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605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605B1
KR101136605B1 KR1020100004559A KR20100004559A KR101136605B1 KR 101136605 B1 KR101136605 B1 KR 101136605B1 KR 1020100004559 A KR1020100004559 A KR 1020100004559A KR 20100004559 A KR20100004559 A KR 20100004559A KR 101136605 B1 KR101136605 B1 KR 10113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ed
cooking chamber
cook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010A (ko
Inventor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6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60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한 랙이 제공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에 지지되는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조리실에서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고정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선반 및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선반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선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제한부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제한부에는 상기 프레임에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는 지지부와, 중앙부가 절곡되어 각 단부가 스토퍼와 레버로 구분되고, 절곡된 중앙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연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레버에 다른 일측이 고정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연동부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선반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리실의 측면 또는 상기 그루브와 접하면서 상기 고정선반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부품을 조작하지 않아도 선반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한 랙이 제공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일종으로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공간에 따라 개방형 조리기기와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며 쿡탑, 홉 등이 대표적인 개방형 조리기기이다. 또한,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며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대표적인 밀폐형 조리기기이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차폐하고, 차폐된 조리실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 즉, 조리기기의 상측에 위치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조리실의 내부 및/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을 가열한다.
근래에는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와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어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
상기 복합조리기기는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상기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히터 또는 버너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선반이 제공된다. 상기 선반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 부 벽면에 형성되는 그루브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 벽면에 다수의 층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층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그루브에 의해 상기 선반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음식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선반이 제공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에 지지되는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조리실에서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고정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선반 및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선반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선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제한부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제한부에는 상기 프레임에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는 지지부와, 중앙부가 절곡되어 각 단부가 스토퍼와 레버로 구분되고, 절곡된 중앙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연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레버에 다른 일측이 고정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연동부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선반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리실의 측면 또는 상기 그루브와 접하면서 상기 고정선반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부품을 조작하지 않아도 선반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선반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함으로써 선반에 놓이는 음식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선반의 위치 변경이 용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선반의 위치 변경 시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반의 탈착에 필요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부품에 이물질 등이 끼는 문제점의 해결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선반의 탈착에 필요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 공간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선반이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선반이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선반이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바와 같은 과제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해 전기오븐레인지를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조리실 내부에 선반이 설치되는 조리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아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0)는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쿡탑부(20)와,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는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30)와,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데우는 드로워부(40) 및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오븐부(30) 및 상기 드로워부(40)를 제어하는 전장실(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쿡탑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부공간을 가지는 납작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쿡탑부(20)는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상기 쿡탑부(20)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상면유리(21)와, 상기 상면유리(21)의 하측에 위치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쿡탑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면유리(2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유리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면유리(21)는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상기 상면유리(21)의 상측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지지되는 트리빗이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트리빗은 상기 상면유리(21)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쿡탑케이스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는 쿡탑히터(22)가 위치한다. 상기 쿡탑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에 상기 상면유리(21)가 위치하면서 쿡탑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다.
상기 쿡탑히터(22)는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쿡탑히터(2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쿡탑히터(22)는 서로 다른 출력을 가지는 쿡탑히터(22)가 다수 설치된다. 이러한 쿡탑히터(22)에 의해 사용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양 또는 부피에 적합한 상기 쿡탑히터(22)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쿡탑히터(22)는 발산되는 열이 상기 상면유리(21)로 잘 전달되도록 상기 상면유리(21)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설치된다. 상기 쿡탑히터(22)의 하측에는 상기 쿡탑히터(22)가 상기 상면유리(21)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서포터(미도시)가 제공된다.
상기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위치한다. 상기 오븐부(30)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과, 상기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 및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다수의 오븐히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전면은 상기 도어(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32)는 상기 본체(10)의 앞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32)는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31)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도어(3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핸들(33)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도어(32)를 회동시키기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 오븐부(3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32)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31)의 전면을 개방시킨 다음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위치시킨다.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위치시킨 후, 상기 도어(32)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차폐한다.
상기 조리실(31)이 차폐된 다음 상기 오븐히터에 의해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면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요리된다. 이처럼,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31)의 상측 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상단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31)의 하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위치한다.
상기 상부히터(34)와 상기 하부히터(35)는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한다. 상기 상부히터(34)와 상기 하부히터(35)는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시즈히터 또는 할로겐히터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후단 또는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대류시켜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된다. 상기 컨벡션부(36)는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컨벡션히터(미도시)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한다.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켜 가열한다.
