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128A -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128A
KR20180066128A KR1020187012623A KR20187012623A KR20180066128A KR 20180066128 A KR20180066128 A KR 20180066128A KR 1020187012623 A KR1020187012623 A KR 1020187012623A KR 20187012623 A KR20187012623 A KR 20187012623A KR 20180066128 A KR20180066128 A KR 20180066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roofing
roofing material
plate
metal
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오오쿠보
모토노리 쿠로타키
슈이치 스기타
케이지 이즈미
토모유키 나가츠
유고 오오타
카츠나리 노리타
케이타 노구치
노리마사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7045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56630A1/ja
Publication of KR2018006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12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 E04D1/18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12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 E04D1/20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of plastics; of asphalt; of fibrous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24Roofing elements with cavities, e.g. hollow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28Roofing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24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 E04D3/3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5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directly by the roof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23Nails, rivets, staples or straps piercing or perforating the roof cover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5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 E04D2001/3467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through apertures, holes or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7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pat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8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oof covering elements being fastened
    • E04D2001/349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oof covering elements being fastened made of rigid material having a flat external surface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 지붕재는,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6)에 대하여 처마측 금속 지붕재(1)에 중첩시켜 배치되는 금속 지붕재로서,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20)를 가지는 표면 기재(2)와, 본체부(20)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2)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3)와, 본체부(20)와 이면 기재(3)의 사이에 충전된 심재(4)와, 본체부(20)의 천판보다 이면 기재(3)에 가까운 위치에서 심재(4)에 매립되거나 또는 이면 기재(3)의 외면에 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1개의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
본 발명은,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에 대하여 처마측의 금속 지붕재에 중첩시켜 배치되는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은 금속 지붕재, 즉 금속제의 표면 기재와,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표면 기재와 이면 기재의 사이에 충전된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심재(心材)를 구비한 금속 지붕재의 실용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제5864015호
상기와 같은 금속 지붕재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증착지 등의 얇은 소재를 이면 기재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면측의 강도가 낮고, 금속 지붕재 전체로도 내(耐)풍압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지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 지붕재는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에 대하여 처마측의 금속 지붕재에 중첩시켜 배치되는 금속 지붕재로서,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는 표면 기재와, 본체부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본체부와 이면 기재의 사이에 충전된 심재와, 본체부의 천판(天板)보다 이면 기재에 가까운 위치에서 심재에 매립되거나 또는 이면 기재의 외면에 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1개의 판 모양 보강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 지붕재는,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에 대하여 처마측의 금속 지붕재에 중첩시켜 배치되는 금속 지붕재로서,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는 표면 기재와,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본체부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본체부와 이면 기재의 사이에 충전된 심재를 구비하고, 금속 지붕재를 기대(基臺)에 긴결(緊結)하는 공정과, 기대에 긴결된 금속 지붕재의 단부를 들뜨게 하는 하중을 단부에 부여하여, 하중에 대응하는 단부의 들뜨는 양을 측정하는 공정과, 측정된 들뜨는 양의 변화량에 대한 하중의 변화량으로 나타나는 들뜸 계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금속 지붕재의 강도 시험 방법을 실시했을 때, 들뜸 계수가 6N/㎜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1개의 판 모양 보강 부재가 본체부의 천판보다 이면 기재에 가까운 위치에서 심재에 매립되거나 혹은 이면 기재의 외면에 접해서 배치되거나, 또는 이면 기재가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지붕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금속 지붕재(1)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르는 금속 지붕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판 모양 보강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금속 지붕재를 이용한 지붕 이음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서로 중첩되는 2개의 금속 지붕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금속 지붕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금속 지붕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의 금속 지붕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버링 구멍 주변에서의 금속 지붕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금속 지붕재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의 금속 지붕재의 강도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강도 시험 설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5의 금속 지붕재의 처마측 단부가 떠오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강도 시험 설비에 의해 측정된 하중에 대한 단부의 들뜨는 양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 14의 들뜸 계수와 금속 지붕재에 내뿜는 바람의 풍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도 15의 관계를 조사할 때에 시작(試作)한 금속 지붕재의 긴결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관계를 조사할 때에 시작한 금속 지붕재의 보강 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지붕재(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금속 지붕재(1)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 III-III를 따르는 금속 지붕재(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금속 지붕재(1)는, 측방향(1S, 안길이 방향) 및 길이 방향(1L,폭 방향)을 가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약 직사각형 모양의 부재이고, 예를 들면 가옥 등의 지붕에서 지붕 하지(下地) 위에 배치되는 것이다. 나중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겠지만, 금속 지붕재(1)는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6)에 측방향(1S)이 따르고, 처마 융선 방향(6)에 직교하는 처마 방향(7, 처마와 평행한 방향)에 길이 방향(1L)이 따르도록 지붕의 하지 위에 배치된다(도 5 참조).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금속 지붕재(1)는 표면 기재(2), 이면 기재(3), 심재(4) 및 복수의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가지고 있다.
<표면 기재에 대하여>
표면 기재(2)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는 금속제 부재로서, 금속 지붕재(1)가 지붕 하지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지붕의 외면에 나타나는 부재이다. 도 3에 특히 나타나 있듯이, 표면 기재(2)에는 천판(20a) 및 둘레벽(20b)을 가지는 상자 모양의 본체부(20)가 마련되어 있다.
