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685A -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685A
KR20130141685A KR1020137028796A KR20137028796A KR20130141685A KR 20130141685 A KR20130141685 A KR 20130141685A KR 1020137028796 A KR1020137028796 A KR 1020137028796A KR 20137028796 A KR20137028796 A KR 20137028796A KR 20130141685 A KR20130141685 A KR 2013014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at back
seat
fram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292B1 (ko
Inventor
신지 아와타
히데키 고바야시
히사야 모리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3014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002/5808Seat coverings comprising opening zones for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Abstract

리클라이닝(reclining) 기구 부품을 덮어 차량용 시트의 외관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는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수지제로 된 시트 백 보드(16)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하측 연결 고정부(50)에는,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된 부착부(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102)의 가로 벽부(122)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시트 백 보드(16)에 시트 백 패드 및 커버가 장착되어, 시트 백 프레임(14)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SEAT STRUCTURAL MEMBER AND VEHICLE SEAT USING SAME}
본 발명은,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trim)과 착좌 탑승자의 측부의 사이에 사이드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일반적으로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내장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0-31330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경우, 시트 백의 조립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시트 백의 조립은, 시트 백 프레임 서브 어셈블리와 시트 백 패드 서브 어셈블리를 미리 준비해 두고, 후자를 전자에 조립하는 것 같은 순서로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시트 백 프레임 서브 어셈블리는, 시트 백 프레임에 시트 스프링이나 와이어 등을 조립한 상태의 것을 가리키고 있다. 또, 시트 백 패드 서브 어셈블리는, 시트 백 패드에 커버(표피)를 씌운 상태의 것을 가리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차량용 시트의 시트 백의 측부에, 웨빙(webbing)을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내장시키는 경우,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대해서는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하지만, 웨빙에 대해서는 커버의 이면에 미리 봉제한 상태로 납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조립 공장에서는, 양쪽 서브 어셈블리를 조립한 후에, 커버를 걷어올려서, 웨빙의 단부(端部)에 설치된 금속 브래킷을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커버를 걷어올리기 위해 커버에 파스너를 설치할 필요도 생긴다. 이와 같이 조립 작업이 번잡화함과 함께 조립 자유도가 제한되어, 부품점수도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도 시트 백의 조립성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함께 조립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는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시트 백 프레임이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양쪽 측부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백 보드부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백 스프링 본체부의 적어도 한 쪽과,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측부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측면 충돌 시에 시트 전방측으로 사이드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부착할 때의 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구비하고, 또한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성 부재의 양쪽 측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측(前側)에 감합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에 대해 시트 폭 방향의 적어도 내측에 배치되어 당해 사이드 에어백으로부터 받은 장력(張力)을 커버에 설정된 개열(開裂)부를 찢는 인장력으로서 전달하는 천 형상의 장력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성 부재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는, 상기 장력 전달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장력 전달 부재는 당해 삽입 통과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부착부에 고정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反力) 받이부는,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벽부와, 이 세로 벽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부착부의 부착 시트가 되는 가로 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로 벽부의 배면 측에는, 당해 가로 벽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반력을 받는 반력 받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 받이부는, 일단(一端)이 상기 가로 벽부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他端)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맞닿기 가능하게 배치된 리브(rib)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력 받이부는,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면과, 상기 가로 벽부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면(後面)과, 당해 외측면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단(後端)과 당해 후면의 시트 폭 방향의 외측단(端)을 연결하는 면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청구항 1∼청구항 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성 부재는, 상기 양쪽 측부와, 상기 백 스프링 본체부와, 상기 백 보드부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백 스프링 본체부는, 시트 백 높이 방향에 복수 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청구항 1∼청구항 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시트 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 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된 청구항 1∼청구항 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와, 상기 시트 백 보드의 전면(前面) 측에 배치된 시트 백 패드와, 상기 시트 백 패드의 표면을 덮는 커버를 가진다.
제 1 태양에 의하면, 시트 구성 부재의 양쪽 측부가 시트 백 프레임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백 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백 보드부가 시트 백 프레임의 배면 측에 배치되고, 백 스프링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백 스프링부가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백 스프링 본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시트 구성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착좌하면, 백 스프링 본체부가 하중 작용 방향으로 휨 변형됨으로써, 시트 백의 쿠션성이 확보된다.
여기서, 본 태양에서는,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측부에는 부착부가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당해 부착부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부착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수지제의 시트 구성 부재측에 미리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의 시트 백을 조립하는 경우,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일체화된 시트 구성 부재의 양쪽 측부를 시트 백 프레임의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좋아진다. 특히 커버의 이면 측에 웨빙이 설정되는 경우에서도, 미리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시트 구성 부재측에 조립되므로, 시트 구성 부재를 시트 백 프레임에 조립하기 전에, 웨빙과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처리를 끝내둘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커버를 걷어올리면서 웨빙의 금속 브래킷을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시트 백의 조립성이 개선된다. 또, 커버를 걷어올릴 필요가 없어지므로, 커버에 파스너를 설정할 필요도 된다. 따라서, 그만큼, 부품점수가 삭감된다.
제 2 태양에 의하면, 시트 구성 부재의 양쪽 측부가 사이드 프레임의 전측에 감합되기 때문에, 시트 구성 부재가 시트 백 프레임에 지지되기 쉬워진다.
제 3 태양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때, 당해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 폭 방향의 적어도 내측에 배치된 천 형상의 장력 전달 부재에 장력이 발생한다. 이 장력은, 장력 전달 부재를 개재하여, 커버에 설정된 개열부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개열부는 찢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그 결과, 개열부가 개열되어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제 4 태양에 의하면, 시트 구성 부재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는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장력 전달 부재는 이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시트 구성 부재의 부착부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장력 전달 부재의 라우팅(routing)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제 5 태양에 의하면, 반력 받이부가 세로 벽부와 가로 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가로 벽부를 부착 시트로 하여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되면, 그 때의 전개 반력이 가로 벽부에 전달된다. 그러나, 본 태양에서는, 가로 벽부의 배면 측에 반력 받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벽부에 작용한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반력은, 반력 받이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은 목적대로의 타이밍에서 목적대로의 방향으로 팽창 전개된다.
제 6 태양에 의하면, 일단이 상기 가로 벽부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맞닿기 가능하게 배치된 리브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구성 부재의 성형 시에 리브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태양에 의하면, 리브가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면과, 가로 벽부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면과, 당해 외측면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단과 당해 후면의 시트 폭 방향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면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백 패드가 리브에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 8 태양에 의하면, 시트 구성 부재가 양쪽 측부와 백 스프링 본체부와 백 보드부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요소를 분할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가 적어진다. 또, 금속제의 시트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 등에 비해, 경량이 된다. 또한, 백 스프링 본체부는 시트 백 높이 방향에 복수 단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백의 쿠션성이 향상된다.
