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062B1 -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062B1
KR101026062B1 KR1020090028887A KR20090028887A KR101026062B1 KR 101026062 B1 KR101026062 B1 KR 101026062B1 KR 1020090028887 A KR1020090028887 A KR 1020090028887A KR 20090028887 A KR20090028887 A KR 20090028887A KR 101026062 B1 KR101026062 B1 KR 101026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cooking
food
hea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516A (ko
Inventor
오상진
허정익
황근재
변준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06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와, 상기 요리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열원과, 상기 제1열원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요리 공간으로 고주파를 공급하는 제2열원이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요리 공간이 정상 상태이면, 요리 종료 예정 시간의 설정 시간 전에 상기 제1,2열원의 가동이 정지된 후 상기 제1열원이 제1설정위치로 이동한 다음 요리가 종료되고, 상기 요리 공간이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2열원의 가동이 정지된 후 상기 제1열원이 제2설정위치로 이동한 다음 요리가 종료된다.
조리기기, 제어, 제1열원, 정상 상태, 비정상 상태, 설정위치

Description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주방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원에 의해 전자레인지와 오븐 등으로 구별되며, 설치되는 형태에 의해 빌트인(Built-in) 타입과 스탠드 타입, 벽걸이 타입 등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고주파를 발산하여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며, 상기 오븐은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으로 히터 또는 버너 등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주방기기이다.
그리고, 빌트인 타입은 주방 공간에 위치하는 주방 가구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며, 스탠드 타입은 주방 가구의 상측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놓이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고, 벽걸이 타입은 주방 공간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주방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후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타입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고주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과,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는 히터, 버너 등이 동시에 또는 각각 구비되어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조리기기에는 요리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여 요리 공간을 가열하는 다수의 열원이 구비되고, 이러한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요리 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의 요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요리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과 더욱 가까이 열원을 위치시키고자 이동 가능한 열원이 구비되기도 하며, 이러한 열원은 음식물의 크기 또는 요리 공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요리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열원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이동 수단이 구비되며, 이러한 이동수단은 열원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되어 각각 장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리 공간을 이동 가능한 열원이 장착되는 조리기기를 안전하게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와, 상기 요리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열원과, 상기 제1열원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요리 공간으로 고주파를 공급하는 제2열원이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요리 공간이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명령에 따라 조리가 이루어지는 정상 상태이면, 요리 종료 예정 시간의 설정 시간 전에 상기 제1,2열원의 가동이 정지된 후 상기 제1열원이 제1설정위치로 이동한 다음 요리가 종료되고, 상기 요리 공간이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2열원의 가동이 정지된 후 상기 제1열원이 제2설정위치로 이동한 다음 요리가 종료되며, 상기 비정상 상태에는 조리 도중 사용자의 자의 또는 타의에 의해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상태와, 상기 제 1, 2 열원의 오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명령에 따른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요리 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요리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열원이 상기 요리 공간에서 이동하면서 발열하는 발열단계와, 요리 종료 예정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 전에 상기 제1열원의 발열을 종료하는 발열종료단계와, 발열이 종료된 상기 제1열원을 설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및 상기 제1열원의 이동 완료 후 요리가 종료되는 요리종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열원은 상기 음식물의 후방을 경유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요리 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요리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열원이 설정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발열하는 발열단계와, 요리 종료 예정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 전에 상기 제1열원의 발열을 종료하는 발열종료단계와, 발열이 종료된 상기 제1열원을 설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및 상기 제1열원의 이동 완료 후 요리가 종료되는 요리종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단계의 설정위치는 상기 제1열원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의 구동 시간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요리 공간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원이 안전하게 제어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요리 공간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원을 구동력이 제공되는 구동모듈에 장착되는 스위치와 상기 구동모듈의 가동 시간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열원의 이동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듈에 장착되는 상기 스위치로 요리 공간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원의 이동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다른 스위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열원의 이동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요리 공간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원에 의해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는 이점이 있으며, 균일한 음식물의 가열로 인해 균일한 요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요리 공간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원은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위치시 킴으로써 음식물의 종류 및 형태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위치로 이동시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형태 또는 종류에 가장 적합한 가열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음식물의 형태 또는 종류에 가장 적합한 위치 또는 방향에서 적당한 가열을 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조작장치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되면서 왕복 운동하는 열원이 구비되는 모든 조리기기의 형태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조리기기는 다양한 열원이 사용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열원이 사용되는 조리기기를 예 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살펴보도록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을 이루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앞면의 일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0)의 외면에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충격에 강한 케이스(110)에 의해 감싸지면서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과 후면이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케이스(110)가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면과 측면이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고, 그 패널에 하면을 형성하는 패널과 후면을 형성하는 패널이 체결되면서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앞면에는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도어(120)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1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직접 조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13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1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도어(120)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의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어(1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핸들(122)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122)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의 앞면에 결합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어(120) 앞면의 일정 부분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20)에는 사용자가 외부 공간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요리되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본체(100)의 내부 공간 상태를 도어(120)의 회동 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124)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30)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직접 상기 본체(10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과 다이얼로 구성되는 