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748B1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48B1
KR101588748B1 KR1020140078079A KR20140078079A KR101588748B1 KR 101588748 B1 KR101588748 B1 KR 101588748B1 KR 1020140078079 A KR1020140078079 A KR 1020140078079A KR 20140078079 A KR20140078079 A KR 20140078079A KR 101588748 B1 KR101588748 B1 KR 10158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ember
chamber
door
fram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661A (ko
Inventor
김원태
이상철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48B1/ko
Priority to EP15173321.9A priority patent/EP2960584B1/en
Priority to ES15173321.9T priority patent/ES2623806T3/es
Priority to CN201510353703.7A priority patent/CN105212769B/zh
Priority to US14/750,035 priority patent/US9939160B2/en
Publication of KR2016000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8Stov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는 랙의 인출이 편리하여 사용성을 증진시킨 오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챔버 내부에서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부재 및 상기 챔버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동작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동작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랙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동작부재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동작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간극에 위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탄성부재를 갖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오븐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는 랙의 인출이 편리하여 사용성을 증진시킨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조리 대상물에 열을 가하여 조리하는 가전제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오븐은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를 갖는다.
상기 챔버 내의 공간은 매우 높은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고온을 이용하여, 챔버 내의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오븐, 전기를 이용하는 오븐이나 스팀을 이용하는 오븐 등 다양한 오븐이 제공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열원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에는 회전 가능하게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통해 상기 챔버를 열거나 닫게 된다. 즉, 조리할 때는 상기 도어를 닫아 챔버 내부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고,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를 열어 챔버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게 된다.
많은 경우, 상기 챔버 내에는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는 랙(rack)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조리 대상물을 챔버 내부 공간에 위치시켜, 챔버 내부의 고온 분위기가 상기 조리 대상물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가열원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고온 분위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조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도어를 열고 챔버 내에 구비되는 랙에 조리 대상물을 안착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손이 챔버 내부까지 유입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챔버 내부 온도를 고온으로 예열한 후 조리 대상물을 안착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용 장갑을 착용하여 조리 대상물을 넣어야 한다. 물론, 조리가 완료된 조리 대상물을 꺼내거나 조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조리 대상물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즉, 고온의 챔버에 사용자가 조리 대상물을 넣거나 꺼내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특히, 사용자가 챔버 내부로 손을 넣고 무거운 조리 대상물을 넣거나 꺼내는 과정은 수고스럽고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랙이 챔버 내부에 고정되어 인출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이 챔버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오븐이 제공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오븐(10)은 캐비닛(20)과 캐비닛 내부에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25), 그리고 상기 캐비닛(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30)를 갖는다. 사용자(a)는 도어(30) 손잡이(40)를 잡고 도어(30)를 열면 챔버(25)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40)를 잡고 하방으로 회전시켜 개방하는 풀다운(pull-down) 형태의 도어임이 일반적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븐(10)에서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챔버(25) 내부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20)는 90도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랙(50)이 랙 서포터(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랙(50)은 조리 대상물(c)가 안착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랙(50) 상부에 조리 대상물(c)이 안착된 후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리 대상물(c)은 조리기구(b) 위에 놓이거나 담긴 상태에서 상기 랙(50)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에는 사용자가 랙(50)을 잡아 당겨 랙(50)을 인출시킬 수 있고 랙(50)을 밀어 랙(50)을 인입시킬 수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븐의 경우, 사용자가 랙(50)을 직접 잡고 조작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은 랙(50)이 기설정된 거리만큼 완전히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까지 지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이 불편하고 랙(50)과 랙 서포터(60) 사이의 마찰에 의해 랙의 인입과 인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물론, 고정된 랙(50)과 마찬가지로 고온의 환경에 사용자의 손이 노출되는 시간이 많을 수밖에 없다.
도 2에는 캐비닛(20)에 형성되는 챔버 개구부(26)와 상기 챔버 개구부(26) 둘레에 형성되는 가스켓(26)을 도시하고 있다. 도어(20)가 닫히면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이 상기 가스켓(26)을 밀착하여, 상기 챔버(25) 내부가 실링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오븐은, 도 2에 도시된 오븐에서 개량된 오븐이다. 즉, 슬라이딩 레일(80)을 통해 랙(50)의 인입과 인출이 보다 원활한 구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챔버 내부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60)과 랙(50)에 고정된 랙 브라켓(51) 사이에 슬라이딩 레일(80)이 개재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슬라이딩 레일(80)을 통해, 상기 랙 브라켓(51)이 상기 지지 브라켓(6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딩 랙 구조는 인입과 인출이 보다 원활한 구조만을 제공할 뿐,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오븐과 동일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예를 들어, 랙의 인입과 인출 완료 시까지 사용자가 고온의 랙을 잡고 조작해야 하는 문제는 동일하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최소한의 동작과 시간으로 상기 랙 조작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이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는 빈도와 시간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챔버 외부 측에서 랙을 조작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 오븐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이 아닌 도어의 조작에 의해서 랙을 인출하거나 인입시킬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고온의 랙을 잡고 조작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랙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랙을 인출하기 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상기 랙이 인출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를 열었을 때 상기 랙의 수동 인출과 자동 인출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을 인입할 때 사용자가 랙을 잡지 않고도 랙을 인입시킬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를 열고 짧은 시간 동안 랙을 조작함으로써 랙이 인출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을 자동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탄성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탄성장치가 조리 대상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야에서 상기 탄성장치가 가려져 신뢰성이 증진된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종래 랙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상기 목적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열릴 때, 랙의 자동 인출 또는 준자동 인출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이 급격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의 자동 인출 또는 준자동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구성을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위치에 구비하여,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킨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기 여러 구성들이 조리 대상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챔버 내부에서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부재 및 상기 챔버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동작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동작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랙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동작부재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동작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간극에 위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탄성부재를 갖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오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장치에서 발생되는 탄성 변형으로 인해 상기 동작부재가 챔버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탄성장치에서 발생되는 탄성 복원으로 인해 상기 동작부재가 챔버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장치가 상기 동작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간극에 위치됨으로 인해, 랙 어셈블리의 전체 높이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장치와 조리 대상물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탄성장치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려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동작부재의 인입과 인출은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음을 통해서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를 닫음으로써 상기 도어를 통해 상기 동작부재가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장치, 특히 탄성부재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를 여는 것으로써 상기 동작부재가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탄성장치, 특히 탄성부재는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 상태로 유지하는 도어가 상기 동작부재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부재의 인출은 도어의 개방을 통해 자동적(automatically)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동작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동작부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결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결합장치를 통해 지지부재와 동작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동작부재는 인출되지 않는다.
