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608A -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608A
KR20160145608A KR1020167029514A KR20167029514A KR20160145608A KR 20160145608 A KR20160145608 A KR 20160145608A KR 1020167029514 A KR1020167029514 A KR 1020167029514A KR 20167029514 A KR20167029514 A KR 20167029514A KR 20160145608 A KR20160145608 A KR 20160145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composite
fiber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토 후시미
에이치 미카미
히로키 다나카
진통 한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5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18Highly hydrated, swollen or fibrilla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20Chemically or biochemically modified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80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80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 D21H19/84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4Organic non-macromolecula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4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밀착성이 높고, 또한 강도가 높으며 투명성이 높은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을 개재하여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는 복합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갖는 복합체,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부직포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이(易)접착성층)을 개재하여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는 복합체(부직포 수지 복합체)(이하,「복합체」라고 한다),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이 적층된 복합체(이하,「첩합용 시트」라고 한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투영 장치, 간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또는 태양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석유 자원의 대체 및 환경 의식의 고조로 인해 재생산 가능한 천연 섬유의 응용이 주목되고 있다. 천연 섬유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섬유, 특히 목재 유래의 셀룰로오스 섬유(펄프)는 주로 종이 제품으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종이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폭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10∼50㎛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섬유에서 얻어지는 종이(시트)는 불투명하여, 인쇄 용지로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한편, 셀룰로오스 섬유를 리파이너나 니더, 샌드 그라인더 등으로 처리(고해, 분쇄)해, 셀룰로오스 섬유를 미세화(마이크로피브릴화)하면 투명지(글라신지 등)가 얻어진다. 또한, 종래부터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사이즈제나 지력 증강제 등을 첨가해, 종이로서 인쇄 용지나 서적 등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기체나 액체 등에 대한 투과성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필터, 축전 소자, 전지 또는 커패시터의 세퍼레이터 등으로의 이용이 검토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부직포(a)와 셀룰로오스 이외의 수지(b)로 이루어지고, (a) 성분이 0.1중량% 이상 99중량% 이하이며, (b) 성분이 1중량% 이상 99.9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부직포(a)의 빈 구멍이 셀룰로오스 이외의 수지(b)로 충전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위에 프라이머층 및 하드 코트층이 적층된 하드 코트층이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하드 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5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다. 특허문헌 2에서 사용되고 있는 투명 플라스틱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특히 PET 필름이다.
특허문헌 3에는 평균 섬유 직경 0.1∼20㎛의 셀룰로오스 섬유와 평균 섬유 직경 100㎚ 미만의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를 초지한 부직포 및 이 부직포로 구성된 축전지 소자용 세퍼레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162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005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36517호
본 발명은 수지층의 밀착성이 높고, 또한 투명성이 높은 부직포와 수지의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은 복합체, 또한,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시트층)와,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밀착성이 높은 복합체,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시트층)와 피복층의 밀착성이 높은 첩합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이접착성층을 개재하여 수지층을 적층함으로써, 수지층의 밀착성이 높고, 투명성이 높은 부직포 수지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1)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이하,「시트층」이라고 한다)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된 복합체는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은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2)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을 개재하여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된 복합체, 3)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이 적층된 첩합용 시트는 각층간의 밀착성이 높고,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은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1)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갖는 복합체.
(2) 미세 섬유의 평균 섬유폭이 2∼100㎚인 (1)에 기재된 복합체.
(3) 시트층의 밀도가 0.90g/㎤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복합체.
(4) 시트층이 부직포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
(5) 미세 섬유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
(6)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피복층을 개재하여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된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
(7) 시트층의 두께가 2∼150㎛이고, 피복층의 두께가 0.1∼30㎛이며,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두께가 0.2∼100㎛인 (6)에 기재된 복합체.
(8)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밀착성이 JIS 규격 K5400에 준거한 크로스컷 시험에 있어서 100매시 중 박리수가 10 이하인 (6) 또는 (7)에 기재된 복합체.
(9)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헤이즈가 10% 이하인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
(10) 피복층이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인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
(11)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가 규소 골격을 갖는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으로 구성되는 (10)에 기재된 복합체.
(12) 유기 성분이 메틸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기,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및 아미노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성분인 (10) 또는 (11)에 기재된 복합체.
(13)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가 실세스퀴옥산인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
(14) 피복층이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및 광경화성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
(15) 피복층이 점착제인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
(16) 평균 섬유폭 2∼1000㎚의 셀룰로오스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을 갖는 첩합용 시트.
(17) 피복층이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인 (16)에 기재된 시트.
(18) 유기 성분이 메틸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기,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및 아미노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성분인 (17)에 기재된 시트.
(19)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가 실세스퀴옥산인 (17) 또는 (18)에 기재된 시트.
(20) (16)∼(19)의 시트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적층한 복합체.
(21)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피복층의 시트층과는 반대측의 표면 위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22) 시트층과 피복층이 도공 또는 첩합에 의해 적층된 (21)에 기재된 복합체의 제조 방법.
(23) 피복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도공 또는 첩합에 의해 적층된 (21)에 기재된 복합체의 제조 방법.
(24)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투영 장치, 간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또는 태양 전지.
[1] 섬유 원료를 화학적 처리 및 해섬 처리함으로써 얻은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이접착성층을 개재하여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부직포 수지 복합체.
[2] 미세 섬유의 평균 섬유폭이 2∼100㎚인 [1]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3] 부직포층의 밀도가 0.90g/㎤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4] 부직포층의 두께가 2∼150㎛이고, 이접착성층의 두께가 0.1∼30㎛이며, 수지층의 두께가 0.2∼50㎛인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5] 수지층의 밀착성이 JIS 규격 K5400에 준거한 크로스컷 시험에 있어서 100매시 중 박리수가 10 이하인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6]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헤이즈가 10% 이하인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7] 이접착성층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8] 이접착성층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실세스퀴옥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9] 수지층이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자외선 처리 또는 열처리에 의해 경화함으로써 얻은 수지층인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10] 미세 섬유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인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
[11] 섬유 원료를 화학적 처리 및 해섬 처리함으로써 얻은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이접착성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이접착성층의 부직포층과는 반대측의 표면 위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의 제조 방법.
[12] [1]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부직포 수지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투영 장치, 간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또는 태양 전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층의 밀착성이 높고, 또한 투명성이 높은 부직포와 수지의 복합체가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1)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은 복합체, 2)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밀착성이 높고,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은 복합체, 3) 시트층과 피복층의 밀착성이 높고,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은 첩합용 시트가 제공된다.
