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650A -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650A
KR20140128650A KR1020130047319A KR20130047319A KR20140128650A KR 20140128650 A KR20140128650 A KR 20140128650A KR 1020130047319 A KR1020130047319 A KR 1020130047319A KR 20130047319 A KR20130047319 A KR 20130047319A KR 20140128650 A KR20140128650 A KR 20140128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ntainer
casing
spac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962B1 (ko
Inventor
김원태
송성배
지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6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제 1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용기를 포함하는 제 1 조리부; 및 제 2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는 제 2 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리부는, 상기 제 1 조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조리 공간 및 제 2 조리 공간이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제 1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용기와, 상기 제 1 용기를 가열하는 제 1 조리부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제 1 조리부; 및 제 2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와, 상기 제 2 용기를 가열하는 제 2 조리부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리부는 상기 제 1 조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2 조리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링(boiling) 방식, 스티밍(steaming) 방식 뿐만 아니라, 그릴링(griling)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 대상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조리 대상을 동시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리 대상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리물의 수용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A cooking appartus}
본 발명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전기나 가스 등을 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21241호에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내솥과,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과, 상기 본체를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전기압력 밥솥이 개시된다.
상기 뚜껑은 상기 내솥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력 유지수단과, 뚜껑의 열림을 방지하는 로커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내솥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내솥 내부에수용되는 물을 끓이는 보일링(boiling) 방식의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조리 대상을 조리하는 스티밍(steaming) 방식의 조리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리 기기는 보일링 방식 및 스티밍 방식으로 조리 방식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 대상이 상기 내솥보다 큰 경우, 조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조리 방식으로 조리가 가능한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피가 큰 조리 대상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제 1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용기를 포함하는 제 1 조리부; 및 제 2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는 제 2 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리부는, 상기 제 1 조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조리 공간 및 제 2 조리 공간이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제 1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용기와, 상기 제 1 용기를 가열하는 제 1 조리부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제 1 조리부; 및 제 2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와, 상기 제 2 용기를 가열하는 제 2 조리부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리부는 상기 제 1 조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2 조리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링(boiling) 방식, 스티밍(steaming) 방식 뿐만 아니라, 그릴링(griling)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 대상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조리 대상을 동시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리 대상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리물의 수용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가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조리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조리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가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복수의 조리부(200)(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리부(200)(300)는 제 1 조리부(200)와, 상기 제 1 조리부(200)에 연결되는 제 2 조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리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싱(210)과, 조리 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용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싱(210)에는, 상기 제 2 조리부(300)가 상기 제 1 조리부(200)에 결합되게 하는 걸림부(212)와, 상기 걸림부(21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2)는 상기 조작부(214)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2)는 상기 걸림부(212)가 걸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4)를 누르면, 상기 걸림부(212)는 해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작부(214)를 누르지 않으면, 상기 걸림부(212)는 상기 탄성부재의 힘을 받아 걸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케이싱(210)의 상면은 상기 제 2 조리부(300)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싱(210)의 상면은 상기 제 2 조리부(300)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케이싱(210)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20)는,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될 수 있는 제 1 조리 공간(22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용기(22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용기(220)를 파지하기 위한 제 1 용기 손잡이부(223)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20)는 상기 제 1 케이싱(2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용기 손잡이부(223)를 파지하고, 상기 제 1 용기(220)를 상기 제 1 케이싱(2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싱(21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용기(2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조리부 가열장치(230, 도 5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리부 가열장치(230)는, 예를 들어,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판이거나, 전자유도가열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력선이 상기 용기를 통과하도록 상기 용기의 둘레에 배치되는 전기 코일일 수 있다. 