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65A -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 Google Patents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65A
KR20110010565A KR1020100069491A KR20100069491A KR20110010565A KR 20110010565 A KR20110010565 A KR 20110010565A KR 1020100069491 A KR1020100069491 A KR 1020100069491A KR 20100069491 A KR20100069491 A KR 20100069491A KR 20110010565 A KR20110010565 A KR 2011001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ase plate
terminal fitting
crimp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114B1 (ko
Inventor
에이코 우카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22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forming array of contact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얇은 전선에 대해서도 전선 배럴에 의해 적절히 압착 및 연결될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한 압착 단자 피팅과, 압착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착 단자 피팅에 있어서, 압착되어 전선(30)의 코어 스트랜드(31)에 연결되는 전선 배럴(21)은, 접지 단자부(12)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베이스판부(23)와, 베이스판부(23)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코어 압착 부재(25)를 포함한다. 베이스판부(23)보다 얇은 박육부(27)가 적어도 각 코어 압착 부재(25)의 선단측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CRIMPING TERMINAL FITTING, METHOD OF FORMING IT AND WIRE WITH 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압착(壓着) 단자 피팅, 그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단자가 압착되어 전선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은, 자동차 등의 배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팅부로서의 압착 단자 피팅이, 예를 들어 일본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30050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압착 단자 피팅은, 압착되어 전선의 코어 스트랜드에 연결되는 전선 배럴부와, 압착되어 전선의 절연 코팅에 연결되는 절연 배럴부를 포함하고, 단일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두 배럴부는 모두 오픈 배럴 형태이다. 전선 배럴부는 한 쌍의 코어 압착 부재를 포함한다. 전선의 코어 스트랜드의 그룹을 상기 코어 압착 부재로 결박하는 경우, 각 코어 압착 부재를 안쪽으로 구부리면서 코어 스트랜드의 그룹을 둘러싸도록 변형하고, 코어 압착 부재의 선단부를 코어 스트랜드의 사이에 찔러 넣어 압착을 마무리한다.
이러한 종류의 단자 피팅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금속판재의 두께는, 단자 피팅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한편, 압착에 의해 단자 피팅과 연결되는 전선의 크기는, 전류 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비교적 큰 강도가 필요하지만 전류 용량이 작다면, 단자 피팅의 판 두께는 전선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커진다.
통상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재료가 단자 피팅용 금속판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전선 배럴을 압착하고 전선의 얇은 코어 스트랜드에 연결하여, 전선 배럴의 선단부를 코어 스트랜드의 사이에 적절히 찔러 넣을 수가 없고, 이로써 전선과의 접촉 저항이 증대되며 전선 홀딩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나타난다. 이러한 타입의 압착 단자 피팅은 차량마다 매우 많이 사용되므로, 전체 차량의 경량화의 한 부분으로서, 압착 단자 피팅의 경량화도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얇은 전선에 대해서도 전선 배럴에 의해 적절히 압착 및 연결될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한 압착 단자 피팅과, 이러한 압착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판부와, 이 베이스판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코어 압착 부재를 갖는 전선 배럴을 포함하는 압착 단자 피팅으로서,
상기 코어 압착 부재는 적어도 그 길이방향 연장 범위의 중간 위치에 상기 베이스판부보다 얇은 하나 이상의 박육부를 포함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판부와, 이 베이스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코어 압착 부재를 구비하는 전선 배럴을 포함하는 압착 단자 피팅으로서, 상기 베이스판부보다 얇은 박육부가 적어도 상기 코어 압착 부재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이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압착되어 전선의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에 연결되는 상기 코어 압착 부재는, 단자 피팅의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상기 베이스판부의 두께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단자 피팅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얇은 전선을 붙잡는 홀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코어 스트랜드와 압착 단자 피팅 사이의 접촉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압착 부재에 박육부를 마련함으로써, 코어 압착 부재가 얇아진 만큼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박육부는,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공정에서 전도성판(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을 부분적으로 납작하게 만드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착 단자 피팅은, 균일한 두께의 예전과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고 종래의 공정과 유사한 프레스 공정을 채용하고서도, 보다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코어 압착 부재는 그 전체 영역의 대략 절반 이상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실질적인 전체 영역에, 베이스판부보다 얇은 박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보다 넓은 영역에 박육부를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경량화를 기대할 수 있다.
각 박육부는 경사 두께부를 포함하며, 이 경사 두께부의 두께는 베이스판부를 향해 갈수록 점차 증가한다. 베이스판부를 향해 갈수록 상기 두께를 점차 증가시킴으로써, 두께의 급변에 기인한 응력의 집중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전체 압착 단자 피팅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박육부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모따기 가공에 의해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코어 압착 부재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코어 스트랜드에 찔러 넣는 힘을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전선 배럴을 코어 스트랜드에 과도하게 찔러 넣는 것에 기인한 전선의 파손 문제와, 코어 압착 부재의 박육화에 기인한 강도의 부족 문제에 대처할 수 있다.
