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554A -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54A
KR20170002554A KR1020167033970A KR20167033970A KR20170002554A KR 20170002554 A KR20170002554 A KR 20170002554A KR 1020167033970 A KR1020167033970 A KR 1020167033970A KR 20167033970 A KR20167033970 A KR 20167033970A KR 20170002554 A KR20170002554 A KR 2017000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pri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미야모토
가즈히코 오카자와
유우지 다카야마
히카루 우치다테
무네히토 구라타
히로시 하기와라
마사유키 다카오
마사아키 나카무라
가츠히코 신조
센주 사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for coin-freed systems ; P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6Discovery of devices having required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06F3/1272Digital storefront, e.g. e-ordering, web2print, submitting a job from a remote submission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2Recording use, e.g. counting number of pages cop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for coin-freed systems ; Pay systems
    • H04N1/344Accounting or charging based on type of function or service used, e.g. copying, fa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for coin-freed systems ; Pay systems
    • H04N1/346Accounting or charging based on a number representative of the service used, e.g. number of operations or copies produc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6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g. an inductiv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이 보다 쉽게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가 인쇄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하기 위한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객(유저)의 의뢰에 따라, 고객이 점포에서 지정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인쇄의 발주나, 네트워크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인쇄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인쇄하기 위한 인쇄 서비스는 퍼스널 컴퓨터 등이 각 거점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서도 그러한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2-138071호 공보 참조).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의 보급에 따라, 바깥 장소에서, 유저가 휴대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이나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이나 문서 등의 전자 데이터, 혹은 휴대 단말로부터 클라우드에 액세스하여 얻어진 화상이나 문서 등의 전자 데이터를 손쉽게 인쇄하고 싶은 요청이 있다. 또한, 프린터를 소유하지 않은 유저도 증가하고 있어,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현재 상기와 같은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점포들(이하, 서비스 제공자라고 칭함)은 보급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그러한 인쇄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장소가 한정되어 있다. 이 요인 중 하나로서, 노력과 투자에 기인하는 인쇄 서비스를 도입하는데 있어서의 곤란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제공자는 인쇄 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한 후에도 인쇄 비용의 관리 업무에 노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때의 도입 및 유지/관리의 용이성은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서비스의 이용자(이하, 서비스 이용자, 유저라고도 함) 측에서도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점포(이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실제로 검색하는 번거로움과, 인쇄 서비스 이용시 현금으로 지급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 측의 편리성도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보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가 인쇄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시스템 및 과금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관리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의 유저가 인쇄 시스템의 등록 유저인 것을 인증하는 스텝; 과금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의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스텝;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를 인쇄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검색 조건을 관리 시스템에 지시하는 스텝; 관리 시스템에서, 지시된 검색 조건에 따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 휴대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각각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스텝; 휴대 단말에서, 선택 영역에서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스텝; 관리 시스템에서,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하면,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인쇄 지시가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발행하는 스텝;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행된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 및 관리 시스템에서, 인쇄물의 출력 후에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의뢰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시스템 및 과금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관리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의 유저가 인쇄 시스템의 등록 유저인 것을 인증하는 스텝; 과금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의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스텝;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의 인쇄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영역 및 인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후보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검색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는 스텝;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는 경우의 화상 크기를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계산하는 계산 스텝; 관리 시스템에서, 검색 영역에 입력된 검색 조건에 따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 관리 시스템에서, 적어도 산출 스텝에서 산출된 화상 크기에 기초하여,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서 인쇄 데이터가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계산하는 스텝; 휴대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각각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이 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하는 스텝; 휴대 단말에서, 선택 영역에서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스텝; 관리 시스템에서,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하면,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인쇄 지시가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발행하는 스텝;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행된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설정 영역에 입력된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 관리 시스템에서, 인쇄물의 출력 후에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의뢰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각각이 근거리 통신 수단을 갖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와,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관리 시스템과 과금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제어 방법은,
관리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의 유저가 인쇄 시스템의 등록 유저인 것을 인증하는 스텝; 과금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의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스텝;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의 인쇄 설정 및 인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후보 검색 조건을 관리 시스템에게 지시하는 스텝; 관리 시스템에서, 지시된 검색 조건에 따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 휴대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각각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인쇄 데이터가 설정 영역에 입력된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스텝; 휴대 단말에서, 선택 영역에서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스텝; 관리 시스템에서, 유저에 대한 결제 처리가 가능하면, 인쇄 지시에 대응하여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휴대 단말에 발행하는 스텝;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휴대 단말과 각각의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한 근거리 통신에 의해 수신한 인쇄 작업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이 행해지는 조건하에서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 휴대 단말에서, 출력 스텝에서의 출력의 완료 통지를 관리 시스템에 통지하는 스텝; 및 관리 시스템에서, 통지된 완료 통지에 따라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의뢰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관리 시스템 및 과금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관리 시스템은, 휴대 단말의 유저가 인쇄 시스템의 등록 유저인 것을 인증하는 인증 수단; 휴대 단말에 의해 지시된 검색 조건에 따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인쇄 지시가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발행하는 발행 수단; 및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인쇄물의 출력 후에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의뢰 수단을 포함하고, 과금 시스템은, 휴대 단말의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확인 수단; 및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고, 휴대 단말은,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의 인쇄 설정 및 인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후보 검색 조건을 관리 시스템에게 지시하는 지시 수단; 관리 시스템의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각각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인쇄 데이터가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선택 영역에서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경우에, 발행된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서비스 제공자는 관리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등록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인쇄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유저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조건에 맞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장치들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장치들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장치들 간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a 도 5ab, 도 5ac, 도 5ad, 도 5ae 및 도 5af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각종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ba 및 도 5b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각종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각종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유저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의 등록 처리의 흐름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서비스 이용 시의 휴대 단말의 처리 흐름도들이다.
도 8aa, 도 8ab, 도 8ac 및 도 8ad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ba, 도 8bb, 도 8bc 및 도 8bd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ca 및 도 8c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산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관한 인쇄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관한 처리 스텝과 그 스텝의 주체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원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는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인쇄 시스템의 개요>
먼저, 도 12a 및 도 1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인쇄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인쇄 시스템은, 일반 소매점이나 음식점의 사업주가 손쉽게 인쇄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되어, 인쇄 비즈니스를 개시 가능한 관리 시스템(플랫폼)을 제공한다. 사업주는 인쇄 서비스에 의해 이 자체로 수익을 올림과 동시에, 본업인 음식점의 고객을 모집하기 위한 툴로서도 해당 서비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관리 시스템은 일반 유저가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손쉽게 현재 위치의 근처에 존재하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배치를 제공한다.
도 12a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인쇄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비지니스 모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인쇄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되는 사업주는 구입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자신의 개인 정보를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다. 시스템 등록자가 된 서비스 제공자는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인쇄 비용에 관한 정보를 등록해 둔다.
이 때,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가 본 인쇄 시스템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또는 소모품도 판매함으로써, 소매점이나 음식점의 사업주는 설비 투자부터 서비스 개시까지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하게 된다. 또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소매점이나 음식점의 사업주는 기존의 화상 형성 장치에 휴대 단말 등과 통신이 가능한 어댑터를 준비함으로써, 본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고, 비즈니스를 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서비스 이용자의 측면에서 휴대 단말에 인쇄 시스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유저 정보나 결제 방법 등의 등록을 실시한다. 또한, 본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시스템에서 시스템 등록 완료된 인쇄 서비스의 위치나 인쇄 비용 등의 정보를 취득하고,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시한다. 서비스 이용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손쉽게, 예를 들어 현재 위치의 근처에 존재하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유저)가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취득할 때마다, 도 12a에서 도시한 인쇄 대금(α)이 사전 등록된 결제 방법에 따라, 자동으로 과금 처리되게 된다.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술한 과금 처리를 실현한다. 신용 회사 등이 제공하는 신용 처리를 행하는 기존의 결제 시스템은, 과금 처리를 행할 때에 소정의 수수료를 취한다. 또한,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이용자를 결부시키는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중개료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도 12a에서 도시하는 인쇄 대금(α)에서, 결제 시스템의 수수료와, 관리 시스템의 중개료를 차감한 인쇄 대금(β)이 매출로서 결제 시스템에서 입금된다.
이어서, 도 1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한 각종 서비스에 대하여, 그 개요를 설명한다.
인쇄 시스템은 관리 시스템(플랫폼)으로서 손쉽게 서비스 제공자가 되기 위한 비지니스를 위한 인쇄 관리 서비스와 서비스 이용자에게 인쇄 서비스를 중개하기 위한 프린터 선택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결제 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과금 관리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 이 서비스 이용자의 휴대 단말, 서비스 제공자, 이 서비스 제공자의 화상 형성 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서비스 등도 제공한다.
