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919A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919A
KR20100131919A KR1020100049494A KR20100049494A KR20100131919A KR 20100131919 A KR20100131919 A KR 20100131919A KR 1020100049494 A KR1020100049494 A KR 1020100049494A KR 20100049494 A KR20100049494 A KR 20100049494A KR 20100131919 A KR20100131919 A KR 20100131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opening
mounting
coil spr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993B1 (ko
Inventor
카토 히데오
콘도 테추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2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분인 부품점수를 감소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보다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OA기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장공을 설치한 통형상의 취부다리부를 가진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의 상부에 설치한 양측판부에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사이에 설치된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취부다리부의 상기 수장공 내부에 수장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과, 이 탄성수단과 대향시켜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한 롤러와, 이 롤러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 사이에 그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덮어씌워서 부착된 통형상의 스프링가이드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고압착판 개폐장치{Opening-closing device of manuscript pressing plate}
본 발명은 프린터, 스캐너, 인쇄기, 또는 복사기 등의 원고압착판을 개폐할 때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특히 복사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는, 통칭 봉(棒)힌지라고 호칭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원고 자동이송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원고 압착판, 또는 원고 자동이송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라도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장치 본체 측에 부착되는 취부부재로부터 취부다리부를 늘어뜨리고, 이 취부다리부를 장치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부착공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시켜, 원고압착판을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와 함께 장치본체에 대하여 착,탈 할 수 있는 다음에, 원고가 책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원고인 경우에는, 취부다리부가 부착공 내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원고압착판으로 두께가 두꺼운 원고의 상면을 수평상태에서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칭 봉(棒)힌지라고 호칭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98839호 공개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이다.
이 특허문헌1에 기재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장치본체의 뒷부분 상단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부착공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취부부재를 겸하는 통형상의 취부다리부의 상단측에, 원고압착판의 뒷부분에 부착된 지지부재를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부착한 것으로서, 취부다리부의 내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수장되고, 지지부재에는 압축코일스프링과 대향하는 위치에 캠부를 설치하고, 이 캠부와 압축코일스프링 사이에 슬라이더를 설치하며, 이 슬라이더에 지지부재의 캠부가 맞닿도록 구성한 것이다.
근년에 와서, 복사기는 보다 한층 코스트다운(cost down)을 강요하고 있고, 종래 공지의 통칭 봉(棒)힌지라고 호칭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도, 보다 부품 점수를 적게 하여 코스트다운을 도모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프린터나 스캐너, 인쇄기라고 일컫는 원고압착판을 가진 OA 기기에 있어서도 대폭적인 코스트다운이 요구되고 있고, 부품점수를 생략하여 보다 구성이 간단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여분인 부품점수를 감소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보다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장공을 설치한 통형상의 취부다리부를 가진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의 상부에 설치한 양측판부에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사이에 설치된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취부다리부의 상기 수장공 내부에 수장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과, 이 탄성수단과 대향시켜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한 롤러와, 이 롤러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 사이에 그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덮어씌워서 부착된 통형상의 스프링가이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가이드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그의 외주와 상단부를 덮어 부착되는 통형상의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가이드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내측과 상단부를 덮어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통형상의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스프링가이드와 맞닿는 부분에 롤러를 부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부에 설치한 롤러수용부에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상기 취부다리부의 수장공 내에 수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상기 취부다리부의 수장공 내에 수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사이에 뻗어 설치된 인장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 5에 관한 각 발명에 있어서는,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장공을 설치한 통형상의 취부다리부를 가진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의 상부에 설치한 양측판부에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사이에 설치된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취부다리부의 상기 수장공 내부에 수장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과, 이 탄성수단과 대향시켜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한 롤러와, 이 롤러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 사이에 그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덮어씌워서 부착된 통형상의 스프링가이드로 구성함으로서, 부품점수를 생략하여 구성을 보다 한층 간단하게 한 것으로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여 저렴하게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6 ~ 7에 관한 각 발명에 있어서는, 더욱 부품점수가 적게 되어,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것으로서, 보다 한층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서, 극력 부품점수를 생략한 저렴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비교적으로 경량의 원고압착판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복사기를 필두로 하여 프린터, 스캐너, 인쇄기 등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사용한 복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복사기에 대한 부착상태를 나타낸 복사기의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를 복사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복사기 이외의 프린터, 스캐너, 인쇄기 등의 OA기기에도 원고압착판의 중량, 기능, 구조를 고려한 약간의 설계변경을 가하는 것만으로 그대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원고압착판 이외의 것인 개폐체(예를 들면 잉크 카트리지 수용부의 커버 등)의 개페장치로서도 그대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원고압착판을 개폐체 또는 커버로 바꾸어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장치본체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를 사용하는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또는 인쇄기 모두에 적용하는 것이다.
