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777B1 -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777B1
KR101338777B1 KR1020120125204A KR20120125204A KR101338777B1 KR 101338777 B1 KR101338777 B1 KR 101338777B1 KR 1020120125204 A KR1020120125204 A KR 1020120125204A KR 20120125204 A KR20120125204 A KR 20120125204A KR 101338777 B1 KR101338777 B1 KR 10133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s
mounting
support memb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261A (ko
Inventor
스즈키 나오카즈
Original Assignee
켐 홍콩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켐 홍콩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켐 홍콩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5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07Holders for the original in copying cameras
    • G03B27/6221Transparent copy platens
    • G03B27/6228Platen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4Holders for the original using a vacuum or fluid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스토퍼 플레이트나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고, 원고 압착판의 중간끊김현상이나 튀어오름현상 등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 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측에 취부하는 취부 부재와, 이 취부 부재의 양측판에 그 자체의 양측판을 힌지핀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지지 부재와, 이 지지 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측에 그 자체의 양측판을 연결 핀을 통해서 축착한 곳의 원고압착판을 취부하는 리프트 부재와, 이 리프트 부재의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축착부측이며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연결 핀을 지점으로 선회하는 위치에 마련되어진 작동 부재와, 이 작동 부재와 상기 취부 부재간에 탄설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트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와 겹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그 지지 부재를 원고 압착판의 열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와 상기 취부 부재간에,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Opening-closing device of manuscript pressing plate and office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사기나 인쇄기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 개폐용으로 하며 이용하기에 좋은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히 복사기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로 하며, 취부베이스와 이 취부 베이스의 양측에 솟아있는 양측판을 갖고,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본체 측에 취부하는 취부부재와, 적어도, 뒷판과 이 뒷판의 절골된 양측판이 있으며, 이 양측판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을 끼워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와, 원고 압착판을 취부한 뒷판과, 이 뒷판의 절곡된 양측판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측에 연결핀을 끼워 그 지지부재와 다른 방향에 그 양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되기 위하여 축착한 리프트 부재와 이 리프트 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축착부측인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연결핀을 지점에 선회하는 위치에 설치된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측의 양측판 사이에 힌지핀은 다른 위치에 축설치한 수압부재와, 이 수압부재에 캠부를 꼭 끼워 접목하고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요동가능 하게 수장된 캠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 내의 자유단 측에 상기 작동부재에 꼭 끼게 접목하여 요동가능하게 수장시킨 스프링 받침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와 상기 스프링 받침부재의 사이에 탄설되게 한 것으로 상기 리프트 부재를 지지부재와 중합한 방향으로 회전 힘을 가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원고압착판의 열림방향으로 힘을 가해 탄성수단을 구성하고, 원고압착판의 최대 열린 각도를 규제하기 위해, 회전제어수단으로, 취부부재의 뒷판에 취부된 스톱러 플레이트에 지지부재의 뒷판을 꼭 끼게 접목시키기 위해 구성한 것 및 사무기기는 하기 특허문헌 1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특개 2001-154287호 공보 이 종래 공지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도13에 표시에 의해 장치본체(a)측에 그 위부 베이스(30a)를 취부한 취부부재(30)과 이 취부부재(30)의 양측판(30b)에 그 양측판(31b)를 힌지핀(32)을 끼워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31)와 이 지지부재의(31)의 양측판(31b)의 자유단 측에 그 양측판(34b)를 연결핀(37)을 끼우고 지지부재(31)은 다른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기 위하여 축을 부착한 장소의 원고압착판(K)을 취부한 리프트부재(34)와 취부부재(30)의 양측판(30b) 사이에 다르게 놓아 설치한 수압부재(40)와 이 수압부재(40)에 캠부(41a)를 당접시켜 상기 지지부재(31) 내부에 요동가능하게 수장시킨 캠 슬라이더(41)와 리프트 부재(34)의 양측판(43) 사이에 설치한 작동부재(38)와 이 작동부재(38)에 당접시켜 지지부재(31) 내부에 요동가능하게 수장된 스프링 받침부재(39)와 지지부재(31) 내부에 수장되고, 캠슬라이더(41)와 스프링 받침부재(39)의 사이에 탄설된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 부재(34)를 지지부재(31)와 중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면서, 지지부재(31)를 적어도 원고압착판(K)의 열린 방향에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33)으로 구성되어 있고, 취부부재의 뒷판(30c)에는 한 쌍의 스토퍼 핀(35a)이 있는 스토퍼 플레이트(35)가 취부나사(36)로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탄성수단(33)의 탄력에 의해, 원고 압착판(K)를 개폐 조작할 때에 그 원고 압착판(K)의 본래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고, 가볍게 개폐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더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경우에는 리프트 부재(34)가 탄성수단(33)의 탄력에 대항하여 지지부재(31)에 대하여 반전하는 것으로, 두꺼운 원고의 윗면을 수평으로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종래 공지구성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I)는 원고 압착판(K)를 최대각도까지 열 때에, 지지부재(31)의 뒷판(31a)에 설치한 당접부(31c)가 스토퍼 플레이트(35)의 스토퍼 핀(35a)에 설치한 스토퍼부(35b)에 끼워 접목하기 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당접부(31c)에 의해 스토퍼 플레이트(35)에 대하여 누름방향(a)에 화살표 R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b)에 화살표 L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아래 방향이 되고 스토퍼 플레이트(35)에 대하여 이것을 취부나사(36)에 부착한 취부부재(30)의 뒷판(30c)에서 떼어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 것에서, 스토퍼 플레이트(35)가 쉽게 변형하는 결정이 있다. 