전선 배럴의 두께는 베이스판부로부터 박육부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선 배럴의 부분들을 국부적으로 얇게 만들어 박육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압착 단자 피팅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압착 단자 피팅을 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전선 배럴은, 전선의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내면과, 외측에 노출되는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면은 실질적인 평면일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외면은 코어 압착 부재와 박육부 사이의 경계부에 박육부 또는 베이스판부와 연속하는 하나 이상의 단차부 및/또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내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하나의 면, 즉 외면에만 단차부 또는 경사면을 마련함으로써, 코어 압착 부재는 용이하게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용이하게 압착되어 전선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판부와, 이 베이스판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코어 압착 부재를 구비하는 전선 배럴을 포함하는 압착 단자 피팅,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도 또한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특정 형상과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전도성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적어도 코어 압착 부재의 길이방향 연장 범위의 중간 위치에 베이스판부보다 얇은 하나 이상의 박육부를 마련하도록, 전도성판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얇게 만드는 박육화 프레스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압착 단자 피팅과,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가 일단부에서 노출되어 있는 전선을 포함하는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으로서, 상기 압착 단자 피팅의 코어 압착 부재는 상기 전선의 일단부에서 코어 스트랜드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압착되어 코어 스트랜드에 연결되고, 압착 이후의 코어 압착 부재의 평균 두께가 압착 이후의 베이스판부의 평균 두께보다 얇은 것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압착되어 연결된 코어 압착 부재의 평균 두께가 베이스판부의 평균 두께보다 얇기 때문에,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은 필요한 단자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은, 그 전선 자체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전선과 단자 피팅 사이에 작용하는 홀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전선과 단자 피팅 사이의 접촉 저항을 낮은 수준으로 억제할 수 있다.
베이스판부의 두께는 전선 배럴의 압착 조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베이스판부는 압축률을 증대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더 얇아진다. 한편, 코어 압착 부재는 압축률이 증대되더라도 거의 더 얇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압착 이전에 코어 압착 부재의 두께가 베이스판부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되더라도, 비교적 높은 압축률을 설정함으로써, 압착 이후에 충분히 코어 압착 부재의 두께와 베이스판부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같게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압착 이후에 코어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전선 배럴의 부분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다면, 하중을 코어 스트랜드에 균등하게 전달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열사이클 내구성 시험과 같은 내구성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온도 차이에 기인한 판 두께의 팽창/수축량은,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에서 크게 다르므로, 하중이 달라진다. 이는 접촉 저항이 쉽게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압착 이후에 코어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전선 배럴의 부분의 두께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 이전에 코어 압착 부재를 박육화하는 방법으로서, 전개된 상태의 코어 압착 부재만을 납작하게 만드는 방법 이외에도, 코어 압착 부재와 베이스판부 모두를 납작하게 만드는 방법도 고려된다. 그러나, 코어 압착 부재와 베이스판부 모두가 박형화된다면, 베이스판부의 편평도가 저하되고, 단자의 선단부가 베이스판부에 비해 쉽게 상하로 휘어진다(경우에 따라서는 구부러져 올라감 혹은 구부러져 내려감이라 함). 따라서, 베이스판부는 크림퍼의 베이스에 놓여 압착될 때 쉽게 제자리에서 벗어나게 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압착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베이스판부에는 해머링을 행하지 않고 코어 압착 부재만을 납작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사항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압착 단자 피팅과,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가 일단부에서 노출되어 있는 전선을 포함하는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으로서, 상기 압착 단자 피팅의 전선 배럴은 상기 전선의 일단부에서 코어 스트랜드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압착되어 코어 스트랜드에 연결되고, 압착 이후에 코어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전선 배럴의 부분의 두께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이 또한 제공된다. 여기에 언급되어 있는 "균일"은 완전한 균일일 필요는 없으며, 원하는 두께에 대하여 약 ±20%의 오차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압착 이후에 코어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전선 배럴의 부분의 두께가 균일해질 수 있으므로, 하중이 코어 스트랜드에 균등하게 부여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내구성 시험을 수행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내구성 시험을 수행한 이후에서도, 접촉 저항이 안정화된다.
압착 이전의 베이스판부는, 얇게 형성된 두 코어 압착 부재보다 비교적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압착 이후의 베이스판부와 압착 이후의 두 코어 압착 부재는, 압착 이전의 베이스판부를 크림퍼의 베이스에 놓은 후 압착 다이를 하강시켜 베이스판부를 가압하는 것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판부의 편평도를 낮출 필요가 없으므로, 크림퍼의 베이스에 놓인 베이스판부를 압착할 때에 변위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일측 코어 압착 부재가 이 일측 코어 압착 부재의 외면의 연장선인 제1 가상 평면으로부터 벗어나려 하는 위치를 제1 기단부라 하고, 타측 코어 압착 부재가 이 타측 코어 압착 부재의 외면의 연장선인 제2 가상 평면으로부터 벗어나려 하는 위치를 제2 기단부라 하면, 압착 이전의 베이스판부는, 두 코어 압착 부재가 실질적으로 면하고 있는 폭 방향에서 제1 기단부와 제2 기단부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두 코어 압착 부재가 면하고 있는 폭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판부가 제1 기단부 및 제2 기단부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베이스판부의 폭 방향 양단부와 압착 다이의 간섭이 압착 동안에 방지될 수 있다.