상기 동작부재의 인출을 위해, 사용자는 상기 동작부재를 인입방향으로 짧은 시간 동안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이격으로 인해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즉,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되어 탄성 복원이 발생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동작부재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부재의 인출은 도어의 개방과 결합장치의 결합 해제를 통해 준자동적(semi-automaticially)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는, 래치 어셈블리 및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래치 스트라이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서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를 수용한 상태가 유지되면, 이를 결합장치를 통한 결합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서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가 이탈되면 이를 결합장치를 통한 결합 해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 어셈블리와 래치 스트라이커 사이의 이격 거리는 가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거리는 상기 동작부재가 인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에 이르는 이격 거리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동작부재 또는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대향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또는 동작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 해제는 상기 동작부재에 직접 가해지는 힘뿐만 아니라 도어에 직접 가해지는 힘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더욱 이동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이동에 의해 도어는 상기 동작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때, 곧바로 도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작부재는 챔버 내에서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도어를 열때, 도어를 더욱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를 더욱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후, 상기 도어를 열면 상기 동작부재는 자동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동작부재의 자동적 인출 또는 준자동적 인출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상기 도어 조작 형태를 달리함으로써, 동작부재를 인출시킬 것인지 인입 상태로 유지시킬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어를 통한 상기 동작부재의 조작을 위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내면과 상기 동작부재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 방향으로 상기 동작부재를 더욱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랙 어셈블리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 어셈블리의 중앙 부분이 아닌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탄성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랙 어셈블리의 중앙 부분은 직접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조리 대상물이 상기 탄성장치를 오염시킬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장치로 인해 상기 랙 어셈블리의 중앙 부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고온의 분위기가 조리 대상물 사방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조리 대상물이 상기 랙 어셈블리에 안착시키고 꺼내는 과정에서 조리 대상물과 탄성장치가 간섭되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랙 어셈블리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유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랙 어셈블리의 중앙 부분이 아닌 상기 랙 어셈블리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랙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탄성장치가 구비된 상기 랙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 위치에 상기 탄성장치와 결합장치를 구비하여, 보다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과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질수록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에서의 감김 횟수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 회 감김 상태에서 감김 횟수가 줄어들 수록 탄성 변형이 크게 된다. 이는 잠재적으로 탄성 복원력이 커짐을 의미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나 제2고정부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감긴 상태로 고정되고, 탄성부재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제2고정부에 감긴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가 제2고정부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탄성부재의 감김 수는 상기 멀어지는 거리만큼 감소하게 된다. 즉, 거리가 멀어질 수록 탄성 변형이 크게 발생되어 잠재적인 탄성 복원력이 커지게 된다.
이후,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감김 수가 증가하도록 탄성 복원되며, 이때 상기 제1고정부는 제2고정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동작부재 전체가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 일부가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작부재의 인입을 위해서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동작부재에 힘이 가해져야 한다. 그러나,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동작부재가 급격히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동작부재의 급격한 인출을 방지하는 댐퍼가 포함될 수 있다.