도 1은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피복층을 개재하여 시트층의 한쪽 면에 적층되어 있는 복합체를 나타낸다.
도 2는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피복층을 개재하여 시트층의 양면에 적층되어 있는 복합체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재료, 방법 및 수치 범위 등의 설명은 당해 재료, 방법 및 수치 범위 등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며, 또한, 그 이외의 재료, 방법 및 수치 범위 등의 사용을 제외하는 것도 아니다. 수치 범위 「x∼y」는 양단의 값 x 및 y를 포함한다. 주성분이란, 질량을 기준으로서 가장 많이 포함되는 성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 수지 복합체는 섬유 원료를 화학적 처리 및 해섬 처리함으로써 얻은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이접착성층을 개재하여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부직포 수지 복합체는 부직포층, 이접착성층 및 수지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복합체는, 1)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된 복합체, 2)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을 개재하여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된 복합체, 3)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이 적층된 첩합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복합체는, 1)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2층으로 구성되는 복합체, 2) 시트층과 피복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3층으로 구성되는 복합체, 3) 시트층과 피복층의 2층으로 구성되는 첩합용 시트이다.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은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적층할 수 있다. 도 1은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피복층을 개재하여 시트층의 한쪽 면에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는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피복층을 개재하여 시트층의 양면에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시트층(부직포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층은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한다. 미세 섬유는 평균 섬유폭이 2∼1000㎚의 미세 섬유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여도 되고,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여도 되며,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와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미세 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이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기한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섬유로는 예를 들면, 무기 섬유, 유기 섬유, 합성 섬유 등, 반합성 섬유, 재생 섬유를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무기 섬유로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암석 섬유, 금속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섬유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키틴, 키토산 등의 천연물 유래의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비닐론, 비닐리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아라미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합성 섬유로는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프로믹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생 섬유로는 예를 들면, 레이온, 큐프라, 폴리노직 레이온, 리오셀, 텐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와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는 필요에 따라 화학적 처리, 해섬 처리 등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는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와 혼합하고 나서 화학적 처리, 해섬 처리 등의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고,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에 화학적 처리, 해섬 처리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와 혼합할 수도 있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를 혼합하는 경우,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와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의 합계량에 있어서의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이다. 상기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미세 섬유의 첨가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세 섬유로서 셀룰로오스 원료를 화학적 처리 및 해섬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해도 된다.
셀룰로오스 원료로는 제지용 펄프, 면 린터나 면 린트 등의 면계 펄프, 마, 밀짚, 버개스 등의 비목재계 펄프, 해초류나 해초 등에서 단리되는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입수 용이성이라는 점에서 제지용 펄프가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지용 펄프로는 화학 펄프, 반화학 펄프, 기계 펄프, 비목재 펄프 및 탈묵 펄프를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 펄프로는 활엽수 크래프트 펄프,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 술파이트 펄프(SP), 소다 펄프(AP)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활엽수 크래프트 펄프 로는 표백 크래프트 펄프(LBKP), 미표백 크래프트 펄프(LUKP), 산소 표백 크래프트 펄프(LOKP)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로는 표백 크래프트 펄프(NBKP), 미표백 크래프트 펄프(NUKP), 산소 표백 크래프트 펄프(NOKP) 등을 들 수 있다. 반화학 펄프로는 세미 케미컬 펄프(SCP), 케미그라운드 우드 펄프(CGP) 등을 들 수 있다. 기계 펄프로는 쇄목 펄프(GP), 서모메커니컬 펄프(TMP, BCTMP) 등을 들 수 있다. 비목재 펄프로는 닥나무, 삼지닥 나무, 마, 케나프 등을 원료로 하는 비목재 펄프를 들 수 있다. 탈묵 펄프로는 폐지를 원료로 하는 탈묵 펄프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입수하기 쉬운 점에서 크래프트 펄프, 탈묵 펄프, 술파이트 펄프가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셀룰로오스 원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수평균) 섬유폭은 2∼1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평균 섬유폭 2∼100㎚이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는 통상 제지 용도로 사용하는 펄프 섬유보다 훨씬 가는 셀룰로오스 섬유 혹은 봉상 입자여도 된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는 결정 부분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분자의 집합체이고, 그 결정 구조는 I형(평행 사슬)이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수평균 섬유폭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평균 섬유폭이 2㎚ 미만이면, 셀룰로오스 분자로서 물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로서의 물성(강도나 강성, 치수 안정성)이 발현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가 I형 결정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은 회절 프로파일에 있어서 2θ=14∼17°부근과 2θ=22∼23°부근의 2지점의 위치에 전형적인 피크를 갖는 점에서 동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회절 프로파일이란, 그래파이트로 단색화한 CuKα(λ=1.5418Å)를 사용한 광각 X선 회절 사진에서 얻어지는 회절 프로파일이다. 또한,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한 섬유폭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농도 0.05∼0.1질량%의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수계 현탁액을 제조하고, 당해 현탁액을 친수화 처리한 카본막 피복 그리드 위에 캐스트하여 TEM 관찰용 시료로 한다. 폭이 넓은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리 위에 캐스트한 표면의 SEM상을 관찰해도 된다. 구성하는 섬유의 폭에 따라 1000배, 5000배, 10000배 혹은 50000배 중 어느 배율로 전자현미경 화상에 의한 관찰을 행한다. 단, 시료, 관찰 조건이나 배율은 하기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조정한다.
(1) 관찰 화상 내의 임의 지점에 한 개의 직선 X를 긋고, 당해 직선 X에 대해 20개 이상의 섬유가 교차한다.
