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84U -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84U
KR20170002084U KR2020150007942U KR20150007942U KR20170002084U KR 20170002084 U KR20170002084 U KR 20170002084U KR 2020150007942 U KR2020150007942 U KR 2020150007942U KR 20150007942 U KR20150007942 U KR 20150007942U KR 20170002084 U KR20170002084 U KR 201700020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ing
joint
connec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준
Original Assignee
삼영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영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084U/ko
Publication of KR20170002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16L13/143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element placed around the male part before crimping or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배관이 결합되는 단부에 삽입된 배관과 압착결합되는 지지단부가 더 구비되어 배관 결합시 복수 부위를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배관과의 결합성 및 시공안전성을 높인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양단측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어 중앙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실링수단이 구비된 이음매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매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관 연결구{Pipe Joint}
본 고안은 복수의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배관이 결합되는 단부에 삽입된 배관과 압착결합되는 지지단부가 더 구비되어 배관 결합시 복수 부위를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배관과의 결합성과 시공안전성을 높인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수, 난방 및 에어 등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는 배관의 길이 및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배관을 상호 연결하고, 이러한 연결은 배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 연결구는 대체로 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1자형, T형, L형, 십자형 등으로 절곡 또는 분기되어 형성됨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관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관 연결구는 외주면을 따라 대체로 상방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이음매부분이 형성되고, 그 내측 공간에 O-링이 삽입된다. 관과 관 연결구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관을 관 연결구의 일측 개구에 끼우고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상호 압착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압착에 의해, 이음매 부분이 압착됨에 따라, 이음매 내측 공간에 설치된 O-링이 가압되어 관과 관 연결구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음매 주변부 또한 압착되어 외력에 의해 관이 관 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 연결구 및 결합방식이 포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36811호(2007년09월28일.,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관 연결용 압착공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을 관 이음쇠(2)의 일측 개구에 끼우고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상호 압착 연결한다.
이때, 관 이음쇠(2)와 관(1)이 겹치는 부분(A)이 압착공구에 의해 압착될 때 다각 및 원형으로 압착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이 관 이음쇠 내측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A)부분만이 압착공구에 의해 다각 및 원형으로 압착되기 때문에 결합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A)부분만으로 관과 관 이음쇠가 결합되기 때문에 관을 관 이음쇠의 외측으로 당기는 경우 쉽게 빠지거나 외부 충격이 관의 외주면으로 전달되는 경우 관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이 관 이음쇠(2)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일부분만 삽입된 상태에서 (A)부분을 압착하는 경우, 관과 관 이음쇠가 완전히 압착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의 실수로 관이 관 이음쇠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한 상태에서 압착 고정하는 경우 압착 고정되는 부위가 (A) 부분만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및 팽창 또는 수압에 의해 관이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14864호(2012년02월03일., 등록)에서는, '소방용 배관 어댑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되, 일단부에 관의 단부를 내측으로 구부린 이음매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부에는 실링 수단이 끼워져 있어서, 소방 배관을 끼운 후 상기 이음매를 압착하면 상기 소방 배관과 결합되는 압착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이음매는 확관부의 단부에 이음매가 구비된 것으로, 이음매가 어댑터의 선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된 소방 배관을 외측으로 당기는 경우 쉽게 빠지거나 외부 충격이 관의 외주면으로 전달되는 경우 배관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온도 변화 및 수압에 의한 소방 배관 및 이음매의 신축 팽창에 의해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제10-1236872호(2013년02월19일., 등록) 명칭 '배관 연결구 일체형 밸브'에서는, 밸브에 배관 연결을 위한 관 연결구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관 연결구의 선단부에 연결조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조인트의 단부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배관체결부가 형성되어 배관이 배관체결부를 통해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도 배관체결부가 연결조인트의 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삽입된 배관의 결합이 하나의 부위에서만 결합되고, 이로 인해 외부 충격에 의해 관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삽입된 배관을 외측으로 당기는 경우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실용신안 제20-0436811호, 명칭:관 연결용 압착공구 2. 등록특허 제10-1114864호, 명칭 : 소방용 배관 어댑터 및 그 제조방법 3. 등록특허 제10-1236872호, 명칭 : 배관 연결구 일체형 밸브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이 결합되는 단부에 삽입된 배관과 압착결합되는 지지단부가 더 구비되어 배관 결합시 복수 부위를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배관과의 결합성을 높이고, 배관이 내측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복수 부위를 압착하여 배관을 고정함으로써 배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양단측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어 중앙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실링수단이 구비된 이음매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매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이음매의 외측에 배관과 압착 결합되는 지지단부가 구비되어 삽입된 배관과 배관연결구의 복수부위를 압착 결합함으로써 결합된 배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배관과 배관 연결구의 결합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장시간 사용에도 배관과 배관 연결구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배관이 배관연결구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한 상태 즉,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배관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복수부위를 압착하여 배관과 배관연결구를 고정할 수 있어 결합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 배관 연결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서는 배관 연결구의 양단부에 배관이 연결되는 2방향 유로용 배관 연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3방향 이상의 유로에도 본 고안이 적용됨은 자명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구(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양단측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어 중앙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이음매(10)가 구비되되, 상기 이음매(1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단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구(1)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내부는 유체가 흐르도록 빈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개구되며, 개구된 양단을 통해 배관이 각각 삽입되고, 개구된 양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삽입된 배관(100)의 외주면과 맞닿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압착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30)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되 압착부(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오목부(40)와, 상기 오목부(40)와 압착부(30)를 잇는 테이퍼면(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부(30)는, 삽입된 배관(100)의 외주면이 맞닿는 부분으로서 압착공구를 통해 압착되면서 배관(100)과 밀착된다. 압착공구를 통해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부(30)와 배관(100)은 다각형 및 원형으로 압착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오목부(40)는, 개구된 단부를 통해 삽입된 배관(100)이 과도하게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착부(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면(50)은, 상기 압착부(30)와 오목부(40)를 잇는 것으로, 상기 오목부(40)의 양단부에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관되도록 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삽입된 배관(100)의 선단부가 맞닿아 걸리도록 하여 배관(100)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턱 역할을 한다.
상기 이음매(10)는, 상기 압착부(30)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오-링 등과 같은 실링수단(11)이 배치된다.
상기 이음매(10)는 압착공구에 압착부(30)가 압착될 때 동시에 압착되면서 내부에 구비된 실링수단(11)이 가압 변형되면서 배관(100)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밀폐하여 수밀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링수단은 고무 재질의 오-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이음매(1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이음매에는 고무 재질의 오-링이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이음매에는 금속 재질의 금속 링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금속 링이 배관을 강하게 압착하여 결합성을 높이고 고무 재질의 오-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밀성을 높이므로 배관과 이음매의 결합 신뢰성 및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지지단부(20)는, 상기 압착부(3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음매(10)의 외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관(100)의 일부가 삽입되고, 압착공구를 통해 배관(100)과 다각형으로 압착되면서 결합 된다.
즉, 상기 지지단부(20)는 상기 압착부(30)와 함께 배관(100)을 압착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음매(10)를 기준으로 압착부(30)와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부(20)와 압착부(30)를 통해 배관(100)과 배관 연결구(1)의 복수 부위를 압착 결합함으로써 결합성을 높이고, 배관(100)이 배관 연결구(1)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와 동시에 결합된 배관(100)이 외부 충격에 의해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배관(100)이 배관 연결구(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이음매의 외측에 배관이 삽입되는 지지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단부가 압착부와 함께 배관을 다각 및 원형으로 압착 결합함으로써 배관과 배관 연결구의 결합성을 높이며, 복수 부위의 압착을 통해 배관과 배관 연결구를 결합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서 배관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배관이 배관 연결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원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배관 연결구 100 : 배관
10 : 이음매 11 : 실링수단
20 : 지지단부
30 : 압착부 40 : 오목부
50 : 테이퍼면

