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9116A - 고체 전해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고체 전해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9116A
KR20100139116A KR1020107024335A KR20107024335A KR20100139116A KR 20100139116 A KR20100139116 A KR 20100139116A KR 1020107024335 A KR1020107024335 A KR 1020107024335A KR 20107024335 A KR20107024335 A KR 20107024335A KR 20100139116 A KR20100139116 A KR 2010013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electrolyte
libh
degrees
alkali metal
l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972B1 (ko
Inventor
히데키 마에카와
히토시 다카무라
신이치 오리모
모토아키 마츠오
유코 나카모리
마리코 안도
야스토 노다
다이키 카라하시
Original Assignee
도호쿠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쿠 다이가쿠 filed Critical 도호쿠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0013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iBH4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MX
(화학식 1 중, M은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자, NR2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 및 N2R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나타냄)

Description

고체 전해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SOLID ELECTROLY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OLID ELECTROLYTE}
본 발명은 고체 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기기의 보급에 따라 소형 대용량의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이차 전지 중에서, 가장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로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전해질로서 높은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는 유기 용매 전해액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유기 용매 전해액은 액체이면서도 가연성이기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해질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액체 누설이나 발화 등의 위험성이 있으며, 그의 안전성이 염려되었다. 그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해질로서 보다 안전한 고체 전해질이 요구되고 있다.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전해질로서는 중합체계, 산화물계 및 황화물계인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8570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리튬, 인 및 황의 각 원소를 함유하는 리튬 이온 전도성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원료로 하는 고체 전해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73217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리튬, 인, 황 및 산소의 각 원소, 및 주기율표 13 내지 16족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원소(단, 인, 황 및 산소를 제외함)를 함유하는 고체 전해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LiBH4가 약 117 ℃(약 390 K) 이상의 고온에서 높은 이온 전도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M. Matsuo, Y. Nakamori, S. Orimo, H. Maekawa, and H. Takamura, Appl. Phys. Lett., 2007년, 91권, 224103(비특허문헌 1)]. 그러나, LiBH4는 그 고이온 전도상(고온상)의 전이 온도인 115 ℃(388 K) 미만에서는 저항이 크기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해질로서 사용하기에는 저온, 특히 실온 부근에서의 이온 전도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85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73217호 공보
M. Matsuo, Y. Nakamori, S. Orimo, H. Maekawa, and H. Takamura, Appl. Phys. Lett., 2007년, 91권, 22410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115 ℃) 미만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는 LiBH4계 고체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LiBH4와 특정한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 또는 소결시킴으로써 이 용융 혼합물이나 소결물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가 저하되며, LiBH4의 전이 온도 미만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LiBH4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몰비로서는 LiBH4:알칼리 금속 화합물=1:1 내지 20:1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체 전해질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로서 유용하다.
[화학식 1]
MX
(화학식 1 중, M은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자, NR2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 및 N2R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나타냄)
또한,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115 ℃ 미만에서의 X선 회절(CuKα: λ=1.5405 Å)에서 적어도 2θ=24.0±1.0도, 25.6±1.2도, 27.3±1.2도, 35.4±1.5도 및 42.2±2.0도의 5 개소에 회절 피크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LiBH4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 또는 소결시키고, 그 후 냉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MX
(화학식 1 중, M은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자, NR2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 및 N2R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나타냄)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혼합 몰비로서는 LiBH4:알칼리 금속 화합물=1:1 내지 20:1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물의 가열 온도는 통상적으로 50 ℃ 이상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고체 전해질을 115 ℃ 이상에서 가열하고, 그 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 미만에서의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가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 중의 X로서는 요오드 원자 및 아미노기 중 어느 1종이 바람직하고,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로서는 LiI, RbI 및 Cs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상의 전이 온도가 낮고,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115 ℃) 미만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는 LiBH4계 고체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LiBH4와 Li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실시예 4 내지 5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실시예 4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7Li-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 비교예 1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7Li-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7Li-NMR 종완화 시간과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실시예 6 내지 8에서 얻은 LiBH4와 LiI와 Rb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실시예 9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실시예 9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7Li-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실시예 9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7Li-NMR 종완화 시간과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실시예 10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실시예 11 내지 12에서 얻은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LiBH4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구비하는 것이다.
