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607A - 대차식 반송 장치 및 해당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차식 반송 장치 및 해당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607A
KR20070083607A KR1020077007054A KR20077007054A KR20070083607A KR 20070083607 A KR20070083607 A KR 20070083607A KR 1020077007054 A KR1020077007054 A KR 1020077007054A KR 20077007054 A KR20077007054 A KR 20077007054A KR 20070083607 A KR20070083607 A KR 20070083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onnection
bogie
conveyan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007B1 (ko
Inventor
노부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7008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61B13/127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stationary dri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00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 B61G1/02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having links or bars coupling or uncoupling by rotating around a transverse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입구에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추진시키는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이 설치됨과 동시에 출구에는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동용 구동 수단(5B)이 설치된 뒷밀이 주행 구간(3)과 고속 주행 구간(4)을 구비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반송용 대차(1)의 이상 정지 시의 문제를 해소한다. 대차 연결 장치(대차 연결 수단(9), 연결 개시 수단(10), 연결 해제 수단(11))가 설치되고, 반송용 대차(1)가 고속 주행 구간(4) 내를 주행할 때에는 상기 대차 연결 장치에 의한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의 연결을 불가능하게 하고, 반송용 대차(1)가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 내를 주행할 때에만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는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상태로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를 상기 대차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하는 구성.
Figure 112007024323409-PCT00001
고속 주행 구간, 대차 연결 수단, 연결 개시 수단, 연결 해제 수단, 반송용 대차, 대차식 반송 장치, 반송용 대차 연결 시스템.

Description

대차식 반송 장치 및 해당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 시스템{CARRIER TYPE CONVEYING APPARATUS AND CONVEYING CARRIER CONNECTION SYSTEM OF THE CONVE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작업 라인으로 사용되는 반송용 대차의 뒷밀이 주행 구간과, 이 뒷밀이 주행 구간에서 나온 반송용 대차를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의 입구로 되돌리는 리턴 라인으로 사용되는 고속 주행 구간을 구비한 대차식 반송 장치 및 해당 대차식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대차식 반송 장치의 뒷밀이 주행 구간은, 입구에 반송용 대차를 정속으로 추진시키는 뒷밀이용 구동 수단이 설치됨과 동시에 출구에는 반송용 대차를 정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동용 구동 수단이 설치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의해 알려져 있다. 또한 대차를 이용한 것은 아니지만, 트롤리 형식의 반송용 주행체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반송용 주행체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설치하여, 전측의 반송용 주행체로 후측의 반송용 주행체를 견인하여 주행시키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5-17032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 3-42370호 공보
상기 구성의 뒷밀이 주행 구간을 구비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뒷밀이 주행 구간 내를 주행하는 각 반송용 대차는 그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아 연속된 작업 바닥을 형성함으로써 각 반송용 대차 상에 탑재된 피반송물에 대한 부품 부착 작업 등을 각 반송용 대차 위로 옮겨탄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작업자는 인접하는 다른 반송용 대차 위로 자유로이 옮겨타서 작업 대상인 피반송물을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뒷밀이 주행 구간은 작업 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사용 상태에 있어서 뒷밀이 주행 구간의 입구에 배치된 뒷밀이용 구동 수단이 고장나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에 도착한 후속하는 반송용 대차를 정속으로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 내로 들여보낼 수 없게 된 경우, 이 뒷밀이 주행 구간의 출구에 배치되어 있는 제동용 구동 수단으로 아래쪽의 고속 주행 구간으로 송출되고 있는 선두의 반송용 대차를 제외한 뒷밀이 주행 구간 내의 모든 반송용 대차가 뒷밀이 작용을 받지 않게 되어 정지해 버리게 된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면,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 내에서 작업 중인 피반송물에 대한 작업이 종료하여도 이것을 아래쪽의 고속 주행 구간으로 송출될 수 없어, 작업 스케줄에 치명적인 악영향이 미치게 된다. 또한 아래쪽의 고속 주행 구간으로 송출되고 있는 선두의 반송용 대차와 그 직후의 반송용 대차와의 사이에 점점 확대되는 틈이 생김과 동시에, 뒷밀이 주행 구간 내의 다른 반송용 대차 사이에도 이들 반송용 대차가 관성으로 다소는 전진함으로써 틈이 생기므로, 각 반송용 대차 위로 옮겨타 있는 작업자가 대차 사이의 틈에 발이 끼어 넘어지거나 대차간의 틈으로부터의 낙하 사고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바와 같은 연결 수단을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대차식 반송 장치에 채용해 넣어, 뒷밀이 주행 구간 내에서 앞뒤로 서로 이웃하는 반송용 대차끼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만일 상기한 바와 같이 뒷밀이 주행 구간의 입구에 배치된 뒷밀이용 구동 수단이 고장나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에 도착한 후속하는 반송용 대차를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 내로 들여보낼 수 없게 되어도, 뒷밀이 주행 구간 내의 반송용 대차는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의 출구에 배치되어 있는 제동용 구동 수단으로 아래쪽의 고속 주행 구간으로 송출되고 있는 선두의 반송용 대차에 의해 견인 주행시켜 이 뒷밀이 주행 구간으로부터 송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연결 수단은 전후의 반송용 대차가 서로 접근하였을 때 자동으로 결합하여 전후의 반송용 대차끼리를 연결하여 버리는 것이었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연결 수단을 단순히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대차식 반송 장치에 채용해 넣는 구성에서는, 뒷밀이 주행 구간의 출구에서 해당 연결 수단에 의한 전후의 반송용 대차끼리의 연결을 해제하여 아래쪽의 고속 주행 구간으로 차례대로 반송용 대차를 송출하고, 이 고속 주행 구간에서는 전후의 반송용 대차 사이에 적당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해도, 고속 주행 구간 내에서 각 반송용 대차를 고속 구동하는 구동 수단이 고장나 한 대의 반송용 대차가 고속 주행 구간 내에서 정지해 버린 경우, 해당 정지 반송용 대차에 후속하는 반송용 대차가 잇달아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버린다. 