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743B1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743B1
KR101435743B1 KR1020130009786A KR20130009786A KR101435743B1 KR 101435743 B1 KR101435743 B1 KR 101435743B1 KR 1020130009786 A KR1020130009786 A KR 1020130009786A KR 20130009786 A KR20130009786 A KR 20130009786A KR 101435743 B1 KR101435743 B1 KR 10143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s
mounting
opening
moun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446A (ko
Inventor
스즈키 나오카즈
Original Assignee
켐 홍콩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켐 홍콩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켐 홍콩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07Holders for the original in copying cameras
    • G03B27/6221Transparent copy platens
    • G03B27/6228Platen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원고압착판을 OA기기의 장치본체에 취부할 때 또는 OA기기의 수리점검시, 원고압착판의 취부위치의 조절시등에 손가락을 끼여버리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OA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OA기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취부부재의 후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후부와의 사이에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상기 취부부재의 후판에 설치한 곳의 상단에 한 쌍의 돌기부를 설치한 스토퍼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배판의 후부를 신장시켜 설치한 곳의 상기 돌기부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각도에 있어서 감입(嵌入)시키는 구를 갖는 신장부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Opening-closing device of manuscript pressing plate and OA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합기나 인쇄기, OA기기 등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원고압착판 등을 개폐가능하게 취부할 때 이용하여 좋은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OA기기에 관한다.
종래, 특히 복합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취부베이스와 이 취부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시작한 양측판과 후판 또는 이 후판에 취부한 스토퍼부재를 가지며,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본체측에 취부하는 취부부재와 적어도 배판과 이 배판으로부터 절곡한 양측판을 가지며, 이 양측판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와, 원고압착판을 취부하는 배판과 이 배판으로부터 절곡한 양측판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측에 연결핀을 이용하여 그 지지부재와는 다른 방향에 그 양측판을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축착한 리프트부재와, 이 리프트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축착부측이며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연결핀을 지점으로 선회하는 위치에 설치된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측의 양측판 간에 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에 축가시킨 수압부재와, 이 수압부재에 캠부를 당접시켜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접동가능하게 수장된 캠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 내의 자유단측에 상기 작동부재에 당접시켜 접동가능하게 수장된 스프링 수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와 상기 스프링 수부재와의 사이에 탄설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부재를 지지부재와 결합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적어도 원고압착판의 열림방향에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한 것이 공지이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OA기기가, 하기 특허문헌 1 또는 2에 의해 공지이다.
[특허문헌 1] 특개 2011-123421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11-133557호 공보 원고압착판을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취부한 때에는 예를 들면,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코일스프링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탄성수단의 탄력에 의해 원고압착판은 취부부재에 대하여 소정 각도 연 상태에 있다. 이 열림각도에 있어서는 탄성수단이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원고압착판을 열림방향에 압압하는 힘이 약한것에서 원고압착판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힘이 더해지면 원고압착판이 힌지핀을 지점으로 상하방향에 요동하는 것이 된다. 원고압착판을 복합기의 조립시에 장치본체에 취부할 때는 먼저 원고압착판의 후부를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리프트부재나 지지부재에 취부하여, 취부부재의 부분을 손으로 들어 장치본체에 취부부재를 취부하는 것이 된다. 또는 장치본체나 원고자동보냄장치의 보수점검시나 수리시에는 동일하게 취부부재의 부분을 손으로 들어 취부부재의 착탈작업을 행한다. 더욱이, 원고압착판의 취부위치를 조정하는 때에는 동일하게 취부부재를 손으로 들어 이 조정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은 때에, 종래의 원고압착장 개폐장치는 취부부재의 후판 또는 이 후판에 취부한 스토퍼부재와,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부재의 후단부와의 사이의 간극이 넓은 것에서 흔들흔들하는 원고압착판에 의해 상기 간극의 사이에서 손가락이 껴 다친다고 하는 것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상기 구성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원고압착판을 OA기기의 장치본체에 취부하는 때에 취부부재의 후판 또는 이 후판에 취부한 스토퍼부재와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부재의 각 후판과의 사이에서 손가락이 끼여버리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OA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취부베이스와 이 취부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시작한 양측판과 상기 취부베이스의 후부에 설치한 후판을 가지며,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본체측에 취부하는 취부부재와, 배판과 이 배판으로부터 절곡된 양측판을 가지며, 이 양측판의 일단부측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한 원고압착판의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당해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기 위하여 탄설한 탄성수단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의 후부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후부와의 