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152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152B1
KR101052152B1 KR1020090102728A KR20090102728A KR101052152B1 KR 101052152 B1 KR101052152 B1 KR 101052152B1 KR 1020090102728 A KR1020090102728 A KR 1020090102728A KR 20090102728 A KR20090102728 A KR 20090102728A KR 101052152 B1 KR101052152 B1 KR 10105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witch
encoder
cooking
circuit board
inerti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954A (ko
Inventor
진재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1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감과 안정감이 향상된 회전스위치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스위치가 구비되는 컨트롤패널과, 상기 회전스위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면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가 고정되고, 상기 엔코더의 회전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회전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스위치의 무게 중심을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관성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스위치는 상기 엔코더와 직접 체결되고, 상기 관성부재는 상기 회전스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엔코더와 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회전스위치의 회전감과 안정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조리기기, 컨트롤패널, 컨트롤프레임, 회전스위치, 관성부재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감과 안정감이 향상된 회전스위치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사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놓이는 요리 공간을 밀폐한 다음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는 오븐과, 음식물이 놓이는 밀폐된 공간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전자레인지 및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을 하측에서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쿡탑 등 다양한 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복사열 및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전기조리기기와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연소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스조리기기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밀폐한 후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고주파를 조사(照射)하여 음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들을 진동시킴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마찰열로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음식물 각 부위의 동시 발열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의 균일한 요리가 가능하며, 요리 시간의 절약, 조작의 편의성 등 다양한 이점으로 인해 일반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더욱 다양한 요리가 가능하도록 음식물에 열풍을 가하는 기능 및 구이 유리가 가능한 그릴 기능 등이 추가되고 있으며, 더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의 파장 특성상 음식물의 고른 가열을 위하여 음식물을 회전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오븐은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넓고, 다양한 기능으로 대용량의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는 장점과, 다양한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조리기기 중 하나이다.
이러한 조리기기에는 컨트롤패널에 사용자가 압착하여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스위치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스위치의 압착감이나 상기 회전스위치의 클릭감을 통해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조작감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에 의해 사용자는 조작의 편의성 또는 감성 에 대한 사용감을 평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회전스위치 조작에 따른 클릭감이 향상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스위치의 안정적인 회전감을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스위치가 구비되는 컨트롤패널과, 상기 회전스위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면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가 고정되고, 상기 엔코더의 회전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회전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스위치의 무게 중심을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관성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스위치는 상기 엔코더와 직접 체결되고, 상기 관성부재는 상기 회전스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엔코더와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관성부재가 회전스위치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회전스 위치가 안정적인 회전감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스위치에 장착되는 관성부재에 의해 회전스위치의 무게중심이 회로기판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회전감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관성부재에 의해 관성 모멘트 값이 커짐으로써 사용자의 회전스위치를 회전 운동시키면서 조작하게 될 때 클릭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안정적인 회전감을 가지면서 클릭감이 향상되는 효과로 인해 사용자가 회전스위치를 사용하게 될 때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살펴보도록 하겠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회전스위치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는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 실시 예인 전자레인지의 외형 및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전자레인지는 앞면의 일부가 절제되면서 개방되는 외부케이스(1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고, 이러한 다수의 부품이 동작되면서 사용자가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철판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다양한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동일하다 할 것이다.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앞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각 면을 형성하는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면과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앞면과 하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패널이 체결되면서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200)이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200)의 일측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300)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200)은 앞면이 개방된 사각상자 형태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그 내부 공간에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위치시킨 후 조리실(200)의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500)를 회동시켜 조리실(200)을 차폐한 다음 상기 전장실(300)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비롯한 다양한 부품을 동작시켜 조리실(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200)의 내부 공간 하면에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대략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턴테이블(210)이 장착된다. 상기 턴테이블(210)은 상면에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며, 테두리 부분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턴테이블(210)이 회전하게 될 때, 상면에 위치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200)의 측방에는 상기 전장실(300)이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전장실(300)에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극초단파 예를 들어 고주파를 발진하여 조리실(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310)과, 상기 마그네트론(310)의 동작에 필요한 고전압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고압트랜스(320), 상기 고압트랜스(320)로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주는 커패시터(330)가 장착된다.
