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510A - 주출 돌출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캡 - Google Patents

주출 돌출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510A
KR20100052510A KR1020107004712A KR20107004712A KR20100052510A KR 20100052510 A KR20100052510 A KR 20100052510A KR 1020107004712 A KR1020107004712 A KR 1020107004712A KR 20107004712 A KR20107004712 A KR 20107004712A KR 20100052510 A KR20100052510 A KR 2010005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k
protrusion
ejection
plastic cap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덴미 구와가키
야스노리 야마자키
오사무 이시이
세이지 후쿠시
다카시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꼬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액을 따라낼 때의 용기의 기울기 정도가 다소 변화한 경우에도, 원활하게 일정한 액 폭으로 내용액을 따라내는 것이 가능하고, 액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주출통(注出筒) 구비 플라스틱 캡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캡은, 캡 본체(1)의 상판부(5)에 마련되어 있는 주출통(11)의 상단 부분에는, 외방으로 경사져서 돌출되어 있는 부리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주출통(11)의 내면의 하단 부분은, 대략 원통 형상의 시일면(17)으로 되어 있으며, 주출통(11)의 부리부(20)의 내면에는, 시일면(17)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20) 상단까지 연장되는 홈(3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덮개(2)의 내면에는, 상부 덮개(2)를 폐쇄했을 때에, 주출통(11)의 내면의 시일면(17)과 밀착하는 시일 링(2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출 돌출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캡{PLASTIC CAP HAVING A POURING PROTRUSION}
본 발명은, 용기 내용액을 따라낼 때의 안내부가 되는 주출(注出) 돌출부(예컨대 주출통)를 구비한 플라스틱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출 돌출부의 상단에, 외방으로 돌출된 부리부가 귀때로서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캡에 관한 것이다.
용기 내용액의 주출용 안내부가 되는 주출통을 구비한 플라스틱 캡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캡의 대표적인 것은, 예컨대 용기 마우스부에 고정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에 주출통이 마련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캡 본체는, 통 형상 측벽(스커트)과, 상기 통 형상 측벽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를 갖고 있으며, 이 상판부의 상면에 주출통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의 주출통으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무단(無端) 새김선으로 구획된 개구 예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마우스부에 고정되어 있는 캡 본체의 상기 새김선을 인열(引裂)함으로써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통해 용기 내용액을 따라내면, 따라내어진 액은, 주출통의 벽면을 따라 흐르며, 비산 등을 발생하지 않고서, 원활하게 내용액이 따라내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주출통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그 상단의 적어도 일부는, 주출통의 밑동 부분보다도 외방으로 돌출되어 귀때가 되고 있으며, 상기 귀때에서는, 그 상단 부분이, 나팔 형상으로 외방으로 만곡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주출통의 상단에, 외방으로 크게 돌출된 부리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부리부를 귀때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부리부의 형성에 의해 액 끊김성이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2 참조).
또한, 주출통의 일부분에,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쳐 외방으로 가늘고 길게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고, 이 부분을 통해 내용액을 따라내는 캡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3-402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22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135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2와 같이 주출통에 부리부가 마련된 플라스틱 캡은, 액 끊김성이라는 점에서는 우수하지만, 내용액을 따라낼 때의 용기의 기울기 정도가 약간 변화하는 것만으로, 부리부로부터 따라내어지는 액의 폭이 변동하고, 그 결과 따라내어진 액의 낙하부의 크기(면적)가 크게 변동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액의 낙하부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그다지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반대로 액의 낙하부의 크기가 커져 버릴 때에는, 불필요한 부분에 내용액을 떨어뜨려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과 같이, 가늘고 길게 돌출된 부분이 주출통에 형성되어 있는 캡에서는, 용기를 크게 경사시키지 않으면, 내용액이 따라내어지지 않아, 그 결과 내용액을 조금씩 따라내는 데에는 적당하지 않고, 또한 따라내어지는 액량이 많기 때문에, 역시 용기의 기울기 정도의 변화에 의해, 따라내어지는 액의 폭의 변동이 발생하기 쉬우며, 액 끊김성도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3의 캡에서는, 내용액의 주출 용량이 일정한 경우에 부리부나 가늘고 긴 돌출부가 유효하게 기능하지만, 내용액의 주출 용량의 변화에 추종할 수 없고, 예컨대 소량의 액을 따라내는 경우에, 부리부 등으로부터 원활하게 액이 따라내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을 때에는, 용기를 크게 기울여 대용량의 액을 따라내는 경우에 부리부 등이 유효하게 기능하지 않으며, 예컨대 부리부 등의 부분 이외의 곳으로부터도 액이 따라내어져, 액을 따라내는 것이 불안정해지거나, 액 끊김도 불만족스러워진다. 또한, 대용량의 액을 따라내는 경우에, 부리부 등으로부터 원활하게 액이 따라내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을 때에는, 소용량의 액을 따라내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액을 따라낼 수 있으나, 반면에 부리부나 가늘고 긴 돌출부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 수요자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액을 따라낼 때의 용기의 기울기 정도가 다소 변화한 경우에도, 원활하게 일정한 액 폭으로 내용액을 따라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액 끊김성이 양호한 주출액의 안내부가 되는 주출 돌출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량의 액을 따라내는 경우 및 대량의 액을 따라내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액을 따라낼 수 있고, 편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마우스부에 고정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캡 본체는, 상판부(top panel)와 상판부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드리워진 스커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부에는, 용기 내용액을 따라내기 위한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의 외측 부분에, 용기 내용액의 주출용 안내부가 되는 주출 돌출부와, 상기 주출 돌출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 결합용 환형 소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캡으로서,
상기 주출 돌출부의 상단 부분에는, 외방으로 경사져서 돌출되고 상면에서 보아 삼각형 형상을 갖는 부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출 돌출부의 내면의 하단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일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주출 돌출부의 내면에는, 상기 부리부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까지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시일면과 밀착하는 시일 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캡에서는, 이하의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1) 상기 주출 돌출부가, 통 형상을 갖고 있는 것.