댐퍼는 일반적으로 이격 거리가 아닌 속도에 비례하는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댐퍼에 의해서 상기 동작부재가 급격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도어 손잡이를 잡고 상기 도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여는 풀 다운 형태의 도어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챔퍼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인입과 인출되는 동작부재를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작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히는 힘을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내부로 인입시키는 힘으로 전환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는 상기 도어와 상기 동작부재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되면 족할 수 있다. 즉, 도어나 동작부재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상기 동작부재가 상기 도어의 내면을 긁거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동작부재가 상기 도어의 내면을 구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양자의 접촉이 슬라이딩이 아닌 롤링으로 구현되어, 마찰 감소, 부드러운 조작, 도어나 동작부재의 손상 감소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동작부재의 인출 거리는 제한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너무 많은 거리 인출되면, 상기 동작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에 충분히 지지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정 거리까지만 인출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동작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토퍼를 통해 접촉된 상태가 되면 상기 동작부재가 더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챔버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 브라켓,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 내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레일 및 상기 양측의 지지부재 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부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챔버 양측에 구비되는 동작부재 브라켓,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연결되는 동작부재 레일 및 상기 양측의 동작부재 브라켓을 연결하는 동작부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 내면이라 하면 챔버의 중앙 부분을 향하는 면이라 할 수 있고, 브라켓 외면이라 하면 챔버의 측벽을 향하는 면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과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동작부재 레일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동작부재 레일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에 대해서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과 동작부재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동작부재 레일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동작부재 레일이 조리 대상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과 지지부재 프레임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 시 상기 지지부재 레일에 대한 상기 동작부재 레일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챔버 내부에서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부재 및 상기 챔버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동작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동작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랙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도어가 열림에 따라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고, 상기 도어가 닫힘에 따라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내부로 인입시키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오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동작부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챔버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 브라켓과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 내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챔버 양측에 구비되는 동작부재 브라켓과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연결되는 동작부재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과 동작부재 프레임은, 각각 좌우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전후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 사이의 상하 간극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하면을 따라 상기 제2고정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에 걸리도록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동작부재의 인출 거리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부가 구비되는 동작부재 브라켓은 타측에 구비되는 동작부재 브라켓에 비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를 통해 충분한 크기의 탄성 복원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복원력이 탄성 복원 거리 내에서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과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은, 각각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과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가로 프레임은 각각 세로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 개수는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 개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상기 가로 프레임은 양측의 브라켓을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조적인 안정성만 확보되면 족하고, 따라서 그 수는 2 - 4 개이면 족하다.
그러나,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다양한 형태의 조리 기구를 안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작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은 가로 프레임과 결합되어 메쉬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세로 프레임의 개수의 증가는 조밀한 메쉬 구조를 만들게 된다. 그리고, 조밀한 메쉬 구조는 챔버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세로 프레임의 개수 적절히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의 전후 길이는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의 전후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세로 프레임은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보다 더욱 전방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과 동작부재 프레임은 와이어를 통해 메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결합장치 및/또는 댐퍼는 상기 동자부재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탄성장치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결합장치 및/또는 댐퍼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려질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오븐 사용 형태에서 사용자는 서있거나 구부린 상태로 상기 랙을 내려다 봄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탄성장치, 결합장치 그리고 댐퍼가 조리 대상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과 사용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지지부재 브라켓,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레일 그리고 상기 양측의 지지부재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재 프레임을 갖는 랙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연결되는 동작부재 레일, 상기 동작부재 레일이 결합되는 동작부재 프레임 그리고 양측의 동작부재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동작부재 프레임을 갖는 랙 동작부재; 그리고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탄성부재를 갖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오븐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랙 어셈블리가 상기 랙 동작부재와 랙 지지부재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과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 사이에는 상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하 간극에 상기 탄성 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은 좌우로 소정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좌우 폭보다 적어도 같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써, 펴지면서 탄성 변형되고 다시 감기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길이 방향으로 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장치가 동작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동작부재의 상부에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기 때문에, 탄성장치와 조리 대상물 사이의 간섭이 배제될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순되지 않는 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이 아닌 도어의 조작에 의해서 랙을 인출하거나 인입시킬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고온의 랙을 잡고 조작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랙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랙을 인출하기 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상기 랙이 인출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를 열었을 때 상기 랙의 수동 인출과 자동 인출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을 인입할 때 사용자가 랙을 잡지 않고도 랙을 인입시킬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를 열고 짧은 시간 동안 랙을 조작함으로써 랙이 인출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을 자동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탄성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탄성장치가 조리 대상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야에서 상기 탄성장치가 가려져 신뢰성이 증진된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종래 랙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상기 목적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가 열릴 때, 랙의 자동 인출 또는 준자동 인출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이 급격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랙의 자동 인출 또는 준자동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구성을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위치에 구비하여,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킨 오븐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기 여러 구성들이 조리 대상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일반적인 오븐의 도어를 여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오븐의 챔버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 또 다른 오븐에서 랙이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 어셈블리에서 동작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하부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랙 어셈블리에서 동작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하부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랙 어셈블리에서 동작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랙 어셈블리에서 완충부재가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하부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랙 어셈블리에서 댐퍼가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하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븐(100)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오븐과 마찬가지로 캐비닛(200), 챔버(250), 도어(300), 랙(4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랙(400)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랙을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310)를 잡고 도어(300)를 개방함으로써, 랙(400)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310)를 잡고 도어(300)를 폐쇄함으로써, 랙(400)이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온의 랙(400)을 잡는 시간과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이 고온의 챔버(250) 내부로 유입되는 시간과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 손잡이(310)를 잡고 도어(300)를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시켜 도어(300)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도어(300)의 하부 그리고 캐비닛(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도어 회전축(320)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300)가 회전하게 된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상기 도어 회전축(320)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300)와 챔버 개구부(260) 사이의 거리는 점차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챔버 개구부(260)를 가로 막고 있던 도어(300)가 제거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랙(400) 전방에 구비되는 장애물이 제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장애물이 위치가 점차 챔버 개구부(260)로부터 멀어지는 것이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어 즉 장애물이 제거되거나 멀어짐으로 인해, 상기 랙(400)이 상기 챔버 개구부(26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랙(400)이 인출될 수 있다. 인출을 위한 힘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복원력일 수 있다.
