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287A -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 Google Patents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287A
KR20070011287A KR1020067015568A KR20067015568A KR20070011287A KR 20070011287 A KR20070011287 A KR 20070011287A KR 1020067015568 A KR1020067015568 A KR 1020067015568A KR 20067015568 A KR20067015568 A KR 20067015568A KR 20070011287 A KR20070011287 A KR 2007001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switch
switch mechanism
push
typ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959B1 (ko
Inventor
가츠나리 시로야마
다다오 스즈키
야스오 가타야마
야스히로 이리에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5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rotating dial around the operating member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01H2219/0622Light conductor only an illuminated ring around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부에 배치한 푸시식 스위치부와; 상기 푸시식 스위치부의 주위에 배치한 다이얼을 조작하는 다이얼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10)는 푸시식 스위치부를 설치하는 공간부가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다이얼 노브(21)와; 프론트 패널(6)에 대하여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다이얼 노브(21)와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동작 하는 링 형상의 조인트 링(23)과; 상기 조인트 링(23)과 결합되고, 다이얼식 스위치부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회전축(24b)이 아암(24c)을 개재하여 링 형상 부재(24a)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로터리 브래킷(2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DIAL SWITCH MECHANISM}
본 발명은 조작면 쪽에 배치되어 있는 푸시식 스위치의 주위에 다이얼을 설치하고, 이 다이얼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다이얼식 스위치의 스위치 조작을 행하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온·오프, 운전 방식의 선택 및 온도 설정 등의 각종 운전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프론트 패널 등에 공조 조작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조 조작 패널에는, 상술한 각종 운전 조작에 필요한 스위치류가 배치되어 있고, 여기서 채용되는 스위치류 중에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라고 불리는 것도 있다.
이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는 스위치부의 가압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하는 푸시식 스위치부의 가압 조작면이 앞면 중앙에 배치되고, 또한 푸시식 스위치부의 주위에는 회전동작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하는 다이얼 스위치부의 조작 다이얼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서는 다이얼 스위치부의 조작 다이얼 을 조작하여 얻어지는 스위치 조작의 회전력이 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전달되고, 이 기어와 동축에 설치된 스위치 본체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다이얼식 스위치부의 조작 다이얼과 기어 및 스위치 본체가 평면에서 보아 인접하는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를 프론트 패널에 설치할 때에는 조작 다이얼의 주위에 기어 설치용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29780호(도 3 참조)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6861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89117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는 기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증가하는 것에 부가하여, 평면적으로는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의 프론트 패널과 같이 설치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위치 기구 자체의 설치 공간 확보가 곤란해지므로, 공조 조작 패널 등의 설계 자유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 스위치부의 조작성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는 스위치 조작부(조작 다이얼이나 가압 조작면)가 적당한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일수록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한정된 설치 공간이더라도 스위치 조작부에 적당한 크기를 부여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를 채용한 공조 조작 패널 등은 설계 자유도가 낮아지고, 특히 설치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치(공간 확보)와 조작성(조작부의 크기)을 양립시켜서 설계하기는 매우 곤란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설치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를 개발하고, 그 스위치 기구를 사용하는 공조 조작 패널 등의 설계 자유도를 늘리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는, 중앙부에 배치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식 스위치부와; 상기 푸시식 스위치부의 주위에 배치한 다이얼을 조작하는 다이얼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푸시식 스위치부를 설치하는 공간부가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회전동작 조작 부재와; 조작면 기재(基材)에 대하여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동작 조작 부재와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동작 하는 링 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식 스위치부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회전축이 회전력 전달 부재를 개재하여 링 형상 부재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의하면, 푸시식 스위치부를 설치하는 공간부가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회전동작 조작 부재와, 조작면 기재에 대하여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회전동작 조작 부재와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동작 하는 링 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다이얼식 스위치부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회전축이 회전력 전달 부재를 개재하여 링 형상 부 재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스위치 조작에 의한 회전동작 조작 부재의 회전동작은 연결 부재를 거쳐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대략 원통 형상의 회전동작 조작 부재, 링 형상의 연결 부재, 및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의 링 형상 부재는 스위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배치가 되어, 다이얼식 스위치부를 동작시킬 때에는 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직결되어 일체로 회전동작 하는 구조의 다이얼 스위치 기구가 된다.