또, 원고 압착판(K)의 통상의 닫힘 동작 시에는, 탄성수단(33)이 스프링 받침부재(39)와 작동부재(38)를 끼워 리프트 부재(34)가 원고압착판(K)와 동시에 반전해 버리지 않기 위하여 누르고, 중앙이 우묵한 현상(원고압착판(K)이 연결핀(37)을 지점으로 반전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도 원고 압착판(K)을 닫을 때의 힘의 방향과, 힘을 넣어 닫는 경우에, 이 중앙 구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더 지지부재(31)의 힌지핀(32)을 지점으로 하는 취부부재(30)에 대하여 회전시에 프릭션이 약한 경우에는 탄성수단(33)의 탄력에 의해 원고 압착판(K)을 열 때에 원고 압착판(K)이 급격히 튕겨 올라가는 소위 뛰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해 버리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한 것은, 스토퍼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고, 더욱더 원고 압착판의 중앙이 우묵한 현상이다. 급격히 뛰어오른 현상 등의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취부베이스의 양측보다 지면에 솟아있는 양측판이 있고,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 본체 측에 부착하는 취부부재와 적어도 뒷판과 이 뒷판의 절곡된 양측판이 있고, 이 양측판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을 끼워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와, 뒷판과 이 뒷판보다 절곡된 양측판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부에 연결핀을 끼워 그 지지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그 양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축에 부착한 것의 원고 압착판을 취부한 리프트부재와 이 리프트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축 부착부 측에서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연결핀을 지점에서 선회하는 위치에 설치된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의 사이에 탄설시킨 것으로, 상기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겹쳐 합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면서 그 지지부재를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으로 힘을 가한 탄성 수단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의 사이에,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회전제어 수단을 상기 리프트 부재에 취부되는 당접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에 설치된 상기 원고 압착판의 소정의 열린 각도에 있어서, 상기 당접부재와 당접하는 스토퍼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더 본 발명은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리프트 부재에 취부하는 당접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에 설치된 상기 원고 압착판의 소정의 열린 각도에 있어서 상기 꼭 끼어 접한 부재와 눌러 접하며 요동하는 프릭션 스토퍼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더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 수단을 상기 취부부재의 뒷판에 설치한 스토퍼 플레이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더 본 발명은 상기 프릭션 스토퍼 수단을 상기 취부부재의 뒷판에 설치한 스토퍼 플레이트와 이 스토퍼 플레이트에 취부된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더 본 발명은 상기 당접부재를 상기 리프트 부재의 양측판 사이에 어긋나게 걸쳐 취부된 당접 샤프트로 한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취부베이스와 이 취부베이스의 양측보다 지면에 솟아있는 양측판이 있고,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본체 측에 취부한 취부부재와 적어도 뒷판과 이 뒷판보다 절곡된 양측판이 있고, 이 양측판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을 끼워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와, 뒷판과 이 뒷판보다 절곡된 양측판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측에 연결핀을 끼워 그 지지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그 양측판을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축을 부착한 곳의 원고 압착판을 취부한 리프트 부재와 이 리프트 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축 부착부측에 있어,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연결핀을 지점에서 선회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측에 양측판 사이에 축이 설치한 수압부재와 이 수압부재에 캠부를 끼워 접합된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요동가능하게 수장된 캠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 내의 자유단측에 상기 작동부재에 끼워 접목시켜 요동가능하게 수장 슬라이더 받침부재와 상기 캠 슬라이더와 상기 스프링 받침부재의 사이에 탄설 되게하는 것으로 상기 리프트 부재를 지지부재와 겹쳐 합친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원고 압착판의 열린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탄성수단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장치 본체와 원고 압착판의 사이에 이용한 사무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 리프트 부재와 취부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제어 수단에 의해, 원고 압착판의 최대 열린 때에 취부부재의 뒷판에 취부한 스토퍼 플레이트 혹은 클릭·프릭션 플레이트에 더해진 누름압력의 작용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더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므로, 리프트 부재와 취부부재의 사이에 설치한 회전제어수단에 의해 원고 압착판의 소정 닫힘 각도 범위에 있어서 쉽게 발생하는 소위 중간 구부림 현상이다.