표면 기재(2)의 소재인 금속판으로서는, 용융 Zn계 도금 강판, 용융 Al 도금 강판, 용융 Zn계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용융 Al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스테인리스 강판, Al판, Ti판, 도장 용융 Zn계 도금 강판, 도장 용융 Al 도금 강판, 도장 용융 Zn계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도장 용융 Al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도장 스테인리스 강판, 도장 Al판 또는 도장 Ti판을 이용할 수 있다. 표면 기재(2)를 상자 모양으로 할 때, 강판을 압축 가공하여 표면 기재(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강판을 압축 가공함으로써 둘레벽(20b)에 가공 경화가 생기고,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둘레벽(20b)이 표면 기재(2)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벽면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면 기재(2)에는, 금속 지붕재(1)의 길이 방향(1L)으로 서로 이간하여 복수의 긴결 구멍(21)이 마련되어 있다. 긴결 구멍(21)은 금속 지붕재(1)로의 긴결 부재(8, 도 6 참조)의 박아 넣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긴결 부재(8)는 예를 들면, 나사 또는 못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금속 지붕재(1)를 지붕 하지에 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긴결 구멍(21)이 표면 기재(2)에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설명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인쇄된 기호나 요철 등의 긴결 부재를 박아 넣는 위치를 나타내는 비개구 모양의 표시가 긴결 구멍(21) 대신 표면 기재(2)의 표면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면 기재에 대하여>
이면 기재(3)는 본체부(20)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2)의 이면측에 배치된 부재이다. 본체부(20)의 개구는, 본체부(20)의 둘레벽(20b)의 반대 천판측 단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가장자리가 만들어져 있다. 이면 기재(3)로는,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증착지, 수산화알루미늄지, 탄산칼슘지, 수지 필름 또는 유리섬유지 등 경량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경량인 소재를 이면 기재(3)에 이용함으로써, 금속 지붕재(1)의 중량이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심재에 대하여>
심재(4)는, 예를 들면 발포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체부(20)와 이면 기재(3)의 사이에 충전되어 있다. 심재(4)의 소재로서는, 특변한 제한이 없고, 우레탄, 페놀, 누레이트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지붕재에서 불연 인정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이다. 불연 재료 인정 시험은, ISO 5660-1 콘 칼로리 미터 시험법에 준거한 발열성 시험이 실시된다. 심재(4)가 되는 발포 수지가 발열량이 많은 우레탄 등인 경우는, 심재(4)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발포 수지에 무기 발포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본체부(20)와 이면 기재(3)의 사이에 발포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수지 시트 등의 배접재를 표면 기재(2)의 이면측에 붙이는 형태보다도 표면 기재(2)의 이면에 심재(4)를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빗소리성, 단열성 및 억누름성 등 지붕재에 요구되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판 모양 보강 부재에 대하여>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본체부(20)의 천판(20a)보다 이면 기재(3)에 가까운 위치에서 심재(4)에 매립된 판체이다. 금속 지붕재(1)의 이면측, 즉 본체부(20)의 개구부분 및 이면 기재(3) 부분은, 본체부(20)의 천판(20a) 부분과 비교하여 강도가 낮다. 이면 기재(3)에 가까운 위치에서 심재(4)에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매립되어 있어, 금속 지붕재(1)의 이면측이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의해 보강되고,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내풍압성이란,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를 들뜨게 하는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다. 이러한 하중은 지붕 하지에 긴결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1)에 내뿜은 바람에 기인하여해서 생길 수 있다.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도 4의 (a)에 나타내듯이, 평판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도 4의 (b)에 나타내듯이, 요철부(5a)를 가지는 판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요철부(5a)를 가지는 판체에 의해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구성하는 경우, 요철부(5a)의 연장 방향(5b)이 처마 융선 방향(6)을 따르도록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배치된다. 요철부(5a)를 가지는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이러한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내풍압성을 향상할 수 있다.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소재에는, 금속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 소재로서는, 도금 강판, 스테인리스 강판 및 도장 강판을 이용할 수 있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서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가 분산된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수지로서는, 수지의 난연성 인증 기준인 UL94 규격의 그레이드 V-0 이상의 수지(예를 들면, 폴리불화비닐리덴, 실리콘, 테프론(등록 상표), 가교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금속 지붕재(1)를 절단하여 금속 지붕재(1)의 크기를 조정할 때,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금속 지붕재(1)의 절단을 저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금속 지붕재(1)가 지붕 하지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처마 융선 방향(6) 및 처마 방향(7)에 대하여 본체부(20) 개구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마 융선 방향(6) 및 처마 방향(7)에 대하여 본체부(20) 개구의 전역에 걸쳐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연장한다는 것은, 처마 융선 방향(6)에 대한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연장 폭이 이 방향에 대한 본체부(20) 개구의 연장폭의 90% 이상이고, 또한 처마 방향(7)에 대한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연장 폭이 이 방향에 대한 본체부(20) 개구의 연장 폭의 9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처마 융선 방향(6) 및 처마 방향(7)에 대하여 본체부(20) 개구의 전역에 걸쳐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연장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이면 기재(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심재(4)에 매립되어도 좋지만, 도 3에 나타내듯이, 이면 기재(3)에 접한 위치에 심재(4)에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이면 기재(3)에 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금속 지붕재(1)가 다른 금속 지붕재(1)에 중첩될 때에 다른 금속 지붕재(1)의 각부(角部)가 닿는 위치에서 금속 지붕재(1) 이면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금속 지붕재(1)의 각부가 닿음으로써 금속 지붕재(1)의 이면에 찌그러짐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금속 지붕재(1)의 이면에 찌그러짐이 생기면, 예를 들면 강풍 등으로 금속 지붕재(1)에 큰 힘이 가해졌을 때, 찌그러지는 것을 기점으로 하는 접힘이 금속 지붕재(1)에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면 기재(3)에 접한 위치에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배치하여, 그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의해 금속 지붕재(1)의 이면을 보강하는 것은,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찌그러짐의 발생을 피한다는 관점에서,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심재(4)를 구성하는 발포 수지보다 단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심재(4)에 매립되어 있는 점에서, 보다 확실하게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금속 지붕재(1)와 일체화되는 동시에,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한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의해서 금속 지붕재(1)의 이면 측에 요철 또는 공극 형성이 회피되고,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 저하가 회피된다.
