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675A - 스위치 기구 - Google Patents

스위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675A
KR20060135675A KR1020067012533A KR20067012533A KR20060135675A KR 20060135675 A KR20060135675 A KR 20060135675A KR 1020067012533 A KR1020067012533 A KR 1020067012533A KR 20067012533 A KR20067012533 A KR 20067012533A KR 20060135675 A KR20060135675 A KR 20060135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ial
switch
switch mechanism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738B1 (ko
Inventor
게이 후쿠다
노리아키 야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발레오 써멀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7089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3567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발레오 써멀 시스템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발레오 써멀 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2006013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7/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 G05G7/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 provisions for conveying or converting motion, or for acting at a d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06Combined operation of electric switch and of fluid control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뉴얼로 공기 조절을 조작하는 형식이어도, 복수의 기능을 집약시킬 수 있고, 또 드라이브에 대한 조작성에도 우수한 스위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매뉴얼 타입의 스위치 기구(1, 3)가,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체의 다이얼 부품(4)과, 다이얼 부품(4)에 외부 삽입되어서 일체로 회동하는 동시에 외주측면에 기어 치형부(5a)가 형성된 제 1 기어(5)와, 제 1 기어(5)로부터 중계 부품(7)을 거쳐서 다이얼 부품(4)의 회전이 전달되는 기어 치형부(6a)를 원호 원주면에 형성하고, 와이어(20)로 결선되어서 공기 조절 도어를 구동하는 제 2 기어(6)를 적어도 구비하는 다이얼식의 기구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다이얼 부품(4)내에, 다이얼 부품(4)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바닥부측에 푸쉬부(11)를 갖는 슬라이드 부품(8)과, 푸쉬부(11)와 접하는 스위치부(10)를 갖는 기판(9)을 적어도 구비한 푸쉬식 스위치 기구도 조립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위치 기구{SWITCH MECHANISM}
본 발명은 매뉴얼로 공기 조절 장치, 특히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의 공기 조절을 컨트롤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안정된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구동식의 스위치 기구에서는 슬라이드식의 것과 손잡이형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를 참조). 그리고, 조작성이 좋게 운전할 때에 안전하다라는 이유로 슬라이드식보다도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쪽이 주류가 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을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54245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72925 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41164 호 공보
그러나, 슬라이드식 및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의 구조에서는, 스위치 본체 속에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를 받아들일 수 없으므로, 이 스위치 기구의 주변에 고쳐서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를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스위치가 별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에서는, 드라이버가 해당 스위치의 손잡이부를 가져서 회전시킬 때에, 상대적으로 크게 비틀지 않으면 안되고, 손목이나 팔을 돌리는 각도에 무리가 생길 경우가 있고, 조작시의 자세가 나빠지므로, 조작성이 불량하고, 드라이버에 있어서 조작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반드시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매뉴얼로 공기 조절을 조작하는 형식에서도, 복수의 기능을 집약시킬 수 있고, 또 드라이버에 대한 조작성에도 우수한 스위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구는, 회전 조작이 가능한 다이얼 부품과, 이 다이얼 부품에 외부 삽입되어서 상기 다이얼 부품과 일체로 회동하는 동시에 외주측면에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된 제 1 기어와,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피구동 부재와 결선되어서 이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제 2 기어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중계 부품을 거쳐서 상기 다이얼 부품의 회전이 상기 제 2 기어에 전달되는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1). 여기에서, 피구동 부재로서는, 공기 조절 도어, 보다 상세하게는, 흡출 모드 전환 도어나 에어믹스 도어가 예시된다. 제 2 기어는, 예컨대 원호 원주면에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된 선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제 2 기어와 공기 조절 도어(흡출 전환 도어·에어믹스 도어)는, 예컨대 케이블로 결선되어서, 해당 공기 조절 도 어의 개폐를 실행하는 매뉴얼의 케이블 구동식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구는, 상기 디이얼 부품을 양측이 개구한 통형상체로 하고, 이 다이얼 부품내에 대하여, 해당 다이얼 부품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서 바닥부측에 푸쉬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품과, 상기 푸쉬부와 접하는 스위치부를 갖는 기판을 적어도 구비한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부품 속에 점등 표시용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3).
