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958B1 -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958B1
KR101025958B1 KR1020090027569A KR20090027569A KR101025958B1 KR 101025958 B1 KR101025958 B1 KR 101025958B1 KR 1020090027569 A KR1020090027569 A KR 1020090027569A KR 20090027569 A KR20090027569 A KR 20090027569A KR 101025958 B1 KR101025958 B1 KR 101025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encoder
circuit board
control panel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133A (ko
Inventor
변준보
허정익
오상진
황근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95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5Selecting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e.g. by clos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도록 체결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가 장착되고,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에 의하면,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주방 가구의 이동, 음식물의 이동 등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리기기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외관 디자인이 수려해지는 효과로 인해, 제품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조리기기, 컨트롤부, 컨트롤패널, 회전체, 고정체

Description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Operation equipment of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주방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에 의해 전자레인지와 오븐 등으로 구별되며, 설치되는 형태에 의해 빌트인(Built-in) 타입과 스탠드 타입, 벽걸이 타입 등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고주파를 발산하여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며, 상기 오븐은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으로 히터 또는 버너 등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다.
그리고, 빌트인 타입은 주방 공간에 위치하는 주방 가구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며, 스탠드 타입은 주방 가구의 상측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놓이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고, 벽걸이 타입은 주방 공간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주방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후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고주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과,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는 히터, 버너 등이 동시에 또는 각각 구비되어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조리기기에는 요리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여 요리 공간을 가열하는 다수의 열원이 구비되고, 이러한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요리 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의 요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요리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과 더욱 가까이 열원을 위치시키고자 이동 가능한 열원이 구비되기도 하며, 이러한 열원은 음식물의 크기 또는 요리 공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요리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열원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이동 수단이 구비되며, 이러한 이동수단은 열원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되어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본체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조작하는 다수의 버튼 및 다이얼 놉 등이 구비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되며, 이러한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버튼 및 다이얼 놉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주방 기구의 이동, 음식물의 이동 등 의도되지 않은 상황에서 버튼 및 다이얼 놉이 조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버튼 및 다이얼 놉 등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조리기기의 외관 디자인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 및 다이얼 놉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도록 체결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가 장착되고,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체; 상기 컨트롤패널 후방에 위치하여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버튼패널; 상기 버튼패널의 후방에 위치하여, 동작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에 의해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 및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기 컨트롤패널을 관통하면서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에 의하면, 결합축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컨트롤패널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회전체가 회전 운 동하면서 연동하도록 체결되는 엔코더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고 이러한 신호는 회로기판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가 상기 컨트롤패널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면서 장착됨으로써 컨트롤패널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컨트롤패널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주방 가구의 이동, 음식물의 이동 등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리기기가 조작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외관 디자인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디자인의 수려해짐으로 인해 제품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가 주방 공간에서 이동하거나 움직이고자 할 때, 이동 및 움직임이 자유로워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되면서 왕복 운동하는 열원이 구비되는 모든 조리기기의 형태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조리기기는 다양한 열원이 사용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열원이 사용되는 조리기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살펴보도록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앞면의 일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0)의 외면에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충격에 강한 케이스(110)에 의해 감싸지면서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과 후면이 감 싸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케이스(110)가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면과 측면이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고, 그 패널에 하면을 형성하는 패널과 후면을 형성하는 패널이 체결되면서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앞면에는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도어(120)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1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직접 조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트롤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도어(120)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의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어(1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핸들(122)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122)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의 앞면에 결합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어(120) 앞면의 일정 부분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20)에는 사용자가 외부 공간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요리되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본체(100)의 내부 공간 상태를 도어(120)의 회동 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124)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2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일측 즉, 상기 컨트롤부(140)의 후방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동작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13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1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동작이 제어된다. 즉, 상기 컨트롤부(140)를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면, 컨트롤부(140)는 조작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이러한 조작 신호에 의해 다수의 전장 부품이 동작하게 됨으로써 본체(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단부에는 상기 케이스(110)와 상기 도어(120)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12)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12)은 개방되는 상기 캐비티(200)의 앞면과 대응되는 부분 및 상기 컨트롤부(140)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120)와 컨트롤부(14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후방커버(114)에 의해 후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커버(114)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110)와 체결되어 케이스(110)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전장실(13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본체(100)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전장실(130)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전장실(13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내부 공간이 요리 공간이 되는 상기 캐비티(200)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210)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2패널(220), 상면을 형성하는 제3패널(230), 하면을 형성하는 제4패널(240)이 서로 체결되면서 하나의 캐비티(200)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캐비티(200)가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상기 제1패널(210)과 상기 제2패널(2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패널(230)과 상기 제4패널(240)이 결합되면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캐비티(20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패널(210)과 상기 제2패널(220)이 세로 면을 형성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제3패널(230)과 상기 제4패널(240)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캐비티(200)를 예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200)는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세로 면이 상기 음식물의 외측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 도록 형성된다. 이때,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는 세로 면은 다음에 설명할 제1열원(310)이 지지되는 면 이외의 세로 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패널(220)이 상기 음식물의 외측 즉, 후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상기 제1패널(210)이 음식물의 외측, 즉, 측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열원은 상기 음식물의 후방을 경유하여 음식물의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열원(310)이 구비되며,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는 제2열원(320) 및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고정 장착되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는 제3열원(330)이 구비된다.
