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142A - 차량의 차체 플로어 - Google Patents

차량의 차체 플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142A
KR20200030142A KR1020180108061A KR20180108061A KR20200030142A KR 20200030142 A KR20200030142 A KR 20200030142A KR 1020180108061 A KR1020180108061 A KR 1020180108061A KR 20180108061 A KR20180108061 A KR 20180108061A KR 20200030142 A KR20200030142 A KR 2020003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floor
vehicle body
cover
sea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034B1 (ko
Inventor
김현식
이병천
정희석
홍덕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034B1/ko
Priority to JP2018218604A priority patent/JP7125334B2/ja
Priority to US16/197,708 priority patent/US10710644B2/en
Priority to DE102018130422.6A priority patent/DE102018130422A1/de
Priority to CN201811464630.9A priority patent/CN110884572B/zh
Publication of KR2020003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보강 멤버 및 센터보강 멤버를 통해, 센터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와 터널멤버의 주변부 강성이 확보되고, 센터 플로어와 리어 플로어가 시트레일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여 구조가 단순화되며 부품수 감소 및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차체 플로어 {BODY FL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시트의 이동을 위한 시트레일이 구비된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닥면을 이루는 차량의 플로어 구조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지탱하는 프론트 플로어, 뒷좌석을 지탱하는 센터 플로어, 연료탱크가 고정되면서 트렁크 룸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의 플로어 구조는 머플러 파이프가 통과되기 위한 터널멤버가 일체로 구비되며, 각 플로어는 전체적인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멤버가 구성된다.
특히, 차량의 좌석은 시트레일을 통해, 차체 플로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뒷좌석을 차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시트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플로어 상에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별도의 구조물은 단순히 시트레일을 설치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함에 따라, 부품수 증가에 따른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2014-0080545 A (2014.06.3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레일의 설치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차체 플로어의 전체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플로어는 시트가 장착되는 시트레일이 구비된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있어서, 양측에 센터사이드 멤버가 구비되고, 센터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터널멤버가 구비되며, 센터사이드 멤버와 터널멤버가 연결되도록 연장되고 한 쌍의 시트레일이 장착되는 센터크로스 멤버로 이루어진 센터플로어; 센터플로어의 후방에 배치되고, 양측 센터사이드 멤버와 연결되는 리어사이드 멤버가 구비되며, 터널멤버가 연결되는 리어플로어; 센터사이드 멤버와 함께 리어사이드 멤버를 덮도록 장착되고, 센터크로스 멤버와 리어플로어 사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크로스 멤버와 함께 어느 하나의 시트레일이 장착되도록 하는 사이드보강 멤버; 및 센터크로스 멤버와 리어플로어 사이에서 터널멤버를 덮도록 장착되고, 사이드보강 멤버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크로스 멤버와 함께 다른 하나의 시트레일이 장착되도록 하는 센터보강 멤버;를 포함한다.
센터플로어와 리어플로어는 킥업멤버에 의해 연결되고, 킥업멤버는 센터플로어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리어플로어에 연결됨으로써, 센터플로어와 리어플로어가 높이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보강 멤버는 센터사이드 멤버와 리어사이드 멤버를 덮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디부와, 바디부에서 센터크로스 멤버와 킥업멤버 사이로 연장되며 시트레일이 장착되는 장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는 센터사이드 멤버를 덮도록 연장되되 센터크로스 멤버가 연결된 부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센터사이드 멤버와 리어사이드 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센터크로스 멤버를 감싸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에는 차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돌출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보강부가 형성되고, 보강부에는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부는 차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센터플로어, 리어플로어, 킥업멤버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리부는 보강부의 형상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메인리브와, 