조작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32)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조작부(132)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00)가 동작하게 될 때, 본체(100)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의 요리 상태, 요리 방법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134)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고, 사용 범위가 넓은 액 정 장치의 하나인 엘씨디(LCD) 패널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수의 엘이디(LED)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도 가능하고, 음성 출력 장치가 구비되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물론, 상기 표시부(134)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므로, 음성 또는 화면이나 영상 등 어떠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영상과 음성, 화면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2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개방된 앞면에는 선택적으로 캐비티(200)를 개폐하는 상기 도어(120)가 장착되고, 캐비티(200)의 일측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동작되면서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들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일측 즉, 상기 컨트롤패널(130)의 후방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동작되는 조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14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14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에 의해 상기 본 체(100)의 동작이 제어된다. 즉, 상기 조작부(132)를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면, 조작 신호를 송신하여, 다수의 전장 부품이 동작하게 됨으로써 본체(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단부에는 상기 케이스(110)와 상기 도어(120)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12)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12)은 개방되는 상기 캐비티(200)의 앞면과 대응되는 부분 및 상기 컨트롤패널(130)이 위치하게 되는 부분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120)와 컨트롤패널(13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후방커버(114)에 의해 후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커버(114)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케이스(110)와 체결되어 케이스(110)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전장실(14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본체(100)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전장실(140)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전장실(14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내부 공간이 요리 공간이 되는 상기 캐비티(200)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패널(210)과, 후면을 형성하는 제2패널(220), 상면을 형성하는 제3패널(230), 하면을 형성하는 제4패널(240)이 서로 체결되면서 하나의 캐비티(200)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캐비티(200)가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 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상기 제1패널(210)과 상기 제2패널(2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패널(230)과 상기 제4패널(240)이 결합되면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캐비티(20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패널(210)과 상기 제2패널(220)이 세로 면을 형성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제3패널(230)과 상기 제4패널(240)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캐비티(200)를 예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200)는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세로 면이 외측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는 세로 면은 다음에 설명할 제1열원(310)이 지지되는 면 이외의 세로 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패널(220)이 외측 즉, 후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상기 제1패널(210)이 다른 방향의 외측, 즉, 측방으로 라운드지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열원은 상기 음식물의 후방을 경유하여 음식물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열원(310)이 구비되며,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여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는 제2열원(320) 및 캐비티(200)의 외부 공간에 고정 장착되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는 제3열원(330)이 구비된다.
물론, 각각의 상기 열원들이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나, 요리 시간의 단축 및 음식물의 균일 가열, 음식물의 특성에 적합한 가열을 위하여 제1열원(310)과 제2열원(320) 및 제3열원(330)이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열원이 모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캐비티(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패널(220)은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상측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 즉,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도 요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 본체(1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후방커버(114)는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2패널(220)이 위치하는 부분만큼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패널(220)이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제2패널(220)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제1열원(310)의 이동 공간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더욱 커지게 됨으로써 더 큰 음식물이 위치할 수 있게 되 어 부피가 큰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캐비티(2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패널(210)의 외면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제2열원(320)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제2열원(320)은 마그네트론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제2열원(320)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각 상자 형태의 외형을 가지면서, 그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진 공간이 마련되고, 공진 공간과 이어지면서 사각 상자 형태의 한 면을 관통하여 고주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 기둥 형태의 안테나가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가 고주파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열원(320)을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에 장착하게 되면, 장착되는 캐비티(200)의 일면을 안테나가 관통하게 됨으로써 그 관통되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공진 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를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2열원(320)은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산하여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진동시킴으로써 수분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되어 요리하게 된다. 물론, 고주파를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되지 않는 것도 무방하나, 음식물의 특성 또는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등을 고려하여 볼 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캐비티(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3패널(230)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고, 그 절제된 부분에는 상측에서 절제된 부분을 덮는 상부커버(25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250)는 하단부가 제3패널(230)의 상면에 접하면서 결합되고,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은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범위를 넓혀줌으로써 부피가 더 큰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커버(250)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제공되는 내부 공간 전반부에는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는 제3열원(330)이 장착된다. 상기 제3열원(33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음식물의 전반부가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요리 시간이 절감되고 음식물이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측면에는 상기 제1열원(31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26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듈(260)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면서, 캐비티(200)의 측면에 장착되고, 제1열원(310)과 체결되면서 제1열원(310)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신호 전달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동작 단계를 나타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 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신호 전달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패널(130)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부(132)의 버튼 또는 다이얼을 사용하여 요리 방법 또는 요리 종류 등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요리 방법과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 및 음식물의 요리 종류 등의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사용자의 선택에 적합한 요리를 진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130)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부(132)를 조작하게 되면, 조작부(132)에서는 조작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조작신호는 상기 회로기판(150)으로 전달된다.