(2) 상기 주출 돌출부의 상기 부리부의 내면은, 상기 시일면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외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부리부의 둘레방향 중심에서의 측단면에서 보아, 상기 경사면은, 상기 주출 돌출부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높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
(3) 상기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는, 상기 부리부에 대면하는 측의 부분이 소폭의 주출액 집중 영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4) 상기 홈은, 상방에서 보아,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는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와, 이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보다도 소폭이며 깊고 또한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는 소용량 또는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
(5) 상기 홈의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의 내측에는, 이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보다도 소폭이고 깊으며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는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와, 이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보다도 더 소폭이고 깊으며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는 소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6) 상기 상판부의 주출 돌출부보다도 내측의 부분에는, 중심부가 가장 움푹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 상기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의 주출액 집중 영역으로부터는, 상기 주출 돌출부의 밑동 부분을 향하여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주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출 유로의 연장선 상에 상기 홈의 중심 부분이 위치하고 있는 것.
(7) 상기 주출 돌출부의 외면에는, 상기 부리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덮개 결합용 환형 소돌기보다도 높은 부분에, 외방으로 돌출되는 완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8) 상기 완충 돌출부는, 부리부의 하단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완충 돌출부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가 부리부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또는 약간 외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
(9)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스커트의 상단 부분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 덮개와 스커트의 힌지 연결 부분의 반대측의 부분에, 상기 부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10) 상기 부리부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는, 상기 상부 덮개를 폐쇄할 때에 상기 상부 덮개의 하단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근접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
(11) 상기 스커트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내측벽과 외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벽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은, 그 하단부가 인열 가능한 약화부(弱化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벽에 상기 힌지 연결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
(12) 상기 외측벽의 상기 힌지 연결 부분의 한쪽 단부의 외측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열 가능한 축방향 새김선(scor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방향 새김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의 하단 부분에는, 상기 축방향 새김선의 하단을 시점(始點)으로 하여, 상기 힌지 연결 부분의 다른쪽 단부가 위치하는 측을 향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인열 개시 영역과, 이 인열 개시 영역에 연속하는 인열 진행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열 개시 영역에서의 내측벽과 외측벽의 연결 강도가, 상기 인열 진행 영역에서의 연결 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
본 발명의 플라스틱 캡에 있어서, 주출 돌출부의 외방으로 돌출된 부리부의 내면에는,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즉, 이러한 홈은, 따라내어지는 액을 집중시킨다고 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내용액을 따라낼 때의 용기의 기울기 정도가 다소 변화한 경우에도, 원활하게 일정한 액 폭으로 내용액을 따라내는 것이 가능해지며, 내용액을 따라내는 것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용기의 기울기가 다소 커져 따라내어지는 액량이 많아진 경우에도, 상기 홈에서 액이 집중되기 때문에, 부리부로부터 따라내어지는 액의 폭은 거의 변동되지 않아, 액의 낙하점에서의 면적이 커지는 일은 없다.
또한, 부리부의 내면은, 대략 수직의 시일면의 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 내에 위치하고, 이 경사면을 지나 상기 홈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를 크게 기울이지 않아도 액을 따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홈에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의 내부에 또한 소폭의 소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나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용기를 크게 기울여 대용량의 액을 따라내는 경우, 및 용기를 작게 기울여 소량의 액을 따라내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액 폭의 변동을 억제하면서 원활하게 액을 따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출통 구비 플라스틱 캡의 일례를, 상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출통 구비 플라스틱 캡의 측단면도(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출통 구비 플라스틱 캡을, 상부 덮개를 폐쇄한 상태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출통 구비 플라스틱 캡에 있어서, 새김선을 인열하여 상판부에 개구가 형성된 상태의 캡 본체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주출통 구비 플라스틱 캡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주출통의 부리부의 확대 측단면도(B-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주출통 구비 플라스틱 캡의 주요부인 부리부의 다른 예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완충용 돌출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캡을, 상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플라스틱 캡의 측단면도(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플라스틱 캡의 완충용 돌출부를 측면에서 봤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플라스틱 캡의 완충용 돌출부를 정면에서 봤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플라스틱 캡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완충용 돌출부를 갖고 있지 않은 플라스틱 캡에 대해서, 상부 덮개를 개방했을 때의 손가락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의 플라스틱 캡에 대해서, 상부 덮개를 개방했을 때의 손가락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완충용 돌출부를 갖고 있지 않은 도 13의 플라스틱 캡에 대해서, 용기 내용액을 작은 용기로 옮길 때의 캡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8의 플라스틱 캡에 대해서, 용기 내용액을 작은 용기로 옮길 때의 캡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캡 본체의 스커트가 슬릿(S)에 의해 내측벽과 외측벽으로 구획되어 있고, 내측벽과 외측벽이 파단 가능한 교락부(橋絡部)로 연결되어 있는 양태의 캡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플라스틱 캡에 있어서, 외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새김선 및 내측벽과 외측벽의 교락부를 인열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상태의 캡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 보면, 이 캡은, 캡 본체(1)와, 캡 본체(1)에 힌지 연결된 상부 덮개(2)를 포함하고, 그 자체가 공지된 합성 수지,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부텐-1,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ABS 수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을 이용한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상부 덮개(2)가 개방된 상태(도 2 참조)로 성형된다.
