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313A - 스태커 크레인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313A
KR20150038313A KR1020157004784A KR20157004784A KR20150038313A KR 20150038313 A KR20150038313 A KR 20150038313A KR 1020157004784 A KR1020157004784 A KR 1020157004784A KR 20157004784 A KR20157004784 A KR 20157004784A KR 20150038313 A KR20150038313 A KR 20150038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platform
vertical frame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373B1 (ko
Inventor
히로유키 가이누마
테츠지 타나하시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Abstract

승강대의 승강 속도의 고속화를 실현하고, 또한 승강대가 기울었을 경우에도 승강대의 일부가 마스트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한다.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전후 한 쌍의 마스트(3)의 사이에, 이동 재치 장치(F)를 탑재한 수평 프레임(21)과, 수평 프레임(21)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마스트(3)를 따라 기립하는 수직 프레임(22)을 구비하는 승강대(20)가 배치되고, 수직 프레임(22)이 현수된 상태로 승강대(20)가 승강하는 스태커 크레인(1)으로서, 수직 프레임(22)의 각각은, 마스트(3)를 좌우 방향으로 개재한 상태의 한 쌍의 제 1 가이드 롤러(30)를 구비하고, 또한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수평 프레임(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본 발명은 복수의 선반에 대하여 워크를 출납하는 이동 재치(載置) 기능을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창고 내에 설치된 랙의 수납 선반에 대하여, 워크를 출납하기 위하여 스태커 크레인이 이용되고 있다. 이 스태커 크레인은, 랙을 따라 설치된 궤도 상을 이동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대를 구비하고, 랙 내에서 상하 좌우로 배열된 임의의 수납 선반에 대하여 승강대를 위치 설정하여, 승강대에 탑재한 이동 재치 장치에 의해 수납 선반에 대한 워크의 출납을 행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스태커 크레인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궤도 상을 이동하는 기대(基台)에 한 쌍의 마스트가 설치되고, 이 마스트로 가이드되어 승강하는 승강대 상에 워크의 이동 재치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08-074543호 일본특허공개공보 2012-012152호
특허 문헌 1, 2에서 개시되는 스태커 크레인은, 승강대가 한 쌍의 마스트로 가이드되어 승강하는데, 그 가이드 부분으로서 직동(直動) 가이드가 이용되고 있다. 이 직동 가이드는, 이동 방향(상하 방향) 이외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요철(凹凸)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요철면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이동의 직진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직동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승강대는, 승강 시에 요동이 없어, 안정적으로 워크를 반송할 수 있는 한편, 요철면의 슬라이드 이동을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승강 속도를 올리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최근, 창고의 대규모화에 수반하여, 스태커 크레인에서도 승강대의 승강 속도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고, 직동 가이드를 이용한 구성에서는 승강 속도의 고속화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따라서, 승강대의 고속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승강대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 롤러로 마스트를 개재하고, 이 가이드 롤러에 의해 마스트로 가이드되는 구성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승강대가 기울었을 경우에 가이드 롤러가 마스트로부터 벗어나 승강대의 일부가 마스트에 충돌하여, 마스트 또는 승강대 등의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또한 이러한 상황으로부터의 복구 작업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승강대가, 한 쌍의 마스트에 각각 배치된 벨트로 현수되어 있는 경우, 이들 벨트의 구동 동기(同期)가 어긋나면 승강대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승강 속도를 고속화했을 시에는 구동 동기의 어긋남에 기초하는 승강대의 기울어짐도 커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 속도의 고속화를 실현하도록 가이드 롤러를 설치한 승강대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에서, 승강대가 기울었을 경우에도, 승강대의 일부가 마스트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마스트 또는 승강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전후 한 쌍의 마스트의 사이에, 이동 재치 장치를 탑재한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마스트를 따라 기립하는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는 승강대가 배치되고, 수직 프레임이 현수된 상태로 승강대가 승강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수직 프레임의 각각은, 마스트를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개재한 상태의 한 쌍의 제 1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고, 또한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수평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 프레임은, 한 쌍의 마스트의 대향면에 각각이 접촉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제 2 가이드 롤러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수직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이 마스트에 대하여 근접 방향으로 회전했을 시, 마스트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수직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이 마스트에 대하여 이간 방향으로 회전했을 시, 마스트에 계지되는 훅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훅은, 승강대가 하한 위치 또는 상한 위치를 초과했을 시, 리밋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전후 한 쌍의 마스트의 사이에, 이동 재치 장치를 탑재한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마스트를 따라 기립하는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는 승강대가 배치되는 스태커 크레인의 사용 방법으로서, 수직 프레임의 각각은, 마스트를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개재한 상태의 한 쌍의 제 1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고, 또한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수평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승강대를, 수직 프레임이 현수된 