메인리브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보조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착부는 상단이 평면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센터크로스 멤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터크로스 멤버에는 시트레일이 장착되는 장착용홀이 형성되고, 장착부에는 장착용홀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고정용홀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시트레일이 장착용홀과 고정용홀을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터보강 멤버는 센터크로스 멤버와 킥업멤버 사이의 터널멤버를 덮도록 형성되되 킥업멤버의 경사진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덮개부와, 덮개부에서 양측 센터사이드 멤버로 연장되고 센터플로어에 접촉되는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부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센터플로어에 접하는 하단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부에는 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킥업멤버의 경사면에 접하는 후단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부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부는 상면이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센터크로스 멤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터크로스 멤버에는 시트레일이 장착되는 장착용홀이 형성되고, 결합부에는 장착용홀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결합용홀이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시트레일이 장착용홀과 결합용홀을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터플로어에는 사이드보강 멤버 및 센터보강 멤버가 접하는 면이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보강 멤버와 센터보강 멤버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차체 플로어는 사이드보강 멤버 및 센터보강 멤버를 통해, 센터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와 터널멤버의 주변부 강성이 확보되고, 센터 플로어와 리어 플로어가 시트레일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여 구조가 단순화되며 부품수 감소 및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플로어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따른 사이드보강 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따른 센터보강 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플로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따른 사이드보강 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따른 센터보강 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트가 장착되는 시트레일(R)이 구비된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 차체 플로어는 프론트 플로어, 센터 플로어, 리어 플로어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레일(R)의 경우 후석에 해당되는 시트레일로서, 시트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한 쌍으로 도식하였다. 이러한 시트레일의 경우 통상적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만, 한 쌍 이상의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기 설명할 사이드보강 멤버 및 센터보강 멤버는 차체 내에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플로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센터사이드 멤버(11)가 구비되고, 센터사이드 멤버(11)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터널멤버(12)가 구비되며, 센터사이드 멤버(11)와 터널멤버(12)가 연결되도록 연장되고 한 쌍의 시트레일(R)이 장착되는 센터크로스 멤버(13)로 이루어진 센터플로어(10); 센터플로어(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양측 센터사이드 멤버(11)와 연결되는 리어사이드 멤버(21)가 구비되며, 터널멤버(12)가 연결되는 리어플로어(20); 센터사이드 멤버(11)와 함께 리어사이드 멤버(21)를 덮도록 장착되고, 센터크로스 멤버(13)와 리어플로어(20) 사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크로스 멤버(13)와 함께 어느 하나의 시트레일(R1)이 장착되도록 하는 사이드보강 멤버(30); 및 센터크로스 멤버(13)와 리어플로어(20) 사이에서 터널멤버(12)를 덮도록 장착되고, 사이드보강 멤버(3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크로스 멤버(13)와 함께 다른 하나의 시트레일(R2)이 장착되도록 하는 센터보강 멤버(4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차체 플로어 조립체는 센터플로어(10)와 리어플로어(20)가 구성되며, 센터플로어(10)의 전방에는 프론트플로어가 구비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식하지 않았다. 여기서, 센터플로어(10)는 양측에 센터사이드 멤버(11)가 구비되고, 센터사이드 멤버(11) 사이로 중앙측에 차체의 길이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머플러 파이프가 통과되는 터널멤버(12)가 구비된다. 또한, 센터플로어(10)는 터널멤버(12)를 중심으로 양측 센터사이드 멤버(11)를 향해 연장된 센터크로스 멤버(13)가 구비됨으로써, 센터사이드 멤버(11)와 터널멤버(12)가 센터크로스 멤버(13)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전체 강성이 확보된다.
