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583B1 - 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583B1
KR102501583B1 KR1020180133553A KR20180133553A KR102501583B1 KR 102501583 B1 KR102501583 B1 KR 102501583B1 KR 1020180133553 A KR1020180133553 A KR 1020180133553A KR 20180133553 A KR20180133553 A KR 20180133553A KR 102501583 B1 KR102501583 B1 KR 10250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lid
shaft
groove
accommod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659A (ko
Inventor
유수찬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5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뚜껑을 세우기 위한 지지부재가 상기 뚜껑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뚜껑을 세우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뚜껑으로부터 돌출되는 압력밥솥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밥솥은, 상측이 개구된 밥솥과, 상기 밥솥의 개구된 상측을 덮고 상면에 지지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뚜껑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뚜껑을 세울 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을 지지한다.

Description

압력밥솥{PRESSURE RICE COOKER}
본 발명은 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밥솥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구비하지 않은 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상측이 개구된 밥솥과, 상기 밥솥의 개구된 상측을 덮는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밥솥은, 상기 밥솥 내에 쌀과 물을 함께 넣고, 상기 뚜껑으로 상기 밥솥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한 후, 가열부로 밥솥을 가열하여 밥을 짓는 조리기구로서, 상기 밥솥을 가열함에 따라 상기 밥솥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밥이 차지게 지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압력밥솥은 상기 가열부를 구비하는 전기압력밥솥과, 상기 가열부를 구비지 않은 압력밥솥으로 구별된다.
상기 전기압력밥솥은 상기 밥솥이 삽입되는 본체 내에 상기 가열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가열부는 상기 밥솥을 가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전기압력밥솥은 상기 밥솥에 쌀 및 물을 함께 넣고 밥을 짓는 취사기능과, 취사가 완료된 밥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보온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상기 전기압력밥솥은 상기 취사가 완료된 밥을 보온하는 중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밥에서 수분이 증발하여, 상기 밥은 누렇게 변색되어가고 좋지 않은 냄새도 발생시켜서, 결국 밥맛이 점차적으로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기압력밥솥을 구매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취사기능만 사용하여 밥을 지어서 먹고, 남은 밥은 용기에 담아 냉동실에 보관한 후, 추후에 먹을 때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데워서 먹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상기와 같이 최근의 상기 전기압력밥솥에서 상기 보온기능은 쓸모없는 기능이 되어 버렸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전기압력밥솥보다는 상기 가열부를 구비하지 않은 압력밥솥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1598호(2017.05.02. 공고)에는 '클램프 타입 압력밥솥 뚜껑의 잠금해제장치'(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뚜껑(20)을 바닥에 세울 수 있게 하기 위해, 손잡이(30)가 뚜껑(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뚜껑(20)의 둘레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뚜껑(20)을 바닥에 세울 때, 손잡이(30)는 뚜껑(20)을 바닥에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손잡이(30)가 뚜껑(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20)의 설거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뚜껑을 세우기 위한 지지부재가 상기 뚜껑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뚜껑을 세우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뚜껑으로부터 돌출되는 압력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뚜껑의 상측으로 돌출 시, 밥솥 내의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밥솥은, 상측이 개구된 밥솥과, 상기 밥솥의 개구된 상측을 덮고 상면에 지지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뚜껑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뚜껑을 세울 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을 지지한다.
상기 뚜껑의 상면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일 때,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뚜껑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형성된 지지부재 본체와,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본체 및 상기 돌기부는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돌기부와,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일 때, 사용자가 소정의 가압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일 때, 사용자가 상기 가압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뚜껑을 세울 시 상기 뚜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샤프트 설치부와, 상기 샤프트 설치부 내에 설치되는 제1 락부재와, 상기 샤프트 설치부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일 때 상기 제1 락부재에 걸림되는 제1 걸림홈과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일 때 상기 제1 락부재에 걸림되는 제2 걸림홈이 형성된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에 하단이 상기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 설치부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의 하단 및 상기 샤프트 설치부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의 하단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설치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돌기에는 상기 밥솥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제1 압력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설치부에는 상기 제1 압력배출홀을 통해 상기 샤프트 설치부 내로 유입된 압력을 배출하는 제2 압력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면 상기 제1 삽입돌기는 상기 제1 압력배출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압력배출홀을 차폐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면 상기 제1 삽입돌기는 상기 제1 압력배출홀에서 빠져나와 상기 제1 압력배출홀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배출홀은 상기 제2 삽입돌기에 수직으로 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압력배출홀은 상기 샤프트 설치부에 수평으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의 상단에는 샤프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제3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하단에는 상기 샤프트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 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설치홈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2 락부재와, 상기 설치홈을 덮고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3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뚜껑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밥솥은, 뚜껑을 세우기 위한 지지부재가 상기 뚜껑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뚜껑을 세우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뚜껑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설거지가 쉽고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밥솥은,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뚜껑의 상측으로 돌출 시, 밥솥 내의 압력을 배출하기 때문에, 취사완료 후 뚜껑을 밥솥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이 밥솥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의 뚜껑을 세우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의 지지부재가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의 지지부재가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어 뚜껑을 세우기 위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이 밥솥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의 뚜껑을 세우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의 지지부재가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의 지지부재가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어 뚜껑을 세우기 위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밥솥은, 상측이 개구된 밥솥(10)과, 밥솥(10)의 개구된 상측을 덮는 뚜껑(2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은, 가열부를 구비하지 않은 압력밥솥으로 구비된다.
