374B2 (ja) 2023-08-14
JP2021176271A (ja)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00070A (ja) 作業車両
KR20210136872A (ko) 수전 작업기
JP3804926B2 (ja) 乗用田植機
JP6056750B2 (ja) 苗移植機
JP3971230B2 (ja) 田植機の施肥装置
JP2015204804A (ja) 苗移植機
JP5785771B2 (ja) 田植機の植付部
JP7224236B2 (ja) 水田作業機
JP2004067018A (ja) 水田作業機
KR20180091087A (ko) 작업 차량
JP2011062118A (ja) 乗用型農作業機
JP3757152B2 (ja) 乗用田植機
JP3757151B2 (ja) 乗用田植機
JP3527083B2 (ja) 作業機
JP4017549B2 (ja) 施肥装置付き乗用型田植機
JP2517500Y2 (ja) 乗用移植機における作業座席の取付け構造
JP2020184919A (ja) 作業車
JP6328017B2 (ja) 水田作業機
JP2518498B2 (ja) 施肥装置付き田植機
JPH07170822A (ja) 移動農機
JP2000069818A (ja) 田植機
JPH10323106A (ja) 田植機
JP2003237641A (ja) 移動農機
JP2011193811A (ja) 田植機
JP2000069814A (ja) 移動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