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517B1 -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 Google Patents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517B1
KR100995517B1 KR1020077018656A KR20077018656A KR100995517B1 KR 100995517 B1 KR100995517 B1 KR 100995517B1 KR 1020077018656 A KR1020077018656 A KR 1020077018656A KR 20077018656 A KR20077018656 A KR 20077018656A KR 100995517 B1 KR100995517 B1 KR 10099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iction drive
movable
drive wheel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218A (ko
Inventor
료스케 타카노
시게요시 니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1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12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1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12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8002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61B13/127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stationary dri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42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elong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25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having spherical roll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가동 레일(6)과 메인 레일(11a) 사이에서, 자주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반송용 주행체(1)를 외부로부터의 마찰 구동에 의해 옮겨타게 하기 위한 인도 장치(16A)를 구비한 배송 설비를 제공하는 것으로, 반송용 주행체(1)에는 마찰 구동면(4a)이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고, 인도 장치(16A)는 마찰 구동륜(17)과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을 구비하고, 마찰 구동륜(17)은 가동 레일(6)에 설치되고 또한 마찰 구동면(4a)을 통하여 반송용 주행체(1)를 추진시키는 구동 상태와 구동 해제 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구성되고,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은 마찰 구동륜(l7)을 가동 레일(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의 마찰 구동면(4a)에 맞닿을 수 있는 후퇴 위치(R)와 메인 레일(11a)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의 마찰 구동면(4a)에 맞닿을 수 있는 진출 위치(F)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
메인 레일, 가동 레일, 반송용 주행체, 인도 장치, 배송 설비, 마찰 구동륜,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

Description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DELIVERY INSTALLATION FOR TRAVELING BODY FOR CONVEYANCE}
본 발명은 자주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반송용 주행체를 메인 레일과 당해 메인 레일에 접속가능한 가동 레일 사이에서, 외부로부터의 마찰 구동에 의해 옮겨타게 하기 위한 인도 장치를 구비한 배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는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 경로 전환을 위한 수단이나, 반송용 주행체의 주된 주행 경로인 본선으로부터 복수의 스토리지용 지선으로 반송용 주행체를 분배함과 아울러, 스토리지용 지선으로부터 본선으로 반송용 주행체를 되돌리기 위한 수단, 또는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 경로 도중에 반송용 주행체의 전후에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수단 등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는 자동차 보디를 반송하는 대차 모양의 반송용 주행체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제 1 주행 경로로부터 반송용 주행체를 역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제 2 주행 경로에 옮겨 실리게 하는 트래버스 형식의 가동 레일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반송용 주행체를 제 1 주행 경로로부터 가동 레일 상에 옮겨 실리게 하기 위한 인도 장치로서, 제 1 주행 경로의 종단부에 배열 설치된 마찰 구동륜과 가동 레일상의 마찰 구동륜이 사용되고, 반송용 주행체 를 가동 레일 상에서 제 2 주행 경로로 옮겨타게 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 제 2 주행 경로의 시단부에 배열 설치된 마찰 구동륜와 가동 레일 상의 상기 마찰 구동륜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01-9754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 종류의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에서는, 가동 레일측뿐만 아니라, 이 가동 레일이 접속하는 각 주행 경로측에도 마찰 구동륜이 필요하게 될 뿐만이 아니라, 각 주행 경로측의 마찰 구동륜의 제어도 필요하기 때문에, 제어계도 복잡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설비 비용이 대단히 높게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수 대의 반송용 주행체를 스토리지 하기 위한 다수의 스토리지용 레일이 병설되고, 가동 레일은 횡동하여 임의의 스토리지용 레일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스토리지를 위한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에서는, 수많은 모든 스토리지용 레일 마다 마찰 구동륜을 병설하지 않으면 안 되어, 설비 비용의 점에서 실용적이지 않았다. 물론, 가동 레일측의 푸시 풀 구동 수단으로 반송용 주행체를 옮겨타게 하도록 구성한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도 생각할 수 있지만, 긴 물체를 반송하는 전체 길이가 긴 반송용 주행체를 취급하는 설비의 경우, 반송용 주행체측의 피걸음부와 걸어맞추어지는 푸시 풀 구동 수단측의 걸기 도구의 스크로크도 반송용 주행체의 전체 길이에 맞추어 길어져, 푸시 풀 구동 수단이 대형이고 복잡하게 되어, 역시 실용적이지 않았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그 수단을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참조 부호를 괄호를 붙여서 나타내면, 메인 레일(11a, 118a)과, 이동에 의해 상기 메인 레일(11a, 1l8a)에 접속할 수 있는 가동 레일(6, 106)과, 이 가동 레일(6, 106)과 상기 메인 레일(11a, 118a) 사이에서 반송용 주행체(1, 101)를 외부로부터의 마찰 구동에 의해 옮겨타게 하기 위한 인도 장치(16A, 121A)를 구비한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로서, 반송용 주행체(1, 101)에는 그 이동방향과 평행한 마찰 구동면(4a, 104a)이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인도 장치(16A, 121A)는 마찰 구동륜(17, 124)과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 126)을 구비하고, 상기 마찰 구동륜(17, 124)은 상기 가동 레일(6, 106)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마찰 구동면(4a, 104a)을 통하여 반송용 주행체(1, 101)를 추진시키는 구동 상태와 구동 해제 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 126)은 상기 마찰 구동륜(17, 124)을 가동 레일(6, 10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 101)의 마찰 구동면(4a, 104a)에 맞닿을 수 있는 후퇴 위치(R)와 상기 메인 레일(11a, 118a)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 101)의 마찰 구동면(4a, 104a)에 맞닿을 수 있는 진출 위치(F)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마찰 구동륜(17)의 구동 해제 상태는 당해 마찰 구동륜(17)을 반송용 주행체(1)의 마찰 구동면(4a)으로부터 강제 이간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전(遊轉)가능한 상태로의 전환에 의해 실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도 장치(121A)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구동륜(124)을 상기 마찰 구동면(104a)에 압접하는 구동 위치와 상기 마찰 구동면(104a)으로부터 떨어지는 구동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하는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을 설치하고, 상기 마찰 구동륜(124)의 구동 해제 상태는 당해 마찰 구동륜(124)을 상기 구동 해제 위치로의 위치 전환에 의해 실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은, 상기 가동 레일(106)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가동체(127)와, 이 가동체(127)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128)으로 구성하고, 상기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은 상기 가동체(127)에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대하여 원근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마찰 구동륜(124)이 지지된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와, 상기 가동체(127)에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대하여 원근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 부재(141)와, 이 구동 부재(141)와 상기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를 일정 범위 내에서 원근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구(l42)와, 상기 구동 부재(141)에 대하여 상기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를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력을 가하는 스프링(143)과, 상기 구동 부재(141)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14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의 구동 수단(128)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체(127)에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래크 기어(133)와, 이 래크 기어(133)에 교합하는 피니언 기어(134)와, 이 피니언 기어(134)를 정역회전 구동하는 모터(136)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구동륜(124)의 이동방향의 전후 양측에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맞닿는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를 배열 설치하고, 이들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가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에 의해 왕복이동 하는 마찰 구동륜(124)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구동륜(17, 124)은 반송용 주행체(1, 101)의 마찰 구동면(4a, 104a)에 대하여 원근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아울러, 스프링(30, 143)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1, 101)의 마찰 구동면(4a, 104a)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력을 가하여, 상기 마찰 구동륜(17, 124)과의 사이에서 반송용 주행체(1, 101)를 사이에 끼우는 백업 롤러(31, 153a, 153b, 156a, 156b)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백업 롤러(153a, 153b, 156a, 156b)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구동륜(124)에 대해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에 의한 당해 마찰 구동륜(124)의 왕복이동 방향의 전후 양측에 병설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백업 롤러(153a, 153b, 156a, 156b)로서, 후퇴 위치(R)에 있는 상기 마찰 구동륜(12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가동 레일(106)측에 위치 고정된 백업 롤러(153a, 153b)와, 진출 위치(F)에 있는 상기 마찰 구동륜(12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메인 레일(118a)측에 위치고정된 백업 롤러(156a, 156b)를 설치할 수 있고,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백업 롤러(31)는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에 의해 상기 마찰 구동륜(17)과 일체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서, 반송용 주행체(1)가 상기 가동 레일(6)에 트롤리(5)를 통하여 매달아지고 또한 이동방향과 평행한 로드 바(4)를 구비하고, 이 로드 바(4)의 일측면이 상기 마찰 구동면(4a)에 구성될 때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은 상기 가동 레일(6)에 위에서 씌워지는 게이트형 프레임(22)과, 상기 가동 레일(6) 상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형 프레임(22)을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용 액추에이터(21)로 구성되고, 상기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는 상기 게이트형 프레임(22)의 양측 수직 지주부(22a, 22b)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레일(6, 106)이 반송용 주행체(1, 101)의 전체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에 가까운 길이를 갖는 것일 경우, 청구항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구동륜(17, 124)의 후퇴 위치(R)와 진출 위치(F)는 상기 가동 레일(6, 106)과 상기 메인 레일(11a, 118a)의 접속 단부 근처에 설정할 수 있다. 이 청구항 12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레일(6, 106)이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메인 레일(11a, 11b, 118a, 118b)이 상기 가동 레일(6, 106)의 이동경로의 양측에 배열 설치되는 경우, 청구항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도 장치(16A, 16B, 121A, 121B)는 상기 가동 레일(6, 106)의 양단부 각각에 배열 설치할 수 있다. 