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80A -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80A
KR20220000180A KR1020200077825A KR20200077825A KR20220000180A KR 20220000180 A KR20220000180 A KR 20220000180A KR 1020200077825 A KR1020200077825 A KR 1020200077825A KR 20200077825 A KR20200077825 A KR 20200077825A KR 20220000180 A KR20220000180 A KR 2022000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shuttle
coupl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429B1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단 설치되는 수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셔틀 바디를 안정적으로 외부 인출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를 탑재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빔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로서, 셔틀 바디의 외부 인출을 위해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흔들림이 방지되어 주변 장치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셔틀 바디의 파손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게 셔틀 바디의 인출이 가능하고, 힌지를 이용한 회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직빔에 대한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여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LIFT FOR MAINTENANCE OF SHUTTLE}
본 발명은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 설치되는 수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셔틀 바디를 안정적으로 외부 인출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를 탑재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빔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로서, 셔틀 바디의 외부 인출을 위해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흔들림이 방지되어 주변 장치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셔틀 바디의 파손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게 셔틀 바디의 인출이 가능하고, 힌지를 이용한 회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직빔에 대한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여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제품, 재화를 수송하는 데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제품,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물류)인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대량생산, 대량판매, 대량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물류 창고는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료품, 음료, 의류, 가전, 잡화 및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를 말한다. 이러한 물류 창고는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 창고 내 보관재고의 물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고는 물론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물류 창고는 신속한 화물의 입고와 출고가 생명이기 때문에 대부분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자동화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은 랙 창고 사이를 주행하며 물품을 승하강 및 수평 이동시켜 랙 창고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장치이고, 셔틀은 다단 랙 창고의 각 단과 동일 높이로 이송 대차가 수평 주행하며 랙 창고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장치이며, 리프트는 랙 창고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셔틀과 같은 물품 이송 장치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랙 창고의 전방 및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물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 등의 발달로 인해 다품종 소량 주문 형태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 창고 시스템 또한 신속한 처리와 효율성 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랙 창고의 효율적인 공간 배치는 물론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컴팩트한 배치 구조 또한 설계시 중요 고려 사항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컴팩트한 배치 구조에 따라 물류 자동화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공간이 협소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어려워지고 있다.
셔틀의 경우, 랙 창고 사이 공간에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주행 레일을 따라 복수개의 셔틀 바디가 수평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셔틀 바디의 고장이나 기능 장애가 발생하면, 셔틀 바디의 수리를 위해 셔틀 바디를 수평 주행 레일로부터 외부로 인출해야 한다. 이때, 셔틀 바디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호이스트 장비 등을 이용하여 셔틀 바디를 들어올려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주변 공간이 협소하여 셔틀 바디를 외부 인출하기가 어렵다. 또한, 작업 인력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높은 곳에 위치한 셔틀 바디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인출 과정에서 셔틀 바디가 파손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1744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 설치되는 수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셔틀 바디를 안정적으로 외부 인출할 수 있도록 셔틀 바디를 탑재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빔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틀 바디의 외부 인출을 위해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흔들림이 방지되어 주변 장치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셔틀 바디의 파손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게 셔틀 바디의 인출이 가능한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를 이용한 회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직빔에 대한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여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수직빔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다단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수평 주행하며 물품을 입출고하는 복수개의 셔틀 바디를 상기 수평 레일로부터 주행 방향을 따라 외부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빔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로서, 상기 셔틀 바디를 상기 수평 레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수평 프레임; 2개의 상기 수평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상단에는 별도의 호이스트와 체결할 수 있도록 호이스트 체결부가 형성되는 호이스트 연결 부재; 및 2개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빔에 각각 롤링 접촉한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직빔 또는 제 2 수직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 외측면 일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 1 수직 프레임;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이 일방향 회전한 상태로 상기 회전 프레임을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 및 회전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복수개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일방향 