물론, 각각의 상기 열원들이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나, 요리 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균일 가열, 음식물의 특성에 적합한 가열을 위하여 제1열원(310)과 제2열원(320) 및 제3열원(330)이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열원이 모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캐비티(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패널(220)은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상측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음식물 이 요리되는 공간 즉,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도 요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 본체(1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후방커버(114)는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220)이 위치하는 부분만큼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패널(220)이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더욱 커지게 됨으로써 더 큰 음식물이 위치할 수 있게 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캐비티(2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의 외면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제2열원(320)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제2열원(320)은 마그네트론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제2열원(320)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각 상자 형태의 외형을 가지면서, 그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진 공간이 마련되고, 공진 공간과 이어지면서 사각 상자 형태의 한 면을 관통하여 고주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 기둥 형태의 안테나가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가 고주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열원(320)을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에 장착하게 되면, 장착되는 캐비티(200)의 일면을 안 테나가 관통하게 됨으로써 그 관통되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공진 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를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2열원(320)은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여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진동시킴으로써 수분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되어 요리하게 된다. 물론, 고주파를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되지 않는 것도 무방하나, 음식물의 특성 또는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등을 고려하여 볼 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캐비티(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3패널(230)의 중앙부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고, 그 절제된 부분에는 상측에서 절제된 부분을 덮는 상부커버(250)가 체결된다. 상기 상부커버(250)는 하단부가 제3패널(230)의 상면에 접하면서 결합되고,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은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범위를 넓혀줌으로써 부피가 더 큰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제공되는 내부 공간 전반부에는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는 제3열원(330)이 장착된다.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음식물의 전반부가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요리 시간이 절감되고 음식물이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측면에는 상기 제1열원(31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듈(미도시)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면서, 캐비티(200)의 측면에 장착되고, 제1열원(310)과 체결되면서 제1열원(310)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컨트롤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 조작장치의 회전체가 장착되는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부(1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컨트롤부(140)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조작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동작하게 되는 상기 본체(100)의 동작 상태를 외부 공간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표시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장치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고, 사용 범위가 넓은 액정 장치인 엘씨디(LCD)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상기 본체(100)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음성 출력 장치가 구비되어 음석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음성 출력 장치가 구비되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므로, 음성 또는 화면이나 영상 등 어떠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영상과 음성, 화면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 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장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컨트롤패널(150)과, 상기 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체(180)와, 상기 회전체(180)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도록 체결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172)와, 상기 엔코더(172)가 장착되고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170)과,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로기판(170)과 체결되는 고정체(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50)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후면이 개방된 상태의 세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그 앞면에는 다수개의 홀(152,154)이 형성된다. 상기 홀(152,154)은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직접 조작하는 버튼(162)이 관통되는 버튼홀(152)과 상기 회전체(180)가 관통하는 회전체홀(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홀(152)은 상기 표시장치의 하측에 다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중앙 부분에 상기 회전체홀(156)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후측에는 상기 버튼(162)이 장착되면서, 사용자가 버튼(162)을 압착하였을 때 신호가 전달되도록 회로가 인쇄되는 회로기판(17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로기판(170)은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 방향으로긴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회로기판(170)에 상기 버튼(162)이 끼움 결합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상기 버튼홀(152)에 버튼(162)이 관통되면서 컨트롤패널(150)의 후면에 회로기판(170)이 체결된다.
