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810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810A
KR20210105810A KR1020210009424A KR20210009424A KR20210105810A KR 20210105810 A KR20210105810 A KR 20210105810A KR 1020210009424 A KR1020210009424 A KR 1020210009424A KR 20210009424 A KR20210009424 A KR 20210009424A KR 20210105810 A KR20210105810 A KR 20210105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standby mode
generating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408B1 (ko
Inventor
나오아키 스도
Original Assignee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0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08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floating gate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2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8Details of power up or power down circuits, standby circuits or recover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Power Sources (AREA)
  • Memory System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과제] 스탠바이 모드에서 딥 파워다운 모드에 자동으로 이행 가능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입출력 회로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응답해 동작 가능한 내부 회로와, 이 내부 회로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PD 대응 내부 회로는, 반도체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부와, 계측부에 의한 계측 시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이행 시간 검출부와, 이행 시간이 검출되었을 때, 스탠바이 모드의 소비 전력을 더 저감시키기 위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DPD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등의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 또는 딥 파워다운 모드(Deep power-down mode)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NAND형 플래쉬 메모리는, 페이지 단위로 독출이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또, 블록 단위로 소거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플래쉬 메모리는, 스탠바이(standby) 모드와 노멀(normal) 동작 모드에서 상이한 전원 전압을 페이지 버퍼/센스 회로에 공급함으로써, 스탠바이 모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6-252748호 공보
플래쉬 메모리에서는, 유저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해서 독출, 프로그램, 소거 등을 실시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와, 유저로부터의 커맨드를 접수해 가능한 스탠바이 모드가 있다.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소비 전력이 일정 이하가 되도록 내부 회로의 동작이 제한되지만, 유저로부터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에는, 그에 즉석으로 응답해야 한다. 이 때문에, 스탠바이 모드라고 해도, 논리 회로나 주소 등의 휘발성 회로에는 오프리크(Off-leak) 전류가 발생하고, 오프리크 전류는 디바이스 사이즈의 축소(shrink)에 수반해 증가하고, 또, 내부 전원 전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 전원 전압 검출 회로를 동작시켜야 해서, 어느 정도의 전력이 소비되어 버린다. 즉,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소비 전류를 삭감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더 삭감하기 위해, 플래쉬 메모리에 따라서는, 딥 파워다운 모드(이하, DPD 모드라고 한다)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DPD 모드에서는, 스탠바이 모드를 위한 일부 내부 회로로의 내부 공급 전원을 컷오프(cut-off)해, 오프리크 전류를 삭감한다. DPD 모드는, 예를 들면, DPD 개시 커맨드에 의해 해당 모드에 돌입하고, DPD 해제 커맨드에 의해 해당 모드로부터 복귀한다. DPD 모드는, 컷오프한 회로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그 대신에, 소비 전력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도 1에, SPI 기능을 탑재한 NAND형 플래쉬 메모리의 DPD 모드로 이행할 때의 동작 파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탠바이 모드 시, 칩 선택 신호(/CS)를 로우 레벨로 하는 것으로 플래쉬 메모리가 선택되고, 그 동안에 클록 신호에 동기해 DPD DPD 커맨드(89 h)가 데이터 입력단자(DI)로부터 입력된다. 플래쉬 메모리는, DPD 커맨드의 입력으로부터 일정 기간(tDP)이 경과한 시각(TDPD)에서, DPD 모드로 이행해, 특정 내부 회로로의 내부 공급 전압을 차단한다. 시각(TDPD)의 전의 기간에서는, 스탠바이 모드의 전류가 소비되고, 시각(TDPD)의 후의 기간에서는, DPD 모드의 전류가 소비된다.
