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514B1 - 복합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복합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514B1
KR101864514B1 KR1020160180502A KR20160180502A KR101864514B1 KR 101864514 B1 KR101864514 B1 KR 101864514B1 KR 1020160180502 A KR1020160180502 A KR 1020160180502A KR 20160180502 A KR20160180502 A KR 20160180502A KR 101864514 B1 KR101864514 B1 KR 101864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heating unit
vacuu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514B1/ko
Priority to EP17210209.7A priority patent/EP3343115B1/en
Priority to DE202017007318.8U priority patent/DE202017007318U1/de
Priority to US15/855,298 priority patent/US1086358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14B1/ko
Priority to US17/090,750 priority patent/US2021005902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8Packaging of edible materials intended to be cooked 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8Hand-operat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2Heated wire resistive ribbon, resistive band or resistive strip
    • B29C65/221Heated wire resistive ribbon, resistive band or resistive strip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wire, resistive ribbon, band or strip
    • B29C65/222Heated wire resistive ribbon, resistive band or resistive strip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wire, resistive ribbon, band or strip comprising at least a single heated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01Joining in special atmospheres
    • B29C66/0012Joining in specia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nvironment
    • B29C66/0014Gaseous environments
    • B29C66/00145Vacuum, e.g. partial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29C66/4312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for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e.g. transversal seams
    • B29C66/43121Closing the ends of tubular or hollow single articles, e.g. closing the end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4Joining or pressing tools pivoting around one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용기장착부와 진공포장모듈장착부가 서로 인접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용기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용기와; 제1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진공포장모듈장착부에 설치되어 식품포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압발생부와; 진공압발생부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식품포장용기를 가열하여 밀봉시키는 밀봉가열부; 및 제1용기와 진공압발생부 및 진공압발생부를 덮거나 개방하도록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및 고온가열유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부, 및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온가열부를 포함하는 고온가열유닛;을 포함하고, 커버가 제1용기와 진공압발생부 및 진공압발생부를 덮었을 때, 커버가 상판부와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복합 조리기기{COMBINATION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고,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어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 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
상기 복합 조리기기에서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히터 또는 버너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바비큐요리나 빵 등과 같은 오븐요리, 생선구이와 같이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개방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개방형 조리기기 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한 오븐요리, 구이요리, 찜요리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조리법 외에도 여러 새로운 조리법이 새롭게 개발되거나 일부에서만 사용되던 독특한 조리법들이 일반에 점차 전파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 중 하나가 수비드 조리법이다.
수비드(Sous Vide)는, 저온 진공 조리법을 통해 영양소, 질감, 맛 등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리법이다. 1799년 영국의 럼포드 백작(Benjamin Thomson, Count Rumford)에 의해 공기를 사용하는 형태로 처음 고안되어 1960년대 미국 및 프랑스의 엔지니어에 의해 조명된 식품보존 방법으로, 1974년 조르주 프랄뤼(George Pralus)에 의해 푸아그라(Foie gras) 요리에 사용된 이후, 브루노 구솔(Bruno Coussalult)에 의해 발전된 조리법이다. 프랑스어 "Sous-vide"는 진공 저온 조리법을 뜻하며, 영어로는 "Under vacuum"이라고도 한다. 1970년 이후 유럽의 일부 고급 레스토랑에서 사용되어 오다가 최근 국내에 소개되어 레스토랑이나 호텔 등의 고급메뉴에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비드 조리법은, 밀폐된 비닐봉지에 담긴 음식물을 약 50~60℃를 유지하는 저온의 물속에서 장시간 가열하는 조리방법이다. 이러한 수비드 조리법은, 재료 본연의 맛을 그대로 살려 최상의 질감, 향 및 영양분들을 모두 지켜내는 것이 장점이고, 특히 식감이 우수한데, 고기는 고온에서 조리시 단백질의 변형으로 인한 질겨짐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 부드러움과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겉과 속이 골고루 가열된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수비드 조리법을 이용한 조리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물의 온도를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 그리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진공 상태로 포장하여 확실하게 밀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수비드 조리는 조리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통상 4시간에서 최대 48시간 정도),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조절이 까다로우므로, 효과적인 수비드 조리를 위해서는 수비드 조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조리기기가 요구된다. 이와 함께,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진공 상태로 포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진공포장기도 필요하게 된다.
즉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 조리기기를 구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효과적인 수비드 조리를 위해서는 수비드 조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조리기기가 필요하게 되며,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진공 상태로 포장하기 위한 별도의 진공포장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방형 조리기기나 밀폐형 조리기기나 복합 조리기기와 같은 통상의 조리기기와 수비드 전용 조리기기 및 진공포장기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면, 이들을 함께 설치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들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경우 진공 포장, 수비드 조리, 기타 재조리를 각각 별도의 위치에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쿡탑부를 이용한 조리와 오븐 조리, 그리고 수비드 조리와 같은 저온조리 및 저온조리를 위해 필요한 진공 포장 작업을 하나의 장치에서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하면서도 안정성 및 완성도가 높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포장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용기장착부와 진공포장모듈장착부가 서로 인접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용기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진공포장모듈장착부에 설치되어 식품포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압발생부와; 상기 진공압발생부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식품포장용기를 가열하여 밀봉시키는 밀봉가열부; 및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진공압발생부 및 상기 진공압발생부를 덮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및 고온가열유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온가열부를 포함하는 고온가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진공압발생부 및 상기 진공압발생부를 덮었을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상판부와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용기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진공압발생부와 상기 밀봉가열부와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쿡탑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고온가열유닛은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쿡탑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구획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또한 기 베리어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저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와 상기 쿡탑케이스의 전면부로부터 배면부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격판은, 길이방향에 따른 연장되는 연장방향이 전환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판은, 상기 제1영역 측으로 돌출된 평면을 형성하는 제1돌출면부와, 상기 제2영역 측으로 돌출된 평면을 형성하는 제2돌출면부, 및 상기 제1돌출면부와 상기 제2돌출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면부와 상기 연결면부와 상기 제2돌출면부 사이에 절곡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돌출면부와 상기 연결면부와 상기 제2돌출면부가 상기 격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리어와 인접한 상기 상판부의 일측이 상기 베리어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판부를 상기 베리어에 결합시키는 상판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결합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돌출면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온가열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커버장착부와의 결합면을 형성하는 절곡연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절곡연장부와 상기 커버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면이 상기 베리어의 상단에 간섭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베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연장부와 상기 커버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면이 상기 제2돌출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상단에 간섭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베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서로 인접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와;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쿡탑케이스에 수용되는 고온가열유닛; 및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설정온도를 유지하며 조리물을 가열하는 저온가열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온가열유닛은, 용기장착부와 진공포장모듈장착부가 서로 인접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용기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진공포장모듈장착부에 설치되어 식품포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압발생부; 및 상기 진공압발생부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식품포장용기를 가열하여 밀봉시키는 밀봉가열부를 포함하는 진공포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용기장착부와 상기 진공포장모듈장착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포장모듈장착부는, 상기 제1용기가 설치된 상기 용기장착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다각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장착부와 인접한 전방의 상부에는, 상기 진공포장모듈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진공포장모듈장착부의 하부에는, 전장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장공간부는, 상기 진공포장유닛장착부와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쿡탑케이스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쿡탑부를 이용한 조리를 위한 조리기기와 오븐 조리를 위한 조리기기, 그리고 수비드 조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조리기기와 별도의 진공포장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장치로 쿡탑부를 이용한 조리, 오븐 조리, 그리고 진공 포장, 수비드 조리, 수비드 조리 후에 다른 조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재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면서도 사용성이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가열유닛과 저온가열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베리어를 이용하여 고온가열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이 저온가열유닛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고온가열유닛과 저온가열유닛 간의 경계 부분에서 처짐 및 들뜸이 발생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동작 안정성과 구조 안정성 및 외관 완성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번거롭게 포장지를 직접 잡고 있지 않아도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포장지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진공 포장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진공 포장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다른 구성 변화 없이도 저온가열유닛이 쿡탑케이스 내에 고온가열유닛과 함께 설치되어 하나의 조리기기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저온 진공 조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쉽고 빠르며 저렴한 비용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조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가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가열유닛의 커버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가열유닛의 각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용기의 손잡이 돌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3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3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3의 "F-F"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베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저온진공조리장치로 구성된 저온가열유닛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저온진공조리장치의 각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는, 쿡탑케이스(21)와 고온가열유닛(25) 및 저온가열유닛(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쿡탑부(20)는, 고온가열유닛(25)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리와 저온가열유닛(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비드 조리와 같은 저온조리를 함께 실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쿡탑부(2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3)이 설치된다. 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은 상판이 제거된 상태의 쿡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임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쿡탑부(20)는 쿡탑케이스(21)와 고온가열유닛(25) 및 저온가열유닛(100)을 포함한다.