원고 압착판이 그의 열림 때에 급격히 뛰어오르는 소위 뛰어오름 현상 등을 가급적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의 일례인 복합기를 계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 그의 측단면도, (b), (c)의 화살표 O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그의 측단면도, (b)는 (a)의 화살표 O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a)는 그의 측단면도 (b)는 (a)의 화살표 O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두꺼운 물건 원고에 대응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그의 측단면도 (b)는 (a)의 화살표 P로 표시한 하기 위한 것으로, (a)은 그의 측단면도, (b)는 (a)의 화살표 P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종래공지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a)는 그의 측단면도, (b)는 (a)의 화살표 R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형태를 표시한다. 더구나 이하의 설명에는 복사기 혹은 복합기에 사용되어 진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 하여 설명하면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복사기 혹은 복합기 외의 인쇄기나 팩시밀리,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에 있어서도,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로 하며 사용되어 지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당접부재, 수압부재 혹은 작동부재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며, 그것은 당접부재, 수압부재 혹은 작동부재의 중간에 각 각 당접샤프트, 수압핀 혹은 작동핀 등을 개시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더욱더 넓은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복합기를 표시한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복합기(A)의 장치 본체(a) 위에는 한 쌍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 B’)를 끼워 자동원고전송장치(c)가 달린 원고 압착판(C)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 B’)의 내부 한쪽 방향의 자동원고전송장치(c)가 취부되어 있는 도면 중 좌측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는 개폐 조작시에 바뀐 하중이 큼으로 탄성수단에 코일 스프링 2개를 병행설치된 2중 코일 스프링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우측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는 하중이 가볍게 되므로, 도시되어 지지 않으며, 통상은 1개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싱글 코일 스프링 방식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요부로 하는 부분의 구성은 원칙적으로 횡폭이 다를 뿐이므로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으로 이하의 설명은 우측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에서 설명한다. 더욱, 대형의 복합기 외 다른 사무기기에 있어서는, 원고 압착판의 중량이 증가하므로, 코일 스프링은 그것이 2개이던 1개이던 지름이 다른 차이가 다른 코일 스프링을 동심원상에 겹쳐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2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는 장치 본체(a) 측으로 취부되는 취부부재(1)과 이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에 그의 양측판(2b, 2b)를 힌지핀(3)을 끼워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2)와 이 지지부재(2)의 양측판(2b, 2b)의 자유단 측으로 그의 양측판(6b, 6b)를 연결핀(4)를 끼워 그 지지부재(2)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기 위하여 축을 부착하는 것으로 원고 압착판(C)를 취부하는 리프트 부재(6)과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 사이에 어긋나게 걸쳐 설치된 수압부재(5)와 이 수압부재(5)에 캠부(10a)를 꼭 끼워 접목시켜 상기 지지부재(2) 내부에 포지판(2c, 2c)에 안겨져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캠 슬라이더(10)과 리프트 부재(6)의 양측판(6b, 6b) 사이에 설치된 작동부재(9)와 이 작동 부재(9)에 당접시켜 지지부재(2) 내부에 요동가능하게 수장된 스프링 받침부재(11)와 지지부재(2) 내부에 수장되고 캠 슬라이더(10)과 스프링 받침부재(11)의 사이에 탄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 부재(6)을 지지부재(2)와 겹쳐 합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면서, 지지부재(2)를 적어도 원고압착판(C)의 열림방향으로 힘을 가해 탄성수단(12)이 있고, 리프트 부재(6)와 취부부재(1)의 사이에 회전제어수단(D)를 설치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취부부재(1)은 장치본체(a) 상에 취부되는 취부베이스(1a)와 이 취부베이스(1a)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그 취부베이스(1a)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방향(대부분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에 절곡된 양측판(1b, 1b)와 취부베이스(1a)의 일단부(후단부)에서 그 취부베이스(1a)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방향(대부분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한다)에 절곡되고, 그의 양측부에 설치된 계지편(1j, 1j)을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에 설치된 계지홈(1i, 1i)에 계지된 형상의 뒷판(1c)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뒷면(1c)에는 필요에 따라 원고 압착판(C)의 개폐조작시에 지지부재(2)의 최대 열림각도(60°)를 스토퍼 플레이트(8)가 취부나사(작은 나사)(8a, 8a)를 끼워 취부되어 있다. 그외 다른, 지시기호(1d, 1d)의 것은 힌지핀 취부공이고, 지시기호(1e, 1e)의 것은 그 취부베이스(1a)를 장치 본체(a)로 취부 할 때에, 취부나사(1m, 1n)을 삽통시켜 취부공(lg, 1h)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2)는 뒷판(2a)과 이 뒷판(2a)의 양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된 양측판(2b, 2b)와 이 양측판(2b, 2b)의 하단측에서 동시에 내측에 절곡되어 형성한 포지판(2c,2c)으로 구성되어 있어, 양측판(2b, 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핀(3)에 의해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양측판(2b, 2b)의 자유단부에는 연결핀(4)을 통하여 리트트부재(6)가 회전가능하게 추착됨과 동시에, 작동부재(9)의 양단측이 끼워들어가는 가이드홈(2d, 2d)이 마련되어 있다. 기타, 지시기호(2e, 2e)는 힌지핀 삽통공, 지시기호(2f, 2f)는 연결핀 삽통공, 지시기호(2g, 2g)는 조립시에 쓰이는 스토퍼 공이다. 또한, 뒷판(2a)의 후측부에 마련한 지시기호(2h, 2h)는 원고 압착판(C)을 열었을 때에 스토퍼 플레이트(8)의 스토퍼편(8f, 8f)을 놓아주는 홈이다.
힌지핀(3)은 그 양단부에 둘레홈(3d, 3d)을 마련한 금속제의 환봉으로, 취부부재(1)의 힌지핀 취부공(1d, 1d)에 취부된 베어링부재(3a, 3a)의 베어링공(3e, 3e)을 관통하여 지지부재(2)의 힌지핀 삽통공(2e, 2e)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 힌지핀들의 관통공(2e, 2e)에서 돌출한 양단부에 마련한 둘레홈(3d, 3d)에 와셔(3b,3b)를 통하여 E링(3c, 3c)을 끼워넣어 빠지지 않게 하고 있다.