서비스 이용자의 휴대 단말에 설치된 인쇄 시스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시스템의 프린터 선택 지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쇄 요청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인쇄 시스템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인쇄처를 선택할 때의 비용 산출을 위한 화상 크기 계산 모듈을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PC나 태블릿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에 액세스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등록, 편집, 혹은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의 휴대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인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인쇄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와 휴대 단말 간의 통신에 관해서는 원하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는 범용 애플리케이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 서비스를 손쉽게 개시하고,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소매점이나 음식점과 같은 기존 점포에 설치하기 위한 새로운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종 이벤트(결혼식, 졸업식 등) 시에,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식 프린터를 이벤트 장소에 설치하고, 이벤트 참가자에게 본원 발명에 관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벤트 참가자인 서비스 이용자는 이벤트 중이나 이벤트로부터 돌아오는 길에, 그 장소에서 휴대 단말이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손쉽게 인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손쉽게 바로 인쇄를 할 수 있고, 나아가 후일 인쇄물을 우송하거나 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비즈니스나 사적인 용도로 소유(사용)하고 있는 프린터를 본 인쇄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비즈니스나 사적인 용도의 경우에는, 본 인쇄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인쇄를 실행함으로써, 통상의 인쇄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서비스의 이용자는 본 인쇄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인쇄를 하기 때문에, 적절한 결제가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인쇄 시스템에 관한 개요가 설명되었다. 이하, 인쇄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인쇄 시스템(1)은 관리 서버(101), 과금 서버(102), 휴대 단말(104),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5)를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103)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는, 2대의 화상 형성 장치가 도시되어 있지만, 보다 많은 화상 형성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MFP(Multi Function Printer)를 상정한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 기능의 네트워크 프린터 등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잉크젯 프린터에서도,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가능하다. 네트워크(103)는 예를 들어 인터넷이 해당된다. 또한, 인쇄 시스템(1)은 결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존의 결제 시스템(2)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인쇄 시스템(1)은 네트워크(103)를 통해 결제 시스템(2)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관리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관리 서버(101)는, 인쇄 시스템(1)에서, 인쇄 작업 정보와 유저 정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서비스의 처리 및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이다. 과금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과금 서버(102)는 인쇄 시스템(1)에서, 인쇄 작업의 실행에 의해 발생된 요금 청구 등을 하는 서버이다. 또한, 도 1에서, 관리 서버(101) 및 과금 서버(102)는 각각 하나의 컴퓨터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머신들로 나누어 처리를 분산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시스템의 다양한 처리 기능을 관리 서버(101), 과금 서버(102), 휴대 단말(104), 및 화상 형성 장치(105) 간에 처리를 분담하여 수행하고 있지만, 클라우드 시스템에 적절하게 통합하거나, 또는 클라우드 시스템 내에서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104)은 네트워크(103)를 통해 관리 서버(101)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5)와 통신을 한다. 또한, 휴대 단말(104)은 본 실시 형태에서 주지 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5)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5)는 네트워크(103)를 통해 관리 서버(101) 또는 휴대 단말(104)과 통신을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5)는 본 실시 형태에서 주지의 NFC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4)과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5)는 관리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하고, 인쇄물을 출력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105)의 인쇄 처리 자체의 실시 형태는, 휴대 단말(104)에서 작업 실행 지시에 따라 수행하고, 다른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정보의 통신에는 관리 서버(101)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5)는 본 인쇄 시스템 전용으로 설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PC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로컬로 접속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자신도 출력 단말로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결제 시스템(2)에 대해서는, 다른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주지의 과금 처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제 시스템(2)은 도 12a 및 도 12b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신용 회사 등이 제공하는 기존의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각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관리 서버(101) 및 과금 서버(102)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관리 서버(101) 및 과금 서버(102)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여기에서는 범용 정보 처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CPU(201)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전체를 제어한다. CPU(201)는 ROM(202)과 HDD(204) 등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본원 발명에 관한 처리를 실현한다.
ROM(202)은 불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RAM(203)은 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예를 들어 CPU(201)의 처리를 위한 작업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HDD(204)는 불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처리 결과 등을 보유한다. 네트워크 I/F(205)는 네트워크(103)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한다. 표시 유닛(206)은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여, 각종 정보를 유저에게 표시한다. UI(207)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마우스와 키보드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 내의 각 구성 요소는 버스(208)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b는 휴대 단말(104)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 휴대 단말(104)은 스마트폰을 상정한 예를 설명하지만, 이 휴대 단말(104)은 스마트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바일 PC와 태블릿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유저가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CPU(211)는 휴대 단말(104)의 전체를 제어한다. CPU(211)는 ROM(212), RAM(213) 등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본원 발명에 관한 처리를 실현한다.
ROM(212)은 불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RAM(213)은 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예를 들어 CPU(211)의 처리를 위한 작업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SD(214)는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어, SD 카드) 등의 불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처리 결과 등을 보유하고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215)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찾기 위한 시스템이다. GPS(215)에서의 기능은 주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 유닛(216)은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각종 정보를 유저에게 표시한다. 또한, 표시 유닛(216)은 또한 터치 패널 등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수신한다. 카메라(217)는 촬상 장치이며, 유저의 지시 등에 따라 촬영을 한다.
근거리 통신 제어 유닛(218)은 휴대 단말(104)이 네트워크(103)를 통하지 않고 각종 외부 기기와 직접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때에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104)과 화상 형성 장치(105)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예를 설명한다. 근거리 통신의 규격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면 어떤 규격 또는 방식을 이용해도 상관없지만, 무선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WiFi 제어 유닛(219)은 무선 LAN 규격 중 하나인 Wi-Fi(Wireless Fidelity, 등록 상표)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WiFi 제어 유닛(219)은 소정의 Wi-Fi 핫스팟(공중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모바일 통신 제어 모듈(220)은 특정한 통신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제어 모듈(220)은 상기 통신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103) 등과 같은 공중 회선망에 접속한다. 또한, 휴대 단말(104) 내의 CPU(211)는 각 구성 요소와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c는 화상 형성 장치(105)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PU(221)는 화상 형성 장치(105)의 전체를 제어한다. CPU(221)는 ROM(222)이나 RAM(223) 등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본원 발명에 관한 처리를 실현한다.
ROM(222)은 불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RAM(223)은 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예를 들어 CPU(221)의 처리를 위한 작업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HDD(224)는 불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처리 결과를 보유하고 있다. 네트워크 I/F(225)는 (주로 유선 접속에 의해) 네트워크(103)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표시 유닛(226)은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각종 정보를 유저에게 표시한다. 또한, 표시 유닛(226)은 터치 패널 등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수신한다. 스캐너 유닛(227)은 판독 장치이며, 유저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원고 등의 판독을 실시한다. 프린터 유닛(228)은 인쇄 장치이며,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화상을 인쇄하고, 인쇄물의 출력을 한다. 근거리 통신 제어 유닛(229)은 화상 형성 장치(105)가 네트워크(103)를 통하지 않고 각종 외부 기기와 직접 통신을 할 때에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5)는 휴대 단말(104)과 직접적으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WiFi 제어 유닛(230)은 Wi-Fi(등록 상표)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5) 내의 CPU(221)는 각 구성 요소와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에 나타낸 각 유닛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성]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각종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에 나타낸 각 정보 항목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저장 유닛에서 다른 테이블로서 보유되도록 할 수 있고, 복수의 테이블로 분산시켜 관리해도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서버 상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외부 장치에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장치의 각종 DB에 보유되어 있는 정보의 자세한 내용은 도 5aa 내지 도 5c를 이용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3a는 관리 서버(101)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리 서버(101)는 디바이스 검색 유닛(301), 디바이스 정보 DB(데이터 베이스)(302), 작업 관리 유닛(303) 및 작업 정보 DB(304)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 서버(101)는 인증 유닛(305), 유저 정보 DB(306), 과금 관리 유닛(307), 요금 정보 DB(308), 통지 유닛(309), 요금 산출 유닛(310), 기종 정보 DB(311) 및 비용 정보 DB(312)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검색 유닛(301)은 휴대 단말(104)로부터의 인쇄 요청 및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105)로부터 획득한 정보(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한다. 요금 산출 유닛(310)은 휴대 단말(104)로부터의 인쇄 요청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 크기(상세는 후술됨)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 DB(302)의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서버(102)에 송신하는 인쇄 요금(지급 요금)을 산출한다. 작업 관리 유닛(303)은 휴대 단말(104)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인쇄 작업을 생성하고, 이를 관리하고, 지정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인쇄 작업을 송신한다. 인증 유닛(305)은 휴대 단말(104)로부터의 정보 및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요청을 한 유저를 인증한다. 즉, 인증 유닛(305)은 인쇄 요청을 한 유저가 등록된 유저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과금 관리 유닛(307)은 휴대 단말(104)에서 인쇄 요청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의 실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요금 지급 여부의 문의 및 지급 요청을 과금 서버(102)에 실시한다. 통지 유닛(309)은 인쇄 요청에 기초한 요금이 정상적으로 과금되어 지급된 취지를 유저나 서비스 제공자 등과 같은 각종 수신처에 통지한다.
도 3b는 과금 서버(102)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과금 서버(102)는 결제 정보 DB(313), 유저 정보 DB(314), 과금 처리 유닛(315) 및 통지 유닛(316)을 포함한다. 과금 처리 유닛(315)은 관리 서버(101)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결제 정보 DB(313), 유저 정보 DB(314)를 참조하여, 인쇄 요청을 한 유저에 대한 과금 처리를 통괄적으로 실시한다. 통지 유닛(316)은 관리 서버(101) 사이에서 처리 결과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c는 휴대 단말(104)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104)은 OS(321), 애플리케이션(322) 및 화상 정보 DB(325)를 포함한다. OS(321)는 휴대 단말(104) 내부의 기본적인 처리를 통괄적으로 실행한다. OS(321)는 애플(Apple)사의 iOS(등록 상표) 또는 구글(Google)사의 Android(등록 상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22)은 OS(321)의 제어 하에 동작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애플리케이션(322)은 화상 처리 유닛(323) 및 화상 크기 산출 유닛(324)을 포함한다. 화상 크기 산출 유닛(324)은 유저가 지정된 화상을 인쇄할 때에 발생하는 비용(요금)을 계산하기 위하여, 화상 크기를 인쇄 데이터(파일)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여기서의 화상 크기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을 인쇄할 때, 용지에 형성되는 화소(도트) 수의 총량을 가리키지만; 인쇄 데이터가 텍스트인 경우에는 인쇄 비율(인쇄 듀티)을 예를 들어 5%로 설정하여 개략적인 개산값을 산출해도 되고, 공지된 계산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정밀하게 계산하는 것은, 비용(요금)을 정확하게 산출하는데 바람직하지만, 인쇄 시에 사용되는 토너나 잉크의 양(무게)에 대한 개략적인 계산값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인쇄 내용에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과금하는 것보다도 종량제 비용으로 함으로써, 유저에게는 적정하게 과금되고,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적정 비용이 되기 때문에, 양자에게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화상 처리 유닛(323)은 카메라(217)로 촬영된 화상 및 OS(321)에서 관리되고 있는 화상을 유저의 지시에 따라 처리한다.
본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본 인쇄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휴대 단말(104)에의 다운로드 및 설치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조건에 대한 동의 등의 필요한 초기 설정을 미리 할 필요가 있다. 초기 설정된 정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103)를 통해 관리 서버(101)나 과금 서버(102)에 통지되어, 유저 정보 DB(306 및 314)에 저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애플리케이션(322)은 휴대 단말(104)에 자유롭게 설치/제거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5)의 소유자(서비스 제공자)는 화상 형성 장치(105)에 접속된 PC 혹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필요한 초기 설정을 미리 해 둘 필요가 있다. 초기 설정된 정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103)를 통해 관리 서버(101)에 통지되고, 디바이스 정보 DB(302) 및 요금 정보 DB(308)에 저장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각 처리 유닛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대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진 화상이나 텍스트 파일 등의 파일 외에,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 출력 가능한 데이터나 파일은 인쇄 대상 데이터의 의미에 포함된다.
