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561A -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 Google Patents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561A
KR20160031561A KR1020167005990A KR20167005990A KR20160031561A KR 20160031561 A KR20160031561 A KR 20160031561A KR 1020167005990 A KR1020167005990 A KR 1020167005990A KR 20167005990 A KR20167005990 A KR 20167005990A KR 20160031561 A KR20160031561 A KR 2016003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rrel
strand
crimp portion
type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846B1 (ko
Inventor
신이치 가모시다
다다아키 미오노
야스노리 핫토리
다케시 시미즈
미쯔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8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 H01B5/10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stranded around a space, insulating material, or dissimilar conducting material
    • H01B5/102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stranded around a space, insulating material, or dissimilar conducting material stranded around a high tensile strength core
    • H01B5/104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stranded around a space, insulating material, or dissimilar conducting material stranded around a high tensile strength core composed of metallic wires, e.g. steel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0Metal tubes, e.g. lead sheaths
    • H01B7/205Metal tubes, e.g. lead sheaths composed of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comprising synthetic filaments
    • H01B7/182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comprising synthetic filaments forming part of a high tensile strength cor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저항이 증대되는 일 없이, 또한 전선이 압착단자로부터 빠져버리는 일이 없는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압착단자(11)는, F형 크림프부(13), 및 C형 크림프부(14)를 가진다. F형 크림프부(13)는, 복합 연선의 말단을 압착하는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을 가진다.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의 길이는 동일하다. F형 크림프부(13)는,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의 선단을 함께 복합 연선의 말단에 밀어넣어서 압착한다. C형 크림프부(14)는, 복합 연선을 압착하는 제3의 배럴 탭(20)을 가진다. C형 크림프부(14)는, 제3의 배럴 탭(20)을 복합 연선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아서 압착한다.

Description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CRIMP TERMINAL AND CRIMP-TERMINAL-FITTED ELECTRICAL WIRE}
본 발명은, 보강선(補强線)의 외주면에 복수의 도체 소선(素線)이 감겨진 복합 연선(複合撚線:composite stranded wire)을 가지는 전선을 압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오픈 배럴형의 압착단자, 압착단자에 의해 상기의 전선을 압착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전선은 구리 전선과 비교하여 강도가 작기 때문에, 선 지름이 작을 때에는 끊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선보다 강도가 큰 보강선과 알루미늄 소선을 가지는 복합 연선이 개발되고 있다.
복합 연선을 가지는 전선을 오픈 배럴형의 압착단자에 의해 압착하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2에 나타나는 F형 크림프부를 가지는 압착단자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선(41)의 외주면에 복수의 알루미늄 소선(42)이 감겨진 복합 연선을 F형 크림프부(43)로 압착했을 때에는, F형 크림프부(43)에서는 복합 연선을 배럴 탭을 파고들게 하기 때문에, 보강선(41)을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알루미늄 소선(42)에 작용하는 힘이 불균일해지고, 알루미늄 소선(42)의 몇개인가에 힘이 집중하여 작용하고, 그 알루미늄 소선(42)의 단면적이 감소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F형 크림프부(43)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소선(42)의 강도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 전선을 압착하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C형 크림프부를 가지는 압착단자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형 크림프부에서는 알루미늄 전선에 배럴 탭을 파고들게 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보강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알루미늄 소선이 감겨진 복합 연선을 C형 크림프부에서 압착했을 때에는, 복수의 알루미늄 소선을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기 때문에,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소선의 강도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90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5-1902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73320호
그러나, 보강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알루미늄 소선이 감겨진 복합 연선을 C형 크림프부로 압착했을 때에는, C형 크림프부에서는 긴 쪽의 배럴 탭을 복합 연선의 한쪽 측으로부터 감도록 하여 감싸고, 또한 복합 연선의 말단에서는 알루미늄 소선이 흩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 때문에 2개의 배럴 탭으로 복합 연선을 감쌀 때, 알루미늄 소선이 양 배럴 탭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의 밖으로 빠져나오는 일이 있다. 그 결과, 알루미늄 소선이 C형 크림프부의 개구부로부터 밖으로 삐져나오는 일이 있다. 이 경우에는, C형 크림프부내의 알루미늄 소선의 충전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저항이 증대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 대책으로서는, C형 크림프부의 배럴 탭을 알루미늄 소선의 꼬임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감아붙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알루미늄 소선의 꼬임 방향이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음파 접합 등에 의해 알루미늄 소선끼리를 고착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전선의 제조 비용이 증대됨과 함께, 전선의 가요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강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알루미늄 소선이 감겨진 복합 연선을 C형 크림프부로 압착했을 때에는, 보강선은 알루미늄 소선보다 강도가 크기 때문에, 보강선은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 거의 변형되지 않으므로, 보강선을 C형 크림프부에 충분히 고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전선에 인장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인장력이 주로 알루미늄 소선에 작용한다. 한편, 복합 연선을 C형 크림프부로 압착했을 경우에는, 중심부의 보강선은 변형되지 않고, 외측의 알루미늄 소선만이 변형된다. 이 때문에, 복합 연선과 알루미늄 전선을 동일한 정도의 압착력으로 C형 크림프부에 의해 압착했을 경우에는, 복합 연선의 알루미늄 소선의 단면적은 알루미늄 전선의 단면적보다 많이 감소한다. 게다가, 알루미늄 소선은 보강선보다 강도가 작다. 