리프트부재(6)는 뒷판(6a)과 이 뒷판(6a)의 양단부에서 각각 해당 뒷판(6a)에 대하여 직교하는 아래 방향(거의 직교하는 방향도 포함)으로 굽은 양측판(6b, 6b)과, 이 양측판(6b, 6b)에서 더 바깥측으로 굽은 취부판부(6c, 6c)로 이루어져, 지지부재(2)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부재(6)가 연결핀(4)으로 축착되어 있는 측에는 봉 형태의 작동부재(9)가 취부됨과 동시에 취부판부(6c, 6c)에는 원고 압착판(C)이 취부되는 구성이다. 또한, 뒷판(6a)에 취부되어 있는 조절나사(7a)와 너트(7b)로 이루어진 것은 높이 조절수단(7)이며, 원고 압착판(C)의 원고재치대(d)(콘택트글래스)에 대한 높이를 미세조정하여 원고 압착판(C)이 균등하게 원고재치대(d)(콘택트글래스)의 윗면으로 압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리프트부재(6)의 양측판(6b, 6b)에 마련한 지시기호(6f, 6f)는 원고 압착개폐장치(B)의 조립시에 쓰이는 스토퍼 핀 삽통공이며, 뒷판(6a)의 후단부에 마련한 지시기호(6g, 6g)는 원고 압착판(C)을 열었을 때에 스토퍼 플레이트(8)의 스토퍼편(8f, 8f)를 놓아주는 홈이다.
연결핀(4)은, 금속제의 환봉으로, 양단부측에 둘레홈(4c, 4c)을 가지며, 지지부재(2)의 연결핀삽통공(2f, 2f)과 리프트부재(6)의 연결핀삽통공(6d, 6d)으로 삽통시킴으로써, 리프트부재(6)를 지지부재(2)에 대하여 해당 지지부재(2)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핀(4)은 양단부에 둘레홈(4c, 4c)을 가지며, 연결핀 연결공(6d, 6d)에서 돌출한 양단부에 와셔(4a, 4a)를 통하여 둘레홈(4c, 4c)로 E링(4b, 4b)을 끼워 넣음으로써 해당 리프트부재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수압 부재(5)는, 취부부재(1)의 양측판(1b, 1b)간에 축으로 걸친 금속제의 수압핀(5a)과, 이 수압핀(5a)을 축방향에 마련한 삽통공(5d)에 통과시키고, 그 수압핀(5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합성 수지성의 슬라이드 로울러(5b)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로울러(5b)는 외형이 거의 단면 직사각형을 나타낸 4각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어, 긴 지름측의 편면을 습접부(5c)로서 캠슬라이더(10)가 평탄한 캠부(10a)에 당접시키고 있다. 캠부(10a)와 슬라이드 로울러(5b)의 접촉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윤활용의 글리스가 도포되어 있다. 또, 삽통공(5)은 슬라이드 로울러(b)의 아래쪽 한편에 마련되어 있고, 각 모서리부에는 R부(5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슬라이드 로울러(5b)의 재료는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소결금속, 세라믹, 기계가공물 기타 다른 것이어도 관계없다.
 지지부재(2) 내에는, 포지판(2c, 2c)에 안겨 캠 슬라이더(10)와 스프링 받침부재(11)가 요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캠 슬라이더(10)와 스프링 받침부재(11)는 거의 단면 직사각형의 유저통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캠슬라이더(10)에는 수압부재(5)의 노출측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시켜 윗면이 평탄한 캠부(10a)가 마련되는 동시에, 수압 부재(5)의 노출측을 덮는 커버부(10c)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 부재(11)의 일단부측의 작동부재(9)측에는 당접부(11a)가 융기되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 당접부(11a)는 필수가 아니고 한 면에 평탄부로서도 좋다. 캠 슬라이더(10)와 스프링받침부재(11)는 상호 개구부(10b, 10b 와 1lb, 1lb) (한 쪽만 표시)가 마주 향하게 지지 부재(2) 내에 요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캠 슬라이더(10)의 캠부(10a)의 측은 수압부재(5)와 당접하고, 스프링 받침부재(11a) 측은 작동 부재(9)와 당접하고 있다.
 한편, 작동 부재(9)는 실시예에서는 작동핀(9a)과 이 작동 핀(9a)을 그 축방향에 마련한 삽통공(9e)에 삽통시킨 한 캠통체(9b)로 이루어지고, 작동 핀(9a)은, 양단부측에 둘레홈(9d, 9d)을 가지며, 작동 핀 연결공(6e, 6e)에 관통시키고 돌출 형성시킨 둘레홈(9d, 9d)에 E링(9c, 9c)을 끼움으로써 리프트 부재(6)의 양측판(6b, 6b)으로 빠지지 않도록 취부되어 있다. 작동 핀(9a)은 금속제의 환봉인데, 상기 실시예 외에, 리프트 부재(6)에 상판을 마련하고, 이 상판을 내측으로 구부려 작동 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작동 부재(9)는 작동 핀만 양측판(6b, 6b)간에 회전 가능 혹은 고정되어 취부 구성할 수도 있다.
