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133B1 -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133B1
KR102056133B1 KR1020180034432A KR20180034432A KR102056133B1 KR 102056133 B1 KR102056133 B1 KR 102056133B1 KR 1020180034432 A KR1020180034432 A KR 1020180034432A KR 20180034432 A KR20180034432 A KR 20180034432A KR 102056133 B1 KR102056133 B1 KR 10205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ipe
binding
expansion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437A (ko
Inventor
임광훈
이예종
Original Assignee
(주)광운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운기업 filed Critical (주)광운기업
Priority to KR102018003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1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는 주름관을 소켓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하여 연결작업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하는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이다.
본 발명은 주배관(100)과, 스프링쿨러 헤드를 체결 고정하는 레듀싱 엘보우에 설치되는 신축관(300)을 결속수단(40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400)은 주배관(100)과 연결되는 소켓(410)과,
상기 신축관(300)에 끼워져 소켓(410)에 삽입으로 결합하는 결속구(420)와,
상기 소켓(410)에 끼워진 결속구(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면 둘레부에 끼워져 결속되도록 하는 체결링(4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Fire-fighting pipe bundling machine}
본 발명은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관을 주배관과 소켓에 의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연결하여 배관작업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하는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프링쿨러(SPRINKLER)의 시스템은 주 급수관에 연결하는 각 분기급수관에 소켓을 통해 주름관 등의 신축관을 연결하고 신축관의 타단에 스프링쿨러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의 연결로 스프링쿨러를 구비하여 화재가 발생한 부분의 스프링쿨러가 작동하여 용수를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였다.
스프링클러의 시스템에 관련하여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10-1346722호 "소방용 신축배관"이 제안된 바,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스프링쿨러 주배관(A)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B)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주배관(A)과 신축배관(D)을 결합해주는 소켓(2)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B)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3)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축파이프(1)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주름부(11)가 형성되면서 양측 말단에는 상기 소켓(2)과 후레어 너트(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확관부(12)가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신축파이프(1)에 소켓(2)을 고정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신축파이프(1)를 삽입하는 공정과, 단말기 세팅공정과, 확관공정과, 프레싱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어 그 결합공정이 많아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신축파이프(1)는 양측 말단에는 상기 소켓(2)과 후레어 너트(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확관부(12)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 확관부(12)는 소켓(2)과 신축파이프(1)를 결합할 때 소켓(2)을 신축파이프의 한측에 끼워 흐름방지부(13)에 걸릴때 까지 끼운 후 신축파이프의 외측단을 별도의 기구에 의해 벌려 외측으로 절곡시키는 확산공정으로 소켓(2)의 내측에 형성한 단층(26)에 밀착시킨 것으로 확관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워 작업으로 수행하고 있다.
둘째; 확관부(1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작업부주의로 신축파이프(1)는 극히 얇은 관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하는 파손 우려로 불량품이 나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확실하게 압착되지 못할 경우 소켓(2)에 신축파이프(1)가 밀착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시공한 후 결합부분에 누수가 발생하거나 신축파이프(1)를 위치에 맞게 굴곡하는 과정에서 파손될 때 또는 불량 신축파이프를 사용할 때 등으로 신축파이프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소켓(2), 신축파이프(1) 및 후레어 너트(3)등 일부를 교환하지 못하고 전체의 앗세이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소켓(2)외측으로 주배관(A)을 끼워 결합시 접착제로 접착되도록 결합되어 있어 소켓에 주배관을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배관의 적정위치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 별도의 커플러 등으로 절단된 길이 만큼 새로 이음하여 새로운 소켓에 연결하여야 하는 상당한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유지 보수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프링쿨러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는 주름관을 소켓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하여 연결작업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하는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를 제공함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파이프를 주배관과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해주는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로서,
상기 결속수단은 주배관과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신축관에 끼워져 소켓에 결속되도록 하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소켓은 내부 중간부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전후방으로 개통되게 형성하는 외측의 연결공에 주배관을 끼워 연결되도록 하고 내측 단부 둘레에 일정각도를 두고 연속적으로 결속홈을 형성하면서 내측 외면 둘레에 링홈을 형성한다.
상기 결속구는 소켓에 형성한 각 결속홈에 끼워지도록 삽입부의 후방 둘레에 삽입편을 각각 형성하면서 삽입편의 외면 둘레에 링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신축파이프를 주배관과 결합해주는 결합수단으로 소켓에 연결구를 탈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조립과정이 간편하여 작업효율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시공한 후 결합부분에 누수가 발생하거나 신축파이프를 위치에 맞게 굴곡하는 과정에서 파손될 때 또는 불량 신축파이프를 사용할 때 등으로 신축파이프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소켓과 연결구의 간단한 분리작업으로 불량 부품만을 간편히 교환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그 중 특정 실시 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바 이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배관(100)과 스프링쿨러용 레듀싱 엘보우에 설치되는 신축관(300)을 결속수단(40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결속수단(400)은 주배관(100)과 연결되는 소켓(410)과, 상기 신축관(300)에 끼워져 소켓(410)에 탈착되도록 결합하는 결속구(4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소켓(410)은,
내부 중간부에 단턱부(411)를 형성하여 전후방으로 개통되게 형성하는 외측의 연결공(412)에 주배관(100)을 끼워 연결되도록 하고 내측단부 둘레에 일정각도를 두고 다수개의 결속홈(414)을 형성하면서 외면 둘레에 링홈(415)을 형성한다.
상기 결속구(420)는,
소켓(410)에 형성한 각 결속홈(414)에 끼워지도록 삽입부(421)의 둘레에 삽입편(422)을 각각 형성하면서 삽입편(422)의 외면 둘레에 링홈(423)을 형성한다.
상기 링홈(415,423)에는 소켓(410)에 형성한 각 결속홈(414)에는 결속구(420)에 형성한 삽입편(422)을 끼운 상태에서 링홈(415,423)에 체결링(430)을 끼워 결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관(300)은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하는 돌출테(310)의 전후방에 각각 밀폐링(320)을 끼워 한쪽은 소켓(410)에 결속구(420)에 의해 신축관(300)이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고 다른 쪽은 레듀싱 엘보우와 너트에 의해 결합시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신축관(300)의 양단부에 돌출테(310)를 형성하기 전에 결속구(420)를 먼저 삽입한 후 돌출테(310)를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신축관(300)은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주름부(33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소켓(410)에 주배관(100)을 연결공(412)에 삽입할 때 연결공(412)의 내측단에 먼저 밀폐링을 삽입 후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결합하여 밀폐성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호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켓(410)에 주배관(100)이 연결된 상태에서 신축관(300)에 끼워진 결속구(420)을 소켓(410)에 결합할 때 결속구(420)의 외면 둘레에 형성한 삽입편(422)을 소켓(410)에 형성한 결속홈(414)에 맞게 끼워 주면 삽입편(422)과 결속홈이 위치한 소켓의 외면 둘레에 형성한 링홈(415,423)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링(430)을 끼워 주므로 소켓(410)에 끼워진 결속구(420)가 체결링(430)에 의해 결속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결속구(420)가 소켓(410)에 회동되지 않고 결속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시공한 후 결합부분에 누수가 발생하거나 신축관(300)를 위치에 맞게 굴곡하는 과정에서 파손될 때 또는 불량 신축관(300)를 사용할 때 등으로 신축관(300)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공구 등으로 체결링(430)만 링홈(415,423)에서 분리하면 결속구(420)를 소켓(410)으로 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불량 부품만을 간편히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100: 주배관
300: 신축관 400: 결속수단
410: 소켓 411: 단턱부
412: 연결공 414: 결속홈
415,423: 링홈
420: 결속구 421: 삽입부
422: 삽입편
430: 체결링