제 9 태양에 의하면, 시트 구성 부재의 부착부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시트 구성 부재측에 서브 어셈블리화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 자체를 시트 백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에 조립하는 공정을 폐지할 수 있다.
제 10 태양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는, 시트 백 프레임과 시트 백 보드와 시트 백 패드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 시트 백 보드가 청구항 1∼청구항 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시트 구성 부재이기 때문에,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술한 작용이 얻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도 시트 백의 조립성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함께 조립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2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시트 백의 조립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3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 에어백을 신속하게 시트 전방측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4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압력을 효율적으로 장력 전달 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5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사이드 에어백을 신속 또한 정확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6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7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리브에 의한 시트 백 패드의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8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착좌 탑승자에 대한 착석감성(性)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저렴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9 태양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는, 사이드 에어백을 구비한 시트 백, 나아가서는 차량용 시트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10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도 시트 백의 조립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시트 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 프레임에 수지 스프링 일체 백 보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의 조립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 보드로부터 커버까지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시트 백 보드를 배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를 구비한 시트 백의 조립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도 1∼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IN은 차량 폭 방향 내측을 나타내고 있다.
<전체 구성>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에 상당하는 시트 백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구성 요소를 보는 각도를 약간 바꾸어서 그리고 있다. 또, 도 4에는, 당해 시트 백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종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 쿠션(11)(도 4 참조)과, 시트 쿠션(11)의 후단부에 경도(傾倒)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 백(12)과, 시트 백(12)의 상단(上端)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헤드레스트(headrest)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 백(12)은, 시트 백(12)의 골격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시트 백 프레임(14)과, 시트 백 프레임(14)의 전면 측에 장착되는 수지 스프링 일체 백 보드(이하, 단순히 「시트 백 보드」라고 칭한다.)(16)와, 시트 백(12)의 쿠션재를 구성함과 함께 시트 백 보드(16)의 전면 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시트 백 프레임(14)에 지지되는 시트 백 패드(18)와, 시트 백 패드(18)의 주(主)로서 전면을 덮는 커버(표피)(20)와, 커버(20)를 시트 백 보드(16)에 부착하기 위한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트 백 프레임(14)의 구성>
도 1∼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백 프레임(14)은, 정면에서 보아(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를 가리킨다. 이하에, 차량의 방향과 차량용 시트(10)의 방향은 동일한 것으로서 설명한다.),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백 프레임(14)은, 차량 폭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역 U자 형상의 어퍼(upper) 프레임(28)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하단(下端)부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로우어(lower) 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 백(12)은 어퍼 프레임(28)도 포함시켜 4개의 부재가 모두 프레스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어 있지만, 다른 프레임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퍼 프레임만을 역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파이프재(材)로 구성해도 되고, 어퍼 프레임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역 U자 형상으로 구부린 하나의 파이프재로 구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6)은, 측벽부(26A)와, 전(前)벽부(26B)와, 후(後)벽부(26C)로 구성되어 있고, 단독으로 보면 평단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한 쌍으로 보면 평단면에서 보아 시트 폭 방향에 대향하는 내측이 개구된 개방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6A)는 전체적으로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져 있다. 또, 측벽부(26A)의 하부에는, 상하로 이간하여 복수의 부착 구멍(32)(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26B)는 측벽부(26A)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원호면을 개재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이고 또한 약간 비스듬히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벽부(26C)는 측벽부(26A)의 후단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先端)부는 차량 전방측으로 비스듬하게 절곡되어 있다. 후벽부(26C)의 폭은 전벽부(26B)의 폭에 대해 충분히 넓게 설정되어 있다. 또, 후벽부(26C)의 상부측에도 부착 구멍(34)(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백 보드(16)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시트 구성 부재로서의 시트 백 보드(16)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4(특히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백 보드(16)는, 수지의 판재로 형성됨과 함께 시트 백 프레임(14)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백 보드부(36)와, 수지제로 되어 백 보드부(36)에 일체로 설치됨과 함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직접 지지되도록 걸쳐 놓여지고, 또한 시트 백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됨으로써 하중 작용 방향(차량 후방측)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백 스프링부(38)를 구비하고 있다.
백 보드부(36)는, 시트 백 프레임(14)보다 한층 작게 형성된 보드 본체(40)와, 이 보드 본체(40)의 외주부에 일체 성형된 U홈 형상의 계지(係止)부(42)로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보드 본체(40)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 백 프레임(14)의 개구부의 내주연보다 한층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백 프레임(14)으로의 조립 상태에서는, 보드 본체(40)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후벽부(26C)의 선단부(내단(內端)부) 사이의 약간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드 본체(40)는, 시트 백 프레임(14)의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조립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계지부(42)의 단면 형상은, 차량 후방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계지부(42)는, 후술하는 커버(20)의 외주부를 계지하기 위해 이용되지만, 판 형상의 보드 본체(40)를 보강하여 백 보드부(36) 전체의 면 강성(剛性)을 높이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백 스프링부(38)는, 백 보드부(36)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하측 백 스프링부(44)와, 백 보드부(36)의 상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측 백 스프링부(46)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백 스프링부(46)는, 하측 백 스프링부(44)에 대해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간한 위치에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하측 백 스프링부(44)는, 시트 백 높이 방향에 상하 3단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와, 이들 3개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연결함과 함께 백 보드부(36)와도 연결하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는 양쪽 측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하측 연결 고정부(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백 스프링부(44)를 몇 개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로 구성하는지는 임의이고, 요구되는 쿠션 성능과의 관계에서 적절히 변경된다. 