반대로, 도어(300)가 닫히는 경우, 인출된 랙(400)과 상기 도어(300)가 간섭하게 된다. 이때, 닫히는 도어(300)는 상기 랙(400)과 접촉하면서 랙(400)을 인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300)는 개방과 개폐를 통해 상기 랙(400)이 인출되는 공간을 부여하고 랙(400)이 인입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인출과 인입이 용이한 랙과 관련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랙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4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순히 조리 대상물(c)이 안착되기 위한 구성뿐만 아니라 챔버 내부에서 랙(40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랙을 랙 어셈블리(400)라 할 수 있으며, 챔버(250) 내부에서 분리된 랙 어셈블리(4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캐비닛(200) 또는 챔버(250)에서 분리된 랙 어셈블리(400)를 도시하고 있다.
랙 어셈블리(400)는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며 챔버(250)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부재(500)와 상기 챔버(250)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동작부재(500)의 하부에서 상기 동작부재(5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랙 어셈블리(400)의 동작부재(500)가 챔버(250)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랙 어셈블리(400)를 뒤집은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랙 어셈블리(400)의 동작부재(500)가 챔버(250)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랙 어셈블리(400)를 뒤집은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챔버(250) 내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재(600)에 대해서 동작부재(50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챔버(250) 내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 브라켓(6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610)을 통해 상기 동작부재(500)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610)과 대응되어, 상기 동작부재(500)는 동작부재 브라켓(5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610)은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자 사이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레일(520, 6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520, 620)은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610)과 동작부재 브라켓(5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이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610)에 대해서 선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일(520, 620)은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610)의 내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레일(620)과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외면에 구비되는 동작부재 레일(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면은 챔버의 중앙 부분을 향하는 면이라 할 수 있고 외면은 챔버의 측벽을 향하는 면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레일(620)과 동작부재 레일(520)은 서로 연결되어,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레일 구조에 의한 동작부재(500)의 선형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지지부재 브라켓(610)에 대해서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선형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상기 양측의 지지부재 브라켓(610)을 서로 연결시키는 지지부재 프레임(6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630)은 기본적으로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630)은 좌우로 구비되는 가로 프레임(631)과 전후로 구비되는 세로 프레임(6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프레임(631, 632)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630)은 지지부재(60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수와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도 3에는 이러한 지지부재 프레임(630)이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630)은 탄성장치(700)의 장착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로 프레임(631)은 탄성장치(700)의 장착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작부재(500)는 상기 양측의 동작부재 브라켓(510)을 서로 연결시키는 동작부재 프레임(5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530)은 기본적으로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530)은 좌우로 구비되는 가로 프레임(531)과 전후로 구비되는 세로 프레임(5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프레임(531, 532)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530)도 동작부재(50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 프레임(531)은 다른 프레임들(532, 631, 632)의 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가로 프레임(531)과 세로 프레임(532)는 서로 연결되어 메쉬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즉,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챔버 하부로부터 열기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세로 프레임(531)은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533)는 동작부재(500)의 좌우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랙 손잡이 기능뿐만 아니라 도어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재(500)는 상기 지지부재(600)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530)과 동작부재 브라켓(510) 모두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630)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530)과 지지부재 프레임(630) 사이에는 상하 간극이 형성되며, 이러한 상하 간극으로 인해 양자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630)과 동작부재의 하단 사이에는 소정 간극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530)은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530) 하단 보다는 적어도 같은 높이이거나 높은 위치에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53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동작부재(500) 전체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6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됨으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630)과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 사이의 상하 간극(g)은 후술하는 탄성장치(700)의 장착 및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랙 어셈블리와 함께 탄성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는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통해 상기 동작부재(500)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700)는 동작부재(500)가 인입되었을 때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동작부재(500)를 인출시키는 탄성부재(7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재(710)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거나 유지시키는 힘이 제거되며, 상기 탄성부재(710)는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500)를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림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710)는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고, 상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710)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710)의 탄성 변형을 유지시키는 구성이 도어(300)일 수 있다. 즉,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300)의 개방을 위해 필요한 힘이 상기 탄성부재(710)의 탄성 복원력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00)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710)의 탄성 변형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10)의 탄성 변형을 유지시키는 구성은 후술하는 결합장치(800)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장치(800)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기 탄성장치(700)를 통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은 이격 거리가 가변됨으로써 발생된다. 