<지붕 이음 방법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5는 도 1의 금속 지붕재(1)를 이용한 지붕 이음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서로 중첩되는 2개의 금속 지붕재(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도 1의 금속 지붕재(1)를 이용하여 지붕을 잇는 경우(지붕을 만드는 경우), 건물의 처마와 평행한 처마 방향(7)에 대하여, 서로의 측단을 맞닿게 하면서 복수의 금속 지붕재(1)를 지붕 하지 위에 나열하여 배치한다. 이 때, 각 금속 지붕재(1)는 처마 방향(7)으로 길이 방향(1L)이 따르고,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6)으로 측방향(1S)이 따르도록 지붕 하지 위에 배치된다. 금속 지붕재(1)를 지붕 하지 위에 배치한 후에, 예를 들면 나사 또는 못 등의 긴결 부재(8)를 금속 지붕재(1)에 박아 넣어, 긴결 부재(8)를 지붕 하지에 고정한다. 이 때, 긴결 부재(8)는 긴결 구멍(21)을 통과하는 동시에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관통하여 지붕 하지에 도달한다.
또한, 처마 융선 방향(6)에 대하여, 처마측(도 6에서 하측)의 금속 지붕재(1(10))의 용마루측 단부(1U) 위에 용마루측(도 6에서 상측)의 금속 지붕재(1(11))의 처마측 단부(1E)를 중첩시키면서 각 금속 지붕재(1)를 지붕 하지 위에 배치한다. 이 때, 용마루측의 금속 지붕재(1)는 이면 기재(3)에 접하여 배치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처마측 금속 지붕재(10)의 용마루측 각부(10a)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용마루측 금속 지붕재(11)의 이면에 용마루측 각부(10a)가 지나치게 눌려도 용마루측 금속 지붕재(11)의 이면에 찌그러짐이 잘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제1 변형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7은, 도 1의 금속 지붕재(1)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는, 이면 기재(3)의 외면에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형태와 상이하다. 이러한 형태라도, 금속 지붕재(1)의 이면측에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금속 지붕재(1)를 보강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형태와 동일하다.
<제2 변형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8은 도 1의 금속 지붕재(1)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는, 처마 융선 방향(6)에 대하여 본체부(20) 개구의 전역에 걸쳐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연장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도 1의 형태와 상이하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처마 방향(7)에 연속적으로 연장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가 박힌 위치로부터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금속 지붕재(1)가 지붕 하지에 긴결되어 있을 때,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를 들뜨게 하는 하중은, 금속 지붕재(1)의 긴결부분부터 처마측 단부(1E)까지의 영역에서 금속 지붕재(1)를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가 박히는 위치로부터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까지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연장됨으로써, 금속 지붕재(1)의 중량 증대를 회피하면서, 보다 확실히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8)가 박혀 들어가는 위치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평면에서 볼 때에 긴결 구멍(21(긴결 부재(8)가 박히는 위치))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금속 지붕재(1)의 두께 방향으로 이간하는 경질인 2개의 부재(표면 기재(2) 및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양쪽 모두를 긴결 부재(8)가 관통함으로써, 긴결 부재(8)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긴결 부재(8)가 금속 지붕재(1)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만,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반드시 긴결 부재(8)를 박아 넣는 위치로 연장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긴결 구멍(21)에서 벗어난 위치에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형태와 동일하다.
<제3 변형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9는 도 1의 금속 지붕재(1)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버링 구멍(50) 주변에서의 금속 지붕재(1)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3 변형예는, 처마 융선 방향(6) 및 처마 방향(7) 양쪽에 대하여 본체부(20) 개구의 전역에 걸쳐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연장되어 있지는 않은 점에서, 도 1의 형태와 상이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변형예보다 처마 융선 방향(6) 및 처마 방향(7)에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더욱 작아도 좋다. 도 9에 나타내듯이,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가 박히는 위치의 주변에만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금속 지붕재(1)의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금속 지붕재(1) 이면의 넓은 영역이 1매의 판 모양 보강 부재(5)로 보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복수의 판 모양 보강 부재를 배치하는 형태(후술하는 제4 변형예)와 비교하여 제조 공정이 간략화된다. 이러한 형태라도, 다른 금속 지붕재(1)의 각부가 닿아서 금속 지붕재(1)의 이면에 찌그러짐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3 변형예는,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복수의 버링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형태와 다르다. 각 버링 구멍(50)은,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버링 가공을 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0에 나타내듯이, 구멍 개구(50a)와 그 구멍 개구(50a)의 가장자리로부터 마련된 세로벽부(50b)를 각각 가지고 있다. 세로벽부(50b)는, 구멍 개구(50a)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일련의 벽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고, 구멍 개구(50a)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서로 이간된 복수의 벽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버링 구멍(50)이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형성됨으로써, 판 모양 보강 부재(5) 및 금속 지붕재(1)의 휨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각 버링 구멍(50)은,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길이 방향 및 측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링 구멍(50)은 길이 방향 및 측방향을 따르는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단부(네 모서리), 중앙 및 중앙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근방에 배치된 2개의 버링 구멍(50)의 구멍 개구(50a)는,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8)가 박히는 위치(긴결 구멍(21))에 중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긴결 부재(8)가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쉽게 관통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지붕재(1)로 긴결 부재(8)를 박아 넣는 형태가 본 실시형태의 형태와 상이한 경우, 1개 또는 3개 이상의 버링 구멍(50)의 구멍 개구(50a)가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8)가 박히는 위치에 중첩되어 있어도 좋다.