캡 본체(1)는, 상판부(5)와, 상판부(5)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6)를 갖고 있고, 상부 덮개(2)는, 스커트부(6)의 상단 부분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 힌지 연결부는 도면 부호 7로 나타내어져 있고, 스커트부(6)의 상단에 연결된 중앙 밴드(7a)와, 이 중앙 밴드(7a)의 양측에 위치하고 스커트부(6)의 상단보다 약간 하방에 연결되어 있는 1쌍의 보조 밴드(7b, 7b)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6)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상부 덮개(2)를 선회시킴으로써, 캡 본체(1)의 상판부(5)는, 상부 덮개(2)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중앙 밴드(7a)의 중심부 상면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얕은 홈(7c)이 중앙 밴드(7a)의 양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홈(7c)은 힌지의 절곡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홈(7c)이 힌지의 양단에 이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은, 상부 덮개를 많이 개폐하여도 힌지가 파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도 2를 참조해 보면, 캡 본체(1)의 스커트(6)의 내면에는, 걸림 돌기(8)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판부(5)의 내면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는, 스커트(6)와는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링(9)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내측 링(9)과 스커트(6) 사이의 공간에 용기 마우스부(도시하지 않음)가 끼워 넣어지고, 또한 걸림 돌기(8)와 용기 마우스부의 외면의 결합에 의해, 캡 본체(1)는, 용기 마우스부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스커트(6)에는, 그 두께 부분에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슬릿(S)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슬릿(S)에 의해, 스커트(6)는, 내측벽(6a)과 외측벽(6b)으로 구획된 2중벽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6a)과 외측벽(6b)은 하단에서 연속해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6)를 2중벽 구조로 함으로써, 캡의 분별 폐기시에, 캡을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캡 본체(1)의 상판부(5)의 상면에는, 내용액을 따라낼 때에 따라내어지는 액의 안내부가 되는 주출통(11)이 형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주출통(11)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 상판부(5)는, 사발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오목부 내에, 주출용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무단 새김선(12)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5)의 외면에는, 무단 새김선(12)의 내측에 있는 영역에 형성된 지주(支柱; 14)를 통해 새김선 파단용 탭 링(15)이 마련되어 있다. 즉, 탭 링(15)을 잡아 올림으로써, 새김선(12)이 파단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5)에 주출용 개구가 형성되고, 이 주출용 개구를 통해 용기 내용액이 따라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새김선(12)의 파단에 의해 형성된 주출용 개구로부터 흘러나온 내용액은, 주출통(11)에 의해 안내되고, 그 내면을 따라 따라내어진다. 특히,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주출통(11)은, 상부 덮개(2)와 힌지 연결되어 있는 부분측이 낮게 되어 있고, 이 높이가 낮은 부분의 상방 부분(11a)은, 외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이것은, 상부 덮개(2)를 폐쇄할 때에, 주출통(11)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주출통(11)의 내면의 하단 부분은, 전체 둘레에 걸쳐 평평하며, 대략 직립한 시일면(17)으로 되어 있고, 상부 덮개(2)를 폐쇄했을 때, 이 시일면(17)에 상부 덮개(2)의 일부가 밀착하여, 새김선(12)을 파단하여 주출용 개구가 형성된 후의 밀봉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출통(11)의 힌지 연결부(7)측과는 반대측 부분에는, 상단 부분의 일부가 외방으로 경사져 있고, 도 1의 평면도 및 도 4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외방으로 돌출된 부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리부(20)의 선단(가장 돌출된 상단 중심 부분)(20a)은, 힌지 연결부(7a)의 중심을 지나는 캡의 중심선(X) 상에 위치하고 있고, 삼각형의 정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부리부(20)의 내면의 하방 부분[부리부(20)가 형성하는 삼각형의 밑변 부분에 해당]은, 상기 시일면(17)의 상단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부리부(20)의 내면은, 상기 하방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0b)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출통(11)의 밑동 부분보다도 외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는 부리부(20)는 귀때가 되며, 이 부분으로부터 내용액을 따라 냄으로써, 내용액을 원활하게 따라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리부(20)에 있어서는, 그 상단이 얇은 두께로 되어 있고, 나팔 형상으로 외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즉, 부리 형상을 띠게 하면서, 상기와 같이 나팔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이 부분에서의 액의 부착이 억제되어 액 끊김성이 향상되며, 내용액을 따라내는 것을 종료했을 때의 액의 떨어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판부(5)의 외면에는, 상기 주출통(11)의 더 외측 부분에, 상부 덮개(2)와의 결합용 환형 소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덮개(2)는, 상판(25)과, 상판(25)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는 통 형상 측벽(27)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판(25)의 내면에는 시일 링(29)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덮개(2)를 폐쇄했을 때, 시일 링(29)의 외면이 주출통(11)의 내면 하방의 시일면(17)에 밀착하고, 이 밀착에 의해, 새김선(12)의 파단에 의해 주출용 개구를 형성한 후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주출통(11)의 힌지 연결부(7)측 부분(11a)의 높이가 낮게 되어 있고 또한 외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부 덮개(2)를 폐쇄할 때에 시일 링(29)은 원활하게 주출통(11) 내로 들어가, 시일면(17)과 밀착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2)의 상판(25)의 중앙 부분은 돔 형상으로 팽출된 팽출부(25a)로 되어 있다. 