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590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590B1
KR101623590B1 KR1020090110257A KR20090110257A KR101623590B1 KR 101623590 B1 KR101623590 B1 KR 101623590B1 KR 1020090110257 A KR1020090110257 A KR 1020090110257A KR 20090110257 A KR20090110257 A KR 20090110257A KR 101623590 B1 KR101623590 B1 KR 101623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member
door
cooking
transparent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640A (ko
Inventor
권혁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9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도어에 구비되는 투명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앞면에 제공되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투명부재; 및 상기 투명부재의 변형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에 의하면, 투명부재의 파손이 예방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조리기기, 도어, 투명부재, 지지부재, 탄성부재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도어에 위치되는 투명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제공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명부재의 열 변형에 대응하여 투명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제공되는 조리기기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기기이며,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놓이는 요리 공간을 밀폐한 다음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밀폐형 조리기기와,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개방된 공간에 놓이고 이러한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쿡탑, 홉 등과 같은 개방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요리 공간을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구비되고, 이러한 도어를 운동시킴으로서 요리 공간을 개폐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과정 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의 상태를 상기 도어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 공간에서 밀폐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근래에는 다수의 조리기기가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여러 형태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처럼, 근래에 제안되는 복합 조리기기의 경우에도 외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밀폐된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 내부 공간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투명부재의 변화에 대응하여 지지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시 가능하게 제공되는 투명부재의 열 팽창에 대응하여 투명부재를 지지하는 조리기기의 도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투명부재; 상기 복수의 투명부재가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부재의 외측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투명부재의 외측단을 각각 수용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안내부와; 상기 다수의 안내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투명부재가 이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에는 상기 복수의 투명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이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 프레인의 배면에는 상기 투명부재와 지지부재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후면 커버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투명부재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곡률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투명부재는 서로 다른 열 팽창 계수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도어에 의하면, 자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투명부재가 열 변형하게 되어도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투명부재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투명부재의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조리기기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조리기기의 사용에 따른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명부재의 파손 방지에 따른 안전성의 향상에 의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판매가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전기 오븐의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투명부재가 구비되는 도어가 사용되는 조리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전기 오븐의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하며, 이러한 전기 오븐은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강철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강철 재질이 아닌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충격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본체(1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을 하측에서 가열하여 요리하게 되는 탑버너부(200)와, 밀폐된 공간 즉,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을 밀폐하여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오븐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탑버너부(20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플레이트(210)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10)는 열에 강한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하측에 상기 케이스(220)가 결합되면서 상기 탑버너부(200)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탑버너부(200)가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본체(100)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2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는 가열히터(23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가열히터(230)는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게 되며, 다양한 크기와 출력을 가지도록 다수가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가열히터(230)가 다양한 크기와 출력을 가지도록 다수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고,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210)는 열에 강한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가열히터(23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열적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며, 가열히터(230)는 출력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발산되는 열의 정도를 원하는 열의 세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븐부(400)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을 밀폐한 다음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410)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410)은 앞면이 개방된 사각상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 공간에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위치시킨 후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고,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410)의 전방에는 조리실(410)의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420)가 위치한다. 상기 도어(4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 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븐부(400)의 앞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가 회동시킴으로써 조리실(410)의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410)의 앞면을 차폐하게 되면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고, 이처럼 밀폐된 조리실(410)을 가열하여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도어(420)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리실(410)의 앞면을 개폐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어(4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핸들(422)이 구비되며, 이러한 도어(42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도어(420)를 회동시키지 않고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서 요리되는 음식무르이 상태 또는 조리실(410)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50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420)의 상측 부분에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앞면이 상기 본체(10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 및 스위치가 구비되며, 버튼 및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품이 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 및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음식 물을 요리하게 될 때,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 및 조리기기의 사용 환경 등을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조리실(410)의 상측에는 밀폐된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430)가 위치하게 되고, 조리실(410)의 하측에는 밀폐된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44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 후측에는 조리실(410) 내부 공간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면서 가열하는 대류장치(450)가 설치된다. 상기 대류장치(450)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조리실(410) 내부 공간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대류팬(451)과 상기 대류팬(451)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면서 대류팬(451)을 보호하는 대류팬커버(452), 대류팬(451)의 회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대류팬모터(453), 대류팬(451)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대류팬커버(452)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될 때,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대류히터(4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류장치(45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대류팬모터(453)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대류팬(451)이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410) 내부 공간의 공기는 강제 유동하게 되고, 강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된다.