각 버링 구멍(50)의 세로벽부(50b)는, 표면 기재(2)의 이면에 맞닿아 있다. 이로 인해, 금속 지붕재(1)의 압축 강도를 증대할 수 있고, 내설(雪)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낙빙시 또는 태양광 패널 탑재시의 표면 기재(2)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형태와 동일하다.
<제4 변형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11은 도 1의 금속 지붕재(1)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4 변형예는, 복수의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금속 지붕재(1)의 길이 방향(1L, 폭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점에서, 도 1의 형태와 상이하다.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그 길이 방향이 처마 융선 방향(6, 금속 지붕재(1)의 측방향(1S))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내력을 확보하면서 금속 지붕재(1)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제4 변형예는,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복수의 버링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형태와 상이하다. 각 버링 구멍(50)은,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링 구멍(50)은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양단 및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에 배치된 버링 구멍(50)의 구멍 개구(50a)는,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8)가 박히는 위치(긴결 구멍(21))에 중첩되어 있다. 각 버링 구멍(50)의 구체적인 형태는, 제3 변형예(도 10)와 동일하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형태와 동일하다.
<제5 변형예에 대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5 변형예로서,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이용하지 않고, 이면 기재(3)의 소재를 표면 기재(2)와 동일한 금속판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변형예에 버링 구멍(50)을 적용하는 등, 제1~제5 변형예가 도 1의 형태와 상이한 점을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강도 시험 설비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12는 도 1의 금속 지붕재(1)의 강도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강도 시험 설비(9)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5의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가 뜬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강도 시험 설비(9)는, 기대(90), 틀(91), 하중 부여 장치(92), 접속 부재(93), 하중계(94) 및 변위계(95)를 가지고 있다.
기대(90)는, 강도 시험이 실시되는 금속 지붕재(1)가 재치되어 긴결되는 부재이다. 이 기대(90)는, 금속 지붕재(1)가 실제로 긴결되는 지붕 하지를 본뜬 부재로서, 예를 들면 목재의 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기대(90)에 대한 금속 지붕재(1)의 긴결은, 지붕 하지에 금속 지붕재(1)를 실제 긴결하는 데 입각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금속 지붕재(1)를 지붕 하지에 실제로 긴결하는 모양에 입각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긴결 부재(8)를 금속 지붕재(1)의 본체부(20)에 박아 넣어, 금속 지붕재(1)를 기대(90)에 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틀(91)은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에 장착된 부재이다. 틀(91)에는, 금속 지붕재(1)의 길이 방향(1L)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모양의 기체(基體)(910)와 커버체(911)가 포함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체(910) 및 커버체(911)의 적어도 한쪽에는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의 외형에 적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 처마측 단부(1E)가 끼워진 기체(910) 및 커버체(911)가 서로 연결된다. 즉, 기체(910)와 커버체(911)에 의해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가 끼워짐으로써, 틀(91)이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에 부착된다.
금속 지붕재(1)의 길이 방향(1L, 폭 방향)에 대한 틀(91)의 연장 폭은 금속 지붕재(1)의 길이 방향(1L)에 대한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의 연장 폭보다 넓게 구성되고, 폭 방향에 대하서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의 전체에 틀(91)이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틀(91)을 통해서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에 하중이 부여될 때, 그 하중이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 전체에 균등하게 작용된다.
하중 부여 장치(92)는, 틀(91)을 통해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에 접속되어 있고,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를 뜨게 하는 하중(92L)을 그 처마측 단부(1E)에 부여하기 위한 장치이다. 하중 부여 장치(92)로서는, 예를 들면 프레스기 등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강도 시험 설비(9)에서는, 하중 부여 장치(92)는 틀(91)의 위쪽에 배치되고, 와이어 등의 접속 부재(93)를 통해 틀(91)에 접속되며, 접속 부재(93) 및 틀(91)을 통해 처마측 단부(1E)를 끌어올리듯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하중 부여 장치(92)는, 틀(9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틀(91)을 통해 처마측 단부(1E)를 밀어 올리듯이 구성되어도 좋다.
하중계(94)는, 틀(91)과 하중 부여 장치(92)의 사이에 개재되고, 하중 부여 장치(92)로부터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에 가해지는 하중(92L)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중계(94)는 하중 부여 장치(9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접속 부재(93)는 하중계(94)에 접속되어 있다.