이러한 팽출부(25a)를 형성함으로써, 시일 링(29)의 내면으로부터 시일 링(29)으로 둘러싸인 상판(25)의 내면을 모서리부가 없는 원호 형상면으로 할 수 있고, 새김선(12)의 파단 후에 상판(25)의 내면에 부착된 내용액을 신속하게 용기 안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또한, 상판(25)의 힌지 연결부(7)와는 반대측 부분[주출통(11)의 부리부(20)가 위치하는 측]에는 플랜지(25b)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덮개(2)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25b)는, 통 형상 측벽(27)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덮개(2)를 개방할 때에, 손가락이 주출통(11)에 형성되어 있는 부리부(20)의 선단(20a)에 닿기 어렵게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2)의 통 형상 측벽(27)의 하단면의 선단부측[힌지 연결부(7)와는 반대측 부분]에는, 소돌기(27a)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즉, 내용액을 따라냈을 때, 캡 본체(1)의 상판부(5)의 상면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 특히 힌지 연결부(7b)와는 반대측 부분에는, 따라내어진 액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덮개(2)를 폐쇄했을 때에, 통 형상 측벽(27)의 하단면이 전체에 걸쳐 상판부(5)의 상면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밀착되어 버리면, 부착되어 있는 액이 튀어, 주위를 더럽혀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소돌기(27a)를 형성해 두면, 부착된 액이 튀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측벽(27)의 하단면의 힌지 연결부(7b)측에는, 상기와 같은 소돌기(27a)의 형성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높이 조정용 아치형 돌기(2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측벽(27)의 하방 부분의 내면에는, 돌기(27c)가 둘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덮개(2)를 폐쇄했을 때, 이 돌기(27c)가 상판부(5)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소돌기(21)와 결합하고, 이에 따라 상부 덮개(2)의 폐쇄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 5 및 도 6을 도 4의 사시도와 함께 참조해 보면, 주출통(11)의 부리부(20)의 내면에는, 홈(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홈(30)은, 전술한 시일면(17)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20)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홈(3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캡에서는, 따라내어지는 액이 부리부(20)에서 집중되어, 예컨대 용기를 기울여 내용액을 따라낼 때, 용기의 기울기 정도가 다소 변화한 경우에도, 부리부(20)가 따라내어지는 액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액의 낙하점의 면적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액의 낙하점의 면적이 증대하여 주위를 더럽히는 등의 문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으며, 따라내는 양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홈(30)은, 대략 수직의 시일면(17)의 상단으로부터 외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20b)[부리부(2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기울이지 않고 내용액을 따라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홈(30)이 형성되는 부리부(20)의 내면, 즉 경사면(20b)은, 도 6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출통(11)의 높이(h)의 적어도 절반 이상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사면(20b)의 영역이 짧으면, 액을 따라낼 때에 용기를 크게 기울일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경사면(20b) 내에 형성되는 홈(30)의 길이도 짧아져, 홈(30)에 의한 집중 효과도 반감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경사면(20a)의 경사각(θ)(도 6 참조)은, 액의 주출성이나 캡 성형 후의 형 빼기를 고려하여, 10°∼ 55°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5를 참조해 보면, 상판부(5)에 형성되어 있는 새김선(12)에 의해 구획되는 개구 예정부(개구에 해당, 도면 중 Z로 나타냄)는, 부리부(20)에 대면하는 측의 부분이 소폭의 주출액 집중 영역(Z1)을 갖고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홈(30)은, 이 주출액 집중 영역(Z1)과 같은 정도의 폭(w)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주출액 집중 영역(Z1)을 형성함으로써, 새김선(12)을 인열하여 형성되는 개구로부터 홈(30)에 걸쳐 주출액이 집중되기 때문에, 집중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는, 사발형의 오목부 내에 새김선(12)에 의해 개구 예정부(또는 개구)(Z)가 형성되어 있고, 주출통(11)의 밑동 부분을 향하여 주출액 집중 영역(Z1)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개구 예정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움푹 들어간 홈으로 되어 있고, 또한 주출액 집중 영역(Z1)의 연장선 상에 부리부(20)의 선단 부분(20a)[홈(30)의 중심]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를 기울였을 때, 주출액 집중 영역(Z1)으로부터 부리부(20)의 선단 부분(20a)까지, 일직선 상에 주출 유로가 형성되어, 용기 내용액을 효과적으로 따라낼 수 있고,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 7의 부분 확대 평면도를 참조해 보면, 홈(30)을 다단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있어서, 가장 큰 홈(30a)(이하,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라고 함)의 내부에는, 이것보다도 소폭이며 깊은 홈(30b)(이하,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라고 함)이 형성되고,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30b)의 내부에는, 더 소폭이며 깊은 홈부(30c)(이하, 소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라고 함)가 형성되고, 이들 홈부(30a∼30c)는, 모두, 시일면(17)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20)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홈(30)을 다단 구성으로 함으로써, 일반 수요자는, 주출액의 액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기를 크게 기울였을 때에는, 큰 폭의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30a)를 통해 액이 따라내어지게 되고, 용기의 기울기 정도를 작게 하면, 중간 정도의 폭의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30b)를 통해 액이 따라내어지며, 용기의 기울기 정도를 더 작게 하면, 가장 소폭의 소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30c)를 통해 액이 따라내어진다. 