따라서, 하측 백 스프링부의 상하 폭을 넓혀서 1개로 해도 되고, 반대로 2개 또는 4개 이상의 복수 개로 해도 된다.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평단면 형상은 파상(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백 보드부(36) 측(차량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파상 부분(48A)이 신장되고, 이에 따라 하중 작용 방향인 백 보드부(36) 측으로 휨 변형(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단과 중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48B) 근방에는, 커버(20)를 부착하기 위한 후술하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claw)부(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가 형성되는 범위에 대해서는 파상 부분(48A)은 형성되지 않는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백 보드부(36)는, 하측 백 스프링부(44)의 차량 후방측에 소정 거리만큼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하측 백 스프링부(44)와 백 보드부(36)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52)의 범위 내에서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백 보드부(36)는, 하측 백 스프링부(44)의 휨량을 소정량 이하로 제한하는 제한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하측 연결 고정부(50)는, 평단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단부(48B)가 연결되는 내측 측벽(50A)과, 이 내측 측벽(50A)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외측면에 면접촉 상태로 계지되는 외측 측벽(50B)과, 내측 측벽(50A)의 전단과 외측 측벽(50B)의 전단을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이드 프레임(26)의 전벽부(26B)에 부분적인 면접촉 상태로 계지되는 전벽(50C)과, 내측 측벽(50A)의 후단부로부터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단부(48B)에 대해 백 보드부(36)에 연결되는 후벽(50D)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상하 3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48B)는, 파상 부분(48A)이 형성되지 않는 평평한 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좌우 한 쌍의 하측 연결 고정부(5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는 시트 백 높이 방향에 복수 단으로 설치되지만, 이들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좌우 한 쌍의 하측 연결 고정부(50)에 의해서 연결됨으로써, 하측 백 스프링부(44)가 백 보드부(36)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하측 연결 고정부(50)는, 최상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최하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하부 가장자리까지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그 길이 방향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하측 연결 고정부(50)는, 그 외측 측벽(50B)이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부착 구멍(32)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서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고정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수단으로서는, 외측 측벽(50B)에 수지 클립을 일체로 형성하여 부착 구멍(32)에 계합(係合)시키는 구성이나, 리벳, 스크루, 나사 또는 볼트와 웰드(weld) 너트 등의 체결구(具)로 체결하는 구성, 구조용 접착제로 접착하는 구성 등, 다양한 태양이 적용 가능하다. 하측 연결 고정부(50)가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후벽(50D)이 사이드 프레임(26)의 후벽부(26C)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단부(48B)가 사이드 프레임(26)의 단면 내방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측 백 스프링부(46)도 기본적으로는 하측 백 스프링부(4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와 상측 연결 고정부(5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에는, 백 보드부(36) 측(차량 후방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면 신장하여 휨 변형(탄성 변형)하도록 파상 부분(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54B)에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길이 방향의 양단부(54B)와 중앙부에는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 연결 고정부(56)에 있어서는, 시트 백 폭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 사이에 들어가는 길이 방향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연결 고정부(56)가 후벽부(26C)의 부착 구멍(34)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서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고정됨으로써, 상측 연결 고정부(56)가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백 스프링부(38)를 하측 백 스프링부(44)와 상측 백 스프링부(46)로 나누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양자를 연결하여 일체화해도 된다. 즉, 하측 연결 고정부(50)를 시트 백 상방측으로 연장하여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와 연결시키는 구성을 취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백 스프링부(46)를 한 단(1개)으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단(복수 개)으로 구성해도 되고, 백 보드부(36)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등간격으로 복수 단(복수 개)의 백 스프링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취해도 된다.
<시트 백 패드(18)의 구성>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백 패드(18)는, 크게 구별하면, 패드 중앙 상부(62)와, 패드 중앙 하부(64)와, 좌우 한 쌍의 패드 사이드부(6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백 패드(18)는, 우레탄폼 등에 의해서 제작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패드 중앙 상부(62)의 종단면 형상은, 상하 좌우 역방향의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중앙 상부(62)는, 시트 백 프레임(14)의 어퍼 프레임(28)에 시트 백 상방측으로부터 계지되어 있다. 패드 중앙 하부(64)의 종단면 형상은, 좌우 역방향의 대략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패드 중앙 하부(64)는, 하부가 상부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볼록 만곡 형상으로 부풀어오른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패드 중앙 하부(64)는, 사이드 프레임(26)의 하단부끼리를 시트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68)에 시트 백 하방측으로부터 계지되어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68)는, 시트 백 프레임(14)의 로우어 프레임(30)의 전방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패드 사이드부(66)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 사이드부(66)는, 하측 연결 고정부(50)가 장착된 상태의 사이드 프레임(26)에 둘러 감아지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패드 사이드부(66)는, 하부가 상부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볼록 만곡 형상으로 부풀어오른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한 패드 중앙 상부(62) 및 패드 중앙 하부(64)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팽출되어 탑승자에 대한 사이드 서포트성을 확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시트 백 보드(16)는, 종단면에서 보아, 패드 중앙 상부(62)의 배면 측 하단부(62A)로부터 패드 중앙 하부(64)의 배면 측 상단부(64A)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패드 중앙 하부(64)의 배면 측 상단부(64A)는 배면 측 하단부(62A)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얇아진 부분에 백 보드부(36)의 하단부가 전후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패드 중앙 상부(62)와 패드 중앙 하부(64)의 사이에는, 커버 매달기용의 관통 홈으로서의 가로 방향 슬릿(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드 중앙 상부(62), 패드 중앙 하부(64)와 패드 사이드부(66)의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커버 매달기용의 관통 홈으로서의 세로 방향 슬릿(72)(도 1 참조)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로 방향 슬릿(70) 및 세로 방향 슬릿(72)의 슬릿 폭은, 후술하는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가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가로 방향 슬릿(70) 및 세로 방향 슬릿(72)은 모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트 백 패드(18)를 그 두께 방향(차량 전후 방향이기도 하다)으로 관통하고 있다.
