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344A -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344A
KR20090047344A KR1020080057179A KR20080057179A KR20090047344A KR 20090047344 A KR20090047344 A KR 20090047344A KR 1020080057179 A KR1020080057179 A KR 1020080057179A KR 20080057179 A KR20080057179 A KR 20080057179A KR 20090047344 A KR20090047344 A KR 2009004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ischarge
recording medium
discharging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948B1 (ko
Inventor
신지 마사키
고우이치 구메타
사토시 후카다
마사히로 모리
도모노리 이시카와
고 곤도
마사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03G15/6576Decurling of sheet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62Decurl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87Handling details
    • G03G2215/00704Curl adding, be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수용성(收容性)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배출 기구(630)에 의해 배출되는 용지(P)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배출 기구(630)의 하류측에 설치하여, 배출되는 용지(P)에, 화살표 D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코르게이션(corrugation; K)을 형성하는 형성 슈트(chute; 641)를 구비하고, 형성 슈트(641)는 배출되는 용지(P)를 안내하는 안내부(641a)와, 안내부(641a)에 의해 안내되는 용지(P)에, 화살표 D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코르게이션(K)을 형성하는 형성부(641b)를 갖는다.
용지 배출 장치, 형성 슈트, 동력 전달 부재, 코르게이션

Description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DISCHAR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출 장치는, 가이드로 용지를 안내하면서 용지를 배출 기구에 반송하고, 배출 기구에 의해 용지를 배출부에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배출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등에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광학적으로 잠상(潛像)이 형성된 감광체 드럼에 토너상을 형성하고, 그 토너상을 전사 벨트에 1차 전사하고, 용지에 1차 전사된 1차 전사상을 전사 벨트로부터 2차 전사한다. 그리고, 2차 전사된 2차 전사상을 용지에 정착시키고, 배출 장치에 의해 용지를 장치 외의 배출부에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를 장치 외의 배출부에 배출할 때, 용지가 힘이 없으므로, 용지의 배출 방향에서 용지의 선단측이 아래로 처져서 구부러져, 용지의 수용성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수용성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지의 배출 방향에 대해서 직행하는 방향으로 배출 기구에 의해 용지를 파동치게 하여, 볼록형의 코르게이션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코르게이션이 형성된 용지가 가이드에 접촉하여, 찰과음(擦過音)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찰과음을 저감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용지에 형성된 코르게이션에 대응하는 위치의 가이드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지의 코르게이션이 형성된 부분이 가이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6-082899
본 발명은, 찰과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기록 매체의 수용성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배출 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에서 상기 배출 수단의 하류측에 설치하여,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기복(起伏)을 형성하는 형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형성 수단은,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상기 기복을 형성하는 형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제 1 판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판형상 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제 2 판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형성부는, 상기 제 1 판형상 부재에 설치하여,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배치되는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2 판형상 부재에 설치하여,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배치되는 제 2 볼록부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제 1 볼록부가 상기 제 2 볼록부와 상기 소정의 간격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 2 볼록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형성 수단은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형성부는 상기 배출 방향으로 볼록이 되는 "ハ"자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상기 배출 수단이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형성 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을 구동하는 동력을 상기 보조 수단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단은 회전하는 회전 수단과, 상기 회전 수단의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상기 기복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크기가 다른 상기 기록 매체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기복이 형성되는 상기 기록 매체보다 작은 제 1 기록 매체에, 상기 기복보다 작은 제 1 기복을 형성하는 돌기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 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상기 기복은, 상기 배출 수단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상기 기복은 복수 형성되어, 상기 기복끼리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기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찰과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기록 매체의 수용성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찰과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기록 매체의 수용성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경사진 기복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범위에 기복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배출 수단에 형성 수단을 동기(同期)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의 배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배출 수단의 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형성된 기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기록 매체의 수용성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의 수용성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찰과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기록 매체의 수용성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프린터의 개략도이다.