상술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 브래킷 부재의 결합은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한 볼록부와; 상기 회전 브래킷 부재에 설치한 오목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결 부재 및 회전 브래킷 부재는 양 부재 사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확실하게 행하면서도 회전 방향의 동작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의 걸어맞춤은 직경 방향의 조립 위치 조정 여유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볼록부 및 오목부는 양 부품 사이에 중심의 어긋남이 다소 있더라도 조립 위치 조정 여유가 흡수하여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푸시식 스위치의 슬라이드부는, 스위치 기구 본체 기재에 고정 지지되어 대략 U자 형상으로 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링 형상의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 설치한 평행 단면(端面)을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지지하는 가이드부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푸시식 스위치는 푸시식 스위치부를 가압 조작 하면 슬라이드부의 평행 단면이 가이드부에 유도되므로, 흔들림이 없는 순조로운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또, 푸시식 스위치는 평행 단면과 가이드부의 길이에 따라, 슬라이드의 축 중심에 대하여 슬라이드부 및 가이드부의 양 부품을 위치결정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에 의하여 평행 단면을 끼워 지지하는 것은 적어도 상하 좌우의 네 부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평행 단면을 끼워 지지하는 슬라이딩면 부분이, 볼록부와 오목 홈부를 걸어맞추게 한 가이드 레일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푸시식 스위치는 푸시식 스위치부의 가압 조작에 의한 흔들림 없는 안정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면 부분의 가이드 레일 기구에 대해서는 상하 좌우의 적어도 네 부분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마련하여 끼워 지지하도록 해도 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안정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조작면 쪽 단면에 원주 방향으로 변화하는 요철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탄성체로부터 상기 요철면의 방향으로 가세를 받아 맞닿는 회전동작 가능한 구(球) 형상 부재를 상기 회전동작 브래킷의 조작면 쪽 단면에 가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회전 조작 부재를 조작하면, 가세된 구 형상 부재가 맞닿는 요철면을 따라서 이동하므 로, 다이얼식 스위치부에 양호한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광원에 의하여 상기 푸시식 스위치의 앞면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력 전달 부재의 음영을 저감 또는 제거하는 그림자 비침 방지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작면에 쓸데없는 그림자가 형성됨에 따른 외관상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그림자 비침 방지부의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것이 있다.
(1) 회전력 전달 부재 등에 투명 또는 백색의 수지를 사용한다.
(2) 복수 개의 광원을 사용한다.
