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183A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183A
KR20160034183A KR1020150115014A KR20150115014A KR20160034183A KR 20160034183 A KR20160034183 A KR 20160034183A KR 1020150115014 A KR1020150115014 A KR 1020150115014A KR 20150115014 A KR20150115014 A KR 20150115014A KR 20160034183 A KR20160034183 A KR 20160034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atrix
electrolyte
polymer
negative electrode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495B1 (ko
Inventor
김택경
장민철
손병국
양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6003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극은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 및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 전해질을 포함함으로써,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 동안에도 전해액의 손실 및 그에 따른 전지 수명특성 저하의 우려가 없고, 또 리튬의 덴트라이트 성장이 억제되어 전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NEGATIVE ELECTROD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전지의 반복적인 충, 방전 동안에도 전해액의 손실 및 그에 따른 전지 수명특성 저하의 우려가 없고, 또 리튬의 덴트라이트 성장이 억제되어 우수한 안전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 전지(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그 외의 이차 전지는, 차량 탑재용 전원, 또는 노트북 등의 휴대 단말기의 전원으로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량으로 고에너지 밀도를 얻을 수 있는 리튬 이차 전지는 차량 탑재용 고출력 전원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어서, 향후 계속적인 수요 증대가 전망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을 음극과 음극의 활물질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을 설치한 후 액체 전해질을 주입시켜 제조되며, 상기 음극 및 양극에서의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에 따른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전기가 생성 또는 소비된다.
그러나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 동안 전극의 부피변화에 따른 전해액의 손실 및 고갈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지 구동이 지속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하여 전지의 수명특성을 향상시키고, 또 리튬의 덴드라이트 성장을 억제하여 리튬 전극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59605호 (2002.10.2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 동안에도 전해액의 손실 및 그에 따른 전지 수명특성 저하의 우려가 없고, 또 리튬의 덴트라이트 성장이 억제되어 우수한 안전성을 갖는 음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음극을 포함하여 개선된 전지 성능 및 안전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은, 리튬 금속 또는 리튬 금속의 합금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 및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은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기공 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5 내지 80부피%의 기공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는 고분자간 가지 사슬에 의한 화학적 가교결합, 반응성 다중관능기를 갖는 1 이상의 단량체 사이의 커플링, 블록공중합체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스터 도메인(cluster domain)의 물리적 가교결합 및 이오노머의 이온성 가교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그 유도체의 가교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반응성 다중관능기를 갖는 2 이상의 단량체 사이의 커플링에 의한 3차원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프레임(covalent organic framework)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술폰산기(SO3H), 인산기(PO4H2), 탄산기(CO3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치환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리튬으로 자기-도핑(self-doping)된 음이온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중량평균분자량 1,000,000g/mol 이상의 비가교 선형 고분자가 서로 얽힌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은 상기 구조체에 담지되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비가교 선형고분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1nm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고분자 내에 흡수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은,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의 제조 단계;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전해질을 함침하거나, 도포 또는 분무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전해질을 포함시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 및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은,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 동안에도 전해액의 손실 및 그에 따른 전지 수명특성 저하의 우려가 없고, 또 리튬의 덴트라이트 성장이 억제되어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전극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극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 전지의 사이클 수명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사이클 진행이 종료된 후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사진이고, 도 6은 사이클 진행이 종료된 후의 비교예에 따른 전극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음극의 제조시,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 위에 음극을 보호하는 동시에 전해액을 축적할 수 있는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 동안에도 전해액의 손실 및 그에 따른 전지 수명특성 저하의 우려가 없고, 또 리튬의 덴트라이트 성장이 억제되어 전지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은, 리튬 금속 또는 리튬 금속의 합금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 및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극에 있어서, 음극활성층은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및 디인터칼레이션(deintercalation)이 가능한 음극활물질로서, 리튬 금속 또는 리튬 금속의 합금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 금속의 합금은 구체적으로 리튬과 Si, Al, Sn, Pb, Zn, Bi, In, Mg, Ga, 또는 Cd의 금속과의 합금일 수 있다.
