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236A -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 Google Patents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236A
KR20170116236A KR1020177027850A KR20177027850A KR20170116236A KR 20170116236 A KR20170116236 A KR 20170116236A KR 1020177027850 A KR1020177027850 A KR 1020177027850A KR 20177027850 A KR20177027850 A KR 20177027850A KR 20170116236 A KR20170116236 A KR 20170116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film
functional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534B1 (ko
Inventor
아키오 오쿠보
히데아키 기무라
마스카즈 히라타
마사키 야고우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2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8Colour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83Hard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편광성 또는 조광성의 기능층과 그 양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기능성 시트에 있어서, 적어도 편면의 그 보호층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공압 시트 또는 필름으로서, 상기 기능성 시트의 적어도 한쪽의 최표면이 아크릴계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렌즈.

Description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FUNCTIONAL SHEET AND LENS USING SAME}
본 발명은 선글래스, 고글이나, 교정 렌즈 등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편광성 또는 포토크로믹성의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에 관한 것이다.
수면, 설면, 노면 등의 반사광으로부터 오는 눈부심을 완하하여 보기 쉽게 할 목적으로, 편광자가 부착된 선글래스, 고글, 교정 렌즈 등의 광학 물품이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편광자의 흡수축을 수평으로 하여 이용하면, 수면 등에 자연광이 입사하여 반사될 때 반사각에 대하여 단조롭게 증가하는 편광 성분을 컷트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참고로, 광은 서로 수직인 2 개의 직선 편광에 의해 기술할 수 있고, 또 진동하기 때문에, 입사광과 법선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내에 있는 광의 진동 성분을 p 편광, 그것에 수직인 면내에서 진동하는 성분을 s 편광으로 하면, 수면 등에서 반사하는 광은 반사각에 대하여, p 편광은 55° 부근에서 거의 제로가 되는 극소점이 있는 데 비해, s 편광이 단조롭게 증가하기 때문에, 이 s 편광 성분을 컷트하는 것에 따른 것이다.
또, 조광성 (포토크로믹성) 색소를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많이 포함하는 외광하에서는 착색하고, 자외선이 적은 인공광선하 등에서는 소색 (消色) 하는 포토크로믹 성능을 부여한 선글래스, 고글, 교정 렌즈 등의 투명 광학 물품이 있다.
이들에 이용하는 편광자로는, 수지 필름, 전형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콜 (PVA) 필름을 한방향으로 연신하면서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로 염색하여 편광성을 부여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조광 성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1) 조광 색소를 포함하는 폴리머 용액을 이용하여 캐스팅 필름으로 하는 방법, (2) 조광 색소를 혼합한 열가소성 폴리머를 용융 압출하여 필름으로 하는 방법, (3) 조광 색소를 혼합한 도포막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하여 이용하는 방법, (4) 조광 색소를 혼합한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여 이용하는 방법, 및 (5) 필름이나 기재에 조광 색소를 열확산 등을 시켜 조광성의 확산층을 형성한 것으로 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상기 기능층을 선글래스, 고글이나, 교정 렌즈 등의 광학 물품에 적용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편광성, 조광성 또는 이 두 기능성 층의 양면에 보호층을 형성한 기능성 시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보호층으로서 이용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투명 나일론, 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이 예시된다.
이 중에서, 내충격성의 점에서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투명 나일론, 지환을 주사슬에 갖는 탄화수소계의 수지, 아세틸셀룰로오스 등, 내크랙성, 패션성, 그 밖의 여러가지 요구 때문에 이용되고 있다.
기능층과 보호층의 적층 일체화는 통상 경화성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행해지고 있지만, 기능층과 보호층의 접착 불량에 기초하는 트러블도 때때로 보인다.
특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보호층으로 하는 경우, 이 접착 불량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의 보호층의 접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로서 관찰되는 경우가 많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는 용제 크랙의 발생의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이용하는 용제에 따라서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잔존 용제도 크랙 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용제 제거를 위한 과잉의 건조 처리 등은 통상 접착력을 열화시킨다. 또, 양호한 접착을 위한 피접착면 양면에 대한 접착층의 형성 등에도 제한이 있었다.
이 점의 개량으로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접착면에, 접착제에 대한 보호층을 형성한 것을 이용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보호층으로 하는 기능성 시트의 경우, 통상의 접착용의 예비 처리로서 플라즈마 처리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접착제에 대한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에 직접 언급한 기재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른 목적, 예를 들어, 기능성 시트를 이용한 열경화성 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기능성 시트의 표면에 경화성 수지 모노머액에 내성을 갖는 도포막, 예를 들어, 경화성의 아크릴계 수지 등의 막을 형성한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허 문헌 2, 3).
상기한 기능성 시트를 이용하여 선글래스나 고글, 교정 렌즈 등의 광학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 우선 상기 기능성 시트를 원하는 곡면으로 성형 가공한 렌즈로 하거나, 또는, 곡면으로 성형 가공하여 굴곡된 제품을 제조하고, 금형에 장착하고, 이면에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한 렌즈로 한다. 다음으로, 렌즈에, 원한다면 하드코팅, 반사 방지, 그 밖의 표면 처리가 실시된 후 적절하게 렌즈 가공 (외형 가공), 구멍 뚫기, 나사 조임 등의 공정을 거쳐 광학 물품은 조립되고 있다.
그 때,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의 층에는 취급중의 찰상, 굽힘, 압축, 인장, 비틈,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의한 불균일한 변형 등의 응력이 가해진다. 이들 중에서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층의 찰상성의 문제가 있다. 이 찰상성에 대한 내성이 낮으면 찰상이 있는 제품이 발생하기 쉬워, 제품 생산율의 저하로 이어진다.
이러한 기능성 시트 중에서, 내충격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것은 상처가 나기 쉽다. 그래서, 예를 들어, 기능성 시트를 제조한 후 하드코팅 처리 등을 행한 것 (특허 문헌 4) 등이 있다.
또, 특허 문헌 5 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보호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등이 부족한 경우가 있고, 보호층인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겉표면 (기능성 시트로서의) 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층을 갖는 것을 이용한다는 기재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3-96901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80154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5306호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032004호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15465호
기능성 시트를 제조한 후에 하드코팅 처리 등을 행하는 방법으로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어느 정도의 확률로 찰상이 발생했다. 또, 후가공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그 공정에 적용 가능한 것이라는 제한이 있었다. 하드코팅 등의 표면 처리를 생략한 제품도 있고, 이 제품에 있어서도 찰상이 보다 생기기 어려운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었다. 또, 층간 접착력의 향상은 그것을 위한 공정을 추가하는 방법에 의해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당연히 이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능층과 보호층의 접착성을 개선하여, 보호층의 찰상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 편광성 또는 포토크로믹성의 기능층을 갖는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이다.
(1) 편광성 또는 조광성의 기능층과 그 양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기능성 시트에 있어서, 적어도 편면의 상기 보호층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으로서, 상기 기능성 시트의 적어도 편면이 아크릴계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시트.
(2) 상기 편광성의 기능층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필름을 2색성의 유기 염료로 염색 및 연신하여 제조된 것인 상기 (1) 에 기재된 기능성 시트.
(3) 상기 조광성의 기능층이 조광성 유기 화합물을 혼합한 비방향족계의 폴리머 용액을 이용하여 캐스팅법으로 제조된 것인 상기 (1) 에 기재된 기능성 시트.
(4) 상기 조광성의 기능층이 조광성 유기 화합물을 혼합한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와 그 경화제로 이루어진 2 액형의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를 가열 경화한 것인 상기 (1) 에 기재된 기능성 시트.