따라서, 전선에 인장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 알루미늄 소선이 파단되고, 알루미늄 소선에 대해서 보강선이 미끄러져서, 전선이 압착단자로부터 빠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저항이 증대되는 일이 없고, 또한 전선이 압착단자로부터 빠져버리는 일이 없는 압착단자, 압착단자 부가 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는, 보강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도체 소선이 감겨지고, 상기 보강선의 강도가 상기 도체 소선의 강도보다 큰 복합 연선을 가지는 전선을 압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오픈 배럴형의 압착단자로서, 상기 복합 연선을 압착하는 제1, 제2의 배럴 탭을 가지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은 압착되는 상기 복합 연선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의 길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의 선단을 함께 상기 복합 연선의 말단에 밀어넣어서 압착하는 F형 크림프부와, 상기 복합 연선을 압착하는 제3의 배럴 탭을 가지고, 상기 제3의 배럴 탭을 상기 복합 연선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아서 압착하는 C형 크림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형태로서는, 상기 F형 크림프부의 상기 복합 연선이 접촉하는 부분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상기 복합 연선의 직경의 6분의 1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형태로서는, 상기 볼록부를 복수 마련하고, 상기 볼록부간의 상기 복합 연선의 길이방향의 간격을 상기 복합 연선의 직경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의 형태로서는,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에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를 상기 복합 연선의 직경의 3분의 1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의 형태로서는, 보강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도체 소선이 감겨지고, 상기 보강선의 강도가 상기 도체 소선의 강도보다 큰 복합 연선을 가지는 전선을 압착단자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으로서, 상기 압착단자가, F형 크림프부 및 C형 크림프부를 가지고, 상기 F형 크림프부가 제1, 제2의 배럴 탭을 가지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은 상기 복합 연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의 길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의 선단이 함께 상기 복합 연선에 밀어넣어져서, 상기 복합 연선의 말단을 압착하고, 상기 C형 크림프부가 제3의 배럴 탭을 가지고, 상기 제3의 배럴 탭이 상기 복합 연선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겨지고, 상기 복합 연선을 압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의 형태로서는, 상기 보강선이 상기 외주면에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한 강선(鋼線)이며, 상기 도체 소선이 알루미늄 소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1, 제5의 형태에 의하면, 복합 연선의 말단을 F형 크림프부로 압착할 수 있고, F형 크림프부에서는 제1, 제2의 배럴 탭의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복합 연선을 좌우 양측에서 동시에 감싸게 된다. 이 때문에, 복합 연선의 말단에서 도체 소선이 흩어져 있다고 해도, 도체 소선이 F형 크림프부의 개구부로부터 밖으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다. 또한, F형 크림프부에서는 제1, 제2의 배럴 탭이 복합 연선으로 파고들도록 위로부터도 복합 연선을 누르므로, 도체 소선이 위로 빠져나오는 일도 없다. 그 결과, 복합 연선의 말단에서 도체 소선이 흩어져 있다고 해도, 복합 연선의 말단의 도체 소선을 F형 크림프부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체 소선이 C형 크림프부의 개구부로부터 밖으로 삐져나오는 일이 없다. 이상으로부터, C형 크림프부내의 도체 소선의 충전율이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저항이 증대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복합 연선의 말단을 F형 크림프부에서 압착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 연선의 말단의 보강선을 F형 크림프부에서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복합 연선의 말단의 보강선을 F형 크림프부에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C형 크림프부에서는 보강선을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종래의 C형 크림프부보다 압착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전선에 인장력이 작용되었을 때에는, 인장력이 보강선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C형 크림프부의 도체 소선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비록 만일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도체 소선의 단면적이 압착에 의해 작아졌다고 해도,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 도체 소선이 파단되는 일이 없고, 전선이 압착단자로부터 빠져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는, 복수의 도체 소선을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도체 소선이 균일하게 변형된다. 이 때문에, C형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도체 소선의 강도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선을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강선이 C형 크림프부와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복합 연선과 C형 크림프부와의 도통 저항이 증대되는 일이 없다. 이상으로부터,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저항이 증대되는 일이 없고, 또한 전선이 압착단자로부터 빠져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의 제2의 형태에 의하면, F형 크림프부의 복합 연선이 접촉하는 부분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볼록부의 높이를 복합 연선의 직경의 6분의 1 이상으로 했기 때문에, 보강선의 F형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변형량이 커지고, 보강선을 F형 크림프부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3의 형태에 의하면, 볼록부를 복수 마련하고, 볼록부간의 복합 연선의 길이방향의 간격을 복합 연선의 직경 이상으로 했기 때문에, 보강선의 F형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변형량을 확실히 크게 할 수 있고, 보강선을 F형 크림프부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4의 형태에 의하면, 제1, 제2의 배럴 탭에 돌출부를 마련하고, 돌출부의 돌출 길이를 복합 연선의 직경의 3분의 1 이상으로 했기 때문에, 보강선의 F형 크림프부에 있어서의 변형량이 커지고, 보강선을 F형 크림프부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6의 형태에 의하면, 보강선이 강선이며, 도체 소선이 알루미늄 소선이기 때문에, 전선에 구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전선이 염가이며, 또한 강선의 외주면에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강선의 알루미늄 소선과의 전식(electrolytic corrosion)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에 의해 압착되는 전선의 단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압착단자의 일부 상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압착단자의 일부 상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확대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확대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확대 C-C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압착단자를 이용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의 F형 크림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의 C형 크림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의 피복 크림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E-E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압착단자를 이용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일부 상세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의 F형 크림프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F-F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의 F형 크림프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G-G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의 F형 크림프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H-H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의 F형 크림프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I-I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J-J 단면도이다.