쿡탑케이스(2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쿡탑부(2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쿡탑케이스(21)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은, 제1영역(22)과 제2영역(23)으로 구분된다. 제1영역(22)은 쿡탑케이스(21) 내에 고온가열유닛(25)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이며, 제2영역(23)은 쿡탑케이스(21) 내에 저온가열유닛(100)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22)과 제2영역(23)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1영역(22)과 제2영역(23) 사이는 후술할 베리어(28)에 의해 구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온가열유닛(25)은, 쿡탑케이스(21) 내에 설치되되, 제1영역(22)에 위치하도록 쿡탑케이스(21)에 수용된다. 이러한 고온가열유닛(25)은, 상판부(26) 및 고온가열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부(26)는, 쿡탑케이스(21)의 상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영역(22)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온가열유닛(25)의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판부(26)는, 상판프레임(26a; 도 14 참조)과 탑플레이트(26b; 도 14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프레임(26a)은, 전체적인 상판부(26)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판프레임(26a)은, 상면부(x)와 측면부(y)가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들 중 상면부(x)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고, 측면부(y)는 상면부(x)의 외측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판프레임(26a) 내에는, 탑플레이트(26b)가 끼워져 고정된다. 탑플레이트(26b)는, 조리를 위한 용기와 식품이 올려 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탑플레이트(26b)는, 세라믹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고,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탑플레이트(26b)의 전방부에는, 후술할 고온가열부(27)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쿡탑케이스(21) 내에 마련되는 조작유닛(미도시)의 조작 부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조작부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 표시는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인쇄되거나,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상기 조작유닛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세라믹 글라스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 전에는 외부로 표시가 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근처를 터치하였을 때 세라믹 글라스의 저면으로부터 백라이트가 점등되어 조작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26b)의 조작부 표시부위 저면은 조작유닛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26b)가 쿡탑케이스(21) 상에 고정되었을 때, 고온가열부(27)와 대응하는 탑플레이트(26b) 위치에는, 해당 위치가 가열부 위치임을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식은, 버너의 가열부인지, 인버터 가열부인지, 또는 핫 플레이트 가열부인지 등이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탑플레이트(26b)의 상면 가장자리는 상판프레임(26a)의 상면부(x) 저면과 밀착 고정되고, 탑플레이트(26b)의 측면은 상판프레임(26a)의 저온가열유닛(10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들의 고정 방식은, 가령 탑플레이트(26b)와 상판프레임(26a) 사이에 내열 실리콘 접착부재가 주입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6)의 저면에는 상기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 전면부(21b) 및 배면부(21c)와 대응하는 형태의 연결브래킷(미도시)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을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 전면부(21b) 및 배면부(21c)에 고정함으로써 상판부(26)를 쿡탑케이스(21)에 고정할 수 있다.
고온가열부(27)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쿡탑케이스(21)의 제1영역(22)에 해당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에는 고온가열부(27)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고온가열부(27)는, 자기 코일에 전류를 보내 와류전류를 발생시켜 조리용기 자체를 발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인덕션 히팅 모듈(Induction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히팅 코일을 발열시켜 발생되는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라디안트 히팅 모듈(Radiant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고온가열부(27)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킨 에너지를 이용하되, 직화열이 아닌 가스연료에 의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는 세라믹 균일 버너로 상판을 가열하는 히든 라디안트 버너(Hidden Radiant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가열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가열유닛의 커버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가열유닛의 각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용기의 손잡이 돌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저온가열유닛(100)은, 쿡탑케이스(21) 내에 설치되되, 제2영역(23)에 위치하도록 쿡탑케이스(21)에 수용된다. 이러한 고온가열유닛(25)은, 고온가열유닛(25)에 좌우방향으로 인접되게 배치되며, 하우징(110)과 제2용기(120)와 가열부(130)와 커버장착부(140)와 커버(145) 및 진공포장모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장착홀(110a)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상단에 커버장착부(140)와의 결합면을 형성하는 절곡연장부(112,11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연장부(112,113)는, 하우징(11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가로연장부(112), 그리고 가로연장부(11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세로연장부(113)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연장부(112,113)가 용기장착부(111) 부분뿐 아니라,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 영역을 포함한 하우징(110)의 상단 테두리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용기장착부(111)와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가 마련된다.
용기장착부(111)는, 하우징(110)에서 제1용기(114) 및 제2용기(120)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10)을 전후방향을 따라 구분했을 때 하우징(110)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용기장착부(111)는, 장착홀(110a) 및 장착홀(110a)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장착부(111)에는, 제1용기(114)가 설치된다. 제1용기(114)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금속재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용기(114)는, 하우징(110)에서 제2용기(120)의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용기(114)는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는, 하우징(110)을 전후방향을 따라 구분했을 때 하우징(110)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는, 장착홀(110a) 및 장착홀(110a)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용기장착부(111)와 함께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는, 하우징(110)에서 진공포장모듈(150)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는, 용기장착부(1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다각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되, 그 저면이 제1용기(114)의 저면보다 상부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의 하부에는 전장공간부(a)가 형성되는데, 전장공간부(a)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장착부(111)와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를 포함하는 하우징(110)은, 용기장착부(111)와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장착부(111)에는 제2용기(120) 및 가열부(130)가 설치되고,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에는 진공포장모듈(150)이 장착되며, 이로써 본 실시예의 저온가열유닛(100)은 음식물을 저온 조리하기 위한 구성과 조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진공 포장하기 위한 구성이 하나의 장치에 일체로 마련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용기(120)는, 내부에 물과 같은 유체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제1용기(114)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용기(12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21)와 용기커버(123) 및 손잡이(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본체(12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용기(120)는, 제1용기(114)의 형상과 유사하되, 제1용기(114)보다는 높이가 낮은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본체(121)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용기커버(123)는, 용기본체(121)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사각 형상의 판재 형태로 마련되며, 제2용기(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2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이러한 용기커버(123)는, 제2용기(120) 내부의 물이 가열될 때 발생하는 수증기가 제2용기(120)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차단하고, 후술할 커버(145)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커버(145)가 과열되는 것을 억제하며, 제2용기(120) 이동시 물이 넘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용기커버(123)와 용기본체(121) 간의 접점에는, 용기커버(123)와 용기본체(121) 간의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가스켓(g)이 설치될 수도 있다.