Claims (1)

  1.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양단측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어 중앙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실링수단(11)이 구비된 이음매(10)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매(1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단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관 연결구.
KR2020150007942U 2015-12-04 2015-12-04 배관 연결구 KR201700020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42U KR20170002084U (ko) 2015-12-04 2015-12-04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42U KR20170002084U (ko) 2015-12-04 2015-12-04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84U true KR20170002084U (ko) 2017-06-14

Family

ID=5909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942U KR20170002084U (ko) 2015-12-04 2015-12-04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08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355A (ko) * 2017-12-28 2019-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 타워
KR20240052303A (ko) 2022-10-14 2024-04-23 박희준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KR20240052304A (ko) 2022-10-14 2024-04-23 박희준 배관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11A (ko)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발신자 음성벨 출력방법
KR101114864B1 (ko) 2011-05-20 2012-03-06 이큐조인텍 주식회사 소방용 배관 어댑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236872B1 (ko) 2012-08-06 2013-02-26 삼효금속공업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 일체형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11A (ko)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발신자 음성벨 출력방법
KR101114864B1 (ko) 2011-05-20 2012-03-06 이큐조인텍 주식회사 소방용 배관 어댑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236872B1 (ko) 2012-08-06 2013-02-26 삼효금속공업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 일체형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355A (ko) * 2017-12-28 2019-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 타워
KR20240052303A (ko) 2022-10-14 2024-04-23 박희준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KR20240052304A (ko) 2022-10-14 2024-04-23 박희준 배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67833A1 (en) Pipe coupling for joining pipes of varying diameters
RU2013127175A (ru) Фитинг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в частности гибких труб
KR101134992B1 (ko) 플레어 가공을 이용한 클램프 타입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
KR20170002084U (ko) 배관 연결구
US11525533B2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WO2008036219B1 (en) Adjust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its use
WO2021093316A1 (zh) 一种密封结构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KR20170047015A (ko) 신축 이음관
CA2712760C (en) Pipe fitting with a solvent cement barrier
ITMI970793A1 (it) Raccordo a pressare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KR102000018B1 (ko)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20100134425A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RU91130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фитинга с полипропиленовой трубой и комплект деталей для его сборки
KR101871168B1 (ko) 육안식별부에 의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RU2408814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и штуцер для него
KR20070055668A (ko) 배관용 유니온
KR200170280Y1 (ko) 관 이음 구조
JP3074303U (ja) フレキシブル管継手
KR102113691B1 (ko) 고압 호스용 연결구
CN209743812U (zh) 一种燃气立管连接管件
KR200321875Y1 (ko) 압입 결합식 관이음장치
KR200187811Y1 (ko) 관의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