그리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손끝을 이용하여 돌리는 것만으로 조작이 가능한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채용하므로, 팔을 크게 비틀 필요가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 및 손목이나 오버 아암부를 비틀 필요가 있는 손잡이형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 기구에 비해, 조작시에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조작성이 우수하여, 드라이버가 운전할 때에 한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채용할 뿐만 아니라, 다이얼 부품에 외부 삽입되는 제 1 기어에 기어 치형부를 형성하고, 다이얼 부품의 회전을 공기 조절 도어에 전달하기 위한 중계 부품에 대해서, 다이얼 부품의 외측에 오프셋 배치함으로써, 다이얼 부품을 양측이 개구된 중공의 통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청구항 2의 발명으로서, 다이얼 부품의 원통형의 공간내에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품을 수용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공기 조절 기능을 각 스위치 기구에 집약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 슬라이드 부품도 내부에 공동부를 갖는 것으로, 청구항 3의 발명으로서, 내부에 점등 표시용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장치에 대하여 스위치 기구나 점등 표시용 부재가 차지하는 비율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조작 장치의 패널상의 레이아웃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 1은 공기 조절의 조작 장치의 일부에 대해서 패널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a는 공기 조절의 조작 장치의 일부에 대해서 측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투시도,
도 2b는 공기 조절의 조작 장치의 일부에 대해서 케이스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공기 조절의 조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구의 특히 슬라이드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투시 사시도,
도 8은 오토 컨트롤 타입으로 FAN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스위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투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부품의 내부에 리드 램프를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스위치 기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예컨대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조작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위치 기구(1, 2, 3)가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 기구(1)는 흡출 모드를 디프로스트 모드(defrost mode), 디프로스트/풋 모드, 풋 모드(foot mode),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 벤트 모드(vent mode), 오토 모드(auto mode)로 설정하는 동시에 외기 도입 모드와 내기 도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 기구(2)는 송풍 능력을 바꾸는 동시에 송풍기의 ON/OFF를 실행하는 것이다. 더욱이, 스위치 기구(3)는 자동차 실내의 설정 온도를 바꾸는 동시에 자동으로 공기 조절 제어를 실행하는 AUTO 제어의 ON/OFF를 실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위치 기구(1, 3)는 매뉴얼 타입의 것으로, 특히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구성하는 다이얼 부품(4), 제 1 기어(5), 제 3 기어(6) 및 중계 부품(7)과, 푸쉬 스위치의 기구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품(8), 기판(9)을 갖고 있고, 제 2 기어(6)를 제외하여 기본적으로 패널(15)과 케이스(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 다이얼 부품(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체로서, 슬라이드 부품(8)이 끼워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한쪽의 개구 입구에 가까운 부위 중 패널(15)의 구멍(15a)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위에는, 손가락 등으로 집어서 회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요철면(4a)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얼 부품(4)의 다른쪽의 개구 입구에 가까운 부위는, 제 1 기어(5)와 끼워맞춰지기 위한 끼워맞춤 구멍(4b)이 직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노치(4c)를 갖는다.
또한, 슬라이드 부품(8)은, 흡출 모드 또는 설정 온도 전환 등에 관한 표시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된 표시 부품(8a)과, 기판(9)상의 스위치(10)를 ON/OFF하기 위한 푸쉬부(11)를 갖는 기부 부품(8b)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다이얼 부품(4)내를 그 축방향을 따라 정반대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드 부품(8)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측이 개방된 컵 형상의 표시 부품(8a)에, 한쪽이 개방된 컵 형상의 기부 부품(8b)을, 각각 개구부측을 갖는 위치로부터 끼워맞춤으로써,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동부(24)를 갖는 것으로서 조립된다. 또한, 기부 부품(8b)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18) 및 이 구멍(18)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통형상의 돌기부(19)내에 수용가능한 외경 치수를 갖는다.