한편, 센터플로어(10)의 후방으로 리어플로어(20)가 마련되며, 리어플로어(20)는 센터사이드 멤버(11)와 연결되는 리어사이드 멤버(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센터플로어(10)와 리어플로어(20)는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기 구비된 멤버에 의해 강성이 확보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센터플로어(10)와 리어플로어(2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이드보강 멤버(30) 및 센터보강 멤버(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사이드보강 멤버(30)와 센터보강 멤버(4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강도가 확보되되 중량이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이드보강 멤버(30)는 센터사이드 멤버(11)와 함께 리어사이드 멤버(21)를 덮도록 형성되고, 센터사이드 멤버(11) 및 리어사이드 멤버(21)를 덮도록 장착됨으로써,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의 강성을 보강한다. 이와 더불어, 사이드보강 멤버(30)는 센터크로스 멤버(13)와 리어플로어(20) 사이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연장된 부분을 통해 시트레일(R)이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시트레일 중 어느 하나의 시트레일(R1)이 센터크로스 멤버(13)와 사이드보강 멤버(30)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시트레일(R)의 설치 구조를 센터크로스 멤버(13)와 함께 사이드보강 멤버(30)가 대신하여 별도의 구조물 없이 시트레일(R)의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터널멤버(12)에는 센터크로스 멤버(13)와 리어플로어(20) 사이를 덮도록 형성된 센터보강 멤버(40)가 장착된다. 이러한 센터보강 멤버(40)는 사이드보강 멤버(3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터널멤버(12)의 강성을 보강함과 더불어 연장된 부분을 통해 시트레일(R)이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시트레일(R) 중 다른 하나의 시트레일(R2)이 센터크로스 멤버(13)와 센터보강 멤버(40)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시트레일의 설치 구조를 센터크로스 멤버(13)와 함께 센터보강 멤버(40)가 대신하여 별도의 구조물 없이 시트레일(R)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시트레일(R)은 센터크로스 멤버(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이드보강 멤버(30)와 센터보강 멤버(40)에 각각 고정됨에 따라, 한 쌍의 시트레일(R)이 차체 플로어에 별도의 구조물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보강 멤버(30)가 각 사이드 멤버의 강성을 보강하고, 센터보강 멤버(40)가 터널멤버(12)를 포함한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함에 따라, 강성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플로어(10)와 리어플로어(20)는 킥업멤버(50)에 의해 연결되고, 킥업멤버(50)는 센터플로어(10)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리어플로어(20)에 연결됨으로써, 센터플로어(10)와 리어플로어(20)가 높이차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킥업멤버(50)는 센터플로어(10)와 리어플로어(20) 사이에 마련되며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차량 충돌시 센터플로어(10), 킥업멤버(50), 리어플로어(20)가 충돌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센터플로어(10)와 리어플로어(20)는 경사를 가지는 킥업멤버(50)에 의해 연결되어 센터플로어(10)와 리어플로어(20)가 높이차를 가짐에 따라, 높이차를 통해 리어플로어(20)에 연료탱크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보강 멤버(30)는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를 덮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디부(31)와, 바디부(31)에서 센터크로스 멤버(13)와 킥업멤버(50) 사이로 연장되며 시트레일(R)이 장착되는 장착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사이드보강 멤버(30)는 바디부(31)와 장착부(32)로 구성되며, 바디부(31)의 경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31)에는 센터크로스 멤버(13)와 킥업멤버(50) 사이로 연장되는 장착부(32)가 구비된다. 장착부(32)의 경우 시트레일(R)이 안착되어야 하는바, 상단이 평면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센터크로스 멤버(1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장착부(32)는 센터크로스 멤버(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시트레일(R)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1 내지 3에서 볼 수 있듯이, 바디부(31)는 센터사이드 멤버(11)를 덮도록 연장되되 센터크로스 멤버(13)가 연결된 부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센터크로스 멤버(13)를 감싸는 지지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바디부(31)는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를 모두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디부(31)가 과도하게 연장될 경우 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상승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31)는 리어사이드 멤버(21)와 센터사이드 멤버(11)를 덮도록 연장되되 센터사이드 멤버(11)에서 센터크로스 멤버(13)가 장착된 부위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리어사이드 멤버(21) 및 센터사이드 멤버(11)와 함께 센터사이드 멤버(11)에 연결되는 센터크로스 멤버(13)의 연결 부분의 강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부(31)에는 센터크로스 멤버(13)를 감싸는 지지홈(311)이 형성됨으로써, 바디부(31)가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에 장착시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를 감쌈과 동시에 지지홈(311)에 센터크로스 멤버(13)가 삽입되어 감싸짐으로써, 센터사이드 멤버(11), 리어사이드 멤버(21), 센터크로스 멤버(13)의 연결 부분의 강성이 확보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31)에는 차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돌출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보강부(312)가 형성되고, 보강부(312)에는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지지리브(3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부(31)에서 차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312)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지지리브(313)가 형성됨으로써, 바디부(31)의 전체 강성이 확보된다. 