즉, 동작부재(500)의 인입과 인출을 통해 동작부재(500)와 지지부재(6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변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격 거리의 기준점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점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탄성부재(710)가 탄성 변형되며, 상기 간격이 멀어지도록 탄성부재(710)가 탄성 복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기준점은 동작부재(50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720)와 지지부재(600)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73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710)는 상기 제1고정부(720)와 제2고정부(730)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 변형과 탄성 복원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720)와 제2고정부(730) 사이가 최소인 경우(동작부재가 최대로 인입된 상태) 탄성부재(710)의 탄성 복원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으며, 제1고정부(720)와 제2고정부(730) 사이가 최대인 경우(동작부재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 탄성부재(710)의 탄성 변형이 최대로 이루어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10)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즉,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720) 또는 제2고정부(7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고정부(730) 또는 제1고정부(720)에 감긴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10)의 감김 횟수의 증가는 탄성 복원을 의미하고 감김 횟수의 감소는 탄성 변형을 의미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제1고정부(720)의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말단에 구비되고 제2고정부(730)가 지지부재 프레임(630), 특히 지지부재의 가로 프레임(631)에 구비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제2고정부(730)에서 상기 탄성부재(710)가 감기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상태는 동작부재(500)가 최대로 인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부재(710)는 최대로 탄성 변형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서는 동작부재(500)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부재(710)는 최대로 탄성 복원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는 제1고정부(720)와 제2고정부(730)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상태에서 동작부재(500)가 최대로 인출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710)는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하면을 따라 펴지거나 감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710)의 폭은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폭보다 크기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720)는 동작부재 브라켓(510) 하면의 말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730)는 상기 지지부재의 가로 프레임(631)의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고정부(720)와 제2고정부(730)는 일렬로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720)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동작부재(510)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720)가 상기 제2고정부(730)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고정부(720)를 제2고정부(730)를 더욱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간섭을 통해 동작부재(50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730))가 구비되는 지지부재(600)의 가로 프레임(631)은 상기 지지부재(600)의 전후 중심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631)일 수 있다. 이를 특히, 고정부 가로 프레임(631a)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가로 프레임(631a)을 전방으로 위치할수록 동작부재(500)의 인출 거리를 키울 수 있다. 그러나, 인출 거리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지지부재(600)에 직접 지지되는 동작부재(500)의 거리가 지나치게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리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동작부재(500)가 인출되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 가로 프레임(631a)을 후방으로 위치할수록 동작부재의 인출 거리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충분한 거리만큼 동작부재의 인출 거리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고정부 가로 프레임(631a)은 지지부재(60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부 가로 프레임(631a)은 상기 지지부재(600)의 전후 중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720)와 제2고정부(730)의 가변 이격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탄성 변형을 위한 충분한 이격 거리의 확보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판스프링의 특성상 이격 거리가 커질수록 지속적이고 상대적으로 균일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7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은 후방으로 더욱 연장되는 연장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동작부재 브라켓보다 후방으로 더욱 연장되는 연장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양측의 동작부재 브라켓(510) 모두 이러한 연장부(515)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재료비 문제를 고려하면 양측의 동작부재 브라켓 모두에 이러한 연장부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515)를 통해 제1고정부(720)와 제2고정부(730) 사이의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지속적이고 균일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700)는 어느 하나의 동작부재 브라켓(510)에 구비되지 않고 양측의 동작부재 브라켓(510)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장치(700)는 실질적으로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하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00)의 폭을 벗어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랙 어셈블리(400) 하부에서는 이러한 탄성장치(700)가 보일 수 있지만(도 5 참조) 랙 어셈블리(400) 상부에서는 이러한 탄성장치(700)가 보이지 않게 된다(도 7 참조). 따라서, 탄성 변형과 탄성 복원되는 탄성부재(710)를 포함하는 탄성장치(700)가 사용자의 시야에 가려지게 된다. 이는, 동작부재(500) 상부에 안착되는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이 상기 탄성장치(70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야기시킨다. 아울러, 조리 대상물의 인입과 인출 시, 상기 조리 대상물과 탄성장치(700) 사이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는 효과를 야기시킨다.
또한, 상기 탄성장치(700)는 실질적으로 상기 동작부재(500)와 지지부재(6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 간극(g)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부재(710)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상하 간극(g)에 비해서는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감김 횟수가 증가되어 전체적인 탄성부재(710)의 높이가 증가되더라도, 탄성부재(710)는 매우 촘촘히 감기지 않는다는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최대 높이와 탄성부재의 최대 변형 거리를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하 간극(g)은 매우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상부와의 상하 간극(g)은 매우 좁게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동작부재(500)가 지지부재(6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지 않게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증진된 랙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장치(700)는 상기 지지부재(600)와 동작부재(5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랙 어셈블리(400)는 상기 탄성장치(700)를 포함한다고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서, 탄성장치(700)를 통해서 도어(300)의 개방 시 랙 어셈블리(400)의 동작부재(500)가 자동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도어(300)의 폐쇄 시 랙 어셈블리(400)의 동작부재(500)가 도어에 의해 인입될 수 있다. 이때, 도어의 폐쇄를 유지하는 힘은 상기 동작부재(500)가 인출되려고 하는 탄성 복원력보다는 커야 할 것이다. 즉, 도어의 개방을 시작하기 위한 최소 모멘트(도어 회전축에서의)가 상기 동작부재가 상기 도어를 미는 힘(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모멘트(도어 회전축에서의) 보다 커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와 동작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800)는 상기 지지부재(600)에 대한 상기 동작부재(50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지지부재(600)와 동작부재(5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랙 어셈블리(400)는 상기 결합장치(800)를 포함한다고 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결합장치(800)를 통해 결합이 유지되는 상태, 즉 동작부재(500)의 지지부재(600)에 대한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동작부재(500)가 최대한 인입된 상태이며 탄성부재(710)가 최대한 탄성 변형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더욱 인입될 수 있는 이격 거리가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허용 거리만큼 탄성 변형이 더 발생될 수 있고 동작부재()가 더욱 인입될 수는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결합장치(800)를 통해 동작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이 유지되는 상태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에는 결합장치(800)를 통해 결합이 해제되어, 동작부재(500)가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결합장치(800)의 결합이 해제되고 아울러 도어가 개방되면 더이상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견딜 수 있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동작부재(500)가 최대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800)는 래치 어셈블리(810)와 상기 래치 어셈블리(810)와 래치 스트라이커(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810)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820)가 수용되는 래치(812)와 상기 래치(812)를 수용하는 래치 하우징(81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 하우징(811)은 동작부재(500) 또는 지지부재(6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820)는 반대로 지지부재(600) 또는 동작부재(5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820)는 래치 브라켓(821)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600) 또는 동작부재(5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작부재의 인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812)와 래치 스트라이커(820)가 결합하고, 동작부재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양자 사이의 이격 거리는 최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는 전술한 제1고정부(720)와 제2고정부(730)의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어셈블리(810)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820)보다 부피가 크다. 