사용자는 밥을 짓기 위해, 밥솥(10) 내에 쌀 및 물을 넣은 후, 밥솥(10)을 별도로 마련된 가열부 위에 올려놓고 밥솥(10)을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는 가스레인지 또는 전기레인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상기 가스레인지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열부는 밥솥(10)을 직접 가열하는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상기 전기레인지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열부는 전자기를 이용해 밥솥(10)을 직접 가열하는 인덕션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내부에 구비된 열선이 상판을 가열하는 하이라이트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밥솥(10)은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2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20)의 하측에는 밥솥(10)의 개구된 상측을 밀폐하는 링형의 패킹(21)이 구비될 수 있다. 뚜껑(20)이 밥솥(10)의 개구된 상측을 덮으면, 뚜껑(20)이 밥솥(1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일 때, 패킹(21)은 밥솥(10)의 상단을 실링하여서, 취사 중에 밥솥(10) 내에 압력이 밥솥(10)의 상단 및 뚜껑(20)의 하단 사이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20)에는 상면에는 압력배출부재(22)가 구비된다. 압력배출부재(22)는 취사 중에 밥솥(10) 내의 압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밥솥(10) 내의 압력을 배출할 수 있다. 압력배출부재(22)의 내부에는 상하로 길게 압력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배출유로의 하단은 밥솥(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압력배출유로의 상단은 밥솥(10)의 내부에서 상기 압력배출유로내로 유입된 압력을 배출하는 배출홀을 형성할 수 있다. 압력배출부재(22)가 밥솥(10) 내의 압력에 의해 뚜껑(2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배출홀은 뚜껑(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밥솥(10)의 내의 압력을 배출할 수 있다.
뚜껑(2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23)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의 하측에는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PCB에는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다른 가전기기에 마련된 통신부와 통신하여, 상기 다른 가전기기의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23)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 받은 상기 다른 가전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가전기기는 정미기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은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정미기로부터 정미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23)는 상기 정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미정보는 상기 정미기에서 정미되는 쌀의 양 및 쌀의 정미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 받은 상기 정미정보를, 상기 가열부가 구비된 조리기기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조리기기에 구비된 제어부는 상기 전송된 상기 정미정보에 따라 상기 가열부의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뚜껑(20)에는 한 쌍의 손잡이(24)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손잡이(24)는 뚜껑(2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뚜껑(20)의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쌍의 손잡이(24)를 잡고 뚜껑(20)을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뚜껑(20)을 밥솥(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 쌍의 손잡이(24)에는 뚜껑(20)을 밥솥(10)에 고정하는 잠금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취사 중에 밥솥(10) 내에 압력에 의해 뚜껑(20)이 밥솥(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해제한 후, 뚜껑(20)을 밥솥(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뚜껑(20)의 상면에는 지지부재 수용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 수용홈(25)에는 지지부재(26)가 수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26)는 뚜껑(20)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26)는 상측으로 이동시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재(26)는 뚜껑(20)을 세울 시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뚜껑(20)을 지지할 수 있다.