<화학식 1>
MX
(화학식 1 중, M은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자, NR2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 및 N2R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나타냄)
본 발명에서 LiBH4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환원제나 수소 흡장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LiBH4의 순도는 80 %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LiBH4의 순도가 상기 하한 미만이 되면 고체 전해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화학식 1 중의 M은 리튬 원자(Li), 나트륨 원자(Na), 칼륨 원자(K), 루비듐 원자(Rb), 세슘 원자(Cs) 등의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X인 할로겐 원자로서는 요오드 원자(I), 브롬 원자(Br), 불소 원자(F), 염소 원자(Cl)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R2기나 N2R기 중의 R로서는 수소 원자, 알킬기를 들 수 있으며, 알킬기의 탄소수로서는 1 내지 5개가 바람직하다. NR2기 중의 2개의 R은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상이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원자로서는 리튬 원자, 루비듐 원자 및 세슘 원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X로서는 요오드 원자, 브롬 원자, NR2기가 바람직하고, 요오드 원자, NH2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자나 기를 갖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고체 전해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 중, 고체 전해질의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알칼리 금속의 할로겐화물, 아민염이 바람직하고, LiI, LiBr, LiF 및 LiCl과 같은 할로겐화 리튬; RbI, RbBr, RbF, RbCl과 같은 할로겐화 루비듐; CsI, CsBr, CsF, CsCl과 같은 할로겐화 세슘; LiNH2, LiNHR, LiNR2와 같은 아미노리튬이 보다 바람직하고, LiI, RbI, CsI, LiNH2가 특히 바람직하고, LiI와 RbI를 병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칼리 금속 화합물에 대해서도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순도로서는 80 %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순도가 상기 하한 미만이 되면 고체 전해질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에서는, 상기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함유 몰비(LiBH4:알칼리 금속 화합물)로서 1:1 내지 20:1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10:1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몰비가 상기 하한 미만이 되면 고체 전해질 중의 LiBH4의 비율이 적고, 높은 이온 전도도가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첨가 효과, 즉 고온상(고이온 전도상)의 전이 온도가 저하되기 어렵고,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115 ℃) 미만에서 이온 전도도가 충분히 증대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2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 그 함유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LiI와 다른 알칼리 금속 화합물(바람직하게는 RbI 또는 CsI)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LiI:다른 알칼리 금속 화합물=1:1 내지 20:1이 바람직하고, 5:1 내지 20:1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몰비가 상기 하한 미만이 되면 고체 전해질 중의 LiI의 비율이 적고, 고체 전해질의 열적인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다른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첨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이온 전도도가 충분히 증대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고체 전해질은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 미만, 즉 115 ℃ 미만에서의 X선 회절(CuKα: λ=1.5405 Å)에서 적어도 2θ=24.0±1.0도, 25.6±1.2도, 27.3±1.2도, 35.4±1.5도 및 42.2±2.0도의 5 개소에 회절 피크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2θ=23.7±0.7도, 25.2±0.8도, 26.9±0.8도, 35.0±1.0도 및 41.3±1.0도의 5 개소에 회절 피크를 갖는 것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적어도 2θ=23.6±0.5도, 24.9±0.5도, 26.7±0.5도, 34.6±0.5도, 40.9±0.5도의 5 개소에 회절 피크를 갖는 것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적어도 2θ=23.6±0.3도, 24.9±0.3도, 26.7±0.3도, 34.6±0.3도, 40.9±0.3도의 5 개소에 회절 피크를 갖는 것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5 영역의 회절 피크는 LiBH4의 고온상의 회절 피크에 상당하는 것이며,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 미만에서도 이러한 5 영역에 회절 피크를 갖는 고체 전해질은, 상기 전이 온도 미만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상기 LiBH4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 또는 소결시키고, 그 후 냉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다. 