사이에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상기 취부부재의 후판에 취부한 곳의 상단에 한 쌍의 돌기부를 설치한 스토퍼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배판의 후부를 신장시켜 설치한 곳의 상기 돌기부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각도에 있어서 감입(끼워 넣음(嵌入))시키는 구부(溝部)를 갖는 신장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취부베이스와 이 취부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시작한 양측판과 상기 취부베이스의 후부에 설치한 후판을 가지며,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본체측에 취부하는 취부부재와, 적어도 배판과 이 배판으로부터 절곡한 양측판을 가지며, 이 양측판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와, 적어도 배판과 이 배판으로부터 절곡한 양측판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측(자유롭게 움직이는 앞단측에(自由先端側))에 연결핀을 이용하여 그 지지부재와는 다른 방향에 그 양측판을 회전가능이 되도록 축착(축에 고정 부착(軸着))한 곳의 원고압착판을 갖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측의 양측판 간에 축가(軸架)시킨 수압부재와, 이 수압부재에 캠부를 당접시켜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접동가능하게 수장된 캠슬라이더와, 이 캠슬라이더와 상기 리프트부재와의 사이에 탄설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부재를 지지부재와 결합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의 후부와 상기 지지부재 및 또는 리프트부재의 후부와의 사이에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상기 취부부재의 후판에 취부한 곳의 상단에 한 쌍의 돌기부를 설치한 스토퍼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및 또는 상기 리프트부재의 배판의 후부를 신장시켜 설치한 곳의 상기 돌기부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각도에 있어서 감입(끼워 넣음(嵌入))시키는 구부(溝部)를 갖는 신장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취부부재는 그 취부베이스로부터 취부 각부가 수설(늘어뜨려 설치(垂設))하고, 이 취부각부가 장치본체에 설치한 취부삽입공에 상하작동(上下作動)이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상기 취부부재의 후판에 일체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구부(溝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장공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계되는 OA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장치본체와 원고압착판과의 사이에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취부부재의 후판 또는 이 후판에 취부한 스토퍼부재와, 지지부재나 리프트부재의 각 후단부와의 사이의 간극이 좁아진 것에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손가락으로 유지하여 장치본체에 착탈을 행하여도 취부부재의 후판 또는 이 후판에 취부한 스토퍼부재와, 지지부재나 리프트부재의 각 후단부와의 사이에서 손가락을 끼여 다쳐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하는 작용효과를 상주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예를 들면 복합기와 같은 OA기기의 원고압착판을 열어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A-A선의 부분으로 나눠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취부부재를 나타내고, (a)는 그 측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지지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스토퍼부재를 나타내고,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측단면도, (c)는 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스토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손가락낌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그 측단면도, (b)는 그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손가락낌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그 평면도, (b)는 그 배면도이다.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OA기기 중의 복합기 또는 복합기에 이용되어지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복합기 또는 복합기 이외의 인쇄기나 팩시밀리, 스캐너 등 OA기기에도 이용되어 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합기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합기(A)의 장치본체(a) 상에는 한 쌍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B′)를 이용하여 자동 원고보냄장치(c) 장착의 원고압착판(C)가 개폐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 B′)는 일방의 자동 원고보냄장치(c)가 취부되어 있는 도중 좌측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는 개폐조작시에 더해지는 하중이 크기 때문에 탄성수단(12)를 구성하는 코일스프링을 병설하여 이루어지는 더블코일스프링이지만, 우측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는 하중이 작기 때문에 도시는 하지 않지만 싱글코일스프링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부분의 구성은 원칙적으로 횡폭이 다른 것뿐이고, 기본적으로는 같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측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탄성수단을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스프링의 전부 또는 일부는 대소의 지름의 코일스프링을 동심상으로 겹친 것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는 장치본체(a)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재(1)과, 이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에 그 양측판(2b, 2b)를 힌지핀(3)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2)와, 이 지지부재(2)의 양측판(2b, 2b)의 자유단측(자유롭게 움직이는 앞단측에(自由先端側))에 연결핀(4)를 이용하여 그 지지부재(2)와는 다른 방향에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축착(축에 고정 부착(軸着))한 곳의 원고압착판(C)를 취부하는 리프트부재(6)과,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사이에 설치한 수압부재(5)와, 이 수압부재(5)에 캠부(10a)를 당접시켜 상기 지지부재(2) 내부에 포지판(2c, 2c) 에 감싸져 접동가능하게 수장된 캠슬라이더(10)과, 리프트부재(6)의 양측판(6b, 6b)사이에 설치한 작동부재(9)와, 이 작동부재(9)에 당접시켜 지지부재(2) 내부에 접동가능하게 수장된 스프링 수부재(11)과, 캠슬라이더(10)과 스프링수부재(11)과의 사이에 탄설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부재(6)을 지지부재(2)와 결합하는 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지지부재(2)를 적어도 원고압착판(C)의 열림방향에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와, 취부부재(1)의 후부상부와 지지부재(2) 및 또는 리프트부재(6)의 후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손가락낌 방지수단(13)으로 구성한 것이다.
