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560A - 도어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560A
KR20070079560A KR1020070009267A KR20070009267A KR20070079560A KR 20070079560 A KR20070079560 A KR 20070079560A KR 1020070009267 A KR1020070009267 A KR 1020070009267A KR 20070009267 A KR20070009267 A KR 20070009267A KR 20070079560 A KR20070079560 A KR 20070079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 lever
cylinder
door open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야스 도미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7007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도어 오픈레버의 조작전 위치로의 탄지 복귀에 대해 적절히 제동을 부여하면서 도어 내에 동결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 등에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는 도어 핸들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피스톤(71)의 압입 이동에 대해 저항을 부여하는 제동장치(7)를 가지고 있다. 도어 오픈레버(2)의 압압부(2c)는 말단(2e)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축(2a)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된 캠면(2d)을 구비하고 있다. 제동장치(7)는 피스톤 로드(72)가 수납부(9)의 내측에 고정되고, 실린더(70)의 외면과 수납부(9)의 내면의 사이에는 간격(9c)이 형성되고,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는 도어 오픈레버(2)의 캠면(2d)에 상기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아 있다. 도어 오픈레버(2)의 비조작시에 캠면(2d)의 말단(2e)측이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에 맞닿아서 피스톤(71)이 실린더(70) 내에 최대로 압입된다.

Description

도어 핸들장치{DOOR HANDLE DEVICE}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도어 핸들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동 단면 구성도
도 3은 동 단면 구성도
도 4는 제동장치(7)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피스톤(71)의 사시 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도어 핸들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8은 동 단면 구성도
도 9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도어 핸들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10은 동 단면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 - 도어 패널 2 - 도어 오픈레버
7 - 제동장치 70 - 실린더
70a - 내측 단부 71 - 피스톤
72 - 피스톤 로드 73 - 탄지수단
9 - 수납부 9c - 간격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2-35107호 공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내장되는 도어 핸들장치로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을 중지했을 때, 상기 도어 오픈레버가 조작전의 위치로 강하게 복귀하지 않도록 한 도어 핸들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의 도어 오픈레버는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 래치장치에 의한 도어의 폐색상태의 유지를 해제도록 상기 도어 래치장치에 연계되어 있다. 상기 당김 조작을 중지했을 때에 도어 오픈레버는 조작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다. 상기 당김 조작을 중지했을 때의 도어 오픈레버의 탄지에 의한 복귀가 아무런 제동이 없이 이루어진 경우, 충격음 발생 등의 문제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자동차의 고급감 등을 해친다. 이러한 문제점에 때문에, 도어 오픈레버에 있어서의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도어 내에 위치되는 내측 단부와 도어 내에 형성된 브래킷의 사이에 걸쳐서 주름관 형상을 이루는 완충장치를 설치하고, 도어 오픈레 버의 당김 조작에 의해 팽창된 완충장치가 상기 당김 조작을 중지했을 때, 에어의 저항에 의해 천천히 축소되도록 하여 도어 오픈레버의 복귀에 제동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의 발명은 완충장치의 일단과 도어 오픈레버의 내측단 및 완충장치의 타단과 브래킷이 축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혹한기 등에 있어서 도어의 내부에 동결 등이 발생한 경우, 때때로 상기한 연결개소가 고착되고, 이것이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을 방해하는 상황을 상정시킬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을 중지했을 때의 조작 전의 위치로의 탄지 복귀에 대해 적절하게 제동을 부여하면서, 도어 내에 동결이 발생한 경우에도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 등에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기 제동 부여기능을 가지는 도어 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 1 발명에 있어서는 도어 핸들장치를 이하의 (1)~(6)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도어 패널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도어 래치장치와 연계된 도어 오픈레버와,
(2) 실린더와,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을 항상 실린더의 내측 단부 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지에 저항한 피스톤의 압입 이동에 대해 실린더 내에 봉입된 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제동장치와,
(3) 도어 패널측에 고정된 상기 제동장치의 수납부를 가지고 있으며,
(4) 도어 오픈레버는 회동축을 사이에 둔 일측을 조작부로 하고, 또 타측을 압압부로 하며, 이 압압부는 말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된 캠면을 구비하고 있고,
(5) 제동장치는, 피스톤 로드가 수납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실린더의 외면과 수납부의 내면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또 실린더의 내측 단부는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상기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아 있고,