또, 상기 음극활성층은 상기 음극활물질과 함께 선택적으로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음극활물질의 페이스트화, 활물질간 상호 접착, 활물질과 집전체와의 접착, 활물질 팽창 및 수축에 대한 완충 효과 등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르복실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레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는 음극활성층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하, 혹은 5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한 음극활성층 위에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 포함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보호층이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는 고분자간 가지사슬에 의한 화학적 가교결합, 반응성 다중관능기를 갖는 1 이상의 단량체 사이의 커플링, 블록공중합체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스터 도메인(cluster domain)의 물리적 가교결합 및 이오노머의 이온성 가교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간 가지 사슬에 의한 화학적 가교결합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또는 그 유도체와 같이 가교제의 역할을 하는 가지 사슬에 의해 주 사슬이 가교되어 가교결합 구조체를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반응성 다중관능기를 갖는 1 이상의 단량체 사이의 커플링에 의한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 형성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일 단량체의 유무기 졸겔 반응에 의한 폴리실세스퀴옥산(polysilsesquioxane)의 형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직쇄, 분지 또는 환형의 2가의 탄화수소기(예를 들면, 알킬렌기, 벤젠기 등)로서, 올리고에틸렌글리콜(oligoethylene glycol) 등과 같은 리튬 이온 전도성의 모이어티(moiety)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반응하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량체들은 각각 서로 다른 R1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1이 리튬 이온을 잘 전달해 주는 모이어티인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R1이 기계적 강성을 우수하게 해 주는 모이어티인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서로 커플링되어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 2 이상의 단량체의 커플링에 의한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 형성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화학식 2의 단량체와 화학식 3a 내지 3c의 화합물과의 커플링에 의한 3차원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프레임(covalent organic framework)의 형성을 들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 및 3a~3c에서,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분지 또는 환형의 탄화수소기로서, 올리고에틸렌글리콜(oligoethylene glycol) 등과 같은 리튬 이온 전도성의 모이어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X 및 Y는 서로 반응하여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로서, X는 아미노기 또는 히드록시기이고, Y는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산기, 또는 알데히드기일 수 있다. X와 Y는 전자를 주고 받음에 따라 반응을 하게 되는데, 이때 R 또는 R'의 전기음성도에 따라 원활한 반응을 위하여 Y가 아미노기 또는 히드록시기이고, X가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산기, 또는 알데히드기일 수도 있다.
다만, 반응식 1에서 상기 화학식 2 및 3a~3c이 각각 X 또는 Y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화학식 2 및 3a~3c이 한 분자 내에 X 및 Y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 상기 블록공중합체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스터 도메인(cluster domain)의 물리적 가교결합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반응식 2에서와 같은 블록공중합체의 물리적 가교결합을 들 수 있다. 하기 반응식 2는 블록공중합체의 물리적 가교결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3
또,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분자내 이온전도가 가능한 블록을 포함함으로써 저항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오노머의 이온성 가교 결합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구조식 (I)에서와 같이 폴리술폰산의 프로톤이 리튬으로 치환된 이오노머의 이온성 가교 결합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4
(I)
상기 이오노머는 리튬으로 자기-도핑(self-doping)된 음이온 고분자 전해질(anionic polymer electrolyte)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술폰산기(SO3H), 인산기(PO4H2), 탄산기(CO3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로서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리튬으로 자기-도핑된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스티렌 술폰산과 같이 고분자 측쇄 말단이 술폰산기로 치환되어 있는 고분자 중에서 SO3H가 SO3Li로 치환된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오노머의 이온성 가교 결합체는 단일 리튬 이온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된 것으로서 음이온의 이동은 저해하고 리튬 이온만을 이동하게 하여 이온 간 농도 구배를 최소화하고, 그 결과로 덴드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는 고분자 사슬의 가교결합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구조내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다공성의 고분자 매트릭스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해질은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기공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고분자 매트릭스 총 부피에 대하여 5 내지 80부피%의 기공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기공도가 5부피% 미만이면 기공에 함침되어 포함되는 전해액의 함량이 낮아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에 따른 개선효과가 미미하고, 기공도가 80부피%를 초과하면 고분자 매트릭스 자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경우 기공도가 80부피%를 초과하더라도 삽입되는 유기 모이어티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그리고 2개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단량체의 함량비를 조절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고분자의 가교도에 따라 고분자가 전해질을 흡수하여 팽윤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해질이 고분자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비가교 선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해질은 비가교 선형 고분자내에 흡수되어 포함되거나, 또는 서로 얽혀진 비가교 선형 고분자들 사이에 담지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비가교 선형 고분자가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상기 비가교 선형 고분자는 투입되는 전해질이 고분자내로 흡수됨에 따라 팽창하는 동시에, 흡수된 전해질로 인해 전해질 이온 전도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가교 선형 고분자 내로 흡수되는 전해질의 양이 많을수록 증가된 이온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전해질 흡수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고분자 매트릭스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가교 선형 고분자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구한 전해질에 대한 팽윤율이 300 내지 700중량%, 혹은 400 내지 5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학식 1]
팽윤률(%) = P2/Pl×lOO
상기 식에서, P1은 두께 100㎛로 조정한 고분자화합물의 시험편을 건조한 후의 중량이고, P2는 사용하는 전해액에 25℃에서 10시간 함침한 후의 중량이다.
