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046A -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046A
KR20190019046A KR1020187030775A KR20187030775A KR20190019046A KR 20190019046 A KR20190019046 A KR 20190019046A KR 1020187030775 A KR1020187030775 A KR 1020187030775A KR 20187030775 A KR20187030775 A KR 20187030775A KR 20190019046 A KR20190019046 A KR 2019001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mber
female
connection
water pip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요시 오코시
유키히로 곤
Original Assignee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20207000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79Y1/ko
Publication of KR2019001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16L27/08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 F16L27/08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with slide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16L15/0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with seal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4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additional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서도 나사접속에 의하여 안정된 밀봉성능을 얻을 수 있고, 이에 추가하여 접속부분이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체결에 의하여 수배관부재(22)와 다구 커플링(T)의 접속구(10)를 접속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수배관부재(22)는, 수나사(21)보다 암배관부재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접속구(10)의 암나사(11)보다 안쪽으로 삽입되는 돌출부(20a)를 갖는 연결통부(20)와,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체결부를 접속구(10)의 내부에 대하여 지수하는 지수부재(9, 12)를 갖는다. 수배관부재(22)는 단차부(31)를 갖고, 접속구(10)는 단차부(16)를 갖고 있고, 수배관부재(22)와 접속구(10)의 접속상태에서 단차부(31, 16)에 결합하는 인디케이터(32)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에 소화용(消火用) 물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하는 소화설비배관(消火設備配管)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빌딩이나 쇼핑센터 등에 설치되어 있고, 화재를 끄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貯水槽)와, 물을 살포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저수조와 스프링클러 헤드를 접속하는 소화설비배관, 저수조의 물을 스프링클러 헤드에 송수(送水)하기 위한 펌프 등의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소화설비배관의 내부에는 가압된 물이 충전(充塡)되어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주로 천장면이나 창고 등 천장이 없는 건물에서는 지붕의 바로 아래 등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저수조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보내는 소화설비배관도 실내의 높은 위치에 부설(敷設)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고소작업차(高所作業車)를 타고 높은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위를 보면서 배관의 접속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화설비배관의 시공은, 일반적으로 발밑이 불안정한 고소에서의 작업으로서 작업자의 부담이 크고 또한 작업의 안전성의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소화설비배관은, 저수조로 이어져 있는 주배관(主配管)을 다구 커플링에 의하여 분기시켜서, 금속제의 플렉시블 배관(flexible 配管)이나 수지관 등의 가요관(可撓管)을 통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와 접속되어 있다. 가요관과 다구 커플링의 접속구의 구경(口徑) 사이즈는 16A~25A가 사용된다. 다구 커플링의 접속구의 접속구조는 관용 테이퍼 나사구조로 되어 있고, 그 접속작업은 나사부에 밀봉테이프를 감은 후에 소정의 토오크(torque)를 걸어서 나사결합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나사산 사이에 밀봉테이프가 파고 들어가서 지수(止水)를 위한 밀봉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접속작업은, 익숙하지 않은 작업자가 실시하면 누수가 발생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누수된 장소는 접속작업이 다시 실시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접속작업에서는, 소정의 토오크를 걸어서 나사결합시키기 때문에 전용공구(專用工具)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용공구로서 금속제의 렌치나 스패너가 사용되고, 이 금속제의 무거운 공구를 사용하여 머리 위에 설치된 다구 커플링의 복수의 접속구에 가요관을 접속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부담이 매우 크다.
작업효율을 개선하여 작업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신속관 커플링(迅速管 coupling)(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이나, 융착접속(融着接續)이 가능한 수지배관(예를 들면 특허문헌2를 참조)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지배관을 융착하는 열원(熱源)으로서 전용의 융착장치가 필요해서, 고소에서의 접속작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이들 커플링을 사용하여 만일 접합불량에 의하여 관이 커플링으로부터 빠져버린 경우에는, 대량의 물이 실내로 방출되어서 물로 인한 손실이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앞서 설명한 나사접속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시공불량에 있어서의 물로 인한 손실이나 리스크가 적다는 생각도 있다.
또한 배관부재의 접속부분이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작업자 사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접속작업이 종료된 후에 현장관리자 등의 점검자가 접속부분의 확인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점검자가 접사다리 등의 발판이나 고소작업차를 사용하여 배관부재와 다구 커플링의 접속부분을 하나하나 확인하는 작업에는, 막대한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가요관과 다구 커플링이 접속된 후로부터 천장하지재(天障下地材)가 설치되기까지의 사이의 건물의 시공공정에서는, 소화설비배관의 주위에 케이블이나 조명, 덕트 등이 설치된다. 그 때문에 그 설치작업의 지장이 되지 않도록 가요관은 코일모양으로 감겨진 상태 그대로 소화설비배관에 접속하여 두고, 천장하지재가 설치된 후에 가요관을 잡아늘려서 천장하지재의 소정의 위치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케이블이나 조명 등의 시공 시에 잘못하여 가요관에 물건이 부딪치거나 혹은 가요관을 감을 때나 연장시켜서 천장하지재에 고정할 때에 가요관이나 커플링 등의 배관부재에 과부하가 가해지면, 가요관 자체나 가요관과 다구 커플링의 접속부분이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혹은 누수에 이르지 않을 정도로 파손을 받은 장소가, 시공 후에 소화설비배관의 관내에 생기는 이상승압(異常昇壓)이나 워터 해머(water hammer)가 발생한 때에 내부유체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서는 배관의 접속부분에 밴드(71)를 설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도11을 참조). 밴드(71)는 C자형 클립으로서 탄성변형에의하여 계지슬릿(72)을 계지칼라부(74)에 끼워서 2개의 밴드(71)에 의하여 끼워넣도록 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밴드(71)의 끝(73, 73)의 간격이 좁고 밴드(71)의 스프링에 의한 지지력도 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밴드(71)를 잘못하여 플렉시블 배관(75)에 끼워버린 경우에는, 그대로 플렉시블 배관(75)을 지지하게 되어 버린다. 특히 소화설비배관에서는 바닥면이나 천장과 대략 평행하게 배관이 설치되기 때문에, 밴드(71)가 자중(自重)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고 또한 탈락되기 어려우므로, 잘못 장착되어 있는 것을 작업자나 점검자가 알아차리지 못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226532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118219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164277호 공보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 본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작업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서도 나사접속에 의하여 안정된 밀봉성능을 얻을 수 있는 소화설비배관 및 그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추가하여 접속부분이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소화설비배관 및 그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나사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용의 수배관부재와,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용의 암배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수배관부재와 상기 암배관부재를 접속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부재는, 상기 수나사보다 상기 암배관부재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암나사보다 안쪽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연결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암배관부재의 내주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체결부를 상기 암배관부재의 내부에 대하여 지수하는 지수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수배관부재는 외주면에 제1계합수용부를 갖고, 상기암배관부재는 외주면에 제2계합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수배관부재와 상기 암배관부재의 접속상태에서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상기 제2계합수용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링과, 인접하는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상기 제2계합수용부의 이간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음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링 상호간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갖는 인디케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관부재가, 수나사보다 암배관부재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암나사보다 안쪽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연결부재와, 돌출부의 외주면과 암배관부재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수나사와 암나사의 체결부를 암배관부재의 내부에 대하여 지수하는 지수부재를 갖는다. 