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904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904B1
KR101666904B1 KR1020150065907A KR20150065907A KR101666904B1 KR 101666904 B1 KR101666904 B1 KR 101666904B1 KR 1020150065907 A KR1020150065907 A KR 1020150065907A KR 20150065907 A KR20150065907 A KR 20150065907A KR 101666904 B1 KR101666904 B1 KR 10166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predetermined
link member
holding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904B1/ko
Priority to US15/151,854 priority patent/US107946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A47B88/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고,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며, 상기 캐비닛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 내로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댐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히는 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히는 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정이나 실내에서 전기 또는 기타 에너지(예를 들어, 가스)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 중, 열원으로서 가스를 이용한 조리기기에는 가스 레인지, 가스 오븐 또는 가스 오븐 레인지 등이 있고, 열원으로서 전기를 이용한 조리기기에는 인덕션 레인지, 라디언트 히터를 이용한 전기 레인지, 전자 레인지 등이 있으며, 전기를 이용한 인덕션 레인지와 가스를 이용한 가스 오븐이 결합된 형태의 조리기기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오븐 레인지의 경우, 상부에 제1조리부로서 가스 레인지가 배치되고, 상기 가스 레인지의 하부에 제2조리부로서 가스 오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오븐 레인지의 경우, 상부에 제1조리부로서 전기 레인지 또는 인덕션 레인지 등이 배치되고, 하부에 제2조리부로서 전기 오븐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2조리부 하측에 드로워 형태인 제3조리부가 더 구비되는 조리기기가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1)는 조리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 하우징(2) 상기 드로워 하우징(2)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런트 패널(3), 상기 프런트 패널(3)에 구비되는 손잡이(4), 상기 드로워 하우징(2)의 상면을 덮는 상부패널(7)에서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히터 설치부(8), 상기 히터 설치부(8)에 구비되는 히터(9) 및 상기 드로워(1)의 측면 및 후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캐비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1)는 사용자가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인출(개방) 또는 인입(닫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1)를 밀어서 닫을 때, 상기 드로워(1)가 상기 캐비닛 등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상기 드로워(1) 내에 수용된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상기 용기 내에 담긴 음식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1)가 닫힐 때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드로워(1)에 구비된 손잡이(4)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댐퍼모듈을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가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완전히 닫히는 위치까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댐퍼모듈을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는 댐퍼모듈의 기 설정된 정렬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정렬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고,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며, 상기 캐비닛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 내로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댐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상기 드로워를 닫힘 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드로워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의 폭방향 양 측면에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형성된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안내부의 일측에서 상기 안내부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모듈과 상기 안내부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모듈의 길이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상기 안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모듈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각각은 상기 안내부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제1 고정 브라켓 및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모듈의 길이방향 일 단부는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에 의해 상기 안내부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모듈의 길이방향 타 단부는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에 의해 상기 안내부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는 링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홀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히는 상태까지 상기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유압 댐퍼; 및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를 닫힘 방향으로 당기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압 댐퍼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압 댐퍼의 전단부와 상기 탄성부의 전단부는 상기 홀딩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댐퍼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내외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홀딩부재에 구비되는 제1돌기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기 설정된 길이의 제1안내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의 전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홀딩부재에 선택적으로 체결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제2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제2안내홈에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된 제2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내홈은 상기 안내부에 평행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제1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진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의 전단에서 기 설정된 제2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경사면의 제2경사각은 상기 제1경사면의 제1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안내홈으로부터 상기 제2돌기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경사면의 하측에서 상기 제2바디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홀딩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재에는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사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3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의 전단에 상기 제2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제3체결부의 후단이 상기 제2체결부를 밀어서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드로워가 기 설정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는 동안에, 상기 링크부재의 제3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사이에 맞물려서 상기 홀딩부재와 상기 링크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홀딩부재의 제2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홀딩부재로부터 상기 링크부재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와 상기 기 설정된 인출 위치는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치 및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에 삽입되는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와 