더욱이 자세하게는 취부부재(1)은 특히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치본체(a)상에 취부되는 취부베이스(1a)와, 이 취부베이스(1a)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당해취부베이스(1a)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에 절곡한 양측판(1b, 1b)와, 취부베이스(1a)의 일단부(후단부)로부터 이 취부베이스(1a)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방향(약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에 절곡하여, 그 양측부의 일부를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에 계지된 약 구형상의 후판(1c)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그 외 지시기호(1d, 1d)의 것은 힌지핀 취부공이며, 지시기호(1e, 1e)의 것은 수압부재 취부공이며, 더욱이 지시기호(1f, 1f)의 것은 도시하지 않은 계지핀의 계지공이다. 더욱이 지시기호(1g, 1g)는 계지편이며, 지시기호(1h, 1h)(일방만 표시)는 계지편(1g, 1g)를 계지시키는 계지공이며, 더욱이 지시기호(1i, 1k)는 취부공이다.
도 4 ~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취부부재(1)의 후판(1c)에는 원고압착판(C)의 개폐조작시에 있어 지지부재(2)의 최대 열림각도(60°)를 결정하는 스토퍼부재(8)이 취부비스(8a, 8a)를 이용하여 취부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재(8)은 특히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면 약 H형상을 나타내고, 취부판부(8b)와 이 취부판부(8b)의 양측으로부터 절곡한 양측판(8c, 8c)와, 이 양측판(8c, 8c)의 상단부에 경사시켜 설치한 스토퍼부(8d, 8d)를 가지며, 이 스토퍼부(8d, 8d)에는 상방에 돌축한 돌기부(8e, 8e)가 설치되어 있고, 돌기부(8e, 8e)는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구성하고 있다.
지지부재(2)는 특히 도 9에도 나타낸 것과 같이, 배판(2a)와 이 배판(2a)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에 절곡된 양측판(2b, 2b)와, 이 양측판(2b, 2b)의 하단측으로 부터는 함께 내측에 구부려진 포지판(2c, 2c)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양측판(2b, 2b)는 상술한 것과 같이 힌지핀(3)에 의해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양측판(2b, 2b)의 자유단측(자유롭게 움직이는 앞단측에(自由先端側))에는 연결핀(4)를 이용하여 리프트부재(6)이 회전가능하게 축착(축에 고정 부착(軸着))됨과 함께 작동부재(9)의 양단측이 밀고 들어간 가이드구부(2d, 2d)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배판(2a)의 후부는 후방에 신장되어 후술하는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구성하는 신장부(2e)가 설치되어, 이 신장부(2e)의 양단부측에는 이것도 후술하는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구성하는 구부(溝部)(2f, 2f)가 설치되어 있다. 그외, 지시기호(2h, 2h)는 계지공, 지시기호(2i, 2i)는 조립시에 이용하는 스토퍼공이다.
힌지핀(3)은 그 양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주구를 설치한 금속제의 환봉이며 취부부재(1)의 힌지핀 취부공(1d, 1d)에 취부된 도시하지 않은 축수부재를 관통하여 지지부재(2)의 양측판(2b, 2b)를 연결하고 예를 들면, E링(3a, 3a)로 발지규제 되어 있다. 또한 이 힌지핀(3)은 그 일단부에 플랜지부를 설치하고, 타단부를 E링으로 발지규제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리프트부재(60은 배판(6a)와, 이 배판(6a)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당해 배판 (6a)에 대하여 직교하는 하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에 절곡한 양측판(6b, 6b)와, 이 양측판(6b, 6b)로부터 더욱이 외측에 절곡한 취부판(6c, 6c)로부터 이루어지고, 지지부재(2)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고, 배판(6a)에는 그 후방에 향하여 후술하는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구성하는 신장부(6d)가 설치됨과 함께 이 신장부 (6d)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구부(溝部)(6e, 6e)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리프트부재(6)이 연결핀(4)로 축착(축에 고정 부착(軸着))되어 있는 측에는 핀모양의 작동부재(9)가 취부됨과 함께 취부판(6c, 6c)에는 원고압착판(C)가 취부되는 구성이다. 또한 배판(6a)에 취부되어 있는 조절나사(7a)와 너트(7b)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은 높이 조절수단(7)이며 원고압착판(C)의 원고 적치대(d)(콘택트글라스)에 대한 높이를 미조정하여 원고압착판(C)가 균등하게 원고적치대(d)(콘택트글라스)의 윗면에 압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의 구성에 의해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리프트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의 것도 있고, 그 경우에는 원고압착판(C)는 지지부재(2)에 취부된다. 더욱이 지시기호(6f)는 스토퍼핀 삽통공이다.
