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303A -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303A
KR20240052303A KR1020220132162A KR20220132162A KR20240052303A KR 20240052303 A KR20240052303 A KR 20240052303A KR 1020220132162 A KR1020220132162 A KR 1020220132162A KR 20220132162 A KR20220132162 A KR 20220132162A KR 20240052303 A KR20240052303 A KR 20240052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otrusion
joint body
sealing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박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준 filed Critical 박희준
Priority to KR102022013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303A/ko
Publication of KR2024005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23Universal and rotating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전방은 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측 중간에 배관(A)의 끝단을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11)을 구비하며 내측 후방에 지지턱(112)을 형성하고 외측 후방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13)를 마련하는 내부 관절몸체(110);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외측 전방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패킹부재(120); 상기 패킹부재(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하고 내측 중간에 배관(B)의 끝단을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1)을 구비하며 내측 후방에 지지턱(132)을 형성하고 외측 후방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33)를 마련하는 외부 관절몸체(130); 상기 지지턱(11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제1실링부재(140);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내측 후방에 삽입하되 외측에 상기 가압부(11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할 수 있도록 가압면(151)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관(A)의 외경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5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1실링부재(140)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53)을 형성하는 제1배관 고정구(150); 상기 지지턱(12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제2실링부재(160);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의 내측 후방에 삽입하되 외측에 상기 가압부(13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할 수 있도록 가압면(171)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관(B)의 외경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7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2실링부재(160)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73)을 형성하는 제2배관 고정구(170);를 포함하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배관을 견고하게 고정 및 연결시켜 부실시공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충격 및 계절변화로 발생하는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하여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articulated piping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절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배관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고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는 상수도 배관 또는 몰코 배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를 갖는 배관 사이를 연결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관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 및 연결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배관 사이의 기밀성이 약하고 진동 및 충격 등으로 인해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계절변화(온도변화)에 따라서 발생하는 수축과 팽창으로 인해 배관과 쉽게 분리되므로 누수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부실시공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4357호(2013.07.2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3165호(2015.11.30.)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304065호(1999.11.05.)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2084호(2017.06.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1895호(2021.12.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배관을 견고하게 고정 및 연결시켜 충격 및 계절변화로 발생하는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배관의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100)는,
외측 전방은 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측 중간에 배관(A)의 끝단을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11)을 구비하며 내측 후방에 지지턱(112)을 형성하고 외측 후방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13)를 마련하는 내부 관절몸체(110);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외측 전방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패킹부재(120); 상기 패킹부재(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하고 내측 중간에 배관(B)의 끝단을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1)을 구비하며 내측 후방에 지지턱(132)을 형성하고 외측 후방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33)를 마련하는 외부 관절몸체(130); 상기 지지턱(11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제1실링부재(140);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내측 후방에 삽입하되 외측에 상기 가압부(11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할 수 있도록 가압면(151)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관(A)의 외경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5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1실링부재(140)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53)을 형성하는 제1배관 고정구(150); 상기 지지턱(12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제2실링부재(160);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의 내측 후방에 삽입하되 외측에 상기 가압부(13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할 수 있도록 가압면(171)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관(B)의 외경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7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2실링부재(160)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73)을 형성하는 제2배관 고정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13,133)의 외측에 빙둘러 형성하는 가압 유도홈(113a,13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113,133)의 내측 후방에 빙둘러 형성하는 가압돌기(113b,13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패킹부재(120)의 외측에 형성하는 돌출부(121);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의 전방 내측에 상기 돌출부(121)와 맞물려 상기 패킹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의 일측면을 절단하여 일정넓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절개부(150a,17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을 견고하게 고정 및 연결시켜 부실시공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충격 