이 청구항 13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레일(106)이 반송용 주행체(101)의 전체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에 가까운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되고, 메인 레일(157A, 157B)이 상기 가동 레일(106)의 이동 경로의 양측에 배열 설치되는 경우, 청구항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마찰 구동륜(124)의 상기 후퇴 위치(R)는 상기 가동 레일(106)로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의 전체 길이의 거의 중앙 위치에 마찰 구동륜(124)이 맞닿을 수 있는 1개소에 설정하고, 마찰 구동륜(124)의 상기 진출 위치로서는 가동 레일(106)의 일단이 접속하는 일방의 메인 레일(157A)로 지지되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마찰 구동륜(124)이 맞닿을 수 있는 제 1 진출 위치(F1)와, 가동 레일(106)의 타단이 접속하는 타방의 메인 레일(157B)로 지지되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마찰 구동륜(124)이 맞닿을 수 있는 제 2 진출 위치(F2)의 2개소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청구항 14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조합시켜서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동 레일(106)과 당해 가동 레일(106)이 접속 상태에 있는 메인 레일(157)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개폐 자유로운 보조 레일(158)을 상기 가동 레일(106)의 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청구항 15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그 보조 레일(158)은 청구항 16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동 레일(106)의 단부에 상하 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당해 보조 레일(158)을 기립 개방 자세와 메인 레일(157)에 접속하는 사용 자세로 전환하는 구동 수단(160)을 설치하고, 이 보조 레일(158)과 메인 레일(157)에는, 보조 레일(158)이 메인 레일(157)에 접속하는 사용 자세로 되었을 때에 서로 끼워 맞추어져 양 레일(157, 158)의 좌우 횡방향의 위치 벗어남을 방지하는 상하 방향의 끼워맞춤부(174a, 174b, 175)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레일(106)의 반송용 주행체 인도측 단부에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보조 레일(158)측으로의 이동을 막는 개폐 자유로운 스토퍼(165)를 설치하고, 이 스토퍼(165)와 상기 보조 레일(158)을 당해 보조 레일(158)이 기립 개방 자세에 있을 때는 상기 스토퍼(165)가 반송용 주행체(101)를 제지하는 작용 자세로 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 레일(158)이 사용 자세에 있을 때는 상기 스토퍼(165)가 반송용 주행체(101)의 보조 레일(158)측으로의 주행을 허용하는 비작용 자세로 되도록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이 청구항 17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5 또는 16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레일(157)의 반송용 주행체 인도측 단부에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가동 레일(106)측으로의 이동을 막는 개폐 자유로운 스토퍼(169)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레일(158)측에는, 상기 스토퍼(169)의 조작 수단(181)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 레일(158)이 기립 개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조작 수단(181)이 상기 스토퍼(169)를 작용 자세로부터 비작용 자세로 전환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레일(158)이 사용 자세로부터 기립 개방 자세로 전환될 때, 상기 스토퍼(169)가 비작용 자세로부터 작용 자세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청구항 18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5~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에서는, 가동 레일이 접속 상태에 있는 메인 레일측에서 당해 가동 레일측에 반송용 주행체를 옮겨 태워지게 하는 경우, 마찰 구동륜를 구동 해제 상태에서 진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당해 마찰 구동륜를 메인 레일측의 소정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맞닿게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당해 마찰 구동륜를 구동 상태로 전환함과 아울러 반송용 주행체 인입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반송용 주행체를 메인 레일측에서 가동 레일측으로 추진시킴과 동시에, 마찰 구동륜를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반송용 주행체의 전체를 가동 레일측에 옮겨 태워지게 할 수 있다. 또, 반대로, 가동 레일이 접속 상태에 있는 메인 레일측에 당해 가동 레일측에서 반송용 주행체를 옮겨 태워지게 하는 경우, 후퇴 위치에 있는 마찰 구동륜를 구동 상태로 전환함과 아울러 반송용 주행체 송출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반송용 주행체를 가동 레일측에서 메인 레일측으로 추진시킴과 동시에, 마찰 구동륜를 진출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반송용 주행체의 전체를 메인 레일측으로 옮겨 태워지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에 의하면, 마찰 구동륜 및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은 가동 레일측에만 설치하면 되고, 이 가동 레일이 이동이나 회전에 의해 접속할 수 있는 메인 레일이 반송용 주행체를 스토리지 하는 스토리지용 레일로서, 가동 레일의 이동 경로 옆에 수많이 병설되는 스토리지 설비이어도, 가동 레일과 각 스토리지용 레일(메인 레일) 사이에서 반송용 주행체를 옮겨 태워지게 하기 위한 수단이나 제어에 드는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마찰 구동륜를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으로부터 강제 이간시키는 액추에이터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단지 마찰 구동륜를 유전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브레이클리스 모터를 사용함과 아울러 당해 모터와 마찰 구동륜 사이의 감속기에 마찰 구동륜측으로부터의 역회전 전동이 가능한 타입의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모터와 마찰 구동륜 사이의 전동계에 클러치를 개재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마찰 구동륜은 실제로 반송용 주행체를 가동 레일측으로 인입 구동할 때나 반대로 메인 레일측으로 송출 구동할 때만,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압접하는 구동 위치로 전환하고, 그 이외의, 마찰 구동륜를 구동 개시 위치가 되는 진출 위치까지 이동시키거나, 반송용 주행체의 송출 구동이 완료된 후의 마찰 구동륜를 후퇴 위치까지 되돌리거나 할 때에는, 마찰 구동륜을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으로부터 이간된 구동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것이므로, 구동 개시시까지 반송용 주행체의 위치를 로킹하는 수단을 병용하지 않더라도, 또는 마찰 구동면에 대한 마찰 구동륜의 압접력을 크게 하여 확실하고 강력한 구동이 가능하게 구성해도, 마찰 구동륜의 이동에 추종하여 반송용 주행체가 요구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게 되어, 원하는 바와 같은 작용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청구항 4나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배송 설비를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마찰 구동륜으로 마찰 구동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자세를 주행방향으로 평행한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고, 가동 레일과 이것이 접속 상태에 있는 메인 레일과의 사이에서의 마찰 구동륜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의 옮겨태우기 구동을 양호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과 마찰 구동륜 사이에 필요한 크기의 마찰력을 확실하게 발생시키면서 당해 반송용 주행체가 마찰 구동륜의 압접에 의해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트롤리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에 매달아지는 타입의 반송용 주행체이어도, 당해 반송용 주행체를 확실하게 추진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8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당해 백업 롤러의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9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백업 롤러를 가동 레일과 메인 레일의 각각 정위치에 축지지하면 되므로, 당해 백업 롤러를 사용한 구성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청구항 10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마찰 구동륜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의 추진 작용을 당해 마찰 구동륜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진출 위치에 있을 때, 또는 그 양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 시의 어디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반송용 주행체가 상기 가동 레일에 트롤리를 통하여 매달아진 이동방향과 평행한 로드 바를 구비하고, 이 로드 바의 일측면을 상기 마찰 구동면에 구성할 수 있는 경우, 청구항 1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마찰 구동륜, 백업 롤러, 및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전체를 정리되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긴 물체를 반송하는 전체 길이가 긴 반송용 주행체를 취급하는 설비이어도, 마찰 구동륜의 왕복 이동의 스트로크가 짧아도 돼,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을 소형이고 또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레일의 이동경로의 양측에 예를 들면 스토리지용 레일이 다수 병설된 스토리지 설비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청구항 13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지만, 청구항 1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가동 레일과 그 양단이 각각 접속하는 메인 레일 사이의 반송용 주행체의 인도를 1개의 마찰 구동륜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가동 레일을 이동시킬 때에 다소의 요동을 따라서도 가동 레일과 메인 레일이 접촉하지 않도록, 가동 레일의 이동경로와 메인 레일 사이의 간극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게다가 가동 레일과 이것이 접속 상태에 있는 메인 레일 사이의 반송용 주행체의 옮겨타기를, 양 레일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보조 레일의 존재에 의해 안전하고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1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조 레일의 자세의 전환을 사용하여, 가동 레일과 이것이 접속 상태에 있는 메인 레일과의 사이의 좌우 횡방향의 위치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고, 한층더 안전하고 확실하게 양 레일 사이에서의 반송용 주행체의 옮겨타기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7이나 청구항 18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가동 레일로 지지되는 반송용 주행체가 당해 가동 레일의 이동 중에 유동하여 당해 가동 레일로부터 탈락하는 것과 같은 사고나, 메인 레일에 가동 레일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당해 메인 레일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가 유동하여 당해 메인 레일로부터 탈락하는 것과 같은 사고를 스토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이 스토퍼의 개폐 동작을 인위적으로 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보조 레일의 자세 전환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제 1 실시형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제 1 실시형태의 한쪽의 인도 장치를 설명하는 주요부의 측면도이 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도 장치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도 장치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이용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동 제 2 실시형태의 일부 절결(切欠)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동 제 2 실시형태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동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가동 레일의 일단측의 반송용 주행체 옮겨타기부를 설명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B는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C는 동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의 구동 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동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반송용 주행체의 송출 옮겨싣기 작용을 설명하는 주요부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12는 동 주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13은 동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마찰 구동륜와 그 위치 전환 수단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동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는 메인 레일측 스토퍼 수단과 그 관련 부분을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전개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는 보조 레일이 사용 자세로 전환된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의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는 메인 레일측 스토퍼 수단과 그 관련 부분을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전개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로서, A는 마찰 구동륜이 후퇴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B는 마찰 구동륜이 진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부호의 설명)
1, 101 반송용 주행체 2, 102 행거
3, 103 긴 피반송물 4, 104 로드 바
4a,4b, 104a 마찰 구동면 5, 105 트롤리
6, 106 가동 레일 7, 107 가동 레일 매달기 주행체
8a,8b 가이드 레일 9 파워 트롤리
10 프리 트롤리 11A, 11B, 118A, 118B 스토리지 영역
11a, 11b, 118a, 118b 스토리지용 레일
12 매달기 와이어
14, 119 입고용 메인 레일 15, 120 출고용 메인 레일
16A, 16B, 121A, 121B 인도 장치
17, 124 마찰 구동륜 18, 126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
19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20 봉형상 출퇴 가동체
21 액추에이터 22 게이트형 프레임
24 전동 스크루 실린더 26 수직 지지축
28, 136, 145, 149, 161 감속기 부착 모터
30, 143 스프링 31 백업 롤러
33,34, 157, 157A, 157B 메인 레일
36 가이드 롤러 유닛
110 가동 레일 매달기 이동체의 주행용 구동 수단
122A~123B 백업 수단
125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
127 가동체 128 가동체의 구동 수단
129a~129c 홈형 레일 131 고정 기판
132a~132c 롤러 133 래크 기어
134 피니언 기어 137a, 137b, 178a, 178b 가이드 롤러
140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
141 구동 부재 142 연결구
144 구동 부재의 구동 수단 148a, 148b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150 구동 레버 151 수직축 롤러
152 캠 구멍 153a, 153b, 156a, 1156b 수직축 롤러
158 보조 레일 159 수평 지지축
160 보조 레일의 구동 수단 164 가동 레일측 스토퍼 수단
165 스토퍼 166 메인 레일측 스토퍼 수단
169 L형 스토퍼 172 수동 부재
173 가동 레일 위치 결정 수단
174a, 174b 가이드 플레이트
75 끼워맞춤 부재 179 받이판
180 L형 중계 레버 184 전동용 롤러
185 수동용 롤러 186 조작 부재
188 고정 가이드 레일 189 가동 가이드 레일
R 마찰 구동륜의 후퇴 위치
F, F1, F2 마찰 구동륜의 진출 위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 1은 반송용 주행체로서, 행거(2)를 통하여 장척 피반송물(3)을 매다는 로드 바(4)와, 이 로드 바(4)의 양단부와 중간 복수 개소에 부착된 트롤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양단의 트롤리(5)를 도시 생략함과 아울러, 로드 바(4)를 1개의 봉형상체와 같이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종래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예를 들면 각 트롤리(5)의 위치)에서 적어도 수직축 주위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할 수 있도록 분할되어 있는 것이다.