이 때문에 돌출부에 설치된 지수부재가, 수나사와 암나사의 체결부보다 안쪽 위치에서 암배관부재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지수함으로써 암배관부재의 관내로부터 체결부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배관부재의 돌출부에 지수부재를 설치하기 때문에, 암배관부재의 관단(管端)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돌출부의 삽입위치에 있어서의 암배관부재의 내주면에, 예를 들면 고무탄성을 갖는 지수링과 같은 지수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서 제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돌출부에 설치되는 지수부재로서는 고무탄성을 갖는 지수링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작업에 숙련을 요하는 밀봉테이프를 고소에서 감아서 지수하는 작업을 없앨 수 있어 접속작업의 작업부담을 경감시켜서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수배관부재와 암배관부재의 접속작업은 수나사와 암나사의 체결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그 체결에 의하여 앞서 설명한 지수부재에 의한 지수가 암배관부재의 관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속작업을 하면 동시에 지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인디케이터는, 지지부가 제1계합수용부와 제2계합수용부의 이간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기 때문에, 수나사와 암나사가 정확하게 체결되어 있지 않으면, 한 쌍의 링을 제1계합수용부와 제2계합수용부에 결합시킬 수 없어서 인디케이터를 장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수나사와 암나사가 정확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것을, 인디케이터의 장착상태를 육안으로 봄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링에 대해서는, 각각 말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링의 선단부에 상기 제1계합수용부 및 상기 제2계합수용부에 대하여 빠짐을 방지하고 내측을 향하는 만곡선단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을 향하는 만곡선단부가 제1계합수용부 및 제2계합수용부와 빠짐방향에서 결합하기 때문에, 한 쌍의 링이 제1계합수용부 및 제2계합수용부로부터 빠져서 인디케이터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링에 대해서는, 상기 제1계합수용부 및 상기 제2계합수용부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상기 제2계합수용부를 가압협지하여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링이 제1계합수용부와 제2계합수용부를 가압협지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가 떨어지기 어렵고 수배관부재와 암배관부재의 접속부분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는, 상기 한 쌍의 링의 원주상의 위치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지지부와, 한 쌍의 제1의 지지부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원주상의 위치에 배치된 제2지지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지지부가 한 쌍의 링의 원주상의 위치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향하는 한 쌍의 링에 의하여 제1계합수용부와 제2계합수용부를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가 한 쌍의 제1지지부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원주상의 위치에 더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3방향으로부터 수배관부재와 암배관부재의 접속부분을 지지할 수 있어서 인디케이터를 보다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수배관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관부재의 수용부의 내부에서 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연결부재에 미리 긴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부재를 회전시키지 않고 수배관부재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나사를 암나사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를 회전시키지 않고 수배관부재만의 회전에 의하여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나사와 암나사의 체결과정에서 연결부재에 설치된 지수부재가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암배관부재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돌출부에 대한 지수부재의 장착상태가 양호한 그대로, 암배관부재의 내주면과 접촉시켜서 지수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나사와 암나사의 체결상태에서는, 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배관에 비틀림이나 휨의 부하가 작용한 경우에서도 연결부재가 공회전함으로써 배관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수배관부재가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인접하는 상기 암배관부재와의 접속측 부위에 제1고리모양돌기를 갖고 있고, 상기 암배관부재가 상기 제2계합수용부와 인접하는 상기 수배관부재와의 접속측 부위에 제2고리모양돌기를 갖고 있고, 상기 제1고리모양돌기와 상기 제2고리모양돌기가 상기 수배관부재와 상기 암배관부재의 접속상태에서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지지부가 외주면과 가압접촉하면서 상기 한 쌍의 링에 의하여 그들의 고리모양측면을 협지하는 칼라모양돌기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배관부재와 암배관부재가 적절하게 접속되면, 제1고리모양돌기와 제2고리모양돌기가 합쳐져서 칼라모양돌기를 형성한다. 인디케이터는, 이 칼라모양돌기의 외주면과 가압접촉하면서 한 쌍의 링에 의하여 고리모양측면을 협지한다. 따라서 수배관부재와 암배관부재가 정확하게 접속되지 않으면 칼라모양돌기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인디케이터를 장착할 수도 없다. 따라서 수배관부재와 암배관부재가 정확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암배관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부의 반대측 단부에 접속된 가요관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재에 가요관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유연성을 활용하여 스프링클러 헤드 등의 소화설비의 구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배관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가요관의 접속부를 덮는 통모양피복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모양피복부에 의하여 외력으로부터 접속부를 보호하고, 적절한 접속부를 유지하여 누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상기 통모양피복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상기 가요관의 굴곡변형을 허용하는 가동간극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관이 가동간극에 의하여 만곡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그 유연성을 활용한 배관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통모양피복부는 가동간극 내에서 만곡되는 가요관의 가동영역을 제한하는 역할을 가진다. 따라서 통모양피복부에 의하여 지나친 굴곡으로부터 가요관 및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암배관부재에 대해서는, 다구 커플링의 접속구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접속구를 갖는 다구 커플링이더라도 누수 없이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게다가 접속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수배관부재와 암배관부재의 접속의 적부(適否)를, 인디케이터를 육안으로 봄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배관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링의 내경과 다른 외경을 갖고 상기 링이 결합할 수 없는 제1장착불능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계합수용부로부터 벗어난 곳에 링을 장착하려고 하더라도, 링의 내경과 다른 외경을 갖는 제1장착불능부에 의하여 결합할 수 없기 때문에, 링을 정확하게 제1계합수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암배관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제2계합수용부의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링의 내경과 다른 외경을 갖고 상기 링이 결합할 수 없는 제2장착불능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계합수용부로부터 벗어난 곳에 링을 장착하려고 하더라도, 링의 내경과 다른 외경을 갖는 제2장착불능부에 의하여 결합할 수 없기 때문에, 링을 정확하게 제2계합수용부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서도 안정된 밀봉성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소화설비배관의 고소에서의 접속작업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수배관부재와 암배관부재의 접속부분이 적절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소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부분의 점검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소화설비배관의 설치상태와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에서 나타내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도2에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설명도로서, 분도(分圖)(a)는 인디케이터의 외관도이고, 분도(b)는 분도(a)의 화살표(A)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외관도이다.