<커버(20) 및 그 부착 구조>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커버(20)는, 시트 백 패드(18)를 정면측으로부터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20)는, 상기 시트 백 패드(18)의 분할 구성에 맞추어서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 좌우 한 쌍의 커버 사이드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20)는,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 및 외주 계지부(80)를 이용하여 시트 백 보드(16)에 부착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착 부재 본체(22A)와, 부착 부재 본체(22A)의 한 쪽의 측 가장자리에 설치됨과 함께 대략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계합부(22B)로 구성되어 있다. 부착 부재 본체(22A)는 커버(20)와 동일한 유연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전체 길이는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에 형성된 후술하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와 1 또는 2 이상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에 형성된 후술하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에 걸쳐 놓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부착부 본체(22A)의 다른 쪽의 측 가장자리는, 계합부(22B)의 중심부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착 부재 본체(22A)와 계합부(22B)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재 본체(22A)의 다른 쪽의 측 가장자리는,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와 커버 사이드부(78)에 봉제에 의해 미리 부착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도 1에서는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를 커버(20)로부터 분리하여 그리고 있지만,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는, 커버(20)의 이면 측에 미리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는, 시트 백 패드(18)의 세로 방향 슬릿(70)을 삽입 통과한 후, 백 스프링부(38)의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에 탄성적으로 계합되어 있다.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는, 상단과 중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48B) 및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54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합계 6개의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는 기본적으로 동일 구성이므로, 대표하여 상단의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에 형성된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도 2의 3-3선 상에 배치된 수지 클로부(58))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좌우 한 쌍의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는,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에 있어서 수지제의 스프링을 구성하는 파상 부분(48A)의 시트 폭 방향의 양쪽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는, 시트 백 높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가늘고 긴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조적으로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는,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의 전면으로부터 시트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서로 접근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고, 또한 선단부에 클로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58A)와, 이들 다리부(58A)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술한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의 계합부(22B)가 감합 가능한 크기의 오목 홈(58B)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목 홈(58B)은,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의 계합부(22B)를 위로부터 차례로 또는 아래로부터 차례로 백 스프링부(38)의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에 순차 탄성적으로 계합시켜 감으로써,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와 커버 사이드부(78)의 경계 부분이 시트 백 보드(16) 측으로 이끌려서 계지되는 구성이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는 시트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시트 백 높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와 다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도,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와 동일하게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부착 부재 본체(24A)와, 부착 부재 본체(24A)의 한 쪽의 측 가장자리에 설치됨과 함께 대략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계합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또, 부착 부재 본체(24A)의 다른 쪽의 측 가장자리는, 커버 중앙 상부(74), 커버 중앙 하부(76)에 봉제에 의해 미리 부착되어 있다. 한편,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는,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와 동일하게 상하 한 쌍의 다리부(60A)와, 이들 다리부(60A) 사이에 형성된 오목 홈(60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를 시트 백 패드(18)의 가로 방향 슬릿(70) 내로 삽입 통과시킨 후, 계합부(24B)를 백 스프링부(38)의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에 순차 탄성적으로 계합시켜 감으로써, 커버 중앙 상부(74)와 커버 중앙 하부(76)의 경계 부분이 시트 백 보드(16) 측으로 이끌려서 계지되는 구성이다. 즉,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와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에서는, 커버(20)의 인입 방향이 90도 다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커버(20)의 외주부의 적절 위치에는, 선단부가 촉(화살촉) 형상으로 된 외주 계지부(80)가 봉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외주 계지부(80)가 백 보드부(36)의 계지부(42) 내로 깊게 삽입됨으로써, 커버(20)의 외주부가 백 보드부(36)에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부착부(102)의 구조>
다음으로, 도 1∼도 3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부착부(102)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최초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도 3(특히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측면 충돌 시에 작동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inflator)(104)와, 이 인플레이터(104)를 덮도록 접힌 사이드 에어백(106)을 가지는 에어백 모듈(108)과, 장력 전달 부재로서의 좌우 한 쌍의 외측 웨빙(110) 및 내측 웨빙(1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04)는 양단부가 폐지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04)의 축 방향의 상단부의 축심(軸芯)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퀴브(squibb)(점화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통전하기 위한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 인플레이터(104)의 축 방향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가스 분출 구멍이 형성된 가스 분출부가 동(同)축 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104)의 내부에는 착화제, 인화제(inflammation agent), 가스 발생제, 쿨런트(coolant), 필터 등의 기능 부품이 배치되어 있고, 스퀴브에 통전되면,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어 대량의 가스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스 발생제가 봉입된 타입의 인플레이터 이외에도, 고압 가스가 봉입된 타입의 인플레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04)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금속제의 디퓨저(diffuser)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디퓨저의 내부에 인플레이터(104)가 삽입된 상태에서, 디퓨저의 외주부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코킹함으로써, 디퓨저가 인플레이터(104)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104)의 복수의 가스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가스를 디퓨저에서 정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디퓨저의 외주부에는, 상하 한 쌍의 스터드(stud) 볼트(114)(도 3에 일점쇄선으로 체결선만을 나타낸다.)가 차량 후방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106)은, 측면에서 보아, 착좌 상태의 탑승자의 허리부로부터 흉부 또는 어깨부 혹은 머리부까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 착좌 상태의 탑승자의 상체의 외측 측부와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의 사이에 팽창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인플레이터(104) 및 사이드 에어백(106)은, 차량 전방측이 개방된 박형의 상자체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모듈 케이스(도시 생략)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시트 백 폭 방향 외측에는, 사이드 에어백(106)의 팽창 시에 전개력을 후술하는 개열부(116)에 전달하는 외측 웨빙(110)이 배치되어 있다. 또,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시트 백 폭 방향 내측에는, 외측 웨빙(110)과 동일하게 사이드 에어백(106)의 팽창 시에 전개력을 후술하는 개열부(116)에 전달하는 내측 웨빙(112)이 배치되어 있다. 외측 웨빙(110) 및 내측 웨빙(112)은 모두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재질은 일례로서 사이드 에어백(106)과 동일한 재질이 이용된다.