따라서, 고장난 구동 수단이 수리 등에 의해 회복되어 가동되었을 때, 본래는 각 반송용 대차가 서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고속 구동되어야 하는데, 회복한 구동 수단보다 아래쪽에서 대기해 있는 다수 대의 반송용 대차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한 줄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체로 견인 고속 구동되게 되어, 뒷밀이 주행 구간에 대한 들여보냄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차식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 수단을 후술하는 실시 형태의 참조 부호를 괄호로 묶어 나타내면, 반송용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에, 입구에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추진시키는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이 배치되고 출구에는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동용 구동 수단(5B)이 설치된 뒷밀이 주행 구간(3)과, 이 뒷밀이 주행 구간(3)을 나온 반송용 대차(1)를 고속 주행시키는 고속 주행 구간(4)이 설치되고, 앞뒤로 인접하는 반송용 대차(1)끼리를 연결하는 대차 연결 장치(대차 연결 수단(9), 연결 개시 수단(10), 연결 해제 수단(11))가 설치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반송용 대차(1)가 상기 고속 주행 구간(4) 내를 주행할 때에는 상기 대차 연결 장치에 의한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의 연결을 불가능하게 하고, 반송용 대차(1)가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 내를 주행할 때에만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는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상태로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를 상기 대차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대차식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의 연결 시스템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대차식 반송 장치를 청구항 2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이 대차식 반송 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송용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에, 입구에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추진시키는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이 배치되고 출구에는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동용 구동 수단(5B)이 설치된 뒷밀이 주행 구간(3)과, 이 뒷밀이 주행 구간(3)을 나온 반송용 대차(1)를 고속 주행시키는 고속 주행 구간(4)이 설치되고, 앞뒤로 인접하는 반송용 대차(1)끼리를 연결하는 대차 연결 장치(9, 10, 11)가 설치된 대차식 반송 장치로서, 상기 대차 연결 장치는, 대차 연결 수단(9)과,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 측에 설치된 연결 개시 수단(10)과,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 측에 설치된 연결 해제 수단(11)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개시 수단(10)은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연결 수단(9)을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는 상태로 된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를 연결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연결 해제 수단(11)은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연결 수단(9)을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의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고속 주행 구간(4) 내에서의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의 연결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를 실시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연결 수단(9)은, 각 반송용 대차(1)의 전후 양단의 일방에 설치된 피연결부(33A)와, 각 반송용 대차(1)의 전후 양단의 타방에 설치된 가동 연결구(33B)로 구성하고, 가동 연결구(33B)는 연결 작용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자유롭게하여, 가압력으로 연결 작용 위치로 유지함과 동시에,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반송용 대차(1)의 상호 접근 시에는 상기 피연결부(33A)에 대하여 자동 결합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은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한 후, 전후의 반송용 대차(1)의 단부끼리가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연결 작용 위치로 되돌려 연결 상대인 상기 피연결부(33A)와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해제 수단(11)은,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하고, 전측 반송용 대차(1)가 후측 반송용 대차(1)에 대하여 고속 주행하여 멀어진 후에 연결 작용 위치로 되돌리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연결 수단(9)은, 각 반송용 대차(1)의 전후 양단의 일방에 설치된 피연결부(33A)와, 각 반송용 대차(1)의 전후 양단의 타방에 설치된 가동 연결구(33B)로 구성하고, 가동 연결구(33B)는 연결 작용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자유롭게하여, 가압력에 의해 연결 작용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로 택일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은 전후의 반송용 대차(1)의 단부끼리가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연결 해제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작용 위치로 전환하여 연결 상대인 상기 피연결부(33A)와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해제 수단(11)은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연결구(33B)에는 캠 종동부(39)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과 연결 해제 수단(11)은 반송용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상기 캠 종동부(39)에 작용하여 가동 연결구(33B)의 위치를 전환하는 캠 레일(43)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반송용 대차(1)에 크로스 링크 기구(12)에 의해 승강 자유롭게 지지된 짐받이(13)가 설치되고,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에는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통하여 짐받이(13)를 들어올리는 짐받이 들어올림용 레일(32)이 배치된 대차식 반송 장치인 경우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피연결부(33A)는 상향의 후크 부재(34)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 연결구(33B)는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와 상한의 연결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 이동 자유롭게 축 지지함과 동시에, 자유단 측에 상기 피연결부(33A)에 대하여 하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부(38)와 캠 종동 롤러(39)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 전환 수단(10)과 연결 해제 수단(11)은 반송용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상기 캠 종동 롤러(39)에 작용하여 가동 연결구(33B)의 위치를 전환하는 캠 레일(43, 48, 49)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에는 상기 가동 연결구(33B)의 캠 종동 롤러(39)에 작용하여 해당 가동 연결구(33B)를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로 눌러 두는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44)을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도 청구항 3이나 4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대차식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 시스템에 따르면, 뒷밀이 주행 구간 내에서는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대차식 반송 장치와 마찬가지로, 전후의 반송용 대차의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는 상태에서 뒷밀이 구동할 수 있으므로, 이 뒷밀이 주행 구간에서는 각 반송용 대차로 연속된 작업 바닥을 형성시키고, 각 반송용 대차 상에 탑재한 피반송물에 대한 작업을 각 반송용 대차로 형성된 연속 작업 바닥 상에서 행할 수 있는 것인데, 만일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의 입구에 배치된 뒷밀이용 구동 수단이 고장나 이 뒷밀이 주행 구간 내의 반송용 대차의 뒷밀이 구동을 할 수 없게 되어도, 이 뒷밀이 주행 구간 내의 각 반송용 대차는 대차 연결 장치에 의해 전후의 반송용 대차끼리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뒷밀이 주행 구간의 출구 측의 제동용 구동 수단에 의해 아래쪽의 고속 주행 구간으로 송출되는 선두의 반송용 대차에 의해 뒷밀이 주행 구간 내의 모든 반송용 대차를 확실하게 아래쪽의 고속 주행 구간으로 송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뒷밀이 주행 구간 내의 각 반송용 대차 상의 피반송물에 대한 작업과 이 작업을 다 받은 피반송물의 송출을 정체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계속시켜, 작업 스케줄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뒷밀이 주행 구간으로부터 송출된 반송용 대차를 고속 주행시키는 고속 주행 구간 내에서는 만일 전후의 반송용 대차끼리가 서로 접근하여도 대차 연결 장치에 의한 전후의 반송용 대차끼리의 연결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만일 고속 주행 구간 내에서 각 반송용 대차를 고속 구동하는 수단이 고장나 한 대의 반송용 대차가 해당 고속 주행 구간의 도중에서 정지하는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해당 정지 반송용 대차에 대하여 후속하는 반송용 대차가 접근하여 잇달아 상기 대차 연결 장치로 연결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고, 따라서 고장 회복 후의 재기동 시에는 종래의 대차 연결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대차식 반송 장치와 마찬가지로, 반송용 대차를 확실하게 한 대씩 고속 주행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아래쪽의 뒷밀이 주행 구간으로 반송용 대차를 한 대씩 들여보내는 것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 시스템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데, 이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를 실시하는 경우,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대차 연결 수단을 구성하는 가동 연결구는 가압력으로 연결 작용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므로, 연결 작용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로 택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보다 구조가 간단해지고 실시가 용이하다. 