도 26은 종래의 압착단자 부가 전선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압착단자에 의해 압착되는 전선을 설명한다. 전선(1)은 복합 연선(2)과 피복(3)을 가진다. 복합 연선(2)은 1개의 보강선인 강선(4)과 6개의 도체 소선인 알루미늄 소선(5)을 가진다. 강선(4)의 외주면에 알루미늄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강선(4)의 외주면에 알루미늄 소선(5)이 나선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알루미늄 소선(5)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A1070제이다. 강선(4)의 직경과 각 알루미늄 소선(5)의 직경은 동일하여, 0.2 mm이며, 복합 연선(2)의 직경은 0.6 mm이다. 피복(3)은, 예를 들어 염화 비닐로 이루어지고, 피복(3)의 두께는, 예를 들어 0.3 mm이다.
도 3 ~ 도 8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를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단자(11)는 접속부(12), F형 크림프부(13), C형 크림프부(14), 피복 크림프부(15), 캐리어 스트립(16)을 가진다. C형 크림프부(14)는 피복 크림프부(15)와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압착단자(11)는, 예를 들어 두께가 0.3 mm의 주석 도금 황동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다.
F형 크림프부(13)는 복합 연선(2)의 말단을 압착하는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을 가진다.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은 압착되는 복합 연선(2)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의 길이는 동일하다. F형 크림프부(13)는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의 선단을 함께 복합 연선(2)의 말단에 밀어넣어서 압착한다. 또한, F형 크림프부(13)의 복합 연선(2)이 접촉하는 부분에 2개의 볼록부(19)를 마련해도 좋다. 볼록부(19)는 압착단자(11)의 길이방향, 즉 도 4의 종이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19)의 높이는 0.1 mm이다. 또한, 볼록부(19)간의 복합 연선(2)의 길이방향의 간격(L), 즉 볼록부(19)의 중심선간의 거리는 0.7 mm이다.
C형 크림프부(14)는 복합 연선(2)을 압착하는 2조(組)의 제3, 제4의 배럴(20, 21)을 가진다. 제3, 제4의 배럴 탭(20, 21)은 압착되는 복합 연선(2)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제3의 배럴 탭(20)은 제4의 배럴 탭(21)보다 길다. C형 크림프부(14)는 제3의 배럴 탭(20)을 복합 연선(2)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아서 압착한다. 2조의 제3, 제4의 배럴 탭(20, 21)을 복합 연선(2)의 외주에 감는 방향은 다르다.
피복 크림프부(15)는 전선(1)의 피복(3)을 압착하는 2조의 제5, 제6의 배럴 탭(22, 23)을 가진다. 제5, 제6의 배럴 탭(22, 23)은 압착되는 전선(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제5의 배럴 탭(22)은 제6의 배럴 탭(23)보다 길다. 피복 크림프부(15)는 제5의 배럴 탭(22)을 피복(3)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아서 압착한다. 2조의 제5, 제6의 배럴 탭(22, 23)을 피복(3)의 외주에 감는 방향은 다르다.