6은 가동 레일로서, 반송용 주행체(1)(로드 바(4))의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갖고, 1대의 반송용 주행체(1)를 각 트롤리(5)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매달 수 있다. 7은 가동 레일(6)을 매다는 가동 레일 매달기 이동체(이하, 이동체라고 약칭함)로서, 2열의 가이드 레일(8a, 8b)에, 자주용 구동 수단(모터 구동의 구동 휠)을 구비한 1개의 파워 트롤리(9)와 복수의 프리 트롤리(10)를 통하여, 가동 레일(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횡동 가능하게 매달아지고, 파워 트롤리(9)가 구비하는 자주용 구동 수단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어느 방향으로도 자주하고, 소정 위치에서 자동 정지할 수 있다. 11A, 11B는 이동체(7)(가동 레일(6))의 횡동 경로의 양측에 배열 설치된 스토리지 영역으로, 양 스토리지 영역(11A, 11B)에는 정위치에 정지한 이동체(7)의 가동 레일(6)의 양단에 접속 상태로 되도록 스토리지용 레일(11a, 11b)이 이동체(7)(가동 레일(6))의 횡동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의 가동 레일(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7)에 감아 올리고 풀어내기 자유로운 복수개의 매달기 와이어(와이어 로프나 체인 등)(12)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져 있고, 이동체(7)에 탑재된 승강 구동 수단(13)에 의해 매달기 와이어(12)를 감아 올리고 풀어내기 조작함으로써, 가동 레일(6)을 이동체(7)의 바로 아래에 인접하는 상승 한계 위치와 임의의 높이의 하 강 위치 사이에서 수평자세를 유지시켜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스토리지 영역(11A, 11B)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11b)은 상승 한계 위치에 있는 가동 레일(6)의 양단에 접속할 수 있는 레벨뿐만 아니라, 각 하강 위치의 가동 레일(6)의 양단에 접속할 수 있도록 상하 복수단으로 가설되어 있다. 도 2에서, 14는 스토리지 영역(11A, 11B)에 대한 입고용 메인 레일이며, 15는 스토리지 영역(11A, 11B)으로부터의 출고용 메인 레일로서, 이동체(7)의 횡동과 가동 레일(6)의 승강에 의해 가동 레일(6)의 단부를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이동체(7)에 매달아진 가동 레일(6)에는, 그 양단부에 인도 장치(16A, 16B)가 설치되어 있다. 양 인도 장치(16A, 16B)는 동일 구성의 것으로, 마찰 구동륜(17)과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을 구비하고 있다.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은,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레일(6)의 단부 상측에 부설된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19)에 가동 레일(6)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 자유롭게 지지된 봉형상의 출퇴 가동체(20), 이 봉형상 출퇴 가동체(20)의 내단에 접속되어 당해 봉형상 출퇴 가동체(20)를 왕복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21), 및 봉형상 출퇴 가동체(20)의 외단에 결합되어 가동 레일(6)에 대하여 위에서 씌워지는 상태의 게이트형 프레임(22)으로 구성되고, 액추에이터(21)로서는, 모터(23)로 구동되는 전동 스크루 실린더(24)가 사용되고 있다.
마찰 구동륜(17)은 게이트형 프레임(22)의 한쪽의 수직 지주부(22a)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수직 지주부(22a)의 하단부에 베어링 부재(25)가 부착되고, 이 베어링 부재(25)에 수직 지지축(26)을 통하여 수평 요동 자유롭게 지탱된 가동대(27) 상에 감속기 부착 모터(28)가 탑재되고, 이 감속기 부착 모터(28)로부터 가동대(27)의 하측으로 돌출하는 수직 출력축으로 마찰 구동륜(17)이 부착되고, 상기 가동대(27)와 베어링 부재(25) 사이에는, 가동대(26)의 수평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볼트 너트(29)가 개재됨과 아울러, 당해 볼트 너트(29)를 통하여 가동대(27)와 베어링 부재(25)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30)에 의해 마찰 구동륜(17)을 안쪽(가동 레일(6)의 바로 아래 위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게이트형 프레임(22)의 반대측의 수직 지주부(22b)의 하단부에는, 마찰 구동륜(17)과 대향하도록 백업 롤러(31)가 베어링 부재(32)를 통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에 의하면,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1)(전동 스크루 실린더(24))에 의해 봉형상 출퇴 가동체(20)가 후퇴 한계 위치로 당겨 되돌려져 있을 때, 게이트형 프레임(22)에 지지된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는 가동 레일(6)의 끝에서 약간 안쪽으로 들어간 후퇴 위치(R)에 위치하고,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1)(전동 스크루 실린더(24))에 의해 봉형상 출퇴 가동체(20)가 진출 한계 위치로 송출되어 있을 때, 게이트형 프레임(22)에 지지된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는 가동 레일(6)의 끝에서 외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진출한 진출 위치(F)에 위치한다.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 레일(6)은 반송용 주행체(1)(로드 바(4))의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므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의 전체가 트롤리(5)를 통하여 가동 레일(6)에 옮겨탄 상태에서는, 당해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4)의 양단부는 가동 레일(6)의 양단부에 설치된 인도 장치(16A, 16B)의 후퇴 위치(R)(도 3 참조)에 있는 각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도 4 참조). 이때, 마찰 구동륜(17)이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4)를 백업 롤러(31)와의 사이에서 소요 압력으로 끼워 붙여지도록, 스프링(30)의 탄성 바이어스력이 설정되어 있다. 또, 반송용 주행체(1)가 가동 레일(1)에 옮겨타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 사이에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31)가 마찰 구동륜(17)을 눌러 벌리면서 진입할 수 있도록, 마찰 구동륜(17)의 수평 요동 범위가 볼트 너트(29)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4)는 그 좌우 양측면이 로드 바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되는 마찰 구동면(4a, 4b)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로드 바(4)가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 사이에 끼워 붙여진 상태에서 당해 마찰 구동륜(17)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반송용 주행체(1)가 마찰 구동되어 마찰 구동륜(17)의 회전방향으로 추진되게 된다. 또, 마찰 구동륜(17)은 로드 바(4)의 마찰 구동면(4a)을 통하여 반송용 주행체(1)를 추진시키는 구동 상태와 구동 해제 상태로 전환 자유로운 것일 필요가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용 주행체(1)에서의 로드 바(4)의 마찰 구동면(4a)으로부터 마찰 구동륜(17)을 강제적으로 떼어 놓을 수 없는 구성이므로, 마찰 구동륜(17)을 구동하는 감속기 부착 모터(28)로서, 통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마찰 구동륜(17)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구동 해 제 상태)로 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감속기 부착 모터(28)의 감속기가 마찰 구동륜(17)측으로부터는 회전시킬 수 없는 형식의 것일 때에는, 당해 감속기의 최종단 감속축과 마찰 구동륜(17)이 부착된 수직 출력축과의 사이에 클러치를 개재하고, 필요할 때에 클러치를 끊음으로써 마찰 구동륜(17)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구동 해제 상태)로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용 주행체(1)의 배송 설비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스토리지 영역(11A, 11B)에서 반송용 주행체(1)를 스토리지 하는 경우에는, 그 스토리지 할 반송용 주행체(1)가 입고용 메인 레일(14)의 종단 소정 위치까지 적당한 추진 수단으로 보내짐과 아울러, 가동 레일(6)이 입고용 메인 레일(14)의 종단에 접속하는 정위치에서 이동체(7)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입고용 메인 레일(14)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6A)의 마찰 구동륜(17)을 후퇴 위치(R)로부터 진출 위치(F)까지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에 의해 진출 이동시킨다. 즉, 액추에이터(21)를 작동시켜 봉형상 출퇴 가동체(20)를 진출시키고, 게이트형 프레임(22)을 통하여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를 일체로 입고용 메인 레일(14)의 종단부 영역 내까지 진출 이동시킨다. 이때 마찰 구동륜(17)은 구동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있고,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이므로,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와의 진출 이동의 과정에서, 입고용 메인 레일(14)의 종단 소정 위치에서 정지 대기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4)가 진출 위치로 이동해 오는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 사이에, 당해 마찰 구동륜(17)을 스프링(30)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눌러 넓힘과 아울러 마찰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대적으로 진입하게 되 어,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가 진출 위치(F)에서 정지했을 때, 마찰 구동륜(17)이 스프링(30)의 탄성 바이어스력으로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4)의 일측면인 마찰 구동면(4a)에 압접해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인도 장치(16A)의 마찰 구동륜(17)을 감속기 부착 모터(28)로 반송용 주행체 인입 방향으로 강제 구동하고, 로드 바(4)의 마찰 구동면(4a)을 통하여 반송용 주행체(1)를 입고용 메인 레일(14)로부터 가동 레일(6)측으로 마찰 구동함과 동시에, 액추에이터(21)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봉형상 출퇴 가동체(20)를 후퇴 이동시켜, 게이트형 프레임(22)을 통하여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를 일체로 가동 레일(6)측으로 후퇴 이동시키고, 후퇴 위치(R)에서 정지시킨다. 그리고, 후퇴 위치(R)에서 회전 구동되는 마찰 구동륜(17)에 의해 계속해서 가동 레일(6)측으로 끌어 들여지는 반송용 주행체(1)가 그 전체가 가동 레일(6)의 양단 사이의 영역 내에 끌어 들여졌을 때, 감속기 부착 모터(28)에 의한 마찰 구동륜(17)의 회전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인도 장치(16A)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1)의 가동 레일(6)측으로의 인입 옮겨싣기가 종료된다. 또한, 이 가동 레일(6)측으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인입 옮겨싣기의 최종 단계에서는, 당해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4)의 선두가 반대측의 인도 장치(16B)의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 사이로 밀고 들어가게 되므로, 당해 인도 장치(16B)의 마찰 구동륜(17)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구동 해제 상태로 전환해 놓을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리지할 반송용 주행체(1)를 가동 레일(6)측으로 끌어 들여 옮겨실으면서, 다음에 이동체(7)의 파워 트롤리(9)를 가동시켜서 이동체(7)를 가이드 레일(8a, 8b)을 따라 스토리지 영역(11A, 11B)에 인접하는 영역으로 횡동시키고, 반송용 주행체(1)를 스토리지할 빈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 즉,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동체(7)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이 하위 레벨이 것일 때는, 도 1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를 지지하고 있는 가동 레일(6)을 승강 구동 수단(13)의 가동에 의한 매달기 와이어(12)의 풀어내기에 의해 강하시켜, 당해 가동 레일(6)을 목적의 레벨에 있는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에 접속하는 레벨에서 정지시킨다. 물론, 이 가동 레일(6)의 강하는 이동체(7)의 횡동 시에 행하게 하여, 사이클 타임의 단축을 도모할 수도 있다.