즉,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은 상기 커패시터(330)로 공급되어 전압이 일정한 전류로 변환되고, 일정한 전압의 전류로 변환된 전류는 상기 고압트랜스(320)로 이동하여 고전압을 가지는 전류로 변환된다. 고압트랜스(320)를 통과하면서 고전압을 가지는 전류로 변환된 전류는 상기 마그네트론(310)으로 공급되면서, 마그네트론(310)에서 고주파를 발산하여 상기 조리실(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외부 전원이 상기 커패시터(330)로 공급되어 상기 고압트랜스(320)로 제공되는 것은 외부 전류를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하면서 고압트랜스(320)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마그네트론(310)이 초기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 또는 동작을 멈추었다가 재동작하는 경우, 전류가 일정하게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전압이 일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마그네트론(310)과 고압트랜스(320)에 손상을 주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외부 전원이 상기 커패시터(330)로 공급된 다음 커패시터(330)에서 일정한 전압의 전류를 상기 고압트랜스(320)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310)과 고압트랜스(3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압트랜스(320)에서 고전압 전류로 승압된 외부 전원이 상기 마그네트론(310)으로 공급되면서 마그네트론(310)은 극초단파를 발진시키게 되고,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극초단파는 상기 도파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조리실(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면서 조리실(200)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3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앞면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면서, 전장실(300)이 외부케이스(100)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외부케이스(100)의 절제된 앞면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누름스위치와 회전스위치 및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컨트롤패널(400)이 장착된다.
물론, 상기 컨트롤패널(400)이 상기 전장실(30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조리실(200)의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50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조리실(200)의 상측 공간에 전장실(300)이 위치하면서 그 전단부에 컨트롤패널(40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리실(200)의 측방에 상기 전장실(300)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장실(300)의 전방에 상기 컨트롤패널(400)이 위치하게 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컨트롤패널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컨트롤패널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패널(400)은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터치글래스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수의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400)에는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컨트롤프레임(41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프레임(410)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하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개방된 후면으로 다수의 부품이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면서 지지된다.
상기 컨트롤프레임(410)은 상반부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어 가열조리기기의 동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요리시간, 요리의 종류, 요리의 진행 과정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420)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절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프레임(410)의 내부 공간에는 회로기판(430)이 구비된다. 상기 회로기판(430)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앞면에는 다수의 누름스위치(440)가 장착된다. 이러한 누름스위치(440)는 앞면이 컨트롤프레임(410)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을 관통하여 외부 공간으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압착하여 조작함으로써 가열조리기기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회로기판(430)의 하반부에는 사용자가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회전 운동하는 회전스위치(450)와 체결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460)가 장착된다. 상기 엔코더(460)는 회로기판(430)에 고정되면서 장착되는 부분과 회전스위치(450)와 체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며, 회전스위치(450)와 체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부분이 회전 운동하면서 회로기판(430)에 고정되는 부분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스위치(440)는 상기 컨트롤프레임(410)의 외부 공간으로 앞면이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압착하게 되면 직선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직선 운 동으로 사용자가 가열조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프레임(410)의 외부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상기 회전스위치(450)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회전스위치(450)는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스위치(45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가열조리기기는 동작하게 된다.
