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708B1 -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708B1
KR101092708B1 KR1020090059205A KR20090059205A KR101092708B1 KR 101092708 B1 KR101092708 B1 KR 101092708B1 KR 1020090059205 A KR1020090059205 A KR 1020090059205A KR 20090059205 A KR20090059205 A KR 20090059205A KR 101092708 B1 KR101092708 B1 KR 10109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pe
sealer
hydraulic syste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614A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09005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7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4Details of conduits, connectors or the adapto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lutch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57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16D2048/026The controlling actuation is directly performed by the pressure source, i.e. there is no intermediate valve for controlling flow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고, 원터치 방식으로 파이프에 결합하며, 오일의 누유를 막는 실러를 포함하는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 및 관통홀에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커넥터의 타단에 결합되며 외측 돌기가 형성되는 실러; 그리고, 커넥터 및 실러의 길이 방향 끝까지 위치하며, 홈에 안착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커넥터의 관통홀에 끼워지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실러, 파이프, 연결부재, 외측 돌기

Description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CONNECTION MEMBER FOR PIPE OF HYDRAULIC SYSTEM}
본 발명은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고, 원터치 방식으로 파이프에 결합하며, 오일의 누유를 막는 실러를 포함하는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로는 클러치부와 클러치 컨트롤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클러치 컨트롤부의 클러치 조작기구는 기계식과 유압식으로 구분되고,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 운전자의 다리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유압 실린더 타입을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그 작동 시스템은 클러치 페달 그 작동 시스템은 클러치 페달 →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 유압호스 →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 → 릴리스 레버 → 릴리스 포크 → 릴리스 베어링 → 클러치 순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페달의 답력은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와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의 유압비에 의해 페달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동차용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는 유압식 클러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클러치 컨트롤 시스템에서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와 릴리스 레버, 릴 리스 베어링, 릴리스 포크, 피봇, 입력축 슬리이브의 기능을 통합하는 모듈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변속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됨에 따라 고온에서의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1a는 종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의 파이프 및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10)와 커넥터(14)는 모두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10)의 일단에서 플레어 너트(flare nut)(12)를 구비하여 커넥터(14)가 결합되어 실링(sealing)될 수 있다. 이때, 플레어 너트(12)의 조임토크는 2.5~2.9kgf가 적절하다. 또한, 커넥터(14)의 일단의 외주는 오링(O-ring)(16)을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파이프(10)의 타단에 구비된 너트(18)는 다른 유압 시스템에 연결된다.
도 1b는 도 1a에서 종래의 커넥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틸 재질의 파이프(10)와 커넥터(14)는 플레어 너트(12)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커넥터(14)의 일단의 외주는 오링(16)을 구비하여 실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a는 종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의 파이프 및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0)와 커넥터(24)는 모두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파이프(20)의 일단은 클린칭(clinching)에 의해 커넥터(24)에 결합되고 실링 된다. 즉, 커넥터의 소성변형으로 인해 실링 된다. 또한, 커넥터(24)의 일단의 외주는 오링(O-ring)(26)을 구비하여 실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파이프(20)의 타단에 구비된 너트(28)는 다른 유압 시스템의 부품에 연결된다.
도 2b는 도 2a에서 종래의 커넥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20)와 커넥터(24)는 너트를 구비하지 않고 직접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커넥터의 소성변형으로 클린칭에 의해 실링 될 수 있다. 물론 커넥터(24)의 일단의 외주는 오링(O-ring)(26)을 구비하여 실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의 파이프를 위한 커넥터는 유압식 클러치 조작기구에 필요한 유압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량이 많이 나갈 뿐 아니라, 조립의 용이성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원가 절감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고, 원터치로 파이프와 결합가능한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용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 및 관통홀에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커넥터의 타단에 결합되며 외측 돌기가 형성되는 실러; 그리고, 커넥터 및 실러의 길이 방향 끝까지 위치하며, 홈에 안착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커넥터의 관통홀에 끼워지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러는 파이프와 실링을 하기 위한 내측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타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러의 외측 돌기는 커넥터의 걸림턱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중량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에 고무 재질의 실러를 구비하여 안정성 및 조립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러의 외측 돌기와 내측 돌기가 커넥터의 걸림턱 바깥쪽에 위치하여, 유압 시스템의 바디와 결합시 눌려지는 부분이 많아 실링 효과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유압 시스템 내에서 여러 부품, 예를 들면,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CSC),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CMC),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CRC) 등을 상호 연결하여 클러치 유 또는 HB유 등을 이동시키는 파이프가 구성되며, 파이프의 끝단에는 커넥터가 결합되어 유압 시스템 내의 여러 부품과 결합한다. 또한, 파이프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쇠하기 위하여 여러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100)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slot)(130)이 형성되어, 파이프(110)가 커넥터(100) 에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슬롯(130)은 커넥터(100)의 일단에서 경사부(105)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롯(130)에 의해 커넥터(100)는 반경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어, 파이프(110)를 커넥터(100)에 끼워 넣을 때 반경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어 손쉽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110)가 들어가는 관통홀(135)의 일단은 파이프(110)의 돌기(120)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관통홀(135)의 다른 부분의 반경보다 크다. 파이프(110)는 커넥터(100)의 관통홀(135)에 끼워지며, 파이프(110)에 형성된 돌기(120)가 관통홀(135)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25)에 안착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커넥터(100)의 끝단에는 유압 시스템의 부품 및 파이프(110)와 실링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실러(sealer)(150)가 결합하게 된다. 실러(150)는 사출 또는 압출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고, 본딩 및 조립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결합 될 수도 있다. 파이프(110)는 커넥터(100)의 일단을 통해 관통홀(135)을 관통하여 커넥터(100)의 타단으로 나오게 되며, 실러(150)의 길이 방향 끝까지 위치하게 된다. 실러(150)가 파이프(110) 및 커넥터(100)로 부터 빠지지 않기 위하여, 커넥터(100)의 타단에는 걸림턱(140)이 형성된다. 또한, 실러(150)의 일단은 걸림턱(140)과 서로 맞물려서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18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실러(150)는 외측면에 외측 돌기(160)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파이프와 맞닿는 부분에 내측 돌기(170)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외측 돌기(160)는 유압 시스템 의 부품 바디와 결합시 실링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실러(15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돌기(170)는 파이프(110)와 밀착하여 실링 하며, 실러의 돌출부(180)는 걸림턱(140)과 서로 맞물려서 실러(150)가 커넥터(100)로 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 실러(150)에 형성된 외측 돌기(160)는 유체 시스템 등과 연결시 실링을 수행하며, 커넥터의 걸림턱(140)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이는 내측 돌기(170)와 외측 돌기(160)가 걸림턱(14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유체 시스템과 결합시 눌러지는 양이 많게 되어 그만큼 실링 효과가 커지게 된다. 한편, 실러(150)는 커넥터(100)의 타단에 위치하고 있어, 커넥터(100)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 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의 파이프 및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에서 종래의 커넥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의 파이프 및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2a에서 종래의 커넥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확대 도면.