또한, 상기 컨벡션부(36)에 의해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된다. 이처럼, 상기 컨벡션부(36)에 의해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면서 균일하게 익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오븐부(30)의 하측에는 드로워부(4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한 상태로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드로워부(4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드로워손잡이(41)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손잡이(41)를 파지하여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내부 공간이 개방된다.
상기 드로워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방된 상면이 개폐된다. 개방된 상면을 통해 사용자는 데우거나 보온 보관을 위한 음식물을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킨다.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놓이면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드로워의 개방된 상면이 차폐된다. 상기 드로워의 상면이 차폐되면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하게 보관한다.
상기 드로워의 상측 또는 하측이나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 상측에는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드로워히터(42)가 제공된다. 상기 드로워히터(42)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드로워의 내부 공간이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처럼, 상기 드로워히터(42)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쿡탑부(20)의 전면 즉, 상기 오븐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한다. 상기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상기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스위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형태 또는 버튼 형태와 같은 누름스위치의 형태도 가능하고, 다이얼 놉과 같은 회전스위치의 형태도 가능하다. 물론, 다양한 형태가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51)에는 사용자가 상기 쿡탑부(20) 및/또는 상기 오븐부(30) 및/또는 상기 드로워부(40)의 동작정보,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된다. 상기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는 외부 공간에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시부는 엘씨디(LCD)로 형성되어 화면 또는 영상으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구성도 가능하고, 엘이디(LED) 등으로 형성되어 기호 또는 문자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어떠한 구성으로 형성되더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패널(51)의 후측에는 다수의 전장부품 및 제어부품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가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50)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장부품 및 제어부품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동작이 제어되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50)은 개방된 전면에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여 상기 전장실(5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선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 구성을 조리실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실의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실 선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내면에는 그루브(37)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37)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양쪽 측면에서 내부 공간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그루브(37)는 상면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그 상면에 상기 선반(60)의 양쪽 측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그루브(37)는 상기 조리실(31)의 내 측면에 다수의 층을 이루면서 다수 형성된다. 이는 음식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상기 선반(60)의 위치를 다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그루브(37)의 전반부에는 그루브돌기(38)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돌기(38)는 측방에서 볼 때 대략 "V"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돌기(38)는 상기 선반(6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선반(60)의 전반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선반(6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선반(6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그루브돌기(38)에 의해 상기 선반(60)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면서, 상기 선반(6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31)을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선반(60)은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그루브(3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분과, 상기 고정부분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하는 이동부분을 가지는 선반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선반(60)은 상기 그루브(37)에 지지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서 탈착 가능한 고정선반(70)과, 상기 고정선반(70)에 지지되면서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선반(80)이 포함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고정선반(70)은 양측 끝 부분에 상기 그루브(37)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7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71)이 상기 그루브(37)에 지지되면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71)은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좌측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그루브(37)에 지지되는 좌측 프레임(72)과, 상기 좌측프레임(72)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우측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우측프레임(73)이 포함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좌측프레임(72)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우측프레임(73)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우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프레임(72)과 상기 우측프레임(73)의 사이에는 가로프레임(74)이 위치된다. 상기 가로프레임(74)은 단면이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양 측단부가 각각 상기 좌측프레임(72)과 상기 우측프레임(73)에 연결된다.
즉, 상기 가로프레임(74)은 상기 좌측프레임(72)과 상기 우측프레임(73)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가로프레임(74)의 좌측 끝 부분은 상기 좌측프레임(72)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우측 끝 부분은 상기 우측프레임(73)의 좌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가로프레임(74)은 상기 좌측프레임(72)과 상기 우측프레임(73)의 전반부, 중앙부, 후반부에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74)의 중앙부에는 중앙프레임(75)이 위치한다. 상기 중앙프레임(75)은 상기 가로프레임(74)의 중앙부를 각각 연결하면서 위치된다.
상기 중앙프레임(75)에 의해 상기 가로프레임(74)이 지지되면서 상기 중앙프레임(75)의 지지 강도를 보장하게 된다.
상기 고정선반(7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선반(7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프레임(71)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선반(80)이 위치한다. 상기 이동선반(80)은 양측 끝 부분에 위치하는 이동빔(도 5의 81)과, 상기 이동빔(81)의 사이를 가로질러 양측 끝 부분이 각각의 상기 이동빔(81)과 연결되는 가로빔(84) 및 상기 가로빔(84)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로빔(84)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세로빔(85)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이동빔(81)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좌측프레임(7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좌측빔(도 5의 82)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우측프레임(73)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우측빔(도 5의 83)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빔(81)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7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프레임(71)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71)과 상기 이동빔(81)의 사이에는 상기 이동빔(8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볼 베어링과 같은 부재가 더 제공된다.