더욱이, 제 1 기어(5)는 다이얼 부품(4)의 외주면측에 끼워맞춰지는 것으로,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체로 이루어지고, 다이얼 부품측의 개구 입구에 가까운 부위는 다이얼 부품(4)의 끼워맞춤 구멍(4b)과 끼워맞춰지기 위한 돌기부(5a)를 갖고, 반 다이얼 부품측의 개구 입구에 가까운 부위는 소정수의 기어 치형부(5b)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기어(5)의 개구부의 내경 치수는, 슬라이드 부품(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통과하고, 또 케이스(16)의 돌기부(19)에 외부 삽입하도록, 해당 슬라이드 부품(8)의 외경 치수 및 돌기부(19)의 외경 치수보다도 크게 채용되어 있다. 돌기부(19)는,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단부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서 결합 집게(19a)가 형성되어 있고, 기부 부재(8b)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계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어(6)는 상면으로부터 볼 때 선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원호 원주면에 소정수의 기어 치형부(6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원호 원주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부측에 회전축부(6b)가 돌출 형성되고, 이 회전축부(6b)를 도 2a에 도시하는 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17)에 끼워 부착함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 2 기어(6) 중 제 1 스위치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원호 원주면측에 연결된 와이어(20)를 거쳐서 흡출 모드 전환 도어(도시하지 않음)에 그 회전을 전달하고, 제 2 기어(6) 중 제 3 스위치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원호 원주면측에 연결된 와이어(20)를 거쳐서 에어믹스 도어(도시하지 않음)에 그 회전을 전달한다.
그리고, 중계 부품(7)은 대략 축막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일단부측에는 제 1 기어(5)의 기어 치형부(5b)와 맞물리는 기어(7a)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다른쪽 단부측에는 제 2 기어(6)의 기어 치형부(6a)와 맞물리는 기어(7b)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 1 기어(5)의 회전을 제 2 기어(6)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계 부품(7)은, 사용시에는, 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2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부착되고, 기어(7b)가 케이스(16)의 반대측에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스위치 기구(2)는 오토 컨트롤 타입이 것이지만, 그 구성에 사용되는 부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식 스위치를 구성하는 다이얼 부품(4), 제 1 기어(5), 및 제 3 기어(13) 및 푸쉬 스위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품(8)으로서, 많은 부품(4, 5, 8)을 스위치 기구(1, 3)로 공통으로 하고 있다. 즉, 환언하면, 매뉴얼 타입의 스위치 기구(1, 3)에 있어서, 오토 컨트롤 타입의 스위치 기구(2)의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이로써, 스위치 기구(1, 2, 3)를 구성하는 부품의 제조 공정도 공통화되어서,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스위치 기구(2) 고유의 배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스위치 기구(1, 3)와 공통되는 부품 및 배치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위치 기구(2)는 주로 FAN 스위치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스위치 기구(1, 3)와는 달리 케이블 구동용의 것이 아니라, 전용의 제 3 기어(13)를 이용하고 있다. 이 제 3 기어(13)는 대략 축막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일단부측에는 제 1 기어(5)의 기어 치형부(5b)와 맞물리는 기어 치형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어 치형부(13a)는 기어(13)의 원주면의 전체 원주가 아니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원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기어(13)는 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22) 및 이 구멍(22)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통형상의 돌기부(23)내에 수용가능한 외경 치수를 갖는다. 또한, 슬라이드 부품(8)의 표시 부품(8a)에는, 송풍 능력 전환에 관한 표시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 기구(1, 2, 3)는 예컨대 이하의 순서로 조립된다. 즉, 사전 표시 부재(8a)와 기부 부재(8b)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8)를 다이얼 부재(4)내에 장착한 상태로 한 후, 제 1 기어(5)를, 다이얼 부재(4)에 돌기부(5a)가 구멍(4b)에 끼워맞춰질 때까지 외부 삽입한다. 이로써, 다이얼 부품(4)과 제 1 기어(5)는 일체로 회동하는 한편, 슬라이드 부재(8)가 다이얼 부품(4) 및 제 1 기어(5)에 의해 형성된 중공실내를 축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다.
다음에, 스위치 기구(1, 3)에서는, 중계 부품(7)을 케이스(16)의 구멍(2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어(6)를 다른 부품(4, 8)과 치형 결합한 상태에서, 돌기부(19)에 회동가능하게 외부 삽입한다. 이로써, 제 1 기어(5)의 기어 치형부(5a)와 중계 부품(7)의 기어(7a)가 맞물린 상태에서, 다이얼 부품(4), 슬라이드 부품(8), 제 1 기어(5)의 조립체와 중계 부품(7)은 케이스(16)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중계 부품(7)은 제 1 기어(5) 및 다이얼 부품(4)에 대해 그 외주측에 오프셋된 위치에 있다.