손잡이(125)는, 용기본체(121)의 측부에 구비되되, 용기본체(121)의 측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121)의 상단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손잡이(125)는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손잡이(125)는, 손잡이(125)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용기(114)의 내부에 위치되는 숨김위치(도 8 참조), 및 손잡이(125)가 제1용기(114)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위치(도 9 참조)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의 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돌출위치에서의 손잡이(125) 돌출 정도는 사용자가 제1용기(114)의 내부에 장착된 제2용기(120)를 들어올리기 위해 제1용기(114)의 외부에서 손잡이(125)를 잡을 수 있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125)를 용기커버(123)에 설치하지 않고 용기본체(121)에 설치하게 되면, 용기커버(123)를 용기본체(121)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버클(Buckle)과 같은 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2용기(120)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손잡이(125)를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제2용기(120) 중 손잡이(125)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고, 이로써 제2용기(120) 수용에 요구되는 제1용기(114)의 부피를 줄여 하우징(110)과 제1용기(114) 및 이를 포함하는 기기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열부(13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제2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열부(130)는, 제1용기(114)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용기(12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1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저온 가열부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130)는 제1용기(114)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2용기(120)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제1용기(114)의 하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전열히터(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열히터(131)는, 용기본체(121)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제2용기(12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열부(130)는 용기본체(121)의 바닥면 외에 다른 부분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코일 형상의 히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전열히터가 아닌 다른 형태의 가열기기, 예를 들면 유도 가열방식으로 제2용기(120)를 가열하는 가열기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아울러 가열부(130)는, 온도측정부(133) 및 가열온도조절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부(133)는 전열히터(131)에 의해 가열되는 제2용기(120)의 온도 또는 제2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며, 가열온도조절부(135)는 제2용기(120)의 온도 또는 제2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열히터(13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측정부(133)가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열온도조절부(135)가 서모스탯(Thermost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장착부(140)는, 하우징(110)의 상단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마련되어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장착부(140)에는, 제1용기(114)에 수용된 제2용기(120) 및 진공포장모듈(150)을 상부로 개방하는 개방홀(14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장착부(140)는, 하우징(110)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절곡연장부(112,113)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장착부(14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커버(145)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매개체에 해당된다.
커버(145)는, 커버장착부(140)에 설치되어 개방홀(141)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145)는, 커버글래스(146) 및 커버플레이트(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글래스(146)는, 개방홀(141)을 덮을 수 있는 사각 형상의 판재 형태로 마련되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147)는, 커버글래스(146)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판재 형태로 마련되며, 커버글래스(146)의 하부에 결합되어 커버글래스(146)를 지지한다. 커버플레이트(147)의 내측에는 투시창(w)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커버(145)에 의해 덮인 저온가열유닛(100)의 내부 상태가 이러한 투시창(w)을 통해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커버(145)는, 일측 단부가 커버장착부(1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장착부(1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홀(141)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45)의 일측 단부는 커버장착부(140)에 설치된 힌지(149)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145)는 이처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홀(141)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커버(145)의 회동 중심이 되는 커버(145)의 일측 단부의 반대편인 커버(145)의 타측 단부에는, 커버(145)의 타측 단부를 하우징(110) 또는 커버장착부(140)에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부재(h)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후크부재(h)에 대응하는 하우징(110) 또는 커버장착부(140)의 해당 부위에는, 후크부재(h)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래치기구(r)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부재(h)가 설치된 커버(145)의 타측 단부에 대한 누름 조작의 반복에 의해 후크부재(h)와 래치기구(r) 간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기구가 래치기구(r)로서 적용된 것으로 예시된다. 이로써 커버(145)는, 힌지(149)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홀(141)을 개폐하도록 동작되는 한편, 그 타측 단부가 후크부재(h)와 래치기구(r) 간의 결합을 매개로 하우징(110) 또는 커버장착부(140)에 필요에 따라 고정되면서 필요에 따라 그 폐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 및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145)에 의해 이루어지는 개폐 동작에 의해, 하우징(110)에 장착된 제2용기(120) 및 진공포장모듈(150)과 같은 구성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고 커버(145)에 의해 덮인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커버(145)와 커버장착부(140) 간의 접점에는, 커버(145)와 커버장착부(140) 간의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가스켓(g)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45)는, 가압영역(145a)과 덮개영역(145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압영역(145a)은 커버(145)가 개방홀(141)을 폐쇄할 때 진공포장모듈(150)과 마주보는 영역으로서, 커버(145)가 진공포장모듈(150)을 상부에서 덮으며 가압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덮개영역(145b)은, 커버(145)가 개방홀(141)을 폐쇄할 때 제1용기(114) 및 제2용기(120)와 마주보는 영역으로서, 커버(145)가 제1용기(114)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영역에 해당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4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서의 상부면이 상판부(26)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고온가열유닛(25)과 저온가열유닛(100)이 일체감 있게 보여지면서도 그 상면이 매끄럽게 연결된 외관미를 가질 뿐 아니라, 상면 부분의 청소가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4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3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3의 "F-F"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베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진공포장모듈(150)은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에 설치된다. 이러한 진공포장모듈(150)은, 식품포장용기(p; 도 12 참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압발생부(151) 및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을 밀봉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밀봉가열부(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압발생부(151)는, 조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식품포장용기(p)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패널(152)과 진공펌프(153)를 포함한다.
진공패널(152)은, 진공포장모듈(150)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는 틀, 그리고 진공포장모듈(150)에 의해 진공 포장되는 식품포장용기(p)의 일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52a)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진공패널(152)은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의 관통된 내부를 덮을 수 있는 사각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공패널(152)에는 에어흡입구(152b) 및 포장지삽입부(152c)가 형성된다.
에어흡입구(152b)는, 진공패널(152)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에어흡입구(152b)가 형성된 진공패널(152)의 하부면에는 에어흡입구(152b)를 둘러싸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호 생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후술할 진공펌프(153)와 에어흡입구(152b)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호스(154)가 결합되는 부분이 된다.