도 2는,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의 DPD 모드에 대응한 스탠바이용 내부 전압 생성 회로의 일례를 나타낸다. 내부 전압 생성 회로(10)는, 외부 전원 전압(VCC)(예를 들면, 3.3 V)과 GND 전위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P1, P2), 저항 레이더(LAD)와, 저항 레이더(LAD)의 저항 분할된 전압(Va)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는 비교기(CMP)를 포함하고,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에는, DPD 인에이블 신호(DPDEN)가 인가되고,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에는 비교기(CMP)의 비교 결과가 인가되고, 트랜지스터(P2)와 저항 레이더와의 사이에 전압 공급 노드(INTVDD)가 접속된다.
스탠바이 모드일 때, DPD 인에이블 신호(DPDEN)가 L 레벨이며, 트랜지스터(P1, P2)가 도통(導通)한다. 저항 레이더(LAD)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저감하기 위해, 저항 레이더(LAD)가 고(高) 저항으로 설정된다. 또, 전압 공급 노드(INTVDD)가 타겟 전압을 출력할 때, Va=VREF가 되도록, 전압(Va)의 탭 위치가 선택된다. 덧붙여, 비(非)스탠바이 모드 시에 동작하는 통상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는, 도 2의 저항 레이더(LAD) 보다 저(低) 저항이며, 전압 공급 노드(INTVDD)에는, 예를 들면, 2.4 V의 전압이 생성된다.
유저가, 도 1에 도시한 시퀀스에 따라 DPD 커맨드를 입력하면, 플래쉬 메모리의 컨트롤러는, 커맨드의 입력으로부터 tDP 시간 이내에,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를 L 레벨에서 H 레벨로 변화시키고, 트랜지스터(P1)를 오프해, 외부 전원 전압(VCC)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전압 공급 노드(INTVDD)에 접속된 회로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며, 스탠바이 모드 보다 한층 소비 전력이 절약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에서는,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DPD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해서는, 유저는 DPD 커맨드를 입력해야 하고, DPD 커맨드를 지원하지 않는 플래쉬 메모리에서는, DPD 모드로의 이행을 실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러한 과제는, 플래쉬 메모리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응답해 동작 가능한 반도체 집적회로와, 반도체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한 계측 시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일정 시간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스탠바이 모드의 소비 전력을 더 저감시키기 위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Power-down enable signal)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워다운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커맨드 등의 입력을 실시하지 않고, 스탠바이 모드에서 파워다운 모드로 자동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워다운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커맨드 등을 지원하지 않는 반도체 장치여도, 파워다운 모드로의 이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의 DPD 모드로 이행할 때의 동작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의 DPD 모드에 대응한 스탠바이 모드용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의 (B)는, DPD 대응 내부 회로의 DPD 판정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PD 모드에 대응한 스탠바이 모드용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도 4에 도시한 내부 전압 생성 회로의 각 부의 동작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압 생성 회로의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NAND형 플래쉬 메모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NAND형이나 NOR형의 플래쉬 메모리, DRAM, SRAM, 논리(logic), ASIC, DSP 등에 있어서 실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0)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반도체 장치(100)는, 입출력 회로(110), 내부 회로(120, 130, 140), 컨트롤러(150)를 포함해 구성된다. 이들 회로는, 반도체 기판 상에 집적되는 집적회로이다. 컨트롤러(150)는, 입출력 회로(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커맨드, 제어 신호, 데이터, 주소 등의 입력 신호를 수취하고, 수취한 커맨드 또는 제어 신호 등의 입력 신호에 근거해, 내부 회로(120, 130, 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내부 회로(120, 130, 140)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입출력 회로(11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 회로(120, 130, 140)가 실시하는 처리의 내용은 임의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컨트롤러(150)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구성되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컨트롤러, 프로그래머블 로직(programmable logic),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 등일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0)에는, 외부 전원 전압(VCC)(예를 들면, 3.3 V)이 공급되고, 내부의 집적회로는, 외부 전원 전압(VCC) 또는 외부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생성된 내부 공급 전압(VDD)이 공급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반도체 장치(100)는, 복수의 전력 소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는, 내부 회로가 소비 전력의 제약없이 풀스펙으로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스탠바이 모드는, 정해진 요구에 따라 내부 회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면서 커맨드 등의 입력 신호에의 응답을 가능하게 한다. 스탠바이 모드는, 예를 들면, 내부 회로가 정해진 동작을 종료했을 때, 혹은, 외부로부터의 커맨드 또는 제어 신호에 응답해 결정되고, 이러한 스탠바이 모드는, 반도체 장치(100)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다.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승압 회로(차지 펌프 회로)를 정지하거나, 클록 발진기를 정지하거나, 내부 공급 전압(VDD)의 생성을 간헐적으로 실시하거나, 혹은, CMOS 인버터를 3상(Tri-state) 상태로 한다. DPD 모드는, 스탠바이 모드의 소비 전력을 더 저감하기 위해 특정 내부 회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DPD 모드로 이행하려면, 외부로부터의 커맨드의 입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10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DPD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한 커맨드 또는 제어 신호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동적으로 DPD 모드에 돌입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PD 모드의 해제는,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의 임의의 커맨드 또는 제어 신호의 입력에 의해 실시된다.