상기 기 설정된 인출 위치는 동일한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체결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가 상기 제3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끼움 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제3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사이의 위치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상기 드로워가 닫힌 경우에, 상기 드로워를 닫힘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1체결부가 상기 끼움 슬릿 내에 체결됨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홀딩부재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댐퍼모듈에 의해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댐퍼모듈에 의해 상기 드로워가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완전히 닫히는 위치까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는 댐퍼모듈의 기 설정된 정렬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정렬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드로워를 캐비닛 내로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및 안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댐퍼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드로워가 인입되고 있는 도중의 댐퍼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드로워의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링크부재와 댐퍼모듈에 구비되는 홀딩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링크부재가 홀딩부재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홀딩부재가 링크부재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기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조리기기를 예로들어 설명하나, 가스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조리기기에서보 본 발명의 특징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2에서 X축 방향을 폭방향, Y 방향을 높이방향, Z축방향을 전후방향(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정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조리부(120)가 구비되는 탑플레이트(130), 상기 캐비닛(110) 내에 구비되는 제2조리부(140),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전방에 결합되는 컨트롤 패널(150), 및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조리부(140)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도어(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10)는 상기 제2조리부(14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0)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드로워(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는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는 상기 제2조리부(140) 및 상기 드로워(2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플레이트(130)는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130)에는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는 제1조리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조리부(120) 및 상기 제2조리부(140)의 열원으로서, 전기 또는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조리부(120) 및 상기 제2조리부(140)의 열원으로서, 전기가 열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조리부(120)에는 인덕션 가열부 또는 라디언트 가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리부(140)에는 전기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를 이용하는 조리부의 구성은 인덕션 레인지, 전기 레인지 및 전기 오븐 등의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150)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150)은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150)은 상기 제2조리부(140)를 개폐하도록 캐비닛(110)의 전방에 마련된 도어(111)의 상측에서 상기 탑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제2조리부(140)를 개폐하도록 캐비닛(11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111)에는 제2조리부(140)의 내부가 보이도록 형성된 투명부(113) 및 상기 도어(111)를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200)의 전방면에는 상기 드로워(200)를 인입 및 인출할 때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형성된 드로워 손잡이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00)는 식기 또는 음식물의 수납용으로 사용되거나,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드로워(200)가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150)에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155) 및 제어명령 입력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작부(155)는 회전가능한 높(knob)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156)는 터치 인식 가능한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명령 입력부(156)는 상기 제2조리부(140)에서 수행되는 조리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조리 코스 및 조리 시간)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55)를 통하여 상기 제1조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6)를 통하여 상기 제2조리부(140) 및 드로워(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50)의 내측 공간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150)의 후방에는 상기 제1조리부(120), 상기 제2조리부(130) 및 상기 드로워(200)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는 캐비닛(110) 상측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패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패널(160)은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캐비닛(110) 상측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200)는 상기 캐비닛(110) 내로 인입되거나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워(200)는 단순히 식기 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드로워(200)에는 전기 히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드로워(200)는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기 위한 조리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200)는 사용자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00)가 캐비닛(110) 내로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10) 등에 부딪히는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200)를 밀어서 닫을 때,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히는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200)에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드로워(200) 내에 수용된 용기가 쓰러지거나 또는 상기 용기 내에 담긴 음식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200)가 닫힐 때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드로워(200)에 구비된 손잡이부(212)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드로워(200)의 구체적인 구조(즉, 댐퍼모듈의 구조)에 대하여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드로워(200)는 전술한 제1조리부(120) 및 제2조리부(140)의 하측에서 상기 캐비닛(110)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제1조리부(120)와 상기 제2조리부(14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드로워(200)의 배치는 설계사항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200)는 내부에 형성된 조리공간에서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데움 또는 조리가 수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200)는 상기 드로워(200)의 전방면에 구비되는 전방패널(210), 상기 전방패널(210)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12), 상기 드로워(200)의 폭방향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220), 상기 드로워(200)의 후방면에 구비되는 푸방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12)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드로워(200)를 