연결핀(4)는 금속제의 환봉으로 양단부측에 도시하지않는 주구를 가지며, 지지부재(2)의 양측판(2b, 2b)와 리프트부재(6)의 양측판(6b, 6b)를 연결하고, 주구에 E링(4a, 4a)를 계지시키는 것에 의해 발지규제되어 있다.
지지부재(2) 내에서는 포지판(2c, 2c)에 감싸져 캠슬라이더(10)과 스프링 수부재(11)이 접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캠슬라이더(10)과 스프링 수부재(11)은 단면구형의 유저통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캠슬라이더(10)의 일단부측의 수압부재(5)측에는 일방향에 경사시켜 윗면이 평탄한 캠부(10a)가 설치됨과 함께 수압부재(5)의 노출측을 덮는 커버(10b)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수부재(11)의 일단부측의 작동부재(9)측에는 당접부(11a)가 융기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당접부(11a)는 필수가 아니며 일면에 평탄부로서도 좋다. 캠슬라이더(10)과 스프링 수부재(11)은 서로의 개구부가 마주보도록 지지부재(2) 내에 접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의 측은 수압부재(5)와 당접하고, 스프링 수부재(11)의 당접부(11a)측은 작동부재(9)와 당접하고 있다.
또한 작동부재(9)는 실시예의 것은 양단부측에 도시하지 않은 주구를 가지며, 이 주구에 E링(9a, 9a)를 계지시키는 것에 의해 리프트부재(6)의 양측판(6b, 6b)에 발지규제되어 취부되어 있다. 이 작동부재(9)는 금속제의 환봉이지만, 상기 실시예의 외에 리프트부재(6)에 정판을 설치하고, 이 정판을 내측에 절곡하여 작동부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작동부재(9)는 양측판(6b, 6b) 사이에 회전가능 또는 고정하여 취부할 수 있다.
캠슬라이더(10)과 스프링 수부재(11)의 사이에 서로의 양단부측을 당해 캠슬라이더(10)과 스프링 수부재(11)의 서로의 개구부 내에 삽입시켜, 대경 코일스프링과 소경 코일스프링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탄성수단(12)가 탄설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캠부(10a)는 수압부재(50)와 압접하고, 당접부(11a)는 작동부재(9)와 압접상태에 있다. 이 탄성수단(12)는 1개라도 2개 이상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2개 병립 또는 도면에 나탄낸 것과 같이, 대경 코일스프링과 소경 코일스프링이 결합하여 설치되어 있고, 캠슬라이더(10)과 스프링 수부재(11)을 각각 서로 이간하는 방향에 힘을 가하고 있다.
수압부재(5)는 외형이 단면 약 4각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의 것으로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사이에 축가(軸架)한 금속제의 수압핀(5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그 장변측의 일측부를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에 당접시키고 있다. 캠부(10a)와 수압부재(5)의 접촉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윤활용의 구리스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이 수압부재(5)의 재료는 합성수지에 한하지않고 소결금속, 세라믹, 기계가공물 그 외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수압핀(5a)는 그 양단부를 코킹하는 것에 의해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에 고정하여도 좋고, E링을 이용하여 발지규제하여도 좋다. 또한 회전가능하게 양측판(1b, 1b)에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수압부재(5)는 수압핀(5a)를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양측판(1b, 1b)에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은 지지부재(2)와 리프트부재(6)의 각 후단부를 더욱이 후방에 신장시켜 취부부재(1)의 후부측 상방을 덮도록 설치한 신장부(2e, 6d)와, 취부부재(1)의 후판(1c)에 취부한 스토퍼부재(8)에 설치한 돌기부(8e)와, 이 돌기부(8e)를 감입(끼워 넣음(嵌入))시키기 위하여 각 신장부(2e, 6d)에 설치한 구부(溝部)(2f, 2fㆍ6e, 6e)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상선으로 나타낸 원고압착판(C)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주로서 당해 원고압착판(C)의 중량에 의해 탄성수단(12)의 탄력에 반하여 원고압착판(C)는 닫혀져 안정한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요즘은 탄성수단(12)의 작용선을 수압부재(5)의 하방에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 원고압착판(C)를 개식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닫힘상태에 있어서, 수압부재(5)의 슬라이드롤러(5b)는 그 장경부측의 접접부(5c)를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와 면접촉시키고 있고, 제일 압축된 상태의 탄성수단 (12)의 탄력을 면으로 받고 있다.