(3) 광 확산 부재(예를 들면 간유리 등)를 설치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의하면, 다이얼식 스위치부의 스위치 조작을 행하면, 회전동작 조작 부재의 회전동작이 연결 부재를 거쳐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에 전달되기 때문에, 회전동작 조작 부재, 연결 부재 및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는 스위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배치가 된다. 환언하면, 회전동작 조작 부재, 연결 부재 및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가 스위치 회전축과 동축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이 되므로, 회전식 스위치부를 동작시킬 때에는 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직결되어 일체로 회전동작 한다. 이 때문에,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를 조작면 쪽에서 본 평면적인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차량의 프론트 패널과 같이 설치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스위치 기구 자체의 설치 공간 확보가 용이해지므로, 공조 조작 패널 등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한다는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의 설치 공간이 작아짐에 따라, 한정된 설치 공간 내에 있어서 스위치 조작부(조작 다이얼이나 가압 조작면)를 알맞게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해지므로, 우수한 조작성을 갖는 스위치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를 채용한 공조 조작 패널 등에 있어서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의 배치(공간 확보)와 조작성(조작부의 크기)을 양립시킨 설계가 가능해진다는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는 기어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저감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의 구성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를 이면 쪽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고정 브래킷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를 채용한 공조 조작 패널의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 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를 채용한 조작 패널의 일례로서, 차량용 공조장치(이하 「공조장치」라 함)의 공조 조작 패널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조 조작 패널은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프론트 패널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조립된다. 도시한 공조 조작 패널(1)은 그 조작면(앞면)(2)에 노출되어 각종 스위치류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10)는 공조장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푸시식 스위치부(11)와, 원하는 온도 설정을 행하는 다이얼식 스위치부(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10)는 조작면(2)의 중앙부에 원형으로 한 푸시식 스위치부(11)의 가압 조작면(12)이 하나 배치되고, 그 외주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한 다이얼식 스위치부(20)의 다이얼 노브(21)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이얼 노브(21)는 다이얼식 스위치부(20)의 회전 조작 부재이며, 다이얼 노브(21)를 좌우로 회전동작 조작함으로써 온도 설정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푸시식 스위치부(11)에 대해서는 공조장치가 정지중인 경우, 가압 조작면(12)을 1회 눌러넣음으로써 공조장치의 운전이 온(ON)이 되고, 공조장치의 운전 상태로부터 다시 가압 조작면(12)을 눌러넣음으로써 운전이 정지되어 오프(OFF)가 된다.
계속해서, 상술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이하 「스위치 기구」라 함)(10)의 내부 구조를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스위치 기구(10)는 스위치 기구 본체 기재(基材)가 되는 섀시(3)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의 섀시(3)는 공조 조작 패널(1)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류나 전기기기류 등의 공통 기재(베이스 부재)이나, 스위치 기구(10)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용의 기재가 된다.
스위치 기구(10)를 부착하는 섀시(3)에는 개구부(4)가 마련되고, 그 후방에 설치된 회로기판(5)의 소정 위치에는 푸시 스위치 본체(13), 다이얼 스위치 본체(22)(도 2 참조), 온도 지시부(30) 및 야간 조명용의 광원(31), 공조장치의 온·오프 표시부(32)(도 4 참조)의 광원(33)(도 2 참조)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광원(31, 33)에는 밸브나 LED 등이 사용된다.
스위치 기구(10)의 주된 구성 부품은 상술한 푸시식 스위치부(11)와, 이 푸시식 스위치부(11)를 중앙부에 포함하도록 구성된 다이얼식 스위치부(20)의 다이얼노브(21), 조인트 링(23), 로터리 브래킷(24) 및 고정 브래킷(25)이다.
푸시식 스위치부(11)는 회로기판(5)의 소정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푸시식 스위치 본체(13)와, 조작면(앞면) 쪽에 가압 조작면(12)을 구비하여 슬라이드부가 되는 노브 케이스(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노브 케이스(14)는 고정 브래킷(25)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유지된 대략 원통 형상의 중공 부재이며, 그 조작면 쪽의 일단면에는 설정 온도 등의 필요사항이 표시된 가압 조작면(12)이 부착되어 있다. 이 가압 조작면(12)은 야간 등에 상술한 광원(31)을 점등하면, 이 조명에 의하여 표시 내용을 명료하게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점등 표시부도 된다. 또, 노브 케이스(14)의 후단면에는 노브 케이스(14)와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푸시식 스위치 본체(13)를 작동(온·오프)시키는 조작 로드(15)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노브 케이스(14)의 외주면에는 고정 브래킷(25)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슬라이딩면(16) 및 하부 슬라이딩면(17)이 설치되어 있고, 각 슬라이딩면에는 노브 케이스(14)의 슬라이딩 방향[가압 조작면(12)의 조작에 의한 푸시식 스위치부(11)의 동작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홈부(16a, 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하의 슬라이딩면(16, 17)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드부의 평행 단면(端面)이 된다. 그리고, 좌우의 상부 슬라이딩면(16)에는 각각 한 개의 오목 홈부(16a)가 형성되고, 하부 슬라이딩면(17)에는 소정의 간격을 마련한 한 쌍의 오목 홈부(17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합계 네 개의 오목 홈부(16a, 17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된다.