도6은, 도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도7에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설명도로서, 분도(a)는 인디케이터의 단면도이고, 분도(b)는 분도(a)의 화살표(A)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외관도이다.
도9는, 도7에서 나타내는 다구 커플링의 외관도이다.
도10은, 도7에서 나타내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 전의 단면도이다.
도11은, 일 종래예에 있어서의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본 발명의 소화설비배관(消火設備配管)의 접속구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인 예로서 다구 커플링(多口 coupling)(T)과 플렉시블 배관(flexible 配管)(F)의 접속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1」, 「제2」, 「제3」, 「제4」의 용어는, 그들에 연결되는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한 특정한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동일명칭의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서만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구성, 작용, 효과의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도1~도6〕
도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구 커플링(T)의 측면에 설치된 접속구(接續口)(10)는, 금속제의 플렉시블 배관(F)의 일단(一端)과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관(F)의 타단(他端)에는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S)가 접속되어 있다. 다구 커플링(T)의 상단(上端)의 접속구(8)는 급수배관(P)과 접속되어 있고, 급수배관(P)은 도시되지 않은 펌프나 수원(水源) 등의 급수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S)는, 선단(先端)이 천장판(天障板)(C)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노출되어 설치된다. 천장판(C)은 천장하지재(天障下地材)(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클러 헤드(S)도 금구(金具)(6)에 의하여 천장하지재(5)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급수배관(P)이나 플렉시블 배관(F)의 주위 및 천장하지재(5)의 상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덕트나 배선, 조명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1에서는 플렉시블 배관(F)은 잡아늘려진 상태로 되어 있지만, 스프링클러 헤드(S)를 천장하지재(5)에 설치하기 전에는 코일모양으로 감겨 있다. 「가요관(可撓管)」으로서의 플렉시블 배관(F)은 자유롭게 굴곡가능한 금속제의 주름상자관이지만, 이것 대신에 수지관(樹脂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구 커플링(T)은, 내부가 공동(空洞)인 관모양으로서, 상단의 접속구(8)는 급수배관(P)과 접속된다. 다구 커플링(T)의 측면에는 「암배관부재(female配管部材)」로서의 접속구(10)가 2~6군데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구(10)가 방사상으로 4군데 설치되어 있다. 도2 및 도4는 다구 커플링(T)과 플렉시블 배관(F)의 접속부분의 확대단면도이고, 다구 커플링(T)의 접속구(10)의 내부에는 암나사(11)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10)의 개구측 단부(開口側 端部)(10a)로부터 바라본 암나사(11)의 안쪽에는, 「지수부재(止水部材)」로서의 제1오링(12)이 설치되어 있다. 암나사(11)와 제1오링(12) 사이는, 후술하는 연결통부(連結筒部)(20)의 제2오링(26)이 접촉하는 밀봉면(密封面)(9)으로 되어 있다.
암나사(11)보다 전방, 즉 접속구(10)의 개구측 단부(10a)에는 로크 링(lock ring)(13)이 설치되어 있고, 로크 링(13)은 접속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모양홈(環狀groove)(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도3, 도4).
로크 링(lock ring)(13)은 금속세선(金屬細線) 등의 스프링 탄성을 갖는 선재로 형성되어 있고, 암나사(11)와 수나사(21)의 체결의 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한다. 로크 링(13)은, 도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부분이 있는 원환(圓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一端)측에는 선재의 단부를 중심측으로 접어 구부려서 형성한 로크부(lock部)(13a)를 갖고 있다.
로크부(13a)는, 고리모양홈(14)으로부터 접속구(10)의 내주측과 통하는 계지공(係止孔)(15)에 삽입되어 있어서, 로크 링(13)을 고리모양홈(14)에 배치한 상태에서 접속구(10)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고리모양홈(14)의 깊이치수는, 로크 링(13)의 굵기치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크 링(13)은 고리모양홈(14)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리모양홈(14)의 상단개구(上端開口)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로크 링(13)은, 선단부가 뾰족한 공구나 마이너스 드라이버(minus driver) 등을 이용하여 고리모양홈(14)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접속구(10)의 개구측 단부(10a)로부터 바라본 고리모양홈(14)의 안쪽에는 「제2계합수용부(第2係合受容部)」로서의 오목부(凹部)(1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6)는 접속구(10)의 외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모양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6)와 인접하는 개구측 단부(10a)는 접속구(10)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고리모양돌기(第2環狀突起)」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관(F)의 단부는, 「연결부재(連結部材)」로서의 연결통부(連結筒部)(20)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연결통부(20)의 외측에는, 수배관부재(male配管部材)(22)가 장착되어 있다. 수배관부재(22)는 원관(圓管)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도면 중에서 우측)에는 수나사(21)가 형성되어 있다. 수배관부재(22)는 연결통부(20)를 통하여 플렉시블 배관(F)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통부(20)의 외주면에는 단차(23)가 형성되어 있고, 수배관부재(22)의 내주면에도 단차(24)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10)에 대한 연결통부(20)의 삽입방향으로 단차(23)가 단차(24)와 맞부딪쳐서 결합된다. 또한 연결통부(20)의 외주면에는, 스토퍼링(25)이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링(25)에는 수배관부재(22)의 수나사(21)측의 선단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통부(20)는, 수배관부재(22)의 수용부(收容部)(22a)에 제거 불가능한 상태로 수용된 상태가 되고 또한 수배관부재(22)에 대하여 공회전(空回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통부(20)에 접속된 플렉시블 배관(F)도 수배관부재(22)에 대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차(23)와 스토퍼링(25) 사이의 연결통부(20)의 외주면과, 수배관부재(22)의 수나사(21)측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간극(21a)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10)의 내부에는 암나사(11)와 밀봉면(9)이 형성되지만, 수나사(11)와 밀봉면(9)을 별도의 공정으로 가공하였을 때에, 수나사(11)와 밀봉면(9)의 중심축이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간극(21a)을 형성함으로써, 그와 같은 중심축의 어긋남이 흡수되어서 수배관부재(22)의 착탈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스토퍼링(25)을 장착한 측의 연결통부(20)의 단부(도면 중에서 우측의 끝)는, 수배관부재(2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0a)를 형성하고 있고, 그 외주면에는 「지수부재」로서의 제2오링(26)이 장착되어 있다. 돌출부(20a)에 있어서의 제2오링(26)보다 선단측의 외주면은, 접속구(10)의 내부의 제1오링(12)이 가압접촉(加壓接觸)되는 밀봉면(27)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20a)의 선단의 외주 가장자리는 만곡면(彎曲面)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결통부(20)를 접속구(10)에 삽입할 때에 돌출부(20a)의 선단의 외주 가장자리가 제2오링(12)과 스치더라도 제2오링(12)에는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스토퍼링(25)을 장착한 측과 반대측의 연결통부(20)의 단부(도면 중에서 좌측의 끝)는, 플렉시블 배관(F)과의 연결부(20b)로 되어 있다. 연결부(20b)와 플렉시블 배관(F)은 너트(2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너트(28)와 플렉시블 배관(F)은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지수처리(止水處理)되어 있다. 너트(28)의 암나사(28a)와 연결통부(20)의 수나사(29)는 서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연결통부(20)와 플렉시블 배관(F)의 「접속부(接續部)」를 이루고, 너트(28)는 그 「접속부」를 덮는 「통모양 피복부(筒狀 被覆部)」를 이루고 있다.