[처리 순서]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각종 장치 간의 처리 순서의 전체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각 처리는, 예를 들어 처리 주체가 갖는 CPU가 기억 유닛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401에서, 휴대 단말(104)은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는 취지의 지시를 유저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402에서, 휴대 단말(104)은 유저로부터 유저 정보, 인쇄 처리에 관한 각종 인쇄 설정 정보(인쇄 대상의 인쇄 데이터(파일), 양면이나 단면, 종이 유형 등)와 인쇄를 희망하는 장소의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104)은 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인쇄 요금) 산출을 위해, 화상 크기 산출을 한다. 이 스텝에서는, 휴대 단말(104)은 관리 서버(101)와 연계하여, 관리 서버(101) 측에서 행해지는 인쇄 설정을 지원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검색뿐만 아니라 화상 크기에 기초한 색상 재료 요금의 산출에 의해 요금 산출의 결과도 함께 획득한다. 인쇄 설정을 지원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검색은, 인쇄 가능한 용지 크기와 용지 유형을 고려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용지나 색상 재료(토너 및 잉크)의 유무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될 것이다.
스텝 S403에서, 휴대 단말(104)은 인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 인쇄 대상의 인쇄 데이터(파일)명 등의 정보 및 유저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관리 서버(101)에 송신한다.
스텝 S404에서, 관리 서버(101)는 휴대 단말(104)로부터 송신된 인쇄 지시에 포함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의 인증 처리는, 수신된 유저 정보(예를 들어, 유저 식별자)와, 유저 정보 DB(306)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저 정보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증 처리는 이 스텝에서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텝 S401과 스텝 S402 간에 수행될 수 있다.
스텝 S405에서, 관리 서버(101)는 인증을 성공한 유저에 대하여, 과금 서버(102)에게 결제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한다. 이 때, 관리 서버(101)는 또한 유저 정보를 송신한다.
스텝 S406에서, 과금 서버(102)는 관리 서버(101)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의 확인 처리는 관리 서버(101)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유저 정보 DB(314)에 등록된 정보와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과금 서버(102)는 유저 정보 DB(314)에 문의를 수신한 유저의 신용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급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과금 서버(102)는 결제 기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등록되어 있는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로 결제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결제 시스템(2)에게 문의한다. 다음으로, 결제 시스템(2)의 응답에 기초하여, 결제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07에서, 과금 서버(102)는 문의를 받은 유저의 결제 처리 여부의 확인 결과를 관리 서버(101)에 통지한다.
스텝 S408에서, 관리 서버(101)는 스텝 S403에서 휴대 단말(104)로부터 수신된 인쇄 지시에 포함되는 인쇄 데이터(파일)명 등의 식별 정보 및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을 생성하고, 그 인쇄 작업을 작업 정보 DB(304)에 등록한다.
스텝 S409에서, 관리 서버(101)는 인쇄 지시 중에 지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105)에게 발행된 인쇄 작업을 송신한다. 이 때, 화상 형성 장치(105)는 휴대 단말(104)로부터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수신할 때까지, 인쇄 작업의 실행을 보류한다. 화상 형성 장치(105)에 송신되는 인쇄 작업은 인쇄할 인쇄 매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로, 용지나 색상 재료의 잔량이 이 정보에 표시된 것보다 적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5)의 관리자(서비스 제공자)가 화상 형성 장치(105)에 용지나 색상 재료 등의 소모품을 미리 보급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410에서, 관리 서버(101)는 인쇄 작업의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의 발행 통지를 휴대 단말(104)에 통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물에 대한 인쇄 보증과 수신 보증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저가 인쇄물을 확인하고 정상적인 인쇄물이 출력된 것을 확인한 후에, 과금 처리 및 결제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이며, 취소 처리나 환불 처리와 연관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인쇄 작업을 실행한 후 신속하게 인쇄물을 인쇄하고, 과금 처리 및 결제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5)의 출력 용지함이 본체에 복수 내장되어, 유저 인증에 의해 개별적으로 릴리즈되는 내부 버퍼 타입이면, 인쇄 작업을 발행한 직후에, 인쇄물을 인쇄해도, 인쇄물의 수신 보증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텝 S411에서, 휴대 단말(104)은 유저가 지정한 화상 형성 장치(105)의 장소까지 이동하여 그 화상 형성 장치(105)와 근거리 통신이 개시 가능하게 된 것을 감지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S412에서, 휴대 단말(104)은 화상 형성 장치(105)와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된 경우에, 근거리 통신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104)은 이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4)의 유저 정보, 인쇄 데이터 및 스텝 S410에서 수신한 작업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 스텝 S409에서 발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105)가 보유하고 있는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가 행해진다.
휴대 단말(104)과 화상 형성 장치(105)가 고속 무선 LAN 기능을 갖게 구성함으로써, 무선 LAN 통신에 필요한 인증 및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만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행하고, 그 이외의 통신은 무선 LAN 상에서 행하는 핸드 오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인쇄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의 통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 이외에, 근거리 통신의 거리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4)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파일) 대신에, 클라우드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파일)를 직접적으로, 인쇄할 화상 형성 장치로 보내는 배치도 제공될 수 있다.
스텝 S413에서, 화상 형성 장치(105)는 화상 형성 장치(105)가 휴대 단말(104)로부터의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유저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서버(101)에 작업 문의를 한다.
스텝 S414에서, 관리 서버(101)는 수신된 작업 정보와 스텝 S408에서 발행/등록 완료된 작업 정보 DB(304)의 작업 정보를 검증한다.
스텝 S415에서, 관리 서버(101)는 스텝 S414의 확인 결과를 화상 형성 장치(105)에 송신한다. 이 때, 관리 서버(101)는, 결과를 확인한 후에, 작업 정보에 문제가 없으면 소정의 인쇄 작업을 대상으로 하는 취지의 응답을 화상 형성 장치(105)로 송신한다.
스텝 S416에서, 화상 형성 장치(105)는 스텝 S409에서 관리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작업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5)로부터 인쇄물이 출력된다. 또한, 인쇄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트리거는 휴대 단말(104)과 화상 형성 장치(105) 간의 근거리 통신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4)에 설치되어 있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5)를 특정하는(예를 들어, QR 코드(등록 상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구성을 취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5)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 ID를 입력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이용자와 화상 형성 장치(105)의 페어링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스텝 S417에서, 화상 형성 장치(105)는 인쇄물이 출력된 것을 표시하는 통지를 휴대 단말(104)에 행한다. 휴대 단말(104)의 통지는 근거리 통신 제어 유닛(218 및 229) 간의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LAN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할 수 있지만; 관리 서버(101)를 통해 통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스텝 S418에서, 화상 형성 장치(105)는 인쇄물이 출력된 것을 표시하는 완료 통지를 관리 서버(101)에 행한다. 여기에서의 완료 통지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103)를 통해 행해진다.
스텝 S419에서,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5)에서 출력된 인쇄물을 확인한다. 이 때, 휴대 단말(104)은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화상 형성 장치(105)에 송신한 후, 인쇄물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었는지 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대기한다.
스텝 S420에서, 휴대 단말(104)은 유저로부터 인쇄물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 입력은 유저에 의한 결제 승인 또는 불승인의 지시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스텝 S421에서, 휴대 단말(104)은 유저가 입력한 출력물의 확인 결과(확인 통지)를 관리 서버(101)에 송신한다. 이 때, 실행된 인쇄 작업을 일의적으로 식별하여, 식별될 수 있는 작업 식별자도 또한 송신한다.
스텝 S422에서, 관리 서버(101)는 인쇄 작업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여부의 확인 또는 판정을 행한다. 이 처리는, 스텝 S418에서 화상 형성 장치(105)로부터 수신된 출력의 완료 통지, 스텝 S421에서 휴대 단말(104)로부터 수신된 출력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확인 통지)의 수신 후에, 해당 정보 및 작업 정보 DB(304)에서 관리하고 있는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스텝 S423에서, 관리 서버(101)는 정상적으로 인쇄 작업의 실행이 행해지는 경우에, 과금 서버(102)에게 인쇄 작업의 실행에 수반되는 요금(스텝 S402에서 산출된 요금)을 결제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작업 식별자나 유저 정보가 송신된다. 또한, 인쇄물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하는 통지를 접수한 경우, 관리 서버(101)는 다시 인쇄 작업을 발행하도록 제어되거나, 이상이 발생된 인쇄물을 출력한 화상 형성 장치(105)의 관리자(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5aa의 디바이스 정보(500)에서의 관리자 정보(505)를 이용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과금 처리는 유저가 인쇄물을 확인한 후에 행해지기 때문에, 이상이 발생한 인쇄물에 대한 과금이 행해지지 않고, 환불 처리가 불필요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스텝 S424에서, 과금 서버(102)는 결제 시스템(2)과 연계하여 관리 서버(1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인쇄 작업에 대한 결제 처리를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과금 서버(102)가 결제 시스템(2)에게 지시를 하고, 과금 정보를 유저의 계정의 차변(debit side)에 기입한다. 또한, 인쇄 시스템(1)의 운영자의 경우, 소정의 기반구조 이용료(혹은 인쇄 중개료)를 대변(credit side)에 기입하고, 결제 시스템(2) 자신의 경우, 소정의 수수료를 대변에 기입하고, 그 나머지를 서비스 제공자 계정의 대변에 매출로 기입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매출은 후술하는 대로 소모재 비용, 감가 상각비, 및 요금(이익)을 포함한다.
스텝 S425에서, 과금 서버(102)는 결제 처리가 완료된 후, 관리 서버(101)에게 그 효과에 대한 것을 통지한다.
스텝 S426에서, 관리 서버(101)는 과금 서버(102)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04)에 결제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스텝 S427에서, 관리 서버(101)는 미리 등록된 수신처에 인쇄 처리 및 결제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도 4a 및 도 4b의 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5)를 수신처에 통지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서비스의 순서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에 나타내는 흐름의 순서는 이에 고정된 것이 아니고, 필요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구성]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각 장치에서 관리되는 데이터 구성의 예를 설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이며,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구성이 취해질 수 있다.