또한, 상기 상부히터(430)와 상기 하부히터(44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조리실(410) 내부 공간의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되는 공기는 상기 대류장치(450)에 의해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면서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게 된다.
상기 상부히터(430)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성 부품을 제어하는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제어부(300)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310)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310)에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이러한 회로기판에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되고, 인쇄된 회로에 의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면서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수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마이컴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310)의 상측에는 상기 탑버너부(200)의 상기 케이스(220)가 위치하게 되고, 케이스(220)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상기 가열히터(230)가 상기 상부플레이트(210)의 하면에 접하면서 설치되어, 상부플레이트(21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하측에서 가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 도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 도어의 투명부재가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 도어의 투명부재의 열 변형에 따른 탄성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도어(420)에는 상기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투명부재(50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510) 및 상기 프레임(510)과 투명부재(500) 사이에 위치하여, 투명부재의 온도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520)가 제공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도어(420)의 전체적인 형태를 이루는 메인프레임(424)이 구비되고, 이러한 메인프레임(424)의 중앙부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절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424)의 앞면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며, 부분적으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투명한 소재는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등 외부 공간에서 투과하여 상기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 어떠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만, 상기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서 가해지는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강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424)의 절제되는 부분에는 상기 조리실(410)의 외부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투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투명부재(5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투명부재(500)는 대략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유리가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투명부재(500)는 쌍으로 구비되고,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면에는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서 가해지는 열을 반사하는 열 반사 필름 또는 도료가 도 포되거나 붙여짐으로써 메인프레임(424)의 앞면으로 열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투명부재(500)의 상기 조리실(410)을 향하는 면으로 향하는 열을 다시 조리실(410)로 반사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424)의 앞면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메인프레임(424)의 전방에서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거나, 상기 오븐부(400)를 동작시키게 되는 사용자에게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투명부재(500)의 테두리 부분에는 쌍으로 구비되는 투명부재(5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560)는 투명부재(500)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부재(600)의 내면에 투명부재(500)의 각각의 테두리 부분이 감싸지면서 지지된다.
이처럼, 상기 지지부재(6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투명부재(500)가 지지부재(600)와 함께 상기 메인프레임(424) 중앙부의 절제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투명부재(500)를 투과하여 상기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지 않고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600)에는 상기 투명부재(500)의 지지를 위한 안내부(620)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620)에 의해 안내되면서 지지부재(600)에 지지된다. 이러한 안내부(620)는 투명부재(500)의 테두리 부분이 수용되는 홈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투명부재(500)의 테두리 부분이 수용되면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600)의 후측에는 상기 메인프레임(424)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지지부재(600)가 상기 도어(4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메인프레임(424)의 후 면을 덮는 후면커버(426)가 구비된다. 상기 후면커버(426)에 의해 전체적으로 도어(420)의 후면 외관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후면커버(426)에 의해 메인프레임(424)의 절제된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재(600)와 투명부재(500)가 메인프레임(424)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투명부재(500)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재(600)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지지부재(600)의 단면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투명부재(500)의 상부 테두리 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안내부(620)가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투명부재(500)의 상부 테두리 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620)가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대략 "∩"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그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명부재(50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물론, 투명부재(50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부(620)가 쌍으로 형성되지 않고 하나만 형성되어 투명부재(5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투명부재(50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재(600)의 상단부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앞면 전단부가 일정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후단부에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단부가 앞면 하단부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앞면 하단부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연장되는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상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후단부에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된다.
이와 같이, 대략 "∩"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이 상기 안내부(620)가 되며, 이러한 안내부(620)의 함몰 공간에 상기 투명부재(50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이 수용되면서 지지된다.