이러한 보강부(312)는 차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센터플로어(10), 킥업멤버(50), 리어플로어(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센터플로어(10), 리어플로어(20), 킥업멤버(5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디부(31)가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에 장착시 보강부(312)가 센터플로어(10), 킥업멤버(50), 리어플로어(20)에 접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312)는 차체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차체 내측을 향하는 돌출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에 따라, 보강부(312)의 내부공간에 지지리브(313)가 상하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내부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리부(313)는 보강부(312)의 형상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메인리브(313a)와, 메인리브(313a)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보조리브(313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리브(313)는 메인리브(313a)와 보조리브(313b)로 구성되며, 메인리브(313a)가 보강부(312)의 형상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부(312)의 전단과 후단에 연결되고, 메인리브(313a)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보조리브(313b)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보조리브(313b)가 내부공간에 채워져 보강부(312)의 강성이 확보된다. 이러한 메인리브(313a)와 보조리브(313b)는 내부공간의 면적에 따라 강성이 취약한 부분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방사되는 형태 또는 다수의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디부(31)는 보강부(312)가 구비되고, 보강부(312)의 내부공간에 지지리브(313)가 형성됨으로써, 지지리브(313)에 의해 보강부(312)의 강성이 증대됨에 따라 바디부(31) 전체의 강성이 확보된다. 이로 인해, 바디부(31)가 장착되는 센터사이드 멤버(11)와 리어사이드 멤버(21)의 강성이 확보된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센터크로스 멤버(13)에는 시트레일(R)이 장착되는 장착용홀(H1)이 형성되고, 장착부(32)에는 장착용홀(H1)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고정용홀(H2)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시트레일(R1)이 장착용홀(H1)과 고정용홀(H2)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센터크로스 멤버(13)에는 장착용홀(H1)이 형성되고, 사이드보강 멤버(30)에는 고정용홀(H2)이 형성되며, 장착용홀(H1)과 고정용홀(H2)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시트레일(R) 중 어느 하나의 시트레일(R1)이 장착용홀(H1)과 고정용홀(H2)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레일(R)의 경우 체결볼트(B)가 시트레일(R)을 관통하여 장착용홀(H1)과 고정용홀(H2)에 체결됨에 따라 시트레일(R)이 센터크로스 멤버(13)와 사이드보강 멤버(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레일(R)은 센터크로스 멤버(13), 센터사이드 멤버(11) 및 리어사이드 멤버(21)의 강성을 보강하는 사이드보강 멤버(30)의 장착부(32)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시트레일(R)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이 불필요함에 따라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한편, 도 1 및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보강 멤버(40)는 센터크로스 멤버(13)와 킥업멤버(50) 사이의 터널멤버(12)를 덮도록 형성되되 킥업멤버(50)의 경사진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덮개부(41)와, 덮개부(41)에서 양측 센터사이드 멤버(11)로 연장되고 센터플로어(10)에 접촉되는 결합부(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센터보강 멤버(40)는 덮개부(41)와 결합부(42)로 구성되며, 덮개부(41)의 경우 터널멤버(12)를 덮도록 형성됨에 따라, 터널멤버(12)가 통과되도록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통된 커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41)는 전단부가 센터크로스 멤버(13)에 접촉되고, 후단부가 킥업멤버(50)의 경사진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덮개부(41)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41)에는 양측 센터사이드 멤버(11)로 연장되고, 센터플로어(10)에 접하는 결합부(42)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42)의 경우 시트레일(R)이 안착되어야 하는바, 센터크로스 멤버(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센터크로스 멤버(1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시트레일(R)이 센터크로스 멤버(13)와 센터보강 멤버(40)의 결합부(42)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5에서 볼 수 있듯이, 덮개부(41)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센터플로어(10)에 접하는 하단접촉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덮개부(41)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하단접촉부(411)를 형성함에 따라 덮개부(41)의 하단부는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덮개부(41)가 터널멤버(12)에 장착시, 덮개부(41)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접촉부(411)가 센터플로어(10)에 면접함에 따라, 덮개부(41)가 센터플로어(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41)에는 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킥업멤버(50)의 경사면에 접하는 후단접촉부(412)가 형성됨으로써, 후단접촉부(412)를 통해 킥업멤버(50)에 면접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41)의 하단부에는 하단접촉부(4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후단접촉부(412)가 형성됨으로써, 덮개부(41)가 터널멤버(12)에 장착시 덮개부(41)의 전단부가 센터크로스 멤버(13)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단접촉부(411)와 후단접촉부(412)가 각각 센터플로어(10)와 킥업멤버(50)에 접함에 따라 덮개부(41)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보강리브(4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42)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보강리브(421)가 형성됨으로써, 결합부(42)와 함께 센터보강 멤버(40)의 강성이 확보된다. 이러한 결합부(42)는 내부공간을 가지되 하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센터플로어(10)를 덮도록 안착되고, 내부공간에 형성된 보강리브(421)가 내부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되어 결합부(42)의 강성이 확보된다.