외측 웨빙(110)의 일단부(110A)는, 커버(20)의 양쪽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또한 2장의 천으로 구성된 커버 사이드부(78)의 단말부와 함께 봉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 사이드부(78)를 구성하는 2장의 천의 단말부끼리의 봉제 부위를 「개열부(116)」라고 칭한다. 또, 외측 웨빙(110)의 중간부(110B)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외측면과 패드 사이드부(66)의 내측면의 간극을 통과하도록 와이어링(wiring)되어 있다. 또한, 외측 웨빙(110)의 타단부(110C)에는, 도시하지 않은 금속제의 브래킷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내측 웨빙(112)의 일단부(112A)는, 외측 웨빙(110)과 동일하게 개열부(116)에 봉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내측 웨빙(112)의 중간부(112B)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전단부와 패드 중앙 하부(64)의 내측면의 간극을 통과하고, 또한 하측 연결 고정부(50)(특히 도 2 참조)의 전벽(50C)에 형성된 세로 길이의 삽입 통과 구멍(118) 내로 삽입 통과되어 있다. 삽입 통과 구멍(118)을 통과한 중간부(110B)는, 하측 연결 고정부(50)의 외측 측벽(50B)과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사이에 와이어링되어 있다. 또한, 내측 웨빙(112)의 타단부(112C)에는, 도시하지 않은 금속제의 브래킷이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시트 백 보드(16)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하측 연결 고정부(50)에 설치된 부착부(102)에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부(102)는, 하측 연결 고정부(50)의 외측 측벽(50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부(102)도 시트 백 보드(16)와 동일하게 수지제이다. 단, 부착부(102)를 시트 백 보드(16)로부터 별체로 형성하고, 용착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또, 부착부(102)는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높이 방향의 치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높이 방향 치수와 동일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단,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고정 가능할만한 높이 방향의 치수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구조에 대해 더욱 언급하면, 부착부(102)는, 외측 측벽(50B)의 후단(50B1)(도 2 참조)으로부터 시트 백 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세로 벽부(120)와, 이 세로 벽부(120)의 후단으로부터 시트 백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가로 벽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세로 벽부(120)는, 외측 측벽(50B)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외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벽부(120)가 측벽부(26A)의 외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해 외측면의 전부를 덮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하측 고정부(50)의 외측 측벽(50B)과 세로 벽부(120)의 양쪽을 부착부(102)의 「세로 벽부」로서 인식하고 또한 당해 「세로 벽부」로 측벽부(26A)의 외측면의 전체를 덮도록 해도 된다. 또, 가로 벽부(122)는 후술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폭 방향 치수(일례로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폭 방향 치수와 동일 정도의 폭 방향 치수)를 가지는 부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 벽부(122)에는, 상술한 스터드 볼트(114)와 동축 상에 상하 한 쌍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상기 구성의 가로 벽부(122)의 전측에 배치되어, 모듈 케이스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해 돌출된 스터드 볼트(114)가 가로 벽부(122)에 형성된 볼트 삽입 통과 구멍을 관통하고, 또한 외측 웨빙(110)의 타단부(110C) 및 내측 웨빙(112)의 타단부(112C)에 설치된 브래킷과 함께 너트(124)(도 3에 일점쇄선으로 체결선만을 나타낸다.)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부착부(10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106)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외측 웨빙(110) 및 내측 웨빙(112)이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이간하여 2세트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상하 어느 한 쪽의 외측 웨빙 및 내측 웨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와는 별도로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수지제의 백 보드부(36)에 수지제의 백 스프링부(38)를 일체로 형성한 시트 백 보드(1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트 백 보드(16)를 금속제의 시트 백 프레임(14)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감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하측 연결 고정부(50)에 있어서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감합되고, 이 상태에서 사이드 프레임(26)에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고정된다. 또, 좌우의 상측 연결 고정부(56)에 있어서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의 내측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삽입된 후, 좌우의 후벽부(26C)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고정된다. 그 후,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부착부(102)에 고정되고, 시트 백 패드(18)가 시트 백 프레임(14)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부착되며, 또한 외측 웨빙(110), 내측 웨빙(112)이 봉제된 커버(20)가 시트 백 패드(18)에 씌워진다. 커버(20)에는 미리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및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가 봉제에 의해 미리 고정되어 있고, 커버(20)를 시트 백 패드(18)에 씌우면서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를 대응하는 세로 방향 슬릿(72) 및 가로 방향 슬릿(70)에 삽입하여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에 각각 계지시킨다. 또한, 커버(20)의 외주 계지부(80)를 백 보드부(36)의 계지부(42)에 계지시켜 간다.
상기와 같이 하여 조립된 시트 백(12)은 시트 쿠션(11) 및 도시하지 않은 헤드레스트가 부착되어 차량용 시트(10)로 된다. 탑승자가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면, 커버(20) 및 시트 백 패드(18)를 개재하여 백 스프링부(38)에 시트 백 후방측으로의 하중(도 3에 화살표 F로 이것을 나타낸다)이 입력된다. 이 때문에,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 및 상측 백 스프링 본체부(54)가 하중 작용 방향인 시트 백 후방측으로 휨 변형된다. 또, 이 때의 하중은 하측 연결 고정부(50) 및 상측 연결 고정부(56)로부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전달되기 때문에, 사이드 프레임(26)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의 반력(도 3에 화살표 f로 이것을 나타낸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탑승자로부터 백 스프링부(38)에 하중이 입력되면, 자신은 휨 변형되어 시트 백(12)의 쿠션성의 확보에 기여하고, 하중 자체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전달되어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서 지지된다. 그 결과, 시트 백(12)의 쿠션 성능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 백 스프링부(38)는 수지제로 되어 백 보드부(36)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백 스프링부(38)를 금속제의 시트 백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 및 조립 공수(工數)가 삭감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 백(12)의 쿠션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백 보드(16)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하측 고정부(50)에 부착부(102)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했으므로,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부착부(102)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미리 부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시트 백 프레임(14)이 아니고, 수지제의 시트 백 보드(16) 측에 미리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10)의 시트 백(12)을 조립하는 경우, 이하와 같은 조립도 가능해진다. 즉, 상기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시트 백 보드(16)에 일체화시키는 작업과 병행하여, 커버(18)를 시트 백 패드(18)에 씌운다. 그리고, 시트 백 패드(18)의 서브 어셈블리를, 시트 백 보드(16)의 서브 어셈블리에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조립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세로 방향 부착 부재(22)를 대응하는 세로 방향 슬릿(72)에 각각 삽입한 후, 이것을 세로 방향 수지 클로부(58)에 계합시킨다.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 부착 부재(24)를 가로 방향 슬릿(70)에 삽입한 후, 이것을 가로 방향 수지 클로부(60)에 계합시킨다. 그 후, 커버(20)의 외주의 계지편(80)을 백 보드부(40)의 외주의 계지부(42)에 계지시키면, 시트 백(12)의 시트 백 프레임(14) 이외의 부분이 서브 어셈블리화된다. 그리고 최후에, 이 서브 어셈블리를, 시트 백 프레임(14)의 사이드 프레임(26)에 고정하면 된다. 이 때, 상기 서브 어셈블리를 시트 백 프레임(14)에 시트 상방측으로부터 끼우는 경우도 있고, 상기 서브 어셈블리를 시트 백 프레임(14)의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감합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최종적으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일체화된 시트 백 보드(16)의 좌우의 하측 연결 고정부(50) 및 상측 연결 고정부(56)를 시트 백 프레임(14)의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각각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트 백(12)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커버(20)의 이면 측에 외측 웨빙(110) 및 내측 웨빙(112)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시트 백 보드(16)에 미리 조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웨빙(112)의 타단부에 설치된 브래킷이, 부착부(102)에 인접하는 하측 연결 고정부(50)의 삽입 통과 구멍(118) 내로 통과된다. 통과된 브래킷은, 하측 연결 고정부(50)의 외측 측벽(50B)의 내측을 통과하여, 스터드 볼트(114)에 삽입 통과된다. 마찬가지로, 외측 웨빙(110)의 타단부에 설치된 브래킷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외측을 통하여 스터드 볼트(114)에 삽입 통과된다. 그 후, 너트(124)가 스터드 볼트(114)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시트 백 보드(16)를 시트 백 프레임(14)에 조립하기 전에, 외측 웨빙(110), 내측 웨빙(112)과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처리를 끝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커버를 걷어올리면서 웨빙의 금속 브래킷을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시트 백(12)의 조립성이 개선됨과 함께 조립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 커버를 걷어올릴 필요가 없어지므로, 커버에 파스너를 설정할 필요도 없어진다. 따라서, 그만큼, 부품점수가 삭감된다.
