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774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774A
KR20160035774A KR1020140127502A KR20140127502A KR20160035774A KR 20160035774 A KR20160035774 A KR 20160035774A KR 1020140127502 A KR1020140127502 A KR 1020140127502A KR 20140127502 A KR20140127502 A KR 20140127502A KR 20160035774 A KR20160035774 A KR 20160035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sensing device
temperature sens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571B1 (ko
Inventor
정의수
윤항식
천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71B1/ko
Priority to CN201520690831.6U priority patent/CN205072704U/zh
Publication of KR2016003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및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기기의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섭취 가능한 상태로 조리하는 주방 가전기기의 하나이며, 이러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열원의 종류에 따른 상기 조리기기를 구분하여 보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열원으로 가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기 조리기기와, 공급되는 가스를 열원으로 가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스 조리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종류에 따라 복사열을 발산하는 히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와, 일정한 파장을 가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요리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가열 방식 및 가열 조건을 부여하기 위하여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과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이 함께 장착되는 조리기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특성에 따라 더욱 큰 부피 또는 무게를 가지는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일 예로, 오븐 레인지는 다수의 버너 또는 히터를 이용하여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쿡탑부와, 버너 또는 히터를 이용하여 폐쇄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오븐부와, 음식물의 보온 등을 위한 드로워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가열하는 가열 부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장치가 장착되고, 이러한 온도감지장치에서 감지되는 온도 값을 활용하여 조리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행기술 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356호에는 전기오븐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는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온도측정장치의 구성이 개시되며, 이러한 온도측정장치는 소형으로 값이 저렴하고 고감도이므로 가전기기나 산업기기의 온도센서 및 온도보상용으로 사용되는 써미스터의 구성이 개시된다.
이러한 써미스터를 이용하여 캐비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캐비티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써미스터를 캐비티의 온도 감지를 위하여 장착하고자 할 때,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캐비티의 내부로 이동하여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장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캐비티 내면의 법랑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븐부의 온도감지장치 체결이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및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재; 상기 단열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 일부가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온도감지장치; 및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면서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되도록 제공되는 체결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온도감지장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온도감지장치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고, 온도감지장치가 외부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온도감지장치가 외부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온도감지장치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조립의 용이성으로 인해 작업자의 신체적 피로도가 감소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온도감지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짐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내부로 장착되는 구성으로 인해 내부의 훼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내부의 훼손이 방지됨으로써 온도감지장치의 조립에 따른 제품 불량이 해소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제품 불량의 해소로 인해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나아가, 제품의 운반에 따른 진동에 의한 단열부재의 캐비티 유입이 방지될 수 있어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온도감지장치의 조립 중 홀의 불일치로 조립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캐비티 구성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온도감지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온도감지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레인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조리기기(1)는 쿡탑부(20)와, 오븐부(30)와, 드로워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리기기(1)는 그 종류에 따라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드로워부(4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드로워부(40)를 생략한 상태에서 상기 오븐부(3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제1,2오븐부로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드로워부(40)가 생략된 상태에서 상기 제1,2오븐부로 이루어지면서, 제2오븐부가 상기 드로워부(40)와 유사 또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2오븐부가 제1오븐부와 유사 또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1)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 형태에 대하여서는 제약이 없음을 밝혀두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리기기(1)가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오븐부(30)와 상기 드로워부(40) 및 상기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1)에는 외부케이스(10)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1)의 외관이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조리기기(1)는 중앙부에 상기 오븐부(30)가 위치하고, 상기 오븐부(30)의 상측에는 상기 쿡탑부(20)가 위치되며, 상기 오븐부(30)의 하측에는 상기 드로워부(40)가 배치되고, 상기 쿡탑부(20)의 전단에는 상기 제어부(50)가 배치된다.
상기 쿡탑부(20)는 종류에 따라 다수의 버너 또는 히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쿡탑히터(21)가 장착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쿡탑부(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쿡탑케이스와, 상기 쿡탑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유리(2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쿡탑히터(21)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쿡탑부(20)에는 다양한 출력과 다양한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는 상기 쿡탑히터(21)가 다수 설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식물의 양 또는 음식용기의 부피에 따라 적합한 상기 쿡탑히터(21)를 선택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쿡탑히터(21)는 발산되는 열이 상기 상면유리(22)로 잘 전달되도록 상기 상면유리(22)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쿡탑히터(21)의 하측에는 상기 쿡탑히터(21)가 상기 상면유리(22)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 또는 지지부재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상면유리(22)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어,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면유리(22)는 상면이 하나의 단일 평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쿡탑히터(21)가 상기 쿡탑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어 사용자는 상기 쿡탑부(20)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과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상면유리(22)의 상면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트리빗이 더 제공되기도 하며, 상기 트리빗에 의해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상면유리(22)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상기 오븐부(30)가 위치된다. 상기 오븐부(30)는 조리를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31)을 형성하는 캐비티(32)와, 상기 캐비티(32)의 개방된 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오븐도어(33)와, 상기 조리실(31)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오븐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티(32)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면은 상기 오븐도어(3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븐도어(33)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도어(33)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는 오븐도어핸들(34)이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오븐도어(33)는 상기 캐비티(32)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오븐도어(33)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3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오븐도어(33)의 상기 조리실(31) 개폐 방식에 대하여서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기로 한다.