특히, 센터보강 멤버(40)가 터널멤버(12)에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부(42)의 내부공간에 마련된 보조리브(313b)가 센터플로어(10)에 접촉되록 형성됨으로써, 결합부(42)의 강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센터플로어(10)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결합부(42) 내부로 유입되어 시트레일(R)이 장착되는 부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센터크로스 멤버(13)에는 시트레일(R)이 장착되는 장착용홀(H1)이 형성되고, 결합부(42)에는 장착용홀(H1)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결합용홀(H3)이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시트레일(R2)이 장착용홀(H1)과 결합용홀(H3)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센터크로스 멤버(13)에는 장착용홀(H1)이 형성되고, 센터보강 멤버(40)의 결합부(42)에는 결합용홀(H3)이 형성되며, 장착용홀(H1)과 결합용홀(H3)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시트레일(R) 중 다른 하나의 시트레일(R1)이 장착용홀(H1)과 결합용홀(H3)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레일(R)은 체결볼트(B)가 시트레일(R)을 관통하여 장착용홀(H1)과 결합용홀(H3)에 체결됨에 따라, 센터크로스 멤버(13)와 센터보강 멤버(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레일(R)은 센터크로스 멤버(13)와 함께, 터널멤버(12)의 강성을 보강하는 센터보강 멤버(40)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시트레일(R)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이 불필요함에 따라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차체 플로어는 사이드보강 멤버(30) 및 센터보강 멤버(40)를 통해, 센터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와 터널멤버(12)의 주변부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센터 플로어와 리어 플로어가 시트레일(R)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여 구조가 단순화되어 부품수 감소 및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센터플로어 11:센터사이드 멤버
12:터널멤버 13:센터크로스 멤버
20:리어플로어 21:리어사이드 멤버
30:사이드보강 멤버 31:바디부
311:지지홈 312:보강부
313:지지리브 313a:메인리브
313b:보조리브 32:장착부
40:센터보강 멤버 41:덮개부
411:하단접촉부 412:후단접촉부
42:결합부 421:보강리브
50:킥업멤버

Claims (17)

  1. 시트가 장착되는 시트레일이 구비된 차량의 차체 플로어에 있어서,
    양측에 센터사이드 멤버가 구비되고, 센터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터널멤버가 구비되며, 센터사이드 멤버와 터널멤버가 연결되도록 연장되고 한 쌍의 시트레일이 장착되는 센터크로스 멤버로 이루어진 센터플로어;
    센터플로어의 후방에 배치되고, 양측 센터사이드 멤버와 연결되는 리어사이드 멤버가 구비되며, 터널멤버가 연결되는 리어플로어;
    센터사이드 멤버와 함께 리어사이드 멤버를 덮도록 장착되고, 센터크로스 멤버와 리어플로어 사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크로스 멤버와 함께 어느 하나의 시트레일이 장착되도록 하는 사이드보강 멤버; 및
    센터크로스 멤버와 리어플로어 사이에서 터널멤버를 덮도록 장착되고, 사이드보강 멤버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크로스 멤버와 함께 다른 하나의 시트레일이 장착되도록 하는 센터보강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센터플로어와 리어플로어는 킥업멤버에 의해 연결되고, 킥업멤버는 센터플로어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리어플로어에 연결됨으로써, 센터플로어와 리어플로어가 높이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이드보강 멤버는 센터사이드 멤버와 리어사이드 멤버를 덮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디부와, 바디부에서 센터크로스 멤버와 킥업멤버 사이로 연장되며 시트레일이 장착되는 장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바디부는 센터사이드 멤버를 덮도록 연장되되 센터크로스 멤버가 연결된 부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센터사이드 멤버와 리어사이드 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센터크로스 멤버를 감싸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5. 청구항 3에 있어서,
    바디부에는 차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돌출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보강부가 형성되고, 보강부에는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보강부는 차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센터플로어, 리어플로어, 킥업멤버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지리부는 보강부의 형상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메인리브와, 메인리브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보조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8. 청구항 2에 있어서,
    장착부는 상단이 평면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센터크로스 멤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9. 청구항 2에 있어서,