다음에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6A 또는 16B)를 가동시켜, 가동 레일(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를 스토리지 영역(11A)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스토리지 영역(11B)의 스토리지용 레일(11b)로 송출한다. 예를 들면, 스토리지 영역(11A)의 스토리지용 레일(11a)로 반송용 주행체(1)를 송출하는 경우, 인도 장치(16A)의 마찰 구동륜(17)을 감속기 부착 모터(28)로 송출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당해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 사이에서 로드 바(4)가 끼워 붙여져 있는 반송용 주행체(1)를 마찰 구동륜(17)과 로드 바(4)의 마찰 구동면(4a)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가동 레일(6)이 접속 상태에 있는 스토리지용 레일(11a)측으로 송출과 동시에, 당해 마찰 구동륜(17)을 후퇴 위치(R)로부터 진출 위치(F)까지 마찰 구동륜 이동 수 단(18)에 의해 진출 이동시킨다. 그리고, 진출 위치(F)에 도달한 후에도 회전 구동되고 있는 마찰 구동륜(17)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1)가 계속해서 스토리지용 레일(11a)측으로 송출되어, 당해 반송용 주행체(1)의 전체가 스토리지용 레일(11a)의 영역 내로 옮겨졌을 때, 감속기 부착 모터(28)에 의한 마찰 구동륜(17)의 회전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인도 장치(16A)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1)의 가동 레일(6)측으로부터 스토리지용 레일(11a)측으로의 송출 옮겨싣기가 종료된다.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a)측으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송출 옮겨싣기가 종료되면, 진출 위치에 있는 마찰 구동륜(17)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구동 해제 상태로 바꾼 후, 당해 마찰 구동륜(17)과 백업 롤러(31)를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에 의해 후퇴 위치(R)까지 후퇴 이동시킨다. 이때 마찰 구동륜(17)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이므로, 스토리지용 레일(11a)로 송출한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4)(마찰 구동면(4a))에 스프링(30)의 탄성 바이어스력으로 마찰 구동륜(17)이 압접되어 있어도, 송출된 반송용 주행체(1)가 마찰 구동륜(17)의 후퇴 위치(R)로의 이동을 따라 다시 가동 레일(6)측으로 되돌려지는 일은 없다.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이 반대측의 스토리지 영역(11B) 내에 있을 때는, 당해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b)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6B)의 마찰 구동륜(17)과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8)을 사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 레일(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를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b)측으로 송출하면 된다.
스토리지 영역(11A, 11B)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11b)에 지지되어 있는 반 송용 주행체(1)를 출고용 메인 레일(15)로 반출시킬 때는, 출고시킬 반송용 주행체(1)가 지지되어 있는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 즉 출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에 가동 레일(6)이 접속하도록, 이동체(7)를 횡동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가동 레일(6)을 이동체(7)에 대하여 강하 이동시키고, 그 후에 당해 출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6A 또는 16B)를 앞에 설명한 입고용 메인 레일(14)로부터 가동 레일(6)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인입 옮겨싣기 시와 동일하게 가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출고할 반송용 주행체(1)를 가동 레일(6)측으로 인입 옮겨싣기를 완료하였다면, 당해 가동 레일(6)이 출고용 메인 레일(15)에 접속하도록, 이동체(7)를 횡동시킴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가동 레일(6)을 이동체(7)에 대하여 상승 이동시키고, 그 후에 출고용 메인 레일(15)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6B)를, 앞에 설명한 가동 레일(6)로부터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11b)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송출 옮겨싣기 시와 동일하게 가동시키면 된다.
또한, 스토리지 영역(11A, 11B)의 스토리지용 레일(11a, 11b), 입고용 메인 레일(14), 및 출고용 메인 레일(15) 모두가 1개의 동일 레벨로만 가설되어 있을 때는, 가동 레일(6)을 이동체(7)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구성할 필요는 없고, 이동체(7)의 횡동만으로 가동 레일(6)을 스토리지용 레일(11a, 11b), 입고용 메인 레일(14), 및 출고용 메인 레일(15)의 어느 곳에도 접속할 수 있도록, 가동 레일(6)을 일정 레벨로 높이 고정할 수 있다. 또, 스토리지용 레일(11a 또는 11b), 입고용 메인 레일(14), 및 출고용 메인 레일(15) 모두가 가동 레일(6)에 대하여 어느 한쪽에만 배열 설치되어 있을 때는, 가동 레일(6)의 일단부에만 인도 장치(16A 또는 16B)를 병설하면 된다. 또한, 입고용 메인 레일(14)과 출고용 메인 레일(15)을 1개 레일로 겸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스토리지 영역(11A, 11B)에 대한 반송용 주행체(1)의 입출고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반송용 주행체의 추진용 구동 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주행 경로 사이에서의 반송용 주행체의 분기 합류를 위한 배송 설비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1개의 주행 경로 도중에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전후 방향 변경을 위한 설비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를 반송용 주행체(1)의 전후 방향 변경을 위한 설비로서 이용한 경우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것으로, 가동 레일(6)은 그 전체 길이의 중앙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수평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당해 가동 레일(6)이 홈 포지션에 있을 때, 당해 가동 레일(6)의 일단에 접속하는 반입측 메인 레일(33)과 당해 가동 레일(6)의 타단에 접속하는 반출측 메인 레일(34)이 가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입측 메인 레일(33)의 종단 소정 위치에서 정지 대기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를 홈 포지션에 있는 가동 레일(6)의 당해 반입측 메인 레일(33)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6A)에 의해 가동 레일(6)측으로 끌어들여 옮겨싣고, 다음에 가동 레일(6)을 180도 선회시켜서, 가동 레일(6)의 반입측 메인 레일(33)에 접속하고 있던 측의 단부를 반출측 메인 레일(34)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다시 인도 장치(16A)를 가동시켜서, 가동 레일(6)에 끌어들인 반송용 주행 체(1)를 역방향으로 반출측 메인 레일(34)로 송출으로써, 반송용 주행체(1)의 전후 방향의 변경이 행해진다. 이때, 타방의 인도 장치(16B)가 반입측 메인 레일(33)에 인접하는 위치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다음 반입측 메인 레일(33)로부터 가동 레일(6)로의 반송용 주행체(1)의 인입 옮겨싣기와 당해 반송용 주행체(1)의 반출측 메인 레일(34)로의 송출 옮겨싣기에 인도 장치(16B)를 이용할 수 있지만, 빈 상태의 가동 레일(6)을 원래의 방향으로 되돌리는 행정을 포함시키면, 인도 장치(16B)는 없어도 된다. 물론, 가동 레일(6)의 양단부에 인도 장치(16A, 16B)를 병설해 둘 때는, 반입측 메인 레일(33)로부터 반출측 메인 레일(34)로 반송용 주행체(1)를 전후 방향을 바꾸지 않고 통과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레일(6)을 선회 구동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레일(6)의 선회 중심과 동심 형상의 환상 가이드 레일(35)을 가동 레일(6)의 상측에 부착하고, 이 환상 가이드 레일(35)을 복수의 위치고정의 가이드 롤러 유닛(36)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시켜, 1개의 가이드 롤러 유닛(36a)에 설치한 구동 수단(37)에 의해 환상 가이드 레일(35)과 함께 가동 레일(6)을 선회 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환상 가이드 레일(35)을 위치고정하고, 이 환상 가이드 레일(35)에 가동 레일(6)의 길이 방향 2개소를 프리 트롤리와 선회용 구동 수단을 구비한 파워 트롤리로 매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7~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서, 101은 반송용 주행체이며, 행거(102)를 통하여 긴 피반송물(103)을 매다는 로드 바(104)와, 이 로드 바(104)의 양단부와 중간 복수 개소에 부착된 트롤 리(1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로드 바(104)는, 종래 주지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각 트롤리(105)의 위치)에서 적어도 수직축 주위에 수평방향으로 절곡할 수 있도록 분할되어 있다.
106은 가동 레일로서, 반송용 주행체(101)(로드 바(104))의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한 전체 길이(도시예에서는 로드 바(104)의 전체 길이보다 약간 긴 전체 길이)를 갖고, 1대의 반송용 주행체(101)를 각 트롤리(105)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매달 수 있다. 107은 가동 레일(106)을 매다는 가동 레일 매달기 이동체(이하, 이동체로 약칭함)로, 바닥면 상에 부설된 2열의 가이드 레일(108a, 108b)에 바닥부 네 코너에 축지지된 주행용 차륜(109)을 통하여, 가동 레일(10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횡동 가능하게 지지된, 게이트형 대차 형식의 것이다. 110은 이동체(107)의 주행용 구동 수단으로, 가이드 레일(108a, 108b)의 중간 위치에서 바닥면 상에 부설된 횡방향의 래크 기어(111)와, 이동체(107)에 설치되어 출력축에 상기 래크 기어(111)에 교합하는 피니언 기어(112)가 부착된 감속기 부착 모터(11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107)의 떠오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체(107)에는 가이드 레일(108a, 108b)로부터 안쪽으로 튀어나오는 돌출 레일판(114)의 하측에 인접하는 수평축 롤러(115)가 설치되고, 이동체(107)의 주행방향을 규제하기 위해서, 이동체(107)에는, 래크 기어(111)에 인접하여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116)을 좌우 양측에서 끼우는 1쌍의 수직축 롤러(117a, 117b)가 주행방향의 전후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107)의 주행 경로의 좌우 양측에는 스토리지 영역(118A, 118B)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토리지 영역(118A, 118B)에는, 이동체(107)의 횡동에 의해 가동 레일(106)의 전후 양단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는 스토리지용 레일(118a, 118b)이 이동체(107)의 주행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또한, 스토리지 영역(118A, 118B)의 외측에는, 이동체(107)의 횡동에 의해 가동 레일(106)의 전후 양단을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는 입고용 메인 레일(119)과 출고용 메인 레일(120)이 가설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이동체(107)에 매달아진 가동 레일(106)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단부에 인도 장치(121A, 121B)와 백업 수단(122A, 122B)이 병설되고, 상기 스토리지용 레일(118a, 118b)과 입출고용 메인 레일(119, 120)의 가동 레일(106)에 접속하는 인도 단부에는, 백업 수단(123A, 123B)이 병설되어 있다.