상기 회로기판(150)은 상기 컨트롤패널(130)의 후방에 위치하여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또는 표면에는 회로들이 인쇄되어 있어 인쇄된 회로를 따라 신호가 이동하면서 전달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150)에는 동작 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된 마이컴(160)이 장착된다.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조작부(132)에서 회로기판(150)을 통하여 수신되는 조작신호를 전달받게 되며,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마이컴(160)은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마이컴(160)에서 발생하게 되는 동작신호는 상기 회로기판(150)에 인쇄된 회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열원(300) 및 상기 구동모듈(260)로 전달되며, 상기 컨트롤패널(130)에 구비되는 상기 표시부(134)로 전달되어 동영상 또는 음성, 화면 등의 방법으로 외부 공간에서 사용자가 요리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
상기 열원(300)으로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의해 다양한 열원(300)이 선택적 또는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32)를 조작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으로 조작신호가 전달되고 조작신호를 전달받은 마이컴(160)은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1열원(310), 상기 제2열원(320), 상기 제3열원(330)이 모두 가동되도록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열원(310)과 제3열원(330)만 가동하도록 동작신호가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2열원(320)만 가동하도록 동작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제2열원(320)과 상기 제3열원(330)으로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제2열원(320)과 제3열원(3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듈(260)을 통하여 상기 제1열원(310)으로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제1열원(3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60)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에 의해 상기 제1열원(310)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1열원(310)이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구동모듈(260)은 상기 제1열원(310)이 일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62)와,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력에 의해 운동하는 구동모터(263)와, 상기 구동모터(263)의 구동력에 의해 운동하는 제2부재(264), 상기 제2부재(264)의 운동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264)와, 상기 제1부재(261)의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듈(260)의 구성과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32)를 조작하여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메뉴는 상기 마이컴(160)으로 전달되고, 마이컴(160)으로 전달된 조작신호는 마이컴(160)에서 동작신호로 전환되어 구동모듈(260)로 전달된다.
상기 마이컴(160)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듈(260)이 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모듈(2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열원(310)은 상기 요리 공간에서 이동하면서 발열하도록 제어하거나, 설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발열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듈(260)을 간략히 살펴보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형을 이루는 모듈케이스(261)가 구비되고, 상기 모듈케이스(261)의 외면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62)가 장착된다.
상기 모듈케이스(26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구동모터(262)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되는 제1부재(263)와, 상기 제1부재(263)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되는 제2부재(264) 및 상기 제2부재(26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온/오프(ON/OFF)동작하게 되는 스위치(265)와, 모듈케이스(26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제1부재(263)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66)가 구비된다.
상기 모듈케이스(261)는 전체적으로 사각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부재(263)는 모듈케 이스(26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원주 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62)와 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부재(264)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원주 면에는 일정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치형이 형성되고, 그 중심부는 상기 제1열원(310)의 끝 부분 일부가 관통하면서 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160)에서 상기 구동모듈(260)로 동작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262)가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구동모터(262)와 축 결합되는 상기 제1부재(263)가 회전 운동하게 된다. 제1부재(263)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1부재(263)와 치형이 맞물리는 상기 제2부재(264)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제2부재(26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265)가 온/오프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부재(263)와 치형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제2부재(264)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제2부재(26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2부재(264)와 축 결합되는 상기 제1열원(310)은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263)가 일정 정도 회전하게 되면, 제1부재(263)는 상기 스토퍼(266)에 의해 그 회전이 제한되고, 제1부재(263)의 회전 제한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62)는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반대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62)에서 반대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면서, 상기 제1 부재(263)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고, 제1부재(263)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면서 상기 제2부재(264)의 회전 방향도 전환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62)는 상기 제1부재(263)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도록 일정 속도의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어, 상기 제1열원(310)은 일정 속도로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나타낸 조리기기의 동작 순서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기 요리 공간이 정상상태이면, 요리 종료 예정 시간의 이전의 설정 시간에 남은 요리시간이 도달하게 될 경우 상기 제1,2열원(310,320)의 가동이 정지된 후 제1열원(310)이 제1설정위치로 이동한 다음 요리가 종료되고, 상기 요리 공간이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2열원(310,320)의 가동이 정지된 후 제1열원(310)이 제2설정위치로 이동한 다음 요리가 종료되도록 제어된다.