    센터크로스 멤버에는 시트레일이 장착되는 장착용홀이 형성되고, 장착부에는 장착용홀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고정용홀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시트레일이 장착용홀과 고정용홀을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센터보강 멤버는 센터크로스 멤버와 킥업멤버 사이의 터널멤버를 덮도록 형성되되 킥업멤버의 경사진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덮개부와, 덮개부에서 양측 센터사이드 멤버로 연장되고 센터플로어에 접촉되는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덮개부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센터플로어에 접하는 하단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덮개부에는 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킥업멤버의 경사면에 접하는 후단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결합부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결합부는 상면이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센터크로스 멤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센터크로스 멤버에는 시트레일이 장착되는 장착용홀이 형성되고, 결합부에는 장착용홀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결합용홀이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시트레일이 장착용홀과 결합용홀을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센터플로어에는 사이드보강 멤버 및 센터보강 멤버가 접하는 면이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이드보강 멤버와 센터보강 멤버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체 플로어.
KR1020180108061A 2018-09-11 2018-09-11 차량의 차체 플로어 KR10249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61A KR102497034B1 (ko) 2018-09-11 2018-09-11 차량의 차체 플로어
JP2018218604A JP7125334B2 (ja) 2018-09-11 2018-11-21 車両の車体フロア
US16/197,708 US10710644B2 (en) 2018-09-11 2018-11-21 Body floor of vehicle
DE102018130422.6A DE102018130422A1 (de) 2018-09-11 2018-11-30 Karosserieboden eines Fahrzeuges
CN201811464630.9A CN110884572B (zh) 2018-09-11 2018-12-03 车辆的车身地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61A KR102497034B1 (ko) 2018-09-11 2018-09-11 차량의 차체 플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142A true KR20200030142A (ko) 2020-03-20
KR102497034B1 KR102497034B1 (ko) 2023-02-08

Family

ID=6962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61A KR102497034B1 (ko) 2018-09-11 2018-09-11 차량의 차체 플로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10644B2 (ko)
JP (1) JP7125334B2 (ko)
KR (1) KR102497034B1 (ko)
CN (1) CN110884572B (ko)
DE (1) DE102018130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2991B2 (ja) * 2016-10-27 2019-1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JP7139961B2 (ja) * 2019-01-11 2022-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バー部材
JP7525246B2 (ja) 2019-01-23 2024-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部材
JP7590107B2 (ja) * 2019-01-23 2024-1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部材
CN113525091B (zh) * 2020-04-22 2024-03-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载荷吸收结构
KR102359711B1 (ko) * 2020-06-10 2022-03-02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서브프레임 장치
KR20220085231A (ko) * 2020-12-15 2022-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차체 구조
JP2023046916A (ja) * 2021-09-24 2023-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KR20230067362A (ko) * 2021-11-09 202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인텀구조
CN114714992A (zh) * 2022-03-28 2022-07-08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后排座椅安装结构及汽车
CN115214801B (zh) * 2022-03-31 2024-03-1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车身及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139A (ja) * 1993-05-14 1994-11-2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8087650A (ja) * 2006-10-03 2008-04-17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ロア構造
KR20140080545A (ko) 2011-11-22 2014-06-30 도요타 지도샤(주) 차체 측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235U (ko) * 1984-12-12 1986-07-01
JP3422574B2 (ja) * 1994-08-31 2003-06-3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車体の側面衝突対策構造
JP4060426B2 (ja) 1998-02-19 2008-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3554204B2 (ja) * 1998-11-04 2004-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3736459B2 (ja) 2001-12-28 2006-0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JP4168833B2 (ja) 2003-05-29 2008-10-22 スズキ株式会社 フロアパネルの補強構造