물론, 상기 부재는 볼 베어링이 아닌 다른 형태 즉, 윤활유 또는 기어의 형태도 가능하다. 단지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이동빔(81)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구성이 더 제공된다.
상기 가로빔(84)과 상기 세로빔(85)은 그 단면이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빔(84)은 상기 이동빔(81)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중앙부에 각각 위치하여 양쪽 끝 부분이 상기 이동빔(81)과 연결된다.
상기 세로빔(85)은 상기 가로빔(84)의 상측에 놓이면서 상기 가로빔(8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가로빔(84)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위치하여 상측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선반(80)의 중앙부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면서 회전 운동하여, 음식물의 균일한 가열을 유도하는 턴테이블이 고정되는 턴테이블고정부가 더 제공된다.
상기 이동빔(8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로빔(84)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빔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빔손잡이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가로빔(84)의 중앙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구성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빔손잡이에는 상기 세로빔(85)이 연결되지 않아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빔(81)의 후단부에는 후술할 이동제한부(90)의 연동부(도 5의 91)를 운동시키기 위한 연동돌기(86)가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연동돌기(86)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동돌기(86)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선반(80)을 후방으로 압착하게 되면, 상기 이동선반(80)의 후방이동과 동시에 상기 연동부(9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71)의 후단부에는 상기 이동선반(80)의 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고정선반(7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제한부(90)가 위치한다. 상기 이동제한부(90)는 상기 이동선반(80)의 운동과 연동하여 운동하는 연동부(91)와, 상기 연동부(91)가 상기 프레임(71)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94) 및 상기 연동부(91)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선반(8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동부(91)가 연동하기 전 상태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9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71)의 후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7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76)는 상기 프레임(71)의 상면과 하면이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94)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94)는 단면이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94)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부(76)의 상측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결합부(76)의 하측에 고정된다.
상기 연동부(91)와 상기 스토퍼(93)는 상측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중앙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동부(91)와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지지부(94)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고정선반(7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상기 연동부(91)와 상기 스토퍼(93)는 각각 상기 지지부(94)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부(91)의 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93)가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동부(91)의 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93)가 운동하므로, 상기 연동부(91)를 레버(92)라 칭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연동부(91)가 상기 스토퍼(93)를 운동시키는 레버(92)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동부(91)를 상기 레버(92)와 상기 스토퍼(93)로 구성되는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레버(92)는 상기 지지부(9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레버(92)는 상기 연동돌기(86)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그루브(37)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92)가 상기 연동돌기(86)의 후방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선반(8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동돌기(86)는 상기 레버(92)를 동작시킨다. 즉, 상기 이동선반(8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연동돌기(86)가 후방 이동하고, 상기 연동돌기(86)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레버(92)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레버(9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92)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프레임(7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71)의 전방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레버(92)에는 상기 이동부재(95)의 일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재(95)의 다른 일부는 상기 프레임(71)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부재(95)에 의해 상기 레버(92)는 구속력이 가진다. 즉, 상기 이동선반(80)의 후방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레버(92)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선반(8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레버(92)는 상기 이동부재(95)의 구속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선반(8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연동돌기(86)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92)는 후방으로 연동한다. 상기 레버(92)의 후방 연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레버(92)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9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선반(70)의 고정력이 해소되어 고정선반(70)의 전방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선반(8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92)는 상기 이동부재(95)의 구속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레버(92)가 원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레버(92)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선반(7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양쪽 측면에 그 전단부가 접하면서 상기 고정선반(7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스토퍼(93)의 전단부가 상기 그루브(37)의 후단부와 접하여 상기 고정선반(7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측면에는 상기 이동제한부(90) 상세하게는 상기 스토퍼(93)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측면에서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한돌기에 의해 상기 스토퍼(93)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스토퍼(93)의 운동 범위가 제한된다. 물론,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스토퍼(93)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한돌기에 상기 스토퍼(93)의 운동 범위가 제한되어 상기 고정선반(70)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상기 오븐부(3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상기 도어핸들(33)을 파지하여 상기 도어(32)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31)의 전면을 개방시킨다.
