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168A -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168A
KR20160133168A KR1020150065862A KR20150065862A KR20160133168A KR 20160133168 A KR20160133168 A KR 20160133168A KR 1020150065862 A KR1020150065862 A KR 1020150065862A KR 20150065862 A KR20150065862 A KR 20150065862A KR 20160133168 A KR20160133168 A KR 20160133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handle
rotation
hand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168A/ko
Priority to EP16167874.3A priority patent/EP3093561B1/en
Priority to US15/152,640 priority patent/US10145163B2/en
Publication of KR2016013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10Counterbalance devices
    • E05D13/12Counterbalance devices with springs
    • E05D13/1207Counterbalance devices with springs with ten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구비된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핸들링크;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home appliance having a mov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구비된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은 가정이나 실내에서 전기 또는 기타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건조하기 위한 세탁장치,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오븐이나 전자레인지 등이 가전제품의 일례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일례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가전제품이 있을 것이다.
많은 경우, 가전제품은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챔버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챔버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 세탁물이 세탁되는 공간, 의류가 보관되거나 처리되는 공간,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 또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공간 등 그 형태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전제품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상기 챔버는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전제품은 대상물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가전제품의 용량, 특히 챔버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상기 도어의 크기도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도어의 무게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어의 크기와 무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통해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가전제품 중 종래의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30)의 전면 상부에 핸들(40)이 구비되고, 도어 하부의 회전 중심에 따라 도어가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오븐 또는 식기세척기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캐비닛(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40)을 잡고, 잡아당김과 동시에 아래로 힘을 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어를 풀다운 (pull-down) 형태의 도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40)은 상기 도어(3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많은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는 손등(b)이 상부를 향하게 주먹을 쥔 상태로 핸들(40)을 잡고 도어(40)를 열게 된다. 이 경우, 도어가 열림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게 되고, 심지어 도어 상부 모서리(30a)에 손등(b)이 눌리는 경우도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도어를 여는 도중 핸들을 잡는 형태를 바꾸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때 한 손은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바꿔 상기 핸들을 잡아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용자는 손바닥이 상부를 향하게 주먹을 쥔 상태로 핸들(40)을 잡고 도어(40)를 열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목이 꺾이게 되며, 손목이나 손바닥이 상기 모서리(30a)에 눌리는 경우도 발생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어느 정도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핸들(40)이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게 된다. 특히, 도어가 90도 회전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핸들(40)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되어 도어를 다시 닫게 될 때 핸들(40)을 다시 잡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핸들을 통해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뿐만 아니라 허리, 무릎이나 어깨 등 다양한 관절과 근육 부위의 움직임을 요하게 되어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가전제품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도어의 크기 및 무게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핸들을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사용자의 수고와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도어를 갖는 가전제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084830(특허등록 10-1370923) 발명(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을 제시한 바 있다.
상기 선행발명에서는 핸들과 연결된 핸들링크의 회전과 도어의 회전이 연동되도록 하여,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핸들도 회전하는 가전제품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회전의 연동은, 도어의 회전축과 링크의 회전축 사이의 이격으로 인해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가 핸들링크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메커니즘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에서는 기본적인 핸들과 도어의 연동 메커니즘만을 제시한 것으로, 실제로 제품 적용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 선행발명에서, 핸들링크는 도어의 전면 특히 전면 패널에 형성된 핸들 관통공을 통해 도어 내외부로 출입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관통공을 통해 도어(300)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링크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상기 관통공과 상기 핸들링크 사이의 간격은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며, 반대의 경우에는 감소한다. 도어가 닫히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상기 관통공 인근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손이 상기 관통공과 핸들링크 사이에 끼일 수 있다. 도어가 더욱 닫히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상해를 입을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의 닫힘에 따라 상기 관통공과 상기 핸들링크 사이의 간격은 더욱 좁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관통공과 핸들링크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 도어가 닫히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이 구속되며 이는 도어의 회전이 구속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 핸들과 상기 관통공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어 상해를 입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선행발명의 문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가 명확히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선행발명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도어와 핸들의 회전이 구속될 때 양자의 연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핸들 어셈블리를 갖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이 핸들과 도어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이 핸들과 도어 사이에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도어가 닫힐 때 핸들이 부드럽게 정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도어의 회전과 핸들의 회전을 연동시켜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되, 안전성이 증진된 가전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핸들링크; 그리고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 길이만큼 상기 도어의 회전을 허용하는 링크 탄성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핸들링크; 그리고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의 회전과 상기 핸들링키의 회전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이 구속될 때, 상기 도어의 회전과 핸들링크의 회전 사이의 연동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핸들링크;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링크; 그리고 상기 관통공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와 접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도어와 핸들의 회전이 구속될 때 양자의 연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핸들 어셈블리를 갖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이 