상기한 범위의 팽윤율을 갖는 비가교 선형 고분자는 높은 전해액 흡수율(degree of swelling)을 가져, 음극과 전해액의 접촉시, 전해액을 구성하는 이온의 자유로운 투과가 가능하고, 이 같은 전해질 이온의 전도성 증가로 전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가교 선형고분자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 일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은 음극활물질로서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과 같은 리튬계 화합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리튬과의 계면 접합성을 고려하여 상기한 보호층 형성용 비가교 선형 고분자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비가교 선형고분자가 중량평균분자량 1,000,000g/mol 이상의 호모폴리머(homopolymer)인 경우, 서로 얽힌 상태로 고분자 매트릭스내에 포함되고, 이같이 얽혀진 구조로 인해 전해질을 담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전해질은, 유기용매 및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전지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스테르 용매, 에테르 용매, 케톤 용매,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알콕시알칸 용매, 카보네이트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n-프로필 아세테이트(n-propyl acetate), 디메틸아세테이트(dimethyl acetate), 메틸프로피오네이트(methyl propionate), 에틸프로피오네이트(ethyl propionate), γ-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γ-발레로락톤(γ-valerolactone),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γ-카프로락톤(γ-caprolactone), δ-발레로락톤(δ-valerolactone), 또는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부틸 에테르(dibutyl ether), 테트라글라임(tetraglyme),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2-methyltetrahydrofuran), 또는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톤계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젠(benzene), 플루오로벤젠(fluorobenzene),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아이오도벤젠(iodobenzene), 톨루엔(toluene), 플루오로톨루엔(fluorotoluene), 또는 자일렌(xyle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콕시알칸 용매로는 디메톡시에탄(dimethoxy ethane) 또는 디에톡시에탄(diethoxy etha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carbonate, DM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carbonate, DE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ipropylcarbonate, DPC),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methylpropylcarbonate, MPC),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ethylpropylcarbonate, EPC), 메틸에틸카보네이트(methylethylcarbonate, M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methylcarbonate, EMC),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부틸렌카보네이트(butylenes carbonate, BC), 또는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luoroethylene carbonate, FE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리튬 이차 전지에서 사용되는 리튬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염으로는 LiPF6, LiClO4, LiAsF6, LiBF4, LiSbF6, LiAl04, LiAlCl4, LiCF3SO3, LiC4F9SO3, LiN(C2F5SO3)2, LiN(C2F5SO2)2, LiN(CF3SO2)2. LiN(CaF2a + 1SO2)(CbF2b + 1SO2)(단, a 및 b는 자연수, 바람직하게는 1≤a≤20이고, 1≤b≤20임), LiCl, LiI, LiB(C2O4)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튬염을 전해질에 용해시키면, 상기 리튬염은 리튬 이차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기능하고, 양극과 음극 간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튬염은 상기 전해질 내에 대략 0.6mol% 내지 2mo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튬염의 농도가 0.6mol% 미만인 경우 전해질의 전도도가 낮아져 전해질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2mol%를 초과하는 경우 전해질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해질의 전도도 및 리튬 이온의 이동성을 고려하면, 상기 리튬염은 상기 전해질 내에서 대략 0.7mol% 내지 1.6mol%로 조절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상기 전해질 구성 성분들 외에도 전지의 수명특성 향상, 전지 용량 감소 억제, 전지의 방전 용량 향상 등을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전해질에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이하, '기타 첨가제'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렌카보네이트(vinylenecarbonate, VC), 메탈플루오라이드(metal fluoride, 예를 들면, LiF, RbF, TiF, AgF, AgF2, BaF2, CaF2, CdF2, FeF2, HgF2, Hg2F2, MnF2, NiF2, PbF2, SnF2, SrF2, XeF2, ZnF2, AlF3, BF3, BiF3, CeF3, CrF3, DyF3, EuF3, GaF3, GdF3, FeF3, HoF3, InF3, LaF3, LuF3, MnF3, NdF3, PrF3, SbF3, ScF3, SmF3, TbF3, TiF3, TmF3, YF3, YbF3, TIF3, CeF4, GeF4, HfF4, SiF4, SnF4, TiF4, VF4, ZrF44, NbF5, SbF5, TaF5, BiF5, MoF6, ReF6, SF6, WF6, CoF2, CoF3, CrF2, CsF, ErF3, PF3, PbF3, PbF4, ThF4, TaF5, SeF6 