(관리 서버)
도 5aa 내지 도 5af는 관리 서버(101)의 디바이스 정보 DB(302), 작업 정보 DB(304), 유저 정보 DB(306), 요금 정보 DB(308), 기종 정보 DB(311) 및 비용 정보 DB(312)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5aa에서, 디바이스 정보(500)는 디바이스 식별자(501), 디바이스명(502), 기종명(503), 위치 정보(504), 관리자 정보(505), 기능 정보(506), 기능 스테이터스(507) 및 비용 정보(508)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정보(500)의 각 레코드는 서비스 제공자가 본 인쇄 시스템에 화상 형성 장치(105)를 등록할 때 생성된다. 디바이스 식별자(501)는 본 인쇄 시스템에서, 화상 형성 장치(105)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디바이스명(502)은 화상 형성 장치(105)의 소유자(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 등록되는 디바이스의 명칭이다. 기종명(503)은 화상 형성 장치(105)의 제조 업체에 의해 할당된 기종 번호 혹은 기종 정보이다. 본 정보를 통해, 예를 들어, 구성이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5)가 포함하는 기능을 명시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정보(504)는 화상 형성 장치(105)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위치 정보(504)는 소유자에 의해 고정값(주소 또는 좌표)로서 등록되거나, 또는 정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갱신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관리자 정보(505)는 화상 형성 장치(105)의 소유자(관리자)의 정보를 나타낸다. 기능 정보(506)는 화상 형성 장치(105)에 포함된 기능을 나타낸다. 기능 스테이터스(507)는 화상 형성 장치(105)의 현재 상태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5)에 포함된 각각의 기능의 상태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105)는 토너 떨어짐이나 부품의 소모에 의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고, 이들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5)로부터 정기적으로 획득함으로써 정보를 갱신한다. 비용 정보(508)는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비용 정보(542)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지만; 서비스 제공자는 이것을 수정/ 변경할 수 있다.
도 5ab에서, 작업 정보(510)는 작업 식별자(511), 유저 식별자(512), 디바이스 식별자(513), 화상 식별자(514), 스테이터스(515), 발행일(516) 및 완료일(517)을 포함하고, 인쇄 요청이 있을 때마다 레코드가 생성된다. 작업 정보(510)의 각 레코드는 작업의 인쇄 및 과금이 완료된 시점에서 삭제해도 되고, 소정 기간(예를 들어, 1개월) 동안 보유한 후에 삭제해도 된다. 작업 식별자(511)는 본 인쇄 시스템에서 인쇄 작업을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유저 식별자(512)는 본 인쇄 작업에 관련된 인쇄 지시를 한 유저의 식별 정보이다. 디바이스 식별자(513)는 본 인쇄 작업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유저에게 지정된 화상 형성 장치의 식별 정보이다. 화상 식별자(514)는 유저가 지정한 인쇄 대상이 되는 데이터(파일)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화상 식별자(514)는 휴대 단말 상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의 데이터(파일)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동시에 복수의 데이터 항목을 인쇄 대상으로 지정한 경우에는 도 5ab의 작업 식별자(JI0001)의 레코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작업 식별자에 대하여 복수의 화상 식별자가 관리되게 된다. 또한, 도 5ab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식별자 "JI0001", "JI0003"의 2개의 레코드에 나타낸 인쇄 대상인 데이터는 동일한 휴대 단말을 이용하는 다른 유저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나타낸다.
스테이터스(515)는 본 인쇄 작업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스로서는, "미실행", "인쇄 처리 중", "실행 완료(지급 대기)", 또는 "지급 완료"를 들 수 있다. 발행일(516)은 본 인쇄 작업이 관리 서버(101)에 의해 발행된 일시를 나타낸다. 완료일(517)은 본 인쇄 작업에 대한 인쇄 처리 및 결제 처리가 완료된 일시를 나타낸다.
도 5ac에서, 유저 정보(520)는 유저 식별자(521), 유저명(522), 패스워드(523), 휴대 단말 식별자(524), 휴대 단말 위치 정보(525), 신용 정보(526) 및 통지처 정보(527)를 포함한다. 유저 정보(520)의 각 레코드는 유저가 본 인쇄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등록 할 때에 생성된다. 유저 식별자(521)는, 본 인쇄 시스템에서, 인쇄 서비스의 서비스 이용자로서 등록된 유저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작업 정보(510)는 유저 식별자(512)에 대응된다. 유저명(522)은 유저 등록시 유저에 의해 등록되는 유저의 명칭이다. 패스워드(523)는 유저 등록시에 유저에 의해 등록되는 패스워드이다. 유저명(522) 및 패스워드(523)는 인증 처리에 이용된다.
휴대 단말 식별자(524)는 유저가 사용하는 휴대 단말(104)을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휴대 단말 위치 정보(525)는 현재의 휴대 단말(10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GPS(215) 등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신용 정보(526)는 본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 발생하는 요금의 지급을 위하여 필요한 결제 정보이다. 신용 정보란, 예를 들어 요금을 자동 납부할 때에 이용되는 신용카드의 정보나 은행의 계좌 정보가 해당된다. 통지처 정보(527)는 인쇄 서비스의 처리 결과 및 결제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처의 정보이다.
도 5ad에서, 요금 정보(530)는 디바이스 식별자(531), 기능(532) 및 요금(533)을 포함한다. 요금 정보(530)의 각 레코드는 서비스 제공자가 본 인쇄 시스템에 화상 형성 장치(105)를 등록할 때에 생성된다. 디바이스 식별자(531)는 디바이스 정보(500)의 디바이스 식별자(501)에 대응된다. 기능(532)은 화상 형성 장치(105)에 포함된 기능을 나타낸다. 요금(533)은 기능(532)에 나타낸 각 기능을 휴대 단말(104)의 유저가 이용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105)의 관리자(서비스)가 이익을 위해 얻을 수 있는 정보이다. 휴대 단말(104)의 유저는 이 요금 정보(530) 외에 소모재(용지와 잉크 또는 토너)의 비용이나 화상 형성 장치(105)의 감가 상각비가 과금되게 된다.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5)의 관리자(서비스 제공자)가 화상 형성 장치마다, 또는 각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마다 다른 요금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ae에서, 기종 정보(540)는 기종명(541)과 비용 정보(542)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기종명마다 그 기종이 1매 인쇄하는 데 필요로 하는 소모재(토너, 잉크 및 용지)의 비용과 감가 상각비를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업체가 디폴트로 순정품의 비용을 등록하고 있다고 가정된다.
도 5af에서, 비용 정보(550)는 도 5aa의 비용 정보(508)에 대응하여 요금 항목(551), 분류(552) 및 단가/계수(553)를 포함한다. 요금 항목(551)은 인쇄 데이터의 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항목의 대분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토너 소비량, 용지 유형, 양면 인쇄 유무, 감가 상각비 단가, 미디어 유형 계수, 미디어 크기 계수, 모드 계수, 및 연속 인쇄 매수 계수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감가 상각비로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에 대한 단가를 나타내고 있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감가 상각비에는 엔진 상각비 및 정착 유닛 상각비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105)를 포함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감가 상각비가 포함된다. 엔진 상각비란, 양면 인쇄인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변동하는 한 매당 화상 형성 장치 본체(예를 들어, 종이 이송 유닛)의 감가 상각비, 또는 하나의 작업당 인쇄 매수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감가 상각비를 나타낸다. 정착 유닛 상각비란, 용지 유형에 따라 변동하는 한 매당 정착 유닛의 감가 상각비, 또는 하나의 작업당 인쇄 매수에 의한 정착 유닛의 감가 상각비를 나타낸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유저의 개별적인 요청에 의한 인쇄 전의 클리닝 및 색감 보정의 제어를 할 때에도, 그 비용도 감가 상각비로서 추가할 수 있다.
모드 계수란, 컬러 인쇄나 흑백 인쇄에서 사용하는 엔진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상각 보정 계수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미디어 유형 계수 및 미디어 크기 계수는 사용할 용지의 유형 및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각의 보정 계수를 나타낸다.
분류(552)는 요금 항목(551)의 더욱 상세한 분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토너 소비량에 대해서는, 용지 유형별로 용지 크기별로 RGB의 인쇄 속도에 대응하는 설정이 도시되어 있다. 단가/계수(553)는 각 항목에 대하여 발생하는 요금의 기준 단가 혹은 인쇄 설정에 대응하는 요금에 대한 계수의 값을 나타낸다.
(과금 서버)
도 5ba 및 도 5bb는 과금 서버(102)에서의 결제 정보 DB(313) 및 유저 정보 DB(314)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5ba에서, 결제 정보(560)는 유저 식별자(561), 작업 식별자(562), 요금(563) 및 결제 스테이터스(564)를 포함하고, 인쇄 요청이 있을 때마다 레코드가 생성된다. 결제 정보(560)의 각 레코드는, 작업의 인쇄 및 과금이 완료된 시점에서 삭제될 수 있거나, 또는 소정 기간(예를 들어, 1개월) 보유한 후에 삭제될 수 있다. 유저 식별자(561)는 관리 서버(101)에서 관리되는 유저 정보(520)의 유저 식별자(521)에 대응하고, 지급하는 유저를 나타낸다. 작업 식별자(562)는 관리 서버(101)에서 관리되는 작업 정보(510)의 작업 식별자(511)에 대응하고, 지급 대상의 인쇄 작업을 나타낸다. 요금(563)은 인쇄 작업의 실행에 수반하는 과금 요금을 나타낸다. 결제 스테이터스(564)는 지급 상태를 나타낸다. 결제 스테이터스(564)의 값은 "미완료" 또는 "완료"일 수 있다.
도 5bb에서, 유저 정보(570)는 유저 식별자(571), 유저명(572), 패스워드(573) 및 신용 정보(574)를 포함한다. 유저 정보(570)의 각 레코드는 유저가 본 인쇄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등록할 때 생성된다. 이들은 관리 서버(101)에서 관리되는 유저 정보(520)의 유저 식별자(521), 유저명(522), 패스워드(523) 및 신용 정보(526)에 각각 대응한다.
(휴대 단말)
도 5c는 휴대 단말(104)에서의 화상 정보 DB(325)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5c에서, 화상 정보(580)는 화상 식별자(581), 데이터명(582), 파일 유형(583) 및 크기(584)를 포함한다. 화상 정보(580)의 각 레코드는 유저가 본 인쇄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화상을 선택할 때에 생성된다. 화상 식별자(581)는 화상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이것은 관리 서버(101)에서 관리되는 작업 정보(510)의 화상 식별자(514)에 대응한다. 데이터명(582)은 화상 데이터의 명칭을 나타낸다. 또한, 데이터명(582)은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경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파일 유형(583)은 화상 데이터의 파일 형식(확장자)을 나타낸다. 크기(584)는 화상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등록 처리]
다음으로, 본 인쇄 시스템이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때, 서비스 이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각각에 의해 미리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등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서비스 이용자)
본 실시 형태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휴대 단말(104) 등을 통해 미리 서비스 이용자 자신의 정보(유저 정보)의 등록을 한다. 여기에서, 이용자는 관리 서버(101)에 유저 정보(520)를 등록하고, 과금 서버(102)에 유저 정보(570)를 등록한다. 이 등록 처리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인쇄 서비스의 이용에 앞서 행하여지고, 이로써 필요한 정보가 등록된다. 등록된 후에는, 데이터의 모순성의 결여가 상실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a 및 도 4b의 순서와는 비동기가 되도록 등록 항목의 유지 및 갱신을 행할 수 있다.