상기 회로기판(430)의 표면 또는 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누름스위치(440)와 상기 회전스위치(450)를 조작하게 되면 발생하게 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되어 있다. 이처럼 인쇄된 회로를 따라 누름스위치(440)와 회전스위치(45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신호를 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는 마이컴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누름스위치(440)와 상기 회전스위치(450)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가 상기 마이컴으로 전달되면, 마이컴은 그 신호에 의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다수의 부품을 동작시킴으로써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회로기판(430)의 후측에는 상기 컨트롤프레임(410)의 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표시부(420)가 장착되면서 고정되는 후면커버(47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후면커버(47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컨트롤프레임(410)의 후면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후면커버(470)의 앞면 상반부에 상기 표시부(420)가 장착되면서 사용자가 외부 공간에서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음식물의 요리 시간, 요리 방법, 요리 종류 등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부(420)에 표시되면서 사용자 는 조리기기의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420)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420)가 다양한 화면 및 다양한 움직임의 표현이 가능하고 사용 범위가 넓은 액정 장치인 엘씨디(LCD) 패널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화면 및 동영상 등의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수의 엘이디(LED) 램프로 구성되어 기호 및 숫자 등의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고, 음향 출력장치가 구비되어 음향에 의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420)는 음성 또는 화면, 영상 등 어떠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영상과 음성, 화면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형태만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구성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회전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회전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하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도면에서 보면, 상기 회로기판(430)의 상측에 상기 엔 코더(460)가 장착되고, 엔코더(460)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스위치(450)가 결합된다. 회전스위치(450)는 일정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프레임(410)에 형성되는 회전스위치홀(412)을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패널(400)의 외부 공간에 그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스위치홀(412)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지름은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상단부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하단부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오조작으로 인해 회전스위치(450)가 상기 컨트롤패널(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스위치홀(412)과 상기 회전스위치(450)는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스위치(450)를 회전 운동시키게 될 때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하단부에는 회전스위치(450)와 체결되면서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관성부재(48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관성부재(480)는 일정 정도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은 비어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관성부재(48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이 비어있어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링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관성부재(480)는 상기 회로기판(430)의 상면과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면이 회전스위치(450)의 하면과 접하면서 접착제에 의해 체결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회전스위치(450)와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회 전스위치(450)에 끼움 결합되도록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하단부는 회전스위치(450)의 원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단부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단부의 하측에 상기 관성부재(480)가 접착제에 의해 체결되거나, 회전스위치(450)의 상단부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면서 회전스위치(450)의 하단부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스위치(45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끼워지면서 체결되어 회전스위치(450)의 하단부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관성부재(480)가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결합되면,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관성부재(480)가 금속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회전스위치(450)의 질량이 증가하게 되고, 회전스위치(45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스위치(450)의 전체적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스위치(450)가 계속적으로 회전 운동을 지속하려고 하는 성질의 크기를 말하며, 이러한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은 회전 운동하는 회전스위치(450)의 질량에 비례하면서, 회전스위치(450)의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때, 금속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관성부재(480)에 의해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질량이 증가하게 되고, 회전스위치(45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관성부재(480)에 의해 회전스위치(450)의 반지름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성부재(480)가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하단부에 체결됨으로써 회전스위치(450)의 무게 중심이 상기 회로기판(430)이 위치하게 되는 방향 즉, 회전스위치(45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스위치(450)를 회전 운동시키게 되면, 회전스위치(450)의 회전 운동시 유동 및 떨림이 개선되어 안정감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관성부재(48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링(ring) 형태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상면과 하면의 중앙부가 개방되면서, 내부 공간의 중앙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태의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이 질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관성부재(480)의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질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은 관성부재(480)의 내부 공간이 비어있는 상태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그 질량이 너무 증가하여 사용자가 회전스위치(450)를 회전 운동시키고자 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하여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관성부재(480)의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관성부재(480)의 