뚜껑(20)의 상면 및 지지부재(26)의 상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6)는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된 상태일 때, 지지부재(26)의 상면은 뚜껑(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6)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형성된 지지부재 본체(26A)와, 지지부재 본체(26A)의 길이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26B,26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6)는 돌기부(26B,26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된 상태일 때 뚜껑(2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 본체(26A) 및 돌기부(26B,26C)는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6B,26C)는 지지부재 본체(26A)의 길이방향에 대해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6B,26C)는, 지지부재 본체(26A)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돌기부(26B)와, 지지부재 본체(26A)의 길이방향에 대해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돌기부(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부(26B) 및 제2 돌기부(26C)는 지지부재 본체(26A)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 수용홈(25) 및 지지부재(26)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 수용홈(25) 및 지지부재(26)는 각각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6)가 도 3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된 상태일 때, 사용자가 소정의 가압력으로 지지부재(26)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압력을 해제하면, 지지부재(26)는 도 3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6)가 도 3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된 상태일 때, 사용자가 상기 가압력으로 지지부재(26)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압력을 해제하면, 지지부재(26)는 도 3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26)는 도 3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 3의 (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뚜껑을 세울 시 도 3의 (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지지부재 수용홈(25)의 바닥면에는 샤프트 설치부(31,32)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설치부(31,32)의 하단은 지지부재 수용홈(25)의 바닥면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 설치부(31,32)는, 수평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설치부 본체(31)와, 설치부 본체(31)의 개구된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부 커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 본체(31)는 상단의 수평길이가 하단의 수평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 커버(32)는 수직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부 본체(31)의 일측에 설치부 커버(32)가 결합되면, 샤프트 설치부(31,32)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제2 샤프트(60)가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설치부(31,32) 내에는 제1 락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락부재(40)는 상하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락부재(40)의 상단은 샤프트 설치부(31,32)의 내벽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락부재(40)의 상단은 설치부 본체(31)의 내벽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락부재(40)의 하단은 후술하는 제1 샤프트(50)에 형성된 제1 걸림홈(51) 또는 제2 걸림홈(52)에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 설치부(31,32) 내에는 제1 샤프트(5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샤프트(50)에는 제1 걸림홈(51) 및 제2 걸림홈(52)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홈(51)은 제2 걸림홈(5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걸림홈(52)은 제1 걸림홈(5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샤프트(5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된 상태일 때, 제1 락부재(40)의 하단은 제1 걸림홈(51)에 삽입되어, 제1 걸림홈(51)은 제1 락부재(40)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된 상태일 때, 제1 락부재(40)의 하단은 제2 걸림홈(52)에 삽입되어, 제2 걸림홈(52)은 제1 락부재(40)에 걸림될 수 있다.
제1 샤프트(50)의 외주면에는 제1 걸림홈(51)의 일측 및 제2 걸림홈(52)의 일측을 연결하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되거나,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될 때, 제1 락부재(40)의 하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제1 샤프트(50)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샤프트 설치부(31,32)에는 제2 샤프트(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0)는 샤프트 설치부(31,32)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0)는 샤프트 설치부(31,32)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홀을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제2 샤프트(6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0)의 외주면에는 제1 이동제한돌기(6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설치부(31,32)의 상단 하측면에는 제1 이동제한돌기(61)가 걸림되는 제2 이동제한돌기(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제한돌기(61) 및 제2 이동제한돌기(33)는 서로 걸림되어, 제2 샤프트(60)의 상측으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이동제한돌기(33)는 샤프트 설치부(31),32)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홀을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제2 이동제한돌기(33)는 설치부 본체(31)의 상단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된 상태인 제2 걸림홈(52)에 제1 락부재(40)가 삽입된 상태일 때, 제1 이동제한돌기(61)는 제2 이동제한돌기(33)에 걸림되어, 제2 샤프트(60)의 상측으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샤프트(60)는 제1 샤프트(50)에 하단이 뚜껑(2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지지부재(26)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0)는 제1 샤프트(50)에 대해 뚜껑(20)의 둘레방향으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제1 샤프트(50)는 제2 샤프트(60)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뚜껑(20)을 세우기 위해 지지부재(26)를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시킨 후 뚜껑(2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샤프트(60)는 제1 샤프트(50)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0)의 상단은 지지부재(26)의 하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 스크류가 형성되고, 제2 샤프트(60)의 상단이 삽입되는 지지부재(26)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0)의 상단은 지지부재(26)의 중심에 결합되는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26)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홈은 지지부재(26)의 하측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샤프트(50)의 하단 및 샤프트 설치부(31,32)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70)는 제1 샤프트(50)의 하단 및 설치부 본체(31)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70)는 제1 