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394A -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및 타이어 가류기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및 타이어 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394A
KR20150091394A KR1020157017720A KR20157017720A KR20150091394A KR 20150091394 A KR20150091394 A KR 20150091394A KR 1020157017720 A KR1020157017720 A KR 1020157017720A KR 20157017720 A KR20157017720 A KR 20157017720A KR 20150091394 A KR20150091394 A KR 20150091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vulcanized
vulcanizer
vulcanized tire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854B1 (ko
Inventor
신지 오카다
미츠루 모리타
신야 고토
게이이치 도오모토
지로 아가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29D30/0643Cooling during post cure inflation; Post cure inflator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rotary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27Handling cured tyres, e.g. transferring or storing after vulcan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rosslinked or vulcan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타이어 가류기(1)는, 언로딩장치(20)를 구비한다. 언로딩장치(20)는, 가류기 본체에서 가류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취출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냉각하는 냉각 위치(P2)까지 반송함과 함께, 냉각 위치(P2)에서 냉각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배출하기 위한 반출장치로 보내는 배출 위치(P3)까지 반송한다. 언로딩장치(20)는,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25)와, 지지부(25)를 평면으로부터 보아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40)와, 지지부(25)를 직진 이동시키는 직진이동부(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및 타이어 가류기 {TIRE VULCANIZER-UNLOADING DEVICE AND TIRE VULCANIZER}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기에 있어서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반송하는 언로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2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03381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미리 완성품에 가까운 형태로 성형된 생고무의 타이어를 금형 내에 넣어, 이 타이어에 열과 압력을 가하고, 타이어를 가류 처리하여 완성 타이어의 형상으로 마무리하는 타이어 가류기가 알려져 있다.
이 타이어 가류기에서는, 가류 완료 타이어를 금형 내로부터 받아,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나, 배출 컨베이어로 보내는 언로딩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언로딩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가류 완료 타이어를 파지한 상태로 선회암을 회전시켜, 금형의 위치,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냉각장치)의 위치, 배출 컨베이어의 위치의 사이에서 타이어를 반송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68039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금형,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냉각장치), 배출 컨베이어의 각각이, 타이어를 받아, 보내는 위치가, 언로딩장치의 선회암이 회전하는 동일 궤적 상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 이들 금형,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 배출 컨베이어의 각각이 타이어의 처리 중에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이들 2개의 배치의 제약에 의하여, 선회암의 길이 치수도 정해지게 되어, 선회암의 길이 치수를 더 작게 하는 것은 어렵고,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타이어 가류기의 추가적인 컴팩트화를 도모하기 어렵다. 또, 특히 대형 타이어에 대해서는, 선회암의 회전 중에 가류기의 외부로의 누출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복수 대 나열되는 경우의 타이어 가류기의 설치 피치를 넓게 할 필요가 있어, 공간절약화도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컴팩트화, 공간절약화가 가능한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및 타이어 가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의 발명의 각종 양태에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일 양태로서의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는,
가류기 본체에서 가류된 가류 완료 타이어를 상기 가류기 본체에 설치된 형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냉각하는 냉각 위치까지 반송함과 함께, 상기 냉각 위치에서 냉각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배출하기 위한 반출장치로 보내는 배출 위치까지 반송하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로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평면으로부터 보아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와, 상기 지지부를 직진 이동시키는 직진이동부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지지부의 회전 중심은, 지지부 밖에 있어도 된다. 또, 지지부의 회전이동과 지지부의 직진이동은, 동일 가상 평면 또는 서로 평행한 가상면 상에서 행해져도 된다.
이와 같은 언로딩장치에 의하면,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하여 반송할 때에, 회전이동부와 직진이동부에 의하여 회전이동과 직진이동을 조합한 반송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회전이동에 의해서만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반송하는 경우와는 달리, 가류기 본체에 설치된 형의 위치, 냉각 위치, 배출 위치를 동일한 회전 궤적 상에 배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이들의 위치의 배치는 자유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지지부에서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지지하는 위치를 회전이동부의 회전 중심에 가깝게 해도, 이들 가류기 본체의 형의 위치, 냉각 위치, 배출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서의 장치 부품과, 이들 각각의 위치에서의 가류 완료 타이어의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들의 위치로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의 회전 반경을 억제하여, 타이어 가류기의 폭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또, 타이어 가류기를 인접하여 복수 대 설치할 때에 설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동일한 면적의 스페이스에 있어서 타이어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지지부의 회전 중심까지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의 자재비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부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음으로써, 굽힘 모멘트 저감이 가능해져, 회전이동부에 있어서 지지부의 회전 중심을 지지하는 주변의 부재에 요구되는 강도를 억제할 수 있으며, 타이어 가류기의 경량화 및 자재비 저감으로 이어진다. 또, 지지부의 회전 반경을 작게 억제함으로써,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반송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져, 타이어 생산 시의 사이클 타임 저감에 의하여 타이어의 생산량 증가로 이어진다.