캐비닛(110) 내에 인입하거나,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200)의 상측을 덮기 위한 상부패널(230)은 상기 캐비닛(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패널(230)에는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히터 설치 시트(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설치 시트(231)에는 히터(23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200)가 인입 및 인출될 때, 상기 상부패널(230)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는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10) 내로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200)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댐퍼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모듈(300)은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상기 드로워(200)를 닫힘 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드로워(200)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캐비닛(110) 내로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 및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 사이인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드로워(200)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는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인출된(즉, 개방된) 상태와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인입된(즉, 닫힌) 상태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드로워(200)를 닫힘 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드로워(200)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드로워(200)가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드로워(200)를 닫힘 방향으로 당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200)는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부터 완전히 닫히는 상태까지 상기 댐퍼모듈(30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이하, 도 3과 함께 다른 도면을 더 참조하여, 드로워(200)가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한 구성 및 상기 드로워(200)와 상기 댐퍼모듈(300)의 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드로워를 캐비닛 내로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및 안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4를 함께 참조하면, 드로워(200)의 폭방향 양 측면에 슬라이더(22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225)는 상기 드로워(200)의 폭방향 양 측면에 상기 드로워(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슬라이더(225)는 상기 드로워(200)의 측면패널(220)에 드로워(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10)에는 상기 슬라이더(22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형성된 안내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226)는 상기 캐비닛(110) 내에서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내부(226)는 상기 캐비닛(110)의 폭방향 내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더(2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226)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에서 상기 슬라이더(2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25)는 상기 안내부(226)를 따라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부(226)에는 상기 슬라이더(225)가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25)는 상기 안내부(22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225)는 상기 안내부(226)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25)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상기 안내부(226)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더(225)와 상기 안내부(226)가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댐퍼모듈(300)은 상기 안내부(226)의 일측에서 상기 안내부(226)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안내부(226)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안내부(226)의 후방부에서 상기 안내부(226)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안내부(226)의 하측에 상기 안내부(226)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퍼모듈(3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상기 안내부(226)는 상기 기 설정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 브라켓(30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브라켓(301)은 상기 댐퍼모듈(3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상기 안내부(226) 사이에 평행관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댐퍼모듈(300)과 상기 안내부(226)의 정렬이 어긋남에 따른 댐퍼모듈(300)의 오작동은 상기 고정 브라켓(301)에 의해서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댐퍼모듈(3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각각은 상기 안내부(226)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301)에 의해 상기 안내부(226)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301)은 제1 고정 브라켓(301-1) 및 제2 고정 브라켓(30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퍼모듈(300)의 길이방향 일 단부는 상기 제1 고정 브라켓(301-1)에 의해 상기 안내부(226)의 후단에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모듈(300)의 길이방향 타 단부는 상기 제2 고정 브라켓(301-2)에 의해 상기 안내부(226)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고정 브라켓(301-2)은 상기 안내부(226)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안내부(226) 후방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댐퍼모듈(300)의 길이방향 타 단부와 상기 안내부(226)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모듈(300)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안내부(226)에 고정됨에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이 있더라도 상기 댐퍼모듈(300)과 상기 안내부(226)의 평행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25)에는 링크부재(227)가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예를 들어, 상기 링크부재(227)는 상기 슬라이더(2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27)는 상기 슬라이더(22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부재(227)는 슬라이더(226)의 후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더(22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227)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홀딩부재(3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는 상기 드로워(200)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부재(227)와 상기 홀딩부재(310)가 서로 만나게 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즉, 드로워(200)가 인입될 때(즉, 드로워(200)가 닫힐 때),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227)와 상기 홀딩부재(310)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히는 상태까지,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드로워(200)의 닫히는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상기 드로워(200)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상기 드로워(200)에 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드로워(200)가 인출될 때(즉, 드로워(200)가 열릴 때),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이하, "기 설정된 인출 위치"라고도 함)에서 상기 링크부재(227)와 상기 홀딩부재(31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드로워(200)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유압댐퍼(320) 및 상기 유압댐퍼(3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탄성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압댐퍼(320)는 