반대로,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반송용 대차가 고속 주행 구간 내를 주행할 때에는 가동 연결구가 연결 해제 위치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해당 가동 연결구가 연결 작용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반송용 대차끼리가 접근하는 이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전후의 반송용 대차가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와 피연결부를 통하여 충돌하지 않고 반송용 대차의 단부끼리로 충돌시킬 수 있으므로, 대차 연결 수단에 데미지를 주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뒷밀이 주행 구간의 출입구에 필요한 연결 전환 수단과 연결 해제 수단을 캠 레일에 의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송용 대차에 크로스 링크 기구에 의해 승강 자유롭게 지지된 짐받이가 설치되고,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에는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를 통하여 짐받이를 들어올리는 짐받이 들어올림용 캠 레일이 배치된 대차식 반송 장치인 경우, 해당 짐받이에 과적재가 발생하였을 때, 짐받이 들어올림용 캠 레일에 의해 본래는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를 통하여 짐받이가 들려올라가야 하는데, 반송용 대차 전체가 들뜨는 이상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반송용 대차의 차륜이나 전용으로 설치된 롤러에 덮이는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을 배치하면 되는데, 전자의 방법에서는 차륜을 대차의 바닥면보다 하측으로 돌출시켜야 하여 작업성이 뛰어난 낮은 바닥 구조의 반송용 대차로 할 수 없고, 후자의 방법에서는 대차 들뜸 방지 전용의 롤러가 필요하여 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연결 시스템을 위한 가동 연결구의 캠 종동 롤러를 이용하여 과적재 상태에서의 짐받이 들어올림 시에 대차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대차식 반송 장치 전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는 반송용 대차의 일례를 도시한 일부 종단 측면도, B는 동 반송용 대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반송용 대차에 설치된 짐받이의 승강 기구를 도시한 일부 잘림 측면도이다.
도 4A는 고속 주행 구간에서 반송용 대차끼리가 접근하였을 때의 대차 연결 수단을 도시한 일부 잘림 측면도, B는 뒷밀이 주행 구간 내에서 후속 반송용 대차를 견인할 때의 대차 연결 수단을 도시한 일부 잘림 측면도이다.
도 5는 대차 연결 수단과 그 가동 연결구를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캠 레일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는 가동 연결구와 해당 가동 연결구를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캠 레일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B는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된 가동 연결구와 해당 가동 연결구가 결합하는 피연결부를 도시한 일부 잘림 측면도이다.
도 7A는 반송용 대차가 구비하는 승강 짐받이가 들려올라감과 동시에, 가동 연결구의 캠 종동 롤러가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에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측면도, B는 가동 연결구의 캠 종동 롤러와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을 도시한 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 개시 수단의 캠 레일과 그 전후 위치에서의 가동 연결구를 도시한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 해제 수단의 캠 레일과 그 전후 위치에서의 가동 연결구를 도시한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반송용 대차 2 : 가이드 레일
3 : 뒷밀이 주행 구간 4 : 고속 주행 구간
5A : 뒷밀이용 구동 수단 5B : 제동용 구동 수단
5C : 고속 구동 수단 5D : 가변속 구동 수단
6 : 마찰 구동륜 7 : 백업 롤러
9 : 대차 연결 수단 10 : 연결 개시 수단
11 : 연결 해제 수단 12 : 크로스 링크 기구
13 : 짐받이 15a~16b : 차륜 유닛
18a, 18b : 크로스 링크 19 : 밀어올림용 피조작 수단
33A : 피연결부 33B : 가동 연결구
34 : 후크 부재 37 : 상하 이동 암
38 : 결합부 39 : 캠 종동 롤러
41 : 인장 코일 스프링 43, 48, 49 : 캠 레일
44 :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 45 : 탄성 바이어스 수단
46 : 캠판 47 : 판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에 있어서, 1은 반송용 대차로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2)로 구성된 순환 주행 경로 상을 주행한다. 해당 순환 주행 경로는 각각 직선형으로서 서로 병렬하는 뒷밀이 주행 구간(3)과 고속 주행 구간(4)을 유턴 경로부에서 접속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입구 영역만을 도시하고 다른 것은 생략하였다. 뒷밀이 주행 구간(3)에는 그 입구에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추진시키는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이 설치됨과 동시에, 출구에는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동용 구동 수단(5B)이 설치되어 있다. 고속 주행 구간(4)에는 뒷밀이 주행 구간(3)으로부터 송출되는 반송용 대차(1)를 고속으로 추진시키는 고속 구동 수단(5C)이 반송용 대차(1)의 전체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짧은 간격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뒷밀이 주행 구간(3) 측의 종단부에는 반송용 대차(1)의 주행 속도를 뒷밀 이 주행 구간(3) 내에서의 주행 속도(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의 반송용 대차 구동 속도)까지 감속시켜 뒷밀이 주행 구간(3)으로 반송용 대차(1)를 들여보내는 가변속 구동 수단(5D)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 수단(5A~5D)의 배치에 의해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에서는 반송용 대차(1)가 단부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맞댐 상태)에서 연속하고,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에서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에 의해 구동되는 최후미의 반송용 대차(1)에 의해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의 모든 반송용 대차(1)가 정속으로 뒷밀이 구동된다. 이 때,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의 제동용 구동 수단(5B)은 뒷밀이용 구동 수단(5A)보다 낮은 토크로 그리고 해당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의 구동 속도보다 약간 저속으로 구동되고 있는 것으로서,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의 선두의 반송용 대차(1)에 대하여 제동을 가함으로써 뒤에서 밀리는 반송용 대차(1)가 관성으로 정속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여 반송용 대차(1)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에서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송출하고 있다.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에서 고속 주행 구간(4)으로 송출된 반송용 대차(1)는 고속 구동 수단(5C)에 의해 고속 구동으로 전환되어 주행하기 때문에, 이 고속 주행 구간(4) 내에서는 각 반송용 대차(1)는 전후의 반송용 대차(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주행한다. 그리고 고속 주행 구간(4)에 도달한 반송용 대차(1)는 가변속 구동 수단(5D)에 의해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의 반송용 대차 구동 속도까지 감속되어 뒷밀이 주행 구간(3)으로 들여보내진다.