반도체 장치(100)는, 도 3의 (A)에 도시한 것처럼, DPD 대응 내부 회로(140)를 포함한다. 이 DPD 대응 내부 회로(140)는, 적어도 스탠바이 모드일 때 동작한다. 어느 양태에서는, DPD 대응 내부 회로(140)는,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했을 때, 컨트롤러(150)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을 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DPD 대응 내부 회로(140)는, 액티브 모드 및 스탠바이 모드를 통해서 동작을 계속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DPD 대응 내부 회로(14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DPD 모드로 이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추고, DPD 모드로 이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를 생성한다. 도 3의 예에서는, DPD 대응 내부 회로(140)에서 생성된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는, 다른 내부 회로(130)에 공급되고, 내부 회로(130)는, DPD 인에이블 신호(DPDEN)에 응답하여 자신에게 공급되는 전력(외부 전원 전압(VCC) 또는 내부 전압(VDD)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다)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DPD 모드에서는, 스탠바이 모드 보다 더 반도체 장치에 의한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DPD 인에이블 신호(DPDEN)가 1개의 내부 회로(130)에 공급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는, 복수의 내부 회로에 공급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도 3의 (B)는, DPD 대응 내부 회로(140)에 포함되는 DPD 판정부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DPD 판정부(16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DPD 모드로 이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계측부(162), 이행 시간 검출부(164) 및 DPD 신호 생성부(166)를 포함한다. DPD 판정부(160)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실시된다.
계측부(162)는,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한다.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한 시점은, DPD 대응 내부 회로(140)가 스탠바이 모드일 때 기동되는 것이라면, DPD 대응 내부 회로(140)가 동작을 개시하는 시각일 수 있고, 혹은, DPD 대응 내부 회로(140)가 컨트롤러(150)로부터 스탠바이 모드가 통지된다면, 그 스탠바이 모드를 나타내는 신호에 의해 특정되는 시각일 수 있다. 계측부(162)는, 특별히 그 구성이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클록 신호를 카운트 하는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행 시간 검출부(164)는, 계측부(162)에서 계측된 시간을 감시해, DPD 모드로 이행할 시간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계측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일치했을 때, DPD 모드로 이행한다고 판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탠바이 모드가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을 때, DPD 모드로 이행한다고 판정한다.
DPD 신호 생성부(166)는, 이행 시간 검출부(164)에 의해 DPD 모드로의 이행 시간이 검출되면,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를 생성한다. 도 3의 (A)의 예에서는,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는, 내부 회로(130)에 제공된다.
다음으로, DPD 대응 내부 회로(140)의 구체적인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DPD 대응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DPD 대응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는, 외부 전원 전압(VCC)(예를 들면, 3.3 V)으로부터 내부 전압(VDD)(예를 들면, 2.4 V)을 생성하는 회로이며, 동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2개의 비교기(CMP1, CMP2), 논리(210), PMOS 트랜지스터(Q), 저항 레이더(LAD), 카운터(220), 및 논리(230)를 포함해 구성된다.