및 계절변화로 발생하는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하여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측 전방은 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측 중간에 배관(A)의 끝단을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11)을 구비하며 내측 후방에 지지턱(112)을 형성하고 외측 후방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13)를 마련하는 내부 관절몸체(110);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외측 전방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패킹부재(120); 상기 패킹부재(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하고 내측 중간에 배관(B)의 끝단을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1)을 구비하며 내측 후방에 지지턱(132)을 형성하고 외측 후방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33)를 마련하는 외부 관절몸체(130); 상기 지지턱(11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제1실링부재(140);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내측 후방에 삽입하되 외측에 상기 가압부(11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할 수 있도록 가압면(151)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관(A)의 외경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5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1실링부재(140)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53)을 형성하는 제1배관 고정구(150); 상기 지지턱(12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제2실링부재(160);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의 내측 후방에 삽입하되 외측에 상기 가압부(13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할 수 있도록 가압면(171)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관(B)의 외경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7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2실링부재(160)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73)을 형성하는 제2배관 고정구(17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와 외부 관절몸체(130)는 서로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내측에 배관(A,B)을 삽입하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전방은 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배관(A,B)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원활한 회전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111)은 내측에 삽입하는 배관(A)의 끝단이 맞닿아 더는 이동하지 않고 배관(A)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턱(112)은 상기 제1실링부재(140) 및 제1배관 고정구(150)가 맞닿은 상태로 상기 가압부(11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1실링부재(140) 및 제1배관 고정구(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를 지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제1실링부재(140)의 내측면과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의 고정돌기(152)가 배관(A)의 외경을 압착시켜 기밀성(수밀성) 확보 및 견고한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113)는 내측에 상기 제1실링부재(140) 및 제1배관 고정구(150)가 삽입한 상태에서 압착기 등과 같은 작업공구를 외측에 장착하여 작동함으로써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를 압착시켜 상기 고정돌기(152)가 배관(A)의 외경을 견고하게 고정 및 연결시켜 충격 및 계절변화로 발생하는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113)의 외측에 빙둘러 형성하는 가압 유도홈(113a);을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113)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위치를 유도하여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의 압착 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도홈(113a)은 일정넓이 및 깊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113)의 내측 후방에 빙둘러 형성하는 가압돌기(113b);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11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를 더욱더 강하게 압착시켜 상기 고정돌기(152)가 배관(A)의 외경을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120)는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외측과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의 내측 사이에 위치하여 배관(A,B)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20)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킹부재(120)의 외측에 형성하는 돌출부(121);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의 전방 내측에 상기 돌출부(121)와 맞물려 상기 패킹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134);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와 외부 관절몸체(13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패킹부재(120)가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재(120)의 내측은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전방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와 동일한 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면 접촉상태로 원활한 회전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는 배관(B)을 고정하고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와 바라보도록 서로 연결하여 배관(A,B)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턱(131)은 내측에 삽입하는 배관(B)의 끝단이 맞닿아 더는 이동하지 않고 배관(B)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턱(132)은 상기 제2실링부재(160) 및 제2배관 고정구(170)가 맞닿은 상태로 상기 가압부(13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2실링부재(160) 및 제2배관 고정구(17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를 지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제2실링부재(160)의 내측면과 상기 제2배관 고정구(170)의 고정돌기(172)가 배관(B)의 외경을 압착시켜 기밀성 확보 및 견고한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133)는 내측에 상기 제2실링부재(160) 및 제2배관 고정구(170)가 삽입한 상태에서 압착기 등과 같은 작업공구를 외측에 장착하여 작동함으로써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2배관 고정구(170)를 압착시켜 상기 고정돌기(172)가 배관(B)의 외경을 견고하게 고정 및 연결시켜 충격 및 계절변화로 발생하는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133)의 외측에 빙둘러 형성하는 가압 유도홈(133a);을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133)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위치를 유도하여 상기 제2배관 고정구(170)의 압착 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도홈(133a)은 일정넓이 및 깊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133)의 내측 후방에 빙둘러 형성하는 가압돌기(133b);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13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2배관 고정구(170)를 더욱더 강하게 압착시켜 상기 고정돌기(172)가 배관(B)의 외경을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실링부재(140) 및 제2실링부재(160)는 배관(A,B)의 외경에 밀착하여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과 형상 및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는 배관(A,B)의 외경에 압착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의 일측면을 절단하여 일정넓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절개부(150a,170a);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113,133)가 