인도 장치(121A, 121B)는 전후 대칭형의 것으로, 반송용 주행체(1)의 로드 바(10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하는 일측면에서 구성된 마찰 구동면(104a)을 이용하여 당해 반송용 주행체(101)를 추진 구동하는 것이며, 도 10에 도시된 한쪽의 인도 장치(12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 인도 장치(121A, 121B)는 상기 마찰 구동면(104a)에 압접가능한 마찰 구동륜(124)과, 이 마찰 구동륜(124)을 상기 마찰 구동면(104a)에 압접하는 구동 위치와 상기 마찰 구동면(104a)으로부터 이간된 구동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전환 하는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과, 이 마찰 구동륜(124)을 가동 레일(10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 면(104a)에 압접할 수 있는 후퇴 위치(R)와 상기 스토리지용 레일(118a, 118b) 등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압접할 수 있는 진출 위치(F)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도 14에 도시된 한쪽의 인도 장치(121A)를 참조하여 각 인도 장치(121A, 121B)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면,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은 가동 레일(106)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게 이동체(107)에 지지된 가동체(127)와, 이 가동체(127)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 수단(128)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체(127)는 상측의 상방향 홈형 레일(129a), 하측의 하방향 홈형 레일(129b), 및 양 홈형 레일(129a, 129b)의 중간에 위치하는 횡방향 홈형 레일(129c)을 구비한 것으로, 이동체(107)에 전후 1쌍의 수직 지지재(130a, 130b)를 통하여 부착된 고정 기판(131)에, 당해 고정 기판(131)의 내측 상측변에 부착되어 상방향 홈형 레일(129a)에 끼워맞추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상측 수직축 롤러(132a), 고정 기판(131)의 내측 하측변에 부착되어 하방향 홈형 레일(129b)에 끼워맞추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하측 수직축 롤러(132b), 및 고정 기판(131)의 내측 중간 높이에 부착되어 횡방향 홈형 레일(129c)에 끼워맞추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수평축 롤러(132c)를 통하여, 가동 레일(106)의 좌우 한쪽의 위치에서 당해 가동 레일(106)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수단(128)은 가동체(127)의 횡방향 홈형 레일(129c)의 상측에 당해 횡방향 홈형 레일(129c)과 평행하게 부착된 래크 기어(133)와, 상기 고정 기판(131)을 내외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당해 고정 기판(131)에 수직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 래크 기어(133)에 교합하는 피니언 기어(134)와, 이 피니언 기어(134)에 교합하는 전동 기어(135)를 수직 출력축에 구비하고 또한 고정 기판(131)의 외측에 부착된 감속기 부착 모터(1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127)의 전반부 내측에는 전후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후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는 가동 레일(10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로드 바(104)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가동체(127)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전후 1쌍의 수평 지지재(138a, 138b)의 선단부에 베어링 부재를 통하여 수직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은 상기 전후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를 지지하는 전후 1쌍의 수평 지지재(138a, 138b) 중, 가동 레일(106)의 선단측의 수평 지지재(138a)의 선단부에 수직 지지축(139)을 통하여 좌우 수평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된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와, 이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와, 상기 가동체(127)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횡동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 부재(141)와, 이 구동 부재(141)와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를 일정 범위 내에서 원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연결구(142)와, 구동 부재(141)에 대하여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를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력을 가하는 스프링(143)과, 구동 부재(141)를 횡동시키는 구동 수단(144)으로 구성된 것으로,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에 탑재된 감속기 부착 모 터(145)의 수직한 출력축에 마찰 구동륜(12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마찰 구동륜(124)은 가동 레일(10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로드 바(104)의 일측면)에 인접하는 높이에 있고,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요동되게 함으로써,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압접하는 구동 상태와, 당해 마찰 구동면(104a)으로부터 이간된 구동 해제 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 부재(141)는 상기 가동체(127)에 전후 1쌍의 수직 지지재(146a, 146b)를 통하여 지지된 평면 ㄷ자형 부재(147)에 전후 1쌍의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148a, 148b)을 통하여 좌우 수평방향으로 횡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연결구(142)는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의 선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뜨리는 선단 부재(140a)에 기단부(142a)가 수직 지지축(142b)으로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부재(141)로부터 세워서 설치된 전동 부재(141a)를 관통한 자유단부에는 빠짐방지 부재(142c)가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143)은 전동 부재(141a)에 대하여 기단부(142a)측에서 연결구(142)에 헐겁게 끼워지고 또한 전동 부재(141a)에 끼워맞추는 스프링 받이판(142d)과, 당해 연결구(142)의 기단부(142a)에 설치된 스프링 받이판(142e) 사이에서, 연결구(142)에 헐겁게 끼워진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 구동 수단(144)은 상기 평면 ㄷ자형 부재(147)에 지지된 감속기 부착 모터(149)와, 구동 부재(141)의 하측에서 상기 감속기 부착 모터(149)의 수직 출력축(149a)에 부착된 구동 레버(150)와, 이 구동 레버(150)의 자유단 상에 축지지된 수직축 롤러(151)가 헐겁게 끼워지도록 상기 구동 부재(141)에 설치된 전후 방향(가동 레일(106)과 평행한 방향)의 캠 구멍(1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인도 장치(121A, 121B)와 쌍을 이루는 백업 수단(122A, 122B)은 도 10~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레일(10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로드 바(104)를 후퇴 위치(R)에 있는 마찰 구동륜(124)과의 사이에서 끼우는 전후 1쌍의 수직축 롤러(153a, 153b)를 구비한 것으로, 이들 양 수직축 롤러(153a, 153b)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주행 경로에 대하여 마찰 구동륜(124)의 어느 측과는 반대측으로 수직으로 내려지도록 가동 레일(106)에 고착 연설(連設)된 전후 1쌍의 수직 지지재(154a, 154b)의 하단부에 후퇴 위치(R)에 있는 마찰 구동륜(124)에 대하여 전후 양측에 위치하도록 베어링 부재(155a, 155b)를 통하여 지탱되어 있다. 또한, 스토리지용 레일(118a, 118b)과 입출고용 메인 레일(119, 120)의 가동 레일(106)에 접속하는 인도 단부에는 백업 수단(123A, 123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백업 수단(123A, 123B)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01)의 로드 바(104)를 진출 위치(F)에 있는 마찰 구동륜(124)과의 사이에서 끼우는 전후 1쌍의 수직축 롤러(156a, 156b)를 구비한 것으로, 이들 양 수직축 롤러(156a, 156b)는 앞의 백업 수단(122A, 122B)에서의 수직축 롤러(153a, 153b)의 부착 구조와 동일한 부착 구조에 의해 스토리지용 레일(118a, 118b)이나 입출고용 메인 레일(119, 120)에 진출 위치(F)에 있는 마찰 구동륜(124)에 대하여 전후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이러한 반송용 주행체(101)의 배송 설비의 사용방법을 설명 하면, 도 9에 도시하는 스토리지 영역(118A, 118B)에서 반송용 주행체(101)를 스토리지 하는 경우에는, 그 스토리지할 반송용 주행체(101)가 입고용 메인 레일(119)의 종단 소정 위치까지 적당한 추진 수단으로 보내짐과 아울러, 가동 레일(106)이 입고용 메인 레일(119)의 종단에 접속하는 정위치에서 이동체(107)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입고용 메인 레일(119)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21A)의 마찰 구동륜(124)을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에 의해 구동 해제 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 후퇴 위치(R)로부터 진출 위치(F)까지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에 의해 진출 이동시킨다.
즉 도 10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의 감속기 부착 모터(149)에 의해 구동 레버(150)를 필요한 각도만큼 역회전시켜, 수직축 롤러(151)와 캠 구멍(152)을 통하여 구동 부재(141)를 가동 레일(106)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전동 부재(141a), 연결구(142)의 빠짐방지 부재(142c), 연결구(142), 및 수직 지지축(142b)을 통하여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를 가동 레일(106)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수직 지지축(139)의 주위에서 수평으로 요동시켜, 당해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에 지지되어 있는 마찰 구동륜(124)을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맞닿지 않는 구동 해제 위치로 전환한다. 그리고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의 감속기 부착 모터(136)에 의해 전동 기어(135)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34)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래크 기어(133)를 통하여 가동체(127)를 당해 가동체(127)측의 각 상측의 상방향 홈형 레일(129a~129c)과 고정 기판(131)측의 각 롤러(132a~132c)를 통하여 가동 레 일(106)과 평행하게 전진이동시키고, 당해 가동체(127)에 지지되어 있는 마찰 구동륜(124)을 전후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와 일체로 후퇴 위치(R)로부터 진출 위치(F)(도 10A의 가상선 참조)로 이동시킨다.