변위계(95)는, 하중 부여 장치(92)로부터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에 하중(92L)이 가해질 때, 그 처마측 단부(1E)의 들뜨는 양(1R)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위계(95)는 틀(91)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레이저 변위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변위계(95)로서는, 예를 들면 틀(91) 또는 단부(1E)에 접촉해서 배치되어 기계적으로 단부(1E)의 들뜨는 양을 측정하는 센서 등 다른 모양의 센서를 이용해도 좋다.
여기서, 금속 지붕재(1)가 지붕 하지에 긴결되어 있을 때, 바람이 금속 지붕재(1)로 불면,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를 들뜨게 하려는 하중이 금속 지붕재(1)에 작용한다. 하중 부여 장치(92)의 하중(92L)은 이러한 바람의 하중을 모사한 것이다.
또한, 과도한 강풍에 의해서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가 일정량 들뜨면,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와 지붕 하지 사이의 틈새로 바람이 비집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틈새로 비집고 들어간 바람은, 금속 지붕재(1) 이면의 넓은 영역에 작용하여, 금속 지붕재(1)를 급격하게 파괴해 버린다. 즉, 금속 지붕재(1)의 강도는,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가 잘 들뜨지 않는 것과의 사이에 큰 상관을 가진다. 하중계(94) 및 변위계(95)에 의해 하중(92L) 및 들뜨는 양(1R)을 측정하여,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가 잘 들뜨지 않는 점, 즉 금속 지붕재(1)의 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들뜸 계수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14는, 도 13의 강도 시험 설비(9)에 의해서 측정된 하중(92L)에 대한 단부(1E)의 들뜨는 양(1R)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에 그 처마측 단부(1E)를 들뜨도록 하는 하중(92L)을 가한 경우, 하중(92L)이 소정의 값에 이를 때까지 금속 지붕재(1)는 탄성 변형한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금속 지붕재(1)가 탄성 변형하고 있을 때, 하중(92L)의 증대에 맞추어 들뜨는 양(1R)이 거의 선형으로 증대한다.
이 들뜨는 양(1R)의 선형 증대 영역의 기울기, 즉 측정된 들뜨는 양(1R)의 변화량에 대한 하중(92L)의 변화량은, 금속 지붕재(1)의 단부(1E)가 잘 들뜨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이하, 들뜨는 양(1R)의 변화량에 대한 하중(92L)의 변화량을 들뜸 계수[N/㎜]라고 칭한다. 이러한 들뜸 계수를 구함으로써, 금속 지붕재(1)의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예에서는, 들뜸 계수는 2.7[N/㎜]이다.
<들뜸 계수와 금속 지붕재의 강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15는 도 14의 들뜸 계수와 금속 지붕재(1)에 불어대는 바람의 풍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6은 도 15의 관계를 조사할 때에 시작(試作)한 금속 지붕재(1)의 긴결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관계를 조사할 때에 시작한 금속 지붕재(1)의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6에서 부호 TP는 긴결 위치를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4곳에서 금속 지붕재(1)를 긴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No.1-No.35의 금속 지붕재(1)를 시작하고, 그것들을 공시재로서 송풍 시험을 실시하여, 들뜸 계수와 파괴 풍속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송풍 시험에서는, 5치(寸)(약 26.6˚)의 경사로 마련된 폭 2000㎜×안 길이 1184㎜의 하지재 위에 폭 908㎜×안 길이 414㎜인 15매의 공시재(供試材, 금속 지붕재(1))를 배치하여 모의 지붕을 제작했다. 모의 지붕에서의 공시재 배치는, 도 5와 같이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처마 방향(7)으로 2매 또는 3매의 공시재를 배치하여 공시재열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공시재열을 처마 융선 방향(6)에 중첩되도록 하면서 6열 배치했다. 처마 융선 방향(6)에 대하여, 용마루측 공시재로부터 처마측 공시재가 154㎜ 돌출하도록 처마측 공시재 위에 용마루측 공시재를 중첩시켰다. 처마 방향(7)에 대하여, 공시재의 하지재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은 잘라냈다. 그리고 모의 지붕의 전방으로 송풍 노즐을 설치하여, 송풍 노즐로부터 모의 지붕에 바람을 내뿜었다. 송풍 노즐은 모의 지붕의 중심으로부터 1m 전방의 위치에 배치하고, 송풍 노즐의 중심 높이는 모의 지붕의 중심 높이와 일치시켰다. 또한, 공시재 표면 기재(2)의 재질은 0.30㎜의 도장 용융 Zn-Al 합금 도금 강판이고, 심재(4)의 재질은 발포 우레탄이다. 파괴 풍속이란, 상기의 송풍 노즐로부터 금속 지붕재(1)에 바람을 내뿜었을 때에, 금속 지붕재(1)가 파괴되었을 때의 풍속이다. 도 15에서는, 금속 지붕재(1)가 파괴된 것을 「×」로 나타내고, 금속 지붕재(1)가 파괴되지 않았던 것을 「○」로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도 15에 나타내듯이, 들뜸 계수가 6N/㎜ 미만인 금속 지붕재(1)는, 50m/s 이하의 바람에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어 버렸다. 한편, 들뜸 계수가 6N/㎜ 이상인 금속 지붕재(1)는, 50m/s의 바람을 내뿜어도 파괴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금속 지붕재(1)의 들뜸 계수가 6N/㎜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그 금속 지붕재(1)가 50m/s의 바람에 견딜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표면 기재(2)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 심재(4)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 심재(4)의 소재를 보다 강도가 강한 것으로 변경하는 것, 이면 기재(3)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면 기재의 금속화 및 판 두께 증가),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사용하는 것 및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버링 구멍(50)을 마련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여 들뜸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의 형태 및 제1~ 제4 변형예와 같이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사용하는 경우, 표면 기재(2)의 판 두께 제한 등의 조건을 감안하면서, 들뜸 계수가 6N/㎜ 이상이 되도록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마련하여, 50m/s의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지붕재(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5 변형예와 같이 이면 기재(3)를 금속판으로 하는 경우, 이면 기재(3)를 포함한 금속 지붕재(1) 전체의 조건을 감안하여, 들뜸 계수가 6N/㎜ 이상이 되도록 금속 지붕재(1)를 구성함으로써, 50m/s의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지붕재(1)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지붕재(1)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본체부(20)의 천판(20a)보다 이면 기재(3)에 가까운 위치에서 심재(4)에 매립되거나 혹은 이면 기재(3)의 외면에 접해서 배치되거나, 또는 이면 기재(3)가 금속판을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내풍압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들뜸 계수가 6N/㎜ 이상이 됨으로써, 50m/s의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지붕재(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처마 융선 방향(6) 및 처마 방향(7)에 대하여 본체부(20) 