상기 제 1 조리부 가열장치(230)의 작동 원리는 기존의 전기 압력 밥솥의 방식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조리부(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싱(310)과, 조리 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용기(330)와, 상기 제 2 용기(330)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싱(310)은, 상기 상기 제 1 케이싱(210)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싱(310)이 상기 제 1 케이싱(210)과 결합되면, 제 1 조리 공간(221)과, 제 2 조리 공간(331)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조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케이싱(310)이 상기 제 1 케이싱(210)과 분리되면, 상기 제 1 조리 공간(221)과, 제 2 조리 공간(331)은 서로 분리되어 각각의 조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싱(310)은 일 예로 상기 제 1 케이싱(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 각도에 따라서, 제 1 케이싱(210)에 결합되거나, 제 1 케이싱(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싱(310)은, 도 2를 기준으로 상면이 개구되는 제 2 케이싱 본체(311)와, 상기 제 2 케이싱 본체(3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기 위한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싱 본체(311)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 2 케이싱(310)을 회동시킬 때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12)와, 상기 제 2 케이싱(310)이 상기 제 1 케이싱(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부(3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12)는 상기 제 2 케이싱 본체(311)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함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회동부(315)는 상기 제 2 케이싱의 일측에 힌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320)에는, 상기 걸림부(212)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삽입부(322)와, 상기 제 2 용기(330)의 제 2 조리 공간(332)을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구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322)와, 걸림부(212) 및 조작부(214)는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20)는,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6)는 상기 함몰부(216)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310)이 서로 결합되면, 상기 돌출부(326)가 상기 함몰부(216)에 형합되어, 상기 제 1 조리 공간(221)과 제 2 조리 공간(331)의 기밀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216)와, 돌출부(326)는 서로 반대의 위치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20)는 상기 제 2 케이싱 본체(311)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22)는 예를 들어, 상기 회동부(315)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싱(310)이 회동되어, 상기 제 1 케이싱(210)과 맞닿으면, 상기 삽입부(322)에는 상기 걸림부(212)가 삽입되어, 상기 제 2 케이싱(310)이 상기 제 1 케이싱(210)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 걸림부(212) 및 삽입부(32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 1 케이싱(210) 및 제 2 케이싱(310)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24)는, 상기 제 2 용기(330)의 테두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24)에는, 패킹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싱(210)과 제 2 케이싱(320)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2 용기(330) 및 제 1 용기(220)를 서로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용기(330)는,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되는 제 2 조리 공간(331)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용기(330)는 상기 제 2 케이싱(3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케이싱(310)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용기(330)는 상기 제 2 케이싱(310)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용기(330)의 테두리부는 상기 개구부(324)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용기(330)의 상방은 상기 커버(32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상기 제 2 케이싱(310)이 회동되는 도중에 상기 제 2 용기(330)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용기(330)는, 상기 커버(320)를 분리한 뒤에, 상기 제 1 케이싱(310)으로부터 탈부착 될 수 있다.
상기 제 2 용기(3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허터(340)에서 열이 발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제 2 용기(330)를 통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용기(330)는 강화 유리일 수 있다.
상기 히터(340)는, 상기 제 2 조리 공간(331)을 가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히터(340)는, 상기 제 2 케이싱(310) 및 제 2 용기(330) 사이에 배치되는 그릴 히터(gril heater)일 수 있다. 상기 히터(340)에 의하여 상기 제 2 조리 공간(331)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은 그릴 방식으로 조리될 수 있다. 상기 히터(340)는 상기 제 2 조리부(300)에 포함되는 제 2 조리 공간(331)을 가열하는 점에서, 제 2 조리부 가열장치(340)라고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조리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조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조리부(300)는, 상기 제 2 케이싱 본체(311)와, 히터(340)와, 제 2 용기(340)와, 커버(320)와, 상기 히터(34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상기 제 2 조리 공간(331)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350)과, 상기 히터(34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싱 본체(311)는, 내부에 각종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317)을 형성하며, 상기 반사판(3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4)는 상기 설치 공간(317)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지지부(314)는 일 예로 상기 설치 공간(317)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사판(350)이 상기 설치 공간(317)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14)에는, 상기 반사판(350)에 구비되는 날개부(35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6)는 상기 날개부(35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착부(316)는 상기 지지부(314)의 단부 가운데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352)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350)은, 상기 제 2 용기(330)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350)은, 제 2 케이싱 본체(311) 및 제 2 용기(3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340)는, 상기 반사판(350) 및 제 2 용기(3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350)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352)와, 상측 테두리 중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보다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352)는, 상기 안착부(316)에 안착되어, 상기 반사판(350)이 상기 설치 공간(317)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상기 손잡이 삽입부(354)는, 상기 제 2 용기(330)에 구비되는 제 2 용기 손잡이부(333)이 삽입되는 공간에 해당된다. 상기 손잡이 삽입부(354)에는 상기 제 2 용기 손잡이부(333)가 안착되어, 상기 제 2 용기(330)의 저면이 상기 반사판(35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용기(330)의 저면 및 반사판(350)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히터(3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352)는 상기 손잡이 삽입부(354)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316)에 의하여 상기 날개부(352) 및 제 2 용기 손잡이부(333)가 함께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안착부(316)에는, 상기 날개부(352) 및 제 2 용기 손잡이부(333)가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날개부(352) 및 손잡이 삽입부(35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위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설치 공간(317)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반사판(350) 및 제 2 케이싱 본체(311)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에 의하여, 상기 히터(34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제 2 조리 공간(331)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상기 조리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와, 상기 조리 기기(100)의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20)와, 상기 조리 기기(100)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30)와, 상기 제 1 조리부 가열장치(230)와, 제 2 조리부 가열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조리부 가열장치(230) 및 제 2 조리부 가열장치(240)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 1 용기(220) 및/또는 제 2 용기(330)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의 조리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출력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 1 조리부 가열장치(230)와, 제 2 조리부 가열장치(340)를 각각 구동시키거나, 동시에 구동시키거나, 교번하여 구동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조리부(200)에 수용된 조리 대상을 보일링(boiling) 방식 또는 스티밍(steaming) 방식으로 조리하고, 상기 제 2 조리부(300)에 수용된 조리 대상을 그릴링(griling) 방식으로 조리하여, 두 개의 분리된 개별 조리 공간(221)(331)에서 각각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조리부(200) 및 제 2 조리부(30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제 1 조리 공간(221) 및 제 2 조리 공간(331)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 3 조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 3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을 상기 제 1 조리부 가열장치(230) 및/또는 제 2 조리부 가열장치(340)를 이용하여 된 상태에서, 보일링(boiling) 방식, 스티밍(steaming) 방식 및/또는 그릴링(griling) 방식을 이용하여 조리 대상을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링(boiling) 방식, 스티밍(steaming) 방식 뿐만 아니라, 그릴링(griling)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 대상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조리 대상을 동시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리 대상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리물의 수용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제 1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용기를 포함하는 제 1 조리부; 및