(컬러 프린터의 구성)
도 1에서, 부호 1은 컬러 프린터(화상 형성 장치)이다. 컬러 프린터(1)는, 제어부(10)와, 화상 형성 유닛(100)과, 1차 전사 장치(200)와, 급지(給紙) 장치(300)와, 2차 전사 장치(400)와, 정착 장치(500)와, 용지 배출 장치(배출 장치)(600)를 구비하고 있다. 컬러 프린터(1)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4색의 색 성분이 중첩된 화상을 용지(기록 매체)(P)에 인쇄한다.
컬러 프린터(1)는, 퍼스널 컴퓨터나 화상 판독 장치 등의 도시 생략한 화상 출력 장치로부터 소정의 통신 회선을 거쳐서 화상 데이터가 제어부(10)에 공급된다. 제어부(10)는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유닛(100)에 화상 형성의 제어 지령을 낸다. 또한, 제어부(10)는 이 화상 형성 동작을 포함해서 컬러 프린터(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화상 형성 유닛(100)은, 제어부(1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광을 주사(走査)하는 레이저광 주사 장치(110)와, 이 레이저광 주사 장치(110)의 상방에 배치되고, 레이저광 주사 장치(110)에서 주사된 레이저광에 의해 정전 잠상(靜電 潛像)이 형성되는 감광체 드럼(120)을 갖고 있다. 레이저광 주사 장치(110)는, 각 색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광을 편향 주사하여, 감광체 드럼(120)에 조사한다.
감광체 드럼(120)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체 드럼(120)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120)의 표면을 청소하는 도시 생략한 클리닝 장치와, 감광체 드럼(120)의 표면을 대전(帶電)하는 도시 생략한 대전기와, 감광체 드럼(120)의 표면 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130)가, 이 순서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유닛(100)에 의하면,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120)이 도시 생략한 대전기에 의해 대전되고, 그 표면에 레이저광 주사 장치(110)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고, 이것에 의해 각 색의 화상 데이터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다음에, 정전 잠상이 현상기(130)를 통과함으로써 현상기(130)로부터 감광체 드럼(120)의 표면에 토너가 공급되고, 그 표면에 정전 잠상에만 토너가 남아서 토너상이 현상된다.
다음에, 감광체 드럼(120) 위의 토너상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순환 회전하고 있는 1차 전사 장치(200)의 전사 벨트(210) 위에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후, 감광체 드럼(120)의 표면에는 토너가 잔존한다. 그 잔존한 토너는, 도시 생략한 클리닝 장치에 의해 감광체 드럼(120)의 표면으로부터 긁어 떨어진다.
1차 전사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20)으로부터 전사 벨트(210)에 토너상을 받아 1차 전사의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것이다. 1차 전사 장치(200)의 전사 벨트(210) 위에는, 각 색의 토너상이 다중 전사된다. 전사 벨트(210)는 구동 롤(220) 및 백업 롤(230)에, 일정한 텐션이 걸린 상태로 감겨져 있고, 구동 롤(220)에 의해 일정 속도로 화살표 B 방향으로 순환 회전된다.
전사 벨트(210)의 내주측에는, 감광체 드럼(120)의 사이에 전사 벨트(210)를 끼고, 감광체 드럼(120)과 함께 회전하는 1차 전사 롤(2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사 벨트(210)를 끼고 구동 롤(220)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사 벨 트(210)의 표면을 청소하는 벨트 클리너(2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 클리너(250)는 전사 벨트(210)의 표면에 잔존한 토너를 긁어낸다.
급지 장치(300)는, 다수의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 보관부(310)와, 급지 보관부(310)로부터 1매의 용지(P)를 인출하는 추출 롤(320)과, 2차 전사 장치(400)를 향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 롤쌍(330)과, 규정의 타이밍으로 2차 전사 장치(400)에 용지를 이송하는 레지스트 롤쌍(340)을 구비하고 있다. 급지 장치(300)는, 급지 보관부(310)로부터 인출한 용지(P)를 2차 전사 장치(400)를 향해서 반송한다.