도 1과 도 2에 있어서, 지시기호 1로 나타낸 것은,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라고도 호칭되는 복사기이다.
이 복사기(1)는, 장치본체(2)와 원고압착판(3)으로 구성되고, 이 장치본체(2)위의 콘택트유리(4) 위로 원고(도시 생략됨)를 압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5)는 특히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2)의 뒷부분 상단으로 원고압착판(3)의 뒷부분을 개폐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도 1의 A부분 참조)
또한, 원고압착판(3)은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공지구성의 원고자동이송장치가 부착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인 2종류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어느 쪽의 원고압착판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나, 바람직하기로는 원고자동이송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가볍고 그 자체가 중앙이 우묵(中折)함으로서 두께가 두꺼운 원고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이다.
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5)는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을 나타낸 취부다리부(6)를 가진 취부부재(7)와, 이 취부부재(7)의 상부에 설치된 양측판부(8,8)에 힌지핀(9)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부재(10)와, 이 지지부재(10)의 요동부(1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롤러(12)와, 취부부재(7)의 취부다리부(6)의 중심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수장공(13)에 수장되어 그의 바닥부(13a)와 롤러(12) 사이에 탄력 설치된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14)과, 이 탄성수단(14)의 상단부측의 외측을 덮어 끼워 부착된 통형상의 스프링가이드(15)로 구성되어 있다.
취부부재(7)는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과 같은 합성수지제 재료로 성형한 것으로서, 전체로서 단턱을 가진 각형상을 나타내고, 상단에는 평면 각형상을 나타낸 지지부재 수용부(7a)가 설치되며, 이 지지부재 수용부(7a)에 연이어 통하여 취부다리부(6)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된 수장공(13)은 단면이 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장공(13)은 그의 바닥부(13a)에 보스부(13b)를 가지고, 이 보스부(13b)는 특히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수단(14)의 바닥부측에 끼워진다.
취부부재(7)의 지지부재 수용부(7a)에는 힌지핀(9)을 삽입시키는 연결공(7b, 7b)이 형성되어 있다.
취부다리부(6)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턱을 가진 것으로서, 리프트 기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종래 공지의 것보다는 그 길이를 짧게 하고 있고, 그의 상단 일측에 부착공(6b)을 가진 부착편(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부부재(7)에는 양측판부(8, 8)의 각 일단부를 공유하여 폐색부(8a)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핀(9)은 특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9a)를 가지며, 헤더(header)가공한 탄소강선제인 것으로서, 지지부재(10)를 취부부재(7)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 후, 그의 끝단부를 코킹(caulking)함으로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취부부재(7)와 지지부재(10) 사이에 코킹에 의해 마찰 토크(friction torque)가 발생하도록, 그 취부부재(7)와 지지부재(10)를 연결하는 것이다.
지지부재(10)는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과 같은 합성수지제 재료로 성형한 것으로서, 힌지핀(9)의 연결공(10a)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 지지부(10b)를 다른쪽에 요동부(11)를 형성한 것이다.
지지부재(10) 양측부의 연결공(10a)의 주위에는 단면이 원형상을 나타낸 보스부(10c, 10c)(한쪽만 도시함)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부(11)의 요동 선단부측에는 단면이 반원형상을 나타낸 롤러 수용부(11a)가 형성되고, 이 롤러 수용부(11a)의 양측 단부에 롤러 수용부(11a)보다도 직경이 작은 반원 걸어맞춤부(11b, 11b)를 형성한 롤러 걸어맞춤편(11c, 11c)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0b)에는 원고압착판(3)의 후단부를 부착하는 걸어맞춤홈(10d 또는 10e) 및 부착나사의 나사공(10f)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0b)의 후단부에는 스토퍼부(10g)가 형성되어 있다.