이러한 제조 방법 중,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균일하게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용융 혼합을 실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혼합 몰비(LiBH4:알칼리 금속 화합물)로서는 1:1 내지 20:1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10:1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몰비가 상기 하한 미만이 되면 얻어지는 고체 전해질 중의 LiBH4의 비율이 줄어들고,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는 고체 전해질이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고체 전해질의 고온상(고이온 전도상)의 전이 온도가 저하되기 어렵고,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115 ℃) 미만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는 고체 전해질이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상기 혼합물의 가열 온도로서는 통상적으로 50 ℃ 이상이고, 150 ℃ 이상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300 ℃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상기 하한 미만이 되면 혼합물의 용융이나 소결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상기 혼합물을 소결시키는 경우의 가열 온도로서는 통상적으로 50 내지 240 ℃이고, 150 내지 240 ℃가 바람직하고, 200 내지 24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고체 전해질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경우,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혼합물을 미리 성형한 후 가열할 수도 있고, 가열 후 성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이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용융 또는 소결시키고, 그 후 냉각할 수도 있다. 또한,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이 용융 혼합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냉각하거나,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소결시키고, 이 소결물을 냉각한 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고체 전해질을 115 ℃ 이상으로 가열하고, 그 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 미만에서의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가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상기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과 정극과 부극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정극 재료로서는 코발트산리튬, 니켈산리튬, 망간산리튬 등의 종래 공지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재료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부극 재료로서는 탄소 재료 등의 종래 공지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부극 재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예를 들면 막 형상으로 성형된 고체 전해질 중 한쪽면에 상기 정극 재료를 도포하여 정극을 형성시키고, 다른쪽 면에 상기 부극 재료를 도포하여 부극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막 형상으로 성형된 고체 전해질의 한쪽면에 막 형상의 상기 정극 재료를 첩부하고, 다른쪽면에 막 형상의 상기 부극 재료를 첩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LiBH4(알드리치사 제조, 순도 90 %)와 LiI(알드리치사 제조, 순도 99.999 %)를 LiBH4:LiI=3:1의 몰비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유리 셀로 옮긴 후, 320 ℃로 가열하여 용융 혼합하였다. 그 후, 이 용융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고체 전해질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 전해질(LiBH4:LiI=3:1)에 대하여 25 ℃에서 X선 회절 측정(CuKα: λ=1.5405 Å)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1에는 LiBH4의 고온상(고이온 전도상) 및 저온상의 X선 회절 스펙트럼, 및 LiI의 X선 회절 스펙트럼에 대해서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2θ=23.4도, 25.1도, 26.7도, 34.7도, 41.2도, 45.3도 및 49.0도의 위치에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2)
LiBH4와 LiI의 몰비를 LiBH4:LiI=7: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 고체 전해질(LiBH4:LiI=7: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X선 회절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2θ=23.6도, 25.0도, 26.6도, 34.5도, 40.9도, 44.8도 및 48.6도의 위치에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3)
LiBH4와 LiI의 몰비를 LiBH4:LiI=15: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 고체 전해질(LiBH4:LiI=15: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X선 회절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2θ=23.8도, 24.8도, 26.9도, 34.6도, 40.7도, 44.8도 및 48.1도의 위치에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iBH4와 Li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의 경우(실시예 1 내지 3)에는 25 ℃에서 LiBH4의 고온상에 상당하는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즉, 본 발명의 LiBH4와 Li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에서는 25 ℃에서도 LiBH4의 고온상에서의 상태가 유지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한 용융 혼합물(LiBH4:LiI=3:1)을 원반상(직경 10 mm, 두께 약 2 mm)으로 프레스 성형(25 ℃, 100 MPa)하여 고체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이 고체 전해질막의 양면에 전극으로서 리튬박을 장착하여 이온 전도도 측정 셀을 제조하였다. 이 이온 전도도 측정 셀을 약 5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25 ℃(298 K) 부근으로부터 150 ℃(423 K) 부근까지 가열하면서 주파수 0.1 Hz 내지 10 MHz에서 솔라트론사 제조 "SI-1260 임피던스 애널라이저"를 사용하여 상기 고체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1st)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2에 나타낸다.