상술한 광원(33)의 조명광을 직접 온·오프 표시등(32)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노브 케이스(14)의 후단면에는 통 형상의 조명 통로(1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명 통로(18)를 설치함으로써, 조명광이 주위에 새지 않고 온·오프 표시등(32)만을 명료하게 점등시킬 수 있다.
다이얼 노브(21)는 푸시식 스위치부(11)의 노브 케이스(14)를 설치하는 공간부가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회전동작 조작 부재이다. 다이얼 노브(21)의 공간부 내에 삽입되어 소정 위치에 설치된 노브 케이스(14)는 가압 조작면(12)이 조작면 쪽의 개구부를 막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다이얼 노브(21)와 푸시식 스위치부(11) 사이는 서로 연결되는 일은 없고, 각각이 자유롭게 회전동작 또는 슬라이딩의 스위치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이얼 노브(21)는 조작면 기재로서 설치한 프론트 패널(6)에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조인트 링(23)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동작 한다. 프론트 패널(6)은 공조 패널(1)의 조작면 쪽에 배치되어 섀시(3)와 일체로 결합되는 부재이다. 조인트 링(23)은 프론트 패널(6)의 개구부(7)에 대하여 후크(23a)에 의하여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링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다이얼 노브(21)와 조인트 링(23) 사이는 후크(21a)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연결 및 고정되어, 양 부재가 일체로 회전동작 하게 되어 있다.
다이얼 노브(21)와 일체로 회전동작 하는 조인트 링(23)은 또한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또는 회전 브래킷 부재)인 로터리 브래킷(24)과도 결합되어 있다. 이 로터리 브래킷(24)은 기재가 되는 링 형상 부재(24a)와, 다이얼 스위치 본체(22)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스위치 회전축(24b)과, 링 형상 부재(24a)와 스위치 회전축(24b)과의 사이를 연결하여 일체 부품의 로터리 브래킷(24)을 형성하는 아암(24c)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인트 링(23)과 로터리 브래킷(24) 사이는 로터리 브래킷(24)의 링 형상 부재(24a)에 통 형상 테이퍼부(24d)를 설치하고, 이 통 형상 테이퍼부(24d)를 조인트 링(23)에 끼워맞추어 지지된다. 이 경우, 통 형상 테이퍼부(24d)의 경사면은 조작면 쪽의 선단(先端)을 향하여 직경이 작게 되므로, 테이퍼 형상에 따라 로터리 브래킷(24)의 원주 방향 위치 및 높이 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조인트 링(23)과 로터리 브래킷(24)의 결합부는 로터리 브래킷(24)에 설치한 볼록부의 리브(24e)와, 조인트 링(23)에 설치한 오목부의 노치(23b)가 소정 위치에서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리브(24e)와 노치(23b)의 걸어맞춤은 조인트 링(23) 및 로터리 브래킷(24)의 양 부품 사이에서 회전력 전달을 확실하게 하면서도 양 부품 사이의 둘레 방향의 조립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이 경우, 리브(24e)와 노치(23b)의 걸어맞춤은 직경 방향의 치수를 헐렁하게 설정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조립 위치 조정 여유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 조정 여유를 마련하면, 조인트 링(23)과 로터리 브래킷(24) 사이에 있어서 중심 위치가 다소 어긋났을 경우에도 이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여 용이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아암(24c)이 링 형상 부재(24a)와 그 축 중심 위치에 있는 스위치 회전축(24b)과의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다이얼 노브(21)를 조작하여 발생한 회전력은 조인트 링(23)을 거쳐 로터리 브래킷(24)의 링 형상 부재(24a)에 전달되고, 또한 아암(24c)을 거쳐 스위치 회전축(24b)에 전달되므로, 다이얼 스위치 본체(22)의 스위치 조작을 다이얼 노브(21)의 회전동작 조작에 의하여 직접 행할 수 있다.