핸들과 도어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이 핸들과 도어 사이에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도어가 닫힐 때 핸들이 부드럽게 정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도어의 회전과 핸들의 회전을 연동시켜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되, 안전성이 증진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전제품에서의 도어 개방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 어셈블리의 전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핸들 어셈블리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핸들 어셈블리에서 핸들링크 브라켓을 생략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에서 스크린을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어의 열림과 닫힘 시 핸들 어셈블리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핸들과 도어 사이를 확대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에서 댐퍼를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손잡이 서포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전제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도어 회전과 핸들 회전의 메커니즘은 선행발명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달라지는 특징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구성들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히 도어 및 이를 개폐하는 핸들과 관련이 있으므로, 캐비닛(20, 도 1 참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어(300)는 캐비닛과 연결되어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300)에는 핸들(410)이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핸들(410)을 잡고 상기 도어(300)를 열고 닫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복수 개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도어(300)는 도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310)과 도어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 패널(310)과 후면 패널(330)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310)과 후면 패널(300) 사이에는 중간 패널(32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들(310, 320, 330)의 중앙에는 챔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윈도우(315, 325, 3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들에 대응되는 윈도우 패널(3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310), 후면 패널(330), 중간 패널(320) 그리고 윈도우 패널(340)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도어(3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0)의 하부에는 차폐 패널(3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 패널(350)은 상기 도어(300)의 하면을 이룰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300)의 내부에는 도어(300)가 열리고 닫히는 힌지 구조들(일례로 46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최대한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거나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하는 댐퍼 구조들(일례로 45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300)의 하부에는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4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가 각각 도어(300)와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300)가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460)와 댐퍼 구조(450)는 보다 안정적으로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도어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핸들(410)을 통해 단순히 도어(300)를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핸들(41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의 일례가 오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300)의 회전과 핸들(410)의 회전이 서로 연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핸들 어셈블리(400)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간섭 예를 들어 관통공(311)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의 회전과 핸들의 회전의 연동이 부분적으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는 도어(30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410)과 연결되는 핸들링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410)은 가로 바(bar) 형태의 손잡이(411)와 상기 손잡이의 양쪽에서 상기 핸들링크(420)와 연결되는 손잡이 서포터(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11)를 잡고 도어를 열고 닫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손이 상기 손잡이 서포터(412) 부분에 위치된 상태로 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어가 닫히면서 사용자의 손 일부분이 상기 관통공(311) 내부에 끼이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손 끼임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손 끼임 발생시 상해가 발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구성으로,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이 상기 핸들(410)의 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핸들링크(420)와 핸들(410)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손잡이(411), 손잡이 서포터(412) 그리고 핸들링크(42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30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420)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 중심은 도어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300)의 전면 특히 전면 패널(310)에 형성된 관통공(311)을 통해 도어(300) 내외부로 출입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관통공(311)을 통해 도어(300)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핸들링크(42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상기 관통공(311) 주변에는 상기 관통공(311)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를 출입하는 핸들링크(420)를 보호하기 위하여 밀착부재(3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312)의 전후 또는 상기 관통공(311)의 전후로 상기 핸들링크(420)와 핸들(4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312)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충격 완화 및 사용자의 손끼임에 의해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410)은 도어의 위치나 열림 각도와 무관하게 항상 도어(300)의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이며, 상기 핸들링크(420)는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에 따라 일부분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0) 내부에는 상기 핸들링크(420)를 지지하는 핸들링크 브라켓(4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은 상기 도어(300) 내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420)에 가해지는 힘이 직접 도어(300)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으로 인해 상기 핸들링크(420)가 상기 도어(300)에 대해서 보다 안정적으로 상대 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300)의 회전 각도를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 각도로 전환시키는 링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링크(440)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를 이루는 구성이 아니고 댐퍼나 힌지를 갖는 댐퍼 어셈블리나 힌지 어셈블리의 구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링크(440)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도어(300)의 회전은 상기 링크(440)를 통해 상기 핸들 링크(420)와 핸들(410)의 회전으로 전환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 끼임 문제의 관점에서 도어가 열리는 상태에서는 이러한 도어 회전과 핸들 회전의 기계적인 연동은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도어가 닫히는 상태에서는 도어 회전과 핸들 회전에 대한 기계적인 연동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이 상기 관통공(311)에 끼인 상태에서 도어가 계속해서 닫히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더 큰 힘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300)의 회전과 상기 핸들링크(420) 또는 핸들(410)의 회전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회전 연동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어가 닫히는 상태에서 이러한 회전 연동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핸들 어셈블리(4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핸들 어셈블리(400)를 도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3(b)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400)의 측면도이며 설명의 편의상 도어(300)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즉, 핸들(410), 도어(300) 그리고 캐비닛(20)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다.