수배관부재(22)의 외주부에는 앞서 설명한 수나사(21)가 형성되고, 수나사(21)의 너트(28)측에는 수배관부재(22)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모양의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홈(30)에는 로크 링(13)의 로크부(13a)의 선단이 수용되고, 또한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로크 링(13)이 결합되는 계지단차부(係止段差部)로서 기능한다. 로크 링(13)의 로크부(13a)를 홈(30)에 결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홈(30)과 수나사(21) 사이에는 경사면(30a)이 형성되어 있다.
홈(30)의 경사면(30a)이 형성된 측과 반대측의 가장자리는, 수나사(21)와 암나사(11)를 체결하였을 때에 접속구(10)의 개구측 단부(10a)의 끝면이 접촉하는 접촉면(30b)으로 되어 있다.
수배관부재(22)의 외주면에는, 홈(30)에 인접하여 「제1고리모양돌기(第1環狀突起)」로서의 칼라부(collar部)(22b)가 형성되어 있다. 칼라부(22b)는 수배관부재(22)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모양의 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칼라부(22b)의 이웃에는 「제1계합수용부(第1係合受容部)」로서의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는 수배관부재(22)의 외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모양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계합수용부」로서의 오목부(31)와 「제2계합수용부」로서의 접속구(10)의 오목부(16)에는, 인디케이터(indicator)(32)가 결합된다.
인디케이터(32)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말굽형상 또는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지나 금속 등의 스프링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32)의 내측에는 오목부(16, 31)와 결합되는 한 쌍의 돌기(33, 3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3)는 인디케이터(32)의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33a) 상호간의 사이에 결여부(缺如部)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33, 33)는 박육부(薄肉部)(3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돌기(33, 33)를 연결하는 박육부(34)의 길이는, 오목부(16)와 오목부(31) 사이의 이간거리(離間距離)에 대응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각 돌기(33)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오목부(35)를 갖고 있다. 각 오목부(35)는 각 돌기(33)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박육부(34)에 도달하는 깊이를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32)가 탄성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32)의 양 단부, 즉 한 쌍의 돌기(33)의 선단(33a)에는 박육부(34)가 결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기(33, 33)를 오목부(16, 31)에 결합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인디케이터(32)는, 플렉시블 배관(F)와 다구 커플링(T)의 접속부분이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인디케이터(32)는, 수나사(21)와 암나사(11)를 나사결합시켜서 수배관부재(22)의 접촉면(30b)과 접속구(10)의 개구측 단부(10a)의 끝면이 접촉한 상태일 때에, 오목부(16, 31)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에 2개의 오목부(16, 31) 사이를 넘어가도록 박육부(34)가 배치된다.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나사결합이 부족하면, 돌기(33, 33)의 간격(돌기(33, 33)를 연결하는 박육부(34)의 길이)에 대하여 오목부(16)와 오목부(31)의 간격이 넓다. 이 때문에 돌기(33, 33)는 오목부(16, 31)에 결합되지 않아, 나사의 체결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배관부재(22)를 나사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서 접촉면(30b)과 접속구(10)의 끝면을 접촉시키고 나서 인디케이터(32)를 오목부(16, 31)에 장착시킨다.
또 인디케이터(32)를 형광색 즉 눈에 띄는 색으로 착색하여 두면, 건물의 높은 위치에 설치된 다구 커플링(T)과 플렉시블 배관(F)의 접속상태를 점검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게 된다.
계속하여 플렉시블 배관(F)을 다구 커플링(T)에 접속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급수배관(P)에 접속된 다구 커플링(T)에는 복수의 접속구(10)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관(F)은 너트(28)를 통하여 연결통부(20)와 미리 접속되어 있다. 우선 접속구(10)의 내부에 수배관부재(22)로부터 돌출된 연결통부(20)를 삽입하면, 연결통부(20)의 밀봉면(27)이 접속구(10)의 밀봉면(9)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단계에서는 수나사(21)와 암나사(11)는 나사결합하고 있지 않다.
계속하여 수배관부재(22)를 회전시켜서 수나사(21)와 암나사(11)를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연결통부(20)는 조금씩 접속구(10)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제1오링(12), 제2오링(26)이 밀봉면(27, 9)에 대하여 접촉한다. 이 때에 수배관부재(22)는 연결통부(20)에 대하여 공회전하기 때문에, 수나사(21)와 암나사(11)가 나사결합할 때에, 연결통부(20)는 회전하지 않아서 제1오링(12), 제2오링(26)이 나사결합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비틀어져서 지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연결통부(20)의 타단측에 접속되어 있는 플렉시블 배관(F)도,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나사결합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비틀어지지 않는다.
또한 수배관부재(22)를 회전시키면, 연결통부(20)가 접속구(10)의 안쪽을 향하여 이동하여, 제1오링(12), 제2오링(26)이 밀봉면(27, 9)과 접촉하여 찌부러진다.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나사결합에 의한 연결통부(20)의 이동에 의하여 제1오링(12), 제2오링(26)이 찌부러져서 지수밀봉이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제1오링(12)과 제2오링(26)이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체결부보다 안쪽 위치에서 밀봉면(27, 9)과 접촉하여 지수하기 때문에, 체결부에 대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오링(26)은 돌출부(20a)에 장착되기 때문에, 접속구(10)의 내부에 제2오링(26)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서 제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오링(12)과 제2오링(26)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에 숙련을 요하는 밀봉테이프의 사용을 폐지할 수 있어서 고소(高所)에서의 접속작업의 작업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오링(12), 제2오링(26)을 접속구(10)와 연결통부(20)의 각각에 설치함으로써, 2개의 오링(12, 26)을 찌부러뜨리기 위하여 필요한 연결통부(20)의 이동량이 오링 1개를 찌부러뜨리는 이동량으로 완료되고, 이에 따라 암나사(11)와 수나사(21)의 나사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나사길이가 짧게 됨으로써 수배관부재(22), 연결통부(20)를 구비하는 커플링의 길이를 관축(管軸)방향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경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나사(21)와 암나사(11)를 나사결합할 때에는, 로크 링(13)의 로크부(13a)의 선단이 수배관부재(22)의 경사면(30a)을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경사면(30a)을 타고 넘어가서 홈(30)의 내부로 이동하여 로크(lock)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암나사(11)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더라도, 로크부(13a)와 홈(30)의 가장자리가 간섭하기 때문에,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수나사(21)와 암나사(11)는 평행나사이다. 이 때문에 접속구(10)의 끝면이 수배관부재(22)의 접촉면(30b)에 접촉할 때까지 수배관부재(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수나사(21)와 암나사(11)를 체결시킨 후에 인디케이터(32)를 부착한다. 인디케이터(32)의 돌기(33, 33)의 선단(33a)을 오목부(16, 31)를 따라 압입(壓入)시키면, 오목부(35)에 의하여 인디케이터(32)는 탄성변형되어서 대향하는 선단(33a, 33a)의 간격(결여부)이 넓어져서, 돌기(33, 33)가 오목부(16, 3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32)는, 오목부(16, 31)의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접촉함으로써 「칼라(collar)모양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수배관부재(22)의 칼라부(22b)의 고리모양측면(環狀側面)과 접속구(10)의 개구측 단부(10a)의 고리모양측면을 협지한다.