(6) 도어 오픈레버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의 말단측이 실린더의 내측 단부에 맞닿아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 최대로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오픈레버를 당김 조작했을 때, 실린더의 내측 단부의 전방에는 캠면에 있어서의 회동축에서 가까운 개소가 위치되게 되기 때문에,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실린더가 추종하여 전진, 즉 수납부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당김 조작에는 제동장치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지 않는다.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을 중지하면 도어 오픈레버는 조작 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복귀에 의해 실린더 내측 단부의 전방에는 캠면의 말단측이 위치되게 되기 때문에,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여 실린더가 후퇴, 즉 압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동장치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어 도어 오픈레버의 복귀동작을 천천히 할 수 있다. 제동장치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내측 단부는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접해 있을 뿐이고, 또 실린더의 외면과 수납부의 내면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핸들장치 내에 동결이 발생해도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고, 또 제동장치의 동작에도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실린더의 내측 단부를 마찰계수가 작은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시켜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실린더의 내측 단부를 도어 오픈레버의 압압부의 캠면에 항상 맞닿게 해도 상기 도어 오픈레버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도어 핸들장치를 이하의 (1)~(6)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도어 패널측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며,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도어 래치장치와 연계된 도어 오픈레버와,
(2) 실린더와,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을 항상 실린더의 내측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지에 저항한 피스톤의 압입 이동에 대해 실린더 내에 봉입된 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제동장치와,
(3) 도어 패널측에 고정된 상기 제동장치의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4) 도어 오픈레버는 회동축을 사이에 둔 일측을 조작부로 하고, 또 타측을 압압부로 하고 있으며, 이 압압부는 말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된 캠면을 구비하고 있고,
(5) 제동장치는, 실린더가 지지부에 고정되고, 또 피스톤 로드의 외측 단부가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상기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아 있고,
(6) 도어 오픈레버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의 말단측이 피스톤 로드의 외측 단부에 맞닿게 되어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 최대로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오픈레버를 당김 조작했을 때, 피스톤 로드의 외측 단부의 전방에는 캠면에 있어서의 회동축에서 가까운 개소가 위치되게 되기 때문에,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추종하여 전진, 즉 지지부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당김 조작에는 제동장치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지 않는다.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을 중지하면 도어 오픈레버는 조작 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복귀에 의해 피스톤 로드의 외측 단부의 전방에는 캠면의 말단측이 위치되게 되기 때문에,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여 피스톤 로드가 후퇴된다. 이 때, 제동장치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어 도어 오픈레버의 복귀동작을 천천히 할 수 있다. 제동장치를 구성하는 피스톤 로드의 외측 단부는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접해 있을 뿐이고, 또 피스톤 로드가 지지부에 접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어 핸들장치 내에 동결이 발생해도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에 지장이 없고, 또 제동장치의 동작에도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도어 핸들장치를 이하의 (1)~(6)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도어 패널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도어 래치장치와 연계된 도어 오픈레버와,
(2) 도어 패널측에 전후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직선운동체와,
(3) 상기 직선운동체의 탄지수단과,
(4) 본체와, 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체를 가지며, 이 피니언체의 회전에 본체 내에 봉입된 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제동장치를 가지고 있고,
(5) 직선운동체 및 도어 패널측 중 어느 일측에 제동장치가 고정됨과 아울러, 이들의 타측에 상기 제동장치를 구성하는 피니언체에 맞물리는 래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6) 도어 오픈레버는 회동축을 사이에 둔 일측을 조작부로 하고, 또 타측을 압압부로 하고 있으며, 이 압압부는 말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된 캠면을 구비하고 있고,
(7) 직선운동체는 그 전단을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게 하고 있고,