롤러(12)에는 예를 들면 쾌삭 강제(快削鋼製)인 환봉 형상의 것으로서, 그의 양단부에 그의 중앙부(12a)보다도 직경이 작은 걸어맞춤부(12b, 12b)를 가지고, 그의 중앙부(12a)를 롤러 수용부(11a)내에 수용되면서 걸어맞춤부(12b, 12b)를 걸어맞춤편(11c, 11c)의 반원 걸어맞춤부(11b, 11b)에 끼워 넣고, 이것에 의해 롤러(12)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지만 좌우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이 롤러(12)는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회전하지 않더라도 스프링가이드(15)와의 접촉면에 윤활성의 그리스를 도포시킴으로서 윤활성이 촉진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탄성수단(14)을 구성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은 공지 구성의 SWP-B제인 것으로서, 원고압착판(3)의 중량 및 중심에 따라서 그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스프링가이드(15)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제의 재료로서 제작한 통형상인 것으로서, 주벽부(15a)와 상면부(15b)를 가진 탄성수단(14)의 상단부에 캡과 같이 덮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제어수단(17)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취부다리부(6)의 수장공(13)내부에 수장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14)과, 이 탄성수단(14)과대향시켜 지지부재(10)에 설치한 롤러(12)와, 이 롤러(12)와 탄성수단(14) 사이에 그 탄성수단(14)에 덮어서 부착된 통형상의 스프링가이드(1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부다리부(6)에 형성된 수장공(13)으로 탄성수단(14)을 수용시키고, 이 탄성수단(14)의 상단부에 스프링가이드(15)를 덮고, 지지부재(10)의 요동부(11)에 설치된 롤러수용부(11a)로 롤러(12)의 중앙부를 수용시키고, 그의 걸어맞춤부(12b 12b)를 반원 걸어 맞춤부(11b, 11b)에 끼워진 상태에서 요동부(11)를 지지부재 수용부(7a)에 삽입시켜 압입하고, 연결공(7b, 7b)과 연결공(10a)에 결합시킨 후, 이들의 연결공(7b, 7b)과 연결공(10a)에 힌지핀(9)을 삽입시켜 연결시킨 후, 힌지핀(9)의 단부를 코킹함으로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5)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에, 보스부(10c, 10c)와 지지부재 수용부(7a)의 내벽 사이에 마찰 토크가 창출되도록 하는 것은 임의로 할 수 있고, 다른 마찰부재를 개재시킴으로서 마찰 토크가 창출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 마찰 토크는 창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조립한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한쌍용이고, 지지부재(10)의 후단부를 원고압착판(3)의 후단부 하면에 부착한 후, 특히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2)의 뒷부분 상단에 형성된 부착공(2a, 2a)(한쪽만 도시함)에 취부부재(7)의 취부다리부(6)를 삽입시켜 그의 부착편(6a)을 부착나사(16)로 나사고정함으로서 원고압착판(3)을 장치본체(2)로 개폐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5)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3)을 장치본체(2)에 부착하고, 원고압착판(3)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 회전제어수단(17)의 롤러(12)는 특히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가이드(15)의 한쪽부측에 위치하게 하고, 탄성수단(14)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10)를 원고압착판(3)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동작 힘을 가하게 됨으로서 원고압착판(3)은 자체 중량과, 탄성수단(14)의 탄성력에 의해 콘택트유리(4) 위로 압착되고 있다. 다만, 이때는 탄성수단(14)의 탄성력이 롤러(12)에 작용하지 않도록 그의 유효 길이를 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원고압착판(3)은 그의 자체 중량만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고압착판(3)의 닫힌 상태에서, 콘택트유리(4) 위에 원고를 얹어놓기 위하여 그 원고압착판(3)을 열게 행하면, 힌지핀(9)을 지점으로 함께 회전하는 지지부재(10)에 의해 요동부(11)의 회전제어수단(17)을 구성하는 롤러(12)는 스프링가이드(15)를 개재하여 탄성수단(14)을 약간 압입하므로서 그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3)이 콘택트유리(4) 즉, 장치본체(2)에 대하여 대략 8°의 열림 각도가 되었을 때 탄성수단(14)의 중심작용선과 힌지핀(9) 및 롤러(12)의 중심선이 동일선상에 옴으로서 지지부재(10)는 어떤 방향에서도 회전동작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원고압착판(3)을 열게 되면 탄성수단(14)에 의해 힘을 가하는 방향이 반전하여 이번에는 원고압착판(3)을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0b)의 스토퍼부(10g)가 취부부재(7)의 폐색부(8a)에 맞닿을 때까지 열린다. 또한, 이 8°의 열림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에, 열린 원고압착판(3)은 열린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 상태로 되는 것이어서, 그 원고압착판(3)은 닫힌 방향으로 자연 낙하하는 것이 열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된다.