또, 상기 직진이동부는, 상기 가류기 본체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직진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회전이동부가 직진이동부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회전이동과 직진이동을 조합한 이동을 실현할 수 있어, 지지부의 회전 반경을 작게 억제하면서, 가류기 본체의 형 내로부터 배출 위치로의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형 내로부터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취출 가능한 위치로부터 상기 냉각 위치까지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직진이동부는, 상기 냉각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까지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직진 이동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회전이동과 직진이동을 조합함으로써, 회전이동의 회전 반경을 작게 억제하면서, 가류기 본체의 형 내로부터, 냉각 위치, 배출 위치로의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형의 위치로부터 냉각 위치까지를 회전이동으로 함으로써, 회전이동부에 스윙용 실린더를 이용한 경우에는,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만일, 형의 위치로부터 냉각 위치까지를 직진이동으로 한 경우, 형 외형에 가류 완료 타이어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직진시킬 필요가 있는 점에서, 직진이동부에 슬라이드용 실린더를 이용한 경우에는,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길어져 버린다. 따라서, 형의 위치로부터 냉각 위치까지를 회전이동으로 함으로써, 공간절약, 코스트 등의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또, 상기 직진이동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부, 회전이동부 및 직진이동부의 이동 궤적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직진이동부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높이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검출부에서 높이 위치를 검출하여, 승강부를 제어함으로써, 지지부, 회전이동부 및 직진이동부를 적정한 높이 방향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양태로서의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는, 가류기 본체에서 가류된 가류 완료 타이어를 상기 가류기 본체에 설치된 형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냉각하는 냉각 위치까지 반송함과 함께, 상기 냉각 위치에서 냉각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배출하기 위한 반출장치로 보내는 배출 위치까지 반송하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로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직진 이동시키는 직진이동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언로딩장치에 의하면, 지지부가 회전이동하지 않고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 가류기의 폭치수를 작게 하여, 컴팩트화가 가능하다. 또, 타이어 가류기를 인접하여 복수 대 설치할 때에 폭방향의 설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폭방향의 공간절약화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는, 어느 상기 언로딩장치와, 가류 전의 생 타이어를 가류하는 가류기 본체와, 상기 가류기 본체에서 가류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의 냉각을, 상기 냉각 위치에서 행하는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와, 상기 냉각 위치에서 냉각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배출하기 위한 반출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타이어 가류기에 의하면, 언로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회전이동에 의해서만 냉각 위치 및 배출 위치로 반송하는 경우에 비하여, 타이어 가류기의 폭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타이어 가류기의 설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동일한 면적의 스페이스에 있어서 타이어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류기 본체에, 상기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들을 가류기 본체와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를 근접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의 추가적인 삭감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일 양태에서는, 회전이동부와 직진이동부를 조합하거나, 또는 직진이동부에 의하여, 지지부의 이동을 행함으로써, 장치의 컴팩트화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가류 위치에서의 가류 처리 종료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타이어 가류기에 있어서의 생 타이어,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배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에 관하여, 가류기 본체에서의 가류 종료 후에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지지부가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가류기 본체에서의 가류 처리 종료 후에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반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에 관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가 냉각 위치에 반송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냉각 위치에서 가류 완료 타이어를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에 세트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에 관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를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의 하측 림 승강장치에 세트한 후, 지지부가 대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가류 완료 타이어를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에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가류 완료 타이어의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에서의 냉각 처리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가류 완료 타이어의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에서의 냉각 처리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가류 완료 타이어의 냉각 처리 완료 후, 반송 개시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냉각 처리 후의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반출장치로의 반송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냉각 완료된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반출장치로 반송 중인 상태를 나타내며, 지지부가 배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반출장치로의 전달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측면도로서,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반출장치에서의 배출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7은 타이어 가류기에 있어서의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배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고, (a)는 임시로 회전이동부에 의해서만 언로딩장치를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며,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부분 평면도로서 도 2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4 변형예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가류기(1)는, 가류 처리 전의 미가류 생 타이어(W1)를 전방(도 1의 지면(紙面)을 향하여 좌측)으로부터 반입하여, 가류 처리를 행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W2)로 하고, 이 가류 완료 타이어(W2)에 냉각 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방을 향하여 배출한다.
타이어 가류기(1)는, 생 타이어(W1)를 반입하는 반입장치(2)와, 생 타이어(W1)에 가류 처리를 실시하는 가류기 본체(3)와, 가류기 본체(3)에서 가류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냉각하는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와,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에서 냉각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배출하는 반출장치(5)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타이어 가류기(1)는, 반입장치(2)로부터 가류기 본체(3)로 생 타이어(W1)를 보내는 로딩장치(10)와, 가류기 본체(3)로부터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 및 반출장치(5)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보내는 언로딩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반입장치(2), 가류기 본체(3),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 반출장치(5), 로딩장치(10), 언로딩장치(20)는, 모두 좌우 대칭 구조로, 좌우 대칭 동작을 행한다. 다만, 좌우방향이란, 전후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전측을 F, 후측을 B, 좌측을 L, 우측을 R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생 타이어(W1),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위치에 관하여, 반입장치(2)에서의 생 타이어(W1)의 수용 위치를 반입 위치(P0), 가류기 본체(3)에서의 생 타이어(W1) 및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위치를 금형 위치(P1),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에서의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위치를 냉각 위치(P2), 반출장치(5)에서의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위치를 배출 위치(P3)로 한다.
반입장치(2)는,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타이어 가류기(1)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타이어 가류기(1)의 외부에서 생성된 생 타이어(W1)를 준비한다.