다이얼 노브(21)를 회전동작 시켜서 스위치 조작 가능한 범위(각도)는 예를 들면, 아암(24c)이 조작 로드(15)나 조명 통로(18)와 간섭함에 따라 규제된다. 이 때문에 다이얼 노브(21)를 360도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따라서, 다이얼 노브(21)의 조작은 여러 조건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대체로 220도 정도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게 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한편, 섀시(3)의 개구부(4)에는 링 형상의 지지 부재로서 고정 브래킷(25)이 부착되어 있다. 이 고정 브래킷(25)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가 되는 링 형상 부재(26)에 대략 U자 형상으로 한 유지부(27)를 구비하고 있다.
링 형상 부재(26)는 개구부(4)에 고정 지지되는 동시에, 조작면 쪽이 되는 단면에 원주 방향으로 변화하는 요철면(26a)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 브래킷(25)의 기재가 되는 링 형상 부재(26)의 앞면 쪽에는 후술하는 구 형상 부재와 협동하여 다이얼 노브(21)의 회전동작 조작에 절도감을 부여하기 위한 요철면(26a)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7)는 푸시식 스위치부(11)의 노브 케이스(14)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동시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지지하는 가이드부(28)를 구비한 부분이다. 이 유지부(27)는 U자의 바닥부 부근이 링 형상 부재(26)에 연결되고, U자의 양 선단부에는 안쪽 방향으로 절곡(折曲)한 좌우 한 쌍의 절곡 단면(28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절곡 단면(28a)은 U자의 대향면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 지지면(28b)과 함께, 노브 케이스(14)의 상하 슬라이딩면(16, 17) 사이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지지하는 가이드부(28)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이드부(28)와 노브 케이스(14)의 평행 단면[상부 슬라이딩면(16) 및 하부 슬라이딩면(17)]과의 길이에 따라, 노브 케이스(14)가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드 하는 축 중심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 절곡 단면(28a) 및 하부 지지면(28b)에는 상하 슬라이딩면(16, 17) 쪽의 오목 홈부(16a, 17a)와 걸어맞추어 가이드 레일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28c)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레일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푸시식 스위치부(11)를 가압 조작하였을 때에는 노브 케이스(14)를 전후 방향으로 확실하게 유도하여 흔들림이 없는 순조로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요철면(26a)에 의하여 다이얼 스위치 조작에 절도감을 부여하는 기구로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브래킷(24)에 요철면(26a)의 방향으로 개구하는 통 형상 가이드부(29a)를 설치하고, 그 통 형상 가이드부(29a) 내에 코일 스프링(29b) 등의 탄성체로부터 요철면(26a)의 방향으로 가세를 받는 구 형상 부재로서 베어링(29c)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다이얼 노브(21)의 조작과 일체로 로터리 브래킷(24)이 회전동작함으로써, 베어링(29c)이 요철면(26a)을 타고 넘어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요철면(26a)의 형상에 따른 코일 스프링(29b)의 탄성 변형에 따라, 다이얼 조작에 저항감이 생기므로, 다이얼 노브(21)의 조작에 양호한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스위치 기구(10)는 광원(31)과 가압 조작면(12) 사이에 아암(24c)이 존재하기 때문에, 광원(31)을 점등하면 가압 조작면(12)에 아암(24c)의 그림자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그림자의 형성은 가압 표시면(12)의 표시 내용을 보기 어렵게 하는 등, 상품성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이 그림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원(31)에 의하여 푸시식 스위치부(10)의 앞면에 형성되는 아암(24c)의 음영을 저감 또는 제거하는 그림자 비침 방지부를 설치한다. 그림자 비침 방지부의 제 1 구체예는 적어도 아암(24c)을 투명 또는 백색 수지제로 하는 것이다. 그 결과, 광원(31)의 조명광이 투명 수지의 아암(24c)을 통과함으로써, 아암(24c)의 음영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 광원(31)의 조명광이 백색 수지의 아암(24c)을 통과함으로써, 백색 수지에 의하여 조명광이 확산되어 아암(24c)의 음영이 불명료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의 음영의 저감은 음영의 콘트라스트가 불명료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림자 비침 방지부의 제 2 구체예는 광원(31)을 복수 개로 하고, 서로 이간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그 결과, 복수 방향의 광원(31)으로부터 조명광이 조사되므로, 음영의 형성은 불명료한 것이 된다.