상기 작용에 의해, 입고용 메인 레일(119)의 종단 소정 위치에 정지 대기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로드 바(104)의 가동 레일(106)측의 단부 근방 위치에 마찰 구동륜(124)과 전후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가 인접하고, 당해 반송용 주행체(101)의 로드 바(104)는 입고용 메인 레일(119)에 병설되어 있는 백업 수단(123A)의 전후 1쌍의 수직축 롤러(156a, 156b)와 인도 장치(121A)에서의 전후 1쌍 가이드 롤러(137a, 137b)에 의하여 좌우 양측에서 끼워져, 방향이 규제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에 의해 마찰 구동륜(124)을 구동 해제 위치로부터 구동 위치로 전환한다. 즉,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의 감속기 부착 모터(149)에 의해 구동 레버(150)를 필요한 각도만큼 정회전시켜, 수직축 롤러(151)와 캠 구멍(152)을 통하여 구동 부재(141)를 가동 레일(106)에 접근하는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전동 부재(141a), 연결구(142)의 스프링 받이판(142d), 스프링(143), 연결구(142)의 스프링 받이판(142e), 연결구(142), 및 수직 지지축(142b)을 통하여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를 가동 레일(106)에 접근하는 내측 방향으로 수직 지지축(139)의 주위에서 수평으로 요동시켜, 당해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140)에 지지되어 있는 마찰 구동륜(124)을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스프링(143)의 압축 반력으로 압접하는 구동 위치로 전환한다. 이때 반송용 주행체(101)의 로드 바(104)는 백업 수단(123A)의 전후 1쌍의 수직축 롤러(156a, 156b)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양 수직축 롤러(156a, 156b)의 중간 위치에서 마찰 구동륜(124)이 마찰 구동면(104a)을 가압하게 되므로, 마찰 구동륜(124)과 마찰 구동면(104a) 사이에 필요한 마찰력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에 마찰 구동륜(124)을 감속기 부착 모터(145)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101)의 인입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당해 마찰 구동륜(124)과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입고용 메인 레일(119)의 종단 소정 위치에 정지 대기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가 입고용 메인 레일(119)의 종단에 접속 상태에 있는 가동 레일(106)측으로 끌려들어가, 각 트롤리(105)가 입고용 메인 레일(119)로부터 가동 레일(106)로 옮겨타면서, 반송용 주행체(101)가 가동 레일(106)로 옮겨타게 된다. 이 마찰 구동륜(124)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101)의 인입 동작과 동시에,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의 감속기 부착 모터(136)에 의해 전동 기어(135)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34)를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래크 기어(133)를 통하여 가동체(127)를 당해 가동체(127)측의 각 상측의 상방향 홈형 레일(129a~129c)과 고정 기판(131)측의 각 롤러(132a~132c)를 통하여 가동 레일(106)과 평행하게 후퇴 이동시키고, 당해 가동체(127)에 지지되어 있는 마찰 구동륜(124)을 전후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와 일체로, 진출 위치(F)로부터 후퇴 위치(R)(도 10A의 실선 참조)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도 백업 수단(122A)의 전후 1쌍의 수직축 롤러(153a, 153b)는 마찰 구동륜(124)에 대하여 상기 백업 수단(123A)의 전후 1쌍의 수직축 롤러(156a, 156b)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반송용 주행체(101)의 확실한 인입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의 작용에 의해, 후퇴 위치(R)로 복귀한 상태의 마찰 구동륜(124)은 반송용 주행체(101)의 전체를 입고용 메인 레일(119)로부터 가동 레일(106)측으로 끌어들여 옮겨실을 수 있고, 당해 반송용 주행체(101)의 전체가 가동 레일(106)로 옮겨탄 상태에서, 감속기 부착 모터(145)에 의한 마찰 구동륜(124)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입고용 메인 레일(119)로부터 가동 레일(106)측으로의 반송용 주행체(101)의 인입 옮겨싣기가 완료된다. 또한, 이와 같이 가동 레일(106)측으로 전체가 옮겨타서 옮겨실리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로드 바(104)는 그 옮겨타기 행정의 종반에서, 반대측의 인도 장치(121B)의 마찰 구동륜(124)의 내측으로 밀고 들어가게 되므로, 당해 인도 장치(121B)의 마찰 구동륜(124)은 그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에 의해 구동 해제 위치로 전환해두고, 진입해 오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당해 인도 장치(121B)의 마찰 구동륜(124)이 압접하여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리지할 반송용 주행체(101)를 가동 레일(106)측으로 끌어들여 옮겨실으면, 다음에 이동체(107)의 주행용 구동 수단(110)을 가동시킨다. 즉, 감속기 부착 모터(113)에 의해 피니언 기어(112)를 회전구동하고, 바닥측에 고정되어 있는 래크 기어(111)를 통하여 이동체(107)를 가이드 레일(108a, 108b)을 따라서 스토리지 영역(118A, 118B)에 인접하는 영역으로 횡동시켜, 반송용 주행체(101)를 스토리지할 빈 스토리지용 레일(118a 또는 118b), 즉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 또는 118b)에 가동 레일(106)이 접속하는 위치에서 이동 체(107)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 또는 118b)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21A 또는 121B)를 가동시켜, 가동 레일(10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를 스토리지 영역(118A)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 또는 스토리지 영역(118B)의 스토리지용 레일(118b)로 송출한다. 예를 들면, 스토리지 영역(118A)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에 반송용 주행체(101)를 송출하는 경우, 인도 장치(121A)를 가동시켜, 반송용 주행체(101)를 가동 레일(106)로부터 스토리지용 레일(118a)로 송출하여 옮겨싣는다. 즉 인도 장치(121A)의 마찰 구동륜(124)이 직전의 입고용 메인 레일(119)로부터의 반송용 주행체(101)의 인입 옮겨싣기 작용에 의해 구동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그 후에 구동 해제 위치로 되돌려져 있지 않을 때는 그대로, 만약 구동 해제 위치에 되돌려져 있을 때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에 의해 당해 마찰 구동륜(124)을 구동 위치로 전환하고, 당해 마찰 구동륜(124)을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당해 마찰 구동륜(124)을 감속기 부착 모터(145)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101)의 송출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당해 마찰 구동륜(124)과 반송용 주행체(101)의 마찰 구동면(104a)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가동 레일(106)에 전체가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를 당해 가동 레일(106)과 접속 상태에 있는 스토리지용 레일(118a) 측으로 송출하고, 동시에,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에 의해 가동체(127)를 구동하고, 당해 마찰 구동륜(124)을 전후 1쌍의 가이드 롤러(137a, 137b)와 일체로 후퇴 위치(R)로부터 진출 위치(F)(도 10A 의 가상선 참조)로 이동시킨다. 또한, 반대측의 인도 장치(121B)의 마찰 구동륜(124)은 구동 해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 단부에 인접하는 진출 위치(F)에 위치하는 마찰 구동륜(124)이 반송용 주행체(101)의 전체를 가동 레일(106)로부터 스토리지용 레일(118a)로 송출했다면, 당해 마찰 구동륜(124)의 구동을 정지함과 아울러,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에 의해 당해 마찰 구동륜(124)을 구동 해제 위치로 전환하고, 그리고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당해 마찰 구동륜(124)을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에 의해 진출 위치(F)로부터 후퇴 위치(R)까지 후퇴이동시킴으로써, 가동 레일(106)로부터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로의 반송용 주행체(101)의 송출 옮겨싣기가 완료된다.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이 반대측의 스토리지 영역(118B) 내에 있을 때는, 당해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b)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21B)의 마찰 구동륜(124),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 및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126)을 사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 레일(10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를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b)측으로 송출하면 된다.
스토리지 영역(118A, 118B)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 118b)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를 출고용 메인 레일(120)로 반출시킬 때는, 출고시킬 반송용 주행체(101)가 지지되어 있는 스토리지용 레일(118a 또는 118b), 즉 출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 또는 118b)에 가동 레일(106)이 접속하도록, 이동 체(107)를 주행시키고, 그 후에 당해 출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 또는 118b)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21A 또는 121B)를, 앞에 설명한 입고용 메인 레일(119)로부터 가동 레일(106)로의 반송용 주행체(101)의 인입 옮겨싣기 때와 동일하게 가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출고할 반송용 주행체(101)를 가동 레일(106)측으로 끌어들여 옮겨싣기를 마쳤다면, 당해 가동 레일(106)이 출고용 메인 레일(120)에 접속하는 위치까지 이동체(107)를 주행시키고, 그 후에 출고용 메인 레일(120)에 인접하는 측의 인도 장치(121B)를, 앞에 설명한 가동 레일(106)로부터 입고 작업 대상의 스토리지용 레일(118a, 118b)로의 반송용 주행체(101)의 송출 옮겨싣기 때와 동일하게 가동시키면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예를 들면 이동체(7, 107)의 고속 주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가동 레일(6, 106)의 단부와 이것이 접속하는 메인 레일(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토리지용 레일(11a, 11b, 118a, 118b, 입고용 메인 레일(14, 119), 출고용 메인 레일(15, 120) 등)의 단부 사이의 간극을 크게 할 필요가 있을 때, 가동 레일(6, 106)이 메인 레일에 접속 상태로 되었을 때에, 양 레일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보조 레일을 병용할 수 있다. 또, 가동 레일(6, 106)의 반송용 주행체(1, 101)를 인도하는 측의 단부(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양단이지만, 일단인 경우도 있음)나, 이 가동 레일(6, 106)이 접속하는 상기 메인 레일의 반송용 주행체 인도측 단부에는, 반송용 주행체(1, 101)가 유동(遊動)하여 레일 단부로부터 벗어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 자유로운 스토퍼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가동 레일(6, 106)이 상기 메인 레일에 대하여 접속 상태로 되었을 때에 위치 결정을 행하는 가동 레일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하고, 반송용 주행체(1, 101)의 옮겨싣기 작업 시에 가동 레일(6, 106)과 이것이 접속하는 메인 레일 사이의 수평 횡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보조 레일, 개폐 자유로운 스토퍼 수단, 및 가동 레일 위치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 15~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도 15~도 20에서는, 반송용 주행체 및 가동 레일로서, 편의상, 제 2 실시형태의 반송용 주행체(101)와 가동 레일(106)을 도시하고, 이 가동 레일(106)이 접속하는 각종 메인 레일을 참조부호 157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동 레일(106)의 단부에 보조 레일(158)이 수평 지지축(159)에 의해 상하요동 자유롭게 부착된, 이 보조 레일(158)을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기립 개방 자세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메인 레일(157)에 접속하는 사용 자세로 전환하는 구동 수단(160)으로서, 상기 수평 지지축(159)을 통하여 보조 레일(158)을 상하 요동시키는 감속기 부착 모터(16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 지지축(159)은 L형 부착판(162)을 통하여 가동 레일(106)의 상측에 고착된 좌우 1쌍의 베어링(163a, 163b)에 지탱됨과 동시에, 당해 양 베어링(163a, 163b) 사이에 위치하고 보조 레일(158)의 상측에 고착된 베어링(163c)에 고착되어 있다. 이 보조 레일(158)의 선단은 상측이 돌출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잘려지고, 이 보조 레일(158)과 접속하는 메인 레일(157)의 선단은 보조 레일(158)의 비스듬한 선단에 맞추어서 하측이 돌출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잘라져 있다.
가동 레일(106)측의 스토퍼 수단(164)은 보조 레일(158)측의 베어링(163c)에 고착된 스토퍼(16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165)는 보조 레일(158)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기립 개방 자세에 있을 때, 가동 레일(106)측의 L형 부착판(162)에 설치된 절결부(162a)를 통하여 가동 레일(106) 내로 수직으로 내려지고, 당해 가동 레일(106) 내를 주행하는 반송용 주행체(101)의 트롤리(105)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가동 레일(106), 메인 레일(157), 및 보조 레일(158)은 반송용 주행체(101)의 트롤리(105)의 형식에 의해 여러 구조의 것이 사용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1쌍의 대향 홈형 레일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165)는 좌우 1쌍의 대향 홈형 레일재 사이를 상하로 출퇴 이동하게 된다.
메인 레일(157)측의 스토퍼 수단(166)은 당해 메인 레일(157)의 일측부에 부착된 1쌍의 베어링 부재(167a, 167b) 사이에서 전후 방향 수평 지지축(168)에 의해 상단부가 좌우 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된 L형의 스토퍼(169)로 구성되고, 도 15~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판부 선단(169a)이 메인 레일(157)의 하측으로부터 반송용 주행체(101)의 트롤리(105)의 이동경로 내로 밀고 들어가는 작용 자세에 있을 때, 수직판부(169b)가 1쌍의 베어링 부재(167a, 167b) 사이에 가설된 수납 부재(170)에 맞닿도록 구성되고, 또한 수직판부(169b)에는 이동체(7, 107)의 주행 경로측으로 연장하는 지지판(171)을 통하여 수동 부재(172)가 연설되어 있다. 그러나, L형 스토퍼(169)는 지지판(171)이나 수동 부재(172)를 포함하는 전체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수납 부재(170)에 맞닿는 작용 자세로 유지되어 있지만, 별도로 이 작용 자세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병용해도 된다.
