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513B1 -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513B1
KR101294513B1 KR1020110017324A KR20110017324A KR101294513B1 KR 101294513 B1 KR101294513 B1 KR 101294513B1 KR 1020110017324 A KR1020110017324 A KR 1020110017324A KR 20110017324 A KR20110017324 A KR 20110017324A KR 101294513 B1 KR101294513 B1 KR 101294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lick
housing
rota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843A (ko
Inventor
전인성
강민권
노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1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513B1/ko
Priority to US13/401,219 priority patent/US20120218233A1/en
Publication of KR2012009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60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no contacts
    • H01H19/63Contacts actuated by axial c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회전 버튼의 회전 동작시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여 정확한 조작을 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기가 개시된다.
일 예로, 내면에 상호간에 이격된 복수개의 클릭 노치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 버튼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과 결합된 클릭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클릭 브라켓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클릭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 노치에 정합되는 클릭 돌기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Teminal Having Rotary Button}
본 발명은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 많은 휴대용 전자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 기기들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해 다양한 구성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러한 일 예가 회전식 버튼이다.
회전식 버튼이란 대표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어 온 것으로, 전자 기기의 케이스 외부에 형성된 회전식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이에 따라 온/오프 동작 또는 모드 전환 등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구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자 기기들은 점차 두께가 얇을 것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회전식 버튼의 구성 역시 얇아질 것이 요구되며, 사용자의 외부 활동시 수분이 케이스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회전 버튼의 회전 동작시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여 정확한 조작을 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내면에 상호간에 이격된 복수개의 클릭 노치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 버튼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과 결합된 클릭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클릭 브라켓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클릭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 노치에 정합되는 클릭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을 향해 굴곡되어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의 내측에 상기 탄성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은 탄성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클릭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과 동기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은 SUS 301 또는 SUS 30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관통 돌기에 대응되어 결합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회전 스토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클릭 브라켓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회전 스토퍼 돌기까지의 거리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면이 상기 클릭 브라켓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동작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브라켓의 돌기는 상기 동작 브라켓의 둘레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브라켓은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 및 클릭 브라켓과 동기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브라켓의 돌기는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의 스위치에 연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스위치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브라켓은 상기 관통 돌기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된 오링(O-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클릭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에 결합된 체결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클릭 브라켓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에 면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되고, 클릭 브라켓 및 회전 버튼 브라켓이 체결 나사를 통해 하우징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추가로 회전 버튼 브라켓에 오링을 구비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클릭 노치를 구비하고, 회전 버튼 브라켓의 관통 돌기에 결합된 클릭 브라켓에 탄성부 및 클릭 돌기를 구비하여, 클릭 돌기가 클릭 노치에 결합되는 때,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클릭감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상부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구성하는 회전 버튼 브라켓에서 체결 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클릭 브라켓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버튼 동작 브라켓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상부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구성하는 회전 버튼 브라켓에서 체결 부재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클릭 브라켓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버튼 동작 브라켓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하우징(110), 회전 버튼 브라켓(120), 클릭 브라켓(140), 동작 브라켓(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오링(130) 및 체결 나사(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의 소자들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단말기(100)가 동작하기 위한 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111)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관통홀(111)을 통해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을 조작하는 경우 내부의 소자들에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들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상기 관통홀(111)의 주변에 클릭 노치(112)가 형성된다. 상기 클릭 노치(1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두께 방향을 향해 음각되어 형성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에는 상기 클릭 노치(112)가 제 1 노치(112a) 내지 제 3 노치(112c)의 세 개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갯수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클릭 노치(112)는 이후 결합되는 상기 클릭 브라켓(140)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클릭 브라켓(140)이 상기 클릭 노치(112)의 상부에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클릭 브라켓(140)이 상기 클릭 노치(112)와 정합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클릭감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클릭 노치(112)의 클릭감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의 정확성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클릭 노치(112)의 주변에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 스토퍼 돌기(1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스토퍼 돌기(113)는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회전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클릭 브라켓(140)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결합된다.