2차 전사 장치(400)는 백업 롤(230)과의 사이에 전사 벨트(210)를 끼고, 백업 롤(230)과의 사이에 전사압을 발생시키면서 함께 회전하는 2차 전사 롤(410)을 구비하고 있다. 2차 전사 장치(400)에서는, 급지 보관부(310)로부터 반송된 용지(P)가, 전사 벨트(210) 위의 토너상과 타이밍을 맞춰서 2차 전사 롤(410)과 전사 벨트(210)의 사이에 삽입되어, 용지(P)의 표면에 토너상이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된 용지(P)는 정착 장치(500)에 이송된다.
정착 장치(500)는 가열 롤(510)과 가압 롤(520)을 구비하고 있다. 가열 롤(510)과 가압 롤(520)의 사이에 용지(P)를 가열하면서 강하게 끼워서 반송함으로써, 용지(P)의 표면에 2차 전사상을 정착시킨다. 2차 전사상을 정착시킨 용지(P)는 용지 배출 장치(600)에 이송된다. 용지 배출 장치(600)는, 정착 장치(500)로부터 이송되어 온 용지(P)를 후술하는 배출부(20)에 배출한다. 또한, 용지 배출 장치(60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컬러 프린터의 동작)
다음에, 컬러 프린터(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컬러 프린터(1)는 각각의 감광체 드럼(120)의 표면에 형성된 C, M, Y, K의 각 색의 토너상을 전사 벨트(210)에 순차적으로 1차 전사한다. 이어서, 급지 장치(300)로부터 반송된 용지(P)에, 2차 전사 장치(400)에 의해 전사 벨트(210) 위의 1차 전사상을 2차 전사한다. 그리고, 용지(P)를 정착 장치(500)에 이송하여, 용지(P)에 2차 전사상을 정착시킨다. 이 2차 전사상을 정착시킨 용지(P)를 용지 배출 장치(600)에 의해 배출부(20)에 배출한다.
(용지 배출 장치의 구성)
다음에, 용지 배출 장치(600)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용지 배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용지 배출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용지 배출 장치를 용지 배출 방향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배출 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작은 용지를 배출할 때의 용지 배출 장치를 상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용지를 배출할 때의 용지 배출 장치를 상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용지를 배출할 때의 용지 배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배출 기구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후술하는 보조 기구(643)의 노드(643c)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용지 배출 장치(6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부(20)와 반송 롤쌍(610)과 가이드(620)와 배출 기구(배출 수단)(630)와 파동(波動) 형성 장치(640) 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배출 장치(600)는 반송 롤쌍(610)에 의해 반송되는 용지(P)를 가이드(620)로 안내하면서 배출 기구(630)에 반송하고, 배출 기구(630)에 의해 배출되는 용지(P)에 파동 형성 장치(640)로 코르게이션(기복)(K)을 형성한다. 그리고, 코르게이션(K)이 형성된 용지(P)를 배출부(20)에 배출한다. 또한, 반송 롤쌍(610)에 의해 용지(P)를 반송하고, 배출부(20)에 용지(P)를 배출하는 방향이 용지 배출 방향(배출 방향)이다.
배출부(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되는 용지(P)가 용지(P)의 자중(自重)에 의해 조정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부(21)와, 평탄부(22)를 갖고 있다. 경사부(21)는 평탄부(22)보다 배출 기구(630)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경사부(21)는 평탄부(22)로부터 배출 기구(630)의 방향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반송 롤쌍(610)은, 정착 장치(500)에 의해 2차 전사상이 정착된 용지(P)를 배출 기구(630)에 반송한다. 안내 수단인 가이드(6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한 안내로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620)는 반송되는 용지(P)를 배출 기구(630)에 안내한다.
배출 기구(6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부재(631)와 핀치 부재(632)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기구(630)는, 반송 롤쌍(61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용지(P)를 구동 부재(631)와 핀치 부재(632)로 끼워, 배출부(20)에 배출한다. 구동 부재(63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631a)과 구동 롤(631b)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부재(631)는 회전축(631a)에 복수의 구동 롤(631b)을 꼬치 형상으 로 고정하고 있다.