173은 보조 레일(158)을 통하여 가동 레일(106)을 메인 레일(157)에 접속하 는 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가동 레일 위치 결정 수단으로, 메인 레일(157)의 단부 좌우 양측에 부설되어 상방으로 기립함과 아울러 상단부가 좌우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좌우 1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74a, 174b)와, 보조 레일(158)의 선단 상부에 설치된 끼워맞춤 부재(175)로 구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부재(175)는 보조 레일(158)의 선단 상부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뻗어 있는 기판(176)의 선단부 상측에 부착된 측면 형상이 게이트형의 베어링판(177)과, 이 게이트형 베어링판(177)의 내측에 전후 방향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당해 게이트형 베어링판(177)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롤러 둘레면이 돌출하는 좌우 1쌍의 가이드 롤러(178a, 178b)로 구성되고, 보조 레일(158)이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메인 레일(157)에 접속하는 사용 자세로 회전하여 기울었을 때, 게이트형 베어링판(177)이 메인 레일(157)측의 좌우 1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74a, 174b) 사이에 끼어 들어가고, 이때 좌우 1쌍의 가이드 롤러(178a, 178b)가 양 가이드 플레이트(174a, 174b)의 내측면에 맞닿아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보조 레일(158)이 가동 레일(106)과 메인 레일(157)을 일직선 모양으로 접속하는 사용 자세에 달했을 때, 좌우 1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74a, 174b) 사이에서 메인 레일(157) 상에 부설된 받이판(179) 상에 보조 레일(158)측의 상기 기판(176)의 선단부가 받아들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보조 레일(158)에는, 이 보조 레일(158)이 사용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에 메인 레일(157)측의 스토퍼 수단(166)의 L형 스토퍼(169)를 당해 L형 스토퍼(169)에 연설된 상기 수동 부재(172)와 메인 레일(157)의 선단 일측부에 설치된 L형 중계 레버(180)를 통하여, 도 20에 도시하는 비작용 자세로 전환하는 조작 수단(181) 이 설치되어 있다. L형 중계 레버(180)는 가이드 플레이트(174a, 174b) 중, L형 스토퍼(169)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가이드 플레이트(174a)의 하단부 외측면에 고착된 베어링(182)에 중간 절곡부가 전후 방향 수평 지지축(183)에 의해 축지지된 것으로, 상방향 레버부의 선단에는, L형 스토퍼(169)로부터 연설된 상기 수동부재(172)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동용 롤러(184)가 전후 방향 수평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됨과 아울러, 횡방향 레버부의 선단에는 수동용 롤러(185)가 전후방향 수평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조작 수단(181)은 보조 레일(158)이 사용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L형 중계 레버(180)의 수동용 롤러(185)를 밀어 내리도록, 보조 레일(158)에 부착된 조작 부재(186)로 구성되어 있다. 187은 상기 조작 부재(186)를 보조 레일(158)의 측면에 부착하는 지지재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동 레일(106)과 메인 레일(157)이 접속 상태에 없을 때는, 구동 수단(160)의 감속기 부착 모터(161)에 의해 수평 지지축(159)을 통하여 보조 레일(158)을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기립 개방 자세로 전환해 둠으로써, 가동 레일(106)과 메인 레일(157)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확보하고, 이동체(7, 107)를 다소의 횡방향 흔들림을 수반하는 고속 주행도 지장 없이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보조 레일(158)이 기립 개방 자세로 전환되어 있음으로써, 가동 레일측 스토퍼 수단(164)의 스토퍼(165)가 가동 레일(106)의 단부의 내측으로 밀고 들어가는 작용 자세로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가동 레일(106)측으로 끌어들여 옮겨실린 반송용 주행체(101)가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라도, 당해 반송용 주행체(101)의 트롤리(105)가 상기 작용 자세의 스토퍼(165)에 받아들여짐으로써, 가동 레일(106) 상 에서 반송용 주행체(101)가 탈락하는 사고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레일(157)측의 스토퍼 수단(166)은 그 L형 스토퍼(169)가 중력으로 작용 자세에 유지되어 있고, 이 메인 레일(157)측에서 예를 들면 스토리지 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가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당해 반송용 주행체(101)의 트롤리(105)(구체적으로는 좌우 1쌍의 홈형 레일재 사이를 이동하는 진동방지용 수직축 롤러)가 상기 작용 자세의 L형 스토퍼(165)의 수평판부 선단(169a)에 받아들여짐으로써, 메인 레일(157) 상에서 반송용 주행체(101)가 탈락하는 사고는 방지할 수 있다.
이동체(7, 107)의 주행에 의해, 가동 레일(106)이 목적의 메인 레일(157)에 접속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면, 구동 수단(160)의 감속기 부착 모터(161)에 의해 수평 지지축(159)을 통하여 보조 레일(158)을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사용 자세로 전환한다. 이때의 보조 레일(158)의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운동에 따라 가동 레일측 스토퍼 수단(164)의 스토퍼(165)가 가동 레일(106) 내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한 비작용 자세로 자동적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보조 레일(158)과 일체로 하방으로 회동하는 조작 수단(181)의 조작 부재(186)가 메인 레일(157)측에 있는 L형 중계 레버(180)의 수동용 롤러(185)를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어 내리므로, L형 중계 레버(180)가 회전하여, 그 전동용 롤러(184)가 메인 레일측 스토퍼 수단(169)의 L형 스토퍼(169)를 수동 부재(172) 및 지지판(171)을 통하여 횡방향 바깥쪽으로 중력에 저항하여 회전시켜, 당해 L형 스토퍼(169)를 비작용 자세로 전환한다. 또한, 보조 레일(158)이 수평자세까지 회전하여 기울어져서 사용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 가동 레일 위치 결정 수단(173)의 보조 레일(158)측의 끼워맞춤 부재(175)가 메인 레일(157)측의 좌우 1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74a, 174b) 사이에 끼어 들어가, 가동 레일(106)이 메인 레일(157)에 대하여 보조 레일(158)과 함께 좌우 횡방향으로 벗어나 움직이는 것을 저지한다.
즉 가동 레일(106)과 메인 레일(157) 사이의 간극이 보조 레일(158)에 의해 메워짐과 아울러, 가동 레일측 스토퍼 수단(164)의 스토퍼(165)와 메인 레일측 스토퍼 수단(166)의 L형 스토퍼(169)가 자동적으로 비작용 자세로 전환되고, 또한 가동 레일 위치 결정 수단(175)에 의해 메인 레일(157)에 대하여 가동 레일(106)이 좌우 횡방향에 관해서도 위치결정됨으로써, 가동 레일(106)과 메인 레일(157) 사이의 반송용 주행체(101)의 옮겨타기를 보조 레일(158)을 통하여 안전하게 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메인 레일(157)과의 사이의 반송용 주행체 인도 단부가 가동 레일(106)의 일단부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당연히, 가동 레일(106)의 반송용 주행체 인도 단부측에만 인도 장치가 배열 설치되게 되는데, 가동 레일(106)의 양단이 메인 레일과의 사이의 반송용 주행체 인도 단부로 되는 경우에도, 도 21에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1개 마찰 구동륜(124)을 가동 레일(106)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에서의 마찰 구동면(104a)의 전체 길이의 중앙 위치에 맞닿는 1개의 후퇴 위치(R)와, 당해 가동 레일(106)의 일단에 접속하는 메인 레일(157A)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에서의 마찰 구동면(104a)의 가동 레일 측단부 근방 위치에 맞닿는 제 1 진출 위치(F1) 사이의 왕복이동 및, 가동 레일(106)의 타단에 접속하는 메인 레일(157B)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1) 에서의 마찰 구동면(104a)의 가동 레일 측단부 근방 위치에 맞닿는 제 2 진출 위치(F2)와 상기 1개의 후퇴 위치(R) 사이의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1개의 마찰 구동륜(124)을 가동 레일(106)의 양단 어느 측에 접속하는 메인 레일(157A, 157B)과의 사이의 반송용 주행체(101)의 옮겨싣기에도 활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에서는, 가동 레일(106)의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의 고정 가이드 레일(188)과, 이 고정 가이드 레일(188)에 가동 레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당해 고정 가이드 레일(188)의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의 가동 가이드 레일(189)이 사용되고, 가동 가이드 레일(189)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마찰 구동륜(124)을 설치하고 있는데, 각 가이드 레일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 가동 가이드 레일(189)을 2단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마찰 구동륜(124)을 상기 후퇴 위치(R)로부터 제 1 진출 위치(F1)와의 사이, 또는 마찰 구동륜(124)을 상기 후퇴 위치(R)로부터 제 2 진출 위치(F2)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기 위해서, 고정 가이드 레일(188)에 대하여 가동 가이드 레일(189)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는, 래크 피니언 형식의 다른, 와이어 로프나 체인을 이용하는 형식 등, 각종 하역 기계에서의 짐 옮겨싣기 수단으로서 알려져 있는 런닝 포크의 구동 수단을 응용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을 병용할 수 있지만, 도 21에서는 당해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125)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체(7)에 의해 수평이동과 승강이동의 양쪽이 가 능한 가동 레일(6)과, 이동체(107)에 의해 수평이동만 가능한 가동 레일(106)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에서, 메인 레일과의 사이에서 반송용 주행체를 옮겨타게 하는 가동 레일은 승강이동만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 경로 중에서 당해 반송용 주행체의 전후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가동 레일(도 6 참조)이나, 주행 경로 전환을 위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가동 레일이어도 된다. 물론, 가동 레일은 이것이 접속하는 메인 레일의 구조, 나아가서는 이들 레일에 안내되는 반송용 주행체의 지지 구조에 적합한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가동 레일을 이동시키는 수단의 구성도, 상기 실시형태에 제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는 자동차와 그 밖의 주로 대형의 물품(반제품이나 완성품 등)을 취급하는 컨베이어 라인에서, 당해 물품의 스토리지, 반송 경로의 전환, 반송 시의 전후 방향의 반전 등의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메인 레일과, 이동에 의해 상기 메인 레일에 접속할 수 있는 가동 레일과, 이 가동 레일과 상기 메인 레일 사이에서 반송용 주행체를 옮겨타게 하기 위한 인도 장치를 구비한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로서,
    반송용 주행체에는 그 이동방향과 평행한 마찰 구동면이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인도 장치는 마찰 구동륜와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마찰 구동륜은 상기 가동 레일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마찰 구동면을 통하여 반송용 주행체를 추진시키는 구동 상태와 구동 해제 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은 상기 마찰 구동륜을 가동 레일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맞닿을 수 있는 후퇴 위치와 상기 메인 레일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맞닿을 수 있는 진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마찰 구동륜의 상기 구동 해제 상태는 당해 마찰 구동륜을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으로부터 강제 이간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전가능한 상태로의 전환에 의해 실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도 장치는 상기 마찰 구동륜을 상기 마찰 구동면에 압접하는 구동 위치와 상기 마찰 구동면에서 벗어나는 구동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하는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마찰 구동륜의 상기 구동 해제 상태는 당해 마찰 구동륜의 상기 구동 해제 위치로의 위치 전환에 의해 실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은 상기 가동 레일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가동체와, 이 가동체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찰 구동륜 위치 전환 수단은 상기 가동체에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대하여 원근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마찰 구동륜이 지지된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와, 상기 가동체에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대하여 원근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 부재와, 이 구동 부재와 상기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를 일정 범위 내에서 원근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구동 부재에 대하여 상기 마찰 구동륜 지지 부재를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구동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의 구동 수단은 상기 가동체에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래크 기어와, 이 래크 기어에 교합하는 피니언 