이어서, 측정 후의 상기 이온 전도도 측정 셀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상기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열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2nd)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77 ℃(350 K)에서의 이온 전도도(2nd)를 표 1에 나타낸다.
이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막에 대하여 고체 NMR 장치(케마그네틱스사 제조, "CMX 인피니티 300")를 사용하여 공명 주파수 116 MHz, 온도 50 ℃(323 K) 내지 260 ℃(533 K)의 조건으로 7Li-NMR을 측정하고, 7Li-NMR 종완화 시간을 구하였다. 도 4A에는 각 온도에서의 7Li-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는 7Li-NMR 종완화 시간과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실시예 5)
상기 용융 혼합물(LiBH4:LiI=3:1) 대신에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한 용융 혼합물(LiBH4:LiI=7: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막을 제조하고, 약 5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20 ℃(293 K) 부근으로부터 150 ℃(423 K) 부근까지 가열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77 ℃(350 K)에서의 이온 전도도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상기 용융 혼합물(LiBH4:LiI=3:1) 대신에 LiBH4(알드리치사 제조, 순도 90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막을 제조하고, 약 2.5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60 ℃(333 K) 부근으로부터 160 ℃(433 K) 부근까지 가열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이어서, 약 2.5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160 ℃(433 K)로부터 60 ℃(333 K)까지 냉각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도 3에는 폴센 외(문헌 [F. W. Poulsen et al., Solid State Ionics 9/10, 119(1983))에 의한 Li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도 나타낸다. 또한, 77 ℃(350 K)에서의 이온 전도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이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막에 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공명 주파수 116 MHz, 온도 30 ℃(303 K) 내지 260 ℃(533 K)의 조건으로 7Li-NMR을 측정하고, 7Li-NMR 종완화 시간을 구하였다. 도 4B에는 각 온도에서의 7Li-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는 7Li-NMR 종완화 시간과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도 2 내지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LiBH4만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비교예 1)에는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115 ℃) 미만에서 고온상에 비해 이온 전도도가 급격히 저하되었다. 또한, LiI만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에는 LiBH4에 비해 이온 전도도가 낮고, 특히 상기 전이 온도(115 ℃) 이상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도는 얻어지지 않았다. 한편, LiBH4와 LiI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실시예 4 내지 5)에는, 상기 전이 온도(115 ℃) 이상에서는 LiBH4만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비교예 1)과 동일한 정도의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고, 상기 전이 온도(115 ℃) 미만에서는 비교예 1의 고체 전해질막에 비해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즉, LiBH4에 LiI를 혼합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LiBH4만인 경우에 비해 고온상의 전이 온도가 저하되었으며, LiI의 이온 전도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 미만에서의 이온 전도도가 높아지고, 보다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이온 전도도가 얻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LiBH4와 LiI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막에서는, 상기 전이 온도(115 ℃)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전이 온도(115 ℃) 미만에서의 이온 전도도가 증대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가열에 의해 고체 전해질의 결정성이 높아지고, 고온상의 비율이 증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도 4B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LiBH4만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비교예 1)에는 115 ℃(388 K) 이상에서는 고온상을 나타내는 예리한 피크가 관찰되었지만, 112 ℃(385 K) 미만에서는 예리한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도 4A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iBH4와 Li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실시예 4)에는, 120 ℃(393 K) 이상뿐만 아니라 120 ℃ 미만에서도 고온상을 나타내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도 5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LiBH4만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비교예 1)에는, 상기 전이 온도(115 ℃) 미만 및 상기 전이 온도를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7Li-NMR 종완화 시간이 측정 온도의 변화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변화되었지만, 상기 전이 온도에서 급격히 변화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LiBH4와 Li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실시예 4)에는, 급격한 7Li-NMR 종완화 시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고, 7Li-NMR 종완화 시간은 측정 온도의 변화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변화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LiBH4(알드리치사 제조, 순도 90 %)와 LiI(알드리치사 제조, 순도 99.999 %)와 RbI(알드리치사 제조, 순도 99.999 %)를 LiBH4:LiI:RbI=3:0.9:0.1의 몰비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25 ℃, 100 MPa)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 펠릿을 유리 셀로 옮긴 후, 진공하에 240 ℃까지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소결시켰다. 그 후, 이 소결물을 냉각하여 고체 전해질을 얻었다.