상태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프레임의 각각이, 수평 프레임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수평 프레임이 기울었을 경우에도, 수직 프레임이 회전하여 수평 프레임의 기울어짐에 추종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가이드 롤러가 마스트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원상으로의 회복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마스트에 대한 수직 프레임의 기울어짐을 작게 하므로, 수직 프레임이 마스트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마스트 또는 승강대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평 프레임이 마스트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혹은 진동했을 때라도, 제 2 가이드 롤러가 마스트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승강대를 마스트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보지(保持)할 수 있어, 승강대의 전후 방향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직 프레임이 마스트에 대하여 근접 방향으로 회전했을 시에도, 스토퍼가 수직 프레임보다 먼저 마스트에 접촉하므로, 수직 프레임이 마스트에 충돌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훅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직 프레임이 마스트에 대하여 이간 방향으로 회전했을 시에도, 훅이 마스트에 계지되므로, 수직 프레임이 마스트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훅에 리밋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작부를 전용의 장척 스테이 등으로 지지할 필요가 없고, 훅을 스테이의 대용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스태커 크레인의 승강대의 주요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훅을 도시한 주요부 확대도로, 도 6a는 확대 단면도, 도 6b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훅의 변형예를 도시한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스태커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승강대가 기울었을 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은 수직 프레임과 타이밍 벨트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승강대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스태커 크레인의 전후 방향이란,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 방향이며, 또한 스태커 크레인의 좌우 방향이란,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행하는 수평 방향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적절히 XYZ 직교 좌표계를 설정하고, 이 XYZ 직교 좌표계를 참조하여 각 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의 전후 방향을 X 축 방향, 좌우 방향을 Y 축 방향, 수직 방향(상하 방향)을 Z 축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크고 또는 강조하여 기재하는 등 적절히 축척을 변경하여 도시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고의 바닥(110) 상에 설치된 랙(200)을 따라 바닥(110)에 부설된 바닥 레일(100)과, 창고의 천장측에서 마찬가지로 랙(200)을 따라 배치된 천장 레일(101)로 안내되어 주행한다. 스태커 크레인(1)은, 바닥 레일(100) 상에 이동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기대(2)와, 이 기대(2) 상에 전후 방향(X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수직 방향(Z 축 방향)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마스트(3, 3)와, 이 마스트(3, 3) 사이에 배치되어 마스트(3)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닥 레일(100)은, 단면 형상이 I 형상의 것이 이용되고, 천장 레일(101)은 단면 L 형상의 것이 이용된다. 또한 바닥 레일(100) 및 천장 레일(101)은, 한 쌍으로서 창고 내에 설치되어 있다. 랙(200)에는 복수의 수납 선반이 상하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기대(2)는, 그 전후에, 바닥 레일(100) 상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휠(7, 7)과, 바닥 레일(100)을 좌우 방향(Y 축 방향)으로부터 개재한 한 쌍의 구동 휠(8, 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주행 휠(7)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바닥 레일(10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구동 휠(8)은 기대(2)에 설치된 복수의 주행용 모터(5)에 의해 각각 구동하고, 기대(2)를 전후 방향(X 축 방향)으로 주행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4 대의 주행용 모터(5)를 이용하여 4 개의 구동 휠(8)을 각각 구동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1 대 또는 2 대의 주행용 모터(5)를 이용하여 구동 휠(8)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마스트(3)는, 그 상단부(3c)의 각각에 브래킷(10)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브래킷(10, 10)끼리가 지지빔(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10)의 각각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풀리(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풀리(12)에는 승강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11)가 걸린다. 또한 브래킷(10)의 각각은, 회전축을 수직 방향(Z 축 방향)으로 한 한 쌍의 천장 휠(9, 9)이, 천장 레일(101)의 수하편(垂下片)(101a)을 좌우 방향(Y 축 방향)으로부터 개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대(2)는 바닥 레일(100)로 안내되고, 또한 마스트(3)의 상부가 천장 레일(101)로 안내된다.
또한 마스트(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각형 부재가 이용되고 있고, 마스트(3, 3)끼리가 대면하는 대향면(3d)의 폭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확장되어 외측 부분(3a)보다 넓게 형성되고, 단면 T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확장된 부분의 측면 부분은 가이드부(3b)로서 이용되고, 후술하는 제 1 가이드 롤러(30)가 접촉하여 구르는 가이드면이 된다.
승강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3, 3)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21)과, 이 수평 프레임(21)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양 마스트(3, 3)를 따라 기립하는 전후 한 쌍의 수직 프레임(22, 22)을 구비하고 있다. 수평 프레임(21)은,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체의 내측에 복수의 빔을 설치한 구조이며, 경량화와 강도 유지를 도모하고 있다. 수직 프레임(22)에는 각각 승강용의 타이밍 벨트(11)가 장착되어 있고, 이 타이밍 벨트(11)에 의해 승강대(20)가 현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21) 상에는 2 대의 이동 재치 장치(F)가 전후로 배열되어 탑재되어 있다.