이에 대하여, 스위치 기구(2)는 제 2 기어(13)를 케이스(16)의 돌기부(22)의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어(6)를 다른 부품(4, 8)과 치형 결합한 상태에서, 돌기부(19)에 회동가능하게 외부 삽입한다. 이로써, 제 1 기어(5)의 기어 치형부(5a)와 제 3 기어(13)의 기어 치형부(13a)가 맞물린 상태에서, 다이얼 부품(4), 슬라이드 부품(8), 제 1 기어(5)의 조립체와 제 3 기어(13)는 케이스(16)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 3 기어(13)는 다이얼 부품(4)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그 직경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있어서, 제 3 기어(13)의 중심축(13b)을 FAN 스위치로서 이용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제 2 기어(6)의 회전축부(6b)를 케이스(16)의 구멍(17)에 슬라이드 부품(8) 등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끼워 통과시켜, 제 2 기어(6)의 원호면측에, 한쪽이 흡출 모드 전환 도어나 에어믹스 도어와 결선된 와이어(20)를 연결하는 동시에, 패널(15)을 각 구멍(15a)이 다이얼 부품(4)에 외부 삽입하도록 하여 케이스(16)와 끼워맞춰지고, 돌림 방지 등으로 고정하고, 또한 케이스(16)의 제 2 기어(6)측에 스위치부(10)를 갖는 기판(9)을 배치한다.
이상에 의해, 스위치 기구(1, 3)에 따르면, 케이블 구동식의 매뉴얼 타입이어도, 다이얼 부품(4)을 이용하고, 또 이 다이얼 부품(4)에 제 2 기어(5)를 외부 삽입함으로써, 다이얼 부품(4) 및 제 1 기어(5)에 대하여 외주측으로 오프셋된 중계 부재(7)를 채용하는 것으로, 다이얼 부품(4)의 내부에 푸쉬 스위치의 기구를 이루는 슬라이드 부품(8)을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식 또는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에 비해, 어느 각도에서도 편안히 다이얼 부품(4)을 회전시킬 수 있고, 드라이버에 있어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식 또는 손잡이형의 스위치 기구와는 달리, 주변에 푸쉬 스위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또 스위치를 별개 위치에 배치하는 필요성도 없고, 더구나 1개의 스위치 기구(1 또는 3)에 대하여, 공기 조절 기기의 ON/OFF 기능이나 인디케이터(indicator)의 배치 등에 의해 기능을 집중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중계 부재(7)의 회전축을 제 1 기어(5)에 대하여 외접시키는 오프셋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 기구(1, 3)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품(8)은 공동부(24)를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서 리드 램프(25)(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고, 표시 부재(8a)에 표시부(26)를 설치함으로써, 스위치의 투입 상태를 도시하거나, 야간의 라이트 점등 시에 스위치의 장소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등시켜도 좋은 것이다.

Claims (3)

  1. 회전 조작이 가능한 다이얼 부품과, 이 다이얼 부품에 외부 삽입되어서 상기 다이얼 부품과 일체로 회동하는 동시에 외주측면에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된 제 1 기어와, 소정수의 치형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피구동 부재와 결선되어서 이 피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제 2 기어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중계 부품을 거쳐서 상기 다이얼 부품의 회전이 상기 제 2 기어에 전달되는 다이얼식 스위치의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부품을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체로 하고, 상기 다이얼 부품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서 바닥부측에 푸쉬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품과, 상기 푸쉬부와 접하는 스위치부를 갖는 기판을 적어도 구비한 푸쉬식 스위치의 기구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품 속에 점등 표시용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구.