한편, 상기 안내부(620)와 상기 투명부재(500)의 상면 사이에는 투명부재(500)의 열 팽창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7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700)는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투명부재(500)의 상면과 안내부(620)의 함몰 부분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투명부재(500)가 상기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팽창하게 되더라도 탄성부재(700)의 자체 탄성으로 투명부재(50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700)는 판형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 열에 강한 부재가 구비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투명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안내부(620)의 내부 공간에 대략 "∪" 형태(도 4에서 볼 때)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명부재(500)가 상하 방향으로 열 팽창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700)의 하단부에 투명부재(500)의 상면이 지지되면서 탄성부재(700)의 자체 탄성에 의해 투명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700)는 상기 투명부재(500)의 온도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는 탄성부재(700)가 상기 조리실(410)의 내부 공간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투명부재(500)가 열 팽창하게 되더라도 그 팽창에 대응하여 탄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투명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투명부재 변화에 따른 탄성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투명부재(500)가 온도에 따른 변화 즉, 열 팽창이 발생하기 전에는 상기 탄성부재(70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조리실(410)의 온도에 의해 상기 투명부재(500)가 상하 방향으로 온도에 따른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투명부재(500)의 상면과 하면이 상기 탄성부재(700)를 압착하게 됨으로써 탄성부재(700)는 자체 탄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자체 탄성에 의해 투명부재(500)의 상면과 하면이 상기 지지부재(600)와 직접 접하지 않게 된다.
상기된 설명에 의하면, 상기 투명부재(500)가 상하 방향으로 열 팽창이 발생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고 있으나, 투명부재(500)는 좌우 상하 어떤 방향으로도 열 팽창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00)는 상기 투명부재(50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투명부재(500)가 어떠한 방향으로 열 팽창하게 되더라도 투명부재(500)의 열 변형 다시 말해, 온도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도 탄성부재(70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70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투명부재(500)가 지지됨으로써 투명부재(500)의 열 변형에 의한 파손이 예방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사용에 따른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도어에 구비되는 투명부재의 열 변형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효과에 의해 제품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고, 제품 사용의 증가에 따른 생산이 요구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산업의 발전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 도어의 투명부재가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 도어의 투명부재의 열 변형에 따른 탄성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탑버너부
210. 상부플레이트 220. 케이스
230. 가열히터 300. 제어부
310. 전장실 400. 오븐부
410. 조리실 420. 도어
422. 도어핸들 424. 메인프레임
426. 후면커버 430. 상부히터
440. 하부히터 450. 대류장치
500. 투명부재 600. 지지부재
620. 안내부 700. 탄성부재

Claims (6)

  1.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투명부재;
    상기 복수의 투명부재가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부재의 외측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투명부재의 외측단을 각각 수용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안내부와;
    상기 다수의 안내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투명부재가 이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복수의 투명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이 더 포함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인의 배면에는 상기 투명부재와 지지부재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후면 커버가 장착되는 조리기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투명부재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곡률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투명부재는 서로 다른 열 팽창 계수를 가지는 조리기기.
KR1020090110257A 2009-11-16 2009-11-16 조리기기 KR101623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57A KR101623590B1 (ko) 2009-11-16 2009-11-16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57A KR101623590B1 (ko) 2009-11-16 2009-11-16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40A KR20110053640A (ko) 2011-05-24
KR101623590B1 true KR101623590B1 (ko) 2016-05-23

Family

ID=4436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257A KR101623590B1 (ko) 2009-11-16 2009-11-1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769B1 (ko) * 2005-03-3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769B1 (ko) * 2005-03-3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40A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720B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EP2135009B1 (en) Oven
KR20060013777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KR101702660B1 (ko) 조리기기
KR20110078910A (ko) 조리기기
KR101623590B1 (ko) 조리기기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CN220327324U (zh) 一种防冷凝水装置的烹饪器具
KR101633123B1 (ko) 조리기기
KR101079402B1 (ko) 과열방지 오븐도어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KR100707426B1 (ko) 용기 가열용 히터가 구비된 전기오븐
KR101231322B1 (ko) 가스 오븐 레인지의 오븐 도어 손잡이 체결구조
KR101101511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50061708A (ko) 발열체가 내장된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
KR100674720B1 (ko)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KR100697456B1 (ko) 오븐도어 구조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20110078914A (ko) 조리기기
KR20090064613A (ko) 오븐
JPH0243968B2 (ja) Jidokanetsuchorikinososasochi
KR20060082256A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 고정구조
KR20060075155A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