JP4051011B2 (ja) * 2003-08-26 2008-0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JP2005161975A (ja) * 2003-12-02 2005-06-23 Mazda Motor Corp 車体下部構造
JP4747812B2 (ja) * 2005-12-01 2011-08-1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4654917B2 (ja) * 2006-01-12 2011-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DE102006014983A1 (de) * 2006-03-31 2007-12-13 Dr.Ing.H.C. F. Porsche Ag Querträgerstruktur für einen Sitzbereich eines Fahrzeugs
DE102007056673A1 (de) 2007-11-24 2009-05-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aufbau
JP2009154563A (ja) 2007-12-25 2009-07-16 Honda Motor Co Ltd 車体フレー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0035212A1 (de) 2010-08-24 2012-03-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Karosseriestruktur eines Kraftfahrzeuges,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rosseriestruktur
US8696051B2 (en) * 2010-12-22 2014-04-15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 side sill assembly with a collapsible sill insert
DE102011015541A1 (de) 2011-03-30 2012-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Boden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CN102390438B (zh) * 2011-10-18 2013-05-22 东风汽车公司 具有大件装载功能的地板结构
CN204775529U (zh) * 2015-06-29 2015-11-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前地板及车辆
US10131381B2 (en) * 2015-06-30 2018-11-20 Faraday & Future Inc. Joint for an underbody of a motor vehicle
US10300948B2 (en) * 2015-10-30 2019-05-28 Faraday&Future Inc. Webbing devices for an underbody of a motor vehicle
US11130525B2 (en) * 2016-09-07 2021-09-28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Rear crash safety profile
JP6332389B2 (ja) 2016-10-03 2018-05-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206781881U (zh) * 2017-05-19 2017-12-22 微宏动力系统(湖州)有限公司 一种轻量化白车身
CN107985132B (zh) * 2017-11-24 2020-04-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安装汽车座椅的组合梁及汽车座椅安装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139A (ja) * 1993-05-14 1994-11-2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8087650A (ja) * 2006-10-03 2008-04-17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ロア構造
KR20140080545A (ko) 2011-11-22 2014-06-30 도요타 지도샤(주) 차체 측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10644B2 (en) 2020-07-14
KR102497034B1 (ko) 2023-02-08
DE102018130422A1 (de) 2020-03-12
US20200079437A1 (en) 2020-03-12
CN110884572B (zh) 2022-11-08
JP7125334B2 (ja) 2022-08-24
CN110884572A (zh) 2020-03-17
JP2020040642A (ja)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7034B1 (ko) 차량의 차체 플로어
CN106335551B (zh) 具有多罩壳形式的车轮装配件的机动车车身
US10093176B2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JP5879938B2 (ja) 車両後部の側部パネルの補強構造
JP6597760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2008221968A (ja) 車体下部の補強構造
JP5754339B2 (ja) 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取り付け構造
JP5029202B2 (ja) 車両用シート
CN110588798A (zh) 后缓震座及汽车
JP5157691B2 (ja) 車体後部構造
US10065685B2 (en) Body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with reinforcements for distributing the forces linked to a rear shock absorber of the vehicle
JP6022346B2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補強構造
CN220429797U (zh) 前塔包结构、车辆
JP5549613B2 (ja) 車両後部の車体構造
JP2018171938A (ja) 車体後部構造
CN218616136U (zh) 减震塔结构总成及车辆
CN106627790B (zh) 车辆地板及车辆
CN217945049U (zh) 搁物板总成、车体及车辆
CN222432413U (zh) 门槛内板组件、门槛梁总成和车辆
KR102359713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219994B1 (ko) 시트 벨트 마운팅 구조
CN217170508U (zh) 单梁式二排座椅支撑构造
CN212074227U (zh) 座椅安装横梁结构
CN222247395U (zh) 车辆后部结构和车辆
CN217554016U (zh) 减震器安装组件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