도 6a는 관리 서버(101)에 유저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본 처리 흐름은 휴대 단말(104)이 포함하는 CPU(211)가 SD(214)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처리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322)으로서 휴대 단말(104)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스텝 S601에서, 휴대 단말(104)은 유저 지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322)을 기동한다.
스텝 S602에서, 휴대 단말(104)은 애플리케이션(322)에 의해 제공되는 유저 정보 등록 화면(도시 생략)을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유저 정보를 접수한다. 여기에서 수신되는 유저 정보는 도 5ac의 유저 정보(520) 중, 유저명, 패스워드, 신용 정보, 통지처 정보 등에 대응한다.
스텝 S603에서, 휴대 단말(104)은 유저로부터 수신된 유저 정보를, 관리 서버(101)에 송신하고, 등록을 지시한다. 이 때, 관리 서버(101)는 동일한 정보를 과금 서버(102)에 송신하고, 유저 정보를 동기화한다. 다음으로, 본 처리 흐름을 종료한다.
(서비스 제공자)
도 6b는 디바이스 정보 등록 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본 처리 흐름은 화상 형성 장치(105)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5)와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PC)가 포함하는 CPU가, 기억 유닛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5)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도시 생략)가 포함하는 WEB 브라우저(도시 생략)를 통해 처리를 행해진다.
스텝 S611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관리 서버(101)에 액세스하여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한다.
스텝 S612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디바이스 등록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101)로부터 제공되는 디바이스 등록 화면(도시 생략)을 WEB 브라우저(도시 생략)에 표시한다.
스텝 S613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디바이스 등록 화면(도시 생략)을 통해, 디바이스 정보와 요금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에서 수신하는 디바이스 정보로는 도 5aa의 디바이스 정보(500) 중, 디바이스명, 식별 정보, 위치 정보, 관리자 정보 등이 해당한다. 기종명은 정보 처리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105)의 ID를 판독함으로써, 자동으로 획득될 수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화상 형성 장치(105)의 소모품으로 순정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비용 정보(508)는 제조업체 또는 본 인쇄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비용 정보(542)를 디폴트로서 사용한다. 서비스 제공자가 순정품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는 등록 화면(도시 생략)을 통해 비용 정보(508)를 수정/입력할 수 있다.
스텝 S614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디바이스 등록 화면(도시 생략)에서 입력된 디바이스 정보 및 요금 정보를, 관리 서버(101)에 송신하고, 등록을 지시한다. 다음으로, 본 처리 흐름을 종료한다.
[요금 산출 처리]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서비스의 이용에 수반하는 요금 산출 처리를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인쇄 요금의 산출은 인쇄에 의해서 소비하는 소모품(토너, 잉크, 용지)의 비용, 인쇄로 인해 발생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감가 상각비, 및 서비스 제공자의 이익(인쇄 서비스 요금)에 기초하여 행하여진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요소가 요금을 산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요소는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 인쇄 매수
- 용지 유형
- 용지 크기
- 인쇄 설정(양면/단면 등)
- 디바이스 정보
- 화상 데이터의 유형
- 화상 크기
- 하나의 작업당 인쇄 페이지 수
- 서비스 제공자 측의 이익율(인쇄 서비스 요금의 산출용)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각 요소를 이용하여, 요금 산출을 휴대 단말(104)의 애플리케이션(322)(화상 크기 산출 유닛(324))과, 관리 서버(101)의 요금 산출 유닛(310)(감가 상각비를 포함한 상세한 요금 산출)의 두 스텝으로 수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요금 산출에 이용되는 정보는 관리 서버(101)에서 관리되는 도 5aa의 디바이스 정보(500)의 비용 정보(508)(디폴트인 경우에는 도 5ae의 비용 정보(542)와 동일값)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요금 정보(530)는 서비스 제공자가 금액(이익액)을 설정 가능한 항목이라고 가정된다. 또한, 비용 정보(550)는 기종마다 각 인쇄 설정 및 인쇄 대상인 화상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는 요금이 디폴트로 할당된다고 가정된다. 서비스 제공자가 금액을 설정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비용 요금의 산출식으로는, 예를 들어, 전자사진 방식의 경우,
인쇄 비용 C1=토너 요금+용지 요금+감가 상각비
로 구할 수 있다.
토너 요금의 산출식으로는 예를 들어,
토너 요금=(인쇄 매수)×∑ {(색상당 토너 사용량)×(색상당 토너 단가)}
로 구할 수 있다.
색상당 토너 사용량은 예를 들어, 인쇄 용지의 크기, 화상 데이터의 유형,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인쇄율로부터 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104)에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104)에서 토너 사용량을 구한다. 이 처리는 화상 크기 산출 유닛(324)에서 실행된다. 토너 사용량의 산출 방법은, 픽셀 카운트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토너 사용량은 인쇄 데이터의 파일 유형으로부터 간단하게 구할 수 있거나, 또는 인쇄 데이터를 색상마다 비트맵으로 전개하고, 그 이후에 색상 재료 마다 도트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감가 상각비의 산출식으로는 예를 들어,
감가 상각비=(감가 상각비 단가)×(인쇄 매수)×(양면/단면 인쇄 계수)×(미디어 유형 계수)×(미디어 크기 계수)×(모드 계수)×(하나의 작업당 페이지 수 계수)
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면 인쇄인지 단면 인쇄인지에 따라 용지의 반송 경로가 변한다. 일반적으로, 양면 인쇄의 경우, 단면 인쇄의 경우보다도 화상 형성 동안 연속되는 용지들 간의 간격이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 용지들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 그 간격에도 화상 형성 장치는 가동하고 있으므로 상각이 진행되게 된다. 이것을 감가 상각비에 반영시키기 위해 계산식이 설정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상각은, 용지의 크기에 따라 정착 유닛의 사용 영역이 변화하는 컬러 또는 흑백으로 사용하는 엔진 부위가 상이한, 연속 인쇄 매수가 많을수록 단일 인쇄당 비례하여 나뉘어진 회전 간격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관련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체의 상각 조건이 변화하기 때문에, 인쇄 설정 등에 따라 감가 상각비는 변동하게 된다. 상기 계산은 전체를 포함하는 상각 단가에, 각 상각 계수를 곱하지만, 실제의 디바이스 구성이나 각 유닛의 특징에 따라 계산식은 상이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104) 측에서 화상 크기를 산출했지만, 관리 서버(101) 측에서 화상 크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101)로 보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휴대 단말(104) 및 관리 서버(101)의 처리 부하, 통신 부하 등을 감안하여 어떤 측면에서 어떤 부분의 요금을 산출할지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4) 이외의 장치가 인쇄 대상 화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관리 서버(101)는 그것을 보유하고 있는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고나서, 화상 크기를 산출하게 된다. 용지 요금 및 감가 상각비는 인쇄 설정 정보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요금 산출을 취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는 토너의 소비 요금 또는 용지 요금 등의 인쇄 비용을 적절하게 요금에 추가할 수 있고, 확실하게 이익을 확보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1) 측에서의 요금 산출은, 휴대 단말(104)로부터 수신된 화상 크기 데이터, 인쇄 설정, 화상 형성 장치(105)의 정보와 요금 정보(530), 및 기종 정보(540)(또는 비용 정보(508)) 기초하여 행해진다. 기반구조 이용료(또는 인쇄 중개료), 및 결제 시스템(2)의 수수료도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인 산출 방법은, 예를 들어,
인쇄 비용 C2=(토너 요금+용지 요금+감가 상각비+요금+이용료)×(1+수수료(율))×(1+세율)
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인쇄 서비스 이용 시의 처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처리 및 유저 인터페이스(UI)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서비스 이용자(휴대 단말(104))와 서비스 제공자(화상 형성 장치(105))는 그 위치가 상황에 따라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화상 형성 장치(105)는 관리 서버(101)에 자기의 위치를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휴대 단말(104)은 그 위치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지도의 화상 상에 현재의 위치 정보를 중첩 표시하는 기술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7a 및 도 7b는 서비스 이용자가 휴대 단말(104)을 통해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 처리의 흐름은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휴대 단말(104)(서비스 이용자) 측의 처리를 잘라낸 것이다. 또한, 도 8aa 내지 도 8cb는 인쇄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 휴대 단말(104)의 표시 유닛(216) 상에 표시되는 UI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스텝 S701에서, 휴대 단말(104)은 유저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322)을 기동하고,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UI 화면(800)(도 8aa)을 표시한다.
스텝 S702에서, 휴대 단말(104) 상의 버튼(801)을 누르면, 인쇄 가능한 화상의 선택 화면(810)(도 8ab)을 표시하고, 인쇄 가능한 화상들 중에서 인쇄 대상이 되는 화상 선택을 유저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703에서, 휴대 단말(104)은 인쇄 대상의 화상 선택을 수신한 후, 인쇄 설정 화면(820)(도 8ac)을 표시하고, 선택된 화상에 대한 인쇄 설정을 유저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704에서, 휴대 단말(104)은 화상 형성 장치의 후보(인쇄 대상이 획득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검색을 지시한다. 여기에서의 검색은,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1)에 인쇄 설정에 기초한 문의를 하고, 디바이스 검색 유닛(301)을 통해 디바이스 정보 DB(302)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스텝 S705에서, 휴대 단말(104)은 선택된 화상의 화상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휴대 단말(104)은 산출된 화상의 화상 크기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101)와 연계하여 인쇄 요금을 산출한다. 여기에서의 처리의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9를 이용하여 후술될 것이다.