포장지삽입부(152c)는,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이 삽입되는 오목면을 이룬다. 이러한 포장지삽입부(152c)는, 진공패널(152)이 이루는 지지면(152a)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면을 이룬다. 이와 같이 포장지삽입부(152c)가 형성된 부분에는 포장지삽입부(152c)와 지지면(152a)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에 의해 돌러싸인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삽입공간에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흡입구(152b)는, 이러한 삽입공간 내부에 위치하도록 포장지삽입부(152c)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진공펌프(153)는, 에어흡입구(152b)에 작용하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며, 진공패널(15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패널(152)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펌프케이스(153a) 내부에 진공펌프(153)가 수용된 상태에서 펌프케이스(153a)가 진공패널(152)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진공펌프(153)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진공펌프(153)는 연결호스(154)를 통해 에어흡입구(152b)와 연결될 수 있으며, 진공펌프(153)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은, 연결호스(154)와 연결된 에어흡입구(152b)를 통해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153)가 설치되는 진공패널(152)에는, 제1 실링부재(d1)가 포장지삽입부(152c)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제1실링부재(d1)는, 포장지삽입부(152c) 및 포장지삽입부(152c)에 형성된 에어흡입구(152b)를 둘러싸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진공포장모듈(150)과 마주보는 커버(145)의 가압영역(145a)에는, 상기 제1실링부재(d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실링부재(d2)가 설치된다. 제2실링부재(d2)는, 커버(145)가 개방홀(141)을 폐쇄할 때 포장지삽입부(152c) 내부의 삽입공간이 밀폐되도록 제1실링부재(d1)와 맞물리는 구성에 해당된다.
제1실링부재(d1)와 제2실링부재(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완충 재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실링부재(d1)와 제2실링부재(d2) 간의 맞물림에 의해 포장지삽입부(152c) 내부의 삽입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흡입구(152b)를 통해 작용하는 진공압에 삽입공간에 수용된 식품포장용기(p)의 입구 측에 온전히 작용될 수 있게 된다.
밀봉가열부(155)는,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을 밀봉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전류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Hot wir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밀봉가열부(155)의 열선은, 진공패널(152)에 마련된 포장지삽입부(152c)와 나란한 직선을 이루되, 포장지삽입부(152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고, 포장지삽입부(152c)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열선은, 진공패널(152)의 지지면(152a)에 설치되되, 진공패널(152)의 상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가열부(155)의 열선이 진공압발생부(151)의 포장지삽입부(152c)와 제1용기(114)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진공포장모듈(150)과 마주보는 커버(145)의 가압영역(145a)에는, 가압부재(148)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148)는, 커버(145)가 개방홀(141)을 폐쇄할 때 밀봉가열부(155)의 열선과 접촉되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밀봉가열부(155)의 열선보다 넓은 폭을 갖는 완충 재질의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148)는, 밀봉가열부(155)의 상부에 위치한 식품포장용기(p)의 입구 측을 밀봉가열부(155)의 열선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열선에 의한 식품포장용기(p)의 밀봉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d1)와 가압부재(148)가 설치된 커버(145)의 가압영역(145a)은, 커버(145)가 개방홀(141)을 폐쇄할 때 진공포장모듈(150)의 상부를 덮되, 제1실링부재(d1)가 제2실링부재(d2)와 맞물리고 가압부재(148)가 밀봉가열부(155)의 열선과 접촉되는 형태가 되도록 진공포장모듈(150)의 진공압발생부(151) 및 밀봉가열부(155)를 덮게 된다.
이처럼 가압영역(145a)이 진공포장모듈(150)의 진공압발생부(151) 및 밀봉가열부(155)를 덮게 되면, 포장지삽입부(152)에 삽입된 식품포장용기(p)의 입구 측은 서로 맞물린 제1실링부재(d1)가 제2실링부재(d2)에 의해 밀폐된 공간 내에 고정되는 한편, 가압부재(148)에 의해 밀봉가열부(155)의 열선 측으로 가압되어 밀봉가열부(155)의 열선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제1용기(114)에 장착된 제2용기(120)의 용기커버(123)는, 그 상부면에 안착면(123a)이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면(123a)은, 진공패널(152)의 지지면(152a)이 이루는 평면 및 포장지삽입부(152c)가 이루는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평면을 이루도록 용기커버(123)의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23a)은, 그 입구 측이 진공패널(152)의 포장지삽입부(152c)에 삽입된 식품포장용기(p)의 나머지 부분, 예를 들면 조리물이 내부에 수용된 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안착면(123a)은 진공패널(152)의 지지면(152a)이 이루는 평면 및 포장지삽입부(152c)가 이루는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평면을 이루되, 개방홀(141)을 폐쇄한 상태의 커버(145)의 덮개영역(145b)이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평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개방홀(141)을 폐쇄한 상태의 커버(145)의 덮개영역(145b)과 안착면(123a) 사이에는, 식품포장용기(p)가 수용될 수 있는 포장지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도 3과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저온가열유닛(100)은, 쿡탑케이스(21)의 내부에 수용되되,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와 전면부(21b) 및 후술할 베리어(28)에 의해 둘러싸인 제2영역(23)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2영역(23)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110)의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는, 용기장착부(111) 및 제1용기(11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그 저면이 제1용기(114)의 저면보다 상부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의 하부에는 전장공간부(a)가 형성된다. 전장공간부(a)는, 용기장착부(111) 및 제1용기(114)의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이면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에 장착된 진공포장모듈(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쿡탑케이스(21)는 하우징(110) 및 전장공간부(a)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쿡탑케이스(21) 및 베리어(28)에 의해 전장공간부(a)의 외곽 경계면이 규정된다. 즉 전장공간부(a)는, 상부 경계면이 진공포장모듈(150)에 의해 규정되고 일측 측부 경계면이 제1용기(114)에 의해 규정되며 하부 경계면 및 나머지 3방향 측부 경계면은 후술할 베리어(28)와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와 전면부(21b)와 저면부(21d)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용기(114)는 제2용기(120)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제2용기(12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는 더 긴 상하방향 길이를 갖는 형상이 요구되는 반면,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 및 진공포장모듈(150)에는 그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특성상 제2용기(120)와 같이 부피가 큰 부품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1용기(114)만큼의 상하방향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 및 진공포장모듈(150)이 배치된 부분의 하부 영역에는 진공포장모듈(150)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품이 배치되지 않는 여유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쿡탑케이스(21) 내부의 좌측 전방 측 위치에서 확보되는 공간이 전장공간부(a)에 해당된다.
상기 전장공간부(a)에는, 가열부(130)의 동작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자부품, 진공포장모듈(150)의 동작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자부품 및 이들의 연결에 관련된 전자부품, 그리고 이들에 대한 전기 공급에 관련된 전자부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장공간부(a)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장공간부(a)에 설치되는 전자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과 같은 부품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고온가열유닛(25)의 동작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자부품이나 컨트롤패널(51; 도 1 참조)에 관련된 전자부품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고온가열유닛(25)과 저온가열유닛(100)이 설치되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은 칸막이 기능을 하는 베리어(28)에 의해 고온가열유닛(25)을 위한 제1영역(22)과 저온가열유닛(100)을 위한 제2영역(2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베리어(28)는 이 두 영역을 공간적으로 격리한다.