상기의 결과,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백 보드 및 이것을 사용한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구비한 경우에도 시트 백(12)의 조립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점수가 삭감되므로,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백 보드(16)가 사이드 프레임(26)에 대해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트 백 보드(16)가 사이드 프레임(26)의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조립되는 경우에 비해,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 때문에, 시트 백(12)의 조립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106)이 팽창 전개할 때, 당해 사이드 에어백(106)의 팽창압이 좌우의 외측 웨빙(110) 및 내측 웨빙(112)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좌우의 외측 웨빙(110) 및 내측 웨빙(112)에 장력이 발생하여, 커버(20)에 설정된 개열부(116)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개열부(116)는 찢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그 결과, 개열부(116)가 개열되어 사이드 에어백(106)이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그 결과, 측면 충돌 시에 사이드 에어백(106)을 신속하게 시트 전방측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백 보드(16)의 시트 백 폭 방향 외측의 하측 연결 고정부(50)의 전벽(50C)에, 내측 웨빙(112)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 구멍(118)을 형성하고, 내측 웨빙(112)은 삽입 통과 구멍(118)을 통과하여 부착부(102)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내측 웨빙(112)의 와이어링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106)의 팽창 압력을 효율적으로 내측 웨빙(112)에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개열부(116)를 신속하게 개열시켜 사이드 에어백(106)의 전개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백 보드(16)가 백 보드부(36)와 백 스프링부(38)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요소를 분할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가 적어진다. 또, 금속제의 시트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 등에 비해, 시트 백이 경량이 된다. 또한, 하측 백 스프링 본체부(48)는 시트 백 높이 방향에 복수 단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백(12)의 쿠션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에 대한 착석감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저렴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백 보드(16)의 부착부(102)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시트 백 보드(16)측에 서브 어셈블리화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 자체를 시트 백 프레임(14)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조립하는 공정을 폐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106)을 구비한 시트 백(12), 나아가서는 차량용 시트(10)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30)가 시트 백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된 것이 사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6 및 도 7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30)가 제 1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보다 세로 길이로 도시되어 있다.
또, 시트 백 보드(134)의 기본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의 시트 백 보드(16)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백 보드(134)는, 백 보드부(36)와, 하측 백 스프링부(44) 및 상측 백 스프링부(46)로 이루어지는 백 스프링부(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트 백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하측 연결 고정부(50)에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3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부착부(102)의 가로 벽부(122)의 배면 측에, 평면에서 보아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반력 받이부로서의 복수(상하 한 쌍)의 리브(1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부착부(102)의 가로 벽부(122)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모듈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114)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 통과 구멍(1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로 벽부(122)의 하단부(즉, 인플레이터(104)의 볼트 체결부의 하측)에는, 하방측에 배치된 외측 웨빙(110)의 브래킷 및 내측 웨빙(112)의 브래킷을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 삽입 통과 구멍(138)이 형성된 하측 부착 시트(140)가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측 부착 시트(140)의 가로 벽부(122)와의 접속 부위에, 평면에서 보아 직각 삼각형 형상의 리브(1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리브(136)는 가로 벽부(122)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일례인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리브(136)의 일단인 저(底)변부(136A)는 가로 벽부(122)에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리브(136)의 한 쪽의 타단인 수직부(136B)는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에 대해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수직부(136B)는 측벽부(26A)에 대해 간극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가로 벽부(122)가 세로 벽부(120)에 대해 개방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수직부(136B)는 측벽부(26A)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브(136)의 다른 쪽의 타단인 경사 변부(136C)는 시트 백 패드(18)의 패드 사이드부(66)의 내측면에 간섭하지 않도록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리브(136)는,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의 외측면(26A1)과, 가로 벽부(122)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면(122A1)과, 당해 외측면(26A1)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단과 당해 후면의 시트 폭 방향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면(일점쇄선 P)으로 둘러싸인 범위 S 내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가로 벽부(122)의 상단부(즉, 인플레이터(104)의 볼트 체결부의 상측)에는, 상방측에 배치된 외측 웨빙(110)의 브래킷 및 내측 웨빙(112)의 브래킷을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 삽입 구멍(144)이 형성된 상측 부착 시트(146)가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측 부착 시트(146)의 가로 벽부(122)와의 접속 부위에, 평면에서 보아 직각 삼각형 형상의 리브(1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136)의 구성 자체는, 하측 부착 시트(140)의 경우와 동일하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은 답습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30)가 작동하여 사이드 에어백(106)이 전개되면, 그 때의 전개 반력이 가로 벽부(122)에 전달된다. 즉, 가로 벽부(122)는, 가로 벽부(122)가 세로 벽부(120)에 대해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시트 후방측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벽부(122)의 배면 측에 평면에서 보아 직각 삼각형 형상의 리브(1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가로 벽부(122)가 가로 벽부(122)와 세로 벽부(120)의 접속 부위(모서리부)를 중심으로 하여 사이드 프레임(26) 측으로 회전 변위하면, 리브(136)의 수직부(136B)가 순식간에 사이드 프레임(26)의 측벽부(26A)에 맞닿는다. 따라서, 가로 벽부(122)에 작용한 사이드 에어백(106)의 전개 반력은, 리브(136)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106)은 목적대로의 타이밍에서 목적대로의 방향(시트 백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따라서, 사이드 에어백(106)을 신속 또한 정확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변부(136A)가 가로 벽부(122)에 접속됨과 함께 수직부(136B)가 사이드 프레임(26)에 맞닿기 가능하게 배치된 리브(136)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백 보드(16)의 성형 시에 리브(136)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136)가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14)의 외측면(26A1)과, 가로 벽부(122)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면(122A1)과, 당해 외측면(26A1)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단과 당해 후면(122A1)의 시트 폭 방향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면(일점쇄선 P)으로 둘러싸인 범위 S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백 패드(18)가 리브(136)에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브(136)에 의한 시트 백 패드(18)의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 리브(136)를 범위 S 내에 설치함으로써, 시트 백 패드(18)의 시트 백 보드(16)로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136)의 형상을 평면에서 보아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직각 삼각형 이외의 삼각형 형상이나 사다리꼴 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의 백 보드부(36)에 수지제의 백 스프링부(38)를 일체로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지제의 백 보드부에 수지제의 백 스프링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즉, 백 보드부와 백 스프링부를 각각 제작하고 나서 양자를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백 스프링부를 구성하는 백 스프링 본체부와 연결 고정부를 다른 부품으로서 제작하고 나서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더욱 보충하면, 상술한 실시형태,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연결 고정부(50)를 하측 백 스프링부(44)(백 스프링부(38)) 측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했지만, 하측 연결 고정부(50)를 백 보드부(36) 측의 구성 요소로 인식해도, 그와 같이 해석하는 것 자체는 조금도 지장이 없다. 왜냐하면, 시트 백 보드의 완성품의 상태에서는, 연결 고정부라는 구성 요소를 백 스프링부 측에 포함시키는지, 그렇지 않으면 백 보드부 측에 포함시키는지는, 구분을 어떻게 하는지의 문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백 보드(16)의 하측 연결 고정부(50)를 평단면에서 보아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측 측벽(50B)을 생략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시트 백 프레임의 하측 연결 고정부를 시트 백 프레임(14)의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6)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감합시켜, 전벽에서 고정하면 된다. 사이드 프레임의 평단면 형상에 따라서는, 당해 시트 백 프레임의 내측 측벽을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10)