(5) 상기 조광성의 기능층이 보호층인 공압 시트 또는 필름 또는 편광성의 기능층을 접착하는 층인 상기 (4) 에 기재된 기능성 시트.
(6) 상기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아크릴계 수지층이 두께 60 ㎛ 일 때 2 H 이상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는 경질 아크릴계 수지층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5 몰% 이상 이용한 연질 아크릴계 수지층인 상기 (1) 에 기재된 기능성 시트.
(7) 상기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3000 nm 이상인 상기 (1) 에 기재된 기능성 시트.
(8) 상기 (1) 에 기재된 기능성 시트로서, 양면이 아크릴계 수지층인 기능성 시트를 외형 가공하고 가열 가압하에 굽힘 가공하여 이루어진 렌즈.
(9) 상기 (1) 에 기재된 기능성 시트로서, 편면이 아크릴계 수지층, 반대면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인 기능성 시트를 아크릴계 수지층이 볼록면측이 되도록 외형 가공하고 가열 가압하에 굽힘 가공한 후, 볼록면측을 금형면측으로 하여 금형에 장착하고, 오목면측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성형 렌즈.
(10) 상기 (8) 또는 (9) 에 기재된 렌즈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선글래스 또는 고글.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선글래스나 고글 등의 제조시의 수율이 향상된다. 또, 사용시에도 찰상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보호층으로 하는 공압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를 이용한 굴곡 렌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를 이용한 성형 렌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예의 기능성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는 (a) 편광성 또는 조광성의 기능층, (b) 적어도 편면의 보호층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과 아크릴계 수지층의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인 보호층, 및 적절하게, (c) 기능층 a 와 보호층 b, 또는 기능층 a 서로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 기능성 시트를 굽힘 가공하여 이루어진 렌즈, 그리고 기능성 시트를 굽힘 가공하여 금형에 장착하고,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성형 렌즈이다.
[편광성의 기능층]
본 발명의 편광성의 기능층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필름을 2색성의 유기 염료로 염색 및 연신하여 제조된 것을 통상 이용한다.
이 폴리비닐알콜류로는, 폴리비닐알콜 (PVA), PVA 의 아세트산에스테르 구조를 미량 남긴 것 및 PVA 유도체 또는 유연체 (類緣體) 인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이 예시되고, 특히 PVA 가 바람직하다. 이 필름을 한방향으로 연신시키면서 2색성의 유기 염료를 함침 또는 흡착시키고, 적절하게 고정하고 건조시켜 편광의 필름으로 한다.
PVA 필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 ∼ 350,000,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150,000 ∼ 300,000 이다. 원료 PVA 필름의 두께는 통상 100 ∼ 300 ㎛ 정도이고, 이것을 연신ㆍ염색하여 이루어진 PVA 편광 필름은 통상 10 ∼ 50 ㎛ 이다.
PVA 필름의 연신 배율은 2 ∼ 8 배이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연신 후의 강도의 점에서 3 ∼ 5 배가 바람직하다.
[조광성의 기능층]
본 발명의 조광 (포토크로믹) 층은 (1) 미리 제조된 조광성의 필름으로서 이용해도 되고, 또 (2) 조광성 유기 화합물을 배합한 조광성의 접착제층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상기 (1) 의 조광성의 필름은 비방향족계의 수지 필름에 조광성 유기 화합물이 균일 분산된 것이고, 캐스팅법, 용융 압출법, 그리고 열확산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기재의 수지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을 들 수 있고, 열확산 등의 기재 필름에 내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이나 디알릴카보네이트 등을 이용한 경화물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2) 의 경우, 후기하는 접착제층에 사용할 수 있는 것에서 통상 선택된다. 이들 중에서, 조광성의 응답 속도나 장기 사용의 경우의 열화가 보다 작고, 원하는 조광성 유기 화합물을 가능한 한 다량으로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고, 또 접착제층으로서 효과적인 것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와 그 경화제로 이루어진 2 액형의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화합물로는, 공지된 스피로피란계, 스피로옥사진계, 나프토피란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고, 1 종 또는 2 종 이상 혼합물로 이용한다.
[보호층]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편면의 보호층으로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과 아크릴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을 이용한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과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시트 또는 필름은, 공압출 이외에, 압출 라미네이트, 열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필름이나 시트끼리의 융착법, 코팅법 등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각각 이점과 결점을 갖는 것이다.
압출 라미네이트법의 경우, 특히 표면 고도가 높지만 안정된 얇은 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제조는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 필름 상호 접착력도, 열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필름이나 시트끼리의 융착과 마찬가지로 떨어지는 경향이 크다.
코팅법은, 용제가 있으면, 압출 등이 불가능한 고분자량의 수지를 용액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경화성인 것의 사용도 일반적이며, 매우 넓은 응용 범위를 갖는 우수한 제법이다. 그러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용제 크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용제나 경화성 모노머의 성분과 그 양비, 그리고 사용 방법 등의 세밀한 제어가 필수불가결하다. 또한, 리타데이션값이 높은 것은 낮은 것에 비해 내크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제어가 필수불가결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내크랙성의 문제가 없고, 층간의 밀착성이나 접착 계면 구조 등의 이유로, 용융 수지를 압출 다이 중에서 합류 접착시키는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은 2 층 또는 3 층이다. 아크릴계 수지층의 물성은, 그 목적에서, 통상은 2 층에서는 표면 경도의 개량 또는 내약품성의 개량 중의 어느 것을 주목적으로서 선택하고, 3 층에서는 상기한 것 외에 이 양자를 갖는 것을 선택한다.
구체적인 용도에서 보면, 굽힘 가공한 선글래스나 고글용 렌즈로서 이용하는 용도에서는, 편면에 표면 경도가 높은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것이 선택된다. 또, 기능층과의 접착측 (내면) 에는, 필요에 따라 유연하고 내약품성이 있는 층을 선택함으로써, 유기 용제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 면으로서 이용하고, 계면 접착력을 높여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한다.
굽힘 가공한 후, 금형에 장착하고 사출 성형하여 성형 렌즈로 하는 용도에서는, 통상 사출 수지측 (통상 오목면) 의 표면의 찰상 등은 용융 수지에 의해 소거된다. 통상, 사출 성형에 이용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의 밀착성의 점에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표면층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시트의 반대 표면 (통상 볼록면) 은, 성형 렌즈의 사출 수지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표면 (통상 오목면) 과 동시에, 하드코팅이나 반사 방지막의 형성 등의 표면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이들 공정의 적용 조건이 사출 수지층 표면과 가능한 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기능층과의 접착측 (내면) 과 동일한 성질을 부여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출 성형의 수지압에 의해 금형에 압박되는 것에 의해, 나아가 표면 처리에 의해 미세한 찰상 등은 소실된다. 또, 기능층과의 접착측 (내면) 은, 상기 굽힘 가공한 렌즈와 마찬가지로, 접착력을 높여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층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보호층의 두께는 50 ㎛ ∼ 2 mm, 바람직하게는 100 ㎛ ∼ 1 mm 이다.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경우, 아크릴계 수지층의 두께는 전체 두께의 50 % 미만 10 ㎛ 이상이고, 통상 10 ㎛ ∼ 500 ㎛, 바람직하게는 20 ∼ 100 ㎛ 의 범위에서 선택한다.
또,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값은 100 nm 이하 또는 3000 nm 이상의 범위인 것을 선택한다.
리타데이션값이 100 nm 이하인 경우, 주사슬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향한 방향 고리를 갖는 모노머를 공중합 (예를 들어, 플루오렌기 치환의 비스페놀, 스티렌 그래프트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등) 함으로써, 광탄성률을 작게 한 것을 이용하여 제조한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이용한 것) 의 경우, 리타데이션의 값이 3000 nm 이상 200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0 nm 이상, 특히 5000 nm 이상인 것을 선택한다. 또한, 고 (高) 리타데이션값을 갖는 것이란, 분자 배향에 기초하는 큰 왜곡 (잔류 응력) 을 갖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잔류 응력이 작은 것에 비하여 내크랙성이 떨어진다는 결점도 갖는다.