회전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직빔의 표면에 동시에 밀착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은, 하단부가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 외측면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결합 고정부와, 상기 결합 고정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결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결합 지지부의 끝단에 힌지를 통해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판형의 회전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끝단에 수평 절곡 라인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절곡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결합 지지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지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직빔의 상호 대응되는 전후 방향 반대 표면에 각각 밀착되게 롤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절곡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직빔의 폭방향 외측면에 밀착되게 롤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결합 지지부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지부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는 그 배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지부에 대한 일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결합 지지부에 결합되는 걸림 블록; 및 상기 회전 지지부가 상기 걸림 블록에 접촉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와 상기 걸림 블록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작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 외측면 일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 2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의 외측 끝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제 2 수직빔의 표면에 동시에 밀착 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 롤러가 복수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의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빔 사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셔틀 바디가 상기 수평 프레임으로 인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셔틀 바디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스토퍼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셔틀 바디를 탑재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빔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단 설치되는 수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셔틀 바디를 안정적으로 외부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셔틀 바디의 외부 인출을 위해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흔들림이 방지되어 주변 장치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셔틀 바디의 파손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게 셔틀 바디의 인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를 이용한 회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직빔에 대한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여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가 셔틀 장치에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통해 셔틀 바디를 인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의 회전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셔틀 장치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가 셔틀 장치에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통해 셔틀 바디를 인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는 셔틀 장치의 셔틀 바디를 고장 등의 이유로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셔틀 장치는 랙 창고 사이 공간을 이동하며 물품을 입출고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수직빔(10,20)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다단으로 수평 레일(30)이 설치되고, 각각의 수평 레일(3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셔틀 바디(40)가 주행하며 각 단마다 랙 창고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50)는 복수개의 수평 레일(30)을 따라 주행하는 각각의 셔틀 바디(40) 중 어느 하나의 셔틀 바디(40)를 고장 등의 이유로 외부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셔틀 바디(40)를 수평 레일(30)로부터 주행 방향을 따라 외부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수직빔(10,2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리프트 장치(50)는 2개의 수평 프레임(100)과, 호이스트 연결 부재(200)와,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a,3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프레임(100)은 셔틀 바디(40)를 수평 레일(3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레일(30)과 평행하게 2개 배치된다. 이러한 수평 프레임(100)은 상면이 셔틀 바디(40)의 주행면을 이루도록 수평 레일(30)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수평 레일(30)의 주행면보다 그 폭이 같거나 더 넓은 주행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수평 프레임(100)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수평 프레임(100)이 수평 레일(30)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평 레일(30)의 간격과 동일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2개의 수평 프레임(100)은 별도의 연결 프레임(120)을 통해 서로 연결 결합되며, 2개의 수평 프레임(100)과 연결 프레임(120)을 통해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수평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지면에서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이동 바퀴(110)가 장착될 수 있다.
호이스트 연결 부재(200)는 2개의 수평 프레임(100)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는 별도의 호이스트(6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호이스트 체결부(210)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a,300b)은 2개의 수평 프레임(100)의 일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301)를 통해 제 1 및 제 2 수직빔에 각각 롤링 접촉한 상태로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a,3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1 수직빔(10) 또는 제 2 수직빔(20)에 탈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a,300b)을 제 1 및 제 2 수직빔(10,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60)를 이용하여 리프트 장치(5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a,300b)이 가이드 롤러(301)를 통해 제 1 및 제 2 수직빔(10,20)에 롤링 접촉한 상태로 상하 이동 가이드되므로, 호이스트(60)를 통한 상하 이동시 리프트 장치(50)의 진동이나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상하 주행 상태를 이루게 된다. 어느 하나의 셔틀 바디(4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장치(50)가 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60)를 통해 해당 셔틀 바디(40)를 인출할 수 있는 높이로 리프트 장치(50)를 상향 이동시킨다. 이때, 수평 프레임(100)의 주행면과 수평 레일(30)의 주행면이 서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리프트 장치(50)의 상향 이동이 완료된 후, 셔틀 바디(40)를 수평 레일(30)로부터 외부 전방으로 인출하여 리프트 장치(50)의 수평 프레임(100)에 안착 지지되도록 한다. 