이동 재치 장치(F)는, 좌우 방향(Y 축 방향)으로 신축하는 포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포크 기구에 의해, 선반(200)에 대하여 워크(W)의 취출 또는 저장을 행한다. 또한 이동 재치 장치(F)로서는, 포크 기구를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워크(W)를 파지하여 이동 재치시키는 기구를 가지는 것 등 각종 장치가 이용된다. 또한, 수평 프레임(21)에 대하여 2 대 탑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1 대 혹은 3 대 이상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이밍 벨트(11)는, 그 일단이 수직 프레임(22)의 상단측에 장착되고, 또한 이 수직 프레임(22)으로부터 마스트(3)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고, 풀리(12)에 걸려 재차 마스트(3)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타이밍 벨트(11)는, 기대(2)에 설치된 구동용 풀리(13) 및 타이밍 벨트(1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풀리(14)(모두 도 11 참조)에 걸려, 타단이 수직 프레임(22)의 하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구동용 풀리(13)는 기대(2)에 설치된 승강용 모터(6)(도 1 참조)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승강대(20)의 수직 프레임(22, 22)의 각각에는, 도 2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3)의 가이드부(3b)를 개재하도록 하여 상하 2 쌍의 제 1 가이드 롤러(30, 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가이드 롤러(30)의 각각은, 수직 프레임(22)에 설치된 축부(31)에 회전 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한편, 수평 프레임(21)의 전후 양단에는, 후술하는 제 2 가이드 롤러(40, 40)가 각각 좌우 한 쌍씩, 마스트(3)의 대향면(3d)에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승강대(20)는, 가이드부(3b)에 제 1 가이드 롤러(30)가 접촉하고, 또한 대향면(3d)에 제 2 가이드 롤러(40)가 접촉하고 있고, 모두 롤러의 구름 구조에 의해 가이드하고 있으므로, 승강대(20)의 고속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롤러(30)가 수직 프레임(22)의 상하 2 개소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대(20)가 좌우 방향(Y 축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단, 제 1 가이드 롤러(30)를 상하 2 개소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1 개소 또는 3 개소 이상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가이드 롤러(30)가 가이드부(3b)를 개재하고 있으므로, 승강대(20)가 Z 축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수직 프레임(22, 22)과 수평 프레임(2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의 연결부(23, 23)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부(23)에 의해 수직 프레임(22)이 수평 프레임(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23)는, 수직 프레임(22)의 하단면(22b)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브래킷(24)과, 수평 프레임(21)의 전후의 단면(端面)(21a)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브래킷(25)을, 좌우 방향(Y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축(26)으로 관통하여 연결한 구조이다. 이에 의해, 수직 프레임(22)의 각각은, 좌우 방향의 연결축(26)을 축으로 하여 수평 프레임(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브래킷(2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둔 한 쌍의 협지편이며, 브래킷(25)은, 단면(21a)으로부터 전후 방향 또한 상방으로 연장된 피협지편이다. 또한, 브래킷(24, 25)의 각각에는 연결축(26)을 삽입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4)에 브래킷(25)을 끼운 상태에서, 쌍방의 관통홀에 연결축(26)을 삽입시켜, 너트(28)(도 5 참조) 등에 의해 연결축(26)의 탈락 방지가 실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래킷(24)과 브래킷(25)은 연결축(26)을 축으로 하여 서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23)의 구성으로서,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방향(Y 축 방향)을 축으로 하여 수직 프레임(22)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각종 공지의 핀 구조(힌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롤러(40)는, 도 2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21)의 전후의 단면(21a, 21a)에 각각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고, 각각이 마스트(3)의 대향면(3d)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가이드 롤러(40) 중, 수평 프레임(21)의 전방측의 제 2 가이드 롤러(40)(도 2에서는 좌측의 제 2 가이드 롤러(40))는 전후 방향(X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제 2 가이드 롤러(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42)의 선단측에 설치된 축부(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지지부(42)는 수평 프레임(21)의 단면(21a)을 관통하고, 또한 축부(41)와는 반대측(수평 프레임(21) 내측)의 단부에 플레이트(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43)의 상하 부분에는, 단면(21a)에 고정된 상하 한 쌍의 로드(44, 44)가 각각 관통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로드(44)의 각각은 그 선단에 보지 원반(45)이 너트(4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보지 원반(45)과 플레이트(43)의 사이에 스프링(47)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42)에 지지된 제 2 가이드 롤러(40)는, 전후 방향(X 축 방향)에 스프링(47)에 의해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47)의 탄성력의 조정은 너트(46, 46)의 나사 삽입량의 조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마스트(3, 3)의 사이에 승강대(20)가 배치된 통상 상태에서는, 이 제 2 가이드 롤러(40)는, 대향면(3d)에 접하여 후방으로 다소 후퇴한 상태(스프링(47)이 다소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승강대(20)가 기울었을 경우에도 제 2 가이드 롤러(40)가 전진하여 대향면(3d)에의 접촉을 유지하므로, 승강대(20)의 요동을 억제하고, 또한 수평 프레임(21)이 마스트(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트(3, 3)의 간격이 통상 상태에 대하여 확장되었을 때, 또는 축소되었을 때에도, 제 2 가이드 롤러(40)가 스프링(47)의 탄성에 의해 전진, 또는 스프링(47)의 탄성에 저항하여 후퇴함으로써 대향면(3d)에의 접촉이 유지되어, 승강대(20)가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트(3)가 진동했을 경우라도 제 2 가이드 롤러(40)가 신축하여 추종함으로써 승강대(20)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경감하고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제 2 가이드 롤러(40)를 설치할지 여부는 임의이며, 신축하지 않는 타입의 가이드 롤러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수평 프레임(21)의 전후 양단의 쌍방에 신축 가능한 제 2 가이드 롤러(40)를 설치해도 된다. 