상기 회로기판(170)에는 상기 회전체홀(156)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체(180)와 체결되어 회전체(18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엔코더(172)가 구비된다.
상기 엔코더(172)는 상기 회전체(180)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엔코더회전체(174)와 상기 엔코더회전체(174)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로기판(170)과 체결되어 고정되는 엔코더고정체(1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엔코더회전체(174)는 전체적으로 대략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전방으로 일정 정도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180)의 후면과 체결되어 회전체(180)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체(180)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엔코더회전체(174)의 회전 수에 따라 상기 엔코더고정체(176)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하는 신호가 상기 회로기판(170)으로 전달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회전체(180)를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상기 엔코더고정체(176)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상기 회로기판(170)을 통하여 엔코더고정체(176)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회로기판(미도시)으로 전달되어 메인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마이컴에 의해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부품들을 동작시키게 된다.
이처럼, 상기 메인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마이컴이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제1열원(310)을 비롯한 다수 부품 들을 동작하게 됨으로써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150)에는 상기 회전체(18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체수용부(154)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수용부(154)는 회전체(180)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컨트롤패널(150)의 앞면에서부터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에 회전체(18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즉, 상기 회전체(180)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회전체수용부(154)는 회전체(180)와 대응되는 형태인 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체(180)가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게 되면, 회전체수용부(154)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앞면에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회전체(18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체(180)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회전체수용부(154)의 후면 중앙부는 회전체수용부(154)의 후면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천공되는 상기 회전체홀(156)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체홀(156)이 회전체수용부(154)의 후면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체수용부(154)의 후면 테두리 부분과 회전체홀(156)의 테두리 부분 사이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면적에 의해 상기 회전체(18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즉, 상기 회전체수용홈(154)의 개방된 앞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체(18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이러한 회전체(180)의 중앙 부분이 상기 회전체홀(156)을 관통하면서 회전체수용홈(154)에 회전체(180)가 수용된다.
이처럼, 상기 회전체수용홈(154)에 상기 회전체(18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 회전체(180)의 앞면은 회전체수용홈(154)의 앞면과 가상의 단일 면을 형성하게 되면서,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앞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앞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상기 회전체(180)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80)의 지름은 상기 회전체수용부(154)의 앞면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체수용부(154)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수용된 상태에서도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18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는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중앙부는 회전체(180)의 외경보다 적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체(180)의 앞면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전방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80)의 앞면 중앙부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마련되는 일정 정도의 공간에는 상기 고정체(19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고정체수용 부(182)가 된다.
상기 고정체수용부(182)는 앞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그 후면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체(190)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고정체홀(18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홀(184)은 고정체수용부(182)의 후면 면적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체수용부(182)의 후면은 그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일정 정도의 면적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면적에 의해 고정체(19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수용부(182)의 후면이 상기 고정체(19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회전체수용부(154)의 후면이 상기 회전체(18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홀(184)의 테두리 부분은 후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패널(150)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체홀(156)을 후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170)의 앞면에 장착되는 상기 엔코더(172)와 체결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체홀(184)의 테두리 부분은 후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회전체(180)를 상기 엔코더(172)와 체결하는 체결부(도 4의 186)가 된다.