다음에, 도 9 ~ 도 12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압착단자는 도 3 ~ 도 8에 나타낸 압착단자(11)를 이용하고 있고, 압착 장치에 의해 전선(1)이 압착단자(11)에 의해 압착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형 크림프부(13)의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은 복합 연선(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는, 제1, 제2의 배럴(17, 18)의 선단이 함께, 복합 연선(2)의 말단에 밀어넣어져 있다. 그리고,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의 복합 연선(2)의 단면적 감소율은 예를 들면 35%이다. 즉, 압착 후의 복합 연선(2)의 단면적은 압착전의 복합 연선(2)의 단면적보다, 예를 들면 35% 감소하고 있다. 또한,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의 강선(4)의 단면적 감소율은 예를 들면 28%이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선(4)은 볼록부(19)에 의해서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형 크림프부(14)의 2조의 제3, 제4의 배럴 탭(20, 21)은 복합 연선(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는, 제3의 배럴 탭(20)이 복합 연선(2)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2조의 제3, 제4의 배럴 탭(20, 21)을 복합 연선(2)의 외주에 감은 방향은 다르다. 그리고,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의 복합 연선(2)의 단면적 감소율은 예를 들면 25%이다. 즉, 압착 후의 복합 연선(2)의 단면적은 압착전의 복합 연선(2)의 단면적보다 예를 들면 25% 감소하고 있다. 또한,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의 강선(4)의 단면적 감소율은 0%이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 크림프부(15)의 2조의 제5, 제6의 배럴 탭(22, 23)은 피복(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피복 크림프부(15)에 있어서는, 제5의 배럴 탭(22)이 피복(3)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2조의 제5, 제6의 배럴 탭(22, 23)을 피복(3)의 외주에 감은 방향은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있어서는, 복합 연선(2)의 말단을 F형 크림프부(13)로 압착할 수 있고, F형 크림프부(13)에서는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의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복합 연선(2)을 좌우 양측에서 동시에 감싸게 된다. 이 때문에, 복합 연선(2)의 말단에서 알루미늄 소선(5)이 흩어져 있다고 해도, 알루미늄 소선(5)이 F형 크림프부(13)의 개구부로부터 밖으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다. 또한, F형 크림프부(13)에서는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이 복합 연선(2)으로 파고들도록 위로부터도 복합 연선(2)을 누르므로, 알루미늄 소선(5)이 위로 빠져나오는 일도 없다. 그 결과, 복합 연선(2)의 말단에서 알루미늄 소선(5)이 흩어져 있다고 해도, 복합 연선(2)의 말단의 알루미늄 소선(5)을 F형 크림프부(13)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알루미늄 소선(5)이 C형 크림프부(14)의 개구부로부터 밖으로 삐져나오는 일이 없다. 따라서, C형 크림프부(14)내의 알루미늄 소선(5)의 충전율이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의 저항이 증대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복합 연선(2)의 말단을 F형 크림프부(13)로 압착할 수 있고,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는, 제1, 제2의 배럴 탭(17, 18)의 선단이 함께, 복합 연선(2)의 말단으로 밀어넣어져 있기 때문에, 복합 연선(2)의 말단의 강선(4)을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강선(4)의 말단을 F형 크림프부(13)에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C형 크림프부(14)에서는 강선(4)을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종래의 C형 크림프부보다 압착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전선(1)에 인장력이 작용되었을 때에는, 인장력이 보강선(4)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C형 크림프부(14)의 알루미늄 소선(5)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비록 만일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소선(5)의 단면적이 압착에 의해 작아졌다고 해도,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 알루미늄 소선(5)이 파단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전선(1)이 압착단자로부터 빠져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는, 복수의 알루미늄 소선(5)을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알루미늄 소선(5)이 균일하게 변형된다. 이 때문에,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소선(5)의 강도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선(4)을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선(4)이 C형 크림프부(14)와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복합 연선(2)과 C형 크림프부(14)와의 접촉 저항이 증대되는 일이 없다.
이상으로부터, C형 크림프부(14)에 있어서의 저항이 증대되는 일이 없고, 또한 전선(1)이 압착단자(11)로부터 빠져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F형 크림프부(13)의 복합 연선(2)이 접촉하는 부분에 볼록부(19)를 마련하고, 볼록부(19)의 높이를 복합 연선(2)의 직경의 6분의 1 이상이며, 강선(4)의 직경의 2분의 1 이상인 0.1 mm로 했기 때문에, 강선(4)의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의 변형량이 커지고, 강선(4)을 F형 크림프부(13)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9)를 복수 마련하고, 볼록부(19)간의 간격(L)을 복합 연선(2)의 직경 이상이며, 강선(4)의 직경의 3배 이상인 0.7 mm로 했기 때문에, 강선(4)의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의 변형량을 확실히 크게 할 수 있고, 강선(4)을 F형 크림프부(13)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선(1)의 보강선이 강선(4)이며, 도체 소선이 알루미늄 소선(5)이기 때문에, 전선(1)에 구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전선(1)은 염가이다. 또한, 강선(4)의 외주면에 알루미늄 도금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강선(4)의 알루미늄 소선(5)와의 전식(electrolytic corrosion)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 도 14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형 크림프부(14)의 복합 연선(2)이 접촉하는 면에 복수의 돌기(31)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31)는 절두(截頭) 사각뿔 형상이며, 돌기(31)는 4개의 삼각형 모양의 경사면(32)을 가진다. 그리고, 4개의 돌기(31)에 둘러싸인 C형 크림프부(14)의 표면(33)에 대한 경사면(32)의 경사 각도(θ)는 45 ~ 75도이다.