이 열린각도는 실시예의 것으로서 대략 50°이지만, 이 열린각도에 대해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열려진 원고압착판(3)을 닫을 때에는 대략 8°까지의 닫힌 각도까지로 탄성수단(14)을 롤러(12)를 개재하여 압입할 때의 저항으로 만나지만, 대략 8° 에서 힌지핀(9)과 롤러(12)의 중심선과, 탄성수단(14)의 작용중심선이 일치한 이후에는 탄성수단(14)이 롤러(12)를 위쪽의 원고압착판(3)을 닫는 방향으로 미는 탄력이 작용하여, 원고압착판(3)은 자체중량과 탄성수단(14)의 가하는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1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5)는 회전제어수단(17)에 의해 지지부재(10)의 회전제어를 통하여 원고압착판(3)의 닫힌 상태에서는 그 원고압착판(3)의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소정의 개폐각도에서는 원고압착판(3)을 열린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전체 열림 각도를 안정적으로 그 원고압착판(3)을 지지시켜둘 수 있는 다음에, 원고압착판(3)의 닫힘 조작 시에 놓여서는 그 원고압착판(3)이 급격히 닫히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롤러(12)를 설치한 것은 특히 중량이 가벼운 원고압착판(3)의 개폐조작 시에, 요동부(11)와 스프링가이드(15) 사이의 미끄러짐을 좋게 하여 개폐조작을 스무즈(smooth)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8과 9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2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20)는 회전제어수단(21)을 구성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22)으로 덮는 스프링가이드(23)의 구성이 다른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2에 관한 스프링가이드(23)는 SUS제의 통형상을 나타낸 본체부(23a)와, 이 본체부(23a)의 상단에 플랜지부(23b)를 가진 통형상의 것으로서, 본체부(23a)의 외경을 탄성수단(22)의 내경과 맞춰서 그 본체부(23a)를 탄성수단(22)의 내측으로 끼우므로 플랜지부(23b)를 탄성수단(22)의 상단부에 덮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시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3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25)에서는 회전제어수단(31)은 수장공(26a)내에 수장되고, 취부부재(26)와 지지부재(27) 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2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탄성수단(29)의 한쪽 단부(29a)를 취부부재(26)에 설치된 맞닿음부(26b)에 걸고, 다른쪽 단부(29b)를 지지부재(27)에 설치된 걸림공(27a)에 걸게 된다.
도 10과 도 11에서, 힌지핀(28)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부부재(26)와 지지부재(27)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3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25)는 회전제어수단(31)을 구성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29)의 토크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원고압착판(30)을 닫은 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시켜 그 원고압착판(30)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소정의 열림 각도에서의 뛰어오름은 취부부재(26)와 지지부재(27) 사이에 설치된 공지구성의 클릭(click)수단, 캠(cam)수단, 플릭션(friction)수단, 또는 걸어맞춤수단 등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수단(29)의 탄력에 의해 원고압착판(30)을 열게 될 때에는 그의 중량을 남기는 느낌이 없이 열림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원고압착판(30)이 열린 상태에서 자연 낙하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시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고, 보다 부품점수가 적게되어 구성이 간단하게 됨으로서 보다 단가가 낮은 원고압착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더욱이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4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35)에서는 회전제어수단(40)은 힌지핀(36)으로 서로 회전동작 가능하게 연결한 취부부재(37)와 지지부재(38) 사이에 뻗어 설치된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39)으로 구성되고, 수장공(37a)내에 수장시킨 것이다.