상기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히는 상태까지, 상기 드로워(200)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330)는 상기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200)를 닫힘 방향으로 당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330)는 상기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히는 상태까지, 상기 드로워(200)를 조리기기의 후방을 향해 당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댐퍼(320)의 전단부와 상기 탄성부(330)의 전단부는 전술한 홀딩부재(3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227)가 상기 홀딩부재(310)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댐퍼모듈(300)은 상기 드로워(200)의 닫힘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상기 드로워(200)를 조리기기의 후방을 향해 당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200)는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완전히 닫히는 상태까지 상기 댐퍼모듈(30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면서 닫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더 참조하여, 상기 댐퍼모듈(300)의 구체적인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댐퍼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드로워가 인입되고 있는 도중의 댐퍼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드로워(200)가 기 설정된 인입 위치보다 더 인출된 상태를 나태낸다. 또한 도 6은 드로워(200)가 기 설정된 인입 위치를 지나서 인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유압댐퍼(320)는 제1바디(321) 및 상기 제1바디(321) 내외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스톤 로드(3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321) 내에는 작동 유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322)와 작동 유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댐핑작동은 이미 다수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330)는 제2바디(331) 및 상기 제2바디(331)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3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32)는 인장 스프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321)와 상기 제2바디(3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바디(331)에는 상기 홀딩부재(310)에 구비되는 제1돌기(313)를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딩부재(310)에는 상기 홀딩부재(3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3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331)에는 상기 제1돌기(3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돌기(313)를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내홈(333)는 상기 댐퍼모듈(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딩부재(310)는 상기 제1안내홈(333)의 길이만큼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바디(331)의 전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227)가 상기 홀딩부재(310)에 선택적으로 체결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제2안내홈(33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310)에는 상기 제2안내홈(334)에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된 제2돌기(3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안내홈(334)은 상기 제2돌기(314)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안내홈(334)은 전술한 안내부(226)에 평행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제1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진 제1경사면(334-1) 및 상기 제1경사면(334-1)의 전단에서 기 설정된 제2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면(33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334-2)의 제2경사각은 상기 제1경사면(334-1)의 제1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바디(331)는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상기 제2돌기(314)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경사면(334-2)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돌출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15)는 상기 제2경사면(334-2)의 상측에서 상기 제2바디(331)의 하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안내홈(334)에 상기 제2돌기(314)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불필요하게 상기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홀딩부재(310)와 링크부재(227)가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홀딩부재(310)에는 상기 홀딩부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1체결부(311) 및 제2체결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311) 및 상기 제2체결부(312)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27)는 상기 제1체결부(311) 및 상기 제2체결부(312) 사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3체결부(228)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부재(227)에는 상기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제1체결부(311) 및 상기 제2체결부(312) 사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3체결부(2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227)에는 상기 제3체결부(228)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3체결부(228)는 상기 링크부재(227)를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링크부재(227)를 드로워(200)의 폭방향 좌우 측면에 사용함에 있어서,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311)의 전단에는 전술한 제2돌기(31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드로워(200)가 기 설정된 인입 위치까지 인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돌기(314)는 상기 제2안내홈(334)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탄성부재(332)는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피스톤 로드(322) 역시 최대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반대로,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32)와 상기 피스톤 로드(322)는 최대 수축 상태로 된다.
또한,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 내에 삽입됨에 따라서, 홀딩부재(310)의 제1체결부(311)는 링크부재(227)의 진행을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227)에 구비된 제3체결부(228)의 후단이 홀딩부재(310)의 제2체결부(312)를 밀어서 상기 제2돌기(314)는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재(227)와 연결된 드로워(200)가 탄성부재(332)에 의해 조리기기의 후방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댐퍼모듈(320)은 드로워(200)의 닫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한편,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드로워(200)가 기 설정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는 동안에, 상기 링크부재(227)의 제3체결부(228)가 상기 제1체결부(311) 및 제2체결부(312) 사이에 맞물려서 상기 홀딩부재(310)와 상기 링크부재(227)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홀딩부재(310)의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홀딩부재(310)로부터 상기 링크부재(227)가 분리될 수 있다.
즉,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311)는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311)는 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하는 링크부재(227)의 진행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기 설정된 인입 위치와 기 설정된 인출 위치는 상기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치 및 상기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와 상기 기 설정된 인출 위치는 동일한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 따르면,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홀딩부재(310)와 링크부재(227)는 체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어야 한다.