회전축(631a)은 도시 생략한 횡이동 장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축(631a)은, 용지 배출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도 2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회전축(631a)은 도시 생략한 회전 구동 장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축(631a)은 회전한다. 회전축(631a)에는, 후술하는 파동 형성 장치(640)의 측판(이동 수단)(642)이 삽입되어 있고, 후술하는 동력 전달 부재(전달 수단)(644)의 연계 롤(644a)이 고정되어 있다. 구동 부재(63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부(20)에 용지(P)를 배출할 때, 회전축(631a)이 회전하는 동시에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지(P)를 배출부(20)의 폭 방향으로 위상을 바꾸어 배출한다.
핀치 부재(632)는 축(632a)과 핀치 롤(632b)을 구비하고 있다. 핀치 부재(632)는, 축(632a)에 복수의 핀치 롤(632b)을 꼬치 형상으로 고정하고 있다. 핀치 롤(632b)은 구동 롤(631b)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핀치 부재(632)는 구동 롤(631b)과 핀치 롤(632b)로 용지(P)를 끼워, 용지(P)가 배출됨에 따라서 핀치 롤(632b)이 회전하여, 용지(P)를 배출한다.
핀치 롤(632b)은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632c)를 갖고 있다. 돌기부(632c)의 높이(X)는 0.2mm 정도이다. 돌기부(632c)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파동 형성 장치(640)의 형성 슈트(chute)(형성 수단)(641)에 의해 코르게이션(K)이 형성되지 않은 용지(제 1 기록 매체)(P1)에, 코르게이션(제 1 기복)(K1)을 형성한다. 즉, 돌기부(632c)는 형성 슈트(641)에 의해 코르게이 션(K)이 형성되는 용지(P)보다 작은 용지(P1)에, 코르게이션(K1)을 형성한다.
또한, 돌기부(632c)는 용지(P)에도 코르게이션(K1)을 형성한다. 이 코르게이션(K1)은 찰과음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코르게이션이다. 즉, 용지 배출 방향에서 배출 기구(630)보다 상류측에서, 용지(P) 또는 용지(P1)에 코르게이션(K1)이 형성되게 되지만, 코르게이션(K)에 비해서 코르게이션(K1)은 작기 때문에, 용지(P) 또는 용지(P1)와 가이드(62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찰과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코르게이션(K1)을 코르게이션(K)에 비해서 작게 할 수 있는 것은, 용지(P1)에 대해서 유효한 코르게이션을 형성하면 좋기 때문이다. 즉, 코르게이션(K1)은, 용지(P)에 대해서 유효하다고 할 수 없는 코르게이션이다. 따라서, 돌기부(632c)는, 코르게이션(K)에 비해서 작은 코르게이션(K1)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된다.
파동 형성 장치(6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 슈트(641)와 측판(642)과 보조 기구(보조 수단)(643)와 동력 전달 부재(644)를 구비하고 있다. 파동 형성 장치(640)는 배출 기구(630)에 의해 배출된 용지(P)에, 측판(642)에 의해 배출 기구(630)가 이동함에 따라서 이동시킨 형성 슈트(641)에 의해 코르게이션(K)을 형성하고, 동력 전달 부재(644)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 배출 보조 기구(643)에 의해 용지(P)가 배출되는 것을 보조한다.
형성 슈트(641)는 도 2,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파동 형성 장치(640)의 측판(642)에 고정되어 있다. 형성 슈트(641)는 배출되는 용지(P)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용지(P)에는, 코르게이션(K)이 2개 형성된다. 또한, 형성 슈트(641)는, 용지(P)보다 작은 용지(P1)에는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코르게이션(K)을 형성하지 않는다. 즉, 용지(P)보다 작은 용지(P1)는, 형성 슈트(641)에 접촉하지 않고, 코르게이션(K)이 형성되지 않는다.