이 탄성수단(39)의 일단부(39a)를 취부부재(37)의 내측바닥부에 형성한 걸림부(37b)에 걸고, 타단부(39b)를 지지부재(38)의 걸림장공(38a)에 걸어서 구성한 것이고, 원고압착판(41)의 열림 위치에서의 안정유지는 탄성수단(39)의 타단부(39b)가 걸림장공(38a)내를 이동함으로서 도모되지만, 이 걸림장공(38a)과 함께 취부부재(37)와 지지부재(38) 사이에 설치된 공지구성의 클릭(click)수단, 캠(cam)수단, 플릭션(friction)수단, 또는 걸어맞춤수단 등에 의해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시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고, 보다 부품점수가 적게되어 구성이 간단하게 됨으로서 보다 단가가 낮은 원고압착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복사기(화상형성장치) 2: 장치본체
2a: 부착공 3: 원고압착판
4: 콘택트 유리 5: 실시예1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6: 취부다리부 6a: 부착편
6b: 부착공 7: 취부부재
7a: 지지부재 수용부 7b: 연결공
8: 양측판부 8a: 폐색부
9: 힌지핀 9a: 플랜지부
10: 지지부재 10a: 연결공
10b: 지지부 10c: 보스부
10d: 걸어맞춤 홈부 10e: 걸어맞춤 홈부
10f: 나사공 10g: 스토퍼부
11: 요동부 11a: 롤러 수용부
11b: 반원 걸어맞춤부 11c: 걸어맞춤편
12: 롤러 12a: 중앙부
12b: 걸어맞춤부 13: 수장공
13a: 바닥부 13b: 보스부
14: 탄성수단 15: 스프링가이드
15a: 주벽부 15b: 상면부
16: 부착나사 17: 회전제어수단
20: 실시예2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1: 회전제어수단
22: 탄성수단 23: 스프링가이드
23a: 본체부 23b: 플랜지부
25: 실시예3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6: 취부부재
26a: 수장공 26b: 맞닿음부
27: 지지부재 27a: 걸림공
28: 힌지핀 29: 탄성수단
29a: 한쪽 단부 29b: 다른쪽 단부
30: 원고압착판 31: 회전제어수단
35: 실시예4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6: 힌지핀
37: 취부부재 37a: 수장공
37b: 걸림부 38: 지지부재
38a: 걸림장공 39: 탄성수단
39a: 일단부 39b: 타단부
40: 회전제어수단 41: 원고압착판

Claims (7)

  1.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장공을 설치한 통형상의 취부다리부를 가진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의 상부에 설치한 양측판부에 힌지핀을 개재하여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사이에 설치된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취부다리부의 상기 수장공 내부에 수장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과, 이 탄성수단과 대향시켜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한 롤러와, 이 롤러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 사이에 그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덮어씌워서 부착된 통형상의 스프링가이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이드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그의 외주와 상단부를 덮어 부착되는 통형상의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이드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그 압축코일스프링의 내측과 상단부를 덮어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가진 통형상의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스프링가이드와 맞닿는 부분에 롤러를 부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부에 설치한 롤러수용부에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상기 취부다리부의 상기 수장공 내에 수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상기 취부다리부의 상기 수장공 내에 수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사이에 뻗어 설치된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20100049494A 2009-06-08 2010-05-27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1295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7740A JP5645210B2 (ja) 2009-06-08 2009-06-08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JP-P-2009-137740 2009-06-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936A Division KR101352667B1 (ko) 2009-06-08 2013-04-10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20130038937A Division KR101327662B1 (ko) 2009-06-08 2013-04-10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919A true KR20100131919A (ko) 2010-12-16
KR101295993B1 KR101295993B1 (ko) 2013-08-13

Family

ID=432633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494A KR101295993B1 (ko) 2009-06-08 2010-05-27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20130038936A KR101352667B1 (ko) 2009-06-08 2013-04-10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20130038937A KR101327662B1 (ko) 2009-06-08 2013-04-10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936A KR101352667B1 (ko) 2009-06-08 2013-04-10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20130038937A KR101327662B1 (ko) 2009-06-08 2013-04-10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45210B2 (ko)
KR (3) KR101295993B1 (ko)
CN (1) CN101907845B (ko)
TW (1) TWI4229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0057B2 (ja) * 2011-03-25 2015-10-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28585B2 (ja) * 2013-02-13 2017-05-1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2014190493A (ja) * 2013-03-28 2014-10-06 Koshin Kogyo Kk 開閉装置および開閉装置を製造する方法
CN103252534B (zh) * 2013-04-28 2019-03-26 翟秋朗 具有封闭装置的切割机
JP2015018123A (ja) * 2013-07-11 2015-01-2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カバー開閉装置
JP2015017678A (ja) * 2013-07-11 2015-01-2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カバー開閉装置
JP6810439B2 (ja) * 2015-03-24 2021-01-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支持装置