상기 오븐도어(33)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식인 풀-다운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식인 풀-업 방식으로 상기 조리실(31)을 개폐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븐도어핸들(34)은 상기 오븐도어(33)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오븐도어(33)의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함몰된 부분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오븐도어핸들(34)이 일정 정도의 두께와 폭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로드(rod)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오븐부(30)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다수의 상기 오븐히터에서 발산되는 복사열과 전도열을 이용하에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캐비티(32)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조리실(31)이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31)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캐비티(32)는 일 예로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개시되나, 그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오븐부(30)에는 상기 조리실(31)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31)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히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히터는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31)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히터는 상기 캐비티(32)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히터(35)와, 상기 캐비티(32)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히터(36) 및 상기 캐비티(32)의 후측에 위치되는 컨벡션히터(37)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상부히터(35)는 상기 캐비티(3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히터(36)는 상기 캐비티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벡션히터(37)는 상기 캐비티(32)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히터(37)는 상기 조리실(31)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다음 상기 조리실(31)로 토출하면서 상기 조리실(31)의 공기를 유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31)의 내부에 놓이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된다.
상기 다수의 히터(35,36,37)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시즈히터 또는 할로겐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대하여서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하며, 상기 다수의 히터(35,36,37)는 상기 조리기기(1)의 종류에 따라 일부가 생략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에는 상기 다수의 히터(35,36,37) 외에도 마이크로파를 발산하여 상기 조리실(31)에 놓이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마그네트론이 더 장착되기도 한다.
이처럼, 상기 다수의 히터(35,36,37)는 상기 조리실(31)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가열원 또는 열원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오븐부(30)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 또는 음식물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음식용기 또는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드로워(41)와 상기 드로워(41)가 수용되는 드로워수용부를 포함하다.
상기 드로워(41)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기 드로워수용부에 인입되거나 상기 드로워수용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41)의 전면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드로워도어(42)가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도어(4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41)를 인출 또는 인입하게 될 때 파지할 수 있는 드로워핸들(43)이 장착된다.
상기 드로워(41)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상자 형태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된 상면이 개폐되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가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로워(41)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드로워(4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드로워히터(44)가 제공된다. 상기 드로워히터(44)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드로워(41)의 내부 공간이 일정 정도의 온도까지 가열되고, 그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드로워히터(44)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쿡탑부(20)의 전면 상세하게는, 상기 오븐도어(33)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어부(50)에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 일 예로 상기 쿡탑부(20)와 상기 오븐부(30) 및 상기 드로워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과 상기 조리기기(1)의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여 주는 표시창이 제공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50)에는 버튼이 아닌 다이얼 놉의 형태로 제공되면서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구성에 의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을 제한하지 않음을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창은 엘씨디(LCD)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화면 또는 영상, 소리 등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도 가능하고, 엘이디(LED) 등으로 형성되어 기호 또는 문자, 색상 등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상기 캐비티(32) 구성을 나타낸 하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온도감지장치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캐비티(32)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321)과,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322)과,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패널(323)과,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패널(324) 및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325)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전면패널(321)은 그 중앙부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실(31)의 전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절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캐비티(32)의 전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다른 패널(322,323,324,325)들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캐비티(32)의 상면과 하면과 측면 및 후면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상기 측면패널(322)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에 위치되는 음식물 또는 음식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트레이의 양끝 부분을 지지하는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패널(323)에는 상기 조리실(31)을 상측에서 가열하기 위한 상기 상부히터(3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하면패널(324)에는 상기 조리실(31)을 하측에서 가열하기 위한 상기 하부히터(36)가 장착되며, 상기 후면패널(325)에는 상기 컨벡션히터(37)가 장착되고, 상기 후면패널(325)에는 상기 조리실(3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장치(38)가 장착된다.