셔틀 바디(40)가 수평 프레임(100)에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호이스트(60)를 이용하여 리프트 장치(50)를 다시 지면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셔틀 바디(40)를 안전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특히, 셔틀 바디(40)와 함께 리프트 장치(50)를 상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리프트 장치(50)가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a,300b)을 통해 제 1 및 제 2 수직빔(10,20)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셔틀 바디(40)가 리프트 장치(50)에 탑재되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셔틀 바디(40)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이 방지되며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평 프레임(10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셔틀 바디(40)가 수평 프레임(100)으로 전방 인출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셔틀 바디(4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스토퍼(130)(도 4 참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셔틀 바디(40)가 수평 프레임(100)에 인출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이 구속되므로, 리프트 장치(50)를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셔틀 바디(40)의 이동을 방지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교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셔틀 바디(40)를 수평 레일(30)로부터 외부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셔틀 바디(40)를 수평 레일(30)에 다시 삽입하는 과정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의 역순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트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5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의 회전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를 셔틀 장치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a,3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a,300b) 모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이중 어느 하나만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300a)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b)은 회동 가능한 구조가 아닌 고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300a)은, 수평 프레임(100)의 폭방향 외측면 일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 1 수직 프레임(310)과, 제 1 수직 프레임(310)에 수직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330)를 통해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320)과, 회전 프레임(320)이 일방향 회전한 상태로 회전 프레임(320)을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수직 프레임(310) 및 회전 프레임(320)에는 가이드 롤러(301)가 복수개 장착되며, 이러한 가이드 롤러(301)는 회전 프레임(320)이 일방향 회전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수직빔(10)의 표면에 동시에 밀착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1 수직 프레임(310)은, 하단부가 수평 프레임(100)의 폭방향 외측면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결합 고정부(311)와, 결합 고정부(31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결합 지지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회전 프레임(320)은, 결합 지지부(312)의 끝단에 힌지(330)를 통해 수직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판형의 회전 지지부(321)와, 회전 지지부(321)의 끝단에 전후 방향의 수평 절곡 라인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절곡 돌출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301)는 제 1 수직 프레임(310)의 결합 지지부(312)와 회전 프레임(320)의 회전 지지부(321)에 각각 결합되어 제 1 수직빔(10)의 상호 대응되는 전후 방향 반대 표면에 각각 밀착되게 롤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 롤러(301)는 회전 프레임(320)의 절곡 돌출부(322)에 결합되어 제 1 수직빔(10)의 폭방향 외측면에 밀착되게 롤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320)이 제 1 수직 프레임(310)에 수직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 1 수직빔(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빔(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 프레임(320)이 회전하면, 제 1 수직 프레임(310)의 결합 지지부(312)와 회전 프레임(320)의 회전 지지부(321)에 각각 결합된 가이드 롤러(301)는 제 1 수직빔(10)의 상호 대응되는 전후 방향 반대 표면에 각각 밀착되게 롤링 접촉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리프트 장치(50)의 상하 이동시 전후 방향 진동 없이 제 1 수직빔(1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320)의 절곡 돌출부(322)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301)는 제 1 수직빔(10)의 폭방향 외측면에 밀착되게 롤링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리프트 장치(50)의 상하 이동시 좌우 폭방향 진동이 방지된다.
한편, 제 1 수직 프레임(310)의 결합 지지부(312)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301)와 회전 프레임(320)의 회전 지지부(321)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301)는 그 배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프트 장치(50)의 상하 이동 과정에서 2개의 서로 다른 위치의 가이드 롤러(301)에 의해 리프트 장치(50)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회전력)(제 1 수직빔(10)과의 롤링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지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회전 프레임(320)의 회전 지지부(32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320)이 제 1 수직빔(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 1 수직빔(10)의 폭방향 외측단면에 접촉하는 마찰 가이드 블록(303)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프트 장치(50)의 상하 이동시 좌우 폭방향 진동을 방지하고 상하 이동 경로를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고정 수단(340)은 회전 프레임(320)이 제 1 수직빔(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 프레임(320)을 위치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회전 프레임(320)의 회전 지지부(321)에 대한 일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제 1 수직 프레임(310)의 결합 지지부(312)에 결합되는 걸림 블록(341)과, 회전 지지부(321)가 걸림 블록(341)에 접촉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321)와 걸림 블록(341)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작 로드(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 블록(341)과 회전 지지부(321)에는 동축 정렬된 탭홀이 형성되고, 조작 로드(342)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걸림 블록(341)과 회전 지지부(321)를 동시에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b)은, 수평 프레임(100)의 폭방향 외측면 일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 2 수직 프레임(350)과, 제 2 수직 프레임(350)의 외측 끝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360)을 포함하고, 제 2 수직 프레임(350) 및 고정 프레임(360)에는 제 2 수직빔(20)의 표면에 동시에 밀착 접촉하도록 가이드 롤러(301)가 복수개 장착된다.