도어 내부에 있는 구성들은 도어(300)와 함께 힌지(460)에 의해서 캐비닛에 연결된다. 즉, 도어 및 도어 내부의 구성들은 힌지(460)에 구비되는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가 열림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힌지(46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상기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도어 회전축(461)은 상기 힌지(46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힌지 하우징(465)이 회전하며, 상기 힌지(460)는 상기 힌지 하우징(465)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하우징(465)은 도어의 패널들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패널들과 일체로 상기 힌지 하우징(465)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하우징(465)는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과 연결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465) 내부에는 상기 힌지(460)뿐만 아니라 댐퍼(45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링크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회전축(451)은 상기 힌지(46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회전축(451)은 댐퍼 회전축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힌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도어 회전축(461)과 링크 회전축(45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별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도어 회전축(461)과 링크 회전축(45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회전축(461)과 링크 회전축(451)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도어 회전축(461)과 링크 회전축(451)의 편심 관계로 인해, 도어가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440)가 상기 핸들 링크(4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힌지 또는 힌지 어셈블리에 서로 다른 회전축인 도어 회전축(461)과 댐퍼 회전축(링크 회전축, 451)이 함께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 회전축(451)과 도어 회전축(461)은 서로 편심되어 있다. 즉, 서로 동축을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 도어가 도어 회전축(46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댐퍼(450)는 상기 링크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중심의 차이로 인해,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댐퍼(450)와 상기 힌지 하우징(465) 사이의 위치 관계는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댐퍼(450)와 상기 힌지 하우징(465) 사이의 각도가 가변되게 된다.
이러한 댐퍼(450)와 힌지 하우징(465) 각각의 회전 중심과 이러한 회전 중심들 사이의 편심 관계로 인해, 핸들링크(420)가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댐퍼(450)는 댐퍼 하우징(452), 댐퍼 로드(453) 그리고 댐퍼 스프링(미도시, 도 7의 45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 스프링은 상기 댐퍼 로드(453)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450)는 상기 힌지 하우징(46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 하우징(452)은 상기 링크 회전축(451) 또는 댐퍼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댐퍼 하우징(452)은 상기 댐퍼 로드(45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댐퍼 로드의 둘레에는 댐퍼 스프링이 위치되어, 도어가 원활히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450)는 상기 댐퍼 하우징(452), 댐퍼 로드(453) 그리고 댐퍼 스프링이 댐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댐퍼 회전축(링크 회전축)과 도어 회전축(461)의 편심 관계로 인해 이러한 댐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댐퍼 로드(453)에서 더욱 연장되어 링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댐퍼 로드(453)에서 링크 연결부(424)까지 상기 링크(44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링크 연결부(424)와 상기 댐퍼 회전축(링크 회전축, 451) 사이에는 댐퍼 로드(453)와 링크(440)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 로드(453)과 상기 링크(440)는 상기 링크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댐퍼 로드(453)과 링크(440)를 통틀어 링크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댐퍼(450) 구조는 잘 열려진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450)에 링크(440)를 연결함으로써 핸들링크(420)가 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링크(440)가 상기 댐퍼 로드(453)에서 더욱 연장되어 상기 핸들링크(420)와 연결되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댐퍼(450)의 회전축과 도어의 회전축 사이의 편심 관계를 이용하여, 링크(440)가 댐퍼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가 회전하면서 열릴 때 상기 링크(440)가 상기 핸들링크(420)를 잡아당겨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핸들(410)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으로 인해 도어 전면에 대한 핸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에는 핸들과 핸들링크를 통해서 가해지는 수직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에 큰 힘이 걸릴 수 있으며 아울러 핸들링크(420)가 원활히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고정시키기 위한 핸들링크 브라켓(4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은 상기 도어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에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은 상기 힌지 하우징(465)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은 상기 힌지 하우징(465)의 말단에서 더욱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의 상측의 좌우 폭은 상기 힌지 하우징(465)의 좌우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이 고정되는 부분에서의 좌우 폭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핸들링크 회전축(422)의 좌우 폭을 더욱 확장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링크(420)의 좌우 폭도 더욱 확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도어의 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특정 핸들링크(420)의 좌우 폭도 상기 댐퍼(450)의 좌우 폭에 비하여 크게 된다. 따라서, 보다 신뢰성이 있고 강도가 보강된 핸들링크(42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핸들(410)이 상기 도어(300)에 보다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격유지부재(48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핸들링크(420), 간격유지부재(480), 링크(440) 그리고 핸들링크 브라켓(430)이 결합된 전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핸들링크 브라켓(430)을 생략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크(420)는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은 상기 수평부(425)의 일단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통해 상기 핸들링크(420)는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링크(425)는 상기 수평부(425)로부터 하방 및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25)는 상기 핸들과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으로부터 도어(300) 후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21)는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방 