반지름이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반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되므로, 관성 모멘트 값의 차이는 크지 않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관성부재(480)의 질량을 증가시키면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은 그 질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지만, 관성부재(480)의 반지름을 키우게 되면,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여 관성 모멘트 값이 증가하게 되므로, 반지름을 증가시키는 것이 관성 모멘트 값을 증가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질량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할 것이나, 질량이 증가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스위치(450)를 회전 운동시키면서 조작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게 무리한 힘을 요구할 수 있게 되고, 회전스위치(450)와 결합되는 상기 엔코더(460)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상기 관성부재(480)의 반지름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회전감 또는 클릭감 측면에서 살펴보면, 회전스위치(450)의 회전감 또는 클릭감은 회전스위치(450)를 사용자가 회전 운동시키게 될 때, 회전 운동할 듯 말 듯하여 어느 한 지점을 지나서는 갑자기 회전 운동하게 되고, 그 회전 운동에 의한 회전력이 다음 회전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느낌이라 정의하여 보면, 회전스위치(450)의 회전감 또는 클릭감은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회전감 또는 클릭감은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고, 이러한 회전감 또는 클릭감은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향상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금속 재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관성부재(480)에 의해 회전스위치(450)의 질량을 증가시키면서, 회전스위치(450)보다 더 큰 반지름을 가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이 증가하게 되어, 회전스위치(450)의 회전감 또는 클릭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관성부재(480)가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하단부와 상기 회로기판(4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회전스위치(450)의 무게 중심을 하측 상세하게는, 회로기판(43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회전스위치는 더욱 안정적인 회전감 또는 클릭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다른 많은 실시 예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성부재(480)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스위치(450)와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관성부재(480)가 금속 재질의 소재가 아닌 무기질 재료 다시 말해, 석고,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만, 상기 회전스위치(450)의 관성 모멘트 값이 질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므로, 부피대비 질량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상기 회전스위치에 상기 관성부재가 체결되어 회전스위치의 관성 모멘트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회전스위치의 회전감과 안정감이 향상시키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회전스위치의 회전감과 안정감이 향상되는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스위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산업 및 조리기기의 부품 산업 그리고, 조리기기의 서비스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 실시 예인 전자레인지의 외형 및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컨트롤패널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회전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회전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하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외부케이스 200. 조리실
210. 턴테이블 300. 전장실
310. 마그네트론 320. 고압트랜스
330. 커패시터 400. 컨트롤패널
410. 컨트롤프레임 420. 표시부
430. 회로기판 440. 누름스위치
450. 회전스위치 460. 엔코더
470. 후면커버 480. 관성부재
500. 도어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스위치가 구비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회전스위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면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가 고정되고, 상기 엔코더의 회전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회전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스위치의 무게 중심을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관성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스위치는 상기 엔코더와 직접 체결되고, 상기 관성부재는 상기 회전스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엔코더와 접하지 않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위치는 하단이 상단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성부재는 상기 회전스위치의 하단에 대응되거나 그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스위치의 하단에 직접 체결되거나, 접착제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조리기기.
  8. 삭제
  9. 삭제
KR1020090102728A 2009-10-28 2009-10-28 조리기기 KR10105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28A KR101052152B1 (ko) 2009-10-28 2009-10-28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28A KR101052152B1 (ko) 2009-10-28 2009-10-28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54A KR20110045954A (ko) 2011-05-04
KR101052152B1 true KR101052152B1 (ko) 2011-07-26

Family

ID=4424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728A KR101052152B1 (ko) 2009-10-28 2009-10-28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1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287A (ko) * 2004-04-28 2007-01-2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287A (ko) * 2004-04-28 2007-01-2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54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4938B2 (ja) 加熱調理器
US7189950B2 (en) Electric oven
KR101052152B1 (ko) 조리기기
EP2879465B1 (en) Microwave oven
JPH01184332A (ja) 調理器
KR101014463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KR101623978B1 (ko) 조리기기
KR100826702B1 (ko) 오븐
JP5334939B2 (ja) 加熱調理器
KR101136605B1 (ko) 조리기기
KR101678217B1 (ko) 조리기기
KR102139505B1 (ko) 조리기기
KR101025958B1 (ko) 조리기기의 조작장치
KR20160035774A (ko) 조리기기
JP2013057508A (ja) 加熱調理器
JP5274531B2 (ja) 加熱調理器
KR20200092904A (ko) 조리기기
KR20110083332A (ko) 조리기기
JP2024048645A (ja) 加熱調理器
KR101623590B1 (ko) 조리기기
KR101015872B1 (ko) 전자레인지의 통합 노브
KR20110015785A (ko) 조리기기
KR20110045968A (ko)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
KR101026062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0397249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