이러한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b)은, 고정 프레임(360)이 제 2 수직 프레임(350)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고정 결합된 형태이며, 이러한 고정 결합된 구성 이외에 그 형상 및 구조는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300a)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제 2 수직 프레임(350)은, 하단부가 수평 프레임(100)의 폭방향 외측면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결합 고정부(351)와, 결합 고정부(31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결합 지지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회전 프레임(320)은, 결합 지지부(312)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지지부(361)와, 고정 지지부(361)의 끝단에 전후 방향의 수평 절곡 라인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절곡 돌출부(3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301)는 제 2 수직 프레임(350)의 결합 지지부(312)와 고정 프레임(360)의 고정 지지부(361)에 각각 결합되어 제 2 수직빔(20)의 상호 대응되는 전후 방향 반대 표면에 각각 밀착되게 롤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 롤러(301)는 고정 프레임(360)의 절곡 돌출부(362)에 결합되어 제 2 수직빔(20)의 폭방향 외측면에 밀착되게 롤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300a)의 가이드 롤러(301)와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b)의 가이드 롤러(301)는 제 1 및 제 2 수직빔(10,20) 사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b)의 구성 및 가이드 롤러(301)에 의한 기능들은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300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리프트 장치(50)를 제 1 및 제 2 수직빔(10,2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300a)의 회전 프레임(320)을 개방된 상태로 회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리프트 장치(50)를 이동시켜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b)을 제 2 수직빔(20)에 결합시킨다. 즉,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300b)의 가이드 롤러(301)를 제 2 수직빔(20)의 표면에 밀착되게 롤링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300a)의 회전 프레임(320)을 닫는 상태로 회전시키면,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300a)의 가이드 롤러(301)가 제 1 수직빔(10)에 밀착되게 롤링 접촉하게 되고, 리프트 장치(50)의 수직빔에 대한 결합 작업이 완료된다. 리프트 장치(50)를 수직빔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결합 작업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리프트 장치(50)를 제 1 및 제 2 수직빔(10,20)에 결합시킨 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60)를 통해 리프트 장치(5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고, 해당 높이까지 상승 이동시킨 이후, 특정 셔틀 바디(40)를 리프트 장치(50)로 인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평 프레임
200: 호이스트 연결부재
300a,300b: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
301: 가이드 롤러
310: 제 1 수직 프레임
320: 회전 프레임
330: 힌지
331: 수직 회전축
340: 고정 수단
341: 걸림 블록
342: 조작 로드
350: 제 2 수직 프레임
360: 고정 프레임

Claims (9)

  1.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수직빔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다단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수평 주행하며 물품을 입출고하는 복수개의 셔틀 바디를 상기 수평 레일로부터 주행 방향을 따라 외부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빔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로서,
    상기 셔틀 바디를 상기 수평 레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수평 프레임;
    2개의 상기 수평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상단에는 별도의 호이스트와 체결할 수 있도록 호이스트 체결부가 형성되는 호이스트 연결 부재; 및
    2개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빔에 각각 롤링 접촉한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직빔 또는 제 2 수직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 외측면 일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 1 수직 프레임;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이 일방향 회전한 상태로 상기 회전 프레임을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 및 회전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복수개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회전 프레임이 일방향 회전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직빔의 표면에 동시에 밀착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은, 하단부가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 외측면에 결합되는 평판형의 결합 고정부와, 상기 결합 고정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결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결합 지지부의 끝단에 힌지를 통해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판형의 회전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의 끝단에 수평 절곡 라인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절곡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결합 지지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지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직빔의 상호 대응되는 전후 방향 반대 표면에 각각 밀착되게 롤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절곡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직빔의 폭방향 외측면에 밀착되게 롤링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결합 지지부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지부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는 그 배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지지부에 대한 일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의 결합 지지부에 결합되는 걸림 블록; 및