상기 각 구동 수단(5A~5D)에는 평면 형상이 주행 방향으로 긴 사각형의 반송 용 대차(1)의 좌우 양 측변을 사이에 개재하는 마찰 구동륜(6)과 백업 롤러(7)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마찰 구동 수단이 이용된다. 8은 마찰 구동륜(6)을 구동하는 모터이다.
상기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대차 연결 수단(9)과,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 측에 설치된 연결 개시 수단(10)과,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 측에 설치된 연결 해제 수단(11)으로 이루어지는 대차 연결 장치가 내장된다. 이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대차(1)에는, 크로스 링크 기구(12)에 의해 승강 자유롭게 지지된 짐받이(13)가 설치되고, 이 짐받이(13)의 전후에서 좌우 양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2) 상을 전동하는 차륜(14)을 구비한 차륜 유닛(15a~16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한 쪽의 가이드 레일(2)에 대응하는 차륜 유닛(15a, 16a)은 가이드 레일(2)을 좌우 양측에서 끼워 개재하는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용 수직축 롤러(17)를 구비하고 있다. 크로스 링크 기구(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로스 링크(18a, 18b)와 밀어올림용 피조작 수단(19)을 구비한 것이다. 크로스 링크(18a, 18b)의 각각은 일단이 지지축(20)으로 반송용 대차(1) 측에 기복 자유롭게 축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에 짐받이(13)의 바닥부에 설치된 수평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21)에 결합하는 수평축 롤러(22)를 구비한 링크(26a)와, 일단이 지지축(23)으로 짐받이(13)의 바닥부 측에 기복 자유롭게 축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에 반송용 대차(1) 상에 설치된 수평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24)에 결합하는 수평축 롤러(25)를 구비한 링크(26b)를 교차형으로 지지축(27)으로 결 합한 것으로서, 두 크로스 링크(18a, 18b) 사이에서는 각 지지축(20, 23, 27)이나 수평축 롤러(22, 25)의 지지축 등 중 임의의 지지축을 공통 일체화할 수 있다.
밀어올림용 피조작 수단(19)은 두 크로스 링크(18a, 18b)의 링크(26a) 사이에서 지지축(20, 27) 사이에 축 지지된 수평축 롤러(28)와, 반송용 대차(1) 측에 승강 자유롭게 지지되어 상단에 상기 수평축 롤러(28)를 밀어올리는 밀어올림대(29)를 구비함과 동시에, 하단에 캠 종동 롤러(30)가 축 지지된 승강체(3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라인으로 사용되는 뒷밀이 주행 구간(3)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상기 캠 종동 롤러(30)를 들어올리고, 승강체(31), 밀어올림대(29), 수평축 롤러(28) 및 두 크로스 링크(18a, 18b)를 통하여 짐받이(13)를 들어올리는 짐받이 들어올림용 레일(32)이 부설되어 있다.
대차 연결 수단(9)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대차(1)의 전단 측에 설치된 피연결부(33A)와, 반송용 대차(1)의 후단 측에 설치된 가동 연결구(33B)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연결부(33A)는 반송용 대차(1)의 전단 하측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뻗어나오는 수직 판재로 이루어지며 선단부가 상향의 후크형으로 형성된 후크 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이 후크 부재(34)는 상측이 개방된 오목부(34a)를 구성하는 선단 상승부의 전단면(34b)이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차 연결 수단(9)의 가동 연결구(33B)는 반송용 대차(1)의 후단 근방 하측에 돌출 설치된 베어링 부재(35)에 좌우 횡 방향의 수평 지지축(36)으로 축 지지되어 후방으로 뻗어나오는 상하 이동 자유로운 좌우 한 쌍의 암(37)과, 이 암(37)의 선단부(후단부) 사이에 가설된 수평축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38)로 구성된 것으로서, 해당 결합부(38)를 구성하는 수평축을 일 측방으로 뻗어나가게 하여 그 자유단부에 캠 종동 롤러(39)가 떠받쳐지고, 암(37)의 지지축(36)에서 반대측(전방)으로 뻗어나오는 부분에 고정 장착된 스프링 걸림 부재(40)와 반송용 대차(1)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인장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상기 베어링 부재(35)에 설치된 스토퍼부(42)에 스프링 걸림 부재(40)가 맞닿는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유지되어 있다. 한편, 인장 코일 스프링(41) 대신 지지축(36)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고, 결합부(38) 측에 충분한 중량을 주어서 중력에 의해 가동 연결구(33B)가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가동 연결구(33B)는, 피연결부(33A)(후크 부재(34))를 지나는 전후 방향 가상 직선 상에 결합부(38)가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으로서, 스프링(41)에 의해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유지된 가동 연결구(33B)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결합부(38)가 지지축(36)의 축심 레벨과 동일 또는 약간 하방에 위치하여, 해당 결합부(38)가 후측 반송용 대차(1)의 피연결부(33A)인 후크 부재(34)의 전단 수직면(34b)에 의해 수평 후방으로 밀렸을 때 해당 가동 연결구(33B)가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는 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동 연결구(33B)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의 반송용 대차(1)가 단부끼리 서로 맞닿는 상태에 인접한 상태에 있어서는, 결합부(38)를 후측 반송용 대차(1)의 피연결부(33A)인 후크 부재(34)의 오목부(34a) 내에 하향으로 끼울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연결 개시 수단(10)과 연결 해제 수단(1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연결구(33B)의 캠 종동 롤러(39)에 작용하는 캠 레일(43)로 구성된 것으로서, 반송용 대차(1)의 주행에 따라 해당 가동 연결구(33B)를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위로 이동시키고, 해당 가동 연결구(33B)를 피연결부(33A)인 후크 부재(34)의 전단 상승부의 상단 레벨보다 결합부(38)가 약간 상측에 위치하는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의 가상선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에는 그 출입구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 