그림자 비침 방지부의 제 3 구체예는 간유리 등의 광 확산 부재를 채용하는 것이다. 이 광 확산 부재는 광원(31)으로부터 가압 조작면(12)의 내면 쪽에 이르는 조명광의 통로, 예를 들면, 노브 케이스(14)의 후단면에 개구하는 조명 통로(14a)를 막도록 하여 설치된다. 그 결과, 광원(31)으로부터 조사된 조명광은 광 확산 부재를 통과함으로써 확산되어 가압 조작면(12)에 도달하므로, 아암(24c)의 음영은 불명료한 것이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는 조작면 쪽에서 보아 다이얼 노브(21)와 동일한 평면 상에 겹치게 배치된 조인트 링(23), 로터리 브래킷(24) 및 다이얼 스위치 본체(22)가 일체로 회전동작 하여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10)의 스위치 조작을 행하므로, 푸시식 스위치부(11) 및 다이얼식 스위치부(20)를 서로 독립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설치 공간이 작아도 된다. 환언하면,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10)는 다이얼 노브(21)와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 조인트 링(23), 로터리 브래킷(24) 및 다이얼 스위치 본체(22)가 일체로 회전동작 하여 다이얼식 스위치부(20)의 스위치 조작을 행하고, 또한 푸시식 스위치부(11)에 대해서는 고정 브래킷(25)의 가이드부(28)를 따라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얼식 스위치부(20)의 동작에 관계없이 독자적인 스위치 조작이 가능한 구성이 되므로, 기어를 이용한 2축의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평면적인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스위치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공조 조작 패널의 소형화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스위치류의 배치에 대해서도 제약이 저감되므로, 공조 조작 패널의 설계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는 스위치 기구의 회전동작 구조를 동축 형상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회전 조작 부재의 외측에 기어 등의 회전동작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동작 검출기구를 배치할 필연성이 없다. 따라서, 평면 방향에 대하여 스위치 기구가 필요로 하는 공간 용적은 회전 조작 부재의 외형에 지배되기 때문에 공간 사용 효율이 높아진다. 그 결과, 확보할 수 있는 설치 공간이 동일하면, 다이얼 노브(21)를 대형화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해지므로, 여러 가지 관점에서 설계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다이얼 노브(21)의 대형화가 가능하게 되면, 푸시식 스위치부(21)의 가압 조작면(12)의 면적을 늘리는 것도 가능해지므로, 조작성이 향상하는 것에 부가하여, 가압 조작면(12)의 기재 사항을 큰 문자나 도안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기재 사항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다이얼식 스위치부의 내부에 포함하는 푸시식 스위치부에 대해서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한 유지부의 유사 구조를 복수 개 설치하고, 각각이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복수 개의 가압 조작면을 설치해도 되며, 또한 가이드 레일 기구에 대해서도 오목 홈부(16a, 17a)를 설치하지 않고 볼록부(28c)에 의해서만 끼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다이얼 노브(21) 및 조인트 링(23)을 일체화하여 부품 점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조작 패널 외에도, 푸시식 스위치와 다이얼식 스위치를 일체화한 구성의 스위치 기구를 채용하는 각종 장치의 제어 패널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7)

  1. 중앙부에 배치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식 스위치부와, 상기 푸시식 스위치부의 주위에 배치한 다이얼을 조작하는 다이얼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푸시식 스위치부를 설치하는 공간부가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회전동작 조작 부재와; 조작면 기재에 대하여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동작 조작 부재와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동작 하는 링 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식 스위치부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회전축이 회전력 전달 부재를 개재하여 링 형상 부재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 브래킷 부재의 결합은,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한 볼록부와, 상기 회전 브래킷 부재에 설치한 오목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의 걸어맞춤은 직경 방향의 조립 위치 조정 여유를 구비하고 있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식 스위치의 슬라이드부가, 스위치 기구 본체 기재에 고정 지지되어 대략 U자 형상으로 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링 형상의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에 설치한 평행 단면을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지지하는 가이드부에 유지되어 있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평행 단면을 끼워 지지하는 슬라이딩면 부분이, 볼록부와 오목 홈부를 걸어맞추게 한 가이드 레일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작 브래킷 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조작면 