개구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이면 기재(3)에 접한 상태에서 처마 융선 방향(6)에 직교하는 처마 방향(7)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에 찌그러짐이 생겨서 내풍압성이 저하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특히,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복수의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배치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이면 기재(3)에 접한 상태에서 처마 방향(7)으로 서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에 찌그러짐이 생겨서 내풍압성이 저하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특히,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됨으로써, 필요한 내력을 확보하면서, 금속 지붕재(1)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처마 융선 방향(6)에 대하여,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8)가 박히는 위치로부터 금속 지붕재(1)의 처마측 단부(1E)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 지붕재(1)의 중량 증대를 회피하면서, 보다 확실하게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긴결 부재(8)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긴결 부재(8)가 금속 지붕재(1)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심재(4)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이면 기재(3)와 일체화할 수 있는 동시에,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에 의해서 금속 지붕재(1)의 이면 측에 요철 또는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에는, 구멍 개구(50a)와 구멍 개구(50a)의 가장자리로부터 설치된 세로벽부(50b)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버링 구멍(5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휨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휨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금속 지붕재(1) 전체의 휨 강성도 향상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버링 구멍(50)의 구멍 개구(50a)는 금속 지붕재(1)에 긴결 부재(8)가 박히는 위치에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긴결 부재(8)가 판 모양 보강 부재(5)를 쉽게 관통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세로벽부(50b)는 표면 기재(2)의 이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금속 지붕재(1)의 압축 강도를 증대할 수 있고, 내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낙빙 시 또는 태양광 패널 탑재 시의 표면 기재(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의 소재가 금속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이므로, 보다 확실하게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판 모양 보강 부재(5)는 평판 또는 요철부(5a)를 가지는 판체이므로, 비용 증대를 억제하면서, 보다 확실하게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요철부(5a)를 가지는 판체를 이용함으로써, 금속 지붕재(1)의 내풍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면 기재(3)에 접하여 판 모양 보강 부재(5)가 처마측의 금속 지붕재(1(10))의 각부(10a)와 중첩되도록 용마루측 금속 지붕재(1(11))을 배치하기 때문에, 용마루측 금속 지붕재(11)의 이면에 용마루측 각부(10a)가 과도하게 눌려도, 용마루측 금속 지붕재(11)의 이면에 찌그러짐이 잘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4)

  1.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에 대하여 처마측의 금속 지붕재에 중첩시켜 배치되는 금속 지붕재로서,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는 표면 기재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이면 기재 사이에 충전된 심재와,
    상기 본체부의 천판(天板)보다 상기 이면 기재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심재에 매립되거나 또는 상기 이면 기재의 외면에 접하여 배치된 적어도 1개의 판 모양 보강 부재
    를 구비하는, 금속 지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가 상기 처마 융선 방향 및 상기 처마 융선 방향에 직교하는 처마 방향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기 개구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가 상기 이면 기재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처마 융선 방향에 직교하는 처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가 상기 이면 기재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처마 융선 방향에 직교하는 처마 방향으로 서로 이간해서 배치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가, 상기 처마 융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금속 지붕재에 긴결(緊結) 부재가 박히는 위치로부터 상기 금속 지붕재의 처마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는, 상기 심재에 매립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에는, 구멍 개구와 상기 구멍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마련된 세로벽부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버링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버링 구멍의 상기 구멍 개구는, 상기 금속 지붕재에 긴결 부재가 박히는 위치에 중첩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벽부는, 상기 표면 기재의 이면에 맞닿아 있는, 금속 지붕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의 소재가 금속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인, 금속 지붕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는, 평판 또는 요철부를 가지는 판체인, 금속 지붕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지붕재를 기대에 긴결하는 공정과, 상기 기대에 긴결된 상기 금속 지붕재의 단부를 들뜨게 하는 하중을 상기 단부에 부여하고, 상기 하중에 대응하는 상기 단부의 들뜨는 양을 측정하는 공정과, 측정된 상기 들뜨는 양의 변화량에 대한 상기 하중의 변화량으로 나타나는 들뜸 계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금속 지붕재의 강도 시험 방법을 실시했을 때에, 상기 들뜸 계수가 6N/㎜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13.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에 대하여 처마측의 금속 지붕재에 중첩시켜 배치되는 금속 지붕재로서,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는 표면 기재와,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이면 기재의 사이에 충전된 심재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 지붕재를 기대에 긴결하는 공정과, 상기 기대에 긴결된 상기 금속 지붕재의 단부를 들뜨게 하는 하중을 상기 단부에 부여하여, 상기 하중에 대응하는 상기 단부의 들뜨는 양을 측정하는 공정과, 측정된 상기 들뜨는 양의 변화량에 대한 상기 하중의 변화량으로 나타나는 들뜸 계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금속 지붕재의 강도 시험 방법을 실시했을 때, 상기 들뜸 계수가 6N/㎜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금속 지붕재.