베리어(28)는,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을 적용하고 있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냉각이 필요한 공간들을 서로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베리어(28)는 쿡탑케이스(21)의 저면부(21d)에서 상향 연장된 판재 형태이며, 필요에 따라 측면부(21a), 배면부(21c) 등에도 고정되어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베리어(28)는 금속 판재를 절곡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베리어(28)를 제작할 때에는, 먼저 평판 형상의 금속 판재를 커팅하여 격판(28a)을 형성한다. 이때 격판(28a)은, 쿡탑케이스(21)의 저면부(21d)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와 쿡탑케이스의 전면부(21b)로부터 배면부(21c)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런 다음, 분리해야 하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의 경계면 형태에 대응하도록 격판(28a)의 소정 위치를 절곡하여 절곡부(28b)를 형성하며, 격판(28a)의 하단부에 마련된 고정면(28c) 부분도 절곡함으로써 제작한다. 고정면(28c)의 형성 개소는 절곡부(28b)의 위치에 따른 격판(28a)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정한 위치에 적정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베리어(28)의 격판(28a)에 있어서 소정 부위에는, 두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야 할 구성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통과홈(28d)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리어(28)는 고정면(28c)을 통해 쿡탑케이스(21)의 저면부(21d)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이에 따라 격판(28a)은 저면부(21d) 상에 세워진 형태로 고정된다. 격판(28a)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소에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격판(28a)이 일자로 되어 있는 형태보다 격판(28a)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구조적으로 더 높은 강성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베리어(28)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된 금속 판재의 소정 위치에 절곡부(28b)가 마련되고 고정면(28c)이 마련된 형태이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쿡탑케이스(21) 내에 설치하기도 간편할 뿐만 아니라, 케이스에 설치된 후에 더욱 높은 강성을 확보하게 된다.
고온가열유닛(25)이 설치되는 제1영역(22)에서는, 고온가열부(27)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저온가열유닛(100)이 설치되는 제2영역(2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고온가열유닛(25)에서 발생되는 열이 저온가열유닛(100) 측으로 전달되어 저온가열유닛(100)을 승온시킨다면, 이로 인해 온도측정부(133; 도 6 참조)에서 이루어지는 온도 측정에 오차가 발생되므로, 저온가열유닛(100)에서 가열되는 제2용기(120)의 온도 또는 제2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제대로 측정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가열유닛(25)이 설치된 공간인 제1영역(22)과 저온가열유닛(100)이 설치된 공간인 제2영역(23) 사이에 베리어(28)를 설치하여 두 영역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고온가열유닛(25)에서 발생되는 열이 저온가열유닛(1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로써 저온가열유닛(100)이 설정된 온도를 정확성 높게 유지하며 음식물을 저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판부(26)의 우측부가 연결브래킷을 매개로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와 결합되어 쿡탑케이스(21)에 고정되는데 비해, 저온가열유닛(100)에 인접한 상판부(26)의 좌측부는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와의 결합을 이루지 못하게 때문에, 고온가열유닛(25)과 저온가열유닛(100) 간의 경계 부분에서는 상판부(26)의 좌측부 부분에서 상판부(26)의 처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저온가열유닛(100)의 좌측부가 하우징(110)과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 간의 결합을 매개로 쿡탑케이스(21)에 고정되는데 비해, 고온가열유닛(25)에 인접한 저온가열유닛(100)의 우측부는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와의 결합을 이루지 못하게 때문에, 저온가열유닛(100)과 고온가열유닛(25) 간의 경계 부분에서는 저온가열유닛(100)의 우측부 부분에서 저온가열유닛(100)의 처짐이 발생되거나 저온가열유닛(100)과 고온가열유닛(25) 사이에서 들뜸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베리어(28)는 상판부(26)의 좌측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저온가열유닛(100)의 우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르면, 베리어(28)의 격판(28a)은 제1영역(22) 측으로 돌출된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 제1돌출면부(28e)와, 제2영역(23) 측으로 돌출된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 제2돌출면부(28f), 및 상기 제1돌출면부(28e)와 제2돌출면부(28f)를 연결하는 연결면부(28g)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격판(28a)은, 제1돌출면부(28e)와 연결면부(28g)와 제2돌출면부(28f) 사이에 절곡부(28b)가 형성되면서 제1돌출면부(28e)와 연결면부(28g)와 제2돌출면부(28f)가 격판(28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마련되는 격판(28a)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소에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격판(28a)이 일자로 되어 있는 형태보다 격판(28a)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구조적으로 더 높은 강성을 가지게 될 뿐 아니라, 상판부(26)의 좌측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저온가열유닛(100)의 우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격판(28a)의 제1돌출면부(28e)는 제1영역(22) 측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이 제1영역(22) 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면부(28e)는 상판부(26)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1돌출면부(28e)는 격판(28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돌출면부(28e)의 형성 개수 및 형성 개소는 상판부(26)의 형상, 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돌출면부(28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베리어(28)를 상판부(26)와 결합시키기 위한 상판결합부재(29)가 설치될 수 있다. 상판결합부재(29)는 "┌" 형상의 금속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판결합부재(29)는 세로방향의 평면 형태의 일측이 제1돌출면부(28e)와 결합되고 가로방향의 평면 형태의 타측이 상판부(26)의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베리어(28)와 상판부(26)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15 참조). 가령, 베리어(28)와 상판결합부재(29)의 일측 간의 결합은 용접이나 볼트 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판결합부재(29)의 타측과 상판부(26) 간의 결합은 상판결합부재(29)의 타측과 상판부(26) 사이에 내열 실리콘 접착부재가 주입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베리어(28)는 제1돌출면부(28e)와 상판부(26) 사이에 결합되는 상판결합부재(29)를 이용하여 상판부(26)를 상부방향으로 지지하고, 이러한 지지 구조에 의해 상판부(26)의 좌측부가 지지됨으로써, 상판부(26)의 좌측부 부분, 즉 고온가열유닛(25)과 저온가열유닛(100) 간의 경계 부분에서 상판부(26)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격판(28a)의 제2돌출면부(28f)는 제2영역(23) 측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이 제2영역(23) 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면부(28f)는 하우징(110)의 절곡연장부(112,113; 도 6 참조) 및 절곡연장부(112,113)에 결합된 커버장착부(14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2돌출면부(28f)는 제1돌출면부(28e)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격판(28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돌출면부(28f)의 형성 개수 및 형성 개소는 저온가열유닛(100)의 형상, 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28)의 상단에서는, 절곡연장부(112,113)와 커버장착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면과 제2돌출면부(28f)의 상단 간의 간섭이 발생되면서 저온가열유닛(100)의 우측부 부분이 베리어(28)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2돌출면부(28f)와 제1돌출면부(28e)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면부(28g)에 의해서도 저온가열유닛(100)의 우측부 부분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도 16 참조).
이와 같이 베리어(28)의 제2돌출면부(28f)와 연결면부(28g)에 의해 이루어지는 저온가열유닛(100)의 우측부에 대한 지지 구조에 의해, 저온가열유닛(100)의 우측부 부분, 즉 저온가열유닛(100)과 고온가열유닛(25) 간의 경계 부분에서 저온가열유닛(100)의 처짐이 발생되거나 저온가열유닛(100)과 고온가열유닛(25) 사이에서 들뜸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케이스(21)에 의해 외곽 형상이 규정되는 하나의 장치 내에 고온가열유닛(25) 및 저온가열유닛(100)이 함께 포함된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저온가열유닛(10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의해 골격 구조가 형성되는 하나의 장치에 조리물을 수용한 식품포장용기(p; 도 12 참조)를 진공 포장하기 위한 구성, 그리고 진공 포장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 함께 포함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저온가열유닛(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5)를 회동시켜 저온가열유닛(100)의 내부를 개방한 후, 조리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제2용기(120)의 내부에 채워준다. 이때 제2용기(120)를 제1용기(114)로부터 꺼낸 상태에서 제2용기(120)에 물을 채울 수도 있고, 제2용기(120)가 제1용기(114)에 장착된 상태 그대로 제2용기(120)에 물을 채울 수도 있으며, 제2용기(120) 내에 필요한 만큼의 물이 채워진 후에는 용기본체(121)의 상부에 용기커버(123)를 덮어준다.