JP6601898B2 (ja) * 2015-03-31 2019-11-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の開閉装置
JP6507396B2 (ja) * 2015-05-19 2019-05-08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6311658B2 (ja) * 2015-06-19 2018-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の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原稿搬送装置
JP6764184B2 (ja) * 2016-07-04 2020-09-30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事務機器のヒンジ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819998B2 (ja) * 2016-10-31 2021-01-2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JP6975439B2 (ja) * 2017-01-10 2021-12-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7064742B2 (ja) * 2017-12-27 2022-05-1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装置、及びゲーム機
JP7262091B2 (ja) * 2017-12-28 2023-04-2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開閉装置、並びに情報端末機器
CN108505863B (zh) * 2018-05-22 2023-11-17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门板缓冲助力装置及汽车
CN111845483B (zh) * 2019-04-29 2023-09-1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装置及儿童安全座椅
US11952812B2 (en) * 2019-06-20 2024-04-09 Nikolaos Zafeirakis Contact-minimizing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CN114423163B (zh) * 2022-01-19 2022-10-28 深圳市荣晟泰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板用电路预留孔位制造设备
CN115923313B (zh) * 2023-01-18 2023-11-24 宿迁市京沪木业有限公司 一种板材生产压合设备的板材定位装置及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2764A (ja) * 1982-02-03 1983-08-08 Ricoh Co Ltd 複写機におけるカバ−開閉装置
JP2542522Y2 (ja) * 1991-05-22 1997-07-30 株式会社ショーワ スプリングバランサ
CN1139014A (zh) * 1995-06-29 1997-01-01 科防工业株式会社 壁挂型自动灭火器
JP3611259B2 (ja) * 1995-09-29 2005-01-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408111B2 (ja) * 1997-05-15 2003-05-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728385B2 (ja) * 1998-12-11 2005-12-21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4157657B2 (ja) * 1999-09-29 2008-10-01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開閉体のヒンジ
JP2001355371A (ja) * 2000-06-14 2001-12-26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小型ヒンジ装置
KR100507526B1 (ko) * 2002-09-14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힌지
JP4072473B2 (ja) * 2002-10-01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46622B2 (ja) * 2003-02-18 2008-02-13 日本発条株式会社 跳ね上げ式門扉
JP4116992B2 (ja) * 2004-11-11 2008-07-0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TW200712746A (en) * 2005-09-16 2007-04-01 Asia Optical Co Inc Articulated arm
JP4672570B2 (ja) * 2006-02-15 2011-04-20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開閉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29765B2 (ja) * 2007-04-19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429767B2 (ja) * 2007-08-31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382760B2 (ja) * 2007-11-02 2014-01-0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44098A (en) 2010-12-16
CN101907845A (zh) 2010-12-08
KR101295993B1 (ko) 2013-08-13
CN101907845B (zh) 2014-12-24
JP2010282158A (ja) 2010-12-16
JP5645210B2 (ja) 2014-12-24
KR101327662B1 (ko) 2013-11-13
KR20130046410A (ko) 2013-05-07
KR101352667B1 (ko) 2014-01-16
TWI422954B (zh) 2014-01-11
KR20130046409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99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1019775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200141786Y1 (ko) 틸트힌지
JP364135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966164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KR101241616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202088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
US8511818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hav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4898215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US10788785B2 (en) Document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1245026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N110187623B (zh) 盖体开合装置及各种机器
JP7134470B2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各種機器
KR10143574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JP435159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19095524A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各種機器
JP570462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4898216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748534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200616318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WO2019054501A1 (ja) カムヒンジ装置
JP2023183757A (ja) 開閉支持装置及び事務機器
CN205081842U (zh) 铰链
CN117061672A (zh) 开合支撑装置
JP2024056404A (ja) 開閉装置並びにこの開閉装置を用いた事務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