    상기 회전 지지부가 상기 걸림 블록에 접촉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와 상기 걸림 블록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작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폭방향 외측면 일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 2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의 외측 끝단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제 2 수직빔의 표면에 동시에 밀착 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 롤러가 복수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 모듈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 모듈의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빔 사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셔틀 바디가 상기 수평 프레임으로 인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셔틀 바디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스토퍼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KR1020200077825A 2020-06-25 2020-06-25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KR102367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825A KR102367429B1 (ko) 2020-06-25 2020-06-25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825A KR102367429B1 (ko) 2020-06-25 2020-06-25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80A true KR20220000180A (ko) 2022-01-03
KR102367429B1 KR102367429B1 (ko) 2022-02-25

Family

ID=7934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825A KR102367429B1 (ko) 2020-06-25 2020-06-25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2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876A (ko) * 1997-08-26 1999-03-15 양재신 이송대차의 위치 조정 구조
JPH11208819A (ja) * 1998-01-29 1999-08-03 Okamura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8074543A (ja) * 2006-09-21 2008-04-03 Murata Mach Ltd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JP2008081302A (ja) * 2006-09-28 2008-04-10 Ihi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278187B1 (ko) * 2012-09-06 2013-06-27 우리해양 주식회사 교량 등 설치대
KR20150038313A (ko) * 2012-09-04 2015-04-08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스태커 크레인
KR101717447B1 (ko) 2015-05-21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876A (ko) * 1997-08-26 1999-03-15 양재신 이송대차의 위치 조정 구조
JPH11208819A (ja) * 1998-01-29 1999-08-03 Okamura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8074543A (ja) * 2006-09-21 2008-04-03 Murata Mach Ltd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JP2008081302A (ja) * 2006-09-28 2008-04-10 Ihi Corp スタッカクレーン
KR20150038313A (ko) * 2012-09-04 2015-04-08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스태커 크레인
KR101278187B1 (ko) * 2012-09-06 2013-06-27 우리해양 주식회사 교량 등 설치대
KR101717447B1 (ko) 2015-05-21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429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828B1 (ko) 물류 자동화 창고
TWI642611B (zh) Picking system and picking method
EP2403780B1 (en) Arrangement for storage and racking machine particularly for such arrangement
WO2016031352A1 (ja) 仕分けシステムと仕分け方法
JP2006528120A (ja) 非パレット方式の貨物保管システムの入出庫用積載台
KR102390558B1 (ko)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CN109292342A (zh) 一种物流仓储用机器人
EP2929110B1 (en) Integrated supply chain building
KR102367429B1 (ko)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US10745199B2 (en) Material placement device
KR101965209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CN115818034A (zh) 运输托盘及具有其的翼展集装箱
CN207844840U (zh) 升降设备
JP6798250B2 (ja) 走行車
JP6638253B2 (ja) 自動倉庫
KR101175417B1 (ko) 대차 이동 피트의 추락 방지 방치
JP2018034968A (ja) ツインシャトルラックシステム
CN219468715U (zh) 一种四向穿梭式货架子轨结构
CN113955508B (zh) 抽拉堆垛机器人
KR102195581B1 (ko)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CN211168424U (zh) 一种专用于存放重载手推车的立体货架
KR101048642B1 (ko) 운반대차의 적재 지그
KR20240082106A (ko) 셔틀 주행레일
KR102195582B1 (ko)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KR20240082104A (ko) 시저스 구조를 갖는 리프트 셔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