이 닫힘상태에 있어서는 신장부(2e)나 신장부(6d)가 후방에 늘어져 취부부재(1)이나 스토퍼부재(8)의 상단부측을 덮고, 더욱이 돌기부(8e, 8e)가 간극의 외방향을 막기 때문에, 취부부재(1)의 부분에 손을 닿은 상태 때에 원고압착판(C)가 불의에 열어도 취부부재(1)이나 스토퍼 일부재(8)과 지지부재(2)나 리프트부재(6)의 후단부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끼여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의(c) 에 있어서 지시기호(8f, 8f ㆍㆍㆍ)는 취부공이다.
또한 이 종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에 있어서, 손가락을 끼우기 쉬운 것은 원고압착판(C)를 장치본체(a)에 취부할 때, 또는 보수 점검시에 있어서 원고압착판 (C)를 장치본체(a)에 대하여 착탈작업착 행할 때 및 원고압착판(C)의 취부위치를 조정할때등에 있다. 이들의 작업은 원고압착판(C)를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에 취부한상태에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의 부분을 양손으로 들어 행하는 것이 통상이다. 원고압착판(C)를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의 실시예에서는 리프트부재(6)에 취부한 상태는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태이며, 원고압착판(C)는 연 상태에 있다. 이 열림 각도에 있어서 원고압착판(C)가 힌지핀(3)의 축 주위에 발생시키는 회전 토르크는 별로 강하지않는 것에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의 부분을 양손으로 들어 착탈작업이나 조정작업을 행하면 원고압착판(C)는 용이하게 힌지핀(3)을 지점으로 상하방향(결국 개폐방향)에 흔들흔들하게 요동하고, 그때에 손가락을 취부부재(1)과 지지부재(2) 및 또는 리프트부재(6)의 후부와의 사이에 끼우기 쉬운 것이 된다.
걸치는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하면, 취부부재(1) 또는 이 취부부재(1)에 취부한 스토퍼부재(8)과 지지부재(2) 및 또는 리프트부재(6)과의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는 것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이 간극부분에 손가락을 닿게 해서 취부부재(1)의 장치본체(a)에 대한 착탈작업이나 조정작업을 행하여도, 손가락이 끼이는 위험성은 없다. 즉, 원고압착판(C)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신장부(2e, 6d)와 스토퍼부재(8)의 돌기부(8e, 8e)와 신장부(2e, 6d)에 설치한 구부(溝部)(2f, 2fㆍ6e, 6e)에 의해, 취부부재(1)과 지지부재(2) 및 또는 리프트부재(6)과의 사이의 간극이 작은 것에 의해 손가락을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고압착판(C)의 취부시나 보수점검, 수리시 및 취부위치의 조절시에 있어서도 신장부(2e, 6d)와 스토퍼부재(8)의 돌기부(8e, 8e)와 신장부(2e, 6d)에 설치한 구부(溝部)(2f, 2fㆍ6e, 6e)에 의해, 취부부재(1)의 부분을 손을로 들어 작업을 행하여도, 취부부재(1) 또는 이 취부부재(1)에 취부한 스토퍼부재(8)과 지지부재(2) 및 또는 리프트부재(6) 과의 사이의 간극이 작은 것에 의해, 손가락을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상태에서 원고압착판(C)를 열면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의 수압부재(5)에 대한 당접위치가 그 캠부(10a)의 높은 쪽에서 낮은 쪽에 면접촉 상태를 유지시킨 채 이동하는 것에서, 탄성수단(12)의 탄력에 의해 원고압착판(C)는 그 본래의 중량을 감살된 상태로 열려진다. 연 원고압착판(C)로부터 손을 놓으면 수압부재(5)의 당접위치가 탄성수단(12)에 의해 일방향에 접동하는 힘을 가하는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의 높은 쪽에 이동하는 프리쿠션 저항에 조우하는 것에 의해, 원고압착판(C)가 지지부재(2)를 이용하여 힌지핀(3)의 주위에 발생시키는 회전모멘트와 탄성수단(12)의 탄력과, 캠슬라이더(10)의 캠부 (10a)에 당접하고 있는 수압부재(5)에 의해 창출되는 회전 토르크가 균형하다. 실시예의 것은 원고압착판(C)의 10°이상의 열림각도에서 이 원고압착판(C)를 안정 정지 유지한다.