또, 종래의 3000 nm 이상의 고리타데이션값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단독의 시트 또는 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보다 고온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롤로부터 박리하여, 연신ㆍ냉각시키는 공정의 연신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표면 경도를 개량한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경우, 고리타데이션인 것은 공업적으로는 생산되지 않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방법을 그대로 표면 경도를 개량한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경우에 적용하는 것을 시도한 결과, 연신량을 크게 해 가면 필름 끊김이 발생하여 제조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을 배치식의 연신기로 가열하에 연신함으로써 고리타데이션인 것을 제조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필름 끊김의 원인은 표면의 아크릴계 수지층에 균열이 발생하여 파단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롤로부터 박리되고 연신되는 영역의 공압 시트 또는 필름의 아크릴계 수지층측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로, 또한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보온하는 것 등에 의해, 아크릴계 수지층에 결함 (균열 등) 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연신량이 큰 것 (리타데이션값이 높은 것) 의 제조가 가능하다고 추정된다. 또한, 표면 경도나 무결함인 경우의 내크랙성의 개선의 정도는 떨어지지만, 아크릴계 수지로서 에스테르기의 탄소수가 큰 것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10 몰% 이상 이용한 유연성이 있는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용이하게 고연신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나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롬페닐)프로판 등의 비스히드록시(할로게노)페닐알칸으로 대표되는 비스페놀 화합물, 그 알칸 부분에 플루오렌기 등이 치환된 것 등의 모노머로부터 주지된 방법으로 제조된 중합체가 이용된다.
분자량은 통상의 범위이면 되고, 부형성이나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점도 평균 분자량으로 17,000 ∼ 40,000 이고, 압출로 제조한다는 관점에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 30,000 이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나 폴리메타크릴레이트 (PMA) 로 대표되는 각종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나 메틸아크릴레이트 (MA) 와 다른 1 종 이상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이고, 또한 이들 수지의 복수종이 혼합된 것이어도 된다.
MMA 나 MA 를 주체로 한 통상 2 H 이상의 경질 아크릴계 수지는 내찰상성의 용도로서 표면층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에 비해,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한 것, 통상 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공중합한 연질 아크릴계 수지는 표면 경도나 내크랙성의 개선의 정도는 떨어지지만 유연하고 접착성 등이 우수한 것이며, 내층면용이나 하드코팅 등의 코팅용의 전처리층 표면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MMA 나 MA 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 등의 α,β-불포화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기 함유 2 가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알킬에스테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치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 화합물,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 N-치환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체의 혼합물이나 수소 첨가품 등의 각종 유도체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지방족계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 스티렌 등을 공중합한 아크릴계 수지의 벤젠 고리를 수소 첨가한 것도 이용된다. 이상과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예로서, 아크리페트 (상표ㆍ미쯔비시레이온 제조), 델펫 (상표ㆍ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 제조), 파라펫 (상표ㆍ쿠라레 제조) 등이 있다.
[접착제층]
본 발명에서는, 보호층과 기능층의 접착, 기능층으로서 편광 필름층과 조광성 (포토크로믹)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의 상호 접착에 접착제층을 이용한다.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아크릴 수지계 재료, 우레탄 수지계 재료,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재료, 멜라민 수지계 재료, 에폭시 수지계 재료, 실리콘계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접착성 및 편광층이나 조광층과의 접착성에서, 우레탄 수지계 재료인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 액형의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기능성 시트의 제조]
이상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를 제조한다.
통상, 본 발명의 보호층으로서 이용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과 아크릴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은 길이가 긴 롤로 입수되기 때문에 그 형태로 이용된다. 또, 편광성의 기능층도 길이가 긴 롤로, 그리고 조광성의 기능층으로서 미리 제조된 조광성의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도 길이가 긴 롤로 입수하여 이용한다. 이러한 경우, 롤로부터 풀어낸 시트 또는 필름에 적절하게 소정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본 발명의 접착제의 용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실질적으로 무용제의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이들을 겹쳐서 가압 접착하여 권취하거나, 겹쳐서 접착한 후 소정 치수로 절단한 것을, 보존하여 경화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또, 조광성의 기능층이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우, 통상 두꺼운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것 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조광성만의 경우, 즉 편광 필름을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 발명의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표면에 조광성의 기능층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가 되기 때문에, 조광성의 접착제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 해가 없는 것을 선택하거나, 또는 용제 내성을 부여하는 층, 예를 들어, 상기 연질 아크릴 수지층을 갖는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아크릴계 수지층측을 용제 내성층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한다.
편광 필름을 이용할 때, 편광 필름의 편면에 접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하여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을 접착하고, 편광 필름의 반대면 상에 무용제의 조광성의 접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하여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겹치는 방법, 또는,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공압출 시트 또는 필름으로서 유연성이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층을 갖는 것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또한, 편광 필름을 이용하고, 보호 시트 또는 필름으로서 고리타데이션품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저리타데이션품에 비하여 내크랙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 고리타데이션품을 이용하는 경우, 시트 또는 필름의 각각의 연신 방향 및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을 서로 평행 또는 수직으로 하여 이용한다.
[렌즈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편광, 조광, 또는 편광ㆍ조광인 기능성 시트를 이용하여, 아크릴계 수지층이 볼록면 표면이 되도록 외형 가공하고 가열 가압하에 굽힘 가공하여 렌즈로 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하여 외형 가공하여 굽힘 가공한 후 볼록면측을 금형에 장착하고, 오목면측에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성형 렌즈로 한다.
사출 성형하지 않고 굽힌 채로 렌즈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로 강도를 갖는 것이 필수이며, 또 양면이 제품의 표면이 된다. 따라서, 보호층에 이용하는 시트는 두꺼운 것으로 하고, 양 표면이 아크릴계 수지가 되는 구성으로서 제조한 기능성 시트를 선택한다. 두께는 양면 합계로 0.8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3 mm 이다. 또, 통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공압 시트의 경우, 고리타데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출 성형하여 성형 렌즈로 하는 경우, 사출 성형하는 측의 기능성 시트 표면에는 용융 수지가 충전되기 때문에, 찰상과 같이 이물질이 아닌 결점은 소실되는 것 및 통상 사출 성형에 이용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의 밀착성이나 광학 특성의 점에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표면층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수지가 충전되는 측은 기능성층을 보호하기에 충분한 두께이면 되는 것이다.
또, 통상 볼록면인 금형과의 접촉면은, 통상 성형 렌즈로 된 후, 그 표면에 각종 기능성층을 형성하여 렌즈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에 적합한 표면층을 가진 것이 적합하고, 예를 들어, 유연성이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층을 갖는 것을 금형측으로서 이용한다.
이용하는 기능성 시트의 두께는 양면 합계로 0.3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4 ∼ 0.9 mm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편광층을 갖는 기능성 시트를 선택하고, 또 통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공압 시트를 선택하는 경우, 고리타데이션의 공압 시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일반적인 통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즉,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주요 모노머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큰 광탄성 상수를 갖는다.
이 때문에, 이 큰 광탄성 상수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한 경우, 저리타데이션을 유지하는 특별한 조작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프레임에 대한 고정,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응력이나 굽힘 가공, 그 외에서 발생한 응력이 남아, 편광층을 갖는 기능성 시트에서는, 이 응력에 의해 발생한 복굴절에 의해 간섭 줄무늬가 관찰되게 된다.