즉,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3체결부(228)는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12) 사이에 체결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제3체결부(228)의 후단이 제2체결부(312)를 밀기 전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 상기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홀딩부재(310)와 링크부재(227)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되어, 댐퍼모듈(300)이 본래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이탈한 경우, 댐퍼모듈(300)의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드로워의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링크부재와 댐퍼모듈에 구비되는 홀딩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링크부재가 홀딩부재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홀딩부재가 링크부재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링크부재(227)의 제3체결부(228)는 홀딩부재(310)의 제1체결부(311) 및 제2체결부(312) 사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27)에는 제3체결부(228)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3체결부(228)는 상기 링크부재(227)를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제3체결부(228)는 상기 링크부재(227)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상기 링크부재(227)를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링크부재(227)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체결부(228)에는 상기 제3체결부(228)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끼움 슬릿(2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 슬릿(229)의 입구측에는 상기 끼움 슬릿(229)을 향하여 경사진 두 개의 경사부(229-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제3체결부(228)가 링크부재(227)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229-1)는 상기 링크부재(227)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 슬릿(229) 및 상기 경사부(229-1)는 이하 설명될 억지 끼움을 통한 댐퍼모듈(300)의 기능 회복을 위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링크부재(227)가 홀딩부재(310)에 체결되기 전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홀딩부재(310)에 구비된 제2돌기(314)가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200)를 닫으려고 할 때,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닫히는 상태까지 댐핑모듈(300)은 본래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댐핑모듈(300)이 본래의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홀딩부재(310)를 전방으로 당겨서 홀딩부재(310)에 구비된 제2돌기(314)가 제2안내홈(334)에 삽입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7 및 9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3체결부(228)에는 상기 제1체결부(311)가 상기 제3체결부(2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 슬릿(229)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체결부(228)가 상기 제1체결부(311) 및 상기 제2체결부(312) 사이의 위치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상기 드로워(200)가 닫힌 경우에, 상기 드로워(200)를 닫힘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1체결부(311)가 상기 끼움 슬릿(229) 내에 체결됨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227)와 상기 홀딩부재(310)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 슬릿(229)에 구비되는 경사부(229-1)는 상기 제1체결부(311)가 상기 끼움 슬릿(229) 내로 진입되기는 용이하나 빠져나오기는 용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경사부(229-1)가 상기 끼움 슬릿(229) 내측을 향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경사부(229-1) 사이의 폭은 상기 제1체결부(33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 슬릿(229) 내측의 폭은 상기 제2체결부(33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311)는 상기 경사부(229-1)를 경유하여 상기 끼움 슬릿(229) 내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29-1)로 인해, 상기 제1체결부(311)는 상기 끼움 슬릿(229) 외측으로 이탈되기 어렵다.
다만, 기 설정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홀딩부재(310)에 구비된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 내로 삽입되면서, 홀딩부재(310)의 제1체결부(311) 측이 상방으로 기울기 때문에, 홀딩부재(310)와 링크부재(227)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링크부재(227)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310)의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더라도,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홀딩부재(310)에 연결된 탄성부재(332)에 의해 홀딩부재(310)는 최대로 수축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상기 홀딩부재(310)는 기 설정된 인입 위치를 벗어나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200)가 인입될 때,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링크부재(227)와 홀딩부재(310)는 서로 체결될 수 없으므로, 댐핑모듈(300)은 본래의 기능을 할 수 없다.
이 경우, 드로워(200)가 닫힌 상태에서, 드로워(200)를 닫힘 방향으로(즉, 조리기기의 후방을 향하여) 밀면, 홀딩부재(310)에 구비된 제1체결부(311)가 링크부재(227)의 끼움 슬릿(229)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즉, 홀딩부재(310)와 링크부재(227)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드로워(200)를 인출하기 위해 다시 당기면, 상기 홀딩부재(310)는 링크부재(277)와 체결된 상태로 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인출 위치(즉, 기 설정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홀딩부재(310)에 구비된 제2돌기(314)가 상기 제2안내홈(334) 내로 삽입되면서, 홀딩부재(310)와 링크부재(227)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200)의 기 설정된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200)가 완전히 개방되는 상태까지 상기 홀딩부재(310)는 상기 링크부재(277)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후의 댐핑모듈(300)의 작동은 도 3 내지 6을 통해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게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조리기기 110 캐비닛
120 제1조리부 130 탑플레이트
140 제2조리부 150 컨트롤패널
160 리어패널 200 드로워
300 댐퍼모듈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고,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며, 상기 캐비닛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 내로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댐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의 폭방향 양 측면에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형성된 안내부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링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홀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홀딩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재에는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사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3체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기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상기 드로워를 닫힘 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드로워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안내부의 일측에서 상기 안내부와 평행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모듈과 상기 안내부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모듈의 길이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상기 안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모듈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각각은 