이 고체 전해질(LiBH4:LiI:RbI=3:0.9:0.1)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X선 회절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도 6에는 LiBH4의 고온상(고이온 전도상) 및 저온상, 및 LiBH4:LiI=3:1의 고체 전해질의 X선 회절 스펙트럼에 대해서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2θ=23.4도, 25.1도, 26.7도, 35.0도 및 41.5도의 위치에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LiBH4:LiI=3:1의 고체 전해질과는 상이한 회절 피크(2θ=11.1도, 19.6도, 22.4도, 27.7도, 30.0도 및 35.9도)도 관찰되었다.
(실시예 7)
LiBH4와 LiI와 RbI의 몰비를 LiBH4:LiI:RbI=3:0.95:0.0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 고체 전해질(LiBH4:LiI:RbI=3:0.95:0.05)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X선 회절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2θ=23.4도, 25.1도, 26.7도, 35.0도 및 41.5도의 위치에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LiBH4:LiI=3:1의 고체 전해질과는 상이한 회절 피크(2θ=19.6도, 22.4도, 27.7도, 30.0도 및 35.9도)도 관찰되었다.
(실시예 8)
LiBH4와 LiI와 RbI의 몰비를 LiBH4:LiI:RbI=3:0.8:0.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 고체 전해질(LiBH4:LiI:RbI=3:0.8:0.2)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X선 회절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2θ=23.4도, 25.1도, 26.7도, 34.9도 및 41.4도의 위치에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LiBH4:LiI=3:1의 고체 전해질과는 상이한 회절 피크(2θ=11.1도, 19.6도, 22.4도, 27.7도, 30.0도 및 35.9도)도 관찰되었다.
도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iBH4와 LiI와 Rb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의 경우(실시예 6 내지 8)에는 25 ℃에서 LiBH4의 고온상에 상당하는 X선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다. 즉, 본 발명의 LiBH4와 LiI와 Rb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에서도 25 ℃에서 LiBH4의 고온상에서의 상태가 유지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상기 용융 혼합물(LiBH4:LiI=3:1) 대신에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한 펠릿(LiBH4:LiI:RbI=3:0.9:0.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막을 제조하고, 5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30 ℃(303 K) 부근으로부터 150 ℃(423 K) 부근까지 가열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7에 나타낸다.
이어서, 5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150 ℃(423 K) 부근으로부터 30 ℃(303 K) 부근까지 냉각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도 7에는 비교예 1에서의 결과도 나타내었다.
이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막에 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공명 주파수 116 MHz, 온도 50 ℃(323 K) 내지 240 ℃(513 K)의 조건으로 7Li-NMR을 측정하고, 7Li-NMR 종완화 시간을 구하였다. 도 8에는 각 온도에서의 7Li-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또한, 도 9에는 7Li-NMR 종완화 시간과 측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에는 비교예 1에서의 결과도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LiBH4와 LiI와 RbI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실시예 9)에는, 30 내지 150 ℃의 온도 범위에서 항상 LiBH4만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비교예 1)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LiBH4와 LiI와 Rb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실시예 9)은, LiBH4와 Li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실시예 4)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즉, LiBH4에 LiI와 RbI를 혼합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LiBH4만인 경우에 비해 고온상의 전이 온도가 저하되었으며, LiI의 이온 전도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이온 전도도가 얻어지고, 특히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 이상에서도 LiBH4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가 얻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8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iBH4와 LiI와 Rb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실시예 9)에도 120 ℃(393 K) 이상뿐만 아니라 120 ℃ 미만에서 고온상을 나타내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도 9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iBH4와 LiI와 RbI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실시예 9)에도 LiBH4만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비교예 1)과 같은 급격한 7Li-NMR 종완화 시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7Li-NMR 종완화 시간은 측정 온도의 변화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변화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RbI 대신에 CsI(알드리치사 제조, 순도 99.999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펠릿(LiBH4:LiI:CsI(몰비)=3:0.9:0.1)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릿(LiBH4:LiI:RbI) 대신에 이 펠릿(LiBH4:LiI:CsI=3:0.9:0.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막을 제조하고, 10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30 ℃(303 K) 부근으로부터 130 ℃(403 K) 부근까지 가열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10에 나타낸다.