샤프트(5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7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지부재(26)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되면, 제1 탄성부재(70)는 압착되어 제1 샤프트(5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탄성부재(70)가 제1 샤프트(5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26)는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샤프트(50)의 하단에는 제1 탄성부재(70)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 설치부(31,32)의 바닥면에는 제1 탄성부재(70)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돌기(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70)는 제1 삽입돌기(53) 및 제2 삽입돌기(34)에 의해 제1 샤프트(50)의 하단 및 샤프트 설치부(31,32)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삽입돌기(34)에는 밥솥(1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제1 압력배출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 설치부(31,32)에는 제1 압력배출홀(35)을 통해 샤프트 설치부(31,32) 내로 유입된 압력을 배출하는 제2 압력배출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력배출홀(35)은 제2 삽입돌기(34)에 수직으로 통하게 형성되고, 제2 압력배출홀(36)은 샤프트 설치부(31,32)에 수평으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 압력배출홀(35) 및 제2 압력배출홀(36)이 모두 수직으로 통하게 형성되는 경우, 밥솥(10) 내의 압력이 제1 압력배출홀(35) 및 제2 압력배출홀(36)을 통해 상측으로 빠르게 이동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압력배출홀(35)만 수직으로 통하게 형성되고, 제2 압력배출홀(36)은 수평으로 통하게 형성되므로, 밥솥(10) 내의 압력이 제1 압력배출홀(35) 및 제2 압력배출홀(36)을 통해 배출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 수용되면, 제1 삽입돌기(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력배출홀(35)로 삽입되어 제1 압력배출홀(35)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되면 제1 삽입돌기(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력배출홀(35)에서 빠져나와 제1 압력배출홀(35)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샤프트(50)의 상단에는 샤프트 삽입홈(54)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삽입홈(54)의 내주면에는 제3 걸림홈(5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0)의 하단에는 샤프트 삽입홈(5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6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62)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홈(63)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63) 내에는 제2 탄성부재(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8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설치홈(63) 내에는 제2 락부재(8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락부재(81)는 제2 탄성부재(8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2 락부재(81)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8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63)은 커버(83)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커버(83)는 설치홈(63)을 덮을 수 있다. 커버(83)에는 걸림돌기(82)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락부재(81)가 설치홈(6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2 탄성부재(80)는 압착되어 제2 락부재(81)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락부재(81)는 제2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락부재(81)가 외측으로 이동시 걸림돌기(82)는 커버(83)에 형성된 상기 홀을 통과한 후 제3 걸림홈(55)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뚜껑(20)을 세우기 위해,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뚜껑(20)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면, 걸림돌기(82)가 제3 걸림홈(55)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6)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뚜껑(20)을 세우기 위해, 지지부재(26)가 지지부재 수용홈(25)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뚜껑(20)의 둘레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 걸림돌기(82)가 제3 걸림홈(55)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6)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지부재(26)를 소정의 힘을 가해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지지부재(26)가 회전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82)의 끝단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 걸림홈(55)도 반구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3 걸림홈(55)은 샤프트 삽입홈(5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걸림홈(55)은 샤프트 삽입홈(5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지부재(26)를 뚜껑(2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지지부재(26)가 90도 회전시마다 걸림돌기(82)는 제3 걸림홈(55)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6)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은, 뚜껑(20)을 세우기 위한 지지부재(26)가 뚜껑(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뚜껑(20)을 세우고자 하는 경우에만 지지부재(26)가 뚜껑(20)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설거지가 쉽고 외관이 미려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밥솥은, 지지부재(26)가 뚜껑(20)의 상측으로 돌출 시, 밥솥(10) 내의 압력을 배출하기 때문에, 취사완료 후 뚜껑(20)을 밥솥(1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밥솥 20 : 뚜껑
25 : 지지부재 수용홈 26 : 지지부재
26A : 지지부재 본체 26B,26C : 돌기부
31,32 : 샤프트 설치부 34 : 제2 삽입돌기
35 : 제1 압력배출홀 36 : 제2 압력배출홀
40 : 제1 락부재 50 : 제1 샤프트
51 : 제1 걸림홈 52 : 제2 걸림홈
53 : 제1 삽입돌기 54 : 삽입홈
55 : 제3 걸림홈 60 : 제2 샤프트
62 : 삽입돌기 63 : 설치홈
70 : 제1 탄성부재 80 : 제2 탄성부재
81 : 제2 락부재 82 : 걸림돌기
83 : 커버

Claims (15)

  1. 상측이 개구된 밥솥;
    상기 밥솥의 개구된 상측을 덮고, 평탄한 상면에 지지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뚜껑;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뚜껑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일 때, 상기 뚜껑의 상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을 세울 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을 지지하는 압력밥솥.
  2. 삭제
  3. 삭제
  4. 상측이 개구된 밥솥;
    상기 밥솥의 개구된 상측을 덮고, 상면에 지지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뚜껑;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뚜껑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형성된 지지부재 본체와,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뚜껑을 세울 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을 지지하는 압력밥솥.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본체 및 상기 돌기부는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압력밥솥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압력밥솥.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돌기부와,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지지부재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압력밥솥.