도 15, 도 16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형 크림프부(14)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31)가, 압착시에 변형된 변형 알루미늄 소선(5a)의 표면으로 돌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형 알루미늄 소선(5a)의 표면부에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변형 영역(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표면(33)을 둘러싸는 4개의 돌기(31)의 각 경사면(32)은 서로 다른 경사면(32)과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영역(34)의 경사면(32a)을 따른 부분(34a)은 변형 영역(34)의 경사면(32b)을 따른 부분(34b)과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변형 영역(34)의 부분(34a)으로부터의 냉간 흐름을 변형 영역(34)의 다른 부분(34b)에 의해서 멈추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간 흐름을 확실히 멈추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냉간 흐름에 의한 변형 영역(34)의 응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돌기(31)의 경사면(32)과 변형 알루미늄 소선(5a)의 사이의 압착력(밀착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연선(2)과 C형 크림프부(14)의 사이의 전기 저항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7, 도 18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형 크림프부(13)의 제1, 제2 배럴 탭(17, 18)에 각각 2개의 돌출부(51, 52)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51, 52)의 돌출 길이(P)는, 0.3 mm이며, 복합 연선(2)의 직경의 3분의 1 이상이다. 또한, F형 크림프부(13)에 볼록부가 마련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외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압착단자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 압착단자, 이 압착단자를 이용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있어서는, 돌출부(51, 52)가 복합 연선(2)의 말단에 밀어넣어지기 때문에, 복합 연선(2)의 말단의 강선(4)을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 보다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강선(4)의 말단을 F형 크림프부(13)에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9, 도 20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형 크림프부(13)의 제1, 제2 배럴 탭(17, 18)에 각각 2개의 돌출부(51, 52)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51, 52)의 돌출 길이(P)는, 0.3 mm이다. 또한, F형 크림프부(13)의 복합 연선(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1개의 볼록부(19)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압착단자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 압착단자, 이 압착단자를 이용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있어서는, 돌출부(51, 52)가 복합 연선(2)의 말단의 강선(4)의 볼록부(19)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누른다. 이 때문에,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 복합 연선(2)의 말단의 강선(4)을 크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강선(4)의 말단을 F형 크림프부(13)에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도 21, 도 22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형 크림프부(13)의 제1, 제2 배럴 탭(17, 18)의 복합 연선(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돌출부(53, 54)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53, 54)의 돌출 길이(P)는, 돌출부(51, 52)와 마찬가지로 0.3 mm이며, 복합 연선(2)의 직경의 3분의 1 이상이다. 그리고, 그 외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압착단자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23 ~ 도 25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 도 22에 나타낸 압착단자에 의해 전선(1)이 압착되어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 소선(5)이 돌출부(53, 54)에 의해 내부로 밀어넣어져 있다. 또한, 알루미늄 소선(5)이 볼록부(19)에 의해 내부로 밀어넣어져 있다.
도 21, 도 22에 나타낸 압착단자, 도 23 ~ 도 25에 나타낸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있어서는, 돌출부(53, 54)가 복합 연선(2)의 말단의 강선(4)의 2개의 볼록부(19)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누른다. 이 때문에, F형 크림프부(13)에 있어서 복합 연선(2)의 말단의 강선(4)을 크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강선(4)의 말단을 F형 크림프부(13)에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압착단자(11)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전선(1)의 복합 연선(2)을 C형 크림프부(14)만으로 압착하여, 압착단자 부가 전선으로 했다. 이 때, F형 크림프부(13)는 압착하지 않고, 배럴은 개방한 채로 두었다. 이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있어서는, 알루미늄 소선(5)이 C형 크림프부의 배럴 탭의 개구부로부터 밖으로 삐져나와 있었다. 또한, 직경이 0.2 mm의 강선(4), 알루미늄 소선(5)을 가지는 전선(1)을 압착한 상기의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대해서 인장 시험을 행한 바, 30 N에서 알루미늄 소선(5)이 파단되었다. 