상기 체결부(186)가 상기 회전체홀(156)을 후방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엔코더(172)에 구비되는 상기 엔코더회전체(174)와 체결되면서 상기 회전체(18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엔코더회전체(174)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 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신호가 상기 회로기판(170)에 인쇄되는 회로를 따라 상기 메인회로기판으로 전달되며, 메인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마이컴에 의해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열원(310)을 비롯한 다수의 부품들이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8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회전체(180)를 회전 운동시켜 상기 본체(100)를 동작시키고자 할 때 회전체(180)를 회전 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파지부(188)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파지부(188)에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인 손가락 등을 안착시킨 다음 상기 회전체(180)를 후방으로 압착한 후 파지부(188)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에 의해 회전체(180)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면서, 회전체(180)와 체결되는 상기 엔코더회전체(174)를 회전 운동시키게 됨으로써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80)의 전면에는 회전체(180)의 회전 정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기준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기준부는 회전체(180)의 회전 정도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파지부(188)가 기준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구성이나, 도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고정체(19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192)와 상기 전면부(19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체(18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 기 고정체홀(184)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고정부(1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192)는 상기 회전체(18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체수용부(182)의 함몰 길이보다 적은 두께를 가지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테두리 부분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192)의 테두리 부분에 절곡되는 길이는 상기 고정체수용부(182)의 함몰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면부(192)가 고정체수용부(182)에 수용되면 그 앞면이 회전체(180)의 앞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94)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전면부(192)의 후면 중앙부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194)는 전면부(192)가 상기 고정체수용부(182)에 수용되면, 상기 고정체홀(184)을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170)에 장착되는 상기 엔코더(172)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94)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고정부(194)를 상기 회로기판(170)에 고정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고정수단(196)이 구비된다. 고정부(194)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수단(196)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그 후단부 상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전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194)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수단(196)의 후단부 상면은 대략 "┛" 형태를 가지면서 상방으로 절곡된 다음 그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대략 "\" 형태를 가지는 경사면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의 후단부가 고정수단(196)의 후면 상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94)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수단(196)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그 후단부 하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194)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수단(196)의 후단부 하면은 대략 "┓" 형태를 가지면서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그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대략 "/" 형태를 가지는 경사면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의 후단부가 고정수단(196)의 후면 하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94)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수단(196)은 상기 회로기판(170)에 형성되는 고정홀(178)을 관통한 다음 그 후단부에 형성되는 절곡 부분이 상기 고정홀(178)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회로기판(170)의 후면에 지지된다.
이처럼, 상기 고정수단(196)의 절곡 부분이 상기 회로기판(170)의 후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부(194)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며 고정부(194)의 전방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고정체(190)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면서 고정체(190)가 회로기판(170)과 체결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체(190)와 상기 회전체(180) 및 상기 엔코더(172)의 결합을 살펴보면, 상기 컨트롤패널(150)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체수용부(154)의 내부 공간으로 회전체(180)를 위치시키게 되면, 회전체(18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186)가 상기 엔코더회전체(174)의 외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186)에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체결홈 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엔코더회전체(174)의 원주 면에는 상기 체결홈 또는 체결홀에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체결부(186)가 엔코더회전체(174)의 원주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결돌기가 체결홈 또는 체결홀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엔코더회전체(174)의 원주 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부(186)에 형성되는 체결홈 또는 체결홀에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체(180)는 상기 엔코더(172)와 체결된다.