베이스판부의 폭 방향 양측면은 폭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판부의 폭 방향 양측면과 두 코어 압착 부재 사이에서 굽은 부분의 각도가 180°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두 코어 압착 부재를 안쪽으로 구부릴 때, 상기 굽은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이나 그 밖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착 단자 피팅은, 압착되어 전선의 절연 코팅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절연 배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절연 배럴은, 베이스판부와, 이 베이스판부의 좌우 양측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코팅 압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착 이전의 두 코팅 압착 부재 모두가, 얇게 형성되는 압착 이전의 코어 압착 부재(바람직하게는 두 코어 압착 부재 모두)보다 비교적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얇은 전선을 처리할 수 있는 압착 단자 피팅을 마련하는 경우, 전선 배럴과 절연 배럴 모두가 박육화된다면, 얇은 절연 배럴을 그대로 압착하여 절연 코팅에 연결할 때, 절연 코팅이 손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압착 이전의 두 코팅 압착 부재 모두가 두 코어 압착 부재 모두에 비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두꺼운 절연 배럴을 압착하여 절연 코팅에 연결할 때, 절연 코팅은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얇은 전선 배럴을 압착하여 코어 스트랜드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절연 코팅에 손상을 입히는 일 없이, 얇은 전선을 처리할 수 있는 압착 단자 피팅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얇은 전선에 대해서도 전선 배럴에 의해 적절히 압착 및 연결될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한 압착 단자 피팅과, 압착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과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이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추가적인 실시예에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착 단자 피팅의 전개도이다.
도 2는 압착 단자 피팅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압착 단자 피팅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의 전선 배럴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두 코어 압착 부재를 납작하게 만듦으로써 형성되는 박육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조 공정에서 두 코어 압착 부재를 구부린 이후, 그리고 단편으로 절단되기 이전의 압착 단자 피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압착 단자 피팅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의 전선 배럴부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압착 단자 피팅(10)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펀칭 또는 절단된 전도성판(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을 절곡, 절첩 및/또는 엠보싱 가공하고, 절단하며, 절단된 부분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후술하는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50)은 상기 압착 단자 피팅(10)을 압착하거나 구부리거나 접어서 전선(30)의 단부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좌우 방향을 전후 방향 FBD라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단자 피팅(10)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반부)는 하나 이상의 오픈 배럴 형태의 전선 압착부(20)로서 기능하고, 압착 단자 피팅의 후방부(후반부)는, 예컨대 볼트 삽입 구멍(11)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접지 단자부(12)로서 기능하면서, 예컨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다른 압착 단자 피팅(10)과 결합되고 구체적으로는 통합된다. 전선 압착부(20)는, 압착되거나, 구부러지거나, 또는 접혀서 전선(30)의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31)(도 5 참조)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선 배럴(21)(도 2 참조)과, 압착되거나, 구부러지거나, 또는 접혀서 전선(30)의 도시 생략된 절연 코팅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절연 배럴(22)(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절연 배럴(22)은, 도시 생략된 전선(30)의 절연 코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위에 놓이는 베이스판부(23)와, 이 베이스판부(23)(바람직하게는 베이스판부의 실질적인 좌우 양측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코팅 압착 부재(24)로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갖는 공지의 구성을 갖는다.
한편, 전선 배럴(21)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배럴(22)로부터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고 및/또는 전선(30)의 코어 스트랜드(3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위에 놓이는 베이스판부(23)와, 이 베이스판부(23)(바람직하게는 베이스판부의 실질적인 좌우 양측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 상방[예컨대, 베이스판부(23)에 대해 약 60°내지 120°의 각도를 이루어]으로 세워지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코어 압착 부재(25)를 포함한다. 특히, 전선 배럴(21)은 전선(3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보면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갖는다(도 4 참조). 코어 압착 부재(25)의 상향 돌출 거리가 코팅 압착 부재(24)의 상방 돌출 거리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유의하라.
전선(3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예컨대 3개의 긴 오목부(26)가, 전선 배럴(21)에 있어서 베이스판부(23)의 내측 바닥면 및/또는 베이스판부(23)에 연속해 있는 코어 압착 부재(25)의 실질적인 절반으로 구성된 영역에 형성되어, 압착에 의해 연결된 전선(30)과 베이스판부(23) 사이의 접촉 저항을 저감한다.