등), 글루타노나이트릴(glutaronitrile, GN), 숙시노나이트릴(succinonitrile, SN), 아디포나이트릴(adiponitrile, AN), 3,3'-티오디프로피오나이트릴(3,3'-thiodipropionitrile, TPN), 비닐에틸렌카보네이트(vinylethylene carbonate, VEC),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luoroethylene carbonate, FEC), 디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difluoroethylenecarbonate), 플루오로디메틸카보네이트(fluorodimethylcarbonate), 플루오로에틸메틸카보네이트(fluoroethylmethylcarbonate), 리튬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thium bis(oxalato)borate, LiBOB), 리튬 디플루오로(옥살레이토) 보레이트(Lithium difluoro (oxalate) borate, LiDFOB), 리튬(말로네이토 옥살레이토)보레이트(Lithium (malonato oxalato) borate, LiMOB)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 상기 전해질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중량비로 포함될 때 보다 높은 충방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전해질의 함량이 100중량부 미만이면 보호층내 이온 전도도가 낮아 전지 특성 저하의 우려가 있고, 1000중량부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많은 양의 전해질이 음극쪽으로 몰려 양극까지의 전해질 분포도가 고르지 못하고, 그 결과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전해질의 함량이 100 중량부이더라도, 유무기 졸겔 반응법에 의한 경우나, 2개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삽입하는 유기 블록이 이온 전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온 전도도의 저하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보호층은 1nm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가 1nm 미만이면 과충전 또는 고온 저장 등의 조건에서 증가되는 전극활물질과 전해액의 부반응 및 발열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여 안전성 향상을 이룰 수 없고, 또 10㎛를 초과할 경우 보호층내 고분자 매트릭스가 전해액에 의해 함침 또는 팽윤되는데 장시간이 요구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이 저하되어 전체적인 전지 성능 저하의 우려가 있다. 보호층의 형성에 따른 개선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상기 보호층은 10nm 내지 1㎛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상기 음극은 상기한 음극활성층의 지지를 위한 집전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전체는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티타늄, 은, 팔라듐, 니켈, 이들의 합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일 수 있고, 상기 스테인리스스틸은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합금으로는 알루미늄-카드뮴 합금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외에도 소성 탄소, 도전재로 표면 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음극은,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의 제조 단계;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대해 전해질을 함침하거나, 도포 또는 분무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전해질을 포함시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단계 1은 음극활성층의 형성 단계로서, 음극활물질, 그리고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음극활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음극 집전체에 도포 후 건조하여 음극활물질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공정없이 리튬 금속의 박막 그 자체로 음극활성층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음극활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음극활물질, 그리고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제를 용매 중에 분산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가능한 음극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제의 종류와 함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용매의 바람직한 예로는 디메틸셀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알코올, N-메틸피롤리돈(NMP), 아세톤 또는 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집전체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재료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공지 방법 중에서 선택하거나 새로운 적절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집전체 위에 분배시킨 후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분배와 분산 과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다이캐스팅(die casting), 콤마코팅(comma coating),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집전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후 집전체 위에 형성된 음극활성층에 대해 건조 공정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건조 공정은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의 가열처리 또는 열풍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 상기 건조 후 제조된 음극합제가 적절한 합제밀도를 갖도록 압연 등의 공정이 선택적으로 더 실시될 수도 있다. 