및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핸들(41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핸들링크(420)는 하나의 부재를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핸들링크(420)에는 도어를 개폐하는 힘뿐만 아니라 수직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42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핸들링크(420)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425)는 일단에 형성된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포함하고, 타단에 형성된 연결부(4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부(425)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28)에는 상기 연장부(421)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421)에서 하방 그리고 도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28)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421)는 내측 연장부(427)과 외측 연장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연장부(427)가 상기 외측 연장부(426)와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연장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연장부(427) 또는 외측 연장부(426)에는 핸들 결합부(427a)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 결합부(417a)를 통해 핸들링크(420)와 핸들(4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25)는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핸들링크 회전축(422)이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핸들링크(420)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도어가 열림에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420)는 핸들링크 회전축(42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서 90도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핸들링크(420)의 수평부(425)는 수직 위치가 되며, 상기 연장부(421)의 많은 부분이 도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핸들링크(420)의 회전은 도어의 회전과 연동되며, 이러한 연동을 위하여 링크(4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크(440)를 통해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링크(420)는 링크 연결부(4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 연결부(425)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440)는 상기 링크 연결부(424)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440)는 상기 링크 연결부(4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440)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링크 연결부(424)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 사이의 모멘트 거리로 인해, 상기 핸들링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반대로 핸들링크(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링크(440)는 상기 링크 연결부(42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댐퍼 로드(45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링크 회전축(45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어의 회전 중심과 링크의 회전 중심이 다르기 때문에, 도어가 회전하면 상기 링크(440)가 상기 핸들링크(4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축(422)과 연결부(428) 사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상기 회전축(422) 보다는 높은 위치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 연결부(424)는 상기 회전축(422), 연결부(428)와 일체로 상기 수평부(425)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링크 연결부(424)의 위치로 인해서, 상기 핸들링크(420)에는 관통부(42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424)는 상기 핸들링크(424)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429)를 통해서 상기 링크(440)가 상기 링크 연결부(424)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429)는 상기 상기 핸들링크(420)에 대한 상기 링크(440)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허용하도록 전후로 여유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부(429)의 위치로 인해, 상기 관통부(429)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상기 간격유지부재(48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420)의 좌우 폭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핸들링크(42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핸들(410)이나 상기 핸들링크(420)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관통부(429)를 기준으로 하나의 핸들링크(420)를 좌우에서 각각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링크(420)에는 회전과 무관하게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핸들(410)을 수직 상방으로 잡아 올리면, 도어(300)와 핸들링크(420)는 회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힘의 방향에서는 도어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힘은 상기 핸들링크(420)에 가해지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의 수평부(425)와 연장부(420)의 형상으로 인해, 핸들링크의 변형이나 파손이 문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 상기 연장부(421) 사이의 이격으로 인해 양자 사이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핸들링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링크(42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인 핸들링크(420)를 제공하기 위하여 간격유지부재(4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상기 핸들링크(420)와 핸들링크 회전축(422) 사이에서, 상기 핸들링크(420)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일단은, 상기 핸들링크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타단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링크(420)는 연장부(4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장부(421)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 상기 연장부(4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연장부(421)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수직으로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핸들을 통해 상기 핸들링크(420)에 가해지는 수직 상부 방향의 힘을 지지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425)를 통해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에 대한 상기 연장부(421)의 회전 반경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평부(425)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핸들링크(42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지탱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수평부(425)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를 통해서 상기 수직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상기 핸들링크 브라켓(43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고정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에 대해서 상기 핸들링크(42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일단(481)은 상기 핸들링크(422)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타단(482)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타단은 