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868A - 회전전기 - Google Patents

회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868A
KR20110005868A KR1020107025621A KR20107025621A KR20110005868A KR 20110005868 A KR20110005868 A KR 20110005868A KR 1020107025621 A KR1020107025621 A KR 1020107025621A KR 20107025621 A KR20107025621 A KR 20107025621A KR 20110005868 A KR20110005868 A KR 20110005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rotary electric
coil
magnetic pole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331B1 (ko
Inventor
아츠시 사카우에
히로유키 아키타
다쿠미 나카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점퍼선(jumper wire)과 결선 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회전전기(1)는 복수의 자극 치형부(6)와, 결선을 행하기 위한 결선 부재(18)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회전전기(1)는, 복수의 자극 치형부(6)에 연속해서 권회된 1개의 도선(8)의 일부이고, 자극 치형부(6)에 이 도선(8)이 권회됨으로써 얻어진 코일(10)끼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11, 12)를 복수 구비한다. 이 복수의 점퍼부에는, 다른 점퍼부(11)와 결선 부재(18)에 의해 결선되지 않는 제 1 점퍼부(11)와, 다른 점퍼부(12)와 결선 부재에 의해 결선되는 제 2 점퍼부(12)의 2종류가 있다. 이 제 1 점퍼부(11)와 제 2 점퍼부(12)는 서로 형상 또는 위치가 다르게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전기{ELECTRIC MOTOR}
본 발명은 회전전기(回轉電機)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기구를 어시스트 또는 구동하기 위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등에 적합하다.
자극 치형부에 집중적으로 권선할 때, 1개의 도선으로 연속적으로 코일을 권선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의 도 5,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그 도 3에, 모든 점퍼부(13)의 형상을 같게 한 모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6-191757 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2-153003 호
이 특허문헌 1의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선을 행하는 경우, 복수의 점퍼선(jumper wire)끼리를 결선판이나 버스 바아(bus bar) 등의 결선 부재로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선 부재에 의한 결선에 관해, 특허문헌 1에서는 그 도 5,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간단한 결선도 또는 결선 사양도 밖에 개시되어 있지 않고, 점퍼선끼리를 접속하는 결선 부재를 접속하는 개소의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고정자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도선을 권회(卷回)하고, 점퍼선과 결선 부재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점퍼선과 결선 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파지 툴(grip tool)이나 입열 툴(heat inputting tool)이 이용된다. 이 때문에, 양자의 접속을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점퍼부에서 도선을 파지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2의 모터는 모든 점퍼부(13)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1개의 모터 안에, 결선 부재에 의해 서로 결선되는 점퍼부와 결선되지 않는 점퍼부가 혼재했을 경우의 각 점퍼부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결선에 필요한 작업 공간을 확보 가능한 회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전기는 복수의 자극 치형부와, 결선을 행하기 위한 결선 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회전전기는, 복수의 자극 치형부에 연속해서 권회된 1개의 도선의 일부이고, 자극 치형부에 이 도선이 권회됨으로써 얻어진 코일끼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를 복수 구비한다. 이 복수의 점퍼부에는, 다른 점퍼부와 결선 부재에 의해 결선되지 않는 제 1 점퍼부와, 다른 점퍼부와 결선 부재에 의해 결선되는 제 2 점퍼부의 2종류가 있다. 이 제 1 점퍼부와 제 2 점퍼부는 서로 형상 또는 위치가 다르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점퍼선끼리를 결선판이나 버스 바아 등의 결선 부재로 접속하는 타입의 회전전기에서, 결선을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회전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전기의 예인 모터의 전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고정자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고정자에 마련된 도선의 결선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고정자에 마련된 도선의 결선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고정자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코어편(5)의 측면 개략도,
도 8은 코어편(5)의 측면 개략도,
도 9는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고정자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점퍼부의 확대도,
도 11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점퍼부의 확대도,
도 12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도선의 결선도,
도 13은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도선의 결선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전체도.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전기의 예인 모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고정자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고정자에 마련된 도선의 결선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모터의 고정자에 마련된 도선의 결선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전기인 모터(1)는 고정자(2)와 회전자(3)를 구비한다. 이 회전자(3)는 고정자(2)에 삽입되는 동시에, 회전축(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모터(1)에 축 고정된다. 한편, 고정자(2)는 고정자 철심(5)을 구비하고, 이 고정자 철심(5)은 복수(이 실시형태에서는 12극)의 자극 치형부(6)를 구비한다. 인접하는 자극 치형부(6)의 사이에는 슬롯(7)이 형성된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서의 도선(8)은, 도 3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자극 치형부(6)에 연속하여, 즉 이음매 없이 1개의 선으로 권회되어 있다. 이 도선(8)의 일부가 각각의 자극 치형부(6)에 보빈(20)을 거쳐서 집중적으로 권회됨으로써, 코일(10a, 10b, 10c ...)(합계 12개) 각각이 얻어진다. 또한, 도선(8)은, 그 일부로서, 얻어진 코일끼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점퍼부(11)와 제 2 점퍼부(12)를 복수 구비한다. 도 1에서, 제 1 점퍼부(11) 중 하나인 제 1 점퍼부(11a)는 코일(10a)과 코일(10b)을 연속적으로, 즉 이음매 없이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 2 점퍼부(12) 중 하나인 제 2 점퍼부(12a)는 코일(10b)과 코일(10c)을 연속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각 코일은 자극 치형부(6)의 양측에 존재하는 슬롯(7)에 수납되어 도 1에서 거의 보이지 않은 부분과, 자극 치형부(6)의 회전축(4) 방향의 양단에 존재하는 코일 단부를 구비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a 내지 10c가 지시하고 있는 부분이, 회전축(4)의 양방향에 존재하는 2개의 코일 단부군 중 한쪽이다. 다른 쪽의 코일 단부군은 도 1, 도 2에서는 고정자 철심(5)의 하면측이 되기 때문에 볼 수 없다.