조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 진공 포장 완료된 상태라면 용기커버(123)를 덮기 전에 이를 그대로 제2용기(120) 내에 넣어 조리를 실시할 수 있지만, 조리 대상 음식물에 대한 진공 포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진공포장모듈(150)을 이용하여 진공 포장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진공포장모듈(150)을 이용한 진공 포장 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조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식품포장용기 (p; 도 12 참조) 내부에 넣은 후,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이 진공포장모듈(150) 측에 위치하도록 식품포장용기(p)를 위치시킴으로써, 진공 포장의 대상이 되는 식품포장용기(p)가 진공 포장 가능한 상태로 준비되도록 한다.
이때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 단부는 포장지삽입부(152c)에 삽입되고, 포장지삽입부(152c)의 외측에 위치한 식품포장용기(p)의 입구 측 측면은 진공패널(152)의 지지면(152a) 및 밀봉가열부(155)의 열선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식품포장용기(p)의 나머지 부분, 즉 밀봉 포장을 위해 진공포장모듈(150) 측에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2용기(1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놓여지되, 용기커버(123)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면(123a)에 안착되게 놓여질 수 있다(도 12 참조).
이에 따르면, 진공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포장용기(p)를 먼저 용기커버(123)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면(123a)에 안착시킴으로써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하기에 편리한 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위치시킨 후,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 단부를 포장지삽입부(152c)에 삽입함으로써, 진공 포장의 대상이 되는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 가능한 상태로 준비시킬 수 있다. 이때 식품포장용기(p)의 안착면(123a) 안착 부분은, 그 하부가 안착면(123a)에 의해 지지되고 그 측부가 제1용기(114)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제1용기(114)의 내부의 포장지수용공간(s)에 안정되게 수용된다.
통상적으로,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할 때에는 진공포장기 내에 위치되는 부분 외에 진공포장기 외부에 위치되는 나머지 다른 부분을 안착시킬만한 지지면이 마땅치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해 포장지를 진공 포장할 때에는 그 진공 포장이 마무리될 때까지 포장지 내부의 수용물이 쏟아져 나오지 않도록 사용자가 식품포장용기(p)를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특히 이때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진공포장기를 잡고 조작하여야 하므로, 식품포장용기(p)를 한 손으로 잡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로 진공 포장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저온가열유닛(100)에서는 진공포장모듈(150)의 외부에 위치되는 식품포장용기(p)의 대부분의 영역을 상기와 같이 제2용기(120) 상부의 안착면(123a)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품포장용기(p)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즉 진공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포장용기(p)를 먼저 용기커버(123)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면(123a)에 안착시킴으로써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하기에 편리한 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위치시킨 후,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 단부를 포장지삽입부(152c)에 삽입함으로써, 진공 포장의 대상이 되는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 가능한 상태로 준비시킬 수 있다.
이때 식품포장용기(p)가 안착되는 안착면(123a)이 식품포장용기(p)의 입구 측이 삽입되는 포장지삽입부(152c)가 이루는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식품포장용기(p)의 개방된 입구 측이 제2용기(120) 상부에 안착된 식품포장용기(p)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식품포장용기(p)의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번거롭게 식품포장용기(p)를 직접 잡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식품포장용기(p)의 내부의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식품포장용기(p)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온가열유닛(100) 내에서 진공 포장 가능한 상태로 준비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패널(152)과 커버(145) 사이에서 식품포장용기(p)가 눌리도록 커버(145)를 덮어준다. 이때 하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안착면(123a)의 형상으로 인해 커버(145)의 덮개영역(145b)과 용기커버(123)의 안착면(123a) 사이에는 포장지수용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145)를 덮더라도 식품포장용기(p)의 안착면(123a)에 안착된 부분은 커버(145)에 눌리지 않고 포장지수용공간(s)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145)를 덮은 다음 진공펌프(153)를 가동시키면, 포장지삽입부(152c) 내에 진공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이 작용하는 진공압에 의해 식품포장용기(p) 내부가 진공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포장용기(p)에 대한 진공 작업에 완료된 상태에서 밀봉가열부(155)를 가동시켜 밀봉 작업을 행하면, 식품포장용기(p)가 진공 상태로 밀봉됨으로써 식품포장용기(p)에 대한 진공 포장 작업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포장용기(p)에 대한 밀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밀봉가열부(155)의 열선이 포장지삽입부(152c)와 제1용기(114), 바꾸어 말하면 포장지삽입부(152c)와 안착면(123a)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식품포장용기(p)를 밀봉하기 위한 구성이, 식품포장용기(p)의 내부를 진공 흡입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된 위치와 식품포장용기(p)의 안착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부분의 위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진공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포장용기(p)가 용기커버(123)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면(123a)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진공압발생부(151)에 의한 진공 작업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밀봉가열부(155)에 의한 밀봉 작업도 동일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저온가열유닛(100)의 작용은, 하나의 장치 내에 조리물을 수용한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하기 위한 구성, 및 진공 포장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 함께 포함됨으로써 얻게 되는 상승 효과에 해당된다.
즉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하기 위한 구성인 진공포장모듈(150), 및 진공 포장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인 제2용기(120)가 서로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나의 장치에 구성됨으로써, 진공포장모듈(150)에 의해 진공 포장되는 식품포장용기(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제2용기(1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사용자가 번거롭게 식품포장용기(p)를 직접 잡고 있지 않아도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식품포장용기(p)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진공 포장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진공포장모듈(15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진공 포장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커버(14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용기커버(123)를 열고 진공 포장된 음식물을 물이 채워진 제2용기(120) 내부에 넣은 다음, 다시 용기커버(123) 및 커버(145)를 덮은 후, 가열부(130)를 가동시켜 이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에 대한 저온 조리를 진행한다. 이때 용기본체(121)를 덮은 용기커버(123)는, 제2용기(120) 내부의 물이 가열될 때 발생하는 수증기가 제2용기(120)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차단하고, 커버(145)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커버(145)가 과열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열부(130)의 가동은 사용자가 컨트롤패널(51)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가열온도를 입력하고 가동 신호를 입력함에 의해 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부(130)의 전열히터(131)가 제2용기(120) 내부의 물을 입력된 온도로 가열하는 형태로 음식물에 대한 저온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저온가열유닛(100)에 따르면, 가열부(130)의 동작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자부품, 진공포장모듈(150)의 동작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자부품 및 이들의 연결에 관련된 전자부품, 그리고 이들에 대한 전기 공급에 관련된 전자부품 등과 같은 전장부품들은 전장공간부(a)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장공간부(a)는 상부 경계면이 진공포장모듈(150)에 의해 규정되고 일측 측부 경계면이 제1용기(114)에 의해 규정되며 하부 경계면 및 나머지 3방향 측부 경계면은 베리어(28) 및 쿡탑케이스(21)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장공간부(a)는, 하나의 장치 내에 조리물을 수용한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하기 위한 구성, 및 진공 포장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 함께 포함되는 특징으로 인해 확보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전장공간부(a)는, 상대적으로 긴 상하방향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제1용기(114)의 측부에 상대적으로 상하방향 길이가 짧은 진공포장모듈(150)이 인접되게 장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이므로, 저온가열유닛(100)이 설치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 내부에서만 특수하게 확보될 수 있는 공간이다.