및 연결 해제 수단(11)을 구성하는 캠 레일(43)과 적당한 간격을 두어 가동 연결구(33B)의 캠 종동 롤러(39) 상에 덮여 해당 가동 연결구(33B)가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위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44)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 및 연결 해제 수단(11)을 구성하는 캠 레일(43)의 길이와 위치는 다음 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에 있어서 윗쪽의 고속 주행 구간(4)에서 뒷밀이 주행 구간(3) 내로 반송용 대차(1)가 차례로 들여보내지는데, 이 과정에서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 부근에서는 선행 반송용 대차(1)에 대하여 후속 반송용 대차(1)가 추종하여 단부끼리 서로 인접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의 캠 레일(43)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에서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반송용 대차(1)의 가동 연결구(33B)가 캠 레일(43)과 캠 종동 롤러(39)를 통하여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해당 선행 반송용 대차(1)에 대하여 후속 반송용 대차(1)가 접근하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반송용 대차(1)의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와 후속 반송용 대차(1)의 피연결부인 후크 부재(34)가 서로 맞닿지 않고, 선행 반송용 대차(1)의 후단에 후속 반송용 대차(1)의 전단이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후 두 반송용 대차(1)의 전진이 진행함으로써 캠 레일(43)로부터 가동 연결구(33B)의 캠 종동 롤러(39)가 벗어나, 해당 가동 연결구(33B)가 스프링(41)의 가압력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연결 작용 위치로 복귀하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반송용 대차(1)의 가동 연결구(33B)의 결합부(38)가 후속 반송용 대차(1)의 피연결부인 후크 부재(34)의 오목부(34a) 내에 하향으로 끼워지고, 전후 두 반송용 대차(1)끼리가 연결 상태가 된다. 이 연결 상태의 전후의 반송용 대차(1)는 그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는 것은 허용되지만, 일정 거리 이상 전후로 멀어지는 것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연결구(33B)의 결합부(38)와 후크 부재(34)의 전단 상승부와의 맞닿음에 의해 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뒷밀이 구동 수단(5A)에 의해 정속으로 구동되는 최후미의 반송용 대차(1)에 의해 뒷밀이 구동되고 있는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의 모든 반송용 대차(1)는, 그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는 소정 상태에서 정속 주행하고, 대차 연결 수단(9)의 피연결부(33A)와 가동 연결구(33B)는 서로 결합되어 있되 부하는 작용하지 않아, 전측 반송용 대차(1)가 후측 반송용 대차(1)를 견인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다. 그러나, 만일 뒷밀이 구동 수단(5A)이 고장나 고속 주행 구간(4)으로부터 들여보내지는 최후미의 반송용 대차(1)에 대한 뒷밀이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되었을 때에는,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의 제동용 구동 수단(5B)에 의해 이 뒷밀이 주행 구간(3)으로부터 송출되는 선두의 반송용 대차(1)보다 후속하는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의 모든 반송용 대차(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 상태에 있는 전측 반송용 대차(1)의 가동 연결구(33B)와 후측 반송용 대차(1)의 피연결부(33A)(후크 부재(34))에 의해 전측 반송용 대차(1)에 의해 차례대로 견인되고,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에 머물지 않고 제동용 구동 수단(5B)에 의해 아래쪽의 고속 주행 구간(4)으로 송출된다.
연결 해제 수단(11)의 캠 레일(43)은 후측 반송용 대차(1)의 뒷밀이 작용에 의해, 또는 상기 이상 사태에서의 제동용 구동 수단(5B)에 의한 정속 송출 작용에 의해, 뒷밀이 주행 구간(3)으로부터 송출되는 선두의 반송용 대차(1)가 고속 주행 구간(4)의 최초의 고속 구동 수단(5C)에 의해 고속 구동되기 전에, 해당 선두의 반송용 대차(1)의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캠 종동 롤러(39)를 통하여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위로 이동시키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8)가 후측 반송용 대차(1)의 피연결부(33A)인 후크 부재(34)의 오목부(34a) 내에서 상방으로 탈출하는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해당 선두의 반송용 대차(1)가 제동용 구동 수단(5B)으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또는 제동용 구동 수단(5B)으로부터 멀어진 후, 후속하는 반송용 대차(1)에 의해 뒤에서 밀려 고속 주행 구간(4)의 최초의 고속 구동 수단(5C)의 추력을 받는 위치에 도달 함으로써 후속하는 반송용 대차(1)로부터 멀어져 고속 주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두의 반송용 대차(1)가 고속 구동되어 후속하는 반송용 대차(1)로부터 멀어진 후, 해당 선두의 반송용 대차(1)의 가동 연결구(33B)가, 캠 종동 롤러(39)가 캠 레일(43)로부터 멀어져 스프링(41)의 가압력으로 다시 연결 작용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고속 주행 구간(4) 내를 고속 주행하는 각 반송용 대차(1)의 가동 연결구(33B)는 스프링(41)의 가압력으로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유지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만일 고속 구동 수단(5C) 중 하나가 고장나거나 하여 고속 주행 구간(4)의 도중에서 한 대의 반송용 대차(1)가 정지하고, 해당 정지 반송용 대차(1)에 대하여 후속하는 각 반송용 대차(1)가 접근하여 충돌하는 등의 이상 사태가 발생하여도, 전측 반송용 대차(1)의 가동 연결구(33B)와 후측 반송용 대차(1)의 피연결부(33A)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연결구(33B)의 결합부(38)와 후크 부재(34)의 전단 상승부의 전단 수직면(34b)이 서로 맞닿는 것만으로 가동 연결구(33B)의 결합부(38)가 후크 부재(34)의 오목부(34a) 내에 끼워져 전후 두 반송용 대차(1)끼리가 연결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정지해 있던 고속 구동 수단(5C)이 회복되어 재기동되었을 때, 연속 상태에서 정지해 있던 각 반송용 대차(1)는 서로 독립적으로 고속 구동되게 되고, 대차 연결 수단(9)에 의해 복수 대의 반송용 대차(1)가 연결된 상태인 채 고속 구동되는 경우는 없다.