상기 온도감지장치(38)는 써미스터(Thermistor)가 사용되며, 상기 써미스터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크게 변하는 감온 반도체이고, 사용 온도범위가 -50℃∼500℃로 온도 조절이 필요한 거의 모든 범위에서 응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구성의 감지장치가 사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형태에 대하여서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32)의 후측 상세하게는, 상기 후면패널(325)의 후측에는 상기 오븐부(3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01)가 위치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301)는 상기 후면패널(325)에서 후방으로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후면패널(325)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위치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01)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32)의 온도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부재가 개입되어 위치된다.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캐비티(32)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캐비티(32)의 열 발산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단열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단열 기능이 뛰어나면서 녹는 점이 높은 유리 섬유 등과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감지장치(38)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티(32)의 상기 후면패널(325)에 고정되어 상기 조리실(3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장치(38)는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면서, 상기 조리실(31)의 온도를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전송되는 상기 조리실(31)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35,36,37)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온도감지장치(38)는 상기 캐비티(32)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32)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오븐부(30)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32)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상기 오븐부(30)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32)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장착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상기 캐비티(32)의 외측 상세하게는 상기 오븐부(30)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32)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면서 결합되면, 상기 조리기기(1)에 온도감지장치(38)의 체결이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상기 오븐부(30)의 외측에서 결합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조리기기(1)에는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60)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60)는 상기 캐비티(32)의 후면을 정의하는 상기 후면패널(325)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관통하는 관통홀(61)과, 상기 오븐부(30)의 후면을 정의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관통하는 체결홀(62)과, 상기 온도감지장치(38)를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브라켓(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63)은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와 체결부재(65)에 의해 체결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체결브라켓(63)에는 상기 체결부재(65)가 관통하기 위한 고정홀(64)이 형성된다.
다만,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상기 캐비티(32)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체결홀(62)의 구성이 생략되고, 상기 체결브라켓(63)이 상기 후면패널(325)에 체결되면서 상기 온도감지장치(38)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관통홀(61)과 상기 체결홀(62)의 형태는 관통되는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외형 단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관통홀(61)과 체결홀(62)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지름은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단면 외부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체결브라켓(63)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감지장치(38)에 끼움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물론, 상기 체결브라켓(63)이 상기 온도감지장치(38)와 다른 형태의 결합으로 체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체결브라켓(63)의 중앙부에는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중앙부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브라켓(63)을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에 고정하고자 할 때, 상기 체결부재(65)가 관통하기 위한 고정홀(6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64)을 상기 체결부재(65)가 관통하면서 상기 체결부재(65)와 상기 후면플레이트(301)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브라켓(63)이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의 외면에 고정 장착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65)의 끝 부분은 상기 캐비티(3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65)에 의한 상기 캐비티(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61)에는 상기 후면패널(325)과 상기 후면플레이트(301)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캐비티(32)와 상기 후면플레이트(301)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부재가 상기 캐비티(32)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611)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611)는 상기 관통홀(61)의 테두리 부분에서 상기 캐비티(32)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611)는 상기 관통홀(61)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관통홀(61)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상기 단열부재의 상기 캐비티(32) 내부 인입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611)의 끝 부분은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관통 가능하도록 일정 정도의 단면적을 가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611)의 끝 부분이 형성하게 되는 원형의 홀은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단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상기 플랜지(611)를 관통하게 될 때 상기 온도감지장치(38)와 상기 플랜지(611)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외면과 상기 플랜지(611)의 끝 부분 접촉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온도감지장치(38) 또는 상기 플랜지(611)의 훼손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플랜지(611)는 상기 캐비티(32)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홀(62)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단열부재의 유입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관통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60)에 의해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상기 오븐부(30)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32)의 내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끝 부분(도면에서 볼 때, 전단부)을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홀(62)을 관통하여 인입하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장치(38)가 상기 체결홀(62)을 관통하여 인입하게 되면, 그 전단부는 상기 단열부재를 관통하게 되고, 상기 단열부재를 통과한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전단부는 상기 캐비티(32)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더 인입된다.
상기 체결홀(62)을 관통한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전단부는 상기 단열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후면패널(325)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6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관통홀(61)에는 상기 플랜지(611)가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면서, 그 끝 부분이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감지장치(38)는 상기 플랜지(611)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티(32)의 내부 공간에 그 끝 부분이 위치하게 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브라켓(63)에 의해 상기 온도감지장치(38)의 인입 정도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체결브라켓(63)은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브라켓(63)이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의 후면에 접할 때까지 상기 캐비티(3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체결브라켓(63)이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의 후면에 접하게 되면서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체결브라켓(63)이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에 접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65)가 상기 고정홀(64)과 상기 후면플레이트(301)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온도감지장치(38)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에 고정 결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65)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01)를 관통하여 체결될 때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3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부재(65)가 상기 고정홀(64)과 상기 후면플레이트(301)를 관통하여 체결되더라도 그 끝 부분은 상기 캐비티(32)의 상기 후면패널(325) 외측에 위치되도록 체결된다.