압연 방법은 통상의 전극 제조에서의 압연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단계 2는 상기에서 제조한 음극 활성층 위에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고분자간 가지 사슬에 의한 화학적 가교결합, 반응성 다중관능기를 갖는 1 이상의 단량체 사이의 커플링, 블록공중합체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스터 도메인(cluster domain)의 물리적 가교결합 또는 이오노머의 이온성 가교 결합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 고분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화합물로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 가교결합을 통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고분자 또는 그 단량체; 또는 비가교 비선형 고분자를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한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조성물을 음극활성층 위에 도포 또는 분무하거나, 또는 음극활성층을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조성물에 침지한 후, 건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가교 선형 고분자 및 상기 물리적, 화학적 가교결합을 통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고분자의 구체적인 종류 및 함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 상기 용매는 사용되는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용해도 지수가 상기 고분자들과 유사하여 균일 혼합이 용이하고, 또 이후 용이한 용매 제거를 위해 끓는점(boiling point)이 가능한 낮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세톤 (aceto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etrahydrofuran),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 (chloroform), 디메틸포름아미드 (dimethylformamide),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NMP), 시클로헥산 (cyclohexane), 물 및 이들의 혼합체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유무기 졸겔 반응에 의한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경우, 산 처리하거나, 또는 열처리를 통해 가교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산 처리의 경우 음극활성층내 리튬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다른 기판위에서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한 후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위로 고분자 매트릭스를 전사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반응성 다중관능기를 갖는 2 이상의 단량체 사이의 커플링에 의한 3차원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량체내 반응성 다중관능기로는 마일드(mild)한 조건에서도 가교반응이 용이한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조성물은 고분자 매트릭스의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해 무기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 충진제는 구체적으로 실리카, 알루미나 등일 수 있으며,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조성물을 음극활성층 상에 코팅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딥(Dip) 코팅, 다이(Die) 코팅, 롤(roll) 코팅, 콤마(comma) 코팅 또는 이들의 혼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건조 공정은 150 내지 250℃에서, 진공 하에 12 내지 24시간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리튬 박막 위에 코팅한 후 건조할 경우에는 리튬의 녹는점(약 180℃)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 리튬 금속과 같은 음극활물질은 높은 충방전 용량을 나타내는 반면 가역성 및 안정성이 낮다. 또, 리튬이차전지의 충방전 동안에 전극의 부피 변화로 인해 전해액의 손실 또는 고갈이 발생되어 지속적인 전지 구동이 어렵다.
이에 대해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극은 음극활성층 위에 고분자 매트릭스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함으로써, 충전 또는 고온 저장 등의 극한 조건에서 발생되는 전극활물질과 전해액의 부반응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그 결과로 전극과 전해액의 부반응에 의한 발열량이 감소하고 전극 표면에서의 덴드라이트(dendrite) 형성이 억제되어 전지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함으로써 연신 및 굽힘 특성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충방전이 지속되더라도 전지 내부에서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이차전지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과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그리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전해액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사용하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원통형, 각형, 코인형, 파우치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이즈에 따라 벌크 타입과 박막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리튬 이차 전지(1)는 음극(3), 양극(5), 상기 음극(3) 및 양극(5) 사이에 세퍼레이터(7)를 배치하여 전극 조립체(9)를 제조하고, 이를 케이스(15)에 위치시키고 전해질(도시하지 않음)을 주입하여 상기 음극(3), 상기 양극(5) 및 상기 세퍼레이터(7)가 전해질에 함침되도록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극(3) 및 양극(5)에는 전지 작용시 발생하는 전류를 집전하기 위한 도전성 리드 부재(10, 13)가 각기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리드 