전선(3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본 코어 압착 부재(25)의 단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고, 코어 압착 부재(25)는 그 실질적인 전체 영역에서 베이스판부(23)보다 얇다. 다시 말하자면, 베이스판부(23)의 두께(TBP)가 코어 압착 부재(25)의 두께(TCP)보다 크다. 베이스판부(23)의 두께(TBP)는 특히 그 전체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및/또는 코어 압착 부재(25)의 두께는 특히 그 전체 영역[바람직하게는, 모따기부(29)가 형성될 수 있는 말단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다시 말하자면, 코어 압착 부재(25)는, 적어도 그 길이방향 연장 범위의 중간 위치에[즉, 후술하는 압착 단자 피팅(10)의 경사 두께부(28)와 압착 코어 부재의 말단부 사이에, 또는 모따기부(29)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모따기부(29)와 경사 두께부(28) 사이에], 베이스판부(23)의 두께(TBP)보다 얇은 두께(TCP)를 갖는 하나 이상의 박육부(2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박육부(27)는 코어 압착 부재(25)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방향의 연장 범위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전선(30)의 코어 스트랜드(31)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내면(13)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베이스판부(23)로부터 박육부(27)에 이르기까지 그 두께가 서서히 줄어드는 경사 두께부 또는 천이부(28)가, 외측에 노출된 외면(14)에 있어서 베이스판부(23)와 코어 압착 부재(25)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된다. 또한, 코어 압착 부재(25)의 외측의 선단 가장자리에 모따기부(29)를 형성하여, 선단부면에서의 코어 압착 부재(25)의 두께를 박육부(27)의 두께보다 훨씬 더 얇게 만든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캐리어(40)는, 본 실시예의 압착 단자 피팅(10)을 스트립 형상의 판(바람직하게는 금속판)으로부터 제조할 때에, 각 압착 단자 피팅(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제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분리되거나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압착 단자 피팅(10)은, 캐리어(40)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캐리어(40)의 길이방향 연장 범위에 대하여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압착 단자 피팅(10)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전도성판(바람직하게는 금속판), 예컨대 구리 합금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 등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 형상을 갖도록 필요 위치에 펀칭 가공 또는 절단 가공을 실시하면서 필요 부분을 구부리는, 스탬핑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스 공정은, 전도성판(금속판)에 있어서 코어 압착 부재(25)가 될 부분을, 특히 사전에 특정(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간극을 형성해 놓은 금형 사이에 밀어 넣어 납작하게 만듦으로써, 박육화하는 박육화 프레스 공정을 포함한다. 박육부(27)와 경사 두께부(28)는, 코어 압착 부재(25)에 있어서 압착되어 코어 스트랜드(31)에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인 외면(14)에서 전도성판(금속판)을 납작하게 만드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그 후에, 코어 압착 부재(25)를 전도성판(금속판)으로부터 잘라내는 전단 공정과 굽힘 공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압착 단자 피팅(10)은 압착 공정을 통해 압착되거나 구부러지거나 접혀서 전선(30)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5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압착 단자 피팅(10)을 도시 생략된 크림퍼의 베이스에 고정하거나 장착하고, 도시 생략된 공지의 압착 다이를 하강시켜 압착 단자 피팅(10)을 압착하며 전선(30)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전선 배럴(21)에 있어서, 코어 압착 부재(25)는 압착 단자 피팅(10)의 축방향 중앙부에 도입되도록 도시 생략된 압착 지그에 의해 안쪽으로 말리고, 코어 스트랜드(31)는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부(23)와 코어 압착 부재(25)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코어 압착 부재(25)의 선단부는 그 자체가 코어 스트랜드(31)의 사이에 찔러 넣어지도록 구부러지거나 변형되고, 두 모따기부(29)는 밀접하게 되며, 이로써 압착이 마무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착되어 전선(30)에 연결되는 압착 단자 피팅(10)에 있어서, 베이스판부(23)와 코어 압착 부재(25)는 압착 다이에 의해 납작하게 만들어지고 소성 변형된다. 따라서, 압착 공정 이전에 코어 압착 부재(25)와 베이스부(23) 사이의 경계부에 있는 경사 두께부(2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명하게 보이지는 않으며, 압착 이후의 코어 압착 부재(25)의 전체 영역(도 5에서 B로 나타낸 영역)에서의 평균 두께가 압착 이후의 베이스판부(23)의 전체 영역(도 5에서 A로 나타낸 영역)에서의 평균 두께보다 작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압착되어 전선(30)의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31)에 연결되는 코어 압착 부재(25)의 두께가, 압착 단자 피팅(10)의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베이스판부(23)의 두께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30)이 얇더라도, 압착 단자 피팅(10) 자체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전선(30)을 붙잡는 홀딩력이 증대되고, 및/또는 코어 스트랜드(31)와 압착 단자 피팅(10) 사이의 접촉 저항이 낮은 수준으로 억제 혹은 저감되는, 압착 단자 피팅(10)과,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5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압착 단자 피팅의 두께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서 코어 압착 부재(25)는 베이스판부(23)보다 얇은 박육부(27)를 포함한다. 따라서, 압착 단자 피팅(10)은 코어 압착 부재(25)의 두께(TCP)가 얇아진 만큼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박육부(27)의 선단 가장자리에 모따기부(29)를 형성함으로써, 전선 배럴(21)의 양단부가 보다 용이하게 코어 스트랜드(31)의 사이에 찔러 넣어질 수 있고, 이로써 압착 단자 피팅(10)의 전선 홀딩력이 더 증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코어 압착 부재(25)에 있어서 압착되어 코어 스트랜드(31)에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인 외면(14)에서만 두께에 변화를 주어 경사 두께부(28)를 마련하는 것을 통해, 코어 압착 부재(25)는 코어 스트랜드(31)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말릴 수 있다. 경사 두께부(28)에 의해 두께를 서서히 증대시킴으로써, 두께가 달라지는 부분에의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박육부(27)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도면 부호에 100을 더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의 구성, 기능 및 효과에 대응하는 본 실시예의 구성, 기능 및 효과 중에서, 공통된 것은 설명하지 않는다.
도 5와 도 10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압착 단자 피팅(110)은, 특히 코어 압착 부재(25, 125)의 압착 상태에서 베이스판부(123)와 코어 압착 부재(125)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압착 단자 피팅(10)과 다르다. 또한, 도 4와 도 9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베이스판부(123) 둘레의 경사 두께부(128)의 영역이 제1 실시예에 비해 작다.