이는, 상기 체결부재(65)에 의한 상기 캐비티(3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티(32)의 내면에 형성되는 법랑층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상기 온도감지장치(38)는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와 단열부재와 후면패널(325)을 관통하여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캐비티(3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후면플레이트(301)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온도감지장치가 캐비티의 외측에서 캐비티로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온도감지장치의 장착 구성에 의해 온도감지장치의 장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고, 캐비티의 법랑층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많은 장점으로 인해, 조리기기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1. 조리기기 10. 외부케이스
20. 쿡탑부 21. 쿡탑히터
22. 상면유리 30. 오븐부
301. 후면플레이트 31. 조리실
32. 캐비티 321. 전면패널
322. 측면패널 323. 상면패널
324. 하면패널 325. 후면패널
33. 오븐도어 34. 오븐도어핸들
35. 상부히터 36. 하부히터
37. 컨벡션히터 38. 온도감지장치.
40. 드로워부 41. 드로워
42. 드로워도어 43. 드로워핸들
44. 드로워히터 50. 제어부
60. 체결부 61. 관통홀
611. 플랜지 62. 체결홀
63. 체결브라켓 64. 고정홀
65. 체결부재

Claims (13)

  1.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및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장치는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티에 형성되고,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온도감지장치의 고정을 위한 체결브라켓;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캐비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외측은 단열을 위한 단열부재가 감싸지고,
    상기 온도감지장치는 일부가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조리기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고정홀이 포함되는 조리기기.
  9. 음식물의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재;
    상기 단열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 일부가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온도감지장치; 및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면서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되도록 제공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관통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체결홀과,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관통되도록 상기 캐비티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감지장치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온도감지장치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캐비티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에는,
    상기 온도감지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위치하는 조리기기.
KR1020140127502A 2014-09-24 2014-09-24 조리기기 KR10165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502A KR101656571B1 (ko) 2014-09-24 2014-09-24 조리기기
CN201520690831.6U CN205072704U (zh) 2014-09-24 2015-09-08 烹调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502A KR101656571B1 (ko) 2014-09-24 2014-09-24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74A true KR20160035774A (ko) 2016-04-01
KR101656571B1 KR101656571B1 (ko) 2016-09-09

Family

ID=5542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502A KR101656571B1 (ko) 2014-09-24 2014-09-2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6571B1 (ko)
CN (1) CN2050727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0501A1 (en) * 2017-01-12 2018-07-1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cooking oven, in particular a domestic cooking ov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771B1 (ko) * 2016-08-10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437Y1 (ko) * 1994-05-31 1999-06-15 전주범 다기능 전자렌지용 온도감지봉 취부구조
KR200177848Y1 (ko) * 1999-10-26 2000-04-15 한용근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JP2004141034A (ja) * 2002-10-23 2004-05-20 Matsushita Refrig Co Ltd オーブンの制御装置
KR20060015090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437Y1 (ko) * 1994-05-31 1999-06-15 전주범 다기능 전자렌지용 온도감지봉 취부구조
KR200177848Y1 (ko) * 1999-10-26 2000-04-15 한용근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JP2004141034A (ja) * 2002-10-23 2004-05-20 Matsushita Refrig Co Ltd オーブンの制御装置
KR20060015090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오븐레인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0501A1 (en) * 2017-01-12 2018-07-1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cooking oven, in particular a domestic cooking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571B1 (ko) 2016-09-09
CN205072704U (zh)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0936B2 (en)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428720B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1109709B2 (en) Griddl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a griddle
KR101617539B1 (ko) 조리기기
JP6872690B2 (ja) 加熱調理器
US10006639B2 (en) Appliance side panel with air channel
JP6846623B2 (ja) 加熱調理器
WO2020239070A1 (zh) 具有自然对流和强制对流的多腔体烤箱设备
US20210222889A1 (en) Oven appliance having a high-heat cooking surface
KR101656571B1 (ko) 조리기기
KR20110078910A (ko) 조리기기
US10753621B2 (en) Oven appliance with a sensor shield
KR100589768B1 (ko) 발열체가 내장된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
US11937728B2 (en) High temperature cooking accessory for an oven appliance
KR101633123B1 (ko) 조리기기
EP1972856B1 (en) Cooking appliance
JP2000205574A (ja) オ―ブント―スタ―
JP6604064B2 (ja) 加熱調理器
KR101690329B1 (ko) 조리기기
JP2011242092A (ja) 加熱調理器
KR20060075155A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20060098715A (ko) 전기 오븐 레인지
KR20110083348A (ko) 조리기기
JP2015023902A (ja) 高周波加熱装置用調理器具とこの調理器具を備えた高周波加熱装置
JP2012172895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