(8) 도어 오픈레버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의 말단측이 직선운동체의 전단에 맞닿아서 직선운동체가 최대로 후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오픈레버를 당김 조작했을 때에 직선운동체의 전단의 전방에는 캠면에 있어서의 회동축에서 가까운 개소가 위치되기 때문에,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 직선운동체가 추종하여 전진된다. 이 당김 조작에는 제동장치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지 않는다.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을 중지하면 도어 오픈레버는 조작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복귀에 의해 직선운동체의 전단의 전방에는 캠면의 말단측이 위치되기 때문에,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여 직선운동체가 후퇴된다. 이때, 이 후퇴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체에는 상기 유체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어 도어 오픈레버의 복귀동작을 천천히 할 수 있다. 제동장치를 구성하는 직 선운동체의 전단은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접해 있을 뿐이므로, 도어 핸들장치 내에 동결이 발생해도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에 지장이 없고, 또 제동장치의 동작에도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 도 1∼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도어 핸들장치를, 도 7 및 도 8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도어 핸들장치를, 도 9 및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해당하는 도어 핸들장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 도 8 및 도 10은 각각 도어 오픈레버(2)를 당김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관한 제동장치(7)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또 도 5 및 도 6은 상기 제동장치(7)를 구성하는 피스톤(71)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 핸들장치는 자동차 도어에 있어서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장치로서, 또 자동차 도어에 있어서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아웃 도어 핸들장치로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이것을 구성하는 도어 오픈레버(2)의 당김 조작을 중지했을 때에 상기 도어 오픈레버(2)가 빠르게 조작 전의 위치로 복귀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도어 오픈레버(2)는 도어 패널(1)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도어 래치장치와 연계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 오픈레버(2)는 회동축(2a)을 사이에 둔 일측을 조작부(2b)로 하고, 또 타측을 압압부(2c)로 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도어 오픈레버(2)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 오픈레버(2)의 회동축(2a)은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조작 전의 위치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조작부(2b)에 손가락을 걸어서 상기 조작부(2b)측을 당김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 오픈레버(2)는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조작 전의 위치로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지에 저항하여 도어 오픈레버(2)를 당김 조작하면, 도어 오픈레버(2)의 압압부(2c)측에 접속된 연결 로드(5)가 인장되고, 이것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도어 래치장치에 의한 도어의 개방상태의 유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에 있어서, 도어 핸들장치는 도어 패널(1), 여기에서는 이너 패널(1a)의 내측에 위치되는 이너 프레임(3)과 아우터 프레임(4)을 구비하고 있다. 아우터 프레임(4)은 전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상기 개구측에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4a)(이하, 간단히 주회(周回) 플랜지라고 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아우터 프레임(4)은 상기 주회 플랜지(4a)를 이너 패널(1a)에 형성된 부착구멍(1b)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주회 플랜지(4a) 보다 앞선 부분을 이너 패널(1a)의 내측, 즉 도어 내측(1c)에 인입시키도록 하여 도어에 부착되어 있다. 아우터 프레임(4)은 횡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외곽형상 및 내곽형상을 가지고 있다. 회동축(2a)은 상기한 아우터 프 레임(4)의 폭방향에 걸친 일변부(一邊部)(도시한 예에서는 우변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상단을 아우터 프레임(4)의 상측벽(4b)에 고정하고, 또 하단을 아우터 프레임(4)의 하측벽(4c)에 고정하고, 그 중간부를 아우터 프레임(4)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4)에 지지되어 있다. 도어 오픈레버(2)의 조작부(2b)는 아우터 프레임(4) 내에 있어서 이 아우터 프레임(4)의 하변부에 걸친 길이를 가지고, 또 조작 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4)의 하변부측을 덮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도어 오픈레버(2)의 압압부(2c)는 상기한 조작부(2b)의 일단부의 이면에서 도어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b)와 압압부(2c)의 연접 개소에 상하 방향에 걸쳐서 축 구멍(2f)이 형성되어 있고, 회동축(2a)의 중간부를 상기 축구멍(2f)에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 오픈레버(2)는 아우터 프레임(4)에, 또한 도어 패널(1)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한편, 이너 프레임(3)은 전면을 개구시킨 대략 상자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상기 개구 가장자리부를 이너 패널(1a)의 내면측에서 상기 부착구멍(1b)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도록 해서 도어 내측(1c)에 설치되어 있다. 아우터 프레임(4)의 주회 플랜지(4a) 보다 앞선 부분은 상기 이너 프레임(3)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아우터 프레임(4)의 내측벽 및 이너 프레임(3)의 내측벽에는 도어 오픈레버(2)의 당김 조작시에 그 압압부(2c)를 통과시키는 통과구멍(3a,4d)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부호 6으로 나타낸 것은 도어 오픈레버(2)의 고정너트이다.