압착 단자 피팅(110)은, 예컨대 특정(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펀칭 또는 절단된 전도성판(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을 구부리고, 절단하며, 절단된 부분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후술하는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150)은 상기 압착 단자 피팅(110)을 압착하거나 구부리거나 접어서 전선(30)의 단부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단자 피팅(110)은, 볼트 삽입 구멍(111)이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접지 단자부(112)인 단자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지 단자부(112)는 바람직하게는 모서리가 라운딩되어 있는 실질적인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는다. 스터드 볼트(도시 생략)를 볼트 삽입 구멍(111)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거나 삽입할 수 있고, 너트(도시 생략)가 스터드 볼트의 아래에 조여지며, 이로써 압착 단자 피팅(110)은 스터드 볼트에 고정되어 전기 접속된다(예컨대, 접지된다).
접지 단자부(112)의 앞에(도 7에서 좌측에) 전선 배럴(121)이 형성되고, 이 전선 배럴(121)의 앞에 절연 배럴(122)이 형성된다. 전선 배럴(121)은 베이스판부(123)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코어 압착 부재(125)로 구성되는 반면에, 절연 배럴(122)은 베이스판부(123)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코팅 압착 부재(12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두 배럴(121, 122)은 공통의 베이스판부(123)를 포함한다. 전선 배럴(121)의 코어 압착 부재(125)(바람직하게는 두 코어 압착 부재 모두)는, 압착 단자 피팅(110)의 기재인 전도성판(금속판)(예컨대, 두께가 약 0.6 ㎜임)을 납작하게 만드는 것을 통해 박육부(127)[예컨대, 두께(TCP)가 약 0.3 ㎜ 내지 약 0.5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임]로서 형성된다. 한편, 절연 배럴(122)의 코팅 압착 부재(124)는 금속판을 납작하게 만드는 작업을 거치지 않고서 형성되므로, 금속판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두 코팅 압착 부재(124) 모두가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에 비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육부(127)는 전개된 상태의 압착 단자 피팅(110)에서 전선 배럴(121)의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에 해당하는 부분을 납작하게 만들어 박육화하고, 그 후에 박육부의 외측을 처리하는 것을 통해 형성된다. 편의상, 도 6에서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의 상측[코어 스트랜드(31)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측]이 크로스 해칭되어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는, 특히 하측으로부터 해머링을 행하는 것을 통해 박육화된다.
도 8은 도 7의 압착 단자 피팅(110)의 측면도이다. 접지 단자부(112)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전선 배럴(121)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베이스판부(123)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및/또는 접지 단자부(112)에 연속해 있다.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전선 배럴(121)의 수직 단면을 보여준다. 전선 배럴(121)의 베이스판부(123)의 전체 영역은 코어 압착 부재(125)보다 두꺼운 후육부로서 형성된다. 이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에 박육부(127)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베이스판부(123)가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박육부(127)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에만 형성되고, 베이스판부(123)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베이스판부(123)의 편평도는 저하되지 않고, 크림퍼의 베이스에 놓여 있을 때 베이스판부(123)의 변위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는 그 선단부에 또는 그 선단부의 부근에 모따기부(129)가 형성되고, 모따기부(129)는 압착 동안에 크림퍼의 압착 다이의 표면을 따라 안쪽으로 안내되므로,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 편평도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압착 동안에 베이스판부(123)가 제자리에서 벗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박육부(127)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베이스판부(123)의 배치 영역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도 9에서 좌측 코어 압착 부재(125)가 좌측 코어 압착 부재(125)의 외면(114)의 연장선인 제1 가상 평면(F1)으로부터 벗어나려 하는 위치를 제1 기단부(125A)라 한다. 한편, 도 9에서 우측 코어 압착 부재(125)가 우측 코어 압착 부재(125)의 외면(114)의 연장선인 제2 가상 평면(F2)으로부터 벗어나려 하는 위치를 제2 기단부(125B)라 한다. 또한, P1과 P2는 제1 기단부(125A)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좌측 경계선과 제2 기단부(125B)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우측 경계선을 각각 나타낸다. R은 폭 방향(도 9에서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좌측 경계선(P1)과 우측 경계선(P2)에 의해 정해지는 영역을 나타낸다. 이러한 전제 조건하에서, 베이스판부(123)는 영역 R에 배치된다.