(2) 동일한 화상 내에서 당해 직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Y를 긋고, 당해 직선 Y에 대해 20개 이상의 섬유가 교차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관찰 화상에 대해, 직선 X, 직선 Y와 교착하는 섬유의 폭을 육안으로 판독한다. 이렇게 하여 적어도 겹치지 않은 표면 부분의 화상을 3조 이상 관찰하여, 각각의 화상에 대해 직선 X, 직선 Y와 교착하는 섬유의 폭을 판독한다. 이와 같이 적어도 20개×2×3=120개의 섬유폭을 판독한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평균 섬유폭은 이와 같이 판독한 섬유폭의 평균값이다.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000㎛가 바람직하고, 5∼800㎛가 더욱 바람직하며, 10∼600㎛가 특히 바람직하다. 섬유 직경이 1㎛ 미만이 되면, 미세 섬유 시트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1000㎛를 넘으면 미세 섬유의 슬러리 점도가 매우 높아져 취급하기 힘들어진다. 섬유 길이는 TEM, SEM, AFM에 의한 화상 해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화학적 처리>
셀룰로오스 원료 또는 그 밖의 섬유 원료(무기 섬유, 유기 섬유, 합성 섬유등, 반합성 섬유, 재생 섬유 등)의 화학적 처리의 방법은 미세 섬유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 방법은 예를 들면, 오존 처리, TEMPO 산화 처리, 효소 처리, 또는 셀룰로오스 또는 섬유 원료 중의 관능기와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에 의한 처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존 처리의 일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54726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섬유를 오존 처리한 후, 물에 분산하여 얻어진 섬유의 수계 분산액을 분쇄 처리한다.
TEMPO 산화 처리의 일례로는 Biomacromolecules 8, 2485-2491, 2007(Saito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효소 처리의 일례로는 국제 공개 WO2013/176033(WO2013/176033의 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 중에 인용된다)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원료를 적어도 효소의 EG 활성과 CBHI 활성의 비가 0.06 이상의 조건하에서 효소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셀룰로오스 또는 섬유 원료 중의 관능기와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에 의한 처리로는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62608호에 기재되어 있는 4급 암모늄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한 처리;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36859호(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36859호의 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 중에 인용된다)에 기재되어 있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및
(3) 국제 공개 WO2013/73652(WO2013/73652의 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 중에 인용된다)에 기재되어 있는 「구조 중에 인 원자를 함유하는 옥소산, 폴리옥소산 또는 이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62608호에 기재되어 있는 4급 암모늄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한 처리는 섬유 중의 수산기와 4급 암모늄기를 갖는 양이온화제를 반응시켜, 당해 섬유를 양이온 변성하는 방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36859에 기재되어 있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은 이하와 같이 행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 2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산무수물 및 이들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르복실산계 화합물에 의해 섬유 원료를 처리하여 섬유 원료에 카르복시기를 도입한다. 이어서, 카르복시기를 도입한 섬유 원료를 알칼리 용액으로 처리한다.
국제 공개 WO2013/73652에 기재되어 있는 구조 중에 인 원자를 함유하는 옥소산, 폴리옥소산 또는 이들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하, 화합물 A로 칭한다)에 의해 섬유 원료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하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섬유 원료에 화합물 A의 분말이나 수용액을 혼합하는 방법, 또는 섬유 원료의 슬러리에 화합물 A의 수용액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다. 화합물 A는 인산, 폴리인산, 아인산, 포스폰산, 폴리포스폰산 혹은 이들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염의 형태여도 된다. 인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인산, 인산의 나트륨염, 인산의 칼륨염, 인산의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인산의 나트륨염으로는 인산 이수소나트륨, 인산 수소 이나트륨, 인산 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및 메타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의 칼륨염으로는 인산 이수소칼륨, 인산 수소 이칼륨, 인산 삼칼륨, 피로인산칼륨 및 메타인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의 암모늄염으로는 인산 이수소암모늄, 인산 수소 이암모늄, 인산 삼암모늄, 피로인산암모늄, 메타인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해섬 처리>
셀룰로오스 원료 또는 그 밖의 섬유 원료(무기 섬유, 유기 섬유, 합성 섬유등, 반합성 섬유, 재생 섬유 등)는 해섬 처리에 제공함으로써 미세화하여, 수평균 섬유폭이 2∼1000㎚인 미세 섬유를 얻을 수 있다. 해섬 처리 공정에서는 해섬 처리 장치를 이용해, 상기 화학적 처리로 얻어진 원료를 해섬 처리하여, 미세 섬유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해섬 처리 장치로는 습식 분쇄하는 장치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인더(맷돌형 분쇄기), 고압 호모지나이저, 초고압 호모지나이저, 고압 충돌형 분쇄기, 볼밀, 디스크형 리파이너, 코니컬리파이너, 2축 혼련기, 진동 밀, 고속 회전하에서의 호모 믹서, 초음파 분산기, 비터 등이다. 단, 해섬 처리 장치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시트층은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한다. 시트층에 사용하는 시트 로는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종이, 필름 등,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시트층에 포함되는 미세 섬유의 함유량은 시트층의 건조 중량에 대해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8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시트층의 미세 섬유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강도가 높은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시트층의 물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층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90g/㎤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g/㎤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g/㎤ 이상이다. 시트층의 밀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1.60g/㎤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는 1∼3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2∼1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이다.
여기서, 시트층은 목적에 따라 복수의 시트층을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복수의 시트층을 사용하는 경우는 복수의 시트층의 합계의 두께 및 합계의 밀도가 상기한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층의 형성]
시트층의 형성에 있어서, 미세 섬유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조한다. 이 현탁액에는 친수성 고분자를 첨가해도 된다. 친수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셀룰로오스 유도체(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 카제인, 덱스트린, 전분, 변성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아세토아세틸화폴리비닐알코올 등),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아크릴산염류,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우레탄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친수성 고분자 대신에 친수성 저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친수성 저분자 화합물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갈락티톨, 만니톨,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친수성 고분자, 또는 친수성 저분자 화합물을 첨가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미세 섬유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0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질량부이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에 도공하는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현탁액은 미세 섬유와 분산매를 함유하는 액이다. 분산매로는 물,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취급성이나 비용의 점에서 물만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물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물과 병용하는 유기 용제로는 알코올계 용제, 케톤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등의 극성 용제가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코올계 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케톤계 용제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계 용제로는 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테이트계 용제로는 초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현탁액에 포함되는 미세 섬유의 고형분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20질량%가 바람직하고, 0.1∼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5∼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희석 후의 고형분 농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해섬 처리의 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해섬 처리 장치 내에서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층은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기재 위에 도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기재로는 필름, 직포, 부직포로 대표되는 시트상의 것, 판 또는 원통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수지, 금속 또는 종이 등이 사용되고, 보다 용이하게 미세 섬유 함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는 수지 또는 종이가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아연, 철, 놋쇠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종이 기재로는 예를 들면, 편염지, 상질지, 중질지, 카피 용지, 아트지, 코트지, 크래프트지, 판지, 백판지, 신문 용지, 갱지 등의 종이 기재를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도공하는 도공기로는 예를 들면, 롤코터, 그라비아 코터, 다이 코터, 커텐 코터, 에어 닥터 코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두께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다이 코터, 커텐 코터, 스프레이 코터가 바람직하고, 다이 코터가 보다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공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공 온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미세 섬유 함유 현탁액을 용이하게 도공할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도공 중의 분산매의 휘발을 억제할 수 있다.