도시한 제 2 가이드 롤러(40)는, 수평 프레임(21)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2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1 개소 또는 3 개소 이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 2 가이드 롤러(40)를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3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2)의 각각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스토퍼(5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50)는, 수직 프레임(22)의 마스트 대향면(22a)에 고정된 브래킷(52)과, 이 브래킷(52)에 축부(53)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보지된 롤러(51)로 구성된다. 또한 스토퍼(50)는, 수직 프레임(22)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50)는, 통상 상태에서는, 롤러(51)가 마스트(3)의 대향면(3d)과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50)가 설치됨으로써, 수직 프레임(22)이 마스트(3)의 대향면(3d)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라도, 롤러(51)가 마스트(3)의 대향면(3d)에 접촉하므로, 수직 프레임(22)이 마스트(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롤러(51)는 회전 가능하므로, 대향면(3d)에 접촉했을 경우에도 대향면(3d)에 주는 영향은 작아, 마스트(3)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0)는 수직 프레임(22)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직 프레임(22)의 상방 부분에 배치되어도 된다. 스토퍼(50)가 수직 프레임(22)의 상방 부분에 배치된 경우, 대향면(3d)에 대하여 도 5와 동일한 간격을 두었을 때에도 수직 프레임(22)이 마스트(3)에 근접하는 회전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0)는 좌우 한 쌍의 2 개소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1 개소 또는 3 개소 이상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스토퍼(50)로서 롤러(51)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회전의 접촉편을 이용해도 된다.
수직 프레임(22)의 마스트 대향면(22a)의 상단측에는, 도 2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훅(60)이 설치된다. 이 훅(60)은 도 6a,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 대향면(22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부(61a)가 마스트(3)의 가이드부(3b)의 뒤측으로 굴곡진 암부(61)와, 선단부(61a)의 내측에 장착된 접촉편(62)으로 구성된다. 접촉편(62)은, 마스트(3)의 표면에 대하여 마찰 계수가 작은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62)은, 오목부(62a)로부터 삽입된 볼트(64)를 너트(65)로 고정시킴으로써 선단부(61a)에 고정되어 있고, 볼트(64)의 헤드부가 접촉편(6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접촉편(62)은 마스트(3)의 측면(3e)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훅(60)이 설치됨으로써, 수직 프레임(22)이 마스트(3)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라도, 접촉편(62)은 마스트(3)의 측면(3e)에 근접하는 방향(도 6a의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국 측면(3e)에 계지되므로, 수직 프레임(22)의 이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수직 프레임(22)이 마스트(3)로부터 크게 떨어지지 않고, 제 1 가이드 롤러(30)가 가이드부(3b)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접촉편(62)은, 마스트(3)의 표면에 대하여 마찰 계수가 작은 수지제인 것, 또는 볼트(64)의 헤드부가 접촉편(6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마스트(3)와 접촉한 경우라도 마스트(3)에 주는 영향은 작아, 마스트(3)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훅(60)은 접촉편(62)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편(62) 대신에 롤러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훅(60)이 설치되는 위치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훅(60)이 수직 프레임(22)의 상단에 근접할수록, 측면(3e)에 대하여 도 6a 및 6b와 동일한 간격을 둔 때라도 수직 프레임(22)이 마스트(3)로부터 이간되는 회전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훅(60)이 전후 한 쌍의 합계 4 개 설치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밋 스위치(LS)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6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 형상의 부재로서, 암부(61)의 선단부(61a)에 고정부(63a)를 맞대어, 접촉편(62)과 함께 볼트(64)에 관통되어 너트(65)로 조여져 고정된다. 또한, 조작부(63)는 암부(6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어 있다.
리밋 스위치(LS)는, 승강대(20)가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를 초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3)의 외측 부분(3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승강대(20)의 상한 위치에 대응하는 리밋 스위치(LS)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하한 위치에 대응하는 리밋 스위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마스트(3)에 설치되어 있다. 이 리밋 스위치(LS)는, 검지부(LSa)에 조작부(63)가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에 의해, 예를 들면 타이밍 벨트(11)를 구동하는 승강용 모터(6)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승강대(20)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
리밋 스위치(LS)는 마스트(3)에 설치되는데, 제 1 가이드 롤러(3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수직 프레임(22)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부(63)가 훅(60)에 설치됨으로써, 전용의 스테이 등이 불필요해진다. 단, 조작부(63)를 훅(60)에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프레임(22)에 직접 설치해도 된다. 또한 리밋 스위치(LS)로서는, 상기와 같은 접촉식의 것 대신에, 예를 들면 광학식 센서 등의 비접촉식의 것을 이용해도 된다.
도 7은 훅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훅(66)은 제 1 가이드 롤러(30)의 축부(31)의 선단에 너트(32)에 의해 장착된 원형의 판 형상 부재이다. 훅(66)은 제 1 가이드 롤러(30)의 직경(d1)보다 큰 직경(d2)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66)의 계지면(66a)은, 마스트(3)의 측면(3e)에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훅(66)은, 금속제 또는 수지제가 이용되고, 금속제의 경우, 계지면(66a)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마스트(3)에 대한 마찰 계수를 저감시켜도 된다.