부재(10, 13)는 각각 양극(5) 및 음극(3)에서 발생한 전류를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양극(5)은 양극 활물질, 도전제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양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양극 활물질 층 형성용 조성물을 알루미늄 포일 등의 양극 전류 집전체에 도포한 후 압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별도의 지지체 상에 캐스팅한 다음, 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금속 집전체상에 라미네이션하여 양극판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튬 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NiaCobMnc)O2(0<a<1, 0<b<1, 0<c<1, a+b+c=1), LiNi1 -yCoyO2, LiCo1 - yMnyO2, LiNi1 - yMnyO2(O≤y<1), Li(NiaCobMnc)O4(0<a<2, 0<b<2, 0<c<2, a+b+c=2), LiMn2 - zNizO4, LiMn2 - zCozO4(0<z<2), LiCoPO4 및 LiFe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화물(oxide) 외에 황화물(sulfide), 셀렌화물(selenide) 및 할로겐화물(halide)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제 및 바인더는 앞서 음극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세퍼레이터(7)로는 통상 리튬이차전지에서 세퍼레이터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전해액은 앞서 보호층의 형성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지로서 작동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는 우수한 방전용량, 사이클 수명 특성 및 율특성을 안정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빠른 충전 속도가 요구되는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휴대용 기기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PHEV) 등의 전기 자동차 분야, 그리고 중대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1: 음극의 제조]
( 실시예 1)
Dow Corning社에서 구매한 Sylgard 184 단량체와 경화제를 10:1 내지 10:5의 중량비로 섞었다. 두께를 1 내지 10um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해 농도를 낮추는 수단으로 헥산을 첨가하여 희석시켰다. 제조된 용액을 리튬 금속 박막 위에 도포한 후, 50 내지는 100℃에서 1시간 내지는 12시간 정도 열경화하였다. 이때, 온도가 높을수록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 실시예 2)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일 단량체를 졸겔 반응시켜 폴리실세스퀴옥산(polysilsesquioxane)을 형성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올리고에틸렌글리콜이다)
상기 제조된 폴리실세스퀴옥산 10중량%를 THF 중에 용해시켜 제조한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조성물을, 음극 활성층으로서 리튬 금속의 박막 위에 도포 한 후 100℃에서 경화하여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였다.
이때, 용매를 알코올로 달리하거나, 용액에 산 또는 염기를 첨가함으로써 경화 시간 및 경화도를 단축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리튬의 반응성을 고려하여 테플론 시트나 PET 시트와 같은 타 기재 위에서 경화시킨 후, 리튬 박막 위에 전사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음극활성층으로서 리튬 금속의 박막 위에, 상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화학식 2의 단량체와 화학식 3a의 화합물과의 커플링에 의한 3차원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프레임(covalent organic framework)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식 1의 화학식 2 및 3a에서, R 및 R'은 올리고에틸렌글리콜이고, X 및 Y는 X는 아미노기이고, Y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이었다. 상온, 질소 분위기 하에서 화학식 2 및 화학식 3a를 1:1의 당량비로 무수 DMF에 용해시켰다(농도 0.04 g/mL). 교반을 시키면 보통 3일 내지 4일 이전에는 졸(sol) 상태로 존재하고 이후에는 겔화(gelation)가 되는데, 졸 상태에서 박막 위에 도포한 후, 용매를 건조시켜 3차원 다공성 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고분자 측쇄 말단의 술폰산기(SO3H)가 SO3Li로 치환된 폴리스티렌 술폰산 10중량%를 THF 중에 용해시켜 제조한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조성물을, 음극활성층으로서 리튬 금속의 박막 위에 도포 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음극활성층으로 리튬 금속 박막을 이용하였다.
[제조예 2: 리튬이차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극을 이용하여 리튬 완전 대칭 셀을 제작하였다. 두 리튬 전극 사이에 다공성 폴리에틸렌의 분리막을 개재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케이스 내부에 위치시킨 후, 케이스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전극에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에도 함침된다.
상기 전해액은 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EC/EMC의 혼합 부피비=1/1)로 이루어진 유기용매에 1M 농도의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를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극의 모식도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모식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전극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극은 집전체(111) 위에 놓여진 리튬 금속 박막(112) 위에 고분자 매트릭스(113)가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13) 내에 전해액이 축적된다.