기재 위에 도공한 미세 섬유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건조시킴으로써 부직포층을 형성한다. 건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접촉의 건조 방법이어도 되고, 시트를 구속하면서 건조시키는 방법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이들을 조합하여도 된다.
비접촉의 건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풍, 적외선,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에 의해 가열해 건조시키는 방법(가열 건조법), 진공으로 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진공 건조법)을 적용할 수 있다. 가열 건조법과 진공 건조법을 조합해도 되지만, 통상은 가열 건조법이 적용된다. 적외선,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에 의한 건조는 적외선 장치, 원적외선 장치 또는 근적외선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건조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1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10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하면, 분산매를 신속하게 휘발시킬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가열에 필요로 하는 비용의 억제 및 미세 섬유의 열에 의한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피복층(이접착성층)]
피복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피복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 또는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와 수지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피복층으로서 점착제, 점착 시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로는 예를 들면, 피복층이 규소 골격을 갖는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복합체를 들 수 있다. 규소 골격을 갖는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로는 예를 들면, 실세스퀴옥산 등을 들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RSiO3 / 2)n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형 폴리머 또는 다면체 클러스터이다(식 중, R은 유기기를 나타낸다). R에 반응성 치환기를 도입하면, 이 반응성 치환기를 이용하여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의 경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의 구조로는 랜덤형 구조, 완전 바구니형 구조, 불완전 바구니형 구조, 사다리형 구조 등이 알려져 있다. 실세스퀴옥산으로는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의 콘포세란 SQ100 시리즈, 도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의 광경화형 SQ 시리즈, 고니시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폴리실세스퀴옥산 SR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를 구성하는 유기 성분으로는 메틸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기,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아미노기를 갖는 성분을 들 수 있고,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유기 성분으로는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복층을 구성하는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1: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2: 시트층과 필름층)의 밀착성이 높은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에 포함되는 유기 성분은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과 접착되기 쉽고, 한편, 하이브리드재에 포함되는 무기 성분은 시트층과 접착되기 쉽기 때문에,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접착성이 양호해진다. 무기 성분과 유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를 피복층의 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강도가 높고, 또한 깨지기 어려운 복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트층과 피복층을 접착시키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포, 첩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도포에 의해 시트층과 피복층을 접착시키는 경우, 상기 피복층을 구성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시트층에 도공하고, 필요에 따라 경화시킴으로써, 피복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경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사선으로는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의 경우, 예를 들면,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되고, 경화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점착제와 박리 시트로 구성되는 점착제(사용시에 점착제를 커버하고 있는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점착제를 사용한다. (예) 상품명: 논캐리어 테이프), 점착 시트 등을 시트층과 피복층을 첩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복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는 0.1∼5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1∼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이다.
피복층은 2층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복수의 피복층으로 하는 경우는 복수의 피복층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수지층)]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습도, 물, 열, 가스 등에 대해 배리어능을 갖는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은 적어도 2층 이상 적층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지방족 폴리올레핀계 수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비정성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옥세탄 수지,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규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알릴에스테르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광경화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옥세탄 수지 등의 전구체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상이한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및 광경화성 수지 중, 광경화성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제로는 예를 들면, 다관능 아민, 폴리아미드, 산무수물,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 촉매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경화제, 경화 촉매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접착시키는 방법, 및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피복층을 개재하여 접착시키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포, 첩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도포에 의해 시트층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접착시키는 경우, 수지 전구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시트층에 도공하고 경화시킴으로써,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경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사선으로는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의 경우, 예를 들면,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되고, 경화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에 의해 피복층을 개재하여 시트층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첩합시키는 경우, 시트층에 피복층을 도공한 후, 피복층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피복층으로서 점착제, 점착제와 박리 시트로 구성되는 점착제(사용시에 점착제를 커버하고 있는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점착제를 사용한다. (예) 상품명: 논캐리어 테이프), 점착 시트 등을 사용하여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첩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는 0.1∼1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은 목적에 따라 복수의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복수의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사용하는 경우는 복수의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 시트층에 예를 들면, 물에 대해 배리어능을 갖는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적층함으로써, 시트층의 물에 대한 배리어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복합체(부직포와 수지의 복합체)]
본 발명의 복합체는 1) 시트층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된 복합체(2층), 2)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피복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복합체(3층), 3) 시트층에 피복층이 적층된 첩합용 시트(2층)이다.
1) 시트층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된 복합체(2층)는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은 것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2)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피복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복합체(3층)는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고,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밀착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3) 시트층에 피복층이 적층된 첩합용 시트(2층)는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고, 시트층과 피복층의 밀착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복합체 및 첩합용 시트의 각층간의 밀착성은 이하의 실험예에 기재한 JIS 규격 K5400에 준거한 크로스컷 시험에 있어서 100매시 중 박리수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체 및 첩합용 시트는 투명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전광선 투과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여도 되며, 99%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복합체의 용도(부직포 수지 복합체의 용도)]
본 발명의 복합체 및 첩합용 시트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리어 프로젝션 TV 등의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체는 조명 장치, 투영 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체 및 첩합용 시트는 터치 패널이나 태양 전지(실리콘계 태양 전지, 색소 증감 태양 전지 등)의 배선 기판이나 전면판, 컬러 필터 기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기판으로서의 용도에 있어서 배리어막, ITO, TFT 등과 적층해도 된다.
이하의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예 1)
(1) 시트층(A)(부직포층(A)라고 하기도 한다)의 성막
시트로서 부직포를 사용하여 하기 방법으로 시트층(부직포층)을 제조하였다.
인산 이수소나트륨 이수화물 265g 및 인산 수소 이나트륨 197g을 538g의 물에 용해시켜, 인산계 화합물의 수용액(이하, 「인산화 시약」이라고 한다)을 얻었다.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오지 제지 주식회사 제조, 수분 50질량%, JIS P8121에 준하여 측정되는 캐나다 표준 여수도(CSF) 700㎖)를 함수율 80질량%가 되도록 이온 교환수로 희석하여, 펄프 현탁액을 얻었다. 이 펄프 현탁액 500g에 상기 인산화 시약 210g을 첨가하여 105℃의 송풍 건조기로 때때로 혼련하면서 질량이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이어서, 150℃의 송풍 건조기로 때때로 혼련하면서 1시간 가열 처리하여, 셀룰로오스에 인산기를 도입하였다.