또한, 손가락낌 방지수단(13)에 있어서는 특히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를 장치본체(a)에 취부하거나, 취부후에 대한 취부위치를 조절하는 때에 손으로 취부부재(1)의 부분을 유지하여도, 지지부재(2)나 리프트부재(6)의 배판(2a)나 배판(6a)의 후부에 신장부(2e)나 신장부(6d)를 설치하여 취부부재(1)의 후부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적게 하여, 또한 스토퍼부재(8)에 원고압착판(C)의 열림각도에 의해 신장부(2e, 6d)에 설치한 구부(溝部)(2f, 2f나 6e, 6e)에 끼이는 돌기부(8e, 8e)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손가락이 취부부재(1)과 지지부재(2)나 리프트부재(6)과의 사이에 끼여 다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 원고압착판(C)를 닫을 때에는 이 원고압착판(C)는 수압부재(5)가 탄성수단(12)의 탄력에 반하여 캠부(10a)의 높은 쪽에 슬라이드 하는 때의 저항에 조우하지만 손에 의한 원고압착판(C)에 대하여 압압력과 원고압착판(C)의 중량과, 관성력에 의해 닫혀져 닫힘 각도, 예를 들면 10°가 되면, 원고압착판(C)의 닫힘방향의 모멘트가 이기기 시작하고, 손을 놓아도 자동적으로 닫혀 지는 것이 된다. 그리고 원고압착판(C)의 개폐조작시의 사이 중에 수압부재(5)와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와는 면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에 캠슬라이더(10)에 더해지는 하중이 분산됨과 함께 윤활용의 구리스의 유지상태가 유지되는 것에서, 캠슬라이더(10)에 과대한 하중이 걸치는 것을 방지하여, 또한 여러 해(永年) 사용시에 있어서도 구리스 떨어짐에 의한 마모나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압부재(5)와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와의 접동면에 구리스통을 설치하면 한층더 구리스의 유지능력이 향상하는 것이다. 이 구리스 통은 수압부재(5) 또는 캠부(10a)의 일방 또는 쌍방에 설치할 수 있다. 구리스통의 형상과 위치에 대해서는 한정은 없다.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원고의 경우에는 이 두꺼운 원고를 도 1에 나타낸 원고적치대(d)(콘택트글라스)상에 놓아 원고압착판(C)를 아래로 누르면 도 6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연결핀(4)를 지점으로 회전하는 리프트부재(6)의 양측판(6b, 6b)에 취부한 작동부재(9)에 의해 스프링수부재(11)이 눌려져 탄성수단(12)의 탄력에 반하여 캠슬라이더(10) 측에 접동함과 함께 원고압착판(C)가 리프트부재(6)과 함께 연결핀(4)를 축으로 회전하여, 두꺼운 원고의 윗면을 수평으로 덮게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는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장치본체(a)의 윗면에 안정하여 압착되어 특히 두꺼운 원고의 경우에는 외광이 콘택트글라스로부터 장치본체 내의 노출계에 침입하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더욱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2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E)는 리프트부재가 없는 점에서 실시예 1의 것과 다르다. 즉, 취부부재(20)에는 취부베이스(20a)와 양측판 (20b, 20b)(일방만 표시)와, 후판(20c)를 가지고 취부베이스(20a)에 취부각부(2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취부각부(21)은 장치본체(a)에 설치한 취부삽입공(a′)에 삽탈자재하게 삽입되어 장치본체(a)에 취부되어 있다. 지지부재(22)는 배판(22a)와, 이 배판(22a)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에 절곡하여 형성시킨 양측판(22b, 22b)와 이 양측판(22b, 22b)의 하단부측으로부터 내측에 절곡하여 형성시킨 포지판(22c, 22c)(일방만 표시)와 배판(22a)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에 절곡하여 형성시킨 정판(22d)와, 이 정판(22d)를 지지하고 양측판(22b)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내측에 절곡한 누름판부(22e, 22e)(일방만 표시)로부터 구성되어, 힌지핀(23)을 이용하여 취부부재(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지시기호(8)의 것은 취부부재(20)의 후판(20c)에 취부한 스토퍼부재이며, 지시기호(8e)의 것은 스토퍼부재(8)의 측판(8c)의 상단부에 설치한 돌기부이다. 이 스토퍼부재(8)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것과 같다.