이것에 비해서, 도 3에 나타낸 압착단자(11)와 마찬가지이며, F형 크림프부(13)에 볼록부(19)를 마련하지 않는 압착단자에 의해, 직경이 0.2 mm의 강선(4), 알루미늄 소선(5)을 가지는 전선(1)을 압착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대해서 인장 시험을 행한 바, 51 N에서 알루미늄 소선(5)이 파단되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압착단자(11)로서, 도 3과 같이 F형 크림프부(13)에 볼록부(19)를 마련하고 있는 압착단자에 의해, 직경이 0.2 mm의 강선(4), 알루미늄 소선(5)을 가지는 전선(1)을 압착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대해서 인장 시험을 행한 바, 55 N에서 알루미늄 소선(5)이 파단되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강선이 강선(4)이며, 도체 소선이 알루미늄 소선(5)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보강선의 강도가 도체 소선의 강도보다 큰 복합 연선을 가지는 전선을 압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오픈 배럴형의 압착단자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압착단자에 의해 보강선의 강도가 도체 소선의 강도보다 큰 복합 연선을 가지는 전선을 압착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착단자(11)의 재질이 주석 도금 황동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압착단자의 재질은 따지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1개의 F형 크림프부(13), C형 크림프부(14)를 마련했는데, F형 크림프부, C형 크림프부를 복수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형 크림프부(14)가 2조(組)의 제3, 제4의 배럴 탭(20, 21)을 가지고, 2조의 제3, 제4의 배럴 탭(20, 21)을 복합 연선(2)의 외주에 감는 방향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2조의 제3, 제4의 배럴 탭을 복합 연선(2)의 외주에 감는 방향이 동일해도 좋고, 또한 C형 크림프부에 1조의 제3, 제4의 배럴 탭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C형 크림프부에 제4의 배럴 탭을 마련하지 않고, 제3의 배럴 탭만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착단자 부가 전선의 F형 크림프부(13)의 압착율을 35%로 했는데, F형 크림프부(13)의 압착율을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의 C형 크림프부의 압착율을 F형 크림프부의 압착율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부(19)를 2개 마련했는데, 볼록부(19)를 1개 또는 3개 이상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부(19)의 높이를 0.1 mm로 했는데, 볼록부의 높이를 복합 연선의 직경의 6분의 1 이상으로 하고, 보강선의 직경의 2분의 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부(19)간의 간격(L)을 0.7 mm로 했는데, 볼록부간의 간격을 복합 연선의 직경 이상으로 하고, 보강선의 직경의 3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선(4)의 외주면에 6개의 알루미늄 소선(5)을 감았는데, 보강선의 외주면에 복수 라인의 도체 소선을 감은 복합 연선을 가지는 전선을 압착하는 압착단자, 상기의 전선을 압착단자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도체 소선의 개수는 예를 들면 18개라도 좋다. 즉,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선(4)의 직경과 각 알루미늄 소선(5)의 직경을 동일하게 했는데,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강선(4)의 직경, 각 알루미늄 소선(5)의 직경을 0.2 mm로 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개시했는데, 당업자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이 더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모든 이러한 수정 및 등가물이 다음의 청구항에 포함되는 것이 의도되고 있다.
1: 전선,
2: 복합 연선,
4: 강선,
5: 알루미늄 소선,
11: 압착단자,
13: F형 크림프부,
14: C형 크림프부,
17: 제1의 배럴 탭,
18: 제2의 배럴 탭,
19: 볼록부,
20: 제3의 배럴 탭,
21: 제4의 배럴 탭,
51 ~ 54: 돌출부,
P: 돌출 길이

Claims (6)

  1. 보강선(補强線)의 외주면에 복수의 도체 소선(素線)이 감겨지고, 상기 보강선의 강도가 상기 도체 소선의 강도보다 큰 복합 연선을 가지는 전선을 압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오픈 배럴형의 압착단자로서,
    상기 복합 연선을 압착하는 제1, 제2의 배럴 탭을 가지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은 압착되는 상기 복합 연선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의 길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의 선단을 함께 상기 복합 연선의 말단에 밀어넣어서 압착하는 F형 크림프부와,
    상기 복합 연선을 압착하는 제3의 배럴 탭을 가지고, 상기 제3의 배럴 탭을 상기 복합 연선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아서 압착하는 C형 크림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형 크림프부의 상기 복합 연선이 접촉하는 부분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상기 복합 연선의 직경의 6분의 1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복수 마련하고, 상기 볼록부간의 상기 복합 연선의 길이방향의 간격을 상기 복합 연선의 직경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에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를 상기 복합 연선의 직경의 3분의 1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5. 보강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도체 소선이 감겨지고, 상기 보강선의 강도가 상기 도체 소선의 강도보다 큰 복합 연선을 가지는 전선을 압착단자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한 압착단자 부가 전선으로서,
    상기 압착단자가, F형 크림프부 및 C형 크림프부를 가지고,
    상기 F형 크림프부가 제1, 제2의 배럴 탭을 가지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은 상기 복합 연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의 길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 제2의 배럴 탭의 선단이 함께 상기 복합 연선에 밀어넣어져서, 상기 복합 연선의 말단을 압착하고,
    상기 C형 크림프부가 제3의 배럴 탭을 가지고, 상기 제3의 배럴 탭이 상기 복합 연선의 외주에 C자 형상으로 감겨져, 상기 복합 연선을 압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부가 전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이 상기 외주면에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한 강선(鋼線)이며, 상기 도체 소선이 알루미늄 소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단자 부가 전선.