이어서, 인산기를 도입한 셀룰로오스에 5000㎖의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교반 세정 후, 탈수하였다. 탈수 후의 펄프를 5000㎖의 이온 교환수로 희석해 교반하면서, 1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pH가 12∼13이 될 때까지 조금씩 첨가하여 펄프 현탁액을 얻었다. 그 후, 이 펄프 현탁액을 탈수해 5000㎖의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세정을 행하였다. 이 탈수 세정을 추가로 1회 반복하였다.
세정 탈수 후에 얻어진 펄프에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고, 1.0질량%의 펄프 현탁액으로 하였다. 이 펄프 현탁액을 고압 호모지나이저(NiroSoavi사 제조 「Panda Plus 2000」)로 조작 압력 1200bar로 5회 패스시켜,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 현탁액(1)을 얻었다. 추가로, 습식 미립화 장치(스기노 머신사 제조 「얼티메이저」)로 245MPa의 압력으로 5회 패스시켜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 현탁액(2)를 얻었다.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의 평균 섬유폭은 4.2㎚였다.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 현탁액(2)에 폴리에틸렌글리콜(와코 순약사 제조: 분자량 4000000)을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 100질량부에 대해, 1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여기서, 고형분 농도가 0.5질량%가 되도록 농도 제조를 행하였다. 부직포의 마무리 평량이 37.5g/㎡가 되도록 현탁액을 계량해, 시판의 아크릴판에 전개하여 50℃의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또한, 소정의 평량이 되도록 아크릴판 위에는 언지용 판을 배치해, 얻어지는 부직포가 사각형이 되도록 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를 얻었다(부직포층에 포함되는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은 86.9질량%). 얻어진 부직포층(A)의 두께는 25㎛, 밀도는 1.49g/㎤였다.
(2) 피복층(B)의 성막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UV 코트 앵커제(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아라코트 AP2510, 고형분 30질량%) 76중량부, 경화제(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아라코트 CL2502, 고형분 20질량%) 10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14중량부를 혼합하여, 이접착성 도공액을 얻었다. 이어서, 부직포층(A)의 한쪽 면에 이접착성 도공액을 메이어 바를 이용해 도공하였다. 그 후, 100℃에서 3분간 건조시켜 이접착성 도공액을 경화하여, 두께 1㎛의 피복층(B)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를 얻었다.
(3) 수지층(C)의 성막
아크릴 수지 조성물(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빔 세트 381」) 80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20중량부를 혼합해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얻었다. 부직포층(A)·피복층(B) 복합체의 피복층(B) 위에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메이어 바를 이용해 도공하였다. 이어서, UV 컨베이어 장치(아이그라픽스사 제조 「ECS-4011GX」)를 이용해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경화하여,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한쪽 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2)
(1) 피복층(B)의 성막
실험예 1의 (2)에 있어서, 부직포층(A)의 한쪽 면에 피복층(B)를 성막한 후,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1.0㎛의 피복층(B)를 성막하여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를 얻었다.
(2) 수지층(C)의 성막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의 한쪽 면에 실험예 1의 (3)과 동일한 순서로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또한,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3)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빔 세트 575CB」) 50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50중량부를 혼합해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얻었다. 실험예 2의 (1)에 있어서 얻은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의 한쪽 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메이어 바를 이용해 도공하였다. 이어서, 80℃에서 3분간 건조시킨 후, UV 컨베이어 장치(아이그라픽스사 제조 「ECS-4011GX」)를 이용해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경화하여,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또한,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4)
아크릴 수지 조성물(아데카사 제조 「아데카 옵트머 HC500-60」) 40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60중량부를 혼합해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의 (1)에 있어서 얻은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의 한쪽 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메이어 바를 이용해 도공하였다. 이어서, 100℃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UV 컨베이어 장치(아이그라픽스사 제조 「ECS-4011GX」)를 이용해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경화하여,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또한,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5)
실험예 4에 있어서, 부직포층(A)의 두께를 50㎛(밀도 1.47g/㎤)로 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험예 4와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6)
실험예 4에 있어서, 부직포층(A)의 두께를 75㎛(밀도 1.46g/㎤)로 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험예 4와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7)
실험예 6에 있어서,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의 양면에 성막하는 수지층(C)의 두께를 10㎛로 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험예 6과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8)
실험예 6에 있어서,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의 양면에 성막하는 수지층(C)의 두께를 20㎛로 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험예 6과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9)
(1) 피복층(B)의 성막
실세스퀴옥산(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콘포세란 SQ107」) 26중량부, 경화제(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HBSQ201」) 14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60중량부를 혼합해, 접착성 도공액을 얻었다. 이어서, 실험예 1의 (1)에서 얻어진 부직포층(A)의 한쪽 면에 접착성 도공액을 메이어 바를 이용해 도공하였다. 그 후, 100℃에서 3분간 건조시킨 후, UV 컨베이어 장치(아이그라픽스사 제조 「ECS-4011GX」)를 이용해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접착성 도공액을 경화하여, 두께 2.5㎛의 피복층(B)를 성막하였다. 또한,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2.5㎛의 피복층을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를 얻었다.