조리물을 수용한 식품포장용기(p)를 진공 포장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진공 포장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가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성된다면, 각각의 장치에 필요한 전장부품의 설치 공간이 각각의 장치에 별도로 확보되어야 한다. 이때 장치들 각각의 전체 외관미를 고려한다면, 전장부품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만큼만 확장되도록 외부케이스의 형상을 결정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각각의 장치들에서 전장부품의 설치 공간을 각각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장치들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저온가열유닛(100)에는 진공 포장하기 위한 구성, 및 진공 포장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에 필요한 전장부품의 설치가 하나의 통합된 공간인 전장공간부(a)에서 이루어지면 되고, 이러한 전장공간부(a)는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들이 하나의 장치를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확보되는 공간이므로, 이들 구성들이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컴팩트한 크기를 갖는 저온가열유닛(1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온가열유닛(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저온 진공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저온 진공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식품포장용기(p)에서 꺼내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가열유닛(100)의 주변에 위치한 고온가열유닛(25)이나 오븐부(30)를 이용한 재조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고온가열유닛(25)이나 오븐부(30)를 이용한 재조리는, 별도의 위치나 별도의 장치를 이용할 필요 없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함께 마련된 고온가열유닛(25)이나 오븐부(30)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보다 쉽고 빠르며 편리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저온가열유닛(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쿡탑케이스(21) 내에 고온가열유닛(25)과 함께 설치되어 하나의 조리기기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저온 진공 조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7은 저온진공조리장치로 구성된 저온가열유닛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저온진공조리장치의 각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가열유닛이 저온 진공 조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인 저온진공조리장치(200)로 제조되는 경우, 저온진공조리장치(200)는 외부케이스(260) 및 컨트롤패널(270)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외부케이스(260)는, 커버장착부(140) 및 커버(145)와 함께 저온가열유닛(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외부케이스(260)는 하우징(11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하우징(110)의 외부에 결합되고, 이러한 외부케이스(260)의 내부에는 하우징(110) 및 전장공간부(a)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케이스(26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260)는, 그 상단 테두리 부분이 하우징(110)의 절곡연장부(112,113)와 결합되어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도 있고, 그 상단 테두리 부분이 커버장착부(140)의 하단 테두리 부분과 결합됨으로써 커버장착부(140)와의 결합을 매개로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외부케이스(260)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110)의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는, 제1용기(11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다각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되, 그 저면이 제1용기(114)의 저면보다 상부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의 하부에는 전장공간부(a)가 형성된다. 전장공간부(a)는, 제1용기(114)의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이면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에 장착된 진공포장모듈(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부케이스(260)는 하우징(110)과 제1용기(114) 및 전장공간부(a)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외부케이스(260)에 의해 전장공간부(a)의 외곽 경계면이 규정된다. 즉 전장공간부(a)는, 상부 경계면이 진공포장모듈(150)에 의해 규정되고 일측 측부 경계면이 제1용기(114)에 의해 규정되며 하부 경계면 및 나머지 3방향 측부 경계면은 외부케이스(26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용기(114)는 제2용기(120)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제2용기(12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는 더 긴 상하방향 길이를 갖는 형상이 요구되는 반면,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 및 진공포장모듈(150)에는 그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특성상 제2용기(120)와 같이 부피가 큰 부품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1용기(114)만큼의 상하방향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진공포장모듈장착부(115) 및 진공포장모듈(150)이 배치된 부분의 하부 영역에는 진공포장모듈(150)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품이 배치되지 않는 여유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외부케이스(270) 내부의 전방 측에 확보되는 공간이 전장공간부(a)에 해당된다.
상기 전장공간부(a)에는, 가열부(130)의 동작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자부품, 진공포장모듈(150)의 동작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자부품, 후술할 컨트롤패널(270)의 동작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전자부품 및 이들의 연결에 관련된 전자부품, 그리고 이들에 대한 전기 공급에 관련된 전자부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장공간부(a)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장공간부(a)에 설치되는 전자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과 같은 부품이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컨트롤패널(270)은, 외부케이스(260)의 전면, 즉 저온가열유닛(10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70)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27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가열부(130) 및 진공포장모듈(150)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된다.
입력부에는 복수 개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270)에는 저온진공조리장치(200)의 동작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270)은, 외부케이스(260)에 설치되되, 상기 전장공간부(a)와 인접한 외부케이스(260)의 측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컨트롤패널(270)이 전장공간부(a)와 인접된 부분에 설치됨으로써, 전장공간부(a)에 설치된 각종 전자부품들과 컨트롤패널(270) 간의 연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연결을 위한 연결 라인을 좀 더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부(20)를 이용한 조리를 위한 조리기기와 오븐 조리를 위한 조리기기, 그리고 수비드 조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조리기기와 별도의 진공포장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장치로 쿡탑부(20)를 이용한 조리, 오븐 조리, 그리고 진공 포장, 수비드 조리, 수비드 조리 후에 다른 조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재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면서도 사용성이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고온가열유닛(25)과 저온가열유닛(100) 사이에 설치되는 베리어(28)를 이용하여 고온가열유닛(25)에서 발생되는 열이 저온가열유닛(10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고온가열유닛(25)과 저온가열유닛(100) 간의 경계 부분에서 처짐 및 들뜸이 발생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동작 안정성과 구조 안정성 및 외관 완성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번거롭게 식품포장용기(p)를 직접 잡고 있지 않아도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식품포장용기(p)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진공 포장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진공 포장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다른 구성 변화 없이도 저온가열유닛(100)이 쿡탑케이스(21) 내에 고온가열유닛(25)과 함께 설치되어 하나의 조리기기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저온 진공 조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쉽고 빠르며 저렴한 비용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조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쿡탑케이스
22 : 제1영역
23 : 제2영역
25 : 고온가열유닛
26 : 상판부
26a : 상판프레임
26b : 탑플레이트
27 : 고온가열부
28 : 베리어
28a : 격판
28b : 절곡부
28c : 고정면
28d : 통과홈
28e : 제1돌출면부
28f : 제2돌출면부
28g : 연결면부
29 : 상판결합부재
30 : 전장실
100 : 저온가열유닛
110 : 하우징
111 : 용기장착부
112 : 가로연장부
113 : 세로연장부
114 : 제1용기
115 : 진공포장모듈장착부
120 : 제2용기
121 : 용기본체
123 : 용기커버
123a : 안착면
125 : 손잡이
130 : 가열부
131 : 전열히터
133 : 온도측정부
135 : 가열온도조절부
140 : 커버장착부
141 : 개방홀
145 : 커버
145a : 가압영역
145b : 덮개영역
146 : 커버글래스
147 : 커버플레이트
148 : 가압부재
149 : 힌지
150 : 진공포장모듈
151 : 진공압발생부
152 : 진공패널
152a : 지지면
152b : 에어흡입구
152c : 포장지삽입부
153 : 진공펌프
153a : 펌프케이스
154 : 연결호스
155 : 밀봉가열부
160 : 외부케이스
170 : 컨트롤패널
200 : 저온진공조리장치
260 : 외부케이스
270 : 컨트롤패널

Claims (9)

  1. 용기장착부와 진공포장모듈장착부가 서로 인접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용기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진공포장모듈장착부에 설치되어 식품포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압발생부;
    상기 진공압발생부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식품포장용기를 가열하여 밀봉시키는 밀봉가열부;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진공압발생부 및 상기 진공압발생부를 덮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온가열부를 포함하는 고온가열유닛; 및
    서로 인접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용기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진공압발생부와 상기 밀봉가열부와 상기 커버는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쿡탑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고온가열유닛은,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진공압발생부 및 상기 진공압발생부를 덮었을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상판부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쿡탑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구획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저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와 상기 쿡탑케이스의 전면부로부터 배면부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격판은, 길이방향에 따른 연장되는 연장방향이 전환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상기 제1영역 측으로 돌출된 평면을 형성하는 제1돌출면부와, 상기 제2영역 측으로 돌출된 평면을 형성하는 제2돌출면부, 및 상기 제1돌출면부와 상기 제2돌출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면부와 상기 연결면부와 상기 제2돌출면부 사이에 절곡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돌출면부와 상기 연결면부와 상기 제2돌출면부가 상기 격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와 인접한 상기 상판부의 일측이 상기 베리어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판부를 상기 베리어에 결합시키는 상판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결합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돌출면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부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커버장착부와의 결합면을 형성하는 절곡연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절곡연장부와 상기 커버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면이 상기 베리어의 상단에 간섭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베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연장부와 상기 커버장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면이 상기 제2돌출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상단에 간섭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베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조리기기.