따라서, 고정을 위한 면적이 커야 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810)는 동작부재의 동작부재 브라켓(510)에 고정되고,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820)는 지지부재(6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800)는 모두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래치 어셈블리(810)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전단 하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대응되는 래치 스트라이커(820)는 지지부재의 가로 프레임(631)에 고정될 수 있고, 특히 최전방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63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래치 스트라이커(820)에 상기 래치 어셈블리(810)가 접근하여 양자가 결합되고, 결합 해제의 의해서 양자는 멀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래치 어셈블리(810)와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820)는 동작부재의 인입과 인출 방향으로 서로 일렬로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탄성장치(700)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장치(800) 또한 기계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대상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탄성장치(700)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장치(800) 또한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재 브라켓이 상기 결합장치(800)를 가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장치(800) 또한 랙 어셈블리(40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장치(800)는 전술한 탄성장치(700)와 함께 랙 어셈블리(400)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장치(800)와 탄성장치(800)는 동일한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810)와 래치 스트라이커(820)의 구조나 작동 원리는 일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향하여 이동하여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더욱 결합 방향으로 어느 하나가 이동하면 결합이 해제되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장치(800)의 일례로서, 래치 어셈블리(810)와 래치 스트라이커(8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장치(800)의 특성을 이용하여 동작부재(500)의 자동(automatically) 인출 또는 준자동(semi-automatically) 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러한 인출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300)를 닫음으로써 도어(300)를 통해 상기 동작부재(500)를 인입시킬 수 있다. 물론, 도어(30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300)를 조작하지 않고 상기 동작부재(500)에 직접 힘을 가하여 상기 동작부재를 인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상태는 도어(300)가 닫혀 있는 상태에 대응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결합장치(800)의 결합이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도어(300)를 열면 동작부재(500)는 인출되지 않는다. 즉, 도어를 열고 상기 동작부재(500)를 더욱 인입되는 방향으로 살짝 밀게 되면, 상기 결합장치(800)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동작부재가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부재(500)의 인출을 준자동 인출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어(300)와 캐비닛 사이, 특히 도어(300) 내면과 캐비닛의 챔버 개구부(26) 사이에는 가스켓(70)이 개재된다. 이러한 가스켓(70)은 탄성재질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즉, 탄성 변형이 가능한 이격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300)를 더욱 닫는 방향으로 밀게 되며, 상기 가스켓(7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도어 내면이 챔버(250) 내부를 향해 짧은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이를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적용해 보면,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더욱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도어(300)가 상기 동작부재(500)를 더욱 인입되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짧은 시간 그리고 짧은 이격 거리만큼 도어를 더욱 닫도록 힘을 가한 후, 도어를 열 수 있다. 이 경우, 결합장치(800)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동작부재는 자동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동작부재(500)를 직접 터치하지 않더라도 동작부재가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자동적 인출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300)를 개방할 때, 단순히 도어를 개방하는지 아니면 도어를 민 후 개방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작부재(500)의 인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를 통해서 준자동 인출을 구현할 수 있고 후자를 통해서 자동 인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며, 아울러 짧은 시간 동안이라도 고온의 동작부재를 터치해야 하는 수고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준자동 인출만을 고려하면 사용자는 직접 동작부재를 조작하여 동작부재를 인입해야 한다. 그리고, 도어(3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동작부재(500)를 밀어야만 동작부재가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도어(300)의 내면과 상기 동작부재(500) 사이의 접촉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물론, 도어의 개방 및 동작부재의 인출 상태에서 도어를 닫는 경우 도어와 동작부재(500)가 접촉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접촉 부분에 완충부재(900)를 구비하여 접촉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동작부재(500)를 조작하지 않고, 도어를 닫음으로써 동작부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편리할 것이다. 즉, 양자 사이에 접촉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도어를 닫는 힘이 동작부재를 미는 힘으로 용이하게 전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더 나아가 상기 완충부재(900) 접촉에 의한 손상 방지뿐만 아니라 힘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900)의 일례로써 롤러(9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910)는 상기 도어 내면에 대해서 슬라이딩되지 않고 구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고 힘의 전환이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의 회전축(920)은 도어의 회전축(320)과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가 닫히면 상기 롤러(910)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구름에 의해서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고, 도어를 닫는 힘이 롤러(910)를 통해 동작부재(500)를 미는 힘으로 원활히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900)는 동작부재(500)의 최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동작부재(500)의 최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하우징(811)에 장착될 수 있다. 왜냐하면, 래치 하우징(811) 자체가 동작부재(500)에서 하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래치 하우징에 완충부재(900)를 장착하면 동작부재(500), 특히 동작부재 브라켓(510)과 상기 완충부재(900)의 상하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완충부재(900) 특히 롤러(910)가 구비되는 경우, 도어(300)의 개방과 폐쇄 시 도어 내면에 완충부재(900)가 직접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마찰이 줄어들고 양자의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토퍼(9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950)는 동작부재(500)의 최대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더 이상 동작부재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탄성장치(700)를 통해서는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고정점(720)과 제2고정점(730)이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서 동작부재(500)의 최대 인출 거리로 제한될 필요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장치(7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스토퍼(9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950)는 상기 동작부재(500)와 지지부재(600)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재(500)에는 제1돌기(9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기(951)는 동작부재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지지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00)에는 제2돌기(9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돌기(952)는 상기 동작부재가 슬라이딩될 때 동작부재의 다른 부분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부재(500)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1돌기(951)도 이동하여, 상기 동작부재의 최대 인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951)와 제2돌기(952)가 접촉될 수 있다. 