또 접속구(10)의 오목부(16)와 이웃하는 외주부(10d)는 돌기(33)의 내주지름보다 큰 지름의 「제2장착불능부(第2裝着不能部)」로서, 인디케이터(32)가 장착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수배관부재(22)의 오목부(31)와 이웃하는 외주부(22d)는 돌기(33)의 내주지름보다 큰 지름의 「제1장착불능부(第1裝着不能部)」로서, 인디케이터(32)가 장착될 수 없다.
인디케이터(32)의 내측에는 로크 링(13)이 배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32)를 떼어내지 않으면 로크 링(13)을 떼어낼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풀림이 저지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32)는, 한 쌍의 돌기(33)가 대향하는 선단(33a) 상호간의 간격이 로크 링(13)이나 오목부(16, 31)의 직경보다 짧다. 즉 선단(33a)은 내측을 향하는 「만곡선단부(彎曲先端部)」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단(33A)을 열지 않으면 인디케이터(32)가 오목부(16, 3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디케이터(32)는 견고하게 장착된다. 또한 한 쌍의 돌기(33)는 오목부(16, 31)를 가압협지(加壓挾持)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인디케이터(3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구 커플링(T)과 플렉시블 배관(F)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접속구(10)가 있는 다구 커플링(T)에 대하여 플렉시블 배관(F)을 누수 없이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또한 접속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후에 플렉시블 배관(F)의 말단에 접속된 스프링클러 헤드(S)를 천장하지재(5)에 고정시킨 후에 천장(C)이 설치된다.
플렉시블 배관(F)을 다구 커플링(T)으로부터 떼어내는 순서는, 먼저 인디케이터(32)를 떼어내고, 로크 링(13)이 수용되어 있는 고리모양홈(14)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로크 링(13)을 떼어낸다. 그 후에 수배관부재(22)를 회전시켜서 나사를 푼다. 그 후에 연결통부(20)를 접속구(10)로부터 빼냄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배관(F)과 연결통부(20)를 너트(28)을 통하여 접속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관(F)과 연결통부(20)을 용접 등에 의하여 바로 접속시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형태〔도7~도10〕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결통부(20)의 돌출부(20a)에 단차면(44)이 형성되어 있고, 단차면(44)을 중심으로 하는 일방측과 타방측에 사이즈가 다른 제3오링(42), 제4오링(43)을 장착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오링(42)에 대하여 제4오링(43)은 굵기와 외경이 작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접속구(10)에는, 연결통부(20)의 단차면(44)과 대응하는 부분에 단차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41)에 인접하는 스트레이트부(straight部)(10b, 10c)가 제3오링(42), 제4오링(43)의 밀봉면으로 되어 있다. 사이즈가 다른 제3오링(42), 제4오링(43)을 설치함으로써,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수나사(11)와 암나사(21)의 나사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접속구(10)의 내주면에 제1오링(12)이 장착되어 있어서 그 부착작업이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3오링(42)과 제4오링(43)이 모두 돌출부(2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접속구(10)의 내주면에 부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3오링(42)과 제4오링(43)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링(13)을 생략하고 있어서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11)와 수나사(21)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단차면(44)과 단차부(41)는 결합한 상태가 된다. 급수배관(P)의 유지보수 등에 따라 배관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진공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때에 단차면(41)과 단차부(44)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통부(20)가 부압(負壓)에 의하여 다구 커플링(T)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7, 도8에서 나타내는 수배관부재(22)는, 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 즉 접속구(10)에 대한 삽입측 단부(揷入側 端部)의 외주면에는 암나사(11)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나사(21)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측 즉 접속구(10)에 삽입되지 않는 비삽입측 단부(非揷入側 端部)는 파지부(把持部)(50)로 되어 있고, 외주의 단면형상이 육각형이나 팔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21)와 파지부(50) 사이에는 「제1고리모양돌기」로서의 칼라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칼라부(47)는 수배관부재(22)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리모양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칼라부(47)는, 수나사(21)와 암나사(11)가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칼라부(47)와 접속구(10)의 개구측 단부(10a)에 형성되어 있는 「제2고리모양돌기」로서의 칼라부(46)와 접촉한다. 칼라부(47)의 「고리모양측면」으로서의 접촉면(47a)과 칼라부(46)의 「고리모양측면」으로서의 접촉면(46a)이 접촉한 상태의 칼라부(47)와 칼라부(46)는 「칼라모양돌기(collar狀突起)」를 구성한다. 칼라부(47)의 외경은 칼라부(46)의 외경과 동일하다. 또한 칼라부(47)의 외경은 수나사(21)나 파지부(50)의 외경보다 크다.
수배관부재(22)의 내부에는, 연결통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연결통부(20)에는, 수배관부재(22)의 선단부 즉 접속구(10)에 대한 삽입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20a)의 외주면에는 앞서 설명한 제3오링(42), 제4오링(43)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통부(20)에 있어서의 돌출부(20a)의 반대측 단부에는 플렉시블 배관(F)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관(F)의 말단에는 스프링클러 헤드(S)가 접속되어 있다(도1). 연결통부(20)와 플렉시블 배관(F)의 접속부(39)는 용접되어 있고, 수배관부재(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서 외력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따라서 접속부(39)를 덮는 수배관부재(22)의 내주면의 부분은 「통모양 피복부(筒狀 被覆部)」를 구성하고 있다.