스텝 S706에서, 휴대 단말(104)은 선택 화면(830)(도 8ad)을 표시하고, 화상 형성 장치(105)의 선택 방법의 지정을 수신한다. 선택 화면(830)을 통해 지도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5)를 선택하는 것을 표시하는 지시를 수신한 경우(S706에서 예), 스텝 S707에서, 휴대 단말(104)은 선택 화면(840)(도 8ba)을 표시한다. 선택 화면(830)을 통해 리스트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5)를 선택하는 것을 표시하는 지시를 수신한 경우(S706에서 아니요), 스텝 S708에서, 휴대 단말(104)은 지정된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 화면(850)(도 8bb) 또는 선택 화면(860)(도 8bc)을 표시한다.
스텝 S709에서, 휴대 단말(104)은 스텝 S707 또는 스텝 S708에서 표시한 선택 화면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5)의 선택을 수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보가 되는 장소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뿐만 아니라, 그 장치에 대응하는 인쇄 요금을 유저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출력(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선택이 용이하게 된다.
스텝 S710에서, 휴대 단말(104)은 스텝 S703에서 수신한 인쇄 설정 및 스텝 S709에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세 화면(870)(도 8bd)을 표시한다.
스텝 S711에서, 휴대 단말(104)은 상세 화면(870)을 통해 유저로부터 인쇄 내용의 확정이 지시된 경우, 그 인쇄 내용을 인쇄 지시로서 관리 서버(101)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104)은 인쇄 지시의 응답으로서 관리 서버(101)로부터 인쇄 작업이 발행되었다고 표시한 통지를 수신한다. 이 통지에는 예를 들어 작업 식별자 및 화상 식별자가 포함된다.
스텝 S712에서, 휴대 단말(104)은 지시 화면(880)(도 8ca)을 표시하고, 스텝 S709에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105)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된 것을 검출할 때까지 대기한다. 여기에서의 감출은, 예를 들어 유저가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105)의 근처까지 이동하고, 휴대 단말(104)을 대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 제어 유닛(218 및 229) 간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스텝 S712에서 예), 휴대 단말(104)은, 스텝 S713에서 화상 형성 장치(105)에, 관리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작업 식별자를 포함하는 실행 지시 및 인쇄 작업에서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하나의 작업 식별자에 대하여 복수의 데이터 항목(파일)이 연관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복수의 데이터 항목(파일)을 연속적으로 송신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송신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은 무선 LAN을 통해 송신하는 핸드오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714에서, 휴대 단말(104)은 스텝 S713에서의 각종 정보의 송신이 완료한 후, 확인 화면(890)(도 8cb)을 표시하고, 화상 형성 장치(105)로부터 출력된 인쇄물이 정상인지 여부의 확인 결과를 유저로부터 수신한다. 유저가 확인한 후 출력물이 정상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확인 결과를 수신한 경우(S714에서 예), 스텝 S715에서, 휴대 단말(104)은 인쇄물은 정상이라는 것을 관리 서버(101)에게 통지한다. 출력물에 인쇄 미스 등의 이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 확인 결과를 수신한 경우(스텝 S714에서 아니요), 스텝 S716에서, 휴대 단말(104)은 인쇄물에 이상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관리 서버(101)에게 통지한다. 이상으로, 본 처리 흐름을 종료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 도 7a 및 도 7b의 설명에서 나타낸 타이밍으로 휴대 단말(104)에 표시되는 UI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8aa 내지 도 8c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aa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휴대 단말(104)의 애플리케이션(322)을 기동했을 때에 표시되는 UI 화면(800)이다. UI 화면(800)은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801), 화상을 카메라(217)로 새롭게 촬영하기 위한 버튼(802), 화상을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기 위한 버튼(803), 및 화상을 편집하기 위한 버튼(804)을 포함한다. 또한, 버튼들(802 내지 804)에 대한 기능에 대해서는, OS(321)에 배치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실현함으로써,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버튼(801)이 눌러진 경우, 도 8ab에 나타내는 선택 화면(810)으로 천이한다.
도 8ab는 인쇄 대상의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810)이다. 여기서 표시되는 화면은, 휴대 단말(104)의 내부에 보유된 화상 이외에, 관리 서버(101) 등의 외부 장치에 보유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ab에 나타낸 예에서는, 화상(811 및 812)이 선택된다.
도 8ac는 화상을 인쇄할 때의 인쇄 설정을 지정하기 위한 설정 영역을 갖는 인쇄 설정 화면(820)이다. 영역(821)은 선택 화면(810)에서 선택된 인쇄 대상의 화상이 표시된다. 영역(822)은 선택된 화상의 총 매수와 영역(82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현재 인쇄 설정을 행하고 있는 화상)이 몇 매째의 화상인지를 표시한다. 버튼(823)은 인쇄 설정을 하는 화상의 전환을 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825 및 826)은 컬러 인쇄/흑백 인쇄를 지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827)은 인쇄 설정을 확정하고, 인쇄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830)으로 천이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8ad는 인쇄를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830)이다. 영역(831) 상에는, 인쇄 대상의 화상이 표시된다. 버튼(832)은 주위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고, 지도 상에 검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선택 화면(840)(도 8ba)으로 천이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833)은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04)이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고, 결과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선택 화면(850)(도 8bb)으로 천이하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834)은 유저가 과거에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직접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를 지정하기 위한 선택 화면(860)(도 8bc)으로 천이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선택 화면(830)은 이 버튼 외에도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조건을 지정하기 위한 검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a는 인쇄 설정 등에 기초하여 검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위치 및 관련된 정보를 지도 상에 중첩하고,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에 표시한다. 영역(841)에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4)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위의 지도 정보가 표시된다. 아이콘(842)은 지정된 인쇄 설정을 지원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위치를 표시한다. 유저는 아이콘(842)을 누름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아이콘(843)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아이콘(843)에는, 인쇄에 필요로 하는 요금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선택 화면(840)에서, 지정된 인쇄 설정에 대응하는 인쇄를 실시할 수 없는 화상 형성 장치가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는 하더라도 그 인쇄 설정에서는 인쇄할 수 없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휴대 단말(104)의 위치부터 화상 형성 장치까지의 거리 및 이동에 필요한 시간, 및 인쇄에 필요한 처리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이콘(843)을 눌렀을 때에 더욱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이콘(843)은 표시 내용에 따라, 표시를 전환하고, 예를 들어 최저가의 위치를 점멸시키거나, 표시 색을 바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bb는 지정된 인쇄 설정을 지원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선택 화면(850)이다. 버튼(851)은 화상 형성 장치를 표시하며, 누르는 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영역(852)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표시한다.
도 8bc는 유저가 과거에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리스트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직접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선택 화면(860)이다. 버튼(861)은 과거에 사용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누름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영역(862)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선택하고 싶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 그 정보를 영역(864)에 입력하고, 버튼(863)을 누름으로써 특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bb 및 도 8bc의 선택 화면(850 및 860)에서,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한 경우에, 그 선택한 화상 형성 장치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도 8ba의 화면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bd는 화상 형성 장치가 선택된 후에, 인쇄 내용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 화면(870)이다. 설정 내용(871 내지 875)은 지금까지 지정된 인쇄 설정을 표시한다. 버튼(876)을 누른 경우, 인쇄 설정의 내용을 확정하고, 도 8ca의 지시 화면(880)으로 천이한다.
도 8ca는 지시 화면(880)이며, 여기서 휴대 단말(104)과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105) 간에 근거리 통신이 행해질 때까지 휴대 단말(104)은 대기하고, 지시 화면(880)은 선택한 화상 형성 장치에 근접하도록 유저에게 지시한다.
도 8cb는 인쇄 작업이 실행된 후, 출력된 인쇄물이 정상인지 아닌지의 지시를 유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확인 화면(890)이다. 버튼(891)은 인쇄물이 정상인 경우에 누르는 버튼이다. 버튼(892)은 인쇄 불량 등의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누르는 버튼이다.
(요금 산출 처리의 흐름)
도 7a의 스텝 S705에서의 요금 산출 처리의 상세 흐름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처리 흐름은 휴대 단말(104) 및 관리 서버(101)의 CPU가 기억 유닛에 기억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901에서, 휴대 단말(104)은 유저로부터 수신된 인쇄 설정을 획득한다.
스텝 S902에서, 휴대 단말(104)은 인쇄 설정 및 인쇄 대상의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크기를 산출한다.
스텝 S903에서, 휴대 단말(104)은 스텝 S902에서 산출한 화상 크기의 정보와 인쇄 설정을 관리 서버(101)에 송신한다.
스텝 S904에서, 관리 서버(101)는 휴대 단말(104)로부터 화상 크기의 정보와 인쇄 설정을 수신한다.
스텝 S905에서, 관리 서버(101)는 획득한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요금 정보를 요금 정보 DB(308)로부터 획득한다. 이 때, 관리 서버(101)는 도 7a의 스텝 S704에서 휴대 단말(104)에 의해 검색 지시된 인쇄 설정에 따라 인쇄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후보에 대한 요금 정보가 획득된다.
스텝 S906에서, 관리 서버(101)는 획득한 인쇄 설정, 추출된 화상 형성 장치 각각의 요금 정보 및 획득한 화상 크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화상 형성 장치마다의 인쇄 요금을 산출한다.
스텝 S907에서, 관리 서버(101)는 스텝 S907에서 화상 형성 장치마다 산출된 인쇄 요금을 휴대 단말(104)에 송신한다.
스텝 S908에서, 휴대 단말(104)은 관리 서버(101)에 의해 산출된 인쇄 요금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104)은 수신된 인쇄 요금을 도 8ba 및 도 8bb의 선택 화면에 표시한다. 이상으로, 본 처리 흐름을 종료한다.
이상으로, 서비스 제공자는 용이하게 인쇄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고 과금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는 용이하게 인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인쇄 서비스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과금 서버(102)가 결제 처리를 일괄적으로 행하고 있지만,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소유자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요금의 지급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과금 서버(102)와 관리 서버(101)의 관리자가 상이한 경우에는, 과금 서버(102)는 관리 서버(101)에 대한 요금의 지급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와 각종 장치 간의 통신은,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부위에 의해 행하여지는 구성이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구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가 아니고 외장형 구성으로서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시스템 구성]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구성의 예이다.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는 화상 형성 장치(1001)의 구성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1)는 단독으로는 본원 발명에 관한 인쇄 서비스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기능할 수 없는 범용적인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 화상 형성 장치(1001)에는 본원 발명에서의 인쇄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기 위한 디바이스(1002)가 접속된다.