각각의 형성 슈트(64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641a)와 형성부(641b)를 갖고 있다. 형성 슈트(641)는 안내부(641a)에 의해 용지(P)를 안내하고, 그 안내된 용지(P)에, 형성부(641b)에 의해 용지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코르게이션(K)을 형성한다
안내부(641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판형상 부재(641c)와 제 2 판형상 부재(641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641a)는 상측의 제 1 판형상 부재(641c)와 하측의 제 2 판형상 부재(641d)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소정의 간격을 용지(P)가 통과한다. 즉, 소정의 간격은, 용지(P)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이다. 안내부(641a)는 용지(P)가 소정의 간격을 통과함으로써, 용지(P)를 안내한다. 제 1 판형상 부재(641c)에는, 제 1 볼록부(641e)를 설치하고 있다. 제 2 판형상 부재(641d)에는 제 2 볼록부(641f)를 설치하고 있다.
형성부(641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볼록부(641e)와 제 2 볼록부(641f)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형성부(641b)는 상측에 볼록형의 반원추 형상이다. 즉, 제 1 볼록부(641e) 및 제 2 볼록부(641f)는, 상측에 볼록형의 반원추 형상이다. 형성부(641b)는 제 1 볼록부(641e)가 제 2 볼록부(641f)와 소정의 간격을 갖는 동시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형성부(641b)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배출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다. 양측의 형성부(641b)는 용지 배출 방향으로 볼록이 되는 "ハ"자로 설치되어 있다. 즉, 형성부(641b)는 용지 배출 방향(화살표 D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Y)를 갖고 설치되어 있다. 형성부(641b)는 용지(P)가 제 1 볼록부(641e)와 제 2 볼록부(641f)의 소정 간격을 통과함으로써, 용지(P)에 파동 형상의 코르게이션(K)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가이드(620)를 통과하고 있는 용지(P)에는, 코르게이션(K)이 형성되지 않는다.
용지(P)에 형성되는 코르게이션(K)은,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배출 방향으로 볼록이 되는 "ハ"자로 형성된다. 즉, 양측의 형성부(641b)가 용지 배출 방향으로 볼록이 되는 "ハ"자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ハ"자의 코르게이션(K)이 형성된다.
또한, 용지(P)에 형성되는 코르게이션(K)은, 경사부(21)에 대응하는 영역(Z0에 형성되어 있다. 즉, 형성부(641b)는 용지 배출 방향(화살표 D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Y)를 갖고 설치되어 있다. 이 소정의 각도(Y)는, 용지 배출 방향에서 경사부(21)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즉, 영역(Z)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경사부(21)의 거리를 짧게 하면, 소정의 각도(Y)는 커진다. 한편, 경사부(21)의 거리를 길게 하면, 소정의 각도(Y)는 작아진다.
영역(Z)을 통과하고 있는 용지(P)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르게이션(K)이 형성된다. 한편, 영역(Z)을 통과한 용지(P)에는, 코르게이션(K)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용지(P)가 영역(Z)을 통과하면, 용지(P)에 형성되어 있던 코르 게이션(K)은 소멸한다. 이와 같이, 코르게이션(K)이 소멸하면, 용지(P)가 아래로 처진다. 그 때문에, 용지(P)의 수용성(收容性) 불량의 발생을 방지한다. 즉, 용지(P)가 아래로 처지는 위치가 배출부(20)의 평탄부(22)에 대응하는 영역(Z1)이기 때문에, 용지(P)의 수용성 불량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용지(P)에 형성되는 코르게이션(K)은, 배출 기구(630)의 구동 부재(631)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형성 슈트(641)가 용지(P)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형성부(641b)가 용지 배출 방향(화살표 D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Y)를 갖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르게이션(K)이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가이드(620)를 통과하고 있는 용지(P)에는 코르게이션(K)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용지(P)에 형성되는 코르게이션(K)은, 코르게이션(K)끼리 접촉하지 않는다. 즉, 형성부(641b)는 용지 배출 방향에서 상류측의 형성부(641b)에 대해서 하류측의 형성부(641b)가 직경이 큰 반원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코르게이션(K)끼리 접촉하기 전에 코르게이션(K)이 소멸되어, 코르게이션(K)끼리 접촉하지 않는다.