쪽 단면에 원주 방향으로 변화하는 요철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탄성체로부터 상기 요철면의 방향으로 가세를 받아 맞닿는 회전동작이 가능한 구 형상 부재를 상기 회전동작 브 래킷의 조작면 쪽 단면에 가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설치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에 의하여 상기 푸시식 스위치의 앞면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력 전달 부재의 음영을 저감 또는 제거하는 그림자 비침 방지부를 설치한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KR1020067015568A 2004-04-28 2005-04-27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KR100817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3485 2004-04-28
JP2004133485A JP4031775B2 (ja) 2004-04-28 2004-04-28 車両用空調装置のダイヤル式スイッチ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287A true KR20070011287A (ko) 2007-01-24
KR100817959B1 KR100817959B1 (ko) 2008-03-31

Family

ID=3539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568A KR100817959B1 (ko) 2004-04-28 2005-04-27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8503B2 (ko)
EP (1) EP1742240B1 (ko)
JP (1) JP4031775B2 (ko)
KR (1) KR100817959B1 (ko)
CN (1) CN1942990B (ko)
WO (1) WO20051120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99B1 (ko) * 2007-07-23 2008-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KR101052152B1 (ko) * 2009-10-28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1750B2 (ja) * 2003-12-24 2010-03-31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マニュアルタイプのスイッチ機構
US7414206B2 (en) * 2005-01-25 2008-08-19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ontrol panel for vehicle air conditioner
JP4384065B2 (ja) * 2005-02-17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装置
EP1961025B1 (de) * 2005-07-19 2016-03-30 Preh GmbH Bedienknopf mit integrierter funktionalität
EP1811535A1 (de) * 2006-01-19 2007-07-25 Synthax Asia Ltd. Elektrisches Schalt- und/oder Stellelement mit optischer Anzeige
JP4671126B2 (ja) * 2006-03-27 2011-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装置
JP4934550B2 (ja) * 2006-10-06 2012-05-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KR100793486B1 (ko) 2006-10-27 2008-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비게이션의 조그셔틀 다중 키 성능 개선 구조
JP4718429B2 (ja) * 2006-12-14 2011-07-06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回転式電子部品
WO2009084114A1 (ja) * 2007-12-28 2009-07-09 Pioneer Corporation ボタン構造体及び該ボタン構造体を備えた電子機器
FR2932727B1 (fr) * 2008-06-20 2012-10-2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 commande de fonctions d'un tableau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commande correspondant
US20100116629A1 (en) * 2008-11-12 2010-05-13 Milo Borissov Dual action push-type button
JP5177038B2 (ja) * 2009-03-19 2013-04-03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用ダイヤル操作装置
CN101825914B (zh) * 2010-01-12 2012-08-22 晶辉科技(深圳)有限公司 旋钮结构
JP5346882B2 (ja) * 2010-06-17 2013-11-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KR101294513B1 (ko) * 2011-02-25 2013-08-07 주식회사 팬택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
JP5734065B2 (ja) * 2011-04-12 2015-06-10 東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US8796566B2 (en) 2012-02-28 2014-08-05 Grayhill, Inc. Rotary pushbutton and touchpad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otary movement, axial displacement and touchpad gestures
CN102969199B (zh) * 2012-11-26 2015-01-28 佛山市天朋温控器有限公司 突跳式温控器
US10649557B2 (en) * 2013-12-10 2020-05-12 Pas Deutschland Gmbh Method for operator guidance, control panel component, production of a control panel component and home appliance comprising a control panel component
JP6378735B2 (ja) * 2016-11-09 2018-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ユニット