이를 상기 제1열원(310)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열원(310)은 요리 종료를 위해 남은 조리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게 될 경우 발열이 정지되고, 발열이 정지된 제1열원(310)이 제1설정위치로 이동한 다음 요리가 종료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제1설정위치는 제어과정에서 제1열원(310)의 이동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요리 시작 전 제1열원(310)의 위치일 수도 있고, 음식물의 직상방 또는 직하방 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설정위치는 제어과정에서 제어명령을 구분하기 위한 위치일 뿐 다양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1열원(310)은 발열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설정위치로 이동한 다음 요리가 종료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제2열원(320)과 상기 제3열원(330)이 선택적 또는 동시에 가동되고 있다고 가정하면, 제2열원(320)과 제3열원(330)은 상기 캐비티(200)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마이컴(160)에 의해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이처럼, 상기 제1열원(310)이 요리 종료 예정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 전에 발열이 정지된 다음 상기 제1설정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은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이며, 다음 요리의 시작 시 동일 위치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열원(310)은 설정 위치에서 정지하여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정지모드와,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이동하면서 가열하는 이동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정지모드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피자 등과 같이 특정 부위의 가열 온도가 다른 부위의 가열 온도보다 높은 경우 특정 부위를 다른 부분보다 더 가열하기 위하여 설정 위치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지모드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위치가 상이하게 설정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피자의 경우에는 음식물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비스켓 또는 쿠키의 경우에는 음식물의 상방에 위치하여 가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지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음식물이 부침 또는 전의 경우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거의 동일 한 가열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면을 먼저 가열한 다음 일정 시간 이후에 다시 음식물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면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설정위치와 상기 제2설정위치는 상기 제1열원(310)의 작동모드에 따라 제어과정이 다르게 되므로 구분하여 설명되었으나, 제어과정상의 설정위치이므로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설정위치와 제2설정위치가 모두 조리공간 내부에서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물론, 다른 위치 즉, 음식물의 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나, 음식물의 직 상방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도어(120)와 마주보는 면적이 가장 적으면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상부커버(250)에 의해 반사되어 도어(120) 방향으로 가장 적게 발산되므로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물론, 상기 제1설정위치가 음식물의 직 상방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설정위치가 음식물의 직 하방으로 설정되어 서로 다른 위치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1설정위치와 제2설정위치가 동일하게 음식물의 직 상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정상 상태는 요리 중 상기 도어(120)가 사용자의 자의 또는 타의에 의해 회동되어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상태와 같이 도어(120)에 의해 감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른 비정상 상태도 가능하며, 이러한 비정상 상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거나, 음식물의 요리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또는 상기 본체(100)의 가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된다.
즉,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가 개방되어 캐비티(200) 내부의 온도가 급작스런 하강을 하게 되는 경우 또는, 음식물이 타게 되어 캐비티(200) 내부의 온도가 급작스런 상승을 하게 되는 경우와 같이 온도에 의한 감지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열원(310)이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써 설정 시간에 상기 스위치(265)의 버튼을 압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와 같이 비정상 상태는 다른 방법에 의해 감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나타낸 조리기기의 동작 단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32)를 조작하여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요리 방법 또는 요리 종류 등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요리 방법 또는 요리 종류만을 선택하여 이미 입력된 요리 방법과 시간에 의해 요리가 진행되는 자동요리를 수행하도록 조작하거나, 요리 방법과 요리 종류 및 가열시간 등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요리가 진행되는 수동요리를 수행하도록 조작하게 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조작부(132)에서는 조작신호를 상기 회로기판(150)으로 전송하게 되고, 회로기판(150)으로 전송된 조작신호는 상기 마이컴(160)으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요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입력된 음식물의 정보를 기초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160)은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열원(300)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가동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 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동요리를 수행하도록 조작하게 되면, 조작신호를 전달받는 상기 마이컴(160)은 사용자가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제1열원(310)의 정지모드 또는 이동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이동모드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부피가 크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길이가 일정 정도 비율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가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고자 할 때 선택하게 되며, 상기 정지모드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부피가 작으면서 두께가 얇고 일정 부분이 집중 가열하여야 할 때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모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음식물은 부피가 큰 통닭 등과 같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되며, 상기 정지모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음식물은 두께가 얇고 하면이 두꺼운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이 상기 구동모듈(260)로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제1열원(310)을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표시부(134)로 동시에 동작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134)로 동작신호가 전달되면, 표시부(134)에서는 동영상 또는 화면이나 음성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제1열원(310)이 이동하면서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게 되는 것을 알려주게 되고, 상기 구동모듈(260)로 동작신호가 전달되면 구동모듈(260)의 동작에 의해 제1열원(310)은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발열단계(S100)가 진행된다.