도어 오픈레버(2)의 압압부(2c)의 그 조작 전의 위치에 있어서, 아우터 프레임(4)의 폭방향을 따른 우측벽(4e)을 향한 면은 캠면(2d)으로 되어 있다. 이 캠 면(2d)은 말단(2e), 즉 압압부(2c)의 말단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축(2a)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어 오픈레버(2)의 조작 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말단(2e)은 후술하는 제 1 실시예에서는 제동장치(7)의 수납부(9) 입구(9b)의 전방에,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서는 제동장치(7) 지지부(10)의 입구(10b)의 전방에, 후술하는 제 3 실시예에서는 직선운동체(11) 전단의 전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실시예)
도 1∼도 6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도어 핸들장치는 제동장치(7)와 이 제동장치(7)의 수납부(9)를 가지고 있다.
제동장치(7)는 실린더(70)와, 피스톤(71)과, 피스톤 로드(72)와, 피스톤(71)을 항상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7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동장치(7)는 상기 탄지에 저항한 피스톤(71)의 압입 이동에 대해 실린더(70) 내에 봉입된 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체로서는 전형적으로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나 에어 등의 기체가 이용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실린더(70) 내에 도시하지 않은 점성유체가 봉입되어 있다.
실린더(70)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그 일단을 개방시키고 타단을 폐색시키고 있고, 상기 폐색된 타단을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로 하고 있다.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에는 반원형상부(70b)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 에서는 반원형상부(70b)의 정상부가 도어 오픈레버(2)의 압압부(2c)의 캠면(2d)에 상기 탄지수단(73)의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 즉, 반원형상부(70b)가 마찰 계수가 작은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오픈레버(2)의 압압부(2c)의 캠면(2d)에 항상 맞닿아 있으면서도, 도어 오픈레버(2)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72)의 내측 단부(72a)(실린더(70) 내에 있는 로드의 단부)에는 캡(74)이 부착되어 있다. 또 피스톤 로드(72)의 중간부에는 상기 캡(74)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피스톤 로드(7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턱부(72b)(이하, 간단히 주회(周回) 턱부라고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71)은 중앙부에 피스톤 로드(72)의 관통구멍(71a)을 구비한 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관통구멍(71a)에 피스톤 로드(72)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캡(74)과 주회 턱부(72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캡(74)과 주회 턱부(72b) 사이의 간격은 피스톤(71)의 전체길이 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71)은, 피스톤 로드(72)가 실린더(70) 내에 압입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압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유체에 의해 주회 턱부(72b)에 착좌(着座)하고, 피스톤 로드(72)가 실린더(70) 내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돌출될 때에는 상기 유체에 의해 주회 턱부(72b)에서 이간(離間)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71)의 관통구멍(71a)은 상기 피스톤(71)의 주회 턱부(72b)를 향한 측의 단부(이하, 피스톤(71)의 후단부(71b)라고 한다)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72)의 지름 보다 구멍의 지름을 크게 하고 있다. 또 피스톤(71) 후단부(71b)의 그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외곽형상은 실린더(70)의 내경과 대략 같은 외 경의 원반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상기 피스톤(71) 후단부(71b)의 관통구멍(71a)은 상기 피스톤(71)이 주회 턱부(72b)에 착좌했을 때에 주회 턱부(72b)에 의해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피스톤(71)의 후단부(71b)와 상기 피스톤(71)에 있어서의 캡(74)을 향한 측의 단부(이하, 피스톤(71)의 선단부라고 한다)의 사이는 실린더(70)의 내경 보다 작은 지름으로 구성된 세경(細徑)부(71c)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세경부(71c)에 있어서의 후단부(71b)와 연접하는 개소에는 상기 관통구멍(71a)에 연이어 통하는 연통(連通)구멍(71d)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피스톤(71) 후단부(71b)의 측면에는 그 직경방향 양측에 있어서, 피스톤(71)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가는 홈(71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71)이 주회 턱부(72b)에 착좌했을 때에는 상기 얇은 홈(71e)과 실린더(7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 오리피스형상부를 통해서 유체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지수단(73)은 도시한 예에서 상기 캡(74)과 실린더(70)의 내측단(70a)의 내면 사이에 수납된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70)의 개방된 일단은 중앙에 피스톤 로드(72)의 안내구멍을 구비한 단말캡(75)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실린더(70)의 일단측에는 이 일단측을 향한 단차면(70c)이 형성되어 있고, 발포플라스틱에 의해 이루어진 어큐뮬레이터(76a)를 수납한 이너 라이너(76)가 그 내측 단부가 상기 단차면(70c)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이너 라이너(76)와 단말캡(75)의 사이에는 오일 실(seal)(77)이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72)는 최대로 상기 주회 턱(72b)이 이너 라이너(76)에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 스프링의 탄지에 의해 실린더(70) 내에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로드(72)가 스프링의 탄지에 의해 실린더(70) 내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돌출될 때에는 유체의 저항에 의해 피스톤(71)이 주회 턱(72b)에서 이간되며, 유체는 연통구멍(71d)을 통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돌출에 작용되는 제동력은 작고, 한편 피스톤 로드(72)가 스프링의 탄지에 저항하여 실린더(70) 내로 압입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압입될 때에는 유체의 저항에 의해 피스톤(71)이 주회 턱(72b)에 착좌되며, 유체는 상기 