로딩장치(10)는, 생 타이어(W1)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로딩 척(11)과, 이들 로딩 척(11) 각각을 지지하여 좌우방향의 중앙 위치를 향하여 뻗는 로딩 암(13)을 가지고 있다. 이들 로딩 척(11), 로딩 암(13)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로딩 척(11)은, 상방으로부터 생 타이어(W1)의 비드의 내측으로 들어가 펼쳐짐으로써 비드의 내주를 전체둘레에 걸쳐서 거는 클릭(11a)(도 1 참조)을 가지고 있다. 로딩 척(11)은, 반입장치(2)에 준비된 생 타이어(W1)를 내주측에서 파지하여 지지하고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각각의 로딩 암(13)은, 수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위치측의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의 로딩 척(11)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을 향하여 수평 회전시킨다. 다만, 이 로딩 암(13)을 회전시키는 기구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언로딩장치(20)의 회전이동부(40)와 동일한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가류기 본체(3)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 타이어(W1)의 금형(15)과, 플로어(G)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3a)과, 가이드 프레임(3a)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b)과, 가이드 프레임(3a)에 마련되어 있는 장착부(3c)와, 가이드 프레임(3a)에 마련되어 있는 상측 금형 승강장치(16)를 가지고 있다. 금형(15)은, 하측 금형(15b)과 상측 금형(15a)을 가지고 있다. 로딩장치(10)로부터 수용한 생 타이어(W1)는, 상측 금형(15a)과 하측 금형(15b) 사이에 끼워 넣어져, 금형(15) 내에 수용된다. 가류기 본체(3)는, 생 타이어(W1)의 내측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블래더를 삽입하여 생 타이어(W1)의 내면을 압압한 상태로, 가열, 가압함으로써 가류 처리를 행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형(15)으로 하고 있지만, 형은 금속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측 금형(15a)은, 상측 금형 승강장치(1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측 금형 승강장치(16)는, 플로어(G)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3a)에 마련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16a)를 가진다. 하측 금형(15b)은 가이드 프레임(3a)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가류 처리 개시 전, 가류 처리 종료 후에는, 상측 금형(15a)이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금형(15)이 개방된다.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는, 가류기 본체(3)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가류기 본체(3)의 가이드 프레임(3a)에 고정되어 있다.
이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는, 가이드 프레임(3a)에 고정되어 후방을 향하여 뻗는 지지 프레임(21)과, 이 지지 프레임(21)에 마련되어 있는 상부 타이어 유지부(23)와, 가이드 프레임(3a)에 고정되어 상부 타이어 유지부(2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하부 타이어 유지부(22)를 가지고 있다.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는, 지지 프레임(21), 상부 타이어 유지부(23), 하부 타이어 유지부(22)의 각각을 2개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지지 프레임(21), 2개의 상부 타이어 유지부(23), 2개의 하부 타이어 유지부(22)는, 모두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부 타이어 유지부(22)는, 상부 타이어 유지부(23)에 대향하도록 가이드 프레임(3a)에 고정되어, 상방을 향하여 상부 타이어 유지부(23)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뻗어 있다.
하부 타이어 유지부(22)는, 그 상단부에 마련되어, 가류기 본체(3)로부터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수용하여 상부에 고정하는 하측 림(22a)과, 하측 림(22a)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하측 림 승강장치(22b)를 가지고 있다. 다만, 이 하측 림 승강장치(22b)는, 예를 들면 승강 실린더를 가지고 있으며, 이 승강 실린더의 승강 제어 기능은, 후술하는 제어부(52)에 갖게 해도 되고, 별도 마련해도 된다.
상부 타이어 유지부(23)는, 지지 프레임(2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암(23c)과, 암(23c)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상측 림(23a)을 가지고 있다. 2개 상측 림(23a)은, 암(23c)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다. 즉, 2개 상측 림(23a)은, 암(23c)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다. 또, 이 상부 타이어 유지부(23)는, 지지 프레임(2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반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어,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하부 타이어 유지부(22)로부터 수용한 후에,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내부로 압축 공기를 도입하여 냉각 처리를 행한다.
반출장치(5)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컨베이어를 가지고 있다. 이 컨베이어는,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의 후방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냉각 처리 완료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경사에 의하여 다음의 공정으로 반송하는 메인 컨베이어 상으로 배출한다. 반출장치(5)는, 한 쌍의 컨베이어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일방의 컨베이어와 타방의 컨베이어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언로딩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로딩장치(20)는,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하는 지지부(25)와, 지지부(25)를 수평면 상에서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40)와, 지지부(25)를 수평면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진 이동시키는 직진이동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언로딩장치(20)는, 2개의 지지부(25)와, 2개의 회전이동부(40)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지지부(25)는, 직진이동부(3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2개의 회전이동부(40)도, 직진이동부(3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부(25)는,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하는 언로딩 척(26)과, 이들 언로딩 척(26)을 지지하여 좌우방향의 중앙 위치를 향하여 뻗는 언로딩 암(27)을 가지고 있다.
언로딩 척(26)은, 상방으로부터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비드의 내측으로 들어가 펼쳐짐으로써 비드의 내주를 전체둘레에 걸쳐서 거는 클릭(26a)을 가지고 있다. 이 언로딩 척(26)은, 가류기 본체(3)로부터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내주측에서 파지하여 지지하고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언로딩 암(27)은, 수평면 상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위치측의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의 언로딩 척(26)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을 향하여 수평 회전시킨다.