즉, 부리부(20)로부터 따라내어지는 액 폭을 보고, 일반 수요자는, 용기의 기울기 정도를 조정하여 따라내어지는 액량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서는, 부리부(20)가 외방으로 크게 돌출되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부 덮개(2)의 내면에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228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변형 수정 리브(rib)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 빼기 시에 부리부가 변형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캡 성형 후에 상부 덮개를 폐쇄함으로써, 부리부(20)의 변형을 변형 수정 리브에 의해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체예에서는, 새김선(12)에 의해 개구 예정부(Z)가 형성되어 있고, 새김선(12)을 인열함으로써 주출용 개구가 형성되지만, 이러한 새김선(12)을 형성하지 않고, 처음부터 주출용 개구를 형성해 두는 것(즉, 도 4의 상태로 해 두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부 덮개(2)는 캡 본체(1)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부리부(20)의 내면에 소정의 홈(30)을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상부 덮개(2)가 캡 본체(1)에 나사 체결되는 캡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캡은, 전술한 도면에 도시한 양태 이외에도 여러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주출통(11)의 상단에 부리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부 덮개(2)를 손가락으로 들어 올려 개방할 때, 손가락이 부리부(20)의 뾰족한 선단에 닿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불쾌감은, 완충용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용 돌출부를 마련한 캡의 예를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8 내지 도 12의 캡은, 기본적인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캡과 동일하며, 따라서 도 8 내지 도 12에서는,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2의 양태의 캡에서는, 주출통(11) 대신에, 아치 형상을 갖고 있는 주출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주출 돌출부(110)는, 주출통(11)의 힌지 연결부(7)측의 높이가 낮은 부분이 잘려져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힌지 연결부(7)와는 반대측의 부분으로부터 내용액이 따라내어지기 때문에, 상기 힌지 열결부측의 높이가 낮은 부분에는 안내벽이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이 부분을 잘라냄으로써, 상부 덮개(2)를 폐쇄할 때에, 주출 돌출부(110)가 방해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주출 돌출부(110)의 둘레방향 중심 부분에는, 주출통(11)과 마찬가지로 부리부(20)가 형성되고, 부리부(20)의 내면(경사면)(20b) 내에는,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주출 돌출부(110)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 상판부(5)는, 힌지 연결부(7)측이 낮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주출 돌출부(110)의 내면의 하단 부분은, 전역(全域)에 걸쳐 평평하고 대략 직립한 시일면(17)으로 되어 있고(특히 도 9 참조), 힌지 연결부(7)측의 노치부[즉, 주출 돌출부(110)가 잘려 존재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상판부(5)에는, 무단 새김선(12)을 향하여 하방으로 내려간 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면의 하방 부분은, 무단 새김선(12)까지 연장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에 이어지는 상방 부분이 대략 직립한 시일면(17a)으로 되어 있으며, 시일면(17a)은, 주출 돌출부(110)의 하부의 시일면(17)에 연속해 있다. 즉, 상부 덮개(2)를 폐쇄했을 때, 주출 돌출부(110)와 상판부(5)에 형성된 시일면(17, 17a)에 상부 덮개(2)의 시일 링(29)이 밀착하여, 새김선(12)이 파단되어 주출용 개구가 형성된 후의 밀봉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2)에 형성되어 있는 시일 링(29)은, 시일면(17a)에 밀착되는 부분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해 보면, 이 캡의 상부 덮개(2)의 통 형상 측벽(27)의 내면에는, 힌지 연결부(7)와는 반대측의 부분[플랜지(25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내측]에, 씨닝(thinning)에 의해 세로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로홈(40)을 형성해 둠으로써, 상부 덮개(2)를 폐쇄했을 때에, 주출 돌출부(110)의 부리부(20)가 상부 덮개(2)의 통 형상 측벽(27)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아, 원활하게 상부 덮개(2)를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캡에 있어서, 주출 돌출부(110)의 외면에는, 부리부(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방으로 돌출된 완충용 돌출부(50)가 형성된다. 이 완충용 돌출부(50)는, 상부 덮개(2)와의 결합용 환형 소돌기(21)보다도 높은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그 직경방향 외측 단부가 부리부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20a)보다 약간 외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용 돌출부(50)의 상면(50a)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가 아치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완충용 돌출부(50)의 측면(50b)은, 하방으로 감에 따라 점차 돌출 길이가 작아지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성형시 형 빼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완충용 돌출부(50)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덮개(2)를 개방할 때에, 손가락이 부리부(20)의 선단(20a)에 닿는 것에 의한 불쾌감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완충용 돌출부(50)가 주출 돌출부(110)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캡에 대해서는, 상부 덮개를 개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13을 참조해 주기 바란다. 즉, 폐쇄되어 있는 상부 덮개(2)의 개방은, 전술한 플랜지(25b)를 손가락(P)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행해지는데, 이 경우, 손가락(P)이 주출 돌출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선단이 뾰족한 형상의 부리부(20)에 강하게 닿아 버릴 우려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부 덮개(2)를 개방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
이에 비하여, 전술한 완충용 돌출부(50)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캡에 대해서는, 상부 덮개를 개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14를 참조해 주기 바란다. 도 1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P)으로 상부 덮개(2)를 밀어 올려 개방했을 때, 손가락(P)이 완충용 돌출부(30)에 닿게 된다. 이 때문에, 손가락(P)이 뾰족한 부리부(20)의 선단부(20a)에 닿았다고 해도, 부리부(20)에 닿는 느낌이 완화되어, 이러한 닿는 느낌에 의한 불쾌감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완충용 돌출부(50)는, 부리부(20)의 선단(20a)의 하단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그 상단(50a)이 부리부(20)의 선단을 지나는 축선(L)의 부분 또는 축선(L)보다도 약간 외방의 부분으로까지 돌출되어 있는 것이 좋다(도 10 참조). 그 돌출 위치가 축선(L)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부리부(20)에 손가락(P)이 닿는 느낌을 완화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용 돌출부(50)를 마련함으로써, 예컨대 부리부(20)의 선단(20a)이, 상부 덮개(2)를 폐쇄할 때에 통 형상 측벽(27)의 하단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근접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부 덮개(2)를 개방할 때에 손가락(P)이 부리부(20)에 닿는 느낌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캡에서는, 용기 내용액을 작은 용기 내로 용이하게 옮기기에도 유리하다.