 캠 슬라이더(10)와 스프링 받침부재(11)간에 상호 양단부측을 그 캠슬라이더(10)와 스프링 받침부재(11)의 개구부(10b, 10b, 1lb, 1lb) (한 방향만 표시)내에 삽입시켜서, 대구경 코일스프링(12a, 12a)과 소구경 코일스프링(12b, 12b)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12)이 지지부재(2) 내에 끼워지면서 탄설되어 있어, 캠부(10a)는 수압 부재(5)와 압접하고, 당접부(11a)는 작동 부재(9)와 압접 상태에 있다. 이 탄성수단(12)은, 1개도 좋고 2개 이상이라도 좋은데, 예를 들면 2개 병렬, 혹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구경 코일스프링(12a, 12a)과 소구경 코일스프링(12b, 12b)을 동심형태로 겹쳐지게 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캠 슬라이더(10)와 스프링 받침부재(11)를 각각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한편, 수압핀(5a)은 그 양단부를 차지함으로써, 수압부재 취부공(1e, 1e)에 고정해도 좋고, E링을 이용해서 빠지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 회전가능하게 수압 부재 취부공(1e, 1e)에 취부해도 좋다. 아울러, 수압 부재(5)는 수압 핀(5a)과 슬라이드 로울러(5b)를 일체 혹은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수압 부재 취부공(1e, 1e)에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도록 하거나, 수압 핀(5a)만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캠부를 만곡한 R 형상으로 구성하여 슬라이드 로울러가 캠부와 당접하는 요접부측을 캠부의 R 형상과 면접촉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전 제어 수단(D)은 프릭션 스토퍼 수단(E)과 스토퍼 수단(F)의 2가지 형태가 있다. 우선, 프릭션 스토퍼 수단(E)부터 설명하면, 취부부재(1)의 뒷판(1c)에 취부비스(8a, 8a)로 취부한 스토퍼 플레이트(8)와, 이 스톱퍼 플레이트(8)에 겹쳐서 그 스톱퍼 플레이트(8)와 함께 뒷판(1c)으로 동일한 취부 비스(8a, 8a)로 취부된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16)와, 리프트 부재(6)의 양측판(6b, 6b)의 후부측에 취부한 그 부재를 구성하는 당접 샤프트(17)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8)는, 취부 기판부(8b)와 이 취부 기판부(8b)의 양측부에서 접어 구성한 대칭된 각 볼록부(8c, 8c)와 요부(8d, 8d)로 이루어진 만곡부(8e, 8e)를 가진 스토퍼편(8f, 8f)으로 구성되며, 뒷판(C) 스토퍼 플레이트(8)에 마련한 고정공(8g, 8g)에 끼워지는 대칭의 보스부(1k, 1k)가 마련되어 있다.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16)는, 취부판부(16a)와 이 취부판부(16a)의 상부에 마련한 볼록부(16b)와 오목부(16c)로 이루어진 탄성만곡부(16d)로 이루어지며, 탄성만곡부(16)의 형상은 만곡부(8e, 8e)의 형상과 일치하며, 그 위치는 스톱퍼 플레이트(8)의 만곡부(8e, 8e)의 약간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접 샤프트(17)는, 실시예에서는 환봉이지만 반드시 환봉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접 샤프트(17)의 양단부에는 둘레홈(17a, 17a)이 마련되며, 리프트 부재(6)의 양측판(6b, 6b)에 마련한 취부공(6h, 6h)을 관통하여 둘레홈(17a, 17a)에 끼운 E링(17b, 17b)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당접 샤프트(17)는, 리프트 부재(6)의 그 양단부에 양측판(6b, 6b)에 고정되어도 좋고, 회전가능하게 취부공(6h, 6h)에 축지되어도 좋다. 한편, 회전 제어 수단(D)은, 후술과 같이 스토퍼 플레이트(8)로만 이루어진 스토퍼 수단(F)이어도 좋다.
스토퍼 플레이트(8)는 취부부재(1)의 뒷판(c)에 일체적으로 마련하고, 그 상부에 탄성 만곡부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당접 부재는, 실시 예와 같이 당접 샤프트(17)라도 좋고, 대칭의 도시되지 않은 핀 형태의 것이어도 좋다. 당접 샤프트(17)의 외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통이어도 좋고 혹은 합성 수지 코팅이라도 좋다. 또한, 이 당접부는, 리프트 부재(6)의 뒷판(6a) 단부를 이용해도 좋고 혹은 이 뒷판(6a)을 굽히거나 감아서 구성해도 좋다.
그 다음에,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압착판(C)을 닫은 상태에서는, 주로 해당 원고 압착판(C)의 중량에 의해, 탄성수단(12)의 탄력에 저항하여 원고 압착판(C)이 닫혀, 안정된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탄성수단(12)의 작용선을 수압부재(5)의 아래쪽으로 비켜 놓음으로써, 원고 압착판(C)을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닫힌 상태에서 특히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압 부재(5)의 슬라이드 로울러(5b)는 그 긴 지름부측의 요접부(5c)를 캠 슬라이더(10)의 캠부(10a)와 면접촉시키고 있어, 가장 압축된 상태의 탄성수단 (12)의 탄력을 면으로 받고 있다.