측판(642)은 도시 생략한 제 1 개구부와, 도시 생략한 제 2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다. 측판(642)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 생략한 제 1 개구부에 회전축(631a)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고, 도시 생략한 제 2 개구부에 후술하는 보조 기구(643)의 회전축(643a)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고 있다. 측판(642)에는, 형성 슈트(641)가 고정되어 있다. 측판(642)은 배출 기구(630)의 회전축(631a)이 도 2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이동한다. 따라서, 측판(642)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631a)이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형성 슈트(641) 및 후술하는 보조 기구(643)의 회전축(643a)을 이동시킨다. 즉, 배출 기구(630)의 이동에 따라, 파동 형성 장치(640)를 이동시키고 있다.
보조 기구(64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배출 방향에서 형성 슈트(641)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보조 기구(643)는 용지 배출 방향에서 배출 기구(63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보조 기구(643)는 회전축(643a)과 보조 롤(회전 수단)(643b)과 노브(643c)와 롤(643d)을 구비하고 있다. 보조 기구(643)는 용지 배출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643a)에, 배출되는 용지(P)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조 롤(643b)을 꼬치 형상으로 고정하고 있다.
회전축(643a)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에 형성되는 코르게이션(K)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보조 롤(643b)의 직경이나 용지(P)에 형성되는 코르게이션(K)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회전축(643a)의 한쪽 끝에는 노브(643c)가 고정되어 있다. 노브(643c)는 용지(P)가 막힌 경우 등, 노브(643c)를 돌림으로써 용지(P)를 배출한다. 회전축(643a)의 다른 쪽 끝에는, 후술하는 동력 전달 부재(644)의 연계 롤(644a)이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643a)이 회전한다.
롤(643d)은 보조 롤(643b)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롤(643d)은 보조 롤(643b)로 용지(P)를 끼워서 반송한다. 보조 기구(643)는 후술하는 동력 전달 장치(644)에 의해 회전축(643a)이 회전하고, 보조 롤(643b)과 롤(643d)로 용 지(P)를 끼워 반송함으로써, 용지(P)가 배출되는 것을 보조한다.
또한, 보조 기구(643)가 코르게이션(K)과 접촉하지 않는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용지(P)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보조 롤(643b)의 각각에 별개로 회전축을 설치하고, 그 회전축에 각각 후술하는 동력 전달 부재(644)의 연계 롤(644a)을 설치하는 실시예로서도 좋다.
동력 전달 부재(64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계 롤(644a)과 벨트(644b)를 구비하고 있다. 연계 롤(644a)은 한 쌍으로 되어 있다. 한쪽 연계 롤(644a)은 구동 부재(631)의 회전축(631a)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 연계 롤(644a)은 보조 기구(643)의 회전축(643a)에 고정되어 있다. 벨트(644b)는 한 쌍의 연계 롤(644a)에 걸쳐져 있다. 동력 전달 부재(644)는 구동 부재(631)의 회전축(631a)이 회전함으로써 연계 롤(644a)과 벨트(644b)에 의해 구동 부재(631)의 동력을 보조 기구(643)에 전달한다.
(용지 배출 장치의 동작)
다음에, 용지 배출 장치(6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0,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용지 배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용지 배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용지 배출 장치(600)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 장치(500)에 의해 2차 전사상을 정착한 용지(P)를, 가이드(620)로 안내하면서 반송 롤쌍(610)에 의해 배출 기구(630)에 반송한다. 그 반송된 용지(P)를 배출 기구(630)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으로 배출한다. 그 배출된 용지(P)를 형성 슈트(641)의 안내부(641a) 로 안내시켜서, 형성부(641b)를 통과시킨다.