예컨대, 도 15는, 상기와 같은 완충용 돌출부(5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 13의 캡에 대해서, 용기 내용액을 작은 용기로 옮길 때의 캡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인데, 이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캡의 주출 돌출부(110)의 외면을, 옮길 작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의 상단에 접촉시키면서 용기를 기울인 경우, 주출 돌출부(110)의 상단의 부리부(20)의 선단 부분은, 작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의 상단에 접촉하거나 또는 작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에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내용액이 따라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따라내어진 내용액이 작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의 상단면에 닿으면서 흘러 들어가게 되고, 그 결과 내용액의 일부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의 외면측으로 흘러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에 비하여, 완충용 돌출부(50)를 갖는 본 발명의 캡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출 돌출부(1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용 돌출부(50)에 작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을 대면서, 내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를 기울이면, 주출 돌출부(110)의 부리부(20)는, 작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의 약간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 결과 내용액을 작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의 상단에 대지 않고서, 직접 작은 용기 내로 따라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완충용 돌출부(50)를 작은 용기의 마우스부벽(100)에 대면서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따라낼 때의 용기의 흔들림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따라 넣는 작은 용기의 용기벽(100)에 접촉시키지 않고서 따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을 흘리지 않고, 확실하게 작은 용기 내에 내용액을 따라 넣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로 되돌아가 보면, 캡 본체(1)의 상판부(5)에 형성되어 있는 무단 새김선(12)은,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연결부(7)측 및 힌지 연결부(7)와의 반대측 부분이 폭이 좁은 형상을 갖고 있으며, 각각 협폭부(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 즉, 무단 새김선(12)을 인열하여 주출용 개구를 형성하고, 용기를 기울여, 주출용 개구로부터 내용액을 따라내는 경우, 힌지 연결부(7)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협폭부(12b)로부터 주출 돌출부(110)의 부리부(20)의 내면으로 내용액이 집중되어 신속하게 흘러 나오고, 또한 따라내는 것을 종료한 후에는, 힌지 연결부(7)측의 벽면에 부착되어 잔존한 액이, 협폭부(12a)로부터 신속하게 용기 내로 되돌아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무단 새김선(12)이 형성되어 있는 면은, 부리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측이 높고 또한 힌지 연결부(7)측이 낮게 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5)의 이면에는, 상기 협폭부(12a, 12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각각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작은 리브(60, 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60)가 안내부가 되어, 힌지 연결부(7)측의 벽면에 부착되어 잔존한 액은, 협폭부(12a) 근방의 벽면에 체류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용기 내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캡에 대해서도 설명하였으나, 도 1 내지 도 4 및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캡에서, 스커트(6)는, 슬릿(S)에 의해 내측벽(6a)과 외측벽(6b)으로 구획된 2중벽 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벽(6a)과 외측벽(6b)은 하단에서 연속해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6)를 2중벽 구조로 함으로써, 캡의 분별 폐기시에, 캡을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2중벽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6b)에 새김선(6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새김선(65)은, 힌지 연결부(7)[힌지 밴드(7b)]의 근방 위치에 있어서 외측벽(6b)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개방된 상태의 상부 덮개(2)를 끌어 내림으로써, 새김선(65)을 인열하여 외측벽(6b)을 파단하는 것에 의해, 캡 본체(1)를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새김선(65)에 의해 외측벽(6b)을 인열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김선(65)의 상단과 하단의 각각에 노치(6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노치(67)의 형성에 의해, 새김선(65)에서의 인열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새김선(65)에서의 외측벽(6b)의 인열은, 통상 개방되어 있는 상부 덮개(2)를 끌어 내림으로써 행해지지만, 일반 소비자는, 상부 덮개(2)를 끌어 올림으로써, 캡 본체(1)를 용기로부터 분리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노치(67)를 새김선(65)의 하단부에도 형성해 둠으로써, 상부 덮개(2)를 끌어 올렸을 때에도 새김선(65)을 인열하여, 캡 본체(1)를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의 예에서, 외측벽(6b)의 외면에는, 상기 새김선(65)의 근방 부분[힌지 연결부(7)의 근방]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7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70)는, 캡 본체(1)를 용기 마우스부에 끼워 맞춤 고정할 때의 위치 결정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릿(S)에 의해 스커트(6)를 이중벽 구조로 한 경우에 있어서는, 내측벽(6a)과 외측벽(6b)의 하단부를, 파단 가능한 교락부(bridge)로 연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캡 본체(1)의 용기 마우스부로부터의 분리를,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벽(6a)과 외측벽(6b)의 하단부를, 파단 가능한 교락부로 연결한 경우에는, 그 연결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분별 폐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캡의 예를 도 17에 도시하였다.
도 17은, 상부 덮개(2)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플라스틱 캡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캡에서는, 슬릿(S)에 의해 분단된 내측벽(6a)과 외측벽(6b)의 하단부가, 약화부(弱化部)[새김선과 복수의 교락부(75)]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교락부(75)는, 용이하게 인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내측벽(6a)과 외측벽(6b)의 하단부는, 인열 개시 영역(Q1)과 인열 진행 영역(Q2)과 인열 불능 영역(Q3)으로 구획되어 있다. 즉, 인열 개시 영역(Q1)에서는, 내측벽(6a)과 외측벽(6b)의 연결 강도가 가장 낮게, 예컨대 인열 진행 영역(Q2)에 비하여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인열 불능 영역(Q3)에서는, 연결 강도가 가장 높고, 인열 불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1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인열 개시 영역(Q1)은, 외측벽(6b)의 힌지 연결 부분(7)의 한쪽 단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축방향 새김선(65)의 하단을 시점으로 하여, 힌지 연결 부분(7)의 다른쪽 단부가 위치하는 측을 향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인열 개시 영역(Q1)에 연속하여 인열 진행 영역(Q2)이 연속해 있으며, 인열 불능 영역(Q3)은, 인열 진행 영역(Q2)에 연속해 있고, 또한 인열 개시 영역(Q1)에 연속해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영역(Q1∼Q3)에서의 연결 강도는, 슬릿(S)의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인열 개시 영역(Q1)에서는, 슬릿(S)을 스커트(6)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완전히 관통시켜, 이 영역(Q1)에 있어서, 내측벽(6a)과 외측벽(6b)을 완전히 분단함으로써, 가장 연결 강도가 낮은 영역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강도는 제로이며, 약화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게 된다. 