내측으로 휘어져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를 압착할 경우 상기 절개부(150a,170a)이 넓이가 좁아지면서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가 배관(A,B)의 외경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가압면(151,17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상기 가압부(113,13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가 외부충격 및 진동 등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52,172)는 배관(A,B)의 외경을 파고들어가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삼각형 등과 같이 끝이 뾰족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52,172)는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다수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삽입홈(153,173)은 내측에 상기 제1실링부재(140) 및 제2실링부재(160)가 삽입하여 지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53,173)은 상기 제1실링부재(140) 및 제2실링부재(160)가 삽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 및 외부 관절몸체(130)의 후방 내측에 각각 배관(A,B)의 끝단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가압부(113,133)를 내측으로 휘어서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를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돌기(152,172)가 배관(A,B)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외부충격 또는 계절변화로 발생하는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A,B)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 및 외부 관절몸체(130)가 원활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110: 내부 관절몸체 111: 걸림턱
112: 지지턱 113: 가압부
113a: 가압 유도홈 113b: 가압돌기
120: 패킹부재 121: 돌출부
130: 외부 관절몸체 131: 걸림턱
132: 지지턱 133: 가압부
133a: 가압 유도홈 133b: 가압돌기
134: 고정홈
140: 제1실링부재
150: 제1배관 고정구 150a: 절개부
151: 가압면
152: 고정돌기 153: 삽입홈
160: 제2실링부재
170: 제2배관 고정구 170a: 절개부
171: 가압면
172: 고정돌기 173: 삽입홈
A,B: 배관

Claims (5)

  1. 외측 전방은 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측 중간에 배관(A)의 끝단을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11)을 구비하며 내측 후방에 지지턱(112)을 형성하고 외측 후방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13)를 마련하는 내부 관절몸체(110);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외측 전방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패킹부재(120); 상기 패킹부재(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하고 내측 중간에 배관(B)의 끝단을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1)을 구비하며 내측 후방에 지지턱(132)을 형성하고 외측 후방에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압부(133)를 마련하는 외부 관절몸체(130); 상기 지지턱(11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제1실링부재(140); 상기 내부 관절몸체(110)의 내측 후방에 삽입하되 외측에 상기 가압부(11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할 수 있도록 가압면(151)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관(A)의 외경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5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1실링부재(140)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53)을 형성하는 제1배관 고정구(150); 상기 지지턱(12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제2실링부재(160);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의 내측 후방에 삽입하되 외측에 상기 가압부(13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압착할 수 있도록 가압면(171)을 형성하고 하부에 배관(B)의 외경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7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2실링부재(160)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73)을 형성하는 제2배관 고정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13,133)의 외측에 빙둘러 형성하는 가압 유도홈(113a,13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13,133)의 내측 후방에 빙둘러 형성하는 가압돌기(113b,13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20)의 외측에 형성하는 돌출부(121); 상기 외부 관절몸체(130)의 전방 내측에 상기 돌출부(121)와 맞물려 상기 패킹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 고정구(150) 및 제2배관 고정구(170)의 일측면을 절단하여 일정넓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절개부(150a,17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KR1020220132162A 2022-10-14 2022-10-14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KR20240052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162A KR20240052303A (ko) 2022-10-14 2022-10-14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162A KR20240052303A (ko) 2022-10-14 2022-10-14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303A true KR20240052303A (ko) 2024-04-23

Family

ID=9088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162A KR20240052303A (ko) 2022-10-14 2022-10-14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30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065A (ja) 1998-04-16 1999-11-05 Higashio Mec Kk 管継手
KR20130084357A (ko) 2012-01-17 2013-07-25 김청균 스위블 조인트
KR101573165B1 (ko) 2015-01-03 2015-11-30 김청균 스위블 연결구 시스템
KR20170002084U (ko) 2015-12-04 2017-06-14 삼영금속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
KR102341895B1 (ko) 2021-05-11 2021-12-21 박희준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065A (ja) 1998-04-16 1999-11-05 Higashio Mec Kk 管継手
KR20130084357A (ko) 2012-01-17 2013-07-25 김청균 스위블 조인트
KR101573165B1 (ko) 2015-01-03 2015-11-30 김청균 스위블 연결구 시스템
KR20170002084U (ko) 2015-12-04 2017-06-14 삼영금속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
KR102341895B1 (ko) 2021-05-11 2021-12-21 박희준 배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67067A (en) Joint for pipes and tubes
US8585100B2 (en) Press-connect fitting with improved grab ring function
US4355919A (en) Pipe connection
KR20000048670A (ko) 가요성 호스 슬리이브
JPS59500005A (ja) 一体締付器具
KR20240052303A (ko) 관절형 배관 연결장치
KR101756526B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H0321796B2 (ko)
JP2010048330A (ja) プラスチック樹脂パイプ用の管継手
RU2766955C1 (ru) Фитинг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с одной трубой
KR20240052304A (ko) 배관 연결장치
JP2007092986A (ja) 継手体の接続方法
KR200496752Y1 (ko) 배관용 확관기
KR200252276Y1 (ko) 관연결구용 패킹
KR20140100697A (ko) 가스 주름관 연결장치
KR101700063B1 (ko) 호스 연결구
KR101053127B1 (ko) 금속 파이프용 이음구
KR200343993Y1 (ko) 연질 배관용 관 연결구
KR20190060922A (ko) 도시가스 배관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4411A (ko) 원터치식 배관 커플러
KR200187818Y1 (ko) 배관연결장치
KR200183128Y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446425B1 (ko) 파이프 체결구
KR20180064939A (ko) 주름관파이프 연결구
KR20200144307A (ko) 배관 연결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