그 때, 도 1O의 (b),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에 "ハ"자의 코르게이션(K)을 형성한다. 이 때, 용지 배출 방향에서 용지(P)의 선단측이, 배출 기구(63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 보조 기구(643)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보조한다. 그리고, 용지(P)를 화살표 D 방향으로 더 배출하면, 도 10의 (c),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P)에 코르게이션(K)이 형성된다.
그 후, 용지 배출 방향에서 용지(P)의 후단측이 보조 기구(643)에 배출되는 것을 보조하여, 다시 용지(P)가 배출된다. 그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Z)을 통과한 용지(P)에는, 코르게이션(K)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용지(P)가 영역(Z)을 통과하면, 용지(P)에 형성되어 있던 코르게이션(K)은 소멸한다. 그 때문에, 용지(P)가 아래로 처진다. 그리고, 용지 배출 방향에서 용지(P)의 선단측이 배출부(20)의 평탄부(22)에 접촉하여, 용지(P)가 배출부(20)에 배출된다.
한편, 용지(P)보다 작은 용지(P1)의 경우, 가이드(620)로 안내하면서 반송 롤쌍(610)에 의해 배출 기구(630)에 용지(P1)를 반송한다. 그 반송된 용지(P1)에 배출 기구(630)에 의해 코르게이션(K1)을 형성한다. 그 후, 용지(P1)를 배출부(20)에 배출한다.
본 발명은,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 장치나 컬러 프린터, FAX, 컬러 복사기, 이들의 기능을 구비한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프린터의 개략도.
도 2는 용지 배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용지 배출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용지 배출 장치를 용지 배출 방향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배출 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작은 용지를 배출할 때의 용지 배출 장치를 상방향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용지를 배출할 때의 용지 배출 장치를 상방향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용지를 배출할 때의 용지 배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배출 장치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용지 배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용지 배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러 프린터 20 : 배출부
21 : 경사부 600 : 용지 배출 장치
630 : 배출 기구 632c : 돌기부
641 : 형성 슈트 641a : 안내부
641b : 형성부 641c : 제 1 판형상 부재
641d : 제 2 판형상 부재 641e : 제 1 볼록부
641f : 제 2 볼록부 642 : 측판
643 : 보조 기구 643a : 회전축
643b : 보조 롤 644 : 동력 전달 부재
D : 용지 배출 방향 K : 코르게이션
K1 : 코르게이션 P : 용지
P1 : 용지 Z : 영역

Claims (13)

  1. 배출 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에서 상기 배출 수단의 하류측에 설치하여,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기복(起伏)을 형성하는 형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수단은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 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상기 기복을 형성하는 형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제 1 판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판형상 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제 2 판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형성부는 상기 제 1 판형상 부재에 설치하여,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배치되는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2 판형상 부재에 설치하여,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배치되는 제 2 볼록부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제 1 볼록부가 상기 제 2 볼록부와 상기 소정의 간격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 2 볼록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수단은 배출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형성부는 상기 배출 방향으로 볼록이 되는 "ハ"자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상기 배출 수단이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형성 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을 구동하는 동력을 상기 보조 수단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단은 회전하는 회전 수단과, 상기 회전 수단의 회전축을 가지 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상기 기복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크기가 다른 상기 기록 매체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기복이 형성되는 상기 기록 매체보다 작은 제 1 기록 매체에, 상기 기복보다 작은 제 1 기복을 형성하는 돌기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상기 기복은, 상기 배출 수단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상기 기복은 복수 형성되어, 상기 기복끼리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기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057179A 2007-11-07 2008-06-18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95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0140A JP5045376B2 (ja) 2007-11-07 2007-11-07 排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7-00290140 2007-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344A true KR20090047344A (ko) 2009-05-12
KR101095948B1 KR101095948B1 (ko) 2011-12-19

Family

ID=4058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179A KR101095948B1 (ko) 2007-11-07 2008-06-18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5383B2 (ko)
JP (1) JP5045376B2 (ko)
KR (1) KR101095948B1 (ko)
CN (1) CN1014305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9805B2 (ja) * 2010-08-06 2012-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191526B2 (ja) * 2010-11-16 2013-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3159465A (ja) * 2012-02-07 2013-08-19 Riso Kagaku Corp 排紙装置