제 2 점퍼부(12)는 도중으로부터 회전자(3)의 회전축(4) 방향으로 직립하도록 하여 구성된 특정 부분(14)을 구비하고 있고, 그러한 부분을 갖지 않는 제 1 점퍼부(11)와는 다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2 점퍼부(12) 각각은 주위와 비교하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부(16)를 구비한다. 이러한 접속부(16)에서, 제 2 점퍼부(12)는 급전부(18x)를 구비한 결선 부재(18)에 의해 파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제 2 점퍼부(12)끼리가 결선 부재(18)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전기(1)는, 결선 부재(18)에 의해 다른 점퍼부와 접속되는 제 2 점퍼부(12)와, 결선 부재(18)에 의해 다른 점퍼부와는 접속되지 않는 제 1 점퍼부(11)의 양쪽을 구비한다. 이 제 1 점퍼부(11)와 제 2 점퍼부(12)는 코일 단부(10a, 10b, 10c ...)를 기준으로 한 회전축(4) 방향의 높이에서 높이가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제 1 점퍼부(11a)의 임의의 개소와 제 1 점퍼부(11a) 근방의 코일 단부(10a 및 10b)의 사이의 거리와, 제 2 점퍼부(12a)의 접속부(16)와 이 제 2 점퍼부(12a) 근방의 코일 단부(10b 및 10c)의 사이의 거리를 비교하면, 후자 쪽이 약 2 내지 5배 정도 길어져 있다. 이것은, 도선(8)이 코일 단부(10a 내지 10c)로부터 이간하고 있는 부분끼리를 비교했을 경우, 제 2 점퍼부(12a)의 길이의 쪽이 제 1 점퍼부(11a)의 길이보다도 긴 것에 의한 것이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제 1 점퍼부(11)와 제 2 점퍼부(12)의 형상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자 철심(5)의 단면(5a) 상에는 보빈(20)이 연장하고 있다. 이 보빈(20)은 회전자(3)의 회전축(4) 방향(도 1 참조. 이하, 동일함)으로 직립한 기둥 형상의 직립부(21a, 21c)와 벽 형상의 직립부(21b, 21d)를 구비한다. 제 2 점퍼부(12)를 구성하는 도선(8)은 일단이 슬롯(7b)으로부터 연장하고, 직립부(21a)와 직립부(21b) 사이의 게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게이트부(17a)를 통과한다. 이러한 게이트부(17a)를 통과할 때, 접촉부 또는 라우팅부(15a)에서, 도선(8)은 직립부(21a) 또는 직립부(21b)의 주위에 라우팅되거나, 또는 직립부(21a 또는 21b)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과 일부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 2 점퍼부(12)를 구성하는 도선(8)은 접촉부(15a) 또는 라우팅부(15a) 이후, 직립부(21a)를 따라서 회전자(3)의 회전축(4) 방향으로 직립부(21a)의 높이를 넘어 연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선(8)은 접촉부 또는 라우팅부(15a) 이후, 일단 고정자(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직립부(21a)로부터 떨어진 후, 코일 단부(10b, 10c)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축(4) 방향으로 연장함에 따라서, 고정자(3)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사를 하듯이 경사져 있다. 또한, 도선(8)은 코일 단부(10b, 10c)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서, 회전자(3)의 회전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접속부(16)를 구비한다. 이 접속부(16)를 거친 후, 도선(8)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경사를 거쳐서 다시 직립부(21c)와 직립부(21d) 사이의 게이트부(17b)를 통과한다. 이러한 게이트부(17b)를 통과할 때도, 접촉부 또는 라우팅부(15b)에서, 도선(8)은 직립부(21c) 또는 직립부(21d)의 주위에 라우팅되거나, 또는 직립부(21b 또는 21c)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과 일부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도선(8)은 상기 도선(8)의 일단과 마찬가지로 동일 슬롯(7b)에 수납된다.
또한, 제 2 점퍼부(12)를 구성하는 1개의 도선(8)에서, 접촉부(15a)부터 접속부(16)까지의 회전축(4)의 방향으로 직립한 부분을 제 1 도선부(13a), 접촉부(15b)부터 접속부(16)까지의 회전축(4)의 방향으로 직립한 부분을 제 2 도선부(13b)라고 부르면, 양자의 간격은 코일 단부(10b, 10c)에 가까운 부분에서 좁고, 코일 단부(10b, 10c)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코일 단부(10b, 10c)에 가까운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코일 단부(10b, 10c)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툴의 삽입이 용이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접속부(16)를 갖지 않는 제 1 점퍼부(11)를 구성하는 도선(8)은, 직립부(21d)와 직립부(21e) 사이의 게이트부를 통과할 때, 제 2 점퍼부(12)와 마찬가지로, 직립부(21d) 또는 직립부(21e)의 주위에 라우팅되거나, 또는 직립부(21d 또는 21e)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과 일부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그 후, 도선(8)은 직립부(21e, 21f)를 따라서 직립부(21e, 21f)의 회전축(4) 방향의 높이를 넘는 일 없이 라우팅되고, 직립부(21f)와 직립부(21g) 사이의 게이트부에 도달한다.
회전축(4) 방향에서, 보빈(20)의 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립부(21a)의 높이와 제 2 점퍼부(12)의 높이를 비교하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1:3으로 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1.1 내지 1:6 등이어도 좋고, 1:1.3 내지 1:4 정도가 더 바람직하다. 직립부(21a)의 높이와 비교하여 제 2 점퍼부(12)의 높이가 너무 높아지면, 전체로서 장치가 커져 버리는 동시에, 도선의 낭비가 생긴다. 한편, 직립부(21a)의 높이가 너무 낮아지면, 툴의 삽입 공간이 좁아져 버리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제 2 점퍼부(12)는 도선(8)이 고정자(2)의 반경방향에서의 직립부(21a, 21b)의 외측을 통과하는 부분, 슬롯(7)을 통과하는 부분, 또는 후술하는 힌지(50)와 같은 코어편(5a) 사이의 접속 부분을 통과하는 부분, 또는 그 근방에서, 그 형상 또는 그 위치가 제 1 점퍼부(11)와는 다르게 형성된다.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고정자(2)에서의 도선(8)의 권선 사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12슬롯의 경우의 도 1에 도시하는 자극 치형부(6)에 권선되는 도선(8)의 결선도의 일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각 상(相)은 대응하는 코일군마다 U상, V상, W상으로 하여 구별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예는 3상 전원에 대응하여 도선(8)을 전체로서 델타 결선한 것으로, 각 상마다 직렬로 접속된 코일군이 소위 2직렬 2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U상에 주목하면, U1-와 U1+의 코일이 직렬 접속되고, U2+와 U2-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직렬 접속이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각 코일에 +, -의 부호를 붙인 것은, +와 -는 서로 도선(8)이 자극 치형부(6)에 감기는 방향이 반대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결선도(이하에서는, 결선 사양이라고 부름)를 실현할 때의 상기 각 자극 치형부(7)로의 도선(8)의 권선 순서 및 코일간의 결선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과 같은 결선으로 했을 경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도선(8)으로 권선 시작부(22)부터 권선 종료부(23)까지 각 자극 치형부를 연속적으로 감을 수 있다. 즉, 권선 시작부(22), U1-, U1+, V2+, V2-, W1-, W1+, U2+, U2-, V1-, V1+, W2+, W2-, 권선 종료부(23)의 순서로 1개의 도선으로 감을 수 있다. 이것은 이하와 같은 권선 방법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U1-의 코일이 감기게 되는 자극 치형부의 d측으로부터 권선 시작된 도선(8)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회수 자극 치형부에 감겨 U1-의 코일을 형성한 후, 이 자극 치형부의 e측으로부터 나온다. 자극 치형부의 e측으로부터 나온 도선(8)은, 인접하는 U1+가 감기게 되는 자극 치형부의 e측으로부터 들어오고, 이번에는 조금 전과 반대의 시계방향으로 소정 회수 감겨 코일 U1+를 형성한 후, 이 자극 치형부의 f측으로부터 나온다. 또한, f측으로부터 나온 도선(8)은 V2+가 형성되게 되는 인접하는 자극 치형부의 j측으로 들어와, 시계방향으로 권회되어, 이하 순차로 W2-의 r측까지 감겨져 간다.