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사용자에게 노출되며, 상기 사용자가 동작을 위해 조작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클릭 브라켓(140) 및 동작 브라켓(150)과 상기 체결 나사(160)를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은 상기 하우징(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은 톱니 버튼(121), 중간 부재(122), 체결 부재(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톱니 버튼(121)은 둘레를 따라서 톱니부(121a)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톱니부(121a)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톱니 버튼(121)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공간 일부에 체결 돌기(121b)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 부재(122) 및 체결 부재(123)가 상기 톱니 버튼(121)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간 부재(122)는 상기 톱니 버튼(121)의 공간 내부로 삽입되며 둘레 일부에 형성된 체결홈(122a)을 통해 상기 체결 돌기(121b)에 결합된다. 상기 중간 부재(122)는 상기 톱니 버튼(121)과 상기 체결 부재(123)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위치한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체결 부재(123)는 하부 영역이 역시 상기 톱니 버튼(121)의 공간 내부로 삽입되며, 둘레 일부에 형성된 체결홈(123a)을 통해 상기 체결 돌기(121b)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 부재(123)는 상기 톱니 버튼(12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체결 부재(123)는 하부 영역의 상면에 회전 가이드(123b)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가이드(123b)는 상기 체결 부재(123)가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때, 회전 경로를 가이드한다. 상기 체결 부재(123)는 상부 영역에 관통 돌기(123c)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 돌기(123c)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클릭 브라켓(140) 및 동작 브라켓(150)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123)를 포함한 회전 버튼 브라켓(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 브라켓(140) 및 동작 브라켓(150)이 같이 회전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오링(130)은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의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오링(130)은 상기 체결 부재(123)의 회전 가이드(123b)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123)가 상기 하우징(110)과 단단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의 수분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되어, 방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결합된다.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상기 내부에 제 1 홀(140a)과 제 2 홀(140b)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의 체결 부재(123)에 형성된 관통 돌기(123c)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대략 평평한 평면 형상을 이루면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10)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상기 동작 브라켓(150)과도 면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된다. 즉,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상기 체결나사(160)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과 동작 브라켓(150)의 사이에 틈이 없도록 단단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상기 오링(130)과 더불어, 외부의 수분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그 일측에 둘레를 형성하는 탄성부(14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41)의 내측에는 둘레를 따라 제 3 홀(140c)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141)는 상기 제 3 홀(140c)를 통해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독립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41)는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다른 영역에 비해 하부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상기 클릭 브라켓(140)이 상기 하우징(110)과 동작 브라켓(150)의 사이에 결합되는 때, 대략 중앙에서 체결 나사(160)를 통해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탄성부(141)는 일정 부분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41)는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시 결합력에 의해 상부를 향해 눌려져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141)는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상기 탄성부(141)의 일부 영역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클릭 돌기(142)를 구비한다. 상기 클릭 돌기(142)는 상기 하우징(110)을 향하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면에서 이동하다가, 상기 하우징(110)의 클릭 노치(112)에 정합된다. 또한, 상기 클릭 돌기(142)가 상기 클릭 노치(112)에 정합시 상기 탄성부(1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클릭감이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조작을 수행하였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강성 및 탄성을 모두 갖는 재질인 SUS 301 또는 SUS 30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스토퍼(1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 스토퍼(143)는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회전 스토퍼 돌기(113)까지의 거리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릭 브라켓(140)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 스토퍼(143)는 상기 회전 스토퍼 돌기(113)에 닿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동작 브라켓(150)은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동작 브라켓(150)은 상기 체결 나사(160)를 통해 상기 클릭 브라켓(140), 하우징(110) 및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과 결합된다. 상기 동작 브라켓(150)은 대략 중앙에 제 1 홀(150a)과 제 2 홀(150b)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의 관통 돌기(123c)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동작 브라켓(150) 역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브라켓(150)은 상면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151, 15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돌기(151) 및 제 2 돌기(152)로 도시 설명하였으나, 상기 돌기의 갯수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돌기(151) 및 제 2 돌기(152)는 상기 동작 브라켓(15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스위치(미도시)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 1 돌기(151) 및 제 2 돌기(152)의 연결시 '1', 분리시 '0'으로 각각 표기하면, 회전 동작에 따라 (0,0), (0,1), (1,0), (1,1)의 4가지 제어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는 상기 동작 브라켓(1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4가지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같은 논의로, 상기 돌기가 1개인 경우에는 2개, 3개인 경우에는 8개의 동작 실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체결 나사(16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동작 브라켓(150), 클릭 브라켓(140), 