  1. 시트 백 프레임이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양쪽 측부와,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백 보드부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백 스프링 본체부의 적어도 한 쪽과,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측부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측면 충돌 시에 시트 전방측으로 사이드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부착할 때의 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부착부
    를 구비하고, 또한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시트 구성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성 부재의 양쪽 측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전측에 감합되어 있는,
    시트 구성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에 대해 시트 폭 방향의 적어도 내측에 배치되어 당해 사이드 에어백으로부터 받은 장력을 커버에 설정된 개열부를 찢는 인장력으로서 전달하는 천 형상의 장력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시트 구성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성 부재의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는, 상기 장력 전달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장력 전달 부재는 당해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하여 상기 부착부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 구성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시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벽부와, 이 세로 벽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부착부의 부착 시트가 되는 가로 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로 벽부의 배면 측에는, 당해 가로 벽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반력을 받는 반력 받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시트 구성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받이부는, 일단이 상기 가로 벽부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맞닿기 가능하게 배치된 리브인,
    시트 구성 부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받이부는,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면과, 상기 가로 벽부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면과, 당해 외측면의 시트 전후 방향의 후단과 당해 후면의 시트 폭 방향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면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 구성 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성 부재는, 상기 양쪽 측부와, 상기 백 스프링 본체부와, 상기 백 보드부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백 스프링 본체부는, 시트 백 높이 방향에 복수 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시트 구성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시트 구성 부재.
  10.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시트 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 백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백 보드와,
    상기 시트 백 보드의 전면 측에 배치된 시트 백 패드와,
    상기 시트 백 패드의 표면을 덮는 커버
    를 가지는 차량용 시트.
KR1020137028796A 2011-05-18 2011-05-18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 KR101552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1456 WO2012157099A1 (ja) 2011-05-18 2011-05-18 シート構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685A true KR20130141685A (ko) 2013-12-26
KR101552292B1 KR101552292B1 (ko) 2015-09-10

Family

ID=4717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796A KR101552292B1 (ko) 2011-05-18 2011-05-18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16791B2 (ko)
EP (1) EP2711250B1 (ko)
JP (1) JP5786939B2 (ko)
KR (1) KR101552292B1 (ko)
CN (1) CN103502061B (ko)
AU (1) AU2011368544B2 (ko)
BR (1) BR112013029403A2 (ko)
RU (1) RU2560212C2 (ko)
WO (1) WO20121570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883A (ko) * 2017-05-08 2020-01-1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안내 장치 및 홈 차폐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3027943B1 (pt) * 2011-05-02 2021-01-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ssento de veículo
WO2012172674A1 (ja) * 2011-06-16 2012-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車両用シート
WO2013014800A1 (ja) * 2011-07-28 2013-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WO2014033964A1 (ja) * 2012-09-03 2014-03-0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
JP5966791B2 (ja) * 2012-09-13 2016-08-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の製造方法
US9399418B2 (en) 2013-01-24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9409504B2 (en) 2013-01-24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415713B2 (en) 2013-01-2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EP3339090B1 (en) * 2013-09-18 2020-08-1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JP5879319B2 (ja) * 2013-10-01 2016-03-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913267B2 (ja) * 2013-11-27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315131B2 (en) 2014-01-23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JP6351998B2 (ja) 2014-02-28 2018-07-0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421894B2 (en) 2014-04-02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JP6387258B2 (ja) * 2014-07-10 2018-09-05 日本発條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JP6495588B2 (ja) * 2014-07-14 2019-04-0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059297B2 (en) * 2014-07-14 2018-08-28 Ts Tech Co., Ltd. Side air bag device
US9789790B2 (en) 2014-10-03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JP6191574B2 (ja) * 2014-10-10 2017-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FR3027565B1 (fr) * 2014-10-23 2018-02-23 Faurecia Sieges D'automobile Element de siege pour vehicule automobile
US9327630B1 (en) * 2014-10-28 2016-05-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t back cushion for a vehicle
JP2016087196A (ja) * 2014-11-07 2016-05-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102901B2 (ja) 2014-12-19 2017-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566930B2 (en) * 2015-03-02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with side-impact airbag deployment mechanism
JP6571973B2 (ja) * 2015-04-24 2019-09-04 株式会社フジ医療器 椅子式マッサージ機および椅子式マッサージ機の製造方法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787103B2 (en) * 2015-10-02 2020-09-29 Ts Tech Co., Ltd. Seat frame
JP6323438B2 (ja) * 2015-12-16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6309552B2 (ja) * 2016-01-07 2018-04-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9914421B2 (en) * 2016-01-15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flexible slip plane joint for side air bag deployment
JP6428666B2 (ja) 2016-02-10 2018-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49856B1 (en) 2016-06-07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166894B2 (en) *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JP6414157B2 (ja) * 2016-07-22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WO2018083919A1 (ja) * 2016-11-04 2018-05-1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9932012B1 (en) * 2016-12-19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ner carrier and back panel having alternating trim and side airbag attachments