KR1020067012533A 2003-12-24 2004-09-30 스위치 기구 KR101167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7977 2003-12-24
JP2003427977A JP4441750B2 (ja) 2003-12-24 2003-12-24 マニュアルタイプのスイッチ機構
PCT/JP2004/014358 WO2005062324A1 (ja) 2003-12-24 2004-09-30 スイッチ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675A true KR20060135675A (ko) 2006-12-29
KR101167738B1 KR101167738B1 (ko) 2012-07-23

Family

ID=3470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533A KR101167738B1 (ko) 2003-12-24 2004-09-30 스위치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25051B2 (ko)
EP (1) EP1708217B1 (ko)
JP (1) JP4441750B2 (ko)
KR (1) KR101167738B1 (ko)
DE (1) DE602004013198T2 (ko)
WO (1) WO2005062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1535A1 (de) * 2006-01-19 2007-07-25 Synthax Asia Ltd. Elektrisches Schalt- und/oder Stellelement mit optischer Anzeige
KR100793486B1 (ko) 2006-10-27 2008-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비게이션의 조그셔틀 다중 키 성능 개선 구조
ATE473120T1 (de) * 2007-12-31 2010-07-15 Denso Thermal Systems Spa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limaanlage
FR2932727B1 (fr) * 2008-06-20 2012-10-2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 commande de fonctions d'un tableau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commande correspondant
KR101497336B1 (ko) * 2008-12-30 2015-03-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장치의 컨트롤 스위치 조립체
JP5169927B2 (ja) * 2009-03-19 2013-03-27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用ダイヤル操作装置
ITTO20091012A1 (it) * 2009-12-21 2011-06-22 Illinois Tool Works Catenaria di comando di accensione per rubinetti gas con indicazione ottica di avvenuta apertura del rubinetto gas, per apparecchi di cottura
DE102010032784A1 (de) * 2010-07-29 2012-02-02 Robert Bosch Gmbh Bedienvorrichtung
JP5508231B2 (ja) * 2010-11-15 2014-05-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CN102568905B (zh) * 2010-12-23 2015-03-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按键装置及具有该按键装置的空调器
CN102592874A (zh) * 2011-01-14 2012-07-18 上海德科电子仪表有限公司 风速控制开关
FR2986658B1 (fr) * 2012-02-02 2014-02-21 Delphi Tech Inc Commutateur rotatif a rouleaux.
JP2013196592A (ja) * 2012-03-22 2013-09-30 Tokai Rika Co Ltd 操作装置
CN103909828B (zh) * 2013-01-05 2017-12-19 法雷奥汽车空调湖北有限公司 控制机构和采用该控制机构的机动车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952A (en) * 1976-05-27 1977-11-29 Erwin Kaestner Bio-rhythm calculator
JPS56139788A (en) * 1980-04-03 1981-10-31 Aisin Seiki Buttonholing device
US4503295A (en) * 1982-06-25 1985-03-05 Telsco Industries, Inc. Sprinkler controller
JP2001229780A (ja) * 2000-02-16 2001-08-24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操作パネル
JP4236800B2 (ja) 2000-07-27 2009-03-11 Asti株式会社 車両の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用操作装置
JP2002172925A (ja) 2000-12-06 2002-06-18 Tokai Rika Co Ltd 車両用操作スイッチユニット
JP2003054245A (ja) 2001-08-20 2003-02-26 Tokai Rika Co Ltd 車両の空調用操作装置
JP4108352B2 (ja) 2002-03-15 2008-06-25 株式会社ユーシン ヒーターコントロール装置
JP4031775B2 (ja) * 2004-04-28 2008-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のダイヤル式スイッ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8217B1 (en) 2008-04-16
JP2005190733A (ja) 2005-07-14
JP4441750B2 (ja) 2010-03-31
EP1708217A1 (en) 2006-10-04
DE602004013198D1 (de) 2008-05-29
WO2005062324A1 (ja) 2005-07-07
DE602004013198T2 (de) 2009-07-09
KR101167738B1 (ko) 2012-07-23
US20070119697A1 (en) 2007-05-31
US7525051B2 (en) 2009-04-28
EP1708217A4 (en)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5675A (ko) 스위치 기구
EP1742240B1 (en) Dial type switch mechanism
US7381128B2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8459146B2 (en) Dial control device
US7550686B2 (en) Rotary switch in a motor vehicle
JP4299090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操作装置
JP2007004254A (ja) 力覚付与型入力装置
KR2005003023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및 이것의 조립방법
JP2007157466A (ja) 操作装置
JP5981146B2 (ja) 操作装置
JP4087245B2 (ja) 車両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1184969A (ja) スイッチ機構及びこのスイッチ機構を具備する操作パネル
KR20060087838A (ko)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JP426357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操作装置
JP2001229780A (ja) 操作パネル
JP2003039938A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8120208A (ja) 空調用操作装置
JP4064153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5218936B2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3744737B2 (ja) ダイヤル式スイッチ
KR2008009157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 스위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