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848Y1 -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848Y1
KR200177848Y1 KR2019990023553U KR19990023553U KR200177848Y1 KR 200177848 Y1 KR200177848 Y1 KR 200177848Y1 KR 2019990023553 U KR2019990023553 U KR 2019990023553U KR 19990023553 U KR19990023553 U KR 19990023553U KR 200177848 Y1 KR200177848 Y1 KR 200177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ssembled
reinforcing
packing box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근
Original Assignee
한용근
박윤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근, 박윤승 filed Critical 한용근
Priority to KR2019990023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8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B65D7/44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7/46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사용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가능케 하여 포장박스 운송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케 하며, 또한 완전 밀폐형으로 구성하여 포장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요입부(30)와 돌출부(32)로 절곡구성된 보강철판(10)을 이용하여 측판(12)과 밑판(8)으로 구성되는 박스본체(4)와 상판(18)으로 구성되는 덮개(6)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측판(12)과 밑판(8)이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보강앵글(14)을 조립 연결 구성되게 하고, 밑판(8)저면에는 받침대(20)를 조립구성하고, 덮개(6)를 구성하는 상판(18)테두리에는 보강앵글(16)을 조립식으로 연결구성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Assembly packing box}
본 고안은 산업용 기계부품이나 물품 등을 포장하여 보관 및 운송하거나 포장상태에서 수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립식 철재 포장박스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현장에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게 하며,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장박스는 주로 각목과 목판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조공장에서 완전한 박스형태를 제조하고, 제조된 포장박스를 생산공장으로 이송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포장박스의 운송시 물류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자재가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량한 것으로서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제98-39012호 '조립식 철재 포장박스'와 같은 철재용 포장박스가 제공된 바 있으나, 개방형이어서 포장제품의 손상이 우려될 뿐 아니라, 종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챤넬과 앵글을 이용한 구성이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가볍고, 제작경비가 저렴하면서 사용현장에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포장박스의 운송에 따른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포장박스가 밀폐형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포장제품의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판 혹은 알루미늄을 절곡 가공하여 돌출부와 요입부가 교호로 구성되게 한 보강철판을 조립식으로 하여 장방향의 포장박스본체와 포장박스 상면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를 구성하되, 상기 포장박스의 하단 테두리에는 보강앵글을 위치시킨 다음 피스나 리벳이음으로 조립 결합하여 밑판과 각 측판이 연결되게 하고, 포장 박스하단에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받침대를 조립 결합하며, 측판 중앙부에는 철판을 절곡구성한 보강대를 결합하여 포장박스의 견고성을 보강케하며, 포장박스 상면에는 덮개를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고안의 보강철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절곡되는 형태는 필요에 따라 여러형태로 절곡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포장박스의 크기 또한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크기를 임의로 제작할 수 있으며, 철판만 사용가능한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과 같은 경질의 재질도 사용가능하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보강철판의 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밑판과 받침대의 조립상태도.
도 6 : 본 고안 보강대의 연결구성도.
도 7 :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도 8 : 본 고안 타실시예의 사시도.
도 9 : 도8의 정면구성도.
도 10 ∼도 12 : 본 고안 보강철판의 타실시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포장박스 (4)--포장박스본체
(6)--덮개 (8)--밑판
(10)--보강철판 (12)--측판
(14)(16)--보강앵글 (18)--상판
(20)--받침대 (22)--파지부
(24)--밀착부 (26)--보강대
(28)--연결보강편 (30)--요입부
(32)--돌출부 (34)--걸림편
(36)--협지편 (38)--보강앵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포장박스(2)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상태에서 포장박스본체(4)로부터 덮개(6)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에서 포장박스본체(4)는 도3에서와 같이 구성된 보강철판(10)으로 밑판(8)과 각 측판(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밑판(8)과 측판(12)의 하단 연결테두리에는 보강앵글(14)을 위치시킨 다음 측판(12)과 밑판(8)이 서로 조립되게 하며, 조립수단으로서는 피스나 리벳등과 같이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된다.
상기 포장박스본체(4)상면에는 보강철판(10)으로 구성된 덮개(6)를 씌워 결합하되, 상기 덮개(6)를 구성하는 상판(18)테두리에는 보강앵글(16)을 피스나 리벳 등으로 조립 결합되게 하므로서 상기 보강앵글(16)에 의해 덮개(6)가 포장박스본체(4)의 상면 개방부에 덮어질 수 있게 한다.
포장박스(2)하단에는 받침대(20)를 위치시킨 다음 피스나 리벳을 이용하여 밑판(8)저면에 조립되게 하며, 이때 받침대(20)의 위치는 밑판(8)에 구성된 보강철판(10)의 요철부와는 직각으로 교차되게 구성한다.
측판(12)중앙에는 철판을 절곡 구성하여 파지부(22)와 밀착부(24)로 구성된 보강대(26)를 위치시킨 다음 역시 피스나 리벳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측판(12)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보강대(26)의 각 연결부에는 도6에서와 같이 보강대(26)의 단면 형상과 같은 연결보강편(28)을 위치시킨 다음 피스나 리벳으로 보강대(26)와 조립되게 하므로서 보강대(26)의 연결부를 보강케 한다.
상기에서 밑판(18)과 측판(12) 및 상판(18)으로 사용되는 보강철판(1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3에서와 같이 철판이나 알루미늄판을 절곡 구성하여 요입부(30)와 돌출부(32)가 교호로 구성되게 하되, 양측 단부에는 걸림편(34)과 협지편(36)으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보강철판(10)의 연결시 평면적인 연결을 보강철판(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된 걸림편(34)이 협지편(36)내에 위치되게 한 다음 피스나 리벳 등으로 조립되게 하며, 각 코너 연결부는 걸림편(34)이 협지편(36)의 외면에 위치되게 한 다음 역시 피스나 리벳 등으로 이들이 조립되게 구성한다.