도 4에서의 인접하는 코일(예를 들어, U1-, U1+ ...)의 사이(예를 들어, U1-와 U1+의 사이, U1+와 V2+의 사이)가 도 1에서의 각 슬롯(7)에 상당한다. 또한, 도 4에서 U1-, U1+ 등으로 도시한 코일끼리를 연속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부분이 점퍼부(예를 들어, 11e, 11f, 12e, 12f ...)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1개의 도선(8)에 의해 U1-, U1+ ... W2-로 순차로 권회한 것만으로는 도 3의 결선도를 실현할 수는 없다. 도 3의 결선도를 실현하려면, 추가로 복수의 점퍼부 중 몇개를 결선 부재(18)에 의해 결선해야 한다. 여기서, 결선 부재(18)에 의해 결선되는 점퍼부(도 4의 f-j간, l-m간, o-a간, c-g간 및 i-p간을 연속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점퍼부)가 도 1, 도 2에서 설명한 제 2 점퍼부(12)에 상당한다. 도 4 중의 하얀 동그라미로 도시한 부분이 도 1, 도 2에서 설명한 접속부(16)에 상당한다. 이러한 접속부(16)에서, 제 2 점퍼부끼리[예를 들어, f-j간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점퍼부(12e)와, c-g간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점퍼부(12g)]가 서로 결선 부재(18)에 의해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은 파지 툴이나 입열 툴을 이용하여 퓨징(fusing)이나 TIG 용접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도 4에서, 접속부(18)에 의해 접속되지 않는 점퍼부(도 4의 e-e간, k-k간, n-n간, b-b간, h-h간 및 g-g간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점퍼부)가 제 1 점퍼부(11)에 상당한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동일 코일과 코일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점퍼부에서도, 결선 부재에 의해 접속되는 점퍼부와 접속되지 않는 점퍼부가 있는 것에 주목하여, 양자의 구성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결선시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는 제 1 점퍼부(11a)의 임의의 개소와 제 1 점퍼부(11a) 근방의 코일 단부(10a 및 10b)와의 사이의 거리와, 제 2 점퍼부(12a)의 접속부(16)와 이 제 2 점퍼부(12a) 근방의 코일 단부(10b 및 10c)와의 사이의 거리를 비교하면, 후자의 쪽을 길게 한 것이다. 또는, 도선(8)이 코일 단부(10a 내지 10c)로부터 이간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길이를 비교했을 경우, 제 2 점퍼부(12a)의 길이의 쪽이 제 1 점퍼부(11a)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결선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코일의 절연 품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선 부재(18)와의 접속이 필요한 점퍼부(12)와 비교하여, 접속이 불필요한 점퍼부(11)를 회전축(4) 방향에서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접속부(16) 부근에서의 툴과 도선(8)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도선의 절연 피복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점퍼부의 길이 또는 높이를 모두 같게 하는 경우에 비해, 도선(8)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금속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속부(16)를 주위의 도선(8)과 비교하여 직선 형상이 되는 부분으로 하여 구성함으로써, 결선 부재와 제 2 점퍼부의 위치 관계를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퓨징 등의 결선 처리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결선부에서의 저항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직선 형상이 되는 부분을 코일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에서 코일 단부와 거의 평행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점퍼부의 임의의 곳에 직선 형상의 부분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회전축(4) 방향으로 직립한 제 1 도선부(13a) 또는 제 2 도선부(13b)에서 직선부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의 도선(8)은, 슬롯(7)으로부터 연장하는 도선(8)이 직립부(21a, 21b) 중 적어도 한쪽에 접촉된 접촉부(15a)를 구비한다. 또는, 이 접촉부(15a) 대신에, 또는 접촉부(15a)에 더하여, 슬롯(7)으로부터 연장하는 도선(8)이 적어도 직립부(21a, 21b) 중 어느 한쪽을 따라서 그 근방에 라우팅된 라우팅부(15a)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도선(8)의 권선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고정자 철심(5)은 복수의 코어편(5a, 5b ...)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코어편(5a, 5b) 등은 각각 1개의 자극 치형부(6)를 구비한다. 또한, 인접하는 코어편(5a, 5b)은 서로 힌지부(5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선(8)을 보빈(20)을 거쳐서 자극 치형부(6)의 각각에 권회할 때에는, 각 코어편(5a, 5b)은 상기 힌지부(50)에 의해 크게 휘도록 하여 보지된다. 이와 같이 힌지(50)에 의해 각 코어편(5a, 5b ...)을 휘도록 함으로써, 인접하는 자극 치형부(6)간의 슬롯(7)이 크게 넓혀져, 권선을 행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권선의 방법에 관해서는, 본원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미공개의 일본 출원(출원번호:제2007-29187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일본 출원은 인용 형식으로 본 명세의 일부가 된다(본 명세서에 포함됨).