Claims (3)

  1. 주배관(100)과 연결되는 소켓(410)과, 상기 소켓(410)에 삽입으로 결합하면서 스프링쿨러 헤드를 체결 고정하는 레듀싱 엘보우에 설치되는 신축관(300)에 끼워져 연결하는 결속구(420)를 구성하는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420)의 삽입부(421)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삽입편(422)을 상기 소켓(410)의 내측단부 둘레에 일정각도를 두고 형성한 결속홈(414)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짐과,
    상기 삽입편(422)과 결속홈(4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삽입편(422)과 결속홈(414)의 외면에 각각 링홈(415,423)을 형성하여 결속홈(414)에 삽입편(422)이 결합후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양 링홈(415,423)에 체결링(430)을 끼워 결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34432A 2018-03-26 2018-03-26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KR10205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32A KR102056133B1 (ko) 2018-03-26 2018-03-26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32A KR102056133B1 (ko) 2018-03-26 2018-03-26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37A KR20190112437A (ko) 2019-10-07
KR102056133B1 true KR102056133B1 (ko) 2019-12-17

Family

ID=6842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32A KR102056133B1 (ko) 2018-03-26 2018-03-26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1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573Y1 (ko) * 2002-11-28 2003-02-17 유옥수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JP2017223297A (ja) * 2016-06-16 2017-12-21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573Y1 (ko) * 2002-11-28 2003-02-17 유옥수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JP2017223297A (ja) * 2016-06-16 2017-12-21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37A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87787A8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of CPVC fire sprinkler system employing mechanical couplings and supports
KR19990076954A (ko) 호스 연결 장치
US6030005A (en)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pipes
KR200491655Y1 (ko) 압착방식의 배관 연결구
CN104808295A (zh) 线缆牵引组件及其组装和拆卸方法
KR101917671B1 (ko)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KR101865460B1 (ko)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RU2543916C2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2056133B1 (ko)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US20060157972A1 (en) Inside reducing pipe bushing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CN113028179A (zh) 家用电器管道对接防私拆装置、燃气灶及管道对接拆装方法
KR20170002084U (ko) 배관 연결구
JP3961489B2 (ja) パイプ連結具
ATE292770T1 (de) Kupplungsmuffe für gewellt ausgebildete rohre
CN214744063U (zh) 一种高密封性的管件快速接头
KR100493329B1 (ko) 파이프 연결구
CN216952186U (zh) 一种防拆卸管接头
CN216789532U (zh) 水带接口
KR200269996Y1 (ko) 배관용 결속장치
KR200280086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111722B1 (ko) 관 이음장치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CN219432706U (zh) 一种消防用消防水管连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