KR1020167005990A 2013-08-06 2013-08-08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KR101710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3171A JP5369249B1 (ja) 2013-08-06 2013-08-06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付き電線
JPJP-P-2013-163171 2013-08-06
PCT/JP2013/071489 WO2015019462A1 (ja) 2013-08-06 2013-08-08 圧着端子および圧着端子付き電線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561A true KR20160031561A (ko) 2016-03-22
KR101710846B1 KR101710846B1 (ko) 2017-02-27

Family

ID=4995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990A KR101710846B1 (ko) 2013-08-06 2013-08-08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787003B2 (ko)
EP (1) EP3032652B1 (ko)
JP (1) JP5369249B1 (ko)
KR (1) KR101710846B1 (ko)
CN (2) CN107257036B (ko)
BR (1) BR112016002503A2 (ko)
CA (1) CA2919809C (ko)
MX (1) MX350092B (ko)
MY (1) MY161698A (ko)
PH (1) PH12016500179A1 (ko)
SG (1) SG11201600674PA (ko)
TW (1) TWI608676B (ko)
WO (1) WO20150194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032A (ko) * 2018-06-29 2021-01-29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심 셀프 로킹 크림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4336B2 (ja) * 2013-08-06 2017-02-01 日新製鋼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線の接続構造
JP6636719B2 (ja) * 2015-05-14 2020-01-29 田淵電機株式会社 電線接続用端子および電線接続用端子と電線の接合方法
US10312605B2 (en) * 2017-02-10 2019-06-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Terminal-equipped wire
JP6670872B2 (ja) * 2017-06-28 2020-03-25 タツタ電線株式会社 芯線が導電性繊維で構成される電線用の圧着端子、圧着端子付き電線、及び医療機器用センサ
JP6904147B2 (ja) * 2017-08-01 2021-07-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JP6978294B2 (ja) * 2017-11-30 2021-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方法及び端子
JP2019212458A (ja) * 2018-06-04 2019-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20021664A (ja) * 2018-08-02 2020-02-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US10693246B2 (en) 2018-08-21 2020-06-23 Lear Corporation Terminal assembly for use with conductors of different sizes and method of assembling
US10581181B1 (en) 2018-08-21 2020-03-03 Lear Corporation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US10574015B1 (en) 2018-08-21 2020-02-25 Lear Corporation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EP3627626B1 (de) * 2018-09-18 2022-02-16 Gustav Hensel GmbH & Co. KG Kontaktelement
JP7301559B2 (ja) * 2019-03-04 2023-07-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圧着端子
DE102019109460A1 (de) * 2019-04-10 2020-10-1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kontakt
JP2022008119A (ja) * 2020-05-27 2022-01-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端子及び端子圧着刃型
JP2022008118A (ja) * 2020-05-27 2022-01-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
JP2022008121A (ja) * 2020-05-27 2022-01-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7508408B2 (ja) * 2020-05-27 2024-07-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端子及び端子圧着刃型
CN115298904A (zh) * 2020-05-27 2022-11-04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带端子的电线、线束、端子、端子压接刀模、带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
JP7502230B2 (ja) * 2020-05-27 2024-06-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CN115699460A (zh) * 2020-07-07 2023-02-03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带端子的电线、线束、带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
US11264735B1 (en) * 2020-08-28 2022-03-0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de size range of magnet wires
JP7536685B2 (ja) 2021-02-26 2024-08-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214A (ja) 1992-01-14 1993-07-30 Amp Japan Ltd 圧着端子
KR20000076735A (ko) * 1999-03-11 2000-12-26 요시무라 마사오 플랙시블 프린트배선판 압착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코어의압착구조
JP2006339040A (ja) 2005-06-02 2006-12-14 Nisshin Steel Co Ltd 複合電線
JP2010073320A (ja) 2008-09-16 2010-04-02 Yazaki Corp 圧着端子の圧着構造
JP2010140808A (ja) * 2008-12-12 2010-06-24 Yazaki Corp 圧着バレルの圧着方法、圧着バレル及び圧着装置
KR20110010565A (ko) * 2009-07-24 2011-02-0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JP2011192637A (ja) * 2011-02-02 2011-09-29 Pl:Kk アルミニウム体の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8119A (en) * 1966-12-27 1969-09-23 Takeo Kagitani Steel-cored rod as a component of an aluminum cable,the cable and process of making the rod
JPS517512Y1 (ko) * 1969-09-16 1976-02-28
US3996417A (en) * 1974-09-12 1976-12-07 Aluminum Company Of America Cable core grip, electrical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kit
JPS59165390A (ja) * 1983-03-10 1984-09-18 東洋端子株式会社 圧着端子の圧着法およびその端子
JPH0747810Y2 (ja) * 1990-05-09 1995-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可撓性平型導体ケーブル用電気接続子
JPH0534664U (ja) * 1991-10-14 1993-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圧着端子
DE20008544U1 (de) * 2000-05-12 2000-07-27 Viessmann Werke GmbH & Co., 35108 Allendorf Leiterendhülse