  14. 지붕의 처마 융선 방향에 대하여 처마측 금속 지붕재에 용마루측 금속 지붕재를 중첩시켜 배치하는 지붕 이음 방법으로서,
    상기 용마루측 금속 지붕재는, 제1항에 기재된 금속 지붕재이고,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가 상기 이면 기재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판 모양 보강 부재가 상기 처마측 금속 지붕재의 각부(角部)와 중첩되도록 상기 용마루측 금속 지붕재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붕 이음 방법.
KR1020187012623A 2015-10-02 2016-07-11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 KR201800661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6863 2015-10-02
JPJP-P-2015-196857 2015-10-02
JP2015196857 2015-10-02
JP2015196863 2015-10-02
JP2016050848A JP6110973B1 (ja) 2015-10-02 2016-03-15 金属屋根材及び屋根葺き方法
JPJP-P-2016-050848 2016-03-15
PCT/JP2016/070456 WO2017056630A1 (ja) 2015-10-02 2016-07-11 金属屋根材及び屋根葺き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128A true KR20180066128A (ko) 2018-06-18

Family

ID=5849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623A KR20180066128A (ko) 2015-10-02 2016-07-11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24242B2 (ko)
EP (1) EP3342951B1 (ko)
JP (2) JP6110973B1 (ko)
KR (1) KR20180066128A (ko)
CN (1) CN108138493B (ko)
EA (2) EA038533B1 (ko)
TW (1) TWI682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9824B1 (ja) 2015-11-27 2016-09-28 日新製鋼株式会社 金属屋根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屋根葺き構造及び屋根葺き方法
JP6209635B2 (ja) * 2016-03-15 2017-10-04 日新製鋼株式会社 金属屋根材の強度試験方法、強度試験設備及び仮想強度試験プログラム
WO2018181501A1 (ja) 2017-03-30 2018-10-04 クラレ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低反発弾性部材と高反発弾性部材とを含む構造体
US11261603B2 (en) 2017-05-23 2022-03-01 Nippon Steel Nisshin Co., Ltd. Metallic roof material and roofing method using same
TWI750179B (zh) * 2017-05-24 2021-12-21 日商日新製鋼股份有限公司 金屬屋頂構材及使用該金屬屋頂構材之屋頂敷設方法
JP6981147B2 (ja) * 2017-09-28 2021-12-15 日本製鉄株式会社 金属壁材及びそれを用いた壁施工方法
JP6479923B1 (ja) * 2017-10-03 2019-03-06 日新製鋼株式会社 軒先スタ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屋根構造
JP6844528B2 (ja) * 2017-12-26 2021-03-17 日本製鉄株式会社 金属壁材
JP2019151975A (ja) * 2018-02-28 2019-09-12 日鉄日新製鋼株式会社 壁の補修方法及びその壁構造
JP2020070696A (ja) * 2018-11-02 2020-05-07 日鉄日新製鋼株式会社 屋根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EP4103792A4 (en) * 2020-02-12 2024-02-28 Dal Tile Llc ROOF TILES AND ROOF COVERING
CN112649286B (zh) * 2021-01-16 2021-12-07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柔性屋面抗风揭性能现场检测设备
CN114892892A (zh) * 2022-06-17 2022-08-12 北京继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抗风揭金属屋面系统
CN115434478B (zh) * 2022-09-14 2024-01-19 辽宁美耐金属建筑系统有限公司 用于金属屋面的抗风挡雪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4015A (ja) 1981-10-14 1983-04-16 Toshiba Corp 電気機器巻線の絶縁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5564A (en) * 1921-01-26 1922-08-15 Whiteside John Elkanah Reenforced cement roofing
US2198095A (en) * 1935-10-11 1940-04-23 Patent & Licensing Corp Process of producing thick butt shingles and such shingles
FR927992A (fr) * 1946-04-27 1947-11-14 élément en plaque formant matériau pour toitures et terrasses
US3159943A (en) * 1960-03-30 1964-12-08 Alsco Inc Composite building siding
US3540116A (en) * 1967-07-07 1970-11-17 Hauserman Co E F Method of making a building panel
DE2031578A1 (en) * 1970-06-26 1971-12-30 Roof-Element-Technik, GmbH., Zug (Schweiz) Mineral roofing tile - carrying metal foil
JPS49718U (ko) * 1972-04-05 1974-01-07
JPS5233764B2 (ko) 1972-04-18 1977-08-30
JPS5239569B2 (ko) 1973-11-14 1977-10-06
DE2364571A1 (de) * 1973-12-24 1975-09-04 Gustav Ickes Wandelement fuer die vorzugsweise verwendung als tragendes aussenwandteil
JPS5180324A (ja) * 1975-01-09 1976-07-13 Nippon Oils & Fats Co Ltd Funenseikeiryokokabutsu