오리피스형상부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압입에 작용되는 제동력을 크게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동장치(7)의 수납부(9)를 도어 패널(1)측에 고정시킨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수납부(9)가 일단을 개방시키고 타단을 폐색시키며, 또 이 개방된 일단을 상기 이너 플레임(3) 내의 공간에 연이어 통하게 한 통형상체(9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체(9a)의 개방된 일단이 수납부(9)의 상기 입구(9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장치(7)는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를 수납부(9)의 내측, 즉 통형상체(9a)의 타단에 고정시키도록 하여, 상기 수납부(9)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통형상체(9a)의 내경은 실린더(70)의 외경보다 크고, 제동장치(7)는 실린더(70)의 외면과 수납부(9)의 내면의 사이에 실린더(70)의 모든 지름에 걸쳐서 간격(9c)을 형성시키도록,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의 고정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지되는 제동장치(7)의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는 도어 오픈레버(2)의 캠면(2d)에 상기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게 되어 있다. 그와 함께, 도어 오 픈레버(2)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2d)의 말단(2e)측이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에 맞닿아서 피스톤(71)이 실린더(70) 내에 최대로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오픈레버(2)를 당김 조작했을 때,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의 전방에는 캠면(2d)에 있어서의 회동축(2a)에서 가까운 개소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지수단(73)의 탄지에 의해 실린더(70)가 추종하여 전진, 즉 수납부(9)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당김 조작에는 제동장치(7)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지 않는다. 도어 오픈레버(2)의 당김 조작을 중지하면 도어 오픈레버(2)는 조작 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복귀에 의해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의 전방에는 캠면(2d)의 말단(2e)측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지수단(73)의 탄지에 저항하여 실린더(70)가 후퇴, 즉 수납부(9) 내로 압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피스톤(71)은 주회 턱(72b)에 착좌하므로 제어장치(7)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어 도어 오픈레버(2)의 복귀동작을 천천히 할 수 있게 된다. 제어장치(7)를 구성하는 실린더(70)의 내측 단부(70a)는 도어 오픈레버(2)의 캠면(2d)에 접해있을 뿐이고, 또 실린더(70)의 외면과 수납부(9)의 내면의 사이에는 간격(9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 핸들장치 내에 동결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동결에 의해 도어 오픈레버(2)와 실린더(70)가 고착되거나, 실린더(70)와 수납부(9)가 고착되지 않는다.
(제 2 실시예)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어 핸들장치가 제동장치(7)와 제동장치(7)의 지지부(10)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동장치(7)가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동장치(7)의 지지부(10)를 도어 패널(1)측에 고정시킨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지지부(10)는 일단을 개방시키고 타단을 폐색시키며, 또 상기 개방시킨 일단을 상기 이너 프레임(3) 내의 공간에 연이어 통하게 한 통형상체(1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통상체(10a)의 개방된 일단이 지지부(10)의 상기 입구(10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장치(7)는 실린더(70)를 그 내측 단부부터 상기 지지부(10)의 입구(10b)에서 지지부(10) 내로 삽입하고, 상기 지지부(10)의 입구(10b)로부터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가 이너 프레임(3) 내로 돌출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1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통형상체(10a)의 내경은 실린더(70)의 외경과 대략 같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지되는 제동장치(7)의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는 도어 오픈레버(2)의 캠면(2d)에 상기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게 되어 있다. 그와 함께, 도어 오픈레버(2)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2d)의 말단(2e)측이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에 맞닿아서 피스톤(71)이 실린더(70) 내에 최대로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도 7)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오픈레버(2)를 당김 조작했을 때,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의 전방에는 캠면(2d)에 있어서의 회동축(2a)에서 가까운 개소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탄지수단(73)의 탄지에 의해 피스톤 로드(72)가 추 종하여 전진, 즉 지지부(10)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당김 조작에는 제동장치(7)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지 않는다. 도어 오픈레버(2)의 당김 조작을 중지하면 도어 오픈레버(2)는 조작 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복귀에 의해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의 전방에는 캠면(2d)의 말단(2e)측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탄지수단(73)의 탄지에 저항하여 피스톤 로드(72)가 후퇴, 즉 지지부(10) 내로 압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피스톤(71)은 주회 턱부(72b)에 착좌하므로 제동장치(7)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어 도어 오프레버(2)의 복귀동작을 천천히할 수 있다. 제동장치(7)를 구성하는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는 도어 오픈레버(2)의 캠면(2d)에 접해 있을 뿐이고, 또 피스톤 로드(72)가 지지부(10)에 접해 있지 않으므로, 도어 핸들장치 내에 동결이 발생해도 도어 오픈레버(2)의 당김 조작에 지장이 없고, 또 제동장치(7)의 동작에도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동결에 의해 도어 오픈레버(2)와 피스톤 로드(72)의 외측 단부(72c)가 고착되거나, 피스톤 로드(72)와 지지부(10)가 고착되지 않는다.