(2) 수지층(C)의 성막
아크릴 수지 조성물(아데카사 제조 「아데카 옵트머 HC500-60」) 40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60중량부를 혼합해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얻었다.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의 한쪽 면에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메이어 바를 이용해 도공하였다. 이어서, 100℃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UV 컨베이어 장치(아이그라픽스사 제조 「ECS-4011GX」)를 이용해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경화하여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또한,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10)
실험예 9에 있어서, 부직포층(A)의 양면에 성막하는 피복층(B)의 두께를 5.0㎛로 하고, 또한,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의 양면에 성막하는 수지층(C)의 두께를 10㎛로 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11)
실험예 10에 있어서, 부직포층(A)의 두께를 130㎛(밀도 1.42g/㎤)로 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험예 10과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12)
실험예 11에 있어서, 부직포층(A)와 피복층(B)로 구성되는 복합체의 양면에 성막하는 수지층(C)의 두께를 40㎛로 하였다. 여기서, 수지층(C)의 성막에 있어서는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의 도공량을 늘려, 소정의 막두께로 하기 위해,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도공을 행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험예 11과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13)
실험예 12에 있어서, 부직포층(A)의 양면에 성막하는 피복층(B)의 두께 25㎛로 하였다. 여기서, 피복층(B) 및 수지층(C)의 성막에 있어서는 이접착성 도공액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의 도공량을 늘려, 소정의 막두께로 하기 위해,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도공을 행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험예 12와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14)
실험예 1의 (1)에서 얻어진 부직포층(A)의 한쪽 면에 실험예 1의 (3)과 동일한 순서로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또한,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양면에 수지층(C)가 직접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15)
실험예 1의 (1)에서 얻어진 부직포층(A)의 한쪽 면에 아크릴 수지 조성물(아데카사 제조 「아데카 옵트머 HC500-60」) 40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60중량부를 혼합해 얻은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메이어 바를 이용해 도공하였다. 이어서, 100℃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UV 컨베이어 장치(아이그라픽스사 제조 「ECS-4011GX」)를 이용해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성 수지 전구체 용액을 경화하여,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또한,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양면에 수지층(C)가 직접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16)
실험예 1의 (1)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와코 순약사 제조: 분자량 4000000)을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 100질량부에 대해 15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층(A)를 얻었다(부직포층에 포함되는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은 40질량%). 이어서, 실험예 1의 (3)과 동일한 순서로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또한,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2.5㎛의 수지층(C)를 성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양면에 수지층(C)가 직접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평가 방법>
상기의 실험예에서 제조한 복합체에 대해 이하의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밀착성의 평가(크로스컷 시험)
JIS 규격 K5400에 준거하여 복합체의 면에 1㎟의 크로스컷을 100개 형성하고, 셀로판 테이프(니치반사 제조)를 그 위에 첩부해 1.5kg/㎠의 하중으로 압착 후, 90°방향으로 박리하였다. 박리한 매시수에 의해, 부직포층(A)와 수지층(C)의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2) 복합체의 전광선 투과율
JIS 규격 K7105에 준거하여 헤이즈미터(스가 시험기사 제조 「HM-150」)를 이용해 C광에 의한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3) 복합체의 헤이즈
JIS 규격 K7136에 준거하여 헤이즈미터(스가 시험기사 제조 「HM-150」)를 이용해 C광에 의한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4) 인장 탄성률
JIS 규격 P8113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기(L&W사 제조 「파괴 인성 테스터 SE-064」)를 이용해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부직포층(A)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수지층(C)를 적층한 실험예 1∼13에 있어서는 부직포층(A)와 수지층(C)의 밀착성이 높아 투명성이 높은(전광선 투과율이 높고, 헤이즈가 낮은) 복합체가 얻어졌다. 또한,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이 86.9질량%인 부직포층(A)에 수지층(C)를 직접 적층한 실험예(실험예 14 및 실험예 15)에서는 미세 섬유상 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이 40질량%인 부직포층(A)에 수지층(C)를 직접 적층한 실험예(실험예 16)와 비교해, 고강도이며 투명성이 높은 복합체가 얻어졌다.
(실험예 17)
실험예 1에 있어서, 부직포층(A)에 피복층(B)를 성막하고, 수지층(C)를 성막하지 않는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즉, 부직포층(A)와 피복층(B)의 2층으로 구성되는 첩합용 시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부직포층(A)와 피복층(B)의 밀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이외에는 전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험예 18)
실험예 17에 있어서, 부직포층의 한쪽 면에 피복층을 성막한 후, 부직포층의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두께 1.0㎛의 피복층을 성막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험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부직포층(시트층)에 피복층을 적층한 첩합용 시트(실험예 17 및 18)는 부직포층과 피복층의 밀착성이 높아 투명성이 높았다.
(실험예 19)
실험예 1에서 제조한 복합체의 균열 용이성에 대해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이하,「균열성의 평가」라고 한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균열성의 평가>
복합체(세로 10㎝×가로 10cm)를 손으로 절곡시켜, 부직포 복합체에 균열이 생기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균열이 생기지 않았다.
×: 균열이 생겼다.
(실험예 20)
실험예 2에서 제조한 복합체의 균열 용이성에 대해 실험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험예 21)
실험예 1에 있어서, 피복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대신에 실세스퀴옥산(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콘포세란 SQ10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제조한 복합체의 균열 용이성에 대해 실험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험예 22)
실험예 2에 있어서, 피복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대신에 실세스퀴옥산(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콘포세란 SQ10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제조한 복합체의 균열 용이성에 대해 실험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피복층으로서 실세스퀴옥산을 사용한 복합체(실험예 21, 22)는 피복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복합체(실험예 19, 20)와 비교해 균열(크랙)이 생기지 않았다.
(실험예 23)
실험예 1에서 얻어진 부직포층(A)에 대해, 피복층(B)로서 애프터 UV형 점착제(신탁 화성 제조 「DC011」, 두께 25㎛)를 첩합하였다. 또한, 피복층(B)의 상면에 필름층(C)로서 PET 필름(도레이 제조 「루미러 S10」, 두께 25㎛)을 첩합하였다. 그 후, UV 컨베이어 장치(아이그라픽스사 제조 「ECS-4011GX」)를 이용해 필름층(C)측으로부터 250mJ/㎠의 자외선을 6회 조사하고, 피복층(B)를 경화시켰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직포층(A)의 한쪽 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필름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험예 24)
실험예 23에 있어서, 시트층(A)의 한쪽 면에 피복층(B) 및 필름층(C)를 적층한 후,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순서로 피복층(B) 및 필름층(C)를 적층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시트층(A)의 양면에 피복층(B)를 개재하여 필름층(C)가 적층된 복합체를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피복층으로서 점착제를 사용한 복합체(실험예 23, 24)에 대해서도 부직포층(시트층)과 수지층의 밀착성이 양호하였다.