이어서, 10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130 ℃(403 K) 부근으로부터 40 ℃(313 K) 부근까지 냉각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10에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는 비교예 1에서의 결과도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LiBH4와 LiI와 CsI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실시예 10)에도 LiBH4만인 경우(비교예 1)에 비해 고온상의 전이 온도가 저하되었으며, LiI의 이온 전도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 미만에서 이온 전도도가 높아지고, 보다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이온 전도도가 얻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LiBH4(알드리치사 제조, 순도 90 %)와 LiNH2(알드리치사 제조)를 LiBH4:LiNH2=1:3의 몰비로 유성형 볼밀을 사용하여 아르곤 분위기하에 1 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프레스 성형(25 ℃, 100 MPa)한 후, 아르곤 분위기하에 100 ℃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소결시켜 고체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이 고체 전해질막(LiBH4:LiNH2=1:3)에 대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약 10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25 ℃(298 K) 부근으로부터 135 ℃(408 K) 부근까지 가열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11에 나타낸다.
이어서, 약 10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135 ℃(408 K) 부근으로부터 30 ℃(303 K) 부근까지 냉각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11에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는 LiBH4만 또는 LiNH2만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LiBH4와 LiNH2의 혼합 몰비를 LiBH4:LiNH2=1:1로 변경하고, 가열 온도를 6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고, 약 10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30 ℃(303 K) 부근으로부터 65 ℃(338 K) 부근까지 가열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11에 나타낸다.
이어서, 약 10 ℃마다 1점에 대하여 5분 정도의 측정 시간으로 65 ℃(338 K) 부근으로부터 30 ℃(303 K) 부근까지 냉각하면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이온 전도도와 측정 온도의 관계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LiBH4와 LiNH2를 몰비=1:3으로 구비하는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막의 경우(실시예 11)에도 LiBH4만인 경우에 비해 고온상의 전이 온도가 저하되었으며, LiNH2의 이온 전도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 미만에서 이온 전도도가 높아지고, 보다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이온 전도도가 얻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LiBH4와 LiNH2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막에서는, LiNH2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이온 전도도가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LiBH4에 특정한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LiBH4의 고온상(고이온 전도상)의 전이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LiBH4의 고온상의 전이 온도(115 ℃) 미만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고체 전해질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LiBH4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
    <화학식 1>
    MX
    (화학식 1 중, M은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자, NR2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 및 N2R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몰비가 LiBH4:알칼리 금속 화합물=1:1 내지 20:1인 고체 전해질.
  3. 제1항에 있어서, 115 ℃ 미만에서의 X선 회절(CuKα: λ=1.5405 Å)에서, 적어도 2θ=24.0±1.0도, 25.6±1.2도, 27.3±1.2도, 35.4±1.5도 및 42.2±2.0도의 5 개소에 회절 피크를 갖는 고체 전해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중의 X가 요오드 원자 및 아미노기 중 어느 1종인 고체 전해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이 LiI, RbI 및 Cs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고체 전해질.