호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핸들링크의 연장부(421)에는 구름 가이드(4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름 가이드(423)는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의 반경이 일정한 호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부재(480)의 일단(481)은 상기 구름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핸들링크(420)와 간격유지부재(480) 사이의 접촉, 즉 힘 전달이 유지되면서 상기 핸들링크(42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는 상기 핸들링크(420)가 형상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링크(420)가 상기 핸들링크 회전축(422)과의 회전 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반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외부 힘이 가해질 때 이를 지지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80)를 통해서 핸들링크(420)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기 핸들링크가 보다 원활히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49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은 핸들링크(420)의 하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크린(490)은 상기 핸들링크(420)의 하부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490)은 상기 핸들링크(420)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핸들링크(4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핸들링크(420)와 상기 스크린(490) 사이의 접촉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 바디(491)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바디를 통해 상기 관통공(311)을 막게 된다. 즉, 상기 핸들링크(420)와 상기 관통공(311)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간격을 상기 스크린 바디(491)가 막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관통공(311)의 후방에 상기 스크린 바디(491)가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손이 상기 관통공(311)으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핸들링크(420)와 상기 스크린(490) 사이의 접촉이 보다 원활히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490)은 롤러(4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492)가 상기 핸들링크(420)의 하부에서 접촉된 상태로 구를 수 있다. 따라서, 핸들링크(4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롤러(492)는 상기 핸들링(420)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롤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스크린(49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에 대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스크린(490)은 스크린 탄성부재(4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탄성부재(493)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바디(491)를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490)이 최고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93)는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핸들링크(4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493)은 더욱 압축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493)이 더욱 탄성 압축되면서 상기 스크린 바디(491)가 하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크린 탄성부재(493)는 항상 탄성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스크린 탄성부재(493)에 항상 탄성 복원력이 가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490)은 항상 상승하려는 경향을 갖게 되며, 따라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핸들링크(420) 사이의 접촉이 항상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93)는 상기 링크(44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440)에는 슬롯(440a)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440a)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493)가 탄성 변형되게 된다.
상기 슬롯(440a) 내에는 상기 탄성부재(493)의 탄성 변형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레버(49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490)은 가압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95)는 상기 탄성부재(493)와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95)는 스크린 바디(491)과 동일하게 승강하게 된다. 즉, 스크린 바디(491)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495)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493)의 탄성 변위가 달라진다.
결국, 상기 스크린(490)은 상기 링크(440)에 탄성지지되며 상기 링크(440)를 따라 선형으로 병진 이동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490)은 상기 탄성부재(4933)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관통홀(311) 후방에서 상기 관통홀(311)과 상기 핸들링크(420) 사이의 간격을 막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관통홀(311) 내부로 삽입될 때, 사용자의 손은 상기 스크린(490)에 막혀 더이상 삽입될 수 없다. 즉, 삽입될 수 있는 입구를 상기 스크린이 막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회전과 핸들링크의 회전이 연동될 때, 사용자의 손이 관통홀(311)에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490)을 통해 사용자의 손이 상기 관통홀(311)에 끼이거나 상기 핸들링크(320)와 도어 전면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더이상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사용자의 손이 일부 끼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힘이나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스크린 실시예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전술한 스크린 실시예와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링크(440)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다. 상기 링크(440)가 강체임을 가정하면, 상기 도어(300)의 회전은 그대로 상기 핸들링크(42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기구학적인 관점에서 상기 링크(440)로 인해 상기 도어(300)의 회전이 상기 핸들링크(420)로 그대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 상기 관통홀(311)에 끼인 상태에서 도어가 더욱 닫힐 수 있다. 즉, 도어가 더욱 닫히는 각도만큼 상기 핸들링크(420)도 더욱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손에는 더욱 큰 힘이나 충격이 가해진다. 즉, 손이 끼인 상태에서 무심코 도어를 더욱 닫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는 더욱 큰 상해가 발생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강체인 링크(440)를 전제로 하면, 도어의 회전이 그대로 핸들링크(420)의 회전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어가 닫힘에 따라 핸들링크(420)와 관통홀(311) 사이의 갭은 더욱 좁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갭이 좁아짐에 따라 끼인 손에는 더욱 큰 상해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링크(420)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링크를 갖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어느 이유에서건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물론, 가장 큰 이유는 상기 관통홀(311)과 핸들링크(420)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물질은 사용자의 손일 수 있다.