Claims (5)

  1. 일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 및 관통홀에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커넥터의 타단에 결합되며 외측 돌기가 형성되는 실러; 그리고,
    커넥터 및 실러의 길이 방향 끝까지 위치하며, 홈에 안착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커넥터의 관통홀에 끼워지는 파이프;를 포함하며 커넥터의 타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실러는 파이프와 실링을 하기 위한 내측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러의 내주면에는 걸림턱과 맞물리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실러의 외측 돌기는 커넥터의 걸림턱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KR1020090059205A 2009-06-30 2009-06-30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KR10109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205A KR101092708B1 (ko) 2009-06-30 2009-06-30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205A KR101092708B1 (ko) 2009-06-30 2009-06-30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14A KR20110001614A (ko) 2011-01-06
KR101092708B1 true KR101092708B1 (ko) 2011-12-09

Family

ID=4361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205A KR101092708B1 (ko) 2009-06-30 2009-06-30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7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7212B2 (en) 2016-12-27 2020-01-07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c tube connector for vehicle
US10533686B2 (en) 2017-06-12 2020-01-14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c tube connector for vehicle
US10563801B2 (en) 2016-11-28 2020-02-18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c tube connector for vehicle
KR20200000990U (ko) * 2016-06-16 2020-05-18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75B1 (ko) 2013-12-20 201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유압튜브
KR102583452B1 (ko) * 2021-11-23 2023-10-04 주식회사 진명파워텍 작업차량용 유압밸브장치 및 트랜스미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448A (en) 1997-02-12 2000-08-15 Aeroquip-Vickers International Gmbh Arrangement for connecting two tubular elements
DE102005044304A1 (de) * 2004-10-07 2006-04-1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nschlussanordnung zum Anschließen einer Rohrleitung an ei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448A (en) 1997-02-12 2000-08-15 Aeroquip-Vickers International Gmbh Arrangement for connecting two tubular elements
DE102005044304A1 (de) * 2004-10-07 2006-04-1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nschlussanordnung zum Anschließen einer Rohrleitung an ei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90U (ko) * 2016-06-16 2020-05-18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KR200494979Y1 (ko) 2016-06-16 2022-02-08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US10563801B2 (en) 2016-11-28 2020-02-18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c tube connector for vehicle
US10527212B2 (en) 2016-12-27 2020-01-07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c tube connector for vehicle
US10533686B2 (en) 2017-06-12 2020-01-14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c tube connect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14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08B1 (ko) 유압 시스템의 파이프 용 연결부재
JP4929864B2 (ja) 配管継手装置
CA2698166C (en) Valve component
CN101563563A (zh) 用于波纹不锈钢管道的快速驱动接头
WO2007041043A3 (en) Fluid-tight coupling system for corrugated pipe
WO1991008413A1 (en) Pipe joint
CN109716006A (zh) 密封
US20110283830A1 (en) Concentric slave cylinders to actuate clutches on a dual clutch transmission
US7789433B2 (en) Tube nut assembly
JPH0722552Y2 (ja) 管継手
WO2008077013A3 (en) Connection of tubes for air conditioning and seal adapted thereto
KR20080097120A (ko)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의 파이프를 위한 커넥터 및 실러
KR101532434B1 (ko) 유압 제어 해제 장치
US6283266B1 (en) Hydraulic clutch release mechanism
CN102159865B (zh) 两件式连接配件
KR101157368B1 (ko)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에 연결되는 파이프와 파이프에 결합되는 커넥터
KR20090025185A (ko) 라인, 특히 수압 또는 공기압 라인
CN103244774B (zh) 用于低压管线的连接装置
KR20150054032A (ko) 커넥터 유닛
CN2765039Y (zh) 强抗拔胶管接头
US8117838B2 (en) Master brake cylinder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CN201434168Y (zh) 动力转向机及发动机的高压进/出油管总成
JP2008196608A (ja) 管継手
JP7124003B2 (ja) 結合構造、管継手、及び結合構造の形成方法
KR100364225B1 (ko) 수동변속기의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