JP6213711B2 (ja) * 2013-03-29 2017-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167970B2 (ja) * 2014-03-31 2017-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2016177085A (ja) *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358312B2 (en) 2016-10-21 2019-07-2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73656B2 (ja) * 2016-10-24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整合装置
JP7069901B2 (ja) * 2018-03-19 2022-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1286A (en) * 1928-10-31 1932-12-20 Messrs G E Reinhardt Sheet delivering and piling apparatus for printing, ruling, cutting machines, and the like
JPS5315362Y2 (ko) * 1973-10-03 1978-04-22
US4234305A (en) * 1977-11-24 1980-11-18 Canon Kabushiki Kaisha Transfer sheet guiding device
US4354408A (en) * 1980-09-12 1982-10-19 Valcour Imprinted Papers, Inc. Place mat produc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4605211A (en) * 1983-07-12 1986-08-12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sheet processing device having tiltable collecting tray adjacent corner binder station
JPH0632926Y2 (ja) * 1987-04-06 1994-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紙折り機
US5091754A (en) * 1989-04-26 1992-02-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lateral movement means
US5016867A (en) * 1989-12-04 1991-05-21 Xerox Corporation Sheet stacking apparatus
FR2656571B1 (fr) * 1989-12-29 1992-05-07 Oce Graphics France Dispositif pour le guidage secondaire d'un support d'impression sur une machine a dessiner.
JPH05124764A (ja) * 1991-10-31 1993-05-21 Canon Inc シート材排出装置
JP3234009B2 (ja) * 1992-09-25 2001-12-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記録装置
US5603493A (en) * 1994-12-03 1997-02-18 Hewlett Packard Company System for use in handling media
JP3486545B2 (ja) * 1997-11-27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042106A (en) * 1998-08-27 2000-03-28 Hewlett-Packard Company Wet-print cut-sheet media handling system
JP3438866B2 (ja) * 1999-07-27 2003-08-18 船井電機株式会社 用紙排紙機構
JP2001233527A (ja) * 2000-02-22 2001-08-28 Riso Kagaku Corp 排紙装置及び印刷装置
JP2002037502A (ja) * 2000-07-24 2002-02-06 Canon Inc 記録装置
CN1202962C (zh) * 2000-12-28 2005-05-2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JP2002348027A (ja) * 2001-03-21 2002-12-04 Toshiba Tec Corp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このシート排出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040506A (ja) * 2001-07-31 2003-02-13 Ricoh Co Ltd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73008B2 (ja) * 2002-09-17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6082899A (ja) 2004-09-14 2006-03-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764840B2 (ja) * 2007-02-08 2011-09-07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排紙装置
JP4954119B2 (ja) * 2008-02-26 2012-06-13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排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35383B2 (en) 2012-08-07
KR101095948B1 (ko) 2011-12-19
JP2009113949A (ja) 2009-05-28
CN101430516A (zh) 2009-05-13
US20090116883A1 (en) 2009-05-07
JP5045376B2 (ja)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948B1 (ko)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2190192B (zh) 纸张传送装置、图像形成装置和后处理装置
US7389981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having double feed prevention unit
JP6907658B2 (ja) 画像形成装置
US8340565B2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detachable drum unit
JP494639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80332A (ja) 清掃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240053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JP4743096B2 (ja) 給紙装置
JP5545074B2 (ja) 画像形成装置
JP502531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13563A (ja) 記録材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画像形成装置、カール補正装置
JP2009053307A (ja) 画像形成装置
JP4677974B2 (ja) 画像形成装置
JP5549161B2 (ja) 画像形成装置
JP4878268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89004A (ja) カール矯正装置
JP5339131B2 (ja) 画像形成装置
JP4963632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333465A (ja) 画像形成装置
WO2022085709A1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902392B2 (ja) ガイドコロ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273410B2 (ja) シートトレイ、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8182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44457B1 (ko) 양면인쇄기기의 페이퍼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