(제 3 실시예)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어 핸들장치가 직선운동체(11)와, 이 직선운동체(11)의 탄지수단과, 제동장치(8)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직선운동체(11)는 막대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직선운동체(11)는 이너 프레임(3)에 형성된 관통구멍(3b)에 일단측(즉, 전단(11a))을 관통시켜서 그 내벽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3b)으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가변시키는 전후동, 즉 직선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직선운동체(11)에 있어서의 타단측에 상기 직선운동체(11)의 이동 스트로크 이상의 길이로 래크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제동장치(8)는 도어 패널(1)측에 고정되는 본체(8a)와, 이 본체(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체(8b)를 가지고, 이 피니언체(8b)의 회전에 본체(8a) 내에 봉입된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동장치(8)는 상기 피니언체(8b)가 항상 직선운동체(11)의 래크부(11b)에 맞물리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상기 제동장치(8)에 조립되어 있고, 이 스프링에 의해 직선운동체(11)를 항상 전진 방향으로 압압하는 방향으로 피니언이 탄지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피니언이 반시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직선운동체(11)는 그 전단(11a)을 도어 오픈레버(2)의 캠면(2d)에 항상 맞닿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동장치(8)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상기 탄지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오픈레버(2)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2d)의 말단(2e)측이 직선운동체(11)의 전단(11a)에 맞닿아서 직선운동체(11)가 최대로 후퇴되도록 되어 있다.(도 9)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오픈레버(2)를 당김 조작했을 때, 직선운동체(11)의 전단(11a)의 전방에는 캠면(2d)에 있어서의 회동축(2a)에서 가까운 개소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 직선운동체(11)가 추종하여 전진된다. 상기 당김 조작에는 제동장치(8)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지 않는다. 또, 상기 직선운동체(11)에 추종한 전진을 타임 래그 없이 행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제동수단인 피니언체(8b)가 상기 전진을 발생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피니언체(8b)에 상기 유체의 저항이 크게 작용하지 않도록 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어 오픈레버(2)의 당김 조작을 중지하면 도어 오픈레버(2)는 조작 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복귀에 의해 직선운동체(11)의 전단(11a)의 전방에는 캠면(2d)의 말단(2e)측이 위치되기 때문에,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여 직선운동체(11)가 후퇴된다. 이 때, 이 후퇴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체(8b)에는 상기 유체에 의한 제동이 작용되어 도어 오픈레버(2)의 복귀동작을 천천히 할 수 있다. 제동장치(8)를 구성하는 직선운동체(11)의 전단(11a)은 도어 오픈레버(2)의 캠면(2d)에 접해 있을 뿐이므로, 도어 핸들장치 내에 동결이 발생해도 도어 오픈레버(2)의 당김 조작에 지장이 없고, 또 제동장치(8)의 동작에도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즉, 동결에 의해 도어 오픈레버(2)와 직선운동체(11)의 전단(11a)이 고착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 핸들장치에 의하면,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을 중지했을 때의 조작전의 위치로의 탄지 복귀에 대해 적절하게 제동을 부여하면서, 도어 오픈레버의 압압부에는 제동장치를 구성하는 실린더 등이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 압착되어 있을 뿐이므로, 도어 내에 동결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상기 압착 개소가 고착되지 않으며 도어 오픈레버의 당김 조작 등에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Claims (4)

  1. 도어 패널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도어 래치장치와 연계된 도어 오픈레버와,
    실린더와,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을 항상 실린더의 내측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지에 저항한 피스톤의 압입 이동에 대해 실린더 내에 봉입된 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제동장치와,
    도어 패널측에 고정된 상기 제동장치의 수납부를 가지고 있으며,
    도어 오픈레버는 회동축을 사이에 둔 일측을 조작부로 하고, 또 타측을 압압부로 하며, 이 압압부는 말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된 캠면을 구비하고 있고,
    제동장치는, 피스톤 로드가 수납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실린더의 외면과 수납부의 내면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또 실린더의 내측 단부는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상기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아 있고,
    도어 오픈레버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의 말단측이 실린더의 내측 단부에 맞닿아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 최대로 압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실린더의 내측 단부가 마찰계수가 작은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장치.