직진이동부(30)는, 가류기 본체(3)의 가이드 프레임(3a)에 장착되어 후방을 향하여 뻗도록 마련된 베이스(31)와, 베이스(31)의 상부에 마련된 진퇴 가능한 슬라이더(32)와, 슬라이더(32)와 베이스(31)의 사이에 개재된 슬라이드 실린더(34)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31)는, 전방측의 선단부에 마련된 승강 가이드(31b)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31)는, 이 승강 가이드(31b)가 가이드 프레임(3a)의 후방측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레일(3b)에 맞물림으로써, 가이드 프레임(3a)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베이스(31)는, 전후방향으로 뻗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봉 형상을 이루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슬라이드 가이드(31a)(도 3 참조)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32)는, 베이스(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베이스(31)의 슬라이드 가이드(31a)를 관통하도록 하여 이 슬라이드 가이드(31a)에 안내되면서, 베이스(3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34)는, 제1 실린더 본체(34a)와, 제1 실린더 본체(34a)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제1 로드(34b)를 가지고, 제1 실린더 본체(34a)가 베이스(31)에 있어서의 전방 위치에 장착되고, 제1 로드(34b)의 단부가 슬라이더(32)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실린더(34)에는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 등이 이용되어, 제1 로드(34b)의 신축에 의하여 베이스(31)에 대하여 슬라이더(32)를 전후방향으로 직진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만, 직진이동부(30)에서는, 그 외의 슬라이드하는 직진이동 수단으로서 볼 나사,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체인과 스프로킷 등의 모터와의 조합기구를 이용한 이동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1 로드(34b)가 가장 짧아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냉각 위치(P2)에 위치하는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 가능하고, 제1 로드(34b)가 가장 길어져 있는 상태에서, 지지부(25)에 지지된 가류 완료 타이어(W2)가 상기 배출 위치(P3)에 위치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드 실린더(34)의 스펙을 결정한다. 즉, 직진이동부(30)는 냉각 위치(P2)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직진 이동시키게 된다.
2개의 회전이동부(40)는, 모두, 직진이동부(30)의 슬라이더(32)에 마련되어, 언로딩 암(27)의 중앙 위치측의 단부를 고정하고 있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지지핀(41)과, 언로딩 암(27)의 연재방향의 중도 위치와 슬라이더(32)의 사이에 개재된 스윙 실린더(44)를 가지고 있다. 2개의 회전이동부(40) 중 일방의 회전이동부(40)의 지지핀(41)과, 타방의 회전이동부(40)의 지지핀(41)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2개의 회전이동부(40) 중 일방의 회전이동부(40)의 스윙 실린더(44)와, 타방의 회전이동부(40)의 스윙 실린더(44)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이동부(40)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25)에 지지된 가류 완료 타이어(W2)가 상기 금형 위치(P1)에 위치했을 때에, 그보다 전방으로의 언로딩 암(27)의 동작을 규제하는 제1 스토퍼(45)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류 완료 타이어(W2)가 상기 냉각 위치(P2)에 위치했을 때에, 그보다 후방으로의 언로딩 암(27)의 동작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46)를 가지고 있다. 2개의 회전이동부(40) 중 일방의 회전이동부(40)의 제1 스토퍼(45)와, 타방의 회전이동부(40)의 제1 스토퍼(45)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2개의 회전이동부(40) 중 일방의 회전이동부(40)의 제2 스토퍼(46)와, 타방의 회전이동부(40)의 제2 스토퍼(46)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핀(41)은, 상하방향을 회전축선으로 하여 슬라이더(32)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언로딩 암(27)은 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각각의 스윙 실린더(44)는, 제2 실린더 본체(44a)와, 제2 실린더 본체(44a)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제2 로드(44b)를 가지고 있다. 제2 실린더 본체(44a)는, 슬라이더(32)에 있어서의 지지핀(41)보다 후방이 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로드(44b)의 단부는, 제2 실린더 본체(44a)로부터 전방으로 뻗음과 함께, 언로딩 암(27)의 연재방향의 중도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 스윙 실린더(44)에는,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 등이 이용되어, 제2 로드(44b)의 신축에 의하여, 언로딩 암(27)을 지지핀(41)의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각각의 제1 스토퍼(45)는, 슬라이더(32)의 전방의 단부에 장착된 판 형상을 이루는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스토퍼(45)는, 언로딩 암(27)이 전방측으로 맞닿음으로써, 지지부(25)가 금형 위치(P1)보다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부(25)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메카 스토퍼이다.
각각의 제2 스토퍼(46)는, 슬라이더(32)의 후방의 단부에 장착된 판 형상을 이루는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제2 스토퍼(46)는, 언로딩 암(27)이 후방측으로 맞닿음으로써, 지지부(25)가 냉각 위치(P2)보다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부(25)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1 스토퍼(45)와 동일한 메카 스토퍼이다.
즉, 제1 스토퍼(45)와 제2 스토퍼(46)에 의하여, 회전이동부(40)는 금형 위치(P1)로부터 냉각 위치(P2)까지,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회전 이동시킴과 함께, 금형 위치(P1)와 냉각 위치(P2)로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이동부(40)는, 금형(15) 내로부터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취출하여, 금형 위치(P1)로부터 냉각 위치(P2)까지 회전 가능하게, 직진이동부(30)에 지지되어 있다. 즉 회전이동부(40)는, 직진이동부(30)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언로딩장치(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진이동부(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50)와, 직진이동부(30)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51)와, 검출부(51)의 신호에 따라 직진이동부(30)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5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승강부(50)는, 가류기 본체(3)의 가이드 프레임(3a)과 직진이동부(30)의 베이스(31)의 사이에 개재된 승강 실린더이다. 그리고 승강부(50)는, 승강 실린더 본체(50a)와, 승강 실린더 본체(50a)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승강 로드(50b)를 가지고 있다.