외부 전원 전압(VCC)과 GND와의 사이의 전류 경로에는, PMOS 트랜지스터(Q)와, 복수의 직렬 저항을 포함한 저항 레이더(LAD)가 직렬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의 게이트에는, 논리(210)로부터 출력되는 전환 제어 신호(VDDEN)가 인가되고, 전환 제어 신호(VDDEN)가 L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Q)가 도통해, 외부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트랜지스터(Q)와 저항 레이더(LAD)와의 사이에는, 전압 공급 노드(INTVDD)가 접속되고, 전압 공급 노드(INTVDD)로부터 내부 전압(VDD)이 공급된다. 전압 공급 노드(INTVDD)에는, 1개 또는 복수의 부하 회로가 접속된다.
저항 레이더(LAD)는, 전압 공급 노드(INTVDD)와 GND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만일,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가 스탠바이 모드일 때에만 동작하는 것인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 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서 저항 레이더(LAD)는 고 저항의 저항으로 구성된다. 또, 저항 레이더(LAD)의 저항 분할된 제1 선택된 탭 위치에서 제1 전압(DIVA)이 생성되고, 제2 선택된 탭 위치에서 제2 전압(DIVB)이 생성된다. 제1 전압(DIVA)은, 제2 전압(DIVB) 보다 크다(DIVA>DIVB).
비교기(CMP1)는, 비(非)반전 입력단자(-)에 기준 전압(VREF)을 입력하고, 반전 입력단자(+)에 제1 전압(DIVA)을 입력해,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H 또는 L 레벨의 출력을 논리(210)에 제공한다. 또 하나의 비교기(CMP2)는, 비반전 입력단자(-)에 기준 전압(VREF)을 입력하고, 반전 입력단자(+)에 제2 전압(DIVB)을 입력해,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H 또는 L 레벨의 출력을 논리(210)에 제공한다.
논리(210)는, 비교기(CMP1 및 CMP2)의 비교 결과에 근거해, 전환 제어 신호(VDDEN)를 생성한다. 어느 양태에서는, 논리(210)는,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하는 시점에서, 전환 제어 신호(VDDEN)를 H 레벨로 천이해, 트랜지스터(Q)를 비(非)도통으로 한다. 외부 전원 전압(VCC)의 공급이 정지된 것으로, 전압 공급 노드(INTVDD)의 전압이 저항 레이더(LAD)를 통해 GND로 방전된다. 이때의 전압 공급 노드(INTVDD)의 전압은, 저항 레이더(LAD)의 저항과, 전압 공급 노드(INTVDD)에 접속된 부하의 용량과의 RC 시정수에 따라서 변화한다. 제1 전압(DIVA)>제2 전압(DIVB)의 관계가 있으므로, 비교기(CMP1)의 비교 결과가 H 레벨에서 L 레벨로 천이한 후, 비교기(CMP2)의 비교 결과가 H 레벨에서 L 레벨로 천이한다.
논리(210)는, 비교기(CMP1, CMP2)의 비교 결과가 모두 L 레벨이 되면, 전환 제어 신호(VDDEN)를 H 레벨에서 L 레벨로 천이해, 트랜지스터(Q)를 도통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제1 전압(DIVA) 및 제2 전압(DIVB)이 상승해, 비교기(CMP1, CMP2)의 비교 결과가 모두 H 레벨이 되고, 논리(210)는, 이에 응답해 전환 제어 신호(VDDEN)를 L 레벨에서 H 레벨로 천이해, 트랜지스터(Q)를 비도통으로 한다.