코어편(5a)이 구비하는 자극 치형부(6)로의 권선이 종료한 후, 제 2 점퍼부(12)를 형성하고, 계속하여 코어편(5b)이 구비하는 자극 치형부(6)로의 권선이 개시된다. 각 자극 치형부로의 권선이 종료한 후, 고정자(2)가 도 1에 도시하는 원주형이 되도록 힌지(50)의 각도는 원래대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고정자 철심(5)은 힌지부(50)를 구비하기 때문에, 힌지(50)의 각도를 원래대로 되돌릴 때, 자극 치형부(6)에 감긴 코일이 풀릴 우려가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보빈(20)의 직립부(21a, 21b 등)에 도선(8)을 일단 접촉하거나 근방에 라우팅함으로써, 이러한 권선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직립부(21a, 21b 등)로부터 이간되어 직립하는 제 2 점퍼부(12)에서는 권선 풀림 방지의 요청이 높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점퍼부(12)가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단(前段)의 근원의 부분에서, 접촉부 또는 라우팅부(15a)를 마련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슬롯(7) 각각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를 상기 제 1 점퍼부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U1-와 U1+ 사이의 슬롯과, U1+와 V2+ 사이의 슬롯이 여기서 말하는 인접하는 2개의 슬롯이다. 마찬가지로, U1+와 V2+ 사이의 슬롯과 V2+와 V2- 사이의 슬롯도 인접한 2개의 슬롯이다. 이러한 인접한 2개의 슬롯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끼리를 접속하는 점퍼부(예를 들어, e-e간의 점퍼부 또는 k-k간의 점퍼부)가 제 1 점퍼부(11e, 11f)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슬롯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를 제 2 점퍼부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점퍼부(12f)는 V2-와 W1- 사이의 동일 슬롯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끼리를 1개의 선으로 접속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점퍼부(12g)도 U2-와 V1- 사이의 동일 슬롯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점퍼부(12f, 12g)가 제 2 점퍼부로서 이용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슬롯을 1개 사이에 두고 배열한 2개의 슬롯 각각으로부터 연장한 도선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도 제 2 점퍼부로 하고 있다. 즉, U1-와 U1+ 사이의 슬롯과 V2+와 V2- 사이의 슬롯은, U1+와 V2+ 사이의 슬롯을 1개 사이에 두고 배열한 2개의 슬롯에 상당한다. 이러한 2개의 슬롯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끼리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점퍼부(f-j간의 점퍼부)가 제 2 점퍼부(12e)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편(5a, 5b)의 경계가 되는 힌지(50)의 위치에 제 2 점퍼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 제 2 점퍼부(12)를 형성하는 경우, 힌지(50)의 개폐 동작 등을 고려하면, 힌지(50)의 위치를 중심으로, 가능한 한 점퍼부의 형상은 좌우 대칭으로 하는 편이 코일의 권선 풀림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보빈(20)으로부터 이간하고, 소정의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 제 2 점퍼부에서는, 권선 풀림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도 4를 볼 때, 점퍼부(11e)는 코일 U1-와 코일 U1+ 사이의 슬롯의 위치[힌지(50)의 위치]를 중심으로 보면, U1-측의 e부터 이 슬롯의 중심까지의 도선(8)의 길이는, U1+측의 e부터 동일 슬롯 중심까지의 길이와 비교하면 짧아져 있다. 이 때문에, U1-와 U1+ 사이의 슬롯의 중심이 되는 힌지(50)에서 보면, 도선(8)은 비대칭이 되어 있다.
이것에 비해, 점퍼부(12e, 12f, 12g) 등은 도선(8)의 길이가 힌지의 위치를 중심으로 거의 좌우 대칭이 된다.
따라서, 점퍼부(11e, 11f) 등을 제 2 점퍼부로 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점퍼부(12e, 12f 또는 12g)를 제 2 점퍼부로 하는 편이, 도선(8)의 대칭성이 높고, 권선 풀림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2직렬 2병렬의 도 3과 같은 회로를 채용한 경우, 점퍼부(11e, 11f)와 같은 점퍼부를 제 2 점퍼부로서 이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점퍼부의 구조를 적용하는 대상으로서는, 2직렬 2병렬의 회로와 같이 도선(8)이 대칭이 되는 부분에서 점퍼부끼리를 결선할 수 있는 회로가 더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개개의 점퍼부의 도선(8)의 대칭성을 고려하여, 대칭성이 더 높은 점퍼부를 제 2 점퍼부로 하고, 대칭성이 낮은 점퍼부를 제 1 점퍼부로 함으로써, 권선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권선 시작부(22)부터 권선 종료부(23)까지를 1개의 도선(8)으로 권회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의 d부터 l까지를 1개의 도선(8)으로 구성하고, m부터 c까지를 다른 1개의 도선(8)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결선 부재(18)는 제 2 점퍼부(12)를 코일 단부(10)측을 향해 (지면의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파지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축(4) 방향에서 코일 단부측(10)으로부터 (지면의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제 2 점퍼부(12)를 결선 부재(18)가 파지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슬롯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를 제 2 점퍼부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슬롯을 1개 사이에 두고 배열한 2개의 슬롯 각각으로부터 연장한 도선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도 제 2 점퍼부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한쪽만을 제 2 점퍼부로 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도선(8)을 권선 시작부부터 권선 종료부까지 1개의 도선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3개로 구성한 경우 등이 해당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점퍼부(12)의 높이는 회전축(4) 방향에 관해서 직립부(21a, 21b) 등의 높이보다 높고, 제 1 점퍼부(11)의 높이는 직립부(21a, 21b) 등의 높이보다도 낮아지도록 구성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점퍼부(11)의 높이는 직립부(21a, 21b) 등과 거의 같아도 좋다.
덧붙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코어편(5a)이 힌지(50)에 의해 연결된 소위 분할형 철심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코어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코어편(5a)끼리의 접속 부분이 연속적으로 되어 있는 소위 일체 코어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설명은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행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제 2 점퍼부(32)는 그 일단이 슬롯(7h)으로부터 연장하고, 타단이 슬롯(7i)으로부터 연장하고 있다. 이들 슬롯(7h)과 슬롯(7i)은 슬롯(7j)을 1개 사이에 두고 배열한 2개의 슬롯에 상당한다. 제 2 점퍼부(32)는 슬롯(7h 및 7i) 각각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점퍼부(32)는, 예를 들어 도 4의 코일 U1+측의 f와 코일 V2+측의 j를 연결하는 점퍼부(12e)가 상당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점퍼부(32)는, 거의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2개의 슬롯(7h, 7j)의 사이에 끼워진 2개의 코일의 코일 단부(10e, 10f)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슬롯(7j)을 사이에 두고 배열하는 2개의 슬롯(7h, 7i)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끼리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제 1 실시형태이면, 점퍼선부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되었다. 즉, 제 2 점퍼부를 구성하는 도선(8)은 슬롯(7i)으로부터 연장하고, 코일 단부(10e) 상에 일부 접촉하면서, 기는 것처럼 라우팅된다. 코일(10e) 상에 라우팅된 도선(8)은 직립부(21h)와 직립부(21i) 사이의 게이트부(17h)를 통과하여, 도 1,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 2 점퍼부의 형상을 형성한다. 그 후, 도선(8)은 직립부(21j)와 직립부(21k) 사이의 게이트부(17j)를 통과한다. 게이트부(17j)를 통과한 도선(8)은 보빈(20)을 거쳐서 자극 치형부(6) 상에 라우팅되고, 슬롯(7h)에 수납된다. 그 후, 도선(8)은 도면에서는 가려져 보이지 않는 코일 단부가 되고, 슬롯(7j)을 통과하여, 코일 단부(10f)가 되어 다시 슬롯(7h)에 수납된다. 이것이 반복되어, 슬롯(7h)에 수납된 부분과,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코일 단부, 슬롯(7j)에 수납된 부분 및 코일 단부(10f)의 반복에 의해 코일이 형성된다. 이 코일 단부(10f)도 자극 치형부(6) 상에 라우팅된 도선(8)에 일부 접촉한다. 이 결과,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점퍼부의 경우, 슬롯(7i)으로부터 연장하는 도선(8)은 코일 단부(10e)에 접촉한다. 또한, 슬롯(7h)으로부터 연장하는 도선(8)도 코일 단부(10f)에 접촉한다.