또한, 완전히 분단한 슬릿(S)을 가장 연결 강도가 낮은 교락부(75)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에 비해, 인열 진행 영역(Q2)에서는, 파단 가능한 교락부(75)의 두께를, 인열 가능한 정도의 범위에서, 인열 개시 영역(Q1)의 교락부(75)보다도 두껍게 하거나, 또는 이 교락부(75)의 간격을 인열 개시 영역(Q1)보다도 짧게 함으로써, 연결 강도를 인열 개시 영역(Q1)보다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열 진행 영역(Q2)에는, 파단 가능한 교락부(75)를 마련하지 않고서, 슬릿(S)을 깊게 형성한 새김선에 의해 연결 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인열 불능 영역(Q3)에서는, 슬릿(S)을 가장 얕게 형성하거나, 또는 슬릿(S)을 전혀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인열 불가능한 연결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연결 강도가 조정된 영역(Q1∼Q3)을 내측벽(6a)과 외측벽(6b)의 하단부에 형성함으로써, 분별 폐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8 및 도 19에는, 상기와 같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캡을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분리할 때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의 예에서는, 인열 개시 영역(Q1)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파단 가능한 교락부(75)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인열 진행 영역(Q2)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파단 가능한 교락부(75)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8 및 도 1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2)를 끌어 내려 새김선(65)을 인열한 후, 상부 덮개(2)를 손잡이로 하여, 외측벽(6b)을 둘레방향으로 젖혀 감으로써, 교락부(75)가 인열되어 외측벽(6b)이 완전히 내측벽(6a)과 분리된 상태가 되고, 인열 불능 영역(Q3)에 있어서만, 외측벽(6b)과 내측벽(6a)이 일체로 연속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캡 본체(1)와 용기 마우스부의 결합력이 대폭으로 저하되어, 인열된 외측벽(6b)을 손으로 잡아, 캡 본체(1)를 끌어 올림으로써, 캡 본체(1)를 용이하게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인열을 행하는 경우, 상부 덮개(2)를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7)가 마련되어 있는 외측벽(6b)의 부분이 교락부(75)의 인열 개시 영역(Q1)의 개시점이 되고, 내측벽(6a)과 외측벽(6b)의 연결 강도가 가장 낮으며(이 경우에는 제로임), 이 때문에, 인열을 신속하게 개시하여, 이에 이어서 인열 진행 영역(Q2)에서의 인열로 이행할 수 있어, 특별한 공구를 전혀 이용하지 않고도, 캡 본체(1)를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축방향 새김선(65)의 상단뿐만 아니라 하단에도 노치(6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덮개(2)를 끌어 올려 캡 본체(1)를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분리하고자 한 경우에도, 축방향 새김선(65)의 하단의 노치(67)와 인열 개시 영역(Q1)의 작용에 의해 캡 본체(1)를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 영역(Q1∼Q3)의 길이는, 캡 본체(1)와 용기 마우스부의 결합력이 손상되지 않고, 일정한 시일성이 유지되며, 또한 파단 가능한 교락부(75)의 인열이 원활하게 행해져, 캡 본체(1)의 용기 마우스부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설정되면 된다. 예컨대, 인열 개시 영역(Q1)의 길이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여 버리면, 캡 본체(1)와 용기 마우스부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시일성이 손상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 길이는, 통상 힌지 밴드부(7)의 둘레방향 길이와 같은 정도로 설정된다. 또한, 인열 진행 영역(Q2)은, 이 영역의 교락부(75)가 인열되었을 때, 캡 본체(1)를 용이하게 용기 마우스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면 되고, 예컨대 인열 개시 영역(Q1)과 인열 진행 영역(Q2)의 합계 길이가, 스커트(6)의 전체 둘레 길이의 절반 정도 이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인열 불능 영역(Q3)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내측벽(6a)과 외측벽(6b)이 파단 가능한 교락부(75)로 연결되어 있는 캡은, 분별 폐기성이 매우 우수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캡은, 각종 음료나 간장 등의 조미액 등이 충전된 용기의 캡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용기 마우스부에 고정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캡 본체는, 상판부와, 상판부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드리워진 스커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부에는, 용기 내용액을 따라내기 위한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의 외측 부분에, 용기 내용액의 주출(注出)용 안내부가 되는 주출 돌출부와, 이 주출 돌출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 결합용 환형 소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캡으로서,
    상기 주출 돌출부의 상단 부분에는, 외방으로 경사져서 돌출되고 상면에서 보아 삼각형 형상을 갖는 부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출 돌출부의 내면의 하단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일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주출 돌출부의 내면에는, 상기 부리부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까지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덮개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시일면과 밀착하는 시일 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돌출부는, 통 형상을 갖는 것인 플라스틱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돌출부의 상기 부리부의 내면은, 상기 시일면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외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부리부의 둘레방향 중심에서의 측단면에서 보아, 상기 경사면은, 상기 주출 돌출부의 절반 이상의 높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는, 상기 부리부에 대면하는 측의 부분이 소폭의 주출액 집중 영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방에서 보아,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는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와, 이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보다도 소폭이며 깊고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는 소용량 또는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의 내측에는, 이 대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보다도 소폭이고 깊으며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는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와, 이 중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보다도 더 소폭이고 깊으며 상기 시일면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부리부 상단까지 연장되는 소용량 주출 안내용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주출 돌출부보다도 내측의 부분에는, 중심부가 가장 움푹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 상기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 또는 개구 예정부의 주출액 집중 영역으로부터는, 상기 주출 돌출부의 밑동 부분을 향하여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주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출 유로의 연장선 상에 상기 홈의 중심 부분이 위치하고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돌출부의 외면에는, 상기 부리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덮개 결합용 환형 소돌기보다도 높은 부분에, 외방으로 돌출되는 완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돌출부는, 부리부의 하단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완충 돌출부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가 부리부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또는 약간 외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스커트의 상단 부분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 덮개와 스커트의 힌지 연결 부분의 반대측의 부분에, 상기 부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리부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는, 상기 상부 덮개를 폐쇄할 때에 상기 상부 덮개의 하단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근접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는, 내측벽과 외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벽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은, 그 하단부가 인열 가능한 약화부(弱化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벽에 상기 힌지 연결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상기 힌지 연결 부분의 한쪽 단부의 외측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열 가능한 축방향 새김선(scor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방향 새김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의 하단 부분에는, 상기 축방향 새김선의 하단을 시점(始點)으로 하여, 상기 힌지 연결 부분의 다른쪽 단부가 위치하는 측을 향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인열 개시 영역과, 이 인열 개시 영역에 연속하는 인열 진행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열 개시 영역에서의 내측벽과 외측벽의 연결 강도가, 상기 인열 진행 영역에서의 연결 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플라스틱 캡.