[실험예 1: 리튬 이차 전지의 사이클 수명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해 사이클 수명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사이클 수명에서 방전 용량이 급격히 저하되는 시점 및 전해액 uptake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사이클 진행이 종료된 후 리튬이차전지를 분해하였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극 사진을 각각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전해액 uptake(wt.%)1) 방전 용량이 급격히 저하되는 시점
비교예 1 0 30 사이클 후
실시예 1 400~1100 45 사이클 후
실시예 2 500~900 40 사이클 후
실시예 3 40~100 42 사이클 후
1) 전해액 uptake(wt.%): 직경이 19mm인 크기의 각 고분자 매트릭스의 전해액 함침 전, 후 질량을 측정하여 증가분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상기 도 4 내지 6 및 표 1을 참고하면, 전해액을 축적하고 있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지 않는 전극을 적용한 비교예의 경우, 사이클 진행이 종료된 후 셀을 분해해 보면 전해액이 완전 소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전해액을 축적하고 있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전극을 적용한 실시예의 경우, 사이클 진행이 종료된 후 셀을 분해해 보면 전해액이 잔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예 1에 비하여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음극이 고분자 매트릭스 유무에 따라 기공도, 전해액 uptake 및 사이클 수명이 개선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리튬 이차 전지
3: 음극
5: 양극
7: 세퍼레이터
9: 전극 조립체
10, 13: 리드 부재
15: 케이스
111: 집전체
112: 리튬 금속 박막
113: 고분자 매트릭스

Claims (14)

  1. 리튬 금속 또는 리튬 금속의 합금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 및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이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기공 내에 포함된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가 5 내지 80부피%의 기공도를 갖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가 고분자간 가지 사슬에 의한 화학적 가교결합, 반응성 다중관능기를 갖는 1 이상의 단량체 사이의 커플링, 블록공중합체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스터 도메인(cluster domain)의 물리적 가교결합 및 이오노머의 이온성 가교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그 유도체의 가교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반응성 다중관능기를 갖는 2 이상의 단량체 사이의 커플링에 의한 3차원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프레임(covalent organic framework)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술폰산기(SO3H), 인산기(PO4H2), 탄산기(CO3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치환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리튬으로 자기-도핑(self-doping)된 음이온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중량평균분자량 1,000,000g/mol 이상의 비가교 선형 고분자가 서로 얽힌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이 상기 구조체에 담지되어 포함된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교 선형고분자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1nm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이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고분자 내에 흡수되어 포함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13.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의 제조 단계;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전해질을 함침하거나, 도포 또는 분무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전해질을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4. 서로 대향 배치되는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이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활성층, 및 상기 음극활성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이 고분자의 3차원 가교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가교 선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
KR1020150115014A 2014-09-19 2015-08-14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811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4948 2014-09-19
KR1020140124948 2014-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183A true KR20160034183A (ko) 2016-03-29
KR101811495B1 KR101811495B1 (ko) 2017-12-20

Family

ID=5566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014A KR101811495B1 (ko) 2014-09-19 2015-08-14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495B1 (ko)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934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보호층이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80036564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직물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80047085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062883A3 (ko) * 2016-09-28 2018-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쉬 형태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062844A3 (ko) * 2016-09-30 2018-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직물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8511687A (zh) * 2018-02-28 2018-09-07 哈尔滨工业大学无锡新材料研究院 一种包覆固态聚合物电解质的锂金属负极及其制备方法
KR20180117868A (ko)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212438A2 (ko) 2017-05-15 2018-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80125378A (ko) 2017-05-15 2018-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9155427A (zh) * 2016-09-30 2019-01-04 株式会社Lg化学 锂二次电池
WO2019045408A1 (ko) 2017-09-01 2019-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90025500A (ko) 2017-09-01 2019-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90043087A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지
WO2019078526A2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지
CN110249469A (zh) * 2017-03-03 2019-09-17 株式会社Lg化学 锂二次电池
KR20190143566A (ko) 2018-06-21 2019-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지
JP2020038948A (ja) * 2018-09-06 2020-03-12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ハイブリッド材料の製造方法、ハイブリッド材料、電極の製造方法、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US10734670B2 (en) 2016-09-28 2020-08-04 Lg Chem, Ltd.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esh-shaped insulating lay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0897040B2 (en) 2016-09-30 2021-01-19 Lg Chem, Ltd. Anode having double-protection layer formed there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1056725B2 (en) 2016-11-21 2021-07-06 Lg Chem, Ltd.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WO2021172879A1 (ko) 2020-02-27 2021-09-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금속 음극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금속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10109455A (ko)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금속 음극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금속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21177723A1 (ko) 2020-03-06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10113055A (ko)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21194231A1 (ko) 2020-03-27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10120858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21210854A1 (ko)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10127622A (ko)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US11476468B2 (en) 2017-11-22 2022-10-18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3054060A1 (ja) * 2021-09-30 2023-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4333091A2 (en) 2022-08-31 2024-03-06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lithium-lanthanum allo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1952393B1 (en) * 2016-07-12 2024-04-09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chanically shaped 2-dimensional covalent organic frameworks