  3. 도어 패널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도어 래치장치와 연계된 도어 오픈레버와,
    실린더와,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을 항상 실린더의 내측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지에 저항한 피스톤의 압입 이동에 대해 실린더 내에 봉입된 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제동장치와,
    도어 패널측에 고정된 상기 제동장치의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도어 오픈레버는 회동축을 사이에 둔 일측을 조작부로 하고, 또 타측을 압압부로 하고 있으며, 이 압압부는 말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된 캠면을 구비하고 있고,
    제동장치는, 실린더가 지지부에 고정되고, 또 피스톤 로드의 외측 단부가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상기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아 있고.
    도어 오픈레버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의 말단측이 피스톤 로드의 외측 단부에 맞닿아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 최대로 압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장치.
  4. 도어 패널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도어 래치장치와 연계된 도어 오픈레버와,
    도어 패널측에 전후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직선운동체와,
    상기 직선운동체의 탄지수단과,
    본체와, 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체를 가지며, 이 피니언체의 회전에 본체 내에 봉입된 유체의 저항을 부여하는 제동장치를 가지고 있고,
    직선운동체 및 도어 패널측 중 어느 일측에 제동장치가 고정됨과 아울러, 타측에 상기 제동장치를 구성하는 피니언체에 맞물리는 래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 오픈레버는 회동축을 사이에 둔 일측을 조작부로 하고, 또 타측을 압압부로 하고 있으며, 이 압압부는 말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동축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된 캠면을 구비하고 있고,
    직선운동체는 그 전단을 도어 오픈레버의 캠면에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 항상 맞닿게 하고 있고,
    도어 오픈레버의 비조작시에 상기 캠면의 말단측이 직선운동체의 전단에 맞닿아서 직선운동체가 최대로 후퇴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장치.
KR1020070009267A 2006-02-02 2007-01-30 도어 핸들장치 KR20070079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6123 2006-02-02
JP2006026123A JP4789642B2 (ja) 2006-02-02 2006-02-02 ドア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560A true KR20070079560A (ko) 2007-08-07

Family

ID=3832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267A KR20070079560A (ko) 2006-02-02 2007-01-30 도어 핸들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13361B2 (ko)
EP (1) EP1985781A4 (ko)
JP (1) JP4789642B2 (ko)
KR (1) KR20070079560A (ko)
CN (2) CN102155110B (ko)
TW (1) TWI395861B (ko)
WO (1) WO2007088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39B1 (ko) * 2008-01-11 2015-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
TWI342932B (en) * 2008-08-18 2011-06-01 King Slide Works Co Ltd Damping device
JP4991825B2 (ja) * 2009-10-29 2012-08-0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CN101956482B (zh) * 2010-05-25 2012-06-20 东莞宏威数码机械有限公司 可隐藏式把手装置
JP5460478B2 (ja) * 2010-06-18 2014-04-0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CN101974985B (zh) * 2010-10-21 2012-12-0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汽车车门内开启装置
WO2013008608A1 (ja) 2011-07-11 2013-01-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用開閉体の振動防止装置及び自動車用開閉体のストッパ装置
JP5828692B2 (ja) * 2011-07-11 2015-12-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用開閉体の振動防止装置
KR101371985B1 (ko) * 2012-07-02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누름타입 도어내측핸들
US20160010368A1 (en) * 2013-02-06 2016-01-14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attaching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6184795B2 (ja) * 2013-08-02 2017-08-23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FR3024173B1 (fr) * 2014-07-25 2016-07-29 Mgi Coutier Espana Sl Ensemble de poigne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ouvrant comprenant un tel ensemble de poignee
JP2016030959A (ja) * 2014-07-29 2016-03-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JP6498456B2 (ja) * 2015-01-30 2019-04-10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KR20160133168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CN104963569A (zh) * 2015-05-15 2015-10-07 无锡阳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车门内把手
US20160333608A1 (en) * 2015-05-15 2016-11-17 Michael Earl Ingle Anti-Bumping Impac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Solenoid-Operated Locking Containers
JP6583992B2 (ja) * 2015-06-26 2019-10-02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建具の扉用ハンドル装置
KR101645672B1 (ko) * 2016-03-24 2016-08-04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FR3060630B1 (fr) * 2016-12-20 2019-11-22 Akwel Commande d'ouverture affleurante a ejection et retraction mecanique ou electrique.