CN108340818B (zh) * 2017-01-25 2022-08-09 福特全球技术公司 椅背舒适托架
US10596936B2 (en) 2017-05-0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retaining elastic strap for vent blower attachment to a back carrier
US10486565B2 (en) * 2017-05-09 2019-11-26 Lear Corporation Dual firmness foam flex point elimination
JP6863234B2 (ja) * 2017-10-31 2021-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11414039B2 (en) * 2017-11-09 2022-08-16 Honda Motor Co., Ltd. Side airbag device
CN111344188B (zh) 2017-11-09 2023-03-10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侧安全气囊装置和用于制造侧安全气囊装置的方法
US10538181B2 (en) 2018-01-11 2020-01-21 Honda Motor Co., Ltd. Seatback structure
JP7062526B2 (ja) * 2018-06-07 2022-05-06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CN109050362B (zh) * 2018-08-07 2021-03-30 福州联泓交通器材有限公司 一种座椅椅背结构及其制造方法
JP6981955B2 (ja) 2018-12-14 2021-12-1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115411B2 (ja) * 2019-04-23 2022-08-09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7370727B2 (ja) * 2019-04-25 2023-10-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
DE102020104233A1 (de) * 2019-08-05 2021-02-11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Sitzpolsterelement und Fahrzeugsitz
JP7124810B2 (ja) * 2019-08-26 2022-08-2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364829B2 (en) * 2019-10-07 2022-06-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arrier with deployment hinge points
WO2021132466A1 (ja) * 2019-12-24 2021-07-0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11325515B2 (en) 2020-02-10 2022-05-10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and seat portion
US11273743B1 (en) * 2020-12-22 2022-03-15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Mat mounting structure in seat back and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33077T2 (de) * 1995-10-11 2005-07-14 Toyota Jidosha K.K., Toyota Sitzstruktur mit einer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US5918898A (en) * 1996-02-15 1999-07-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ide impact air bag module
US5893579A (en) * 1996-06-04 1999-04-13 Honda Giken Kogo Kabushiki Kaisha Seat mounted air bag system
US5890733A (en) * 1996-10-24 1999-04-06 Alliedsignal Inc. Hook and snap side air bag module attachment
JP3591172B2 (ja) * 1996-11-29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ッグ装置
US6045151A (en) * 1997-02-28 2000-04-04 Hoover Universal, Inc. Seat mounted side air bag with deployment force concentrator
JP3399280B2 (ja) 1997-03-17 2003-04-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付きシート構造
FR2773120B1 (fr) * 1997-12-26 2000-02-25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dote d'un sac de securite gonflable lateral
US5951039A (en) * 1998-06-29 1999-09-14 Lear Corp. Side airbag closeout assembly for vehicular seats and method of installation
DE19856972C1 (de) * 1998-12-10 2000-03-16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Kraftfahrzeugsitz mit einem in der Rückenlehne angeordneten Seiten-Airbag
JP2000313302A (ja) 1999-04-30 2000-11-14 T S Tec Kk サイドエアーバッグ装置を備える車輌用シート
US6352304B1 (en) * 1999-08-19 2002-03-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Device for indicating an airbag module position
JP2002166765A (ja) 2000-11-30 2002-06-11 T S Tec Kk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DE10065795A1 (de) * 2000-12-22 2002-07-11 Takata Europa Vehicle Safety T Haltevorrichtung
JP2004138156A (ja) * 2002-10-17 2004-05-13 Nhk Spring Co Ltd ばね装置
FR2851524B1 (fr) * 2003-02-21 2005-05-06 Faurecia Sieges Automobil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4452598B2 (ja) * 2004-10-08 2010-04-21 日本発條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を備えたシート
US7284768B2 (en) * 2004-12-01 2007-10-23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component side air bag module having air bag guide including flexible inner and outer panels attached by module mounting and frame connector
US7331601B2 (en) * 2004-12-01 2008-02-19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component side air bag module having air bag guide including flexible inner and outer panels attached to seat pad attachment wires
JP4544089B2 (ja) * 2005-08-08 2010-09-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2007126029A (ja) 2005-11-04 2007-05-24 Mazda Motor Corp 車両の側面衝突用乗員保護装置
DE102006014381B4 (de) * 2006-03-27 2010-09-16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2008037261A (ja) * 2006-08-07 2008-02-21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US9211861B2 (en) 2006-12-05 2015-12-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irbag deployment device
DE102007022620B4 (de) * 2007-05-15 2013-08-29 Lear Corp. Fahrzeugsitz mit einem integrierten Airbag-Modul
JP2008296642A (ja) 2007-05-29 2008-12-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7677594B2 (en) * 2007-06-29 2010-03-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seat having a side airbag deployment strap
US7669888B2 (en) * 2007-07-19 2010-03-02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2009095597A (ja) * 2007-10-19 2009-05-07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
JP2009143379A (ja) 2007-12-13 2009-07-02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163148B2 (ja) * 2008-01-23 2013-03-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ネットシート及びその枠体の製造方法
JP5527501B2 (ja) * 2008-11-10 2014-06-18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及び自動車の車体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883A (ko) * 2017-05-08 2020-01-1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안내 장치 및 홈 차폐 유닛
US11267369B2 (en) 2017-05-08 2022-03-08 Ykk Corporation Motion guiding device and groove shield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1250A4 (en) 2015-04-29
EP2711250B1 (en) 2017-11-29
AU2011368544B2 (en) 2015-08-06
CN103502061B (zh) 2017-07-04
RU2560212C2 (ru) 2015-08-20
RU2013152262A (ru) 2015-05-27
US20140070594A1 (en) 2014-03-13
JP5786939B2 (ja) 2015-09-30
KR101552292B1 (ko) 2015-09-10
AU2011368544A1 (en) 2013-12-05
CN103502061A (zh) 2014-01-08
US9616791B2 (en) 2017-04-11
EP2711250A1 (en) 2014-03-26
BR112013029403A2 (pt) 2017-01-31
JPWO2012157099A1 (ja) 2014-07-31
WO2012157099A1 (ja)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1685A (ko) 시트 구성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시트
US10479312B2 (en) Side air bag device
JP562647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US9566930B2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side-impact airbag deployment mechanism
US9108552B2 (en) Vehicle seat and resin seatback spring
US8919886B2 (en) One-piece seat bottom chassis
US8733832B2 (en) Vehicle seat
JP2019031166A (ja) 乗物用シート
JP200533559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21120271A (ja) 乗物用シート
JP7348571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024119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4029587A1 (ja) 車両用シート
JP7189412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137854B2 (en) Headliner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vehicle system using the same
JP5915340B2 (ja) エアバッグリッドとその隣接部材との嵌合構造
JP2012166725A (ja) 車両用シート
JP2012056482A (ja) 車両用シート
JP2007216859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