즉, 상기 구동모듈(260)이 상기 마이컴(160)으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62)는 일정 속도를 가지는 구동력을 상기 제1부재(263)에 제공하게 되고, 구동력을 전달받은 제1부재(263)는 일정 속도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일정 속도를 가지면서 회전 운동하는 제1부재(263)에 의해 제1부재(263)와 일정 부분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2부재(264)도 회전 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을 이동모드로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2부재(264)가 회전 운동하면서, 제2부재(264)와 결합되는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면서 제1열원(310)이 발열하여 요리 공간을 가열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을 정지모드로 선택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제1열원(310)을 설정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열원(310)이 발열하여 요리 공간을 가열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피자와 같이 면적이 넓고 상면보다 하면에 더 많은 열이 가해지도록 요구되는 음식물인 경우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게 되고,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그 위치에 정지하여 발열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열원(310)에 제공되는 구동력이 일정한 속도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구동모터(262)의 가동 시간을 제어하여 제1열원(310)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더 살펼보면, 상기 구동모터(262)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의 회전 속도 가 RPM(알피엠:분당회전수) 1이라 가정하면, 구동모터(262)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263)는 1분당 1회전하게 되고, 이를 계산하여 보면 제1부재(263)는 30초에 ½회전, 15초에 ¼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열원(310)의 최초 위치가 음식물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상기 마이컴(160)이 상기 구동모터(262)를 30초 동안 가동한 다음 구동모터(262)의 가동을 정지시켜주게 되면, 구동모터(262)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부재(263)와 상기 제2부재(264)가 ½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열원(310)은 ½회전하게 되어 음식물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원(310)은 상기 구동모듈(260)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265)에 의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1열원(310)은 최초 위치 즉, 음식물의 상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제2부재(264)에 구비되는 누름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스위치(265)의 버튼은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상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스위치(265)가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160)이 동작신호를 상기 구동모터(262)로 전달하게 되면, 구동모터(262)는 상기 제1부재(263)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제1부재(263)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부재(264)를 회전시키게 되며, 제2부재(26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미도시)에 의해 압착된 스위치(265) 버튼의 압착이 해제된다.
상기 스위치(265) 버튼의 압착이 해제되면 스위치(265)는 온(ON) 상태가 되 고, 스위치(265)의 온 상태로부터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구동모터(262)의 가동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여러 가지 설정에 의해 상기 마이컴(160) 및 상기 제1열원(310)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을 이동모드로 선택하게 되면, 제1열원(310)은 음식물의 후방을 경유하여 음식물의 상방과 하방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제어된다. 이는, 음식물의 전반부는 상기 제3열원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의 균일 가열을 위하여 제1열원(310)은 그 이동 경로가 음식물의 상방으로부터 음식물의 후방을 경유하여 음식물의 하방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 경로가 이어지지 않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음식물을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중앙부분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음식물을 지지하는 랙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지지하게 되는 경우 제1열원(310)이 상기 랙과 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 경로가 이어지지 않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마이컴(160)에서 상기 구동모듈(260)로 동작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구동모듈(260)은 상기 제1열원(31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구동모터(262)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262)는 일정 속도의 구동력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62)가 일정 속도의 구동력을 발생하게 됨으로써 구동모터(262)와 축 결합되는 상기 제1부재(263)도 일정 속도로 운동하게 되고, 제1부재(263)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제2부재(264)도 일정 속도로 운동하게 되면서, 제2부재(264)와 축 결합되는 상기 제1열원(310)이 일정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열원(310)이 일정 속도로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게 상기 발열단계(S100)에 의해 제1열원(310)이 발열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3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조작신호는 상기 회로기판(150)으로 전달되면서 회로기판(150)에 인쇄된 회로를 따라 상기 마이컴(160)으로 전달되고, 마이컴(160)으로 전달되는 조작신호에 의해 마이컴(160)은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60)에서 발생하게 되는 동작신호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150)과 연결되는 상기 구동모듈(260)이 동작하게 된다. 구동모듈(260)이 동작하게 되면, 구동모듈(260)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262)가 일정 속도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구동모터(262)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은 상기 제1부재(263)로 전달되어 제1부재(263)가 일정 속도를 가지면서 회전 운동하게 되며, 제1부재(263)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2부재(264)도 일정 속도를 가지면서 회전 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부재(264)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2부재(264)와 축 결합되는 상기 제1열원(310)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일정 속도로 이동하게 되고,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제1열원(310)이 상기 발열단계(S100)에 의해 요리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면서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원(310)은 하방 이동이 상기 스위치(265)에 의해 제어되고, 상방 이동이 상기 구동모듈(260)에 구비되는 상기 스토퍼(266)에 의해 제어되 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를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2부재(264)에 구비되는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마이컴(160)에서 동작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262)에서 상기 제1부재(263)로 구동력이 제공된다.