이것에 비해,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점퍼부(3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롯(7i)으로부터 연장한 도선(8)은 슬롯(7i)의 길이방향[회전축(4)의 방향]을 향해 연장하고, 코일 단부(10e)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또한, 도선(8)은 거의 회전자(3)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한다. 그 후, 코일 단부(10f)와는 이간한 채로, 슬롯(7h)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슬롯(7h)에 침입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제 2 점퍼부(32)는 거의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2개의 슬롯(7h)과 슬롯(7j)의 사이에 끼워진 2개의 코일의 코일 단부(10e)와 코일 단부(10f)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결선 부재(18)와 제 2 점퍼부(32)의 접속시, 툴 삽입을 위한 공간을 더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요부 구성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는, 결선 부재(18)에 의해 파지되는 접속 부분(16)을 갖는 제 2 점퍼부(16)와, 그러한 접속 부분(16)을 갖지 않고 결선 부재(18)에 의해 파지되지 않는 제 1 점퍼부(36)를, 모터(1)의 고정자 철심(5)의 반경방향에 관해서 다른 위치가 되도록 어긋나게 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2 점퍼부(12)의 형상은 도 1, 도 2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의 제 2 점퍼부(12)의 형상과 다른 점은 없다. 이것에 비해,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점퍼부(36)는 몇몇의 점에서 도 1, 도 2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점퍼부(11)와는 형상이 다르다.
즉,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점퍼부(36)를 구성하는 도선(8)은, 보빈(20)의 직립부(21k)와 직립부(21l) 사이의 게이트부(17k)를 통과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선(8)은 직립부(21m)와 직립부(21n) 사이의 게이트부(17l)도 통과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점퍼부(36)는 회전전기(1)의 반경방향에서 보빈(20)의 직립부(21k, 21l, 21m 및 21n)보다도 내측에 존재한다. 이것에 비해, 제 2 점퍼부(12)는 적어도 근원의 부분에서는 회전전기(1)의 반경방향에 관해서 직립부(21p) 등보다 외측에 있다. 또한, 접속부(16)도 직립부(21p)와 상기 반경방향에서 거의 동일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점퍼부(36)와 제 2 점퍼부(12)는 회전전기(1)의 반경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12개의 자극 철심 각각이 구비한 보빈의 형상은 모두 같은 것이다. 이 점은 상기 실시형태도 같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점퍼부(36)는 보빈의 직립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부 근방에 권회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비해, 제 2 점퍼부(12)는 보빈의 직립부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촉하거나 또는 직립부의 근방에 라우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빈의 직립부에, 한쪽은 접촉 등을 시키는 것에 비해, 다른 쪽은 접촉 등을 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양 점퍼부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결선 작업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점퍼부(36)의 형상은 제 2 점퍼부(12)의 형상과 거의 같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점퍼부(36)는 코일 단부로부터 회전축(4)의 방향으로 이간하는 일 없이, 대략 직선적으로 슬롯으로부터 슬롯에 라우팅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선의 낭비를 배제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형태와 같이 양자의 형상을 거의 같게 해 두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코어편(5)의 측면 개략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코어편(5)에는 보빈(20a)을 거쳐서 코일(10g)이 권회되어 있다. 이 코어편(5)은 백 요크(37)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백 요크(37)의 상단면(37a) 상에 직립부가 마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직립부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점퍼부(41)와 제 2 점퍼부(42)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 1 점퍼부(41)와 제 2 점퍼부(42)는 모두, 근원의 부분은 코일 단부(38) 상에(또는 슬롯 상에, 이하 동일함) 존재하는 동시에, 회전자(3)의 회전축(4) 방향으로 직립된다.
그러나, 제 1 점퍼부(41)는 회전전기(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에 비해, 제 2 점퍼부(42)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점퍼부(41)와 제 2 점퍼부(42)의 회전전기(1)의 반경방향에서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결선 부재(18)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점퍼부(41)와 제 2 점퍼부(42)도 모두 코일 단부(38) 상으로부터 회전자(3)의 회전축(4)의 방향으로 직립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점퍼부(41, 42)가 백 요크의 상단면(37a)으로부터 회전축(4)의 방향으로 직립하여, 회전전기(1)의 반경방향에 관해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한쪽의 점퍼부가 코일 단부(38) 상에 마련되고, 다른 쪽이 백 요크(37)의 상단면(37a)에 마련되어도 좋다.