이 훅(66)에서도, 훅(60)과 마찬가지로, 수직 프레임(22)이 마스트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에, 계지면(66a)이 측면(3e)에 계지되므로, 수직 프레임(22)의 이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고, 제 1 가이드 롤러(30)가 가이드부(3b)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훅(66)이, 제 1 가이드 롤러(30)와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하게 보지될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훅(66)으로서 원형의 판 형상 부재 대신에, 축부(31)로부터 마스트(3)를 향해 연장되는 판 형상편을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가이드 롤러(30)의 축부(31)를 이용하여 훅을 형성하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기대(2)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대(20)의 하방으로서 전후 방향(X 축 방향)으로 이간된 2 개소에 레이저 거리계(67, 6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승강대(20)의 수평 프레임(21)의 하면에는, 레이저 거리계(67)의 각각의 직상(直上) 위치에 반사판(68, 68)이 설치되어 있다. 레이저 거리계(67)는 레이저광(Lb)을 반사판(68)을 향해 출사하고, 또한 반사판(68)으로부터 돌아온 레이저광(Lb)을 수신하여 양자의 간섭을 이용하여 반사판(68)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2 개의 레이저 거리계(67)로 각각 반사판(68)까지의 거리가 측정되고, 그 측정 결과에 의해 2 개의 반사판(68)의 각각의 높이, 즉 수평 프레임(21)의 전후 위치의 높이가 측정된다. 레이저 거리계(67)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승강용 모터(6)가 제어되고 있고, 승강대(20)를 원하는 위치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2 개의 측정 결과가 상이한 경우는, 예를 들면 2 개의 측정 결과를 더하여 나눈 값을 이용하여 승강대(20)의 높이로 해도 된다. 또한 2 개의 측정 결과가 상이한 경우는, 수평 프레임(21)이 전후 방향으로 기운 상태이기 때문에, 이 기울어짐을 해소하도록 승강용 모터(6)가 구동된다. 또한, 승강대(20)의 높이 계측에 레이저 거리계(67)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공지의 측정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대(20)의 자세는 승강용 모터(6)의 제어에 의해 유지되는데, 레이저 거리계(67)의 일방이 고장나 잘못된 계측값을 출력했을 경우, 또는 승강용 모터(6)의 일방이 고장났을 경우, 또한 타이밍 벨트(11)의 일방이 연장되었을 경우에는, 승강대(20)가 전후 방향으로 기운 상태(Y 축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가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21)이 전후 방향으로 기울면, 수직 프레임(22)은 수평 프레임(21)으로 당겨져 기우는데, 양자 간에는 회전 가능한 연결부(23)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스트(3)에 대한 수직 프레임(22)의 회전량이 작아져 마스트(3)에 충돌하지 않는다. 도 9의 이점 쇄선과 같이 연결부(23)가 없는 승강대(120)와 비교하면, 수평 프레임(121)이 기울면, 수직 프레임(122)도 마찬가지로 기울어, 도면 중 좌측의 수직 프레임(122)의 상단은 마스트(3)와 충돌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50)가 마스트(3)의 대향면(3d)에 접촉함으로써, 수직 프레임(22)은 마스트(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함께, 훅(60)이 마스트(3)의 측면(3e)에 계지됨으로써, 수직 프레임(22)은, 마스트(3)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수직 프레임(22)이 마스트(3)에 충돌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또한 제 1 가이드 롤러(30)가 가이드부(3b)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방의 제 1 가이드 롤러(30)가 마스트(3)의 가이드부(3b)로부터 벗어나 있지 않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전후의 타이밍 벨트(11, 11)의 승강량을 조정함으로써, 수평 프레임(21)이 수평이 될 때까지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21)에는,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제 2 가이드 롤러(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평 프레임(21)이 기울었을 경우에 있어서, 이 제 2 가이드 롤러(40)가 마스트(3)의 대향면(3d)에 일정한 범위에서 탄성적으로 계속 접속되므로, 수평 프레임(21)이 마스트(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승강대(20)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타이밍 벨트(1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2)에 장착된다. 타이밍 벨트(11)의 일방의 단부(11a)는, 수직 프레임(22)의 상단측에 배치된 상부 고정 부재(70)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고정 부재(70)는, 수직 프레임(22)을 따라 배치된 제 1 부재(70a) 및 제 2 부재(70b)의 2 매 세트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수직 프레임(22)에 설치된 수직 방향(Z 축 방향)의 2 개의 리브(22d)의 사이에 배치된다. 타이밍 벨트(11)의 단부(11a)는 제 1 부재(70a)와 제 2 부재(70b)로 개재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7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부 고정 부재(70)에 장착된다.