상기 조리실(31)의 전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선반(8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전방으로 이동한 상기 이동선반(80)의 상측에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킨다.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상기 이동선반(80)의 상측에 놓이면 상기 이동선반(8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선반(80)을 이동시킨 다음 상기 도어(32)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31)을 차폐한다.
상기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를 동작시켜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한다.
이때,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상기 고정선반(70) 및 상기 이동선반(80)을 다른 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먼저, 상기 고정선반(70) 및 상기 이동선반(80)을 이탈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이동선반(8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선반(8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동돌기(86)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92)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레버(9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레버(92)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즉, 상기 레버(9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93)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레버(92)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93)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레버(92)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 측면에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이동선반(80)과 상기 고정선반(70)을 동시에 파지하여 전방으로 이탈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이동선반(80)과 상기 고정선반(70)을 동시에 파지하여 상기 조리실(31)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원하는 위치에 상기 이동선반(80)과 상기 고정선반(7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선반(70)이 상기 그루브(37)에 지지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후방으로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을 이동시킨다.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이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이동선반(8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위치시킨다. 상기 이동선반(8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동돌기(86)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연동돌기(86)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레버(92)는 상기 이동부재(95)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레버(92)가 원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93)는 그 전단부가 상기 조리실(31)의 내 측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선반(7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선반(70)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선반(80)만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선반(70)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선반(8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된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선반(80)의 후단부에는 상기 연동돌기(86)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동돌기(86)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대적으로 상기 좌측프레임(72)과 근접하는 상기 연동돌기(86)는 좌측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우측프레임(73)과 근접하는 상기 연동돌기(86)는 우측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선반(7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76)에는 상기 연동돌기(86)의 이동에 의해 연동하는 레버(92)가 위치한다. 상기 레버(92)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동돌기(86)의 이동에 따라 연동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동돌기(86)가 후방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레버(92)는 상기 연동돌기(86)의 측면에 의해 상기 프레임(71)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레버(92)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레버(92)의 연동에 의해 상기 고정선반(7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93)가 위치한다. 상기 스토퍼(93)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측면과 접하면서 상기 고정선반(7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레버(92)와 상기 스토퍼(93)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94)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94)는 상기 결합부(76)와 결합하여 지지되고, 상기 레버(92)와 상기 스토퍼(93)의 운동에 따라 운동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94)는 상기 레버(92)의 운동에 따라 운동하여 상기 스토퍼(93)를 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94)는 여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94)는 외면에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92) 및 상기 스토퍼(93)와 기어 형태의 결합도 가능하고, 상기 레버(92)와 상기 스토퍼(93)를 링크 형태로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기어 형태의 결합을 가지면서 상기 레버(92)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레버(92)의 전방에 상기 지지부(94)가 위치하면, 상기 레버(92)의 전면에는 다수의 치형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94)의 외면에는 상기 레버(92)의 치형과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94)는 상기 결합부(76)와 상하 방향으로 축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94)는 상기 레버(92)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한다. 상기 지지부(94)의 전방에는 상기 스토퍼(93)가 위치하고, 상기 스토퍼(93)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부(94)의 외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92)의 전면과 상기 스토퍼(93)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부(94)의 외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맞물리는 치형이 형성된다. 서로 맞물리는 치형에 의해 상기 레버(92)의 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93) 및 상기 지지부(94)는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92)가 상기 연동돌기(86)의 양 측면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면 상기 지지부(94)는 회전 운동한다. 상기 지지부(9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93)는 좌우 방향으로 병진 운동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이동선반(80)이 후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연동돌기(86)의 양 측면에 의해 상기 레버(92)가 상기 프레임(71)의 외측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레버(92)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94)가 회전 운동한다. 