KR101858125B1 (ko) * 2017-12-04 2018-05-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회전 스위칭 방식을 갖는 드론
WO2021132772A1 (ko)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휴롬 조그 다이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8212B2 (ja) * 1987-03-04 1997-10-27 アンリツ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ダイヤル装置
JP3430186B2 (ja) * 1994-10-07 2003-07-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WO1998052093A1 (fr) 1997-05-09 1998-11-19 Sharp Kabushiki Kaisha Panneau de mise en phase stratifie et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comprenant ledit panneau
JP3856567B2 (ja) * 1998-05-25 2006-12-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気部品
DE19964131A1 (de) 1999-11-22 2001-06-21 Preh Elektro Feinmechanik Drehknopf mit Tastfunktion
JP2001184969A (ja) 1999-12-27 2001-07-06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スイッチ機構及びこのスイッチ機構を具備する操作パネル
JP2001184966A (ja) 1999-12-27 2001-07-06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ダイヤルスイッチ機構
JP2001229780A (ja) 2000-02-16 2001-08-24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操作パネル
JP4066037B2 (ja) * 2000-02-24 2008-03-26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操作パネルの回転スイッチ機構
US6262378B1 (en) * 2000-05-03 2001-07-17 Shin Jiuh Corp. Rotary switch
JP3831590B2 (ja) * 2000-08-22 2006-10-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型スイッチ装置
JP4620894B2 (ja) * 2001-04-06 2011-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2343192A (ja) * 2001-05-14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04185927A (ja) * 2002-12-02 2004-07-02 Denso Corp ダイアルプッシュ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ダイアルスイッチユニット
JP4184821B2 (ja) * 2003-02-07 2008-11-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4636545B2 (ja) * 2005-08-02 2011-02-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の空調スイッ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99B1 (ko) * 2007-07-23 2008-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KR101052152B1 (ko) * 2009-10-28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12061A1 (ja) 2005-11-24
EP1742240B1 (en) 2012-07-18
JP4031775B2 (ja) 2008-01-09
US7348503B2 (en) 2008-03-25
CN1942990B (zh) 2012-02-29
EP1742240A1 (en) 2007-01-10
JP2005317340A (ja) 2005-11-10
US20070256912A1 (en) 2007-11-08
CN1942990A (zh) 2007-04-04
KR100817959B1 (ko) 2008-03-31
EP1742240A4 (en)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959B1 (ko)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US7550686B2 (en) Rotary switch in a motor vehicle
US20050064807A1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8104371B2 (en) Dial control device
KR20050030140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JP2005096579A (ja) 車両用空調装置の操作装置
KR20060135675A (ko) 스위치 기구
JP2000195362A (ja) スイッチ装置
US7854139B2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control operating apparatus
JP2008185633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568378Y2 (ja) 多方向スイッチのノブ照明装置
JP2004210019A (ja) 車両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8226672A (ja) 車載用ダイアル式操作装置
JP5067665B2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6478216B2 (ja) 照明装置及び車両用照明装置
JP5218936B2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17076258A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542609Y2 (ja) ヒータ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2017091342A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0311552A (ja) 操作ユニット
EP2045128A2 (en) Shim, connecting structure using shim, and interior lamp using shim
JP2016040481A (ja) パーキング用デテントスプリング取付構造
JP3013146B2 (ja) 自動車用前照灯
JP2008130440A (ja) ダイヤル機構
JPH03191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