상부 고정 부재(70)의 제 2 부재(70b)에는, 좌우 방향(Y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상태로 2 개의 상부 플레이트(72)가, 각각 고정 나사(7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72)는, 그 선단부가 대략 수평으로 굴곡된 스프링 받이부(7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프링 받이부(72a)에는, 수직 프레임(22)의 상단벽(22c)에 고정되어 수하 상태의 지지 핀(74)을 관통시키는 관통홀(72b)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2)의 상단벽(22c)과 스프링 받이부(72a)의 사이에는 지지 핀(74)에 관통된 상태로 스프링(7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핀(74)의 선단에는 상부 플레이트(72)의 탈락 방지용의 너트(75)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고정 부재(70)는, 수직 프레임(22)의 리브(22d) 사이에서 화살표(A1) 방향(수직 방향, Z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보지되어 있다. 통상 상태에서는, 상부 고정 부재(70)는 단부(11a)로 이어지는 타이밍 벨트(11)로 당겨져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76)은 다소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22)의 상방에는, 상부 고정 부재(70)에 대응한 리밋 스위치(7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밋 스위치(79)는 스테이(79b)를 개재하여 수직 프레임(22)에 고정되어 있고, 검지용의 암부(79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72)의 일방(도 10에서는 우측의 상부 플레이트(72))에는, 단면 L 형상의 조작판(77)이 암부(79a)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로 나사(7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부(11a)로 이어지는 타이밍 벨트(11)의 장력이 크게 저하되었을 경우 또는 타이밍 벨트(11)가 파단되었을 경우에는, 상부 고정 부재(70)가 스프링(76)에 의해 크게 하방으로 이동하여 조작판(77)에 의해 암부(79a)를 조작하고, 리밋 스위치(79)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리밋 스위치(79)는 신호를 출력하여 승강대(20)의 긴급 정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타이밍 벨트(11)의 타방의 단부(11b)는, 수직 프레임(22)의 하단측에 배치된 하부 고정 부재(80)에 장착되어 있다. 하부 고정 부재(80)는 상부 고정 부재(70)와 마찬가지로, 수직 프레임(22)을 따라 배치된 제 1 부재(80a) 및 제 2 부재(80b)의 2 매 세트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수직 프레임(22)에 설치된 수직 방향(Z 축 방향)의 2 개의 리브(22d)의 사이에 배치된다. 타이밍 벨트(11)의 단부(11b)는, 제 1 부재(80a)와 제 2 부재(80b)로 개재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8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하부 고정 부재(80)에 장착된다.
하부 고정 부재(80)의 제 2 부재(80b)에는, 좌우 방향(Y 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상태로 2 개의 하부 플레이트(82)가, 각각 고정 나사(8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하부 플레이트(82)는, 그 선단부가 대략 수평으로 굴곡된 스프링 받이부(8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프링 받이부(82a)에는 수하 상태의 지지 핀(84)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22)의 하단벽(22e)에는, 지지 핀(84)을 관통시키는 관통홀(22f)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부(82a)와 수직 프레임(22)의 하단벽(22e)의 사이에는, 지지 핀(84)에 관통된 상태로 스프링(85)이 배치되어 있다.
하부 고정 부재(80)는, 수직 프레임(22)의 리브(22d) 사이에서 화살표(A2) 방향(수직 방향, Z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보지되어 있다. 통상 상태에서는, 하부 고정 부재(80)는 단부(11b)에 이어지는 타이밍 벨트(11)에 당겨져 약간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85)은 다소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11)의 장력이 변화하면, 하부 고정 부재(80)는 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타이밍 벨트(11)의 장력을 일정하게 보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타이밍 벨트(11)의 장력 변화는 하부 고정 부재(80)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22)의 하방에는, 하부 고정 부재(80)에 대응한 리밋 스위치(8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밋 스위치(88)는, 스테이(88b)를 개재하여 수직 프레임(22)에 고정되어 있고, 검지용의 암부(88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82)의 일방(도 10에서는 우측의 하부 플레이트(82))에는, 단면 L 형상의 조작판(86)이 암부(88a)의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나사(8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부(11b)로 이어지는 타이밍 벨트(11)의 장력이 크게 저하되었을 경우 또는 타이밍 벨트(11)가 파단되었을 경우에는, 하부 고정 부재(80)가 스프링(85)에 의해 크게 상방으로 이동하여 조작판(86)에 의해 암부(88a)를 조작하고, 리밋 스위치(88)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리밋 스위치(88)는 신호를 출력하여 승강대(20)의 긴급 정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타이밍 벨트(1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11)는 승강대(20)(수직 프레임(22))의 상하 양단측에 접속되고, 또한 마스트(3)의 상단부(3c)에 배치된 풀리(12)와, 기대(2)측에 배치된 구동용 풀리(13) 및 풀리(14)에 걸려 있다. 이 타이밍 벨트(11)는 소정의 장력으로 걸려 있고,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 형상이 풀리(12) 등의 파형과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용 모터(6)에 의해 구동용 풀리(13)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타이밍 벨트(11)를 이동시켜, 승강대(20)의 승강을 행하고 있다. 승강대(20)는 타이밍 벨트(11)의 이동량에 따라 승강 위치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승강대(20)를 상승시킬 경우, 즉 도 11에서 구동용 풀리(13)를 화살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타이밍 벨트(11) 중 단부(11a)로부터 구동용 풀리(13)까지의 부분은, 승강대(20)의 하중과 구동용 풀리(13)에 의한 인장력을 받아 신장된 상태가 된다. 특히 승강대(20)의 상승 개시 시에는 단부(11a)에 큰 부하가 걸려, 크게 신장된 상태가 된다. 한편, 구동용 풀리(13)로부터 단부(11b)까지의 부분은 타이밍 벨트(11)가 느슨해져, 타이밍 벨트(11)와 풀리(14)와의 맞물림이 느슨해져 톱니 스킵이 발생하는 것이 예측된다.