이에 비해, 충분히 큰 리타데이션인 것을 이용한 경우, 이러한 응력에 의해 새롭게 간섭 줄무늬가 관찰되게 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충분히 큰 리타데이션인 것에서는, 응력 복굴절의 값에 의한 변화는 무시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방향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본 발명의 보호층으로 하는 공압출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기능성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기능성 시트를 이용한 굴곡 렌즈 및 성형 렌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그리고 종래예의 기능성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첨부했다.
우선, 도 1 은 본 발명의 보호층으로서 이용하는 공압출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각각의 층의 두께 등은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이지만, 공압출 시트의 층구성으로는 기재한 4 종이 된다. 번호 2 가 경질 아크릴계 수지층이며, 표면 경도의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번호 3 이 연질 아크릴계 수지층이며, 내용제성이나 층간 접착력의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2 는 실시예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의 a, b 는 각각 실시예 1, 2 에 상당하고, 양면에 번호 2 의 경질 아크릴계 수지층 (2) 을 가지며, 또 b 에서는 내층측에 번호 3 의 연질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다. 도 2 의 c, d, e 는 각각 실시예 3, 4, 5 에 상당하고, 한쪽 표면은 번호 1 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이고, d 에서는 내층측에 번호 3 의 연질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는 적어도 편면에 번호 2 또는 3 의 경질 또는 연질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다. 연질 아크릴계 수지층에 있어서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 (1) 보다 내찰상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 번호 3 의 연질 아크릴계 수지층을 갖는 면은 접착성이 개량된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쪽 표면은 번호 1 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은 번호 7 의 사출 성형에 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과 일체화하여 계면을 갖지 않는 성형품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도 3 은 실시예 1, 2 에 상당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를 이용한 굴곡 렌즈 (실시예 6) 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의 a, b 를 이용하여 굽힘 가공한 것이고, 양면에 번호 2 의 경질 아크릴계 수지층 (2) 을 가지며, 내찰상성이 향상된 것이다.
도 4 는 실시예 3, 4, 5 에 상당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를 이용한 성형 렌즈 (실시예 7) 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예의 기능성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에서 제조한 렌즈는 그 자체로, 또는 더욱 적절하게 반사 방지층, 하드코팅층, 방오층, 방담층 (防曇層) 등의 각종 기능성층을 형성한, 또 염색 등으로 예를 들어 그라디에이션, 그 밖의 의장을 부여한 렌즈가 되어, 선글래스나 고글 또는 교정 안경 렌즈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는 그 자체로 내찰상성이 개량된 것으로서, 또는 적절하게 반사 방지층, 하드코팅층, 방오층, 방담층 등의 각종 기능성층을 형성하여, 편광판, 포토크로믹판, 편광ㆍ포토크로믹판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보호층]
공압 시트 1 (도 1a 참조) :
PC/PMMA 공압출 시트 (PMM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쯔비시가스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배치식의 연신기로 온도 160 ℃ 의 가열하에 연신하여, 두께 0.7 mm (PMMA 층의 두께 100 ㎛), 리타데이션값 약 5500 nm 로 했다.
이 시트는 PC 와 PMMA 의 경계에 경사 구조가 생겼고, 경계에서의 광의 반사는 비교적 적다.
공압 시트 2 (도 1b 참조) :
PMMA/PC/C-PMMA 공압출 시트 (C-PMM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미쯔비시가스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일축 연신하여, 두께 0.7 mm, 리타데이션값 약 5500 nm (PMMA 층의 두께 100 ㎛, C-PMMA 의 두께 약 30 ㎛) 로 했다.
이 시트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경계에 경사 구조가 생긴 것이다.
공압 시트 3 (도 1a 참조) :
두께 0.3 mm 의 PC/PMMA 의 2 층 공압출 시트 (PMMA 층의 두께 60 ㎛, 미쯔비시가스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준비했다. 이 시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경계에 경사 구조가 생긴 것이다.
공압 시트 4 (도 1a 참조) :
PC/PMMA 의 2 층 공압출 시트 (미쯔비시가스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일축 연신하여, 두께 0.3 mm, 리타데이션값 약 5500 nm (PMM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두께 약 50 ㎛) 로 했다.
이 시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경계에 경사 구조가 생긴 것이다.
공압 시트 5 (도 1c 참조) :
C-PMMA/PC/C-PMMA 의 3 층 공압출 시트 (미쯔비시가스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일축 연신하여, 두께 0.3 mm, 리타데이션값 약 5500 nm (C-PMMA 층의 두께 약 30 ㎛) 로 했다.
이 시트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경계에 경사 구조가 생긴 것이다.
공압 시트 6 (도 1d 참조) :
PC/C-PMMA 공압출 시트 (미쯔비시가스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일축 연신하여, 두께 0.3 mm, 리타데이션값 약 5500 nm (C-PMMA 층의 두께 약 30 ㎛) 로 했다.
이 시트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경계에 경사 구조가 생긴 것이다.
상기와는 별도로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PC) 제, 두께 0.3 mm 의 통상의 것, 그리고 두께가 0.3 mm 와 0.7 mm 이고 리타데이션값 약 5500 nm 인 시트를 준비했다.
[편광 필름 (편광층)]
PVA 필름 (쿠라레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VF-PS#7500) 을 35 ℃ 의 물에 침지시켜 필름에 포함되는 글리세린을 제거했다. 이어서 스미라이트레드 4B-P (C. I. 28160) 0.35 g/L, 크리소페닌 (C. I. 24895) 0.18 g/L, 스미라이트스푸라블루 G (C. I. 34200) 1.33 g/L 및 무수 황산나트륨 5 g/L 를 포함하는 35 ℃ 의 수용액에 3 분간 침지시켜, 이 염색시와 그 후에 한방향으로 4 배 연신시켰다. 이 염색 필름을 아세트산니켈 2.5 g/L 및 붕산 6.0 g/L 를 포함하는 35 ℃ 의 수용액에 3 분간 침지시켰다. 그 필름을 긴장 상태가 유지된 상태인 채로 실온하에서 3 분간 건조시킨 후, 110 ℃ 에서 3 분간 가열 처리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포토크로믹성의 접착제 용액]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 100 g 에 경화제 20 g 을 첨가하고,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 4-[4-〔6-(4-모르포닐)-3-페닐-3H-나프토(2,1-b)피란-3-일〕페닐]-모르핀 (상품명 : Reversacol Flame, James Robinson LTD 사 제조) 을 0.82 g (용매의 휘산과 경화 후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첨가하여, 실온하에서 1 시간 교반하여 포토크로믹성의 접착제 용액을 조제했다.
[접착제 조성물]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 5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5 중량부,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60 중량부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1 (도 2a 참조)
상기에서 얻은 편광 필름의 편면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1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킨 후, 상기 두께 0.7 mm 의 2 층의 공압 시트 1 의 PC 측을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했다. 이어서 얻어진 적층물의 편광 필름면에 접착제층을 동일하게 하여 형성한 후, 2 장째의 상기 공압 시트 1 의 PC 측을 적층했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일 이상, 그리고 70 ℃ 에서 1 일 건조시켜, 양쪽 표면이 PMMA 인 두께 1.5 mm 의 PMMA*PC/접착제층/편광 필름/접착제층/PC*PMMA 의 편광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 시트의 연필 경도 시험 JIS-K-5600-5-4 를 실시한 결과 연필 경도 3H 인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도 5 참조)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공압 시트 1 대신, 상기한 고리타데이션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미쯔비시가스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PC/접착제층/편광 필름/접착제층/PC 의 편광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한 결과 연필 경도가 B 였다.