물론,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이 구속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링크는 강체 링크와 유사하게 길이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의 회전이 실질적으로 그대로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길이 가변 링크를 갖는 가전제품에 대한 실시에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핸들 어셈블리의 구성 및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44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링크(440)의 길이는 변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링크(420)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도어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링크(440)의 길이가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링크(440)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링크 탄성부재(4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동안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에는 미세하게 압축 방향 또는 인장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에는 충분한 강성이 부여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길이 가변량은 매우 미세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나 핸들링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이 구속되는 경우,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의 탄성 변형 길이는, 도어나 핸들링크 중 다른 하나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440)는 링크 탄성부재(441)와 상기 링크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은 상기 가이드봉(442)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는 링크(440)와 댐퍼 로드(45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440)와 댐퍼 로드(453) 사이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440)와 댐퍼 로드(453) 사이가 멀어지도록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가 변형되는 것은, 상기 링크(44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비정상 상태, 즉 손 끼임 상태가 해제되면, 다시 상기 링크(440)는 정상 상태로 복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가 탄성 복원됨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링크 탄성부재(441)에 의한 손 끼임 방지 메커니즘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스크린(490)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어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핸들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300)가 열리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편의상 링크(440) 등의 구성은 수직으로 도시하였으나 링크(440)와 힌지(460) 사이의 각도를 보면, 도 9는 도어가 45도 이상 회전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어(300)가 회전하면 핸들링크(420)도 회전하게 되며, 이때 스크린(490)도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즉, 스크린(490)은 상기 핸들링크(4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스크린(490)이 링크(440)에 대해서 상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슬롯(440a)의 길이만큼 상기 스크린(490)이 실질적으로 상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스크린(490)은 상기 슬롯(440a)을 따라 하강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490)과 핸들링크(420) 사이의 밀착 관계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A" 부분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링크(440)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비정상적인 상태는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많이 발생될 수 있고, 이때의 손 끼임이 치명적인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면, 상기 도어와 핸들링크의 연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게 된다. 즉, 핸들링크의 회전이 구속됨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회전하여 닫힐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A"부분에 끼이면 상기 핸들링크(420)의 회전은 구속된다. 이때, 핸들링크(420)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링크(440)는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링크(440)의 위치가 도어(300)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핸들링크(420)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링크(440)의 길이가 탄성 변형되어 실질적으로 도어가 완전히 닫힌 도 8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링크(440)의 탄성 변형은 링크 탄성부재(441)의 변형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440)에는 슬롯(444)가 형성되며, 상기 슬롯(444)의 길이만큼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의 탄성 변형이 허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봉(4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슬롯(444)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핀(4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443)은 정상상태에서 항상 상기 슬롯(444)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는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 핀(443)은 비정상상태(핸들링크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함에 따라 슬롯(444)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는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가 탄성 변형되어 길이가 증가하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의 일단은 댐퍼 로드(453)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핀(443)과 연결되어 비정상상태에서 상기 링크 탄성부재(441)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가 더욱 닫히더라도 사용자의 손에 더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구학적 관점에서 도어가 완전히 닫힐 때에는 핸들(410)과 도어 전면 사이에는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즉, 도어가 급격히 닫혀 핸들(410)와 도어 전면 사이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 끼인 상태라면 사용자의 손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충격은 전술한 링크 탄성부재(441)를 통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손잡이 서포터(412)에는 데코(4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311)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큰 데코(4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414)의 단면적은 상기 손잡이 서포터(412)의 단면적 중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서포터(412)의 단면적은 점차 증가하다가 상기 데코(414)에서 급격하게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상황을 보면, 사용자가 손을 상기 손잡이 서포터(412)에 최대로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11)를 잡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의 일부가 도 11에 도시된 "A" 부분에 끼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면, 상기 데코(414)로 인해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의 일부가 상기 데코(414)에 걸리게 되어 끼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414)에는 고무패드(415)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311)과 마주보는 면에 