1: 시트층
2: 피복층
3: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

Claims (24)

  1.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갖는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미세 섬유의 평균 섬유폭이 2∼100㎚인 복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트층의 밀도가 0.90g/㎤ 이상인 복합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층이 부직포인 복합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세 섬유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인 복합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피복층을 개재하여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적층된 복합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시트층의 두께가 2∼150㎛이고, 피복층의 한층 당 두께가 0.1∼30㎛이며,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한층 당 두께가 0.2∼100㎛인 복합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시트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의 밀착성이 JIS 규격 K5400에 준거한 크로스컷 시험에 있어서 100매시 중 박리수가 10 이하인 복합체.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헤이즈가 10% 이하인 복합체.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복층이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인 복합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가 규소 골격을 갖는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으로 구성되는 복합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유기 성분이 메틸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기,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및 아미노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를 포함하는 성분인 복합체.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가 실세스퀴옥산인 복합체.
  14.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복층이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및 광경화성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복합체.
  15.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복층이 점착제인 복합체.
  16. 평균 섬유폭 2∼1000㎚의 셀룰로오스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을 갖는 첩합용 시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피복층이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인 시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유기 성분이 메틸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기,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및 아미노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성분인 시트.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의 하이브리드재가 실세스퀴옥산인 시트.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의 시트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적층한 복합체.
  21. 평균 섬유폭 2∼1000㎚의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층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피복층의 시트층과는 반대측의 표면 위에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시트층과 피복층이 도공 또는 첩합에 의해 적층된 복합체의 제조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피복층과 경화성 수지층 또는 필름층이 도공 또는 첩합에 의해 적층된 복합체의 제조 방법.
  24.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투영 장치, 간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또는 태양 전지.
KR1020167029514A 2014-04-22 2015-04-20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5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8043 2014-04-22
JPJP-P-2014-088043 2014-04-22
PCT/JP2015/061981 WO2015163281A1 (ja) 2014-04-22 2015-04-20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608A true KR20160145608A (ko) 2016-12-20

Family

ID=5433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514A KR20160145608A (ko) 2014-04-22 2015-04-20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32545B2 (ko)
EP (1) EP3135488B1 (ko)
JP (2) JP6686880B2 (ko)
KR (1) KR20160145608A (ko)
CN (1) CN106457798A (ko)
TW (1) TW201542366A (ko)
WO (1) WO20151632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306A (ko) * 2018-12-05 2020-06-15 에코바이오플라스틱코리아 주식회사 셀룰로스 미분말을 함유하는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7136B (zh) * 2013-06-03 2019-06-14 王子控股株式会社 含微细纤维的片材的制造方法
KR102221910B1 (ko) * 2014-10-10 2021-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701807B2 (ja) * 2015-09-18 2020-05-2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体
KR102196197B1 (ko) 2015-09-18 2020-12-29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JP6806083B2 (ja) * 2015-11-30 2021-01-0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シートおよびシートの製造方法
JP7052356B2 (ja) * 2016-01-20 2022-04-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840465B2 (ja) * 2016-01-29 2021-03-1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6610347B2 (ja) * 2016-03-10 2019-11-2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シートおよびプレススルー包装体
KR102339634B1 (ko) * 2016-03-11 2021-12-1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광투과형 도전 적층체, 그것을 사용한 광투과형 도전 성형체
JP6805731B2 (ja) * 2016-10-31 2020-12-2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体
JP6907600B2 (ja) * 2017-03-02 2021-07-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シート
JP6907601B2 (ja) * 2017-03-02 2021-07-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シート
CN110520475B (zh) * 2017-03-31 2023-02-28 太阳控股株式会社 固化性树脂组合物、干膜、固化物、电子部件及印刷电路板
US11492755B2 (en) 2018-08-23 2022-11-08 Eastman Chemical Company Waste recycle composition
US11421385B2 (en) 2018-08-23 2022-08-23 Eastman Chemical Company Soft wipe comprising cellulose acetate
US11492756B2 (en) 2018-08-23 2022-11-08 Eastman Chemical Company Paper press process with high hydrolic pressure
US11492757B2 (en) * 2018-08-23 2022-11-08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 of matter in a post-refiner blend zone
US11408128B2 (en) 2018-08-23 2022-08-09 Eastman Chemical Company Sheet with high sizing acceptance
US11230811B2 (en) 2018-08-23 2022-01-25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e bale comprising cellulose ester
US11414818B2 (en) 2018-08-23 2022-08-16 Eastman Chemical Company Dewatering in paper making process
US11512433B2 (en) * 2018-08-23 2022-11-29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 of matter feed to a head box
US11401659B2 (en) 2018-08-23 2022-08-02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to produce a paper article comprising cellulose fibers and a staple fiber
US11639579B2 (en) 2018-08-23 2023-05-02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e pulp comprising cellulose acetate
US11390996B2 (en) 2018-08-23 2022-07-19 Eastman Chemical Company Elongated tubular articles from wet-laid webs
US11479919B2 (en) 2018-08-23 2022-10-25 Eastman Chemical Company Molded articles from a fiber slurry
US11332885B2 (en) 2018-08-23 2022-05-17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 removal between wire and wet press of a paper mill process
US11466408B2 (en) 2018-08-23 2022-10-11 Eastman Chemical Company Highly absorbent articles
US11390991B2 (en) * 2018-08-23 2022-07-19 Eastman Chemical Company Addition of cellulose esters to a paper mill without substantial modifications
US11286619B2 (en) 2018-08-23 2022-03-29 Eastman Chemical Company Bale of virgin cellulose and cellulose ester
US11530516B2 (en) 2018-08-23 2022-12-20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 of matter in a pre-refiner blend zone
US11401660B2 (en) 2018-08-23 2022-08-02 Eastman Chemical Company Broke composition of matter
US11525215B2 (en) 2018-08-23 2022-12-13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and cellulose ester film