상기 회전체(180)가 상기 엔코더(172)와 체결되면, 회전체(180)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체수용부(182)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고정체(190)를 수용하게 된다. 고정체(190)가 고정체수용부(182)에 수용되면, 상기 고정부(194)가 상기 고정체홀(184)을 관통하여 엔코더(172)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194)가 상기 엔코더(172)를 관통하게 되면, 상기 고정수단(196)의 후단부가 상기 회로기판(170)에 형성되는 고정홀(178)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체(190)는 회로기판(170)과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채용된 컨트롤부(140)를 살펴보기로 하며 전술된 바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 조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후방에는 사용자가 압착함으로써 조작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상기 버튼(162)이 장착되는 버튼패널(16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버튼패널(160)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버튼(162)을 지지하는 프레임(164)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64)은 일정 형태를 유지하면서 다수의 상기 버튼(162)이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앞면에 형성되는 상기 버튼홀(15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도록 버튼(162)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패널(160)이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후면에 체결되면, 버튼패널(160)에 배열되는 다수의 상기 버튼(162)들은 상기 버튼홀(152)을 관통하여 앞면이 컨트롤패널(150)의 앞면보다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버튼(162)이 상기 컨트롤패널(150)의 앞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 앞면이 컨트롤패널(150)의 앞면과 가상의 단일 면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버튼패널(160)이 구비되면, 상기 회로기판(170)의 앞면에는 상기 버튼(162)의 후단부 또는 후면과 접하면서 버튼(162)의 동작에 의해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신호부(164)가 회로기판(17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버튼(162)을 후방으로 압착하게 되면, 버튼(162)의 후단부 또는 후면이 상기 버튼신호부(164)를 압착하게 되고, 버튼신호부(164)가 압착되면서 상기 회로기판(170)에 인쇄되는 회로에 의해 조작 신호가 상기 마이컴으로 전달되고, 마이컴에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1열원(310)을 비롯한 다수의 부품들이 동작되면서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에 의하면, 결합 축이 형성되지 않는 조작장치가 구비되고, 이러한 조작장치에 의해 컨트롤부의 앞면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컨트롤부의 조작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트롤부의 앞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으로써 외관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조리기기를 제조 및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산업에서 많은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컨트롤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 조작장치의 회전체가 장착되는 조립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 조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케이스
112. 전방프레임 114. 후방커버
120. 도어 122. 도어핸들
124. 투시창 130. 전장실
140. 컨트롤부 150. 컨트롤패널
152. 버튼홀 154. 회전체수용부
156. 회전체홀
160. 버튼패널 162. 버튼
170. 회로기판 172. 엔코더
174. 엔코더회전체 176. 엔코더고정체
178. 고정홀 180. 회전체
182. 고정체수용부 184. 고정체홀
186. 체결부 188. 파지부
190. 고정체 192. 전면부
194. 고정부 196. 고정수단
200. 캐비티 210. 제1패널
220. 제2패널 230. 제3패널
240. 제4패널 250. 상부커버
310. 제1열원 320. 제2열원
330. 제3열원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조리기기의 전면(前面) 외관 중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다수개의 홀 중에서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체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며,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회전체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가 장착되고,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수용되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엔코드회전체; 및
    상기 엔코드회전체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되는 엔코드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7. 조리기기의 전면(前面) 외관 중 일부분을 형성하는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다수의 홀 중에서 어느 하나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컨트롤패널 후방에 위치하며,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버튼패널;
    상기 버튼패널의 후방에 위치하여, 동작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전체와 체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며,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회전체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버튼패널과 구분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 및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기 컨트롤패널을 관통하면서 상기 회로기판과 체결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회전체의 이동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파지부가 더 구비되는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90027569A 2009-03-31 2009-03-31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KR101025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69A KR101025958B1 (ko) 2009-03-31 2009-03-31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569A KR101025958B1 (ko) 2009-03-31 2009-03-31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33A KR20100109133A (ko) 2010-10-08
KR101025958B1 true KR101025958B1 (ko) 2011-03-30

Family

ID=4313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569A KR101025958B1 (ko) 2009-03-31 2009-03-31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08B1 (ko) * 2018-04-24 2020-11-09 (주)쿠첸 마이크로폰을 탑재하는 조리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127Y1 (ko) * 1999-02-27 200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조립체
KR200348825Y1 (ko) * 2004-02-13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조작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127Y1 (ko) * 1999-02-27 200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조립체
KR200348825Y1 (ko) * 2004-02-13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조작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33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487B1 (ko) 조리기기
KR100212857B1 (ko) 고주파가열장치
JP4356653B2 (ja) 加熱調理器
KR101025958B1 (ko)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KR101574347B1 (ko) 조리기기
US8820311B2 (en) Oven range
KR20140128650A (ko) 조리 기기
KR101064060B1 (ko) 조리기기용 도어
KR101623975B1 (ko) 조리기기
KR101004480B1 (ko) 조리기기
KR101014437B1 (ko) 조리기기의 히터모듈
KR101026062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6584193B2 (ja) 加熱調理器
JP2009168411A (ja) 組込式加熱調理器
KR101003668B1 (ko) 조리기기
JP2019215095A (ja) 加熱調理器
KR102139505B1 (ko) 조리기기
KR20110085010A (ko) 조리기기
KR101026008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052152B1 (ko) 조리기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JP6398083B2 (ja) 加熱調理器
KR200262394Y1 (ko) 전자렌지
KR101628375B1 (ko) 조리기기
KR20220001279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