 이 도 3과 도 7에 나타낸 상태로 볼 때 원고 압착판(C)을 최대 열림 각도까지 열면, 열리는 도중에 캠 슬라이더(10)의 캠부(10a)의 슬라이드 로울러(5b)의 습접부(5c)에 대한 당접 위치가, 그 캠부(10a)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면접촉상태를 유지시킨 채 이동하므로, 탄성수단(12)의 탄력에 의해 원고 압착판(C)은, 그 본래의 중량이 감쇄된 상태에서 열린다. 원고 압착판(C)의 열림 각도가 10° 이상이 되면, 원고 압착판(C)에서 손을 떼어 놓아도, 슬라이드 로울러(5b)의 요접부(5c)의 당접 위치가 탄성수단(12)에 의해 일방향으로 요동을 하고 있는 캠 슬라이더(10)의 캠부(10a)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마찰 저항을 만날 수 있어, 원고 압착판(C)이 리프트 부재(6) 및 지지 부재(2)를 통하여 힌지핀(3)의 주변에 발생시키는 회전 모멘트와, 탄성수단(12)의 탄력과, 캠 슬라이더(10)의 캠부(10a)에 당접하고 있는 수압 부재(5) 슬라이드 로울러(5b)에 의해 창출되는 회전 토크가 균형을 이루므로 원고압착판(C)에서 손을 떼어 놓아도 자연낙하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지 된다.
 원고 압착판(C)를 더 열게 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접 샤프트(17)는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16)의 탄성만곡부(16d)의 볼록부(16b)에 압접요동하면서 오목부(16c) 내로 끼워져, 여기서 정지함으로써 원고 압착판(C)이 더 이상 열릴 수 없어, 이 열린 위치가 원고 압착판(C)의 최대 열림 각도가 된다. 이 때에, 도 8의 (a)화살표(O) 부분의 확대도(b)에 화살표(M)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당접 샤프트(17)에 의한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16)에 대한 압압방향이 전방에서 수직방향 아래쪽이 되므로,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16)나 스토퍼 플레이트(8)의 변형을 극력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원고 압착판(C)을 열 때, 힘있게 열리면, 소정 열림 각도에서 탄성수단(12)에 의한 탄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때로는 원고 압착판(C)이 급격하게 튀어오르는, 소위 튀어오름 현상이 생길 경우가 있다. 이 튀어오름 현상은, 소정의 열림 각도로 당접 부재를 구성하는 당접 샤프트(17)가 도 9의 (b)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16)의 탄성만곡부(16d)의 볼록부(16b)에 닿음으로써, 마찰이 발생하여 튀어오르는 힘이 감쇄되므로, 소위 원고 압착판(C)의 튀어오름현상은 가급적 방지된다.
 열린 원고 압착판(C)을 닫을 때에는, 그 원고 압착판(C)을 닫는 방향으로 떨어뜨려 밀면, 당접 샤프트(17)는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16)의 탄성만곡부(16d)의 오목부(16c)를 벗어나 볼록부(16b)에 닿아 이를 밀면서 압접 요동한 후 볼록부(16b)를 빠져나오고, 원고 압착판(C)은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의 힌지핀(3)을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닫혀지게 된다. 이 때에, 탄성수단(12)이 작동 부재(9)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6)을 지지 부재(2)와 겹치는 방향으로 누르고 있어, 원고 압착판(C)이 통상적으로는 연결 핀(4)을 지점으로 반전하지 않고 닫히게 된다.
 단, 열린 원고 압착판(C)를 닫기 위해 강한 힘으로 밀거나 미는 방향이 바뀌거나 하면, 그 원고 압착판(C)의 열림 각도가 클수록 탄성수단(12)이 약해지므로, 원고압착판(C)이 연결 핀(4)을 지점으로 반전해버릴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그 샤프트(17)가 클릭 프릭션 플레이트(16)의 탄성만곡부(16d)의 볼록부(16b)에 당접함으로써, 반전이 제한되므로 이 중간 끊김 현상이 생기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열린 원고 압착판(C)을 닫을 때는, 실시예의 경우, 그 원고 압착판(C)이 슬라이드 로울러(5b)의 요접부(5c)가 탄성수단(12)의 탄력에 저항하여 캠부(10a)가 높은 쪽으로 슬라이드할 때의 저항과 만나지만, 손에 의한 원고압착판(C)에 대한 압압력과, 원고압착판(C)의 중량과 관성력에 의해 닫혀져, 소정의 열림 각도, 예를 들면 10°가 되면, 원고 압착판(C)의 열린 방향의 모멘트가 앞서기 시작해, 손을 놓아도 자동적으로 닫힌다. 그리고, 원고 압착판(C)의 개폐 조작 중 슬라이드 로울러(5b)의 습접부(5c)와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는 면접촉하므로, 캠 슬라이더(10)에 겹치는 하중이 분산되는 동시에, 윤활용 글리스의 보유 상태가 보유되므로, 캠 슬라이더(10)에 과대한 하중이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오랫동안 사용해도 글리스가 떨어져 마모나 이상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드 로울러(5b)와 캠슬라이더(10)의 캠부(10a)의 요동면에 글리스 받이를 마련하면, 더욱 글리스의 보유 능력이 향상한다. 이 글리스 받이는 슬라이드 로울러 혹은 캠부의 일 방향 혹 쌍방에 마련할 수 있다. 글리스 받이의 형상과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꺼운 원고(H)를 원고재치대(d) (접촉유리)에 올려 원고 압착판(C)을 닫아서 밀면, 연결 핀(4)을 지점으로 반전하는 리프트 부재(6)의 양측판(6b, 6b)에 취부한 작동 부재(9)에 의해 스프링 받침부재가 밀려, 탄성수단(12)의 탄력에 맞서 캠슬라이더(10)측으로 요동하는 동시에, 원고 압착판(C)이 리프트 부재(6)와 함께 연결 핀(4)을 축으로 회전하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꺼운 원고(H)의 표면을 수평으로 덮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B)는,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장치 본체(a)의 원고재치대(d)의 윗면에 안정적으로 압착시키며, 특히 두꺼운 원고(H)의 경우에는, 외부 빛이 원고재치대(d) (접촉유리)에서 장치 본체(a) 내의 노출계로 침입하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회전 제어수단(D)을 스토퍼 수단(F)으로 하였을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2에 따른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G)의 회전 제어수단(D)인 스토퍼 수단(F)은, 취부부재(1)의 뒷판(1c)에 취부비스(20g, 20g)로 취부한 스토퍼 플레이트(20)와, 리프트 부재(6)의 양측판(6b, 6b)의 후부측에 취부한 당접 부재를 구성하는 당접 샤프트(21)로 구성되어 있고, 스토퍼 플레이트(20)는 취부 기판부(20a)와 이 취부 기판부(20a)의 양측부에서 굽혀서 구성한 대칭의 각 볼록부(20b)와 오목부(20c)로 이루어진 만곡부(20d)를 가진 대칭의 스토퍼편(20e)을 갖고 있다. 