이러한 톱니 스킵은, 진동 또는 소음의 원인이 되고, 또한 구동용 풀리(13)에 의한 타이밍 벨트(11)의 구동에도 영향을 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밍 벨트(11)에 설정하는 초기 장력을 높게 하는 것도 고려되는데, 파단 강도가 큰 벨트가 필요해지고, 또한 마스트(3) 또는 풀리(12) 등의 주변 부품도 고장력에 견디는 강성 부여가 필요해져 코스트의 면에서 불리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타이밍 벨트(11)의 장착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승강대(20)를 상승시킬 시, 구동용 풀리(13)로부터 단부(11b)까지의 부분의 장력이 저하되면, 하부 고정 부재(80)가 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단부(11b)로 이어지는 부분의 장력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타이밍 벨트(11)와 풀리(14) 등과의 사이의 톱니 스킵이 방지되므로, 승강대(20)의 승강 동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11)가 파단되는 등, 단부(11a)의 장력이 크게 저하되었을 경우에는, 상부 고정 부재(7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조작판(77)에 의해 리밋 스위치(79)를 조작함으로써, 승강대(20)를 긴급 정지시킨다. 또한, 단부(11b)의 장력이 크게 저하되었을 경우에도, 하부 고정 부재(8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조작판(86)에 의해 리밋 스위치(88)를 조작함으로써, 승강대(20)를 긴급 정지시킨다. 긴급 정지는 승강용 모터(6)에의 전력 공급의 차단과 함께, 미도시의 브레이크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마스트(3)에의 승강대(20)의 보지를 행한다.
이상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의 형상 등에 한정되지 않고, 각 구성 부재의 기능 또는 용도 등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형상 등의 변경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트를 구비하는 기대(2)가 바닥 레일(100)을 주행하는데, 바닥 레일(100)이 없으며 자력으로 주행해도 되고, 또한 기대(2)가 천장 레일에 현수된 상태로 주행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밍 벨트(11) 및 풀리(12) 등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체인 및 스프로킷를 이용해도 된다.
F : 이동 재치 장치
LS : 리밋 스위치
W : 워크
1 : 스태커 크레인
2 : 기대
3 : 마스트
3b : 가이드면
3d : 대향면
11 : 타이밍 벨트
20 : 승강대
21 : 수평 프레임
22 : 수직 프레임
23 : 연결부
30 : 제 1 가이드 롤러
40 : 제 2 가이드 롤러
50 : 스토퍼
60 : 훅
63 : 조작부

Claims (6)

  1.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전후 한 쌍의 마스트의 사이에, 이동 재치 장치를 탑재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상기 마스트를 따라 기립하는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는 승강대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이 현수된 상태로 상기 승강대가 승강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각각은, 상기 마스트를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개재한 상태의 한 쌍의 제 1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마스트의 대향면에 각각 접촉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제 2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마스트에 대하여 근접 방향으로 회전했을 시, 상기 마스트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마스트에 대하여 이간 방향으로 회전했을 시, 상기 마스트에 계지되는 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상기 승강대가 하한 위치 또는 상한 위치를 초과했을 시, 리밋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6.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전후 한 쌍의 마스트의 사이에, 이동 재치 장치를 탑재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상기 마스트를 따라 기립하는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는 승강대가 배치되는 스태커 크레인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각각은, 상기 마스트를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개재한 상태의 한 쌍의 제 1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대를, 상기 수직 프레임이 현수된 상태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의 사용 방법.