특히, 베이스판부(123)의 좌우 양측면(123A, 123B)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판부(123)의 좌측면(123A)은 좌측 경계선(P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좌측 경계선(P1)의 약간 우측에 배치된다. 한편, 베이스판부(123)의 우측면(123B)은 우측 경계선(P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우측 경계선(P2)의 약간 좌측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좌측면(123A)과 우측면(123B)은 전선 배럴(121)의 압착 동안에 압착 다이와 간섭하지 않도록, 좌측 경계선(P1)과 우측 경계선(P2)을 넘어 좌측과 우측을 향해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판부(123)의 좌우 측면(123A, 123B)과 두 코어 압착 부재(125)의 사이[즉, 두 기단부(125A, 125B)]에서 굽은 부분의 각도가 180°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두 코어 압착 부재(125)가 안쪽으로 구부러질 때, 상기 굽은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착 단자 피팅(110)은 압착 공정을 통해 압착되어 전선(30)에 연결되고, 이로써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15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압착 단자 피팅(110)을 도시 생략된 크림퍼의 베이스에 배치 및 고정하고, 도시 생략된 공지의 압착 다이를 하강시켜 압착 단자 피팅(110)을 압착하며 전선(30)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전선 배럴(121)에 있어서, 코어 압착 부재(125)는 압착 단자 피팅(110)의 축방향 중앙부에 또는 이 축방향 중앙부를 향해 도입되도록 도시 생략된 압착 지그에 의해 안쪽으로 말리고, 코어 스트랜드의 그룹[복수의 코어 스트랜드(31)로 구성되며 이들 코어 스트랜드 사이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음]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부(123)와 코어 압착 부재(125)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코어 압착 부재(125)의 선단부는 특히 그 자체가 코어 스트랜드의 그룹에 찔러 넣어지고, 두 모따기부(129)는 밀접하게 되며, 이로써 압착이 마무리된다. 한편, 절연 배럴(122)에서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두 코팅 압착 부재(124)가 압착되거나, 구부러지거나 또는 접혀서 절연 코팅에 연결되므로, 절연 코팅의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의 압착 단자 피팅(110)은 제1 실시예의 압착 단자 피팅(10)에 비해 높은 압축률로 압착된다. 따라서, 베이스판부(123)는 부분적으로 전선 배럴(121)의 두 코어 압착 부재(125)를 향해 또는 전선 배럴의 전후 양측을 향해 도피한다. 따라서, 압착 이후의 베이스판부(123)의 두께는 압착 이전의 베이스판부(123)의 두께보다 얇아지고, 압착 이후의 두 코어 압착 부재(125)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진다. 다시 말하자면, 압착 이후에 코어 스트랜드(31)를 둘러싸는 전선 배럴(121)의 부분의 두께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므로, 하중이 코어 스트랜드(31)에 균등하게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 시험을 수행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내구성 시험을 수행한 이후에서도, 접촉 저항이 안정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 이후에 코어 스트랜드(31)를 둘러싸는 전선 배럴(121)의 부분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므로, 초기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내구성 시험 이후에도 접촉 저항이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두 코어 압착 부재(125) 모두에 박육부(127)가 형성되므로,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약 0.5 sq(㎟)의 얇은 전선(30)을 두 코어 압착 부재(125)에 의해 붙잡을 수 있다. 여기서, 박육부(127)는 바람직하게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에만 해머링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므로, 베이스판부(123)의 편평도가 유지되거나 혹은 유지될 수 있고, 압착 동안에 베이스판부(123)가 제자리에서 벗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부(123)는 바람직하게는 전체가 후육부로서 형성되고 영역 R에 배치되며, 베이스판부(123)의 좌측면(123A)과 우측면(123B)은 두 경계선(P1, P2)을 넘어 좌측과 우측을 향해 돌출하지 않으므로, 압착 동안에 좌측면(123A) 및 우측면(123B)과 압착 다이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부(123)의 좌우 측면(123A, 123B)이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고, 두 기단부(125A, 125B)에서의 굽힘 각도가 180°에 가까워질 수 있으므로, 두 기단부(125A, 125B)에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외에도, 얇은 절연 배럴(122)을 압착하여 절연 코팅에 연결하므로, 절연 코팅이 손상 받는 것을 방지하면서, 얇은 전선 배럴(121)을 압착하여 코어 스트랜에 연결함으로써 얇은 전선을 처리할 수 있는, 압착 단자 피팅(110)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선 배럴(21, 121)은 일정한 두께의 판재를 펀칭 가공한 후 납작하게 만들어 박육부(27, 127)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전도성판(바람직하게는 금속판)은 전술한 판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변 두께의 재료일 수 있다. 박육부(27, 127)가 되는 부분에서 얇은 두께를 갖는, 가변 두께의 재료가 사용된다면, 판재를 납작하게 만들어서 박육부(27, 127)를 형성하는 단계가 불필요해지며,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2) 제1 실시예에서, 각 박육부(27)는, 경사 두께부(28) 및 모따기부(29)와 같이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는 부분과, 베이스판부(23)보다 얇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오목부를 적어도 각 코어 압착 부재(25)의 선단측에 산재된 형태로 형성하여 국부적으로 얇게 만들 수 있고, 이 영역이 박육부(27)로서 기능할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 박육부(27, 127)는 전선 배럴(21, 121)에만 형성되지만, 박육부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절연 배럴(22, 122)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압착 단자 피팅(10, 110)을 더 경량화할 수 있다.
(4) 제1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판부(23)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코어 압착 부재(25)의 일부 영역에까지 3개의 긴 오목부(26)가 형성되지만, 이러한 긴 오목부(26)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오목부가 산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톨도톨한 톱니형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두께를 갖는 경사 두께부(28)가 베이스판부(23)와 코어 압착 부재(25) 사이의 경계부에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께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단차부가 상기 경계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경사 두께부(28) 또는 단차부는 전선 배럴(21)의 외면(14)에 형성되고 전선 배럴(21)의 내면(13)은 평면이지만, 경사 두께부(28) 또는 단차부는 베이스판부와 박육부 사이의 경계부에서 내면(13)에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내면(13)과 외면(14)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6) 제2 실시예에서는 전체 베이스판부(123)가 후육부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판부(123)의 일부가 후육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판부(123)의 일부가 압착 동안에 두 코어 압착 부재(125)를 향해 및 전후 양측을 향해 도피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두 코어 압착 부재(125)의 일부가 압착 동안에 베이스판부(123)를 향해 그리고 전후 양측을 향해 도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두 코어 압착 부재(125)는 후육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7) 제2 실시예에서 두 코팅 압착 부재(124)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보다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지만, 절연 코팅의 손상 등의 문제가 없다면, 두 코팅 압착 부재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만큼 얇게 형성될 수 있다.