제1 전압(DIVA) 및 제2 전압(DIVB)이 기준 전압(VREF) 보다 작아질 때까지의 시간, 즉, 비교기(CMP1, CMP2)의 비교 결과가 모두 L 레벨이 될 때까지의 시간은, RC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만일,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가 스탠바이 모드 시에만 동작한다면, 저항 레이더(LAD)를 고 저항으로 함으로써 RC 시정수를 크게 하고, 트랜지스터(Q)를 도통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길게 하고, 또한, 외부 전원 전압(VCC)이 공급되었을 때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논리(210)는, 게다가, 비교기(CMP1, CMP2)의 비교 결과에 근거해 클록 신호(DPDCLK)를 생성하고, 이를 카운터(22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압(DIVA) 및 제2 전압(DIVB)이 모두 기준 전압(VREF) 보다 작아진 것이 검출되면, 이에 응답하여 일정한 펄스 폭을 가지는 클록 신호(DPDCLK)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클록 신호(DPDCLK)는, 전환 제어 신호(VDDEN)와 동기하는 클록 신호일 수 있다.
카운터(220)는, 클록 신호(DPDCLK)의 클록을 카운트 하고, 그 카운트 결과를 논리(230)에 제공한다. 카운터(220)는, DPD 모드가 해제되었을 때, 리셋 신호에 의해 리셋된다. 논리(230)는, 카운터(220)의 카운트값을 수취하고, 카운트값이 미리 정해진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도달한 경우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를 생성한다. 또, 논리(230)는, DPD 모드가 해제되었을 때, 리셋 신호에 응답해 DPD 인에이블 신호를 디스에이블(disable)로 한다.
다음으로,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의 동작 파형을 도 5에 도시하고, 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각(t1)에서, 반도체 장치(100)가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했다고 가정한다.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가 액티브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외부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제1 전압(DIVA) 및 제2 전압(DIVB)은 기준 전압(VREF) 보다 크고, 비교기(CMP1, CMP2)의 비교 결과는 H 레벨의 상태에 있다. 이 경우, 논리(210)는, 스탠바이 모드를 나타내는 STBY에 응답해 동작을 개시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즉, 논리(210)는, 비교기(CMP1, CMP2)의 비교 결과와는 관계없이, 전환 제어 신호(VDDEN)를 H 레벨로 천이시켜, 트랜지스터(Q)를 비도통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 전압(VCC)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전압 공급 노드(INTVDD)의 전압이 서서히 작아진다.
시각(t2)에서, 제1 전압(DIVA) 및 제2 전압(DIVB)이 기준 전압(VREF) 보다 작아지면, 논리(210)는, 전환 제어 신호(VDDEN)를 L 레벨로 천이시켜, 트랜지스터(Q)를 도통한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전압 공급 노드(INTVDD)의 전압이 상승한다. 시각(t3)에서, 제1 전압(DIVA) 및 제2 전압(DIVB)이 기준 전압(VREF) 보다 커지면, 논리(210)는, 전환 제어 신호(VDDEN)를 H 레벨로 천이해, 트랜지스터(Q)를 비도통으로 한다. 논리(210)는, 전환 제어 신호(VDDEN)를 반전한 클록 신호(DPDCLK)를 생성하고, 이 클록이 카운터(220)에 의해서 카운트 된다.
이후, 유사한 동작이 반복되어, 카운터(220)에 의한 클록 신호(DPDCLK)의 클록의 카운트 수가 미리 정해진 수에 일치한 것이 논리(230)에 의해 검출되면,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DPD 인에이블 신호(DPDEN)가 생성되고, 이 신호가 특정 내부 회로에 공급된다. 상기 특정 내부 회로는, DPD 인에이블 신호(DPDEN)에 응답하여, 외부 전원 전압(VCC) 또는 내부 전압(VDD)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DPD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한 커맨드를 외부로부터 입력하지 않고, 스탠바이 모드에서 DPD 모드로 자동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DPD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한 커맨드를 지원하지 않는 반도체 장치여도 DPD 모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유저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록 신호(DPDCLK)의 펄스 폭은, RC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통상, 저항 레이더(LAD)의 저항은, 스탠바이 모드의 소비 전류의 요구에 의해 규정되고, 전압 공급 노드(INTVDD)의 부하 용량은, 부하의 크기나 안정성으로부터 규정된다. 그러므로, 클록 신호(DPDCLK)의 펄스 폭을 제어하기 위한 플렉서빌러티(Flexibility)가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변형 예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2개의 분리된 제1 및 제2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1, 200_2)를 갖추고, 제1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1)는, 전압 공급 노드(INTVDD_1)를 통해 제1 내부 회로(180_1)에 내부 전압(VDD1)을 공급하고, 제2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2)는, 전압 공급 노드(INTVDD_2)를 통해 제2 내부 회로(180_2)에 내부 전압(VDD2)을 공급한다.