고무패드(415)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패드(415)는 손잡이 서포터(412)와 도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A" 부분을 고려하면 상기 고무패드(415)의 하부 외곽은 상기 데코(414)의 하부 외곽과 일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코의 하단과 상기 고무패드의 하단은 서로 일치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손이 "A" 부분에 끼일 때 상기 데코(414)가 아닌 고무패드(415)에 사용자의 손이 직접 접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정상상태일 때 사용자의 손이 고무패드(415)와 접촉되기 때문에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손끼임에 의한 손상은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가장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이때 가장 큰 충격이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가 닫히는 시간 구간을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는 서서히 닫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서포터(412)는 핸들링크(42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1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413)는 상기 핸들링크(420)에 형성된 핸들 결합부(427a)와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 서포터(412)가 상기 핸들링크(42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서포터(412)는 상기 도어(300)의 전면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드(415)에는 홀(4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가 도어 전면에 밀착될 때, 상기 홀(416)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홀 내부의 음압으로 인해 상기 고무패드가 상기 도어 전면에 밀착되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 서포터(412)가 상기 도어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 서포터(412)와 링크(440) 사이에 댐퍼(501, 5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서포터(412) 내부에는 댐퍼 하우징(501)이 구비되며, 상기 댐퍼 하우징(501)과 상기 링크 사이에는 댐퍼 샤프트(5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 하우징(501)과 상기 댐퍼 샤프트(502)는 실질적으로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는 실질적으로 선형 관계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 15도 각도부터 도어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실질적으로 상기 댐퍼 샤프트(502)와 댐퍼 하우징(501)이 선형 관계를 이룬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각도 내에서의 선형 관계로 인해 급격한 도어의 닫힘에 대한 반발력이 상기 댐퍼 샤프트(502)와 댐퍼 하우징(501) 사이에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댐핑력에 의한 핸들의 회전을 지연시켜, 손끼임 발생 시 충격을 완화하여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에 대한 가전제품을 설명하였다. 각각의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300 : 도어 311 : 관통홀
400 : 핸들 어셈블리 410 : 핸들
411 : 손잡이 412 : 손잡이 서포터
420 : 핸들링크 430 : 핸들링크 브라켓
440 : 링크 450 : (도어) 댐퍼
460 : 힌지 490 : 스크린

Claims (17)

  1.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캐비닛 전방에서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핸들링크; 그리고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링크 회전축은 상기 도어 회전축에 편심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일단은 상기 핸들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 길이만큼 상기 도어의 회전을 허용하는 링크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링크에 연결되는 링크 로드와 상기 링크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댐퍼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탄성부재는 상기 링크 로드와 댐퍼 로드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와 접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링크에 탄성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관통공과 상기 핸들링크 사이의 갭을 덮도록 구비되는 스크린 바디;
    상기 스크린 바디 상부에서 상기 핸들링크의 하면과 접촉하여 롤링되는 롤러; 그리고
    상기 스크린 바디를 상기 링크에 탄성 지지시키는 스크린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서 상기 도어를 향해 연장되는 손잡이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서포터와 상기 핸들링크가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서포터와 상기 링크 사이에 댐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손잡이 서포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댐퍼 하우징; 그리고
    상기 댐퍼 하우징에서 연장되어 상기 링크에 지지되는 댐퍼 샤프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서포터는,
    상기 도어에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데코에는 고무패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의 하단과 상기 데코의 하단은 일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4.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핸들링크;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도어의 회전과 상기 핸들링키의 회전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이 구속될 때, 상기 도어의 회전과 핸들링크의 회전 사이의 연동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링크의 길이를 가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16.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전면에 구비되는 핸들;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핸들링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핸들링크;
    상기 도어의 회전을 상기 핸들링크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링크; 그리고
    상기 관통공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링크와 접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가전제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링크에 탄성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150065862A 2015-05-12 2015-05-12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20160133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62A KR20160133168A (ko) 2015-05-12 2015-05-12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EP16167874.3A EP3093561B1 (en) 2015-05-12 2016-05-02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handle
US15/152,640 US10145163B2 (en) 2015-05-12 2016-05-12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62A KR20160133168A (ko) 2015-05-12 2015-05-12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168A true KR20160133168A (ko) 2016-11-22

Family

ID=5608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862A KR20160133168A (ko) 2015-05-12 2015-05-12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45163B2 (ko)
EP (1) EP3093561B1 (ko)
KR (1) KR201601331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56B1 (ko) * 2015-12-08 2017-08-07 이준영 도어 핸들
US10684063B2 (en) 2015-12-28 2020-06-16 Whirlpool Corporation Easy open drawer/door with rotating handle
KR102605675B1 (ko) 2016-12-08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벨링 도어 핸들을 갖는 가전 기기