  6. 제1항에 기재된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7. LiBH4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 또는 소결시키고, 그 후 냉각하는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MX
    (화학식 1 중, M은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자, NR2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 및 N2R기(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나타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가열 온도가 50 ℃ 이상인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iBH4와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혼합 몰비가 LiBH4:알칼리 금속 화합물=1:1 내지 20:1인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중의 X가 요오드 원자 및 아미노기 중 어느 1종인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이 LiI, RbI 및 Cs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고체 전해질을 115 ℃ 이상에서 가열하고, 그 후 냉각하는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KR1020107024335A 2008-05-13 2009-05-12 고체 전해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182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25862 2008-05-13
JP2008125862 2008-05-13
PCT/JP2009/058835 WO2009139382A1 (ja) 2008-05-13 2009-05-12 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固体電解質を備える二次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9116A true KR20100139116A (ko) 2010-12-31
KR101182972B1 KR101182972B1 (ko) 2012-09-18

Family

ID=4131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335A KR101182972B1 (ko) 2008-05-13 2009-05-12 고체 전해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22276B2 (ko)
JP (1) JP5187703B2 (ko)
KR (1) KR101182972B1 (ko)
CN (2) CN103606712B (ko)
WO (1) WO20091393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729A (ko) 2021-06-03 2022-1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30174555A (ko) 2022-06-21 2023-12-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4924B2 (ja) * 2011-03-29 2015-01-14 株式会社デンソー 全固体電池
JP5705614B2 (ja) * 2011-03-29 2015-04-22 株式会社デンソー 全固体電池
US20120251871A1 (en) * 2011-03-29 2012-10-04 Tohoku University All-solid-state battery
US9318775B2 (en) 2012-08-02 2016-04-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agnesium borohydride and its derivatives as magnesium ion transfer media
US9312566B2 (en) 2012-08-02 2016-04-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agnesium borohydride and its derivatives as magnesium ion transfer media
US20140038037A1 (en) * 2012-08-02 2014-02-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agnesium borohydride and its derivatives as magnesium ion transfer media
JP6048937B2 (ja) * 2013-06-18 2016-12-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リチウム空気電池
PL3043412T3 (pl) * 2013-09-02 2021-02-0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Bateria z elektrolitem stałym i sposób wytwarzania materiału aktywnego elektrody
KR102272556B1 (ko) 2013-09-02 2021-07-02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전고체 전지
BR112017013147B1 (pt) 2014-12-22 2022-07-1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ndutor iônico compreendendo lítio, boro-hidreto, fósforo e enxofre, método para produzir um condutor iônico, eletrólito sólido para baterias em que todos os componentes são em estado sólido, e, bateria em que todos os componentes são em estado sólido
PL3407363T3 (pl) 2016-01-18 2024-03-0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Sposób wytwarzania przewodnika jonowego
JP2019071164A (ja) * 2016-01-27 2019-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定電解質および、固体電解質を用いた全固体リチウム電池
JP6759880B2 (ja) * 2016-09-05 2020-09-2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イオン伝導体の製造方法
US10910672B2 (en) 2016-11-28 2021-02-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igh concentration electrolyte for magnesium battery having carboranyl magnesium salt in mixed ether solvent
WO2018139629A1 (ja) * 2017-01-30 2018-08-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イオン伝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008420B2 (ja) * 2017-03-29 2022-01-25 マクセル株式会社 複合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全固体電池
US10680280B2 (en) 2017-09-26 2020-06-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3D magnesium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8155411A (zh) * 2017-12-05 2018-06-12 东南大学 一种硼氢化锂复合物快离子导体及其制备方法
CN108736064B (zh) * 2018-07-11 2020-12-04 桑德新能源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复合硼氢化锂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09244535B (zh) * 2018-11-01 2021-01-19 上海理工大学 硼氢化锂基固态电解质材料的制备方法
CN109585913B (zh) * 2018-11-29 2021-08-24 东南大学 硼氢化锂与二硫化钼复合体系固态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905268A4 (en) * 2018-12-26 2022-03-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ALOGENIDE PRODUCTION METHOD