    제 2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는 제 2 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리부는, 상기 제 1 조리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조리 공간 및 제 2 조리 공간이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조리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부는 상기 제 1 조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리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부는,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용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커버하며, 상기 제 2 조리 공간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제 2 조리 공간을 조리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케이싱 및 제 2 용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그릴 히터인 조리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상기 제 2 조리 공간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 2 용기를 감싸도록 상기 케이싱 및 제 2 용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 히터는 상기 제 2 용기 및 반사판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반사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날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조리 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는,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용기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에는, 상측 테두리 중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는 손잡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 2 용기 손잡이부가 삽입되는 조리 기기.
  9. 제 1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용기와, 상기 제 1 용기를 가열하는 제 1 조리부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제 1 조리부; 및
    제 2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와, 상기 제 2 용기를 가열하는 제 2 조리부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리부는 상기 제 1 조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2 조리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조리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부가 상기 제 2 조리 공간을 차폐하면, 상기 제 1 조리 공간 및 제 2 조리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제 3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조리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리부 가열장치 또는 제 2 조리부 가열장치는 상기 제 3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부는,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용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조리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케이싱 및 히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상기 제 2 조리 공간으로 반사되게 하는 반사판; 및
    상기 케이싱을 커버하며, 상기 제 2 조리 공간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기는,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용기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반사판 및 제 2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날개부 및 제 2 용기 손잡이부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조리 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및 케이싱 사이에는 상기 히터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조리 기기.
KR1020130047319A 2013-04-29 2013-04-29 조리 기기 KR10205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319A KR102057962B1 (ko) 2013-04-29 2013-04-29 조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319A KR102057962B1 (ko) 2013-04-29 2013-04-29 조리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650A true KR20140128650A (ko) 2014-11-06
KR102057962B1 KR102057962B1 (ko) 2019-12-20

Family

ID=5245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319A KR102057962B1 (ko) 2013-04-29 2013-04-29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684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밥솥
US20180295679A1 (en) * 2017-04-10 2018-10-11 Lg Electronics Inc.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20190073336A (ko) * 2017-04-10 201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KR200491113Y1 (ko) * 2019-05-28 2020-04-07 이호열 내부 가열식 음식물 배달가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403Y1 (ko) * 2004-07-09 2004-10-08 주식회사삼일스텐 조리 용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684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밥솥
US20180295679A1 (en) * 2017-04-10 2018-10-11 Lg Electronics Inc.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WO2018190470A1 (ko) * 2017-04-10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KR20180114340A (ko) * 2017-04-10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KR20190073336A (ko) * 2017-04-10 201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US11064578B2 (en) 2017-04-10 2021-07-13 Lg Electronics Inc.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200491113Y1 (ko) * 2019-05-28 2020-04-07 이호열 내부 가열식 음식물 배달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962B1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399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864514B1 (ko) 복합 조리기기
KR101539900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JP2004167208A (ja)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JP3999724B2 (ja) 電子レンジ
KR20140128650A (ko) 조리 기기
KR20180129197A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KR20040017955A (ko) 전자렌지
KR100491795B1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KR101623978B1 (ko) 조리기기
KR102501583B1 (ko) 압력밥솥
KR100589768B1 (ko) 발열체가 내장된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
KR102576022B1 (ko) 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바베큐 그릴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KR101231322B1 (ko) 가스 오븐 레인지의 오븐 도어 손잡이 체결구조
KR102471054B1 (ko) 복합 조리기기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JPH031016A (ja) 加熱調理器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9990000741U (ko) 전자 렌지용 그릴 석쇠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KR200157113Y1 (ko) 전자렌지용 그릴 석쇠
KR20220144952A (ko) 커피메이커 및 팬플레이트 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일체형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