뒷밀이 주행 구간(3)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 라인으로 사용된다. 즉, 해당 뒷밀이 주행 구간(3) 내로 들어간 각 반송용 대차(1)에서는, 짐받이(13)에 탑재된 피반송물(예를 들어 자동차 몸체)에 대한 부품의 부착 작업 등이 이루어 지는데, 이 때 피반송물에 대한 작업 대상 부위의 레벨에 따라 짐받이(13)가 짐받이 들어올림용 레일(32)과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통하여 자동으로 소정 레벨까지 상승된다. 즉,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의 짐받이 들어올림용 레일(32)이 부설된 구간 내에 반송용 대차(1)가 진입하면, 해당 짐받이 들어올림용 레일(32)이 밀어올림용 피조작 수단(19)을 통하여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크로스 링크(18a, 18b)를 기립 운동시키고, 짐받이(13)를 소정 레벨까지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 때 만일 짐받이(13)가 과적재(적재 중량 초과)의 상태이면, 짐받이 들어올림용 레일(32)이 크로스 링크(18a, 18b)를 기립 운동시키고자 하였을 때, 크로스 링크(18a, 18b)가 기립 운동하지 않고 반송용 대차(1) 자체가 들려올라가 가이드 레일(2)로부터 들뜰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에 들어가 연결 개시 수단(10)의 캠 레일(43)에서 가동 연결구(33B)가 멀어진 상태의 반송용 대차(1)는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에 복귀되어 있는 가동 연결구(33B)의 상방 이동을 저지하도록, 해당 가동 연결구(33B)의 캠 종동 롤러(39) 상에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44)이 덮인 상태에서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까지 주행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용 대차(1) 자체가 짐받이(13)의 들어올림 조작 시의 반력으로 들뜨려고 하였을 때, 하한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의 캠 종동 롤러(39)가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44)의 하측 면에 맞닿아 반송용 대차(1)의 들뜸이 저지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연결구(33B)를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로 스프링(41)으로 탄성 바이어스 유지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연결구(33B)를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와 상한의 연결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 요동 자유롭게 지지축(36)으로 축 지지함과 동시에, 해당 가동 연결구(33B)를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와 상한의 연결 해제 위치로 택일적으로 가압력으로 전환 유지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45)을 병설할 수 있다. 이 탄성 바이어스 수단(45)은,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연결구(33B)의 지지축(36)에 대하여 결합부(38)가 있는 측과 반대측에 설치된 캠판(46)과, 해당 캠판(46)에 압접되는 판 스프링(47)으로 구성할 수 있다. 캠판(46)에는 가동 연결구(33B)가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47)이 압접하여 해당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작용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캠면(46a)과, 가동 연결구(33B)가 상한의 연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판 스프링(47)이 압접하여 해당 가동 연결구(33B)을 연결 해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캠면(46b)이 설치되어져 있다. 그러나, 가동 연결구(33B)는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와 상한의 연결 해제 위치와의 사이의 중앙 위치가 데드 포인트가 되고, 이 데드 포인트을 넘어가는 위치까지 판 스프링(4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가동 연결구(33B)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나중에는 판 스프링(47)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반대 측의 위치까지 운동하고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가동 연결구(33B)를 구비한 대차 연결 수단(9)을 사용할 때에는,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에 배치되는 연결 개시 수단(10)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해제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그 캠 종동 롤러(39)을 통하여 상기 데드 포인트를 연결 작용 위치 측으로 넘어가는 위치까지 강제 운동시키는 캠 레일(48)이 배치되고,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에 배치되는 연결 해제 수단(11)으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작용 위치 로 유지되어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그 캠 종동 롤러(39)를 통하여 상기 데드 포인트를 연결 해제 위치 측으로 넘어가는 위치까지 강제 운동시키는 캠 레일(49)이 배치된다.
따라서, 고속 주행 구간(4) 내를 고속 주행하는 각 반송용 대차의 가동 연결구(33B)는 앞의 실시예와 달리 연결 해제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유지되어 있으므로, 만일 이상 정지하는 반송용 대차(1)가 나타났을 때, 그 후속하는 각 반송용 대차(1)는 대차 연결 수단(9)과 무관하게 그 전단이 전측 반송용 대차(1)의 후단과 맞닿는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어 대차 연결 수단(9)에 부하를 줄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 시스템은, 각종 부품이 부착되는 자동차의 차체(피반송물)를 짐받이(13) 상에 탑재하여 반송하고, 부품 조립 작업 구간(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뒷밀이 주행 구간(3)) 내에 있어서 반송용 대차(1) 상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차체에 대한 부품 조립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반송용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에, 입구에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추진시키는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이 배치되고 출구에는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동용 구동 수단(5B)이 설치된 뒷밀이 주행 구간(3)과, 이 뒷밀이 주행 구간(3)을 나온 반송용 대차(1)를 고속 주행시키는 고속 주행 구간(4)이 설치되고, 앞뒤로 인접하는 반송용 대차(1)끼리를 연결하는 대차 연결 장치(대차 연결 수단(9), 연결 개시 수단(10), 연결 해제 수단(11))가 설치된 대차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
    반송용 대차(1)가 상기 고속 주행 구간(4) 내를 주행할 때에는 상기 대차 연결 장치에 의한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의 연결을 불가능하게 하고, 반송용 대차(1)가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 내를 주행할 때에만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는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상태로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가 상기 대차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 시스템.