10, 110 : 압착 단자 피팅
12 : 접지 단자부
20 : 전선 압착부
21, 121 : 전선 배럴
22, 122 : 절연 배럴
23, 123 : 베이스판부
24, 124 : 코팅 압착 부재
25, 125 : 코어 압착 부재
27, 127 : 박육부
30 : 전선
31 : 코어 스트랜드
50, 150 :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123A : 좌측면
123B : 우측면
125A : 제1 기단부
125B : 제2 기단부
F1 : 제1 가상 평면
F2 : 제2 가상 평면
P1 : 좌측 경계선
P2 : 우측 경계선
R :영역

Claims (13)

  1. 베이스판부(23; 123)와, 이 베이스판부(23; 123)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코어 압착 부재(25; 125)를 갖는 전선 배럴(21; 121)을 포함하는 압착 단자 피팅(10; 110)으로서,
    상기 코어 압착 부재(25; 125)는 적어도 그 길이방향 연장 범위의 중간 위치에 상기 베이스판부(23; 123)보다 얇은 하나 이상의 박육부(27; 127)를 구비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27; 127)는, 압착 단자 피팅(10; 110)의 제조 공정에서 전도성판의 일부분을 납작하게 만드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압착 부재(25; 125)는 그 전체 영역의 절반 이상에 베이스판부(23; 123)보다 얇은 박육부(27; 127)가 형성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박육부(27; 127)는 경사 두께부(28; 128)를 포함하며, 이 경사 두께부의 두께는 베이스판부(23; 123)를 향해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27; 127)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모따기 가공에 의해 경사면(29; 129)이 형성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배럴(21; 121)의 두께는 베이스판부(23; 123)로부터 박육부(27; 127)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변경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배럴(21; 121)은 전선(30)의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31)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내면(13)과, 외측에 노출되는 외면(14)을 포함하고,
    상기 내면(13)은 평면인 반면에, 상기 외면(14)은 코어 압착 부재(25; 125)와 박육부(27; 127) 사이의 경계부에 박육부(27; 127) 또는 베이스판부(23; 123)에 연속하는 단차부와 경사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인 압착 단자 피팅.
  8. 베이스판부(23; 123)와, 이 베이스판부(23; 123)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코어 압착 부재(25; 125)를 갖는 전선 배럴(21; 121)을 포함하는 압착 단자 피팅(10; 110)의 제조 방법으로서,
    특정 형상과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전도성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적어도 코어 압착 부재(25; 125)의 길이방향 연장 범위의 중간 위치에 베이스판부(23; 123)보다 얇은 하나 이상의 박육부(27; 127)를 마련하도록, 전도성판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얇게 만드는 박육화 프레스 단계
    를 포함하는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따른 압착 단자 피팅(10)과,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31)가 일단부에서 노출되어 있는 전선(30)
    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 단자 피팅(10)의 코어 압착 부재(25)는 상기 전선(30)의 일단부에서 코어 스트랜드(31) 둘레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압착되어 코어 스트랜드(31)에 연결되고,
    압착 이후의 코어 압착 부재(25)의 평균 두께가 압착 이후의 베이스판부(23)의 평균 두께보다 얇은 것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10. 제1항에 따른 압착 단자 피팅(110)과,
    하나 이상의 코어 스트랜드(31)가 일단부에서 노출되어 있는 전선(30)
    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 단자 피팅(110)의 전선 배럴(121)은 상기 전선(30)의 일단부에서 코어 스트랜드(31) 둘레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압착되어 코어 스트랜드(31)에 연결되고,
    압착 이후에 코어 스트랜드(31)를 둘러싸는 전선 배럴(121)의 부분의 두께가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한 것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11. 제10항에 있어서, 압착 이전의 베이스판부(123)는 얇게 형성되는 코어 압착 부재(125)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압착 이후의 베이스판부(123)와 압착 이후의 코어 압착 부재(125)는, 압착 이전의 베이스판부(123)를 크림퍼의 베이스에 놓은 후 압착 다이를 하강시켜 베이스판부를 가압하는 것을 통해,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되는 것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12. 제11항에 있어서, 일측 코어 압착 부재(125)가 이 일측 코어 압착 부재(125)의 외면의 연장선인 제1 가상 평면(F1)으로부터 벗어나려 하는 위치를 제1 기단부(125A)라 하고, 타측 코어 압착 부재(125)가 이 타측 코어 압착 부재(125)의 외면의 연장선인 제2 가상 평면(F2)으로부터 벗어나려 하는 위치를 제2 기단부(125B)라 하면, 압착 이전의 베이스판부(123)는, 두 코어 압착 부재(125)가 면하고 있는 폭 방향에서 제1 기단부(125A)와 제2 기단부(125B)의 사이에 형성되고,
    베이스판부(123)의 폭 방향 양측면은 폭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착 단자 피팅(10; 110)은, 압착되어 전선(30)의 절연 코팅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절연 배럴(22; 122)을 더 포함하고,
    절연 배럴(22; 122)은 베이스판부(23; 123)와, 이 베이스판부(23; 123)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코팅 압착 부재(24; 124)를 구비하며,
    압착 이전의 코팅 압착 부재(24; 124)는, 얇게 형성되는 압착 이전의 두 코어 압착 부재(25; 125) 모두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것인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KR1020100069491A 2009-07-24 2010-07-19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KR101103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3396 2009-07-24
JP2009173396 2009-07-24
JPJP-P-2010-119642 2010-05-25
JP2010119642A JP5707735B2 (ja) 2009-07-24 2010-05-25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65A true KR20110010565A (ko) 2011-02-01
KR101103114B1 KR101103114B1 (ko) 2012-01-04

Family

ID=4349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491A KR101103114B1 (ko) 2009-07-24 2010-07-19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123575B2 (ko)
JP (1) JP5707735B2 (ko)
KR (1) KR101103114B1 (ko)
CN (1) CN101964455B (ko)
DE (1) DE1020100263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713A (ko) * 2013-05-17 2016-01-1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부착 전선
KR20160031561A (ko) * 2013-08-06 2016-03-22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9803A1 (ja) * 2008-09-09 2010-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DE102010031505A1 (de) * 2010-07-19 2012-01-19 Stocko Contact Gmbh & Co. Kg Crimphülse für Quetschverbindungen