당접 샤프트(21)의 구성 및 그 변형예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 실시예 2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는, 원고 압착판(C)을 최대 열림 각도까지 열었을 때에, 당접 부재의 일례인 당접 샤프트(21)가 스토퍼 플레이트(20)를 압압하는 방향은, 도 12의 (a)에 화살표 P로 나타낸 부분의 (b)의 확대도로 나타낸 바와 같은, 스토퍼 플레이트(20)에 대하여 전방에서 수직방향 아래쪽의 N방향이 되므로, 이 압압방향이 스토퍼 플레이트(20)에 대하여 후방방향 하향이 되는 도 13에 나타낸 종래 기술보다 그 스토퍼 플레이트(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실시예 2에 따른 원고압착 개폐장치(G)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9)와 함께 스프링 받침부재(11), 캠 슬라이더(10), 수압부재(5) 및 스프링 받침부재(11)와 캠 슬라이더(10) 간에 탄설한 탄성수단(12)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요컨대 리프트 부재(6)를 갖는 것이 요건이다. 또한 실시예 1도 동일하지만, 탄성수단(12) 내에 원고 압착판(C)이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끼우는 도시되지 않은 공지구성의 완충용 댐퍼 장치를 마련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책과 같은 두꺼운 물건의 원고에 대처하기 때문에 취부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지지부재와 겹쳐 합한 방향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리프트 부재가 있는 복사기나 복합기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와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사용한 사무기기에 대하여 좋게 사용되어 지는 것이다.
A : 복합기
a : 장치 본체
B, B’, G, I :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C, K : 원고 압착판
D : 회전제어수단
E : 프릭션·스토퍼 수단
F : 스토퍼 수단
1 : 취부부재
1a : 취부베이스
1b : 양측판
1c : 뒷판
2 : 지지부재
2a : 뒷판
2b : 양측판
3 : 힌지핀
4 : 연결핀
5 : 수압부재
6 : 리프트 부재
6a : 뒷판
6b : 양측판
8 : 스토퍼 플레이트
9 : 작동부재
10 : 캠 슬라이더
10a : 캠부
11 : 스프링 받침부재
12 : 탄성 수단
16 : 클릭(click)·프릭션 플레이트
17 : 당접 샤프트
20 : 스토퍼 플레이트
21 : 당접 샤프트
30 : 취부부재
30a : 취부베이스
30b : 양측판
30c : 뒷판
31 : 지지부재
31a : 뒷판
31b : 양측판
32 : 힌지핀
33 : 탄성수단
34 : 리프트 부재
34a : 뒷판
34b : 양측판
35 : 스토퍼 플레이트
37 : 연결핀
38 : 작동부재
39 : 스프링 받침부재
40 : 수압부재
41 : 캠 슬라이더

Claims (8)

  1. 취부베이스와 이 취부베이스의 양측보다 지면에 솟은 양측판이 있으며,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 본체 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재와 적어도 뒷판과 이 뒷판보다 절곡된 양측판이 있고, 이 양측판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을 끼워 회전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와 뒷판과 이 뒷판보다 절곡된 양측판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 단측에 연결핀을 끼워 그 지지부재와 다른 방향에 그의 양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축을 부착한 곳의 원고 압착판을 취부하는 리프트 부재와 이 리프트 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축 부착부측에 있어,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 때에 상기 연결핀을 지점에 선회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의 사이에 탄설되는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 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겹쳐 합한 방향에 회전에 힘을 가하고 있는 그 지지부재를 원고 압착판의 열림 방향에 힘을 가하게 하는 탄성 수단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의 사이에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리프트 부재에 취부되는 당접 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에 설치되는 상기 원고 압착판의 소정의 열림 각도에 있어, 상기 당접 부재와 맞게 접목하는 스토퍼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리프트 부재에 취부되는 당접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에 설치되는 상기 원고 압착판의 소정의 열림 각도에 있어, 상기 당접부재와 누름접목, 요동하는 프릭션 스토퍼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취부부재의 뒷판에 설치한 스토퍼 플레이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릭션 스토퍼 수단은 상기 취부부재의 뒷판에 설치한 스토퍼 플레이트와 이 스토퍼 플레이트에 취부되는 클릭(click) 프릭션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부재는 상기 리프트 부재의 양측판 사이에 어긋나게 놓아 취부되는 당접 샤프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7. 취부베이스와 이 취부베이스의 양측보다 솟아있는 양측판이 있고, 상기 취부베이스를 장치 본체측에 취부되는 취부부재와 적어도 뒷판과 이 뒷판보다 절곡된 양측판이 있고, 이 양측판을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에 힌지핀을 끼워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지지부재와 뒷판과 이 뒷판보다 절곡된 양측판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의 자유단측에 연결핀을 끼워 그 지지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그의 양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되게 하기 위하여 축을 부착한 곳에 원고 압착판을 취부하는 리프트부재와 이 리프트 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축을 부착한 부측에 상기 리프트 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연결핀을 지점으로 선회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취부부재 측의 양측판 사이에 축을 걸쳐놓은 수압부재와 이 수압부재에 캠부를 꼭 끼어 접목시켜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요동가능하게 수장된 캠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 내의 자유단측에 상기 작동부재에 꼭 끼어 접목시켜 요동가능하게 수장되는 스프링 받침부재와 상기 캠 슬라이더와 상기 스프링 받침부재 사이에 탄설되는 것에 의해, 상기 리프트부재를 지지부재와 겹쳐 합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원고 압착판의 열림 방향에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이 있는 것에 있어, 상기 리프트부재와 상기 취부부재의 사이에, 상기 리프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는 장치 본체와 원고 압착판 사이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KR1020120125204A 2011-11-07 2012-11-07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338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3310 2011-11-07