상기 본 고안의 보강철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절곡형태는 도1O, 도11, 도1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절곡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본 고안의 포장박스(2)를 구성함에 있어서, 포장박스(2)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길게 구성할 경우에는 포장박스본체(4)를 구성하는 측판(12)과 덮개(6)를 구성하는 상판(18)상에 보강대(26)를 도8에서와 같이 세워 설치하거나 횡방향으로 조립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는 각 측판(12)이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보강앵글(38)을 피스나 리벳으로 연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강철판(1O)으로 구성된 덮개(6)를 구성하는 상판(18)과 보강앵글(16) 및 포장박스본체(4)를 구성하는 측판(12) 밑판(8) 및 보강앵글(14) 받침대(20) 보강대(26)가 모두 피스나 리벳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하고자 하는 포장박스(2)를 규격에 맞게 재단한 다음 물건을 포장하고자 하는 생산현장에서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박스(2)의 운송에 따른 물류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게된다.
또한 측판(12)이나 밑판(8) 상판(18), 보강대(26) 및 받침대(20)가 모두 얇은 철판을 절곡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우면서 견고성이 우수하며, 제작경비가 저렴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포장박스는 완전한 밀폐형이기 때문에 포장되는 물품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므로 장시간 장거리를 운송하는 수출용포장박스로 사용할 경우 매우 적합하며, 취급과 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산업용 기계부품이나 물품등을 포장하여 수출하는데 사용하는 포장박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강철판을 연결하여 측판과 밑판 및 상판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각부에는 보강대나 보강앵글 및 받침대를 조립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포장박스자체를 완전한 밀폐형으로 하여 포장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또한 사용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포장박스운송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케 할 뿐아니라, 가볍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물품포장용 포장박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강철판(10)으로 측판(12)과 밑판(8)을 조립 구성하되, 측판(12)과 밑판(8)이 연결되는 하단 테두리에는 보강앵글(14)을 조립 구성되게 하고, 밑판(8)저면에는 받침대(20)를 조립 구성하여 포장박스본체(4)를 구성하고, 포장박스본체(4)의 상단개방부에는 상판(18)테두리에 보강앵글(16)이 조립된 덮개(6)를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철판(10)은 돌출부(32)와 요입부(30)를 교호로 구성하되, 양측단부에는 걸림편(34)과 협지편(36)을 구성하여 보강철판(10)의 연결시 걸림편(34)과 협지편(36)을 이용하여 피스나 리벳으로 조립 구성되게 하고, 측판(12)상에는 보강대(26)를 조립 구성되게 하여 측판(12)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KR2019990023553U 1999-10-26 1999-10-26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KR200177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53U KR200177848Y1 (ko) 1999-10-26 1999-10-26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53U KR200177848Y1 (ko) 1999-10-26 1999-10-26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848Y1 true KR200177848Y1 (ko) 2000-04-15

Family

ID=1959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553U KR200177848Y1 (ko) 1999-10-26 1999-10-26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84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74A (ko) * 2014-09-24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69901B1 (ko) 2015-11-23 2017-08-22 상진에이알피(주) 조립식 박스
KR20230007858A (ko) 2021-07-06 2023-01-13 이재희 수출용 포장 케이스
CN116654415A (zh) * 2023-06-05 2023-08-29 苏州思诺铭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式塑料周转箱及其生产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74A (ko) * 2014-09-24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69901B1 (ko) 2015-11-23 2017-08-22 상진에이알피(주) 조립식 박스
KR20230007858A (ko) 2021-07-06 2023-01-13 이재희 수출용 포장 케이스
CN116654415A (zh) * 2023-06-05 2023-08-29 苏州思诺铭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式塑料周转箱及其生产工艺
CN116654415B (zh) * 2023-06-05 2024-01-02 苏州思诺铭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式塑料周转箱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04715A (ja) 積重ね可能なパッケージングユニット
KR200177848Y1 (ko)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KR20140047906A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CA2013398C (en) Multi-unit package particularly for parrallelepiped cartons
KR200261580Y1 (ko)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KR200272233Y1 (ko) 수출용 조립포장박스
JPH0958680A (ja)
KR100806169B1 (ko)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200261408Y1 (ko) 화물 운송 적치대
KR20110014300A (ko) 원가 절감형 날개 조정형 조립 박스
KR200293055Y1 (ko) 조립식 포장박스 적치대
US2734652A (en) Wire-bound crate
JPH072413Y2 (ja) 積み重ね式コンテナ
KR200244226Y1 (ko) 농수산물용 플라스틱 파렛트
KR200263820Y1 (ko) 철재 파레트
CS215056B2 (en) Suitabl e for stacking case with the lid from pressed shaped segments
JP2503090Y2 (ja) 組立式段ボ―ルパレット
JPH0427809Y2 (ko)
JPS6025380Y2 (ja) 物品収納ケ−ス
KR890002025Y1 (ko) 조립식 다기능 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용 판넬
KR200404762Y1 (ko) 부직포 다용도 보관함
JPS5852191Y2 (ja) 合成樹脂製組立式容器
KR970006185Y1 (ko) 포장 및 운반용상자
KR200305281Y1 (ko) 포장박스용 프레임
KR200251191Y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