수배관부재(22)의 파지부(50)의 내주면과 플렉시블 배관(F)의 외주면 사이에는 가동간극(可動間隙)(38)이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관(F)의 가동영역(굴곡범위)은 이 가동간극(38)을 벗어나는 경우가 없다. 즉 플렉시블 배관(F)은, 굴곡시키면 파지부(50)의 내주면인 접촉면(22e)에 대하여 접촉하고, 그 이상의 굴곡은 제한된다. 그 때문에 다구 커플링(T)과 수배관부재(22)의 접속 전이나 접속완료 후에, 플렉시블 배관(F)에 지나친 비틀림이나 휨 등의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가동간극(38)의 범위에서 밖에 플렉시블 배관(F)을 굴곡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접속부(3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파지부(50)에 수용되어 있는 부분의 플렉시블 배관(F) 길이는, 플렉시블 배관(F)의 외경에 대하여 0.5~3배로 되어 있고, 특히 1~2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배관부재(22) 및 연결통부(20)의 길이를 억제하면서 플렉시블 배관(F)에 있어서의 과도하고 지나친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통부(20)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배관(F)과의 접속측은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20c)로 되어 있고, 플랜지(20c)는 수배관부재(22)의 내측에 형성된 단차부(22c)의 끝면과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20c)의 외주지름은 수배관부재(22)의 플렉시블 배관(F)이 삽입된 파지부(50)의 내주지름보다 작아서, 연결통부(20)는 수배관부재(22)에 대하여 공회전할 수 있다. 단차부(22c)는 수배관부재(22)의 수나사(21)측의 끝면까지 형성되고 있고, 그 내주지름은 플렉시블 배관(F)이 삽입된 파지부(50)의 내주지름보다 작다. 또한 단차부(22c)의 내주면과 연결통부(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수배관부재(22)와 연결통부(20)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는 간극(21a)을 갖고 있어서, 수배관부재(22)와 연결통부(2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21)와 암나사(11)를 체결한 상태에서, 플랜지(20c)와 단차부(22c)의 끝면 사이에는 간극(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37)에 의하여 연결통부(20)가 원활하게 공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랜지(20c)와 단차부(22c)의 끝면이 접촉하여 간극(37)이 없는 상태라면, 연결통부(20)가 회전할 때에 접촉한 부분이 저항으로 되어서 연결통부(20)의 회전을 저지할 우려가 있지만, 간극(37)을 형성함으로써 연결통부(2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통부(20)의 중간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모양홈의 내부에는, 스토퍼링(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링(25)에 의하여 연결통부(20)가 수배관부재(2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결통부(20)와 수배관부재(22)가 상대적으로 공회전할 수 있다. 또한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체결 후에는, 연결통부(20)가 수배관부재(22)에 대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령 스토퍼링(25)이 수나사(21)의 선단과 다구 커플링(T)의 단차부(19)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도, 연결통부(20)는 스토퍼링(25)에 대하여 공회전할 수 있다.
수배관부재(22)에 있어서의 수나사(21)의 선단내주(先端內周)에는, 경사면(22f)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2f)은, 스토퍼링(25)이 접촉하는 계지부(係止部)로 되어 있어서, 수나사(21)와 암나사(11)가 접속된 후에 배관 내의 유체압력에 의하여 연결통부(20)가 플렉시블 배관(F)측으로 가압되었을 때에, 경사면(22f)이 스토퍼링(25)을 지지하여 연결통부(20)의 중심축측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배관부재(22)의 수용부(22a)의 내부에, 회전을 허용하는 간극(21a)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연결통부(20)를, 접속구(10)의 중심축을 따르도록 센터링(centering)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3오링(42), 제4오링(43)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치우침 없이 적절하게 스트레이트부(10b, 10c)와 가압접촉(加壓接觸)되어서 지수할 수 있다.
도7, 도8에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5)는, 접속구(10)의 칼라부(46)와 수배관부재(22)의 칼라부(47)를 그들의 측면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인디케이터(45)는 말굽형상 또는 C자형상의 한 쌍의 링(48, 48) 사이에 칼라부(46, 47)를 가압지지(加壓支持)하는 복수의 지지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링(48, 48)의 간격은,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라부(46, 47)가 대향하는 접촉면(46a, 47a) 상호간이 접촉한 상태의 「칼라모양돌기」의 두께(t)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칼라부(47)와 인접하는 파지부(50)의 외주부분(「제1계합수용부」)과 접속구(10)의 홈(51)(「제2계합수용부」) 사이의 이간거리에 대응하는 길이가 두께(t)와 동일하고, 그 이간거리에 대응하는 길이가 링(48, 48)을 연결하는 지지부(49)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암나사(11)와 수나사(21)를 나사결합하고 나서 인디케이터(45)를 칼라부(46, 47)에 장착할 때에, 링(48, 48) 사이에 칼라부(46, 47)가 끼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암나사(11)와 수나사(21)의 체결이 불충분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지지부(支持部)(49)는, 링(48)의 선단(48a, 48a) 사이를 가리키는 결여부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2지지부(第2支持部)(49a)와, 제2지지부(49a)와 결여부 사이에 위치되는 2개의 제1지지부(第1支持部)(49b)를 갖고 있다. 제1지지부(49b)는 칼라부(46, 47)의 원호(圓弧)모양의 외주면을 협지하도록 대향하여 위치되어 있다. 도8(a)에서는 3개의 지지부(49a, 49b, 49b)에 의하여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칼라부(46, 47)의 외주면을 가압지지하고 있다. 제1지지부(49b)의 선단(48a)측의 단부는, 약간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어서 3개의 지지부(49a, 49b, 49b)의 내측으로 삽입된 칼라부(46, 47)가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만곡선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45)는 하방으로부터 보이기 쉽도록 도8(a)와 같이 제2지지부(49a)를 하측, 즉 실내의 바닥면측에 위치되도록 칼라부(46, 47)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실내의 고소에 설치된 인디케이터(45)를 점검자가 바닥면으로부터 육안으로 인식하기 쉽게 된다.
인디케이터(45)는 칼라부(46, 47)에만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칼라부(46, 47)의 근방에는 인디케이터(45)의 「장착불능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칼라부(47)에 인접하는 파지부(50)는, 링(48, 48)의 내주지름보다 작은 지름이기 때문에 인디케이터(45)의 장착불능부(「제1장착불능부」)로 되어 있다. 링(48)의 내주지름은 칼라부(47)에 인접하는 파지부(50)의 외경보다 크다. 그 때문에 파지부(50)에 인디케이터(45)를 장착하여 지지부(49a)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면, 인디케이터(45)를 파지부(50)에 고정시켜 둘 수 없다. 제2지지부(49a)를 파지부(50)의 위에 재치(載置)할 수도 있지만, 약간의 진동에 의하여 탈락되어 버려서 오랜 기간에 걸쳐 안정된 상태에서 인디케이터(45)를 파지부(50)에 장착할 수는 없다. 또한 선단(48a)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점검자가 인디케이터의 방향이 반대인 것을 인식하기 쉽다.