  2. 반송용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에, 입구에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추진시키는 뒷밀이용 구동 수단(5A)이 배치되고 출구에는 반송용 대차(1)를 정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동용 구동 수단(5B)이 설치된 뒷밀이 주행 구간(3)과, 이 뒷밀이 주행 구간(3)을 나온 반송용 대차(1)를 고속 주행시키는 고속 주행 구간(4)이 설치 되고, 앞뒤로 인접하는 반송용 대차(1)끼리를 연결하는 대차 연결 장치(9, 10, 11)가 설치된 대차식 반송 장치로서,
    상기 대차 연결 장치는 대차 연결 수단(9)과,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 측에 설치된 연결 개시 수단(10)과,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 측에 설치된 연결 해제 수단(11)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개시 수단(10)은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입구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연결 수단(9)을 단부끼리가 서로 맞닿는 상태로 된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를 연결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연결 해제 수단(11)은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연결 수단(9)을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의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고속 주행 구간(4) 내에서의 전후의 반송용 대차(1)끼리의 연결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연결 수단(9)은 각 반송용 대차(1)의 전후 양단의 일방에 설치된 피연결부(33A)와, 각 반송용 대차(1)의 전후 양단의 타방에 설치된 가동 연결구(33B)로 이루어지고, 가동 연결구(33B)는 연결 작용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자유롭게하여, 가압력으로 연결 작용 위치로 유지됨과 동시에,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반송용 대차(1)의 상호 접근 시에는 상기 피연결부(33A)에 대하여 자동 결합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은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한 후, 전후의 반송용 대차(1)의 단부끼리가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연결 작 용 위치로 되돌려 연결 상대인 상기 피연결부(33A)와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해제 수단(11)은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하고, 전측 반송용 대차(1)가 후측 반송용 대차(1)에 대하여 고속 주행하여 멀어진 후에 연결 작용 위치로 되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연결 수단(9)은 각 반송용 대차(1)의 전후 양단의 일방에 설치된 피연결부(33A)와, 각 반송용 대차(1)의 전후 양단의 타방에 설치된 가동 연결구(33B)로 이루어지고, 가동 연결구(33B)는 연결 작용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자유롭게하여, 가압력에 의해 연결 작용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로 택일적으로 유지되고,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은 전후의 반송용 대차(1)의 단부끼리가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연결 해제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작용 위치로 전환하여 연결 상대인 상기 피연결부(33A)와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해제 수단(11)은 연결 작용 위치에 있는 가동 연결구(33B)를 연결 해제 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연결구(33B)에는 캠 종동부(39)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개시 수단(10)과 연결 해제 수단(11)은 반송용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상기 캠 종동부(39)에 작용하여 가동 연결구(33B)의 위치를 전환하는 캠 레일(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연결부(33A)는 상향의 후크 부재(34)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연결구(33B)는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와 상한의 연결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 이동 자유롭게 축 지지됨과 동시에, 자유단 측에 상기 피연결부(33A)에 대하여 하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부(38)와 캠 종동 롤러(39)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전환 수단(10)과 연결 해제 수단(11)은 반송용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상기 캠 종동 롤러(39)에 작용하여 가동 연결구(33B)의 위치를 전환하는 캠 레일(43, 48, 49)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용 대차(1)에는 크로스 링크 기구(12)에 의해 승강 자유롭게 지지된 짐받이(13)가 설치되고, 상기 뒷밀이 주행 구간(3)에는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통하여 짐받이(13)를 들어올리는 짐받이 들어올림용 레일(32)과, 상기 가동 연결구(33B)의 캠 종동 롤러(39)에 작용하여 해당 가동 연결구(33B)를 하한의 연결 작용 위치로 눌러 두기 위한 대차 들뜸 방지용 레일(44)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KR1020077007054A 2004-10-21 2005-09-09 대차식 반송 장치 및 해당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시스템 KR100910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6392A JP4065926B2 (ja) 2004-10-21 2004-10-21 台車式搬送装置
JPJP-P-2004-00306392 2004-10-21
PCT/JP2005/016584 WO2006043372A1 (ja) 2004-10-21 2005-09-09 台車式搬送装置及び当該搬送装置の搬送用台車連結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607A true KR20070083607A (ko) 2007-08-24
KR100910007B1 KR100910007B1 (ko) 2009-07-29

Family

ID=3620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054A KR100910007B1 (ko) 2004-10-21 2005-09-09 대차식 반송 장치 및 해당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58275B2 (ko)
EP (1) EP1803626B1 (ko)
JP (1) JP4065926B2 (ko)
KR (1) KR100910007B1 (ko)
CN (1) CN100545018C (ko)
BR (1) BRPI0515841B1 (ko)
CA (1) CA2579423C (ko)
MX (1) MX2007004767A (ko)
RU (1) RU2359893C2 (ko)
WO (1) WO20060433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25B1 (ko) * 2023-03-10 2023-09-06 (주)태성시스템 틸트형 분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57203C (en) * 2007-01-30 2011-07-12 Daifuku Co., Ltd. Conveyance device using carriage
JP4895022B2 (ja) 2007-01-30 2012-03-14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4538820B2 (ja) * 2008-02-05 2010-09-08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トロリーコンベヤ
DE102010000790A1 (de) * 2010-01-11 2011-07-14 Dürr Systems GmbH, 74321 Fördervorrichtung
JP5831884B2 (ja) * 2010-04-09 2015-12-09 デンカ株式会社 取鍋搬送システム
JP5517299B2 (ja) * 2010-07-30 2014-06-11 新明工業株式会社 リボン体の連結構造
CN102745452B (zh) * 2011-04-21 2015-03-11 世仓物流设备(上海)有限公司 用于仓储货架内的运载小车
JP5736229B2 (ja) * 2011-04-26 2015-06-17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スラットコンベア装置
US9067736B2 (en) * 2011-04-29 2015-06-30 Douglas Machine Inc. Variable pitch system, apparatus and method
WO2013016850A1 (zh) * 2011-08-03 2013-02-07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具有随行升降功能的滑板输送系统
JP5741380B2 (ja) * 2011-10-31 2015-07-01 住友電装株式会社 組立作業用コンベア装置
ITTO20111011A1 (it) * 2011-11-03 2013-05-04 Fiat Group Automobiles Spa Linea di assemblaggio di autoveicoli
JP5862224B2 (ja) * 2011-11-21 2016-02-16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CN102923455B (zh) * 2012-03-06 2016-04-06 无锡博实自动输送系统有限公司 智能空中集放式柔性输送系统
JP6047018B2 (ja) * 2013-01-17 2016-12-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台車連結機構
JP6036387B2 (ja) * 2013-02-20 2016-11-3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台車搬送システム
MY177010A (en) * 2013-07-10 2020-09-01 Honda Motor Co Ltd Transport device
CN103466271B (zh) * 2013-08-06 2015-10-28 总装备部工程设计研究总院 高速重载行车齿轮同步传动系统
CN105531170B (zh) * 2013-09-09 2018-04-13 株式会社大福 利用连结台车的搬送装置
JP6065281B2 (ja) * 2013-09-09 2017-01-25 株式会社ダイフク 連結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6065282B2 (ja) * 2013-09-09 2017-01-25 株式会社ダイフク 連結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6150168B2 (ja) * 2013-09-09 2017-06-21 株式会社ダイフク 連結台車利用の搬送装置
CH710023A1 (de) * 2014-08-27 2016-02-29 Ferag Ag Förderanlage für den Transport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Waren, entlang einer vorgegebenen Strecke.