상기 제1부재(263)로 구동력이 제공되면 제1부재(263)는 회전 운동하게 되고, 제1부재(263)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2부재(264)가 회전 운동하게 되며, 이때 누름부재에 의해 압착되어 있던 상기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 해제되면서 상기 제1열원(310)은 하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부재(263)가 일정 정도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부재(264)의 회전 운동으로 상기 제1열원(310)이 일정 정도 회전 운동하게 되면, 제1부재(263)는 상기 구동모듈(260)에 구비되는 상기 스토퍼(266)에 의해 회전 운동이 제한된다.
상기 스토퍼(266)에 의해 상기 제1부재(263)의 회전 운동이 제한되면, 제1부재(263)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구동모터(262)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면서, 제1부재(263)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고, 제1부재(263)의 회전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2부재(264)의 회전 방향도 전환된다.
상기 제2부재(264)의 회전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상기 제1열원(310)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어 제1열원(310)은 상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원(310)의 하방 이동은 상기 스위치(265)에 의해 제어되며, 상방 이동은 상기 스토퍼(266)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원(310)은 상기 구동모터(262)의 회전 수에 의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는 구동모터(262)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구동모터(262)의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제1,2부재(263,264)의 기어비를 설정함으로써 구동모터(262)가 일 회전하면 제1열원(310)이 이동 경로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하여 구동모터(262)의 일 회전마다 구동력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구동모터(262)의 회전 수에 의해 제1열원(31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을 정지모드로 선택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제1열원(310)이 설정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발열하도록 상기 발열단계(S1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발열단계(S100)에서 상기 제1열원(310)이 발열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요리 종료 예정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 전에 제1열원(310)의 발열을 종료하는 발열종료단계(S200)를 진행하게 되고, 상기 발열종료단계(S200)에서 제1열원(310)의 발열이 종료되면, 제1열원(310)을 설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300)가 진행된다.
상기 이동단계(S300)에서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요리가 종료되는 요리종료단계(S400)가 진행된다. 물론, 이동단계(S300)와 요리종료단계(S400) 사이 또는 요리종료단계(S400) 이후에는 일정 정도의 설정시간 만큼 경과 후 상기 도어(1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요리 종료 후 상기 캐비티(200) 내부 공간의 잔열로 인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열단계(S100)에서의 설정 위치는 상기 제1열원(310)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시간 또는 상기 스위치(265)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기 구동모터(262)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이 일정 속도로 제공됨으로써 가능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되면, 구동모터(262)의 분당회전수가 1회전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가정할 때, 상기 발열단계(S100)에서 상기 설정 위치는 구동모터(262)를 30초 내외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하게 되면, 제1열원(310)의 설정 위치는 음식물의 직 상방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되면, 구동모터(262)를 15초 내외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하게 되면, 제1열원(310)의 설정 위치는 음식물의 직 상방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65)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열원(310)의 설정 위치를 제어하게 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할 것이다.