CN103001019B (zh) * 2011-09-09 2016-06-0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线压接端子
JP5927996B2 (ja) * 2012-03-02 2016-06-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配線構造
JP6429432B2 (ja) * 2013-02-22 2018-11-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5097202A (ja) * 2013-10-11 2015-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US9859627B2 (en) * 2016-04-26 2018-01-02 Yazaki Corporation Connection structure of terminal fitting and connection method of terminal fitting
FR3033450B1 (fr) * 2015-03-06 2017-02-17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Procede de sertissage d'un contact electrique sur un cable et outil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2018073768A (ja) * 2016-11-04 2018-05-10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FR3065330B1 (fr) * 2017-04-13 2019-05-03 Tyco Electronics France Sas Outil pour souder un conducteur electrique avec un dispositif de connexion
JP2019204653A (ja) * 2018-05-23 2019-11-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CN112531441B (zh) * 2020-12-10 2022-05-17 深圳市创仁顺耀达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线对板连接器端子的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5538Y1 (ko) * 1967-05-20 1971-05-31
US4847993A (en) * 1988-09-20 1989-07-18 Lin Mei Mei Cost-saving process for making plug blades directly from a linear strip
US4922058A (en) * 1989-04-20 1990-05-01 Thomas & Betts Corporatio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having similar or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JPH0787984B2 (ja) 1989-05-31 1995-09-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加圧式自動注湯装置
JPH0680263U (ja) * 1993-04-27 1994-11-08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3005065U (ja) 1994-06-08 1994-12-0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3067545B2 (ja) * 1994-09-09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H0992351A (ja) * 1995-09-21 1997-04-04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ンタクトおよびそのコンタクトを備え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315870B2 (ja) * 1996-08-08 2002-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JP3543705B2 (ja) * 1999-12-14 2004-07-21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端子金具
JP4101446B2 (ja) * 2000-07-24 2008-06-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端子
JP2004303526A (ja) * 2003-03-31 2004-10-2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4013151B2 (ja) * 2004-04-13 2007-11-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7713100B2 (en) * 2005-07-21 2010-05-11 Fci Male electrical terminal with a twisted contact section
JP4744977B2 (ja) * 2005-08-12 2011-08-10 Smk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用コンタクト及び当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ケーブル接続方法
JP4500254B2 (ja) * 2005-12-26 2010-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
JP4846435B2 (ja) * 2006-05-10 2011-12-2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取付方法
JP2008177028A (ja) * 2007-01-18 2008-07-31 Yazaki Corp 端子金具
CN100492132C (zh) * 2007-11-08 2009-05-27 韩伟东 制作液晶显示器背光源发光体的材料及其制造方法
US7803008B2 (en) * 2007-11-27 2010-09-28 Yazaki Corporation Press-clamping structure and press-clamping terminal
JP4930439B2 (ja) * 2008-04-04 2012-05-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713A (ko) * 2013-05-17 2016-01-1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부착 전선
KR20160031561A (ko) * 2013-08-06 2016-03-22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US9787003B2 (en) 2013-08-06 2017-10-10 Nisshin Steel Co., Ltd. Crimp terminal and electric wire with crimp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114B1 (ko) 2012-01-04
CN101964455B (zh) 2013-05-29
DE102010026379A1 (de) 2011-03-10
US20120144668A1 (en) 2012-06-14
CN101964455A (zh) 2011-02-02
US8123575B2 (en) 2012-02-28
JP2011044423A (ja) 2011-03-03
US9015937B2 (en) 2015-04-28
US20110021092A1 (en) 2011-01-27
JP5707735B2 (ja)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114B1 (ko)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US9484640B2 (en) Wire with a crimp terminal with a bottom plate with an inclined portion and a raised portion
US8221171B2 (en) Crimp terminal, terminal-provided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96553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US10003136B2 (en) Crimp terminal and crimping structure with respect to electrical wire thereof
EP2282373B1 (en) Crimpe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8070536B2 (en) Crimp terminal, terminal-provided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266170B1 (en) Electric terminal crimping method and assembly obtained
JP5058082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US9136628B2 (en) Crimp type terminal fitting
US8342894B2 (en) Terminal fitting
US9099792B2 (en) Crimping terminal
JP5519382B2 (ja) 圧着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886517B2 (ja) 圧着端子
JP2010010000A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JP5634789B2 (ja) 圧着端子
WO2013110503A1 (e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omprising a crimping section
JP2010010001A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JP2019057392A (ja) 圧着端子、電線付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