즉, 제2돌기에 제1돌기가 걸려 더 이상 제1돌기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기는 동작부재 브라켓(5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돌기(952)는 지지부재의 지지부재 프레임(610)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재의 가로 프레임(6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대 인출 거리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돌기(952)에 상기 제1돌기(951)가 간섭되어, 상기 제1돌기가 더 이상 이동될 수 없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00)와 동작부재(500) 사이에는 상하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돌기 및/또는 제2돌기는 상기 상하 간극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1돌기(951)가 동작부재 브라켓(510)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내면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동작부재 브라켓(510)은 제1돌기가 지지부재(600)에 형성된 제2돌기(952)에 부딪힐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돌기(951)를 동작부재 브라켓(510)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탄성장치(700)로 인해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내면에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1돌기는 양측 동작부재 브라켓(51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일측의 동작부재 브라켓(510)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탄성장치(700)뿐만 아니라 이러한 스토퍼(950) 구조도 일측의 동작부재 브라켓(510)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인 구성인 지지부재와 동작부재에서 부가되는 구성들을 모두 일측의 동작부재 브라켓에만 형성함으로써 제조 및 장착이 용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기본적인 구성에서 용이하게 부가적인 구성들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는 댐퍼(9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960)는 상기 동작부재(500)와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동작부재(50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급속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동작부재(500)가 인출되는 속도가 커질수록 상기 댐퍼를 통해 상기 동작부재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동작부재가 적절한 속도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960)는 스퍼 기어(961, spur gea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의 회전축(962)은 동작부재(500)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961)와 형합되는 랙 기어(963, rack gea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963)는 동작부재(50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랙 기어(963)는 동작부재 브라켓(51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 기어(963)는 동작부재 브라켓(5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면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탄성장치(700)는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면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960)와 탄성장치(700) 사이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퍼 기어의 내부에는 오일이 충진되어, 스퍼 기어(961)의 회전시 댐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퍼 기어는 지지부재 브라켓(610)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결합장치(800), 완충부재(900), 스토퍼(950) 그리고 댐퍼(96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탄성장치는 랙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양측이 아닌 일측에서 동작부재가 이동하도록 힘을 제공하거나 이동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한다.
전술한 결합장치(800), 완충부재(900), 스토퍼(950) 그리고 댐퍼(960)는 모두 동작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직접 힘이 가해지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랙 어셈블리의 동작부재는 양측의 레일을 통해 슬라이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부재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수단 또는 이동에 저항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수단은 모두 탄성장치와 동일한 일측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400 : 랙 어셈블리 500 : 동작부재
600 : 지지부재 700 : 결합장치
800 : 탄성장치 900 : 완충부재
950 : 스토퍼 960 : 댐퍼

Claims (32)

  1.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챔버 내부에서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부재 및 상기 챔버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동작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동작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랙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동작부재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동작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간극에 위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탄성부재를 갖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부재가 상기 챔버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동작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동작부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오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래치 어셈블리 및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래치 스트라이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 동작부재 또는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대향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또는 동작부재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내면과 상기 동작부재가 접하고,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 방향으로 상기 동작부재를 더욱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장치의 결합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랙 어셈블리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8.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랙 어셈블리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9.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랙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탄성장치가 구비된 상기 랙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과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질수록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에서의 감김 횟수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동작부재 전체가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 일부가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동작부재의 급격한 인출을 방지하는 댐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도어 손잡이를 잡고 상기 도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여는 풀 다운 형태의 도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히는 힘을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내부로 인입시키는 힘으로 전환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동작부재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챔버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 브라켓,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 내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레일 및 상기 양측의 지지부재 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부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챔버 양측에 구비되는 동작부재 브라켓,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연결되는 동작부재 레일 및 상기 양측의 동작부재 브라켓을 연결하는 동작부재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 시 상기 지지부재 레일에 대한 상기 동작부재 레일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되어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0.