DE112015004748A5 (de) * 2014-10-19 2017-06-29 Kiefel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edizinischen Beuteln an einer Anlage und Anlage zum Herstellen von medizinischen Beuteln
JP6313700B2 (ja) * 2014-11-27 2018-04-18 株式会社大気社 搬送システム
JP2015155354A (ja) * 2015-04-20 2015-08-27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スラットコンベア装置
JP6493804B2 (ja) 2015-07-23 2019-04-03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装置
JP6501078B2 (ja) * 2016-04-29 2019-04-17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設備
CN106043080B (zh) * 2016-05-30 2018-06-26 别宜春 一种用于连接标准货台模块的对接装置
CN106080652B (zh) * 2016-08-23 2018-02-27 北京城建信捷轨道交通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循环运输的轨道交通系统
JP6747211B2 (ja) * 2016-09-26 2020-08-26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CN107902123B (zh) * 2017-11-09 2023-10-27 无锡胜维电气有限公司 一种扎线机上料装置
JP6644819B2 (ja) * 2018-02-09 2020-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作業設備
CN110406928B (zh) * 2018-04-27 2024-03-19 湖北江山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轨道式移动转接设备的精确定位装置
CN109532897B (zh) * 2018-11-14 2020-10-16 安徽浦进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组合式轨道平车
JP6794477B2 (ja) * 2019-01-25 2020-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CN110127384A (zh) * 2019-04-19 2019-08-16 海口高新区宏邦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杀菌笼框运输系统
CN113859884B (zh) * 2021-08-20 2022-11-25 浙江衣拿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制衣吊挂输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2723A (en) * 1975-08-28 1979-07-31 W. Schlafhorst & Co. Buffer storage device for transfering textile coils
CN86200133U (zh) * 1986-01-10 1987-02-04 赫连荣顺 有轨车辆自动挂接结构
JP2812498B2 (ja) 1989-07-10 1998-10-22 株式会社ダイフク 可動体搬送装置
CA2008897C (en) * 1989-02-09 1997-06-17 Naoyuki Kiuchi Apparatus for conveying travelable body
JPH07110694B2 (ja) * 1991-02-22 1995-11-29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住宅ユニット製造用搬送装置
JP2780547B2 (ja) 1991-12-20 1998-07-30 株式会社ダイフク 自走体使用の床側搬送設備
JP3170578B2 (ja) * 1993-07-16 2001-05-28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DE19608133C2 (de) * 1996-03-02 2002-07-11 Koenig & Bauer Ag Fördervorrichtung
EP0834459B1 (de) * 1996-10-04 2003-08-27 Noell Crane Systems GmbH Containertransportsystem mit Schienen
US6595141B2 (en) * 1998-04-09 2003-07-22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Truck transport apparatus
US6308404B1 (en) * 1999-07-12 2001-10-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two axles onto a vehicle chassis
US6464066B2 (en) * 2000-04-04 2002-10-15 Inno-Veyor, Inc. Conveyor assembly with pallet coupling
JP4538774B2 (ja) * 2001-02-14 2010-09-08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3994711B2 (ja) * 2001-10-01 2007-10-24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US6732849B2 (en) * 2001-10-11 2004-05-11 Daifuku Co., Ltd. Sorting system
JP3758604B2 (ja) * 2002-05-21 2006-03-22 株式会社ダイフク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US7178660B2 (en) * 2002-07-02 2007-02-20 Jervis B. Webb Company Workpiece transport system with independently driven platforms
JP4182709B2 (ja) * 2002-08-30 2008-11-19 株式会社ダイフク 走行体の走行制御方法
JP2004106792A (ja) * 2002-09-20 2004-04-08 Toyota Auto Body Co Ltd 搬送装置
US6648125B1 (en) * 2002-12-09 2003-11-18 B E Design Automation, Inc. Apparatus for evenly spacing packages on an assembly machine
CN2622128Y (zh) * 2003-06-09 2004-06-30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可折叠伸展台车
US7127997B2 (en) * 2003-06-27 2006-10-31 Daifuku Co., Ltd. Friction drive conveyor
JP4557683B2 (ja) * 2003-12-26 2010-10-06 株式会社大気社 搬送設備
RU2337843C1 (ru) * 2004-08-09 2008-11-10 Дайфуку Ко., Лтд.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поднимающимся/опускающимся столом, несущим транспортируемые объекты
JP4453626B2 (ja) * 2005-07-25 2010-04-21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25B1 (ko) * 2023-03-10 2023-09-06 (주)태성시스템 틸트형 분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65926B2 (ja) 2008-03-26
US7658275B2 (en) 2010-02-09
BRPI0515841B1 (pt) 2018-02-06
JP2006117079A (ja) 2006-05-11
KR100910007B1 (ko) 2009-07-29
EP1803626B1 (en) 2012-08-22
EP1803626A1 (en) 2007-07-04
EP1803626A4 (en) 2011-05-11
CA2579423A1 (en) 2006-04-27
BRPI0515841A (pt) 2008-08-12
RU2359893C2 (ru) 2009-06-27
WO2006043372A1 (ja) 2006-04-27
MX2007004767A (es) 2007-08-08
US20090173603A1 (en) 2009-07-09
RU2007118693A (ru) 2008-11-27
CA2579423C (en) 2010-09-07
CN100545018C (zh) 2009-09-30
CN101044049A (zh)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007B1 (ko) 대차식 반송 장치 및 해당 반송 장치의 반송용 대차 연결시스템
KR100923330B1 (ko) 대차식 반송 장치
CN101198506B (zh) 运送用移动体的发送设备
KR100995517B1 (ko)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JP4538820B2 (ja) 摩擦駆動トロリーコンベヤ
EP1232967B1 (en) Carriage conveyor
CA2573776C (en) Conveying apparatus with lifting/lowering to-be-conveyed object support table
US8312979B2 (en) Workpiece conveying equipment
US20070245922A1 (en) Transverse car body conveying system
JP5793407B2 (ja) 無人搬送車による台車の自動搬送システム
EP2039579B1 (en) Truck type transfer facilities
CN112313146B (zh) 具有输送托架的输送系统
US6418855B1 (en) Industrial truck
CZ20013601A3 (cs) Dopravní systém pro hrubou montáž karoserií vozidel
JP2007302242A (ja) 台車式搬送装置
CN113272239A (zh) 电梯系统
WO2013180004A1 (ja) 搬送装置
JP2014005114A (ja) 搬送装置
JP3551715B2 (ja) 搬送設備
JPH07238703A (ja) 機械式駐車装置用走行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