KR102607767B1 (ko) * 2017-07-21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CN110409152B (zh) * 2018-04-28 2021-10-0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干衣机箱体结构及干衣机
JP7010188B2 (ja) 2018-09-28 2022-0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1750600B (zh) * 2019-03-27 2021-08-24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门体助力机构及冰箱
CN113445876B (zh) * 2021-05-28 2022-12-06 山东恒兴无损检测设备有限公司 一种重型铅门移动用直线轨道内的防护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5735A (en) * 1960-12-05 1963-01-29 Westmoreland Plastics Co Handle or rack device with molded ends
US4412710A (en) * 1981-06-10 1983-11-01 Whirlpool Corporation Gravity-operated latch for tilt-out console for dishwasher
US4726352A (en) * 1986-09-19 1988-02-23 Force 10 Marine Ltd. Container assembly
US5881710A (en) * 1998-05-21 1999-03-16 Whirlpool Corporation Oven door and method of assembly therefor
KR200189533Y1 (ko) 2000-02-10 200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DE10208457A1 (de) * 2002-02-27 2003-09-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etür
DE10208496A1 (de) * 2002-02-27 2003-10-16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etür
DE10208471A1 (de) * 2002-02-27 2003-09-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ushaltsgeräts sowie ein Haushaltgerät
JP4536580B2 (ja) * 2004-05-13 2010-09-01 株式会社ニフコ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装置
ATE359022T1 (de) * 2005-02-11 2007-05-15 Bonferraro Spa Bewegungsvorrichtung für ein einbaugerät oder dergleichen, mit einklemmschutz
JP4789642B2 (ja) * 2006-02-02 2011-10-12 株式会社ニフコ ドアハンドル装置
US7793388B2 (en) * 2006-07-13 2010-09-14 Maytag Corporation Handle assembly for a domestic appliance
KR100803840B1 (ko) * 2006-08-10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그립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DE602008003580D1 (de) * 2007-07-04 2010-12-30 Arcelik Anonim Sirketi Tuzla Griff für ein hausgerät
EP2108892B1 (en) * 2008-04-10 2015-09-02 Whirlpool Corporation Built-in oven
EP2354669A1 (en) * 2010-02-10 2011-08-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oven
US20120111366A1 (en) * 2010-11-05 2012-05-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with handle interface
KR101897275B1 (ko) * 2011-05-04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DE102011084300A1 (de) * 2011-10-11 2013-04-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haltsgerät, Haushaltsgerät mit einer Tür und Verfahren zum Bewegen eines Griffs einer Tür eines Haushaltsgeräts
ITTO20120124A1 (it) * 2012-02-13 2013-08-14 Elbi Int Spa Dispositivo per la chiusura di una porta di un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per una macchina lavatrice, quale una macchina lavastoviglie.
KR101370923B1 (ko) * 2012-08-02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101464245B1 (ko) 2012-12-26 2014-11-21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US9625160B2 (en) * 2013-04-18 2017-04-18 Union Industry Investment (Shenzhen) Co., Ltd. Hinge
KR20150060292A (ko) * 2013-11-26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제품
KR102186243B1 (ko) * 2014-02-28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297572B2 (en) * 2014-04-14 2016-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an articulating handle
KR102280927B1 (ko) * 2014-06-10 2021-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1691837B1 (ko) * 2014-09-16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101617539B1 (ko) * 2014-09-2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9964312B2 (en) * 2014-12-12 2018-05-08 Hestan Commercial Corporation Kitchen oven
KR101669360B1 (ko) * 2015-03-16 201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가 구비된 오븐
KR101666904B1 (ko) * 2015-05-12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EP3104084A1 (en) * 2015-06-08 2016-12-14 Whirlpool Corporation Domestic oven
ITUB20152351A1 (it) * 2015-07-21 2017-01-21 Tecno Spa Porta da forno
US9888828B2 (en) * 2015-08-20 2018-02-1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pivoting handle
US9642511B2 (en) * 2015-09-30 2017-05-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n-situ door removal device in a dishwashing appliance
KR102511941B1 (ko) * 2016-03-23 2023-03-2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101858238B1 (ko) * 2016-05-17 2018-05-16 주식회사 대우전자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3561B1 (en) 2018-03-21
US10145163B2 (en) 2018-12-04
EP3093561A1 (en) 2016-11-16
US20160333624A1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3168A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101691837B1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US9138056B2 (en) Home appliance having movable door handle
US9874354B2 (en)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door mounted through articulated hinge mechanism
KR101821208B1 (ko) 의류처리장치
EP1333118B1 (en) Front-loading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particularly a washing machine or oven
EP2960584B1 (en) Oven
EP2482703B1 (en) A built-in dishwasher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on its door
US9435545B2 (en) Home appliance
US20110266932A1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sliding decorative panel on its door
US20180283698A1 (en) Door handle
CN211144129U (zh) 门铰链结构及具有该门铰链结构的食物料理机
EP3441679A1 (en)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wo-way openable door
KR102422099B1 (ko) 냉장고
KR102613455B1 (ko) 멀티링크 힌지
EP3374586B1 (en) Hinge device with the possibility of breather opening
EP0520963B1 (en) A device for slidably-partingly mounting a lining panel on the door of an embedded household appliance
KR101898777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217792591U (zh) 面板控制机构及具有其的嵌入式烹饪器具
JP6920597B2 (ja) 加熱調理器
KR200463704Y1 (ko) 가전제품용 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