승강 실린더 본체(50a)는, 가이드 프레임(3a)에 있어서의 하부 위치에 마련된 장착부(3c)에 장착되어 있다. 또, 승강 로드(50b)는, 단부가 베이스(31)의 전방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직진이동부(30)의 베이스(31)는, 승강 로드(50b)의 신축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3b)에 승강 가이드(31b)가 맞물린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검출부(51)는, 직진이동부(30)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검출부(51)로서는, 예를 들면, 근접 스위치나 리미트 스위치, 리니어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검출부(51)는, 금형 위치(P1), 냉각 위치(P2), 배출 위치(P3)에 있어서, 직진이동부(30)가 각 위치에서 소정의 높이 위치가 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51)는, 금형 위치(P1), 냉각 위치(P2), 배출 위치(P3)의 각 위치에 있어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 가능하게 되는 높이 위치나, 금형 위치(P1)로부터 냉각 위치(P2)로, 냉각 위치(P2)로부터 배출 위치(P3)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반송하는 높이 위치가 되었을 때에, 각 높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52)는, 검출부(5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승강부(50)로 동력을 공급하여 승강부(50)를 동작시킴으로써, 금형 위치(P1), 냉각 위치(P2), 배출 위치(P3)에서의 직진이동부(30)의 높이 위치를 제어한다. 이로써, 각 위치에서 지지부(25)에 의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지지가 가능하게 됨과 함께, 각 위치에서 로딩장치(10)나 언로딩장치(20)에 의한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장치 간에서의 전달이나 반송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이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타이밍에, 검출부(5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스윙 실린더(44)로 동력을 공급하여 조작함으로써, 금형 위치(P1)로부터 냉각 위치(P2)로 지지부(25)를 회전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52)는, 슬라이드 실린더(34)로 동력을 공급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냉각 위치(P2)로부터 배출 위치(P3)로 지지부(25)를 직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타이어 가류기(1)의 동작의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입장치(2)로부터 로딩장치(10)에 의하여 가류기 본체(3)의 금형 위치(P1)로 반송된 생 타이어(W1)는, 금형(15)의 내부에서 가류 처리가 실시된다.
그 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 타이어(W1)의 가류 처리가 종료되면 상측 금형 승강장치(16)에 의하여 상측 금형(15a)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금형(15)이 개방된다. 이 때, 언로딩장치(20)의 언로딩 척(26)이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지부(25)가 금형 위치(P1)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51)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52)가 승강부(50)를 구동하여 직진이동부(30)의 베이스(31)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측 금형(15b) 상에 있는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비드 내로 클릭(26a)이 들어간다. 그 후, 클릭(26a)을 펼침으로써 비드에 클릭(26a)이 걸려,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가 지지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가 지지한 상태로, 검출부(51)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52)가 승강부(50)를 구동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진이동부(30)의 베이스(31)를 금형 위치(P1)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가 지지한 상태로, 제어부(52)가,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이동부(40)의 스윙 실린더(44)를 구동하여 지지부(25)를 냉각 위치(P2)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가 지지한 상태로, 검출부(51)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52)가 승강부(50)를 구동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진이동부(30)의 베이스(31)를 냉각 위치(P2)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의 하부 타이어 유지부(22)의 하측 림(22a)에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보낸다.
그리고,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52)가 승강부(50)를 구동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W2)와 언로딩 척(26)이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직진이동부(30)의 베이스(31)를 상승시킨다. 그 후, 제어부(52)는, 직진이동부(30)의 슬라이드 실린더(34)를 구동하여 지지부(25)를 배출 위치(P3)로 이동시켜,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의 냉각 처리 및 반전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로 지지부(25)를 대피시킨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52)는, 하부 타이어 유지부(22)의 하측 림(22a)과 하측 림측 연결장치(22c)를 하측 림 승강장치(22b)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측 림측 연결장치(23b)와 하측 림측 연결장치(22c)를 연결시킨다. 이로써, 가류 완료 타이어(W2)가 상측 림(23a)과 하측 림(22a)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타이어 유지부(23)를 상하 반전시킴으로써, 복수 개(본 도면에서는 편측 2개)의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냉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지지부(25)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배출 위치(P3)로 대피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냉각 처리는, 가류 처리에 비하여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부 타이어 유지부(23)의 상하에서, 연속해서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냉각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부 타이어 유지부(23)의 일방에서 냉각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언로딩장치(20)에 의하여 냉각 처리가 종료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반출장치(5)로 배출함과 함께, 가류기 본체(3)로부터 새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반송하여, 하부 타이어 유지부(22)에 새로운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타이어 유지부(22)의 하측 림 승강장치(22b)에 의하여, 하측 림측 연결장치(22c)와 하측 림(22a) 상에 유지된 냉각 처리가 완료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수용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다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52)가 직진이동부(30)의 슬라이드 실린더(34)를 구동하여, 지지부(25)를 냉각 위치(P2)로 직진 이동시킨다. 그 후, 냉각 위치(P2)에 있어서 제어부(52)가 승강부(50)를 구동하여 베이스(31)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비드 내로 클릭(26a)이 들어가, 그 후, 클릭(26a)을 펼침으로써 비드에 클릭(26a)이 걸려,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가 지지한다.