기 어와, 이 피니언 기어를 정역회전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구동륜의 이동방향의 전후 양측에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맞닿는 1쌍의 가이드 롤러가 배열 설치되고, 이들 1쌍의 가이드 롤러가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마찰 구동륜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구동륜은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대한 원근방향 이동 자유롭게 지지됨과 아울러, 스프링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력이 가해지고, 상기 마찰 구동륜과의 사이에서 반송용 주행체를 끼우는 백업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롤러는 상기 마찰 구동륜에 대하여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에 의한 당해 마찰 구동륜의 왕복이동 방향의 전후 양측에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롤러로서, 후퇴 위치에 있는 상기 마찰 구동륜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가동 레일측에 위치고정된 백업 롤러와, 진출 위치에 있는 상기 마찰 구동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메인 레일측에 위치고정된 백업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롤러는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마찰 구동륜과 일체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반송용 주행체는 상기 가동 레일에 트롤리를 통하여 매달아지고 또한 이동방향으로 평행한 로드 바를 구비하고, 이 로드 바의 일측면이 상기 마찰 구동면에 구성되고, 상기 마찰 구동륜 이동 수단은 상기 가동 레일에 위에서 씌워지는 게이트형 프레임과, 상기 가동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형 프레임을 왕복이동시키는 왕복구동용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 구동륜과 백업 롤러는 상기 게이트형 프레임의 양측 수직 지주부에 부착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레일은 반송용 주행체의 전체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에 가까운 길이를 갖고, 상기 마찰 구동륜의 후퇴 위치와 진출 위치는 상기 가동 레일과 상기 메인 레일과의 접속 단부의 근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레일은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메인 레일은 상기 가동 레일의 이동경로의 양측에 배열 설치되고, 상기 인도 장치는 상기 가동 레일의 양단부 각각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레일은 반송용 주행체의 전체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에 가까운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메인 레일은 상기 가동 레일의 이동경로의 양측에 배열 설치되고, 마찰 구동륜의 상기 후퇴 위치는 상기 가동 레일로 지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의 전체 길이의 거의 중앙 위치에 마찰 구동륜이 맞닿을 수 있는 1개소가 설정되고, 마찰 구동륜의 상기 진출 위치는 가동 레일의 일단이 접속하는 일방의 메인 레일로 지지되는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마찰 구동륜이 맞닿을 수 있는 개소와, 가동 레일의 타단이 접속하는 타방의 메인 레일로 지지되는 반송용 주행체의 마찰 구동면에 마찰 구동륜이 맞닿을 수 있는 개소, 2개소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5.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 레일과 당해 가동 레일이 접속 상태에 있는 메인 레일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개폐 자유로운 보조 레일이 상기 가동 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일은 가동 레일의 단부에 상하 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당해 보조 레일을 기립 개방 자세와 메인 레일에 접속하는 사용 자세로 전환하는 구동 수단이 설치되고, 이 보조 레일과 메인 레일에는, 보조 레일이 메인 레일에 접속하는 사용 자세로 되었을 때에 서로 끼워맞추어 양 레일의 좌우 횡방향의 위치 벗어남을 방지하는 상하 방향의 끼워맞춤부가 설치된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레일의 반송용 주행체 인도측 단부에는, 반송용 주행체의 보조 레일측으로의 이동을 멈추는 개폐 자유로운 스토퍼가 설치되고, 이 스토퍼와 상기 보조 레일을 상기 보조 레일이 기립 개방 자세에 있을 때는 상기 스토퍼가 반송용 주행체를 제지하는 작용 자세로 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 레일이 사용 자세에 있을 때는 상기 스토퍼가 반송용 주행체의 보조 레일측으로의 주행을 허용하는 비작용 자세로 되도록 서로 연동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일의 반송용 주행체 인도측 단부에는, 반송용 주행체의 가동 레일측으로의 이동을 멈추는 개폐 자유로운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레일측에는, 상기 스토퍼의 조작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레일이 기립 개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전환될 때, 상기 조작 수단이 상기 스토퍼를 작용 자세로부터 비작용 자세로 전환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레일이 사용 자세로부터 기립 개방 자세로 전환될 때, 상기 스토퍼가 비작용 자세로부터 작용 자세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KR1020077018656A 2005-06-22 2006-06-15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KR100995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1644A JP4301213B2 (ja) 2005-06-22 2005-06-22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JP-P-2005-00181644 2005-06-22
JP2005181645A JP4301214B2 (ja) 2005-06-22 2005-06-22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JP-P-2005-00181645 200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218A KR20080027218A (ko) 2008-03-26
KR100995517B1 true KR100995517B1 (ko) 2010-11-22

Family

ID=3757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656A KR100995517B1 (ko) 2005-06-22 2006-06-15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21871B2 (ko)
EP (1) EP1894864B1 (ko)
KR (1) KR100995517B1 (ko)
CA (1) CA2601049C (ko)
WO (1) WO2006137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8820B2 (ja) * 2008-02-05 2010-09-08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トロリーコンベヤ
JP4562008B2 (ja) * 2008-02-14 2010-10-13 株式会社ダイフク 吊り下げ搬送装置
US20090277748A1 (en) * 2008-05-09 2009-11-12 Caterpillar Inc. Modular manufacturing line including a buffer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for
KR100984742B1 (ko) * 2008-09-11 2010-10-01 현대로템 주식회사 대차 반송 시스템
DE102010000790A1 (de) * 2010-01-11 2011-07-14 Dürr Systems GmbH, 74321 Fördervorrichtung
US8584594B2 (en) * 2012-02-03 2013-11-19 Jervis B. Webb Company Friction drive conveyor assembly
ITTO20120241A1 (it) * 2012-03-19 2013-09-20 Cpm S P A Impianto per assemblare parti meccaniche su scocche di veicoli
JP5754650B2 (ja) * 2012-06-13 2015-07-29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可能な搬送装置
CN102991978B (zh) * 2012-11-30 2015-03-25 湖北华昌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自行小车系统
CN102991979B (zh) * 2012-11-30 2015-07-22 湖北华昌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自行小车系统
JP2014190114A (ja) * 2013-03-28 2014-10-06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US10023334B2 (en) * 2014-03-17 2018-07-17 Marvin B. Schwartz Full motion wrapping apparatus
CN108605428B (zh) 2016-02-17 2020-06-05 株式会社富士 作业装置及生产线
JP6501078B2 (ja) * 2016-04-29 2019-04-17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設備
CN107032083B (zh) * 2017-05-02 2019-09-24 苏州和丰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纱卷物料追踪方法
EP3636238B1 (en) * 2018-10-12 2021-04-28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Gates with transition ramps for overhead lifting rails
CN109795581B (zh) * 2019-03-05 2024-04-30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轨道行走总成对接工装
CN111071715A (zh) * 2019-12-12 2020-04-28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输送轨道交叉口切换轨道的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1017495A (zh) * 2019-12-23 2020-04-17 天行智控(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侧挂式轨道小车运输系统及其转轨器
CN111573576B (zh) * 2020-04-02 2022-01-07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湖州供电公司 一种高速公路电网架设车及其架设方法
KR102422889B1 (ko) * 2020-09-03 2022-07-2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수직 이송 시스템
CN116573356B (zh) * 2023-07-13 2023-09-26 苏州柳溪机电工程有限公司 两段式移载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5122U (ko) 1981-03-23 1982-09-29
JP2001097546A (ja) 1999-10-01 2001-04-10 Tsubakimoto Chain Co ハイブリッド搬送台車用クイックトラバース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00388A1 (de) 1972-01-05 1973-07-12 Armin Kleiber Umsetzvorrichtung
US4723714A (en) * 1986-09-25 1988-02-09 Lucas Gary H Programmable sprinkler system
JPH0659978B2 (ja) * 1987-08-14 1994-08-10 株式会社キト− 糸巻コイル品群支持カセツトの走行屈折搬送装置
DE3819008C1 (ko) * 1988-06-03 1989-12-21 Veit Transpo Gmbh, 8910 Landsberg, De
JP2684571B2 (ja) * 1989-08-07 1997-12-03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パレットの移載装置
DE9100902U1 (ko) 1991-01-26 1992-03-12 Koller, Marie-Gabrielle, Dornbirn, At
US7127997B2 (en) * 2003-06-27 2006-10-31 Daifuku Co., Ltd. Friction drive conveyor
JP4925615B2 (ja) * 2005-06-29 2012-05-09 株式会社大気社 搬送設備
JP4453626B2 (ja) * 2005-07-25 2010-04-21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設備
US7134542B1 (en) * 2005-10-17 2006-11-14 Valiant Corporation Modular accumulating conveyor system
JP4209919B2 (ja) * 2007-01-26 2009-0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ンガー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5122U (ko) 1981-03-23 1982-09-29
JP2001097546A (ja) 1999-10-01 2001-04-10 Tsubakimoto Chain Co ハイブリッド搬送台車用クイックトラバース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7317A1 (ja) 2006-12-28
EP1894864B1 (en) 2013-05-29
US20070289845A1 (en) 2007-12-20
KR20080027218A (ko) 2008-03-26
CA2601049C (en) 2011-01-11
US7721871B2 (en) 2010-05-25
EP1894864A1 (en) 2008-03-05
EP1894864A4 (en) 2009-04-08
CA2601049A1 (en)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517B1 (ko) 반송용 주행체의 배송 설비
JP6501078B2 (ja)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設備
JP4301213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4065926B2 (ja) 台車式搬送装置
US7484616B2 (en) Transportation facility for traveling body for transportation
JP5793407B2 (ja) 無人搬送車による台車の自動搬送システム
JP4301214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4507015B2 (ja) 滑り荷台利用の搬送装置
JP6478059B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4507014B2 (ja) 滑り荷台利用の搬送装置
EP1028085B1 (en) Storage area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JP3544867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3890029B2 (ja) 搬送装置
JP2008150036A (ja) 台車連結装置
JP2704455B2 (ja) フロアーコンベヤ
JP2022141007A (ja) 鉄道車両用トラバーサ
JP2006027794A (ja) 収納器搬送装置
JP3192595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の搬送台車停止装置
JPH11301464A (ja) 搬送設備
JP4332957B2 (ja) 往復式有軌道台車
CN117023109A (zh) 一种整托货物分离装置和整托货物装车系统
KR200275038Y1 (ko) 이동식 컨베이어
JPH08177261A (ja) 機械式駐車装置
JPH0435384B2 (ko)
JPH06126558A (ja) 生産ラインにおけるワーク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