JP2011243310A JP5966164B2 (ja) 2011-11-07 2011-11-07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261A KR20130050261A (ko) 2013-05-15
KR101338777B1 true KR101338777B1 (ko) 2013-12-06

Family

ID=4820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204A KR101338777B1 (ko) 2011-11-07 2012-11-07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66164B2 (ko)
KR (1) KR101338777B1 (ko)
CN (1) CN103092024B (ko)
TW (1) TWI5018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5046B2 (ja) * 2012-02-10 2016-09-2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oa機器
CN104653595A (zh) * 2015-01-29 2015-05-27 柳州市潮林机械有限公司 一种铰链支座
JP6738686B2 (ja) * 2016-08-23 2020-08-12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6975439B2 (ja) * 2017-01-10 2021-12-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999155B2 (ja) * 2017-08-29 2022-01-1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JP7045690B2 (ja) * 2018-02-22 2022-04-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JP7015053B2 (ja) * 2018-03-08 2022-02-0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CN108769452B (zh) * 2018-07-31 2024-04-16 苏州格莱博扫描有限公司 一种按压式扫描仪升降结构
JP2022070476A (ja) * 2020-10-27 2022-05-1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700A (ko) * 2007-08-21 2009-02-25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1023679B1 (ko) 2010-03-31 2011-03-25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사무기기의 커버개폐용 힌지장치
KR20110076790A (ko) * 2009-12-28 2011-07-06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346A (ja) * 1983-10-25 1985-05-22 Kato Denki Kk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H0676950U (ja) * 1991-12-11 1994-10-28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3899213B2 (ja) * 1999-11-30 2007-03-28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4204161B2 (ja) * 2000-02-04 2009-01-07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開閉体のヒンジ
JP3406558B2 (ja) * 2000-02-29 2003-05-12 株式会社下西製作所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4056235B2 (ja) * 2001-09-10 2008-03-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30646B2 (ja) * 2003-11-07 2010-08-2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794144B2 (ja) * 2004-06-24 2011-10-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08250150A (ja) * 2007-03-30 2008-10-16 Kyocera Mita Corp 原稿押さえのヒンジ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700A (ko) * 2007-08-21 2009-02-25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20110076790A (ko) * 2009-12-28 2011-07-06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이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
KR101023679B1 (ko) 2010-03-31 2011-03-25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사무기기의 커버개폐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92024A (zh) 2013-05-08
TWI501881B (zh) 2015-10-01
CN103092024B (zh) 2015-09-09
JP2013097363A (ja) 2013-05-20
JP5966164B2 (ja) 2016-08-10
TW201318883A (zh) 2013-05-16
KR20130050261A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777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TWI655494B (zh) Original plywood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its transaction machine
KR101352667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389921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621048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0905879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10143574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자동화기기
CN114488730B (zh) 原稿压合板开合装置及办公机器
JP7045690B2 (ja)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JP5821054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oa機器
JP7015053B2 (ja)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JP2022070476A5 (ko)
JP2019158937A5 (ko)
JP590087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2013050551A5 (ko)
JP2017181598A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備えた事務機器
JP564030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TW201708927A (zh) 開闔支撐裝置及具備此開闔支撐裝置的設備
KR100709298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2590407Y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