손가락낌 방지수단(24)가 취부부재(20)과 지지부재(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점은 실시예 1의 것과 같다. 더욱이 도시의 것에서는 실시예 1의 것과 같이 개구부를 갖는 스프링 수부재를 설치하여도 좋지만, 이것은 생략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탄성수단의 단부는 지지부재(22)의 정판(22d)의 내측에 압접하는 것이 된다. 그외의 지시기호의 같은 것은 실시예 1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B)의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손가락낌 방지수단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3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취부부재(25)는 취부베이스(25a)와 양측판(25b, 25b)와, 후판(25c)를 갖지만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스토퍼수단(26)을 취부부재(25)의 후판(25c)에 직접 일체에 설치된다. 즉,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스토퍼수단(26)은 취부부재(25)의 후판(25c)의 상단부에 직접 설치되어 있고, 후판(25c)의 상단부를 후방에 절곡하여 스토퍼부(26a)를 형성시켜, 이 스토퍼부(26a)의 양단부를 각각 내측에 절곡하여 돌기부(26b, 26b)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실시예 1의 것과 같이 별도 스토퍼부재를 필요로 하는 것은 없는 것에서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3(a),(b)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손가락낌 방지수단(32)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4에 관계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지지부재(30)과 리프트부재(31)에는 앞의 실시예 1에 나타낸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구성하는 구부(溝部)(2f, 2fㆍ6e, 6e)가 절결 상태가 아니고, 장공(30c, 30c)와 장공(31c, 31c)가 되어 있다. 또한 이 장공(30c, 30c)와 장공(31c, 31c)는 실시예 1의 구부(溝部)(2f, 2fㆍ6e, 6e)의 전부 또는 일부에 실시할 수 있다. 각 장공(30c, 30c와 31c, 31c)는 이들을 도시한 것과 같이 장각공으로 하는 것이 좋지만, 양단부의 일방 또는 쌍방을 반원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부재(30)의 측의 장공(30d, 30d)는 (b)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판(30a)의 후단부로부터의 절곡부(30b)까지 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하면, 배판(30a)의 부분의 강도 향상에 기여할수 있다. 이 지지부재(30)의 배판(30a)에 대하여 장공(30d, 30d)의 설치 쪽은 리프트부재(31)의 배판(31a)에 설치한 절곡부(31b)에 실시하여도 좋다. 그렇지만 리프트부재(31)의 장공(31c, 31c)를 도시와 같이 실시하면, 지지부재(30)의 측의 장공(30d, 30d)에 끼인 손가락을 밖으로 밀어내는 효과가 바라진다.
이와 같이 실시하면, 실시예 1의 구부(溝部)(2f, 2fㆍ6e, 6e)의 것과 다르고, 손가락이 끼이는 방향이 닫혀져 있기 때문에 더욱이, 손가락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 외의 실시예로서 지지부재와 리프트부재의 양방을 갖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신장부는 지지부재와 리프트부재의 일방에 설치하고, 타방에는 신장부를 설치하지 않는 실시예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원고압착판의 장치본체에 취부시나 취놓을 때 또는 원고압착판의 취부위치의 조절시등에 있어서 손가락을 끼이는 걱정이 없는 복합기를 시작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호적하게 이용되는 것이다.
A 복합기 10 캠부
a 장치본체 12 탄성수단
a′취부삽입공 13, 24, 43 손가락낌 방지수단
B, B′ E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1 취부각부
C 원고압착판 30c, 30d, 31c 장공
1, 20, 25 취부부재
1a, 20a, 25a 취부베이스
1b, 2b, 6b, 8c, 20b, 22b, 25b 양측판
1c, 20c, 25c 후판
2, 22, 30 지지부재
2a, 6a, 22a, 30a, 31a 배판
2e, 6d 신장부
2f, 6e 구부
3, 23 힌지핀
4 연결핀
5 수압부재
6, 31 리프트부재
8 스토퍼 부재
8e, 26b 돌기부

Claims (8)

  1. 취부베이스(1a)와 이 취부베이스(1a)의 양측으로부터 시작한 양측판(1b, 1b)과 상기 취부베이스의 후부에 설치한 후판을 가지며, 상기 취부 베이스를 장치본체측에 취부하는 취부부재(1)와 배판(2a)과 이 배판으로부터 절곡된 양측판을 가지며 이 양측판의 일단부측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3)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한 원고압착판의 지지부재(2)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그 지지부재(2)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기 위하여 탄설한 탄성수단(12)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1)의 후부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후부와의 사이에 손가락낌 방지수단(12)을 설치하고, 이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상기 취부부재의 후판에 취부한 곳의 상단에 한 쌍의 돌기부(8e, 8e)를 설치한 스토퍼부재(8)와 상기 지지부재의 배판의 후부를 신장시켜 설치한 곳의 상기 돌기부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각도에 있어서 감입(嵌入)시키는 구부(2f, 2f, 6e, 6e)를 갖는 신장부(2e, 6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취부베이스(1a)와 이 취부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시작한 양측판(1b, 1b)과 상기 취부베이스(1a)의 후부에 설치한 후판(1c)을 가지며,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본체측에 취부하는 취부부재(1)와 적어도 배판(2a)과 이 배판으로부터 절곡한 양측판(1b, 1b)을 가지며 이 양측판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1b, 1b)에 힌지핀(3)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2)와, 적어도 배판과 이 배판으로부터 절곡한 양측판(1b, 1b)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2)의 양측판(2b, 2b)의 자유단측(自由先端側)에 연결핀(4)을 이용하여 그 지지부재와는 다른 방향에 그 양측판을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축착(軸着)한 곳의 원고압착판을 갖는 리프트부재(6)와, 상기 취부부재측의 양측판간에 축가(軸架)시킨 수압부재(5)와, 이 수압부재(5)에 캠부를 당접시켜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접동가능하게 수장된 캠슬라이더와, 이 캠슬라이더(10)와 상기 리프트부재(6)와의 사이에 탄설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부재를 지지부재와 결합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방향에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1)의 후부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재 및 또는 리프트부재(6)의 후부와의 사이에 손가락낌 방지수단을 설치하고, 이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상기 취부부재의 후판에 취부한 곳의 상단에 한 쌍의 돌기부(8e, 8e)를 설치한 스토퍼부재(8)와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리프트부재(6)의 배판(2a)의 후부를 신장시켜 설치한 곳의 상기 돌기부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림각도에 있어서 감입(嵌入)시키는 구부(2f, 2f, 6e, 6e)를 갖는 신장부(2e, 6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의 취부베이스로부터는 취부각부가 수설(垂設)되어 이 취부각부(21)가 장치본체에 설치한 취부삽입공에 상하작동(上下作動)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상기 취부부재의 후판에 일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상기 취부부재의 후판에 일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구성하는 구부(2f, 2f, 6e, 6e)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장공(30c, 30c, 31c, 31c, 30d, 30d)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낌 방지수단(13)을 구성하는 구부(溝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장공(長孔)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8. 