제1 및 제2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1, 200_2)는, 도 4에 도시한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지만, 제1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1)는, DPD 판정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제2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2)는, DPD 판정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다. 제1 및 제2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1, 200_2)는 모두,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지만, 제1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1)는, 클록 신호(DPDCLK)의 요구되는 펄스 폭에 적합하도록 RC 시정수를 조정해 구성되고, 또한, 이러한 RC 시정수로 생성된 내부 전압(VDD1)을 제1 내부 회로(180_1)에 공급한다. 한편, 제2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_2)는, 클록 신호(DPDCLK)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스탠바이 모드에서 요구되는 소비 전류에 적합하도록 저항 레이더(LAD)의 저항이 규정되고, 또한, 전압 공급 노드(INTVDD_2)의 부하 용량에 제약은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변형 예에 의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중 1개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의 RC 시정수를 클록 신호(DPDCLK)의 요구되는 펄스 폭에 적합하도록 설정했으므로, DPD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시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RC 시정수를 크게 함으로써 펄스 폭을 길게 하고, 이에 따라, 카운터(220)가 동작하는 주기를 길게 하여, DPD 판정을 위한 동작에 필요한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부 전압 생성 회로는, 외부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내부 전압(VDD)을 생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는 일례이며, 이러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는, 제1 내부 전압(VDD1)으로부터 제2 내부 전압(VDD2)을 생성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자동(auto) DPD 모드를 탑재한 NAND형 플래쉬 메모리의 일례를 도 7에 도시한다. 플래쉬 메모리(300)는, 복수의 메모리 셀이 행렬상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 어레이(310)와, 외부 입출력 단자(I/O)에 접속된 입출력 버퍼(320)와, 입출력 버퍼(320)로부터 주소 데이터를 수취하는 주소 레지스터(330)와, 입출력 버퍼(320)로부터 커맨드 데이터 등을 수취해,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40)와, 주소 레지스터(330)로부터 행 주소 정보(Ax)를 수취해, 행 주소 정보(Ax)를 디코드하고, 디코드 결과에 근거해 블록의 선택 및 워드선(word line)의 선택 등을 실시하는 워드선 선택 회로(350)와, 워드선 선택 회로(350)에 의해 선택된 페이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보관유지(保持)하거나, 선택된 페이지에 프로그램 해야 할 입력 데이터를 보관유지하는 페이지 버퍼/센스 회로(360)와, 주소 레지스터(330)로부터 열 주소 정보(Ay)를 수취해, 열 주소 정보(Ay)를 디코드하고, 상기 디코드 결과에 근거해 페이지 버퍼/센스 회로(360) 내의 열 주소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열 선택 회로(370)와, 데이터의 독출, 프로그램 및 소거 등을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전압(기입 전압(Vpgm), 패스 전압(Vpass), 독출 패스 전압(Vread), 소거 전압(Vers) 등)을 생성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380)를 포함해 구성된다.