그리고,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가 지지한 상태로, 검출부(51)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52)가 승강부(50)를 구동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진이동부(30)의 베이스(31)를 냉각 위치(P2)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가 지지한 상태로, 제어부(52)가 직진이동부(30)의 슬라이드 실린더(34)를 구동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25)를 배출 위치(P3)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가 지지한 상태로, 검출부(51)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52)가 승강부(50)를 구동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진이동부(30)의 베이스(31)를 배출 위치(P3)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로부터 반출장치(5)로 보내,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배출을 행한다.
이와 같은 타이어 가류기(1)에 있어서는,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지지부(25)에 의하여 지지하여 반송할 때에, 언로딩장치(20)의 회전이동부(40)와 직진이동부(30)에 의하여, 회전이동과 직진이동을 조합한 반송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회전이동에 의해서만 냉각 위치(P2) 및 배출 위치(P3)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반송하는 경우에 비하여, 회전이동부(40)의 언로딩 암(27)의 길이 치수를 작게 억제하여 회전 반경을 작게 했다고 해도, 가류기 본체(3),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 반출장치(5)에서 가류 완료 타이어의 처리 중에, 각각의 장치 부품과 가류 완료 타이어가 간섭하는 일이 없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로 회전이동만으로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반송을 행한 경우에는, 도 17(b)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언로딩 암(27A)의 길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으면, 동일한 회전 궤적 상에 금형 위치(P1), 냉각 위치(P2), 배출 위치(P3)를 배치할 수 없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위치를 동일한 회전 궤적 상에 배치한다는 제약이 없어지기 때문에, 언로딩 암(27)을 언로딩 암(27A)보다 짧게 해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각 위치에서의 간섭이 일어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타이어 가류기(1) 전체의 좌우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언로딩 암(27)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타이어 가류기(1)를 인접하여 복수 대 설치할 때에, 설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타이어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언로딩 암(27)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자재비 저감이 가능해지는 것이나, 언로딩 암(27)에서의 굽힘 모멘트 저감에 의하여, 회전이동부(40)에 있어서의 암 부재의 회전 중심을 지지하는 주변의 부재, 즉, 슬라이더(32)나 지지핀(41)에 요구되는 강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경량화, 자재비 저감으로 이어진다.
또, 언로딩 암(27)의 회전 반경을 작게 억제함으로써,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반송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져, 타이어 생산 시의 사이클 타임 저감에 의하여, 타이어의 생산량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회전이동부(40)가 직진이동부(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회전이동과 직진이동을 조합한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승강부(50)를 이용함으로써, 지지부(25), 회전이동부(40) 및 직진이동부(30)의 이동 궤적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또한, 검출부(51)에 의하여 제어부(52)를 제어함으로써, 지지부(25), 회전이동부(40), 직진이동부(30)를 적정한 높이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전달을 확실히 행하여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류기 본체(3)에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가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가류기 본체(3)와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를 근접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의 추가적인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 가류기 본체(3)와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의 사이의 설치 위치의 조정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가류기 본체(3)로부터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로,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로부터 반출장치(5)로의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반송에, 각각 개별의 언로딩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공간절약화 및 코스트 삭감으로 이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가류기(1)에 의하면, 언로딩장치(20)에 있어서, 회전이동부(40)와 직진이동부(30)를 조합하여 지지부(25)의 이동을 행함으로써, 컴팩트화, 공간절약화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소의 설계 변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드시 가류기 본체(3)에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4)가 고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서술한 언로딩장치(20)에 있어서, 회전이동부(40)는 직진이동부(30)에 지지되어 일체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일체가 아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언로딩장치(20)에서는, 금형 위치(P1)로부터 냉각 위치(P2)까지를 회전이동부(40)에 의하여, 냉각 위치(P2)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를 직진이동부(30)에 의하여 가류 완료 타이어(W2)의 반송을 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형 위치(P1)로부터 냉각 위치(P2)까지를 직진이동부(30)에 의하여, 냉각 위치(P2)로부터 배출 위치(P3)까지를 회전이동부(40)에 의하여 반송해도 된다.
또, 언로딩장치에 대해서는, 회전이동부 및 직진이동부는 상기 서술한 구조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로딩장치는 회전이동부(90)와 직진이동부(8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회전이동부(90)는, 중앙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랙 기어(91)와, 이 랙 기어(91)에 맞물림과 함께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좌우 한 쌍의 피니언 기어(92)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피니언 기어(92)에는, 지지부(25)가 장착되어 있으며, 랙 기어(91)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지지부(25)가 회전이동을 행한다.
랙 기어(91)에는, 랙 기어(91) 자체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부(25)가 지지하는 가류 완료 타이어(W2)가 회전하여 냉각 위치(P2)에 위치했을 때에, 랙 기어(91)와 피니언 기어(92)의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전후방향의 소정의 범위 내에 치(齒)(9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직진이동부(80)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냉각 위치(P2)에서 랙 기어(91)와 피니언 기어(92)의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로, 지지부(25)를 피니언 기어(92)마다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언로딩장치는, 회전하면서 직진시켜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반송하는 회전 직진이동부(100, 110)(도 19, 도 20 참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직진이동부(100)에서는, 언로딩 암(107)이 회전함과 함께, 언로딩 암(107)의 직경방향 외측의 선단에 있어서, 언로딩 척(106)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직진이동부(110)에서는, 언로딩 암(117)이 회전하면, 이 언로딩 암(117)의 길이 치수를 실린더 등에 의하여 변화시킴으로써, 회전 중이더라도, 언로딩 척(116)이 좌우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항상 위치하게 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로딩장치는, 회전이동부를 가지지 않고, 언로딩 암(127)을 좌우방향의 중앙 위치측의 단부로 지지하여, 언로딩 척(126)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직진이동부(12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회전이동하지 않고 직진이동에 의해서만 가류 완료 타이어(W2)를 반송함으로써, 타이어 가류기(1)의 좌우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여 컴팩트화가 가능하다. 또, 타이어 가류기(1)를 인접하게 복수 대 설치할 때에, 좌우방향의 설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좌우방향의 공간절약화가 가능하다.