실시예 2 (도 2b 참조)
상기 두께 0.7 mm 의 3 층의 공압 시트 2 의 C-PMMA 측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1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킨 후, 상기에서 얻은 편광 필름을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했다. 이 편광 필름의 면에 상기와 동일하게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공압 시트 2 의 C-PMMA 측의 도포면을 겹쳐서 적층했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일 이상, 그리고 70 ℃ 에서 1 일 건조시켜, 양쪽 표면이 PMMA 인 두께 1.5 mm 의 PMMA*PC*C-PMMA/접착제층/편광 필름/접착제층/C-PMMA*PC*PMMA 의 편광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한 결과 연필 경도 3H 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접착제 조성물을 PC 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경우에는, 미세 크랙의 발생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미세한 크랙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3 (도 2c 참조)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공압 시트 1 대신, 편면의 보호 시트에 두께 0.3 mm 의 공압 시트 4 (2), 그 반대면의 보호 시트에 두께 0.3 mm 의 고리타데이션 PC 필름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0.6 mm 의 PMMA*PC/접착제층/편광 필름/접착제층/PC 의 편광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한 결과 PMMA 측의 연필 경도 3H, PC 측의 연필 경도 B 였다.
실시예 4 (도 2d 참조)
상기 두께 0.3 mm 의 3 층의 공압 시트 5 의 C-PMMA 면 상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1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킨 후, 상기에서 얻은 편광 필름을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했다. 이 편광 필름의 면에, C-PMMA 면 상에 동일하게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상기 두께 0.3 mm 의 2 층의 공압 시트 6 의 C-PMMA 측의 도포면을 겹쳐서 적층했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일 이상, 그리고 70 ℃ 에서 1 일 건조시켜, 두께 0.6 mm 의 C-PMMA*PC*C-PMMA/접착제층/편광 필름/접착제층/C-PMMA*PC 의 편광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한 결과 C-PMMA 측의 연필 경도 H, PC 측의 연필 경도 B 였다.
또한, 이 접착제 조성물을 PC 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경우에는, 미세 크랙의 발생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미세한 크랙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5 (도 2e 참조)
상기에서 얻은 포토크로믹성의 접착제 용액을 코터를 이용하여 공압 시트 3 에 도포하고, 70 ℃ 에서 10 분간 건조시킨 후 통상의 PC 필름을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적층했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1 일 이상, 그리고 70 ℃ 에서 1 일 건조, 경화시켜 PMMA*PC/조광층/PC 의 조광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한 결과 PMMA 측의 연필 경도 3H, PC 측의 연필 경도 B 였다.
실시예 6 (도 3 참조)
실시예 1 및 2 의 두께 1.5 mm 의 편광 시트를 이용하여, 연신 방향 80 mm, 그 수직 방향의 폭을 55 mm 의 직사각형의 4 모서리를 컷트한 캡슐형으로 펀칭했다.
이것을 진공 흡인으로 실리콘 고무 시트 피복을 구비한 오목구면 굽힘형 (곡률 반경 66.81 mm, 베이스 커브 7.932) 을 이용하고, 표면 온도 145 ℃ 로 설정한 수형의 실리콘 고무 시트 상에 컷트편을 얹어 진공 흡인을 개시하고, 다음으로 실리콘 고무 시트 피복한 암형으로 가압함으로써 구면 굽힘 가공을 행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베이스 커브란, 렌즈 전면 (前面) 의 곡률이며, 530 을 밀리미터 단위의 곡률 반경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원하는 형상으로의 펀칭, 굽힘 가공성 모두 양호하여, 표면의 찰상이 생기기 어려운 굴곡 렌즈가 얻어졌다.
실시예 7 (도 4 참조)
실시예 3, 4 의 두께 0.6 mm 의 편광 시트 및 실시예 5 의 두께 0.6 mm 의 조광 시트를, 각각 직경 79.5 mm 의 진원형이며 연신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폭을 55 mm 로 컷트한 형상으로 펀칭했다.
다음으로, 사출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의 구면형의 표면 (곡률 반경 66.81 mm, 베이스 커브 7.932) 에 맞도록, 동일한 표면 형상을 갖는 금형을 이용하여, PMMA 또는 C-PMMA 측을 볼록면측으로 하여 굽힘 가공을 행했다.
이 벤딩품을 사출 성형용의 금형 내에 인서트하고, 오목면측에 300 ℃ 에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및 조광 렌즈를 제작했다.
얻어진 성형 렌즈는 통상 하드코팅 처리 등을 더 하여 이용된다.
미처리에 있어서도 볼록면측이 찰상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라는 점에서, 취급이 용이해지고, 또한 하드코팅 처리 후의 내찰상도 보다 향상된 것이 얻어졌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렌즈는 안정된 층간 접착력을 나타내고, 내찰상이 우수하고, 또 하드코팅 등의 후처리에 대한 적용성도 우수하여, 선글래스, 고글 또는 교정 안경 렌즈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
2 : 경질 아크릴계 수지층
3 : 연질 아크릴계 수지층
4 : 접착층
5 : 편광 필름층
6 : 조광층
7 : 사출 성형에 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층

Claims (1)

  1.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발명.
KR1020177027850A 2009-10-21 2010-10-20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KR102114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2090 2009-10-21
JP2009242091 2009-10-21
JPJP-P-2009-242091 2009-10-21
JPJP-P-2009-242090 2009-10-21
PCT/JP2010/068444 WO2011049108A1 (ja) 2009-10-21 2010-10-20 機能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12888A Division KR20120085817A (ko) 2009-10-21 2010-10-20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236A true KR20170116236A (ko) 2017-10-18
KR102114534B1 KR102114534B1 (ko) 2020-05-22

Family

ID=439003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850A KR102114534B1 (ko) 2009-10-21 2010-10-20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KR20127012888A KR20120085817A (ko) 2009-10-21 2010-10-20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12888A KR20120085817A (ko) 2009-10-21 2010-10-20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20206689A1 (ko)
EP (1) EP2492723B1 (ko)
JP (1) JPWO2011049108A1 (ko)
KR (2) KR102114534B1 (ko)
CN (1) CN102576112B (ko)
ES (1) ES2755023T3 (ko)
TW (1) TWI532595B (ko)
WO (1) WO2011049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1049108A1 (ja) * 2009-10-21 2013-03-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機能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
US8770749B2 (en) 2010-04-15 2014-07-08 Oakley, Inc. Eyewear with chroma enhancement
JP5891170B2 (ja) * 2010-06-11 2016-03-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JP5995407B2 (ja) * 2011-04-01 2016-09-21 山本光学株式会社 色ムラを改善した偏光光学物品
JP6050569B2 (ja) * 2011-07-11 2016-12-21 山本光学株式会社 3d鑑賞用の円偏光レンズ、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グラス
FR2979713B1 (fr) 2011-09-06 2013-09-20 Bnl Eurolens Element optique polarisant tein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lement
BR112014009556A2 (pt) 2011-10-20 2017-06-13 Oakley, Inc óculos, laminado e respectivos métodos para fabricá-los
FR2987776B1 (fr) 2012-03-08 2017-04-21 Bnl Eurolens Procede de realisation d'un ecran de vision a insert surmoule par injection
FR2987906B1 (fr) * 2012-03-08 2014-05-09 Bnl Eurolens Procede de realisation de lentilles polarisantes, et la lentille polarisante obtenue par ledit procede
JP2013200482A (ja) * 2012-03-26 2013-10-03 Asahi Kasei E-Materials Corp ワイヤグリッド偏光子、偏光性成形品及び目視装置
JP2013231815A (ja) * 2012-04-27 2013-11-14 Sumitomo Bakelite Co Ltd 偏光板、表示体用前面板、および表示体
WO2013169987A1 (en) 2012-05-10 2013-11-14 Oakley, Inc. Eyewear with laminated functional layers
JP6429434B2 (ja) * 2012-05-23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I592714B (zh) * 2012-08-14 2017-07-21 Mitsubishi Gas Chemical Co Special polycarbonate polarized glasses
KR102091898B1 (ko) * 2012-08-21 2020-03-20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선글라스용 편광 렌즈
CN103064216B (zh) * 2012-11-29 2015-07-29 明基材料有限公司 调光结构
JP6161893B2 (ja) * 2012-12-11 2017-07-12 株式会社トクヤマ 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US9784895B2 (en) 2013-01-25 2017-10-1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lored low-polarizing films, colored low-polarizing sheets, and colored low-polarizing lenses, and methods thereof
CN103364943B (zh) * 2013-06-15 2015-12-02 明基材料有限公司 调光装置
TWI654082B (zh) * 2013-08-27 2019-03-2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積層板
ITBO20130525A1 (it) * 2013-09-25 2015-03-26 Luxottica Srl Lente per occhiali da sole
US9575335B1 (en) 2014-01-10 2017-02-21 Oakley, Inc. Eyewear with chroma enhancement for specific activities
JP2015137259A (ja) * 2014-01-23 2015-07-30 二朗 阿部 ベンゾクロメン化合物、フォトクロミック剤及びフォトクロミック光学材料