제 5 실시형태
이어서,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코어편(5)의 측면 개략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제 1 점퍼부(43)가 회전전기(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에 비해, 제 2 점퍼부(44)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전전기(1)의 외주측으로부터의 툴 삽입 공간을 크게 취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이어서,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모터의 고정자의 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제 2 점퍼부(47)의 형상, 위치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러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결선 부재(48)가 회전자(3)의 회전축(4)의 방향에서, 코일 단부를 향해 또는 코일 단부측으로부터, 제 2 점퍼부(47)를 파지하고 있었다. 이것에 비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급전부(46)를 구비한 결선 부재(48)는 회전자(3)의 회전방향[회전자(3)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모터의 경우는, 역방향을 포함함] 또는 회전축(4)의 방향에 대해서 측방으로부터 제 2 점퍼부(47)를 파지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전기에서는, 제 2 점퍼부(47)는 회전축(4)의 방향에 관해서 코일 단부(10)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점퍼부(11)보다도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선 부재(48)와 제 2 점퍼부(47)를 퓨징하기 위해, 결선 부재(48)를 회전자(3)의 회전방향 등으로 회전시켜도, 제 1 점퍼부(11)가 장해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 2 점퍼부(47)와 결선 부재(48)의 결선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 7 실시형태
이어서, 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이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점퍼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점퍼부는 회전축(4) 방향으로 직립하는 동시에, 선단의 부분(50a)이 근원의 부분(50b)과 비교하여 가늘어져 있거나 또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 형상은 헤어핀의 형상과 유사하다. 또한, 결선 부재(52)의 파지부(53)는, 회전자(3)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축(4)의 방향에 대해서 측방으로부터 2개소에서 이 제 2 점퍼부(50)를 파지하고 있다. 점퍼부를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결선 부재(52)와 제 2 점퍼부(50)의 접속을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도선(8)의 권선 시작부(22)와 권선 종료부(23)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 권선 시작부(22)와 권선 종료부(23)를 접속할 때에, 양자를 배열하여 보빈 또는 코일 단부로부터 직립시키고, 도 10과 마찬가지로 양자를 결선 부재로 정리하여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권선 시작부(22)와 권선 종료부(23)의 접속을 다른 제 2 점퍼부(50)끼리의 접속과 거의 같은 구성으로 행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제 8 실시형태
이어서,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이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점퍼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2 점퍼부(54)는 도중에 도선(8)이 비틀린 비틀림부 (56)를 구비한다. 이러한 비틀림부(56)를 구비한 결과, 각 코어편(5a, 5b)간의 힌지(50)를 움직일 때의 도선(8)의 권선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이어서, 도 12 내지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도선의 결선도이고, 도 13은 이 실시형태에 따른 도선의 결선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전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이 실시형태에 따른 도선(8)의 권선 사양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권선 시작부(22)부터 권선 종료부(23)까지가 1개의 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비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도선에 의해 전체의 결선이 행해진다. 또한, 양 실시형태 모두 제 1 점퍼부, 제 2 점퍼부는 연속적으로 1개의 도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공통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3상 전원에 대응하여 도선(8)을 전체로서 스타 결선한 것으로서, 각 상마다 직렬로 접속된 코일군이 소위 2직렬 2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U상에 주목하면, U1-와 U1+의 코일이 직렬 접속되고, U2+와 U2-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직렬 접속이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각 코일에 +, -의 부호를 붙인 것은, +와 -는 서로 도선(8)이 자극 치형부(6)에 감기는 방향이 반대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선도를 실현하기 위한 권선 순서, 권선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도 12와 같은 결선을 실현하기 위해, 도선(8)의 고정자로의 권선 순서는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즉, 우선, 1개의 도선(8a)에 의해 U1-, U1+, V2+ 및 V2-의 순서로 코일이 연속적으로 권회된다. 또한, 1개의 도선(8b)에 의해 W1-, W1+, U2+ 및 U2-의 순서로 코일이 연속적으로 권회된다. 마찬가지로, 1개의 도선(8c)에 의해 V1-, V1+, W2+ 및 W2-의 순서로 코일이 연속적으로 권회된다.
또한, 도선(8a)의 U1-측의 단부가 도선(8b)의 U2-측의 단부와 결선 부재(72)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도선(8a)의 V2-측의 단부가 도선(8c)의 V1-측의 단부와 결선 부재(73)에 의해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도선(8b)의 W1-측의 단부가 도선(8c)의 W2-측의 단부와 결선 부재(74)에 의해 접속된다.
덧붙여서, 도선(8a)에서의 제 2 점퍼부(75a), 도선(8b)에서의 제 2 점퍼부(75b) 및 도선(8c)에서의 제 2 점퍼부(75c)가, 서로 결선 부재(77)에 의해 중성점으로서 접속된다. 도 1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선(8a)에는, 결선 부재에 의해 다른 점퍼부와 접속되지 않는 제 1 점퍼부(79)가 U-와 U1+ 사이에 1개, V2+와 V2-의 사이에 1개, 합계 2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선(8b, 8c)에도 각각 2개씩 제 1 점퍼부(79)가 마련된다.
도 14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전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전기(1)는 코일(10)을 사이에 두고 한쪽 측(80)에만 제 1 점퍼부(79)를 배치하고, 다른 쪽 측(81)에만 제 2 점퍼부(75a 내지 75c)를 배치하고 있다. 제 1 점퍼부(79) 및 제 2 점퍼부(75a 내지 75c) 각각의 형상은 도 1, 도 2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모든 제 1 점퍼부나 제 2 점퍼부의 형상을 대신하여도 좋다.
이 도 14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결선 부재(72 내지 74)는 도시되지 않았다. 이 결선 부재(72 내지 74)에 관해서는, 회전전기(1)의 한쪽 측(80)에 배치해도 좋고, 다른 쪽 측(81)에 배치해도 좋다. 다만, 제 2 점퍼부와 동일측에 결선 부재(72 내지 74)를 배치한 경우, 모든 결선 작업을 동일 방향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결과, 제 2 점퍼부(75a 내지 75c)를 제 1 점퍼부(79)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2 점퍼부의 결선 작업시에, 툴이 제 1 점퍼부(79)와 간섭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점퍼부(75a 내지 75c)가 제 1 점퍼부(79)나 코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툴을 삽입했을 때에 코일이나 점퍼선의 피복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저감 되어, 절연 품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상의 실시형태 각각은 서로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개의 실시형태에 개시한 내용이어도, 개개의 구성이 독립하여 발명을 구성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점퍼부의 구성은 그 단독으로도 발명을 구성한다.