여기에서, 로딩장치(10)에, 상기 서술한 직진이동부(30, 80, 120), 회전이동부(90), 회전 직진이동부(100, 110)를 적용해도 된다.
또, 직진이동부(30)와 회전이동부(40)를 하나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직진이동부(80)와 회전이동부(90)에 대하여, 회전 직진이동부(100, 11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일 양태에 의하면, 장치의 컴팩트화 및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타이어 가류기
2 반입장치
3 가류기 본체
3a 가이드 프레임
3b 가이드 레일
3c 장착부
4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
5 반출장치
10 로딩장치
11 로딩 척
11a 클릭
13 로딩 암
15 금형(형)
15a 상측 금형(형)
15b 하측 금형(형)
16 상측 금형 승강장치
16a 실린더
20 언로딩장치
21 지지 프레임
22 하부 타이어 유지부
22a 하측 림
22b 하측 림 승강장치
22c 하측 림측 연결장치
23 상부 타이어 유지부
23a 상측 림
23b 상측 림측 연결장치
25 지지부
26 언로딩 척
26a 클릭
27, 27A 언로딩 암
30 직진이동부
31 베이스
31a 슬라이드 가이드
31b 승강 가이드
32 슬라이더
34 슬라이드 실린더
34a 제1 실린더 본체
34b 제1 로드
40 회전이동부
41 지지핀
44 스윙 실린더
44a 제2 실린더 본체
44b 제2 로드
45 제1 스토퍼
46 제2 스토퍼
50 승강부
50a 승강 실린더 본체
50b 승강 로드
51 검출부
52 제어부
W1 생 타이어
W2 가류 완료 타이어
G 플로어
P0 반입 위치
P1 금형 위치
P2 냉각 위치
P3 배출 위치
80 직진이동부
90 회전이동부
91 랙 기어
91a 치
92 피니언 기어
100 회전 직진이동부
106 언로딩 척
107 언로딩 암
110 회전 직진이동부
116 언로딩 척
117 언로딩 암
120 직진이동부
126 언로딩 척
127 언로딩 암

Claims (8)

  1. 가류기 본체에서 가류된 가류 완료 타이어를 상기 가류기 본체에 설치된 형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냉각하는 냉각 위치까지 반송함과 함께, 상기 냉각 위치에서 냉각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배출하기 위한 반출장치로 보내는 배출 위치까지 반송하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로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평면으로부터 보아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와,
    상기 지지부를 직진 이동시키는 직진이동부
    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동부는, 상기 가류기 본체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직진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형 내로부터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취출 가능한 위치로부터 상기 냉각 위치까지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회전 이동시키며,
    상기 직진이동부는, 상기 냉각 위치로부터 상기 배출 위치까지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직진 이동시키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동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동부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높이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추가로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6. 가류기 본체에서 가류된 가류 완료 타이어를 상기 가류기 본체에 설치된 형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냉각하는 냉각 위치까지 반송함과 함께, 상기 냉각 위치에서 냉각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배출하기 위한 반출장치로 보내는 배출 위치까지 반송하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로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직진 이동시키는 직진이동부
    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언로딩장치와,
    가류 전의 생 타이어를 가류하는 가류기 본체와,
    상기 가류기 본체에서 가류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의 냉각을, 상기 냉각 위치에서 행하는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와,
    상기 냉각 위치에서 냉각된 상기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배출하기 위한 반출장치
    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류기 본체에, 상기 포스트 큐어 인플레이터가 고정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기.