CN207704150U (zh) 2014-11-13 2018-08-07 奥克利有限公司 具有颜色增强的可变光衰减眼睛佩戴件
ES2834395T3 (es) * 2014-12-04 2021-06-17 Mitsubishi Gas Chemical Co Lente con lámina funcional que incluye resina de poliéster
FR3032283B1 (fr) 2015-02-02 2018-01-26 Bnl Eurolens Lentille ophtalmique, notamment pour lunettes de soleil
CN106662762B (zh) * 2015-04-03 2019-12-10 大赛璐赢创株式会社 功能性透镜及具备该功能性透镜的功能性眼镜
WO2017002904A1 (ja) * 2015-06-30 2017-01-05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6766472B2 (ja) * 2015-06-30 2020-10-1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6143917B2 (ja) * 2015-08-18 2017-06-07 住友化学株式会社 曲面画像表示パネル用凸面側偏光板
WO2017154901A1 (ja) * 2016-03-10 2017-09-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フォトクロミック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
EP3287266A1 (en) * 2016-08-17 2018-02-28 Dongguan Koda Optical Lens Co.,Ltd. DONGGUAN KODA OPTICAL LENS CO.,LTD. A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chromic lens and article thereof
EP3290193A1 (en) * 2016-08-17 2018-03-07 Dongguan Koda Optical Lens Co.,Ltd. DONGGUAN KODA OPTICAL LENS CO.,LT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ti-fog lens and the article of manufacture
CN110087883B (zh) * 2016-12-16 2021-11-09 3M创新有限公司 红外反射型光学透明组件及其制造方法
CN107422410A (zh) * 2017-09-25 2017-12-01 深圳市运宝莱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扩散功能的增白银半透型偏光片及其制作工艺
JP6539880B2 (ja) * 2017-09-29 2019-07-1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光学シートおよび光学部品
JP7118876B2 (ja) * 2017-12-25 2022-08-16 株式会社トクヤマ 積層体、該積層体からなる光学基材、および該光学基材を備えた光学物品
US11112622B2 (en) 2018-02-01 2021-09-07 Luxottica S.R.L. Eyewear and lenses with multiple molded lens components
TWI663076B (zh) 2018-06-29 2019-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伸縮筆
CN109648956B (zh) * 2018-12-29 2021-03-05 温州富奇士光电材料有限公司 光致变色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
CN110187461A (zh) * 2019-07-03 2019-08-30 丹阳市宏鑫光学眼镜有限公司 一种超硬偏光镜片
KR102397482B1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씨엔와이 Pc 편광필름의 포밍방법
WO2022112966A1 (en) * 2020-11-30 2022-06-02 Luxottica S.R.L. Semi-finished ophthalmic lens for glasses and the lik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004A (ja) 1984-07-23 1986-02-14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性に優れた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法
JPH0396901A (ja) 1989-09-11 1991-04-22 Kureha Chem Ind Co Ltd 調光作用を有する偏光性樹脂製光学部材
JP2002062423A (ja) * 2000-06-09 2002-02-28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性とフォトクロミック性を併せ持つ合成樹脂積層体
JP2005225018A (ja) * 2004-02-12 2005-08-25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体
JP2005280154A (ja) 2004-03-30 2005-10-13 Fuji Kasei Kk プラスチックス偏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ス偏光レンズ体、該レンズ体製造に用いる偏光積層体および被覆シート
JP2005305306A (ja) 2004-04-21 2005-11-04 Fuji Kasei Kk プラスチックス調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ス調光レンズ体、該レンズ体製造に用いる塗膜シート状調光体および被覆シート
JP2006215465A (ja) 2005-02-07 2006-08-17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90080970A (ko) * 2006-10-20 2009-07-27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적층체

Family Cites Families (1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1417A (en) * 1970-07-01 1973-01-16 Polaroid Corp Multilayer light polarizing lens
FR2118305A5 (ko) * 1970-12-14 1972-07-28 Vergo Sa
US3884606A (en) * 1971-10-01 1975-05-20 Dow Chemical Co Apparatus for multilayer coextrusion of sheet or film
IT1119928B (it) * 1978-09-25 1986-03-19 Ugine Kuhlmann Materiale composito di polifluoruro di vinilidene e di polimero termoplastico incompatibile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US4423185A (en) * 1980-03-03 1983-12-27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resinous composition
FR2477463A1 (fr) * 1980-03-07 1981-09-11 Ugine Kuhlmann Procede de fabrication d'un composite polyfluorure de vinylidene et polymere non compatible par coextrusion-moulage
JPH0642002B2 (ja) * 1983-07-29 1994-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
US4576766A (en) * 1983-09-07 1986-03-18 The Plessey Company Plc Photochrom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photoreactive lenses
IT1177047B (it) * 1984-10-26 1987-08-26 Carbolux Spa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accoppiamento, coadiuvato da un film ausiliario, di film protettivi a una lastra estrusa, tutti realizzati in materie plastiche e prodotto cosi' ottenuto
US4908272A (en) * 1987-04-27 1990-03-1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Gas-barrier multilayered structure
EP0299509B1 (en) * 1987-07-17 1994-06-2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urved polarizing sheet protected with polycarbo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543544B2 (ja) * 1987-11-30 1996-10-1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ガスバリヤ―性多層構造物
DE3842968A1 (de) * 1988-12-21 1990-06-28 Bayer Ag Laminierte polarisatoren
US5126880A (en) * 1990-12-18 1992-06-30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ic reflective bodies with multiple layer types
US5094788A (en) * 1990-12-21 1992-03-10 The Dow Chemical Company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US5496295A (en) * 1991-12-18 1996-03-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ed barrier structures
US5232637A (en) * 1992-01-21 1993-08-03 Corning Incorporated Ophthalmic lens method
US6074579A (en) * 1992-08-19 2000-06-13 Greshes; Martin Lens blanks and method of making a lens therefrom
US6180033B1 (en) * 1992-08-19 2001-01-30 Chrysalis Development Company, Llc Method of making a finished multi-coated and/or laminated eyeglass lens
US5355183A (en) * 1992-09-30 1994-10-11 Andrea Eyewear, Inc. Sealed adjustable polarized sunglasses
US5434707A (en) * 1993-09-14 1995-07-18 Polaroid Corporation Shaped plastic light-polarizing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025897A (en) * 1993-12-21 2000-02-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lay with reflective polarizer and randomizing cavity
US6096375A (en) * 1993-12-21 2000-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polarizer
DE69428204T2 (de) * 1994-07-29 2002-06-13 Sekisui Chemical Co Ltd Oberflächenmaterial, das eine vielzahl von vertiefungen und vorsprüngen in und auf seiner oberfläche aufweis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genständen, die dieses oberflächenmaterial verwenden
JP3372665B2 (ja) * 1994-08-12 2003-02-0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用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WO1996009154A1 (en) * 1994-09-23 1996-03-28 Karszes William M Method of making lenticular plastics
US7048997B2 (en) * 1995-03-03 2006-05-23 Vision-Ease Lens Production of optical elements
US5757459A (en) * 1995-03-03 1998-05-26 Vision-Ease Lens, Inc. Multifocal optical elements
CN1091790C (zh) * 1995-03-15 2002-10-02 日东电工株式会社 压敏粘合剂组合物及其压敏粘合剂片材以及使用该组合物的密封材料、增强片材和用于印刷的压敏粘合剂片材
ZA964731B (en) * 1995-06-07 1997-01-07 Avery Dennison Corp A Legal Bo Extrusion coating process for making protective and decorative films
US20040209057A1 (en) * 1995-06-07 2004-10-21 Enlow Howard H. Extruded polymeric high transparency films
US6254712B1 (en) * 1998-12-08 2001-07-03 Avery Dennison Corporation Extrusion coating process for making high transparency protective and decorative films