US11396726B2 (en) 2018-08-23 2022-07-26 Eastman Chemical Company Air filtration articles
US11313081B2 (en) 2018-08-23 2022-04-26 Eastman Chemical Company Beverage filtration article
US11519132B2 (en) 2018-08-23 2022-12-06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 of matter in stock preparation zone of wet laid process
US11306433B2 (en) 2018-08-23 2022-04-19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 of matter effluent from refiner of a wet laid process
US11299854B2 (en) 2018-08-23 2022-04-12 Eastman Chemical Company Paper product articles
US11339537B2 (en) 2018-08-23 2022-05-24 Eastman Chemical Company Paper bag
US11332888B2 (en) 2018-08-23 2022-05-17 Eastman Chemical Company Paper composition cellulose and cellulose ester for improved texturing
US11420784B2 (en) 2018-08-23 2022-08-23 Eastman Chemical Company Food packaging articles
US11441267B2 (en) 2018-08-23 2022-09-13 Eastman Chemical Company Refining to a desirable freeness
US11421387B2 (en) 2018-08-23 2022-08-23 Eastman Chemical Company Tissue product comprising cellulose acetate
US11414791B2 (en) 2018-08-23 2022-08-16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ed deinked sheet articles
GB2588571A (en) * 2019-02-25 2021-05-05 Medibord Ltd Composite
JP2020185680A (ja) * 2019-05-10 2020-11-1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用基材
JP7292672B2 (ja) * 2019-07-19 2023-06-19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用液体収容部材
CN110552233B (zh) * 2019-08-08 2020-11-24 华南理工大学 一种纸基透明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10024272A (ko) * 2019-08-21 2021-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796175A (zh) * 2019-10-10 2021-12-14 株式会社富士工 层叠体、具有其的涂层构件及层叠体的制造方法
WO2021131380A1 (ja) * 2019-12-24 2021-07-0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シート及びシート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549A (ja) 1996-05-09 1997-11-25 Sony Corp ハードコート層付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JP2006316253A (ja) 2005-03-31 2006-11-24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セルロース含有樹脂複合体
JP2012036517A (ja) 2010-08-04 2012-02-23 Daicel Corp セルロース繊維で構成された不織布及び蓄電素子用セパレ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26485C (en) * 1995-07-10 2002-09-10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Porous composite shee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0117872A (ja) * 1998-10-15 2000-04-25 Sumitomo Chem Co Ltd 収縮性フィルム
KR100292409B1 (ko) * 1999-05-24 2001-06-01 윤종용 실리콘-메틸 결합을 함유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절연막 및 그 형성방법
JP4187941B2 (ja) * 2001-03-14 2008-11-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ホウ素含有ポリオルガノシルセスキオキサン及び接着剤組成物
JP2004082469A (ja) * 2002-08-26 2004-03-1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ストレッチ包装用積層フィルム
KR20120088678A (ko) 2003-07-31 2012-08-08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섬유 강화 복합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그 이용
JP5419120B2 (ja) * 2006-02-02 2014-02-19 中越パルプ工業株式会社 セルロースナノ繊維を用いる撥水性と耐油性の付与方法
JP5099618B2 (ja) * 2006-07-19 2012-12-19 ローム株式会社 繊維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3130B2 (ja) * 2007-02-15 2013-06-26 福井県 熱可塑性樹脂補強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可塑性樹脂多層補強シート材
JP5072870B2 (ja) 2008-01-18 2012-11-14 グンゼ株式会社 複合ファブリック
TWI443167B (zh) * 2008-02-19 2014-07-01 Lintec Corp And a polyorganosiloxane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JP5386866B2 (ja) * 2008-06-30 2014-01-15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ナノファイバーシート
CN102209753B (zh) * 2008-11-11 2013-07-24 可乐丽股份有限公司 热塑性聚合物组合物以及含有该热塑性聚合物组合物的片状成型体
JP2011144363A (ja) 2009-12-14 2011-07-28 Mitsubishi Chemicals Corp セルロース繊維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49124A (ja) 2010-01-21 2011-08-04 Oji Paper Co Ltd 微細繊維状セルロースコンポジット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805219B1 (ko) 2010-03-24 2017-12-0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대전 방지용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적층 재료
JP5928339B2 (ja) 2010-11-25 2016-06-01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03080B2 (ja) * 2011-02-21 2016-10-05 三菱化学株式会社 セルロース繊維および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
JP2012180463A (ja) * 2011-03-02 2012-09-20 Arakawa Chem Ind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当該硬化物、およびこれらから誘導される各種物品
JP5935263B2 (ja) * 2011-08-19 2016-06-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を有する有機電子デバイス
US20140234640A1 (en) * 2011-08-31 2014-08-21 Konica Minolta, Inc. Gas barrier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ubstrate for electronic element using the same
JP5869828B2 (ja) 2011-10-04 2016-02-24 有限会社テクノワールド ガスバリア紙状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WO2013104520A1 (fr) 2012-01-13 2013-07-18 Arjo Wiggins Fine Papers Limited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feuille
JP6083165B2 (ja) 2012-09-12 2017-02-22 凸版印刷株式会社 金属/セルロース複合化微細繊維の製造方法、金属/セルロース複合化微細繊維を含む分散体および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
JP6070015B2 (ja) 2012-09-26 2017-02-01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層形成用塗工液の製造方法、ガスバリア性積層体の製造方法、包装材料の製造方法及びガスバリア層形成用塗工液
JP2016145649A (ja) 2013-05-27 2016-08-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549A (ja) 1996-05-09 1997-11-25 Sony Corp ハードコート層付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JP2006316253A (ja) 2005-03-31 2006-11-24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セルロース含有樹脂複合体
JP2012036517A (ja) 2010-08-04 2012-02-23 Daicel Corp セルロース繊維で構成された不織布及び蓄電素子用セパレ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306A (ko) * 2018-12-05 2020-06-15 에코바이오플라스틱코리아 주식회사 셀룰로스 미분말을 함유하는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32545B2 (en) 2020-01-14
EP3135488A1 (en) 2017-03-01
CN106457798A (zh) 2017-02-22
EP3135488B1 (en) 2023-12-06
JP2020104525A (ja) 2020-07-09
US20170043565A1 (en) 2017-02-16
EP3135488A4 (en) 2017-11-08
TW201542366A (zh) 2015-11-16
JPWO2015163281A1 (ja) 2017-04-13
WO2015163281A1 (ja) 2015-10-29
JP6950778B2 (ja) 2021-10-13
JP6686880B2 (ja) 2020-04-22
EP3135488C0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0778B2 (ja)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283606B2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7170908A1 (ja) 繊維状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及び繊維状セルロース
JP6627377B2 (ja) シートおよび積層体
TWI712495B (zh) 積層體
WO2017073555A1 (ja) 積層シート及び積層体
JP6670049B2 (ja) ガスバリア層形成用塗工液の製造方法及びガスバリア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7047632A1 (ja) 積層体
JP2018145546A (ja) シート
JP6569369B2 (ja) シート、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6186982B2 (ja) 不織布と樹脂の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222877A (ja) ガスバリア層形成用塗工液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スバリア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617576B2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7082071A (ja) シート及び成形体
JP6736915B2 (ja) 積層体
JP6641912B2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8144291A (ja) 積層シート
JP6965912B2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620567B2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