상기 안내부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제1 고정 브라켓 및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모듈의 길이방향 일 단부는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에 의해 상기 안내부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모듈의 길이방향 타 단부는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에 의해 상기 안내부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히는 상태까지 상기 드로워의 닫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유압 댐퍼; 및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를 닫힘 방향으로 당기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압 댐퍼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압 댐퍼의 전단부와 상기 탄성부의 전단부는 상기 홀딩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댐퍼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내외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홀딩부재에 구비되는 제1돌기를 안내하도록 형성된 기 설정된 길이의 제1안내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전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홀딩부재에 선택적으로 체결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제2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제2안내홈에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된 제2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홈은 상기 안내부에 평행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제1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진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의 전단에서 기 설정된 제2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경사면의 제2경사각은 상기 제1경사면의 제1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안내홈으로부터 상기 제2돌기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경사면의 하측에서 상기 제2바디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의 전단에 상기 제2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입 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제3체결부의 후단이 상기 제2체결부를 밀어서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드로워가 기 설정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는 동안에, 상기 링크부재의 제3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사이에 맞물려서 상기 홀딩부재와 상기 링크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드로워의 기 설정된 인출 위치에서, 상기 홀딩부재의 제2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홀딩부재로부터 상기 링크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와 상기 기 설정된 인출 위치는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치 및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제2안내홈에 삽입되는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인입 위치와 상기 기 설정된 인출 위치는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체결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가 상기 제3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끼움 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제3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사이의 위치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상기 드로워가 닫힌 경우에,
    상기 드로워를 닫힘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1체결부가 상기 끼움 슬릿 내에 체결됨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홀딩부재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50065907A 2015-05-12 2015-05-12 조리기기 KR10166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907A KR101666904B1 (ko) 2015-05-12 2015-05-12 조리기기
US15/151,854 US10794602B2 (en) 2015-05-12 2016-05-11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907A KR101666904B1 (ko) 2015-05-12 2015-05-1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904B1 true KR101666904B1 (ko) 2016-10-17

Family

ID=5725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907A KR101666904B1 (ko) 2015-05-12 2015-05-1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94602B2 (ko)
KR (1) KR101666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68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CN109565911B (zh) * 2016-07-29 2021-04-16 三菱电机株式会社 加热烹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831A (ja) * 2007-09-26 2009-04-16 Harman Pro:Kk グリル装置
JP3160974U (ja) * 2010-04-30 2010-07-15 南俊國際股▲ふん▼有限公司 オーブン用滑りレール
JP2011089738A (ja) * 2009-10-26 2011-05-06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KR20130011487A (ko) * 2011-07-21 201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9787B2 (ja) * 2007-10-31 2013-11-20 Thk株式会社 運動装置及び運動構造体
US8590989B2 (en) * 2011-07-29 2013-11-26 Hardware Resources, Inc. Soft close mechanism in a drawer slide assembly
DE102014104733A1 (de) * 2014-04-03 2015-10-08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Haushaltsgerät und Möb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831A (ja) * 2007-09-26 2009-04-16 Harman Pro:Kk グリル装置
JP2011089738A (ja) * 2009-10-26 2011-05-06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JP3160974U (ja) * 2010-04-30 2010-07-15 南俊國際股▲ふん▼有限公司 オーブン用滑りレール
KR20130011487A (ko) * 2011-07-21 201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6097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4602B2 (en) 2020-10-06
US20160334114A1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00849B2 (en) Refrigerator
US20170367480A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drawer slide synchronizer
CN104957892B (zh) 一种按压打开及阻尼闭合的抽屉滑轨
KR102398306B1 (ko) 서랍 부재용 자가-수축 및 감쇠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서랍 부재를 갖는 가구 부품 또는 가전제품
KR101588748B1 (ko) 오븐
CN104957893B (zh) 一种阻尼闭合及按压打开的抽屉滑轨
KR101810445B1 (ko)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KR101666904B1 (ko) 조리기기
KR20160065725A (ko) 슬라이딩 레일 고정장치
US11826005B2 (en) Exhibiting a dishwasher rack to the user
KR101288892B1 (ko)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CN109479350B (zh) 加热烹调器及具备加热烹调器的厨房家具
CN106551535B (zh) 滑轨总成
CN106510250B (zh) 一种家具滑轨的集成优化反弹机构
US11969132B2 (en) Exhibiting a dishwasher rack to the user
US10012431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drawer slide synchronizer
JP2016131673A (ja) 引出しおよび該引出し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EP3346193B1 (en) Shelf suppor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shelf supporting apparatus
JP5388952B2 (ja) 引出し連動装置
KR20070004359A (ko) 냉장고의 식품 저장 구조
US20230309786A1 (en) Exhibiting a dishwasher rack to the user
CN211354571U (zh) 一种反弹滑轨
KR20230134334A (ko) 슬라이딩 장치
CN108143135B (zh) 一种联动式橱柜
KR20080000047U (ko) 서랍용 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