상기 지지부(9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레버(92)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이동선반(8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동돌기(86)의 측면에 의해 상기 레버(92)는 상기 조리실(3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레버(9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94)가 회전 운동하고, 상기 지지부(9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조리실(3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레버(91)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고정선반(7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상기 이동선반(8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92)의 이동력은 해제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95)에 의해 상기 레버(92)는 상기 조리실(3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조리실(3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조리실(3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선반(70)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선반(8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연동돌기(86)에 의해 상기 고정선반(70)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고정선반(70)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고정선반(70)의 전단부와 상기 이동선반(80)의 전단부를 동시에 파지하여 가압하면서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을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리실(31) 내부 공간의 적합한 위치에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기기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이동선반(8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연동돌기(86)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연동돌기(86)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동돌기(86)의 외측면에 의해 상기 레버(92)가 상기 프레임(7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레버(92)가 상기 프레임(7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좌측프레임(72)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94)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우측프레임(73)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9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상기 지지부(9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94)와 접하는 상기 스토퍼(93)가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93)는 상기 레버(92)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조리실(3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93)가 상기 조리실(3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선반(70)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선반(70)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상기 이동선반(80)의 전단부와 상기 고정선반(70)의 전단부를 동시에 파지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을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의 전단부를 동시에 파지하여 가압하는 것은 상기 연동돌기(86)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레버(9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연동돌기(86)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연동돌기(86)의 측면에 의해 이동한 상기 레버(92)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레버(92)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스토퍼(93)의 위치가 상기 고정선반(70)이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의 전단부를 동시에 파지하여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고정선반(70)과 상기 이동선반(80)의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사용에 따른 선반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선반의 고정력 해제 수단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본체 20. 쿡탑부
30. 오븐부 31. 조리실
32. 도어 33. 도어핸들
34. 상부히터 35. 하부히터
36. 컨벡션부 37. 그루브
38. 그루브돌기 40. 드로워부
50. 전장실 60. 선반
70. 고정선반 71. 프레임
72. 좌측프레임 73. 우측프레임
74. 가로프레임 75. 중앙프레임
80. 이동선반 81. 이동빔
82. 좌측빔 83. 우측빔
84. 가로빔 85. 세로빔
86. 연동돌기 90. 이동제한부
91. 연동부 92. 레버
93. 스토퍼 94. 지지부
95. 이동부재

Claims (11)

  1.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그루브;
    상기 그루브에 지지되는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조리실에서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고정선반;
    상기 고정선반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선반; 및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선반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선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제한부;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제한부에는,
    상기 프레임에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는 지지부와,
    중앙부가 절곡되어 각 단부가 스토퍼와 레버로 구분되고, 절곡된 중앙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연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레버에 다른 일측이 고정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연동부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선반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리실의 측면 또는 상기 그루브와 접하면서 상기 고정선반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와 상기 스토퍼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선반이 상기 레버를 가압할 경우, 상기 스토퍼가 조리실의 측면 또는 그루브와 이격되면서 상기 고정선반의 이동이 가능한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선반에는 상기 지지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제공되는 조리기기.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선반은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높게 위치하여 전반부를 사용자가 누를 경우, 이동선반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삭제
KR1020100004559A 2010-01-19 2010-01-19 조리기기 KR10113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59A KR101136605B1 (ko) 2010-01-19 2010-01-19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59A KR101136605B1 (ko) 2010-01-19 2010-01-19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10A KR20110085010A (ko) 2011-07-27
KR101136605B1 true KR101136605B1 (ko) 2012-04-18

Family

ID=4492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559A KR101136605B1 (ko) 2010-01-19 2010-01-19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748B1 (ko) * 2014-06-25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JP2021124267A (ja) * 2020-02-07 2021-08-3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846U (ko) * 1994-12-28 1996-07-22 가스 오븐레인지의 구이석쇠 이송장치
JP2000329354A (ja) 1999-05-21 2000-11-30 Sanyo Electric Co Ltd オーブントースタ
KR100595288B1 (ko) 2005-01-25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용 텔레스코픽 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846U (ko) * 1994-12-28 1996-07-22 가스 오븐레인지의 구이석쇠 이송장치
JP2000329354A (ja) 1999-05-21 2000-11-30 Sanyo Electric Co Ltd オーブントースタ
KR100595288B1 (ko) 2005-01-25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용 텔레스코픽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10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837B2 (en) Cooking range with rotable rack
EP2716977A1 (en) Cooking oven
US8511769B2 (e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rack system
US9395093B2 (en) Range having an adjustable rear panel
KR20180113810A (ko) 가전기기
EP1818620B1 (en) Oven having a pull out door with integral heating element and cooking grids
KR101136605B1 (ko) 조리기기
KR101702660B1 (ko) 조리기기
US20110132350A1 (en) Oven range
EP2037180A1 (en) Built-in kitchen appliance
KR102553498B1 (ko) 조리기기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JP3872443B2 (ja) テーブル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レンジ
KR20110045970A (ko) 조리기기
KR101623978B1 (ko) 조리기기
KR10061822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드로워랙
KR101014437B1 (ko) 조리기기의 히터모듈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1626622B1 (ko) 조리기기
KR20036715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랙 구조
KR101025958B1 (ko)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WO2008015183A2 (en) Oven with cavity and cooktop with a shared heat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