어느 실시형태에서는, 플래쉬 메모리(300)는, 내부의 동작 상태(프로그램, 소거, 독출 등)를 알리기 위한 비지(Busy) 신호/레디(Ready) 신호를 외부 단자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340)는, 비지(Busy) 신호/레디(Ready) 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스탠바이 모드가 되고,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 시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했을 때,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를 생성하고, 이를 내부의 주변 회로에 공급한다.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를 수취한 주변 회로는,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380)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내부 전압 생성 회로(200)를 포함하고, 비지(Busy) 신호/레디(Ready) 신호에 응답해,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 시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했을 때, DPD 인에이블 신호(DPDEN)를 생성하고, 이를 내부의 주변 회로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10: 내부 전압 생성 회로
100: 반도체 장치
110: 입출력 회로
120, 130, 140: 내부 회로
150: 컨트롤러
160: DPD 판정부
162: 계측부
164: 이행 시간 검출부
166: DPD 신호 생성부
200: 내부 전압 생성 회로
210: 논리
220: 카운터
230: 논리
CMP, CMP1, CMP2: 비교기
LAD: 저항 레이더

Claims (10)

  1.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응답해 동작 가능한 반도체 집적회로와,
    반도체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에 돌입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에 의한 계측 시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일정 시간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스탠바이 모드의 소비 전력을 더 저감시키기 위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는,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 내의 특정 회로에 공급되고,
    상기 특정 회로에의 전력 공급은,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차단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제1 공급 전압에 근거해 제2 공급 전압을 생성하는 복수의 전압 생성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압 생성 회로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전압 생성 회로 중 1개의 전압 생성 회로는,
    상기 계측 수단, 상기 검출 수단, 및 상기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비(非)스탠바이 모드 시에 동작하는 제1 전압 생성 회로와,
    스탠바이 모드 시에 동작하는 제2 전압 생성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압 생성 회로는,
    상기 계측 수단, 상기 검출 수단, 및 상기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생성 회로는,
    제1 공급 전압을 공급하는 제1 노드와,
    제2 공급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는 제2 노드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어 신호에 응답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접속 또는 비접속을 실시하는 접속 회로와,
    상기 제2 노드와 기준 전위와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 레이더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비접속일 때,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기준 전위와의 사이에 생성되는 RC 시정수에 근거해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 회로와,
    상기 펄스 신호에 근거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논리 회로와,
    상기 펄스 신호에 근거해 생성된 클록을 계수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근거해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논리 회로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생성 회로의 저항 레이더는,
    상기 제1 전압 생성 회로의 저항 레이더 보다 저항이 높은, 반도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 회로는,
    상기 저항 레이더에서 생성되는 제1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저항 레이더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1 전압 보다 작은 제2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근거해 상기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가 게이트에 인가되는 P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논리 회로는,
    상기 RC 시정수로 규정되는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제어 신호를 L 레벨로 천이시키는, 반도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플래쉬 메모리에 관한 회로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비지(Busy) 신호 또는 레디(Ready) 신호에 응답하여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210009424A 2020-02-18 2021-01-22 반도체 장치 KR102444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4853 2020-02-18
JP2020024853A JP6970769B2 (ja) 2020-02-18 2020-02-18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810A true KR20210105810A (ko) 2021-08-27
KR102444408B1 KR102444408B1 (ko) 2022-09-19

Family

ID=7727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424A KR102444408B1 (ko) 2020-02-18 2021-01-22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17403B2 (ko)
JP (1) JP6970769B2 (ko)
KR (1) KR102444408B1 (ko)
CN (1) CN113345494B (ko)
TW (1) TWI7476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5151B2 (ja) * 2020-02-18 2022-11-02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1289A (ja) * 1997-12-26 1999-07-13 Canon Inc メモリコントローラ