US4187650A (en) * 1978-03-13 1980-02-12 Poplin James E Construction unit
JPS57119038A (en) 1981-01-15 1982-07-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anel
DE3327149A1 (de) 1983-07-28 1985-04-04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halbzeugen bzw. formteilen aus polypropylen
JPS6364814A (ja) 1986-09-03 1988-03-23 Honda Motor Co Ltd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H069174Y2 (ja) * 1986-10-20 1994-03-09 スカイ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重ね葺き式外装用金属パネル
FR2628179A1 (fr) 1988-03-02 1989-09-08 Hdg En Sa Panneaux d'isolation modulaires comprenant une cavite maintenue en depression et procede d'isolation integrant de tels panneaux
JPH0395416A (ja) 1989-09-07 1991-04-19 Komatsu Ltd 位置検出装置
JPH055351A (ja) * 1991-06-27 1993-01-14 Ig Tech Res Inc 建築用パネル
JP3114886B2 (ja) * 1991-08-27 2000-12-04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圧電セラミックス
JPH05248029A (ja) 1991-10-25 1993-09-24 Tategu Sogo Shosha Futaba:Kk 構築物用パネル
JPH0558724U (ja) * 1992-01-24 1993-08-03 株式会社クボタ 屋根瓦
DE29500418U1 (de) * 1995-01-12 1995-04-27 Engels Adolf Walter Schindel
JPH10306548A (ja) * 1997-05-09 1998-11-17 Takehiko Kimura 金属屋根板とその金属屋根板の係合方法
JP2002309752A (ja) * 2001-04-18 2002-10-23 Sekisui Chem Co Ltd 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4163A (ja) * 2001-09-04 2003-03-12 Munemasu Shirota 外装材
JP4492795B2 (ja) * 2004-09-16 2010-06-30 株式会社日輪 断熱パネル
NZ555548A (en) * 2004-12-14 2009-12-24 Kingspan Res & Dev Ltd A composite cladding
JP2007239381A (ja) * 2006-03-10 2007-09-20 Press Kogyo Co Ltd 融雪屋根瓦及び融雪屋根構造
JP5210139B2 (ja) 2008-12-15 2013-06-12 日鉄住金鋼板株式会社 断熱パネル
JP5993129B2 (ja) * 2011-10-27 2016-09-14 日鉄住金鋼板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の下地材への取付構造
JP2013234422A (ja) * 2012-05-02 2013-11-21 Meisei Kogyo Kk 不燃断熱パネルの芯材成形方法および不燃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6408206B2 (ja) 2013-08-20 2018-10-17 日鉄住金鋼板株式会社 断熱パネル
JP6335493B2 (ja) 2013-09-05 2018-05-30 日新製鋼株式会社 屋根材
JP5864015B1 (ja) 2015-03-27 2016-02-17 日新製鋼株式会社 金属屋根材、それを用いた屋根葺き構造及び屋根葺き方法並びに金属屋根材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4015A (ja) 1981-10-14 1983-04-16 Toshiba Corp 電気機器巻線の絶縁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8493A (zh) 2018-06-08
CN108138493B (zh) 2020-08-11
EA035640B1 (ru) 2020-07-20
JP6713421B2 (ja) 2020-06-24
EA201890480A1 (ru) 2018-10-31
TWI682090B (zh) 2020-01-11
US20190119917A1 (en) 2019-04-25
TW201713833A (zh) 2017-04-16
EP3342951A1 (en) 2018-07-04
JP6110973B1 (ja) 2017-04-05
JP2017066853A (ja) 2017-04-06
US10724242B2 (en) 2020-07-28
JP2017066864A (ja) 2017-04-06
EA201992146A1 (ru) 2020-05-31
EA038533B1 (ru) 2021-09-10
EP3342951B1 (en) 2020-05-20
EP3342951A4 (en)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6128A (ko)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
US9023444B2 (en) Thermal insulating material
KR102323897B1 (ko) 금속 지붕재 및 그것을 이용한 지붕잇기 방법
JP2019065618A (ja) 屋根の補修方法及びその屋根構造
JP5110501B2 (ja) 透光防波柵
WO2017056630A1 (ja) 金属屋根材及び屋根葺き方法
US11275004B2 (en) Strength test method for metal roofing material, strength test equipment, and virtual strength test program
JP6378237B2 (ja) 金属屋根材及びそれを用いた屋根葺き方法
JP6190731B2 (ja) 複合構造体
JP6545328B2 (ja) 金属屋根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屋根葺き構造及び屋根葺き方法
JP4146497B1 (ja) 建築物基礎補強方法
JP6787230B2 (ja) 金属屋根材
JP2008308917A (ja) 高耐風圧フラット断熱屋根の金属屋根下地システム
JP2020056230A (ja) 平板状建築部材
JP5616518B1 (ja) 建築用受具
JP2022052277A (ja) 屋根の改修方法及び屋根
JP2018178394A (ja) 金属屋根材
JP2019151975A (ja) 壁の補修方法及びその壁構造
JP2019056268A (ja) 防音パネルユニット、防音パネルユニットの施工方法、防音壁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