혹은 인디케이터(45)에 있어서 2개가 있는 제1지지부(49b)의 일방을 타방의 제1지지부(49b)보다 크게 하여 중량을 증가시키면, 파지부(50)에 제2지지부(49a)를 재치하였을 때에 무거운 일방의 제1지지부(49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인디케이터(45)를 파지부(50)로부터 탈락시켜서, 인디케이터(45)가 파지부(50)에 장착될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홈(51)에 인접하는 접속구(10)의 외주부(10d)에도 인디케이터(45)를 장착할 수는 없다. 즉 외주부(10d)의 외경은 링(48)의 내주지름보다 커서 인디케이터(45)를 장착할 수 없는 「제2비장착부(第2非裝着部)」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억지로 접속구(10)의 외주부(10d)에 인디케이터(45)를 장착하려고 하면, 인디케이터(45)의 한 쌍의 선단(48a)을 크게 열지 않으면 안되고, 그러면 인디케이터(45)가 파손되므로 장착할 수 없다.
도9에 나타내는 다구 커플링(T)에서는, 접속구(10)의 외주부(10d)에 인디케이터(45)의 장착을 저지하는 고리모양돌출부(環狀突出部)(52)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모양돌출부(52)는 홈(51)에 인접하고 있고, 고리모양돌출부(52)의 외경은 링(48)의 내주지름보다 커서 링(48)을 끼울 수 없다. 또한 다구 커플링(T)에는 리브모양돌출부(rib狀突出部)(53)도 복수 형성되어 있고, 리브모양돌출부(53)는 하나의 접속구(10)의 고리모양돌출부(52)로부터 이웃하는 접속구(10)의 고리모양돌출부(5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접속구(10)로부터 다구 커플링(T)의 상단측으로 향하는 리브모양돌출부(53)도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인디케이터(45)는, 칼라부(46, 47)의 위치에서 밖에 장착될 수 없고, 또한 칼라부(46, 47)가 접촉한 상태일 때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인디케이터(45)가 장착되어 있다면, 암나사(11)와 수나사(21)가 적절한 체결상태에 있다는 것을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2실시형태의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에 따르면, 수배관부재(22)가, 수나사(21)보다 접속구(1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암나사(11)보다 안쪽으로 삽입되는 돌출부(20a)를 갖는 연결통부(20)와, 돌출부(20a)의 외주면과 접속구(10)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체결부를 지수하는 제3오링(42)과 제4오링(43)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20a)에 설치된 제3오링(42)과 제4오링(43)이, 수나사(21)와 암나사(11)의 체결부보다 안쪽의 위치에서 접속구(1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지수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에 대한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효과 외에, 이미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다구 커플링(T)과 플렉시블 배관(F)의 접속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구 커플링(T) 대신에 엘보우(elbow)나 티(tee) 등의 커플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엘보우 커플링의 일방의 접속구를 테이퍼(taper) 나사로 하고, 타방의 접속구를 상기에서 설명한 접속구(10)(암(female))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나, 3개의 접속구를 갖는 티 커플링 중 1군데 또는 2군데를 테이퍼 나사로 하고 나머지의 접속구를 접속구(1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5:천장하지재
6:금구
8:접속구
9:밀봉면
10:접속구(암배관부재)
10a:개구측 단부(제2고리모양돌기)
10b:스트레이트부
10c:스트레이트부
10d:외주부(제2장착불능부)
11:암나사
12:제1오링(지수부재)
13:로크 링
13a:로크부
14:고리모양홈
15:계지공
16:단차부(제2계합수용부)
20:연결통부(연결부재)
20a:돌출부
20b:연결부
20c:플랜지
21:수나사
21a:간극
22:수배관부재
22:수용부
22b:칼라부(제1고리모양돌기)
22c:단차부
22d:외주부
22f:경사면
22e:접촉면
23:단
24:단
25:스토퍼링
26:제2오링(지수부재)
27:밀봉면
28:너트(통모양 피복부)
28a:암나사(접속부)
29:수나사(접속부)
30:홈
30a:경사면
30b:접촉면
31:단차부(제1계합수용부)
32:인디케이터
33:돌기
33a:선단
34:박육부
35:오목부
37:간극
38:가동간극
39:접속부
41:단차면
42:제3오링(지수부재)
43:제4오링(지수부재)
44:단차부
45:인디케이터
46:칼라부(제2고리모양돌기)
46a:접촉면(고리모양측면)
47:칼라부(제1고리모양돌기)
47a:접촉면(고리모양측면)
48:링
48a:선단
50:파지부(제1장착불능부)
51:홈
52:고리모양돌출부
53:리브모양돌출부
C:천장판
F:금속제의 플렉시블 배관(가요관)
P:급수배관
S:스프링클러 헤드
T:다구 커플링

Claims (12)

  1. 수나사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용(消火設備配管用)의 수배관부재(male配管部材)와,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용의 암배관부재(female配管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수배관부재와 상기 암배관부재를 접속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부재는, 상기 수나사보다 상기 암배관부재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암나사보다 안쪽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연결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암배관부재의 내주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체결부를 상기 암배관부재의 내부에 대하여 지수(止水)하는 지수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수배관부재는 외주면에 제1계합수용부(第1係合受容部)를 갖고,
    상기 암배관부재는 외주면에 제2계합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수배관부재와 상기 암배관부재의 접속상태에서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상기 제2계합수용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링(ring)과, 인접하는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상기 제2계합수용부의 이간거리(離間距離)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음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링 상호간을 연결하는 지지부(支持部)를 갖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接續構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은, 각각 말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링의 선단부에 상기 제1계합수용부 및 상기 제2계합수용부에 대하여 빠짐을 방지하고 내측을 향하는 만곡선단부(彎曲先端部)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은, 상기 제1계합수용부 및 상기 제2계합수용부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상기 제2계합수용부를 가압협지(加壓挾持)하여 지지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링의 원주(圓周)상에 배치된 한 쌍의 제1지지부(第1支持部)와, 한 쌍의 제1지지부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링의 원주상의 위치에 배치된 제2지지부(第2支持部)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부(收容部)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부재는,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인접하는 상기 암배관부재와의 접속측 부위(接續側 部位)에 제1고리모양돌기(第1環狀突起)를 갖고 있고,
    상기 암배관부재는, 상기 제2계합수용부와 인접하는 상기 수배관부재와의 접속측 부위에 제2고리모양돌기(第2環狀突起)를 갖고 있고,
    상기 제1고리모양돌기와 상기 제2고리모양돌기는, 상기 수배관부재와 상기 암배관부재의 접속상태에서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지지부가 외주면과 가압접촉(加壓接觸)하면서 상기 한 쌍의 링에 의하여 그들의 고리모양측면을 협지되는 칼라(collar)모양돌기를 형성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암배관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부의 반대측단부에 접속된 가요관(可撓管)을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가요관의 접속부를 덮는 통모양 피복부(筒狀 被覆部)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모양 피복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상기 가요관의 굴곡변형(屈曲變形)을 허용하는 가동간극(可動間隙)을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암배관부재가 다구 커플링(多口 coupling)의 접속구(接續口)인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관부재는, 상기 제1계합수용부와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링의 내경(內徑)과 다른 외경(外徑)을 갖고 상기 링이 결합할 수 없는 제1장착불능부(第1裝着不能部)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암배관부재는, 상기 제2계합수용부의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링의 내경과 다른 외경을 갖고 상기 링이 결합할 수 없는 제2장착불능부(第2裝着不能部)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KR1020187030775A 2016-06-16 2017-06-15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KR20190019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7000022U KR200494979Y1 (ko) 2016-06-16 2017-06-15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9438A JP6163632B1 (ja) 2016-06-16 2016-06-16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JPJP-P-2016-119438 2016-06-16