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챔버 내부에서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부재 및 상기 챔버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동작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동작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랙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동작부재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탄성부재를 갖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부재가 상기 챔버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챔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동작부재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챔버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 브라켓과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 내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챔버 양측에 구비되는 동작부재 브라켓과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 레일과 연결되는 동작부재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과 동작부재 프레임은, 각각 좌우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로 프레임과 전후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 사이의 상하 간극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동작부재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인출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에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하면을 따라 상기 제2고정부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에 걸리도록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의 하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동작부재의 인출 거리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부가 구비되는 동작부재 브라켓은 타측에 구비되는 동작부재 브라켓에 비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9. 제 22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과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은, 각각 상기 지지부재 브라켓과 상기 동작부재 브라켓과 연결되며,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 개수는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의 전후 길이는 상기 지지부재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의 전후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 프레임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세로 프레임은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2. 삭제
KR1020140078079A 2014-06-25 2014-06-25 오븐 KR101588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79A KR101588748B1 (ko) 2014-06-25 2014-06-25 오븐
EP15173321.9A EP2960584B1 (en) 2014-06-25 2015-06-23 Oven
ES15173321.9T ES2623806T3 (es) 2014-06-25 2015-06-23 Horno
CN201510353703.7A CN105212769B (zh) 2014-06-25 2015-06-24 烤箱
US14/750,035 US9939160B2 (en) 2014-06-25 2015-06-25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79A KR101588748B1 (ko) 2014-06-25 2014-06-25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61A KR20160000661A (ko) 2016-01-05
KR101588748B1 true KR101588748B1 (ko) 2016-01-26

Family

ID=5348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079A KR101588748B1 (ko) 2014-06-25 2014-06-25 오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9160B2 (ko)
EP (1) EP2960584B1 (ko)
KR (1) KR101588748B1 (ko)
CN (1) CN105212769B (ko)
ES (1) ES262380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2018B2 (en) * 2016-07-15 2020-07-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awer assembly for an oven appliance
KR101902105B1 (ko) 2017-03-03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KR102342578B1 (ko) 2017-04-28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DE102018109429A1 (de) * 2018-04-19 2019-10-24 Paul Hettich Gmbh & Co. Kg Backofen
US10837652B2 (en) * 2018-07-18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secondary door
FR3084927B1 (fr) * 2018-08-08 2020-08-07 Univ D'angers Dispositif pour l'extraction automatique d'une grille de four
WO2020150780A1 (en) * 2019-01-24 2020-07-30 Breville Pty Limited A cooking appliance
CN112674617B (zh) * 2020-12-25 2021-12-14 浙江大坤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嵌入式蒸烤箱箱门支撑保护结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722A (ja) * 2005-07-25 2007-04-05 Lg Electronics Inc オーブンのドア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3210U1 (de) * 1998-02-24 1998-04-16 Hettich Paul Gmbh & Co Auszugsführung
JP2000193252A (ja) * 1998-12-24 2000-07-14 Paloma Ind Ltd グリル
FR2864208B3 (fr) * 2003-12-17 2006-02-10 Seb Sa Four electromenager avec support coulissant pour les aliments
US20060102015A1 (en) * 2004-11-12 2006-05-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Retractable oven rack assembly
US7087862B1 (en) * 2005-03-16 2006-08-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cooking appliances
ES2324426T3 (es) * 2006-06-09 2009-08-06 Fagor, S.Coop. Horno con mecanismo para extraer una bandeja.
JP4597222B2 (ja) * 2008-06-04 2010-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引出し型加熱調理器
DE202008009313U1 (de) * 2008-07-11 2009-11-26 Paul Hettich Gmbh & Co. Kg Ausstoßvorrichtung eines Auszugssystems
CN201230843Y (zh) * 2008-07-25 2009-05-06 陈国珍 一种烤炉架的锁止装置
KR101535304B1 (ko) * 2009-02-11 201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DE102009001550A1 (de) * 2009-03-13 2010-09-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chienenauszugsvorrichtung und Muffel mit einer derartigen Schienenauszugsvorrichtung
EP2236941A1 (en) * 2009-03-28 2010-10-0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upport for extractable baking trays and/or baking grids
KR101136605B1 (ko) * 2010-01-19 2012-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201675702U (zh) * 2010-04-02 2010-12-22 杭州金鱼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集合煮蛋、煎、烤、蒸、煮功能的器具
CN201905754U (zh) * 2011-01-04 2011-07-27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电烤箱烤架的自动带出结构
DE102012104129B4 (de) * 2011-10-21 2023-09-28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KR20140078079A (ko) 2012-12-17 2014-06-25 주홍찬 이미지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영어 전치사 학습장치 및 방법
US20150101590A1 (en) * 2013-10-15 2015-04-16 General Electronic Company Spring loaded shelf for an oven appliance
EP3161385A1 (en) * 2014-06-26 2017-05-0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Domestic oven having a door with two door w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722A (ja) * 2005-07-25 2007-04-05 Lg Electronics Inc オーブンのドア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9160B2 (en) 2018-04-10
EP2960584B1 (en) 2017-02-15
US20150377493A1 (en) 2015-12-31
CN105212769B (zh) 2018-04-17
KR20160000661A (ko) 2016-01-05
ES2623806T3 (es) 2017-07-12
EP2960584A1 (en) 2015-12-30
CN105212769A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748B1 (ko) 오븐
US20200281442A1 (en)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US11612301B2 (en)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TW201010639A (en) Self-closing device for a drawer or for a moveable part of a piece of furniture
RU2584671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KR20140104514A (ko) 조리기구
US20190174920A1 (en) Cooker and kitchen furniture item equipped with cooker
US20150101590A1 (en) Spring loaded shelf for an oven appliance
US2921575A (en) Domestic appliance
US10794602B2 (en) Cooking appliance
KR20130117903A (ko)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US11826005B2 (en) Exhibiting a dishwasher rack to the user
US11930580B2 (en) Cooking apparatus
KR101585495B1 (ko) 고정식 서랍이 구비된 붙박이장
US11969132B2 (en) Exhibiting a dishwasher rack to the user
US10694923B1 (en)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US10582828B1 (en)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US20230309786A1 (en) Exhibiting a dishwasher rack to the user
JP6395100B2 (ja) 引き出し付きキャビネット
KR101874382B1 (ko) 휴대용 보관 팩
JP4329729B2 (ja) 加熱調理器
JP2011033226A (ja) レールユニットおよびこのレールユニットを用いた加熱調理器
JP2009103451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