US6737154B2 (en) * 1995-06-26 2004-05-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olymer film with additional coatings or layers
EP0836554A1 (en) * 1995-06-26 1998-04-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 polymer film with additional coatings or layers
US5825543A (en) * 1996-02-29 1998-10-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ffusely reflecting polarizing element including a first birefringent phase and a second phase
US5867316A (en) * 1996-02-29 1999-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 film having a continuous and disperse phase
US5751481A (en) * 1996-04-05 1998-05-12 Polaroid Corporation Laminar light-polarizing lens blank for producing prescription lens
US5805336A (en) * 1996-04-05 1998-09-08 Polaroid Corporation Optical lens blank with polarizer aligned between plastic birefringent sheets
US6096425A (en) * 1996-04-25 2000-08-01 Alcat, Incorporated Polarized plastic laminates
US6242081B1 (en) * 1996-12-17 2001-06-0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pasting on car window
JPH10211679A (ja) * 1997-01-30 1998-08-11 Nippon Petrochem Co Ltd 積層体および一軸配向積層体
US5851328A (en) * 1997-03-07 1998-12-22 Kohan; George Wafer deforming composite ophthalmic lens method
US6486262B1 (en) * 1997-06-06 2002-11-26 Nippon Zeon Co., Ltd. Molding material for plastic lens
US6531230B1 (en) * 1998-01-13 2003-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or shifting film
US6179948B1 (en) * 1998-01-13 2001-0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US6808658B2 (en) * 1998-01-13 2004-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texture multilayer optical films
US6256146B1 (en) * 1998-07-31 2001-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Post-forming continuous/disperse phase optical bodies
US6322860B1 (en) * 1998-11-02 2001-11-27 Rohm And Haas Company Plastic substrates for electronic display applications
US7002744B2 (en) * 1999-11-22 2006-02-21 Younger Mfg. Co. Dba Younger Optics Polarized optical part using high impact polyurethane-based material
US6190738B1 (en) * 1999-04-07 2001-02-20 Ppg Industries Ohio, Inc. Process for cleaning a metal container providing enhanced mobility
US6426861B1 (en) * 1999-06-22 2002-07-30 Lithium Power Technologies, Inc. High energy density metallized film capaci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6231183B1 (en) * 1999-07-06 2001-05-15 Stephen M. Dillon Optical lens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US6364988B1 (en) * 1999-09-13 2002-04-02 Nan Ya Plastics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3-layer co-extrud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of thickness 25-250 μm
US6319433B1 (en) * 1999-09-14 2001-11-20 Invicta Corporation Composite ophthalmic lens remolding system for forming a lens therein
US6220703B1 (en) * 1999-12-29 2001-04-24 Younger Manufacturing Co., Inc. Ophthalmic lenses utiliz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arizing films
JP3585412B2 (ja) * 2000-02-15 2004-11-04 五洋紙工株式会社 光学機能を有する連続シートの製造法
DE10011274A1 (de) * 2000-03-08 2001-09-13 Wolff Walsrode Ag Plasmabehandelte bahnförmige Werkstoffe
WO2001077740A1 (fr) * 2000-04-10 2001-10-1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Stratifie photochrome en resine synthetique transparente
US6812983B2 (en) * 2000-05-17 2004-11-02 Fuji Photo Film Co., Ltd. Retardation plat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plate for circularly polarizing light, ½ wave plate and reflection-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tilizing the retardation plate
US7077985B2 (en) * 2000-05-30 2006-07-18 Vision-Ease Lens Injection molding of lens
TW534869B (en) * 2000-06-09 2003-06-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Synthetic resin laminate having both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nd photochromism characteristic, and molded article obtained therefrom
US6575726B1 (en) * 2000-09-06 2003-06-10 Welex Incorporated Apparatus for cooling an extruded plastic sheet
JP4455743B2 (ja) * 2000-09-12 2010-04-21 山本光学株式会社 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
JP4612166B2 (ja) * 2000-09-28 2011-01-12 山本光学株式会社 光学物品の連続製造方法
US6673425B1 (en) * 2000-10-27 2004-0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materials for preventing warping in optical films
JP4840894B2 (ja) * 2000-12-20 2011-12-21 山本光学株式会社 偏光性成形体および同品の製造方法
US6807006B2 (en) * 2000-12-22 2004-10-19 Hiroshi Kawahara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d spectacle lens
JP2002192554A (ja) * 2000-12-22 2002-07-10 Yasunobu Nakakoshi ポリウレタン偏光レンズの成型製造法
KR20020072777A (ko) * 2001-03-12 2002-09-1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표시장치용 기판
WO2002099513A1 (fr) * 2001-06-01 2002-12-1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duit en plastique moule a caracteristiques photochromiques et/ou polarisantes
JP2003062952A (ja) * 2001-08-27 2003-03-05 Mitsubishi Gas Chem Co Inc 熱可塑性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49283B2 (en) * 2001-12-19 2005-09-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ic coextruded multilayer articles
CA2479267C (en) * 2002-02-22 2011-04-05 Black Clawson Company, Inc. Plastic co-extrusion apparatus with selectable polymer flow control and product produced using the apparatus
US6620509B1 (en) * 2002-04-22 2003-09-1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Transparent resin laminate and molded article used the same
US7036932B2 (en) * 2002-10-04 2006-05-02 Vision-Ease Lens Laminated functional wafer for plastic optical elements
KR100985421B1 (ko) * 2002-10-08 2010-10-05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열 수축성 필름
WO2004034101A2 (en) * 2002-10-10 2004-04-22 Vision-Ease Lens, Inc. Polarizing plate and plastic optical article
CA2499951C (en) * 2002-10-15 2013-05-28 Peijun Jiang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CN100478155C (zh) * 2003-03-04 2009-04-15 可乐丽股份有限公司 光学片的制造方法和光学片
US7128415B2 (en) * 2003-04-30 2006-10-31 Polylite Taiwan Company, Ltd Method of forming polarized or photochromic lenses by fusing polycarbonate with other plastic materials
DE10354546A1 (de) * 2003-11-21 2005-06-23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carbonat-Massivformkörper mit verbesserten optischen und verarbeitungstechnischen Eigenschaften
TWI323254B (en) * 2004-02-02 2010-04-11 Mgc Filsheet Co Ltd Light control plastic lens, coated sheet-like light control element for the lens production, and a production method for light control plastic lens
US20070211334A1 (en) * 2004-05-11 2007-09-13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WO2005109051A1 (ja) * 2004-05-11 2005-11-17 Nitto Denko Corporation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EP2813522B1 (en) * 2004-05-31 2018-05-0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Thermoplastic transparent resin
TW200600328A (en) * 2004-06-24 2006-01-01 Entire Technology Co Ltd Optical diffuser with high hardness surfa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121030B2 (ja) * 2004-08-19 2008-07-16 日東電工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保護フィルム付粘着型位相差板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粘着型光学素材
CN1748980B (zh) * 2004-09-17 2011-07-27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起偏振片保护膜及其制造方法、起偏振片和液晶显示器
WO2006040954A1 (ja) * 2004-10-08 2006-04-2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偏光膜用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性積層体