상기 이동단계(S300)에서 설정 위치는 상기 제1열원(310)의 최초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조리기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상기 구동모터(262)는 10초에 1회전 하는 속도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열원(310)이 정지모드일 경우 음식물의 하방에 위치하여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하며, 요리 공간의 비정상 상태는 요리 중 상기 도어(120)의 열림 상태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요리의 종류 및 방법을 선택한 다음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을 정지모드로 선택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구동모듈(260)로 동작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60)으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구동모듈(260)은 상기 구동모터(262)에서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열원(310)을 음식물의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1열원(310)의 이동은 구동모터(262)의 구동 시간에 의해 제어되고, 이때, 구동모터(262)의 구동 시간은 5초가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은 5초 후 정지하게 됨으로써 5초 동안 구동모터(262)로부터 상기 제1부재(263)로 구동력이 제공되어 상기 제2부재(264)를 회전 운동시키면서 상기 제1열원(310)을 음식물의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하방을 이동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제1열원(310)이 발열되도록 동작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마이컴(160)의 동작신호를 받은 제1열원(310)은 발열하여 음식물의 하방에서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열원(320) 또는 상기 제3열원(330)이 동시에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며,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요리의 진행 중 상기 도어(120)의 열림이 감지되거나, 다른 사유로 인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다시 말해, 요리 공간의 비정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요리 공간이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열원(300)의 발열이 종료되도록 동작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원(310)의 이동을 위해 상기 구동모듈(260)에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모터(262)가 최초 구동력의 발생 시간 즉, 5초 동안 최초 구동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력에 의해 제1열원(310)은 최초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 경로를 따라 최초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요리 공간이 정상 상태가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최초 동작과 동일한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열원(310)을 음식물의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발열하도록 동작시키게 된다.
이처럼, 상기 요리 공간이 정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1열원(310)은 계속 발열하여 음식물의 하방에서 요리 공간을 가열하게 되고, 전술한 설정시간에 남은 요리 시간이 도달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구동모터(262)를 다른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동작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신호에 의해 제1열원(310)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설정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삭제
상기 제1열원(310)이 제1설정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제1열원(310)의 발열을 정지시키고, 남은 요리 시간이“0”이 되면 요리를 종료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열원(310)이 이동모드일 경우를 이동하면서 요리 공간인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 속도는 10초에 1회전 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요리 공간의 비정상 상태는 요리 중 상기 도어(120)의 열림 상태로 가정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요리의 종류 및 방법을 선택한 다음 상기 제1열원(310)의 동작을 이동모드로 선택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구동모듈(260)로 동작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60)으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구동모듈(260)은 상기 구동모터(262)에서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열원(3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제1열원(310)의 이동은 구동모터(262)의 구동 시간에 의해 제어되고, 이때, 구동모터(262)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의 방향은 5초 단위로 전환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의 방향은 5초 후 전환됨으로써 5초 동안 구동모터(262)로부터 상기 제1부재(263)로 구동력이 제공되어 상기 제2부재(264)를 회전 운동시키면서 상기 제1열원(310)을 음식물의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구동모터(262)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의 방향은 전환되어 5초 동안 구동모터(262)에서 제공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263)와 상기 제2부재(264)가 전환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1열원(310)이 전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160)은 제1열원(310)이 발열되도록 동작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마이컴(160)의 동작신호를 받은 제1열원(310)은 이동하면서 발열하여 음식물의 테두리 외측을 따라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열원(320) 또는 상기 제3열원(330)이 동시에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며,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요리의 진행 중 상기 도어(120)의 열림이 감지되거나, 다른 사유로 인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 다시 말해, 요리 공간의 비정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요리 공간이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열원(300)의 발열이 종료되도록 동작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1열원(310)의 발열이 종료된 후 제1열원(310)의 이동은 상기 스위치(265)의 동작에 의해 달라진다. 즉,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되면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열원(310)의 최초 위치가 음식물의 직 상방이라 가정하면, 상기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된 상태가 제1열원(310)의 최초 위치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62)가 5초 동안 구동력을 제공하면, 제1열원(310)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62)는 전환된 방향으로 구동력을 5초 동안 제공하면, 상기 제1열원(310)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동 경로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된다.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구동모터(262)의 구동을 종료하게 되어, 제1열원(310)이 최초 위치 즉,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원(310)의 발열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65)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이 제어된다. 즉, 스위치(265)의 버튼이 해제된 상태에서 조리공간이 비정상 상태가 되면 제1열원(310)의 발열이 정지되고, 상기 구동모터(262)가 작동하여 상기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되면,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마이컴(160)이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위치는 조리공간 내부의 실제 위치상으로는 제1열원(310)의 초기 위치가 되지만 제어과정에서는 이와 같은 위치를 제2설정위치라고 정의함으로써 정상상태에서의 제1설정위치와 구분하여 제어명령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한편, 요리 공간이 정상 상태가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최초 동작과 동일한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열원(310)을 이동시키면서 발열하도록 동작시키게 된다.