[하드웨어 구성]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001) 및 디바이스(1002)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PU(1101)는 화상 형성 장치(1001)의 전체를 제어한다. CPU(1101)는 ROM(1102)이나 RAM(1103)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이들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ROM(1102)은 불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1103)은 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예를 들어 CPU(1101)의 처리에서의 작업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HDD(1104)는 불휘발성 기억 유닛이며,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처리 결과를 보유한다. 네트워크 I/F(1105)는 (주로 유선 접속에 의해) 네트워크(103)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표시 유닛(1106)은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각종 정보를 유저에게 표시한다. 또한, 표시 유닛(1106)은 터치 패널 등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수신한다. 스캐너 유닛(1107)은 판독 장치이며, 유저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원고 등을 판독한다. 프린터 유닛(1108)은 인쇄 장치이며,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화상의 인쇄를 행하고, 인쇄물을 출력한다. I/F(1109)는 디바이스(1002)와 접속되어, 디바이스(1002)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의 I/F(1109)가 디바이스(1002)와 접속할 수 있으면, 접속 방법이 유선/무선인지는 특별히 상관없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1) 내의 각 구성 요소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디바이스(1002)는 처리 유닛(1111), I/F(1112), 근거리 통신 제어 유닛(1113) 및 WiFi 제어 유닛(1114)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1111)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각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a의 스텝 S410에서 수신된 인쇄 작업의 관리, 스텝 S413에서 작업 실행 지시 및 유저 정보 및 작업 정보의 수신, 스텝 S418 및 스텝 S419에서 인쇄 작업의 실행 결과의 통지를 행한다. 또한, 처리 유닛(1111)의 내부에는 결제 정보 DB(313) 및 유저 정보 DB(314)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보유된다. 또한, 각종 처리 및 각종 정보에 대해서는, 처리 유닛(1111)이 화상 형성 장치(1001) 내부의 CPU(1101) 및 HDD(1104)와 연계하여 실행 및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제어 유닛(1113)은 제1 실시 형태의 근거리 통신 제어 유닛(218)과 동등한 동작을 행한다. WiFi 제어 유닛(1114)은 Wi-Fi(등록 상표)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며, 제1 실시 형태의 WiFi 제어 유닛(230)과 동등한 동작을 행한다. 또한, 디바이스(1002) 내의 각 구성 요소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본체는 디바이스(1002)(어댑터)가 장착된 것을 인식하고, 본체 펌웨어(FW)에 미리 내장되어 있는 본 시스템에 관한 기능을 활성화하여, 본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한다. 본체 FW에 미리 상기 기능이 내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체의 FW를 재기입하는 기능이 있다.
각종 처리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외에, 이미 보급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인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쇄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일부의 처리 스텝의 주체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 및 도 13b 중 "스텝"에 표시되는 열에는 12개의 특징적인 처리 스텝이 제공된다. 또한, "휴대 단말" 및 "관리 시스템"에 표시되는 열에는, 각 처리 스텝의 주체인 경우에 "○"이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서, 인쇄 데이터 분석에 의한 화상 크기 산출의 스텝은, 휴대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스텝을 나타낸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도 1의 시스템 구성에서 휴대 단말 이외의 장치를 통합하여 "관리 시스템"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여기서, 도 13a는 전술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처리 순서에 대응한다.
도 13b는 도 13a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이 인쇄 대상으로 되는 인쇄 데이터 분석을 하지 않고, 관리 시스템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외에도, 관리 시스템이 미리 관리하고 있던 데이터를 휴대 단말이, 인쇄 대상이 되는 인쇄 데이터로서 선택한 경우의 예이기도 하다. 도 1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는, 처리 스텝 2 및 3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스템 측이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하나의 작업 식별자와 복수의 데이터(파일)가 연관되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통합하고, 인쇄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송신에 이용하는 파일 형식은 예를 들어, PDF 또는 JPEG이며, 출력 대상인 프린터 측에서 지원될 수 있는 원하는 형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쇄 작업의 수신을 행하고(도 4a의 스텝 S409), 유저를 확인한다(스텝 S413 내지 스텝 S415). 그러나,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아도 마찬가지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 경우, 도 5aa의 디바이스 정보에는, 서비스 제공자가 디바이스 고유의 인증 정보(패스워드 등)를 설정해 둔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마찬가지의 인증 정보를 설정해 둔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어댑터로서 디바이스(1002)가 접속되며, 디바이스(1002)에는 인증 정보를 설정해 둔다.
도 4a의 스텝 S408에서, 작업 발행이 행해진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409가 아니고 스텝 S410에서, 작업이 화상 형성 장치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휴대 단말(104)에 통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409에서 작업은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스텝 S411에서, 휴대 단말(104)과 화상 형성 장치(105)의 근거리 통신이 개시 가능하게 되었을 때에, 스텝 S412에서 휴대 단말(104)은 화상 형성 장치(105)와 근거리 통신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104)은 이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4)의 유저 정보, 인쇄 데이터 및 스텝 S410에서 수신된 작업 정보를 송신한다. 작업 정보를 수신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이 작업 정보에 포함되는 인증 정보가 자신의 인증 정보와 일치한 경우에, 스텝 S416에서 작업을 실행한다. 그 결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413 내지 스텝 S415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이후의 처리는 도 4a 및 도 4b와 유사하지만; 스텝 S418 및 스텝 S427은 행해지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킬 필요가 없으며, 게다가 서비스 제공자의 자유도가 더욱 넓어지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101)가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터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그 경우에도 작업의 수신을 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인 어댑터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FW를 변경하지 않고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시스템 내에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각 실시 형태의 구성이 혼재할 수 있다.
또한, 본 인쇄 시스템에서는 본 인쇄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기반구조 운영자)와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이용자(유저) 간에, 다음의 계약 조건의 합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원할한 거래 관계를 도모하는 데 바람직하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는 인쇄물의 구매자와 판매자의 관계에 있는 인쇄 매매 계약이 성립하고, 서비스 이용자는 인쇄를 종량 요금으로 발주하고, 서비스 제공자의 점포에서 인쇄물을 수령한다. 이 매매 계약은 인쇄 의뢰(작업)를 지시할 때마다 성립하게 된다. 그러나, 계약 성립의 절차에 대해서는 계약에 이를 명기해 두고, 본 인쇄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에 설치할 때에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계약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제공자와 시스템 제공자 간에는, 본 시스템의 기반구조(시스템) 이용 계약이 성립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기반구조의 이용료를 종량 요금으로 지급하고, 시스템 제공자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자의 점포 광고를 실시한다. 이 이용 계약은 서비스 제공자가 시스템에 화상 형성 장치 등의 정보를 등록할 때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양자 간에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소모품의 매매 계약 및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해 두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는 또한 위에 설명된 실시 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보다 충실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위에 설명된 실시 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들(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및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실시 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 및/또는 위에 설명된 실시 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해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하기의 청구 범위는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한다.
본 출원은 2014년 5월 1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99830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27)

  1. 휴대 단말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시스템 및 과금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가 상기 인쇄 시스템의 등록 유저인 것을 인증하는 스텝;
    상기 과금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를 인쇄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검색 조건을 상기 관리 시스템에 지시하는 스텝;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지시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상기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스텝;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하면,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인쇄 지시가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발행하는 스텝;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행된 상기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 및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인쇄물의 출력 후에 상기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의뢰 스텝
    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및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각각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스텝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와 각각의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해진 것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고;
    상기 의뢰 스텝에서는,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의 상기 출력 스텝에서의 출력의 완료 통지의 수신 후,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상기 인쇄물의 확인 통지의 수신 후에, 상기 결제 처리가 의뢰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텝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은 각각의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실행 지시를 송신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및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각각 공중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스텝에서는, 상기 공중 무선 통신의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각각의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인쇄 대상의 인쇄 데이터를 상기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스텝; 및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처리하여 그 화상 처리의 결과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전송하는 스텝
    을 더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의 인쇄 설정을 입력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스텝에서는,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에, 과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 스텝에서는, 상기 인쇄 설정에 의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 상기 인쇄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영역, 및 상기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검색 영역은 각각 상이한 화면에 표시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 상기 인쇄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영역, 및 상기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검색 영역 중 2개 이상이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에 필요한 비용 요금과, 각각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인쇄 서비스 요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요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에 필요한 색상 재료의 비용, 용지 비용,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각 비용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재료의 비용은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의 화상 크기와, 각각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색상 재료의 기준 단가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 중에서, 적어도 상기 색상 재료의 비용은, 상기 휴대 단말에 저장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도트 수로부터 산출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산출되고, 상기 휴대 단말로 송신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에 저장된 파일들로부터 선택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는 상기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파일들로부터 선택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때에, 지도의 화상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각각 중첩 표시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때에, 지도의 화상 상에,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에 화상 형성 장치가 등록될 때에, 상기 과금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정보가 등록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시스템에서, 상기 의뢰 스텝에서 결제 처리가 의뢰되면,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에게 상기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행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시스템에서, 상기 의뢰 스텝에서 결제 처리가 의뢰되면, 상기 인쇄 시스템의 관리자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신용 처리를 행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인쇄물의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관계에 있는 인쇄에 대응하는 매매 계약을 표시하는 스텝 -상기 관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서비스 제공자 간의 관계임- ,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서비스 제공자와 상기 인쇄 시스템의 관리자 간에 있는 상기 인쇄 시스템의 이용 계약을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소매점, 음식점 및 이벤트 장소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3. 휴대 단말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시스템 및 과금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가 상기 인쇄 시스템의 등록 유저인 것을 인증하는 스텝;
    상기 과금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의 인쇄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영역 및 인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후보의 검색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검색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는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는 경우의 화상 크기를 상기 인쇄 설정에 기초하여 계산하는 계산 스텝;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검색 영역에 입력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적어도 상기 계산 스텝에서 계산된 화상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산출하는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이 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하는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상기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스텝;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하면,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인쇄 지시가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발행하는 스텝;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행된 상기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영역에 입력된 인쇄 설정에 의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 및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인쇄물의 출력 후에 상기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의뢰 스텝
    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및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각각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스텝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와 각각의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해진 것에 따라, 상기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고,
    상기 의뢰 스텝에서는,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의 상기 출력 스텝에서의 출력의 완료 통지의 수신 후,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상기 인쇄물의 확인 통지의 수신 후에, 상기 결제 처리가 의뢰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5. 각각이 근거리 통신 수단을 갖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관리 시스템과 과금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가 상기 인쇄 시스템의 등록 유저인 것을 인증하는 스텝;
    상기 과금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의 인쇄 설정 및 인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후보 검색 조건을 상기 관리 시스템에게 지시하는 스텝;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지시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설정 영역에 입력된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상기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스텝;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유저에 대한 결제 처리가 가능하면, 상기 인쇄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상기 휴대 단말에 발행하는 스텝;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과 각각의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한 근거리 통신에 의해 수신한 상기 인쇄 작업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이 행해지는 조건하에서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출력 스텝에서의 출력의 완료 통지를 상기 관리 시스템에 통지하는 스텝; 및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통지된 상기 완료 통지에 따라 상기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의뢰 스텝
    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6. 휴대 단말과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관리 시스템 및 과금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가 상기 인쇄 시스템의 등록 유저인 것을 인증하는 인증 수단;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지시된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인쇄 지시가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발행하는 발행 수단; 및
    상기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인쇄물의 출력 후에 상기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의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과금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의 결제 처리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는 확인 수단; 및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의뢰에 따라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인쇄 대상인 인쇄 데이터의 인쇄 설정 및 인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후보 검색 조건을 상기 관리 시스템에게 지시하는 지시 수단;
    상기 관리 시스템의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와,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인쇄 설정에 의해 인쇄되는 경우의 과금 정보를 연관시킨 표시 내용을,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서 인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지시를 상기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된 경우에, 발행된 상기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설정에 의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및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각각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각각의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해진 것에 따라, 상기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인쇄물의 확인을 상기 관리 시스템에게 통지하는 확인 통지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한 인쇄물 출력의 완료 통지를 상기 관리 시스템에게 통지하는 완료 통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의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인쇄 작업의 실행 지시가 송신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고,
    상기 관리 시스템의 상기 의뢰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완료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완료 통지의 수신 후,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상기 확인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확인 통지의 수신 후에, 상기 결제 처리를 의뢰하는 인쇄 시스템.