BR112021014519A2 (pt) 2019-03-05 2021-09-2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étodo para produzir um eletrólito sólido à base de sulfeto
CN110380117B (zh) * 2019-07-04 2020-12-08 光鼎铷业(广州)集团有限公司 一种铷掺杂的聚合物固态电解质膜的制备方法
RU2720349C1 (ru) * 2019-11-11 2020-04-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химии твердого тела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вердого электролита
CN112259786B (zh) * 2020-10-10 2022-07-1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LiBH4-LiI-P2S5三元复合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12331909A (zh) * 2020-10-12 2021-02-0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氨气掺杂硼氢化锂复合材料体系的锂离子导体及其制备方法
CN113097562B (zh) * 2021-04-13 2024-04-05 无锡新锂耀辉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硼氢化锂-石榴石型氧化物复合固态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991171B (zh) * 2021-10-22 2023-03-24 浙江大学 一种石榴石型多元复合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421002A (zh) * 2022-01-04 2022-04-29 浙江大学 石榴石氧化物/配位硼氮氢化物复合的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2637A (en) * 1984-10-23 2000-02-08 Wilson; John T. R. High temperature battery
JP3163741B2 (ja) * 1992-05-08 2001-05-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晶質リチウムイオン導電性固体電解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31117A (en) * 1995-11-06 1998-03-24 Eastman Kodak Company Overcoated charge transporting elements and glassy solid electrolytes
JPH11185811A (ja) * 1997-12-16 1999-07-09 Tonen Corp リチウム電池用電解液及びその製造方法
US6383688B1 (en) * 1997-12-26 2002-05-07 Tonen Corporation Electrolyte for lithium cell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280339B2 (ja) 1998-10-16 2009-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電解質成型体、電極成型体および電気化学素子
JP4361229B2 (ja) * 2001-07-04 2009-1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JP2003077462A (ja) 2001-09-03 2003-03-1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813767B2 (ja) 2004-02-12 2011-11-09 出光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系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4834442B2 (ja) 2006-03-31 2011-12-14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二次電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729A (ko) 2021-06-03 2022-1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30174555A (ko) 2022-06-21 2023-12-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06712A (zh) 2014-02-26
JPWO2009139382A1 (ja) 2011-09-22
JP5187703B2 (ja) 2013-04-24
CN102017269B (zh) 2015-09-30
WO2009139382A1 (ja) 2009-11-19
CN102017269A (zh) 2011-04-13
KR101182972B1 (ko) 2012-09-18
US9722276B2 (en) 2017-08-01
CN103606712B (zh) 2016-01-20
US20110117440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972B1 (ko) 고체 전해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고체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Plashnitsa et al. Performance of NASICON symmetric cell with ionic liquid electrolyte
US10263254B2 (en) Tin-containing compounds
JP2017513788A (ja) リチウムイオン又はナトリウムイオンの伝導のための固体電解質ガラス
TWI712197B (zh) 離子傳導體之製造方法
EP2725643A1 (en) Method for producing iron oxyfluoride positive electrode active substance and iron oxyfluoride positive electrode active substance
WO2014009724A1 (en) Doped nickelate compounds
WO2021013824A1 (en) Lithium ion conducting solid materials
JP2020035587A (ja)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ポリマー電解質
Kindle et al. Alternatives to cobalt: vanadate glass and glass-ceramic structures as cath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US11161740B2 (en) Method of synthesis of LiTi2(PS4)3
Vineeth et al. Electrolytes for room-temperature sodium-sulfur batteries: A holistic approach to understand solvation
US11063293B2 (en) Increasing ionic conductivity of LiTi2(PS4)3 by Zr doping
US10807877B2 (en) Increasing ionic conductivity of LiTi2(PS4)3 by Al doping
JP7022498B2 (ja) イオン伝導体の経時劣化を抑制する方法
KR102393999B1 (ko) 고체 리튬 전지용 황계 고체전해질 및 고체전해질의 상압 합성법
JP2005276822A (ja) イオン伝導体
JP2014127387A (ja)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固体電池
Caja et al. Application of ionic liquids as electrolytes in lithium rechargeable cells
Nangir et al. Super Ionic Li3–2xMx (OH) 1-yNyCl (M= Ca, W, N= F) Halide Hydroxide as an Anti-Perovskite Electrolyte for Solid-State Batteries
CN116960445A (zh) Li-B-S体系硫化物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电池
CN115140770A (zh) 无机玻璃态锂离子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
Yaqi NASICON-structured solid Li-ionic conductor for next wave of energy storage devices
KR20060000801A (ko) 고비점 이온 전도성 유기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및 상기 전해질로 제조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