하우징(110), 회전 버튼 브라켓(120)의 순서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체결 나사(160)는 상기 동작 브라켓(150)의 제 1 홀(150a), 상기 클릭 브라켓(140)의 제 1 홀(150a), 상기 하우징(110)의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 나사(160)에 의해 동작 브라켓(150), 클릭 브라켓(140), 하우징(110), 회전 버튼 브라켓(120)은 단단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120)이 회전되는 동작이 반복되어도 상호간에 결합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클릭 브라켓(140)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에 면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되고, 클릭 브라켓(140) 및 회전 버튼 브라켓(120)이 체결 나사(160)를 통해 하우징(110)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추가로 회전 버튼 브라켓(120)에 오링(130)을 구비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클릭 노치(112)를 구비하고, 회전 버튼 브라켓(120)의 관통 돌기(123c)에 결합된 클릭 브라켓(140)에 탄성부(141) 및 클릭 돌기(142)를 구비하여, 클릭 돌기(142)가 클릭 노치(112)에 결합되는 때, 탄성부(141)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클릭감을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10; 하우징
112; 클릭 노치 120; 회전 버튼 브라켓
130; 오링 140; 클릭 브라켓
142; 클릭 돌기 150; 동작 브라켓
151; 제 1 돌기 152; 제 2 돌기
160; 체결 나사

Claims (17)

  1. 내면에 상호간에 이격된 복수개의 클릭 노치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 버튼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과 결합된 클릭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클릭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 노치에 정합되는 클릭 돌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된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을 향해 굴곡되어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의 내측에 상기 탄성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홀을 갖는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클릭 돌기를 구비하는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과 동기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브라켓은 SUS 301 또는 SUS 30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성된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클릭 브라켓은 상기 관통 돌기에 대응되어 결합된 홀을 구비하는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회전 스토퍼 돌기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브라켓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클릭 브라켓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회전 스토퍼 돌기까지의 거리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클릭 브라켓에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동작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브라켓의 돌기는 상기 동작 브라켓의 둘레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형성된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브라켓은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 및 클릭 브라켓과 동기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브라켓의 돌기는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의 스위치에 연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스위치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말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브라켓은 상기 관통 돌기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홀을 구비하는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된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클릭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버튼 브라켓에 결합된 체결 나사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KR1020110017324A 2011-02-25 2011-02-25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 KR101294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24A KR101294513B1 (ko) 2011-02-25 2011-02-25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
US13/401,219 US20120218233A1 (en) 2011-02-25 2012-02-21 Terminal having rotary but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24A KR101294513B1 (ko) 2011-02-25 2011-02-25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43A KR20120097843A (ko) 2012-09-05
KR101294513B1 true KR101294513B1 (ko) 2013-08-07

Family

ID=4671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324A KR101294513B1 (ko) 2011-02-25 2011-02-25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18233A1 (ko)
KR (1) KR101294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5734B (zh) * 2012-12-14 2015-05-21 Lite On Electronics Guangzhou 無段感旋鈕模組及具有該無段感旋鈕模組的電子裝置
JP2015182705A (ja) * 2014-03-26 2015-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操作装置
KR20170123906A (ko) * 2016-04-29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WO2017204567A1 (ko) * 2016-05-24 2017-11-30 유한회사 핑거팁스랩 리모트 컨트롤 장치
JP7188968B2 (ja) * 2018-10-10 2022-12-13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飲料供給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232A (ja) * 2003-04-24 2004-11-18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機器用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077A (en) * 1993-04-05 1994-05-24 Bourns, Inc. Rotary switch including cam operated flexible contacts
US6374696B1 (en) * 1999-12-17 2002-04-23 Trw Inc. Detent assembly
JP4031775B2 (ja) * 2004-04-28 2008-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のダイヤル式スイッチ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232A (ja) * 2003-04-24 2004-11-18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機器用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43A (ko) 2012-09-05
US20120218233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513B1 (ko) 회전식 버튼을 갖는 단말기
KR100755178B1 (ko) 누름버튼 스위치의 방수 구조
JP6826878B2 (ja) スライド型コネクタ
US20110247924A1 (en) Key butt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6088958B2 (ja) 防水コネクタ構造を具えた電子機器
US20170207037A1 (en) Switch device
TW201635655A (zh) 電子設備的防水結構
US10535476B2 (en) Electronic device
JP5242845B1 (ja) 携帯端末用カバー
US20100006410A1 (en) Operation key structure
JP2013258088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JP2013143355A (ja) 電子装置
JP2012199867A (ja) 携帯無線機
JP2013054965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防水構造、該防水構造を備えた携帯機器、該携帯機器の製造方法
JP2013033795A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JP5125685B2 (ja) 電子機器
JP2013110642A (ja) 携帯端末
JP4651587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及びその組立方法
JP6161163B2 (ja) 電子機器
JP5147602B2 (ja) 電子機器
JP2016076303A (ja) 電子機器
US10320059B2 (en) Electronic device
US2013027193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receiver
JP6449067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5999241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