  9. 용기장착부가 마련되는 하우징;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용기장착부에 결합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제1용기를 덮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및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온가열부를 포함하는 고온가열유닛;
    서로 인접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 및
    상기 쿡탑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용기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커버는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쿡탑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고온가열유닛은,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KR1020160180502A 2016-12-27 2016-12-27 복합 조리기기 KR101864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02A KR101864514B1 (ko) 2016-12-27 2016-12-27 복합 조리기기
EP17210209.7A EP3343115B1 (en) 2016-12-27 2017-12-22 Cooking appliance
DE202017007318.8U DE202017007318U1 (de) 2016-12-27 2017-12-22 Kochgerät
US15/855,298 US10863589B2 (en) 2016-12-27 2017-12-27 Cooking appliance
US17/090,750 US20210059021A1 (en) 2016-12-27 2020-11-05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02A KR101864514B1 (ko) 2016-12-27 2016-12-27 복합 조리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948A Division KR101975325B1 (ko) 2018-05-25 2018-05-25 복합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514B1 true KR101864514B1 (ko) 2018-06-04

Family

ID=6078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502A KR101864514B1 (ko) 2016-12-27 2016-12-27 복합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863589B2 (ko)
EP (1) EP3343115B1 (ko)
KR (1) KR101864514B1 (ko)
DE (1) DE202017007318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70B1 (ko) * 2016-12-27 2018-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온진공조리장치
KR101864514B1 (ko) 2016-12-27 201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조리기기
KR101924590B1 (ko) * 2017-06-30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924589B1 (ko) 2017-06-30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925368B1 (ko) 2017-06-30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연소 제어방법
KR102297342B1 (ko) * 2017-08-16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110967989B (zh) * 2018-09-30 2021-04-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控制方法、装置及烹饪器具
US11659634B2 (en) 2019-02-28 2023-05-23 Midea Group Co., Ltd. Sous vide feature in a microwave oven
USD951002S1 (en) * 2020-02-28 2022-05-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ter tray
CN111728119A (zh) * 2020-07-08 2020-10-02 大连工业大学 一种真空隔热式食品低温烹饪设备
DE102021204742A1 (de) 2021-05-11 2022-11-17 BSH Hausgeräte GmbH Dämpferwanne für Dampfbehandlungsschubla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9664B2 (ja) * 2000-11-27 2004-12-08 東静電気株式会社 複合真空調理機器
KR20060013768A (ko) * 2004-08-09 2006-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드로워부가 구비된 전기오븐레인지
KR20120115212A (ko) * 2009-09-08 2012-10-17 마이클 알. 애데스 수-비드 쿠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64B2 (ja) 1975-11-08 1984-03-03 旭化成株式会社 タンソセンイヨウヒヨウメンシアゲザイ
US4922079A (en) * 1988-03-18 1990-05-01 Raytheon Company Combination cooking cartridge
JP4573956B2 (ja) 2000-06-30 2010-11-04 京セラ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法
JP2005247383A (ja) * 2004-03-05 2005-09-15 Toshiba Corp 複合真空調理器
KR100609247B1 (ko) 2004-05-10 2006-08-08 김명석 이중 가열식 냄비 구조
JP2008175421A (ja) * 2007-01-17 2008-07-31 Hitachi Appliances Inc 真空調理用電子レンジ
ITVR20070080A1 (it) * 2007-06-06 2008-12-07 Marziano Salvaro Apparecchiatura per la cottura sottovuoto per uso domestico
ITTO20120159A1 (it) 2012-02-23 2012-05-24 Minipack Torre Spa MACCHINA CONFEZIONATRICE PER SOTTOVUOTO A CAMERA INTERNA ESTRAIBILE E DI COTTURA A BASSA TEMPERATURA ÂeuroOESOUS VIDEÂeuro¿.
WO2013134785A2 (en) * 2012-03-09 2013-09-12 Oliso, INC. Cooking appliance
KR101335304B1 (ko) 2012-11-02 2013-12-02 (주)포에스텍 진공 포장기
ITVI20130074U1 (it) * 2013-10-17 2015-04-18 Sirman S P A Macchina combinata per il confezionamento sottovuoto e la cottura a bassa temperatura dei cibi
US10085584B2 (en) * 2014-06-09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regulating temperature for sous vide cooking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26414B1 (ko) 2015-05-11 2016-06-03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저온조리기
JP6552726B2 (ja) 2015-05-11 2019-07-31 イントロパ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真空低温調理器
US10440979B2 (en) * 2015-11-11 2019-10-15 Home Tech Innov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t least semi-autonomous meal storage and cooking via fluid immersion
KR101864514B1 (ko) 2016-12-27 201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9664B2 (ja) * 2000-11-27 2004-12-08 東静電気株式会社 複合真空調理機器
KR20060013768A (ko) * 2004-08-09 2006-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드로워부가 구비된 전기오븐레인지
KR20120115212A (ko) * 2009-09-08 2012-10-17 마이클 알. 애데스 수-비드 쿠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84488A1 (en) 2018-06-28
EP3343115B1 (en) 2020-08-05
US10863589B2 (en) 2020-12-08
US20210059021A1 (en) 2021-02-25
DE202017007318U1 (de) 2020-10-12
EP3343115A1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514B1 (ko) 복합 조리기기
KR101885870B1 (ko) 저온진공조리장치
EP3671042B1 (en)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180129197A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KR101975325B1 (ko) 복합 조리기기
KR102471069B1 (ko) 저온진공조리장치
KR102471054B1 (ko) 복합 조리기기
KR101623975B1 (ko) 조리기기
KR20190018944A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KR100938384B1 (ko) 오븐용 랙
KR20060013775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90059295A (ko) 오븐용 랙
JP2021065571A (ja) 加熱調理器
KR20060082256A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 고정구조
KR20180114339A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JP2015203519A (ja) 加熱調理器
KR20060013778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