청구항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기재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장치본체와 원고압착판과의 사이에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기기.
KR1020130009786A 2012-02-10 2013-01-29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KR101435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7273A JP5995046B2 (ja) 2012-02-10 2012-02-10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oa機器
JPJP-P-2012-027273 2012-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446A KR20130092446A (ko) 2013-08-20
KR101435743B1 true KR101435743B1 (ko) 2014-08-28

Family

ID=4892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786A KR101435743B1 (ko) 2012-02-10 2013-01-29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95046B2 (ko)
KR (1) KR101435743B1 (ko)
CN (1) CN103246182B (ko)
TW (1) TWI5290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2343B2 (ja) * 2015-01-23 2019-04-03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6601902B2 (ja) * 2015-07-13 2019-11-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蓋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機器
JP7133186B2 (ja) * 2017-12-13 2022-09-08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7045690B2 (ja) * 2018-02-22 2022-04-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JP7466957B2 (ja) 2023-04-11 2024-04-15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及び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9218A (ja) * 1995-12-27 1997-07-11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原稿圧着板の開成角度規制装置
JP3406558B2 (ja) 2000-02-29 2003-05-12 株式会社下西製作所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KR20060083861A (ko) * 2005-01-18 2006-07-21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758A (ja) * 1996-10-02 1998-04-24 Futaba Sangyo Kk 原稿押え板開閉装置及びスプリングアジャスタ
JP3088963B2 (ja) * 1997-02-03 2000-09-18 ニスカ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5217002B2 (ja) * 2004-07-05 2013-06-19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
CN101398646B (zh) * 2007-09-26 2011-08-31 加藤电机株式会社 原稿压板开闭装置及具有原稿压板的办公设备
JP5382760B2 (ja) * 2007-11-02 2014-01-0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2011107485A (ja) * 2009-11-18 2011-06-02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698459B2 (ja) * 2010-02-25 2015-04-08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5900878B2 (ja) * 2011-08-30 2016-04-0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5966164B2 (ja) * 2011-11-07 2016-08-10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9218A (ja) * 1995-12-27 1997-07-11 Kato Electrical Mach Co Ltd 原稿圧着板の開成角度規制装置
JP3406558B2 (ja) 2000-02-29 2003-05-12 株式会社下西製作所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KR20060083861A (ko) * 2005-01-18 2006-07-21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64502A (ja) 2013-08-22
KR20130092446A (ko) 2013-08-20
TW201336694A (zh) 2013-09-16
CN103246182A (zh) 2013-08-14
JP5995046B2 (ja) 2016-09-21
CN103246182B (zh) 2016-08-31
TWI529069B (zh)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4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KR101338777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EP1982079B1 (en) Spring loaded clamping mechanism
KR101352667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542976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774236B2 (ja) トグルレバー作動装置を備える接続端子
KR101569986B1 (ko)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
JP5692692B2 (ja) 事務機器の自動開閉装置並びにこの自動開閉装置を用いた事務機器
JP2011070030A5 (ko)
JP2010282158A5 (ko)
JP2011107485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2013097363A5 (ko)
JP522307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821054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oa機器
JP4794144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101341690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7045690B2 (ja)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JP2013164502A5 (ko)
JP435159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JP2013050551A5 (ko)
JP5217002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220073902A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oa기기
JP5645227B6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564522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