JP2006228361A (ja) * 2005-02-21 2006-08-31 Kawasaki Microelectronics Kk 半導体装置
JP2006252748A (ja) 2005-03-10 2006-09-21 Hynix Semiconductor Inc 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のページバッフ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3096A (ja) * 1981-10-27 1983-05-02 Nec Corp 半導体メモリ
JPH0799623B2 (ja) * 1984-08-30 1995-10-2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0850643A (ja) * 1994-08-03 1996-02-20 Hitachi Ltd 記憶装置
JP2002083494A (ja) * 2000-06-28 2002-03-22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2003059260A (ja) * 2001-08-13 2003-02-28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
US6826087B2 (en) * 2002-02-01 2004-1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memory storage
JP4188722B2 (ja) * 2003-02-20 2008-11-26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055419A (ja) * 2008-08-28 2010-03-11 Nec Corp メモリ制御回路およびそのメモリ制御回路を搭載した電子機器
US20110185208A1 (en) 2010-01-28 2011-07-28 Apple Inc. Memory power reduction in a sleep state
JP5728370B2 (ja) * 2011-11-21 2015-06-0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140122567A (ko) * 2013-04-10 2014-10-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파워 온 리셋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20170023813A (ko) * 2014-06-20 2017-03-0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JP2016119003A (ja) * 2014-12-22 2016-06-3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CN105824760B (zh) * 2015-01-09 2022-04-22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装置和其电力控制方法
WO2016204851A1 (en) * 2015-06-19 2016-12-22 Adesto Technologies Corporation Ultra-deep power down mode control in a memory device
WO2017034852A1 (en) * 2015-08-21 2017-03-02 Adesto Technologies Corporation Automatic switch to single spi mode when entering udpd
TWI582580B (zh) * 2016-08-30 2017-05-11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記憶體儲存裝置及其操作方法
JP6842271B2 (ja) * 2016-10-07 2021-03-17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電源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KR20180077973A (ko) * 2016-12-29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프레쉬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장치
CN108958639B (zh) * 2017-05-19 2021-07-06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快闪存储器存储装置
KR20190029307A (ko) * 2017-09-12 2019-03-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TWI672704B (zh) * 2018-08-14 2019-09-21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記憶體裝置以及記憶體控制方法
CN109901694A (zh) 2019-02-27 2019-06-18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硬盘自动进入省电状态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10990160B2 (en) * 2019-03-21 2021-04-27 Gowin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leep mode to a configurable logic block using an intermittent power saving logic
US11681352B2 (en) * 2019-11-26 2023-06-20 Adesto Technologies Corporation Standby current reduction in memory devices
JP7165151B2 (ja) * 2020-02-18 2022-11-02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1289A (ja) * 1997-12-26 1999-07-13 Canon Inc メモリコントローラ
JP2006228361A (ja) * 2005-02-21 2006-08-31 Kawasaki Microelectronics Kk 半導体装置
JP2006252748A (ja) 2005-03-10 2006-09-21 Hynix Semiconductor Inc 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のページバッフ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0769B2 (ja) 2021-11-24
CN113345494B (zh) 2024-02-27
TWI747688B (zh) 2021-11-21
US11417403B2 (en) 2022-08-16
TW202133172A (zh) 2021-09-01
CN113345494A (zh) 2021-09-03
JP2021131915A (ja) 2021-09-09
US20210257032A1 (en) 2021-08-19
KR102444408B1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9883B2 (ja) 複数電圧印加における自動電圧検出
KR100420125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것의 파워-업 독출 방법
KR100395770B1 (ko) 시스템의 부트-업 메모리로서 사용 가능한 불휘발성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9118605A (ja) 電圧発生回路
KR102444405B1 (ko) 반도체 장치
KR102444408B1 (ko) 반도체 장치
CN111933208B (zh) 半导体存储装置
US6614674B2 (en) Regulator circuit for independent adjustment of pumps in multiple modes of operation
CN113628660A (zh) 断电检测电路及半导体存储装置
KR10036165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전압 레벨 조절방법
KR20200097632A (ko) 기준전압 발생회로, 파워 온 검출회로 및 반도체 장치
TWI779641B (zh) 斷電檢測電路及半導體儲存裝置
US10957390B2 (en) Semiconductor device
TWI727424B (zh) 半導體記憶裝置
JP6522201B1 (ja) 半導体装置
JP202217261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