KR1020107004712A 2007-08-09 2008-08-08 주출 돌출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캡 KR20100052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08506 2007-08-09
JP2007208506 2007-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510A true KR20100052510A (ko) 2010-05-19

Family

ID=4034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712A KR20100052510A (ko) 2007-08-09 2008-08-08 주출 돌출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캡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19186A1 (ko)
EP (1) EP2189387B1 (ko)
JP (1) JP2009062091A (ko)
KR (1) KR20100052510A (ko)
CN (1) CN101821172B (ko)
TW (1) TW200920662A (ko)
WO (1) WO2009020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56953T1 (de) * 2008-07-08 2012-05-15 Crown Cork Japan Behälterdeckel aus kunstharz
JP5692972B2 (ja) * 2009-05-29 2015-04-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JP5558070B2 (ja) * 2009-09-30 2014-07-23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KR200461241Y1 (ko) * 2010-06-07 2012-06-28 씨제이제일제당 (주)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JP5572457B2 (ja) * 2010-06-30 2014-08-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JP5189153B2 (ja) * 2010-10-15 2013-04-24 三笠産業株式会社 容器のキャップ
JP5669597B2 (ja) * 2011-01-28 2015-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分別廃棄用ヒンジキャップ
EP2774870B1 (en) * 2011-10-31 2017-02-15 Nippon Closures Co., Ltd. Container lid
JP6124552B2 (ja) * 2011-12-26 2017-05-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JP6052766B2 (ja) * 2012-06-28 2016-1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EP3003894B1 (en) * 2013-05-29 2019-03-27 AptarGroup, Inc. Closure with lid and removable membrane
CN103640776B (zh) * 2013-11-22 2016-01-13 中山环亚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硬朗型防漏瓶盖
CN103786963B (zh) * 2014-02-24 2016-07-13 上海洁诺德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奶粉罐的包装盖
JP6192571B2 (ja) * 2014-02-28 2017-09-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USD798712S1 (en) * 2015-04-01 2017-10-03 Kikkoman Corporation Container lid
CN105947385A (zh) * 2016-06-24 2016-09-21 广州承天包装设计有限公司 一种应用于液体包装的双色或多色防伪瓶盖
JP6846960B2 (ja) * 2017-03-13 2021-03-2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CN111615490B (zh) * 2017-12-07 2022-05-03 贝塔帕克个人股份有限公司 用于瓶子的瓶塞
USD931101S1 (en) 2018-03-02 2021-09-21 Berlin Packaging, Llc Closure
USD900606S1 (en) 2018-03-02 2020-11-03 Berlin Packaging, Llc Closure
JP2020132190A (ja) * 2019-02-18 2020-08-31 三笠産業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JP2020183280A (ja) * 2019-04-26 2020-1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JP7366491B2 (ja) * 2019-05-23 2023-10-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バリアキャップ
CN111301852B (zh) * 2020-02-24 2022-03-15 李锦记有限公司 一种防滴漏瓶盖及其防滴漏方法
JP7405104B2 (ja) * 2021-01-29 2023-12-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液体注出用ノズルおよび液体注出用ノズル付き液体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5913A (en) * 1932-08-20 1933-09-05 Robert F Kerkam Drip preventing means
GB1439460A (en) * 1972-07-19 1976-06-16 Parsons Bros Ltd Tamperproof closures for containers
JPS5490348U (ko) * 1977-12-05 1979-06-26
JPS6173555U (ko) * 1984-10-18 1986-05-19
JPS633956U (ko) * 1986-06-25 1988-01-12
GB8625169D0 (en) * 1986-10-21 1986-11-26 Duma Packaging As Closure assembly
USD319981S (en) * 1988-10-17 1991-09-17 Specialty Packaging Licensing Company Pour spout for containers
US5169040A (en) * 1990-06-12 1992-12-08 Wiley Lee A Dripless spout having a V-shaped channel
JP3591065B2 (ja) * 1995-07-17 2004-11-17 凸版印刷株式会社 易注出性口栓
US5850953A (en) * 1997-01-28 1998-12-22 Aptargroup, Inc. Drip-free dispensing structure with collecting reservoir
US6648188B2 (en) * 1999-12-21 2003-11-18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Liquid dispensing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69986B1 (en) * 2000-06-20 2001-08-07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Dispensing closure with tamper evident lid panel
JP4159235B2 (ja) * 2000-09-04 2008-10-01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JP2003040299A (ja) * 2001-08-02 2003-02-13 Japan Crown Cork Co Ltd 注出筒付きキャップ
JP3895704B2 (ja) * 2003-05-28 2007-03-2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注出筒付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6016052A (ja) * 2004-07-02 2006-01-19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機能付キャップ
JP4725992B2 (ja) * 2004-11-30 2011-07-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キャップ
WO2006099214A2 (en) * 2005-03-11 2006-09-21 Berry Plastics Corporation Tamper-evident closure
JP4786236B2 (ja) * 2005-07-13 2011-10-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JP4840917B2 (ja) * 2006-07-12 2011-12-2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Icタグ付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62091A (ja) 2009-03-26
CN101821172B (zh) 2012-01-25
TW200920662A (en) 2009-05-16
CN101821172A (zh) 2010-09-01
US20100219186A1 (en) 2010-09-02
WO2009020202A1 (ja) 2009-02-12
EP2189387B1 (en) 2018-01-24
EP2189387A1 (en) 2010-05-26
EP2189387A4 (en)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2510A (ko) 주출 돌출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캡
JP5033477B2 (ja) 注出筒付き蓋
JP5000425B2 (ja) 注出筒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554785B2 (ja) 分別回収容易なヒンジキャップ
JP461650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132554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3895704B2 (ja) 注出筒付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156265B2 (ja) 開封性及び流量制御に優れたキャップ
JP4330186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JP5512421B2 (ja) 容器の注出キャップ
JP5702076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50062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5232569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5290660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560349B2 (ja) 液飛び防止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707793B2 (ja) 分別廃棄可能なキャップ
JP4531516B2 (ja) 容器蓋
JP4285808B2 (ja) 易開栓性中栓
JP2007302291A (ja) 分別廃棄性の良好なキャップ
JP2002128125A (ja) 注出装置
JP2000072167A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ヒンジキャップ
JP4966734B2 (ja) 注出筒付き蓋
JP5203254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3191990A (ja) 複合容器蓋
JP2024018256A (ja) 螺子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