이처럼, 상기 요리 공간이 정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1열원(310)은 계속 발열하여 음식물의 하방에서 요리 공간을 가열하게 되고, 요리 완료 잔여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이 되면, 상기 마이컴(160)은 제1열원(310)의 발열을 종료시키면서 구 동모터(26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열원(310)의 발열이 종료된 다음 요리 완료 잔여시간이 10초보다 적으면 상기 마이컴(160)은 상기 스위치(265)의 버튼이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6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제1열원(310)이 음식물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정시간은 전체 요리 시간에 따라 달라지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체 요리 시간이 길면 설정시간도 길게 설정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온도가 일정 정도 이하일 때 요리가 종료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잔열에 의해 인체의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실시 예들이 더 제안될 수 있으며,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되는 다른 실시 예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가지는 효과는 동일하게 가지거나 더욱 향상된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요리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원이 음식물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 위치에서 발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이동하면서 발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각 음식물에 가장 적합한 요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음식물에 가장 적합한 요리가 가능해짐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요리 후 음식물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조리기기를 제조 및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산업에서 많은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신호 전달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블럭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케이스
112. 전방프레임 114. 후방커버
120. 도어 122. 도어핸들
124. 투시창 130. 컨트롤패널
132. 조작부 134. 표시부
140. 전장실 150. 회로기판
160. 마이컴 200. 캐비티
210. 제1패널 220. 제2패널
230. 제3패널 240. 제4패널
250. 상부커버 260. 구동모듈
261. 모듈케이스 262. 구동모터
263. 제1부재 264. 제2부재
265. 스위치 266. 스토퍼
300. 열원 310. 제1열원
320. 제2열원 330. 제3열원
S100. 발열단계 S200. 발열종료단계
S300. 이동단계 S400. 요리종료단계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요리 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된 이후 사용자에 의해 음식물의 종류, 요리 방법을 포함하는 메뉴의 선택에 따라 상기 요리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열원이 다른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이동하면서 발열하는 발열단계;
    요리 종료 예정 시간으로부터 설정 시간 전에 상기 제1열원의 발열을 종료하는 발열종료단계;
    발열이 종료된 상기 제1열원을 설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및
    상기 제1열원의 이동 완료 후 요리가 종료되는 요리종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단계에서 상기 제 1 열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수용된 음식물의 상방과 후방 및 하방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정지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정지모드; 또는 수용된 음식물의 상방과 후방 및 하방을 경유하여 왕복운동 하면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이동모드;로 작동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단계에서 상기 제1열원의 동작모드가 정지모드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90028887A 2009-04-03 2009-04-03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026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87A KR101026062B1 (ko) 2009-04-03 2009-04-03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87A KR101026062B1 (ko) 2009-04-03 2009-04-03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516A KR20100110516A (ko) 2010-10-13
KR101026062B1 true KR101026062B1 (ko) 2011-04-04

Family

ID=4313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887A KR101026062B1 (ko) 2009-04-03 2009-04-03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0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468A (ko) * 1997-12-13 1999-07-05 윤홍구 전자렌지의 화상재해방지 방법
KR20040017186A (ko)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터를 구비한 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468A (ko) * 1997-12-13 1999-07-05 윤홍구 전자렌지의 화상재해방지 방법
KR20040017186A (ko)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터를 구비한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516A (ko)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7469B1 (en) Cooker
EP1392083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heaters
US7005614B2 (en) Cooking apparatus equipped with hea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060943B2 (en) Cooking apparatus having heaters
WO2012105233A1 (ja) 加熱調理器
JP4309903B2 (ja) 加熱調理器
US11140754B2 (en) Cooking apparatus
KR101026062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6091356B2 (ja) 炊飯器
KR101920430B1 (ko) 조리기 및 그 입력 제어방법
KR100487321B1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01520093B1 (ko) 조리기기
KR101025958B1 (ko)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KR101004480B1 (ko) 조리기기
KR101003668B1 (ko) 조리기기
JP2015203542A (ja) 加熱調理器
KR100365924B1 (ko) 조리기
KR101628375B1 (ko) 조리기기
KR101026008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040021258A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WO2020017453A1 (ja) 加熱調理器
JP2022137596A (ja) 加熱調理器
KR101298001B1 (ko) 전자레인지의 냉각팬 회전 속도 제어 방법
KR101052152B1 (ko) 조리기기
JP2019027705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