  8. 상측이 개구된 밥솥;
    상기 밥솥의 개구된 상측을 덮고, 상면에 지지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뚜껑;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뚜껑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뚜껑을 세울 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일 때, 사용자가 소정의 가압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일 때, 사용자가 상기 가압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는 압력밥솥.
  9. 상측이 개구된 밥솥;
    상기 밥솥의 개구된 상측을 덮고, 상면에 지지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는 뚜껑;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뚜껑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뚜껑을 세울 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뚜껑을 지지하는 압력밥솥.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샤프트 설치부;
    상기 샤프트 설치부 내에 설치되는 제1 락부재;
    상기 샤프트 설치부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일 때 상기 제1 락부재에 걸림되는 제1 걸림홈과,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일 때 상기 제1 락부재에 걸림되는 제2 걸림홈이 형성된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하단이 상기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 설치부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압력밥솥.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하단 및 상기 샤프트 설치부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샤프트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압력밥솥.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하단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설치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돌기에는 상기 밥솥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제1 압력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설치부에는 상기 제1 압력배출홀을 통해 상기 샤프트 설치부 내로 유입된 압력을 배출하는 제2 압력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 수용되면, 상기 제1 삽입돌기는 상기 제1 압력배출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압력배출홀을 차폐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되면, 상기 제1 삽입돌기는 상기 제1 압력배출홀에서 빠져나와 상기 제1 압력배출홀을 개방하는 압력밥솥.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배출홀은 상기 제2 삽입돌기에 수직으로 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압력배출홀은 상기 샤프트 설치부에 수평으로 통하게 형성되는 압력밥솥.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상단에는 샤프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제3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하단에는 상기 샤프트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 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설치홈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2 락부재와,
    상기 설치홈을 덮고,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뚜껑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3 걸림홈에 삽입되는 압력밥솥.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압력밥솥.
KR1020180133553A 2018-11-02 2018-11-02 압력밥솥 KR10250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553A KR102501583B1 (ko) 2018-11-02 2018-11-02 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553A KR102501583B1 (ko) 2018-11-02 2018-11-02 압력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659A KR20200050659A (ko) 2020-05-12
KR102501583B1 true KR102501583B1 (ko) 2023-02-17

Family

ID=7067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553A KR102501583B1 (ko) 2018-11-02 2018-11-02 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110A (ja) 2009-02-17 2010-09-02 Yasutake Yamamoto 鍋の縁に装着ですることができる蓋と杓子
CN203182719U (zh) 2013-04-15 2013-09-11 方良玉 自立式锅盖
CN104274082A (zh) 2014-09-16 2015-01-14 中山市德斯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易放置锅盖
CN108497917A (zh) * 2018-05-31 2018-09-07 武义华康电器有限公司 夹钳式压力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110A (ja) 2009-02-17 2010-09-02 Yasutake Yamamoto 鍋の縁に装着ですることができる蓋と杓子
CN203182719U (zh) 2013-04-15 2013-09-11 方良玉 自立式锅盖
CN104274082A (zh) 2014-09-16 2015-01-14 中山市德斯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易放置锅盖
CN108497917A (zh) * 2018-05-31 2018-09-07 武义华康电器有限公司 夹钳式压力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659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830B1 (en)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CN104257268B (zh) 饭煲及其控制方法
JP3999724B2 (ja) 電子レンジ
KR101851219B1 (ko) 전자렌지용 트레이 및 이를 갖춘 전자렌지와 전자렌지의 제어방법과 전자렌지용 트레이 제조방법
KR101428024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KR20040017955A (ko) 전자렌지
CN201814427U (zh) 用于在液体中烹饪食品的厨房用具
JP2000041838A (ja) 電気鍋
JP4000531B2 (ja) 加熱調理器
KR102501583B1 (ko) 압력밥솥
JP3214185U (ja) 電子レンジ用炊飯器
KR20140128650A (ko) 조리 기기
CN205197820U (zh) 电烤箱及电烤箱的炉腔
CN206979339U (zh) 烹饪器具
JP6369138B2 (ja) 電気炊飯器
KR101019226B1 (ko) 전기양면쿠커
JP2008206541A (ja) 加熱調理器
JP6281397B2 (ja) 電気炊飯器
JP6369139B2 (ja) 電気炊飯器
CN215959364U (zh) 电饭锅
KR101593606B1 (ko) 열매체를 이용한 가열용기
CN105105651A (zh) 电烤箱及电烤箱的炉腔
KR20110073659A (ko) 전자렌지용 밥솥
CN208510696U (zh) 烹饪器具
CN108236347A (zh) 烹饪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