1 : 회전전기(回轉電機) 2 : 고정자
3 : 회전자 4 : 회전축
5 : 고정자 철심 6 : 자극 치형부
7, 7a, 7b, 7h, 7i : 슬롯 8, 8a, 8b, 8c : 도선
10a, 10b, 10c, 10e, 10f : 코일 단부(코일)
11, 11a, 11b, 11e, 11f : 제 1 점퍼부
12, 12a, 12e, 12f, 12g : 제 2 점퍼부
13a : 제 1 도선부 13b : 제 2 도선부
15a : 접촉부(라우팅부) 16 : 접속부
18 : 결선 부재 20 : 보빈
21a, 21b, 21c, 21d, 21k, 21l, 21m, 21n, 21p : 직립부
32 : 제 2 점퍼부 38 : 코일 단부
41, 43 : 제 1 점퍼부 42, 44, 47, 50 : 제 2 점퍼부
46 : 급전부 48, 52 : 결선 부재
56 : 비틀림부 72 내지 74 : 결선 부재
75a 내지 75c : 제 2 점퍼부 79 : 제 1 점퍼부
80 : 코일을 사이에 두고 한쪽 측
81 : 코일을 사이에 두고 다른쪽 측

Claims (19)

  1. 복수의 자극 치형부와, 결선을 행하기 위한 결선 부재를 구비한 회전전기(回轉電機)에 있어서,
    복수의 자극 치형부에 연속해서 권회(卷回)된 1개의 도선의 일부이고, 자극 치형부에 상기 도선이 권회됨으로써 얻어진 코일끼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jumper section)인 동시에, 다른 점퍼부와는 상기 결선 부재에 의해 결선되지 않는 제 1 점퍼부와,
    복수의 자극 치형부에 연속해서 권회된 1개의 도선의 일부이고, 자극 치형부에 상기 도선이 권회됨으로써 얻어진 코일끼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인 동시에, 다른 점퍼부와 상기 결선 부재에 의해 결선되고, 또한 상기 제 1 점퍼부와는 형상 또는 위치가 다른 제 2 점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일은 코일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전기에 축 고정된 회전자의 회전축 방향에서, 상기 코일 단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제 2 점퍼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점퍼부의 높이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기는, 상기 코일과 상기 자극 치형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을 갖는 보빈과, 상기 회전전기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된 회전자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보빈으로부터 직립된 직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점퍼부의 높이는, 상기 회전축 방향에 관해서, 상기 직립부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제 1 점퍼부의 높이는, 상기 회전축 방향에 관해서, 상기 직립부의 높이와 거의 같거나 또는 상기 직립부보다도 낮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일은 코일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점퍼부는 상기 결선 부재에 의해 결선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점퍼부에서의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 2 점퍼부 근방의 상기 코일 단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점퍼부의 임의의 개소와 상기 제 1 점퍼부 근방의 상기 코일 단부와의 사이의 거리와 비교하여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퍼부의 길이가 상기 제 1 점퍼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퍼부는 상기 결선 부재에 의해 결선되는 직선 형상의 부분을 접속부로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기는,
    상기 자극 치형부 사이에서, 코일의 일 변(邊)을 수납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2개의 슬롯 각각으로부터 연장한 도선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를 상기 제 1 점퍼부로서 이용하고,
    동일 슬롯으로부터 연장한 도선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 또는 슬롯을 1개 사이에 두고 배열한 2개의 슬롯 각각으로부터 연장한 도선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상기 제 2 점퍼부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퍼부는, 상기 회전전기의 반경방향에서, 상기 제 1 점퍼부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일은 코일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선 부재는 코일 단부측을 향해 또는 코일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 2 점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퍼부는 상기 회전전기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된 회전자의 회전축 방향으로 직립되는 동시에,
    상기 결선 부재는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해서 측방으로부터 상기 제 2 점퍼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퍼부는 상기 회전전기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된 회전자의 회전축 방향으로 직립되는 동시에,
    상기 결선 부재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으로부터 또는 반대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점퍼부를 2개소에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 부재는 급전(給電)을 위한 급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기는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한쪽의 측에만 상기 제 1 점퍼부를 배치하고, 다른쪽의 측에만 상기 제 2 점퍼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4. 복수의 자극 치형부와, 결선을 행하기 위한 결선 부재를 구비한 회전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기는,
    인접하는 자극 치형부 사이에서, 코일의 일 변을 수납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코일과 상기 자극 치형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을 갖는 보빈과,
    상기 회전전기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된 회전자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보빈으로부터 직립된 직립부와,
    복수의 자극 치형부에 연속해서 권회된 1개의 도선의 일부이고, 자극 치형부에 상기 도선이 상기 보빈의 일부를 거쳐서 권회됨으로써 얻어진 코일끼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점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퍼부는,
    상기 슬롯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도선이 상기 직립부에 접촉된 접촉부, 또는 상기 슬롯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도선이 상기 직립부를 따라서 상기 직립부의 근방에 라우팅된 라우팅부(routing portion)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라우팅부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직립부의 표면으로부터 이간(離間)한 위치에 상기 결선 부재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일은 코일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퍼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에서 상기 코일의 코일 단부와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결선 부재에 의해 결선되는 직선 형상의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일은 코일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1개의 도선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직립하는 제 1 도선부와 제 2 도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도선부와 상기 제 2 도선부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코일 단부에 가까운 부분에서 좁고, 상기 코일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코일 단부에 가까운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부는 슬롯을 1개 사이에 두고 배열한 2개의 슬롯 각각으로부터 연장한 도선끼리를 1개의 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점퍼부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2개의 슬롯에 끼워진 2개의 코일의 코일 단부로부터 이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부는 대략 헤어핀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부는 도선이 비틀린 비틀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KR1020107025621A 2008-05-16 2008-05-16 회전전기 KR101231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9049 WO2009139067A1 (ja) 2008-05-16 2008-05-16 回転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868A true KR20110005868A (ko) 2011-01-19
KR101231331B1 KR101231331B1 (ko) 2013-02-07

Family

ID=4131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621A KR101231331B1 (ko) 2008-05-16 2008-05-16 회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19583B2 (ko)
EP (1) EP2278689A4 (ko)
JP (1) JPWO2009139067A1 (ko)
KR (1) KR101231331B1 (ko)
CN (1) CN102027657B (ko)
WO (1) WO20091390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62A1 (ko) * 2018-12-11 2020-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3259B2 (ja) * 2007-07-31 2013-06-2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DE102010025261A1 (de) 2010-06-23 2011-12-29 C. & E. Fein Gmbh Elektromotor
FR2986384B1 (fr) * 2012-02-01 2015-04-10 Faurecia Bloc Avant Moteur electrique muni d'une plaque de connexion a crochets
US9343930B2 (en) 2012-05-25 2016-05-17 Baldor Electric Company Segmented stator assembly
JP5889728B2 (ja) * 2012-06-19 2016-03-22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用部材
JP6022896B2 (ja) * 2012-10-29 2016-11-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
JP6123043B2 (ja) * 2013-07-01 2017-05-10 多摩川精機株式会社 モータにおける端子接続方法及び構造