KR1020157017720A 2013-02-22 2013-06-17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및 타이어 가류기 KR101743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3810 2013-02-22
JP2013033810A JP5968249B2 (ja) 2013-02-22 2013-02-22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PCT/JP2013/066563 WO2014128987A1 (ja) 2013-02-22 2013-06-17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394A true KR20150091394A (ko) 2015-08-10
KR101743854B1 KR101743854B1 (ko) 2017-06-05

Family

ID=5139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720A KR101743854B1 (ko) 2013-02-22 2013-06-17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및 타이어 가류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11555B2 (ko)
EP (1) EP2960034B8 (ko)
JP (1) JP5968249B2 (ko)
KR (1) KR101743854B1 (ko)
CN (1) CN104936755B (ko)
HR (1) HRP20180586T1 (ko)
TW (1) TWI547361B (ko)
WO (1) WO2014128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9922B1 (fr) * 2012-04-27 2015-01-16 Michelin & Cie Procede de fabrication d'enveloppes de pneumatique
CN105939827B (zh) * 2014-02-06 2019-01-29 三菱重工机械系统株式会社 轮胎支承装置以及轮胎冷却系统
CN105947652B (zh) * 2016-06-08 2019-06-25 海宁市睿创机械科技有限公司 轮胎胎胚转移系统
CN106426667B (zh) * 2016-11-18 2018-11-09 青岛双星橡塑机械有限公司 自动换模装置
CN106426997B (zh) * 2016-12-26 2018-09-25 桂林橡胶机械有限公司 硫化机抓胎器
CN106426998A (zh) * 2016-12-26 2017-02-22 桂林橡胶机械有限公司 平移垂直升降翻转式后充气装置
DE102017210338A1 (de) * 2017-06-21 2018-12-2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rahlung von Rohreifen mit Elektronenstrahlen
WO2019003352A1 (ja) * 2017-06-28 2019-01-03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インフレート装置
WO2019077695A1 (ja) * 2017-10-18 2019-04-25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イヤ加硫機、並びに、加硫済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の改造方法
JP7079891B2 (ja) * 2019-02-20 2022-06-02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システム及び加硫済みタイヤの製造方法
EP3912782A4 (en) * 2019-02-20 2022-01-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TIRE VULCANIZATION SYSTEM, VULCANIZED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TIRE TRANSPORT DEVICE
JP7346782B2 (ja) * 2019-09-02 2023-09-20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成型装置
CN112978343B (zh) * 2019-12-16 2022-08-02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轮胎自动转运工作站
CN113021971B (zh) * 2021-03-23 2022-12-27 山东省三利轮胎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轮胎生产的装置
CN113665151A (zh) * 2021-09-22 2021-11-19 福建省益震科技有限公司 一种内胎自动硫化机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511277A (ko) * 1965-01-30 1966-08-01
US4169698A (en) * 1978-01-26 1979-10-02 Nrm Corporation Post cure inflator
US4702669A (en) * 1985-10-24 1987-10-2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echanism for transferring cured tires from tire press to post-inflator
JP2505675B2 (ja) * 1992-01-24 1996-06-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プレス
JP3219567B2 (ja) * 1993-09-29 2001-10-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タイヤ用把持冷却装置
JP2825218B2 (ja) * 1994-05-27 1998-11-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搬送ローダ
TW260636B (en) * 1994-05-24 1995-10-21 Kobe Steel Ltd Tire vulcanizing system
JP2896082B2 (ja) * 1994-05-26 1999-05-3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の締付機構
JP3340560B2 (ja) 1994-06-01 2002-11-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加硫済タイヤの搬送方法
JPH0857858A (ja) 1994-08-25 1996-03-05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システム
DE69526171T2 (de) * 1994-10-31 2002-11-14 Mitsubishi Heavy Ind Ltd Reifenvulkanisiervorrichtung
JPH08300357A (ja) * 1995-04-28 1996-11-19 Bridgestone Corp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2896108B2 (ja) 1995-11-28 1999-05-3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用アンローダ
US6241501B1 (en) 1998-03-20 2001-06-0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er
JP3657421B2 (ja) 1998-03-20 2005-06-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装置用搬送ローダ
JPH11268039A (ja) 1998-03-23 1999-10-05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
WO2002055278A1 (fr) * 2001-01-09 2002-07-18 Ichimaru Giken Co., Ltd. Dispositif de prehension de pneumatiques installe sur un dispositif de gonflage par post-vulcanisation
JP4917837B2 (ja) * 2006-05-31 2012-04-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JP4969274B2 (ja) * 2007-03-12 2012-07-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左右独立作動式コラム型加硫機
JP5335292B2 (ja) * 2008-06-13 2013-11-06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保持機構、及び、pci装置
JP5424727B2 (ja) * 2009-06-10 2014-02-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8366426B2 (en) * 2009-10-21 2013-02-05 Mcneil & Nrm, Inc. Combination loader and post cure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62068A (ja) 2014-09-08
CN104936755B (zh) 2017-03-15
EP2960034A4 (en) 2016-02-24
US9511555B2 (en) 2016-12-06
KR101743854B1 (ko) 2017-06-05
TWI547361B (zh) 2016-09-01
JP5968249B2 (ja) 2016-08-10
TW201433437A (zh) 2014-09-01
EP2960034B1 (en) 2018-03-21
WO2014128987A1 (ja) 2014-08-28
US20150343729A1 (en) 2015-12-03
HRP20180586T1 (hr) 2018-07-13
EP2960034B8 (en) 2018-05-02
EP2960034A1 (en) 2015-12-30
CN104936755A (zh)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854B1 (ko) 타이어 가류기의 언로딩장치, 및 타이어 가류기
EP2949442B1 (en) Unloading device
KR20100103482A (ko) 차륜용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828197B1 (ko) 타이어 지지장치, 타이어 냉각 시스템
US6322342B1 (en) Tire vulcanizer
US6241501B1 (en) Tire vulcanizer
KR20180096640A (ko) 타이어를 후 처리하기 위한 장치
TWI494205B (zh) 輪胎硫化機及輪胎硫化設備
EP2327523B1 (en) Vulcanization machine comprising two vulcanizers having right and left paired columns in v-configuration
US8029256B2 (en) Laterally independently operated column-equipped vulcanizer
JP6809104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JP5622545B2 (ja) タイヤ構成部材の供給装置、未加硫タイヤの製造装置および未加硫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243616B1 (ko) 타이어 취급 장치 및 방법
JP3657421B2 (ja) タイヤ加硫装置用搬送ローダ
JP3692209B2 (ja) タイヤ加硫機
TWI520833B (zh) 卸載裝置
JP2011020356A (ja)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4400963B2 (ja) 未加硫タイヤの保管供給方法および保管供給設備
JP4623892B2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2004050456A (ja) タイヤ加硫機
JP2003053733A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