DE10127854B4 (de) * 2000-06-12 2006-02-02 Yazaki Corp. Verfahren zur Überprüfung des Crimpzustands einer Crimpanschlußklemme und Crimpanschlußklemme hierfür
JP3940258B2 (ja) * 2000-09-22 2007-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と電線の接続方法
JP2002252050A (ja) * 2001-02-26 2002-09-06 Yazaki Corp コネクタ
JP4672195B2 (ja) * 2001-06-25 2011-04-20 株式会社フジクラ 圧着端子の接続構造
JP2003249284A (ja) * 2002-02-25 2003-09-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
EP2472675B1 (en) * 2003-07-30 2020-09-30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onto aluminum electric-wire
JP2005050736A (ja) * 2003-07-30 2005-02-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電線への端子圧着構造及び端子付アルミ電線の製造方法
JP4728986B2 (ja) * 2007-03-13 2011-07-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極細電線の端子圧着構造
JP5103137B2 (ja) * 2007-11-01 2012-12-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圧着端子、端子付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5105521B2 (ja) * 2007-11-27 2012-12-2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に対する圧着端子の圧着構造
CN201214433Y (zh) * 2008-03-14 2009-04-01 佟元江 铁路信号连接线
JP5019626B2 (ja) * 2008-05-29 2012-09-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
JP2010050051A (ja) * 2008-08-25 2010-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10074332A (ja) * 2008-09-17 2010-04-02 Panasonic Corp デジタル映像ノイズ変換装置
JP2010198776A (ja) * 2009-02-23 2010-09-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電線への圧着構造
JP5412166B2 (ja) * 2009-04-07 2014-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および圧着構造
JP2011096452A (ja) * 2009-10-28 2011-05-12 Yazaki Corp 圧着端子
JP4790851B2 (ja) * 2010-03-11 2011-10-12 株式会社 ピー・エル アルミニウム体の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5586354B2 (ja) * 2010-07-15 2014-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金型及び圧着方法
JP5622314B2 (ja) * 2010-10-12 2014-11-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の電線接続構造
JP5890992B2 (ja) * 2011-10-05 2016-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214A (ja) 1992-01-14 1993-07-30 Amp Japan Ltd 圧着端子
KR20000076735A (ko) * 1999-03-11 2000-12-26 요시무라 마사오 플랙시블 프린트배선판 압착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코어의압착구조
JP2006339040A (ja) 2005-06-02 2006-12-14 Nisshin Steel Co Ltd 複合電線
JP2010073320A (ja) 2008-09-16 2010-04-02 Yazaki Corp 圧着端子の圧着構造
JP2010140808A (ja) * 2008-12-12 2010-06-24 Yazaki Corp 圧着バレルの圧着方法、圧着バレル及び圧着装置
KR20110010565A (ko) * 2009-07-24 2011-02-0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JP2011192637A (ja) * 2011-02-02 2011-09-29 Pl:Kk アルミニウム体の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032A (ko) * 2018-06-29 2021-01-29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심 셀프 로킹 크림프
KR20210021089A (ko) * 2018-06-29 2021-02-24 티이 커넥티버티 인디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크림프 및 크림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8676B (zh) 2017-12-11
CN105493350A (zh) 2016-04-13
AU2013397426A1 (en) 2016-03-10
KR101710846B1 (ko) 2017-02-27
CN107257036B (zh) 2019-06-28
MX350092B (es) 2017-08-25
JP5369249B1 (ja) 2013-12-18
CN107257036A (zh) 2017-10-17
EP3032652A4 (en) 2017-06-07
SG11201600674PA (en) 2016-03-30
BR112016002503A2 (pt) 2017-08-01
EP3032652A1 (en) 2016-06-15
WO2015019462A1 (ja) 2015-02-12
TW201526433A (zh) 2015-07-01
CA2919809A1 (en) 2015-02-12
CN105493350B (zh) 2017-06-09
PH12016500179B1 (en) 2016-04-25
PH12016500179A1 (en) 2016-04-25
MX2016001604A (es) 2016-05-18
MY161698A (en) 2017-05-15
CA2919809C (en) 2016-09-13
US20160172769A1 (en) 2016-06-16
US20170317431A1 (en) 2017-11-02
EP3032652B1 (en) 2019-10-09
US9787003B2 (en) 2017-10-10
JP2015032543A (ja)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846B1 (ko)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US8246394B2 (en) Terminal connector with a crimping portion with recesses
US20120329342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crimping terminal to electric wire
US20090130923A1 (en) Press-clamping terminal for aluminum wire
WO2009101965A1 (ja) 端子金具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5362226B2 (ja) 電線
US20200194907A1 (en)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JP5225794B2 (ja) 圧着端子の圧着構造
JP5737090B2 (ja) 端子金具付き電線
US9698496B2 (en) Crimp terminal
JP2017130330A (ja)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
JP5116512B2 (ja) 圧着端子を用いた圧着方法
WO2015053182A1 (ja) 圧着端子
WO2009096590A1 (en) Crimp terminal
JP2010073346A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5757226B2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JP2017168400A (ja) 端子付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864640A (zh) 带端子的电线以及压接前端子
JP2023079842A (ja) 端子、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5733220B2 (ja)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JP2015082419A (ja) 圧着端子
WO2015053315A1 (ja) 圧着端子
WO2015053267A1 (ja) 圧着端子用電線及び電線付き圧着端子
JP2013122870A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37960A (ko) 단자 및 단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