CN101128771B (zh) * 2004-12-25 2010-05-12 松下电工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US20060144514A1 (en) * 2005-01-03 2006-07-06 Yongcai Wang Polarizing plate laminated with an improved glue com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225831A1 (en) * 2005-04-08 2006-10-12 Herong Lei Process for forming polarizer plate
US20060272766A1 (en) * 2005-06-03 2006-12-07 Hebrink Timothy J Optical bodies and method of making optical bodies including acrylate blend layers
US20070014020A1 (en) * 2005-07-13 2007-01-18 Eastman Kodak Company Low birefringent light redirecting film
TW200712579A (en) * 2005-08-12 2007-04-01 Dainippon Printing Co Ltd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DE102005039413A1 (de) * 2005-08-20 2007-02-22 Bayer Materialscience Ag Diffuser-Sheets aus CD-Material
CN101247954B (zh) * 2005-08-23 2011-09-28 优泊公司 树脂薄膜及其制造方法、印刷品、标签及树脂成形品
WO2007064029A1 (en) * 2005-12-02 2007-06-07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09394B1 (ko) * 2005-12-23 2013-09-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열가소성 실리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JP4987297B2 (ja) * 2005-12-28 2012-07-25 ダイセル・エボニック株式会社 機能性光学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19110A (ja) * 2006-02-16 2007-08-30 Nippon Zeon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256544A (ja) * 2006-03-23 2007-10-04 Tsutsunaka Plast Ind Co Ltd レンズ用偏光板
US7491788B1 (en) * 2006-05-19 2009-02-1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High heat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WO2007141899A1 (ja) * 2006-06-05 2007-12-13 Teijin Chemicals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700696B2 (en) * 2006-06-28 2010-04-2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1345170B1 (ko) * 2006-07-13 2013-12-26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08026514A1 (fr) * 2006-09-01 2008-03-06 Konica Minolta Opto, Inc.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film d'acylate de cellulose, film d'acylate de cellulose, plaque de polarisation et dispositif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US20080083998A1 (en) * 2006-10-06 2008-04-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ple draw gap length orientation process
EP2080786B1 (en) * 2006-10-23 2014-03-05 Kuraray Co., Ltd. Acryl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rylic resin film and acrylic resin composite
JP4335901B2 (ja) * 2006-11-14 2009-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8181078A (ja) * 2006-12-27 2008-08-07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197159A (ja) * 2007-02-08 2008-08-28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体および光学フィルム体の製造方法
JPWO2008126700A1 (ja) * 2007-04-10 2010-07-22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紫外線吸収性ポリマー
JP2008262104A (ja) * 2007-04-13 2008-10-30 Mgc Filsheet Co Ltd 多層構造の偏光板、および該偏光板を含む防眩製品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の偏光板
KR20100015898A (ko) * 2007-04-26 2010-02-12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화면용 보호 필름 및 편광판
WO2009042660A1 (en) * 2007-09-24 2009-04-02 Qspex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d ophthalmic lenses
US7597441B1 (en) * 2007-10-09 2009-10-06 Farwig Michael J Polarized contrast enhancing sunglass lens
JP2011501235A (ja) * 2007-10-25 2011-01-06 アイ オージェイオ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偏光レンズ及び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
JP5401030B2 (ja) * 2007-11-27 2014-01-29 住友化学株式会社 押出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79031A (ja) * 2008-02-01 2009-08-13 Fujifilm Corp 流延装置、溶液製膜設備及び溶液製膜方法
US7662318B2 (en) * 2008-05-14 2010-02-1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for post-injection in mold lamination with an adhesively coated functionalized film
JP2010026183A (ja) * 2008-07-17 2010-02-04 Hoya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0032882A1 (ja) * 2008-09-22 2012-02-16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5177749B2 (ja) * 2008-09-26 2013-04-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177750B2 (ja) * 2008-09-26 2013-04-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331277B1 (ko) * 2008-11-11 2013-11-20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상 성형체
KR101091537B1 (ko) * 2009-01-06 2011-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WO2011049108A1 (ja) * 2009-10-21 2013-03-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機能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
JP5674305B2 (ja) 2009-12-11 2015-02-2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フォトクロミック材料
WO2011105055A1 (ja) * 2010-02-24 2011-09-0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004A (ja) 1984-07-23 1986-02-14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性に優れた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法
JPH0396901A (ja) 1989-09-11 1991-04-22 Kureha Chem Ind Co Ltd 調光作用を有する偏光性樹脂製光学部材
JP2002062423A (ja) * 2000-06-09 2002-02-28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性とフォトクロミック性を併せ持つ合成樹脂積層体
JP2005225018A (ja) * 2004-02-12 2005-08-25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体
JP2005280154A (ja) 2004-03-30 2005-10-13 Fuji Kasei Kk プラスチックス偏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ス偏光レンズ体、該レンズ体製造に用いる偏光積層体および被覆シート
JP2005305306A (ja) 2004-04-21 2005-11-04 Fuji Kasei Kk プラスチックス調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ス調光レンズ体、該レンズ体製造に用いる塗膜シート状調光体および被覆シート
JP2006215465A (ja) 2005-02-07 2006-08-17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90080970A (ko) * 2006-10-20 2009-07-27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9108A1 (ja) 2011-04-28
US20120206689A1 (en) 2012-08-16
CN102576112B (zh) 2014-12-31
EP2492723A1 (en) 2012-08-29
TWI532595B (zh) 2016-05-11
US20150160479A1 (en) 2015-06-11
ES2755023T3 (es) 2020-04-21
EP2492723B1 (en) 2019-09-25
JPWO2011049108A1 (ja) 2013-03-14
EP2492723A4 (en) 2017-05-31
US10534199B2 (en) 2020-01-14
TW201121787A (en) 2011-07-01
KR102114534B1 (ko) 2020-05-22
CN102576112A (zh) 2012-07-11
KR20120085817A (ko)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534B1 (ko) 기능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JP4987297B2 (ja) 機能性光学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7087B1 (ko) 광학 필름용 점착 시트,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8440317B2 (en)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membrane and polarizing laminate
JP6983510B2 (ja)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その光学フィルム積層体を用いた光学的表示装置、及び透明保護フィルム
TW200941050A (en) Polarizer
JP2009294445A (ja) 偏光性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JP2011022202A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334295A (ja)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積層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5258016B2 (ja) 偏光板のセッ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120728B2 (ja) 偏光板、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093649A (ja) 偏光レンズ
WO2021131152A1 (ja) 加飾付積層体、光学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TW202043023A (zh) 光學膜組、光學層疊體
WO2023149253A1 (ja)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KR20210147885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JP2007163570A (ja) レンズ用偏光板
JP2013210640A (ja) 偏光板のセッ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