KR102051599B1 (ko) * 2013-09-16 2020-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버스바, 인슐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125385B2 (ja) 2013-09-17 2017-05-10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用端子
JP6204188B2 (ja) * 2013-12-27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6274415B2 (ja) * 2014-02-27 2018-02-07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JP5741747B1 (ja) * 2014-03-28 2015-07-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ラシレスdcモータ
JP6539997B2 (ja) 2014-11-25 2019-07-10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EP3038236B1 (en) * 2014-12-22 2017-10-11 Magneti Marelli S.p.A. Electric machin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KR102301927B1 (ko) * 2014-12-29 2021-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및 스테이터 조립체의 제조방법
EP3297134B1 (en) * 2015-09-17 2019-03-20 Aisin Aw Co., Ltd. Rotary electrical machine stator
CN113629936B (zh) * 2016-03-02 2024-04-16 Lg伊诺特有限公司 母线组件和包括该母线组件的马达
JPWO2018020650A1 (ja) * 2016-07-29 2019-05-16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及びモータ
WO2018020168A1 (fr) * 2016-07-29 2018-02-01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munie d'un interconnecteur à traces de couplage empilées radialement
CN107689700B (zh) * 2016-08-05 2021-06-04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定子及应用该定子的电机
DE102016222962A1 (de) * 2016-11-22 2018-05-24 Seg Automotive Germany Gmbh Vorrichtung mit einer Spulenanordnung
JP7016001B2 (ja) * 2017-01-18 2022-0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イル成形体、その製造方法、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組立方法
GB2563616B (en) 2017-06-20 2021-03-10 Dyson Technology Ltd A stator assembly
JP6895326B2 (ja) * 2017-06-28 2021-06-3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三相モータの結線構造、結線方法及び三相モータ
CN111033955B (zh) * 2017-09-28 2022-04-05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
WO2020100580A1 (ja) * 2018-11-15 2020-05-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8219706A1 (de) * 2018-11-16 2020-05-20 Robert Bosch Gmbh Stato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eine elektrische 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tators
US11283323B2 (en) 2019-02-28 2022-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fixturing jumper bridge for electric machine stator
DE102019210146B4 (de) 2019-07-10 2021-04-29 Bühler Moto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tor eines Elektromotors
KR102241110B1 (ko) * 2019-12-05 2021-04-19 주식회사 코아비스 모터 및 이를 포함한 전동식 펌프
JP7018081B2 (ja) * 2020-02-13 2022-02-09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電動ポンプ
JP7389682B2 (ja) 2020-03-05 2023-11-30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モータ
CN113452179B (zh) * 2020-03-27 2024-04-23 日本电产株式会社 定子以及马达
US20220109341A1 (en) * 2020-10-01 2022-04-0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Connection unit for electric motor
CN116438730A (zh) * 2020-10-29 2023-07-14 工机控股株式会社 作业机
DE102021103787B3 (de) 2021-02-17 2022-04-28 Nidec Motors & Actuators (Germany) Gmbh Elektromotor mit Sammelschienen
DE102021205242A1 (de) * 2021-05-21 2022-11-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r Statorwicklung, Vollblechstator und Elektromotor
JP2023106031A (ja) * 2022-01-20 2023-08-01 Ntn株式会社 モータステータ及びこれを備えるモータ
JP2023106033A (ja) * 2022-01-20 2023-08-01 Ntn株式会社 モータステータ及びこれを備えるモータ
WO2024088466A1 (de) * 2022-10-26 2024-05-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tor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stato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sowie umformwerkzeu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2707A (en) * 1986-02-06 1988-06-21 Morrill Wayne J Three-phase, one-third pitch motor
JPH0759283A (ja) * 1993-08-18 1995-03-03 Yaskawa Electric Corp 3相交流モータの電機子巻線結線方法
JPH0937494A (ja) * 1995-07-21 1997-02-07 Fanuc Ltd 三相交流回転電機の電機子巻線構造
JPH1169671A (ja) 1997-08-18 1999-03-09 Toshiba Corp 電動機の固定子
JP2001238388A (ja) * 2000-02-25 2001-08-31 Hitachi Ltd 回転電機の電機子巻線および回転電機
JP4197570B2 (ja) * 2000-03-24 2008-12-1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電動機の固定子
JP2002044891A (ja) * 2000-07-21 2002-02-08 Asmo Co Ltd 回転磁界型電動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4346812B2 (ja) 2000-11-13 2009-10-2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用ステータ
JP2002247792A (ja) 2001-02-15 2002-08-30 Hitachi Ltd 回転電機用固定子、コイル用配線処理板、及び回転電機
JP2002325385A (ja) * 2001-02-22 2002-11-08 Moric Co Ltd 回転界磁型電気機器のステータ構造
US6590310B2 (en) * 2001-02-21 2003-07-08 Kabushiki Kaisha Moric Stator coil structure for revolving-field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3079079A (ja) * 2001-09-03 2003-03-14 Honda Motor Co Ltd 回転電機の集配電リング
JP2003189525A (ja) * 2001-12-20 2003-07-04 Hitachi Ltd 回転電機
JP2004064933A (ja) 2002-07-30 2004-02-26 Asmo Co Ltd 巻線接続ターミナル、固定子およびブラシレスモータ
US7135799B2 (en) * 2003-03-19 2006-11-14 Pacsci Motion Control, Inc. Method for winding a stator of multi-phase motors
JP2006191757A (ja) 2005-01-07 2006-07-20 Hitachi Ltd 回転電機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483658B2 (ja) 2005-04-01 2010-06-16 株式会社デンソー 界磁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界磁コイル
JP4767579B2 (ja) * 2005-04-14 2011-09-07 アイチエレ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の固定子
EP1913675A1 (de) * 2005-07-28 2008-04-23 ThyssenKrupp Presta AG Stator für ein elektromotor
JP4693687B2 (ja) 2006-04-21 2011-06-01 株式会社東芝 軸流水車ラン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62A1 (ko) * 2018-12-11 2020-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20200071472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US11855504B2 (en) 2018-12-11 2023-12-26 Lg Innotek Co., Ltd.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8689A4 (en) 2015-05-13
US20110068647A1 (en) 2011-03-24
WO2009139067A1 (ja) 2009-11-19
US8519583B2 (en) 2013-08-27
EP2278689A1 (en) 2011-01-26
CN102027657A (zh) 2011-04-20
KR101231331B1 (ko) 2013-02-07
JPWO2009139067A1 (ja) 2011-09-15
CN102027657B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331B1 (ko) 회전전기
JP5597259B2 (ja) 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05253145A (ja) 回転電機
JP6547008B2 (ja) ステータコイル、ス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
JP6707860B2 (ja)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27171B2 (ja) 極数切替型回転電機および極数切替型回転電機の駆動方法
US10256682B2 (en) Stator assemblies for three phase dynamoelectric machines and related winding methods
WO2013145977A1 (ja) 回転電機
US20140285056A1 (en) Wound member for manufacturing coil, coil,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il
JP2016101031A (ja) 三相モータのステータ
JP2009303420A (ja) 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5511254B2 (ja) モータの固定子
JP5909790B2 (ja) 回転電機、回転電機用ステータおよび車両
JP6530982B2 (ja) 回転電機
US20140285055A1 (en) Wound member for manufacturing coil, coil,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il
JP5650819B2 (ja) 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06067701A (ja) 回転電機の固定子
WO2021250766A1 (ja) 回転電機
JP6488100B2 (ja) 電動モータ
CN103187809B (zh) 电机定子组件及具有该定子组件的电机
KR20200056742A (ko) 각동선 모터
JPH1141846A (ja) コンデンサ電動機
JPH1141880A (ja) コンデンサ電動機
JP2004254382A (ja) 多極電機子の巻線方法
JP2012152006A (ja) 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