CN108086820B (zh) * 2017-12-18 2023-02-17 神通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车门内拉手结构
DE102019121898A1 (de) * 2019-08-14 2021-02-1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erstellmechanismus für eine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CN110952847A (zh) * 2019-12-23 2020-04-03 湖北航宇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内开手柄总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0075A (en) * 1960-06-08 1962-02-06 Gen Motors Corp Flush type door handle
JPH0235107B2 (ja) 1983-08-29 1990-08-08 Ooi Seisakusho Kk Jidoshayodoahandorusochi
JPH0739771B2 (ja) 1988-03-31 1995-05-01 株式会社アルファ 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0054692A (ja) 1998-08-07 2000-02-22 Kanto Auto Works Ltd 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CN1087804C (zh) * 1998-12-28 2002-07-17 金进国 汽车车门把手
DE19940379C2 (de) * 1999-08-25 2001-07-12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0114583C1 (de) * 2001-03-24 2002-12-05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JP2004108035A (ja) * 2002-09-19 2004-04-08 Tokai Rika Co Ltd ドア開閉装置
JP4511168B2 (ja) 2003-12-26 2010-07-28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
US7377500B2 (en) * 2003-12-26 2008-05-27 Nifco Inc. Shock absorbing device for moving body
JP4536580B2 (ja) * 2004-05-13 2010-09-01 株式会社ニフコ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4514537B2 (ja) 2004-07-16 2010-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ホースの連結構造および排泄物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5110A (zh) 2011-08-17
TWI395861B (zh) 2013-05-11
US7913361B2 (en) 2011-03-29
CN101336327A (zh) 2008-12-31
CN101336327B (zh) 2011-07-20
US20090013501A1 (en) 2009-01-15
EP1985781A1 (en) 2008-10-29
JP2007205062A (ja) 2007-08-16
TW200730709A (en) 2007-08-16
CN102155110B (zh) 2012-11-21
EP1985781A4 (en) 2014-06-25
WO2007088687A1 (ja) 2007-08-09
JP4789642B2 (ja)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9560A (ko) 도어 핸들장치
KR100810420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장치
JP6629724B2 (ja) ドアハンドルとドアハンドル用の作動装置とから構成されるシステム
JP5615346B2 (ja) 減速装置
JP2007160079A (ja) 引き込みユニット
JP2007016588A (ja) フラップ回動装置
WO2012153572A1 (ja) 可動部材へのケーブル連結構造
ITMI20060719A1 (it) Trascinatore per un dispositivo di rientro di fine corsa e smorzamento di fine corsa in una porta scorrevole
MX2012005741A (es) Estructura de ruptura para cuerpo giratorio.
EP3279413A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JP4716893B2 (ja) 圧縮ガスばね
JP4829713B2 (ja) 開口部閉鎖部材の制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開口部閉鎖部材
JP5232257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9963193B2 (en) Cable positioning structure for hydraulic brake of bicycle
KR102538461B1 (ko)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KR20110069712A (ko) 자동차용 페달 장치
JP2007092386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KR102171553B1 (ko) 미닫이 도어 클로징 댐핑장치
KR102029191B1 (ko) 도어 개폐용 푸쉬댐퍼
JP3142615U (ja) 錠前
JP6775214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20020184963A1 (en) Controlled release parking brake system
KR101705153B1 (ko) 파킹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조정 장치
KR102630193B1 (ko)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JP2008284888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