KR1020167033970A 2014-05-13 2015-04-16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70002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9830A JP6243793B2 (ja) 2014-05-13 2014-05-13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JPJP-P-2014-099830 2014-05-13
PCT/JP2015/062319 WO2015174233A1 (en) 2014-05-13 2015-04-16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54A true KR20170002554A (ko) 2017-01-06

Family

ID=5447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970A KR20170002554A (ko) 2014-05-13 2015-04-16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404889B2 (ko)
EP (1) EP3143490B1 (ko)
JP (1) JP6243793B2 (ko)
KR (1) KR20170002554A (ko)
CN (1) CN106462366A (ko)
BR (1) BR112016024107B1 (ko)
MY (1) MY186505A (ko)
PH (1) PH12016502201A1 (ko)
RU (1) RU2673005C2 (ko)
SG (1) SG11201609303SA (ko)
WO (1) WO2015174233A1 (ko)
ZA (1) ZA2016068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415A (ko) * 2018-04-02 2019-10-11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및 인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6021B2 (ja) * 2013-12-12 2019-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6178479A (ja) *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課金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03229B2 (en) * 2015-07-16 2020-10-13 Thinxtream Technologies Pte. Ltd. Hybrid system and method for data and file conversion across computing devices and platforms
JP2017028553A (ja) * 2015-07-23 2017-02-02 株式会社リコー 機器連携システム、機器連携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70201647A1 (en) * 2016-01-13 2017-07-13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geofencing for service availability and dynamic profit calculation
JP6800590B2 (ja) 2016-03-03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7167777A (ja) * 2016-03-16 2017-09-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604246B2 (ja) * 2016-03-18 2019-11-1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90548B2 (ja) * 2016-07-22 2020-1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処理システム、処理装置、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855748B2 (ja) * 2016-10-25 2021-04-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6889397B2 (ja) * 2017-07-18 2021-06-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58072B2 (ja) * 2017-07-31 2021-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サーバーシステム、稼働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サーバーシステムの作動方法
JP6971771B2 (ja) * 2017-10-19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061633B2 (en) * 2017-11-29 2021-07-1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specific setting items related to job and update total numeral values to attain reduced printing cost
JP2019102005A (ja) * 2017-12-08 2019-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CN108055422B (zh) 2017-12-20 2019-12-24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成像方法、成像设备及成像系统
US10528297B2 (en) 2018-03-09 2020-01-07 Fuji Xerox Co., Ltd. Printing instructing apparatus, management server, printing management apparatus, printer,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printing instruc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printing
JP2019159598A (ja) * 2018-03-09 2019-09-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指示装置、管理サーバ、印刷管理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管理プログラム、印刷プログラム、及び印刷指示プログラム
WO2019212468A1 (en) * 2018-04-30 2019-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job management across subscription services
JP7081980B2 (ja) * 2018-05-22 2022-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00021846A (ko) 2018-08-21 2020-03-0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전자 장치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이용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
US20210327047A1 (en) * 2019-01-11 2021-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al defect determinations
JP7293938B2 (ja) 2019-07-19 2023-06-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
WO2021021124A1 (en) * 2019-07-30 2021-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US20230087856A1 (en) * 2020-06-09 2023-03-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ull-print servers
JP2022085479A (ja) * 2020-11-27 2022-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98896A (ja) * 2020-12-22 2022-07-0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印刷機能付き保管装置、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2115602A (ja) * 2021-01-28 2022-08-0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62613B2 (en) 2021-03-24 2023-09-19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ystem
JP2022154408A (ja) * 2021-03-30 2022-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及び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22168645A (ja) * 2021-04-26 2022-11-0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2260680A1 (en) * 2021-06-11 2022-1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rtual printing device consumable item authent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5101B2 (ja) * 1997-10-27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課金装置、課金方法、及び、課金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WO2001033368A1 (fr) 1999-11-01 2001-05-10 Seiko Epson Corporation Controleur de sortie de donnees
JP2001169266A (ja) * 1999-12-07 2001-06-22 Sony Corp 情報蓄積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2002055913A (ja) * 2000-08-10 2002-02-20 Seiko Epson Corp ネットワーク上での印刷を仲介するシステム
US7266590B2 (en) 2000-02-21 2007-09-04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 for mediating printing on network
EP1204021A4 (en) 2000-02-21 2003-01-22 Seiko Epson Corp SYSTEM FOR MEDIATING PRINTING ON THE NETWORK
WO2001061461A1 (fr) 2000-02-21 2001-08-23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e de mediation pour impression en reseau
WO2001061462A1 (fr) 2000-02-21 2001-08-23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e intermediaire d'impression en reseau
JP2001296985A (ja) * 2000-04-17 2001-10-26 Fuji Xerox Co Ltd 情報出力システム
US7034952B2 (en) 2000-04-20 2006-04-2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designated electronic document in response to print request
JP2001306828A (ja) 2000-04-20 2001-11-02 Canon Inc プリ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プリントサービス管理サーバ装置,店舗サービス管理装置及びプリントサービス利用料金算出方法
JP4032611B2 (ja) 2000-06-21 2008-01-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
JP2002041815A (ja) * 2000-07-27 2002-02-08 Nec Corp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デジタル写真プリントの販売システムおよび販売方法
JP2002169671A (ja) * 2000-12-01 2002-06-14 Fuji Xerox Co Ltd 携帯電話
JP2003280869A (ja) * 2002-03-22 2003-10-02 Ricoh Co Ltd 印刷システム
JP2005084783A (ja) 2003-09-05 2005-03-31 Oki Data Corp 印刷方法、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6195811A (ja) * 2005-01-14 2006-07-27 Fuji Xerox Co Ltd プリンタ選択支援システム
JP2007034539A (ja) * 2005-07-25 2007-02-08 Kyocera Mita Corp 印刷デバイスおよびposシステムによる販売促進システム
KR100736931B1 (ko) 2005-10-24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복합기
JP4854608B2 (ja) 2007-06-29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37566A (ja) * 2007-08-03 2009-02-19 Ricoh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349947B2 (ja) 2008-12-25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74625B2 (ja) 2009-05-28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外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1359168B1 (ko) 2010-08-13 2014-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에 저장된 대상 파일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JP5669496B2 (ja) 2010-09-21 2015-02-1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環境負荷を考慮した最適なプリンタシステムを提供するシステム、方法、環境負荷を考慮した最適なプリンタシステムを提供するシステムで用いる印刷サーバ及び該印刷サーバで実行することが可能な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593677B2 (en) 2010-12-08 2013-11-26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Mobile printing system using a device management server
JP5453370B2 (ja) 2010-12-08 2014-03-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モバイル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036184B2 (en) 2011-07-2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Printer registration
US9110608B2 (en) 2011-09-30 2015-08-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mobile printing
JP2013214808A (ja) 2012-03-30 2013-10-17 Brother Ind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端末のプログラム
JP5929672B2 (ja) * 2012-09-27 2016-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415A (ko) * 2018-04-02 2019-10-11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및 인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15854A (ja) 2015-12-03
BR112016024107B1 (pt) 2022-09-06
MY186505A (en) 2021-07-23
JP6243793B2 (ja) 2017-12-06
CN106462366A (zh) 2017-02-22
EP3143490A4 (en) 2017-12-27
SG11201609303SA (en) 2016-12-29
EP3143490A1 (en) 2017-03-22
ZA201606891B (en) 2017-11-29
WO2015174233A1 (en) 2015-11-19
RU2673005C2 (ru) 2018-11-21
RU2016148646A3 (ko) 2018-06-19
US20170070642A1 (en) 2017-03-09
RU2016148646A (ru) 2018-06-19
BR112016024107A2 (pt) 2017-08-15
EP3143490B1 (en) 2021-06-09
PH12016502201A1 (en) 2017-01-09
US10404889B2 (en)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3490B1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system
US7280237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JP6501849B2 (ja)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US9990164B2 (en) Printing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R102013005719B1 (pt)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informação, sistema de processamento de informação, método de controle, e meio de armazenagem
JP6528432B2 (ja) 課金管理システム、第1管理装置、第2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93370B2 (ja) 機器使用システム、機器、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
US102351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account document processing cost accounting
JP2012118788A (ja)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および出力管理サーバー
JP200716605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オプション製品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500193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27727B2 (ja) 印刷管理システム
JP6089760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681913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2132901A (ja)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媒体
JP2015139038A (ja) 課金システム
WO2023162236A1 (ja) 課金管理方法、課金管理システム、及び課金管理プログラム
JP2014102716A (ja) セルフチャージ式プリ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JP6911181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526264B (zh) 图像形成系统
US110682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6574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erver
JP726845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46494A (ja) ジョブ実行システム
JP2007320190A (ja) 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7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13

Effective date: 2019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