KR1020157004784A 2012-09-04 2013-07-23 스태커 크레인 KR101699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3884 2012-09-04
JP2012193884 2012-09-04
PCT/JP2013/069882 WO2014038300A1 (ja) 2012-09-04 2013-07-23 スタッカクレ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313A true KR20150038313A (ko) 2015-04-08
KR101699373B1 KR101699373B1 (ko) 2017-01-24

Family

ID=5023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784A KR101699373B1 (ko) 2012-09-04 2013-07-23 스태커 크레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86757B2 (ko)
JP (1) JP5920475B2 (ko)
KR (1) KR101699373B1 (ko)
CN (1) CN104520211B (ko)
TW (1) TWI602771B (ko)
WO (1) WO20140383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80A (ko) * 2020-06-25 2022-01-03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3113B (zh) * 2012-08-14 2016-08-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对重装置
KR101709950B1 (ko) * 2012-09-05 2017-02-24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스태커 크레인
KR101699449B1 (ko) * 2012-09-05 2017-01-24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스태커 크레인
FR3046787A1 (fr) * 2016-01-18 2017-07-21 Entreprise Bouvier Systeme de portage
CN109863101A (zh) * 2016-10-18 2019-06-07 村田机械株式会社 堆装起重机
JP2018070304A (ja) * 2016-10-26 2018-05-10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の組立方法
JP6772851B2 (ja) * 2017-01-16 2020-10-21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
CN107697645B (zh) * 2017-11-07 2023-11-17 安徽尚鸢包装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码高机
CN108609538A (zh) * 2018-06-22 2018-10-02 昆山华恒工程技术中心有限公司 Agv车
US11046514B2 (en) * 2018-08-31 2021-06-29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Carriage lift assembly for storage handling and article retrieval
DE102019100420A1 (de) * 2019-01-09 2020-07-09 Nedcon B.V. Warenlager für die Einzelplatzlagerung von Stückgütern
CN110255035A (zh) * 2019-07-09 2019-09-20 山东兰剑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多穿系统一体式往复提升机
CN111762482B (zh) * 2019-09-19 2021-10-15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仓储系统
DE102020202438A1 (de) * 2020-02-26 2021-08-26 Mias Maschinenbau, Industrieanlagen & Service Gmbh Mastanordnung für ein regalbediengerät
CN114348923B (zh) * 2022-01-13 2023-05-05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作业平台和高空作业车
CN115215076A (zh) * 2022-06-21 2022-10-21 长城信息股份有限公司 应用于金融设备的平移及升降结合式传送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819A (ja) * 1998-01-29 1999-08-03 Okamura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8074543A (ja) 2006-09-21 2008-04-03 Murata Mach Ltd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JP2008081302A (ja) * 2006-09-28 2008-04-10 Ihi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12012152A (ja) 2010-06-30 2012-01-19 Ihi Corp 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444A (en) * 1901-12-18 1903-03-10 Charles A Bouck Tradesman's lift.
US3111227A (en) * 1961-05-10 1963-11-19 Cleveland Crane Eng Stacker crane
US3447697A (en) * 1966-04-04 1969-06-03 Whiting Corp Article handling apparatus
FR2044635A1 (ko) * 1969-05-06 1971-02-26 Fenwick Manutention Ste Indle
US3770147A (en) * 1971-09-30 1973-11-06 Kito Kk Multi-rack stacker system
US3791529A (en) * 1971-10-26 1974-02-12 Mcneil Corp Crane-type stacker
US4007843A (en) * 1972-07-17 1977-02-15 Rapistan, Incorporated Multi-aisle warehouse system with mobile lift having control means for an article transfer vehicle
JPS62290614A (ja) * 1986-06-09 1987-12-17 Daifuku Co Ltd クレ−ンの昇降キヤレツジ非常停止装置
JPH0522491U (ja) 1991-09-04 1993-03-23 村田機械株式会社 昇降台の案内装置
JP4013990B1 (ja) * 2006-09-28 2007-11-28 株式会社Ihi スタッカクレーン
JP3982562B1 (ja) * 2006-09-28 2007-09-26 株式会社Ihi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9001406A (ja) * 2007-06-25 2009-01-08 Ihi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JP4993201B2 (ja) * 2007-11-05 2012-08-0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JP4924680B2 (ja) * 2009-09-09 2012-04-25 村田機械株式会社 移載装置
JP5459558B2 (ja) * 2010-12-24 2014-04-02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819A (ja) * 1998-01-29 1999-08-03 Okamura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8074543A (ja) 2006-09-21 2008-04-03 Murata Mach Ltd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JP2008081302A (ja) * 2006-09-28 2008-04-10 Ihi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12012152A (ja) 2010-06-30 2012-01-19 Ihi Corp 昇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80A (ko) * 2020-06-25 2022-01-03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10583A (zh) 2014-03-16
CN104520211A (zh) 2015-04-15
JP5920475B2 (ja) 2016-05-18
JPWO2014038300A1 (ja) 2016-08-08
US9586757B2 (en) 2017-03-07
KR101699373B1 (ko) 2017-01-24
TWI602771B (zh) 2017-10-21
US20150158670A1 (en) 2015-06-11
WO2014038300A1 (ja) 2014-03-13
CN104520211B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373B1 (ko) 스태커 크레인
JP4586990B2 (ja) 物品収納設備
JP4807424B2 (ja) 天井搬送システムと物品の移載方法
JP6773123B2 (ja) 搬送システム
CN105712177A (zh) 用于提升和控制负载的设备
JP6766878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9061562A (ja) ワーク搭載装置
JP4208906B2 (ja) 移動体
KR101348659B1 (ko) 이송 장치
JP4941728B2 (ja) 物品搬送装置
JP5212200B2 (ja) 天井搬送システム
JP5196221B2 (ja) 自動倉庫設備
JP6627677B2 (ja) 物品収納設備
JP5765577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5182565B2 (ja) 物品搬送装置
JP6267539B2 (ja) 搬送台車
JP5376248B2 (ja) 荷受台
JP2021031211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108439252B (zh) 一种agv举升装置
JP2008285270A (ja) 物品搬送装置
KR101103494B1 (ko) 천장형 중량물 이송 장치
JP4905774B2 (ja) 物品収納設備
JPH11199010A (ja) 物品保管設備
JP6098369B2 (ja) 自動倉庫
JPH05162984A (ja) 昇降搬送装置の昇降レール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