PCT/JP2017/022059 WO2017217479A1 (ja) 2016-06-16 2017-06-15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7000022U Division KR200494979Y1 (ko) 2016-06-16 2017-06-15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46A true KR20190019046A (ko) 2019-02-26

Family

ID=593512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7000022U KR200494979Y1 (ko) 2016-06-16 2017-06-15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KR1020187030775A KR20190019046A (ko) 2016-06-16 2017-06-15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7000022U KR200494979Y1 (ko) 2016-06-16 2017-06-15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4068B2 (ko)
JP (2) JP6163632B1 (ko)
KR (2) KR200494979Y1 (ko)
CN (1) CN109219718A (ko)
TW (2) TW201812201A (ko)
WO (1) WO2017217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8379B2 (ja) * 2016-12-01 2022-05-31 Ckd株式会社 連結部材、流体機器接続治具及び流体機器接続構造
DE102018201207A1 (de) * 2018-01-26 2019-08-01 Skf Lubrication Systems Germany Gmbh Hydraulikflansch
KR102056133B1 (ko) * 2018-03-26 2019-12-17 (주)광운기업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JP7158638B2 (ja) * 2018-11-06 2022-10-24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消火設備用管継手
JP7160709B2 (ja) * 2019-02-05 2022-10-25 芝浦機械株式会社 緩み止め具
KR102094381B1 (ko) * 2019-07-18 2020-03-27 주식회사 뉴아세아조인트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TWI760731B (zh) * 2020-04-23 2022-04-11 王瑞彬 蓄水池出水接頭裝置
JP2023102528A (ja) * 2022-01-12 2023-07-25 株式会社マルイチ藤井 配管の接続構造
JP7241443B1 (ja) 2022-05-18 2023-03-17 トーフレ株式会社 配管の捻じれを吸収する配管構造及び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277A (ja) 1991-12-12 1993-06-29 Harman Co Ltd 管継ぎ手
JPH10118219A (ja) 1996-08-28 1998-05-12 Mitsui Chem Inc スプリンクラー用配管と、その施工法
JP2006226532A (ja) 2002-04-04 2006-08-31 Inax Corp 迅速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281A (en) * 1976-11-15 1978-06-06 Vetco Offshor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xially loading threaded connectors
JPS6018384U (ja) * 1983-07-14 1985-02-07 トーセツ株式会社 給排気筒用接続金具
JPH0434591U (ko) * 1990-07-17 1992-03-23
JPH0559087U (ja) * 1992-01-17 1993-08-03 株式会社協成 スパイラルフレキシブルパイプの継手
JP2580950Y2 (ja) 1992-12-01 1998-09-1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流体送給用パイプの連結構造
JPH0818089B2 (ja) * 1993-02-02 1996-02-28 トーフレ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JP3682666B2 (ja) 1996-04-30 2005-08-10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の管体構造
JP3072507B2 (ja) * 1997-06-17 2000-07-31 東亜高級継手バルブ製造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巻出し管
US6722705B2 (en) * 2002-04-25 2004-04-20 Ab Korkor Medical, Inc. Medical tubing connector
FR2857080B1 (fr) * 2003-07-01 2007-04-13 J P B Systeme Dispositif de verrouillage et raccord de canalisation ainsi equipe
JP4771858B2 (ja) * 2006-05-19 2011-09-14 Jfe継手株式会社 管継手
JP2008286369A (ja) * 2007-05-21 2008-11-27 Denso Corp 配管継手装置
KR101092708B1 (ko) 2009-06-30 2011-12-09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KR101331061B1 (ko) 2013-04-11 2013-11-19 와이에스(주) 수입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JP2015047472A (ja) 2013-09-05 2015-03-16 ホーチキ株式会社 消防用設備の弁装置
JP6369061B2 (ja) 2014-03-13 2018-08-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変更支援装置
JP6446629B2 (ja) * 2014-03-18 2019-01-09 丸一株式会社 管体の接続構造
US20160358517A1 (en) * 2015-05-01 2016-12-08 Direct Purchase Quick Couplings, Incorporated Color identification safet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277A (ja) 1991-12-12 1993-06-29 Harman Co Ltd 管継ぎ手
JPH10118219A (ja) 1996-08-28 1998-05-12 Mitsui Chem Inc スプリンクラー用配管と、その施工法
JP2006226532A (ja) 2002-04-04 2006-08-31 Inax Corp 迅速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90U (ko) 2020-05-18
JP2017223297A (ja) 2017-12-21
US11054068B2 (en) 2021-07-06
TWM611077U (zh) 2021-05-01
KR200494979Y1 (ko) 2022-02-08
US20190264842A1 (en) 2019-08-29
WO2017217479A1 (ja) 2017-12-21
CN109219718A (zh) 2019-01-15
TW201812201A (zh) 2018-04-01
JPWO2017217479A1 (ja) 2019-07-18
JP6163632B1 (ja)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9046A (ko)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JP3225421U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JP3226914U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WO2016170819A1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及び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3219452U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JP2004357981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取付構造
JP3233135U (ja) 消火設備用管継手
KR20180030958A (ko) 파이프 연결구
JP2018050653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JP2018183577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JP2018183578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JP6853935B2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JP2015197195A (ja) 狭所配管用継手
JP2021131099A (ja) 火無し継手における気密試験用プラグ取付構造、火無し継手、及び気密試験用プラグ
JP2015039586A (ja) ヘッド取付構造
TW201732184A (zh) 消防設備配管之連接構造
JP2007163278A (ja) 配管の流体漏れ検査プラグ
JP2017086189A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WO2017002739A1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継手
JP2005351824A (ja) 配管の流体漏れ検査プラグ
CN216676807U (zh) 一种内扣式消防接头
JP6502776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及び配管の接続構造
CA2994879C (en) Fastener having a flexible sleeve for connecting a coated conduit to a fitting
JP653552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継手
JP2003214575A (ja) ユニオンナット継手用管離脱防止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リン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