EP4350796A1 (en) 2022-08-31 2024-04-10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285B1 (ko) 2018-02-12 2020-01-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원된 금속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 전지

Cited B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2393B1 (en) * 2016-07-12 2024-04-09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chanically shaped 2-dimensional covalent organic frameworks
WO2018062883A3 (ko) * 2016-09-28 2018-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쉬 형태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734670B2 (en) 2016-09-28 2020-08-04 Lg Chem, Ltd.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esh-shaped insulating lay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WO2018062934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보호층이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P3442068A4 (en) * 2016-09-30 2019-08-07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10897040B2 (en) 2016-09-30 2021-01-19 Lg Chem, Ltd. Anode having double-protection layer formed there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80036564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직물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9155427B (zh) * 2016-09-30 2022-04-05 株式会社Lg新能源 锂二次电池
CN109155427A (zh) * 2016-09-30 2019-01-04 株式会社Lg化学 锂二次电池
US11302910B2 (en) 2016-09-30 2022-04-12 Lg Energy Solution,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protection layer made of conductive fabric,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WO2018062844A3 (ko) * 2016-09-30 2018-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직물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322777B2 (en) 2016-09-30 2022-05-03 Lg Energy Solution,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19516218A (ja) * 2016-09-30 2019-06-1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80047085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056725B2 (en) 2016-11-21 2021-07-06 Lg Chem, Ltd.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N110249469A (zh) * 2017-03-03 2019-09-17 株式会社Lg化学 锂二次电池
CN110249469B (zh) * 2017-03-03 2023-03-10 株式会社Lg新能源 锂二次电池
US11935999B2 (en) 2017-03-03 2024-03-19 Lg Energy Solution,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80117868A (ko)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80125378A (ko) 2017-05-15 2018-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212438A2 (ko) 2017-05-15 2018-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133507B2 (en) 2017-05-15 2021-09-28 Lg Chem, Ltd. Lithium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WO2019045408A1 (ko) 2017-09-01 2019-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전지
US10971754B2 (en) 2017-09-01 2021-04-06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KR20190025500A (ko) 2017-09-01 2019-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90043087A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지
WO2019078526A2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지
US11495824B2 (en) 2017-10-17 2022-11-08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lyte for lithium metal battery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same
US11476468B2 (en) 2017-11-22 2022-10-18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511687A (zh) * 2018-02-28 2018-09-07 哈尔滨工业大学无锡新材料研究院 一种包覆固态聚合物电解质的锂金属负极及其制备方法
KR20190143566A (ko) 2018-06-21 2019-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지
JP2020038948A (ja) * 2018-09-06 2020-03-12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ハイブリッド材料の製造方法、ハイブリッド材料、電極の製造方法、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WO2021172879A1 (ko) 2020-02-27 2021-09-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금속 음극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금속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10109455A (ko)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금속 음극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금속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10113055A (ko)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21177723A1 (ko) 2020-03-06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21194231A1 (ko) 2020-03-27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10120858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10127622A (ko)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21210854A1 (ko)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23054060A1 (ja) * 2021-09-30 2023-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4333091A2 (en) 2022-08-31 2024-03-06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lithium-lanthanum allo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EP4350796A1 (en) 2022-08-31 2024-04-10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495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49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0633492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US11374262B2 (en) Solid electrolyte battery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174690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US10205169B2 (en)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46582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열경화성 전해질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90050709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20230097225A1 (en) Composition, article, method of forming article, anode-free rechargeable battery and forming method thereof, and battery
EP3690992A1 (en) Cathode for solid electrolyte battery and solid electrolyte battery comprising same
KR102311066B1 (ko)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KR20180101043A (ko) 리튬 이차전지
KR102415542B1 (ko) 고체 전해질 전지용 양극 활물질 슬러리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체 전해질 전지용 양극
JP2024510499A (ja) 耐炎性バイポーラ電極、バイポーラリチウムバッテリー、および生産方法
KR20150026717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20170170512A1 (en) Electrochemical device
KR20190139156A (ko) 저온 특성 및 고온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KR20160077962A (ko)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244384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열경화성 전해질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50024226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50032138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2449854B1 (ko) 고체 전해질 전지용 음극 활물질 슬러리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체 전해질 전지용 음극
KR20170134156A (ko)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10112925A (ko) 리튬금속전지용 양극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용 복합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
KR20140115236A (ko)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20103640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